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7

대분류/12

이용·숙박·여행· 중분류/01
오락·스포츠 이·미용 소분류/01
이·미용서비스 세분류/01
헤어미용 능력단위/12, 56
60, 62

NCS학습모듈

헤어 샴푸와 클리닉

LM1201010112_21v5
LM1201010156_21v6
LM1201010160_21v5
LM1201010162_21v5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이용·숙박·여행·오락·스포츠

중분류 이·미용

소분류 이·미용 서비스

세분류

헤어미용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피부미용 미용업 안전 위생 관리

메이크업 미용 고객 응대 미용업 안전과 서비스

네일미용 미용 고객 상담

이용 헤어 샴푸

두피·모발 관리
헤어 샴푸와 클리닉
손상모 특수관리

미용업소 제품 사용 관리

원랭스 헤어커트

그래쥬에이션 헤어커트 헤어커트

레이어 헤어커트

쇼트 헤어커트 쇼트 헤어커트

헤어커트 디자인
헤어커트 디자인
헤어커트 트렌드 분석

콜드펌
헤어펌
히팅펌

헤어펌 디자인
헤어펌 디자인
헤어펌 트렌드 분석
베이직 헤어컬러
헤어컬러 베이직
그레이 헤어컬러

헤어컬러 디자인
헤어컬러 디자인
헤어컬러 트렌드 분석

블로우드라이 스타일

헤어아이론 스타일 헤어스타일

헤어스타일 디자인

고전머리 스타일

가발 헤어스타일 특수머리 스타일

업스타일

미용업 홍보관리

미용업 재무관리
미용업 경영관리
미용업 고객관리

미용업 교육관리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헤어 샴푸하기

1-1. 헤어 샴푸 준비 3

1-2. 샴푸 실행 17

1-3. 트리트먼트 실행 36

1-4. 헤어 샴푸 마무리 44

• 교수 ․ 학습 방법 51

• 평가 52

학습 2. 두피ㆍ모발 관리하기

2-1. 두피ㆍ모발 관리 준비 56

2-2. 두피ㆍ모발 관리 실행 66

2-3. 두피ㆍ모발 관리 마무리 100

• 교수 ․ 학습 방법 103

• 평가 104

학습 3. 손상모 특수관리하기

3-1. 손상모 특수관리 준비 108

3-2. 손상모 특수관리 실행 119

3-3. 손상모 특수관리 마무리 126

• 교수 ․ 학습 방법 129

• 평가 130
학습 4. 미용업소 제품 사용 관리하기

4-1. 미용업소 제품 종류 파악 133

4-2. 미용업소 제품 용도별 사용 145

4-3. 홈케어 제품 추천 162

4-4. 미용업소 제품 관리 165

• 교수 ․ 학습 방법 179

• 평가 180

참고 자료 183

활용 서식 186

부 록 190
헤어 샴푸와 클리닉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고객의 두피·모발 상태에 적합한 샴푸제와 트리트먼트제를 사용하여 다양한 샴푸 테크닉으로 두피와 모발을 청결하게 하
고, 고객의 두피·모발 상태에 따라 기기와 제품을 사용하여 두피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모발에 영양분을 공급하여 두
피와 모발을 탄력 있게 관리할 수 있고, 고객의 모발 손상도를 파악한 후 그 결과에 따라 기기와 제품을 선택하여 손상
된 모발을 건강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을 사용 목적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하고 관리할 수
있다.

선수학습

미용업 안전위생 관리(LM1201010101_21v5), 두피·모발 관리(LM1201010112_16v3), 베이직 헤어펌


(LM1201010120_16v3), 베이직드라이(LM1201010123_16v3), 베이직헤어컬러(LM1201010125_16v3)

학습모듈의 내용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1. 헤어 샴푸 준비 1201010156_21v6.1 헤어 샴푸 준비하기
1-2. 샴푸 실행
1. 헤어 샴푸하기 1201010156_21v6.2 헤어 샴푸 실행하기
1-3. 트리트먼트 실행
1-4. 헤어 샴푸 마무리 1201010156_21v6.3 헤어 샴푸 마무리하기
2-1. 두피·모발 관리 준비 1201010112_21v5.1 두피·모발관리 준비하기
2. 두피·모발 관리하기 2-2. 두피·모발 관리 실행 1201010112_21v5.2 두피·모발관리 실행하기
2-3. 두피·모발 관리 마무리 1201010112_21v5.3 두피·모발관리 마무리하기
3-1. 손상모 특수관리 준비 1201010162_21v5.1 손상모 특수관리 준비하기
3. 손상모
3-2. 손상모 특수관리 실행 1201010162_21v5.2 손상모 특수관리 실행하기
특수관리하기
3-3. 손상모 특수관리 마무리 1201010162_21v5.3 손상모 특수관리 마무리하기
4-1. 미용업소 제품 종류 파악 1201010160_21v5.1 미용업소 제품 종류 파악하기

4. 미용업소 제품 사용 4-2. 미용업소 제품 용도별 사용 1201010160_21v5.2 미용업소 제품 용도별 사용하기


관리하기 4-3. 홈케어 제품 추천 1201010160_21v5.3 홈케어 제품 추천하기
4-4. 미용업소 제품 관리 1201010160_21v5.4 미용업소 제품 관리하기

핵심 용어
헤어트리트먼트, 스케일링, 브러싱, 샴푸, 매뉴얼 테크닉, 홈케어, 컨디셔너, 헤어제품, 매니플레이션, 에멀전, 두피유형,
손상모, 두피모발관리, 두피진단

1
학습 1 헤어 샴푸하기
학습 2 두피·모발 관리하기
학습 3 손상모 특수관리하기
학습 4 미용업소 제품 사용 관리하기

1-1. 헤어 샴푸 준비
• 고객에게 가운 착용을 안내하고 샴푸실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 와식과 좌식 샴푸 중 샴푸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샴푸대에 앉은 고객에게 무릎 덮개와 어깨 타월 등을 착용시킬 수 있다.
• 샴푸 시작 전 두피와 모발 상태를 파악하고 사전 브러싱을 할 수 있다.
• 고객의 편안함을 위해 샴푸대의 높이와 수온,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헤어 샴푸 준비 자세
샴푸는 고객이 요구하는 헤어스타일을 위해 미용업소의 시술 서비스 중 첫 단계로 고객이 미용
업소의 이미지와 수준을 인지하여 평가하는 첫 번째 기술이다.

1. 헤어 샴푸 시술자의 용모 및 자세
샴푸는 고객과 최단거리에서 제공하는 시술 서비스로 샴푸 시 고객과의 간격 및 위치에 주
의를 기울인다.

(1) 복장
미용업소의 분위기에 맞추어 단정하고 위생적인 복장을 착용한다. 구깃구깃하거나 이물질
이 묻어 있는 등 비위생적인 복장은 물론 지나치게 화려하거나 고객에게 부담을 주는 복
장은 삼간다.

(2) 헤어스타일
샴푸 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단정한 헤어스타일을 유지한다.

(3) 냄새
구취 및 체취 등 고객에게 불쾌감이 느껴지는 냄새가 나지 않도록 수시로 체크한다. 또한
지나치게 진한 향수 냄새도 고객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4) 손톱과 액세서리

3
고객의 두피를 상하게 할 수 있는 긴 손톱이나 입체감 있는 디자인의 네일아트도 삼간다.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샴푸 시 방해가 되는 반지, 팔찌 등의 액세서리 착용도 주의한다.

(5) 대화
헤어 샴푸 시 고객과 나누는 대화로 샴푸 시술자의 전문성과 교육수준을 가름할 수 있다.
미용업소의 분위기는 물론 교육 수준까지 알 수 있는 시간이 될 수 있어 샴푸 시술자의
자세와 태도는 매우 중요하다.

샴푸의 목적

인간의 두피·모발은 대기 중의 여러가지 물질 및 미세먼지, 헤어스타일링 제품, 여러 가지 생리적인 작용에 의


해 발생하는 피지와 땀의 분비 등에 의한 오염으로 비위생적인 상황이 되기 쉽다. 이렇게 비위생적인 된 두피·
모발은 샴푸는 비위생적인 모발과 두피를 늘 위생적으로 유지시켜 모발과 두피의 생리 기능을 원활히 하는 것
으로 샴푸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염된 모발과 두피를 깨끗하게 세정하기 위함,
둘째, 두피에 적당한 자극을 주어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건강한 모발을 관리하기 위함
셋째. 헤어커트, 헤어펌, 헤어컬러 등의 다양한 헤어 서비스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함

 헤어 샴푸 사용 기구

1. 샴푸대
샴푸는 좌식샴푸와 와식 샴푸로 구분하며, 좌식샴푸는 두상에 샴푸를 도포하여 거품을 내는
과정까지 앉아서 하는 것이고, 전과정을 누워서 진행할 경우 와식샴푸라 한다. 그러나 좌·
와식 모두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샴푸대에 앉거나 누워야 하므로 샴푸실의 공간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샴푸대를 사용한다.

(1) 샴푸대의 종류
샴푸대의 진화로 최근에 사용하는 샴푸대는 [그림 1-1]과 같이 고객은 누워서, 작업자는
고객의 머리 위쪽에서 앉아서 샴푸를 하는 침대식 샴푸대의 형태가 많아졌다.

출처: 뷰쎄 카탈로그
[그림 1-1] 침대식 샴푸대

4
그러나 미용업소의 공간상황에 따라 [그림 1-2]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의자식 샴푸도 많이 사용한다.

출처: 뷰쎄 카타로그
[그림 1-2] 의자식 샴푸대

(2) 샴푸대 구조 및 명칭
샴푸대는 [그림 1-3]과 같이 샴푸 도기 스탠드 위에 얹혀 있는 샴푸 도기 부분에 고객
의 두상이 닿게 되며 좌판에 고객이 누울 수 있고 등을 기댈 수 있는 등판, 좌판과 등
판을 움직이는 구동 스위치를 포함한 구동부로 나눌 수 있다.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5.


[그림 1-3] 샴푸대 구조 및 명칭

5
<표 1-1> 샴푸대 구조별 명칭과 세부내용

명칭 세부 내용

· 샴푸 시 고객의 등, 엉덩이, 발 등이 닿는 부분
등판·좌판·발판
· 폴리우레탄, 가죽 등 다양한 재질로 되어있음

구동부 · 접혀 있던 좌판과 등판이 일자 또는 위쪽으로 움직이면서 펼쳐지는 부분

구동 스위치 · 구동부를 움직이게 하는 기능을 하며 상승과 하강, 중간 정지 기능이 있음

· 고객의 두상과 모발을 세정하기위한 기능적인 부분


샴푸 도기 · 세라믹 재질로 상하수의 기능과 샤워기, 냉온수 조절밸부 등이 부착되어 있음
· 고정식 도기와 상·하 이동식 도기가 있음

샴푸 도기 스탠드 · 샴푸 도기를 지지하며 내부에는 급·배수 시설이 되어 있음

· 샴푸 시 고객의 목과 두상의 후두부 하단을 지지하는 기능


목 받침대
·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가 대부분

배수구 · 물이 빠져나가는 곳으로 배수구 내부에는 거름망이 있음

· 이물질과 머리카락을 걸러주는 망


거름망
· 스테인리스나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음

샴푸용 · 샴푸 시 샤워기처럼 물이 뿜어져 나오는 부분


샤워 헤드 · 샴푸 형태에 따라 적절한 강도의 물줄기와 부드러운 강도의 물줄기를 선택 가능

샴푸용 샤워 · 샴푸용 샤워 헤드를 꽂아 고정하는 부분


헤드 거치대 · 샤워기 헤드의 물이 빠지는 방향은 늘 배수구 쪽으로 향하게 함

냉온수 조절 밸브 · 적정 온도를 조절하며 수압 조절도 가능함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5.

(3) 샴푸 도기 스탠드 내부
[그림 1-4]의 샴푸도기 스탠드 내부구조를 보면 스탠드 안쪽에는 배수구 아래쪽 배수로
를 통해 올라오는 좋지 않은 냄새를 막아주는 U-트랩이 있고 이 U-트랩과 연결된 배수
로 아래쪽 배수관과 여러 가지 밸브와 호스가 있다. 또한 각 부위별 명칭과 기능은 <표
1-2>를 참고한다.

6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6.
[그림 1-4] 샴푸 도기 스탠드 내부 구조

<표 1-2> 샴푸 도기 스탠드 내부 기관 명칭

명칭 기능
· 배수구 아래쪽 배수로를 통해 올라오는 좋지 않은 냄새를 막아주는 곳
U-트랩
· 배수로 아래쪽 배수관과 연결되어 있음
배수관 · 물이 배출되는 관으로 U-트랩 아래쪽으로 연결되어 있음

온수 호스 · 보일러로부터 온수가 공급되는 관으로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음

냉수 호스 · 물이 저장되어 있는 직수로부터 냉수가 공급되는 관으로 파란색으로 표시되어 있음

온수 중간 밸브 · 온수가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중간 단계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한 밸브

냉수 중간 밸브 · 냉수가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중간 단계를 차단하기 위한 밸브

· 가장 마지막으로 물이 빠져나가는 관으로 좋지 않은 냄새를 차단하기 위해 밀폐되


하단 배수관
어 있음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6.

(4) 샴푸대 활용

(가) 좌식 샴푸 시 활용
좌식 샴푸는 고객이 미용 의자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샴푸를 진행하며 헹굼 작업만
샴푸대로 이동하여 진행한다.

(나) 와식 샴푸 시 활용
와식 샴푸는 샴푸 전 과정을 샴푸대에서 진행할 수 있어, 샴푸 외에 두피모발관리와
같이 장시간 샴푸대를 이용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7
<표 1-3> 좌식 샴푸와 와식 샴푸의 비교

구분 좌식 샴푸 와식 샴푸

·두피관리 프로그램에서 부분적으로 이용


·미용업소에서 실행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의
특징 ·환자나 임산부 등 누워 있는 자세가 불편한
샴푸 방법
대상에게 진행

·미용의자에 앉은 상태로 샴푸(거품 및 매니플 ·샴푸와 헹굼 작업 등 샴푸 전과정을 모두 고객


방법
레이션)후 샴푸대로 이동 후 과정 마무리 을 샴푸대에서 눕힌 상태로 진행

·섬세한 두피 매니플레이션 테크닉이 가능 ·중간 이동없이 편하게 샴푸 마무리


장점 ·후두부 귀뒤쪽까지 셤세하게 테크닉이 가능 ·독립된 공간에 설치한 경우가 많아 편안한 분
·앉은 상태에서 두피 지압과 어깨 마사지까지 가능 위기의 샴푸가 가능

·샴푸 중간 이동으로 인한 불편함 발생가능 ·샴푸 시간이 길어질 경우 고객의 목에 무리를


단점
·충분한 거품 생성에 한계가 있음 가져올 수 있음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 (LM1201010118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0.

2. 샴푸대 사용 시 주의 사항

(1) 사전 냉온수 확인
샴푸 전에 냉온수가 잘 공급되는지 확인하여 고객과 시술자 모두 화상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한 고객과 시술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온수 온도는 38℃ 이하로 설정
한다.

(2) 사용법 확인
시술자는 샴푸 전 샴푸대의 사용법과 냉온수 방향 등의 안전 장치에 대한 내용을 숙지한다.

(3) 고객 자세
구동 스위치에 의해 좌판이 위쪽으로 올라오면서 등판이 뒤쪽을 향해 일자로 눕혀지므로
고객이 불편하지 않도록 손으로 고객의 목을 받쳐준다.

(4) 사전 적정 수온 및 수압 확인

(가) 적정 수온
샴푸 시 적합한 물의 온도는 개인별 선호하는 온도를 기반으로 계절 및 시술 서비스
의 종류 등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다. 샴푸 시술자는 샴푸 전 자신의 손목 안쪽에
온수와 수압을 체크하고 고객에게 물 온도를 확인 후 본격적으로 샴푸를 시작한다.

(나) 적정 수압
높은 수압으로 물이 튀어 고객에게 불쾌함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적정한 수
압 유지는 샴푸 시 두상의 물길에 따라 빠르게 두피와 모발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
으며, 헹굼 시에도 거품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적정 수압은 필수 조건이다.

(5) 거름망 세척

8
샴푸 후 샴푸 도기 내부의 거름망에 남은 모발과 이물질을 제거 후 세척하여 샴푸도기
의 위생과 청결함을 유지한다.

(6) 샴푸대 청결 유지
샴푸대와 샴푸 도기는 항상 청결을 유지하고, 샴푸대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는 배수관
입구를 전용 마개로 막아 역한 냄새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다.

 사전 브러싱

1. 사전 브러싱의 목적
엉킨 모발을 풀고 모발에 남아 있는 헤어스타일링제의 잔여물과 노폐물을 사전에 제거한다.

(1) 브러싱 기능

(가) 두피와 모발의 분비물, 먼지 등을 사전에 제거

(나) 두피의 혈액순환을 돕고 피지분비 기능의 활성화 효과

(2) 브러싱 자세
고객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브러싱 자세와 위치는 고객의 뒤쪽에서 시술자가 양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며 고객의 두상이 시술자의 팔과 평행하고, 시술
자는 무릎으로 고객과의 거리를 조절하며 허리를 양쪽으로 움직여 브러싱한다.

(3) 브러시의 종류
두피에 적절한 자극을 주며 두피와 모발의 오염물질을 일차적으로 제거하고, 엉킨 모발을
정돈하는 브러시 종류로는 패들 브러시, 벤트 브러시, 쿠션 브러시 등이 있다.
<표 1-4> 브러시의 종류

명칭 도구 특징

· 모발을 곧게 펴거나 전체적으로 모발을 정리할 때 사용


패들 브러시
· 빗살 끝이 둥글게 되어 있어 두피에 자극을 주며 두피에
(paddle brush)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탈모 예방에 도움을 줌

· 브러시 뒷면에 구멍이 있음


벤트 브러시
· 샴푸 후 모발을 빠르게 건조시킬 때 사용
(vent brush)
· 샴푸 전 짧은 모발이나 가볍게 엉킨 모발 정돈 사용

· 빗살이 붙어 있는 빗몸이 고무 재질로 되어 있음


쿠션 브러시
· 빗몸 안에 공기가 있어 빗살을 누르면 들어갔다 나옴
(cushion brush)
· 모발의 정전기를 예방하고 엉킨 모발을 정돈함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8.

9
2. 사전 브러싱 기법의 종류

(1) 원웨이 브러싱(oneway brushing)


모든 모발을 두상의 골덴포이트를 향해 브러싱하는 기법이다.

(2) 투웨이 브러싱(twoway brushing)


양손에 브러시를 쥐고 번갈아가며 원웨이 브러싱과 같은 방향으로 브러싱을 한다.

(3) 롱헤어 브러싱(longhair brushing)


프러트 및 사이드는 골덴포인트를 향해 브러싱하고 후두부의 모발은 네이프를 향해 브
러싱한다.

 목적별 샴푸제 선택

1. 샴푸 순서에 따른 샴푸제 선택

(1) 프레 샴푸(약식 샴푸)


헤어커트 전후에 실시하는 샴푸로 모발에 남아 있는 스타일링 제품 등을 제거하고 고객
의 모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위해 가볍게 하는 샴푸로 세정이 잘 되고 거품이 빠르게
제거되는 샴푸제를 선택한다.

(2) 세컨 샴푸(정식 샴푸)


미용 서비스 작업 후 두피에 이물질이나 노폐물이 남아 있는 경우 이를 제거하고 두피
매니플레이션을 통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신진대사 촉진 등 생리 기능을 높이는
목적으로 하는 샴푸로 모발·두피 상태를 확인하여 제품을 선택하며 기능성 샴푸를 선택
한다.

2. 헤어컬러·헤어펌 전 사용하는 샴푸제

(1) 민감성 두피 또는 손상모발


전문가의 판단에 의해 샴푸를 생략하거나 모발이나 두피에 강한 자극이 가지 않도록 주
의하며 중성에 가까운 약알칼리성 샴푸제를 사용한다.

(2) 모발 표면에 헤어스타일링 제품이 남아 있는 경우


헤어펌제나 염모제의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중성에 가까운 약알칼리성 샴푸제를 사용
하여 모발 표면에 붙어 있는 노폐물이나 남은 헤어스타일링제의 발수성 유분을 제거하고
헤어컬러나 헤어펌 약제의 효능을 높인다.

3. 헤어컬러·헤어펌 후 사용하는 샴푸제

(1) pH 8 이상의 헤어펌제 또는 염모제를 사용한 경우


pH 4.5~5.5의 약산성 샴푸를 사용하여 스트레스 받은 모발의 수소이온 농도를 안정적
으로 돌려놓아 민감해진 모발과 두피를 진정시킨다.

10
(2) 염모제를 사용한 경우
약산성 샴푸는 헤어컬러와 헤어펌의 유지력에도 도움을 주지만 세정력은 약하므로 샴푸
전에 실시하는 에멀전을 충분히 수행하여 세정력을 높인다.

4. 두피·모발 관리 샴푸
개인의 두피 상태를 고려하여 보습과 영양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샴푸제를 사용하여 건
강한 두피와 모발을 만들고 고객이 원하는 헤어 디자인을 표현한다.

<표 1-5> 목적별 샴푸제 종류

샴푸 종류 샴푸 목적 사용가능 샴푸제

프레 샴푸 이물질 제거, 모질과 모류 체크 세정 샴푸

세컨드 샴푸 청량감 부여, 신진대사 촉진 기능성 샴푸

헤어컬러·헤어펌 전 제품의 작용 촉진 약알칼리성 샴푸

헤어컬러·헤어펌 후 헤어펌·헤어컬러 유지력 향상 약산성 샴푸

두피·모발 관리 두피·모발에 수분과 영양 공급 기능성 샴푸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0.

11
수행 내용 / 헤어 샴푸 준비하기

재료·자료

• 샴푸제의 성분, 효능, 사용설명서

• 두피와 모발 타입별 샴푸제와 트리트먼트제

• 샴푸대와 온수기 사용설명서, 사전 점검

• 샴푸용 얼굴 가리개, 타월, 어깨보, 무릎 덮개 등

• 염색샴푸 등 고객의 시술 상황에 적합한 샴푸 적용 준비

• 두피·모발 관련 서적

기기(장비 ・ 공구)

• 샴푸용 헤어브러시

• 전동용 샴푸대 사용을 위한 전기 시설

• 상하수도 시설과 냉온수 설비

• 샴푸대와 샴푸 의자

안전 ・ 유의 사항

• 고객의 체형에 맞게 샴푸대를 조절한다.

• 옷이 젖지 않도록 가운이나 샴푸용 어깨보 또는 타월 등을 착용시킨다.

• 샴푸대 온수 사용 시 반드시 온수 및 수압을 사전에 확인한다.

• 고객의 귀중품은 개인이 별도 보관하도록 한다.

• 샴푸 시 고객과의 신체적 접촉에 주의하고 일정 거리를 유지한다.

• 고객에게 안정감을 주기 위해 샴푸실의 소음, 조명, 온습도, 향기, 시술자의 체취 등에 주의


한다.

• 샴푸 시 수온은 38~40℃가 적절하며 모발에 물이 닿기 전에 온도를 확인한다.

수행 순서

12
 고객에게 인사를 하고, 본인의 소개를 한다.
“오늘 고객님의 샴푸를 담당하게 될 ○○○입니다”라고 소개한다.

 [그림 1-5]과 같이 고객에게 가운을 착용시키고 샴푸실로 이동을 안내한다.

이동 시 “고객님, 이쪽으로 모시겠습니다”라며 안내하고, 동선이 길 경우 고객을 의식하여 보조


를 맞추며 이동한다.

 고객을 샴푸 의자에 앉히고 무릎 덮개와 어깨 타월을 두른다.


무른 덮개와 [그림 1-5]의 (다)와 같이 고객의 옷을 보호하기 위해 방수용 어깨보를 두르고 타월
로 고객의 목과 어깨 부위를 감싸도록 한다. 이때 “고객님, 혹시 불편한 곳은 없으십니까?”라는
질문으로 고객의 불편사항을 체크한다.

수행 tip

• 샴푸 시 고객이 짧은 치마 등 노출이 많은 의상을 착용하


거나, 그 외에 무릎 덮개가 필요한 경우 무릎 덮개를 사용
하여 고객에게 안정감을 주도록 한다.

(가) 가운 착용시키기 (나) 샴푸실 안내하기 (다) 어깨 타월 두르기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3.
[그림 1-5] 헤어 샴푸 사전 준비하기


4 고객의 두피모발 상태를 확인한다.

1. 헤어핀이나 머리띠 등의 헤어 액세서리를 확인 후 제거 한다.

2. 모발에 남은 헤어제품 잔여물 등 이물질을 확인한다.

3. 고객이 받을 시술 서비스 종류를 확인한다.

4. 헤어컬러, 헤어펌 고객인 경우 미용 서비스 목적에 맞도록 샴푸 진행 여부를 사전 판단한다.

(1) 헤어컬러 서비스 전: 모발 오염도가 심하지 않을 경우 샴푸 생략한다.

(2) 헤어펌 서비스 전: 약알칼리성 샴푸제로 가볍게 샴푸한다.

13
수행 tip

• 헤어펌 진행에 무리가 없도록 두피에 자극을 주지 않는 범


위 내에서 가볍게 샴푸한다.
• 민감성 두피 또는 손상도가 심한 모발은 사전 샴푸를 진행
하지 않는다.
• 린스제나 헤어 컨디셔닝제를 사용하게 되면 모발 표면에
유막이 형성되어 환원제의 침투가 어려우므로 사용하지 않
는다.


5 사전 브러싱을 진행한다.

1. 고객의 모발과 두피 상태를 우선적으로 파악한다.


두피유형과 모발 상태를 파악하여 적합한 브러시의 종류를 선택한다.

2. 엉킨 모발을 브러싱으로 정돈한다.


엉킨 모발의 경우 모근부터 브러싱을 진행하면 두피가 당겨 아플 수 있으므로 반드시 모발
끝부분부터 모근을 향해 브러싱한다.

3. 모발에 사용한 헤어스타일링 제품을 브러싱으로 일부 제거한다.

4. 중간 길이나 짧은 모발은 [그림 1-6]과 같은 방향으로 원웨이 브러싱을 사용한다.

(가) 원웨이 브러싱 1단계 (나) 원웨이 브러싱 2단계 (다) G·P.로 향하는 원웨이 브러싱 방향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9.
[그림 1-6] 원웨이 브러싱 방향

(1) 한 손으로 브러시를 잡고 나머지 한 손으로는 브러시를 따라 움직여 고객의 얼굴에 오염된
모발이 닿거나 두피의 이물질이 떨어져 묻는 것을 방지한다.

(2) 브러시를 잡은 손은 프런트, 사이드, 네이프 코너 부분 헤어라인에서 골든포인트 방향으로 브


러싱하고 나머지 한 손은 브러시를 따라 움직인다.

(3) 처음 브러싱한 포인트에서 양쪽 옆 지점으로 각각 옮겨가며 다시 골든포인트 방향으로 브러


싱한다. 이때 옮겨가는 방향이 오른쪽이면 몸의 위치는 왼쪽으로, 왼쪽이면 몸의 위치는 오른
쪽으로 각각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14
수행 tip

• 헤어컬러, 헤어펌 등의 효율적인 결과를 위한 샴푸를 할


경우 두피에 브러싱이 닿아 자극을 주지 않도록 모발에만
브러싱한다.

5. 롱헤어는 [그림 1-7]과 같은 방향과 [그림 1-8]과 같은 자세로 브러싱한다.

(1) 엉킨 부분을 풀어주기 위해 전체적으로 프런트부터 네이프 방향으로 브러싱한다.

(2) 브러시를 잡은 손이 다시 사이드에 위치하게 하고 다른 손은 브러시를 따라가며 사이드에서


골든포인트보다 조금 아랫부분을 향해 브러싱한다.

(3) 브러시를 잡은 손의 어깨를 들어올려 브러시가 아래를 향하도록 하면서 네이프의 사이드 부
분을 정중선을 향해 브러싱한다.

(가) G·P로 향한 롱헤어 브러싱 (나) 사이드 부분의 롱헤어 브러싱 (다) 백 부분의 롱헤어 브러싱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0.


[그림 1-7] 롱헤어 브러싱 방향

(4) 다른 한 손은 브러시를 따라가다 긴 모발을 잡아준다.

(5) 반대편도 (2)에서 (4)와 같은 방법으로 브러싱을 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4.


[그림 1-8] 사전 브러싱하기

15
 고객을 샴푸대에 눕힌다.
샴푸 전에 타월이나 페이스 커버 등으로 고객의 얼굴이나 몸에 물이 튀지 않도록 한다.

1. [그림 1-9]의 (가)와 같이 고객의 뒷목 부분에 한 손을 댄다.

2. 고객의 목을 한 손으로 받친 상태로 고객을 살피며 샴푸대를 뒤로 젖힌다.


고객에게 “뒤로 젖히겠습니다”라고 샴푸대의 움직임을 알리며 고객의 목 뒷부분을 한 손으
로 받친 상태로 샴푸대 등판과 좌판을 이동한다.

3. 고객의 두상 전체가 샴푸 도기 안으로 들어오도록 양손으로 천천히 두상을 받쳐준다.

4. 양손을 두상의 네이프에 넣어 모발을 고객의 네이프 위쪽 방향으로 모아올려 샴푸 도기 안쪽으로


가지런히 들어오도록 한다.

수행 tip

• 고객의 자세가 불편하면 샴푸 후 어깨나 목에 통증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고객의 자세를 반드시 확인한다.
• 고객의 자세를 확인한 후, 고객에게 “고객님, 불편한 곳
없으십니까?”라고 말을 건네며 확인한다.

5. [그림 1-9]의 (나)와 같이 두상 전체가 샴푸 도기 안으로 들어갔는지 확인한다.

6. 고객의 목이 샴푸 도기의 목 받침대 위에 편안한 상태로 있는지 확인한다.

7. 고객의 목, 두상, 몸이 샴푸대에 일직선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8. [그림 1-9]의 (다)와 같이 고객의 얼굴에 물이나 거품이 튀지 않도록 얼굴 가리개를 하고 필요


시 무릎 덮개를 사용한다.

9. 고객의 몸과 얼굴에 물이 튀지 않도록 주의하며 샤워기의 수압을 확인한다.

10. 샴푸대 샤워기의 온수 상태를 시술자의 팔목 안쪽에 대고 체크한다.

(가) 고객 뒷목 받치고 눕히기 (나) 고객 상태 확인하기 (다) 얼굴 가리개 하기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5.
[그림 1-9] 샴푸대에서 샴푸 준비 과정

16
1-2. 샴푸 실행
• 얼굴에 물이 튀지 않도록 모발에 물길을 만들어 모발을 충분하게 물에 적실 수 있다.
• 샴푸 목적에 맞는 샴푸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샴푸 목적별 샴푸 순서와 방법을 적용하여 샴푸할 수 있다.
• 두피·모발의 노폐물과 오염물이 충분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샴푸할 수 있다.
• 펌제와 컬러제를 사용한 모발의 경우 약제가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샴푸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샴푸제 선택

1. 샴푸제 성분

(1) 계면활성제
샴푸제에 함유되어 있는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아미노산계, 고급 알코올계, 지방산계, 양성
계면활성제, 석유 활성계 등이 있으며 그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고급 알코올계이다.

<표 1-6> 계면활성제 종류

종류 특징 제품 형태

음이온 계면활성제 높은 세정력 샴푸, 비누

양이온 계면활성제 우수한 대전 방지 효과 린스, 트리트먼트

양성 계면활성제 인체에 자극이 적고 안정성이 높음 유아 샴푸, 기능성 샴푸

비이온 계면활성제 세정, 유화, 분산, 습윤의 효과 크림류, 트리트먼트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6.

(2) 첨가제
강한 세정력은 샴푸 후 두피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피지 성분까지 없애며, 모발의 피
지가 과도하게 제거되어 건조하며 광택과 윤기가 사라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모발에 광택감을 부여하기 위해 <표 1-7>과 같은 다양한 첨가제를 넣으며, 샴푸 첨가제
의 종류와 특징은 <표 1-7>과 같다.
<표 1-7> 샴푸 첨가제 종류와 특징

첨가제 특징

보조 계면활성제 거품이 더욱 잘 나도록 한다.

컨디셔너 모발에 광택과 감촉을 좋게 하고 모발을 보호한다.

점증제 샴푸제의 점도를 높여 사용감을 좋게 한다.

17
비듬 방지제·살균제 비듬을 방지하고 두피의 피지가 산화되어 나는 냄새를 없애준다.

백탁제 펄감을 부여하여 제품을 시각적으로 고급화한다.

보습제 보습 효과를 부여하고 제품의 안정성을 높인다.

금속이온 봉쇄제 경수에 녹아 있는 금속이온의 부착을 막아준다.

방부제 제품의 부패를 방지하고 안정성을 높인다.

pH 조절제 알맞은 pH 지수를 유지하고 제품의 안정성을 높인다.

기포제 거품 형성을 위해 알카노이드 또는 아민옥사이드가 사용되고 있다.

기타 그 외에 제품의 기능에 필요한 첨가제를 첨가한다.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7.

2. 두피·모발 상태에 따른 샴푸제

(1) 좋은 샴푸제

(가) pH4.5~5.5로 두피와 모발의 피지를 적절하게 제거하는 샴푸제

(나) 거품이 풍부하여 샴푸 시 모발의 엉킴을 예방하는 샴푸제

(다) 저자극의 식물성 성분이 주성분인 샴푸제

(라) 사용 후 헹굼이 잘되며 모발에 광택과 유연성을 부여하는 샴푸제

(마) 사용 후 비듬, 가려움, 홍반, 염증 등이 나타나지 않는 샴푸제

(바) 헤어컬러나 헤어펌 등의 화학 서비스를 시술하는 데 지장이 없는 샴푸제

(2) 두피·모발 유형에 따른 샴푸제의 특징과 성분


두피와 모발 유형에 따른 샴푸제의 특징과 성분은 <표 1-8>과 같다.
<표 1-8> 두피·모발 유형에 따른 샴푸제

종류 용도 특징 성분
일반 정상 모발용
세정력이 높고 거품 형성이 좋음 음이온 계면활성제
지성 모발용
건성 모발용 보습성 유분
일반 샴푸 카티온 계면활성제
엉킴이 적고 부드러움 카티온 수지
컨디셔닝용
실리콘유
에스테르유
염색 모발용 퇴색 방지 보습제,
손상 모발용
항산화제,
샴푸 파마 모발용 웨이브 유지
pH 조절제
산성 컬러 샴푸 새치머리용 샴푸를 통해 색을 더함 색소

18
멋내기용 다양한 색을 더함 탈색 방지제

비듬 방지용 비듬, 가려움증 방지 Z-PT, 살균제 등

피지를 제거하여 비타민, 식물 농축액


약용 샴푸 육모용
모공을 건강하게 유지 육모 성분 배합
악취 제거용 과잉 피지분비 억제 살균제, 소취제
유아용 저자극 양성 계면활성제
저자극성 샴푸
아토피용 자극 최소화 천연 계면활성제
카티온 수지
모질 개선용 볼륨 업 모발에 힘을 부여
양성 수지
샴푸
볼륨 다운 차분함을 유지 보습성 유제
토닉 청량감, 청결감 유지 티트리제
기타 기능성
자외선 방지용 여름 계절용을 사용 자외선 흡수제
샴푸
민감성 두피용 염증 방지 소염제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8.

 샴푸의 작용 원리
두피는 피지를 만들어내며 이 피지는 두피를 유연하게 하고 모발에 광택을 부여하며 두피의 수
분 증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러한 피지도 시간이 지날수록 노폐물과 각질로 바
뀌어 모공을 막고 두피 염증과 탈모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샴푸는 청결을 유지하
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두피·모발의 오염물·노폐물을 제거한다.

1. 침투·팽윤
계면활성제가 노폐물에 침투·흡착하여 모발 표면에 붙어 있는 오염물과 노폐물을 부드럽게
팽윤시켜 모발에서부터 분리시킨다.

2. 유화·가용화·분산
계면활성제에 의해 모발에서 분리된 노폐물 등이 샴푸제에 의해 유화, 가용화, 분산된다.

3. 기포
기포제에 의해 형성된 거품은 샴푸 과정에서 모발끼리 일어날 수 있는 물리적인 마찰을 부
드럽게 한다. 또한 모발과 샴푸를 친숙하게 만들어 모발에서 분리된 노폐물을 순식간에 감
싼다.

4. 노폐물의 재부착 금지
계면활성제가 모발에서 한번 분리된 노폐물이 다시 모발에 부착되지 않도록 한다.

5. 헹굼, 피막 형성
샴푸제에는 노폐물을 제거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카티온 폴리머 등이 모발에 피막을

19
형성하는 작용을 한다.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1.


[그림 1-10] 샴푸 메커니즘

 두피 매니플레이션
샴푸 시 거품을 낸 상태에서 손가락, 손바닥 등을 이용해 두상 부위별로 문지르거나 두드리거나
진동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두피 신경에 자극을 주는 것을 두피 매니플레이션이라고 한다.

1. 두피 매니플레이션 효과
두피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두피 근육에 자극을 부여하여 두피를 탄력 있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두피 건강을 유지한다.

2. 두피 매니플레이션 기법
두피 매니플레이션의 다양한 기법과 특징은 <표 1-9>의 내용과 같다.
<표 1-9> 두피 매니플레이션의 기법

기법 특징

강찰법 손끝 또는 손바닥으로 두피에 원을 그려 부드럽게 누르며 자극을 주는 기법

경찰법 손끝 또는 손가락 관절을 두피에 밀착시켜 쓰다듬고 강하게 문지르는 기법

슬래핑: 손바닥을 이용하여 가볍게 두드리는 기법

탑핑: 손끝 지문 부위를 이용하여 톡톡 두드리는 기법


고타법
컵핑: 다섯 손가락을 모두 붙이고 손바닥을 움푹하게 하여 진공상태를 만들어 두드리는 기법

비팅: 가볍게 주먹을 쥔 상태에서 손의 측면으로 두피를 가볍게 두드리는 기법

20
압박법 손가락 끝 또는 엄지손가락을 두피의 압박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고 압박하는 기법

손가락 끝이나 손바닥 전체를 두피에 밀착시킨 뒤 손을 진동시켜 두피 근육에 진동을 전달하
진동법
는 기법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9.

3. 두피 매니플레이션 방향
고객을 샴푸대에 눕힌 상태에서 진행하는 4가지 기법은 <표 1-10>과 같다.
<표 1-10> 두피 매니플레이션 방향

방향 방법

지그재그 방향

손가락의 지면을 이용하여 리드미컬하게 지그재그로 비벼준다.

나선형 방향

손가락 지면을 이용하여 원을 그리듯이 누르면서 비벼준다.

양손 교차 방향

양손 손가락 끝 지면을 이용하여 손을 교차시키며 마사지한다.

집어 튕기기 방향

양손 손가락 끝 지면을 이용하여 가볍게 두드리거나 튕겨준다.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9.

 헤어컬러와 샴푸

1. 산성 염모제 사용 후 샴푸
산성 염모제 특징상 피부와 두피에 착색되기 쉬우므로 주의하여 샴푸한다.

(1) 먼저 약제가 묻은 모발을 미온수로 충분히 씻어 약제를 제거한 후 샴푸제로 거품을 내어 샴


푸한다.

(2) 샴푸제의 양이 부족한 경우 두피와 모발에 약제가 남아 산성 컬러제의 물 빠짐이 계속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2. 알칼리 염모제 사용 후 샴푸
모발이 얼룩지지 않도록 에멀전 후 약산성 샴푸를 사용하여 샴푸한다.

21
(1) 에멀전 목적
두피·모발에 도포된 염모제를 깨끗하게 제거하여 두피 트러블을 예방하고 유화작용으로
얼룩없이 깊은 색감을 표현할 수 있다.

(2) 에멀전 방법
우선 헤어라인의 염모제에 미온수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두피에 원을 그리듯 경찰법을
사용하여 마사지 후 손가락 전체를 이용해서 두상 전체를 가볍게 문지르듯 마사지하여
약 3~5분 정도 시간을 둔 후 샴푸한다.

(3) 에멀전 효과

(가) 얼룩없이 깊은 색감표현

(나) 색상 유지력에 도움

(다) 모표피 수렴 작용 촉진

(라) 샴푸 시 모발의 마찰 최소화

(마) 잔류 염모제로 인한 두피 트러블 예방

(3) 약산성 샴푸 사용
헤어컬러 후에는 약산성 샴푸를 사용하여 모발의 등전점을 유지하고 민감해진 모발과
두피를 진정시킨다.

3. 포일 워크 컬러 후 샴푸
다양한 명도와 채도의 염모제를 사용한 경우 고채도·저명도의 포일을 우선적으로 샴푸하여
고명도·저채도 포일에 있는 모발의 얼룩을 방지한다.

4. 헤어컬러 샴푸와 트리트먼트


염색 전용 샴푸는 두피와 모발에 남아 있는 잔여물을 제거하고 모발의 pH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헤어컬러 전용 샴푸와 트리트먼트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헤어컬러 전용 샴푸와 트리트먼트제를 사용함으로써 모발의 pH를 4.5~5.5 약산성으로 유지하여 두피·모발의
건조를 예방하고 광택감을 부여한다. 또한 헤어컬러와 탈색으로 손실된 단백질을 보충하고 자외선으로부터 변
색을 방지할 수 있는 영양과 보습을 제공하여 헤어컬러 색상을 선명하고 오랫동안 유지하게 한다.

5. 헤어펌과 샴푸
[그림 1-11]과같이 pH 4.5~5.5 범위 안에서 모발의 케라틴이 가장 안정적인 상태로 이것
을 모발의 등전점이라 한다. 따라서 헤어펌 시술 이후에는 알칼리화된 모발의 pH를 안정적인
범위로 되돌려놓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마무리 샴푸 시 사용하는 샴푸제는 pH
4.5~5.5의 약산성 샴푸제 또는 린스제를 사용하여 열려 있는 모표피를 닫아주는 것이 좋다.

22
출처: 집필진 제작(2022)
[그림 1-11] 모발과 pH

(1) 베이직 헤어펌의 마무리 샴푸

(가) 자국 제거와 두피 이완
와인딩된 롯드를 제거한 후에는 두상에 남아 있는 섹션의 자국을 없애고 오랜 시간
와인딩으로 긴장된 두피를 이완시킬 수 있도록 두피를 가볍게 마사지한다.

(나) 사용하는 제품
산화제의 역할인 시스틴 재결합이 잘 될 수 있도록 알칼리성 샴푸제는 사용하지 않
고 트리트먼트제를 사용하거나 산성린스를 사용하여 깨끗하게 헹구어 세척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산성제품은 모표피를 닫아주는 역할을 한다.

수행 tip

• 헤어펌 직후에 샴푸제를 사용하면 시스틴 재결합이 불충분


한 부분의 퍼머넌트 형성을 약하게 하여 탄력성을 저하시
키며 웨이브 퍼머넌트의 경우 쉽게 풀어지는 원인이 되므
로 헤어트리트먼트제만 사용한다.

(2) 헤어 롤펌의 마무리 샴푸

(가) 깨끗한 세척
헤어 롤펌에 사용되는 펌제는 액체형과 고체형의 다양한 펌제가 사용될 수 있기 때
문에 마무리 샴푸 후에는 두피 또는 헤어라인과 목덜미 부분에 펌제가 남지 않도록
꼼꼼하게 점검하며 세척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나) 잔류 2제 제거
산화제가 모발에 남을 경우 모발 변색과 손상의 원인이 되며 두피에 남을 경우 염증
이나 비듬이 생길 수 있으므로 헤어펌 서비스 후의 마무리 샴푸는 매우 중요하다.

(3) 매직프레스 헤어펌의 마무리 샴푸

(가) 매직프레스 헤어펌의 마무리 세척은 일반적으로 미지근한 온도의 맑은 물을 이용하여 모


발에 사용된 화학제품을 세척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나) 헤어펌에 사용된 펌제(1제, 2제)의 종류나 모발의 손상 정도를 고려하여 중성 샴푸나
pH 5~6의 산성샴푸를 이용하여 모발을 세척한다.

23
수행 내용 / 샴푸 실행하기

재료·자료

• 샴푸제의 성분과 효능 및 사용설명서

• 두피와 모발 타입별 샴푸제와 트리트먼트제

• 염색샴푸 등 고객의 시술 상황에 적합한 샴푸 적용 준비

• 샴푸대와 온수기 사용설명서와 사전 점검

• 두피·모발 관련 서적, 헤어컬러, 헤어펌에 사용하는 화학제품 관련 서적

• 샴푸용 페이스 커버, 타월, 어깨보, 무릎 덮개 등

기기(장비 ・ 공구)

• 샴푸대와 샴푸 의자

• 샴푸용 헤어브러시

• 전동용 샴푸대 사용을 위한 전기 시설

• 상하수도 시설과 냉온수 설비

안전 ・ 유의 사항

• 샴푸대 온수 사용 시 반드시 수온과 수압을 사전에 확인한다.

• 샴푸제는 정량을 사용하여 수질오염과 샴푸제 낭비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 샴푸하기 전 시술 메뉴를 확인하여 연결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 알칼리 염모제를 사용한 경우 마무리 샴푸 시 에멀전 작업을 진행하여 모발에 얼룩이 없도


록 한다.

• 두피에 잔여 염모제를 철저하게 제거하여 추후 잔여 염모제로 인한 부작용이 없도록 한다.

• 헤어컬러와 헤어펌 전에 실시하는 샴푸는 모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도로 가볍게 한다.

• 헤어컬러와 헤어펌 등 화학제품 사용 후에는 두피와 모발에 제품 잔여물이 없도록 충분한


헹굼이 필요하며, 특히 헤어라인, 귀, 목 뒷부분을 충분하게 헹군다.

24
수행 순서

 샤워기의 온수 온도와 수압을 확인한 후 두피와 모발에 물을 충분히 적신다.


얼굴과 신체에 물이 튀지 않도록 유의하며 모발에 물길을 만들어가며 두피와 모발에 물을 충분
히 적신다.
1. [그림 1-12]의 (가)와 같이 샤워기의 온수를 시술자의 팔목 안쪽에 대고 물의 온도를 확인한다.

2. [그림 1-12]의 (다)와 같이 페이스라인 부위는 얼굴 쪽으로 물이 튀지 않도록 샤워기를 들고 있


지 않은 손으로 페이스라인을 가리며 물로 적신다.

(가) 수온 확인하기 (나) 모발을 물로 적시기 (다) 페이스라인 모발 물로 적시기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3.


[그림 1-12] 페이스라인 물 적시기

수행 tip

• 고객의 머리를 물로 적실 때, 두피와 샤워기가 너무 멀어


물살이 튀지 않도록 적당한 거리를 유지한다.
• 페이스라인 부위는 얼굴에 물이 튀기 쉬우므로 샤워기의
방향은 두피에 대해 120°가 되도록 한다.

3. [그림 1-13]의 (가)와 같이 귀 윗부분과 뒷부분도 귓속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샤워기를 들고


있지 않은 손으로 가리며 물로 적신다.

4, [그림 1-13]의 (다)와 같이 네이프 부분은 물이 넘쳐 목으로 넘어가기 쉬운 부분이므로 손가락을


이용해 네이프라인을 받치고 물로 적신다.

(가) 오른쪽 귀 주위 모발 물로 적시기 (나) 왼쪽 귀 주위 모발 물로 적시기 (다) 네이프 모발 물로 적시기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4.


[그림 1-13] 모발전체 물적시기

25
 두피와 모발에 물을 충분히 적셔 모발의 양과 길이를 고려하여 적당량의 샴푸제를 손에 덜어낸다.

수행 tip

• 일반적으로 단발머리를 기준으로 했을 때 샴푸제의 양을


500원짜리 동전 크기 정도로 한다.
• 거품을 생성할 때 거품이 고객의 신체 일부에 튀지 않도록
주의하며 샴푸를 진행한다.
• 두피ㆍ모발 타입에 적합한 샴푸제를 선정한다.

 샴푸제를 모발 전체에 도포한다.

1. [그림 1-14]의 (가)와 같이 덜어낸 샴푸제에 소량의 물을 더해 (나)와 같이 손바닥으로 비벼 거품


을 충분히 낸다.

2. [그림 1-14]의 (다)와 같이 두상의 전두부 → 측두부 → 후두부 순으로 모발 전체에 샴푸제를 도
포한다.

(가) 샴푸제 손에 덜기 (나) 샴푸제 손바닥에서 거품내기 (다) 샴푸제 도포하기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4.


[그림 1-14] 샴푸제 도포

 [그림 1-15]과 같이 물과 공기, 그리고 덜어낸 샴푸제가 적절히 섞이도록 지그재그 방향으로 매니
플레이션하며 두상 전체에 거품을 형성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5.


[그림 1-15] 샴푸제 거품 형성

26
수행 tip

• 긴 머리의 경우 두피 부분뿐만 아니라 모발 길이 전체에


거품을 만들어 세정되지 않은 부위의 모발이 없도록 유의
한다.
• 고객이 불편한 부분을 이야기하지 않고 참고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고객이 불편한 부분이 없는지 샴푸 전체 과정에
서 수시로 체크하며 샴푸를 진행한다.

 두상의 섹션을 나눈다.


두상을 섹션별로 나누어 두피 매니플레이션을 진행하기 쉽게 준비한다.

 매니플레이션을 진행한다.

1. [그림 1-16]과 같이 두상을 가로방향으로 4등분하여 페이스라인부터 한 손으로 매니플레이션을


시작한다.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1.


[그림 1-16] 매니플레이션을 위한 두상 4등분

(1) 오른손의 약지, 중지, 검지를 붙여 페이스라인 근처부터 [그림 1-17]과 같이 좁은 폭의 지그


재그로 이동하며 3회 정도 반복한다.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2.


[그림 1-17] 한 손을 사용한 페이스라인 매니플레이션 기법

(2) 왼손의 손날을 세워 페이스라인에 붙인 상태로 오른손을 따라가며 물이나 거품이 신체와 얼
굴에 튀지 않도록 보호한다.

27
페이스라인은 얼굴 앞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거품이 튀기 쉬우므로 세심하게 움직인다.

(3) 반대 방향을 진행할 경우 각자 손의 역할을 바꾸며 진행한다.

(4) 오른손의 다섯 손가락을 이용하여 큰 폭으로 오른쪽 사이드에서 프런트를 지나 대각방향으로


왼쪽 사이드로 이동한다.

2. 양손을 사용하여 [그림 1-18]과 같이 매니플레이션을 진행한다.

(가) 양손 사용하기 (나) 양손 교차하기 (다) 양손 뒷부분 기법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2.
[그림 1-18] 양손을 사용한 매니플레이션 기법 1

(1) [그림 1-19]과 같이 페이스라인에서 정중선 방향으로 센터에서 양손 끝이 닿을 정도로 몸의


무게를 실어 경쾌하게 진행한다. 또는 손가락 관절을 사용하여 페이스라인 부분을 진행한다.

(2) [그림 1-19]과 같이 페이스라인에서 골든포인트 방향으로 양손 끝으로 두상의 둥근 형태를


느끼며 두상을 3등분으로 나누어 양손을 교차시키며 진행한다.

(3) 손가락 끝부분으로 강약을 리드미컬하게 주며 두상의 백 부분 정중선과 좌우 사이드 부분을


진행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7.


[그림 1-19] 양손 매니플레이션

수행 tip

• 매니플레이션 진행 시,
-고객의 머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리듬감 있게 진행
-두상의 곡면을 따라 손을 움직이므로 크게 움직일수록 팔
꿈치를 들고 겨드랑이를 벌려 안정된 자세로 진행.
-손가락을 크게 벌리고 두상의 곡면에 따라 곡선을 그리듯 진행

28
3. 양손으로 프런트에서 사이드로 이동하고 마지막으로 백 부분의 매니플레이션을 진행한다.

(1) [그림 1-20]의 (가)와 같이 다섯 손가락을 모두 사용하여 페이스라인 중앙에서 옆면으로 이


동하며 방사선 방향으로 진행한다.

(2) [그림 1-20]의 (나)와 같이 사이드에서 백 부분까지 끌어올리며 매니플레이션을 진행한다.

수행 tip

• 사이드에서 백 방향으로 매니플레이션을 진행할 때에는 고


객의 두상을 살짝 옆으로 돌려서 진행하고, 이때 고객이
놀라지 않도록 “실례합니다”라고 말을 건넨다

(3) [그림 1-20]의 (다)와 같이 네이프에서 프런트까지 끌어올리며 매니플레이션을 진행한다.

(가) (나) (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8.
[그림 1-20] 두상 측면과 네이프 매니플레이션 기법

수행 tip

• 기본 매니플레이션을 연습하여 집중적으로 진행하는 부분


들을 적용하여 미용실의 특화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든다.
• 다양한 매니플레이션을 만들어 미용실만의 특화된 응용 프
로그램을 만든다.

4. [그림 1-21]과 같이 한 손으로 두상을 받쳐 들고 나머지 손으로는 네이프 부분에 매니플레이션을


진행한다.

1. 양손으로 측면 진행하기 2. 사이드 네이프에서 끌어올리기 3. 네이프에서 끌어올리기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3.
[그림 1-21] 양손을 사용한 매니플레이션 기법 2

29
(1) 네이프 부분을 진행하기 전에 자연스럽게 프런트에서 백과 네이프로 연결되는 부분을 마무리
하듯 [그림 1-22]와 같이 한 번에 크게 진행한다.

(가) 프런트에서 백 부분 매니플레이션 (나) 네이프 부분 매니플레이션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3.
[그림 1-22] 두상 매니플레이션 뒷부분 기법

(2) 네이프 부분 진행 시 큰 동작을 활용하여 빠르게 매니플레이션한다.


고객의 목이 샴푸볼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로 고객이 불안하지 않도록 안정적이고 세심
한 움직임으로 빠르게 매니플레이션을 진행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9.


[그림 1-23] 두상 측면과 네이프 매니플레이션 기법

수행 tip

• 네이프라인은 두피가 둔감한 부위이므로 약간 강하게 손가


락을 움직이도록 한다.

 [그림 1-24]와 같이 샴푸제가 페이스라인, 귀, 모발, 두피 등에 남지 않도록 충분하게 헹군다.

1. 모발 전체적으로 묻어 있는 거품을 우선 제거한다.

2. 거품을 제거하면서 페이스라인을 깨끗하게 한다.

3. 한쪽 손 손바닥에 물을 담아 헹구기를 진행한다.

4. 손바닥에 물을 담아가며 리드미컬하게 센터와 사이드의 부위를 헹군다.

30
5. 샤워기를 두피에 가볍게 두드리며 두피에 있는 샴푸거품이 완전히 제거한다.

6.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손끝으로 소량씩 물을 끊어가며 페이스라인 헹구기를 진행한다.

7. 샤워기를 들지 않은 손으로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손날을 세워 가이드한하며 귀주위를 헹군다.

8. 네이프 부분은 여러 차례 헹굼을 진행하고 깨끗이 헹구어졌는지 반드시 체크한다.

9. 고객에게 더 헹구고 싶은 곳이 없는지 확인한 후 [그림 1-25]와 같이 귀바퀴, 귀뒤쪽


과 목뒤쪽을 양손을 쓸어 올리 듯 훑으며 미끄러운 부분이 없는 지 체크한다.

수행 tip

• 귀 뒷부분과 네이프 부분은 고객이 예민하게 느끼는 부분


이므로 더욱 세심하게 헹구기를 진행한다.
• 헹구기를 할 때 샴푸용 샤워 헤드로 두피를 긁거나 누르
지 않도록 주의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0.


[그림 1-24] 샴푸제 헹굼

수행 tip

• 네이프 부위를 헹굴 때 ‘실례합니다. 목에 힘을 빼고 계세


요’라는 말과 함께 고객의 두상을 들어 고객을 안심시키고
하고 두상을 내려놓을 때도 조심스럽게 내려놓는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1.


[그림 1-25] 샴푸제 마무리 헴굼

31
10. 헹굼이 마무리 되면 스팀타월을 이용하여 [그림 1-26]과 같이 귀와 목의 물기를 제거한다.

(1) 타월에 온수를 적셔 스팀타월을 만든다.

(2) 스팀타월의 온도를 확인 후 고객의 양쪽 귀를 감싸며 물기를 제거한다.

(3) 귀바퀴의 물기를 제거함과 연결하여 목뒤쪽도 물기를 제거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1.


[그림 1-26] 스팀타월 마무리

수행 tip

• 스팀타월을 이용하여 고객의 안정과 휴식을 도모한다.


• 먼저 손으로 스팀타월의 온도를 체크한다.
• 고객이 놀라지 않게 반드시 안내 멘트를 한 후, 천천히
네이프와 목 부분을 마사지해준다.
• 스팀타월 사용은 미용실에 따라 진행 여부를 확인한 후
진행하도록 한다

 헤어 서비스별 적합한 샴푸를 진행한다.

1. 헤어펌 서비스 전 샴푸를 진행한다.


헤어펌 전의 경우에는 약알칼리성 샴푸제를 사용하며 두피 매니플레이션을 가볍게 진행한다.

2. 헤어펌 서비스 후 샴푸를 진행한다.


헤어펌 서비스 후에는 약산성 샴푸제로 가볍게 샴푸를 진행하거나 산성린스를 사용하여 깨
끗하게 헹구어준다.

(1) 롯드를 제거한 후, 고객을 샴푸실로 안내한다.

(2) 고객을 샴푸대에 눕히고 얼굴 가리개를 한다.

(3) 물이 귀 안에 들어가거나 얼굴로 흐르지 않도록 물길을 만든다.

(4) 물의 온도가 적당한지 고객에게 확인한다.

(5) 두피와 모발에 남아 있는 산화제를 깨끗하게 헹군다.

(6) 두피, 헤어라인, 목 뒤쪽에 산화제가 묻어 있는지 확인한다.

32
(7) 트리트먼트제를 진행할 때 두피를 가볍게 마사지한다.

(8) 산성린스를 마지막으로 사용하고 깨끗하게 헹군다.

(9) 고객에게 추가 헹굼 여부를 확인한 후 샴푸를 마무리한다.

(10) 타월로 물기를 제거한 후 새로운 깨끗한 타월로 모발을 감싼다.

3. 헤어컬러 서비스 전 샴푸를 진행한다.


헤어컬러 전에는 두피의 자극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사전 샴푸를 하지 않지만 두피나
모발에 이물질이 쌓여있거나 오염된 경우 가볍게 샴푸한다.

4. 헤어컬러 서비스 후 [그림 1-27]과 같이 샴푸한다.

(1) 산성컬러를 제거하는 샴푸를 한다.

(가) 미용 장갑을 착용한다.

(나) 산성 염모제가 고객의 목이나 얼굴, 피부 등에 묻지 않도록 조심하며 샴푸대에 눕히고


페이스 커버를 한다.

(다) 산성 염모제가 모발과 두피에 잔류하지 않도록 충분히 물로 헹군다.

(마) 미용 장갑을 벗은 후, 산성 컬러 전용 샴푸제를 사용하며 고객의 모량, 모발 길이 등을


고려하여 적정량의 샴푸제를 손바닥에 덜어 헤어 샴푸 수행 순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
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7.


[그림 1-27] 산성 염모제 사용 후 샴푸 진행

수행 tip

• 미용 장갑을 착용하고 샴푸를 하면 고객이 불쾌감을 느끼


거나 모발이 쉽게 엉키므로 부드러운 장갑을 착용하거나
미끄럼 방지용 장갑인 경우 뒤집어서 착용하면 매끄럽게
진행된다.

5. 헤어컬러 서비스 시 알칼리 염모제를 사용한 경우 [그림 1-28]과 같이 샴푸를 진행한다.

(1) 헤어컬러의 얼룩이 지는 것을 방지하고. 헤어컬러의 균일한 발색과 컬러의 유지력을 최대화시

33
키기 위해 샴푸 전에 고객을 샴푸대에 눕힌 상태에서 에멀전을 한다.

(가) 헤어라인에서부터 1~2cm 간격으로 모발에 유화용 트리트먼트제를 도포한다.

(나)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헤어라인부터 부드럽게 원을 그리듯이 매니플레이션한다.

(다) 두상의 넓은 부위는 손가락 전체를 이용하여 부드럽게 두피 매니플레이션한다.

(라) 두상 전체를 크게 4등분하여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경찰법으로 매니플레이션한다.

(마) 모발 마사지를 하면서 가볍게 염모제를 제거한다.

수행 tip

• 저명도·고채도의 헤어 염모제를 사용한 경우 장갑을 착용


하고 샴푸를 진행한다.
• 에멀전 시 장갑 착용을 하면 고객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
으므로 고객에게 먼저 양해를 구한다.
• 난색 계열의 경우에는 에멀전을 길게 하여 컬러의 선명도
를 높이고 한색 계열의 경우에는 에멀전을 짧게 진행하여
톤이 낮아지지 않도록 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8.


[그림 1-28] 알칼리성 염모제 사용 후 에멀전

(2) 에멀전을 충분히 한 후, 헤어라인 주위부터 시작하여 전체적으로 염모제를 깨끗하게 헹구어
낸다. 이때 네이프라인과 목뒤, 귀 주위 등에 염모제가 남아 있지 않도록 주의한다.

수행 tip

• 헤어라인에 염색약의 색소가 남은 경우 전용 리무버를 사


용하여 지운다.
• 이 경우 무리하게 피부를 비비지 않고 색소가 남은 부위에
리무버를 충분히 묻힌 화장 솜을 얹어놓고 샴푸 시 물로
깨끗이 헹군다.
(3) 충분한 에멀전 후 염모제를 깨끗하게 제거한다.

34
네이프라인과 목 뒤, 귀 주위 등에 염모제가 남아 있지 않도록 깨끗하게 제거한다.

(4) 염모제 제거 후 모발의 길이, 모량 등을 고려하여 적당량의 컬러 전용 샴푸제를 손바닥에 덜


어낸다.

(5) 샴푸제의 거품을 충분히 내고 두피와 모발에 남아있는 염모제를 완벽하게 제거한다.

(6) 헤어 샴푸 수행 순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한다.

수행 tip

• 두피에 무리한 자극이 가지 않도록 두피 매니플레이션을


한다.
• 염모제 후에는 두 번 진행하는 세컨드 샴푸로 진행한다.
• 네이프와 목 뒤, 귀 뒤쪽, 귀 안쪽에 염모제와 샴푸제가
깨끗하게 제거되었는지 확인한다.

6. 헤어컬러 서비스 시 위빙 포일 워크를 한 경우 [그림 1-29]와 같이 샴푸를 진행한다.

(1) 포일에 도포되어 있는 염모제를 확인한다.

(2) 네이프 부분에 있는 포일을 위로 들어올리며 고객을 샴푸대에 눕힌다.

(3) 먼저 저농도·고채도의 컬러제가 도포된 포일을 찾아 컬러제를 깨끗하게 제거한다.

수행 tip

• 포일 워크 시 고객을 샴푸대에 앉힌 상태에서 포일을 제거


하며 물수건으로 닦아내기도 하고 고객을 샴푸대에 눕힌
상태에서 제거하기도 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50.


[그림 1-29] 위빙 포일 워크 후 샴푸

(4) 컬러 전용 샴푸제를 사용하여 헤어 샴푸 수행 순서와 동일하게 진행한다.

35
1-3. 트리트먼트 실행
• 샴푸 성분이 남지 않도록 페이스라인, 귀, 모발, 두피 등을 충분하게 헹굴 수 있다.
• 샴푸 후 두피·모발 상태를 파악하여 모발에 트리트먼트를 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헤어트리트먼트제를 모발에 도포한 후 두피 지압과 매니플레이션을 할 수 있다.
• 헤어트리트먼트제가 페이스라인, 귀, 두피 등에 남지 않도록 충분하게 헹굴 수 있다.

필요 지식 /

 모발 보호제
화학제품인 펌제나 염모제를 사용한 두피와 모발은 손상되었거나 손상되기 쉬운 상태이다. 샴푸
후 사용하는 모발 보호제에는 헤어트리트먼트제, 헤어 컨디셔너 등이 있다.

1. 헤어트리트먼트제
모발은 화학제품 사용, 자외선, 대기오염, 건조한 공기 등 외적인 영향으로 손상되어 갈라지
고 끊어지거나 푸석푸석해진다.

(1) 헤어트리트먼트제의 목적
모발에 부족한 단백질과 유분을 공급하여 탄력 있고 윤기 나게 회복시켜 건강한 모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제품이다.

(2) 헤어트리트먼트제의 유형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는 크림 타입의 친수성 트리트먼트제이다. 최근에는 모발
표면에 유분이 부착됨과 동시에 원하는 스타일링이 가능한 단백질 분해물(photodynamic
therapy, PDT) 제품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자들의 선택 폭이 넓어졌다.

(2) 헤어트리트먼트제의 종류

(가) 팩
크림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며 손상 정도에 따라 시간이나 열처리를 다르게 한다.

(나) 앰플
고농도의 폴리펩타이드 배합물로 힘이 없고 가는 손상 모발에 힘과 탄력을 부여하며,
주로 헤어펌, 헤어컬러와 같은 화학시술의 전처리용으로 사용한다.

(3) 헤어트리트먼트제의 성분
아미노산, 저분자·고분자의 이온물질, 보습제, 실리콘 오일, 양이온 계면활성제 등이 혼합되
어 있다.

(가) 저분자(LPP) 트리트먼트


모발에 깊이 침투하며 열처리할 경우 침투 속도가 증가한다.

36
(나) 고분자(PPT) 트리트먼트
모발 표면에 전체적으로 강하게 흡착하며 방치 시간이 짧다.
<표 1-11> 헤어트리트먼트제의 유형

종류 특징

- 사용하기 편리하고 가장 보편화되어 있다.


크림형 - 양이온 계면활성제, 습윤제 등이 손상 정도에 따라 배합되어 있다.
- 유수분을 공급하여 건조한 모발에 사용한다.

에멀전형 - 발림성이 높아 모발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 1회 사용량으로 포장되어 미용업소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앰플형
- 정량 사용이 간편하여 홈케어 시 고객에게 추천하기 좋다.

- 제품을 모발에 직접 분사하여 모발 표면에 유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스프레이형
- 스타일링 효과가 약하게 있다.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6.

2. 헤어 컨디셔너
헤어 컨디셔너는 사용 후 모발에 유연성을 주고 모발의 질감을 개선하며 자연스러운 윤기와
광택을 제공한다. 또한 샴푸 후 모발에 남은 금속성 피막과 불용성 알칼리 성분을 제거하여
모발이 뻣뻣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김주덕, 『최신화장품학』. 2011).

(1) 헤어 컨디셔닝제의 주성분


대표적인 성분은 폴리머이며 수용성 폴리머와 지용성 폴리머로 나눌 수 있다.

(가) 수용성 폴리머의 경우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모발에 유연성을 부


여하여 부드럽게 한다.

(나) 지용성 폴리머의 경우 실리콘 화합물로 모발에 잘 흡착되며 끈적임 없이 모발을 매끄럽
게 하여 헤어케어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2) 헤어 컨디셔닝제의 원리
컨디셔너의 pH는 3~5 정도의 약산성으로 모발의 등전점을 유지해준다. 양이온 계면활
성제가 모발의 음이온과 결합하며 모발 표면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고 모발의 마찰을 감
소시키며 정전기 발생을 방지한다.

(3) 헤어 컨디셔닝제 배합물과 효과


헤어 컨디셔닝제 배합물 종류와 효과는 <표 1-12>와 같다.

<표 1-12> 헤어 컨디셔닝제 배합물과 효과

종류 효과

세테아릴알코올 - 연화제, 유화제, 농후제, 여러 성분을 활성화

디메티콘사이클로펜타 - 유연제, 보습제, 실크 같은 느낌 부여

37
실록산
이클로메티콘 - 유연제

- 향이 없고 모공을 막지 않아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지 않음.


미네랄 오일
보습제나 상처 치료에 효과적임

아모디메티콘 - 연화제

메틸파라벤 - 보존제

메틸클로로소이치아졸
- 민감한 반응이 있어 물로 씻어 내는 제품 외에는 사용하지 않음
리논

판테놀 - 비타민 B로 보습과 상처 치료에 도움을 줌

디소듐이디티에이 - 안정화제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6.

(4) 헤어 컨디셔닝제의 종류

(가) 액상 타입
1) 물과 함께 모발에 소량 도포하면 빗질이 유연하게 되어 원하는 스타일링이 용이하다.
2) 세팅 로션에 단백질과 송진이 첨가되어 모질의 특성에 따라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
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나) 도포 후 헹구어내는 형태
1) 가수 분해된 미립자 단백질이 다공성 모발 내에 침투하여 손실된 단백질을 보충하고
탄력성도 향상시킨다.
2) 천연 오일 성분으로 모표피에 수분과 유분을 부여하며 깨끗하게 헹구어 사용한다.

(다) pH 조절용
1) 헤어펌제나 헤어컬러제를 사용한 후 두피・모발에 남아 있는 알칼리 성분을 중화시
켜 준다.
2) 자극받은 두피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산성 용액으로 도포하고 5분 정도 방치한
뒤 헹구어낸다.

 두피 지압과 매니플레이션의 효과
두피 지압은 두피의 혈액순환 촉진과 모공 속 노폐물 배출에 도움을 주어 모근의 혈류량을 증
가시키고 영양을 공급해 건강한 두피와 모발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며 탈모 예방에도 효과적이
다. [그림 1-30]에 표시되어 있는 두피 지압점과 귀혈점의 효과는 <표 1-13>과 같다.

38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50.
[그림 1-30] 두피 지압점과 귀혈점

<표 1-13> 두피 지압점과 귀혈점별 효과

지압점 명칭 위치 효과

이마의 헤어라인이 시작되는 부분의 정가운 정신을 맑게 하고 코의 기능 향상, 각질개선


신정
데 지점 효과
이마의 양가 모서리 머리가 난 각진 부위에 두통, 편두통, 어지럼증, 뇌출혈, 눈의 기능
두유
서 약 1cm 올라간 지점 향상, M자형 탈모 예방에 효과
두통, 편두통, 삼차 신경통, 치통, 스트레스
현로 관자놀이라고 하며 두유 아래쪽에 위치
완화
맑은 피부톤, 두통, 삼차 신경통, 습진, 귀
이문 귀구슬, 귓바퀴, 아래쪽에 붙어 있는 살 부분
질환에 효과

정수리에 위치하며 양쪽 귀의 윗부분을 연


백 가지의 병을 주관하여 전신 질환에 효과가
백회 결하여 수직으로 머리의 중앙에서 만나는
있으며, 탈모관리에 가장 기본이 되는 자리
지점

청궁 귀 앞에 입을 벌리면 쏙 들어가는 지점 귀 질환, 두통, 치통 등에 효과적

귓볼 바로 옆의 우묵한 곳으로 입을 벌릴
청회 중이염, 이명, 안면 홍조, 전신 마비에 효과적
때 깊이 함몰되는 지점
후정 백회혈에서 손가락 두 개 정도 뒤 지점 어지럼증, 편두통, 불면증, 목이 뻣뻣할 때

강간 후정혈에서 손가락 두 개 정도 뒤 지점 현기증, 목이 뻣뻣할 때, 히스테리


뒷머리 중앙의 머리가 나기 시작하는 부위 두통, 뒷머리 아플 때, 시력 감퇴, 불면증,
아문
의 오목한 지점 언어장애
아문에서 1.5~2cm 옆으로 옮긴 부분에 들어 현기증, 두통, 혈액순환 저하, 시력 감퇴, 감
풍지
간 곳으로 목뼈 양쪽으로 움푹 들어간 지점 기로 인한 안면 홍조, 어깨 부위 경직
뇌신경 질환에 효과적이며, 두통과 눈의 피
천주 뒷머리의 아문과 풍지 중간에 위치
로, 어깨 경직에 효능
출처: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51.

39
수행 내용 / 트리트먼트 실행하기

재료·자료

• 샴푸대 사용설명서

• 샴푸제의 성분과 사용설명서

• 두피·모발과 화학제품 관련 서적

• 샴푸용 페이스커버, 타월, 어깨보, 무릎 덮개 등

• 두피·모발 유형별 샴푸제와 트리트먼트제

기기(장비 ・ 공구)

• 샴푸대와 샴푸 의자

• 상하수도 시설과 냉온수 설비

• 샴푸용 헤어브러시

안전 ・ 유의 사항

• 고객의 체형을 고려하여 샴푸대 높이, 목받침 등의 위치를 조절한다.

• 샴푸대 온수 사용 시 반드시 수온과 수압을 사전에 확인한다.

• 고객의 의복을 보호하기위해 가운, 타월, 방수 어깨보 등의 착용을 권한다.

• 고객의 모발을 적시기 전에 수온은 38~40℃인지 반드시 확인한다.

• 샴푸 전 분실 우려가 있는 액세서리나 물품은 고객이 따로 보관하도록 한다.

• 고객에게 안정감을 부여하기 위해 샴푸실의 향기, 조명, 온습도, 소리, 작업자의 체취 등에


특별히 주의한다.

• 트리트먼트제를 사용하기 전 작업 서비스를 확인하여 트리트먼트제 사용 여부를 반드시 확


인한다.

• 트리트먼트제는 두피나 모발에 남아 있지 않도록 충분히 헹구어준다.

• 타월드라이 시 모발의 물기를 눌러서 제거하고 젖은 머리카락이 얼굴에 흘러내리지 않도록


타월로 단단하게 두상을 감싸 고정하여 고객을 이동시킨다.

40
• 타월드라이 후 고객의 두상, 목, 어깨를 가볍게 두드려 긴장감을 풀어준다.

수행 순서

 샴푸 전후로 관련 있는 서비스를 확인하여 트리트먼트 유무를 결정한다.


헤어펌이나 헤어컬러 서비스로 연결될 경우 트리트먼트를 하지 않는다.

 헤어컬러와 헤어펌의 마무리 단계에서 트리트먼트를 진행한다.


마지막 단계일 경우 두피와 모발 상태에 적합한 트리트먼트를 선택한다.

1. 샴푸 후 물기를 적절히 제거한다.

2. [그림 1-31]의 (가)와 같이 사용할 헤어트리트먼트제(모발 보호제) 적정량을 손에 덜어낸다.

3. 덜어낸 헤어트리트먼트제를 손바닥에 골고루 비빈다.

4. [그림 1-31]의 (나)와 같이 손바닥의 헤어트리트먼트제를 모발 끝에서부터 주무르듯이 도포한다.


젖은 모발에 비비면서 헤어트리트먼트제를 도포하는 것은 모발 손상을 가져오므로 비비는
동작을 하지 않는다.

5. 트리트먼트제를 모발 끝에서부터 두피를 향해 도포한다.


두피용 헤어트리트먼트제를 제외하고 두피에 닿지 않게 도포한다.

6. [그림 1-31]의 (다)와 같이 트리트먼트제를 모발 전체에 골고루 도포한다.

(가) 트리트먼트제 손에 덜기 (나) 트리트먼트제 모발 끝에 도포하기 (다) 트리트먼트제 모발 전체 도포하기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61.


[그림 1-31] 트리트먼트제 도포하기

7. 두상 전체를 가볍게 경찰법으로 문지른다.

(1) 두상을 문지를 경우 손가락의 지문 부분이 두피에 닿게 한다.

(2) 손가락을 이용해서 두상 전체를 아래에서 위쪽으로 쓸어모으는 동작은 고객을 편안하게 한다.

8. 헤어트리트먼트제가 골고루 도포된 모발을 뒤로 쓸어모아 훑어 내린다.

9. 정수리 부위인 백회에 양손 엄지를 오게 한 후 나머지 네 손가락은 손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


서 백회를 지그시 압박법으로 눌러준다.

41
두피 지압점과 귀혈점 부분을 자극하면 혈액순환, 스트레스 해소 등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
로 컨디셔너 사용 시 고객에게 두피 지압점이나 귀혈점의 위치와 효과에 대해 전달한다.

10. [그림 1-32]와 같이 양손을 벌리고 엄지손가락으로 페이스라인을 따라 신정 → 두유 → 현로(관


자놀이) → 이문(귓바퀴가 끝나는 부분의 움푹 들어간 곳) 순으로 지그시 누른다.
메이크업을 한 고객은 조심해서 지압하고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고객에게는 청궁에서 청회
까지 압박법으로 수회에 걸쳐 이동하면서 누르며 고객을 편안하게 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62.


[그림 1-32] 두상 포인트 누르기 1

11. 귀를 감싸주고 귓불을 지그시 눌러주며 귓바퀴의 바깥 부분을 천천히 누르며 올라간다. 귓불에서
귓바퀴 위쪽까지 누르는 동작을 수회에 걸쳐 이동하며 천천히 반복한다.

12. 양손의 엄지를 백회에 압박법으로 모아 누른다.

13. 백회에서부터 손가락 2개 반 정도 내려간 후정을 눌러주고, 후정에서 손가락 세 개 정도 내려간


강간 지점을 이동하면서 수차례 반복하여 누른다.

14. [그림 1-33]과 같이 네 손가락을 이용하여 천천히 양쪽 측두부를 둥글게 굴려 올리며 지압한다.
이때 방향은 정수리 방향으로 모상건막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62.


[그림 1-33] 두상 포인트 누르기 2

15. [그림 1-34]와 같이 양손의 팔목으로 두상을 들고 순서대로 네 손가락 끝으로 후정, 아래 정중
앙의 아문, 양쪽 뒷목 부분의 가장 오목한 부분으로 머리가 난 부분과 안 난 부분의 경계 부분인

42
풍지, 아문에서 연결 부분과 양쪽 풍지 사이 가운데 부분이 천주를 천천히 이동하면서 수차례 반
복하여 누른다.

16. 한 손으로 두상을 들고 나머지 손의 중지로 후정과 강간을 압박법으로 누른다.

17. 양손으로 프런트와 네이프 부분을 동시에 눌러준다.

18. 두상의 중심 부위부터 탑핑으로 두피에 가벼운 자극을 준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63.


[그림 1-34] 두상 포인트 누르기 3

수행 tip

• 두상 포인트를 누르면서 고객에게 두피 지압점별 효과에


대해 전달한다.

 두피와 모발에 남아 있는 헤어트리트먼트제를 완전히 헹군다.

1. 두피에 남아 있는 헤어트리트먼트제 거품을 깨끗하게 제거하기 위해 샤워 헤드를 두피에 가깝게


대고 물줄기를 이용하여 두드리듯이 헹구기를 진행한다.

2. 귓바퀴와 귀 뒷부분의 헹구기를 깨끗하게 진행한다.

3. 네이프 부분의 헹구기를 깨끗하게 진행한다.


네이프 부분을 헹굴 때는 목덜미 쪽 옷깃이 젖지 않도록 샤워기를 들고 있지 않은 손으로
네이프라인을 단단히 받쳐서 헹군다.

43
1-4. 헤어 샴푸 마무리
• 타월로 모발의 물기를 제거한 후 두상을 감쌀 수 있다.
학습 목표 • 샴푸대와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한 후 고객을 서비스 공간으로 안내할 수 있다.
• 타월드라이 후 낮은 온도의 드라이기로 모발을 건조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타월드라이

1. 타월드라이 목적과 효과

(1) 젖은 모발은 마른 모발에 비해 열전도율이 높아서 열에 의한 손상이 쉽다.

(2) 샴푸 후 타월로 두피와 모발의 물기를 제거하는 타월드라이는 드라이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모발 손상을 줄일 수 있다.

(3) 타월드라이를 하며 두피에 붙어 있는 모발을 띄워서 자연스러운 볼륨을 형성할 수 있다.

2. 타월드라이 방법

(1) 샴푸 작업이 마무리되면 고객이 샴푸대에 누워 있는 상태에서 헤어라인을 닦은 뒤 귀 주위


물기를 닦아준다.

(2) 두피를 튕기듯이 마사지하여 물기를 제거 후 고객 모발을 타월로 감싸서 가볍게 두드려서 물
기를 제거한다.

3. 타월드라이 시 주의 사항

(1) 타월드라이 시 모발을 과하게 비비는 동작은 모발 손상을 만들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


으며 타월에 압력을 가하여 눌러서 물기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2) 타월은 물 흡수가 잘되며 잦은 세탁에도 쉽게 찢어지지 않는 면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빠른


물기 제거에 효과적이다.

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 시 단계별 불편 사항

1. 준비 단계에서의 불편 사항

(1) 샴푸실로 안내

(가) 고객이 미용실에 방문하면 일반적으로 대기석에서 직원의 안내를 받아 샴푸실로 이동하여
샴푸 준비를 한다.

(나) 샴푸실로 안내하는 직원은 밝은 표정으로 고객을 맞이한다.

44
(다) 이동할 때는 한발 앞서 손으로 샴푸실 방향을 가리키며 고객과 함께 이동하도록 한다.

(2) 샴푸 의자로 안내

(가) 고객을 안내하기 전에 샴푸 의자와 샴푸 도기의 청결 상태를 미리 점검해 두어야 한다.

(나) 고객이 샴푸 의자에 앉았을 때 짧은 의상을 착용한 경우에는 무릎 덮개를 준비하여 편안


하게 샴푸를 받도록 한다.

(3) 어깨보와 얼굴 가리개 착용


샴푸 시 고객이 가장 불편하게 생각하는 것은 얼굴에 거품이나 물이 튀어 메이크업이
지워지는 것과 의복이 젖는 것이다.

(가) 페이스커버 사용
샴푸 전에 방수용 어깨보와 타월을 목과 어깨 부분에 착용시키고 얼굴에는 페이스
커버를 사용하는 물이 튀는 것을 막는다. .

(나) 접객용어 사용
사전에 고객에게 “실례하겠습니다. 어깨에 타월 두르겠습니다”, “불편하시면 말씀해
주십시오”라고 말하며 착용시킨다.

(4) 샴푸대와 고객의 자세


샴푸대와 고객의 신체가 일직선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인 자세이다.

(가) 고객이 최대한 편안한 상태로 시술받을 수 있도록 한다.

(나) 고객이 불편한 자세로 샴푸 서비스를 받게 되면 목과 어깨의 통증을 호소할 수 있으므로 주


의한다.

2. 샴푸 진행 단계에서의 불편 사항

(1) 물길 형성 단계
손목 안쪽으로 물 온도를 미리 체크한 후 샴푸를 시작하기 전에 고객에게 물 온도가 어
떤지 물어본 뒤 빠르게 물을 적시기 위해 물길을 만든다.

(2) 거품 형성 단계
고객의 귀나 목, 얼굴 주위에 거품이 닿는 것은 고객이 매우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3) 매니플레이션 단계
샴푸 거품이 충분하지 못하면 모발이 뜯기는 느낌이 들며, 매니플레이션 동작의 연결이
부드럽지 못하면 고객은 심리적으로 불안해진다.

(4) 모발을 헹구는 단계


샴푸는 무엇보다 충분한 헹굼이 중하므로 청량감을 위해 충분히 헹군다.

3. 헤어트리트먼트 마무리 단계에서의 불편 사항

45
(1) 충분한 타월드라이를 실시하여 모발에 물이 너무 많아 의복이 젖거나 젖은 모발이 얼굴에 흘
러내리는 일이 없도록 한다.

(2) 타월 감싸기를 충분히 연습하여 젖은 모발을 감싸고 미용 경대로 돌아갈 때 고객이 불편하지
않도록 타월을 제대로 감싸야 한다.

(3) 타월을 감싼 상태로 고객에게 먼저 자리를 안내하도록 한다.

 헤어트리트먼트 마무리 후 고객 안내 사항
샴푸대에서 헤어트리트먼트가 끝나면 미용 서비스 공간으로 이동하여 고객 헤어스타일 마무리
가 진행되는데 고객이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샴푸와 헤어트리트먼트 관리 방법을 안내한다.

1. 헤어컬러와 헤어펌 시술 후 48시간이 지나기 전에는 컬러 퇴색을 막고 모발을 보호하기 위해 샴


푸를 하지 않고 헤어트리트먼트만 한다.

2. 두피·모발 상태와 헤어 시술 종류(헤어컬러, 헤어펌 등)에 맞는 샴푸제와 트리트먼트제를 사용한다.

3. 뜨거운 물보다는 미지근한 물로 샴푸와 헤어트리트먼트를 한다.

4. 헤어트리트먼트제가 두피에 묻지 않도록 하며 사용 후 가려움증이나 붉은 반점, 부어오름 등의 증


상이 있을 시 전문의와 상담한다.

5. 타월로 물기 제거 시 문지르거나 비비지 말고 톡톡 두드린다.

46
수행 내용 / 헤어 샴푸 마무리하기

재료·자료

• 헤어컬러와 헤어펌에 사용하는 화학제품과 두피·모발 관련 서적

• 샴푸제의 성분과 사용설명서

• 샴푸대 사용설명서

• 샴푸용 어깨보, 페이스 커버, 무릎 덮개, 타월 등

• 두피 모발 유형별 샴푸제와 트리트먼트제

기기(장비 ・ 공구)

• 샴푸대와 샴푸 의자

• 상하수도 시설과 냉온수 설비

• 샴푸용 헤어브러시

안전 ・ 유의 사항

• 샴푸대 온수 사용 시 반드시 수온과 수압을 사전에 확인한다.

• 고객의 체형에 따라 샴푸대 의자의 간격과 목 받침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 샴푸 시 수온은 38~40℃가 적절하며 모발에 물이 닿기 전에 온도를 확인한다.

• 고객의 의복이 젖지 않도록 가운이나 타월, 방수 어깨보 등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 고객의 귀중품은 개인이 별도 보관하도록 한다.

• 고객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샴푸실의 향기, 소리, 조명, 미용사의 체취 등에 주의한다.

• 트리트먼트제를 사용하기 전과 후에 진행하는 미용 서비스와 연결된 부분을 반드시 고객에


게 확인한 뒤 사용한다.

• 샴푸 후 이동 시, 두상을 감싸고 있는 타월이 풀리지 않게 단단히 고정해야 한다.

• 타월드라이 후 고객의 목과 어깨, 두상을 가볍게 두드려 긴장감을 풀어준다.

47
수행 순서

 트리트먼트 후 타월을 이용하여 모발의 물기를 제거한다.

1. [그림 1-35]와 같이 타월 끝부분을 이용하여 고객의 페이스라인, 귀 주위에 남아 있는 물기를 먼


저 제거한다.

수행 tip

• 귀 뒷부분은 물기가 남기 쉬우므로 마른 타월로 꼼꼼하게


닦도록 한다.
• 귀 안쪽은 귀의 형태에 따라 엄지를 이용해 마른 타월로
꼼꼼하게 닦도록 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68.


[그림 1-35] 샴푸 후 타월드라이 과정 1

2. [그림 1-36]과 같이 타월로 모발 전체 물기를 충분히 제거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68.


[그림 1-36] 샴푸 후 타월드라이 과정 2

 고객의 머리를 타월로 감싸서 모발이 당겨지지 않게 주의하며 가볍게 두드리거나 눌러주어 모발의
수분을 일정량 제거하며 부드럽게 마사지를 실시한다.

 [그림 1-37]과 같이 샴푸대를 원위치로 세워 고객을 앉힌 후, 타월로 두상을 감싼다.

48
샴푸대를 원위치로 세울 때. “고객님, 샴푸대 세우겠습니다”라고 말을 건네며 네이프 부분을 손
으로 받쳐서 고객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69.


[그림 1-37] 타월드라이 후 타월로 감싸기

수행 tip

• 미용실에 따라서는 모발만 모아서 한 묶음으로 타월로 감


싸기도 하고, 타월드라이를 충분히 하여 타월로 두상을 감
싸지 않고 서비스 공간으로 이동하기도 한다.

 고객의 목과 어깨 부분을 가벼운 지압으로 마사지해준다.


이때 “고객님, 불편한 곳은 없으십니까?”라고 말을 건네며 가볍게 마사지한다.

 사용한 샴푸대 주위를 깨끗하게 정리한다.


사용한 샴푸대와 샴푸대 주위는 다음 사용자를 위하여 항상 청결하게 유지 관리하도록 한다.

1. [그림 1-38]의 (가)와 같이 샴푸대 거름망 속 머리카락을 버리고 깨끗하게 씻어둔다.

2. [그림 1-38]의 (나)와 같이 샴푸 도기를 물로 깨끗하게 헹구고 수건으로 닦는다.

3. [그림 1-38]의 (다)와 같이 샴푸 의자를 제자리에 세팅한다.

(가) 샴푸대 거름망 청소하기 (나) 샴푸 도기 청소하기 (다) 샴푸대 의자 정리하기

출처: 교육부(2019). 헤어 샴푸(LM1201010118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70.


[그림 1-38] 샴푸 후 샴푸대 주위 정리하기

49
 고객을 서비스 공간으로 안내한 후, 헤어스타일을 마무리한다.

1. 고객을 서비스 공간으로 안내한다.


고객을 샴푸 공간으로 안내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서비스 공간을 손으로 가리키며 안내한다.

2. 고객이 미용 의자에 착석한 후, 다음 서비스를 진행한다.

수행 tip

• 마무리 미용 서비스 전, 장시간 미용 서비스를 받은 고객


의 목이나 어깨를 가볍게 마사지하여 피로감을 풀어준다.
• 타월드라이를 충분히 진행하고 난 뒤 적당한 온도의 블로우
드라이기로 빠르게 모발을 건조시키면 손상도가 낮아진다.

50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헤어 샴푸 준비에 필요한 다양한 사항에 대해 자료를 제시하여 설명한다.

• 샴푸 목적별 샴푸제 선택법에 대해 조별로 자료를 조사하고 정리하여 발표를 지도한다.

• 헤어 샴푸 전 진행하는 브러싱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해 자료를 제시하며 설명한다.

• 헤어 샴푸 시 진행하는 매니플레이션에 대해 시연 후 실습을 지도한다.

• 헤어 샴푸 목적별 샴푸 순서와 방법에 대해 설명 후 상호 실습을 지도한다.

• 트리트먼트 시 두피지압 및 매니플레이션 대한 영상자료를 제시하고 실습을 지도한다.

• 타월드라이 방법과 타월로 두상을 감싸는 방법, 샴푸 후 샴푸대 주위를 정리하는 방법을 시
연 후 실습을 지도한다.

학습 방법

• 헤어 샴푸 준비에 필요한 다양한 사항에 대해 설명을 듣고 학습한다.

• 샴푸 목적별 샴푸제 선택법에 대해 조별로 자료를 조사하여 정리 후 발표한다.

• 헤어 샴푸 전 진행하는 브러싱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 헤어 샴푸 시 진행하는 매니플레이션을 실습한다.

• 헤어 샴푸 목적별 샴푸 순서와 방법에 대해 숙지 후 실습한다.

• 트리트먼트 시 두피지압 및 매니플레이션 대해 영상자료를 보며 실습한다.

• 타월드라이 방법과 타월로 두상을 감싸는 방법, 샴푸 후 샴푸대 주변정리를 실습한다.

51
학습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학습 목표
상 중 하
- 고객에게 가운 착용을 안내하고 샴푸실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 와식과 좌식 샴푸 중 샴푸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 샴푸대에 앉은 고객에게 무릎 덮개와 어깨 타월 등을 착용시
헤어 샴푸 준비 킬 수 있다.
- 샴푸 시작 전 두피와 모발 상태를 파악하고 사전 브러싱을
할 수 있다.
- 고객의 편안함을 위해 샴푸대의 높이와 수온,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 얼굴에 물이 튀지 않도록 모발에 물길을 만들어 모발을 충분
하게 물에 적실 수 있다.
- 샴푸 목적에 맞는 샴푸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샴푸 목적별 샴푸 순서와 방법을 적용하여 샴푸할 수 있다.
샴푸 실행
- 두피·모발의 노폐물과 오염물이 충분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샴푸할 수 있다.
- 펌제나 컬러제를 사용한 모발의 경우 모발에 약제가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샴푸할 수 있다.
- 샴푸 성분이 남지 않도록 페이스라인, 귀, 모발, 두피 등을
충분하게 헹굴 수 있다.
- 샴푸 후 두피·모발 상태를 파악하여 모발을 트리트먼트할 수
있다.
트리트먼트 실행
- 트리트먼트제를 모발에 도포한 후 두피 지압과 매니플레이션
을 할 수 있다.
- 트리트먼트제가 페이스라인, 귀, 두피 등에 남지 않도록 충
분하게 헹굴 수 있다.
- 타월로 모발의 물기를 제거한 후 두상을 타월로 감쌀 수 있다.
- 샴푸대와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한 후 고객을 서비스 공간으
헤어 샴푸 마무리
로 안내할 수 있다.
- 타월드라이 후 낮은 온도의 드라이기로 모발을 건조할 수 있다.

52
평가 방법

• 서술형 평가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고객 가운 착용 안내 및 샴푸실로 이동을 안내하는 방법 숙
지여부

- 와식과 좌식 샴푸 중 샴푸 방법 선택 방법 숙지여부

- 샴푸대에 앉은 고객에게 무릎 덮개와 어깨 타월 등을 착용할


헤어 샴푸 준비
수 방법 숙지여부
- 샴푸 시작 전 두피와 모발 상태를 파악하고 사전 브러싱 수
행 방법 숙지여부
- 고객의 편안함을 위해 샴푸대의 높이와 수온, 수압 조절 방법
숙지여부
- 얼굴에 물이 튀지 않도록 모발에 물길을 만들어 모발을 충분
히 물에 적실 수 있는 방법 숙지여부

- 샴푸 목적에 맞는 샴푸제를 선택하여 사용법 이해 수준

샴푸 실행 - 샴푸 목적별 샴푸 순서에 대한 이해 수준

- 두피·모발의 노폐물과 오염물이 충분하게 제거될 수 있는


샴푸 방법 숙지여부

- 펌제와 컬러제 사용한 모발의 약제 제거 샴푸 방법 숙지여부

- 샴푸 성분이 남지 않도록 페이스라인, 귀, 모발, 두피 등을


충분하게 헹굴 수 있는 작업 능력
- 샴푸 후 두피·모발 상태를 파악하여 모발을 트리트먼트할 수
있는 방법 숙지여부
트리트먼트 실행
- 트리트먼트제를 모발에 도포하여 두피 지압과 매니플레이션
방법 숙지여부
- 트리트먼트제가 페이스라인, 귀, 두피 등에 잔류하지 않도록
충분하게 헹굴 수 있는 방법 숙지여부
- 타월로 모발의 물기를 제거한 후 두상을 타월로 감쌀 수 있
는 방법 숙지여부
- 샴푸대와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한 후 고객을 서비스 공간으
헤어 샴푸 마무리
로 안내할 수 있는 방법 숙지여부
- 타월드라이 후 낮은 온도의 드라이기로 모발을 건조할 수 있
는 방법 숙지여부

53
• 작업장 평가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고객에게 가운 착용을 안내하고 샴푸실로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는 능력

- 와식과 좌식 샴푸 중 샴푸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

- 샴푸대에 앉은 고객에게 무릎 덮개와 어깨 타월 등의 준비


헤어 샴푸 준비
능력

- 샴푸 시작 전 두피와 모발 상태를 파악하고 사전 브러싱 능력

- 고객의 편안함을 위해 샴푸대의 높이와 수온, 수압 조절 능력

- 얼굴에 물이 튀지 않도록 모발에 물길을 만들어 모발을 충분


히 물에 적실 수 있는 능력

- 샴푸 목적에 맞는 샴푸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능력

샴푸 실행 - 샴푸 목적별 샴푸 순서와 방법을 적용한 샴푸 능력

- 두피·모발의 노폐물과 오염물이 충분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샴푸할 수 있는 능력
- 펌제나 컬러제를 사용한 모발의 경우 약제가 완전히 제거하
는 샴푸 능력
- 샴푸 성분이 남지 않도록 페이스라인, 귀, 모발, 두피 등을
충분하게 헹굴 수 있는 능력
- 샴푸 후 두피·모발 상태를 파악하여 모발을 트리트먼트할 수
있는 능력
트리트먼트 실행
- 트리트먼트제를 모발에 도포한 후 두피 지압과 매니플레
이션을 할 수 있는 능력
- 트리트먼트제가 페이스라인, 귀, 두피 등에 남지 않도록 충
분하게 헹굴 수 있는 능력
- 타월로 모발의 물기를 제거한 후 두상을 타월로 감쌀 수 있
는 능력
- 샴푸대와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한 후 고객을 서비스 공간으
헤어 샴푸 마무리
로 안내할 수 있는 능력
- 타월드라이 후 낮은 온도의 드라이기로 모발을 건조할 수 있는
능력

54
피드백
1. 서술형 평가
- 헤어 샴푸 준비와 진행 과정에 대해 서술형으로 평가 후 미흡한 부분은 재교육한다.
- 샴푸제의 성분, 두피·모발 관련 기초 지식 등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학생에 대해서는 관련 지식에
대해 리포트를 작성하게 하여 이해도를 향상시킨다.
- 헤어 샴푸 수행 과정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서술형으로 이해 수준을 평가하여 미흡한 학습자는 전
체적인 내용에 대해 문서로 정리하도록 하고 결과물을 검토한다.
- 헤어트리트먼트 시 두피 지압과 매니플레이션 방법에 대한 숙지 여부를 평가 후 부족한 부분에 대
해 학습을 지도한다.
- 헤어트리트먼트제가 페이스라인, 귀, 두피 등에 남지 않도록 충분하게 헹굴 수 있는 방법, 타월드라
이 방법 등에 대한 숙지여부를 서술형으로 평가 후 이해 수준이 부족한 학습자에게는 설명과 함께
시연을 진행하여 제대로 숙지할 수 있도록 재교육한다.

2. 작업장 평가
- 헤어 샴푸 준비 과정과 진행 과정의 평가 결과에 따라 미숙한 학습자에게는 재 설명과 시연을 통해
샴푸 능력을 향상 시킨다.
- 두피 매니플레이션 기법과 모발 헹구기 능력이 미흡할 시에는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숙련도를 향상
시킨다.
- 헤어트리트먼트 시 두피 지압과 매니플레이션 능력을 평가한 후 평가 결과에 따라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숙련도를 향상시킨다.
- 헤어트리트먼트제가 페이스라인, 귀, 두피 등에 남지 않도록 충분하게 헹굴 수 있는 방법, 타월드라
이 후 두상을 감싸는 방법 등에 대한 능력을 평가한 후 평가 결과에 따라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숙련도를 향상시킨다.

55
학습 1 헤어 샴푸하기

학습 2 두피·모발 관리하기
학습 3 손상모 특수관리하기
학습 4 미용업소 제품 사용 관리하기

2-1. 두피·모발 관리 준비
• 두피·모발 관리에 적합한 가운, 어깨보, 타월 등의 착용을 안내할 수 있다.
• 문진, 시진, 촉진 등을 사용하여 두피·모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두피·모발 상태를 차트와 두피·모발 관리 프로그램에 입력할 수 있다.
• 두피·모발 관리에 필요한 기기와 도구, 제품을 선택하여 준비할 수 있다.
• 고객이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조명과 실내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두피·모발 관리에 필요한 기기와 도구

1. 두피·모발 관리 기기

(1) 두피모발 진단기


두피·모발 진단기는 두피와 모발의 상태를 측정하여 두피와 모발 관리에 방법을 결정하
는 데 사용한다. <표 2-1>과 같이 렌즈의 배율을 조절하여 두피 부분은 150배, 모발 부
분은 250~400배로 주로 촬영하며, 두피 색상, 각질 상태, 염증 유무, 모발 밀집도, 모
발 굵기, 유수분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일체형 휴대용 스마트폰 연결형 렌즈형


출처:집필진 제작(2022)
[그림 2-1] 다양한 형태의 두피·모발 진단기

두피·모발 진단기는 [그림 2-1]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기기가 있으며 대부분 분석 프로그램이

56
설치되어 있어 관리 전후 비교 사진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 2-1> 두피·모발 진단기 렌즈 크기와 기능

렌즈 크기 기능

․ 두피의 탈모 유형을 파악
X1(1배율)
․ 고객관리 프로그램에 얼굴 파악용으로 사진을 촬영하여 데이터로 사용

․ 모발의 밀도와 염증을 파악함


X50(50배율)
․ 두피의 비듬과 각질의 상태를 파악함

․ 모공의 막힘과 열림의 상태를 파악함


․ 각질의 분포도와 피지 막의 형성 정도를 알 수 있음
X250(250배율) ․ 모발의 굵기를 파악함
․ 한 개의 모공에 있는 모발의 수를 파악함
․ 두피의 전체적인 문제점 파악에 사용함

․ 모발 큐티클층의 상태를 파악함


X800(800배율) ․ 모발의 화학적 처리 유무를 알 수 있음
․ 모발의 건강 상태를 파악함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

(2) 기타 기기
두피모발 관리를 위해 <표 2-2>과 같이 두피모발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측정기기 및 세
정을 위한 기기, 영양 침투를 기기 등이 있다.

<표 2-2> 두피·모발 관리 기기의 명칭과 기능

분류 기기 명칭 기능
렌즈: 컴퓨터 프로그램과 연결된 렌즈를 사용함
두피 모발 진단기
기능: 두피와 모발을 정밀진단함

렌즈: 광선과 렌즈를 사용하여 측정함


측정 기기 광학 현미경
기능: 모발 상태, 두피 모낭균과 비듬균 유무를 확인함

pH 측정기 두피의 수소 이온 농도를 측정하며 피지막의 산화 정도와 두피의


염증 발생률을 유추함

두피의 각질이 수분을 흡수하여 노화 각질의 팽윤·연화 작용과


두피 스티머
모공 주변의 열림 작용에 사용함

세정용 헤어 스티머 모발 수분 공급, 잔류 화학 약품 제거, 살균 효과에 사용함

워터 펀치라고도 하며, 모공의 고화각질 제거와 두피의 산소 공


두피 세정기
급 상승효과, 잔여물 제거 등에 효과가 있음
노폐물 배출 촉진, 근육 이완, 두피 진정, 신진대사 개선 등의
영양 침투 적외선기
효과가 있음

57
2. 도구, 소모품
두피·모발관리에는 <표 2-3>과 같은 도구가 필요하다.

<표 2-3> 두피·모발 관리 기기의 명칭과 기능

분류/ 도구 명칭 기능

쿠션브러시 빗살 안쪽에 공기가 들어있어 빗살이 두피에 닿아도 자극이 심하지 않음

길고 굵은 모발 정리 시 사용, 빗살의 끝이 둥글게 되어 있어 두피를


패들브러시
자극할 경우 사용
브러시류
빗살 뒷부분에 구멍이 있어 샴푸 후 모발 건조 시 용이하게 사용, 샴푸
밴트브러시
전에 사용할 경우 짧은 모발, 엉킨 모발을 정리할 경우 사용

괄사 두피에 자극을 주어 노폐물을 제거하고 혈액순환 촉진 도구

정리대 두피모발관리에 필요한제품〮도구등을 준비하고정리하는데 필요한 도구

제품 소분용기 스케일링제, 클리너, 팩 등을 필요한 양만큼 덜어 사용하는 용기

처치시간관리기 두피 및 도구에 제품을 도포하고 처치시간을 고객에게 알리기 위한 도구

 두피·모발 관리에 필요한 제품류

1. 스타일링제: 두피 각질 제거용으로 두피 상태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

(1) 액체타입: 비교적 가벼운 증상이 각질 및 피지 제거 시 사용

(2) 젤타입: 일반적인 각질 제거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

(3) 크림타입 : 증상이 심한 각질 및 피지를 제거 시 사용

2. 샴푸제(클린징제): 두피의 노폐물 및 더러움을 세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품

(1) 기능성 샴푸(모발용): 정상모발〮, 손상모발, 〮염색모발용

(2) 기능성 샴푸(두피용): 건성〮지성〮비듬제거〮탈모방지용샴푸

(3) 일반 샴푸: 데일리샴푸, 드라이 샴푸 등

3. 팩/컨디셔너/트리트먼트: 샴푸 후 모발 케어를 위해 사용하는 제품으로 두피와 모발 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

4. 앰플/에센스/세럼/토닉:샴푸 후 민감해진 두피를 진정시키고, 손상된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


해 사용

(1) 앰플>세럼>에센스:두피 및 모발에 유수분의 균형을 조절하고 영양 공급으로 탄력감을 주어


신진대사 활동을 지원하는 제품으로 농도가 가장 높은 것이 앰플

(2) 토닉 : 민감해진 두피를 진정시키고 영양을 공급하여 두피 탄력에 사용하는 제품

5. 기타: 아로마, 발모제, 육모제, 양모제등 특수한 기능을 위해 사용하는 제품

58
(1) 아로마: 지성〮건성〮민감성두피 완화

(2) 발모제, 육모제, 양모제: 모공을 튼튼하게 하여 탈모를 지연시킬 목적으로 사용

 두피·모발 유형 분석

1. 분석 방법
두피모발 분석은 [그림2-2]와 같이 문진, 시진, 촉진, 검진 등이 있다.

(1) 문진: 고객과 상담을 통해 상태를 파악.

(2) 시진: 고객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3) 촉진: 고객의 두피모발 상태를 손으로 만져서 확인

(4) 검진: 두피·모발 진단기기를 사용하여 두피·모발 상태를 파악

문진 시진 촉진 검진
출처: 집필진 제작(2022)
[사진 2-2] 다양한 분석방법

2. 탈모의 원인
탈모는 모낭이 파괴되어 정상적으로 모발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와 모낭은 존재하면서 일시
적으로 모발이 성장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으며 <표 2-4>과 같이 다양한
원인이 있다.
<표 2-4> 다양한 탈모 원인

탈모 원인 내용

·탈모 유전인자가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젠 수용체와 결합하면서 탈모가 급진행


유전성 ·젊은 연령의 남성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음
·이마의 양쪽 옆 모발부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범위 확산되면서 탈모 진행
·스트레스로 인해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모낭 주변의 모세혈관과
스트레스성 신경계를 자극하여 염증을 유발함
·유발된 염증이 모발의 정상적인 발생에 문제를 일으키게 되어 탈모 진행

·출산 후에 여성 호르몬이 적게 분비되면서 남성 호르몬과의 불균형 현상에 따라 피


산후 탈모
지의 분비가 왕성해지면서 모낭의 모발 형성에 영향을 주어 탈모 진행

·갑상샘의 기능 저하로 인하여 티록신의 분비가 적어지면 모낭 활동에 영향


호르몬 이상
·모발의 성장을 느려져 탈모 진행
·두피의 피지량의 증가로 모낭 주위가 오염되어 쌓인 각질이 모공을 막음
피부질환
·세균이 번식하고 지루성 피부질환을 일으켜 모낭염을 만들어 탈모 진행

59
·신체의 이상으로 복용하는 약물 중에 갑상샘항진증 치료약, 우울증 치료약, 소염제
약물 복용 등의 남성 호르몬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면 피지의 분비가
많아지면서 모공에 영향을 주어 탈모로 진행
·머리를 심하게 잡아당겨 묶거나 고정시키면 모낭이 당겨져서 모유두에 연결되어
견인성 탈로
있는 모발에 영향을 주어 염증이 발생하거나 노화를 촉진하여 탈모가 진행됨
·화학적 약품을 사용하는 퍼머넌트나 염색 또는 헤어스타일 제품이 두피에 남아 모
화학적 요인
공에 염증을 일으키면 탈모 현상으로 진행 가능

샴푸 미숙 샴푸제를 충분히 헹구어내지 못하면 모공을 자극하여 탈모 현상으로 진행

3. 두피 유형
두피는 두피 형태에 따라 <표 2-5>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표 2-5> 두피상태에 따른 분류

두피유형 두피형태 특징 및 원인
-두피표면이 맑고 투명하며 얼룩없이 균일한 톤 유지
-정상적인 각화주기로 노폐물이 거의 없음
-모공 주변이 깨끗하고 모공의 윤곽선이 뚜렷함
정상
-빈모공 없이 일정한 굵기의 모발, 일정한 밀도의 모발
-흉반이나 염증 등 충혈된 모세혈관이 보이지 않음
원인 주기적인 두피관리, 올바른 샴푸법을 사용한 관리, 균형있는식사 등
-몇일간 샴푸를 안해도 기름기 없이 유지 가능
-두피가 건조하여 가려움 증을 많이 느낌
-두피표면의 천연 보습인자의 부족과 피지선의 능저하로 유수분이
건성
제거되거나 증발하여 건조한 상태( 윤기가 없고 각질이 쌓여 있음)
-피지막이 없어 손상이 쉽고 염증을 동반하기도 함
원인 잦은 화학적 시술, 스트레스, 호르몬의 불균형 등
-과다한 피지분비로 모공 주변이 막혀 있고 기름기가 많고 탄력이 없음
-모공주변과 모발에 피지가 다량 부착되어 있음
지성
-피지의 두피 잔류시간이 길 수록 모공이 막혀 탈모 및 염증 유발
원인 선천적, 피지 분비량과 샴푸의 미스매치, 잘못된 샴푸 법 등
-진균, 곰팡이, 박테리아 등에 대한 방어능력 저하로 염증과 홍반유발
-혈액 순환이 잘 안되어 모세혈관이 충혈되고 확장되어 보임
증상: 1. 두피 톤이 전체적으로 붉고 충혈되어 있음
2. 가려움증이 쉽게 발생하고 오래 지속됨
민감성
3. 두피가 거칠고 각질층이 거의 들떠 있음
4. 모공 주위에 유.수분이 없고 많이 함몰되어 있음
5. 두피가 당기면서 가려운 증상 동반
6. 약한 자극에도 두피가 쉽게 붉어지고 통증호소

-각화주기 이상으로 정상두피에 비해 과다하게 생성·탈락되는 상태


건성비듬 -정상두피는 말라세시아효모균 46%이지만 비듬성두피는 2배 정도
원인 편식으로 인한 영양부족, 세정력 강한 샴푸의 잦은 사용

60
-과다한 피지분비로 지성화(피지+각질) 됨
-가려움과 악취를 동반
지성비듬 -항상 두피가 눅눅하고 열이 많음
-피지가 엉켜 모발안으로 역류할 경우 탈모와 염증유발
원인 선천적 피지과다분비, 기름진 식단 등

3. 모발의 유형

(1) 굵기에 따른 분류
모발의 굵기는 평균 0.15mm 정도이다. 탈모가 진행되기 시작할 때 가는 모발의 비율
이 증가하기 시작하므로 모발이 가늘어지는 추이를 확인한다.

(가) 굵은모: 평균모발의 지름은 0.08~0.1mm이나 0.15~0.20mm로 검은 색소를 다량함유


하고 있는 모발

(나) 중간모: 굵은모와 가는모의 중간으로 지름이 0.05~0.07mm에 속하는 모발

(다) 가는모: 전신을 덮고있는 모발로 짤고 가는 모발

(2) 모발의 표피에 따른 분류

(가) 건강 모발의 모표피: 들뜨지 않고 잘 겹쳐 있는 상태

(나) 손상 모발의 모표피: 표피가 들떠있어 극손상모의 경우 빗질이 어려운 상태


화학적 시술을 많이 한 모발의 경우 모발의 표피가 들떠 있어 샴푸 후 모발이 엉키기
쉽고 빗질이 잘 되지 않는다.

(3) 모발의 인장강도: 모발을 잡아당겼을 때 모발에 가해지는 힘(강도)

(4) 모발의 수분 흡수율:모발이 물을 잘 흡수하는 정도에 따라 다공성 모발을 확인할 수 있다.


분무기로 모발에 물을 뿌렸을 때 물방울이 맺혀 떨어지는 양이 많으면 발수성 모발이다.

 고객관리 차트 기록
고객관리 차트에는 인적사항, 사용 샴푸, 화학적 시술, 식습관, 운동량 등 고객에 관련된 기본
사항은 물론 결혼 및 출산, 기호식품, 알레르기 등은 물론 <표 2-6>의 항목과 같이 두피 모발
에 관련된 항목을 기록한다.
<표 2-6> 고객관리 차트 기록 항목

항목 내용
탈모 탈모의 유전 관계, 탈모 유무, 탈모의 시작 시기 등
두피 두피의 상태, 모공, 비듬, 두피 톤 등
모발 모발의 굵기, 피지량, 모표피 상태 등
두피관리 경험 과거 두피와 모발의 관리 시기, 기간과 관리 결과 확인
관리 방법 두피와 모발의 상태에 따른 관리 방법 선택
홈케어 방법 두피와 모발의 관리 후 고객의 홈케어 방법 설명

61
수행 내용 / 두피·모발 관리 준비하기

재료·자료

• 기기와 제품 설명서

• 상담용 두피·모발 사진

• 고객관리 차트

기기(장비 ・ 공구)

• 태블릿 PC와 고객관리 프로그램, 프린터, 용지

• 두피·모발 진단기

• 적외선램프, 스캘프 펀치, 헤어 스팀기 등의 관리 기기

• 소독 장비, 소독제

• 미용 경대와 고객 의자(또는 실습용 작업대)

• 이동식 작업대(또는 실습용 바구니)

안전 ・ 유의 사항

• 진단기 렌즈를 떨어뜨리지 않도록 주의하여 사용한다.

• 두피·모발에 직접 닿는 렌즈나 빗, 핀셋 등은 소독과 청결에 유의한다.

• 탈모가 진행 중인 고객과 상담할 때는 탈모된 부분을 보면서 놀라 큰 소리로 말하지 않도록


한다.

• 상담자의 탈모 부분이 다른 사람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두피관리 할 때 주의한다.

62
수행 순서

 두피·모발 상담 공간을 준비한다.


미용업소에 두피·모발에 대한 상담을 1 : 1로 할 수 있는 공간을 준비한다.

1. 두피·모발 상담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한다.


고객이 두피·모발에 대한 문제점을 자연스럽게 상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1) 상담실을 청결하게 정리정돈한다.


상담실은 항상 청결할 수 있도록 정리를 하고, 환기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며,
은은한 향으로 편안하게 상담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2) 고객 상담에 필요한 준비를 한다.

(가) 예약 현황을 파악하여 신규 고객, 재방문 고객에 대한 내용을 숙지한다.

(나) 고객관리 차트, 두피·모발 참고 사진, 필기도구, 태블릿 PC 등을 정리한다.

(다) 고객을 위한 다과, 가운, 타월 등의 상태를 점검한다.

수행 tip

· 두피·모발 관리 공간의 구획 여부는 미용업소마다 다르겠지만,


고객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다른 미용 서비스 공간과 거리를
두는 것이 적합하다. 경우에 따라 상담 공간과 관리 공간은
겸할 수 있다.

 두피·모발 진단기를 준비한다.

1. 두피·모발 진단기의 배율별 렌즈 상태를 확인한다.

2. 두피·모발 진단기의 전원을 켠 후 본체, 렌즈, 모니터의 작동을 확인한다.

 [그림 2-3]와 같이 헤어스팀기를 준비한다.

출처: 집필진 제작(2002)


[사진 2-3] 스티머 사용

63
1. 저수통에 정수된 물을 기기에 표시된 지점까지 채운다.

2. 스팀기의 전원을 ON으로 눌러 기기를 작동 시킨다.

3. 사용목적에 맞는 미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4. 미스트 시간을 설정한다.

5. 적정 온도가 되면 미스트 분사버튼을 클리하고 미스트를 분사한다.

6. 시간이 끝나면 스위치를 끄고 연결한 코드를 분리한다.

7. 가열된 기기가 충분히 식혀지면 오수통에 모인 물을 비운다.

수행 tip

· 스팀기의 물은 이물질이 없는 정수기 물이나 수돗물을 사용하


는 것이 좋다.
·저수통에 물은 매일 교체한다.

 그 밖의 기기와 도구를 준비한다.

1. 적외선램프, 진동기, 스캘프 펀치 등 기기의 전원을 켠 후 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2. 브러시, 진단기 렌즈 등의 소도구는 소독하여 보관한다.

 미용업소에 방문한 고객을 맞이한다.

1. 고객을 상담 또는 관리 공간으로 안내한다.

2. 재방문한 고객은 고객관리 차트로 이전 관리 내역을 확인한다.

3. 처음 방문한 고객은 고객관리 차트에 기본 정보를 기록한다.

 문진, 시진, 촉진, 검진을 하면서 고객과 상담한다.

1. 고객관리 차트 내용을 중심으로 고객에게 질문하고 그 내용을 기록한다.

2. 고객관리 차트 내용을 중심으로 눈으로 고객의 두피와 모발 상태를 관찰하고, 그 내용을 기록한다.

3. 고객관리 차트 내용을 중심으로 손으로 고객의 두피와 모발 상태를 만져보고, 그 내용을 기록한다.

4. 두피·모발 진단기로 고객의 두피와 모발 상태를 확인한다.

(1) 관리사의 손과 사용할 기기를 소독한다.

(2) 두상 전체를 촬영한다(1배율).

(3) 촬영할 부분의 두피가 잘 보이도록 모발을 나누어 그 위에 진단기의 렌즈를 수직으로 올려
촬영한다(250배율).

64
(4) 두피 촬영은 [그림 2-4]과 같이 전두부 → 두정부 → 좌우 측두부 → 후두부의 순서로 한다.

수행 tip

· 고객관리 차트는 서면 또는 전산으로 기록하며, 작성 내용과


보관은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다.

출처: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4] 두피·모발 진단기 촬영 순서

(5) 두상의 다양한 부위를 촬영한 후 비교하며 확인한다.

(6) 뽑힌 모발의 모구와 모표피를 촬영한다(400~800배율).

3. 고객관리 차트에 기록한다.

(1) [그림 2-5]과 같이 고객관리 차트를 작성하고 두피·모발을 분석하거나 상담하는 동안 지속적
으로 차트를 꼼꼼히 기록한다.

(2) 두피·모발 관리 실행 전에 차트 내용 중 누락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한다.

출처: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5] 고객관리 차트 작성

65
2-2. 두피·모발 관리 실행
• 고객의 요구와 두피·모발 상태를 기반으로 한 두피·모발 관리 방법을 계획할 수 있다.
• 두피·모발 상태에 따라 관리에 필요한 기기·기구·제품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 두피 상태에 적합한 스케일링제를 도포하여 두피를 청결하게 할 수 있다.
• 두피·모발 상태에 적합한 기능성 샴푸제를 선택하여 충분한 거품으로 샴푸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혈액순환 개선과 신진대사 촉진을 위해 두피 매니플레이션을 할 수 있다.
• 샴푸제를 완전히 제거한 두피·모발에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제 등을 사용하여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 마무리 세척 후 모발에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타월드라이를 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두피

1. 두피의 정의
두피는 두개골을 감싸고 있는 피부 조직을 말하며 개인의 특성에 따라 두피의 색상·두께·각
질의 상태가 다르고 내부적인 부분과 외부 환경으로부터 다양한 요인에 의해 여러 가지 형
태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정상 두피, 건성 두피, 지성 두피, 민감성 두피, 지루성 두피, 건
성 비듬 두피, 지성 비듬 두피, 탈모 두피 등으로 분류한다.

2. 두피의 손상 요인
두피를 손상시키는 요인은 <표 2-7>와 같이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내적 요인으로는 호르몬 분비 이상과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고, 외적 요인은 다시 물리적
요인, 화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나뉜다.
<표 2-7> 두피의 손상 요인과 원인

요인 원인

잘못된 식습관과 다이어트로 인한 영양 부족, 수면 부족, 스트레스, 혈액


내적 요인
순환과 림프 순환의 이상 현상, 호르몬 불균형 등

물리적 요인 잘못된 샴푸 습관, 과도한 브러싱, 드라이에 의한 건조 등

퍼머넌트, 염색, 탈색 등 미용 시술에 사용되는 제품의 세정 부족, 헤어


외적 요인 화학적 요인
스타일에 사용되는 제품 사용의 부적합 등

환경적 요인 자외선, 대기오염, 작업장의 환경 조건 등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6.

66
3. 두피의 관리 방법
두피의 일반적인 관리 방법은 그림 [그림 2-6]과같이 상담에서 홈케어 안내까지 고객의 두
피의 특징과 요금에 따라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진행하다.

출처: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6] 두피모발관리 프로세스

 두피 유형과 관리 방법

1. 정상 두피:
두피 손상의 예방과 정상 상태를 유지하는 데 관리의 초점을 두어 규칙적으로 두피 스케일
링과 유수분을 공급해주도록 한다.

2. 건성 두피
건성 두피 전용 샴푸제를 사용하고, 찬바람으로 말려주며 건성 두피용 유수분 공급과 두피
를 진정시키는 관리를 한다.

3. 지성 두피
주기적인 두피 스케일링과 매일 샴푸하여 두피를 청결하게 한다. 지성 두피용 샴푸와 토닉
으로 두피의 pH를 조절하여 약산성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4. 민감성 두피
두피에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스트레스를 줄이고 어깨, 목 등의 뭉친 근육을 풀
어주고, 두피의 민감 원인을 개선해주는 관리를 오랫동안 꾸준하게 한다.

5. 지루성 두피
아침저녁으로 약용 샴푸나 비듬 샴푸를 사용하고, 피지 조절을 위해 B2, B₆ 등이 풍부한 식
품을 섭취한다. 스트레스를 풀어주고, 화학적 시술을 가급적 피하고 증상이 심하면 반드시
전문의의 치료를 받도록 한다.

6. 복합성 두피
두피와 모발 유형에 맞는 샴푸를 사용하며 관리하도록 한다.

7. 비듬성 두피
(1) 건성 비듬: 비듬 전용 샴푸를 사용하여 두피를 청결한다.

(2) 지성 비듬: 비듬 전용 샴푸로 과도한 피지를 조절하고 주 2회 두피 스케일링한다.

67
8. 탈모 두피: 어깨, 등, 상박에 마사지 후 적절한 두피 스케일링과 샴푸제, 두피 토닉, 영양제 사용

(1) 탈모의 원인

(가) 호르몬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모낭의 5α-환원 효소와 결합하여 다이
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dihydrotestosterone)을 생성한다. DHT는 모낭의 안
드로겐 수용체와 반응하여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여 모주기의 성장기를 단축시켜 탈
모를 유발한다.

(나) 유전
탈모의 유전인자는 우성으로 탈모의 밀접한 원인이다. 호르몬과 유전적 원인을 함께
갖는 경우 탈모는 폭발적으로 일어난다.

(다) 스트레스
탈모의 요인을 부추기는 촉매역할을 한다. 스트레스는 코르티솔과 같은 스트레스 호
르몬의 분비를 촉진하여 면역력을 저하시키고,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모세혈관을 위
축시키며, 모유두의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여 탈모를 촉진시킨다.

(라) 그 밖의 원인
그 밖의 원인으로 영양 장애, 질병, 노화, 물리적·화학적 자극 등이 있다.

(2) 탈모의 종류
탈모는 유전에 의해 모발이 적은 선천성 탈모증과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모발이 빠지는
후천성 탈모증으로 구분한다. 후천성 탈모는 흉터로 인하여 모발이 재생되지 않는 반흔성
탈모와 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 원형 탈모, 휴지기성 탈모 등 원인이 제거되면 모낭에
서 다시 모발이 자라나는 비반흔성 탈모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부분적으로 탈모가 일어
나는 국한성 탈모와 두피 전체에 골고루 탈모가 일어나는 미만성 탈모로 구분한다.

(가) 남성형 탈모
1) 유전적 요인에 발생
2) 남성 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해지는 사춘기 이후부터 모발이 빠지기 시작
3) 굵은 모발이 빠지고 점차 가늘고 부드러운 모발만 남게 됨
4) 탈모 시기를 늦추기 위해서는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해야 함
5) 두피관리를 위해 혈액순환, 적당한 운동, 영양 공급 등이 필요함

(나) 여성형 탈모
1) 탈모의 유전인자를 가진 여성에게도 안드로젠성 탈모가 나타날 수 있음
2) 헤어라인 주변은 탈모가 일어나지 않음
3) 호르몬 분비 이상, 갑상샘 기능 저하, 갱년기 후 여성 호르몬 이상 등이 원인

(다) 원형 탈모: 자가면역질환으로 면역세포의 이상반응

68
(라) 노인성 탈모: 모낭의 소실로 인해 두피 전체의 모발량이 ⅓이 감소하는 노화 현상
두피에 영양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모발이 가늘어지고 윤기가 없어지면서 탈모 현상
이 나타난다.

(마) 지루성 탈모
과잉 분비된 피지가 모근으로 역류하면 모발과 모낭의 결속력을 약하게 하여 성장기
의 기간을 단축시킴으로써 탈모 현상이 발생한다. 이 밖에도 잘못된 샴푸 습관으로
두피가 청결하지 못하거나 스타일제의 과다 사용으로 모공이 막혀 정상적인 피지분
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모공 안에서 조직이 손상되어 탈모 현상이 발생한다.

(바) 비강성 탈모
비듬균의 이상 증식으로 발생하는 탈모로서 두피가 청결하지 못하여 비듬균이 정상
적인 두피보다 배 이상 증식하는 경우에 모공을 막아 피지분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모공 안에서 조직의 손상과 모낭의 위축을 가져와서 탈모 현상을 발생한다.

 모발
모발은 머리카락을 포함한 전신에 있는 모든 털로 케라틴이 주성분인 피부의 부속물이다. 모발
은 단단한 각화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털이 난 부위에 따라 두발, 수염, 체모 등으로 구분한
다. 또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거나 광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다.

1. 모발의 기능
보온 기능, 보호 기능, 배출 기능, 감각 기능, 장식 기능을 가지고 있다.

2. 모발의 구조

(1) 모근
표피의 안으로 털이 박힌 부분이다. 모낭 안쪽에서 모발은 성장한다. [그림 2-7]의 모근
의 구조와 같이 모낭, 모유두, 모구, 모모 세포, 색소 세포, 입모근, 피지샘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50.


[그림 2-7] 모근의 구조

69
(가) 모낭: 모근을 둘러싼 주머니로 태아기 때 생성

(나) 모유두: 모낭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모발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여 성장과 발생

(다) 모구: 모낭의 아래쪽에 둥근 모양을 하고 있음

(라) 모모 세포: 모유두에서 영양을 공급받아 세포 분열과 증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 모표


피, 모피질, 모수질로 분화

(마) 색소 세포: 모발의 색을 표현하며, 모기질 세포 사이에 존재

(바) 입모근: 모낭의 중간 부분과 진피층과 연결되어 사람의 의지와 상관없이 털을 세우는 근
육으로 추위나 공포감을 느낄 때 수축하여 털을 세우기 때문에 기모근이라고도 함

(사) 피지샘: 피지샘은 피지를 만드는 곳으로 모발을 따라 배출되며, 모발에 윤기를 부여

(2) 모간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51.


[그림 2-8] 모간의 구조

(가) 모표피(cuticle)
모발의 가장 바깥쪽 부분으로 모발의 10~15%를 차지하며 일반적으로 5~15겹의 구
조로 쌓여 있다. 색상은 투명하며 외부의 물리적·화학적 자극으로부터 모발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모표피의 모양은 생선의 비늘 모양처럼 여러 겹으로 겹쳐 있
으며, 구조적으로는 최외표피·외표피·내표피로 나뉜다.
1) 최외표피(epicuticle): 모표피의 가장 바깥쪽 부분에 위치하며 구성물질은 대부분이
지질과 단백질이 차지하고 있다.
2) 외표피(exocuticle): 모표피의 중간층으로 구성물질은 시스틴 함량이 가장 많이 차지
하고 있으며 비결정 단백질층이다.
3) 내표피(endocuticle): 내표피는 가장 안쪽 부분에 위치하며 세포막 복합체(CMC:
cell membrane complex)와 접착되어 있다.

(나) 모피질(cortex)
모발의 85~90%를 차지하며 모발의 특성, 즉 탄력성, 유연성 등의 물리적인 부분과
흡습성, 팽윤성 등 화학적인 특성에 관여한다.

70
1) 피질 세포(cortical cell)
결정성 영역으로 폴리펩티드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아미노산의 펩티드 결합에
의해 결합된 폴리펩티드가 결합하여 원섬유(proto fibril)를 만든다. 원섬유 다발
이 미세섬유(micro fibril)를 만들고 미세섬유 다발이 거대섬유(macro fibril)를
구성한다.
2) 세포간층 물질(inter-macrofibril substancel)
비결정성 영역으로 기질과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로 구성
되어 있다. 폴리펩타이드가 불규칙적인 형태의 이온 결합(ionic bone)으로 이루
어져 있으며, 이것을 기질(matrix)이라고도 한다.
3) 멜라닌 소체(melanosome)
모발의 색상을 결정하며 타원형 또는 원형의 형상으로 피질 세포 사이에 분산되
어 존재한다. 멜라닌 색소는 유멜라닌과 페오멜라닌으로 나뉜다. 유멜라닌은 색소
의 입자가 크고 흑갈색과 적갈색의 색소를 가지고 있으며 동양인과 흑인의 모발
색상을 결정하고, 페오멜라닌은 색소의 입자가 적고 황색을 나타내며 서양인의
모발 색상을 결정한다.

(다) 모수질(medulla)
모발의 가장 안쪽에 벌집 모양의 형태로 존재한다. 공기를 함유하여 보온 역할을 하
며 솜털이나 미성숙한 모발에는 모수질이 없을 수도 있다.

3. 모발의 성장 주기
모발은 [그림 2-9]와 같이 성장기 → 퇴행기 → 휴지기 → 발생기를 반복하며 성장하며, 이를
모발 성장 주기(모주기)라고 한다.

출처: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9] 모발의 성장 주기

71
(1) 성장기(anagen)

(가) 모발은 모낭의 모유두와 연결되어 있음

(나) 모모 세포가 모세혈관으로부터 영양을 공급받아 모기질 세포로 전달

(다) 기간은 3~6년, 전체 모발의 80~90%를 차지

(2) 퇴행기(catagen)

(가) 모발이 모낭의 모유두에서 분리되기 시작함

(나) 모구는 수축하여 길쭉한 타원형 모양으로 변화됨

(다) 기간은 3~4주, 전체 모발의 1~2%를 차지

(라) 여성의 출산 후 탈모 현상은 성장기에서 휴지기로 바로 넘어가는 현상

(3) 휴지기(telogen)

(가) 모낭에서 모유두가 완전히 분리됨

(나)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하여 성장이 멈춘 상태로 모낭에 담겨 있는 상태

(다) 신생모가 자라기까지 모발 내에 존재하며, 브러싱이나 샴푸 등에 의해 모발이 쉽게 빠지


는 시기

(라) 기간은 3~4개월, 전체 모발의 10%를 차지

(마) 여성의 출산 후 호르몬 변화로 휴지기의 모발이 약 30%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남

(4) 발생기

(가) 모낭과 모유두가 다시 연결되어 영양 공급을 받음

(나) 발생기에 있는 모낭에는 휴지기의 모발과 발생기의 모발이 같이 존재

(다) 발생기에서 성장기로 가는 단계는 기간이 매우 짧음

4. 모발의 구성 성분
케라틴(아미노산) 80~90%, 수분 10~20%, 지질 1~8%, 멜라닌 색소 1~3%, 미량 원소
0.6~1%로 구성되어 있다.

(1) 케라틴: 18종류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시스틴(systine)이라는 아미노산이


16~18%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음

(2) 수분: 전체적으로 10~20%의 수분이 존재하며, 샴푸 직후에는 30~35%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수분이 10% 이하이면 건성 모발로 외부의 자극에 쉽게 손상됨

(3) 지질: 모발의 표면에 존재하는 땀과 혼합하여 피지막을 형성, 모발의 pH는 모발 자체를 나타
내는 것이 아닌 모발을 감싸고 있는 피지막의 pH를 나타내는 것으로 pH 4.5~5.5의 약산성
을 나타냄

(4) 멜라닌 색소: 모발의 색소를 나타내는 색소 형성 세포로 모유두에 위치, 멜라닌의 종류는 크

72
게 흑색과 갈색을 나타내는 유멜라닌(eumelanin)과 황색과 적색을 나타내는 페오멜라닌
(pheomelanin) 두 종류가 있음

(5) 미량 원소: 모발에는 철·망가니즈(망간)·구리·아이오딘(요오드)·아연·플루오린(불소)·크로뮴(크


롬)·비소 등 약 30여 종이 포함되어 있음. 미량 원소의 양에 의해 모발의 색상이 변함

 모발의 특성

1. 모발의 형태
모발의 형태는 직모·파상모·축모 세 종류로 분류한다. 분류의 기준은 모경지수로 확인하며,
모경지수는 모발 단면의 최소 지름을 최대 지름으로 나누어 모경지수가 1일 때 모발의 횡
단면은 원형이 된다.

(1) 직모(straight hair)


직모는 모발을 단면으로 잘랐을 때 원형에 가깝고 모낭에서 세포가 자랄 때 모모 세포
의 성장 속도가 일정하여 모간 부분이 일직선으로 세워져 있다. 황인종인 동양인에게서
많이 볼 수 있다.

(2) 파상모(curly hair)


파상모는 모낭의 한쪽이 약간 굽어 있어서 모발의 형태가 구불구불하게 자라난다. 모발
의 단면이 타원형을 보이며, 파상의 형태는 일정하지 않다. 서양인 중 백인에게서 많이
볼 수 있다.

(3) 축모(kinky hair)


축모는 모낭의 단면이 심하게 구부러진 상태로 성장하며, 특히 아프리카 흑인에게서 많
이 볼 수 있다.

2. 모발의 화학적 특성
모발은 아미노산과 아미노산이 강하게 결합되어 있는 주쇄 결합(세로결합)과 주쇄 결합된
폴리펩타이드를 가로로 연결하는 측쇄 결합(가로결합)으로 이루진다.

(1) 주쇄 결합(폴리펩타이드: polypeptide)


아미노산과 아미노산의 결합인 펩타이드 결합(peptide bond)은 가장 강한 결합으로 화
학적인 처리에도 영향을 적게 받아 모발이 잘 끊어지지 않는다.

(2) 측쇄 결합(chain bond)


측쇄 결합은 시스틴 결합(황결합)·이온 결합(염결합)·수소 결합 등의 다양한 결합들이 가
로로 주쇄에 있는 폴리펩타이드를 연결하여 고정시켜 준다.

(가) 시스틴 결합(disulfide bond)


S-S(황) 원자 사이에 형성되며 물리적·화학적 성질에 안정성을 높여준다. 화학적으로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이용하여 퍼머넌트 웨이브를 한다.

73
(나) 이온 결합(ionic bond)
나트륨 양이온과 염소 음이온이 결합된 소금 때문에 염 결합이라고도 하며, 모발을
구성하는 원자들 간에 서로 결합하여 새로운 구성을 하는 것을 이온 결합이라고 한
다. 모발은 pH 4.5~5.5일 때 결합력이 최대로 강하며 산성이나 알칼리성으로 기울
면 결합이 약해져 모발이 손상될 수 있다.

(다) 수소 결합(hydrogen bond)


산소(O)와 수소(H) 간의 결합으로 거리가 먼 경우는 수분에 쉽게 절단되었다가 건조
하면 재결합되는 성질이 있어 수분과 약품에 의해 쉽게 절단될 수 있으며, 재결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모발이 손상될 수 있다.

3. 모발의 물리적 성질

(1) 인장강도
모발을 힘 주어 당겨 끊어질 때까지의 힘을 말하며, 모발이 늘어나는 정도를 신장률이라
한다. 모발이 원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신장률은 5% 전후이고 모발이 수분을 흡수한 상
태에서는 건조한 상태보다 50% 정도 늘어난다.

(2) 흡습성
모발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배출하는 성질을 말한다. 건조한 모발은 열에 강하지
만 젖은 모발은 열에 약하여 측쇄 결합의 수소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모
발이 손상될 수 있다.

(3) 팽윤성
모발이 수분을 흡수하면 길이, 굵기, 중량이 모두 증가한다. 팽윤이 한계에 도달하면 중
지하며, 이때를 한계 팽윤이라고 한다.

(4) 열변성
모발은 건열과 습열에 따라 변성의 정도가 다르다. 건열인 상태에서는 120℃ 전후에서
팽화되고, 130~150℃에서는 변색되며, 270~300℃에서는 타서 분해된다. 특히 열을 사
용하는 퍼머넌트·염색·탈색 작업에서 세척을 확실히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강한 열처리
를 하면 모발이 손상된다.

(5) 광변성
태양광선의 파장은 적외선·자외선·가시광선으로 구분되는데, 그중의 적외선에 의해 모발
의 케라틴은 영향을 받아 손상될 수 있으며, 자외선 또한 모발에 광화학적 반응을 일으
켜 시스틴의 감소를 가져온다. 미용 기기 중 적외선과 자외선의 잘못된 사용은 모발의
구조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기기 사용에 주의한다.

(6) 대전성
모발의 마찰로 인하여 전기가 발생하면 모발끼리 엉키거나 모발끼리 달라붙어 헤어스타

74
일링이 잘 이루지지 않으므로 헤어세럼 등으로 수분을 부여하거나 정전기 방지용으로 시
판되는 헤어제품을 사용한다.

4. 손상 모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모발이 손상된 경우이다.

(1) 물리적 요인에 의한 손상: 외부적인 마찰에 의한 모표피의 들뜸과 탈락, 헤어커팅 가위 불량
에 의한 모발 끝의 갈라짐, 잦은 열기구 사용으로 인한 모발의 변성, 다공성 모발 등이 나타
난다.

(2) 화학적 요인에 의한 손상: 잦은 파마, 염색과 탈색 시술로 인한 모발 내 시스틴 함량 저하,


알칼리제로 인한 모표피 손실, 열모, 지모, 멜라닌 퇴색 등이 나타난다.

(3) 환경적 요인에 의한 손상: 자외선, 표백제가 녹아 있는 수영장, 염분과 금속이온이 높은 바닷


물, 대기오염과 건조한 기후에 의해서 모발의 광택이 감소하고 모발 내 단백질 변성이 일어
나며 다공성 모발과 건조한 모발이 된다.

(4) 생리적 요인에 의한 손상: 스트레스, 영양소 결핍, 호르몬의 불균형 등으로 모발 성장이 저해
되어 모발이 가늘어지고 모발의 형태 변화가 일어나며 탈모가 유발된다.

 두피·모발관리에 필요한 제품

1. 샴푸제
샴푸제를 <표 2-8>과 같이 기능에 따라 분류하면 건강모용, 손상모용, 염색모용 등이 있고,
pH에 따라 분류하면 산성, 중성, 알칼리 샴푸제가 있으며, 물의 사용 여부에 따라 분류하
면 웨트, 드라이 샴푸제가 있다. 샴푸의 목적에 맞게 샴푸제를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
요하다.
<표 2-8> 샴푸제의 종류와 특성(모발 중심)

종류 특성
모발을 청결하게 하는 목적으로 사용함
일반 샴푸제
세정력이 좋고 거품 형성이 잘됨
과도한 피지분비 조절, 세정력을 높이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세균 번
지성 모발용 삼푸제
식과 염증 억제 성분 포함
건조하고 푸석한 모발에 사용함
건성 모발용 샴푸제
비이온성과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주로 사용됨
모발의 감촉, 윤기 등을 주어 모발의 물리적 상태를 개선함
컨디셔닝용 샴푸제
카티온 계면활성제 보습성 유제 포함

손상 모발용 샴푸제 모발 보습제·항산화제·pH 조절제 등을 포함

pH가 5~6의 약산성으로, 주로 염색이나 파마 시술 후 색과 형태 변화


산성 샴푸제
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함

중성 샴푸제 주로 염색이나 파마 시술 전에 모발의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함

알칼리 샴푸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샴푸로 세정력이 우수함

75
질환 또는 기타 사유로 일상적인 샴푸를 할 수 없을 때 물을 사용하지
드라이 샴푸제
않고 파우더, 가스 등을 사용하여 샴푸함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58.

*샴푸제의 성분 (본 모듈 p. 16 참고)

2. 헤어컨디셔너 및 헤어트리트먼트(본 모듈 pp.36~38 참고)

3. 스캘프 스케일링제
두피의 노폐물, 노화 각질, 피지 산화물 등을 제거하여 모공을 청결하게 하고 두피 각화 주
기를 정상화시켜 영양분의 흡수를 도와준다. 에어건 또는 솜으로 감싼 스틱이나 손가락의
지문을 사용하여 두피를 스케일링한다.

(1) 종류
두피용 스케일링제의 종류에는 건성 두피용, 지성 두피용, 민감 두피용, 건강 두피용 등
이 있으며, 액상 타입, 젤 타입, 오일 타입, 크림 타입 등의 유형이 있다. 두피 유형에
맞게 제품을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성분

(가) 살리실산, 레졸신, 니코틴산, 세파틴산, 유황, 시트르산(citric acid)

(나) 비타민 B₅, 비타민 B₆, 비타민 E

(다) 감초 추출물,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화합물

(라) 멘톨, 페퍼민트

4. 두피 영양제
두피에 사용하는 영양 제품에는 토닉·앰플·팩 등이 있으며, 육모·피지 조절·비듬 관리·영양
공급 등을 주목적으로 사용한다. 도포 후 고주파기·초음파기·적외선기 등의 기기를 사용하
면 더 효과적이다.

(1) 두피 영양제의 종류

(가) 두피 토닉
액상 타입으로 두피를 청결하게 하고 염증을 완화시키며 혈액순환도 왕성하게 한다.
토닉은 에탄올 용액 60~80%와 물을 보습제, 향료, 착색료 등을 혼합한 것이 많다.
스프레이 형태로 사용하거나 유리관과 면봉, 에어건으로 사용한다.

(나) 앰플
고농축의 앰플 형태로 두피에 적합한 영양을 도포하여 활력을 주고자 할 때 사용하
며, 두피 유형에 따라 사용한다. 기기를 함께 사용하면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다) 스캘프 팩
스캘프 팩은 소염 효과, 진정 효과, 피지 제거 효과 등이 있다. 가급적 모발보다는

76
두피에 도포하도록 하며, 자연 건조 또는 적외선램프를 조사하여 건조한다.

(2) 두피 영양제 성분

(가) 혈행 촉진 효과: 달맞이꽃, 세파란틴, 비타민 E, 니코틴산 등

(나) 모근 영양 효과: 비타민 B, 비타민 E, 시스테인, 시스틴, 아미노산 진액 등

(다) 모근 세포 생성과 보습 효과: 글리세린, 하이론산, 세라마이드 등

(라) 항균과 피지분비 조절 효과: 살리실산, 레졸신, 유황, 시트르산, 비타민 B₆ 등

(마) 가려움증 해소와 청량감 효과: 멘톨, 페퍼민트, 에탄올 등

5. 기타
두피 마사지용 브러시, 면봉(스틱), 비닐캡 등 두피모발 관리에 필요한 도구 등이 있다.

(1) 면봉 만들기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4.


[그림 2-10] 두피 스케일링 면봉 만들기

면봉은 [그림 2-10]과 같이 솜(탈지면)을 7cm×10cm를 자른 후 솜의 긴 쪽의 한쪽 면


에 물을 살짝 적신 다음 스틱의 뾰족한 부분이 솜의 안쪽 0.1mm에 올려놓고 스틱에
솜이 단단하게 말릴 수 있도록 주의한다.

 샴푸와 매뉴얼 테크닉 유형

1. 샴푸

(1) 와식 샴푸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5.


[그림 2-11] 와식 샴푸

와식 샴푸는 [그림 2-11]과 같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하는 방법으로 일자형으로 펼쳐

77
진 샴푸대에 고객이 누운 상태에서 샴푸한다.

(2) 좌식 샴푸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5.


[그림 2-12] 좌식 샴푸

좌식 샴푸는 [그림 2-12]과 같이 고객이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하는 방법이다.

2. 매뉴얼 테크닉

(1) 릴랙스 매뉴얼 테크닉


고객의 뭉친 근육을 이완시켜 두피로 가는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관리의 효과를 증진
시키려는 목적으로 두피관리 시작 전 또는 후에 시행하는 매뉴얼 테크닉이다. 매뉴얼 테
크닉은 고객의 두피 상태에 맞게 손과 기기를 이용하여 시행할 수 있다.

(2) 두피 매뉴얼 테크닉


두피 근육을 이완시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스케일링의 효과를 증진시키며, 두피 영
양제의 흡수를 돕는 매뉴얼 테크닉이다. 민감성 두피나 염증이 심할 때에는 과도한 매뉴
얼 테크닉은 피해야 한다.

(가) 스케일링 도포 후 두피 매뉴얼 테크닉


오일 타입의 스케일링제를 사용하여 민감성 두피의 경우 강한 압을 주지 않고 짧은
시간 안에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시행한다.

(나) 영양 흡수 단계의 두피 매뉴얼 테크닉


스케일링을 스티머로 연화시켜 하는 경우에는 스케일링 도포 후 매뉴얼 테크닉을 하
지 않고 영양 흡수를 도와주는 마무리 단계에서 한다. 지나친 매뉴얼 테크닉은 두피
를 자극하여 피지분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가볍게 제품의 흡수를 도와주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줄 수 있는 정도로만 시행한다.

78
수행 내용 1 / 두피관리 실행하기

재료·자료

• 기기와 제품 설명서

• 상담용 두피·모발 사진

• 고객관리 차트

기기(장비 ・ 공구)

• 두피·모발 진단기, 스팀기, 관리 기기 일체

• 소독 장비, 소독제

• 샴푸대

• 미용 경대와 고객 의자(또는 실습용 작업대)

• 이동식 작업대(또는 실습용 바구니)

안전 ・ 유의 사항

• 두피 상태의 정확한 분석과 올바른 방법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한다.

• 두피 상태에 맞는 제품을 선정하여 적정량을 사용한다.

• 매뉴얼 테크닉은 이완을 목적으로 하므로 천천히 차분하고 리듬 있게 한다.

• 증상이 심각한 고객은 전문의와의 상담을 권유한다.

수행 순서

 미용업소에 방문한 고객을 맞이한다.

1. 고객을 상담 또는 관리 공간으로 안내한다.

2. 재방문한 고객은 고객관리 차트로 이전 관리 내역을 확인한다.

3. 처음 방문한 고객은 고객관리 차트에 기본 정보를 기록한다.

 문진, 시진, 촉진, 검진을 하면서 고객과 상담한다.

79
상담 시간은 10~15분이 적당하므로 시간을 보며 상담한다.

1. 고객관리 차트 내용을 중심으로 고객에게 질문하고 그 내용을 기록한다.

2. 고객관리 차트 내용을 중심으로 눈으로 고객의 두피와 모발 상태를 관찰하고, 그 내용을 기록한다.

3. 고객관리 차트 내용을 중심으로 손으로 고객의 두피와 모발 상태를 만져보고, 그 내용을 기록한다.

4. 두피·모발 진단기로 고객의 두피와 모발 상태를 확인하고 그 내용을 기록한다.

(1) 관리사의 손과 사용할 기기를 소독한다.

(2) 두상 전체를 촬영한다(1배율).

(3) 촬영할 부분의 두피가 잘 보이도록 진단기의 렌즈를 수직으로 올려 촬영한다(250배율).


렌즈를 천천히 움직이며 촬영하고, 렌즈가 두피를 너무 누르지 않고 촬영한다.

(4) 두상의 다양한 부위를 촬영한 후 비교하며 확인한다.

(5) 뽑힌 모발의 모구와 모표피를 촬영한다(400~800배율).

(6) 두피 상태의 추이 확인을 위해 촬영 위치를 기록하고 이후 관리 때 같은 위치를 촬영한다.

 상담 내용을 근거로 두피·모발 상태를 분석한다.

1. 두피의 색상, 각질의 양, 모공 속 모발 개수, 피지분비량, 가려움 등의 이상 증세를 분석한다.

2. 모발의 색상, 모표피의 손상, 모발의 매끄러움, 수분 흡수율 등을 분석한다.

3.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두피·모발 유형별 관리 계획을 수립한다.

수행 tip

· 샴푸 직후에 촬영하면 두피의 열기로 렌즈에 습기가 서려 뿌


옇게 보일 수 있다.
· 제조사마다 고객관리 프로그램과 두피·모발 진단기 사용법이
다르므로, 사용설명서에 따라 작업한다.

 고객에게 분석 결과와 관리 계획을 설명한다.

1. 촬영한 두피·모발 사진과 관련 참고 자료를 보여주며, 현재 고객의 두피·모발 상태를 설명한다.

2. 계획한 관리 프로그램의 내용, 시간, 순서, 기간, 가격 등을 설명한다.

80
수행 tip

· 고객과의 신뢰가 중요하므로 고객의 두피·모발 상태를 과장해


서 표현하지 않는다.
· 고객이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 두피·모발의 문제는 한 가지 이상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
며, 짧은 기간에 효과를 기대하기보다 지속적인 관리의 중요
성을 인식시킨다.

3. 고객관리 차트의 작성 내용을 점검한다.

(1) [그림 2-19]에서 작성한 고객관리 차트의 내용을 점검한다.

(2) 두피·모발 관리 실행 전에 차트 내용 중 누락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한다.

 고객을 두피관리 공간으로 안내한 후 작업대에 앉힌다.

1. 고객을 두피관리 공간으로 안내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9.


[그림 2-13] 고객 안내하기

(1) [그림 2-13]와 같이 고객에게 두피관리에 적합한 복장으로 갈아입도록 안내한다.

(2) 릴랙스 매뉴얼 테크닉을 진행할 수 있는 작업대에 앉도록 안내한다.

 릴랙스 매뉴얼 테크닉을 한다.

1. 관리사의 손을 소독하고 관리사도 간단한 스트레칭을 한다.

2. 고객의 근육이 이완되도록 핫팩 등으로 어깨를 따뜻하게 한다.

3. 고객을 스트레칭하여 근육의 긴장을 풀어준다.

(1) 좌우로 스트레칭을 한다.

81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0.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14] 목 부분 좌우 스트레칭

고객의 두상을 [그림 2-14]과 같이 좌측으로 돌려 한 손은 어깨를 다른 한 손은


머리를 잡고 지그시 누른다. 반대편도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

(2) 앞뒤로 스트레칭을 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0.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15] 목 부분 앞뒤 스트레칭

한 손은 이마를 잡고 다른 한 손은 뒷목 부분을 잡은 후 [그림 2-15]과 같이 앞쪽으로


지그시 밀어 스트레칭한다. 뒤쪽으로도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

4. 승모근을 풀어준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0.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16] 승모근 주무르기

(1) 승모근을 [그림 2-16]와 같이 좌우로 3등분하여 가볍게 주무른다.

(2) 신체의 중심에서부터 승모근 쪽을 [그림 2-16]와 같이 엄지손가락으로 누르고 나머지 손가락
으로 앞쪽을 잡은 후 관리자 쪽으로 지그시 잡아당긴다. 좌우로 3등분하여 잡아당겨준다.

82
5. 기립근을 눌러준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1.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17] 기립근 눌러주기

척추를 중심으로 양쪽의 기립근을 [그림 2-17]과 같이 엄지손가락으로 지그시 눌러준다.

6. 견갑골 사이의 압점을 눌러준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1.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18] 견갑골 눌러주기

견갑골 사이를 [그림 2-18]와 같이 양쪽 손가락을 이용하여 눌러가며 뭉친 근육을 풀어준다.

7. 등 근육을 두드려준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2.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19] 등 근육 두드리기

승모근·기립근·견갑골 부분의 근육 눌러주기를 마친 후 [그림 2-19]와 같이 손 옆면과 손등


을 사용하여 등 근육을 두드려 풀어준다.

8. 등 근육을 쓰다듬어준다.

83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2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20] 어깨 근육 쓰다듬기

등 부분의 근육은 [그림 2-20]과 같이 쓰다듬어 긴장을 풀어준다.

9. 상박 부분에 매뉴얼 테크닉을 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2.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21] 어깨와 팔 풀어주기

(1) 어깨와 팔의 긴장을 풀어주기 위해 [그림 2-21]과 같이 어깨를 손으로 3초간 지그시 눌
러준다.

(2) 양팔의 어깨에서 팔꿈치까지 쓸어내린 후 굴려가면서 풀어준다.

10. 두피 매뉴얼 테크닉을 한다.

(1) 후두부를 눌러준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3.


[그림 2-22] 후두부 눌러주기

아문 → 천주 → 풍지 → 예풍 → 각손의 순서로 [그림 2-22]과 같이 엄지손가락으로 굴려주

84
다가 지그시 눌러준 후 아문에서 백회까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

(2) 전두부를 눌러준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3.


[그림 2-23] 전두부 눌러주기

헤어라인의 신정 → 백회, 곡차 → 백회, 두유 → 백회, 백회 → 아문의 순서로 [그림 2-23]


와 같이 가운뎃손가락을 사용하여 지그시 눌러주면서 이동한다.

(3) 두피 전체를 4등분하여 손바닥으로 감싼 후 [그림 2-24]과 같이 천천히 눌러주었다가 풀어


주기를 3회 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2.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24] 두피 전체 감싸 주기

(4) [그림 2-25]과 같이 손의 옆면을 사용하여 모상건막을 지그재그로 들어 올린다.

출처: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2.


[그림 2-25] 모상 건막 자극하기

85
(5) [그림 2-26]와 같이 모발을 주먹으로 잡은 후 천천히 당기고 늦추고를 3회 반복으로 모공을
자극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4.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26] 모공 자극하기

(6) 두피 전체를 [그림 2-27]과 같이 손을 오목하게 하고 튕겨준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4.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27] 두피 전체 튕겨주기

(7) 귀의 압점을 [그림 2-28]와 같이 이문 → 청궁 → 청회 → 예풍의 순으로 눌러서 자극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5.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28] 귀 압점 눌러 자극하기

(8) 귀 바퀴를 잡고 위·뒤·아래쪽으로 [그림 2-29]와 같이 당겨준다.

86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5.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29] 귀 당겨주기

(9) 귀를 앞쪽으로 접은 후 [그림 2-30]과 같이 손으로 덮어주고 다른 손으로 두드려준다. 반대


편도 동일하게 진행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5.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30] 귀 두드리기

(10) 관리자의 양손을 고객의 어깨 위에서 멈춤으로써 두피 매뉴얼 테크닉을 마무리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6.


[그림 2-31] 마무리하기

두피 메뉴얼 테크닉의 마지막 단계로 [그림 2-31]과 같이 고객의 눈앞에 관리자의 양손


을 모아 잠깐 멈춘 후 고객의 머리 위쪽으로 관리자의 양손을 이동하여 잠깐 멈추다.

87
수행 tip

· 릴랙스 매뉴얼 테크닉은 모든 동작을 3회 정도 반복하며 15


분 정도 시행한다.
· 목을 세운 상태에서 매뉴얼 테크닉을 해야 목의 근육이 잘
잡히며, 림프선을 건드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 두피 유형과 관리 방법에 따라 브러싱과 스케일링을 한다.

1. 고객을 스케일링과 샴푸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안내한다.

(1) 고객의 어깨 위에 타월, 어깨보 등을 감싸준다.

(2) 브러싱한다.
두피와 모발에 오염물 제거와 엉킨 모발 정돈 및 마사지 효과를 위해 [그림 2-32]과 같
이 사전 브러싱을 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7.


[그림 2-32] 브러싱하기

(3) 두피 스케일링을 한다.

(가) 두피 스케일링을 할 수 있도록 두피 유형에 적합한 스케일링제와 면봉을 준비한다.

(나) 두피 타입에 적합하도록 스케일링한다.


1) 스케일링을 위한 블로킹을 하여 진행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7.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33] 두피 스케일링 블로킹하여 스케일링하기

88
두상을 4개의 영역으로 [그림 2-33]와 같이 블로킹하고 면봉에 용액이 흐르지 않
을 정도로 적신다. 측두부 → 후두부 순으로 도포하며 1~1.5cm 간격으로 슬라이
스를 뜨고 면봉을 문지르듯이 스케일링한다.

수행 tip

· 액상 타입은 스틱이나 에어건을 사용하여 두피에 도포.


· 민감성 두피는 손이나 에어건을 사용하여 도포 .
· 두상의 블로킹을 모발의 조건에 따라 3등분, 5등분으로 할 수
있으며, 슬라이스도 전대각 또는 후대각을 사용.
· 제품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그릇(또는 유리관)에 담아 사용
· 남은 제품은 재사용 금지
 미스트기를 사용하여 수분을 공급한다.

1. 전원을 켠 후 미스트가 발생할 때 가지 예열이 필요하므로 샴푸 전에 전원을 미리 켜 놓는다.

2. 다음 고객의 두피 타입에 적합하도록 [그림 2-34]와 같이 미스트기를 작동한다.

수행 tip

· 미스트는 스케일링 전후 또는 중간에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


에 따라 사용을 생략할 수 있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8.


[그림 2-34] 헤어 스팀기 기기와 연결하여 작동하기

2. 고객의 헤어라인에 헤어밴드를 하고 스팀기의 모자를 씌운다.

(1) 모발의 물기와 수증기가 얼굴과 눈으로 흐르지 않도록 헤어밴드를 한다.

(2) 스팀기의 모자를 헤어밴드 위로 씌운다.

(3) 씌운 스팀기의 모자 위치가 불편한지 고객에게 확인한다.

(4) 스팀기 사용 준비가 완료되면 [그림 2-34]과 같이 시작 버튼을 눌러 스팀작동을


확인한다.

3. 스팀기를 작동시키고 종료되면 스팀기의 모자를 벗긴다.

(1) 스팀기가 작동되는 동안 미스트의 분무량, 온도 등이 불편한지 고객에게 확인한다.

89
(2) 스팀기의 작동이 종료되면 얼굴로 물이 흐르지 않도록 주의하며, 스팀기의 모자와 헤어밴드를
벗긴다.

 고객을 샴푸공간으로 안내하고 샴푸한다.

1. 고객을 샴푸 공간으로 안내한다.

(1) 고객을 샴푸 공간으로 안내 후 고객의 어깨 위에 샴푸보 등으로 감싼다.

(2) 고객을 샴푸 의자에 눕힐 때 자세가 불편한지 확인하며 샴푸대를 조절하거나 고객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3) 고객에게 샴푸 마스크(얼굴 가리개), 무릎 덮개 등을 덮는다.

2. 물 온도를 확인한 후 모발 전체에 물을 충분하게 적신다.

(1) 물 온도는 시술자의 손목 안쪽에 물이 흐르게 하여 확인하고, 고객의 두피 쪽에 살며시 물을


대어 주고 온도가 적당한지 고객에게 확인한다.

(2) 헤어라인을 물로 적실 때는 [그림 2-35]와 같이 물줄기의 방향이 고객의 얼굴 쪽으로 향하


지 않도록 주의하고 헤어라인의 중앙부터 좌우로 골고루 적신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0.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35] 수압과 온도 확인하기

(3) 양쪽 귀 위쪽의 모발을 적실 때는 [그림 2-36]와 같이 손으로 귀를 가리고 귀 쪽으로 물이


흐르지 않도록 물의 방향을 유도하면서 적신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0.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36] 귀 위쪽 적시기 예시

(4) 네이프 쪽은 물을 적시기에 편리하도록 [그림 2-37]와 같이 한 손으로 살짝 들어올리며 손

90
바닥으로 목을 받쳐주면서 물이 목 쪽으로 흘러 들어가는지 주의하면서 물을 적신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0.


(좌) 집필진 제작(2022).
[그림 2-37] 네이프 적시기

3. 샴푸제를 도포한다.

(1) 고객의 두피 유형에 맞는 샴푸제를 선정하고 두피에 자극을 주지 않기 위해서 두피에 직접


바르지 않고 손바닥에서 거품을 만든다.

(2) 샴푸제는 [그림 2-38]을 참고하여 나누어 도포한다.

(3) 샴푸 거품이 부족하면 가볍게 헹구어준 후 샴푸제를 다시 도포한다.

출처: 집필진 자체제작(2022).


[그림 2-38] 샴푸제 도포하기

4. 매뉴얼 테크닉을 한다.

(1) 거품을 충분히 만든 후 [그림 2-39]과 같이 엄지손가락의 지문을 이용하여 사이드는 헤


어라인에서 골든포인트 쪽으로 지그재그로 문지른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1.


집필진 자체제작(2022).
[그림 2-39] 사이드 지그재그 문지르기

91
(2) 백 사이드 부분은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의 지문을 이용하여 [그림 2-40]과 같
이 헤어라인에서 골든포인트 쪽으로 지그재그로 문지른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2.


집필진 자체제작(2022).
[그림 2-40] 백 사이드 지그재그 문지르기

(3) 네이프 부분도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의 지문을 이용하여 [그림 2-41]와 같이
헤어라인에서 골든포인트 쪽으로 지그재그로 문지른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2.


집필진 자체제작(2022).
[그림 2-41] 네이프 지그재그 문지르기

(4) 네이프는 [그림 2-42]과 같이 양 손가락을 교차하면서 긁어준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2.


집필진 자체제작(2022).
[그림 2-42] 가로 교차하기

(5) 후두부는 [그림 2-43]과 같이 세로로 긁어주면서 모발도 정리한다.

92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3.
집필진 자체제작(2022).
[그림 2-43] 세로 긁어주기

(6) 탑 부분을 3등분하여 [그림 2-44]를 참고하여 양손으로 반원을 그리면서 교차하며 문지른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3.


집필진 자체제작(2022).
[그림 2-44] 교차하며 문지르기

(7) 손가락의 지문 부분을 사용하여 [그림 2-45]과 같이 헤어라인과 네이프라인을 굴려주고 주먹


을 살짝 쥔 상태로 두상 전체를 굴려준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3.


집필진 자체제작(2022).
[그림 2-45] 굴려주기

(8) 손가락을 사용하여 두피의 압점을 지그시 눌러준다.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그림 2-46]와 같이 신정 → 곡차 → 두유 → 이문, 신정 →
백회 순서로 지그시 눌러준 후 한 손으로 목을 두상을 들어올린 후 아문 → 천주 → 풍지
의 순서로 지그시 눌러준 후 반대편도 눌러준다.

93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4.
[그림 2-46] 두피 압점 누르기

(9) 매뉴얼 테크닉을 마무리한다.


양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그림 2-47]와 같이 두피를 튕겨준 후 두상에 있는 거품을
아래쪽으로 훑으며 제거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4.


집필진 자체제작(2022).
[그림 2-47] 매뉴얼 테크닉 마무리하기

(10) 민감성 두피나 트러블 두피의 경우에는 강한 압을 피하고 두피에 자극이 가지 않도록 한다.

5. 샴푸제를 헹구어준다.

(1) 물의 온도를 확인하고 관리자의 손에 묻은 거품도 제거한다.

(2) 샴푸제 제거 시에는 [그림 2-48]과 같이 샤워기의 물이 프런트의 헤어라인에서 크라운을 향


해 흐르도록 하고 헹군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4.


집필진 자체제작(2022).
[그림 2-48] 프런트에서 크라운 헹구기

94
(3) 귀 위쪽의 샴푸제와 거품의 제거도 [그림 2-49]과 같이 귓속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손 등
으로 귓바퀴를 가리면서 헹구어준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5.


집필진 자체제작(2022).
[그림 2-49] 귀 위쪽 헹구기

(4) [그림 2-50]과 같이 네이프 부분은 한 손으로 샤워기를 잡고 다른 손으로 물을 받아 두드리


듯이 헹구어준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5.


집필진 자체제작(2022).
[그림 2-50] 헹구기

(가) 헹구는 과정에서 5분 정도 사용한다.

(나) 두피 상태에 따라 물살의 세기와 양, 시간 등을 조절하여 사용한다.

(5) 남아 있는 샴푸제가 없도록 헹굼 동작을 한 번 더 한 후 모발의 물기를 꽉 짠다.

 스캘프 팩을 한 후 샴푸한다.
스캘프 팩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 샴푸대 혹은 별도의 장소로 이동하여 도포 후 샴푸한다.

1. 두피 유형에 맞는 팩을 선정한다.

2. 스캘프 팩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두피에 고르게 도포한다.

3. 일정 시간 자연 방치 후 샴푸제 헹구기 순서와 동일하게 진행한다.

95
 모발의 물기를 제거한 후 타월드라이를 한다.

(1) 고객의 얼굴 위에 있던 타월을 들어 손에 감싼 뒤 [그림 2-51]과 같이 고객의 헤어라인 물


기를 닦아준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6.


[그림 2-51] 헤어라인 물기 제거하기

(2) 손을 타월로 감싼 상태에서 귓바퀴·목덜미를 닦아준다.

(3) 두상 전체를 타월로 감싼 상태로 [그림 2-52]과 같이 지그시 눌러주어 물기를 제거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어케어(LM1201010140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6.


[그림 2-52] 두상 전체 물기 제거하기

(4) 누워 있는 고객의 네이프 부분을 받치면서 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타월로 감싸고 고객을 일으
킨다.

(5) 타월로 모발과 두상을 감싸 남아 있는 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6) 고객을 두피·모발 관리 공간으로 안내한다.

수행 tip

· 본 수행 순서는 와식 샴푸를 기준으로 하였으므로 두피의 종


류에 따라 수행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샴푸의 다양한 방
법은 학습명 ‘샴푸실행’을 참고하도록 한다.

 두피 매뉴얼 테크닉을 한다.

1. 백회 부분을 눌러준다.
백회혈을 3~5회 누르며, 숨을 들이쉬고 풀면서 숨을 내쉰다.

96
2. 두피에 손가락의 지문을 누른 상태에서 굴려가면서 매뉴얼 테크닉을 한다.

3. 두상을 튕겨준다.
두상을 가볍게 잡았다가 빠르게 튕긴다. 두피의 순환을 도와주는 동작이다.

4. 두상을 쓸어내린다.
손가락을 헤어라인에 두고 부드럽게 머리 뒤쪽을 향해 미끄러지듯 양손을 자연스럽게 연결
시키며 반복한다. 안정감을 주는 동작이다.

5. 두상 전체를 두드린다.
혈액순환 촉진을 돕기 위해 두상 전체를 손가락 끝으로 가볍게 두드린다.

6. 측두부를 눌러준다.
손가락을 머리 위에 두고 손바닥을 귀 위의 측두부에 댄다. 팔꿈치를 직각으로 하고 적당
한 압으로 두상을 3초간 눌러준다. 이 동작은 긴장감을 완화시켜 준다.

7. 관자놀이를 둥글려준다.
손목 가까이에 있는 모서리나 엄지손 또는 손가락 측면으로 관자놀이를 천천히 부드럽게 둥
글려준다. 눈의 피로에 효과적이다.

8. 기를 순환시켜서 마무리한다.
손바닥을 비벼서 고객의 눈과 백회에 손바닥을 대고 3초간 머문 후 고객의 어깨에 손바닥
을 올려놓고 마무리한다.

수행 tip

· 매뉴얼 테크닉 동작이 끊어지지 않도록 연결하며 실행한다.


· 문지르고 누르는 세기, 간지러운 부위 등을 고객에게 확인하
며 매뉴얼 테크닉을 한다.
· 민감성 두피나 트러블 두피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 매뉴얼 테크닉의 순서나 방법은 미용업소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추어 조절한다.

 두피·모발 관리 공간을 정리정돈한다.

1. 두피관리를 하는 동안에 사용한 기기와 제품을 정리한다.

2. 샴푸대 주변을 정리한다.

97
수행 내용 / 모발관리 실행하기

 모발관리 방법을 계획한다.

 모발 상태와 관리 방법에 따라 샴푸한다.

1. 고객을 샴푸 공간으로 안내하여 샴푸대에 앉힌다.

(1) 고객을 샴푸 의자에 앉힌 뒤 어깨를 타월로 감싸준다.

(2) 고객에게 안정감을 주고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샴푸 마스크를 해준다.

2. 물 온도를 확인한 후 모발 전체에 물을 충분히 적셔준다.

(1) 미용사의 손목 안쪽에서 물 온도 38~40℃를 확인한다.

(2) 고객의 모발에 물을 적셔주면서 온도가 적절한지 확인한다.

3. 샴푸제를 도포한다.

(1) 샴푸 목적에 맞는 샴푸제를 선정한다.

(2) 두피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샴푸제는 두피에 직접 바르지 않고 손바닥에서 거품을 충분히


만들어 두피에 도포한다.

4. 두피에 매뉴얼 테크닉을 한다.

(1) 지그재그, 굴려주기, 교차하기, 튕기기, 압점 누르기 등의 동작을 이용해 매뉴얼 테크닉을 한다.

(2) 고객의 머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며 매뉴얼 테크닉의 동작이 멈추지 않도록 연결시켜서 한다.

5. 샴푸제를 헹구어준다.

(1) 샴푸제의 잔여 성분이 남지 않도록 충분하게 헹구어준다.

(2) 필요한 경우 스캘프 펀치(워터 펀치) 등의 헤드 스파기를 사용할 수 있다.

6. 모발의 물기를 제거한 후 샴푸를 마무리한다.

(1) 샴푸 마스크(아이 패드)를 제거한다.

(2) 타월드라이를 한 후 헤어 팩 장소로 이동한다.

수행 tip

· 샴푸의 시작과 끝을 고객에게 알려주고, 다음 동작으로 이어


질 때 고객에게 무엇을 할 것인지 설명하면서 관리한다.
· 헤어 팩은 작업 공간으로 이동하여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관
리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때에 따라 샴푸대에서 할 수도 있다.

98
 모발 상태에 적합한 헤어 팩 또는 앰플을 한다.

1. 선정한 헤어 팩 또는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다.

(1) 모발 길이와 양을 고려하여 적량의 헤어 팩 또는 앰플을 용기에 덜어낸다.

수행 tip

· 헤어 팩 또는 앰플이 두피에 많이 묻으면 샴푸 후에도 두


피 쪽의 볼륨이 가라앉을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2) 두상을 4등분한 후 섹션을 1cm 정도로 나누고 브러시를 이용하여 모발 끝부터 꼼꼼하게 헤
어 팩 또는 앰플을 도포한다.

(3) 제품 흡수를 돕기 위해 손가락으로 두피 쪽에서 모발 끝을 향해 핸들링한다.

(4) 이마에 헤어밴드를 한 후 두상에 비닐캡(랩)을 두르고 타월을 감싸준다.

수행 tip

· 핸들링은 모발을 위아래 방향으로 비벼서 마찰하면 큐티클이


박리될 수 있으므로 큐티클 스케일의 순방향으로 해야 한다.
· 긴 모발은 핀셋으로 모발을 정돈한 후 캡을 씌워야 편리하다.

2. 일정 시간을 대기 후 샴푸한다.

(1) 비닐캡 위에 타월을 감싸 준 상태에서 자연 방치한다.

(2) 필요한 경우 가온기를 사용할 수 있다.

(3) 대기 시간 동안 불편함이 없는지 고객에게 확인한다.

(4) 대기 시간이 종료되면 샴푸한 후 타월드라이한다.

수행 tip

· 가온기로 히팅 캡, 롤러볼(열기구), 스팀기 등을 상황에 맞추


어 사용한다.
· 스팀기로 가온 시 비닐캡 대신 스팀기 전용 모자를 사용한다

99
2-3. 두피·모발 관리 마무리
• 타월드라이 후 두피와 모발 상태에 따라 케어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 헤어스타일 연출을 위해 모발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며 건조할 수 있다.
• 두피·모발 관리 전후 변화를 고객에게 설명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헤어스타일링 제품을 사용하여 마무리할 수 있다.
• 건강한 두피․모발 상태 유지를 위한 홈케어 방법을 고객에게 설명할 수 있다.
•차회 방문 시 활용을 위해 두피·모발 관리 과정 및 결과에 대한 내용을 고객관리 프로그램에
입력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두피·모발 관리를 위한 마무리


모발에 묻은 이물질과 노폐물을 제거하고 외부로부터 영양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두피 청결과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두피와 모발에 영양공급은 재생을 주목적으로 제품을 도포하
며, 관리의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전문숍에서 1주일에 1~2회 관리받는 것 외에 가정에
서도 같이 이루어지도록 홈케어 방법을 알려준다.

 두피·모발 관리 방법
두피에 발생하는 문제점과 현재의 상태를 시진, 문진을 통해 체크하고, 과학적인 두피 진단을
위해서 200~800배 정도의 두피 진단기나 현미경 등을 통하여 두피를 관찰하는 것이 효과적이
다. 관리자는 고객의 두피 상태에 따라 관리 프로그램에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 두피·모발 관리카드 작성 시 유의점

1. 문제점 야기 유도
유전이나 후천적 약화 인자, 관리 방법 등 고객이 느끼는 문제점을 야기하도록 유도한다.

2. 두피관리 순서
고객의 의견을 먼저 듣고 이견이 있을 경우 고객의 희망 사항을 최대한 존중하며 설계한다.

3. 제품 사용
제품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제품을 최대한 활용하게 하고, 이 제품이 부작용이 있는 경우에
는 단계적으로 교체하도록 유도한다.

4. 두피변화 체크
관리내용을 가능한 한 상세히 적어 방문할 때마다 두피 변화를 체크한다.

100
수행 내용 / 두피·모발 관리 마무리하기

재료·자료

• 기기 설명서

• 상담용 두피·모발 사진

• 고객관리 차트

• 헤어스타일링 제품

기기(장비 ・ 공구)

• 두피·모발 진단기

• 헤어드라이기 등 헤어스타일 연출 도구

• 미용 경대와 고객 의자(또는 실습용 작업대)

• 이동식 작업대(또는 실습용 바구니)

안전 ・ 유의 사항

• 관리의 추이를 장기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두상의 일정부분을 지정하여 촬영한다.

• 관리 후 열기구(헤어드라이기, 헤어아이론)로 헤어스타일 연출 시 수분증발 현상을 모발손상


으로 오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충분하게 하여 고객을 안심시킨다.

수행 순서

 두피모발 관리 결과를 확인하고 관리 전후를 비교 설명한다.

1. 고객의 두상 중 3~4군데의 두피를100배 비율 이상으로 촬영한다.


샴푸 후 수분이 많은 상태에서 촬영하면 렌즈에 습기가 차서 화면이 선명하지 않을 수 있
으므로 물기를 제거 후 촬영한다.

2. 관리 전과 후의 두피 사진을 비교하여 관리 성과를 설명한다.


관리 전후의 신뢰성 있는 비교를 위해 관리 전과 관리 후의 촬영 위치가 동일한 것을 확인
후 관리 성과를 설명한다.

 두피와 모발에 영양제를 도포한 후 관리를 마무리한다.

101
1. 두피 전용 영양제를 두피에 도포한다.
두피의 유수분 균형을 맞추고 pH를 조절해 주는 미스트 타입의 토닉을 도포한다.

2. 모발 전용 영양제를 모발에 도포한다.

3. 고객의 헤어스타일을 연출한다.

수행 tip

· 지나치게 건조하거나 영양 공급이 필요한 경우 두피·모발 상


태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하도록 한다.

 홈케어 방법을 설명한다.

 다음 관리 일정을 점검한다.

 고객을 배웅한다.

 공간을 정리정돈한다.

수행 tip

· 제품을 강매한다는 생각이 들지 않도록 주의하며, 올바른 관


리를 위해 제품 사용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들도록 한다.

102
학습2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두피·모발 관리에 필요한 기기, 도구, 제품 등에 관해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보고서로


제출하도록 지도한다.

• 두피의 유형별 특징과 모발의 상태별 특징에 대한 원인과 관리법 등에 관련 자료를 제시하고
설명한다.

• 두피 유형과 모발 상태별 문제점의 종류에 대해 모듈별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발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두피·모발 관리에 필요한 상담 진행 시 작성하는 고객 차트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작성


을 위한 상호 실습을 지도한다.

• 샴푸, 두피·모발 관리의 전 과정을 동영상으로 제시하고 상호 실습을 지도한다.

• 팀별로 두피·모발 관리에 필요한 제품의 종류와 특징, 사용법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
여 다른 팀의 학습자와 내용을 공유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학습 방법

• 두피·모발 관리에 필요한 기기, 도구, 제품 등에 관해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보고서로


제출한다.

• 두피의 유형별 특징과 모발의 상태별 특징에 대한 원인과 관리법 등에 관련 자료를 통해 학


습한다.

• 두피 유형과 모발 상태별 문제점의 종류에 대해 모듈별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발표한다.

• 두피·모발 관리에 필요한 상담 진행 시 작성하는 고객 차트의 필요성에 대해 학습하고 상호


실습한다. .

• 샴푸, 두피·모발 관리의 전 과정을 동영상을 통해 학습 후 상호 실습한다.

• 팀별로 두피·모발 관리에 필요한 제품의 종류와 특징, 사용법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
여 다른 팀의 학습자와 내용을 공유할 수 있도록 돕는다.

103
학습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학습 목표
상 중 하
- 두피·모발 관리에 적합한 가운, 어깨보, 타월 등의 착용을
안내할 수 있다.
- 문진, 시진, 촉진 등을 사용하여 두피·모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두피·모발
- 두피·모발 상태를 차트와 관리 프로그램에 입력할 수 있다.
관리준비
- 두피·모발 관리에 필요한 기기와 도구, 제품을 선택하여 준
비할 수 있다.
- 고객이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조명과 실내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 고객의 요구와 두피·모발 상태를 기반으로 한 관리 방법을
계획할 수 있다.
- 두피·모발 상태에 따라 관리에 필요한 기기·기구·제품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 두피 상태에 적합한 스케일링제를 도포하여 두피를 청결하게
할 수 있다.
두피·모발 - 두피·모발 상태에 적합한 기능성 샴푸제를 선택하여 충분한
관리 실행 거품으로 샴푸할 수 있다.
- 혈액순환 개선과 신진대사 촉진을 위해 두피 매니플레이션을
할 수 있다.
- 샴푸제를 완전히 제거한 두피·모발에 헤어 팩, 헤어트리트먼
트제 등을 사용하여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 마무리 세척 후 모발에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타월드라이를
할 수 있다.
- 타월드라이 후 두피와 모발 상태에 따라 케어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 헤어스타일 연출을 위해 모발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며 건조할
수 있다.
- 두피·모발 관리 전후의 변화를 고객에게 설명할 수 있다.
두피·모발
- 헤어스타일링 제품을 사용하여 마무리할 수 있다.
관리 마무리
- 건강한 두피·모발 상태 유지를 위한 홈케어 방법을 고객에게
설명할 수 있다.

- 차회 방문 시 활용을 위해 두피·모발 관리 과정 및 결과에


대한 내용을 고객관리 프로그램에 입력할 수 있다.

104
평가 방법

• 서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두피·모발 관리에 적합한 가운, 어깨보, 타월 등의 착용 방법
숙지여부
- 문진, 시진, 촉진 등을 사용한 두피·모발 상태 파악법 숙지
여부
두피·모발
- 두피·모발 상태를 차트와 관리 프로그램 입력방법 숙지여부.
관리준비
- 두피·모발 관리에 필요한 기기와 도구, 제품 선택 방법 이해
수준
- 고객이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조명과 실내온도
등을 조절방법 숙지여부
- 고객의 요구와 두피·모발 상태를 기반으로 한 관리 방법 계
획 이해 수준
- 두피·모발 상태에 따라 관리에 필요한 기기·기구·제품 등을
선택 및 사용방법 이해 수준

- 두피 상태에 적합한 스케일링제를 도포 방법 숙지여부

두피·모발
- 두피·모발 상태별 기능성 샴푸제를 선택방법 숙지여부
관리 실행
- 혈액순환 개선과 신진대사 촉진을 위해 두피 매니플레이션
방법 이해 수준
- 샴푸제를 완전히 제거한 두피·모발에 헤어 팩, 헤어트리트먼
트제 등을 사용한 영양 공급법 숙지여부
- 마무리 세척 후 모발에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타월드라이법
이해수준
- 타월드라이 후 두피와 모발 상태에 따른 케어 제품 사용 방
법 숙지여부

- 헤어스타일 연출을 위해 모발의 수분함량 조절방법 숙지여부

- 두피·모발 관리 전후의 변화를 고객에게 설명방법 숙지여부


두피·모발
관리 마무리
- 헤어스타일링 제품을 사용한 마무리 방법 이해 수준

- 건강한 두피·모발 상태 유지를 위한 홈케어 방법 이해수준

- 두피·모발 관리 과정 및 결과에 대한 내용을 고객관리 프로


그램 입력 방법 숙지여부

105
• 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두피·모발 관리에 적합한 가운, 어깨보, 타월 등의 착용에
대한 안내 능력.

- 문진, 시진, 촉진 등을 사용하여 두피·모발 상태 파악 능력

두피·모발 - 두피·모발 상태를 차트와 관리 프로그램 입력 능력


관리준비
- 두피·모발 관리에 필요한 기기와 도구, 제품 선택 후 준비
능력

- 고객이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조명과 실내온도 등


조절 능력

- 고객의 요구와 두피·모발 상태를 기반으로 한 관리 방법 계


획 능력
- 두피·모발 상태에 따라 관리에 필요한 기기·기구·제품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능력
- 두피 상태에 적합한 스케일링제를 도포하여 두피를 청결하게
할 수 있는 능력
두피·모발 - 두피·모발 상태에 적합한 기능성 샴푸제를 선택하여 충분한
관리 실행 거품으로 샴푸할 수 있는 능력
- 혈액순환 개선과 신진대사 촉진을 위해 두피 매니플레이션을
할 수 있는 능력
- 샴푸제를 완전히 제거한 두피·모발에 헤어 팩, 헤어트리트먼
트제 등을 사용하여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
- 마무리 세척 후 모발에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타월드라이를
할 수 있는 능력

- 타월드라이 후 두피와 모발 상태에 따른 케어 제품 사용능력

- 헤어스타일 연출을 위해 모발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며 건조할


수 있는 능력

- 두피·모발 관리 전후의 변화를 고객에게 설명할 수 있는 능력


두피·모발
관리 마무리 - 헤어스타일링 제품을 사용하여 마무리할 수 있는 능력

- 건강한 두피·모발 상태 유지를 위한 홈케어 방법을 고객에게


설명할 수 있는 능력

- 차회 방문 시 활용을 위해 두피·모발 관리 과정 및 결과에


대한 내용을 고객관리 프로그램에 입력할 수 있는 능력

106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두피·모발 관리에 필요한 기기, 기구, 제품의 특징과 사용법에 대한 이해 수준을 평가 후 미흡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통해 보충지도한다. .
- 고객 두피의 유형과·모발의 상태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 두피·모발의 생리와 두피의 유형별
특징, 모발의 상태별 특징에 대한 숙지여부를 평가 후 미흡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시청각 자료를제
시하고 재성명한다.
- 고객과의 원활한 상담과 고객관리 차트 작성법을 서술형으로 평가 후 성취수준이 높은 학습자에게
상호실습의 기회를 부여한다.
- 고객의 두피·모발 분석 결과에 따른 관리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지 평가 후 미흡한 학습자를 대상
으로 다시 설명한다.
2. 평가자 체크리스트
- 2일 1조로 두피모발관리를 수행하도록 하여 미흡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시연을 통해 추가 실습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

107
학습 1 헤어 샴푸하기
학습 2 두피·모발 관리하기

학습 3 손상모 특수관리하기
학습 4 미용업소 제품 사용 관리하기

3-1. 손상모 특수관리 준비


• 문진, 시진, 촉진, 모발진단기 등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발의 손상 원인과 손상 정도
를 파악할 수 있다.
• 모발의 손상 원인과 손상 정도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필요한 손상모 특수관리를 설계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고객의 경제적 상황, 시간적 여유 등을 고려하여 고객에게 적합한 손상모 특수관리를 제안할 수
있다.
• 고객과 상담을 통해 결정한 손상모 특수관리에 필요한 기기, 도구, 재료 등을 준비할 수 있다.
• 고객에게 시술할 손상모 특수관리 과정의 소요 시간, 비용 등에 관해 설명하고 기록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모발의 기능

1. 신체 보호 기능

(1) 모발: 물리적인 외부 자극과 온도, 자외선으로부터 두피와 두뇌를 보호

(2) 눈썹과 속눈썹: 외부 자극과 온도,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

(3) 콧털: 외부의 자극 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역할

2. 피부 마찰 감소 기능

(1) 겨드랑이털: 팔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마찰을 완화하고 감소시킴

(2) 생식기털: 다리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마찰을 완화하고 감소시킴

3. 감각 지각 기능

(1) 통각, 촉각, 온각, 냉각 등의 감각을 지각하여 뇌로 전달

4. 미용적 기능

(1) 외모를 장식하여 얼굴과 전체적인 이미지의 장점을 강조하고 단점을 보완해주는 역할

(2) 성별을 구분하고 개인의 개성을 표현하는 역할

108
 모발의 성장과 특성

1. 모발의 발생
인간은 수정란에서부터 세포분열을 시작하여 배엽을 형성하며 이 배엽은 3가지로 나뉜다.

(1) 내배엽: 안쪽으로 함입된 부위로 소화기 계통의 내장으로 형성된다.

(2) 중배엽: 내배엽과 중배엽 사이로 심장, 혈관, 골격, 근육으로 형성된다.

(3) 외배엽: 바깥쪽 부위로 뇌, 신경계통, 피부와 모발로 형성된다.

2. 모발의 형성

(1) 모낭의 형성
배아세포의 세포분열로 모낭이 발생하고 이 모낭에서 모발이 형성되고 성장한다. 모낭은
<표 3-1>과 같이 전모아기-모아기-모항기-모구성모항기를 거쳐 모낭이 형성된다.
<표 3-1> 모낭의 발생

구분 특징

전모아기 - 배아세포의 세포분열_모아가 형성되는 시작단계


모아기 - 중간층 세포의 배아층내로 침투_모근부가 형성되는 시기
모항기 - 모아 끝부분이 진피층 내로 들어가 입모근 형성 초기단계
- 모아가 진피 속으로 사선각도를 이루며 들어가고 모구의 하부 중심부가 함몰하
모구성모항기
면서 모유두를 감싸는 형태를 갖추는 단계_완성된모낭의 형태를 갖추는 단계
- 모세혈관에서 영양을 공급받은 모유두가 다시 모모세포로 전달되어 모모세포의
모낭
세포분열로 신생모를 만들어내는 단계

(2) 모발의 형성

(가) 모낭의 하부에 모유두가 만들어지고 모유두 내부에는 모모 세포가 발달하고 모유두 주변
에는 모세혈관이 발달한다.

(나) 음식물을 통해 섭취한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모낭으로 이동한다.

(다) 모낭 내의 모유두에 있는 모모 세포는 자율신경계의 명령을 받아 분비된 단백질 합성효


소의 도움으로 케라틴 단백질을 합성한다.

(라) 이 모모 세포는 계속된 세포증식을 통해 케라틴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마) 만들어진 케라틴 단백질은 모표피, 모피질, 모수질이 되는 부분으로 나뉜다.

(라) 케라틴 단백질이 계속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압력을 통해 케라틴 단백질이 피부 바깥쪽으


로 밀려 올라간다.

(마) 케라틴 단백질이 피부 바깥쪽으로 밀려 올라가는 과정에서 점점 단단해지며 모낭의 부속

(바) 기관인 피지선에서 피지를 만나 표면이 부드러워진 상태로 표피 바깥으로 나오게 되는


것이 모발이다.

109
(3) 모발 성장 저해 요소
충분한 단백질 섭취 및 최소한의 스트레스는 모발 성장에 도움을 주시만 <표 3-2>와 같은
원인으로 모발성장이 저해될 수 있다.
<표 3-2> 모발 성장에 방해되는 원인과 결과

원인 결과
단백질 섭취 부족 모발의 주성분 부족
모세혈관 이상 모발 성장 시 영양소와 산소공급 부족
모유두 손상 모발 성장 자체 저하
자율신경 이상 단백질 합성 효소 분비 부족으로 모발 합성 저하
호르몬, 비타민, 미네랄 결핍 단백질 합성 효소 자체 기능 저하
출처: 모발 및 두피관리. 예림. 김민정 외 5인. p.13.

3. 모발의 구조

(1) 물리적 구조
모발의 크게 모근과 모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림 3-1]와 같이 여러 가지 부속기관
이 있다.

출처: 집필진 제작(2022)


[그림 3-1] 모발의 구조

(2) 화학적 구조

(가) 구성 성분
모발은 주로 시스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딱딱한 불용성 경케라틴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 결합
모발은 길고 단단한 폴리펩티드 결합이 주를 이루며 폴레펩타이드 결합 사이에 연결
되어 있는 짧은 길이의 시스틴결합, 이온결합, 수소결합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 색소

110
모발은 멜라닌 색소를 갖고 있다. 아미노산 중 하나인 티로신이 티로시나제라는 효
소를 통해 산화반응을 거쳐 도파가 만들어지고 다시 도파퀴논의 산화반응을 거쳐 최
종적으로 멜라닌 색소가 만들어진다.

(라) 수소이온 농도
pH 4.5~5.5의 수소이온 농도에서 모발은 가장 안정적이다.

4. 모발의 성질

(1) 탄력성: 모발에 힘을 주어 잡아당겼다가 놓았을 때 원래대로 되돌아가려는 성질

(2) 대전성: 모발이 마찰에 의해 서로 전하를 띄게 되어 모발끼리 달라붙거나 떨어지는 현상

(3) 열변성: 모발에 140℃ 이상의 열을 가하게 되면 케라틴 단백질이 변형되고 경화되어 흡수성
과 시스틴결합 반응성이 저하되는 현상

(4) 흡습성: 모발이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로 손상모의 경우 수분 흡수량 증가

 모발의 손상 원인
다양한 요인에 의해 모발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 결합이 절단되어 조각난 단백질이 모발 밖으로
빠져나가 모발 내부의 영양성분이 유실되어 모발 손상의 가장 큰 원인이다.

1. 열에 의한 손상_[그림 3-2] 열처리로 손상된 모발

(1) 모발의 케라틴 단백질은 55~60℃ 전후로 변성이 일어난다.

(2) 모발 내부의 수분이 저하되고 촉감이 거칠어지며 탄력과 광택이 사라진다.

(3) 200℃ 이상의 열 손상 시 모피질 안에 기포가 형성되며 큐티클이 탄화된다.

출처:(주)아모스 프로세셔널
[그림 3-2] 열처리로 손상된 모발

2. 염모제에 의한 손상_[그림 3-3] 반복된 염모제 사용으로 손상된 모발

(1) 염모제 사용 시 과산화수소의 성분에 의해 모표피의 큐티클이 팽윤되어 손상되고 모발 내의


멜라닌 색소가 퇴색되고 파괴되어 다공성 모발이 된다.

(2) 모발 내의 폴리펩타이드 결합과 시스틴결합이 40% 정도 절단되며 강한 산화제로 절단된 결

111
합은 원래의 결합으로 돌아오지 않는다.

출처:(주)아모스 프로세셔널
[그림 3-3] 반복된 염모제 사용으로 손상된 모발

3. 헤어펌에 의한 손상_[그림 3-4] 건강모와 열펌으로 손상된 모발의 비교

(1) 강한 헤어펌 약제의 사용 혹은 열펌 시 오버 타임 등으로 모표피가 균열되고 케라틴이 변성


되며 시스틴 햠량이 저하된다.

(2) 시술자의 와인딩 기술이 미숙하여 심한 텐션을 주거나 강한 밴딩을 할 경우 모발의 탄력성이
저하되고 심한 경우 모발이 끊어지게 된다.

출처:(주)아모스 프로세셔널
[그림 3-4] (좌)건강모 (우) 열펌으로 손상된 모발 비교

4. 내부적 원인
식생활이나 수면, 스트레스, 다이어트, 호르몬 등의 영향으로 모유두에 이상이 생길 경우 정
상적인 모발 성장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모발이 가늘어지고 탈모도 함께 나타난다.

5. 외부적 원인

(1) 모발이 자외선을 받으면 케라틴 단백질 변성이 일어나고 광택 감소와 건조한 모발이 된다.

(2) 강한 빗질로 인한 마찰이 발생할 경우 모표피가 들뜨고 탈락되며 일부가 벗겨지게 된다.

(3) 헤어 레이저나 날이 무딘 가위 등을 사용하여 잘못된 헤어커트를 진행한 경우 모발 끝이


갈라지게 되어 모피질의 수분과 영양이 유출되어 모발이 손상된다.

112
출처:집필진 제작(2022)
[그림 3-5] 모발손상의 원인

 손상모 특수관리 설계

1. 손상모 관리의 필요성

(1) 건강한 모발 상태를 유지하여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창출할 수 있다.

(2) 새롭게 형성되는 모발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다.

(3) 손상된 모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할 수 있다.

(4) 모발 손상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다.

2. 고객 상담
고객이 문제점이나 고민을 상담자에게 이야기하고 상담자는 고객의 문제점에 귀를 기울여서
해결 방안을 찾아 나가는 것을 말한다.

(1) 고객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준다.


상담은 고객과 상담자 간의 근접 거리에서 얼굴을 보며 이루어지기 때문에 심리적인 안
정감을 줄 수 있어야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상담자는 전문 지식을 갖춘다.


고객의 문제점을 듣고 원인과 개선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두피 모발, 탈모, 인체 등
에 대한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3) 손상모 특수관리 프로그램을 숙지한다.


손상모 특수관리 프로그램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하며, 상담 결과 문제점의 해결을 위
한 프로그램을 고객이 긍정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4) 제품에 대한 정보력을 갖춘다.


고객에게 손상모 특수관리 프로그램 중에 사용되는 제품에 대해 설명하여 고객 스스로
에게 적합하거나 사용하는 데 문제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3. 모발 진단_본 모듈의 pp.60~62 참고

113
4. 분석과 계획
고객관리 차트에 기록된 내용을 토대로 고객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손상모 특수관리 프로그
램이 분석한 문제점에 적합한 내용인지 확인한 후에 고객과 의논하여 손상모 특수관리 계획
을 한다.

5. 관리 방법

(1) 커팅
모발 끝 부분이 손상되어 열모, 지모 등의 현상이 나타날 경우 커트를 통해 손상된 부
분을 제거한다.

(2) 모표피 유막과 수막 형성

(가) 식물성 오일이나 단백질 추출물 등 보습성분으로 이루어진 제품을 사용하여 건조한 모표
피에 흡착되어 대전방지, 영양공급, 모발보호를 위한 코팅효과가 있다.

(나) 광물성 오일을 정제하여 계면활성제를 유화한 성분이 함유된 제품 사용 시 모표피의 마


찰을 감소시키고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자극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다.

(3) 간충물질 보급

(가) 모피질의 간충물질과 비슷한 성분인 아미노산 성분으로 이루어진 제품을 사용하여 모발
내로 침투하여 수분공급과 모표피의 건조를 막아 모발을 유연하게 한다.

(나) 가수분해 된 콜라겐, 엘라스틴, 폴리펩타이드 등이 함유된 제품은 모발 내부로의 침투가


용이하여 모발 내부에 직접적으로 수분공급과 영양 공급이 이루어져 모발의 탄력성을 강
화시킨다.

(4) 단백질 재결합

(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절단된 폴레펩타이드 결합을 도와주는 제품으로 접착성분이 있는 저


분자 폴리펩타이드를 모발 내부로 침투시킨 뒤 절단된 폴리펩타이드를 접착제 성분으로
붙여 정상적인 모발 내부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방법이다.

(나) 단백질 재결합은 3단계로 이루어진다.


1) 1단계는 모표피를 부드럽게 하여 열어주고
2) 2단계는 접착 효과가 있는 저분자 폴리펩타이드를 침투시키며
3) 3단계는 침투하여 접착된 폴레펩타이드가 모발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지속될 수 있
도록 모표피를 닫아준다.

 손상모 특수관리 제품
모발에 유수분, 영양분을 공급하여 모발을 튼튼하게 유지하고 손상된 모발을 회복하기 위해
사용한다. 모표피 층에 침투하여 작용하며, 사용 후 물로 헹구는 유형과 헹구지 않는 유형이

114
있다.

1. 종류

(1) 팩
크림형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가장 넓게 사용한다. 손상 정도에 따라 시간이나 열처
리를 다르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앰플
폴리펩타이드를 고농도로 배합한 것으로 가늘고 손상된 모발에 힘이나 탄력을 주며, 주
로 헤어펌, 헤어컬러 등 전처리용으로 사용한다.

2. 성분
일반적으로 실리콘 오일, 아미노산, 저분자·고분자의 이온성 물질, 양이온 계면활성제, 습윤
제 등이 혼합되어 있다.

(1) 저분자(LPP) 트리트먼트


모발 깊이 침투하는 트리트먼트로 방치 시간이 필요하며 열처리할 경우에는 침투 속
도가 증가한다.

(2) 고분자(PPT) 트리트먼트


모발 표면에 강하게 흡착하여 작용하며, 방치 시간이 길에 필요하지 않다.

 손상모 특수관리 기기와 도구

1. 종류

(1) 미스트기
수증기보다 작은 미세한 입자인 오존이 모표피를 통과해서 모발 내부에 수분과 영
양분을 공급하여 손상된 모발을 관리해 준다.

(2) 열기구(롤러볼)
트리트먼트제 도포 후 비닐캡을 씌우고 열처리할 때 사용한다.

2. 도구와 기타 소품
제품 도포용 브러시와 용기, 헤어밴드, 비닐캡, 샴푸 마스크, 타월, 핀셋 등이 필요하다.

115
수행 내용 / 손상모 특수관리 준비하기

재료·자료

• 기기와 제품 설명서

• 상담용 모발 사진

• 손상모 특수관리 프로그램 안내서

• 고객관리 차트

기기(장비 ・ 공구)

• 모발진단기 외 관리 기기 일체

• 소독 장비, 소독제

• 샴푸대, 관리자용 의자

• 미용 경대와 고객 의자(또는 실습용 작업대)

• 이동식 작업대(또는 실습용 바구니)

안전 ・ 유의 사항

• 손상모 특수관리로 손상된 모발 컨디션이 좋아질 수 있다는 믿음을 고객이 가질 수 있도록


공간이 정리정돈되어야 한다.

• 두피·모발 관리를 포함하여 포괄적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다양한 기기의 관리를 철저히 하고
항상 청결하게 한다.

• 샴푸대 사용 시간이 길고 물 사용량이 많으므로 주변에 물이 떨어져 미끄럽지 않은지 항상


확인한다.

• 물과 전기를 함께 사용하는 작업으로 감전이나 화재 발생에 주의한다.

수행 순서

 상담과 관리 공간을 준비한다.

1. 상담과 관리에 적합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2. 고객관리 차트와 접대용 다과, 가운 등을 확인한다.

116
 기기와 도구를 준비한다.
손상모 특수관리를 하기 위한 기기와 도구를 준비한다.

1. 모발진단기를 준비한다.

2. 미스트기를 준비한다.

3. 손상 모발용 특수관리 제품을 준비한다.

4. 그 밖에 열기구, 헤어브러시 등을 준비한다.

 미용업소에 방문한 고객을 맞이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드스파케어(LM1201010140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78.


[그림 3-6] 방문한 고객 안내

미용업소에 방문한 고객을 [그림 3-6]과 같이 맞이하고 안내한다.

1. 고객을 상담 또는 관리 공간으로 안내한다.

2. 재방문한 고객은 고객관리 차트로 이전 관리 내역을 확인한다.

3. 처음 방문한 고객은 고객관리 차트에 기본 정보를 기록한다.

수행 tip

• 관리하는 동안 생리작용(배변, 배뇨, 공복 등)이나 심리작


용(약속 시간, 비용 등)으로 고객이 불편하면 예민해지고,
충분히 쉴 수 없으므로 관리 전 고객에게 안내하여 장애
요소를 해결하고 시작한다.

 고객의 모발을 문진·시진·촉진으로 진단한다.

117
출처: 교육부(2019). 헤드스파케어(LM1201010140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78.
[그림 3-7] 고객상담하기

고객의 두피와 모발을 [그림 3-7]과 같이 문진·시진·촉진으로 진행한다.

1. 고객관리 차트 내용을 중심으로 고객에게 질문하고 고객관리 차트에 기록한다.

2. 고객의 모발 상태를 직접 눈으로 관찰하고, 손으로 상태를 만져보고, 고객관리 차트에 기록한다.

출처: 교육부(2019). 헤드스파케어(LM1201010140_17v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79.


[그림 3-8] 모발 진단

3. 모발진단기로 [그림 3-8]와 같이 고객의 모발 상태를 확인하고 고객관리 차트에 기록한다.

 손상모 특수관리를 계획한다.

1. 상담을 근거로 고객이 선택한 손상모 특수관리를 고객에게 설명한다.

2. 선택한 관리 코스의 절차와 주의 사항을 안내한다.

3.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안내한다.

4. 관리 비용, 제휴 서비스 카드, 쿠폰제 등을 안내한다.

118
3-2. 손상모 특수관리 실행

• 손상모 특수관리를 시작하기 위해 프레 샴푸를 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프레 샴푸 후 물기를 제거하고 선택한 제품을 사용하여 특수관리를 시작할 수 있다.
• 특수관리를 진행하면서 고객에게 사용하는 제품과 기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손상모 특수관리 순서
미용업소나 관리 방법에 따라 손상모 특수관리의 순서는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담 및
진단과 분석 → 프레 샴푸 → 전처리제 도포→핸들링 → 모발 재생성분 도포→스티머 →후처리제
도포 후 헹구기 → 관리 전과 관리 후의 비교 사진 촬영→홈케어 안내와 다음 방문 안내 → 마무
리(헤어스타일 연출 포함) 순으로 진행한다. 고객의 상황에 맞추어 [그림 3-9]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제품 중 사용 제품의 성분, 기기의 효능, 마사지 효과 등을 고려하여 선택한 제품으로
손상모 특수관리를 한다.

출처: 집필진 제작(2022)


[그림 3-9] 다양한 종류의 손상모 특수관리 제품

1. 프레 샴푸 진행
손상된 모발에 자극이 되지 않는 가벼운 샴푸로 이때 사용하는 샴푸는 모발 표면의 노폐물을
깨끗하게 제거하여 다음 단계에 도포하는 모발 영양성분이 잘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
을 한다.

2. 전처리제 사용
폴리올류가 다량 함유되어 모발 내에 단백질 성분과 충분한 보습을 부여하고 모발 손상을
최소화시키는 손상모발용 제품을 도포한다. 크림 타입의 제품이 일반적이며 모발에 먼저 수
분을 채워주면 다음 단계의 성분이 모발 내 수분을 타고 확산되어 영양성분을 더욱 활발하
게 흡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119
(1) 도포
모발이 손상된 끝부분부터 꼼꼼하게 도포한다.

(2) 핸들링
도포 후 큐티클 방향으로 부드럽게 마사지하여 손상을 최소화하고 건조한 모발에 충분
한 수분을 부여하며 모발과 모발 간의 마찰로 인한 물리적인 손상을 최소화한다.

3. 모발 재생 제품 및 기기
모발 내부를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 성분과 유사안 성분을 함유한 제품으로 모발 내부의 조
직을 탄탄하게 하고 부족한 단백질을 채워주며 절단된 단백질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1) 제품의 기능
여러 가지 요인으로 손상되어 절단된 단백질 결합을 재결합시킴으로써 손상된 모발이 탄
력 있고 윤기 있게 회복된다. 모발 내 단백질 성분은 케라틴, 콜라겐, 시스테인, 세라마
이드 등이 있다.

(2) 제품 도포
모발이 손상된 끝부분부터 꼼꼼하게 도포한다.

(3) 미스트기
모발 내부 깊숙이 영양성분이 전달될 수 있도록 미스트기를 사용하며 아로마향이 함유
되어 있어 고객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4. 후처리
모발 내부에 깊숙이 침투된 영양성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이드롤라이즈드케라틴 성분이
모표피를 감싸 모발에 보호막을 씌워주고 부드러움과 윤기를 부여한다.

손상모 특수관리의 단계 및 사용법

손상모 특수관리는 손상모발의 손상 정도에 따라 1단계에서부터 5단계까지이다. 또한 제품에 따라 사용


법과 성상이 다르므로 헤어 전문가로서 사용법을 반드시 정확하게 숙지해야 한다.

 손상모용 제품

1. 수분 보충과 부스터
건조한 모발에 수분을 부여하여 보습효과를 준다.

2. 단백질 침투용
다공성 모발에 미립자 단백질을 공급함으로써 단백질을 보충한다. 주로 앰플 타입이 있으며
폴리펩타이드를 고농도로 배합한 것으로 건조하고 가는 모발에 탄력을 준다.

120
3. 단백질 재결합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절단된 단백질을 결합시켜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단백질을
결합시키면 모발 외부로 유출되는 단백질이 적어지고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켜 모발을 건강
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4. 모표피 정돈과 보호
손상모 진행을 방지하고 일광이나 자외선에 의한 모발 단백질 또는 염색모의 퇴색을 방지
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컨디셔닝 용제에 단백질 분해물과 알칼리 수지 폴리머 등
을 흡수, 고착화시키는 방식으로 양이온성과 양성 합성 고분자의 흡착 잔존 성질을 이용하
며 이를 트리트먼트제에 배합시킴으로써 탄력을 강화시킨다.

5. 마무리 스타일링용
액상과 오일 형태가 있으며 점도가 낮은 동백기름, 올리브유, 유동 파라핀의 광물류를 주성
분으로 고급 지방산에 에스테르, 스쿠알렌 등을 배합하여 모발에 유연성과 광택을 준다.

수행 내용 / 손상모 특수관리 실행하기

재료·자료

• 기기와 제품 설명서

• 상담용 모발 사진

• 고객관리 차트

기기(장비 ・ 공구)

• 모발진단기 외 관리 기기 일체

• 소독 장비, 소독제

• 샴푸대

• 미용 경대와 고객 의자(또는 실습용 작업대)

• 이동식 작업대(또는 실습용 바구니)

안전 ・ 유의 사항

121
• 모발 상태의 정확한 분석과 올바른 방법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한다.

• 모발 상태에 맞는 제품을 선정하여 적정량을 사용하도록 한다.

• 손상도가 높은 모발관리 시 엉키거나 절단이 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 사용하는 제품을 모발에 도포 시 얼굴이나 고객의 다른 부위에 튀지 않도록 주의한다.

• 제품이 미끄러운 경우가 많으므로 사용하는 도구나 기기 등을 놓치거나 떨어뜨리지 않도록


한다.

• 손에 제품이 묻어 있는 상태로 다른 물건을 만지지 않도록 한다.

수행 순서

 모발 상태와 관리 방법에 따라 샴푸한다.

1. 고객을 샴푸 공간으로 안내하여 샴푸대에 앉힌다.

(1) 고객을 샴푸 의자에 앉힌 뒤 어깨를 타월로 감싸준다.

(2) 고객에게 안정감을 주고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샴푸 마스크를 해준다.

2. 물 온도를 확인한 후 모발 전체에 물을 충분하게 적셔준다.

(1) 미용사의 손목 안쪽에서 물 온도 38~40℃를 확인한다.

(2) 물을 고객의 모발에 적셔주면서 온도가 적절한지 고객에게 확인한다.

3. 샴푸제를 도포한다.

(1) 샴푸 목적에 맞는 샴푸제를 선정한다.

(2) 두피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샴푸제는 두피에 직접 바르지 않고 손바닥에서 거품을 충분히


만들어서 두피에 도포한다.

4. 샴푸제를 헹구어준다.

(1) 샴푸제의 잔여 성분이 남지 않도록 충분하게 헹구어준다.

(2) 필요한 경우 스캘프 펀치(워터 펀치) 등의 헤드 스파기를 사용할 수 있다.

5. 모발의 물기를 제거한 후 샴푸를 마무리한다.

(1) 샴푸 마스크(아이 패드)를 제거한다.

(2) 타월드라이를 한 후 다음 관리 장소로 이동한다.

122
수행 tip

• 샴푸의 시작과 끝을 고객에게 알려주고, 다음 동작으로 이


어질 때 고객에게 무엇을 할 것인지 설명하면서 관리한다.
Ÿ 헤어 팩은 작업 공간으로 이동하여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관리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때에 따라 샴푸대에서 할 수도
있다.

 1단계: 모발 상태에 적합한 전처리제를 수행한다.

1. 선정한 전처리제를 모발에 도포한다.

(1) 모발 길이와 양을 고려하여 적량의 전처리제를 용기에 덜어낸다.

(2) 두상을 4등분한 후 섹션을 1cm 정도로 나누고 브러시를 이용하여 모발 끝부터 꼼꼼하게 전
처리제를 도포한다.

(3) 제품 흡수를 돕기 위해 손가락으로 두피 쪽에서 모발 끝을 향해 핸들링한다.

(4) 모발을 정돈하여 고정하고 이마에 헤어밴드를 한 후 적합한 프로세싱 타임을 갖는다.

출처: 집필진 제작(2022).


[그림 3-10] 손상모 관리용 전처리제 도포와 핸들링

수행 tip

Ÿ 핸들링은 모발을 위아래 방향으로 비벼서 마찰하면 큐티클


이 박리될 수 있으므로 큐티클 스케일의 순방향으로 해야
한다.
Ÿ 긴 모발은 핀셋으로 모발을 정돈한 후 캡을 씌워야 편리하다.

 2단계: 모발 상태에 적합한 모발재생 단계를 수행한다.

1. 선정한 모발재생 제품을 모발에 도포한다.

(1) 모발 길이와 양을 고려하여 적량의 모발재생 제품을 용기에 덜어낸다.

123
(2) 두상을 4등분한 후 섹션을 1cm 정도로 나누고 용기를 이용하여 모발 끝부터 꼼꼼하게 모발
재생 제품을 도포한다.

(3) 모발을 정돈하여 고정하고 이마에 헤어밴드를 한 후 미스트기로 10분 프로세싱 타임을
갖는다.

출처: 집필진 제작(2022).


[그림 3-11] 손상모 관리용 모발재생 제품 도포와 미스트기 사용법

수행 tip

Ÿ 미스트기 사용 시 예열시간이 필요하므로 사용 5분 전에


미리 준비하여 둔다.
Ÿ 미스트기를 고객의 두상에 씌울 때 두상 일부분이 미스트
기에 부딪히지 않도록 주의해서 씌운다.
Ÿ 가온기는 히팅캡, 롤러볼(열기구), 스팀기 등을 모발 손상
도와 상황에 맞추어 사용한다.

 3단계: 모발 상태에 적합한 후처리제를 수행한다.

1. 선정한 후처리제를 모발에 도포한다.

(1) 모발 길이와 양을 고려하여 적량의 후처리제를 용기에 덜어낸다.

(2) 두상을 4등분한 후 섹션을 2cm 정도로 나누고 손을 이용하여 모발 끝부터 꼼꼼하게 후처리
제를 도포한다.

(3) 제품 흡수를 돕기 위해 [그림 3-12]와 같이 손가락으로 두피 쪽에서 모발 끝을 향해 핸들링


한다.

(4) 모발을 정돈하여 고정하고 이마에 헤어밴드를 한 후 타월을 감싼 후 처리 시간을 갖는다

124
출처: 집필진 제작(2022).
[그림 3-12] 손상모 관리용 후처리제 도포

수행 tip

• 전처리제가 두피에 많이 묻으면 샴푸 후에도 두피 쪽의 볼


륨이 가라앉을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모발 상태에 따라 후처리제 도포 후 헹구기 직전에 열려
있는 큐티클을 닫아주는 pH 밸런스 제품을 도포하여 단백
질의 손실을 낮춘다.

 일정 시간을 대기 후 샴푸한다.

(1) 대기 시간 동안 불편함이 없는지 고객에게 확인한다.

(2) 대기 시간이 종료되면 샴푸한 후 타월드라이한다.

125
3-3. 손상모 특수관리 마무리
• 손상모 특수관리 종료 후 고객에게 모발 손상도의 변화를 설명하고 촉감을 통해 확인시킬 수
있다.
• 헤어케어 제품을 사용하여 손상모 특수관리를 마무리할 수 있다.
• 특수관리 상태 유지를 위한 홈케어 방법을 고객에게 설명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특수관리 시 사용한 기기, 기구, 제품 리스트와 특수관리 결과를 미용업소별 시스템에 따라 기
록할 수 있다.
• 손상모 특수관리를 진행한 공간을 청결하게 정리정돈하고, 사용했던 모든 기기, 기구, 제품 등
을 소독하여 정리 후 보관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손상모 특수관리 전과 후 비교
관리 전과 후 사진을 보여주고 고객이 직접 모발의 촉감을 만져보아 모발 손상도가 낮아짐을
확인하도록 한 뒤 시술 전후 사진과 영상을 보여준다. 그리고 모발 보호 스타일링 제품을 사용
하여 모발에 손상이 되지 않는 선에서 마무리 스타일링을 진행한다.

 모발 상태에 따른 홈케어 안내

1. 손상 모발

(1) 화학적・물리적으로 인해 모표피 박리 현상 또는 모피질의 간충물질의 유실에 의해 손상된 모


발 또는 모표피의 심한 손상으로 모피질의 간충물질이 유실되어 다공성 모발이 된다.

(2) 과도한 물리적·화학적 미용 서비스는 자제하며, 구멍 난 부분을 채울 수 있는 영양 앰플을


꾸준히 사용하도록 한다.

2. 가는 모발

(1) 가는 모발은 볼륨이 가라앉기 쉽고 헤어스타일 지속력도 부족하다.

(2) 근본적인 모발 건강을 위해 평소 바른 식생활과 생활 태도가 중요하며, 영양 앰플을 꾸준히


사용하도록 한다.

(3) 모발을 드라이기로 건조할 때에는 모류의 반대 방향으로 두피 쪽 모발에 블로우드라이기 바


람을 쐬어준 다음 스타일링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손상모 특수관리를 하고 난 뒤 고객의 정보를 기록하고 사용한 도구를 정리한다.

1. 고객 정보 기록
고객의 모발 손상 정도, 사용한 제품, 관리 방법과 순서 등을 자세하게 기록하여 해당 고객

126
의 재방문 시 활용한다.

2. 기구와 도구 소독
사용한 기구와 도구들은 깨끗하게 세척하여 소독 기준에 따라 소독한 뒤 물기가 남아 있지
않도록 건조시켜 정리한다.

3. 기기 정리
미스트기, 가온기 등 사용한 기기는 세척 방법과 기준에 따라 깨끗하게 세척하여 정리한다.
특히 미스트기의 경우 두상에 씌우는 캡의 안쪽 부분에 제품 이물질과 물기가 많이 묻어 있
으므로 깨끗하게 세척하고 소독하여 습기로 인한 세균이 번식하지 않도록 캡의 안쪽과 바깥
쪽 모두 잘 건조시켜 보관한다.

수행 내용 / 손상모 특수관리 마무리하기

재료·자료

• 기기와 제품 설명서

• 상담용 모발 사진

• 고객관리 차트

기기(장비 ・ 공구)

• 모발진단기 외 관리 기기 일체

• 소독 장비, 소독제

• 샴푸대와 이동식 작업대(또는 실습용 바구니)

• 미용 경대와 고객 의자(또는 실습용 작업대)

안전 ・ 유의 사항

• 모발 상태의 정확한 비교 분석으로 고객에게 신뢰감을 얻을 수 있다.

• 고객에게 모발 상태에 맞는 제품을 추천하고 적합한 제품을 사용하도록 한다.

• 제품을 바닥에 떨어뜨린 경우 미끄러우므로 주의하여 정리정돈한다.

• 고객의 결과를 기록하여 다음 시술에 반영하도록 한다.

127
수행 순서

 손상모 특수관리 전과 후를 촬영한 사진을 고객에게 보여준다.

 고객에게 사진을 보이며 결과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 고객에게 모발을 만져보도록 한다.

 필요한 홈케어를 설명하고 고객에게 적합한 제품을 추천한다.

 사용한 기기와 도구, 제품을 정리정돈하고 관리 결과를 기록한다.

128
학습3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고객 상담 후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한 손상모 특수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 손상모 특수관리에 사용되는 기기의 특징과 사용법을 조사하여 정리 후 발표를 지도한다..

• 손상모 특수관리 제품의 효능과 사용법 등을 조사하여 정리 후 발표를 지도한다.

• 손상모 특수관리의 실행에서 마무리까지의 과정을 시연 후 상호 실습을 지도한다.

• 건강한 모발관리를 위해 섭취해야 하는 필수영양소와 바른 생활 습관에 관해 다양한 사례를


조사하여 정리하고 발표를 지도한다.

• 사용했던 재료, 도구, 기기의 정리와 보관상태를 실제 현장방문을 통해 조사하여 보고서를


작성 후 제출하도록 한다.

학습 방법

• 고객 상담 후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한 손상모 특수관리 방법을 학습한다.

• 손상모 특수관리에 사용되는 기기의 특징과 사용법을 조사하여 정리 후 발표한다..

• 손상모 특수관리 제품의 효능과 사용법 등을 조사하여 정리 후 발표한다.

• 손상모 특수관리의 실행에서 마무리까지의 과정을 시연 후 상호 실습한다.

• 건강한 모발관리를 위해 섭취해야 하는 필수영양소와 바른 생활 습관에 관해 다양한 사례를


조사하여 정리하고 발표한다.

• 사용했던 재료, 도구, 기기의 정리와 보관상태를 실제 현장방문을 통해 조사하여 보고서로


정리하여 제출한다.

129
학습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학습 목표
상 중 하

- 문진, 시진, 촉진, 모발진단기 등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기


반으로 모발의 손상 원인과 손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 모발의 손상 원인과 손상 정도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필요한


특수관리 과정을 설계할 수 있다.

손상모 특수관리 - 고객의 경제적 상황, 시간적 여유 등을 고려하여 고객에게


준비 적합한 특수관리 과정을 제안할 수 있다.

- 고객과 상담을 통해 결정한 특수관리과정에 필요한 기기 및


도구, 재료 등을 준비할 수 있다.

- 고객에게 시술할 특수관리과정의 소요 시간, 비용 등에 관해


설명하고 기록할 수 있다.

- 손상모 특수관리를 시작하기 위해 프레샴푸를 할 수 있다.

손상모 특수관리 - 프레샴푸 후 물기를 제거하고 선택한 제품을 사용하여 특수


실행 관리를 시작할 수 있다.

- 특수관리를 진행하면서 고객에게 사용하는 제품 및 기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손상모 특수 관리 종료 후 고객에게 모발 손상도의 변화를


설명하고 촉감을 통해 확인시킬 수 있다.

- 헤어케어 제품을 사용하여 손상모 특수관리를 마무리할 수


있다.

- 특수관리 상태 유지를 위한 홈 케어 방법을 고객에게 설명할


손상모 특수관리
수 있다.
마무리
- 특수관리 시 사용한 기기, 기구, 제품 리스트 및 특수관리
결과를 미용업소 별 시스템에 따라 기록할 수 있다.
- 손상모 특수관리를 진행한 공간을 청결하게 정리정돈하고,
사용했던 모든 기기 및 기구, 제품 등을 소독하여 정리 후
보관할 수 있다.

130
평가 방법

• 서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항목
상 중 하

- 문진, 시진, 촉진, 모발진단기 등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기


반으로 모발의 손상 원인과 손상 정도에 대한 이해 수준

- 모발의 손상 원인과 손상 정도를 기반으로한 특수관리 과정


대한 이해수준

손상모 특수관리 - 고객의 경제적 상황, 시간적 여유 등을 고려하여 고객에게


준비 적합한 특수관리 과정 제안에 대한 이해수준

- 고객과 상담을 통해 결정한 특수관리과정에 필요한 기기 및


도구, 재료 등 준비에 대한 숙지여부

- 고객에게 시술할 특수관리과정의 소요 시간, 비용 등에 에


대한 이해수준

- 손상모 특수관리에서 프레샴푸에 대한 이해수분

손상모 특수관리 - 프레샴푸 후 물기를 제거하고 선택한 제품 사용에 대한 숙지


실행 여부

- 특수관리를 진행에 필요한 제품 및 기기 사용법에 대한 숙지


여부

- 손상모 특수 관리 종료 후 고객에게 모발 손상도의 변화에


대한 숙지여부

- 헤어케어 제품을 사용하여 손상모 특수관리를 마무리하는 과


정에 대한 숙지여부

손상모 특수관리 - 특수관리 상태 유지를 위한 홈 케어 방법에 대한 숙지여부


마무리
- 특수관리 시 사용한 기기, 기구, 제품 리스트 및 특수관리
결과에 대한 이해수준
- 손상모 특수관리를 진행한 공간을 청결하게 정리정돈하고,
사용했던 모든 기기 및 기구, 제품 등을 소독하여 정리 후
보관에 대한 숙지여부

131
• 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항목
상 중 하
- 문진, 시진, 촉진, 모발진단기 등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기반
으로 모발의 손상 원인과 손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
- 모발의 손상 원인과 손상 정도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필요한
특수관리 과정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손상모 특수관리 - 고객의 경제적 상황, 시간적 여유 등을 고려하여 고객에게
준비 적합한 특수관리 과정을 제안할 수 있는 능력.
- 고객과 상담을 통해 결정한 특수관리과정에 필요한 기기 및
도구, 재료 등을 준비할 수 있는 능력.
- 고객에게 시술할 특수관리과정의 소요 시간, 비용 등에 관해
설명하고 기록할 수 있는 능력.
- 손상모 특수관리를 시작하기 위해 프레샴푸를 할 수 있는 능
력.
손상모 특수관리 - 프레샴푸 후 물기를 제거하고 선택한 제품을 사용하여 특수
실행 관리를 시작할 수 있는 능력.
- 특수관리를 진행하면서 고객에게 사용하는 제품 및 기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능력.
- 손상모 특수 관리 종료 후 고객에게 모발 손상도의 변화를
설명하고 촉감을 통해 확인시킬 수 있는 능력.
- 헤어케어 제품을 사용하여 손상모 특수관리를 마무리할 수
있는 능력.
- 특수관리 상태 유지를 위한 홈 케어 방법을 고객에게 설명할
손상모 특수관리
수 있는 능력.
마무리
- 특수관리 시 사용한 기기, 기구, 제품 리스트 및 특수관리
결과를 미용업소 별 시스템에 따라 기록할 수 있는 능력.
- 손상모 특수관리를 진행한 공간을 청결하게 정리정돈하고,
사용했던 모든 기기 및 기구, 제품 등을 소독하여 정리 후
보관할 수 있는 능력.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손상모 특수관리에 사용하는 제품, 기기, 도구 등의 관리 방법에 대해 서술형으로 평가 후 부족한
부분은 설명하고 자료를 제공하여 보충학습을 진행한다.
- 손상모 특수관리에 사용하는 제품별 효과에대해 서술형으로 평가하여 부족한 학습자는 자료조사를
통해 자기주도 학습의 기회를 부여한다.
2. 평가자 체크리스트
- 손상모 특수관리 전체 과정을 실행하게 하고 평가자가 체크하여 평가한 후 미흡한 부분은 시연을
통해 다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132
학습 1 헤어 샴푸하기
학습 2 두피·모발 관리하기
학습 3 손상모 특수관리하기

학습 4 미용업소 제품 사용 관리하기

4-1. 미용업소 제품 종류 파악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미용제품과 판매제품 등을 구분하여 제품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 미용 시술에 필요한 제품의 종류를 파악하고 목록을 작성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별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의 사용법에 대해 숙지하고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미용업소 제품의 이해

1. 화장품의 정의
“화장품이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바르고 문지르거나 뿌리는 등 이와 유사한 방법으
로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화장품법 제 14264호)

2. 화장품의 조건
화장품은 인체에 사용되기에 사용 목적에 맞고, 기능이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하고, 안정성
이 확보되어야 한다.

3. 미용업소 제품
미용업소 제품은 화장품 분야로서 청결 유지는 물론이며 모발의 형태와 색상 변화에 사용되
어 모발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한다.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모든 제품은 헤어미용 전문가에
의해 선택되어 고객인 소비자에게 사용되거나 판매되기에 미용사는 제품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 미용업소 제품의 분류와 사용 목적


미용업소 제품은 기능에 따라 화장품 또는 기능성 화장품으로 분류한다. 헤어미용 전문가는 미
용 서비스 목적에 따라 <표 4-1>에 제시된 헤어미용제품을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고,

133
필요한 경우 일부 제품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 4-1> 헤어미용 제품의 종류와 기능

사용 목적 제품 종류 기능
민감성 피부, 영유아용 샴푸로 피부에 자
유아용 샴푸(baby shampoo)
극을 최소화한 샴푸
펌제와 염모제의 작용을 돕기 위해 시술
프레 샴푸(pre-shampoo)
전에 가볍게 하는 샴푸
탈모가 진행되거나 탈모 진행이 염려되는
헤어 샴푸
모발에 사용하여 두피에 청량감을 주고
탈모 샴푸(alopecia shampoo)
모공을 건강하게 만들어주어 모발을 굵고
튼튼하게 해주는 샴푸
화학적 성분으로 인한 부작용을 없애고자
세정용 천연 샴푸(organic shampoo)
유기농 성분으로 만든 샴푸
모발에 탄력과 광택을 부여하고 비듬과
헤어트리트먼트 오일, 크림, 로션, 팩 각질을 제거하며 극손상 모발을 복구하거
나 모발의 탄력을 강화
샴푸로 과다하게 제거된 모발과 티피에
유분을 보급하여 부드러운 광택과 촉감을
헤어 컨디셔너 크림 부여하고 pH를 조절하여 모발이 등전점
을 유지, 정전기 방지, 모발 표면 상태를
매끈하게 정돈
스프레이
헤어스프레이 헤어 디자인 형태를 고정하고 유지
미스트
에어로솔(aerosol), 스타일링과 함께 헤어케어의 기능이 있으
헤어무스
액화가스(분사제) 며 세팅력과 광택을 부여
헤어젤 젤 웨이브와 스타일을 고정
크림, 매트, 젤,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 연출
스틱, 검, 머드
헤어왁스
깔끔하고 물에 젖어 보이는 남성의 헤어
포마드
스타일을 연출
모발의 광택, 유연성, 보호와 스타일링
헤어스타일링용
연출, 묵직하고 차분한 정돈감
헤어오일 오일
웨이브 모발, 숱이 많은 모발, 손상이 심
한 모발에 사용
화학적 서비스에 의해 손상된 모발, 건조
헤어세럼 점성이 있는 액상 모, 절모, 지모 예방과 가볍고 율동감이
있으며 볼륨감이 필요한 헤어스타일링
모발에 윤기, 광택, 유연성을 부여하고
오일, 크림
헤어에센스 차분하며 자연스러운 스타일링
수분 빗질 용이와 모발의 건조함을 방지
영구 염모제 크림, 액상, 매트 영구적인 모발의 색상 변화
헤어컬러용 반영구적 염모제 크림, 액상 반영구적인 모발의 색상 변화
일시적 염모제 샴푸, 크레용, 스프레이 일시적인 모발의 색상 변화

134
사용 목적 제품 종류 기능
티오글리콜산(환원제/1제) 모발의 영구적인 변화로 시스틴 결합을
콜드 시스테인(환원제/1제) 깨트림
퍼머넌트제 과산화수소(산화제/2제) 모발의 영구적인 변화로 깨트린 시스틴
브롬산나트륨(산화제/2제) 결합을 고정

퍼머넌트용 티오글리콜산(환원제/1제), 모발의 영구적인 변화로 시스틴 결합을


크림 깨트려 곱슬거리는 모발을 직선으로 형성
스트레이트
퍼머넌트제 과산화수소(산화제/2제),
모발의 영구적인 변화로 시스틴 결합을
브롬산나트륨(산화제/2제),
깨트려 곱슬거리는 모발을 직선으로 고정
액상
전문 의약품
모근 영양, 혈행 개선, 보습
일반 의약품
탈모방지용 액상, 스프레이, 미스트 모발의 기능 약화로 인한 건조함, 갈라
기능성 화장품 짐, 빠짐, 각질화 등을 방지하거나 개선
하고 탈모방지

출처: 교육부(2016).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p.3~8.

1. 화장품의 종류

(1) 일시적으로 모발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제품

(2) 물리적으로 모발을 굵게 보이게 하는 제품

(3)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바르고 문지르거나 뿌리는 등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

(4) 기초화장품인 세정용과 탈모방지 제품

2. 기능성 화장품의 종류

(1) 모발의 색상 변화[탈염(脫染)·탈색(脫色) 포함]

(2) 체모 제거

(3) 탈모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제품

 미용업소 제품의 종류

1. 세정과 케어용

(1) 헤어 샴푸(hair shampoo)

(가) 샴푸의 목적
모발을 청결하게 하고 모공을 막고 있는 피지 등 노폐물을 제거하여 모공에 원활한
산소 공급을 도와 모발과 두피를 건강하게 하는 것이다.

135
(나) 샴푸 사용 시 주의 사항
지나치게 세정력이 강한 샴푸는 오염물질과 피지 등 각질 제거 기능은 높지만 지속
적인 사용은 모발 손상과 두피 건조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다) 샴푸의 조건
잔류물 없이 깨끗하게 헹구어지고, 눈이나 피부에 자극이 없어야 하며 사용 후 윤기
가 유지되고 촉감이 좋은 것으로 선택한다.

(라) 샴푸의 주 성분
세정제와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절제, 향, 자외선 차단제 등이 있다.

(마) 샴푸의 종류는 베이비 샴푸, 프레 샴푸, 탈모 샴푸, 천연 샴푸로 나뉜다.

(2) 헤어트리트먼트(hair treatment)

(가) 헤어트리트먼트의 목적
펌제와 염모제 등 화학적 손상으로 인해 모발 내부의 간충물질이 유실된 손상모에
모발과 유사한 성분으로 배합된 물질을 공급하여 모발에 탄력과 광택을 준다. 또한
건조한 두피에 매니플레이션과 함께 사용할 경우 모공을 막고 있는 비듬과 각질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나) 헤어트리트먼트의 주성분


모발 성분과 비슷한 요소인 케라틴, 콜라겐, 실크 단백질과 정제수, 디메치콘, 세틸
알코올 등과 더불어 케라틴과 단백질이 모발 깊숙이 침투할 수 있도록 단백질 분해
물인 계면활성제와 보습제가 첨가된다.

(다) 손상모용 헤어트리트먼트의 주성분


동백오일, 아르간오일, 올리브오일, 마카다미아오일 등 천연 오일 성분이 사용되고
탄력 강화용으로는 세라마이드 성분과 각종 허브 추출물을 사용한다.

헤어트리트먼트 용도와 형태의 발전

1890년 독일의 미용 장인 라우쉬(Raush)가 허브 진액을 이용해 개발한 헤어토닉이 트리트먼트의


시초로 이후 다양한 펌과 웨이브로 인해 모발 손상이 늘어나면서 헤어트리트먼트에 대한 관심이 높
아졌고, 다양한 형태의 헤어트리트먼트가 개발되었다.
헤어트리트먼트는 기능의 차이보다는 질감에 따라 오일, 크림, 로션, 팩 타입으로 나뉘며 오일의 경
우 부드럽고 매끈한 질감인 반면, 팩이나 크림은 다소 묵직한 질감이다.
모발의 특성인 건성, 지성, 또는 민감성 여부에 따라 두피 가려움증을 완화하고 피지 양 조절, 적은
화학성분 함유량 등의 제품별 특징에 맞추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미스트나 스프레이, 에센스
형태의 트리트먼트가 개발되면서 향수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3) 헤어컨디셔너(hair conditioner)

(가) 컨디셔너는 샴푸의 마지막 헹굼 단계에서 사용하며, 샴푸로 과다하게 제거된 모발과 티피
에 유분을 보급하여 부드러운 광택과 촉감을 준다.

136
(나) pH를 조절하여 모발이 등전점을 유지, 정전기 방지, 모발 표면 상태를 매끈하게 정돈하
는 등의 역할을 한다.

(다) 주성분으로는 계면활성제, 컨디셔닝제, 점증제, 보습제, 금속이온 봉쇄제, 착색제, pH 조


절제, 향 등이 있다.

2. 헤어스타일링용
헤어스타일링용 제품은 모발 세정 후 마무리를 하거나, 원하는 헤어스타일의 형태를 만들기
위한 고정, 윤기 부여, 빗질 용이성 등을 위해 사용한다.

(1) 헤어스프레이(hair spray)

(가) 헤어스프레이는 분사 후 건조될 때 필름을 형성하여 헤어 디자인 형태를 고정하고 유지


시킬 때 사용한다.

(나) 헤어 디자인 고정 역할은 레진(resin) 성분으로서 에탄올에 용해해서 만든다.

(다) 헤어스프레이의 형태로는 가스식의 스프레이 형태와 펌프식으로 분무하는 헤어미스트 형


태가 있다.

(2) 헤어무스(hair mouse)

(가) 헤어무스는 스타일링과 함께 헤어케어의 기능이 있으며, 세팅력·헤어케어·광택을 목적으


로 하는 제품들이 있다.

(나) 헤어무스는 완성된 헤어 디자인에 수분을 주며 다시 스타일링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 헤어무스는 에어로솔(aerosol)과 액화 가스(분사제) 때문에 공기 중에서 거품 형태로 부


풀려진다.

(3) 헤어젤(hair gel)

(가) 헤어스타일 유지를 위해 모발을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 일반적으로 헤어젤을 사용한다.

(나) 헤어젤 성분 중 폴리머가 모발에 희뿌연 막을 형성시키며 굳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다) 헤어젤 도포 직후 드라이기의 더운 바람으로 건조시키면 빠르고 강하게 모발을 고정시킬


수 있다.

(라) 헤어젤을 권장 사용량 이상 사용 시 플레이킹(flaking) 현상으로 인해 모발에 하얀 가루


가 묻은 것과 같이 보이므로 주의한다.

(4) 왁스(wax)

(가) 왁스는 바셀린 베이스의 유연제로 유성 성분이 많기 때문에 딱딱하게 굳지 않아서 웨이


브나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 연출에 사용된다.

(나) 완전히 건조된 모발에만 사용하며, 가는 모발에는 적합하지 않다.

(다) 사용감이 포마드와 젤의 중간 정도로 크림 타입, 매트 타입, 젤 타입, 스틱 타입, 검 타

137
입, 머드 타입, 클레이 타입 등 매우 다양하다.

(라) 포마드는 주로 깔끔하고 물에 젖어 보이는 남성의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때 사용하는 제


품으로 고체 또는 액체 성상에 광유, 바셀린, 라놀린, 왁스, 파라핀 등이 함유되어 있다.

(5) 헤어오일(hair oil)

(가) 헤어오일은 광택, 유연성, 모발 보호와 헤어스타일을 목적으로 할 때 사용된다.

(나) 올리브오일, 코코넛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과 라놀린, 콜라젠 같은 동물성 오일, 또는


이 둘의 혼합 형태의 제품이 있으며 묵직하고 차분한 느낌의 정돈감이 필요한 헤어스타
일에 사용된다.

(6) 헤어세럼(hair serum)

(가) 헤어세럼에는 모발에 영양을 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염·탈색과 퍼머넌트 등의


화학적 서비스에 의해 손상된 모발, 건조모, 절모 등의 스타일링에 사용된다.

(나) 가볍고 율동감이 있어 볼륨감이 필요한 헤어스타일에 필요하다.

(7) 헤어에센스(hair essence)


모발에 윤기, 광택을 주며 자연스러운 유연성, 빗질을 용이하게 하고 제형에 따라 다음
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가) 오일 타입과 크림 타입
1) 손상모, 건조모, 극손상모에 사용되며 케라틴, 실리콘, 오일 등으로 만들어져 모발에
윤기와 광택을 준다.
2) 샴푸 후 타월드라이를 가볍게 한 상태에서 수분이 있을 때 사용한 후 드라이하면 열
에 의한 모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3) 극손상모는 열에 의한 헤어스타일링은 자제하는 것이 좋으며, 건조한 상태에서 극소
량만 사용한다.
4) 오일이나 크림 타입 에센스는 과다하게 사용하면 질감이 무거워질 수 있으므로 주의
한다.

(나) 수분 타입
1) 일반 퍼머넌트, 열 퍼머넌트, 염·탈색, 커트 등의 헤어 서비스 마무리용으로 건강모
에서부터 손상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한다.
2) 타월드라이를 충분히 한 후 소량을 덜어서 사용하며 수용성이므로 모발의 건조함을
방지해준다.

3. 염모제
염모제는 [그림 4-1]과 같은 원리에 의해 모발 색상을 변화시키는 미용업소 제품으로 사용
목적에 따라 새치 커버용과 멋내기용으로 나뉜다. 또 컬러 지속 여부에 따라 색상이 계속
유지되는 영구 염모제, 일정 기간 지속되는 반영구 염모제, 샴푸와 동시에 원래의 모발 색

138
으로 돌아가는 일시적 염모제로 분류한다.

출처: 교육부(2016).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0.


[그림 4-1] 영구 염모제 염색의 원리

(1) 영구 염모제(permanent colorant)

(가) 영구 염모제는 산화제(제2제)와 함께 사용하며 모피질 내로 침투하여 모발을 탈색시키고


새로운 색소를 입히는 과정을 통해 모발의 색을 영구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나) 영구 염모제를 사용할 경우 패치테스트를 통해 알레르기 유무를 확인한다.

(다) 영구 염모 제품은 제1제와 제2제가 있으며, 제1제와 제2제를 비율에 맞게 혼합하여 사


용한다.

(라) 제1제는 염료, 알칼리제, 항산화제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모발을 팽윤, 팽창시키고 색
소 침투를 가능하게 한다.

(마) 제2제는 과산화수소, 안정제 등의 성분이 모발의 탈색과 제1제의 색소를 착색시키는 기
능을 한다.

(2) 반영구 염모제(half-permanent colorant)


반영구 염모제는 산성 염모제, 코팅제 또는 헤어 매니큐어 등으로 불린다. 산화제(제2제)
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모발 탈색 작용을 하지 않아 영구 염모제에 비해 모발 손상이 적
다. 유지력은 평균 30일 정도로 짧다.

(3) 일시적 염모제(temporary colorant)


일시적 염모제는 색소의 크기가 크고 암모니아나 산화제가 없어 모발에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모표피의 최외각층 표면에 안료 또는 염료를 흡착만 시키며 1회 샴
푸로 색소가 탈락된다.

139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19년 1월 29일 배포한 패치테스트 관련 안내문

• 염모제 안전 사용 안내문
▶다른 염모제 또는 화장품 등과 섞어 쓰지 마시고 제품마다 정해진 사용(방치) 시간을 지키세요.
▶염색 중 피부가 붉어지고 붓거나 가려움 등의 피부 이상이 나타나거나 구역질, 구토 등을 느끼
면 바로 염모를 중지하고 염모제를 물로 잘 씻어낸 후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세요.
▶잦은 염색은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제품에 표시된 ‘전(全)성분’을 확인하고 과거에 특정 성분에 의해 부작용이 발생한 적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피부염이 있거나 염모제를 사용했을 때 피부 이상 반응 등의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매회 염모제 사용 전 패치테스트를 하세요.
패치테스트(patch test)는 염모제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로 면봉 등을
이용하여 팔 안쪽 또는 귀 뒤쪽에 동전 크기로 바른 다음 씻어내지 않고 48시간까지 피부의 반
응을 보는 것입니다.
▶발진, 발적, 가려움, 수포, 자극 등이 있을 경우 바로 씻어내고 염색은 하지 마세요. 이전에 이
상이 없었더라도 알레르기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패치테스트는 매번 실시합니다.
▶두피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고 염모 후 두피를 잘 씻어냅니다.
▶눈썹이나 속눈썹에는 절대 사용하지 말고, 염모제가 눈에 들어가면 곧바로 물로 씻어내고 안과
전문의와 상담하세요.
▶탈모 예방이나 모발 성장 촉진 등의 허위·과대광고에 주의하세요.
▶‘천연’은 식물에서 유래한다는 뜻이며 부작용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모발의 물리적 & 화학적 변화

물리적 변화는 모발이 지닌 고유의 성질은 변하지 않는 것으로 스타일링 제품이나 일시적 염모제
제품을 사용할 때 보이는 변화이다.
화학적 변화는 모발이 지닌 고유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헤어 퍼머넌트, 염·탈색 등이 있다.

4. 헤어퍼머넌트용

(1) 헤어퍼머넌트 웨이브제(콜드 퍼머넌트)

(가) [그림 4-2]와 같은 원리로 모발의 결합을 영구적으로 변화시켜 웨이브를 연


출한다.

(나) 주 제품은 시스테인과 티오글리콜산(thioglycollic acid)을 주원료로 하는 환원제(제1제)


와 브롬산나트륨과 과산화수소수를 주원료로 하는 산화제(제2제)로 구성된다.

(다) 제1제는 웨이브에 관여하는 모발의 시스틴 결합을 끊는 역할을 하고, 제2제는 끊어진 시
스틴 결합을 재결합하여 원하는 웨이브 형태로 고정시킨다.

(라) 최근에는 퍼머넌트제가 알칼리 정도를 조정(pH 조절)하거나 모발 손상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첨가제 등을 추가하여 건강모, 손상모, 염·탈색모 등 모발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
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화되었다.

140
출처: 교육부(2016).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9.
[그림 4-2] 퍼머넌트의 원리

(2) 스트레이트 퍼머넌트제

(가) 스트레이트 퍼머넌트제는 모발의 형태에 웨이브를 형성시키는 것이 아니라 곱슬거리는 모


발을 펴서 직선이 되게 하는 방법이다.

(나) 주요 성분은 티오글리콜레이트(thioglycollate)와 황화물(sulfite)이다.

(다) 웨이브를 형성하는 퍼머넌트 웨이브 제품보다 스트레이트 퍼머넌트제의 환원제(제1제)는


높은 점성을 띠는 크림 형태이며, pH 8.8~9.1로 강알칼리이다.

5. 탈모 방지용
탈모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탈모 방지용 제품은 그 효과에 따라 전문 의약품, 일반 의약
품, 기능성 화장품으로 구분된다. 헤어미용 분야에서는 피부나 모발의 기능 약화로 인한 건
조함, 갈라짐, 빠짐, 각질화 등을 방지하거나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능성 화장품의 탈
모 방지용 제품을 취급할 수 있다. 주요 기능과 대표적인 함유 성분은 <표 4-2>과 같다.
<표 4-2> 탈모 방지용 제품의 주요 성분과 역할

성분 역할
달맞이꽃, 에스터 혈행 촉진제
비타민류(B, E) 모근 영양제
고추 팅크처, 멘톨, 페퍼민트 국소 자극제
글리세린, 세라마이드 보습제
살리실산, 젖산, 레조신 각질 용해제
유황 시트르산 피지분비 조절
징크피리티온, 알란토인, 항히스타민제 염증 억제
기타 향, 점증제, pH 조절제 등
출처: 교육부(2016).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9.

141
수행 내용 / 미용업소 제품 종류 파악하기

재료·자료

• 미용업소 제품 설명서

• 홍보용 POP, 포스터, 리플릿 등

• 두피·모발 관리 전문 제품

• 헤어스타일 연출 전문 제품

기기(장비 ・ 공구)

• 홍보용 영상 자료와 모니터

• 미용업소 제품 진열대

안전 ・ 유의 사항

• 고객에게 적합한 미용업소 제품을 사용하고 선정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대한 이해와 사용설
명서의 숙지가 필요하다.

• 미용업소 제품이란 세정제품과 헤어스타일 연출용 제품을 의미하며, 헤어컬러나 헤어퍼머넌


트를 위한 제품도 포함한다.

• 제품의 유형 상 건조 모발에 사용하는 제품, 젖은 모발에 사용하는 제품, 손에 덜어 비벼서


사용하는 제품, 자체 용기에 담긴 것을 뿌려서 사용하는 제품, 성분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제
품 등 사용법이 다양하므로 제조사별 사용법을 준수하여 상황에 맞추어 사용해야 한다.

• 미용업소 제품의 제안과 홍보를 돕기 위해 미용업소 내 POP와 포스터 부착, 리플릿 비치,
진열대 설치, 관련 영상 방영 등을 권장한다.

• 제품을 구매한 고객에게 사용 소감을 확인하고, 지속적으로 가정에서 홈케어하는 방법을 고


객 타입에 맞추어서 적용할 수 있다.

수행 순서

 두피·모발 상태에 따라 미용업소 제품을 선정한다.

1. 문진·시진·촉진 등을 통해 파악한 내용을 참고하여 고객에게 필요한 제품을 선정한다.

(1) 고객의 두피 유형을 판단하여 기록한다.

142
정상, 지성, 건성, 예민성 두피 등 고객의 두피 유형을 판단하여 활용 서식의 고객 카드
에 기록한다.

(2) 고객 모발의 손상 정도를 파악한다.


긴 모발의 경우 모근에서 멀어질수록 손상도가 심하므로 그 상태를 기록한다.

(3) 고객에게 필요한 제품이 무엇인지 질문한다.

(4) 고객에게 맞는 제품을 정확하게 파악해서 선택·제시한다.


필요한 제품이 샴푸일 경우 고객의 두피와 모발 상태에 적합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제
품인지 확인한다.

(6) 고객의 두피·모발에 상태에 따라 선정한 샴푸 성분의 효과를 [그림 4-3의 ]성분표를 참조하
여 고객에게 설명한다.

출처: 레삐 프로페셔널
[그림 4-3] 제품 성분 사진

 헤어스타일에 따라 전문 제품을 사용하도록 선정하여 제안한다.

1. 고객에게 제안할 전문 제품을 준비한다.

(1) 미용업소 전문 제품을 제안할 시점을 선택한다.


커트 고객, 파마 고객, 컬러 고객, 클리닉 고객 등 시술 과정 중 어느 단계에서 고객과
의 대화가 가장 용이한지 체크한다.

(2) 제안할 제품을 고객의 시선이 닿는 곳에 놓는다.

(3) 고객이 필요한 제품에 관한 내용의 대화를 한다.

(4) 제품의 효과와 사용법에 대해 설명한다.

(5) 고객의 헤어스타일을 연출하는데 필요한 제품으로 소개한다.

(6) 고객이 제품을 사용해볼 수 있도록 테스팅을 안내한다.

143
(7) 제품들의 혼합사용 시 사용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사용 방법을 시연해준다.

수행 tip

• 어떤 헤어스타일의 경우에도 두피·모발과 헤어스타일에 맞는


제품이 있으므로 헤어디자이너는 샴푸에서 스타일링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제품에 대한 설명과 제품 사용을 제안한다.

2. 고객이 원하는 헤어스타일의 이미지를 대화와 사진, 잡지 등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정확하게 전


달받는다.

(1) 탄력감 있는 헤어스타일을 원할 경우 세럼, 오일, 트리트먼트를 선정하여 제안한다.

(2) 컬감을 원하는 헤어스타일의 경우 컬감의 재현성을 높이기 위한 제품을 선정하여 제안한다.

수행 tip

• 고객에게 제품을 제안할 경우 두피·모발의 상태나 헤어스타일뿐


만 아니라 고객의 라이프사이클도 파악하도록 한다.
- 하루 중 샴푸를 언제 하는지
- 샴푸 시 충분히 헹구어내고 있는지
- 샴푸 후 타월드라이는 충분히 하고 있는지
- 샴푸 후 모발을 다 말리고 취침, 외출 등을 하는지
• 고객의 제품 사용에 관한 취향
- 사용 후 손바닥에 끈적임이 남는지
- 모발에 바르면 모발이 무거워져 모근에 달라붙는지
* 위의 사항을 체크해 고객에게 맞는 제품을 선정하여 제안한다.

144
4-2. 미용업소 제품 용도별 사용
• 펌, 컬러 등 화학적 시술에 필요한 제품을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헤어스타일링에 필요한 제품별 특성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 헤어케어에 필요한 제품별 특성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미용업소 제품 선정 시 고려사항

1. 모발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제품 선정


모발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성질 즉, 물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는 모발 제품의 적용, 선정에
도움이 된다. 모발의 물리적 특성은 <표 4-3>과 같다.

<표 4-3> 모발의 물리적 특징과 제품의 연관성

물리적 특성 고려사항
모발을 잡아당겨 끊어질 때까지 견디
인장강도 퍼머넌트제
는힘
케라틴 구조상의 특징, 원래로 돌아
탄력성 퍼머넌트제, 헤어스타일링제
갈 수 있는 신장력
질감(texture) 모발의 두께 퍼머넌트제, 염모제, 헤어스타일링제

고착력 모발 한 올을 뽑는 데 드는 힘 헤어케어제, 헤어스타일링제

흡수성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 퍼머넌트제, 염모제, 헤어케어제

팽윤성 액체를 흡수하여 부피가 커지는 정도 퍼머넌트제, 염모제

유지의 흡착력 친유성인 큐티클에 유지 흡착력 헤어스타일링제, 헤어케어제


모발이 갖는 양전하로 마찰 시에 정
모발의 대전성 헤어스타일링제
전기 발생
모발의 변성 열, 빛에 의한 단백질 변성 헤어스타일링제

*고려사항은 제품 고유의 특징을 고려한 분류임.


출처: 교육부(2016).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1.

2. 두피·모발 상태에 따른 제품 선정
두피·모발의 상태에 따라 미용업소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두피·모발의 상태에
대해 전문가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145
(1) 정상 두피·모발용

(가) 건강한 두피는 각질이 거의 보이지 않으며 모공 주변이 깨끗하고, 투명한 두피 톤을 보


인다.

(나) 두피 모발은 수분 함유량은 15% 내외고 pH는 약 5.5 내외이다.

(다) 건강한 모발이지만 영양의 불균형, 과도한 스트레스, 부적절한 생활환경, 불규칙한 생활
습관, 잘못 선택한 제품으로 인해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항상 두피 건강을 유지하는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표 4-4> 정상 두피·모발용 제품

용도 선택제품 주의점

세정 및 두피·모발 관리용 정상 두피·모발용 제품 사용 사용 후 깨끗한 세정

고객이 원하는 상태로 유지시킬 수 모발의 유형에 따라 고정력을


헤어스타일용
있는 제품 사용 고려하여 사용
두피에 약제가 남아 있지 않
헤어퍼머넌트, 염모제 정상 모발용 제품 사용
도록 세정

출처: 교육부(2016).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p.15.

(2) 건성 두피·모발용

(가) 유수분의 부족으로 윤기가 없고 생기 없이 거친 모발로 정전기가 자주 발생하는 것이 특


징이다.

(나) 모발에 유분과 수분을 충분히 보충하고 모발의 건조를 최대한 방지하는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다) 건성 두피는 모공의 크기가 작고 두피의 당김과 가려움이 심해 비듬균이 증식할 수 있는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표 4-5> 건성 두피·모발용 제품

용도 선택제품 주의점
모발에 과도한 유분기가 남는 것에
세정 및 두피·모발 관리용 건성 두피·모발용 제품 사용
주의

헤어스타일용 스프레이, 젤 등 사용 자제 사용 후 깨끗하게 세정

헤어퍼머넌트, 염모제 가는 모발용 제품 사용 사용 시 두피에 닿지 않도록 주의

출처: 교육부(2016).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p.16.

146
민감 두피용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있고 화학적 시술이나 자극적인 제품 사용, 열이나 압력과 같은 물리적 자극에 두피가 민
감하게 반응하고, 심할 경우에는 붉어진다. 민감 두피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이며, 과도한 스트레스, 피로 등
으로 일시적으로 민감해지는 경우가 있다. 일시적인 경우는 관리와 원인 해소를 통해서 회복된다. 제품은 알카리
도가 약하고 보습과 영양성분이 많은 것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3) 지성 두피·모발용

(가) 피지분비량이 많아 각질이 축적되어 지루성 비듬이 쌓여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세정


력이 강한 샴푸와 일반 샴푸를 병행하여 사용한다.

(나) 지나치게 세정력이 강한 샴푸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두피에는 효과가 있지만 모발이
건조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일반 샴푸와 병행하여 사용하고 관리해야 한다.
<표 4-6> 지성 두피·모발용 제품

용도 선택제품 주의점

세정 및 두피·모발 관리용 지성 두피·모발용 제품 사용 모발이 건조해질 수 있음


스타일링 유지에 한계가 있어
헤어스타일용 헤어케어 성분이 많은 제품 사용 자제
제품은 모발 끝 부분에만 사용
두피에 작용하지 않을 수도 있
헤어퍼머넌트, 염모제 정상 모발용 제품 사용
기에 세심한 도포 필요
출처: 교육부(2016).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6.

(4) 손상모발용
모발은 케라틴 단백질로서 친수성, 탄력성을 갖고 있으며, 개인마다 모발의 질감, 밀도
가 다르다. 모발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성들이 손상되는 형태에 따라서 외부 손상과
내부 손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 외부 손상(형태적 손상)


외부 손상은 주로 큐티클층의 손상으로 모발이 거칠어지고 모발이 끊기거나 윤기가
없고 촉감이 좋지 않으므로 모발에 윤기를 주는 에센스 등을 사용토록 권장하며, 외
부 손상은 <표 4-7>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나) 내부 손상(질적 손상)


1) 내부 손상은 모발 구조의 변화로 복구의 어려움이 있으며, 손상의 정도가 많은 간충
물질을 지속적으로 보충해주는 제품들의 사용을 권장한다.
2) 손상의 대표적인 예로는 퍼머넌트나 컬러제 등 화학적 시술로 인한 손상으로 모발의
간충물질이 유출되거나 모발 구조가 변형됨으로써 다공성 모발이 된 상태로 복원 관
련 제품을 같이 사용해야 하며, 손상 시 완벽한 회복에는 한계가 있다.

147
<표 4-7> 손상모용 제품

용도 선택제품 주의점
세정 및 두피·모발 관리용 손상모용 전용 제품 사용 손상 정도에 따라 제품을 선택
희망하는 헤어스타일을 완성하는 데
헤어스타일용 헤어케어 성분이 포함된 제품 사용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
원하는 디자인 결과가 나오기
헤어퍼머넌트, 염모제 약알카리, 산성 제품 위주로 사용
힘들어 시술을 권유치 않을 수 있음
출처: 교육부(2016).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p.17.

손상모 복원 제품 종류

케라틴 PPT: 파마 시 컬의 탄력과 지속 시간을 강화시키고 모발에 탄력과 힘을 부여하며 연모성 모질 또는 알


칼리 처리로 인한 손상 모발에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손상도가 심할 경우에는 2~3회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샴푸 후 젖은 모발에 충분히 도포한 후 드라이기로 70% 정도(꿉꿉한 느낌) 가온 건조한다. 단 건조 시 냉풍
가온 30초~1분 후 온풍 가온으로 바꾸어 가온 처리해주는 것이 좋으며 연화 시 손상 모발일 경우 중간 처리
제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콜라겐 PPT: 일반 파마와 열 파마 시술 전 케라틴을 도포하며 촉촉한 상태일 때 도포하면 된다. 모발에 윤기
와 보습, 장력을 부여하며 곱슬머리 또는 열손상 모발일 경우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손상도가 심할 경우에는
에센스와 혼합하여 쓰는 방법도 있다. 건조 시에는 열기구나 미스트기를 이용하여 열처리하면 보다 깊숙이 침
투되어 효과가 극대화된다. 또한 일반 파마 시 손상이 심해 끝모발이 날리거나 푸슬푸슬거리고 늘어지는 모발
일 경우 일반 파마제와 콜라겐을 손상도에 따라 9 : 1 또는 8 : 2 비율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간충물질: 섬유질과 섬유질 사이를 메우고 있는 시멘트와 같은 역할을 하며 대부분의 보습 성분이 간충물질 내
에 있으므로 모발 건조의 원인 또한 간충물질의 유출·변질에 있다. 파마나 컬러제가 작용하는 층도 간충물질
부분이므로 ‘파마가 잘 안 나온다’, ‘컬러가 잘 안되거나 탈색이 너무 빠르다’ 등과 같은 경우 모두 이 간충물
질에 문제가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런 경우 케라틴, 아미노산 등 간충물질과 같은 성분이 들어 있는 제품을 사
용해준다.

3. 헤어스타일에 따른 제품 선정

(1) 다양한 스타일에 따라 사용하는 제품도 매우 다양하다. 헤어스타일은 모발의 길이, 웨이브,
모발의 양, 연령대별로 매우 다양하므로 스타일에 맞는 제품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2) 스타일에 맞는 제품 선택은 고객의 스타일 유지는 물론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
이기도 하다. 제조사별로 제품명이 다르므로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조사의 제품 체계를 숙
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미용업소 제품 성분

1. 성분 종류
미용업소 제품에는 용매제, 유성원료,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보존제, 기타 첨가물질

148
등에 맞는 다양한 성분이 배합된다.

(1) 용매제는 제품의 10~60%를 차지하며 대표적인 물질로 정제수가 있다.

(2) 유성원료는 모발의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의 흡수력을 향상시킨다.

(3) 계면활성제는 두 물질의 경계면에 흡착해 성질을 변화시킨다.

(4) 보습제는 건조한 모발을 부드럽고 매끄럽게 한다.

(5) 점증제는 제품의 점도를 유지시키고, 안정성을 부여한다.

(6) 보존제는 화장품 개봉 후 미생물에 의한 변질을 예방한다.

(7) 기타 성분으로는 향료, 색소, 기능성 물질 등을 목적에 따라 첨가한다.

<표 4-8> 배합 목적에 따른 헤어미용 전문 제품 성분의 종류

헤어미용 전문 제품
배합 목적 성분
세정 스타일링 컬러 퍼머넌트

용매제 정제수 ○ ○ ○ ○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암모늄라우릴설
페이트, 올레익애씨드, 코카미도프로필메
계면활성제 ○ ○ ○
타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라우릴
설페이트, 티이에이-라우릴설페이트

보습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 ○ ○


점증제 세틸알코올 ○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에탄올아민 ○ ○
pH 조절제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

거품 안정화제 코카마이드디이에이,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 ○

거품 형성 방지, 수렴,
변성 알코올 ○
용매 및 점도 감소
헤어 컨디셔닝, 다이메티콘 ○ ○
피부 보호 아모다이메티콘 ○
이디티에이 ○
금속이온 봉쇄제
다이소듐이디티에이 ○
모발 구조 변화 암모늄티오글라이콜레이트 ○
세테아레스-25, 세테스-2, 아이소프로필
용해 보조제, 세정제 ○
알코올
세테스-30, 피이지-32 ○
용해제
아이소프로필알코올 ○

유화액 형성 노녹시놀-2, 올레일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

149
점도 감소제 헥실렌글라이콜 ○

폴리쿼터늄-11,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정전기 방지, 타이렌/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피막 형성 피브이엠/엠에이코폴리머부틸에스터, 브이

에이/크로토네이트코폴리머

압축가스(스프레이) 아이소부탄 ○
에어로졸 분사제
부탄 ○
(스프레이)
출처: 대한화장품협회. 소비자를 위한 화장품 상식. https://kcia.or.kr/pedia/main/에서 2019. 10. 21. 검색.

2. 성분 배합 방법
4차 산업혁명의 흐름 속에 화장품 산업 또한 디지털 마케팅, 가상 체험, 모바일 모발 진단,
개인별 맞춤형 화장품 등의 신기술을 적용한 맞춤형 화장품이 확대되고 있다. 헤어 살롱에
서도 필요한 경우 일부 헤어미용 전문 제품을 배합하여 고객의 모발 상태에 알맞은 최적의
제품 효과를 낼 수 있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1) 헤어스타일링 제품의 배합


헤어스타일링 제품은 제형에 따라 오일 타입과 왁스 타입으로 나뉘며 발림성에 따라 헤
어스타일의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가) 헤어왁스와 오일의 배합


손상모이거나 자연스러운 웨이브를 스타일링할 때에는 헤어왁스와 오일을 7 : 3의 비
율로 배합하여 사용한다.

(나) 헤어에센스와 세럼, 크림의 배합


손상모이거나 긴 기장의 모발에 광택을 주기 위해서 헤어에센스와 세럼, 크림을 1 :
1 : 1의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한다.

(다) 세럼과 무스 또는 코코넛오일과 젤의 배합


곱슬이 심한 모발은 엉키고 부슬거리며 스타일링이 어렵기 때문에 세럼과 무스 또는
코코넛오일과 젤을 1 : 1로 배합하여 곱슬모에 도포해준다.

(2) 헤어컬러용 배합

(가) 헤어컬러용 제품은 영구 염모제, 반영구 염모제, 일시적 염모제로 구분하며, 반영구 염모
제와 일시적 염모제는 단일 품목으로 사용한다.

(나) 영구 염모제는 산화제(제2제)와 함께 사용하며, 영구 염모제와 산화제의 배합 비율은 1 :


2 또는 1 : 1.5이다. 제조사에 따라 배합 비율이 다르므로 염모제 사용설명서를 충분히
숙지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손상모의 화학적 시술 배합

150
(가)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사용하는 콜라겐 PPT는 모발 손상도가 심할 경우 에센스와 혼
합해서 사용한다.

(나) 일반 퍼머넌트 웨이브 시 손상이 심해 모발 끝이 날리거나 푸슬푸슬해지고 늘어지는 모


발은 일반 퍼머넌트 웨이브 제품과 콜라겐 PPT를 손상도에 따라 9 : 1 또는 8 : 2 비율
로 한 번에 혼합해서 사용한다.

 미용업소 제품 유형별 사용

1. 전문 제품 유형
전문 제품의 유형은 로션 타입, 젤 타입, 분말 타입, 크림 타입, 검 타입, 스틱 타입, 스프
레이 타입 등 기능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2. 유형별 사용법

(1) 크림, 로션, 젤 타입

(가) 크림 타입의 경우 손끝으로 덜면 오염의 원인이 되고, 시술자의 손톱 밑에 제품이 들어


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패출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나) 사용할 제품을 적당량 덜어내고 손끝에 조금씩 묻혀가며 부분적으로 바르는 이유는 원하
는 부위별로 양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다) 제품을 손바닥 전체에 비벼 바르고 질감 표현을 원하는 부위에 손바닥으로 잡았다 놓았
다를 반복하며 스타일을 연출한다.

(2) 검 타입
섬유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점도가 높은 타입으로 우선 사용할 양을 손바닥에 덜어 비
빈 후 고객의 두상 위에서 박수를 치듯 손바닥을 서로 붙였다 떨어뜨리는 동작을 반복하
면 양손 사이에서 제품이 마치 거미줄같이 떨어져 나와 머리 위에 앉아 내리게 되며 머
리에 고루 도포된다. 이 상태에서 손으로 주무르며 원하는 스타일로 연출하면 된다.

(3) 스틱 타입

(가) 잔머리를 정리하거나 단정하게 붙일 경우 사용한다.

(나) 스틱을 잡고 내용물을 조금씩 밀어 올려서 사용하므로 손바닥에 덜거나 묻히지 않아도
되고 고정력이 강해 짧은 머리를 부분적으로 세울 때 모근에 직접 바를 수 있어 사용이
편하다.

(4) 스프레이 타입

(가) 고정 기능만 있는 일반 스프레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 다른 왁스 제품은 보통 모발에 오일 코팅 효과로 인해 블로우드라이기를 사용할 수 없으


나 스프레이 타입 왁스는 드라이기 사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스타일 연출이 가능하다.

151
 미용업소 제품 용도별 사용 순서
대부분의 미용업소에서는 고객의 스타일을 완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거의 모든 제품을 고객에게
제안하고 판매하고 있으며, 이는 고객이 집에 돌아가 혼자서도 헤어 디자이너가 만들어준 것과
같은 헤어스타일을 재현하는 데 도움을 준다.

1. 헤어스타일별 헤어 전문 제품 설명의 필요성


고객들이 가장 관심 있는 미용업소 제품은 미용업소에서 자신이 요구한 헤어스타일을 만들
기 위해 사용되는 제품들이다. 따라서 고객에게 시술 시 사용한 제품에 대한 설명과 스타일
유지를 위해 필요한 제품들에 대한 설명은 미용업소와 헤어 디자이너에 대한 전문성과 신
뢰감을 형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2. 시술 유형에 따른 미용업소 제품 사용

(1) 커트 고객

(가) 커트 고객은 프레 샴푸 시 샴푸제를 사용하고 2차 샴푸에서는 샴푸제, 트리트먼트제를


사용한다.

(나) 스타일링 시작 전에는 보습제 등과 같은 케어 제품을 사용하고 스타일링이 끝나면 스타


일 유지와 고정을 위한 스타일링 제품을 사용한다.
<표 4-9> 헤어커트 시술 순서별 사용 제품

용도 선택 제품 목적
프레 샴푸 두피와 모발 상태에 따른 샴푸 세정
2차 샴푸 보습성분 샴푸 커트 보완을 위한 세정
트리트먼트 모발 모호와 광택 헤어케어
스타일링 전 보습 에센스 스타일링 용이
스타일링 후 스프레이, 왁스 스타일링 유지

(2) 헤어펌 고객
퍼머넌트 고객의 경우 전처리제를 사용하고 퍼머넌트 약제를 사용하며 그에 맞는 샴푸
제나 트리트먼트제를 사용한다. 그리고 마무리 스타일링을 위한 스타일 유지 제품을 사
용한다.

152
<표 4-10> 헤어펌 시술 순서별 사용 제품

용도 선택 제품 목적
프레 샴푸 두피와 모발 상태에 따른 샴푸 세정
두피 보호 또는 모발 보호 두피 보호제 또는 클리닉제 두피 보호와 모발 보호
약제 도포와 연화 연화제, 전처리제 모발 팽윤
와인딩과 프레스 펌 1제(티오글리콜산, 시스테인) 컬 형성
중화 펌 1제(브롴산나트륨, 과산화수소) 컬 고정
애프터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케어
스타일링 전 컬링 에센스 스타일링 용이
스타일링 후 스프레이, 왁스 스타일링 유지

(3) 헤어컬러 고객

(가) 두피를 헤어컬러제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두피보호제를 도포한다.

(나) 손상된 모발 고객의 경우 모발을 헤어컬러제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전처리제를 사


용한다.

(다) 컬러약제를 도포 시 1제와 2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라) 컬러 후에 사용하는 컬러 전용 샴푸제를 사용하여 에멀션 샴푸를 실시하며 컬러 전용 샴


푸제는 컬러가 잘 유지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라) 컬러샴푸 후에는 손상된 모발을 되돌리는 컬러 전용 트리트먼트제를 사용하여 손상된 모


발을 재생시킨다.

(마) 마무리 스타일링을 위한 스타일 유지 제품을 사용한다.


<표 4-11> 헤어컬러 시술 순서별 사용 제품

용도 선택 제품 목적
프레 샴푸 샴푸제 또는 생략 세정
두피 보호와 모발 보호 두피 보호제 또는 클리닉제 두피 보호와 모발 보호
약제 도포 컬러1제와 2제 혼합 발색
애프터 샴푸 컬러전용 샴푸 약제 제거
트리트먼트 모발 모호와 광택 헤어케어
스타일링 전 보습 에센스 스타일링 용이
스타일링 후 스프레이, 왁스 스타일링 유지

(3) 모발·두피 관리 고객

(가) 모발·두피 개선에는 약 3~6개월 소요되는 특성상 관리 비중이 높은 서비스 품목으로 분


류된다.

(나) 일주일에 1~2회 정기적 관리를 해야 하는 고객관리를 대상으로 한다.

153
(다) 샴푸와 헤어 스케일링제 사용을 시작으로 매뉴얼 테크닉에 필요한 헤어오일, 두피앰플,
모근 영양제, 두피토닉 등을 사용한다.

<표 4-12> 모발·두피 관리 순서별 사용 제품

용도 선택 제품 목적
프레 샴푸 두피용 샴푸 세정
두피 스케일링 두피 스케일링제 두피 각질 제거
애프터 샴푸 세정용 샴푸 세정
두피 영양 두피 유형별 앰플 영양공급
두피 밸런스 두피 토닉 유수분 밸런스
스타일링 전 보습 에센스 스타일링 용이
스타일링 후 스프레이, 왁스 스타일링 유지

수행 내용 / 미용업소 제품 용도별 사용하기

재료·자료

• 헤어미용 전문 제품 설명서와 제품 일체

• 헤어미용 세정용 제품 설명서와 제품 일체

• 헤어미용 컬러용 제품 설명서와 제품 일체

• 헤어미용 퍼머넌트용 제품 설명서와 제품 일체

기기(장비 ・ 공구)

• 홍보용 영상 자료와 모니터

• 헤어미용 전문 제품 진열대

• 헤어미용 전문 제품 사용 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소도구와 장비 일체

• 헤어미용 전문 제품의 모발 흡수와 작용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기기 일체

• 헤어미용 전문 제품 사용 시 인체 보호용 장비 일체

안전 ・ 유의 사항

154
• 헤어미용 서비스 목적에 알맞은 제품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각 헤어미용 서비스의 특징을 파
악해야 한다.

• 제품 사용법이 다양하므로 제조사별 사용법을 준수하여 상황에 맞추어 사용한다.

• 모발의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헤어미용 서비스 전에는 패치테스트를 반드시 진행한다.

• 내가 사용하는 헤어미용 전문 제품의 성분이 무엇이고 어떤 독성이 있는지 제대로 파악한다.

• 암모니아 성분이 포함된 헤어미용 전문 제품은 휘발성이 있어 노출 시 두통, 시력 저하, 결막염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공기 중에 화학 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용기 뚜껑을 잘 닫는다.

• 암모니아 성분이 포함된 헤어미용 전문 제품을 사용하면서 제품이 얼굴, 목덜미 등에 묻거나 눈
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피부에 묻으면 즉시 물로 씻어주고 눈에 들어간 경우 손으로 비비지
말고 미지근한 물로 15분 이상 잘 씻고 안과 전문의의 진찰을 받는다.

• 염색 중 또는 염색 직후에 발진, 발적, 가려움, 구토 등의 증상을 경험했거나 머리, 얼굴,


목덜미에 부스럼, 상처, 피부병이 있는 경우에는 염색을 하지 않는다.

수행 순서

 고객이 희망하는 미용 서비스의 종류(헤어커트, 헤어컬러, 헤어 퍼머넌트 웨이브 등)를 확인한다.

 헤어커트 전에는 일반 샴푸제, 헤어컬러와 퍼머넌트 전에는 중성 샴푸제 또는 프레 샴푸를 진행한다.

1. 화상 방지를 위해 찬물을 먼저 틀고 난 다음에 뜨거운 물을 틀어서 물의 온도를 맞춘다. 물의 온


도를 맞출 때에는 고객의 모발에 물을 분사하기 전 시술자의 손목 안쪽에서 물의 적정 온도를 확
인한다.

수행 tip

• 샴푸 시 너무 차거나 뜨거운 물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고객의 헤어미용 서비스 목적에 알맞은 샴푸를 손바닥에 덜어 비빈 후 두피와 모발에 골고루 도
포하여 거품을 충분히 낸다.

3. 충분히 거품이 나면 모공의 노폐물을 뺀다는 느낌으로 지문을 이용해 두피를 문지르며 사용한다.

수행 tip

• 거품을 내어 비빌 때에는 두피에 상처를 내지 않기 위하


여 손톱 끝이 아닌 손가락의 지문을 사용한다.

155
4. 물로 깨끗하게 헹구어 샴푸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한다. 이때 화학적 서비스(헤어컬러 또는 헤어
퍼머넌트) 전이라면 이후 단계는 생략한다.

 헤어컬러 수행 단계에 알맞은 제품을 사용한다.

1. 고객이 원하는 헤어컬러 유지 기간을 파악하고, 이에 알맞은 헤어컬러 전문 제품을 선택한다.

(1) 고객이 모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일회성으로 컬러 표현을 원할 때에는 일시적 염모제(컬러


스프레이, 컬러 파우더, 컬러 스틱, 컬러린스 등)를 선택한다.

(2) 4~6주 동안의 염색 지속 기간을 원하면서 윤기가 없고 다공성 모발인 경우 반영구 염모제(산
성 컬러, 헤어 매니큐어, 비산화 염모제)를 선택한다.

(3) 비산화 염모제는 필요한 양을 염색 볼에 덜어서 바로 모발에 도포한다.

(4) 모발 자연 색상을 밝게 원하면서 염색이 오래 지속되기를 원하는 모발은 영구적 염모제를 선


택한다.

(가) 영구 염모제에 표시된 전(全) 성분을 확인하여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있는지 확인한다.

(나) 고객이 원하는 염색을 위해서는 염색 전 패치테스트를 진행한다.

수행 tip

• 헤어컬러용 전문 제품은 매회 사용 전 패치테스트를 하고


가려움, 수포, 자극 등이 있으면 바로 씻어내고 염색을
중단한다. 가려움, 구토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다.

(다) 스트랜드 테스트를 통해 고객의 모발이 염색에 적합한지 판단한다.

수행 tip

• 스트랜드 테스트는 고객의 목덜미 안쪽 모발에 진행한다.

(라) 염색이 가능한 모발이면 필요한 양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영구 염모제는 산화 염모제로


반드시 1제와 2제를 섞어서 사용해야 한다.

(마) 혼합 비율은 각 염모제 제조사에 따르므로 제품 사용 전 사용법을 숙지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바) 평균 35분의 방치 시간 후에 원하는 컬러가 잘 표현되었는지 확인한다.

156
 헤어 퍼머넌트 웨이브 수행 단계에 알맞은 제품을 사용한다.

1. 고객의 모발과 두피 상태에 따라 알맞은 헤어 퍼머넌트 웨이브 제품을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2욕


식 콜드 퍼머넌트 웨이브 방법(제1제, 제2제)이 사용된다.

(1) 버진 헤어, 경모, 강모인 경우 일반적으로 헤어 퍼머넌트 웨이브 전문 제품 제1제는 치오글리


콜산을 사용한다.

(2) 경모 중에서도 웨이브가 잘 형성되지 않는 모발은 암모늄염 타입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손상모, 염색모, 얇은 모발에는 시스테인을 사용한다.

(3) 헤어 퍼머넌트 웨이브 전문 제품 제2제로는 과산화수소수와 브롬산나트륨 2가지가 있다.

(4) 중화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모발이 탈색되는 부작용을 예방하려면 브롬산나트륨을, 모발이 굵


고 건강하거나 발수성모일 경우 과산화수소수를 선택한다.

 세정용 제품을 사용하여 헹구어낸다.

1. 헤어커트 후에는 일반 샴푸제와 컨디셔너를 사용하여 모발의 엉킴을 방지하고 윤기를 부여한다.

2. 헤어컬러 후에는 산성 샴푸제나 컬러 전용 샴푸제를 사용한다. 린스 또는 컨디셔너도 동일하다.

3. 헤어 퍼머넌트 후에는 산성 샴푸제나 컬 전용 샴푸제를 사용한다. 린스 또는 컨디셔너도 동일하게


선택한다.

 화학적 헤어미용 서비스 후 손상된 모발을 복구시키기 위해 모발의 주성분인 아미노산류(케라틴


PPT, 콜라겐 PPT)로 이루어진 제품을 사용한다.

수행 tip

• 퍼머넌트 웨이브로 인한 모발이 손상된 경우 컬의 탄력과


지속 시간을 강화시키고, 모발에 탄력과 힘을 부여하기 위
해 케라틴 PPT를 사용한다.

1. 샴푸 후 젖은 모발에 충분히 도포한 후 드라이기로 70% 정도 가온 건조한다.

2. 건조 시 냉풍 가온 30~60초 후 온풍 가온으로 바꿔 가온 처리해준다.

3. 손상도가 심할 때에는 2~3회 반복하여 진행한다.

 헤어스타일에 알맞은 스타일링 제품을 사용하여 마무리한다.

157
1. 모발이 가늘고 양이 많지 않아 가라앉는 경우에는 모근의 볼륨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스프레이를
사용한다.

(1) 볼륨을 주고자 하는 부분의 모근에 드라이기를 사용하여 볼륨을 준다.

(2) 고객의 얼굴을 보호하고 볼륨이 고정되도록 스프레이를 분사한다.

(가) 전체적으로 헤어스타일링을 고정하며 마무리하는 목적일 경우에는 고객의 얼굴에서


30~35cm 떨어진 거리에서 전체적으로 분사한다.

(나) 특정 부분의 모발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10cm 정도 근접한 거리에서 집중 분사한다.

수행 tip

• 스프레이를 분사할 때는 제품이 튀지 않도록 고객의 얼굴


을 얼굴 가리개나 손으로 가린 후 분사한다.

(3) 드라이기의 미열로 제품을 굳힌다.

(4) 볼륨을 준 곳에 다시 한 번 스프레이 제품으로 고정한다.

(5) 스프레이 타입은 볼륨을 살리는 경우 드라이기와 함께 사용할 경우 모근을 높게 세우거나 볼


륨의 지속력이 높아질 수 있는 제품으로 사용된다고 설명한다.

(A) 고객의 얼굴을 가리고 스프레이를 분사한다. (B) 드라이 미열로 제품을 고정시킨다.
출처: 교육부(2016).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p.28.
[그림 4-4] 스프레이 타입의 제품 사용 방법

2. 모발 끝의 움직임을 강조하는 스타일을 위해 헤어왁스 또는 젤 타입의 제품을 사용한다.

(1) 손바닥에 헤어왁스, 젤 등을 덜어낸다.

(2) 덜어낸 제품을 손바닥의 열로 고르게 펴주어 바르기 편한 상태로 만든다.

(3) 모발 전체에 제품이 골고루 묻도록 가볍게 바른다.

(4) 스타일링이 필요한 부분의 모발 끝을 움켜쥐듯 ‘잡았다 놓았다’를 반복하여 집중 도포한다.

(5) 원하는 느낌이 연출되었는지 확인한다.

3.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원하면서 제품을 골고루 도포하는 경우 검 타입의 제품을 사용한다.

(1) 손바닥에 검 타입의 제품을 손톱 크기 만큼 덜어낸다.

(2) 손바닥에 덜어낸 검 타입의 제품을 잘 비빈다.

158
(A) 손바닥에 사용하고자 하는 제품을 덜어낸다. (B) 손바닥 열로 제품을 고르게 펴준다.

(C) 모발 끝을 움켜쥐듯이 ‘잡았다 놓았다’를 반복한다.


출처: 교육부(2016).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p.26.
[그림 4-5] 헤어왁스 타입의 제품 사용 방법
(3) 고객의 두상 위에서 양손을 25~30cm 간격으로 박수를 치듯이 맞춰 친다.

(4) 양손 사이에서 생성된 거미줄 같은 검이 모발 위에 골고루 얹어질 수 있도록 한다.

(5) 거미줄 형태로 모발 위에 얹어진 검을 모발과 함께 움켜쥐듯하며 스타일을 연출한다.

(6) 검 타입은 넓은 부위에 고르게 도포가 가능한 점을 설명한다.

(A) 손바닥에 사용하고자 하는 제품을 덜어낸다. (B) 손바닥 열로 제품을 고르게 펴준다.

159
(C) 양손을 25~30cm 간격으로 박수 치듯 맞춰 친다.

(D) 모발 위에 얹어진 검을 모발과 함께 움켜쥐듯하며 스타일을 연출한다.


출처: 교육부(2016).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7.
[그림 4-6] 검 타입의 제품 사용 방법

4. 모발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두피에 밀착 고정하는 경우 스틱 타입의 제품을 사용한다.

(1) 남성 고객의 흘러내리는 앞머리, 쪽머리, 귀밑머리, 사이드, 네이프 부분의 모발 정리에 사용한다.

(2) 스틱을 잡고 내용물을 조금씩 밀어 올린다.

(3) 스타일링이 필요한 부분에 스틱을 대고 바른다.

(4) 스타일링 하고자 하는 형태로 마무리한다.

(5) 스틱 타입은 잔머리를 고정하거나 붙일 때 사용한다고 설명한다.

(6) 고객이 제품의 향과 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수행 tip

• 제조회사별로 다양한 종류의 제품에 대해 숙지하고 고객의


두피와 모발의 모질에 대해 잘 맞는 제품을 설명하도록 한다.

160
(A) 가르마 (B) 네이프 (C) 사이드와 구레나룻
출처: 교육부(2016).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27.
[그림 4-7] 스틱 타입의 제품을 사용하기 좋은 곳

수행 tip

· 고객에게 여러 개의 제품을 동시에 설명하면 혼란스러울 수


있으므로 가장 필요한 제품을 우선 제안하고, 다른 제품을 한
가지 정도 더 설명하여 그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5. 긴 머리는 모발 끝을 차분하게 정리할 수 있는 세럼 타입의 제품을 사용한다.

(1) 샴푸 후 트리트먼트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모발의 물기를 타월로 비비지 않고 눌러서 최대한


제거한다.

(2) 30~40% 정도의 수분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모발의 끝부분에 세럼을 골고루 도포한다.

6. 자연스러운 느낌을 연출할 때는 에센스 타입의 제품을 사용한다.

(1) 고객의 모발 상태에 따라 스프레이 타입, 로션 타입, 크림 타입, 밤 타입, 오일 타입 중 적합


한 형태의 헤어에센스를 선택한다.

(2) 헤어에센스는 샴푸 직후 블로우드라이와 아이론으로 스타일링 전에 사용한다.

(3) 에센스 타입의 제품은 질감 표현에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설명한다.

출처: 교육부(2016).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p.28.


[그림 4-8] 로션 타입의 헤어에센스 제형

161
4-3. 홈케어 제품 추천
• 고객에게 홈케어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홈케어 제품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고객에게 추천할 수 있다.
• 미용업소에서 판매 중인 제품의 특성과 가격에 대해 설명하고 판매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두피·모발 관리를 위한 홈케어


주기적으로 미용업소에서 두피·모발 관리를 받는 횟수보다 매일 가정에서 하는 샴푸나 헤어스
타일링 횟수가 훨씬 빈번한 만큼 전문적인 관리와 홈케어가 함께 이루어져야 두피·모발 관리가
더욱 효과적이다.

1. 두피 상태에 따른 홈케어

(1) 건성 두피: 매일 샴푸는 두피가 건조해지므로 주 2~3일은 건성 두피용 샴푸를 사용하며 두피


보습에 초점을 두어 관리한다.

(2) 지성 두피: 매일 샴푸를 하며 심한 경우 하루에 두 번 하는 것도 좋다. 세정에 중점을 두고


관리하며 샴푸 후 피지 조절과 세균을 억제할 수 있는 토닉을 사용하도록 한다.

(3) 민감성 두피: 민감성 전용 샴푸를 사용하여 민감한 두피를 진정시키는 두피 진정용 토닉을 사
용하도록 한다.

(4) 탈모 두피: 탈모 전용 샴푸제로 샴푸하며, 토닉과 영양 앰플을 사용하도록 한다. 모발의 성장


에는 영양 섭취도 중요하므로 균형 잡힌 식습관과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섭취의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2. 모발 상태에 따른 홈케어

(1) 손상 모발
모표피의 심한 손상으로 모피질의 간충물질이 유실되어 다공성 모발이 된다. 과도한 물
리적·화학적 미용 서비스는 자제하며, 구멍 난 부분을 채울 수 있는 영양 앰플을 꾸준히
사용하도록 한다.

(2) 가는 모발

(가) 가는 모발은 볼륨이 가라앉기 쉽고 헤어스타일 지속력도 부족하므로 근본적인 모발 건강을


위해 평소 바른 식생활과 생활 태도가 중요하며, 영양 앰플을 꾸준히 사용하도록 한다.

(다) 드라이기로 모발 건조 시 모류의 반대 방향으로 바람을 쏘이는 것이 볼륨에 효과적이다.

162
수행 내용 / 홈케어 제품 추천하기

재료·자료

• 기기나 제품 설명서

• 상담용 두피·모발 사진

• 홈케어 제품 카탈로그

• 고객관리 차트

기기(장비 ・ 공구)

• 두피·모발 진단기

• 미용 경대와 고객 의자(또는 실습용 작업대)

• 이동식 작업대(또는 실습용 바구니)

안전 ・ 유의 사항

• 관리의 추이를 장기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모발진단기로 몇 군데를 지정하여 촬영하도록 한다.

• 관리 후 열기구로 모발을 건조하면 간혹 과도하게 연기나 스팀 등이 보일 수 있는데 이는


모발이 타는 것이 아니라 유수분의 일시적 증발 현상이므로 고객을 안심시키도록 한다.

수행 순서

 관리 결과를 확인하고 관리 전후를 비교 설명한다.

1. 진단기를 사용하여 관리 후에 두피 상태를 촬영한다.

2. 관리 전에 촬영한 두피 사진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수행 tip

• 두피·모발 진단기 촬영법은 본 학습모듈 두피・모발 관리


실행하기를 참고한다.

 영양제를 도포한 후 관리를 마무리한다.

1. 두피·모발 영양제를 적량 도포한다.

163
수행 tip

• 두피·모발 관리 후에는 드라이기나 아이론을 과하게 사용하


여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보다는 모발의 물기를 말리고 영
양 제품을 도포하여 자연스럽게 마무리할 것을 권장한다.

 홈케어 방법을 설명한다.

1. 홈케어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2. 홈케어 제품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1) 평소 사용하는 관리 제품을 확인한다.

(2) 제품의 유형과 성분에 따른 바른 사용법을 설명한다.

(3) 이해를 돕기 위해 가급적 해당 제품을 사용하면서 설명한다.

3. 두피·모발에 좋은 생활 습관을 설명한다.

수행 tip

• 평소 제품을 미사용하거나 부적합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고객에게 적합한 제품을 권유할 수 있다. 이때 강요
한다는 느낌이 들지 않도록 주의한다.

 다음 관리 일정을 점검한다.

1. 주기적으로 관리받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

2. 고객과 미용업소, 관리사의 상황을 고려하여 일정을 조율하도록 한다.

 고객을 배웅한다.

1. 보관했던 고객의 소지품을 돌려주고, 의상을 바꿔 입도록 안내한다.

2. 관리 비용을 계산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3. 밝은 미소와 목소리로 배웅한다.

 두피·모발 관리 공간을 정리정돈한다.

1. 사용한 기기와 도구, 공간을 정돈한다.

2. 사용한 제품의 잔여분을 확인하여 부족한 경우 보충한다.

164
4-4. 미용업소 제품 관리하기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미용제품과 판매제품 등 필요 제품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별 재고 상태, 유통기한, 반품기한 등 관련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미용업소 시스템에 따라 제품의 주문과 입고 시기, 수량 등에 관한 구매 계획을 세울 수 있
다.
• 정기적으로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의 소비동향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미용업 재고관리 개요
재고(inventory)란 ‘앞으로 발생될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비축한 물자’,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물품’으로 경제적 가치를 지닌 유휴 자원(idle resources)의 중요
한 자산이다(2016 학습모듈. 재고관리(0204010205_14v1)).

1. 미용업 재고관리 목적

(1) 적절한 재고를 유지하고 효율적인 운영 관리를 통해 재고관리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2) 미용업의 재고관리는 제품을 가장 경제적으로 구매하고, 제품이 없어서 서비스를 못하는 상황
에 이르지 않게 제품을 준비하는 것이다.

(3) 재고관리를 통해 관리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효율적인 보관과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도
록 하는 데 목적을 둔다.

2. 미용업 재고관리 비용
주문 비용, 재고 유지 비용, 품절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재고는 총자산의
15~40%, 유동 자산의 25~75%를 차지한다.

(1) 주문 비용은 재고 보충을 위한 주문에 소요되는 제비용으로 주문 발송비, 통신료, 물품 수송


비, 입고비 등이 포함된다.

(2) 재고 유지 비용은 재고를 유지하고 보관하는 데 필요한 제비용으로 보관비, 세금 감가상각비


등이 있다.

(3) 품절 비용은 재고의 부족으로 인한 제비용으로 판매 기회 상실 손해, 신용 실추 손실 등의


주관적 내용이 포함된다.

 미용업 재고관리 필요성

1. 미용 제품에 대한 정확한 수요 파악

165
미용 제품에 대한 수요를 정확하게 파악하면 제품의 공급, 수요, 리드 타임의 불확실성을
감소할 수 있다. 하지만 보통 정확한 수요를 완전한 파악이 어려우므로 변동 상황을 고려한
안전 재고 물량을 확보해야 한다.

리드 타임(lead time) 정의

발주에서 입고까지의 소요 기간을 말한다. 리드 타임을 결정하는 데에는 주문에 필요한 시간, 주문처에서
입고되기까지의 시간, 입고 확인 시간 등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가능한 한 재고관리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한다.

2. 미용업 운영을 위한 예산 수립
미용업 운영을 위한 인건비, 통신비, 관리비 등과 같은 고정 비용에 대한 예산을 수립하여
재고를 보유함으로써 다른 활동에서 운영비를 간접적으로 줄일 수 있다.

3. 미래 불확실성에 대한 대처
미용 제품의 수요 예측에서 오는 오차 수량, 제품의 납기 지연 등으로 발생 가능한 가능성
을 완화시킨다.

 미용 제품 구매 시점과 발주량 관리
적시에 충분한 미용 제품의 재고가 확보되지 않으면 서비스 제공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다.
반면에, 재고를 과다하게 보유하면 원활한 자금 운용이 어려워 수익률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
다. 그러므로 미용 재고관리와 제품 주문에 있어 1회 주문량과 재고 보충을 위한 재주문 시점
을 적절하게 선정해야 한다.

1. 미용 제품 구매 시점
품목, 수량, 시기, 품질, 가격, 거래처, 조건, 물품의 상태 등을 고려해야 한다.

(1) L4L(lot for lot)


해당 기간에 필요한 수량(순소요량)만큼만 주문하는 방식이다.

(2) 정량 발주(FOQ: fixed order quantity)


발주량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발주할 때마다 발주량을 다시 산출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
리하다. 하지만 수요와 리드 타임이 변동적이며, 이로 인하여 재고 수준과 발주 간격도
불규칙적이다. 또 재고 기록을 지속적으로 해야 하며, 회계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
이 있다. FOQ 발주에 용이한 미용 제품은 다음과 같다.

(가) 재고 파악이 쉬운 미용 제품
육안으로 재고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거나 입출고 기록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품목

(나) 계속적인 재고 파악을 필요로 하는 미용 제품


고가 제품, 필수 제품 등

166
(다) 수요 변동이 크거나 불규칙한 미용 제품

(3) 정기 발주(FOI: fixed order interval)


미용 제품의 재고를 주기기적으로 조사하고 그때마다 필요한 물품을 새롭게 발주하는
방식이다. 정기 발주에 적합한 미용 제품은 다음과 같다.

(가) 품목 수가 많은 제품
품목 수가 많거나 동일한 공급자에게 여러 품목을 발주할 때에는 관련 미용 제품을
일괄적으로 발주함으로써 발주비, 포장비, 수송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나) 공급자의 방침에 따라야 할 때


공급자가 정기적으로 순회하면서 수주하거나 배달할 때에는 구매자의 발주 시기를
이에 맞추어야 한다.

(다) 값싼 품목
미용 서비스에 사용되는 저가 소모품 등은 일일이 입출고를 기록하는 것보다 일정한
용기에 담아 사용하고 정기적으로 이를 보충하는 것이 간편하다. 이때 용기는 내용
물이 보이는 것이 좋다.

(라) 재고 수준을 파악하기 어려운 품목


외관적으로나 기록상으로나 재고량을 계속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미용 제품 등이다.

2. 미용 제품 발주량

(1) 최소 발주(MOQ: minimum order quantity)


구입 최소 발주량을 의미한다.

(2) 경제적 발주(EOQ: economic order quantity)

(가) 발주 비용과 재고 유지 비용만을 고려하여 비용을 최소화하는 가장 경제적인 발주 방식


이다.

(나) 김설옥(2014)에 따르면 경제적 구매량이란 물품을 구매할 때에 물품의 단가뿐만 아니라
단가 할인, 물류 비용 절약, 계약 조건, 연간 청구비와 보관비 등을 고려하여 손실액과
이득액이 같은 상태가 성립할 때 구매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다) 주문 비용과 총재고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주문하여 구매하는 수량을 경제적 구매
량이라고 한다.

(라) 제품과 소모품 시설물 리스트가 있는 명세표, 재고 현황표, 재고관리의 기준에 의거하여
구매량 결정이 이루어지고, 언제 구매할 것인지 결정하고, 물품 명세서와 재고량을 바탕
으로 구매 계획과 실행이 이루어진다.

(마) 재고관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 있으며, 현장에서는 이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


화되고 있다.

167
(3) 안전 재고(safety stock)

(가) 안전 재고는 재고 부족을 방지하려고 과거의 미용 제품 사용 현황과 미래의 사용 현황을 예측


하여 산출한 재고량이다.

(나) 수요의 변동이나 배달 지연 등으로 재고 부족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예비적 목적으로 보유해
야 할 여분의 재고를 확보한다.

(다) 안전 재고를 많이 확보하면 품절은 방지할 수 있지만, 너무 많이 확보하면 재고량이 많


아져 재고 회전율이 둔화될 수 있으므로 품절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준에서 최소로 유지하
는 것이 좋다.
구매량 산정식

제품의 최저 재고량 = 안전 재고량 + (1인 평균 매상고 + 매입 기간)


정량 발주 방식의 구매량 = 리드 타임 중의 평균 수요 + 안전 재고
정기 발주 방식의 구매량 = (발주 간격 + 조달 기간) 중의 평균 소비량 – 현재 재고 + 안전 재고

 IT와 미용 전문 제품 재고관리

1. 개념

(1) 과거의 재고관리는 재고 목록, 입출고 목록, 발주 시기 예측, 전표 관리, 일정 관리가 일일이
수기로 이루어졌지만, 오늘날은 이러한 일을 컴퓨터가 대신하고 있다.

(2) 재고관리에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활용하면 업무의 효율화, 관리 시간의 단축, 재고관리 비용
절감 등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많은 미용업체에서 활용하고 있다.

(3) 대표적인 재고관리 시스템으로는 3가지가 있다.

(가)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나) CRP(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

(다) POS(point of sale)

2. ERP 시스템

(1) 전사적 자원 관리라고 부르며, 미용업소 내의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이다.

(2) 구매, 생산, 재무, 회계, 인사, 영업, 재고관리와 같은 매장 내 주요 업무를 통합적으로 연계
관리함으로써,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재, 설비, 자금, 인력, 정보 등 각종 유무형의 자원을 전
사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이다.

(3) 현재는 기업의 전체 업무와 자원을 통합 관리하는 경영 방식, 경영 전략 또는 정보 시스템을


의미하기도 한다.

168
3. CRP 시스템

(1) CRP 시스템은 자동 재고 보충 프로그램이라 부르며, 유통업체가 제조업체와 전자상거래를


통해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공유하여 재고를 자동으로 보충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 유통업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인 반품 문제, 재고의 과부족 사태의 해소와 제조업체가 가진 정
확한 수요 예측의 어려움에 대한 해소를 통한 비용의 절감 효과를 목적으로 한다.

(3) 기존에 유통업체와 제조업체가 고질적으로 겪는 누적 재고로 인한 문제를 재고관리를 통해서


해결하고 실질적인 수요 중심의 공급을 주도하고자 한다. CRP는 아직 미용업계에서는 사용되
지 않고 있다.

4. POS 시스템

(1) 미국에서 최초로 개발되어, 뷰티 전문 매장뿐만 아니라 백화점, 할인점, 슈퍼, 전문점, 편의점
등에서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관리, 고객관리, 매출관리 등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것으
로 판매 시점 정보 관리 시스템이라 부른다.

(2) 매장에서의 각종 거래 발생과 동시에 데이터를 서버에 입력하고 필요한 데이터의 빠른 활용이
가능하다.

(3) 여러 대의 POS 단말기를 운용할 때에는 매장 POS 단말기의 가동 상태와 오류, 정산 상황


등을 메인 서버에서 집중 관리하여 현금, 신용카드, 미결, 취소, 할인 거래에 관한 모든 정보
와 각 상품별 정보 파악이 가능하다.

(4) POS 시스템의 기능


판매, 재고관리 기능, 자동 판독 기능으로 POS 시스템에서는 바코드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상품 판매 시점에 바코드가 읽히는 순간 정보가 입력되는 기능, 그리고 정보의
집중 관리 기능으로 분류할 수 있다.

(5) POS 시스템의 활용

(가) 수집된 정보, 즉 단품별 데이터·고객 정보·가격·매출 정보 등은 점포 내 또는 본부의 주


컴퓨터에 보내져 집중적으로 가공·처리·전달되어, 이를 전략적 의사결정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나) 과거에는 유통업체, 제조업체, 소비업체 간의 정보 교류 구축 프로그램의 가격이 비싸서


대기업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싸고 간편한 인터넷으로 기업 크기에 상관없이
정보 공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다) POS 시스템 전자상거래를 통한 재고관리는 미용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169
출처: 교육부(2018).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52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3.
[그림 4-9] 재고관리 체계의 변천

 소모품 관리 방법
소모품의 관리는 내부 규정에 의한다. 관리 규정에는 소모품의 목적과 적용 범위, 책임 관리자
의 임무, 인수인계 시의 규정, 재고를 포함한 관리 규정 일체를 포함하고 있다. 대규모 미용업
소는 물품 관리 규정을 정해 효율적인 관리를 할 필요가 있으며, 소규모 미용업소는 물품 관리
요령을 숙지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한다.

<표 4-13> 소모성 비품 관리대장의 예

소모성 비품 관리대장

품목명 제조사 규격 이월 입고 재고 확인자 확인일자 비고

(인)

(인)

(인)

(인)

(인)

(인)

(인)

(인)

(인)

출처: 교육부(2017).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52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8.

170
수행 내용 / 미용업소 제품 관리하기

재료·자료

• 제품 리스트, 소모품 리스트, 시설물 리스트 등

• 재고 관련 장부와 프로그램 일체

• 물품 사용설명서와 카탈로그, 거래업체 연락처와 관련 자료

• 각종 사무 문구용품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프린터, 시술 제품, 점판 제품

안전· 유의 사항

• 시술 목적에 필요한 제품 리스트를 정확히 파악하도록 한다.

• 계절과 같은 환경 변수로 변동이 있는 미용 제품은 전년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요를


예측한다.

• 디자이너가 개인적으로 고객에게 사용하는 시술 제품을 파악하고, 목록을 작성할 수 있다.

• 필요한 제품과 주문 제품의 종류가 동일한 상품인지 정확하게 확인한다.

• 주문한 제품과 다른 종류의 물품이 입고되었으면 즉시 담당자나 물품 회사에 알려 확인하고


교환한다.

• 안전 재고량을 정할 때에는 재고 담당자와 상의한다.

• 물품 주문 시에는 주문 목록과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주문 후 재확인한다.

• 물품의 유통기한이 경과되었으면 재고 담당자와 확인하여 즉시 폐기처분한다.

•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소모성 물품은 주기적으로 관리한다.

• 미용실의 모든 제품, 비품, 소모품 등이 전산으로 관리되는 프로그램이 구비되도록 한다.

• 전산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때에는 학습자가 사용 방법을 충분히 숙지하도록 반복 연


습한다.

171
수행 순서

 재고관리에 대한 직원 교육과 담당 직원을 배치한다.

1. 직원들에게 재고조사 목적, 재고조사에 정확성을 기해야 하는 이유, 재고조사 세부 절차, 물품 보


관법, 신청 시기와 수량에 대한 내용을 사전에 공지한다.

2. 미용 제품 재고관리 담당 직원을 배치한다.

 재고조사 시기에 따라 주기적인 재고관리 계획을 세운다.

1. 1년에 1~2회 정도 구매할 미용 제품과 시설 장비에 대한 재고관리 계획을 세운다.

2. 1년에 1~6회 정도 구매할 미용 제품과 시설 장비에 대한 재고관리 계획을 세운다.

3. 1개월에 1~3회 정도 구매할 미용 소모품과 사무용품에 대한 재고관리 계획을 세운다.

 미용 제품 재고관리를 위한 물품 리스트를 [그림 4-12]와 같이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해 작성한다.


고객 시술에 필요한 제품과 고객에게 판매하는 점판 제품 그리고 디자이너가 개인적으로 사용
하는 미용 전문 제품, 소모품을 분류하여 리스트를 작성한다.

1. 활용 서식을 사용하여 제품 리스트를 작성한다.


커트, 퍼머넌트, 염·탈색, 두피·모발 관리 등 미용 서비스 종류에 따라 필요한 미용 제품의
물품 리스트를 작성한다.

2. 활용 서식을 사용하여 점판 제품 리스트를 작성한다.


샴푸류, 컨디셔너류, 스타일링 제품, 헤어오일 제품 등으로 분류하여 점판 제품의 물품 리스
트를 작성한다.

3. 활용 서식을 사용하여 직원들이 개인적으로 고객에게 사용하는 미용 제품 리스트를 작성한다.


샴푸류, 헤어스타일링제, 헤어에센스 등의 물품 리스트를 작성한다.

4. 활용 서식을 사용하여 소모품 리스트를 작성한다.

 미용실에 설치된 시설물과 기구를 관리한다.


시설물이란 미용실 개업 시에 설치된 보일러, 경대, 샴푸대 등을 말하며, 기구란 미용 서비스에
사용되는 각종 기구 일체, 미용실 운영에 필요한 컴퓨터, 고객에게 필요한 정수기 등을 말한다.

1. <표 4-14>와 같이 시설물 대장을 만든다.


시설물 이름, 구매일, 제조자, A/S 연락처 등을 기재한다.

172
2. 관리 책임자를 정한다.

3. 시설물 관리대장을 작성해 비치해놓고 관리한다.

사례: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한 미용 제품과 소모품 재고관리 리스트 만들기

1. 엑셀 프로그램을 실행
2. 파일-① 새로 만들기
3. 검색창에 ② 재고 입력
4. ③ 찾기 클릭
5. 리스트 목적에 맞는 형식 선택하여 사용

출처: 교육부(2017).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52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6.


[그림 4-10]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한 미용 제품과 재고관리 리스트 만들기

<표 4-14> 기구와 시설물 관리대장의 예

품목 구입 일자 A/S 연락처 A/S 실시 여부 관리 책임자

스팀기 1 2015.9.1 02-1111-1111 2015. 9. 4. 부품 교체 김○○

스팀기 2 2015.9.1 김○○

에어컨 1 2010.1.1 02-1234-5669 김○○

온수기 1 2010.1.1 김○○

두피 진단기 2012.5.3 김○○

샴푸대 2010.1.1 02-4560-1230 김○○


출처: 교육부(2017).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52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6.

173
 필요한 미용 제품과 소모품의 재고량을 파악하고 주문량을 정한다.

1. 미용 제품과 소모품의 필요량을 정한다.


미용 서비스·고객 접객·미용실 환경 유지 등에 필요한 미용 제품과 소모품 등으로 분류하여
현재 재고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한다.

(1) 미용 서비스에 사용되는 미용 제품의 재고량을 파악하고 주문량을 정한다.

(2) 고객 접객에 필요한 소모품의 필요량을 정한다.

(3) 미용실 사무에 관련되어 필요한 소모품의 필요량을 정한다.

(4) 미용실 환경 유지에 필요한 소모품의 필요량을 정한다.

2. 필요 제품을 발주한다.

3. 주문 제품의 입고를 확인한다.


시술 제품, 점판 제품, 디자이너 구매 제품 등으로 분류한 관리 리스트에 입고를 확인하여
제품과 같이 첨부된 세금계산서나 거래명세표를 확인한다.

(1) 주문 제품의 입고를 확인하고 관리 리스트에 기입한다.


구매된 물건이 미용실에 도착하면 주문한 물건과 동일한지, 또 수량은 동일한지 검수한
후 제품 관리 리스트에 종류와 수량을 적는다. 제품 관리자에게 정상 입고를 보고한다.

(2) 주문 제품의 입고를 확인하고 지정된 곳에 보관한다.


검수가 끝난 제품은 각각 지정된 곳에 보관한다.

출처: 교육부(2018).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52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37.


[그림 4-11] 거래명세표의 예

174
4. 출고를 확인한다.
시술 제품, 점판 제품, 디자이너 구매 제품, 소모품 등으로 분류한 미용 제품 재고관리 리스
트에 출고를 확인한다.

(1) 미용 서비스에 사용한 제품의 출고를 확인한다.


미용 서비스에 필요한 제품은 각 제품의 일정 기간의 사용량을 반드시 파악해야 한다.
사용한 용기를 회수하여 회수된 용기의 양을 매일 확인한다(예를 들어, 한 달에 샴푸
(1,000리터) 2통 사용 총 2,000리터 사용).

(2) 점판 제품의 출고를 확인한다.


고객들이 구매 시 출고가 확인되는 것이므로 출고 즉시 관리 리스트에 기록하거나 하루
영업이 끝나면 기록한다.

(3) 디자이너들이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미용 서비스 제품의 출고를 확인한다.


입출고 관리대장을 별도로 만들어 관리한다.

(4) 소모품의 출고를 확인한다.

<표 4-15> 제품 입출고 리스트의 예 (작성일: 2019년 7월 27일 14:00, 작성자: 김○○)

품목 제조사 제품명 입고량 출고량 재고량

염색약 A사 000 3 3 0

염색약 A사 000 30 10 20

염색약 A사 000 10 - 10

염색약 B사 000 7 5 2

퍼머약 C사 000 10 - 10

퍼머약 C사 000 3 - 3

출처: 교육부(2019). 헤어제품사용(LM1201010113_17v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0.

수행 tip

• 제품을 종류별, 담당 디자이너별 등으로 분류하여 제품 보


관 장소에 두면, 제품의 주문과 입출고, 제품의 상태와 유
통기한 등을 파악하는 데 용이하다.

 재고 확인 후 부족한 물품을 주문·구매한다.

1. 안전 재고량을 정한다.
시술 제품, 점판 제품, 디자이너 시술 제품, 소모품으로 분류된 제품마다 안전 재고량을 정

175
한다.

(1) 시술 제품의 안전 재고량을 정한다.


일정 기간 내의 시술 수와 디자이너 현황, 제품 주문 횟수 등을 정한다. 주문 횟수는 예
를 들어 월 2회로 할 수 있다. 여유 재고량 등을 고려하여 안전 재고량을 정한다. 예를
들면, 지난 3개월간 월 평균 염모제 35g짜리 200개 사용 시 여유 재고량은 추가10%이
며, 신규로 입사한 디자이너가 없다면 200+(200×10%), 즉 220개가 안전 재고량이다.

(2) 점판 제품의 안전 재고량을 정한다.


일정 기간 내에 판매된 제품의 수량과 여유 재고량을 고려하여 안전 재고량을 정한다.

(3) 소모품의 안전 재고량을 정한다.

2. 재고의 수량을 점검한다.


제품 리스트에 분류된 제품들을 특정한 날짜를 정하여 정기적으로 그 수량과 상태를 점검
한다.

(1) 재고량을 파악한다.


분류된 제품 리스트를 근거로 입출고를 확인한 상태에 따라 제품의 수량을 파악한다.

(2) 재고량을 보고한다.


재고 리스트의 재고량과 실제 파악한 재고량을 담당자에게 보고한다.

(3) 대책을 마련한다.


서류상 재고량과 실제의 재고량에 차이가 생길 때를 대비하여 대책을 마련한다.

3. 부족한 제품을 주문·구매한다.

(1) 제품 주문을 준비한다.


분류된 제품별로 파악된 재고량과 회사에서 정한 안전 재고량을 비교하고, 각 제품을 다
시 제품 회사별로 분류하여 제품 회사별 제품 주문서를 준비한다.

(2) 제품을 주문한다.


제품 주문서를 정해진 연락 방법을 통하여 제품 회사에 전달하고 확인한다. 특히, 팩스
나 이메일 등도 전달되었는지 확인한다.

(3) 제품 거래처의 목록을 작성한다.


제품 거래처의 목록을 작성하여 관리한다. 각 거래처별로 관리자 이름, 전화번호, 이메
일, 주소 등 거래에 필요한 정보를 작성하고 관리한다.

176
<표 4-16> 제품 거래처 관리표의 예

제품 거래 회사 명단과 계좌 내용

회사명 사업자번호 계좌번호(은행) 연락처(담당자) 이메일 주문 방법

○○사 11-111-111 149-20-1232(○○은행) 010-111-1111(김○○) 1@xxx.net 전화

○○사 22-2222-2222 111-11-1111(xx은행) 010-222-2222(이○○) 22@xxx.com 메일

출처: 교육부(2018). 헤어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52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40.

4. 안전 재고량을 조정한다.
정해진 안전 재고량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다시 조정한다. 디자이너의 입사, 디자이너의 승
급, 디자이너의 퇴사, 미용실의 특별 행사 등을 고려하여 안전 재고량을 조정한다.

 제품의 유통기한을 확인·관리한다.

1. 제품의 유통기한을 확인하고 관리한다.

2. 시장의 변화에 따른 제품의 유통기한을 확인·관리한다.

3. 미용실 디자이너 수의 변화에 따른 제품 소요량의 변화를 확인한다.

 반품 처리 제품을 확인하여 반품하고 환불 처리한다.

1. 입고의 오류가 있는 제품을 반품 처리한다.

(1) 잘못 입고된 제품의 리스트를 보고한다.


주문과 다른 제품이 배달되었으면 주문서를 확인한 다음 담당자나 제품 회사에 알린다.

(2) 반품·교환을 확인한다.


제품 결재일에 제품 회사로부터 온 거래명세표에서 반품을 확인한다.

2. 적정 재고량을 잘못 예측하여 너무 많은 재고가 있는 경우 반품·교환 처리한다.

(1) 반품·교환 리스트를 작성한다.

(2) 제품 업체별로 연락한다.

(3) 반품·교환을 확인한다.

177
법령: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17조(주문 취소 및 반품 가능 기간)

① 통신판매업자와 재화 등의 구매에 관한 계약을 체결한 소비자는 다음 각 호의 기간(거래당사자가 다음


각 호의 기간보다 긴 기간으로 약정한 경우에는 그 기간을 말한다) 이내에 해당 계약에 관한 청약철회
등을 할 수 있다.<개정 2016. 3. 29.>
1. 제13조제2항에 따른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다만,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 등
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 등을 공급받거나 재화 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2. 제13조제2항에 따른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지 아니한 경우, 통신판매업자의 주소 등이 적혀 있지
아니한 서면을 받은 경우 또는 통신판매업자의 주소 변경 등의 사유로 제1호의 기간에 청약철회 등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신판매업자의 주소를 안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7일.
3. 제21조제1항제1호 또는 제2호의 청약철회 등에 대한 방해 행위가 있는 경우에는 그 방해 행위가 종료
한 날부터 7일.
③ 소비자는 제1항 및 제2항에도 불구하고 재화 등의 내용이 표시ㆍ광고의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경우에는 그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부터 3개월 이내, 그 사실을 안 날 또는 알 수 있었
던 날부터 30일 이내에 청약철회 등을 할 수 있다.

 제품 전산 관리를 한다.

1. 관리 제품의 범위를 정한다.


미용실에 있는 모든 제품, 비품, 소모품 중에서 전산으로 관리할 대상을 정한다.

2. 미용 제품 관리 전산 시스템을 결정한다.
전산으로 미용 제품의 재고를 관리할 때에는 어느 제조사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할지 결정
한다.

3. 미용 제품의 입출고 관리 방식을 결정한다.


미용 제품의 입출고 관리에 있어 바코드 방식 또는 수작업 등이 있으므로 매장 규모와 예산
범위에 따라 제품의 입출고 관리 방법을 결정한다.

4. 제품을 분류한다.
관리 제품으로 정해진 제품들을 분류하고 데이터를 입력한다.

(1) 제품을 분류하고 거기에 해당되는 제품의 종류와 가격을 입력한다.

(2) 재고량을 입력한다.

5. 데이터베이스를 유지 관리한다.

(1) 제품의 입출고 시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한다.

(2) 새로운 제품이나 제품의 변경 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한다.

(3) 제품의 재고 파악 시 데이터베이스와 수량을 비교한다.


비교된 수량이 다를 경우, 다른 것에 대한 대책을 마련한다.

178
학습4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다양한 유형의 두피·모발 및 헤어스타일을 제시하여 팀활동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헤어미


용 전문 제품에 대해 조사하여 정리하고 발표를 지도한다.

• 서비스 목적에 따라 헤어펌·헤어컬러 전문 제품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시연을


통해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 헤어미용 전문 제품 상담과 상황에 따라 배합이 가능한 제품을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대


한 팀활동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토론 후 결과를 보고서로 제출하도록 지도한다.

• 미용업소 제품의 올바른 사용과 고객 제안에 대한 중요점을 설명하고 두피·모발 상태, 헤어


스타일 등을 가상으로 제시하여 팀원들이 해당 상황에 맞게 헤어미용 전문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주요 제품과 홈케어 제품의 시중 판매 가격에 대해 자료 수집에 대


한 명확한 지침을 제시하여 수집하도록 하고 결과를 정리하여 보고서로 제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헤어미용 전문 제품 리스트의 입출고 현황을 조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실제 뷰티살롱


현장처럼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다양한 유형의 두피·모발 및 헤어스타일을 제시하여 팀활동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헤어미


용 전문 제품에 대해 조사하여 정리하고 발표한다.

• 서비스 목적에 따라 헤어펌·헤어컬러 전문 제품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 헤어미용 전문 제품 상담과 상황에 따라 배합이 가능한 제품을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대


한 팀활동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토론 후 결과를 보고서로 제출한다.

• 미용업소 제품의 올바른 사용과 고객 제안에 대한 중요점을 학습한다.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주요 제품과 홈케어 제품의 시중 판매 가격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여


보고서로 제출한다.

179
학습4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학습 목표
상 중 하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미용제품과 판매제품 등을 구분하여


제품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 미용 시술에 필요한 제품의 종류를 파악하고 목록을 작성할


미용업소 제품 수 있다.
종류 파악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별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의 사용법에 대해 숙지하고 목적


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 펌, 컬러 등 화학적 시술에 필요한 제품을 목적에 맞게 사용


할 수 있다.
미용업소 제품 - 헤어스타일링에 필요한 제품별 특성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용도별 사용 있다.

- 헤어케어에 필요한 제품별 특성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 고객의 홈케어 필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홈케어 제품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고객에게 추천


홈케어 제품 추천 할 수 있다.
- 미용업소에서 판매 중인 제품의 특성과 가격에 대해 설명하
고 판매할 수 있다.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미용제품과 판매제품 등 필요 제품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별 재고 상태, 유통기한 반품기
미용업소 제품 한 등 관련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관리 - 미용업소 시스템에 따라 제품의 주문과 입고시기, 수량 등에
관한 구매 계획을 세울 수 있다.
- 정기적으로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의 소비 동향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180
평가 방법

• 서술형 평가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미용제품과 판매제품 등을 구분하여


제품 리스트 작성법 숙지여부

미용업소 제품 - 미용 시술에 필요한 제품 목록 작성법 숙지여부


종류 파악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별 특성 이해수준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 사용법 숙지여부

- 펌, 컬러 등 화학적 시술에 필요한 제품 사용법 숙지여부

미용업소 제품
- 헤어스타일링에 필요한 제품별 특성 이해수준
용도별 사용

- 헤어케어에 필요한 제품별 특성 이해수준

- 고객의 홈케어 필요성에 대해 설명법 이해수준

홈케어 제품 추천 - 홈케어 제품의 종류와 특성에 대한 설명방법 숙지여부

- 미용업소에서 판매 중인 제품의 특성과 가격에 대한 이해수준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미용제품과 판매제품 등 필요 제품


리스트 작성에 대한 숙지여부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별 재고 상태, 유통기한 반품기
미용업소 제품 한 등 관련 보고서 작성법 숙지여부
관리 - 미용업소 시스템에 따라 제품의 주문과 입고시기, 수량 등에
관한 구매 계획작성에 대한 숙지여부
- 정기적으로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의 소비 동향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에 대한 이해수준

181
• 작업장 평가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미용제품과 판매제품 등을 구분한 제
품 리스트 작성 능력

미용업소 제품 - 미용 시술에 필요한 제품의 종류 목록 작성 능력


종류 파악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별 특성 파악 능력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의 목적별 사용 능력

- 펌, 컬러 등 화학적 시술에 필요한 제품 사용 능력

미용업소 제품 - 헤어스타일링에 필요한 제품별 특성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용도별 사용 능력

- 헤어케어에 필요한 제품 특성별 사용 능력

- 고객의 홈케어 필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능력

- 홈케어 제품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고객에게 추천


홈케어 제품 추천
할 수 있는 능력
- 미용업소에서 판매 중인 제품의 특성과 가격에 대해 설명하
고 판매할 수 있는 능력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미용제품과 판매제품 등 필요 제품
리스트 작성능력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별 재고 상태, 유통기한 반품기
미용업소 제품 한 등 관련 보고서 작성능력
관리 - 미용업소 시스템에 따라 제품의 주문과 입고시기, 수량 등에
관한 구매 계획 수립능력
- 정기적으로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의 소비 동향에 관한
보고서 작성 능력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미용제품과 판매제품에 대한 이해 수준을 서술형으로 평가하여 미흡한 학
습자를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여 학습을 지도한다.
- 미용시술에 필요한 제품의 종류와 특성 및 사용법에 대해 서술형으로 평가하여 미흡한 학습자에
게는 자료를 제공하여 향상학습을 지도한다.
- 홈케어 관련된 내용을 서술형으로 평가하여 미흡한 학습자에게는 다시 설명하여 이해를 돕는다
2. 작업장 평가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의 종류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도록 하여 미흡한 학습자는 자료를 수
집하도록 하여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 미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제품별 용도 및 사용법을 작업자 평가를 통해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하여
미흡한 학습자는 시연을 통해 사용법을 숙지하도록 지도한다.

182
• 교육부(2017). 두피·모발 관리(LM1201010112_16v3, LM1201010140_16v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교육부(2017). 헤어 미용 전문 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LM1201010152_16v3). 한국직업


능력개발원.

• 교육부(2017).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LM1201010119_16v3). 한국직업능


력개발원.

• 김광옥·김혜경·김혜란·임은진·김태영·정경숙·안규성·문진남(2010). 『scalp & haircare』. 청람.

• 김민정·배선향·이부형·유유정·정지영·최근희(2005). 『모발 및 두피 관리』. 예림.

• 김옥연·김효림·이상화(2017). 『샴푸 & 헤드 스파 테크닉』. 메디시안.

• 김유진(2015). 「스파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 김지연·김정화(2011). 『헤드 스파』. 훈민사.

• 대한미용교수협의회(2012). 『트리콜로지』. 청구문화사.

• 두피전문관리센터. 아미치0.3. 두피 유형별 사진 & 고객 카드·관리 프로그램 기록표.

• 박안나·구태규(2016). 『헤드 스파 코디네이터』. 문경출판사.

• 송영우·김민정·김옥기·조해연·김남숙(2017). 『헤어컬러 컨설턴트』. 이오북스.

• 이영미(2011). 『모발 관리학』. 훈민사.

• 조성일·최주미(2006). 『두피 & 탈모 관리학』. 리그라인.

• 강주아·김미현·이명화·한옥임·어수연(2016). 『모발과학』. 도서출판 구민사.

• (사)한국두피모발 관리사협회(2012). 『New 두피모발 관리학』. 군자출판사.

• Julia Lawless(저), 한국아로마협회(역)(2002). 『아로마 에센션 오일 백과사전』. 현문사.

• Narendra mehta(저), Healing hair care연구소(역)(2002). 『인도의 헤드 마사지』. 현문사.

https://www.twopillar.com/

• 김주섭·신홍철·임대진·김재현·유세은(2010). 『모발 화장품학』. 구민사.

• 문영숙·한지숙(2008). 『모발 화장품학』. 혜란.

• 박성호·김영길·최성출(2005). 『화장품 성분학』. 구민사.

• 대한미용교수협의회(2012). 『New Trichology』. 청구문화사.

183
• 김지현(2013). 「두피·모발 관리의 이용 실태, 제품 구매 속성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
신여자대학교 생애복지대학원.

• 박연아(2011). 「두피·모발 특성 및 헤어제품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교육대


학원.

• 홍채현(2013). 「샴푸의 계면활성제 타입이 두피 유수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 김도형․박미혜․허철무(2011). 『상품 마케팅』.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 김태일․김성준․문명제(2005). 「성과평가와 보상 연계방안 연구」. 고용노동부정책연구보고서.

• 현대경영연구소(2015). 『IT시대의 바른 재고관리와 물류개선』. 승산서관.

• 오세조·박충환·김동훈·김영찬(2010). 『고객중심과 시너지 극대화를 위한 마케팅원론』. 박영사.

• 윤태화 외(2014). 「경영일반」. 강원도교육청.

• 정남기(2017). 『TOC재고관리』. 시그마 프레스.

• 정미진(2003). 커뮤니케이션 채널, 「지식공유가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남건(2003). 「不動産投資會社(REITs)에 있어 컴플라이언스(Compliance)制度의 導入 必要性에 관한


硏究」.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교육부(2016). 뷰티비즈니스의 이해(LM1201010115_14v2.2).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교육부(2016). 경영(0204010205_14v1).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두산백과. www.naver.co.kr에서 2017. 9. 9. 검색.

• 강민균(2006). 「인증키를 이용한 웹 판매 시점 관리(POS)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


교 대학원.

• 김설옥(2014). 「의사결정 유형 집단별 광고 수용 태도가 미용 제품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


문. 서경대학교 대학원.

• 김지윤 외 5인(2014). 고등학교 헤어미용. 능률교과서. p.69, p.231, pp.281~283.

• 김정아(2019). 「수요 예측을 활용한 실시간 재고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p.30.

• 김혜미(2016). 화장품 알고 바르는 소비자: 원료가 경쟁력이다! 바로투자증권.

• 노정애·최태부·장병수(2010). 「스트레이트 펌 처리 모발의 미세 구조 분석」. 『대한미용과학회지』. 6(1).


p.42.

184
• 류승호(2004). 「붓스트랩 기법을 이용한 안전 재고의 설정: 정규 분포를 이용한 안전 재고의 설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p.12.

• 박동욱·김정곤·정선영(2018). 2018 글로벌 화장품 산업 백서. 코트라. p.4.

• 박성순(2014). 「반도체 부품 생산 기업에 적합한 ERP 개선-재고관리 모듈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p.5.

• 박영만(2018). 「ERP시스템이 중·소 설비업체의 효율적인 자원 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p.17.

• 소비자안전센터(2011). 염모제 안전실태 조사. 소비자안전센터. p.26.

• 오세경(2008). 「평균 재고 기간 최소화 발주 정책」.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p.9.

• 장은기(2012). 「재고관리의 RFID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 컨설팅대학원. p.18.

• 정남영·임순녀·최창남(2012). 「산화형 영구 염모제 종류에 따른 염색성과 모발의 손상」. 『한국염색가공


학회지』. 24(4), p.306.

• 정상일(1990). 「예비품 재고관리를 위한 정량 발주 모형」.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p.2.

• 조소연(2013). 「모발 파마/스트레이트너와 스타일링 제품」, 『Journal of Korean Medical Society


for Cosmetics』. 2(1). p.12.

• 최재영·신정우·현지원(2013). 「모발 상태 및 인구 통계학적 요인이 샴푸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미용학회지』. 19(1). p.47.

• 화장품법 제14264호(2016. 5. 29).

• 화장품법 제2조 제1항. 제2항.

• 화장품법 시행규칙 제2조. 제22조.

• 황지송(2002). 「관리시간의 단축」. 시그마.

• NUSKIN. 제품홍보 가이드라인. 2019. 06. 15. 검색.

http://nsk.dl.cdn.cloudn.co.kr/data/pdf/NuskinKorea_Product_Promote_Guide2.pdf.

• 대한화장품협회. 소비자를 위한 화장품 상식. https://kcia.or.kr/pedia/main/ 2019. 10. 21. 검색.

• 『모발대전과』. 한국모발과학협회.

• ㈜밀본코리아 디세스뮤.

• ㈜이엑스피코리아 디어드라세나 저스트 블랙.

185
두피·모발 고객 관리 차트

고 객 명 □ 남 □ 여 생년월일

전화번호 거 주 지

방문경로 □ SNS □ 블로그 □ 인터넷 검색 □ 전단지 □ 간판 □ 지인소개(소개자 )

두피 진단 모발 진단

□ 정상 □ 건성 □ 지성 □ 정상모 □ 건성모 □ 지성모


두피유형
□ 민감성 □ 복합성 □ 가는모 □ 탈모진행모
모발유형
비 듬 □ 전체 □ 부분 ( ) □ 화학적 손상모(펌, 염색)

□ 염증 □ 가려움 □ 따가움 □ 기타 ( )

두피상태 □ 각질 □ 긴장두피 길 이 □ 길다 □ 중간 □ 짧다

□ 붉은반점(전체, 부분) □ 상 □ 중상 □ 중
탄 력 도
□ 영구적 □ 일시적 □ 부분적 □ 중하 □ 하
탈모상태
□ 초기 □ 진행중 밀 도 □ 정상 □ 보통 □ 낮다

□ 막힘 □ 보통 □ 열림 내부손상 □ 끊어짐 □ 늘어남


모공상태
□ 기타 ( ) 모발끝 갈라짐 □ 있다 □ 없다

진단결과
탈모유형 □ M형 □ O형 □ U형 □ 복합 □ 전체 □ 원형

탈모의 원인
관리 프로그램
관리기간

관리 시 주의사항

홈 케 어

186
두피·모발 관리하기 평가지

능력 단위명 두피·모발 관리하기


평 가 일 시 20 년 월 일 담당 교수 확인
학 번 학습근로자 확인
점수
진단 영역 평가 문항 매우 매우
부족 통과 우수
부족 우수
- 두피·모발 관리 공간을 준비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두피·모발 관리에 필요한 기기와 기구, 제품을 준비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두피・모발
- 두피의 유형과 모발의 상태에 대해 분석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관리 준비
- 고객을 상담하여 고객관리 차트를 기록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두피·모발 분석 결과에 따른 관리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두피·모발 유형별 기기와 기구,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두피·모발 유형별 샴푸제를 선정하여 샴푸를 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두피・모발
- 두피 유형별 스케일링제와 방법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유형별 제품
- 두피 유형별 두피 매니플레이션을 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선택과 관리
- 두피·모발 유형별 팩제의 방법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실행
- 두피·모발 유형별 앰플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모발 분석 결과에 따라 관리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모발 상태별 필요한 기기와 기구,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두피·모발 분석기를 사용하여 서비스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여 고
① ② ③ ④ ⑤
객에게 설명할 수 있다.
- 두피·모발 상태에 따라 적합한 제품을 사용하여 마무리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두피・모발
- 건강한 두피·모발 상태를 위한 관리 방법을 고객에게 설명할 수
관리 마무리 ① ② ③ ④ ⑤
있다.
- 두피·모발 관리 내용을 고객 차트에 기록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두피·모발 관리 공간을 정리정돈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평가 영역 평가 문항 수 3점 미만 3점 이상
두피·모발 관리 준비 5
두피·모발 유형별 제품 선택과 관리 실행 7
두피·모발 관리 마무리 6
점수가 3점 미만인 문항은 직무 수행 능력 부족으로 향상 학습이 요구됨.
피드백

187
손상모 특수관리하기 평가지

능력 단위명 손상모 특수관리하기

평 가 일 시 20 년 월 일 담당 교수 확인

학 번 학습근로자 확인
점수
진단 영역 평가 문항 매우 매우
부족 통과 우수
부족 우수
- 손상모 특수관리 공간을 준비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손상모 - 손상모 특수관리에 필요한 기기와 기구, 제품을 준비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특수관리 - 모발의 상태에 대해 분석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준비 - 모발 분석에 따른 손상모 특수관리 방법을 계획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모발 분석과 상담 결과에 따른 샴푸를 선정하여 진행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모발 분석과 상담 결과에 따른 손상모 특수관리 전처리 제품
① ② ③ ④ ⑤
을 선택할 수 있다.
- 모발 분석과 상담 결과에 따른 손상모 특수관리 전처리 제품
① ② ③ ④ ⑤
을 사용할 수 있다.
- 모발 분석과 상담 결과에 따른 기기를 선정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모발 분석과 상담 결과에 따른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모발 분석과 상담 결과에 따른 핸들링 테크닉을 선택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손상모
- 모발 분석과 상담 결과에 따른 핸들링 테크닉을 수행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특수관리
- 모발 분석과 상담 결과에 따른 손상모 특수관리 모발재생 제
실행 ① ② ③ ④ ⑤
품을 선택할 수 있다.
- 모발 분석과 상담 결과에 따른 손상모 특수관리 모발재생 제
① ② ③ ④ ⑤
품을 사용할 수 있다.
- 모발 분석과 상담 결과에 따른 손상모 특수관리 후처리 제품
① ② ③ ④ ⑤
을 선택할 수 있다.
- 모발 분석과 상담 결과에 따른 손상모 특수관리 후처리 제품
① ② ③ ④ ⑤
을 사용할 수 있다.
- 고객의 이동을 도울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모발 분석과 상담 결과에 따른 마무리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마무리 세척 후 모발 상태에 따라 앰플을 사용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홈케어 제품을 설명하고 추천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손상모
특수관리 - 헤어스타일 연출을 위해 모발의 수분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마무리
- 헤어스타일을 연출하여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고객관리 차트를 작성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 손상모 특수관리 공간을 정리정돈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⑤

188
평가 영역 평가 문항 수 3점 미만 3점 이상

손상모 특수관리 준비 5

손상모 특수관리 실행 11

손상모 특수관리 마무리 7

점수가 3점 미만인 문항은 직무 수행 능력 부족으로 향상 학습이 요구됨.

피드백

189
법령: 화장품법 시행규칙 제22조 별표 5(화장품 표시ㆍ광고의 범위 및 준수사항)

1. 화장품 광고의 매체 또는 수단
가. 신문ㆍ방송 또는 잡지
나. 전단ㆍ팸플릿ㆍ견본 또는 입장권
다. 인터넷 또는 컴퓨터통신
라. 포스터ㆍ간판ㆍ네온사인ㆍ애드벌룬 또는 전광판
마. 비디오물ㆍ음반ㆍ서적ㆍ간행물ㆍ영화 또는 연극
바. 방문광고 또는 실연(實演)에 의한 광고
사. 자기 상품 외의 다른 상품의 포장
아. 그 밖에 가목부터 사목까지의 매체 또는 수단과 유사한 매체 또는 수단
2. 화장품 표시ㆍ광고 시 준수사항
가. 의약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내용, 제품의 명칭 및 효능ㆍ효과 등에 대한 표시ㆍ광고를 하지 말 것.
나. 기능성화장품, 천연화장품 또는 유기농화장품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명칭, 제조방법, 효능ㆍ효과 등
에 관하여 기능성화장품, 천연화장품 또는 유기농화장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표시ㆍ광고를 하지
말 것.
다. 의사ㆍ치과의사ㆍ한의사ㆍ약사ㆍ의료기관ㆍ연구기관 또는 그 밖의 자(할랄화장품, 천연화장품 또는 유기농
화장품 등을 인증ㆍ보증하는 기관으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기관은 제외한다)가 이를 지정ㆍ공
인ㆍ추천ㆍ지도ㆍ연구ㆍ개발 또는 사용하고 있다는 내용이나 이를 암시하는 등의 표시ㆍ광고를 하지 말
것. 다만, 법 제2조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정의에 부합되는 인체 적용시험 결과가 관련 학회 발표 등을
통하여 공인된 경우에는 그 범위에서 관련 문헌을 인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용한 문헌의 본래 뜻을 정
확히 전달하여야 하고, 연구자 성명ㆍ문헌명과 발표연월일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
라. 외국제품을 국내제품으로 또는 국내제품을 외국제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표시ㆍ광고를 하지 말 것.
마. 외국과의 기술제휴를 하지 않고 외국과의 기술제휴 등을 표현하는 표시ㆍ광고를 하지 말 것.
바. 경쟁상품과 비교하는 표시ㆍ광고는 비교 대상 및 기준을 분명히 밝히고 객관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사항만
을 표시ㆍ광고하여야 하며, 배타성을 띤 "최고" 또는 "최상" 등의 절대적 표현의 표시ㆍ광고를 하지 말 것.
사. 사실과 다르거나 부분적으로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보아 소비자가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표
시ㆍ광고 또는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가 속을 우려가 있는 표시ㆍ광고를 하지 말 것.
아. 품질ㆍ효능 등에 관하여 객관적으로 확인될 수 없거나 확인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광고하거나 법
제2조제1호에 따른 화장품의 범위를 벗어나는 표시ㆍ광고를 하지 말 것.
자. 저속하거나 혐오감을 주는 표현ㆍ도안ㆍ사진 등을 이용하는 표시ㆍ광고를 하지 말 것.
차. 국제적 멸종위기종의 가공품이 함유된 화장품임을 표현하거나 암시하는 표시ㆍ광고를 하지 말 것.
카. 사실 유무와 관계없이 다른 제품을 비방하거나 비방한다고 의심이 되는 표시ㆍ광고를 하지 말 것.

190
NCS학습모듈 개발이력
발행일 2015년 12월 31일
세분류명 헤어미용(12010101)
개발기관 (사)대한미용사회중앙회,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민정(신한대학교)* 곽형심(동원대학교)
강주아(건국대학교미래지식교육원) 김진숙(영산대학교)
고성현(경인여자대학교) 노영희(건양대학교)
권미현(마즈론론) 유현주(원광보건대학교)
김태영(동의과학대학교) 이복희(서경대학교)
김현태(라뷰티코아)
박진현((주)준오뷰티))
집필진 검토진
손진아(한울 미용실)
송아람(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이애수(인천생활과학고등학교)
이영미(충청대학교)
정원지(광주여자대학교)
조기보(미창조(주)리안헤어)
조해연(구레이쓰이온코리아(주)) *표시는 대표집필자임

발행일 2017년 12월 31일


두피·모발 관리(LM1201010112_16v3, LM1201010140_16v3)
학습모듈명 헤어미용 전문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LM1201010152_16v3)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LM1201010119_16v3)
개발기관 (사)대한미용사회중앙회,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진숙(영산대학교)* 강윤선((주)준오뷰티)
강주아(건국대학교미래지식교육원) 노영희(건양대학교)
고성현(경인여자대학교) 이복희(서경대학교)
곽형심(동원대학교) 이순(한국미용박물관)
권은경(레삐(주)) 이애수(인천뷰티예술고등학교)
김민정(신한대학교) 최에스더(신한대학교)
김서원(서울종합예술실용학교)
김옥기(숭실대학교대학원)
김태영(동의과학대학교)
김현태(라뷰티코아)
김홍희(연성대학교)
집필진 검토진
도진아(박승철헤어스투디오)
문영숙(수원여자대학교)
박기태(위드뷰티살롱)
박진현((주)준오뷰티)
손진아(한올 미용실)
이해분(샤틴헤어)
장선정((주)디이노(쟈크데샹쥬))
정원지(광주여자대학교)
조기보(미창조(주)리안헤어)
조해연(구레이쓰이온코리아(주))
채선숙(정화예술대학교)
한현주(마즈론론) *표시는 대표집필자임
발행일 2018년 12월 31일
두피·모발 관리(LM1201010112_16v3, LM1201010140_16v3)
학습모듈명 헤어미용 전문제품 관리(LM1201010113_16v3, LM1201010152_16v3)
헤어 샴푸와 트리트먼트(LM1201010118_16v3, LM1201010119_16v3)
개발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년 12월 31일
헤어케어(LM1201010112_17v4, LM1201010140_17v4)
학습모듈명 헤어제품사용(LM1201010113_17v4, LM1201010152_17v4)
헤어샴푸(LM1201010118_17v4, LM1201010119_17v4)
개발기관 (사)대한미용사회중앙회,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민정(신한대학교)* 김진숙(영산대학교)
강주아(건국대학교미래지식교육원) 노영희(건양대학교)
김대현(박승철헤어스투디오) 이복희(서경대학교)
김묘정(마이오헤어) 이애수(인천뷰티예술고등학교)
김보람(구레이쓰이온코리아㈜)
김서원(서울종합예술학교)
김슬기(인천생활과학고등학교)
김은지(주희헤어아트)
김태영(동의과학대학교)
김홍희(연성대학교)
도미라(㈜레삐)
박기태(위드뷰티살롱)
박은실(강원생활과학고등학교)
박진현(준오뷰티)
집필진 검토진
손예산(순수청담본점)
손진아(광주여자대학교)
송아람(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윤초희(건양대학교)
이수희(청암대학교)
이자연(은평문화예술정보학교)
이해분(사틴헤어살롱)
이현진(정화예술대학교)
장미라(목포과학대학교)
정원지(광주여자대학교)
정주영(서초문화예술정보학교)
정태선(㈜아이디헤어)
최재영(준오헤어)
한현주(마즈론론) *표시는 대표집필자임
발행일 2022년 12월 31일
헤어샴푸와 클리닉(LM1201010156_21v6, LM1201010112_21v5,
학습모듈명
LM1201010162_21v5, LM1201010160_21v5)
개발기관 (주)뷰티산업연구소(개발책임자: 최인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송영우((주)뷰티산업연구소)* 김록환(삼육보건대학교)
고성현(경인여자대학교) 김민선((주)에르모소뷰티직업전문학교)
김상희(제이드뷰티) 김지윤(김지윤뷰티샵)
김 송(라인헤어) 이자연(경기상업고등학교)
김의영((주)아모스프로페셔널) 장미라(목포과학대학교)
김정연(국제사이버대학교)
김주연(구레이스이온 코리아)
김태영(동의과학대학교)
도미라(레삐 프로페셔널)
박가람(서초문화예술정보학교)
박상규(준오헤어)
박진현(세명대학교)
손보실(BM아트 미용예술학원)
집필진 검토진
안현주(티티안헤어)
이복희(서경대학교)
이세희(경북보건대학교)
이수희(청암대학교)
이순덕(CHI코스메틱연구소)
이영준(펠리아헤어)
이해분((주)사틴헤어)
이현진(정화예술대학교)
전희영(대덕대학교)
정민선(인천생활과학고등학교)
정원지(광주여자대학교)
정지선(수원여자대학교)
정태선((주)아이디 뷰티)
최재영(씨플롯바버샵) *표시는 대표집필자임
황지영(정화예술대학교)

헤어샴푸와 클리닉
(LM1201010156_21v6, LM1201010112_21v5,
LM1201010162_21v5, LM1201010160_21v5)
저작권자 교육부
연구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 12. 31.
ISBN 979-11-339-9755-8
※ 이 학습모듈은 자격기본법 시행령(제8조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에 의거하여 개발하였으며,
NCS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