20130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2

고2[독서] 수행Ⅰ-독서자료 감상활동(총 50점) 학번 20808 성명 송진혁

활동주제 ◇ <설총>을 읽고 다음에 답해보자.


Q. 설총이 신문왕에게 전한 [화왕계] 이야기에서 ‘장미’는 유교 오덕(五德)인 인,의,예,지,신(仁
항목1 義禮智信) 중 어느 부분이 미흡하며, 이를 갖추기 위해 어떤 삶의 자세가 필요한지 ‘백두옹’과
비교하여 자신의 견해를 진술해 보시오. (4줄/200자 내외) *3줄 미만 감점 있음
장미는 백두홍에 비해 예가 부족하다 이것을 갖추기 위해서는 성인을 이해해주고 도움을 주고
예의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자 그리고존중하는 마음이 필요하다 그리고 의 도 부족하다 이를
갖추기 의해서는 의롭게 생활 해야한다 그리고 인 이 부족하다 이것을 대하는 태도는 착하고
너 드럽게 이래 해주는 마음이 부족하다
Q. 자신이 신문왕이라면 설총의 이야기를 듣고 어찌 반응했을지 설총의 주장을 반박하는 입
항목2
장에서 자신의 견해를 진술해 보시오. (4줄/200자 내외) *3줄 미만 감점 있음
설총의 주장에 반박 해보자면 간신을 멀리하라는 말에서 나는 너는 아무 것도 안하고
받아 가고 싶냐고 물어보고 싶다 왕에게 이쁨을 받고 싶으면 간신처럼 왕의 기분도 생각하고
해야지라고 하고 싶다 그리고 충신을 가까이 두라는 말에서는 충신이면 왕의 기분을 맞추면서
충언을 해야하다고 하고 싶다
Q. 설총의 아버지인 원효대사가 도를 깨우친 이야기인 ‘해골물’ 일화를 참고할 때, 깨달음은
갑자기 오는 것인가? 아니면 점진적인 수행의 결과로 오는 것인가? 아니면 순간의 깨달음은
항목3
진정한 깨달음이 아닌 것인가? 돈오(頓悟)와 점수(漸修)의 개념을 활용하여 자신이 생각하는
‘깨달음’을 정의해 보시오. (4줄/200자 내외) *3줄 미만 감점 있음
나는 갑자기 오는 거 같다 그이유는 돈어 와 점구 에서 돈오는 깨달음을 의미 하는데 순간적인
깨달음이 필요하기 때문에 순간의 깨달음이 있어야지 그 다음도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점진적인 깨달음은 순간깨달음 도가 더 많이 깨달음을 얻지 못할거 같아서 나는 순간
의 깨달음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Q. 설총이 삼국사기 <열전>에 수록된 주된 이유로 유교적 가치를 실현한 것을 근거로 두고
항목4 있다. 이러한 가치 외에 어떤 가치를 실현하면 역사에 남을 인물이 될 수 있는지 자신이 알고
있는 위인을 예로 들어 자신의 견해를 진술해 보시오. (4줄/200자 내외) *3줄 미만 감점 있음
나는 다른 사람을 생각하는 사람이 역사에 남을 만한 인물이라고 생각한다 정약용은 백성들이
탐관 오리 때문에 힘들어하는것을 보고 책을 만들어서 퍼트렸다 이것을보고 나는 다른사람을
배려하는 사람이 역사적인 인물이 될거 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나는 이것이 역사에 남을 만한
중요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Q. 제시된 열전 <설총> 편의 마지막 부분을 수정하고자 한다. 자신이 역사를 서술하는 사관
항목5 (史官)입장이 되어, 설총의 일생에 대한 논평을 진술해 보시오.
(4줄/200자 내외) *3줄 미만 감점 있음
설총의 논평을 설명하면 일본국의 진이 원효대사를 만나지 못한것을 한스럽게 여겼는데 설총이
원효대사는 친손자라고 하니 기뻐서 시를 지어 주었다 우리 현종 임금이 왕위에 있으신지 13년
에 설총이 죽은 뒤에 풍계를 높여 주었다 어떤이는 설총이 당에 유락한 일도 있었다고 하지만
진짜로 그랬는지는 알수 없다
제출일 정량평가 정성평가
채점결과 감점X -5 -10 -20 -30 기본 감점X -5 -10 감점X -5 -10 최종
점수
고2[독서] 수행Ⅱ-독서자료 비평활동(총 50점) 학번 20808 성명 송진혁

활동주제 ◇ <군주론>을 읽고 다음에 답해보자.


Q. 글쓴이가 주장하는 이상적인 군주의 모습은 유교 오덕(五德)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항목1 중 어느 부분이 충족되어야 하는지, <군주론> 본문의 내용을 인용하여 자신의 견해를 진술해
보시오. (4줄/200자 내외) *3줄 미만 감점 있음
이상적인 군주의 모습은 지 가 있어야한다 그러한 이유는 지혜로워야지 군사와 백성들이
잘따르기 때문이다 지혜로워야지 전쟁에서 이기고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때 놀지않고 백성들을
살릴수 있기 때문 입니다 임금이 지혜로워야 반란이라는 생각도 하지않고 화유 할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Q. ‘백성들이 두려워하는 군주는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있다’라는 명제가 참인가, 거짓인가?
항목2 우리 역사(조선시대까지)나 세계사에 등장하는 군주들의 예를 들어 자신의 견해를 진술해 보
시오. (4줄/200자 내외) *3줄 미만 감점 있음
명제는 참이고 그이유는 자신의 아들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두에 죽였기 때문에 두려워하는
왕이 었다 하지만 영조는 탕평책을 통해서 백성들이 힘들어 했던 군대와 토지 문제를 해결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균역법을 하여서 군역으로 힘들어하는 백성들을 힘들지 않게 하였기
때문입니다
Q. ‘이상적인 리더’에 대한 자신만의 정의를 내려보시오.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자신의 학교
항목3 생활 중 얻은 경험을 예로 들어 자신의 견해를 진술해 보시오.
(4줄/200자 내외) *3줄 미만 감점 있음
이상적인 리더는 지혜로운 리더 이다 그이유는 지혜로운 리더는 우리가 무엇을 원하는지 물어
보고 그것을 위해서 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위해서 노력해서 우리가 원하는것을 따오기 때문
입니다 그리고 지혜로운 리더는 분란이 일어났을때 그것을 중재하고 서로의 타협점을 찾기
때문입니다
Q. 글쓴이는 카르타고의 한니발과 로마의 스키피오를 예로 들어 지도자의 덕성을 강조하고
있다. 만약 자신이 군대를 통솔한다면 어떤 유형의 리더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가? 한니발
항목4
과 스키피오 중 한 명을 선택하여 그 입장을 대변해 보시오.
(4줄/200자 내외) *3줄 미만 감점 있음
나는 한니발이어한다고 생각한다 그이유는 한나발처럼 두려움을 주는 존재이어야 하지 반란
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두려움을 주는 존재어야지 군대를 통솔할때
따라 줄거 같아서 입니다 그래서 저는 두려움을 주는 군주가 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잔인한 사람이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Q. 동,서양의 역사상 수많은 민중들의 항거와 혁명이 있었다. 이런 민중 봉기의 원인이 글쓴
이가 주장하는 대로, 이기적인 인간의 본성에서 유래한 것인가? 아니면 정의를 추구하는 선
항목5
한 본성에서 유래한 것인가? 동,서양 역사에 등장하는 민중 봉기의 예를 들어 자신의 견해를
진술해 보시오. (4줄/200자 내외) *3줄 미만 감점 있음
이기적인 본성을 추구하는거 같다 그이유는 프랑스 혁명에서는 백성들이 많이 힘들었다
그래서 백성들 동학농민 운동에서도 탐관오리들이 백성을 괴롭혀서 자신의 더나은 삶을 위해
서 반란을 하는거 같다 그래서 나는 이기적인 인간의 본성에서 유래하는것 이다 그리고 조금은
정의를 추구하는거 같다
제출일 정량평가 정성평가
채점결과 감점X -5 -10 -20 -30 기본 감점X -5 -10 감점X -5 -10 최종
점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