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2024학년도 1학기 일반 생물학 실험1 1주차 실험 보고서

현미경의 종류 및 사용법 2024140256 생명공학부 김지훈

1. 실험 목적
광학현미경으로 특정 물체을 관찰했을 때 해당 물체가 어떻게 관찰되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광학현미경의 구조 및 원리를 한층 더 깊이 알아보기 위해서 진행하였음.

2. 실험 원리
● 현미경의 구조
현미경은 기본적으로 접안렌즈, 대물렌즈로 렌즈가 2개, 관찰하고자 하는 물질을 올려두는
재물대, 물질을 상세히 관찰하기 위한 빛을 쏘는 광원, 그리고 그 빛을 모아주는 집광기와 재
물대를 조절하는 초점 조절나사로 이루어져 있다.
● 현미경의 작동 원리
현미경은 렌즈 2개로 이루어져있다. 먼저 물체와 가까운 대물렌즈에 의해서 해당 물체의 실
상이 만들어진다. 대물렌즈에 의해 1차로 확대된 실상은 접안렌즈가 인식하고, 확대시키는 물
체의 역할을 하게 된다. 렌즈에 비친 물체는 일정거리보다 더 가까이 가져오면 상이 정확하게
맺히지 못해 정확히 볼 수 없는데, 이것을 명시거리라고 한다. 1차로 확대된 상은 이 명시거
리 안쪽이기 때문에 확실하게 상이 보이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접안렌즈는 물체를 확대함
과 동시에 1차 확대된 실상을 뒤쪽으로 보냄으로써 명시거리 쪽으로 상을 이동시킨다. 그 결
과 우리는 확대된 상을 뚜렷하게 볼 수 있다.
● 현미경으로 물체를 관찰할 때 뒤집혀 보이는 이유
현미경의 대물렌즈는 볼록렌즈이다. 볼록렌즈는 물체에 상이 맺힐 때 초점 안쪽에 물체가 상
을 맺으면 그 상이 똑바로 된 상이나, 초점 바깥쪽에 물체가 상을 맺으면 그 상이 거꾸로 뒤
집혀 보인다. 현미경에서는 대물렌즈에 의해 상이 맺힐 때에는 그 상이 초점 밖이어서 거꾸로
되어 있었으나, 접안렌즈에 의해 상이 맺힐 때에는 그 상이 초점 안이어서 뒤집히지 않는다.
이에 최종적으로 현미경에서의 상이 뒤집혀 보이는 것이다.

3. 실험 재료 및 방법
● 실험 재료 및 기구
- 광학 현미경 (복합 현미경)
- 영어 Ff 가 쓰인 슬라이드 글라스
● 실험 방법
① F자가 정자로 보이게 현미경 재물대에 올려 holder로 고정하고, 저배율(40배)에서 초점을
맞추고 나온 상의 사진을 찍는다.
② 40배 배율의 관찰이 종료되면, 고배율(100배)로 대물렌즈를 바꿔 나온 상의 사진을 찍는다.
4. 실험 결과
관찰한 결과 Ff로 쓰여진 슬라이드 글라스가 거꾸로 뒤집혀 보였다. 현미경의 원리로 미루어
짐작해볼 때 대물렌즈에 의해서 상이 맺힐 때 물체의 상이 물체의 반대편에 생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그 과정에서 Ff가 뒤집혔을 것이다. 반면 접안렌즈에서의 상은 렌즈 반대편
에 생성되지 않는다. 1차로 맺힌 상을 그저 뒤로 미는 식으로 2차 상이 맺히기 때문에 이런
원리로 실험 결과가 다음과 같이 나왔다고 생각한다.

<그림 1> 40배 배율로 관찰한 결과 <그림 2> 100배 배율로 관찰한 결과

5. 실험에 대한 고찰
이번 실험을 진행할 때 사용한 슬라이드 글라스에는 글자가 적혀있었기 때문에 그 뒤집힌 정
도를 확실하게 관찰할 수 있었지만, 일반적인 물체일 경우 뒤집힌다는 사실을 간과하기 쉽다
고 생각했다. 이에 매 관찰 시마다 뒤집힌다는 사실을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을 깨달았다. 또한 이번에는 광학 현미경 중에서도 복합현미경을 가지고 진행하였으나, 전자
현미경이나, 다른 종류의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서도 글자가 이렇게 뒤집히는지, 정확히 어떤
원리로 뒤집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싶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