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7

`22 년 상암센터 재난 / 재해 비상대응 매뉴얼

IDC 운영 1 팀 CNS 상암운영센터

S&I Corp.
CNS 상암운영센터

Contents List

Ⅰ.CNS 상암 운영센터 조직도


가 . S&I Corp. 조직도 ∙∙∙∙∙∙∙∙∙∙∙∙∙∙∙∙∙∙∙∙∙∙∙∙∙∙∙ 1-1

나 . 지수 INC 조직도 ∙∙∙∙∙∙∙∙∙∙∙∙∙∙∙∙∙∙∙∙∙∙∙∙∙∙∙ 1-2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가 . FM 사업부 비상체계도 ∙∙∙∙∙∙∙∙∙∙∙∙∙∙∙∙∙∙∙∙∙∙∙∙∙∙∙ 2-1~11
나 . 운영센터 비상대응 체계도
∙∙∙∙∙∙∙∙∙∙∙∙∙∙∙∙∙∙∙∙∙∙∙∙∙∙∙ 2-12
다 . 주야간 비상체계도 ∙∙∙∙∙∙∙∙∙∙∙∙∙∙∙∙∙∙∙∙∙∙∙∙∙∙∙ 2-13~19
라 . 대응훈련 및 교육일정 ( 연간 )
∙∙∙∙∙∙∙∙∙∙∙∙∙∙∙∙∙∙∙∙∙∙∙∙∙∙∙ 2-20

Ⅲ. 상황의 분류 및 단계별 정의
∙∙∙∙∙∙∙∙∙∙∙∙∙∙∙∙∙∙∙∙∙∙∙∙∙∙∙ 3-1~7

Ⅳ. 비상연락망
가 . S&I Corp.
나 . 지수 INC- 시설 ∙∙∙∙∙∙∙∙∙∙∙∙∙∙∙∙∙∙∙∙∙∙∙∙∙∙∙ 4-1

다 . 지수 INC- 보안 ∙∙∙∙∙∙∙∙∙∙∙∙∙∙∙∙∙∙∙∙∙∙∙∙∙∙∙ 4-2

라 . 지수 INC- 미화 ∙∙∙∙∙∙∙∙∙∙∙∙∙∙∙∙∙∙∙∙∙∙∙∙∙∙∙ 4-3


마 . 유지보수 및 공사 업체 ∙∙∙∙∙∙∙∙∙∙∙∙∙∙∙∙∙∙∙∙∙∙∙∙∙∙∙ 4-4
바 . S&I Corp. – 주변운영센터 ∙∙∙∙∙∙∙∙∙∙∙∙∙∙∙∙∙∙∙∙∙∙∙∙∙∙∙ 4-5
사 . LGCNS – DC 기술이행팀 ∙∙∙∙∙∙∙∙∙∙∙∙∙∙∙∙∙∙∙∙∙∙∙∙∙∙∙ 4-6
아 . LGCNS – 입주고객사 ∙∙∙∙∙∙∙∙∙∙∙∙∙∙∙∙∙∙∙∙∙∙∙∙∙∙∙ 4-7
자 . 유관기관
∙∙∙∙∙∙∙∙∙∙∙∙∙∙∙∙∙∙∙∙∙∙∙∙∙∙∙ 4-8

∙∙∙∙∙∙∙∙∙∙∙∙∙∙∙∙∙∙∙∙∙∙∙∙∙∙∙ 4-9
CNS 상암운영센터

Contents List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상황대응 전체 FLOW ∙∙∙∙∙∙∙∙∙∙∙∙∙∙∙∙∙∙∙∙∙∙∙∙∙∙∙ 5-1


가 . 화재 ∙∙∙∙∙∙∙∙∙∙∙∙∙∙∙∙∙∙∙∙∙∙∙∙∙∙∙ 5-2~10
나 . 정전 ∙∙∙∙∙∙∙∙∙∙∙∙∙∙∙∙∙∙∙∙∙∙∙∙∙∙∙ 5-11~14
다 . 누수 ∙∙∙∙∙∙∙∙∙∙∙∙∙∙∙∙∙∙∙∙∙∙∙∙∙∙∙ 5-15~17
라 . 승강기 시설 ∙∙∙∙∙∙∙∙∙∙∙∙∙∙∙∙∙∙∙∙∙∙∙∙∙∙∙ 5-18~20
마 . 풍∙수해 ∙∙∙∙∙∙∙∙∙∙∙∙∙∙∙∙∙∙∙∙∙∙∙∙∙∙∙ 5-21~24
바 . 가스 설비 ∙∙∙∙∙∙∙∙∙∙∙∙∙∙∙∙∙∙∙∙∙∙∙∙∙∙∙ 5-25~27
사. 지진∙붕괴
∙∙∙∙∙∙∙∙∙∙∙∙∙∙∙∙∙∙∙∙∙∙∙∙∙∙∙ 5-28~30
아. 집회
∙∙∙∙∙∙∙∙∙∙∙∙∙∙∙∙∙∙∙∙∙∙∙∙∙∙∙ 5-31~33
자. 테러
∙∙∙∙∙∙∙∙∙∙∙∙∙∙∙∙∙∙∙∙∙∙∙∙∙∙∙ 5-34~36
차. 작업자 안전사고
∙∙∙∙∙∙∙∙∙∙∙∙∙∙∙∙∙∙∙∙∙∙∙∙∙∙∙ 5-37~39

Ⅵ . 설비별 비상대응 매뉴얼

가 . E/L 비상대응 Process


나 . 전기 비상대응 Process ∙∙∙∙∙∙∙∙∙∙∙∙∙∙∙∙∙∙∙∙∙∙∙∙∙∙∙ 6-1~15
다 . 소방 비상대응 Process ∙∙∙∙∙∙∙∙∙∙∙∙∙∙∙∙∙∙∙∙∙∙∙∙∙∙∙ 6-16~78
라 . 기계 비상대응 Process ∙∙∙∙∙∙∙∙∙∙∙∙∙∙∙∙∙∙∙∙∙∙∙∙∙∙∙ 6-79~88
마 . 당직자 비상대응 Process ∙∙∙∙∙∙∙∙∙∙∙∙∙∙∙∙∙∙∙∙∙∙∙∙∙∙∙ 6~89~109

∙∙∙∙∙∙∙∙∙∙∙∙∙∙∙∙∙∙∙∙∙∙∙∙∙∙∙ 6~110~120
Ⅰ. CNS 상암 운영센터 조직도 CNS 상암운영센터

가 . S&I Corp. 조직도


[2022.03.22]

S&I Corp. 조직도

운영사업본부 CNS 상암운영센터 IDC 운영 1 팀

상무 김진규 센터장 반진충 팀장 이동원

010-3956-7933 010-2518-7152 010-5567-7089

시설운영담당 CNS 상암운영센터 CNS 상암운영센터


Staff 신승환
담당 이진성 P/L 박익범 기계 전광오
010-2352-7352
010-8231-1508 010-8452-0825 010-8338-9113

전기 / 소방 기계 / 건축

선임 송한민 주임 신기준 사원 권준일 사원 임승진 사원 권오석 사원 한우주

010-2750-9998 010-5130-7459 010-2418-9075 010-9284-5211 010-7486-7477 010-4932-8982

-. 전기 Part 관리 -.atG 고객 리포트 -.VOC 불편신고 -. 자재 관리 -. 자재 관리 -. 교육 관리


-. 열화상 측정 -. 전력 PC 관리 -. 승강기 교육 -.VOC 불편신고 (MSDS)
-. 안전 관리 -. 공과금 관리
-.PUE 분석관리 -. 정보보안 교육 -. 외주 작업 관리 -. 정전 비상대응 -. 외주 작업 관리 -.VOC 관리
-. 전기요금 분석 -. 위험물 선임 -. 엣스퍼트 모닝 -.atG 작업 관리 -. 엣스퍼트 모닝 -. 장비이력 관리
-.CNS 대응관리 -. 센터 환경관리 -. 비상연락망관리 -. 비상연락망관리 -. 수광비 관리
-. 무선설비 선임 -. 유지보수 관리
-. 교육관리 -. 화재예방활동 -. 안전 관리 -. 장비이력 관리 -. 메뉴얼 관리 ( 방향제 )
-. 법정검사 관리 -. 유지보수 관리 -. 예방활동

구 분 센터장 P/L 전기 / 소방 기계 / 건축 합 계

인원 1 1 5 2 9

1-1
Ⅰ. CNS 상암 운영센터 조직도 CNS 상암운영센터

나 . S&I Corp. 조직도


[2022.03.29]
지수 INC
지수 INC 조직도
조직도

실장 김진섭
010-4541-0504
- 총괄운영

시설 보안 / 행정 위생

대리 안성익 보안실장 노현주 감독 이승환


010-9194-2858 010-2717-4094 010-2290-5861
- 전기파트 보안 / 고객방문 / 문서 - 위생 관리

주임 홍종명 선임 신동철 대리 박용성 선임 유배근 반장 최춘만 사원 신선순


010-5551-7844 010-8757-7893 010-3280-8525 010-3091-8048 010-6618-0181 010-2093-9579
- 전기파트 - 기계파트 - 보안 - 보안 - 주차장 청소 - 11 층

주임 팽상원 주임 이정무 주임 최현범 주임 신순환 반장 김동균 사원 임춘길


010-2273-7931 010-5161-1637 010-6368-7857 010-5115-7871 010-5057-6062 010-4285-5146
- 전기파트 - 기계파트 - 보안 - 보안 - 주기청소 - 12 층
사원 김용재 주임 이동환 사원 김기태 사원 신종훈 반장 강대용 사원 김미숙
010-7299-1867 010-4760-6018 010-3242-6707 010-3029-6875 010-5307-7109 010-9077-1623
- 전기파트 - 기계파트 - 보안 - 보안 - 폐기물 수거 - 10 층

사원 송재훈 사원 이범규 사원 채선병 사원 박정민 사원 승선미 사원 하순남


010-7736-9268 010-5916-3863 010-2889-3648 010-8646-9504 010-3442-3106 010-4101-9803
- 전기파트 - 기계파트 - 보안 - 보안 - 지하 1 층 - 2~7 층

사원 양주영 사원 이준환 사원 민경탁 사원 박원석 사원 황무연


010-8381-4578 010-7963-6345 010-5042-7955 010-2785-1510 010-5091-8832
- 전기파트 - 기계파트 - 보안 - 보안 - 로비
사원 정지휴 사원 이주환 사원 김대근
010-2412-1015 010-5643-3389 010-8959-4973
- 전기파트 - 기계파트 - 보안
사원 박정규 사원 이선웅
010-6709-1337 010-7378-0132
- 전기파트 - 기계파트

구 분 총괄 시설 보안 / 행정 위생 합 계
인원 1 15 12 10 38

1-2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Contents ■. 사고 보고 가이드 ( 사업부 공지 )


1. 사고 보고 ( 현장 )
List 2. 사고 접수 및 전파 ( 종합상황실 )

3. 사고보고서 (atG) 작성 ( 현장 )

4. 사고 대응 및 처리 / 종료

첨부 1. FM 사업부 사고보고 체계

첨부 2. atG 사고보고서 등록

첨부 3. atG 사고현황 조회 , 사고관리대장 조회

첨부 4. 사고보고서 샘플 (atG)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가 . FM 사업부 사고보고 체계도

2-1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2-2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2-3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2-4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2-5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2-6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2-7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2-8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2-9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2-10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운영센터 비상대응 체계도 [2022.01.20]

초기 비상연락 및 보고 Process

초기대응 실패

상황
조치 초기대응 진압 종료
(1 차 출동 ) (2 차 출동 ) 복구

RISK 감지 보고 DC 기술이행팀
( 정전 , 화재 , (SMS/ 유선연락 )
공동진압 / 복구
원인
누수 )
BMS 종합상황실 대책
수립
초기대응
( 실패 시 )
관련기관
화재 마포소방서 ☎ 02-701-3495
정전 한전 상황실 ☎ 02-710-2202
냉수 한국지역난방공사 ☎ 1688-2488
보고서
수도 수도사업소 ☎ 02-3146-3500
작성

자동제어
( 모니터 )

당직근무자 역할 및 개인임무
CRAC
( 운전 )

비상망가동
센터장 ( 기계설비 )
SMS 발송

전기 -1 전기 -2 기계 -1 기계 -2 보안
BMS
( 출동 ) ( 출동 ) ( 출동 ) ( 출동 ) ( 경계 )

전원투입 발전기운전 모니터링 냉수냉각수 냉동기기동 건물


( 한전 / 발전 ) ( 수동투입 ) (UPS, 자동제어 ) ( 펌프 확인 ) (3대 ) 출입제재

순차적 투입 전압 UPS Down 여부 / CAC 주 , 예비 냉수냉각수 주변경계


( 단속운전 ) 경유확인 ( 부하율 / 운전 ) ( 재 기동 ) ( 펌프기동 ) CCTV 감시

비상망가동
MCC 판넬 자동제어
전력 확인 급 / 배기 ( 전기 , 기계설비 ) 내부순찰
(A,B) (한난)
전화 응대 , SMS 발송

※. 동력 우선 /UPS 충전 전력 고려 .

2-12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주 · 야간 비상대응 체계도 [2022.01.20]

1. 화재사고 [ 주간 ] PROCESS

화재발생 화재 현장출동 화재확산방지 화재진압 피해복구

■ 시설 당직자 ■ 시설 일근자 ■ 시설 일근자 ■ 시설 일근자 ■ 운영센터 전 직원


운영센터
- 감지기 동작확인 -5 분내 현장출동
- 소화전사용 - 소방서합동 - 시설물 점검보수 및
당직 , 일근자 출동 : 소화기 초기진압
- 상황판단 후 지원 진압 화재진압 정상복구
- 소방시설물 연동 - 스프링클러자 - 피해구역 전원상태
상태확인 요청 동 점검보수 및 정상복구
- 해당 층 전원차단
- 전 직원에게 화재 살수 - 소화설비 점검보수
- 주위 가연물질
통보 ( 방송실시 ) - 이너젠 연동확인 및 정상복구
방출
- 해당 층 관리책임자 - 인명구조 활동 - 피해구역 청소
상황통보 ■ 시설당직자 - 자위소방대
* 전체상황지휘 지원
- 예비인력 적절히 - 지휘본부 설치가동
활용 - 자위소방대
소집가동 ■ 시설당직자
- 비상방송 및 싸이렌
예비인원 : 보안 6 명
경보발령확인
청소 10 명 - 화재확산 시
119 신고

1) 자위소방대 소집 1) 인명구조반 활동 1) 중요문서 반출


1) 전산장비 점검보수
2) 경계강화 2) 피난 , 유도반 출동 2) 의료반 설치운용
LG CNS
3) 경계반 출동 3) 인원대피 및 유도
2) 중요문서 정리
4) 주위 가연물질 방출

* 접수시 5 분내 현장출동 : 비상계단을 이용하여 B1 층 (BMS) 부터 12 층까지의 이동시간 .

2-13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주 · 야간 비상대응 체계도 [2022.01.20]

2. 화재사고 [ 야간 , 휴일 ] PROCESS

화재확산
화재발생 화재 현장출동 화재진압 피해복구
방지

■ 시설 당직자 ■ 시설 당직자 . ■ 시설 당직자 ■ 시설 당직자 ■ 시설 당직자


운영센터
- 상황접수 & 알람 경보 -5 분내 현장출동
- 소화전사용 진압 - 소방서합동 - 시설물 점검보수 및
- 감지기 동작확인 : 소화기 초기진압
: 화재위치통보 - 상황판단 - 스프링쿨러 화재진압 정상복구
( 당직자 ) 지원요청 ( 보안 ) 자동소화 상태 - 피해지역 전원상태
- 소방시설물 연동 확인 점검보수 및
상태확인 - 비상방송 , 싸이렌 - 인명구조 활동 정상복구
* 전체상황지휘 경보발령 확인
- 해당 층 전원차단
- 주위 가연물질 ■ 보안 당직자 ■ 운영센터 전 직원
■ 보안실 당직실장 방출
비상연락망가동 - 화재확산 시 - 소화설비 점검보수
- 건물 내 119 신고 및 정상복구
당직근무자 - 물 흡진 작업
동원 * 건물 내 - 피해구역 복구
- 해당 입주사 관리 당직근무자와
책임자에게 상황 보안근무자 합동으로
통보 화재진압

LG CNS
1) 경계강화 ( 당직 1) 자체 비상연락망 1) 가연물질 방출 1) 전산장비 점검보수
자) 가동

* 접수시 5 분내 현장출동 : 비상계단을 이용하여 B1 층 (BMS) 부터 12 층까지의 이동시간 .

2-14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주 · 야간 비상대응 체계도 [2022.01.20]

3. 정전 발생 PROCESS

사고발생 현장출동 응급조치 피해복구

■ 당직 근무자
■ 시설 당직자 ■ 시설 당직자 ■ 시설 일근자
운영센터
- 한전 및 관련업체 연락
- 상황접수 & 알람 경보 - 접수 즉시 1 분내 - 정전원인 및 파악
- 수공구로 사고부위 복구
- 일근자 , 보안근무자 현장출동 - 한전 입전 여부 확인
- 해당지역 전원복구
통보 - 해당지역 전기 판넬점검
- 이상발생 설비 확인
-DC 기술이행팀 통보 * 시설당직자 상황 - 비상발전기 기동
파악 후 BMS 연락 ( 자동기동 확인 )
- 비상전원 순차투입
* 야간 , 휴일 : 비상연락망 가동
* 응급조치 불능 시 - 비상발전기 장애시
한전 통보 상황실 통보
- 발전기차 지원요청
( 지엔씨에너지 )

■ DC 기술이행팀
LG CNS
1) 전산장비 비상운전 1) 관리책임자 보고 1) 전산장비 백업 확인 1) 설비 이상유무 확인
2) 백업 불능 시 UPS 업체 2) 장애 방생 장비 수리
및 운영센터 연락

* 접수시 1 분내 현장출동 : 비상계단을 이용하여 B1 층 (BMS) 부터 B4 층까지의 이동시간 .

2-15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주 · 야간 비상대응 체계도 [2022.01.20]

4. 누수사고 [ 주간 ] PROCESS

사고발생 현장출동 응급조치 피해복구

■ 시설 당직자 ■ 시설 일근자 ■ 시설 일근자 ■ 운영센터 전 직원


운영센터
- 상황접수 & 알람 경보 -5 분내 현장출동 - 누수설비 중간 밸브 - 오염부위 제거
- 전 직원 소집 - 누수상태 확인 및 잠금 및 드레인 - 설비 정상복구
- 해당지역 전기 판넬
- 해당 입주사 관리 상황파악 - 해당지역 전원복구
점검 및 차단
책임자 통보 - 상황실 통보 - 장비동원
( 비닐 및 기타 )
- 물 확산 저지
* 전체상황지휘
- 예비인력 적절히 활용
예비인원 : 보안 6 명
청소 10 명

■ DC 기술이행팀
LG CNS
1) 전산장비 누수 예방조치 1) 누수예상부위 1) 주변정리 및 청소
물품이동
■ 입주사
1) 누수예방 및 확산금지조치

* 접수시 5 분내 현장출동 : 비상계단을 이용하여 B1 층 (BMS) 부터 12 층까지의 이동시간 .

2-16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주 · 야간 비상대응 체계도 [2022.01.20]

5. 누수사고 [ 야간 ] PROCESS

사고발생 현장출동 응급조치 피해복구

■ 시설 당직자 ■ 시설 당직자 ■ 시설 당직자 ■ 운영센터 전 직원


운영센터 - 누수 층 알람 밸브 - 오염부위 제거
- 상황접수 & 알람 경보 -5 분내 현장출동 잠금 및 드레인 - 설비 정상복구
* 전체상황지휘 - 누수상태 확인 및 - 해당지역 전기 판넬
- 해당지역 전원복구
상황파악 점검 및 차단
- 보안당직자에게 상황 - 장비이용
■ 보안 당직자 및 후속 조치사항 통보 ( 비닐 및 기타 )
- 물 확산 저지
- 전 직원 소집
- 건물 내 당직근무자
동원 - 건물 내
- 해당 입주사 관리 당직근무자와
책임자 통보 보안근무자 합동으로
응급조치

■ DC 기술이행팀
LG CNS
1) 전산장비 누수 예방조치 1) 누수예상부위 1) 주변정리 및 청소
물품이동
■ 입주사
1) 누수예방 및 확산금지조치

* 접수시 5 분내 현장출동 : 비상계단을 이용하여 B1 층 (BMS) 부터 12 층까지의 이동시간 .

2-17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주 · 야간 비상대응 체계도 [2022.01.20]

6. E/L 고장사고 [ 주간 ] PROCESS

사고발생 현장출동 상황처리 피해복구

■ 시설 당직자 ■ 시설 일근자 ■ 시설 일근자 ■ 시설 일근자


운영센터
- 상황접수 & 알람 경보 - 현장 출동 - 층간 정지 시 DOOR 를 - 승객 피해상황 조사
- 인터폰 및 제어반 PC 로 :DOOR KEY, 비상공구 열고 승객구출 -E/L 점검 및 정상복구
고장위치 확인 -NON STOP 구간 정지시 - 인터폰 점검
- 승객을 안심시킨다 승객을 안심 시킨 후
- 시설 일근자 및 보수업체에 연락하여
보안근무자 통보 승객구출

■ 시설 당직자 ■ 보안 근무자

-BMS 인터폰으로 탑승자 - 상황진행 현황을 탑승자


통화 , 승객안심유도 와 통화 , 승객 안심유도

2-18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주 · 야간 비상대응 체계도 [2022.01.20]

7. E/L 고장사고 [ 휴일 , 야간 ] PROCESS

사고발생 현장출동 상황처리 피해복구

■ 시설 당직자 ■ 시설 당직자 ■ 시설당직자 ■ 시설당직자


운영센터
- 상황접수 & 알람 경보 - 현장 출동 - 층간 정지 시 DOOR 를 - 승객 피해상황 조사
- 인터폰 및 감시반 PC 로 :DOOR KEY, 비상공구 열고 승객 구출 -E/L 점검 및 정상복구
고장위치확인 -NON STOP 구간 정지 시 - 인터폰 점검
- 승객을 안심시킨다 승객을 안심 시킨 후
-CCTV 로 E/L 내부 상황을 보수업체에 연락하여
모니터링 한다 . 승객 구출

■ 시설 당직자 ■ 시설당직자

-BMS 인터폰으로 탑승자 - 상황진행 현황을 탑승자


통화 , 승객안심유도 와 통화 , 승객 안심유도

2-19
Ⅱ. 비상시 상황대응체계 CNS 상암운영센터

라 . 대응훈련 및 교육일정 ( 연간 ) [2022.01.20]

반기 상반기 하반기

분기 1/4 분기 2/4 분기 3/4 분기 4/4 분기


구 분 항 목 교육명

담당자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Ⅰ. 서비스 교육 CS 모닝 송한민 ● ● ● ● ● ● ● ● ● ● ● ●

FM Ⅱ. 안전 보건 교육 안전관리 박익범 ● ● ● ● ● ● ● ● ● ● ● ●
사업부

Ⅲ. 가상 비상훈련
종합상황실 당직실장 ●
( 발생시 )

● ● ● ● ● ● ● ● ● ● ● ●
정전 송한민 (주 (야 (주 (야 (야 (주 (야 (주 (야 (주 (야 (주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 ● ● ● ● ● ● ● ● ●
● ●
누수 / 풍수해 전광오 (야 (야 (주 (야 (주 (야 (주 (야 (주 (야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 ● ● ● ● ● ● ● ● ● ● ●
Ⅴ. 비상조치 훈련 화재대응 박익범 (야 (주 (야 (주 (야 (주 (야 (야 (야 (주 (야 (야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CNS ● ● ● ● ● ● ● ● ● ● ● ●
상암 승강기 구출 신기준 (주 (주 (야 (주 (주 (주 (야 (주 (주 (야 (주 (주
운영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간)
센터

고객
박익범 ● ●
합동훈련

Ⅵ. 보안교육 정보보안 신기준 ● ● ● ● ● ● ● ● ● ● ● ●

Ⅵ. 위기관리
지진 송한민 ● ● ● ●
비상대응 훈련

Ⅶ. 특별안전 산업안전
전광오 ● ● ● ● ● ●
보건교육 MSDS

2-20
Ⅲ. 상황의 분류 및 단계별 정의 CNS 상암운영센터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상황 단계 분류
■ 2. 상황의 분류 및 단계별 정의

1-1. 상황의 분류
상황은 시설 운용과 관련된 사항의 시설부문과 운영과 관련된 운영 부문으로 분류한다 .
즉 , 상황대응 주체가 시설부문과 운영부문으로 구분 됨에 따라서 두 가지 형태로 분류한다 .

구분 상황 발생 (1 단계 ) 진행 (2 단계 ) 악화 (3 단계 ) 종결 (4 단계 )

화재 점화발견 연기 / 열발생 확산 이동 피해복구 및 대책

정전 순간정전발생 상시 공급라인 차단 상시 , 예비 공급라인 차단 사고수습 및 방지 대책수립

풍/수/설 주의보 발령 경보발령 경계 경보 ( 대피발령 ) 피해지역 현장정리


시설부문 진도계급 1 ( 진도계급 4 이상 (
지진 진도계급 2~3 ( 경 , 약진 ) 각 사 피해상화 취합
미진 ) 중진이상 )

누수 누수감지기 동작 누수로인하 1 차피해발생 누수로인한 2 차 피해 발생 누수원인 보완대책 수립

원인 분석 및 사후대책
승강기 1 대고장 2 대고장 고장으로 피해자 발생
논의
건물 내 진입 등
집회 집회신고 접수 관련 단체 개입 비상 상황결과 보고서 작성
물리적 충돌

운영부문 테러 테러정보 입수 폭발물 발견 테러로 인한 피해발생 피해복구 및 대책

사고 수습 및 방지 대책
안전사고 안전사고 방문객 / 동행인 안전사고 부상자 병원 후송조치
수립

1-2. 상황의 단계별 정의


상황은 상황발생 시간의 경과 , 상황의 변화 등에 따라 발생 → 진행 → 악화 → 종결 4 단계로 나누어 지며 ,
단계별 정의는 다음과 같다 .

항 목 시설부문

발 생 • 상황 발생의 초기 단계로서 긴급 초치로 인한 상황의 조기 종결이 가능한 상황

진 행 • 상황 발생 후 조기 종결이 되지 않아 상황 및 피해가 확대되는 상황

악 화 • 상황 발생 후 상황의 변화 등에 의한 상황 및 피해가 확대되는 상황

종 결 • 상황의 마지막 단계로서 복구 등 사후 대책의 필요 단계

3-1
Ⅲ. 상황의 분류 및 단계별 정의 CNS 상암운영센터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상황 단계별 전파
1-3. 상황의 Level 별 전파방법
상황의 변화 시 단계별로 Level 를 구분하여 전파방법을 3 단계로 나누어 지며 ,
단계별 전파방법 정의는 다음과 같다 .

■ Level 별 전파 방법

구분 상황단계 전파방법 대상자

• DC 기술이행팀 : 박준호 팀장 , 김은영 책임 , 김진성 선임


유선통화
•운영센터 : 반진충 센터장 , 박익범 책임
Level -1 1 단계
• DC 기술이행팀 + 운영센터 + 고객사 ( 이행팀 요청 시에만 전송 )
문자전송
전체 문자 전송

• DC 기술이행팀 : 박준호 팀장 , 김은영 책임 , 김진성 선임


유선통화
• 운영센터 : 반진충 센터장 , 박익범 책임
Level -2 2 단계

문자전송 • 운영센터 문자 전체 발송

• DC 기술이행팀 : 박준호 팀장 , 김은영 책임 , 김진성 선임


Level -3 3 단계 문자전송
• 운영센터 : 반진충 센터장 , 박익범 책임

1-4. 상황별 문자내용 및 전파 Level


■ 화재 발생시

구분 상태 문자내용 전파 Level

발생 (1 단계 ) 점화발견 화재발생 긴급 출근 바람

소멸 소화 화재 진화 완료 , 전층 순찰 중

진행 (2 단계 ) 연기 / 열발생 화재가 진행 중 신속히 출근 바람 Level – 2 ( 유선 + 문자 )

악화 (3 단계 ) 확산 이동 화재 확산 중 / 소방서 소화진압 중

종결 (4 단계 ) 피해복구 및 대책 화재 복구 완료 , 전층 피해 현황 조사중

3-2
Ⅲ. 상황의 분류 및 단계별 정의 CNS 상암운영센터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비상상황 발생 시 전파 -1
■ 정전 발생시

구분 상태 문자내용 전파 Level

발생 (0 단계 ) 전압드롭 발생 순간정전발생 현재 설비 상태 점검 중
Level – 3 ( 문자 )
복전 정상 점검결과 이상 없으며 계속 주시 근무 하겠음

발생 (1 단계 ) 순간정전발생 순간정전발생 현재 설비 상태 점검 중
Level – 2 ( 유선 + 문자 )
복전 정상 점검결과 이상 없으며 계속 주시 근무 하겠음

진행 (2 단계 ) 상시 공급라인 차단 주전원 공급 중단 예비라인으로 절체 공급 중

악화 (3 단계 ) 상시 , 예비 공급라인 차단 한전 2 회선 정전발생 발전기 가동 중 Level – 1 ( 문자 )

사고수습 및 방지
종결 (4 단계 ) 복전 완료 및 설비 점검결과 이상 없음
대책수립

■ 태풍 발생시

구분 상태 문자내용 전파 Level

구분 상태 문자내용

태풍 주의보 발령 (1 급 )
건물 확인결과 이상 없으며 지속적으로 주의 Level – 2 ( 유선 + 문자 )
발생 (1 단계 ) 평균 최대 17~24m/s 이상
깊게 확인 하겠음
강우량 170mm 이상

태풍 소멸 건물 내 , 외곽 확인 결과 이상 없음

경보발령 (2 급 )
진행 (2 단계 ) 평균 최대 25~32m/s 이상 점검결과 이상 없음
강우량 250~399mm 이상
Level – 1 ( 문자 )
경계 경보
악화 (3 단계 ) 평균 최대 33m/s 이상 경계경보 발생 옥외이동금지
강우량 400mm 이상

종결 (4 단계 ) 피해지역 현장정리 태풍 종결 설비 점검결과 이상 없음

3-3
Ⅲ. 상황의 분류 및 단계별 정의 CNS 상암운영센터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비상상황 발생 시 전파 -2
■ 침수 발생시

구분 상태 문자내용
29 전파 Level

발생 (1 단계 ) 침수 주의발령 현재 인근 도로 침수 주차 램프 차수막 설치

침수 해제 인근 도로 침수 해제 외곽순찰 이상 없음

Level – 2 ( 유선 + 문자 )
진행 (2 단계 ) 침수 경보발령 주차램프 빗물 유입 펌프 가동 중

수변전실 바닥 2 ㎝ 정도 침수 상태 주시 후
악화 (3 단계 ) 경계 경보 ( 대피발령 )
한전 전원 차단 요청

종결 (4 단계 ) 피해지역 현장정리 침수 복구 완료 및 설비 점검결과 이상 없음

■ 폭설 발생시

구분 상태 문자내용 전파 Level

대설 주의보 발령
발생 (1 단계 ) 대설 주의보 발령 긴급출동바람
(10 ㎝이상 )
Level – 2 ( 유선 + 문자 )

주의보 해제 폭설 소강상태 현재 재설 중

대설 경보발령
진행 (2 단계 ) 대설 경보발령 DC 기술이행팀 재설 지원요청
(20 ㎝이상 )

Level – 1 ( 문자 )
악화 (3 단계 ) 경계 경보 ( 대피발령 ) 대피발령

종결 (4 단계 ) 피해지역 현장정리 옥외 및 인도 재설 완료

3-4
Ⅲ. 상황의 분류 및 단계별 정의 CNS 상암운영센터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비상상황 발생 시 전파 -3
■ 지진 발생시

구분 상태 문자내용 전파 Level

발생 (1 단계 ) 진도계급 1 ( 미진 ) 현재 미진 발생 순찰 점검 중

Level – 2 ( 유선 + 문자 )
지진 해제 인근 도로 침수 해제 외곽 순찰 이상 없음

진행 (2 단계 ) 진도계급 2~3 ( 경 , 약진 ) 경 , 약진 발생으로 순찰 강화

진도계급 4 이상 (
악화 (3 단계 ) 크랙 발생 여부 확인 순찰 중
중진이상 ) Level – 1 ( 문자 )

종결 (4 단계 ) 각 사 피해상화 취합 피해 없으며 재 순찰 확인 후 결과보고 예정

■ 누수 발생시

구분 상태 문자내용 전파 Level

발생 (1 단계 ) 누수감지기 동작 전산실 내부 누수감지기 동작 물기 제거 중


Level – 2 ( 유선 + 문자 )

누수 해제 점검결과 이상 없으며 계속 주시 근무 하겠음

진행 (2 단계 ) 누수로 인하 1 차 피해발생 A 콘센트 라인 전원차단 서버 B 로 공급 중

Level – 1 ( 문자 )
악화 (3 단계 ) 누수로 인한 2 차 피해 발생 A,B 모드 차단기 차단 임시케이블 포설 중

종결 (4 단계 ) 누수원인 보완대책 수립 복전 완료 및 설비 점검결과 이상 없음

3-5
Ⅲ. 상황의 분류 및 단계별 정의 CNS 상암운영센터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비상상황 발생 시 전파 -4
■ 승강기 고장 발생시

구분 상태 문자내용 전파 Level

발생 (1 단계 ) 1 대 고장 승강기 고장 OTIS 고장신고

고장 해제 조치 복구 완료 Level – 3 ( 유선 + 문자 )

진행 (2 단계 ) 2 대 고장 현재 승강기 2 대 고장발생 OTIS 보수 중

악화 (3 단계 ) 고장으로 피해자 발생 피해자 발생으로 인근 병원 후송 중

Level – 2 ( 유선 + 문자 )

종결 (4 단계 ) 원인분석 및 사후대책 논의 고장조치 완료 및 피해자 특이 사항 없음

■ 집회 발생시

구분 상태 문자내용 전파 Level

발생 (1 단계 ) 집회신고 접수 집회발생

Level – 3 ( 유선 + 문자 )

진행 (2 단계 ) 관련 단체 개입 단체 개입 추가 집회

악화 (3 단계 ) 건물 내 진입 등 물리적 충돌 집회 인원과 물리적 충돌

Level – 2 ( 유선 + 문자 )
비상 상황결과 보고서
종결 (4 단계 ) 상황 종결
작성

3-6
Ⅲ. 상황의 분류 및 단계별 정의 CNS 상암운영센터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비상상황 발생 시 전파 -5

■ 테러 발생시

구분 상태 문자내용 전파 Level

발생 (1 단계 ) 테러정보 입수 승강기 고장 OTIS 고장신고

진행 (2 단계 ) 폭발물 발견 현재 승강기 2 대 고장발생 OTIS 보수 중

Level – 1 ( 유선 + 문자 )
악화 (3 단계 ) 테러로 인한 피해발생 피해자 발생으로 인근 병원 후송 중

종결 (4 단계 ) 피해복구 및 대책 고장조치 완료 및 피해자 특이 사항 없음

■ 안전사고 발생시

구분 상태 문자내용 전파 Level

발생 (1 단계 ) 안전사고 승강기 고장 OTIS 고장신고

Level – 3 ( 유선 + 문자 )

진행 (2 단계 ) 방문객 / 동행인 안전사고 현재 승강기 2 대 고장발생 OTIS 보수 중

악화 (3 단계 ) 부상자 병원 후송조치 피해자 발생으로 인근 병원 후송 중

Level – 2 ( 유선 + 문자 )
사고수습 및 방지 대책
종결 (4 단계 ) 고장조치 완료 및 피해자 특이 사항 없음
수립

3-7
Ⅳ. 비상연락망 CNS 상암운영센터

가 . S&I Corp.- 운영센터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비상연락망
도착시간
NO 구분 성명 연락번호 조기출근
자가 대중교통

1 센터장 반진충 010-2518-7152 1 시간 1 시간 20 분 1 순위

2 기술 P/L 박익범 010-8452-0825 1 시간 1 시간 30 분 1 순위

3 기계 전광오 010-8338-9113 50 분 1 시간 20 분 1 순위

4 전기 송한민 010-2750-9998 1 시간 30 분 2 시간 1 순위

5 전기 신기준 010-5130-7459 50 분 1 시간 1 순위

6 전기 권준일 010-2418-9075 1 시간 1 시간 20 분 1 순위

7 전기 임승진 010-9284-5211 1 시간 1 시간 20 분 1 순위

8 전기 권오석 010-7486-7477 - 1 시간 30 분 1 순위

9 기계 한우주 010-4932-8982 - 1 시간 30 분 1 순위

10

11

12

13

14

15

16

17

4-1
Ⅳ. 비상연락망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지수 Inc- 시설

작성일 2022.03.29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비상연락망
도착시간
NO 구분 성명 연락번호 조기출근
자가 대중교통

1 전기 김진섭 010-4541-0504 1 시간 30 분 2 시간 1 순위

2 전기 안성익 010-9194-2858 1 시간 40 분 1 시간 40 분 1 순위

3 전기 홍종명 010-5551-7844 - 1 시간 1 순위

4 전기 팽상원 010-2273-7931 1 시간 1 시간 30 분 1 순위

5 전기 김용재 010-7299-1867 - 1 시간 1 순위

6 전기 송재훈 010-7736-9268 - 1 시간 1 순위

7 전기 양주영 010-8381-4578 - 1 시간 1 순위

8 전기 정지휴 010-2412-1015 - 1 시간 1 순위

9 전기 박정규 010-6709-1337 - 1 시간 1 순위

10 기계 신동철 010-8757-7893 - 1 시간 30 분 1 순위

11 기계 이정무 010-5161-1637 - 1 시간 30 분 1 순위

12 기계 이동환 010-4760-6018 - 1 시간 30 분 1 순위

13 기계 이범규 010-5916-3863 - 1 시간 1 순위

14 기계 이준환 010-7963-6345 - 1 시간 1 순위

15 기계 이주환 010-2167-0567 - 1 시간 1 순위

16 시설 이선웅 010-8720-8425 - 1 시간 1 순위

4-2
Ⅳ. 비상연락망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지수 Inc- 보안 / 운영

작성일 2022.03.29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비상연락망
도착시간
NO 구분 성명 연락번호 조기출근
자가 대중교통

1 보안 노현주 010-2717-4094 - 20 분 1 순위

2 보안 박용성 010-3280-8524 - 1 시간 1 순위

3 보안 유배근 010-3091-8048 - 40 분 1 순위

4 보안 최현범 010-6368-7857 - 1 시간 1 순위

5 보안 김기태 010-3242-6707 - 1 시간 1 순위

6 보안 신순환 010-5115-7871 - 1 시간 1 순위

7 보안 신종훈 010-3029-6875 - 1 시간 1 순위

8 보안 박정민 010-8646-9504 - 1 시간 1 순위

9 보안 채선병 010-2889-3648 - 1 시간 1 순위

10 보안 박원석 010-2785-1510 - 1 시간 1 순위

11 보안 민경탁 010-5043-7955 - 1 시간 1 순위

12 보안 김대근 010-8959-4973 - 1 시간 1 순위

13

14

15

16

17

4-3
Ⅳ. 비상연락망 CNS 상암운영센터

라 . 지수 Inc- 미화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비상연락망
도착시간
NO 구분 성명 연락번호 조기출근
자가 대중교통

1 미화 이승환 010-2290-5861 - 40 분 1 순위

2 미화 강대용 010-5307-7109 - 40 분 1 순위

3 미화 최춘만 010-6618-0181 - 40 분 1 순위

4 미화 김동균 010-5057-6062 - 50 분 1 순위

5 미화 신선순 010-2093-9579 - 30 분 2 순위

6 미화 김미숙 010-9077-1623 - 40 분 2 순위

7 미화 임춘길 010-4285-5146 - 40 분 2 순위

8 미화 승선미 010-3442-3106 - 40 분 2 순위

9 미화 하순남 010-4101-9803 - 40 분 2 순위

10 미화 황무연 010-5091-8832 - 40 분 2 순위

11

12

13

14

15

16

17

4-4
Ⅳ. 비상연락망 CNS 상암운영센터

바 . 유지보수 및 공사 업체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임승진

유형 □. 비상연락망
장비명 업체명 1 차 담당자 2 차 담당자

발전기 GnC 에너지 유진상 차장 010-2316-9200 고객지원센터 02-2164-9200

UPS
엠에이테크 배주현 과장 010-6751-0021 조원덕 팀장 010-4431-3571
( 에머슨 ,EMS)

배터리 ( 리튬 ) LG CNS 김기창 책임 010-4407-4510 한성희 책임 010-7797-3496

배터리 ( 연축 ) 피암코리아 최상용 이사 010-5208-8411 홍원복 부사장 010-8996-0047

자동제어 LS 사우타코리아 진영호 부장 010-4255-2069 이재창 부장 010-8651-3988

항온항습기 AR 정성진 대리 010-2558-2229 김선유 차장 010-3648-1213

주차관제 AJ 파크 안전훈 대리 010-2498-9399 심상교 대리 010-8314-9294

수배전반 ( 영업 ) LS 산전 김형식 차장 010-6400-3493 고객지원센터 1544-2020

변압기 ( 영업 ) LS 산전 김대희 대리 010-3361-4894 고객지원센터 1544-2020

ALTS LS 산전 김기득 차장 010-2539-3003 고객지원센터 1544-2020

스카다 (FAM+) LS 산전 안경준 과장 010-9992-6026 이성민 사원 010-9379-1944

차단기 , 계전기 LS 산전 고객지원센터 1544-2020 고객지원센터 1544-2020

청주 공장 LS 산전 서비스 센터 043-261-6811~3 고객지원센터 1544-2020

현장 소장 LS 산전 정은석 소장 010-2464-1128 김형택 소장 019-654-4717

4-5
Ⅳ. 비상연락망 CNS 상암운영센터

사 . S&I Corp.- 주변운영센터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임승진

유형 □. 비상연락망

NO 건물명 직책 성명 연락번호 상황실 비고

1 LG U+ 센터장 정용태 010-2290-9795 02-6920-1850

2 YTN 센터장 이강인 010-2439-8977 02-398-8991

4-6
Ⅳ. 비상연락망 CNS 상암운영센터

아 . LG CNS – DC 기술이행팀

작성일 2022.03.22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비상연락망

NO 입주사 해당층 직책 성명 연락번호 비고

1 LG CNS 12 층 팀장 박준호 010-3953-5486 5245

2 LG CNS 12 층 총괄 최병규 010-2626-2613 6007

3 LG CNS 12 층 총괄 우정수 010-3103-5327 6005

4 LG CNS 12 층 책임 김계전 010-2359-8430 5252

5 LG CNS 12 층 책임 김용석 010-5872-3820 5256

6 LG CNS 12 층 책임 서종환 010-2300-2361 5247

7 LG CNS 12 층 책임 박재창 010-8313-4515 5266


051-792-
8 LG CNS 12 층 책임 장성광 010-4741-1336
7053

9 LG CNS 12 층 책임 김윤희 010-2291-6205 5249

10 LG CNS 12 층 책임 곽동관 010-2209-3567 5240

11 LG CNS 12 층 책임 차근효 010-2287-9147 5529

12 LG CNS 12 층 책임 경진곤 010-4920-3644 6999

13 LG CNS 12 층 책임 김윤식 010-7700-4343 2310

14 LG CNS 12 층 책임 이승목 010-2238-6646 5258

15 LG CNS 12 층 책임 조성호 010-5611-9069 5261


051-792-
16 LG CNS 12 층 책임 문동혁 010-9144-9487
7065

17 LG CNS 12 층 책임 김은영 010-5196-3541 5255

18 LG CNS 12 층 책임 이상권 010-7332-3892 5251

19 LG CNS 12 층 책임 김진성 010-3300-0392 -

4-7
Ⅳ. 비상연락망 CNS 상암운영센터

자 . LG CNS – 입주 고객사 담당자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비상연락망
NO 입주사 해당층 분류 성명 연락번호 비고

1 엘지엔시스 LAB 실 1층 Family 정상혁 팀장 010-3082-0433

2 LG*NET (NSC) 2층 CNS 박평수 책임 010-7912-3151

3 Verizon Korea 2층 Open 권윤정 책임 010-2418-5557

4 FDI 코리아 2층 Open 조헌혁 선임 010-3400-8872

5 BT 코리아 2층 Open 권윤정 책임 010-2418-5557

6 CLSA 2층 Open 권윤정 책임 010-2418-5557


OBS (Orange
7 2층 Open 윤경원 선임 010-3116-8485
Business Services)

8 세종텔레콤 2층 Open 윤경원 선임 010-3116-8485

9 PCCW( 톰슨로이터 ) 4층 Open 권윤정 책임 010-2418-5557

10 LG 전자 4층 Family 김선문 팀장 010-5695-0623

11 서브원 3층 Family 송우현 책임 010-7753-2020

12 한성모터스 4층 Open 이성호 책임 010-8277-7125

13 스타파이넨셜 4층 Open 이성호 책임 010-8277-7125

14 전자문서보관소 4층 Open 박태연 선임 010-3381-1075

15 맥쿼리증권 4층 Open 이시연 책임 010-8326-4309

16 폭스바겐 파이낸스 4층 Open 박상수 차장 010-8775-0320

17 한국스마트카드 4층 Open 권혁중 책임 010-9663-0711


UC : 인프라
18 4층 CNS 이종근 책임 010-3259-4083
클라우드사업팀
LG 전자 자회사 HR
19 4층 Open 김선문 팀장 010-5695-0623
(UC)
SDP 프로젝트
20 4층 CNS 왕순지 책임 010-5500-0215
& HA DM 프로젝트

4-8
Ⅳ. 비상연락망 CNS 상암운영센터

자 . LG CNS – 입주 고객사 담당자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비상연락망
NO 입주사 해당층 분류 성명 연락번호 비고

21 SG 금융 (4F) 4층 Open 윤경원 선임 010-3116-8485


신한카드 (
22 4층 Open 오태균 책임 010-8201-3201
한국연구재단 시스템 )

23 벤츠코리아 ( 주센터 ) 4층 Open 이시연 책임 010-8326-4309

24 KRSYS 4층 Open 김기훈 책임 010-2468-5195

25 퍼블릭클라우드 4층 CNS 이종근 책임 010-3259-4083

26 랜드로버 / 재규어 (4F) 4층 Open 윤경원 선임 010-3116-8485


스마트페이먼드 (
27 4층 Open 노규민 책임 010-9488-2446
엠페이 )

28 스토리지 클라우드 4층 CNS 김태일 책임 010-7697-2824

29 NTT 4층 Open 윤경원 책임 010-3116-8485

30 리파인 4층 Open 이수아 책임 010-4612-6005

31 LG VDI 4층 Open 백승태 책임 010-9892-0416

32 이지웰페어 4층 Open 백경훈 책임 010-5061-2607

33 공공클라우드 5층 CNS 박종윤 책임 010-5811-3171


EnCloud
34 5층 CNS 이종근 책임 010-3259-4083
(LG Private Cloud)
Apple
35 5층 Open 이수아 책임 010-4612-6005
(Kinx Colocation)
36 KINX MMR 5층 Open 이수아 책임 010-4612-6005

37 카카오엔터프라이즈 6층 Open 윤경원 책임 010-3116-8485

38 푸르덴셜 7층 Open 이영배 책임 010-7185-1067

39 카카오뱅크 7층 Open 조헌혁 선임 010-3400-8872

40 한국신용카드 7층 Open 이성호 책임 010-8277-7125

4-9
Ⅳ. 비상연락망 CNS 상암운영센터

자 . LG CNS – 입주 고객사 담당자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비상연락망
NO 입주사 해당층 분류 성명 연락번호 비고

51 사내시스템 8층 CNS 이종근 책임 010-3259-4083


사내기타 +
52 8층 CNS 이종근 책임 010-3259-4083
그룹웨어 통합팀 (3F)

53 SSP 8층 CNS 장재영 책임 010-5555-5346

54 통합백업 8층 CNS 장재영 책임 010-5555-5346


미들웨어 / 품질팀
55 8층 CNS 차근효 책임 010-2287-9147
(IT 서비스데스크 )
품질혁신팀
56 8층 CNS 채병수 책임 010-8028-8897
( 운영자동화 )

57 웹개발팀 8층 CNS 이종근 책임 010-3259-4083


기술연구개발 Shared _
58 8층 CNS 장동고 팀장 010-5547-3092
신기술개발팀
기술연구개발 Shared _
59 8층 CNS 김주연 단장 010-9137-9006
아키텍쳐솔루션팀
기술연구개발 Shared _
60 8층 CNS 이종혁 책임 010-2490-7090
클라우드서비스팀
빅데이터분석
61 8층 CNS 송인태 책임 010-3057-3153
컨설팅팀

62 AI 개발시스템 (8F) 8층 CNS 홍영진 총괄 010-5632-5004

63 동양생명 8층 Open 박성수 총괄 010-5566-5027

64 미래에셋대우 9층 Open 이성호 책임 010-8277-7125

65 미래애셋 캐피탈 9층 Open 이성호 책임 010-8277-7125

66 대한항공 9층 Open 조헌혁 선임 010-3400-8872

67

68

69

70

4-10
Ⅳ. 비상연락망 CNS 상암운영센터

자 . LG CNS – 입주 고객사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비상연락망
NO 입주사 해당층 성명 연락번호 비고

1 Verizon Korea 2층 전길하 팀장 010-8528-9909

내선 :
02-2088-3875
2 FDI 코리아 2층 옥수만 차장 010-7322-5966
운영사무실 :
02-2088-3880~1

3 BT 코리아 2층 백용철 부장 010-9511-1020

신장현 이사
4 CLSA 2층 장석기 과장 010-5306-8263 010-4157- 8511
charles.shin@clsa.com
OBS (Orange Busi-
5 2층 유승권 과장 010-4725-0864
ness Services)

6 리파인 4층 최영남 파트장 010-3170-1788

7 이지웰페어 4층 허형민 선임 010-7211-0847

8 KINX MMR 5층 우성웅 010-3586-2471

9 김관우 ( 영업 ) 010-8527-6428
Apple
(Kinx Colocation) 5층
10 류수현 ( 사업 ) 010-5029-0283

11 정의현 센터장 010-4709-3261


카카오뱅크 5층
12 조성본 매니저 010-2839-9335

13 한국신용카드 7층 조상규 팀장 010-9146-0136

14 동양생명 8층 석현수 수석 010-6514-0616

15 대한항공 9층 현일 차장 010-4030-7490

16 미래에셋 대우 9층 서동현 010-2758-7550

4-11
Ⅳ. 비상연락망 CNS 상암운영센터

차 . 유관기관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비상연락망

NO 기관명 연락번호 비고

1 마포경찰서 182

2 마포소방서 02-701-3495

3 성산 119 안전센타 02-304-0119

4 수도사업소 02-3146-3500

5 지역난방공사 02-300-3363

6 한국전력공사 123

7 한국전기안전공사 02-6488-6500  

8 서부 고용노동부 02-2077-3499

4-12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상황대응 공통 Flow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상황대응
상황 대응업무 및 공통 Flow
: 각 상황 발생 시 대응업무의 지휘 , 통제 , 보고 등의 획일적인 체계 구축을 위한 공통 Flow.

상황발생 통제 , 명령 , 지시 Line

보고 , 연락 Line

최초 발견자 센터장 보고

• 상황판단 상황보고
근무자 / 순찰자 보 고
• 지원
방문고객

당직근무 당직 실장
당직근무 보고
근무자 출동
BMS No 종 결
현장확인
상황통보 ( 복전 )
현장 점검보고
출동요청
- Monitor 감시 / 확인 Yes
- 상황의 통제 , 명령 , 지시 , 비상연락망
연락

상황대응 전개

협력업체

종합 상황실
(1661-8182)

한 전 한 난 수 도 구 청 소방서 경찰서 노동부

한전 상황실 지역 수도 사업소 마포구청 마포 소방서 마포 경찰서 마포 노동부


난방공사
710-2202 3146-3500 3153-8114 701-3495 182 2077-3499
300-3363
상암 변전소 성산 119 월드컵
중부 급전소 안전센타 지구대

3143-1437 304-0119 373-1113

수색 변전소

320-7331

5-1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화재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화재 대응 Process
화재
화재 화재감지 수신 반 방화구역 설정 연소확대 방지
*방화문 *급 , 배기 가동
* SHUTTER - 발화 층 배기
*배연 설비

입주 사 자위
소방대 소화활동

*비상출동 초기 소화 Yes
소화기 복구 대책 수립 상황 종료
최초발견자 화재 발생 전파
초기 소화
NO

BMS ●
*화재신고 *지원요청
( 발신기 / 비상전화 / 전화 )
구내
● (5119)

비상 경보 SIREN
비상 대책 위원회
BMS : 발화 층 공조정지

비상계단 LOCK OPEN 확인


출입보안 LOCK OPEN 확인 비상방송 화재전파
1 차 : 대피 진압 반 방호 반 구호 반 부상자 , 사상자
발화 층 , 직상 층 및 본격 소화 대피활동 구호활동 신상파악 병원
화재발생 상층부 후송
엘리베이터 기존 층
강제 복귀 시킴 *소방서 지원요청
NO NO

2 차 : 대피
발화 층 직하 층 및 - 대피로 확보 - 인명 구조활동 진
Yes
하층부 - 부상자 / 사상자 구호소 이송 화

지하층 대피
옥외 탈출구 / 비상 E/L 화재 운전
계단 지상 1 층으로

화재신고 구급차 출동 화재 안전진단


소방서 119 소방차 출동 소방관도착 상황 종료
시설물 복구

5-2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화재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S&I Corp. – 화재 대응 조직도

BMS 현장출동조

BMS 통제자 현장 통제자 ( 정 )


센 (터
부장) 박익범

방재요원 소화조 구호조 통제조 대피유도조

전광오 한우주 , 송한민 권준일 , 권오석 신기준 , 임승진 보안 근무자

* 대피유도조는 고객사와 협의하여 층별 담당자 ( 고객사 인원 ) 를 지정하여 운영

( 근무인원 : 4~9 명 )

BMS

BMS 통제자 현장 통제자


(부)
당직 조장 당직 부선임자

출동조

그 외 직원

5-3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화재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지수 Inc – 화재 대응 조직도

( 근무인원 : 10 명 이상 )

BMS 현장출동조

BMS 통제자 현장 통제자 ( 정 )


(부
김진섭 )
( 실장 ) 신동철

방재요원 소화조 구호조 통제조 대피유도조

안성익 , 박정규 팽상원, 이주환 이준환, 송재훈 노현주, 민경탁 박용성 , 채선병
이정무, 김용재 이범규, 홍종명 유배근, 김기태 신순환 , 정지휴
정지휴, 양주영 이동환, 이선웅 신종훈, 최현범 박원석 , 박정민

* 대피유도조는 고객사와 협의하여 층별 담당자 ( 고객사 인원 ) 를 지정하여 운영

( 근무인원 : 4~9 명 )

BMS

BMS 통제자 현장 통제자


(부)
당직 조장 당직 부선임자

출동조

그 외 직원

5-4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화재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발생 악화 종결

조직 유형
담당 □. 자위소방대원 임무행동요령
상황대응 확인 / 보고 사항 비고
ㅁ . 감지기 작동
1. 비상대기 자에게 00 층 00 구역 감지기작동 현장 확인 명령
2. 연동정지 된 모든 설비는 자동 모드 전환
- 소화펌프 , 싸이렌 外
3. 현장과 통신망 확보
- 소방 시설물 정상 작동 확인
- 화재 , 비 화재 상황 접수
S -Auto 작동 불량 시 수동조작 조치 - 개별행동금지
- 화재현장 소화 및 대 피 상황
근 - 현장 통제 및 지원 - 무전기소지자
- 피해 등 전반적인 상황
M 무 4. 지휘본부 설치
- 폭발 성 위험물 등 우선 제거
자 5. 초기진화 실패 - 통제범위이탈
- 민 , 관공서 협조 의뢰
B -1 단계 대피 명령 ( 비상 방송 ) 금지
- 상황 보고
- 발화 층 직상 층 순으로 2 분 간격으로
6. 엘리베이터 강제 복귀 / 정지
-Car 내부 잔류승객 유무를 확인 , 신속하게 대피안내 방송
7. 소방서 화재 신고 .( 마포 소방서 )
8. 비상 대책 위원회 소지
-CNS 센터 장 , 설비 기술팀 , 총무 지원 팀
ㅁ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1. 화재 현장의 정확한 위치 파악 후 현장 출동
2. 초기 소화 작업
- 화재 현장 발화 중 하차
3. 현장상황 방재 실로 보고
반 비 - 피해 등 전반적인 상황
4. 화재 확산의 위험요인 .( 가연물 , 위험물 , 인화물질 등 ) 의 제거 - 개별행동금지
상 - 폭발 성 위험물 등 우선 제거
5. 현장 상황에 맞는 진압 활동 개시 - 무전기소지자
압 출 - 화재진압은 2 인 1 개조로
- 국부 지역의 최소 화재 : 소화기 사용 통제범위이탈
동 활동
- 국부 이상의 화재 : 옥내 소화전 사용하여 진압 활동 금지
진 조 - 피해 및 상황 보고
6. 진압 상황의 진행 경과 보고
- 상황 보고
- 화재의 진압
- 화재의 확산 : 유관기관의 협조 의뢰
7. 화재 현장의 확산 속도가 빠른 지역의 진압 활동 및 보고
ㅁ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1. 화재 진압장비 및 보호 장구 착용 ( 방열복 , 공기 호흡기 )
2. 화재 현장의 정확한 위치 파악 후 현장 출동
3. 화재 전파 및 현장 상황 방재 실로 보고
4. 비상 출동 조와의 임무 교대
5. 화재 현장에 맞는 본격 진압활동 개시 - 화재 현장 발화 중 하차
- 소화기 확보 및 소화용수 확보 - 피해 등 전반적인 상황
반 소
- 소방 Hose 이용 - 화재진압은 2 인 1 개조로 - 개별행동금지

6. 화재 폭발 예방 활동 - 무전기소지자
압 활
7. 피난에 따른 장애물 철거 - 피해 및 상황 보고 통제범위이탈

8.1 차 대피로 ( 피난통로 ) 안전지대 확보 및 유도 인원 배치 - 민 , 관공서 협조 의뢰 금지
진 조
9. 발화 층 비상 전원 外 전원 차단 - 상황 보고
10. 비상 계단 물 침투 방지 -119 화재 신고 여부 보고
11. 소화 활동용 비상등 확보
12. 진압 상황의 진행 경과 보고
- 화재의 진압
- 화재의 확산 : 유관기관의 협조 의뢰
13. 화재 현장의 확산속도가 빠른 지역의 진압활동 및 보고

5-5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화재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발생 악화 종결

유형 □. 자위소방대원 임무
조직 담당 상황대응 행동요령 확인 / 보고 사항 비고

ㅁ . 지휘 및 통제에 의한 행동
1. 시설 복구장비 구비
2. 화재 현자의 정확한 위치 파악 후 현장 출동
3. 현장상황 방재 실로 보고
4. 소화 활동 조 및 인명 구조활동 지원
- 불에 탄 탄화물 , 낙화 물질 제거
- 소화 활동상 불 필요한 장애물 제거 : 칸막이 , 천정재
- 소화 활동상 필요한 기타 전원의 비상 복구
- 전기전선의 피복 탄화전선 절단
- 소화 활동에 필요한 가설 비상전원 포 설
- 잔류 고객 대피에 장애요소의 철거 및 이동조치
반 5. 화재 피해 층 안전진단
-2 차 화재 방지 사전 화재요인 제거
6. 현장 상황에 맞는 복구활동 개시 - 피해 상화 보고 - 개별행동금지
압 복
- 통신 , 비상전원 기능 우선 유지 및 복구 - 우선 소방설비의 기능

진 -Damage 확산 방지 및 소방설비의 기능 유지 유지 및 기능 마비의 - 주차장 옥외
조 - 소화설비의 기능 유지 및 소화용수의 확보 소방설비 우선 복구 탈출구 확인
- 복고 및 비상 계단의 대피 유도 등 점검 조치
- 물 침수가 예상되는 전기설비의 전원 차단
- 소화 조의 지원 요청사항의 긴급 지원
- 정전에 대비한 랜턴의 확보
7. 복구 상화의 진행 경과 보고
※. 시설 복구 완료
- 전기 , 조명설비의 침수 , 파손 부분의 교체 , 복구
- 통신설비의 침수 부분 건조 또는 교체
- 소방시설 복구
- 탄화 및 파손 내장재의 건조 / 흡수와 교체가능 시설 교체
- 바닥 매입 전기 설비의 건조 , 교체 복구 ( 절연측정 )
- 바닥 침수지역의 배수 및 흡수
- 시설 기능상실 : 기능 상실 시설의 협력 복구

ㅁ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 인명구조 상황


1. 초기 화재 현장 인명구조 - 피해 등 전반적인 상황
인 2. 들것 및 구급약품 , 공기 호흡기 구비 출동 - 고립 자 파악 및 보고
명 3. 고립 자 색출 안전지대 피난유도
(2 인 1 조 활동 )
구 4. 현장상황 방재 실로 보고
5. 현장 상황에 맞는 구호활동 개시 - 부상자 발생 보고 및

- 안전지대 확보 및 유독 가스 차단 지원 요청
반 조
- 부상자 응급 처치 후 비상용 E/L 이용 신속히 이송 - 환자발생 보고
호 6. 상황 보고 - 상황 보고

ㅁ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1. 보안요원 ( 비상 출동 자 ) 발화점 확인 및 무전 보고

2. 재해 지역 출입 통제
- 언론 및 거동 수상자
경 - 무전기 및 확성기 구비 출동 ( 보안 반장 )
계 - 로비 상황 통제 ( 질서 확립 ) - 비상 계단 출입문 개방 - 로비 통제 상황
조 -E/L 출입통제 및 고객 대피 유도
- 도난 방지
3. 시설물 보호
4. 주요문서 / 물건 반출
5. 경계상황의 진행 경과 보고

5-6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화재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발생 악화 종결

유형 □. 자위소방대원 임무
조직 담당 상황대응 행동요령 확인 / 보고 사항 비고
반 ㅁ . 지휘 및 통제에 의한 행동
대피 1. 인원 지상 안전지역 대피 / 유도
호 - 통제 기능 마비 시
/ - 어린이 및 노약자 보호
지원 요청

유도 2. 차량 출입통제 및 유도
조 3. 긴급 차량 ( 소방차 , 구급차 , 구조 차량 ) 진입로 확보
4. 유도 및 대피 상황 경과 보고

ㅁ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1. 구급약품 , 공기 호흡기 구비 로비 출동
2. 응급환자 신원 파악 및 차량 동승 후송
3. 부상자 치료 및 인적 사항 파악
4. 로비에 구호소 설치

5. 현장 상황에 맞는 구호활동 개시 - 인적 사항 보고 / 보호자 통보

반 - 경상 부상 : 응급조치 후 후송 - 피해 등 전반적인 상황
조 - 중상 부상 .
호 ① 현장 응급조치 후 현장 대기 / 응급조치 후 병원 후송
②119 구급 대 도착 후 후송 이관
구 6. 현장에서 이송된 사상자 신원파악 / 지정장소 안치
7. 부상자 구호 상황 보고

ㅁ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1. 대관업무 / 언론보도 통제

2. 홍보 팀 ( 관리 팀 ) 협조 - 병원 방문 및 현황 보고

3. 부상자 구호사항 확인 및 병원 치료상태 확인 - 보고서 작성 보고
조 4. 건물주사 및 피해 입주 사 관리 팀 합동 조사반 구성 및 조사
5. 상황대응책 수립 및 보완

비상
ㅁ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출동
1. 소화활동 조 지원

반 ㅁ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1. 소방관 도착 전 화재확산 최대 억제
소화
압 2. 상황의 진행 보고 - 피해 등 전반적인 상황
활동
3. 소방관 도착 후 피난 계단을 이용 대피 - 대피 보고
진 조 4. 조원 철수 확인
5. 최종상황 보고

ㅁ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1. 복구 가능 설비와 복구 불가한 설비의 파악 보고
복구 - 피해 및 상황보고
2. 비상설비의 기능 최대 유지
조 - 대피 보고
3. 소방관 도착 후 피난 계단 이용 대피
4. 최종상황 보고

반 ㅁ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인명 1. 진압반의 피난통로 확보 및 피난유도 후 방화 문 Close 확인
- 인면구조기구 확보
구조 2. 입주 임직원 비상계단 및 피난통로 유도 및 통제
- 대피 현황 보고

조 3. 건물 잔류자 ( 입주 임직원 ) 파악 및 보고
대 4. 위 2 개조의 피해상황 보고

ㅁ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경계
1. 건물 내 , 외곽의 보안 유지 .( 출입문 및 출입 통로 ) - 관계자 외 출입 통제

2. 건물 내 출입자 통제 및 도난방지 출입상황 보고

5-7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화재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발생 악화 종결

유형 □. 자위소방대원 임무
조직 담당 상황대응 행동요령 확인 / 보고 사항 비고

1. 비상 E/L 출입통제 ( 자체 조직 및 소방관으로 사용제한 ) 상황


경 보고
반 계 2. 직원 사고관련 함구령 ( 자체 보안 ) - 관계자 外 출입통제

피 조 3. 루머 , 고장보도 방지 , 긍정적 기사 방향 유도를 위한 사실정보


수집

ㅁ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대피
1. 상황에 따라 지하 주차장 차량 지상으로 이동 유도
유도조
2. 최종 상황 보고

ㅁ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1. 피해자 이송차량 및 환자수송 지원차량 확보
2. 이송 차량 및 환자수송 차량 우회도로 확보

3. 응급 구급약품의 수요량 파악 , 공급요청 응급 치료 소 설치
호 의 4. 이송차량 ( 병원차량 및 이송 용이한 차량 등 ) 의 확보
- 사후 파악 가능하도록
료 5. 상황 보고
구 상세히 , 의미전달 쉽게 보고
조 6. 명단 , 인원 수 및 피해자 이송병원 파악
7. 명단 , 인원 수 , 병원 명 현황 보고
8. 이송 지연 피해자의 피해정도 파악 및 응급 치료
9. 피해자 병원 이송 전 상태파악 , 기록 , 기록지 송부

ㅁ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1. 입주 사 임직원 동요 방지
반 2. 피해자 및 가족 편의시설 제공
3. 병원 출입자 통제 및 방문객 안내 - 피해자 상태의 호전 / 악화
피 관
4. 피해자 및 가족 개별방문 , 위로 등 파악

대 5. 피해자 보상협의 절차 진행 - 정확한 조사를 위한 정보

6. 병원 이송환자의 상태 수시확인 및 통보 수집
7. 상황 합동 조사반 활동
8. 대관업무 지원
9. 기타 업무지원

5-8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화재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발생 악화 종결

유형 □. 자위소방대원 임무
조직 담당 상황대응 행동요령 확인 / 보고 사항 비고

1. 현장 설비의 기능 확인 및 복구 대책 강구 - 현장 및 전체 시설의
2. 시설의 수선 , 보수 , 교체 등 파악 정밀 진단
3. 각 조직 별 대응 요령의 보완 - 복구비용 예가 산출
4. 정상 업무를 위한 건물 내 전 시설 점검
5. 정상 업무를 위한 인력 투입 관리
6. 부서 별 근무자 재 편성
7. 운영의 보안 유지 - 도난방지 및 정상 영업 전
8. 언론 및 대중매체 보도 종결 협의
통제
1. 부상자 치료 상태의 현황 집계
- 보도 자료의 사전 확인
- 용어 해설
반 1. 사과 및 복구 내용 현화의 안내문 발송
2. 임직원 사기진작을 위한 대책 강구

복 3. 합동조사반의 명백한 원인 규명 및 상황대응 체계 보완
진 구 4. 피해자 중 , 장기 입원 환자의 상태 파악
조 5. 피해 사망자의 가족 위로
6. 피해 입주 사 관리 팀과 협의체 구성

ㅁ 1. 피해 보상금의 적정성 판단
- 금액 , 내역의 적정성
2. 패해 보상액의 우선 지급
3. 운용 , 지원 , 복구 비용의 집행
4. 기타 제비용의 회계 처리

ㅁ 1. 종합 피해 상황 접수 , 정리 , 보고 - 최종 보고자료 작성
2. 보험사와 피해 보상액 협의 및 수령 - 보상액의 적정성 판단
3. 민 , 형사 , 행정상의 문제해결 및 책임문제 해결 - 법적 효과 분석
4. 보험 재 가입 금액의 예가 산출 및 재 가입
5. 피해 사망자의 영결식 및 피해자 가족 편의 제공


호 의 ㅁ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 사후 파악 가능하도록
구 료 1. 피해자 이송 차량 및 환자 수송 지원 차량 확보 상세히 , 의미전달 쉽게
조 보고

5-9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화재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화재진압 장비

보관
No 장 비 명 규격 용 도 수량 비고
위치

① 압박붕대②붕대③소독약
④ 지열제⑤생리식염수⑥
알콜솜
1 구급약품함 YS-2 A.B.S 수지 응급치료 1SET BMS
⑦ 대일밴드⑧타이레놀⑨
부목대
⑩ 반창고⑪후시딘연고

K3; 화생방용 ;
2 방독마스크 화재진압 4EA BMS
전면형 2 안식

SCA430N; 검사 : `21 년 5 월 23 일
3 공기호흡기 인명구조 2EA BMS
알루미늄 ;30 분 ;7Kg 검사 : `21 년 6 월 11 일

4 방열복 SCA1201N-1; 대 화재진압 1SET BMS 방열복 ( 장갑 , 장화포함 ) SET

대피용 랜턴
5 6V 피난유도 2EA BMS
( 손전등 )

6 메가폰 HT - 203 지휘통제 1EA BMS

7 안전띠 30M 이상 통제용 1롤 BMS

8 도끼 - - 1EA BMS

안전 유도봉
9 535*40mm 피난유도 2EA BMS
( 경광봉 )

10 와이어절단기 MI-60;310mm; 철봉 5 보수용 1EA BMS( 장비실 )

11 해머 5 파운드 작업용 1EA BMS( 장비실 )

12 들것 185*52*5 ㎝ / 3 ㎏ 인명구조 2EA BMS( 장비실 )

직사용압력 :1~10kg/ ㎠
13 스프링쿨러 헤드 감지용 5EA BMS
작동온도 : 68 도 / 93 도

연기 차동 스퍼트형 DC 24V 감지용 5EA BMS


감지
14

열 정온 스퍼트형 DC 24V 감지용 5EA BMS

5-10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정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정전 대응 Process
전 기 기 계

Process 조치 ( 이상 시 ) Process 조치 ( 이상 시 )

1. 램프 소등 됨 • 램프 소등으로 정전이 됨을 1. 알람 발생
• 램프가 소등이 되었을 때
인식한다 .

Alarm 발생
2. 수 , 전실로 이동 • 비상용 랜턴 및 무전기 2. 냉동기 비상 • 냉동기 비상 Alarm 스위치
휴대 off
(BMS)
3.B/Z 확인 • SHV-2 알람 확인 및 3. 기계실로 이동
• 비상용 랜턴 및 무전기 휴대
ALTS 전압확인

4. 발전기 가동 확인 • 자동 기동이 안됐을 때는 4. 냉동기 기동반 확인 • 주 전원 (3.3KV) 투입 확인


수동으로 기동 시킨다 .

5. 특 , 고압 VCB 확인 • 특 , 고압 VCB 가 투입 5. 콘트롤 판넬 확인


• 조작 판넬 보조회로 Trip 시
상태일 경우 수동 OFF 한다 . 복구

6. 발전기 전원투입 • G-1,2,3,4,5,6,7,8 VCB 6. 냉수 펌프 확인


• 냉수 펌프 가동
차단기 ON 을 한다 . ( 부하
공급 확인 확인 )
7. 동력 ,UPS 부하 • 전압 , 전류 , 부하 량을 확인 7. 냉각수 펌프 확인 • 냉각수 펌프 가동
한다 .
(Load 공급 )
8. 각 장비 점검 • 냉동기 재 기동 및 냉방 공급 확인 . 8. 냉수 압력확인 • 냉수 압력 이하일 경우 Air
( 냉동기 ,CAC, 공조기 -6 호 外 ) 제거 및
보충수 확인 / 공급

9. 냉각수 압력확인

9. 정전 원인 파악
한전 서부지점 유선 확인 냉각수 압력 이하일 경우 Air
( 배전 운영과 : 02-3143-1437) 제거
및 보충수 확인 / 공급
10. 비상연락망가동 • 운영센터 직원 , 협력업체 , 10. 비상연락망가동 • 비상망 가동 지원
CNS 설비 기술팀 , 당사 본사 外 )

• • 냉각 탑 전원 복구 열동형
한전 “주”라인 전원 공급
11. 특 , 고 복 전 11. 냉각 탑 확인
상태 /ALTS 계전기
확인 후 SHV-5,6,8,10 순차적 투입 Trip 시 원상 복구
12. 발전전원 OFF • G-1,2,3,4,5,6,7,8 OFF 하고
12. 냉동기 가동 • 냉동기 가동 ( 최상 냉동기
발전기는 필요 시 무부하 운전 대기 ※. 냉동기우선 )정전 후 재 가동 시에는
냉동기
• 보호하기
응축기 위하여
, 증발기예비 냉동기
장치 가동
13. 냉동기 확인
• , 추기 ,
13. 고압 복 전
고압반 VCB ON 하고 이상이
없을 시 베인 궤도 ,
발전기 정지한다 .(7.8 항 연계 조치 ) 냉수온도 , 냉각수 온도 확인
14. 보고서 작성 14. 보고서 작성
• 장비 재 점검 실시 후 사고 • 사고 보고서를 작성 보관한다
보고서를
작성 / 보고 한다 .
• 사고 보고서 보관 한다 . • 정상 운전 후 운영 센터장 / 책임자
15. 상황종료 ( 대응 결여 부분은 재 교육 실시 ) 15. 상황종료
보고

5-11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정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조직도 – S&I Corp.

전기 선임자

반진충

ㅁ ㅁ ㅁ ㅁ

비 비 비 비
상 상 상 상
조 연 복 유
치 락 구 도
조 조 조 조

송 전 한 권 권 박 신 임
한 광 우 준 오 익 기 승
민 오 주 일 석 범 준 진

5-12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정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조직도 – 지수 Inc
지수 Inc 총괄

김진섭

ㅁ ㅁ ㅁ ㅁ

비 비 비 비
상 상 상 상
조 연 복 유
치 락 구 도
조 조 조 조

이 안 김 신 이 홍 양 정 이 노 팽 이
준 성 용 동 범 종 주 지 정 현 상 동
환 익 재 철 규 명 영 휴 무 주 원 환

5-13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정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편성 – 조 임무
담 당 대응조직별 임무 비고

-. 상황판단 및 현황파악

-. 사고여파 확산방지

비상조치조 -. 상황별 조치 및 대책마련

-. 전기시설 정밀점검

-. 결과보고서 작성

-. 상황접수 후 종합상황실 신고

-. 비상조치반 연락

비상연락조 -. 관할 한전측 연락

-. DC 기술이행팀 연락

-. 전관방송 실시

-. 설비별 정상운전 확인

-. 재발방지 대책 강구
비상복구조
-. 입주사별 이상유무 확인

-. 상황보안유지

-. 고객 질의에 대한 설명

-. 고객 안전유도
비상유도조
-. 상황보안유지

-. 고객 차량 인출

5-14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다 . 누수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누수 대응 Process
Process 대응조직별 임무
조치반

1. 누수 신고 접수 시 누수량의 과소 여부 확인
누수 발생 2. 누수 감지기 동작 여부 BMS 확인요청
: 감지기 동작 시 누수 원인 조기 파악 가능
신고 3. 각종 물탱크의 Level 상황 BMS 확인요청
( 고객 / 근무자 ) : 수위 변동 확인을 통해 누수 원인 조기 파악 가능
4. 누수 현장 출동 ( 무전기 소지 )
5. 누수로 인한 2 차 피해예방 임시조치
응급조
BMS(5119) 1) 전원 , 전열 차단
( 현장 출동 )
2) 누수 해당지역의 장비 가동 정지
3) 사고 지점으로부터 전원 장비류 , 집기 . 비품의 안전거리 이동
종합상황실 4) 지수 INC 흡수기 지원요청
(1661-8182) 6. 누수 개소 파악
1) 천정 누수 시 사다리 준비 ( 공조실 비치 )
누수 2 차
2)HVAC( 공조설비 ), PLUMBING( 위생설비 ),
피해 예방
FIRE FIGHTING( 소화설비 ) PIPING 점검
7. 누수 배관의 분기 밸브 차단 임시조치
8. 복구 자원 확보 요청
분기밸브 9. 피해상황 파악
차단 10. 복구 조 지원

복 조치반

자 피해 1. 복구 자원 ( 공구 , 자재 , 보양 자재 등 ) 확보 현장출동
원 상항파악 2. 피해확산 예방조치 ( 전원 장비류 , 집기 비품 보양 등 )
확 3. 응급조 , 지수 INC 합동 잔류 수 제거 작업
보 4. 습기제거 가능 장비의 가동 조치
5. 전원 장비류 피해상황 점검
복구 조 6. 시 급성 순서에 의한 전원 장비류 전원 복구
지원
7. 누수 해당지역 가동 정지 장비의 정상화
8. 피해복구 상황 점검
9. 응급 조 합동 , 누수의 직접 원인 정밀점검
복구 조
( 현장 출동 ) 10. 누수 원인 보완대책 수립 ( 추가 복구 자원 확보 )
: 시공방법 , 공구 , 자재 , 인력 , 시간 확보 등
11. 보완작업 시행
복구 작업 누수원인 12. 수압 Test 및 재 누수 여부 정밀점검
완료 대책수립 13. 원상복구 및 보완 사항 최종점검

통제반
보완작업
1. 비상 E/L 전담 운행 ( 조치 반 수송 등 )
수압 Test
2. 인적 피해 발생 대비 조치사항
1) 고객 대피 통로 확보
2) 환자 이송 장비 구비
사고 상황종료 3) 인명 구조장비 기능 유지
보고서 4) 병원 후송 차량의 우회도로 확보

5-15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다 . 누수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조직도 – S&I Corp.


기계파트장

전광오

관리반
반진충

조치반 통제반 구호반

ㅁ ㅁ ㅁ ㅁ ㅁ

비 비 비 비 의
상 상 상 상 료
조 복 유 경 조
치 구 도 계
조 조 조 조

조 조 조 조 조 조 조
장 장 장 장 장 장 장

권 한 박 권 임 신 송
오 우 익 준 승 기 한
석 주 범 일 진 준 민

5-16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다 . 누수

작성일 2022.03.29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조직도 – 지수 Inc
지수 Inc 총괄

김진섭

관리조
신동철

조치반 대피반 구호반

ㅁ ㅁ ㅁ ㅁ ㅁ

비 비 비 비 의
상 상 상 상 료
조 복 유 경 조
치 구 도 계
조 조 조 조

이 양 팽 이 이 안 이 이 송 노 이 이 최 신 민 정 유 박 신
준 주 상 주 범 성 정 동 재 현 석 주 원 순 경 지 배 용 순
환 영 원 환 규 익 무 환 훈 주 훈 환 석 환 탁 휴 근 성 환

5-17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승강기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승강기 대응 Process
Process 대응조직별 임무

고장 발생 1.E/L 고장 신고
연락반
신고 : 전기 Part 및 Otis 연락
인터폰 통화로
( 고객 / 근무자 ) 고객 불안감 해소 2. 비상 인터폰 통화
BMS 접수 보안
(5119) 근무자 : 승객 안전 확인 및 안정 시킴

종합상황실
(1661-8182)
전기직원
3. 현장 도착
오티스 통보
4. 외부 Door Open

5.Car 內 승객에게 상황 설명
현장 Yes
도착 조치반 6.Open 된 외부 Door 고정

7.Car 內 승객 E/L Hall 로 유도

장애 호기 탑승객 8. 외부 Door 고정 해제 및 Door Close


지정 요청 구출
9.Otis 상황 인수 인계
OPB Error
10. 사고 보고서 작성 및 상황
Reset 복구 복구
종합보고
장애 호기 고장원인
도착 파악

장애호기 11.E/L 기계실 도착


지정 요청 복구반
12. 고장 E/L Error Code 확인
비상
Door Open 13. 고장 E/L 수리 후 운전 정상화

14. 원인 분석 및 재발방지 대책수립


탑승객
구출

15. 고장 E/L 운행 상태 최종 확인
고장 복구 상황실
16. 사후 대책 논의 및 A/S 부품 발생 시

신속 조치

상황종료 17. 최종 보고

5-18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승강기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조직도 – S&I Corp.


승강기 선임자

반진충

관리조
박익범

ㅁ ㅁ ㅁ

연 조 복
락 치 구
반 반 반

권 신 전 임 권 한 송
오 기 광 승 준 우 한
석 준 오 진 일 주 민

5-19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승강기

작성일 2022.03.29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조직도 – 지수 Inc
지수 Inc 총괄

김진섭

ㅁ ㅁ ㅁ

연 조 복
락 치 구
반 반 반

양 이 박 이 신 송 이 안 김 홍 팽 이 이 정
주 범 정 주 동 재 정 성 용 종 상 동 준 지
영 규 규 환 철 훈 무 익 재 명 원 환 환 휴

5-20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마 . 풍 · 수해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풍 · 수해 대응 process
Process 행동 요령

조치반
풍 , 수해 ( 전기 / 기계 )
발생
1. 수방 취역지역의 우수 월류 부분 확인
신고 : 맨홀 , 배수구 , 배관
( 고객 / 근무자 ) 2. 수방장비 현장배치 / 배수역류 방지 초치
:2 차 피해 최소
3. 현장 상황에 맞는 방수벽 구축 / 수방 장비 가동
BMS 접수 (5119) - Trench 불통 : 엔진 펌프 설치 → 옥외로 펌핑
- 도로변의 우수 월 류 예상
  : 모래주머니 3 단설치 및 비닐 차수 벽
축조 엔진펌프 추가 배치 옥외 배출
4.Sump Pump 가동상태 확인
주의보 발령 경보 발령
5. 침수지역의 파악 및 상황전이 방지책 강구
6. 수방활동의 진행경과 및 배수현황 보고
- 침수지역 확대 : 수방 장비 추가배치 內 인원 지원 요청
조치반 7. 침수 확산속도가 빠른 지역의 수방활동 / 보고
각반
순찰반

순 찰 반
( 보안 / 시설 )
1. 각층 분전반 및 Panel 점검
2. 외곽 전기 및 통신 맨 홀 이상유무 확인
3. 옥탑 층 피뢰침 상태 / 접지선 고정상태 확인
피해지역
지원 반 4. 정전 시 제반 사항 조치
현장 정리
5. 침수예상 지역 ( 전기 , 통신 등 ) 의 사전 점검
6. 상황보고

기상 예보 피해복구 지원반
( 보안 / 시설 )

1. 지하 Dry-Area 배수구 점검 , 청소
2. 옥상 및 지상 부착물 점검 및 고정
- 옥상 배수구 / 벽체
3. 외곽 함 몰 부위
4. 상황보고
상황 종료

5-21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마 . 풍 · 수해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기상특보 종류와 발표기준


종 류 주의보 발령 경보 발령

•육상에서 풍속 14m/s 이상 또는 순간 풍속 •육상에서 풍속 21m/s 이상 또는 순간


20m/s 이상이 예상될 때 . 다만 , 풍속 26m/s 이상이 예상될 때 . 다만 ,
강풍
산지는 풍속 17m/s 이상 또는 순간풍속 산지는 풍속 24m/s 이상 또는 순간풍속
25m/s 이상이 예상될 때 30m/s 이상이 예상될 때

•해상에서 풍속 14m/s 이상이 3 시간 •해상에서 풍속 21m/s 이상이 3 시간 이상


풍랑 이상 지속되거나 유의파고가 3m 를 지속되거나 유의파고가 5m 를 초과할
초과할 것으로 예상될 때 것으로 예상될 때

•3 시간 강우량이 60mm 이상 예상되거나 •3 시간 강우량이 90mm 이상 예상되거나


호우
•12 시간 강우량이 110mm 이상 예상될 때 •12 시간 강우량이 180mm 이상 예상될 때

•24 시간 신 적설이 20cm 이상 예상될 때 .


대설 •24 시간 신 적설이 5cm 이상 예상 될 때 다만 , 산지는 24 시간 신 적설이
30cm 이상 예상될 때

•실효습도 35% 이하가 2 일 이상 지속될 •실효습도 25% 이하가 2 일 이상 지속될


건조
것이 예상될 때 것이 예상될 때

•10 월 ~4 월에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10 월 ~4 월에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0℃ 이상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5℃ 이상
하강하여 3℃ 이하이고 평년값보다 3℃ 가 하강하여 3℃ 이하이고 평년값보다 3℃ 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때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한파
•아침 최저기온이 -12℃ 이하가 2 일 이상 •아침 최저기온이 -15℃ 이하가 2 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중대한 피해가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예상될 때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태풍으로 인하여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태풍으로 인하여 강풍 , 풍랑 , 호우 현상
•강풍 ( 또는 풍랑 ) 경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 때
태풍 등이 주의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총 강우량이 200mm 이상 예상될 때
예상될 때
•폭풍해일 경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 때

•황사로 인해 1 시간 평균미세먼지 (PM10)


•황사로 인해 1 시간 평균 미세먼지 (PM10) 농도
황사 농도 500 ㎍ / ㎥ 이상이 2 시간 이상 지속
800 ㎍ / ㎥이상이 2 시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될 것으로 예상될 때

•천문 조 , 태풍 , 폭풍 , 저기압 등의 •천문 조 , 태풍 , 폭풍 , 저기압 등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해수면이 상승하여 복합적인 영향으로 해수면이 상승하여
폭풍
발효 기준 값 이상이 예상될 때 . 다만 , 발효 기준 값 이상이 예상될 때 . 다만 ,
발효 기준 값은 지역별로 별도지정 발효 기준 값은 지역별로 별도지정
해일
•한반도 주변해역 등에서 규모 7.0 •한반도 주변해역 등에서 규모 7.5 이상의
지진 이상의 해저지진이 발생하여 해일의 해저지진이 발생하여 우리나라에 지진
발생이 우려될 때 해일 피해가 예상될 때

5-22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마 . 풍 · 수해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조직도 – S&I Corp.


선임자

반진충

관리조
박익범

ㅁ ㅁ ㅁ

연 조 복
락 치 구
반 반 반

권 신 전 임 권 한 송
오 기 광 승 준 우 한
석 준 오 진 일 주 민

5-23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마 . 풍 · 수해

작성일 2022.03.29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조직도 – 지수 Inc
지수 Inc 총괄

김진섭

ㅁ ㅁ ㅁ

연 조 복
락 치 구
반 반 반

양 이 박 이 신 송 이 안 김 홍 팽 이 이 정
주 범 정 주 동 재 정 성 용 종 상 동 준 지
영 규 규 환 철 훈 무 익 재 명 원 환 환 휴

5-24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바 . 가스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가스설비 대응 Process
Process 행동 요령

가스공급
중단 발생 1. 1.Main 장비의 운전정지 확인

1) 가스 누설 차단장치 Alarm 확인
신고
( 고객 / 근무자 ) 2)Gas 정압기 압력상태 확인요청

▶ 복구 조
BMS 접수 조
(5119) 3)Alarm 발생내용 상황실 확인요청
급 2.Gas 공급중단 문의

응 : 상암 서부 도시 가스 .1544-1584

3. 비상부하를 제외한 일반 부하 해당 장비 가동정지

응급 조 복구 조 4.Main 장비의 Gas Valve Closed


(Main 장비 점검 ) ( 정압실 상태 점검 )
5.Valve 전환 장비 가동준비

6. 복구 조와 상황공유 무전교신 및 운전 상황 기록

가스공급 재개 정압실 정상
시간 확인 조치 / 안전점검

1. 정압기 압력계 Zero 상태 확인


(Gas 누설탐지기 휴대 )
2. 정압기 Main 1 차 측 Valve Closed
부하조정 가스연료 3. 유 . 무형 피해사항 및 진행상황 기록
요청 전환가동 준비 4.Gas 공급 재개시간 확인 후 Gas 정압실 대기
5.Gas 공급 재개 시 , 1 차 측 차단 Valve
전단의 정상압력 확인

6.Gas 공급재개 사실 통보
밸브 전환 대체 Main 장비
장비 가동 정상 운전 구 ( 상황실 및 응급 조 )
7. 차단시킨 Main 1 차 측 Valve 개방
①BMS 가스 누설 경보기 Reset 복구

② 기계실 가스 누설 차단 장치 Reset 복구
8. 정압기의 누설 및 정압기 별 1,2 차 정상 압력
확인 점검
피해 상황 9.Main 장비의 정상가동
파악 정리 10. 일반 부하장비 가동 정상화
11.Main 장비 사용 시설 최종점검
12. 사고보고서 작성 ( 조기 종결상황 )

상황종료

5-25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바 . 가스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조직도 – S&I Corp.


선임자

반진충

관리조
박익범

ㅁ ㅁ ㅁ

연 조 복
락 치 구
반 반 반

권 신 전 임 권 한 송
오 기 광 승 준 우 한
석 준 오 진 일 주 민

5-26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바 . 가스설비

작성일 2022.03.29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조직도 – 지수 Inc
지수 Inc 총괄

김진섭

ㅁ ㅁ ㅁ

연 조 복
락 치 구
반 반 반

양 이 박 이 신 송 이 안 김 홍 팽 이 이 정
주 범 정 주 동 재 정 성 용 종 상 동 준 지
영 규 규 환 철 훈 무 익 재 명 원 환 환 휴

5-27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사 . 지진 · 붕괴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지진 · 붕괴 대응 process
Process 행동 요령

응급조 / 유도조
지진 발생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1. 현장확인 및 상황 BMS 로 보고
신고 2. 인화성 물질 사용 자재
( 고객 / 근무자 )
반 ( 성냥 , 라이터 , 가스레인지등 )
3. 주변의 부상자 우선 이송
치 4. 응급상황의 우선대처
기상청 BMS 접수 ( 응급상황을 구분하고 구체적 상황대응 제시 )
신고 (5119) 조
• 기상대 :841-0365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 지 진 :761-0365 1. 각 시설별 복구장비의 구비
• 응급치료 2. 수도 ( 배관 ),
후 후송 부상자 ㅁ . 전기 : 수변전 , 발전 , 예비전원 , 동력 , 조명 , 전열 , 주차
• 부상자 처리발생 ㅁ . 통신설비 ( 통신실 ) 등의 점검
현황 확인 3. 각 설비의 파손 , 손상부위 응급조치
4. 상황보고

유도조 / 보안조
조치 반 피난 반 고객 반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 비상 방송 1. 부상자 이송통로 확보 , 통로 / 출입구 부분에는
• 행동요령 전파
반 물건 미 방치
• 보안 방범 유지 2. 인명구조 장비의 분배
난 3. 부상자 현황 보고 및 이송

피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1. 입주 사 ( 공연장 ) 비상방송 송출
ㅁ . 현 상황 및 행동요령 전파
ㅁ . 보안 및 방범유지를 위한 출입자 통제 , 관리
ㅁ . 상황보고
피해 복구

재정
지원 반
의료조 / 관리조
복구예산지원
종합피해상황
정리 / 보고 반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피해 상황 1. 구급 의약품 확보 / 응급 치료소 설치
파악 정리 객 2. 부상자 응급치료 및 상태기록
3. 부상자 현황파악 및 병원 이송 확인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1. 각 사 피해상황 ( 부상자 , 시설 등 ) 의
유선확인 및 취합
상황종료 2. 기타 지원요청 사항 파악

5-28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사 . 지진 · 붕괴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조직도 – S&I Corp.


선임자

반진충

관리조
박익범

ㅁ ㅁ ㅁ

연 조 복
락 치 구
반 반 반

권 신 전 임 권 한 송
오 기 광 승 준 우 한
석 준 오 진 일 주 민

5-29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사 . 지진 · 붕괴

작성일 2022.03.29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조직도 – 지수 Inc
지수 Inc 총괄

김진섭

ㅁ ㅁ ㅁ

연 조 복
락 치 구
반 반 반

양 이 박 이 신 송 이 안 김 홍 팽 이 이 정
주 범 정 주 동 재 정 성 용 종 상 동 준 지
영 규 규 환 철 훈 무 익 재 명 원 환 환 휴

5-30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아 . 집회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집회 대응 Process
Process 행동 요령

센터장
• 고객 / 근무자
정보입수 • 경찰서 정보담당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 건물주 外 1. 상황판단 및 인력배치 지시
2. 비상 상황 수시 보고 및 조치

3. 관공서 협조 및 병력 요청
4. 건물주사 정보공유 및 공동 대응책 협의
5. 센터 장에게 상황개요 유선 통보

BMS 접수 황
(5119)
■ 상황감시 요령에 의한 행동 통보
상 1. 상황전개 내용기록 / 상황 보고서 작성
2.CCTV 집중감시 및 녹화 개시
• 집회 목적 3. 필요 시 전 층 안내방송
상황유형 • 집회 규모 / 일정 4.E/L 제한 운행 요청 시 신속 조치
파악 • 집회 방법 5. 해당 관계 팀과 상황연락 및 전파
• 관련단체 개입 등 6. 화재 / 부상 등 피해 발생시 연락 조치
상황개요 • 사업부장
보고 • 팀장 / 각 P/L
• DC 기술이행팀
운영센터 직원
상황대응 • 건물주 관계자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판단 • 경찰서 정보담당 1. 비상 상황 대기 및 대응 활동 지원
• 센터장 반 2. 출입문 통제 시점 판단 및 조치
① 기계 : 기계실 주 출입문 / 후 문
계 ② 전기 : BMS/ 주차장 출입문 승강기 / 주차기 통제
자체 대응 3. 출입자 신분 확인 통제 (ID Card)
- 운영센터직원 배치 경 : 집회 / 시위자 화장실 등 제한적인
- 경찰전문요원 No 출입허용 시 머리띠 , 조끼 등 해체
요청 / 배치 4. 화재 , 부상자 발생대비 소화기 , 비상
Yes 구급함 배치

상황전파 인력배치 상황대응


(D-1 Day) (D-1H) (D-Day)
• •
상황 개요 / 대응요령 •
해당 조치 반 배치 행동요령에 의한
전파 및 교육 • 상황실 운영 상황 근무
• 퇴근 후 발생 시 • 경계 반 가동 • 필요 / 진행사항 보안 반
비상연락망 가동 • 경찰전문요원 배치 수시 전파
및 탐색 활동
반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1. 비상 상황 대기 및 대응 활동
Yes
( 진입 ) 계 ① 보안요원 복수 근무 배치
② 외곽 주차통제 / 외부차량 주차 안내
저지 / 대응 No 2. 정문 출입문 통제

① 상황 악화 시 출입문 전면 통제
② 방문 출입자 출입구 유도
경찰병력 투입
3. 물리적 출동 예상 시 지원 요청
• 현장정리정돈 / 철수 4. 상황 발생 현장의 진행 사유 공유
상황종료 / 보고 • 정보 수집 반 가동
• 향후 일정 공지

5-31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아 . 집회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조직도 – S&I Corp.


선임자

반진충

관리조
박익범

ㅁ ㅁ ㅁ

연 조 복
락 치 구
반 반 반

권 신 전 임 권 한 송
오 기 광 승 준 우 한
석 준 오 진 일 주 민

5-32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아 . 집회

작성일 2022.03.29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조직도 – 지수 Inc
지수 Inc 총괄

김진섭

ㅁ ㅁ ㅁ

연 조 복
락 치 구
반 반 반

양 이 박 이 신 송 이 안 김 홍 팽 이 이 정
주 범 정 주 동 재 정 성 용 종 상 동 준 지
영 규 규 환 철 훈 무 익 재 명 원 환 환 휴

5-33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자 . 테러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테러 대응 Process
Process 행동 요령

• 고객 / 근무자 센터장
정보입수 • 경찰서 정보담당
• 건물주 外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1. 테러정보 분석 및 상황대응 지시

2. 해당 입주 사 및 관련 유관 처와 대응책 협의
제 3. 테러 대비 공권력 요청여부 판단
4. 필요 시 , 경찰 특공대에 위험물
통     ( 폭발물 ) 탐색요청
BMS 접수
(5119) /
BMS( 상황실 )
• 테러목적 휘
상황유형 • 테러대상 / 규모 ■ 테러정보에 의한 대응
파악 • 테러방법 ( 폭발물 , 독가스 , 인질 )
지 1. 테러 , 목적 , 대상 , 인원 등
• 관련단체 개입 등 테러 정보의 사전 공유 / 대응책 협의
(DC 기술이행팀 / 대관공서 )
• 사업부장 2. 테러대상 예상 층 및 Vip 경호 등
상황개요 • 팀장 / 운영센터장
보고 자체 대응책 협의 시행
• DC 기술이행팀 3. 입주 사 임직원에 대한 협조 안내방송

• 건물주 관계자
상황대응 • 경찰서 정보담당 보안반
판단 • 센터장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반 1. 테러 유형 / 사례 / 위험성 / 대응요령 숙지
- 계획에 의한 폭력적인 행위
자체 대응 계 : 살인 , 납치 , 방화 , 폭발물에 의한 폭파 ,
• 운영센터직원 배치 시설파괴 등
• 경찰전문요원 No
경 2. 평상시 대응활동 .
요청 / 배치 : 운영 Part( 보안 / 주차 / 청소요원 )
Yes 3. 근무지 별 Check-List 에 의한 점검
4. 출입자 감시 / 반 , 출입 물건 확인
5. 방치 물에 대한 관심 및 확인 보고
상황전파 인력배치 상황대응
(D-1 Day) (D-1H) (D-Day)
• •
상황개요 / 대응요령 •
해당 조치 반 배치 행동요령에 의한
운영센터 직원
전파 및 교육 • 상황실 운영 상황 근무
• •
퇴근 후 발생 시 경계 반 가동 • 필요 / 진행사항
비상연락망 가동 • 경찰전문요원 배치 수시 전파 ■ 조장의 지휘 , 통제에 의한 행동
및 탐색 활동 1. 대응인원 배치
반 ①1 층 로비
• 상황 종료 보고 ② 정문
( 구두 / 서면 ) 치 ③ 지하 주차장
상황종료
• 현장 정리 정돈 / 철수 ④ 기계 및 전기실
조 2. 출입구 통제 시점 판단 및 조치
3. 엘리베이터 운행 통제
4. 물품 반 , 출입 검색 강화 및 주요
상황 지속 시설물 순찰 강화
• 야간 대응 조 편성 / 운영 5. 상황 발생 시 행사인원 대피 유도
• 입주 사 임직원 대상 상황 안내 방송
• 해당 관공서와 긴밀한 협조체제 지속
• 상황 전개사항 실시간 보고

5-34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자 . 테러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조직도 – S&I Corp.


선임자

반진충

관리조
박익범

ㅁ ㅁ ㅁ

연 조 복
락 치 구
반 반 반

권 신 전 임 권 한 송
오 기 광 승 준 우 한
석 준 오 진 일 주 민

5-35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자 . 테러

작성일 2022.03.29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조직도 – 지수 Inc
지수 Inc 총괄

김진섭

ㅁ ㅁ ㅁ

연 조 복
락 치 구
반 반 반

양 이 박 이 신 송 이 안 김 홍 팽 이 이 정
주 범 정 주 동 재 정 성 용 종 상 동 준 지
영 규 규 환 철 훈 무 익 재 명 원 환 환 휴

5-36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차 . 작업자 안전사고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작업자 안전사고 발생 시 대응 Process


Process 행동 요령


사 고 ■ 제 3 자가 발견 신고해 온 경우
견 - 신고내용에 대한 확실한 이해가 중요
- 신고자 인적 사항 메모 ( 성명 , 소속 , 연락처 )
• 방문객 / 동행인 안전사고 발
- 사고발생시간 , 신고시간을 확인 숙지
제 3자 • 작업자 안전사고 자 - 신고내용 숙지 후 즉시 책임자에게 보고
• 추락사고
• : 발생장소 , 시간 , 상황 등
도난 피해 ( 물품 / 금전 등 ) 3
- 신고 인으로부터 사건 현장에 대한
BMS 접수 제 설명을 듣고 신속히 현장 검색 .
(5119)

■ 사고 현장을 원형 그대로 보존한다


근무자 : 사고자의 상태를 자세히 관찰한다
■ 책임자에게 즉시 사고상황을 보고한다 .
■ 흥분금지
119 시 : 절대 흥분하지 말고 불 필요 행동 자제 .
팀장 보고 구조대 요청 ■ 부상자를 함부로 이동시키는 경우 등
견 : 1 차 조치 후 객관적 정황을 증거 확보 .
■ 사고자가 의식이 있을 경우
발 ① 사고자의 신원을 파악
현장 ② 타 근무자에게 연락하여 후속 조치
책임자 자 ③ 사고 자에게 사고경위 등을 파악 .
④ 긴급상태에서는 거짓말이 나오기
힘들므로 최초상황을 진술 받아 메모 .

■ 사고가 진행중인 경우
- 상황이 종료되지 않은 사고의 발견 시

: 본인 , 회사 , 사고 당사자의 피해가
P/L 보고 현장조사 최소화 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한 후 후속 조치 한다 .
- 최대한 신속하게 적절한 조치를 취한
뒤 책임자에게 보고한다 .

관할 관청 원인
협의 분석

송 ■ 근무자 주의사항 Check 항목 .


후 ① 사고자의 상태를 구급 대에 신고
• 관련 부서 지원 요청 ② 구급대의 정확한 소속 및 책임자 , 인원 등을 기록
대책 수립
( 법제 , 지원 등 )
자 ③ 구급된 시간 Check
해 ④ 구급되는 상황에서 발생한 사항 기록
⑤ 최종장소를 알아내어 상태파악
피 ⑥ 사고자의 현재 상황을 기록하여 보고

상황 종료

5-37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차 . 작업자 안전사고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조직도 – S&I Corp.


선임자

반진충

관리조
박익범

ㅁ ㅁ ㅁ

연 조 복
락 치 구
반 반 반

권 신 전 임 권 한 송
오 기 광 승 준 우 한
석 준 오 진 일 주 민

5-38
Ⅴ. 위기관리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차 . 작업자 안전사고

작성일 2022.03.29
=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조직도 – 지수 Inc
지수 Inc 총괄

김진섭

ㅁ ㅁ ㅁ

연 조 복
락 치 구
반 반 반

양 이 박 이 신 송 이 안 김 홍 팽 이 이 정
주 범 정 주 동 재 정 성 용 종 상 동 준 지
영 규 규 환 철 훈 무 익 재 명 원 환 환 휴

5-39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E/L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L 고장시 조치 요령
■ E/L 고장시 조치요령
♠E/L 고장 ( 승객 탑승 시 ) :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운행 중 고장이 발생한 경우 근무자는
BMS 실 E/L 감시반의 인터폰으로 탑승인원을 확인 ,
승객에게 절대 안전함을 주지시켜 동요하지 않도록 안심시킨 후 , 보안요원과 현장으로
출동하여 승객구출 매뉴얼에 의한 안전조치를 실시하여 , 승객을 구출한다 .

OTIS
E/L 감시반 인터폰 통화 A/S 신고 승객구출
경보 발생

◐ CRT 감시반 ◐탑승객 심리안정 ◐ E/L 고장신고 ◐ 안전확보 후


을 위한 유도통화
승객구출
☞ 고장 호기 / 층 확인 ☞ OTIS (E/L)
☞ 탑승인원 파악 ☎ 1661-6112 ☞2 인 1 조 보안합동
승객구출 시행
☞ 현재 상태 확인
◐ 119 신고
☞ E/L Door Closer
☞ 현재 위치층 재확인
1. 임산부 , 노약자 탑승시
☞ 상황 보고
2. 사고 발생 후 30 분
- 센터장
이상 미 조치시

1. OTIS 에 A/S 의뢰하며 , E/L 고장 층을 확인 후 출동한다 .


2. 발을 어깨넓이로 벌린 후 , 무게중심을 뒤로하고 Hatch Door Key Hole 에
승객 key 를 꽂아 좌측에서 우측으로 밀어 넣은 후 한 손으로 외부 Door 를
구출법 천천히 개방한다 .
3. 개방한 Door 를 한 사람이 붙잡아 닫히지 않도록 한다 .
4. 내부 Door 의 Safety Shoe 의 양쪽을 잡고 , 힘을 주면서 천천히 Open 시킨다 .
5. 1 인은 밖에서 , 1 인은 Car 내부에 탑승하여 탑승객을 안전하게 구출한다 .

6-1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E/L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비상용 승강기 조작 FLOW


■ 비상용 승강기 조작 FLOW
① BMS 근무자는 E/L CRT 감시반 컴퓨터 를 제어하여 운행중인 일반 ( 승객용 ) 엘리베이터를
1 층 현관으로 강제적으로 도착 , 정지하도록 E/L CRT 감시반 컴퓨터 를 조작한다 .
② 정문 보안 근무자는 BMS 담당자의 지시에 의해 LOBBY 에서 탑승 인원을 통제한다 .
③ 소방관 ( 화재시 ) 등 긴급 조치자는 비상용 E/L CAR DOOR 를 OPEN 하여 운행할 수 있도록
협조하고 비상용 승강기 내부의 비상 KEY BOX 를 소방관 임의로 수동조작이 가능토록 하고
긴박한 상황에서는 카 내부 화재운전 모드 전환 KEY 홀 2 개소를 비상 KEY 로 좌측 (OFF) 에서
우측 (ON) 으로 전환한다 .
(BMS 실 CRT 감시반 컴퓨터로 제어가능 )

화재 발생

9,10 호기 화재운전모드 전환
소방관 탑승
( 비상용 승강기 )

전 호기 현관 PARKING

카내부 KEY BOX 수동조작 협조


YES
소방관요청
비상용 승강기

NO

소화 활동
정문 대기 ( 보안근무자 )

6-2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E/L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L 고장사고 [ 주간 , 야간 ] Process


■ E/L 고장사고 [ 주간 , 야간 ] PROCESS

사고발생 현장출동 상황처리 피해복구

■ 시설 당직자 ■ 시설 일근자 ■ 시설 일근자 ■ 시설 일근자


운영센터
- 상황접수 & 알람 경보 - 현장 출동 - 층간 정지 시 DOOR 를 - 승객 피해상황조사
- 인터폰 및 제어반 PC 로 (DOOR KEY, 비상공구 지참 ) 열고 승객구출 - E/L 점검 및 정상
고장위치 확인 - NON STOP 구간 정지시 복구
- 승객을 안심시킨다 승객을 안심 시킨 후 - 인터폰 점검
- 시설팀 일근자 및 보안 보수업체에 연락하여
근무자 통보 승객구출

■ 시설당직자 ■ 보안 근무자

- BMS 인터폰으로 탑승자 - 상황진행 현황을 탑승


와 통화 , 승객안심유도 자와 통화 , 승객안심
유도

전기 1(E/L 조작반 ) 전기 2( 현장 ) 기계 1( 현장 ) 기계 2( 상황실근무 )

- E/L 수동운전 구출 - 카 도어 개방 - 구출 시 필요장비 준비 - OITS 연락


- OTIS 출동 대기 및 지원 - 구출 가능 여부 판단 ( 사다리 , 랜턴 , 비상공구함 ) - 종합상황실 보고
당직자 - 승객 안정 유지 - 현장구출 지원 - CCTV 모니터 및 인터폰
임무 - OTIS 지원 - 구출 지연 시 구호물품 공급 통화
( 담요 , 음료수 , 간단한 음식 ) - 119 신고 및 CNS 유선
보고

6-3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E/L 설비

작성일 2022.04.29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권오석

유형 □. 대응 조직별 임무
■ 대응 조직별 임무

총괄 지휘자
반진충 센터장

- 상황지휘 총괄
- 상급부서 상황보고

연 락 반 보고라인 보고라인 조 치 반 복 구 반

당직실장 S&I Corp. LG CNS 전기 당직 1,2 OTIS

- 김진규 본부장 - 박준호 팀장


탑승자 안전 및 신속한 보수 , 원인분석 및 대책
6924-5013 2099-5245 현장 응급조치
연락 수립
- 김계전 총괄
- 이진성 담당 2099-5252
– OTIS 고장 신고 6924-1813 – 신속한 현장 도착 – 탑승객 구출
- 김용석 책임
– 2099-5246 – –
비상 방송 송출 / 인원 - 이동원 팀장 1 차 구조활동 실시 고장원인 파악
- 이승목 책임
대피 2099-5271 2099-5258 – 탑승객 심리 안정 조치 – 재발방지 대책수립
– - 서종환 책임
보안 119 출동 시 - 반진충 센터장 2099-5247 – –
현장 안내 ( 총괄관리 ) 상황 별 Reset 조치 부속 자재 수급
- 박재창 책임
2099-5010 2099-5266
◆119 신고 – Main 전원 Check – 신속한 보수
- 조성호 책임
1. 임산부 , 노약자
2099-5264 –
탑승 시 안전 표지판 설치
- 김은영 책임
2099-5255
2. 사고 발생 후 30 분
이내 미 조치 시

※ 사고 보고 ※ 운영센터장 현장 출동
1. 센터장 보고 : 사고 발생 시 1. 임산부 및 노약자 탑승 시
2. 종합상황실보고 (SMS) : 자체 미 조치 2. 물적 및 인사 사고 발생 시
및 10 분 경 과시 3. 사고 발생 후 30 분 이내 미 조치 시
- 사고보고 많을 시 상황 별 우선순위 문자 전송
- 사고보고 없을 시 바로 문자전송 ※ 사고 시 준비물 : 담요 , 음료수 및 간단한
3. DC 기술이행팀 유선 경과보고 : 센터장 현장 출동 시 음식

※ 119 신고 시 임산부 및 노약자 , 부상자 탑승 여부 통보 시 구조대와 구급대 합동 출동


( 탑승자 혈압 체크 및 간단한 진료와 필요 시 병원 후송 )

6-4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E/L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L 정지위치에 따른 구조 방법
■ E/L 정지위치에 따른 구조 방법

210 ㎝
120 ㎝ 미만
( 오티스구출 ) 120 ㎝
미만
( 사다리 구출 )

60 ㎝ 미만 오티스 구출
(BMS 구출 )

E/L 홀 E/L 카 내부

1. E/L 구조 요청을 받으면 즉시 보수회사로 연락하고 현장으로 가서 갇힌 승객이


안심하고 기다리도록 구출 활동 중임을 알린다 .

2. 카의 정지위치에 따라서는 구출 작업 시 승객은 물론 구조대원도 승강로에


추락 할 위험이 있으므로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다 .

3. 카의 문턱이 E/L 홀의 문턱보다 60 ㎝이상 120 ㎝미만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도어를 열고 E/L 홀에서 접사다리로 구출한다 .

6-5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E/L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승강기 승객구출 시나리오 ( 평시 )


■ 승강기 승객구출 시나리오 ( 평상시 )

1 2 3 4 5

승강기 고장 상황 발생 승강기 호기 / 층별 확인 BMS 실 인터폰으로 승강기 Door Key 지참 조치반 현장확인


( 승객 탑승 확인 후 ) OTIS(1661-6113) 탑승객에게 고장 조치 상황 ( 랜턴 , 무전기 지참 ) ( 호기 / 층별 확인 )
고장 신고 보고 및 안심 유도

7 9
6 8 10

Door 상부 홈에 Door Key 양손으로 Door 승강기 Door 발로 고정후 - 승객 안전 확인 후 구출 승강기 정지 / 파킹 후


삽입 상태에서 좌측에서 Open 고정쇠를 이용하여 고정 - 승강장 바닥 1M 미만 시 A/S 조치 ( 사용정지 )
우측으로 밀어주며 사다리 이용하여 구출
Door Open - 1M 초과시 수동 운전 구출

6-6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E/L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승강기 승객구출 시나리오 ( 층고 간 정지 시 )


■ 승강기 승객구출 시나리오 ( 층고 간 정지 시 )

1 2 3 4 5

승강기 고장 상황 발생 승강기 호기 / 층별 확인 BMS 실 인터폰으로 승강기 Door Key 지참 조치반 현장확인


( 승객 탑승 확인후 ) OTIS(1661-6112) 탑승객에게 고장조치 ( 랜턴 , 무전기 지참 ) ( 호기 / 층별 확인 )
고장 신고 상황 및 안심유도

8 9 10
6 7

Door 상부 홈에 Door Key 카 위치 확인 승강기 Door 닫는다 수동조작함 중앙에 있는 ERO 스위치를
삽입 상태에서 좌측에서 / 고장 E/L 최상층의 ERO 스위치 NORMAL ERO(ON) 위치로
우측으로 밀어주며 Door Open 수동조작함을 상태 전환한다 .
개방한다

13 14 15
11 12

UP / DOWN 버튼을 잠금키 해제 후 ( 고정상태 ) 승강기 Door 발로 고정후 승객안전 확인후 구출 승강기 정지 / 파킹 후
이용하여 가까운 층으로 양손으로 Door Open 고정쇠를 이용하여 고정 승강장 바닥 1M 미만시 A/S 조치 ( 사용정지 )
운전한다 사다리 이용하여 구출 `

6-7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E/L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승강기 승객구출 시나리오 ( 정전 시 )


■ 승강기 승객구출 시나리오 ( 정전 시 )

1 3 4 5
2

정전상황 발생 BMS 실 인터폰으로 정전으로 인한 발전기 BMS 실 E/L CRT 감시반으로 E/L CRT 감시반 제어
탑승객에게 고장조치 상황 자동운전 층별 / 호기 전원 확인 컴퓨터로 승강기 구출
보고 및 안심유도 ( 전원 재 투입 ) 운전모드 전환

7 8 9
6

만약
승강기 도어가
열리지 않을 시

구출운전모드로 인하여 승강기 Door Key 지참 Door 상부 홈에 Door Key 승객 안전 확인 후 구출


LOBBY 층으로 자동 강제 ( 랜턴 , 무전기 지참 ) 삽입 상태에서 좌측에서 논스톱 구간 시 사다리
운행 및 도어 열림 우측으로 밀어주며 이용하여 구출
( 승객 탈출 ) Door Open

6-8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E/L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승강기 승객구출 시나리오 ( 화재 시 )


■ 승강기 승객구출 시나리오 ( 화재 시 )

1 2 3 4

1 층 보안실에서 BMS 실 인터폰으로 승객용 E/L 화재모드 전환 데스크 무전 /


대피 방송 송출 탑승객에게 고장조치 상황 및 ( 지상 1 층으로 자동 운행 후 승객 대피유도
( 비상계단 유도 ) 안심유도 Parking)

5 6 7 8

만약
승강기 도어가
안 열렸을 시

승강기 호기 / 층별 확인 조치반 투입 (2 명 )/ 승강기 Door Key 지참 조치반 현장확인


( 방독면 , 랜턴 , 무전기 데스크 연락 ( 랜턴 , 무전기 지참 ) ( 호기 / 층별 확인 )
지참 )

11 12 13
9 10

승객 안전 확인 후 구출 승강기 정지 /
Door 상부 홈에 Door Key 양손으로 Door Open 파킹 후 A/S 조치
삽입 상태에서 좌측에서 ( 논스톱구간 ) 시 사다리
이용하여 구출 ( 사용정지 )
우측으로 밀어주며 Door
Open

6-9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E/L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승강기 ( 화물 ) 승객구출 시나리오 ( 층고 간 정지 시 )


■ 승강기 논스톱 구간 레벨조정 -Ⅰ ( 화물 E/L 기계실 수동운전 )

1 CP 판넬 2 평상시 ( 고속 ) 3 상향
1

고속 / 저속
전환 레버
구출시 ( 저속 ) 하향

현장 수동조작 불가시 CP 판넬 내부 수동운전으로 상 , 하향 레버를 조작하여


12 층 서측 E/L 기계실 레버 조작 논스톱구간 레벨조정
CP 판넬 OPEN ( 상시 AUTO → 수동 INS)

■ 승강기 논스톱 구간 레벨조정 - Ⅱ ( 수동운전 불가시 )

1 CP 판넬 2 3

메인전원
레버
브레이크

전원차단
( OFF )

권상기

기계실 CP 판넬에서 E/L 메인 전원 차단 후 레버를 반복적으로 당기며


수동조작 불가시 , 기계실 내부 권상기로 이동 논스톱구간 레벨조정
CP 판넬 메인 전원 차단
OFF

6-10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E/L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승강기 내 인원고립 시 구출 Process


■ 승강기 내 인원고립 시 구출 Process
D : 인터폰 알람 발생시 즉시 CCTV 를 확인하면서
탑승객과 통화
D+3 분 이내 : 고장 E/L 호기 및 정지층을 확인하고
당직자 ( 전기 1,2, 기계 1- 무전기 , 후레쉬
,E/L KEY 등을 휴대 ) 하고 현장에 출동
당직자 ( 기계 2) 는 OTIS 고장신고 및
종합상황실 , 센터장에게 보고

◆ 자체 구조 가능 시
D+5 분 : ( 전기 1) E/L 조작반으로 출동하여 수동운전을 준비 ,
( 전기 2) 고장층에서 수동으로 CAR DOOR 를 개방하여 구출운전 가능 여부를 전기 1 에게
통보
( 기계 1) 사다리 및 공구를 준비하여 전기 2 의 업무를 보조하며 , 탑승객에게 현재 구조상황
을 전달
D+10 분 : ( 전기 1) E/L 조작반 수동운전 구출
( 전기 2) 탑승객 건강 및 심리상태 CHECK
( 기계 2) 탑승객 구출 종합상황실 및 센터장 보고
D+10 분 : ( 전기 1) E/L 조작반 운행 정지
( 전기 2) E/L 앞 고장 표지판 설치 및 통제

※ 사고 보고 ※ 운영센터장 현장 출동 ( 부재 시 STAFF) :
1. 센터장보고 : 사고 발생 시 1. 임산부 및 노약자 탑승 시
2. 종합상황실보고 : 자체 미 조치 및 10 분 경과 시 2. 물적 및 인사 사고 발생 시
- 사고보고 많을 시 상황 별 우선순위 문자 전송 3. 사고 발생 후 30 분 이내 미 조치 시
- 사고보고 없을 시 바로 문자전송
3. DC 기술이행팀 유선 경과보고 : 운영센터장 ※ 119 신고
현장 출동 시 1. 임산부 , 노약자 탑승 시
( 탑승객의 현재 상태를 신고 시 설명 )
※ 사고 시 준비물 : 담요 , 음료수 및 간단한 음식 2. 사고 발생 후 30 분 이상 미 조치 시

6-11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E/L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승강기내 인원고립 시 구출 Process( 자체 구조 불가 시 )


■ 승강기 내 인원고립 시 구출 Process( 자체 구조 불가 시 )

D+5 분 : ( 전기 1) E/L 조작반으로 출동하여 수동운전을 준비 ,


( 전기 2) 고장층에서 수동으로 CAR DOOR 를 개방하여 상태확인 후 자체구조 불가
를 전기 1 에게 통보
( 기계 1) 사다리 및 공구를 준비하여 전기 2 의 업무를 보조하며 , 탑승객에게 현재 구
조상황을 전달
( 기계 2) 인터폰으로 구조작업 진행 중임을 통보 및 CCTV 모니터로 이상상황 발생
시 현장에 무전
D+10 분 : ( 전기 1) BMS 실 E/L CRT 감시반 ( 조작반 ) 대기 및 센터장에게 현장 상황 상세 통보
( 전기 2) 탑승객에게 현재 상황 설명 . 탑승객의 건강 및 심리상태 CHECK, 필요사항
문의
( 기계 1) 담요 및 음료수 , 간단한 간식거리 제공 준비
( 기계 2) CCTV 모니터링 이상상황 발생시 현장에 통보
D+10 분 : ( 전기 1) BMS 실 E/L CRT 감시반 ( 조작반 ) 대기 및 센터장에게 현장 상황 상세 통보
( 전기 2) E/L 앞 대기 . 탑승객 심리 안정을 위해 지속적인 대화 및 현재 상황을 상세히 설명
- 지금 OTIS 에 구조 요청하여 약 00 분 후 도착예정이며 , 운영센터에서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고 ( 누가 , 어디서 , 언제 , 무엇을 , 어떻게 ) 예상구조 시간은 00 분 입니다
- 현재 상황의 위험 정도 (OTIS 문의 후 ) 및 차후에 어떤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통보하여 탑승객이 이에 대한 마음의 준비 및 안심할 수 있도록 한다 .
D+15 분 : ( 전기 1) OTIS 구출지원 및 구출 가능여부 확인 . (30 분 이내 구출 못할 시 센터장현장 출동 )
( 전기 2) OTIS 구출지원 및 탑승객 안정 유지 , 지속적인 대화 및 현재 상황 설명
( 기계 2) OTIS 구출 불가시 119 신고 ( 탑승객의 상태 설명 )
( 보안 ) OTIS 현장 안내

6-12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E/L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승강기내 인원고립 시 구출 Process(OTIS 구조 불가 시 )


■ 승강기 내 인원고립 시 구출 Process

◆ OTIS 구조 불가 또는 시간지체 (30 분 이상 ) 시


D+30 : ( 전기 1) E/L 조작반 대기 및 센터장에게 현장 상황 상세 통보 . 센터장 출근 및 119 신고
( 전기 2) 탑승객에게 현재 상황 설명 . 탑승객의 건강 및 심리상태 CHECK, 필요사항 문의
- 지금 119 요청하여 약 0 분 후 도착예정 입니다
- 차후에 어떤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통보하여 탑승객이 이에 대한 마음의 준비
및 안심할 수 있도록 한다 .
( 기계 1) 담요 및 음료수 , 간단한 간식거리 제공
( 기계 2) CCTV 모니터링 이상상황 발생시 현장에 통보

D+35 : ( 전기 1) E/L 조작반 대기 및 119 구조 지원


( 전기 2) E/L 앞 대기 및 119 구조 지원 .
( 기계 2) CCTV 모니터링 이상상황 발생시 현장에 통보
( 보안 ) 119 현장 안내
( 구출시 ) : ( 전기 1) E/L 조작반 운행 정지 및 OTIS 점검 지원
( 전기 2) E/L 앞 고장 표지판 설치 및 통제

※ 사고 보고 ※ 센터장 현장 출동 ( 부재 시 STAFF) :
1. 센터장보고 : 사고 발생 시 1. 임산부 및 노약자 탑승 시
2. 종합상황실보고 : 자체 미조치 및 10 분 경과 시 2. 물적 및 인사 사고 발생 시
3. DC 기술이행팀 유선 보고 : 센터장 현장 출동 시 3. 사고 발생 후 30 분 이내 미 조치 시

※ 사고 시 준비물 : 담요 , 음료수 및 간단한 음식

※ 119 신고 시 임산부 및 노약자 , 부상자 탑승여부 통보 시 구조대와 구급대


( 탑승자 혈압체크 및 간단한 진료와 필요 시 병원 후송 ) 합동 출동

6-13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E/L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승강기 내 인원 고립 시 심리 안정 방법 -1
■ 승강기 탑승객 장시간 고립 시 심리안정 방법

1 . 최대한 공손하게 공감하는 태도로 응대한다 .


- 고객이 처한 상황에서 느낄 수 있는 스트레스 ( 짜증 , 분노 , 두려움 등의 감정 ) 를 끝까지 듣고 공감
하고 수용한다 .
: 예 )“ 네 . 그러니 얼마나 불편하시겠습니까 ?”, “ 그렇게 느끼시는 것도 당연합니다 .” 등

- 고객이 현 상황을 받아드릴 수 있도록 충분히 양해를 구한다 .


: 예 )“ 조속히 처리되도록 저희가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 힘드시겠지만 , 조금만 더 기
다려주십시오 .”

* 고객이 불평이 길 경우에라도 고객의 말을 중간에 자르고 또는 성급히 현재 진행상황을 설명하는


것은 고객 입장에서 변명처럼 들려 사후 불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 고객이 충분히 불만족을
토로할 수 있도록 기다리며 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

2. 구체적인 진행상황에 대하여 설명한다 .


예 ) 지금 OTIS 엘리베이터에 구조 요청하여 약 00 분 후 도착예정이며 , 119 신고하여 구조대 출동 중
이며 , 운영센터에서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고 ( 누가 , 어디서 , 언제 , 무엇을 , 어떻게 ) 예상구조 시간은 00
분 입니다 .

3. 또한 , 엘리베이터의 현재 상태를 설명한다 .


예 ) 현재 상황의 위험 정도 (OTIS 문의 후 ) 및 차후에 어떤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알려주어 탑승객이 이에 대한 마음의 준비 및 안심할 수 있도록 한다 .

※ 위 과정을 통해 고객이 혼자 있는 것이 아님을 인식시키고 두려움을 경감시켜 심리적 안정을 유도


한다 .

4. 시간이 30 분 이상 경과되었거나 처리가 더 지연될 것으로 예상될 시 고객의 신체적 증상을 체크한다 .
-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에 처할 경우 , 호흡 및 심장박동의 증가 , 혈압 증가 , 땀샘 분비 증가 등의 신
체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 이 경우 , 고객의 증상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지 않도록 도움이 되는 활동을 알려주어 사전에 대비
하도록 한다 .

6-14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E/L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승강기 내 인원 고립 시 심리 안정 방법 -2
■ 승강기 탑승객 장시간 고립 시 심리안정 방법

♠ 심리 안정에 도움이 되는 방법 알려주기 !

많이 긴장이 되시나요 ? 지금 상황은 일종의 스트레스 상황으로 몸에 긴장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그런 부분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을 지금부터 좀 알려드릴까 하는데 한번 해보시겠습니까 ?

1) 복식호흡
- 편안한 자세로 눈을 지긋이 감고
- 숨을 들이 마실 때 어깨가 올라가거나 가슴이 넓어지지 않게 하고 아랫배로 빨아들이듯이 깊게
들이 쉰다
- 코로 숨을 들이쉬고 입으로 내쉬면 된다 . 들이 쉬고 내쉬는 비율은 1(10 초 ) : 2(20 초 ) 로 한다 .

2) 점진적 근육이완 요법
- 이 방법은 각 근육군을 10 초간 긴장시키고 20 초간 이완시키면서 숨을 내쉴 때 “편안하다 .” 라
고 되뇌이면 됩니다 .
- 근육을 이완했을 때 감각에 집중하면서 긴장시켰을 때와 이완시켰을 때의 차이를 느껴 보세요 .
- 16 개 근육을 긴장시키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
① 오른쪽 , 왼쪽 팔꿈치 아래 : 주먹을 꽉 쥐고 손목을 굽혀 당긴다 .
② 오른쪽 , 왼쪽 팔꿈치 위 : 팔꿈치를 굽혀 팔을 접어 올리고 단단히 긴장시킨다 .
③ 오른쪽 , 왼쪽 무릎 아래 : 발목을 젖혀 몸 쪽으로 최대한 당긴다 .
④ 오른쪽 , 왼쪽 무릎 위 : 양 무릎을 붙이고 다리를 바닥에서 들어올린다 .
⑤ 배 : 배를 등쪽으로 강하게 집어넣는다 .
⑥ 가슴 : 깊게 숨을 들이쉰 다음 멈춘다 .
⑦ 어깨 : 양쪽 어깨가 줄에 매달려서 귀 쪽으로 당겨지는 것처럼 긴장시킨다 .
⑧ 목 ; 목을 뒤로 힘껏 젖히거나 반대로 턱을 가슴 쪽으로 잡아 당긴다 .
⑨ 입 , 턱 , 목구멍 : 입을 꽉 다물고 입 꼬리를 세게 잡아 당겨 억지로 미소를 짓는다 .
⑩ 눈 : 잠시 눈을 꼭 감고 눈 주위 근육들을 긴장시킨다 .
⑪ 아래 이마 : 눈을 찌푸리고 눈썹을 아래로 당긴다 .
⑫ 위 이마 : 눈썹을 최대한 위로 치켜 올린다 .
- 위의 모든 근육을 이완시키고 나서 하나에서 다섯까지 세면서 더 깊은 이완 상태를 유지합니다 .
- 2 분간 천천히 호흡하면서 숨을 내쉴 때마다 “편안하다 .” 라고 반복해서 되뇌입니다 .
- 그리고 나서 다섯에서 하나까지 거꾸로 숫자를 세면서 다시 각성상태로 돌아옵니다 .

6-15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가 . E/L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승강기 내 인원 고립 시 심리 안정 방법 -3
■ 승강기 탑승객 장시간 고립 시 심리안정 방법

3) 만트라 명상
- 한 음절이나 한 단어 혹은 문구 , 즉 ‘하나’ , ‘ 편안하다’ , ‘ 평화’ , ‘ 옴’과 같은 말을 반복하는 명상입니다 .
- 반복할 음절이나 단어를 선택하세요 . 이것이 당신의 만트라입니다 .
- 명상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편안한 자세를 취하십시오 . 바닥에 앉아서 가부좌를 틀어보세요 .
- 몸의 모든 부위에서 긴장을 풀고 규칙적으로 호흡에 집중하세요 .
- 본인의 만트라를 계속 반복하면서 만트라가 규칙적인 리듬을 갖도록 연습하세요 .
- 모든 걱정을 내려놓고 어떤 생각도 붙잡아 두지 말고 만트라에 집중합니다 .
- 만트라가 반복되는 것을 부드럽게 느끼면서 계속합니다 .
- 원할 때까지 이 상태에 머무르면서 완전히 고요해지고 이완될 때까지 반복합니다 .
- 명상을 마칠 준비가 되면 , 숨을 한번 들이마시고 내쉬면서 눈을 뜹니다 .
- 그리고 “나는 이제 편안하고 상쾌하다 .” 라고 되뇝니다 .

5. 사후 처리
- 향후 고객이 1 개월 이상 지속되는 수면장애 , 긴장 , 신경과민 , 악몽 등의 심리적 증상을 호소하거나 관련하여
보상을 요구하는 경우 , CRM 팀과 협의 후 처리하십시오 .
※ 심리적 증상과 관련된 보상은 민감한 사안이므로 직접적으로 보상을 언급하는 것은 삼가며
도움 받을 수 있는 절차를 알아봐 줄 수 있다고 한 후 , CRM 팀 담당자에게 연락바랍니다 .

- 탑승 고객과 MC 매니저 면담 진행 후 고객 증상 정도에 따라 대처 예정임 .


- 고객에게 장기적인 치료 필요하다고 보여지거나 고객이 증상 완화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경우 ,
아래 기관 안내함 .

강남 : 메타인지행동치료연구소 ,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93-2(02-549-8871)


사당 연세필 , 서울시 관악구 남현동 1057-22 태림빌딩 2 층 (02-585-9110)
강북 : 광화문 연세필 , 서울시 종로구 종로 1 가 24 르메이에르빌딩 413 호 (02-723-9114)
목동연세필 , 서울시 양천구 신정 5 동 888-47, 담우빌딩 7 층 (02-2669-8114)
이대 연세필 , 서울시 마포구 대흥동 12-23 중우빌딩 201 호 (02-715-1114)
* 그 외 지역의 경우 , 가까운 심리치료 및 상담센터 이용을 권유 / 안내한다 .

6-16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17.07.25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전기 비상대응
순간정전 Process
발생 시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ㅁ . 확인 ㅁ .UPS 1 차 전원 투입 및 각 장비 가동 상태
1. 램프 깜박 거림 - 전기 :UPS Tele monitor
- 기계 :CRT,

정전
2. 수전 실로 이동 ㅁ . 랜턴 / 무전기 휴대 ㅁ . 전기 : 전원 공급 상태
기계 : 저층부 , 고층부 냉수펌프 (P-5) 가동 상태
UPS
ㅁ . 차단기 Trip 에 의한 ∧ ㅁ .SHV/B-5 “UVR” 동작 여부 → B/Z 정지
3.B/Z 확인 Alarm 여부 백

ㅁ .P→Q 로 절 체 된 경우

: 복 전 (Q→P) 으로 절 체 ( 순간정전 ) 될 것을 대비
4.ALTS 절체 확인 ㅁ .P,Q 절 체 여부 ∨

ㅁ . 기동 시에는 수동위치에서 대기 후 복 전이
완료 되면 정지 시킨다
5. 발전기점검 ㅁ . 기동 상태 , 안전 장치
ㅁ .Trip 시 ① UVR 동작 → Reset 후 수동 투입
(G-1~7 호기 )
ㅁ . 정상 투입 확인 ②OCR 동작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6.GM VCB 점검
ㅁ .Trip 시 ① UVR 동작 → Reset 후 수동 투입
(G-M.G-UM,G-PM,G- 한난 )
7.G-1,2,3,4,5,6,7 확인 ②OCR 동작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ㅁ . 정상 투입 확인
ㅁ . 이상 발생시 복구조치하고 상황에 따라 A/S 신청

ㅁ . 냉수펌프 ,E/L
8. 각 장비 확인
분전반 , 소방설비 ㅁ . 이상 시 UPS 2 차 ACB 정상 투입 확인 (A/S:MA Tech)
항온항습기 등 : B/T 방전 시 약 3 분 정도 1 대당 50KW 더 걸림
     ( 순간 정전 시에는 약 1 분 이내 충전 됨 )
9.UPS 확인 ㅁ . 전압 , 전류 ,LOAD 확인
정상 운전 확인 4,5 층 그룹 6,7 층그룹 8,9 층 그룹
항 목
LV/3~4ACB LV/5~6ACB LV/7~8ACB
상시 부하 2000A 2000A 2000A
충전 과정 3000A 3000A 3000A
10. 정전원인 확인 ㅁ . 한전 문의
ㅁ . 한전 서부지점 유선 확인
: 배전 운영과 02-710-2261

11. 보 고 ㅁ . 사고 보고서 작성 ㅁ . 센터장 , DC 기술이행팀보고 후 사고보고서 보관

12. 상황종료 ㅁ . 상황 전파 ㅁ . 상황 전파 및 ISSUE 상황 공유

6-17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한전 정전 ( 발전기로 전원공급 시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ㅁ . 확인 정전 □. 모니터링 팝업해제 및 전압인가여부 확인


1. 램프소등
- 전기 :ALTS 전압확인
- 기계 : 냉수공급 여부 □. 전기 → 정전 여부 판단 / 발전기 자동기동 여부
UP 기계 → 냉수펌프 가동여부
S
2. 수전실로 이동 ㅁ . 랜턴 / 무전기 휴대 ∧ ㅁ .SHV/ A-5  “ UVR” 동작 확인 → B/Z 정지

업 ㅁ .P,Q 선로 LED 소등으로 한전 측 전기 사고 감지
中 → 발전기 전원으로 절체
3.B/Z Alarm 확인 ㅁ . 차단기 Trip 에 의한
Alarm 여부 ∨
ㅁ .LBS 수동조작방법
ㅁ .P,Q 전원 - 1,2 LED - 수동조작 투입 시 시계방향으로 약 30 회 정도 회전
4.ALTS-A 전원공급
不 확인 및 활선상태 점등여부 - 수동 트립 시 약 12 회 정도 회전

5.SHV/A-1 LBS LAMP ㅁ .LAMP ON/OFF 확인

ㅁ .GIPAM OFF 녹색램프 점등 및 UVR 동작 화면 표시

6.SHV/A-2 ㅁ .GIPAM 녹색램프 점등


자동 VBC OFF

ㅁ . 계량기內 R.S.T 활 선
7.SHV-A-3 MOF ㅁ . 고장 ( 결 상 ) 시 정면에서 “우측”에 점등 → 1 개소
상태 ( 소등 6 개 )

8.SHV-A-4 PT ㅁ .FUSE

9.SHV/A-5 ㅁ .Fuse 정상 확인
ㅁ .UVR/OCR/OVGR/OVR/DFR
자동 VCB OFF
ㅁ .“UVR” 동작 확인 → B/Z 정지 → VCB 자동 OFF

10.SHV/6,8,10 → 한전 전원 회복 시 “ UVR” 접점에 의해 발전기 정지


ㅁ .UVR/OCR/OVGR/OVR/DFR
자동 VCB OFF 되므로 “ UVR” 은 복구 시키지 않는다 .( 복전 시 )

ㅁ .1 차 전원 정전 확인 → VCB 자동 OFF
11.HV/U1~U8 ㅁ .UVR/OCR/DGR DFR(87T) 동작 ( 단락 ) 에는 VCB 를 “절대”
자동 OFF
투입하지 말고 해당 Group 은 발전기로 전원
공급 한다 .
12.HV/P1~P6 → 변압기 재 점검 실시 ( 투입 시 2 차 사고 확대 우려 )
ㅁ .UVR/OCR/DGR
자동 OFF

6-18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한전 정전 ( 발전기로 전원공급 시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ㅁ . 발전기 자동기동 실패시 수동기동


ㅁ .SHV-A-5 UVR 인지 발전기
13.G-1.2.3.4.5.6.7 발전기 자동기동 확인 전원
VCB 자동 투입 공급 ■ 발전기 수동운전 방법
ㅁ . 발전기 전원 확인
(6.6KV)

ㅁ . 발전기 DMC 반 조치 ( 이상 시 )
VCB 자동투입 확인

ㅁ . 발전기반 VCB 수동 투입
투입 순서 ② 발전기 수동
( 기동 ) 스위치 ① 셀렉터 S/W Manual 절환
G-M VCB

G-UM

G-PM ③ 차단기 투입
▼ 스위치 ON
G- 한난

ㅁ .GIPAM 이용 VCB 투입 실패 시 단계별 수동투입 방법


① ②

ㅁ . 수변전실 발전전원 투입
14.HV/G-UM,PM
HV/U1~U8 - HV-G-PM : 동력
- HV-G-UM : UPS
HV/P1~P6
VBC 투입
GIMAC 투입 ( 실패시 ) ON 버튼 눌러 투입
ㅁ . 고압판넬 전원 투입
③ ■ 수동차지 핸들을 삽입하여
투입 순서 ■ GIMAC ON 투입 시계방향으로 40 회이상 회전
Charge 완료됨과 동시에
HV/P6
( 전등 , 시야확보 ) 딸깍 소리 발생 -ON 버튼투입
▼ 1. 조작전원 OFF
HV/P1~P5 2. 휴즈이상시 교체
▼ ON 버튼 재 투입
HV/U1~ U8

인출 방법 (S/P 교체 ) 인입 방법 (S/P 교
■ 인입출 레버를 인입출 조작핀에체끼우고
) 차단기
전면 인터록 레버를 위로 올린 상테에서 인입출
레버를 당김 -> 인입 방법은 인출 역순임 .

6-19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한전 정전 ( 발전기로 전원공급 시 )-3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ㅁ . 전압 , 전류일지 발전기 ㅁ . 이상 발생시 복구 조치 및 A/S 신청


15. 수전실 ,UPS 실 확인
비교정상 운전 확인 전원 : B/T 방전 시 약 3 분 정도 1 대당 50KW 더 걸림
공급 ( 정전 시간이 길면 충전시간이 길어 짐 )

16. 전층 확인 ㅁ . 전층 전기 / 기계설비 ㅁ . 이상 발생시 복구 조치 및 A/S 신청


확인 / 점검
ㅁ . 센터장 / 운영센터직원 / 협력업체 /DC 기술이행팀

17. 비상연락망가동 ㅁ . 한전 서부지점 유선 확인 -> 배전 운영과

ㅁ . 한전 측 정전 원인 및 이상유무 등
18. 정전원인 확인

◐. ALTS – A → 첨부 - 2 참조
19. 1 차 보 고


② ④
한전 ⑤
복전 전원 ⑥ ⑦
공급

상암 수색
ㅁ . P,Q 전원 활선 여부 LG D/L 수월 D/L
1.ALTS 확인 정상일 경우 ⑧

전원 -1,2 “P,Q” LED 점등
(R,S,T)
① 조작전원 AC 220V 점등 되어 있는지
ㅁ .” P,Q ” 선로 LED ② 주전원 선택이 → 전원 1 에 점등되었는지
( 활선 상태 주 전원 )
점등으로 한전 전압 ③ 제어설정 → LOCAL 로 점등 되어 있는지
“ 회복” 감지 및 ④ 선택 → 자동으로 점등되어 있는지
ALTS → 정상 확인
⑤ 상암 개폐상태 → 점등 되어 있는지

2. LBS VD LAMP ㅁ .LAMP ON/OFF 점등 확인 ⑥ 상암 활선 상태 → 점등 되어 있는지


⑦ 수색 활선 상태 → 점등되어 있는지
⑦ 제어기능 → ON 되어 있는지

3. SHV-A-2 ※ 제어기능 OFF 상태면 ALTS 작동 안됨


ㅁ .OCR/OVGR/OVR
수동 VCB ON

6-20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한전 정전 ( 발전기로 전원공급 시 )-4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ㅁ . 차단기 Trip → Reset 후 투입 (GIPAM)


ㅁ . 계량기內 R.S.T 활선 → F5 ( 트립해제 ) → CLOSE 누름 → Password →
4. SHV/A-3 확인 (MOF)
상태 ( 점등 6 개 ) 우측방향기 3 회 이동 후 → ENTER → CLOSE
2회
→ CLOSE 상부 적색 LAMP 점등 ( 투입완료 )
5. SHV/A-4 확인 (PT) ㅁ .Fuse

ㅁ . 수변전실 발전전원 OFF


6. HV/G-UM,PM Reset 버튼 CLOSE 버튼
- HV-G-PM : 동력
VCB OFF - HV-G-UM : UPS ㅁ . 고장 ( 결 상 ) 시 정면에서 “우측”에 점등 → 1 개소

7.SHV-A-5 ㅁ .UVR/OCR/OVGR/OVR
수동 VCB ON

ㅁ .Fuse 소손 시 교체 → Open 후
한전 : SHV/A-2 OFF 후 교체
전원
8.SHV6,8,10 ㅁ .OCR/OVGR/OVR 공급 ㅁ . 차단기 Trip → “UVR” Reset 후 투입
수동 VCB ON
→ 복전시 UVR 해제 접점으로 발전기 자동 정지

9.HV U1~U8 ㅁ .UVR/OCR/DGR


수동 VBC ON

Reset 버튼
10.HV P1~P6 ㅁ .UVR/OCR/DGR ㅁ .GIPAM 이용 VCB 수동투입 실패 시 단계별 수동투입
수동 VCB ON
GIPAM 투입 → 차단기 CLOSE 버튼 눌러 투입
실패 시 → Charge 후 ON 버튼 재 투입 → 실패 시
ㅁ . 전압 , 전류 ,LOAD
11. 수전실 /UPS 실 확인 → B 모선으로 절 체 전원공급
일지 비교
정상 운전 확인
ㅁ . 이상 발생시 복구 조치 및 A/S 신청
ㅁ . 발전기 OFF 확인 →B/T 방전 시 약 3 분 정도 1 대당 50KW 더 걸림
12. 발전기 자동 OFF ( 정전 시간이 길면 충전시간이 길어 짐 )

ㅁ . 이상 발생시 복구 조치 및 A/S 신청
ㅁ . 전층 전기 / 기계설비
13. 전층 확인
확인 / 점검

ㅁ . 사고 보고서 작성 및 이상설비 향후 대책 수립
ㅁ . 최종 보고서
14.2 차 보 고 ( 공유 부서 상황 전파 및 Issue 공유 )

6-21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첨부 - 1
작성자 신기준

유형 □. GIPAM 2000 F1 투입 조작방법

GIPAM2000F1 차단기 ( 투입 / 개방 ) 순서

① ② ③ ④

F5 버튼을 눌러 TRIP 해제 후 투입할 차단기 CLOSE


PASSWORD 화면으로 전환 우측 방향키 3 회 누른 후
Local ON 여부확인 버튼 누르면

⑤ ⑥ ⑦ ⑧

투입 할 차단기 CLOSE 메시지가 표기되고 차단기가 투입 되면서 CLOSE


엔터 E 버튼을 누른다
버튼 누르면 CLOSE 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버튼 상부 적색 램프 점등 확인

※ 차단기 OPEN 시 → OPEN 버튼을 누르고 순서 대로 조작함

※ 주 1) 비밀번호를 풀어 놓은 상태에서 15 분 동안 조작하지 않는 경우 LCD 화면의 조명이 소등


되고 다시 잠김 . ( 단 , 정정값 / 계측값 등의 확인은 비밀번호와 관계없이 가능함 )
※ 주 2) DC 전원을 OFF 한 후 다시 인가할 경우 비밀번호 입력이 필요함 .

6-22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첨부 - 2
작성자 신기준

유형 □. ALTS 현 디스플레이 상태 및 ALTS 투입 조작방법

ALTS 디스플레이 상시 체크 ALTS 수동 투입방법


② ③ ④
⑤ ⑤
⑥ ⑦ ⑥

상암 수색 상암 수색
LG D/L 수월 D/L LG D/L 수월 D/L

⑧ ①

① 조작전원 AC 220V 점등 되어 있는지 ① 제어기능 버튼을 누른다


② 주전원 선택이 → 전원 1 에 점등되었는지 ② 비밀번호 → ▼ 버튼 2 회 누르면 디스플레이
③ 제어설정 → LOCAL 로 점등 되어 있는지 에 [99] 표기됨
④ 선택 → 자동으로 점등되어 있는지 ③ ENT 버튼을 누른다
⑤ 상암 개폐상태 → 점등 되어 있는지 ④ 선택 버튼 누르면 수동으로 전환 되면서
⑥ 상암 활선상태 → 점등 되어 있는지 적색램프 점등
⑦ 수색 활선상태 → 점등되어 있는지 ⑤ 수색변전소 수월 D/L 개폐상태 ( ON )
⑦ 제어기능 → ON 되어 있는지 버튼 누름 면 개폐상태 적색램프 점등
※ 제어기능 OFF 상태면 ALTS 작동 안됨 ⑥ 수월에서 전원공급 확인
※ 선택버튼 누르고 자동선택 시 ALTS
자동 절체 수월 D/L 에서 전원공급 됨

6-23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첨부 - 3
작성자 신기준

유형 □. ALTS 수동 투입 조작방법

수동 투입 시
( 수동 절 체 P → Q) 5psi 이상

② ②
⑤ ⑤

① ③ ① ③

“P” ㈜ “ON 상태” “Q” ( 예비 ) “OFF 상태”


② ③
Button
Lock
Key

열림으로 ▶ ▶

▣ 확인사항 ▣ 조작

No 항 목 조 작 No 조 작 Image

① Button Lock Key 오른쪽으로 돌림


전원 1
투입 스프링의 차지 ④ ▼
② 검정색 화살표 →
(charge) 완료 상태 OFF → 개방
10 회 정도 돌린다
③ 수동 조작 시 축쇄 방법 ( 완료 : 딸깍 소리
발생 )
전원 2
• Button Lock Key 가 열림 상태에서만 조작 가능하며 ⑤ ▼
ON → 투입
인터록 장치에 의해 다른 쪽 전원은 투입 될 수 없음

• 축쇄 완료 후 수동 핸들은 동작 후 Motor Charging 시

핸들 탈락으로 주변 및 인체에 손상이 있을 수 있음 ※. 수동 조작은 Main Control 과 관계없이 조작 가능

6-24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첨부 - 4
작성자 신기준

유형 □. VCB 수동 투입 조작방법 -1

수동투입 방법

1 단계 2 단계

(GIPAM 투입 (1 단계 실패
실패 시 ) 시)

■ GIIPAM ON 투입 ■ ON 버튼 눌러 차단기가 투입되면 ■ 수동 차지 핸들을 삽입하여 공회전을


투입스프링 차지 표시기 화살표 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40 회 이상 시키다
방향이 오른쪽 방향으로 표시됨과 보면 차지 완료됨과 동시에 딸깍 소리가
동시 붉은색바탕에 ON 명판이 표시됨 발생

인입 ,
인출방법

인출방법 인입방법

■ 차단기 OFF 상태임을 확인 ■ 인입출 레버를 인입출 조작핀에 ■ 인출 방법 역순


끼우고 차단기 전면의 인터록 레버를
위로 올린 상태에서 인입출 레버를 당김

6-25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첨부 - 4
작성자 신기준

유형 □. VCB 수동 투입 조작방법 -2

수동투입 방법
① 차단기의 동작확인을 위해 무부하 상태에서 다음 절차에 따라 실행 한다 .
② 차단기가 Crsdle 에서 완전한 단로 상태가 되도록 한다 .
③ 제어전원 Plug 를 빼내다 .
④ 차단기 정면에 있는 트립 버튼 ( 적색 ) 을 누른 후 차단기가
Open 상태 임을 확인 한다 .
⑤ 차단기가 접속위치와 시험위치 중간에 있을 경우 투입할 수 없습니다 .
⑥ 투입
⒜ 수동투입핸들을 투입핸들 삽입구에 삽입하여 “윗”방향으로 올립니다 .
⒝ 스프링 축세와 투입이 진행됩니다 .
⒞ 개폐표시기와 ON 상태임을 확인 합니다 .
⑦ 트립
⒜ 차단기 정면의 수동 트립 버튼을 누릅니다 .
⒝ 개폐 표시기가 OFF 상태임을 확인 합니다 .
① → ② → ③ ⒞ 횟수 계가 1 회 동작 했음을 확인합니다 .

GIPAM 차단기
수동투입
투입실패시 트립

인출 방법
① 차단기의 트립 버튼을 눌러서 차단기가 트립 상태임을 확인 한다 .
② 인출핸들을 인출핸들용 가이드에 삽입 후 인출핸들의 선단이
인터록 판의 사각구멍에 충분히 삽입되도록 한다 .
③ 이 인터록 레버를 위로 올려서 인터록 핀을 인터록 판의
구멍으로 부터 분리시켜 준다 .
④ 이 상태에서 인출핸들을 그림에 명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 주십시오 이때 인터록 레버는 손을 떼어도 무방합니다 .
⑤ 차단기 정면의 손잡이를 잡고 차단기가 인출될 때 까지 당겨준다 .
이때 인터록 레버는 Cradle 의 인터록 판의 앞쪽에 뚫려있는 구멍의
위치까지 이동되어 인터록 핀이 구멍에 들어가게 됩니다 .
이 위치가 시험위치입니다 .
① → ② → ③

6-26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첨부 - 5
작성자 신기준

유형 □. ACB 수동 투입 조작방법 -1

수동투입 방법

수동투입
1 단계

ON 투입
안될 경우

( 투입 안될 경우 )

■ GIMAC ON 투입 ■ ON 버튼 누르면 ON/OFF


표시기에 ON 으로 표시됨

(1 단계 실패시 ) (2 단계 실패시 )
수동 투입 3 단계
2 단계

■ ON 버튼 누르면 ON/OFF ■ S/P ACB 차단기


■ Charge 핸들을 7~8 회 교체하여 투입
동작한다 . 표시기에 ON 으로 표시됨

6-27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첨부 - 5
작성자 신기준

유형 □. ACB 수동 투입 조작방법 -2

인입 , 인출방법

■ 차단기 ON 버튼 ■ 다시 차단기 OFF 버튼을 ■ 차단기가 트립된 상태에서


PUSH 눌러 차단기가 안전한 OFF 버튼을 누르면서 인출
상태임을 확인한다 . 핸들을 차단기 본체에 있는
핸들 삽입구멍으로 삽입한다 .

연계동작

■ 인출핸들이 견고하게 ■ 인출핸들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삽입됨을 확인 후 인출 돌리면 차단기가 시험위치에 차단기인입
잠금 장치를 누름 도달 했을 때 인출 잠금 장치는
자동으로 돌출되어 회전불가

6-28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한전 “주” 선로 정전 ( 주 배전반으로 전원공급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ㅁ . 확인 1. 모니터링 팝업해제 및 전압인가여부 확인


1. 램프 깜박거림 - 전기 :ALTS 전압확인
- 기계 : 냉수공급 여부
2. 전기 : 정전 여부 판단 / 발전기 기동 여부
정전
기계 : 저층부 , 고층부 냉수펌프 가동 상태
2. 수전 실로 이동 ㅁ . 랜턴 / 무전기 휴대 UPS
- 3. 각 판넬 B/Z 송출 → B/Z 정지
1

ㅁ . 차단기 Trip 에 의한 룹
3.B/Z Alarm 확인
Alarm 여부 ∧ 4.“ P” 선로 LED( 전원 1) 소등으로 한전 측 전기사고 감지



4.ALTS-A“Q” ㅁ .P,Q 전원 활 선 여부 ∨
자동절체
① ⑤
정상일 경우
▼ 전원 1 ②

“Q” 로 자동 절 체 확인 ⑥

순간정전 발생
LG D/L ③ ④
수월 D/L
▼ 예비
순간정전 조치와 연계 대응 선로
전원
공급

ㅁ . 자동 절체 不 .(UVR 동작으로 2 차 측 무 부하 상
태)
■ 한전 P 선로 정전 시 표시상태
■ 주요기능 ① 전원 – 1(P) 녹색 램프 점등 → OFF

전환지연시간 ② 개폐상태 개폐상태 → OFF


순간정전에 의한 전환동작방지 0.1 초
(Transfer Time)
■ 자동 절환 실패 시 -> 수동 전환 순서

재전환 지연시간 P 정전시 -> Q 로 사용하다 . ON 적색 LED 점등 확인


③ 제어기능
(Retransfer Time) P 복전시 20 초 후 P 로 전환 OFF 시 → ON 버튼 누름 )

④ 패스워드 5 번 ↓ 2 회 누른 후 6 번 ENT 누름

부하측 사고 시 동작지연시간 3 초 를 ⑤ 선택 자동 -> 수동 선택


동작 지연시간
초과하면 예비전원으로 전환하지 않고
(Blocking Time) ⑥ 전원 – 2(Q) 개방 → 투입 선택
주전원을 계통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킴
② 전원 – 1(P) 투입 → 개방 선택

6-29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한전 “주” 선로 정전 ( 주 배전반으로 전원공급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전원 1 상태 표시”가 ( 투입 ) 폐로 됨을 확인
5.SHV/A-1LBS LAMP ㅁ .LAMP ON 확인 ( 적색등 ) 예비  ▼
선로 동작 불능 시 수동 레버로 강제 투입 시킨다 .
전원 [ 축세 장치 ( 축세 방향 ) : 10 회 정도 돌린다 ]
공급
6.SHV/A-2 ㅁ .VCB 투입 및 Trip 여부
자동 VCB ON 확인

▶ ▶
7.SHV/A-3 MOF ㅁ . 계량기內 R.S.T 활 선
상태 ( 소등 6 개 )
6. 차단기 Trip 시 Reset 후 투입
8.SHV/A-4 PT 확인 ㅁ .FUSE 단선여부 / 전압확인 ■ F5 ( 트립해제 ) ▶ CLOSE 누름 ▶ Password ▶
우측방향기 3 회 이동 후 ▶ ENTER ▶ CLOSE 2 회
▶ CLOSE 상부 적색 LAMP 점등 ( 투입완료 )
9.SHV/A-5
자동 VCB ON 확인 ㅁ .UVR/OCR/OVGR/OVR 계전기
Tirp 여부 확인

10.SHV/6,8,10
ㅁ .UVR/OCR/OVGR/OVR /DFR Reset 버튼 CLOSE 버튼
자동 VCB ON 확인
계전기 Trip 여부 확인
7.MOF 고장 ( 결 상 ) 시 정면에서 “우측”에 점등 → 1 개소

11.HV/P1~P6
ㅁ .UVR/OCR/ 계전기
자동 VCB ON 확인
Trip 여부 확인

12.HV/U1~U8 8. Fuse 소손 시 교체 → Open 후


ㅁ .UVR/OCR/ 계전기
자동 ON 확인
Trip 여부 확인 : SHV/A-4 Off 후 교체 (Fuse 안전장비에 비치 )

13. 저압반 확인 ㅁ . 전압 , 전류일지 9~12. 차단기 Trip 시 B/Z → “UVR” Reset 후 투입


비교정상 운전 확인
■ F5 ( 트립해제 ) ▶ CLOSE 누름 ▶ Password ▶
우측방향기 3 회 이동 후 ▶ ENTER ▶ CLOSE 2 회
14.UPS 확인 ㅁ . 전압 , 전류 ,LOAD 확인 ▶ CLOSE 상부 적색 LAMP 점등 ( 투입완료 )
정상 운전 확인
13~14. GIMAC 전압인가 여부 및 UPS 입력 , 출력 전압
디스플레이 조작 확인
15. 각 장비 재확인 ㅁ . 냉동기 , 공조기 ,E/L, 15. 이상 시 복구 및 재 기동 or 상황에 따라 A/S 신청
분전반 , 소방설비 등

16. 한전정전 원인 확인 ㅁ . 한전 문의 16. 한전 서부지점 유선 확인


: 배전 운영과 (02-710-2261)

17.1 차 보 고 ㅁ .1 차 보고서 17. 한전 측 정전 원인 및 이상유무 등

6-30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한전 “주” 선로 정전 ( 주 배전반으로 전원공급 )-3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ㅁ .” P,Q ” 선로 LED ( 활 선 상태 주 전원 ) 점등
ㅁ .“Q” 로 전원 공급 상태 예비 ( 정상 : “P”,”Q” 한전 전압 회복 )
복전 ▼ 선로
“P” 로 전원 절 체 공급 전원
공급
ㅁ .“P,Q” 전원 활 선 여부

정상일 경우

1.ALTS-A 확인 전원 -1 회복 “ P” LED 점등
(R,S,T)

▼ 선로
전원
전원 -2 “Q” 로 공급
공급

제어동작 → “자동” 상태
※. 방법 -1 (ALTS /A → “P” 에서 “ Q” 로 “자동” 절 체 공급 )

보고서 No Panel 조치 Process

① 제어동작 자동선택 확인

UVR 계전기 ② ALTS P → Q 절 체 확인 ( 자동 )

③ 전원 2(Q) 개방 → 투입 선택

④ 전원 1(P) 투입 → 개방 선택

⑤ 제어동작 자동 → 수동 선택

⑥ 부하 확인 정전 조치 와 연계 대응
※. 방법 -2 (ALTS /A →Q 에서 “ P” 로 “자동” 절 체 공급 )
“T” 초 후 동작
No Panel 조치 Process

수동 → 자동 선택 (Q→P 절 체 )
① 제어동작
구분 항 목 Timer 레버 ( 단 ,“ALTS” 2 차 측 부하 부담 우려 )

계전기 범 위 1 ~ 10 초 ② 부하 확인 정전 조치 와 연계 대응

SHV/A-5 UVR 現 3 초 세팅 • UVR 동작으로 정전 발생 우려


③ RISK • “ALTS” 2 차 측 부하 부담으로
계전기 정전인식 3~4초 소손 우려
특성 (UVR) 무 전압인식 6 ~ 10 초

• ALTS 절체 Time 0.1 초로 UVR 은 동작 안되나 콘덴서 (HV/SC-U1~U9 , P1~P6) → 역률 확인 하면서 순차 투입


“ 냉동기”는 부하에 따라 Down 됨 ㅁ . 사고 보고서 작성 및 이상 설비 향후 대책 수립
ㅁ . 최종 보고서 ( 공유 부서 상황 전파 및 Issue 공유 )

6-31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ALTS-A” ㈜ 에서 “ ALTS-B” ㈜ 절체 전원 공급 시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ㅁ . 주 배전 반 - 특 , 고 Off
선택 -1 → 예비 배전 반 공급 ③
( 발전기 전원공급 배제 )




전원 1
1.SHV-A ⑥
ㅁ .P,Q 선로 LED 점등
” 주” ALTS 확인
  정상 확인

LG D/L ⑤ 수월 D/L

■ SHV/A-1 P 선로 정상공급 상태

① ① 제어 : ON 상태
확인 ② 개폐 : 전원 1 점등 ( 적색 ) OFF 상태
② ④ 사항 ③ 활선 : 점등 ( 녹색 ) 상태

④ 동작 : 수동 선택
⑤ ⑦
⑥ ⑧
1. 제어 기능 “ ON” 한다 .

상암 LG D/L 수색 수월 D/L

⑨ ① ② ③

2. 동작을 수동 → 자동 선택 .( 제어기능“ ON” 상태 )


① 조작전원 AC 220V 점등 확인
② 주전원 선택이 → 전원 1 에 점등 확인 ⑥
③ 제어설정 → LOCAL 로 점등 확인
④ 선택 → 자동으로 점등 확인
⑤ 상암 개폐 상태 → 투입 ( 적색 점등 ) 확인
⑥ 상암 활선 상태 → 녹색 점등 확인 ④ ⑤
⑦ 수색 개폐 상태 → OFF ( 미 점등 ) 확인
⑧ 수색 활선 상태 → 녹색 점등확인
⑨ 제어기능 → ON 되어 있는지 No 조치 Process
※ 제어기능 OFF 상태면 주전원 ” P” 정전시
① 제어 기능 KEY 를 누른다
ALTS “Q 로 절환 안됨
② ”▼” KEY 를 누른다 → Password → [99]

③ ENT 를 누르면 제어기능 “ OFF → ON” 전환 된다 .


2. SHV/A-1 LBS ON 확인 ㅁ . 적색 표시등 (LED)
( 상시 ON 상태 ) 점등상태 ④ 동작 KEY 를 누른다

3. SHV-B 확인 ㅁ .P,Q 선로 LED 점등 ⑤ ”▼” KEY 를 누른다 → Password → [99]


(“ 주” ALTS 확인 )   정상 확인
⑥ ENT 를 누르면 수동 → 자동으로 전환 된다 .

6-32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ALTS-A” ㈜ 에서 “ ALTS-B” ㈜ 절체 전원 공급 시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 수동선택 이유 :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코자 함 ㅁ . 전원 2(Q) 수동 선택 시

No 조치 Process

③ ① 제어기능 누른다

② ”▼” KEY 를 누른다

③ Password → [99]
⑤ ④ ENT
⑧ ⑨
⑤ 선택 : 자동 → 수동 적색 점등
전원 1
⑧ ⑨ ⑥ 전원 1 OFF( 개방 ) 선택

⑦ 전원 2 ON( 투입 ) 선택
⑥ ⑦
⑧ 개폐 상태 - 전원 1 소등

① ⑨ 개폐 상태 - 전원 2 점등
LG D/L ② 수월 D/L
※. 수동 “ ON”,”OFF” 후 휴지 시간을 20 초 갖고 , 재 조작
→Motor Charge 中 투입 Key 를 누르면 Error 발생

Local 설정 특기 사항

No 내 용 항 목 내 용

① 제어 Key 를 누름 절연 매개물 SF6 가스

동작 압력 5PSI(2PSI 이하 → 절연파괴 ( 안전사고 )


② ESC 와 ENT 를 동시에 누름
10Cucle/167ms 이내 .
고속 전환
(PC:16m/s,SCR:4m/s)
③ [99] 입력
전기적 수명 부하전류 개폐 100 회
④ ENT 기계적 수명 무 전압 개폐 1,000 회

주 전원 측의 CPD 와 부하 측 CT 에 의한 전압
⑤ Local 선택 결 상 감시
전류 검출을 통해 결 상을 감지

⑥ ENT 주 / 예비 전원은 전기적 , 기계적으로 인터록


동시 투입
장치 구비 됨

⑦ SAVE 선택 정격 전류의 350%(2.2KA) 발생 시 “ OCR” 에


부하 측 사고
의한 블로킹 기능 보유 → 원인 제거 → 고장
계통 분리 Reset “Button” 을 눌러 해제
⑧ 선택
① 주 전원 전압이 35% 이하일 경우 전환 동작
Local 선택은 초기 설정 시 1 회 한다 .( 취소 : ESC) CPD ② 주 전원 전압이 85% 이상일 경우 재 전환
※.Capacitor Voltage Divider

6-33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ALTS-A” ㈜ 에서 “ ALTS-B” ㈜ 절체 전원 공급 시 -3
수동 투입 시
( 수동 절 체 P → Q)

5psi 이상

② ②
⑤ ⑤

① ③ ① ③

“P” ㈜ “ON 상태” “Q” ( 예비 ) “OFF 상태”


Button
② ③
Lock
Key

열림으로 ▶ ▶

▣ 확인사항 ▣ 조작

No 항 목 조 작 No 조 작 Image

① Button Lock Key 오른쪽으로 돌림


전원 1
투입 스프링의 차지 ④ ▼
② 검정색 화살표 →
(charge) 완료 상태 OFF → 개방

10 회 정도 돌린다
③ 수동 조작 시 축쇄 방법 ( 완료 : 딸깍 소리
발생 )
전원 2
⑤ ▼
• Button Lock Key 가 열림 상태에서만 조작 가능하며
ON → 투입
인터록 장치에 의해 다른 쪽 전원은 투입 될 수 없음

• 축쇄 완료 후 수동 핸들은 동작 후 Motor Charging 시


※. 수동 조작은 Main Control 과 관계없이 조작 가능
핸들 탈락으로 주변 및 인체에 손상이 있을 수 있음

6-34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ALTS-A” ㈜ 에서 “ ALTS-B” ㈜ 절체 전원 공급 시 -4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4.SHV/A-2
VCB OFF ㅁ .GIPAM 1 차 전원상태 확인 정전
ㅁ . 정전 발생 → 발전기 1.2.3,4,5,6,7.8 기동 (Warming )
(OCR,OVR,OCGR,UVR)
UPS

5.SHV/A-5,6,7,8
ㅁ . “UVR” 동작 → 차단기 Trip → B/Z 정지
VCB OFF ∧
ㅁ .GIPAM 1 차 전원상태 확인 ① 예비전원 투입 방지를 위해 반드시 OFF 한다

(OCR,OVR,OCGR,UVR) ② 한전 전원 회복 시 “ UVR” 접점에 의해 발전기 정지

되므로 “ UVR” 은 복구 시키지 않는다 .( 복전 시 )

6. SHV/B-1 LBS ON 확인 ∨
ㅁ . 적색표시등 점등상태 ㅁ . 차단기 Trip 시 Reset or 수동 투입
( 상시 ON 상태 )

ㅁ .GIPAM 1 차 전원상태 확인
7. SHV/B-2 VCB ON
(OCR,OVR,OCGR)

Reset 버튼 CLOSE 버튼

ㅁ . 계량기內 R.S.T 활 선 ㅁ . 고장 ( 결 상 ) 시 정면에서 “우측”에 점등 → 1 개소


8. SHV/B-3 MOF 확인
상태 ( 적색 6 개 점등 )

9.SHV-B-5 ㅁ .GIPAM 1 차 전원상태 및


수동 VCB ON 계전기 Trip 여부 확인
(OCR,OVR,OCGR,UVR)
ㅁ . 차단기 Trip → Reset 후 투입 (GIPAM)
■ F5 ( 트립해제 ) ▶ CLOSE 누름 ▶ Password ▶
10.SHV/7,8,10 ㅁ .GIPAM 1 차 전원상태 및 우측방향기 3 회 이동 후 ▶ ENTER ▶ CLOSE 2 회
수동 VCB ON 계전기 Trip 여부 확인
▶ CLOSE 상부 적색 LAMP 점등 ( 투입완료 )
(OCR,OVR,OCGR,DFR,UVR)

11.HV/M2-2,M3-2 ㅁ .GIPAM 1 차 전원상태 및


수동 VCB ON 계전기 Trip 여부 확인
(OCR,OVR,OCGR,UVR)
Reset 버튼 CLOSE 버튼

12.HV U1~U8 ㅁ .GIPAM 1 차 전원상태 및 ㅁ .DFR 동작 ( 단락 ) 에는 VCB 를 “절대” 투입하지 말고


예비
수동 VBC ON 계전기 Trip 여부 확인 해당 Group 은 발전기로 전원 공급 한다 .
수전반
(OCR,SGR,UVR) → 변압기 재 점검 실시 ( 투입 시 2 차 사고 확대 우려 )
전원
공급
13.HV P1~P6 ㅁ .GIPAM 1 차 전원상태 및
ㅁ .Trip 시
수동 VCB ON 계전기 Trip 여부 확인
① UVR 동작 → Reset 후 수동 투입 (H-1.2.3)
(OCR,SGR,UVR)
- G-1.2.3,4,5,6,7,8 전원 투입 or 차단기 교체 투입
② OCR 동작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6-35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ALTS-A” ㈜ 에서 “ ALTS-B” ㈜ 절체 전원 공급 시 -5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1. 각 장비 운전 확인 ㅁ . 냉수펌프 기동 , 공조기 예비 ㅁ . 이상 시 복구 및 재 기동 or 상황에 따라 A/S 신청


E/L, 분전 반 , 소방설비 수전

12.UPS 확인 ㅁ . 전압 , 전류 ,LOAD 확인 전원 ㅁ . 이상 시 UPS 2 차 ACB 정상 투입 확인 (A/S:MA Tech)
정상 운전 확인 공급 : B/T 방전 시 약 3 분 정도 1 대당 50KW 더 걸림
( 정전 시간이 길면 충전시간이 길어 짐 )
13. 각 장비
ㅁ . 발전기 자동 선택 ㅁ . 이상 발생시 복구조치하고 상황에 따라 A/S 신청
재 확인
냉동기 , 공조기 ,E/L,
분전반 , 소방설비 등

14. 1 차 보고서 ㅁ .1 차 보고서 ㅁ . 이상유무 등

복전

1.SHV/A
” 주” ALTS 확인 ㅁ .P,Q 선로 LED 점등 정상 확인 ㅁ . 선택 → 자동 상태

2. SHV/A-1 LBS ON 확인 ㅁ . 수동투입


ㅁ . 적색표시등 점등상태
( 상시 ON 상태 )

3.SHV/B-2,5 전
ㅁ . 정전 발생 ㅁ . 차단기 Trip 시 B/Z → “UVR” Reset 후 투입
VCB OFF
→ 발전기 “ Warming 中

4. SHV/A-2 ㅁ .VCB 1 차 전원 GIPAM 상태 ㅁ . 차단기 Trip 시 B/Z → “UVR” Reset 후 투입


수동 VCB ON (OCR,OCGR,OVR) → 발전기 “ Warming 中
5. SHV/A-5 ㅁ .VCB 1 차 전원 GIPAM 상태 ㅁ . 차단기 Trip 시 B/Z → “UVR” Reset 후 투입
수동 VCB ON (OCR,OCGR,OVR,UVR)

6. SHV/A-6,7,8 ㅁ .VCB 1 차 전원 GIPAM 상태 ㅁ .DFR 동작 ( 단락 ) 에는 VCB 를 “절대” 투입하지 말고


수동 VCB ON (OCR,OCGR,DFR) 해당 Group 은 발전기로 전원 공급 한다 .
→ 변압기 재 점검 실시 ( 투입 시 2 차 사고 확대 우려 )
7. HV/U1~U8 ㅁ .VCB 1 차 전원 상태 ㅁ . 차단기 Trip 시 B/Z → “UVR” Reset 후 투입
수동 VCB ON (OCR,SGR,UVR) 주
수전
8. SHV/P1~P6 ㅁ .VCB 1 차 전원 GIPAM 상태 반 ㅁ . 차단기 Trip 시 B/Z → “UVR” Reset 후 투입
수동 VCB ON (OCR,SGR,UVR) 전원
공급
9. 정전 / 순간 정전과
연계 조치 ㅁ . 이상 발생시 복구조치하고 상황에 따라 A/S 신청

14. 1 차 보고서 ㅁ . 최종 보고서 ㅁ . 사고 보고서 작성 및 이상설비 향후 대책 수립


( 공유 부서 상황 전파 및 Issue 공유 )

6-36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ALTS-A” 고장으로 인한 “ ALTS-B” 절체 전원 공급 시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 정전발생
1. 정전 확인 .
정 ( 전등 Off 및 자동제어 팝업 발생으로 정전 인식 )
전 ① UPS 1 차 전원 투입 및 부하 가동상태
② ALTS 자동 절 체 불능 인식
UP
2. 수전실 이동 S 2. 랜턴 휴대


3. 수전실 판넬 B/Z 확인 백
3. 콘덴서 /SC/U1~U6/SC/P1~P6  “ UVR” 동작 확인

→B/Z 만 정지

SHV/A-5 OFF 시 ∨
(UVR 동작 ) 4. “ 주” ALTS 확인 4.” 주” ALTS → 자동 → OFF 선택
G-1.2.3.4.5.6.7 호기 동작 不 ( 소손 ) ① 주 ALTS A/S : LS 산전
자동 기동 됨 ② 예비 ALTS A/S : LS 산전
ALTS 담당자 : 김기득 차장 : 010-2539-3003

5.” 예비” ALTS 5.” 예비” ALTS P,Q 전원 정상 공급 상태 확인


상태 확인
yes
No
6. 발전기 1.2.3.4.5.6.7,8 기동 (Warming )
6. 발전기 자동기동 ① 발전 전압 확인 (6.6KV)
상태 확인 ② 급 , 배기 / 냉각수 펌프 정상 확인

yes 7.G-1.2.3.4.5.6.7.8 VCB 투입


→ G-M.G-UM.G-PM VCB 투입
7. 발전기 전원공급 → 수전실 HV/G-UM.G-PM VBC 투입 보류
No ① UVR 동작 → Reset 후 수동 투입
② OCR 동작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자체수리불가 yes
판단 8. 고장원인 파악
8.”ALTS”A Error ① 운영센터 비상연락망 가동 → 운영센터장 → DC 기술이행팀
(Control) ② 발전기 유지보수 업체 호출 ( 지엔씨에너지 )
③ 필요 시 “경유” 보충
④ 상황에 따라 콘솔 통보 : 서버 Data Back –Up 통보

9. “ 예비” ALTS 로 9.” 예비” ALTS 자동 실패 시 → 수동 선택


전원 절체 공급 ① 제어 기능 “ ON” 한다 .
② 동작을 자동 → 수동 선택 .( 제어 기능“ ON” 상태 )
yes ③ 상시 예비 선로 SHV/B2 VCB 투입 (ON) 상태

10.VCB 순차적 투입
10. SHV / B-5 VCB ON
① 예비 수전 반 : SHV/B-2 → SHV/B-5 →
( 투입 )
② 주 수전 반 : SHV/A-2 → SHV/A-5 →

6-37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ALTS-A” 고장으로 인한 “ ALTS-B” 절체 전원 공급 시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1. SHV/6.7.8 예비
상태확인 ( 투입前 ) 선로
전원
공급

yes

12. SHV/6.7.8 12~14. 차단기 Trip → Reset 후 투입 (GIPAM)


VCB ON ( 투입 )
■ F5 ( 트립해제 ) ▶ CLOSE 누름 ▶ Password ▶
우측방향기 3 회 이동 후 ▶ ENTER ▶ CLOSE 2 회
yes
▶ CLOSE 상부 적색 LAMP 점등 ( 투입완료 )

13. HV/U1~U8
수동 VCB ON

Reset 버튼 CLOSE 버튼

14. SHV/P1~P6
수동 VCB ON
□ GIPAM VBC 투입 不 → 첨부파일 참조
① 수동 투입 .( 조작전원 外 확인 )
② VCB 교체 투입

15. 정전 / 순간정전 과 15. 각 설비 가동 상태 확인


연계 조치  ① 냉수 펌프 , 공조기 , 콘덴서 등
② 분전반 , 소방설비 등
③ 상황에 따라 A/S 신청
④ 발전기 자동 선택

6-38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ALTS-A” 고장으로 인한 “ ALTS-B” 절체 전원 공급 시 -3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6. 복 전 예비 16. 복 전 조건 .
선로 ① ” 주” ALTS 복구 완료
전원 ② 발전기 수동 운전
공급 ③ 안내 방송
yes

17.” 주” ALTS → OFF → 자동 선택


17.“ 주” ALTS-A 상태 확인 ① 주 ALTS A/S : 일진 전기
② 예비 ALTS A/S : LS 산전

18.SHV/6,7,8 VCB OFF 정전


18.VCB 수동 OFF.( 정전 발생 中 )
(개방)
UPS

19.SHV/B-5 VCB OFF ∧


백 19.VCB 수동 OFF.( 정전 발생 中 )
(개방)


20.VCB 수동 ON.( 정전 발생 中 )
20. SHV/A-5 VCB ON ① UVR 동작 → Reset 후 수동 투입
② OCR 동작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21.VCB 수동 ON.( 복 전 )
21.SHV/6.7.8 VCB
①UVR 동작 → Reset 후 수동 투입
수동 ON
②OCR 동작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정상
전원
22. 각 설비 가동 상태 확인
22. 정전 / 순간정전 과 공급
① 냉수펌프 , 공조기 , 콘덴서 등
연계 조치
② 분전반 , 소방설비 등
③ 상황에 따라 A/S 신청
④ 발전기 자동 선택
23. 예비 ALTS 선택
수동 여부 확인 23. 선택 : 자동 → 수동
① 제어 기능 “ ON” 한다 .
② 동작을 수동 → 자동 선택 .( 제어기능“ ON” 상태 )
24.SHV/B-2
24.VBC 투입 (ON) 확인
VCB ON 및 전압확인

25. 보고서 25. 고장 원인 결과 종합 보고

26. 향후 대책 수립 .
26 상황 종료 ① 고장사례 및 대책방안 강구 / 전파 .
② 복 전 완료 안내방송 .

6-39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 주” SHV/A-2 VCB 고장으로 “예비” SHV/B-2 전원공급 시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 정전 확인 .( 전등 Off 로 정전 인식 )
1. 고장발생 ① UPS 1 차 전원 투입 및 부하 가동상태
② ALTS 자동 절체 여부

UP 2. 랜턴 휴대 → SHV/A-2  “ UVR” 동작 확인
2. 수전실 이동 S →B/Z 만 정지

3. 수전실 판넬 B/Z 확인 백 3. B/Z 정지



4.VCB 수동 투입
4. “ 주” SHV/A-2 VCB
SHV/A-5 OFF 시 동작 不 ( 소손 ) 확인 ① Trip 시 B/Z → “UVR” Reset 후 투입
(UVR 동작 ) ② 발전기 “ Warming 中
G-1.2.3.4.5.6.7.8 호기
자동 기동 됨
5.” 예비” SHV/B-2 5.VCB 수동 투입 전
상태 확인 →1 차 전압 및 SHV/A-5 OFF 상태 확인 )
yes
No

6. 발전기 자동기동 6~7. 발전기 1.2.3.4.5.6.7.8 기동 (Warming )


상태 확인 ① 발전 전압 확인 (6.6KV)
② 급 , 배기 정상 확인
yes

7. 발전기 전원공급 대기
No
자체수리불가 yes
판단
8.G-1.2.3.4.5.6.7.8 VCB 투입
→ G-M.G-UM.G-PM VCB 투입
8.SHV/A-2 고장
→ 수전실 HV/G-UM.G-PM VCB 투입 보류
① UVR 동작 → Reset 후 수동 투입
② OCR 동작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9.”UVR” 동작 여부 .
9. SHV/B-2 VCB ON ① 차단기 Trip 시 B/Z 정지 .(Yes : “UVR” Reset 복구 )
② 발전기 “ Warming 中
yes

10.VCB “ 순차적” 수동 투입
10. SHV / B-5 VCB ON
① UVR 동작 → Reset 후 수동 투입
( 투입 )
② OCR 동작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 발전기 “ Warming 정지

6-40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 주” SHV/A-2 VCB 고장으로 “예비” SHV/B-2 전원공급 시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예비
11. SHV/6.7.8 선로
상태확인 ( 투입前 ) 전원
공급

yes

12~14. 차단기 Trip → Reset 후 투입 (GIPAM)


12. SHV/6.7.8
VCB ON ( 투입 )
■ F5 ( 트립해제 ) ▶ CLOSE 누름 ▶ Password ▶
우측방향기 3 회 이동 후 ▶ ENTER ▶ CLOSE 2 회
yes ▶ CLOSE 상부 적색 LAMP 점등 ( 투입완료 )

13. HV/U1~U8
수동 VCB ON

Reset 버튼 CLOSE 버튼

14. SHV/P1~P6
수동 VCB ON □ GIPAM VBC 투입 不 → 첨부파일 참조
① 수동 투입 .( 조작전원 外 확인 )
② VCB 교체 투입

15. 각 설비 가동 상태 확인
15. 정전 / 순간정전 과  ① 냉수펌프 , 공조기 , 콘덴서 등
연계 조치 ② 분전반 , 소방설비 등
③ 상황에 따라 A/S 신청
④ 발전기 자동 선택

6-41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 주” SHV/6 전산 Main VCB 고장으로 “예비” SHV/7 수전반으로 전원공급 시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 고장발생
정전 1. 정전 확인 .( 전등 Off 로 정전 인식 )
① UPS 1 차 전원 투입 및 부하 가동상태
② ALTS 자동 절 체 여부
UPS
2. 랜턴 휴대 → SHV/A-2  “ UVR” 동작확인
2. 수전실 이동 B/Z 확인 ∧ →B/Z 만 정지



∨ 3.”UVR” 및 OCR 동작 여부 .
3.”SHV/6” 확인 → 차단기 Trip 시 B/Z 정지 .(Yes : “UVR” Reset 복구 )

No ( 동작 不 )

4~9. VCB “ 순차적” 수동 투입


4.“ 예비” SHV/B-2 VCB ON
① UVR 동작 → Reset 후 수동 투입
② OCR 동작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5.“ 예비” SHV/B-5 VCB ON


□.GIPAM 조작방법 → 상세 조작방법 첨부 -1 참조
→ F5 ( 트립해제 ) → CLOSE 누름 → Password →
6.“ 예비” SHV/7 ON
우측방향기 3 회 이동 후 → ENTER → CLOSE 2 회
→ CLOSE 상부 적색 LAMP 점등 ( 투입완료 )

7.“ 예비” HV/M2-2 ON

8.HV/TIE 1- A ON

예비
Reset 버튼 CLOSE 버튼
선로
9.HV/U1~U8 ON 전원
공급

10. 정전 / 순간 정전 과 연계 10. 전압 , 전류 ,LOAD 일지 비교 및 정상 운전 상태 확인

11. 전층 확인 11. 전층 전기 / 기계설비 확인 / 점검

6-42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 주” SHV/6 전산 Main VCB 고장으로 “예비” SHV/7 수전반으로 전원공급 시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2. 복 전 조건 .
12. 복 전 ① 주” SHV/6 Main VCB 고장 복구 완료
② 안내 방송
yes

13.“ 주” SHV/A-5 상태 확인 13. 1 차 전압 확인

14.HV/TIE 1-A VCB OFF 정전 14~16.VCB 수동 OFF.( 정전 발생 中 )


UP
S
15.“ 예비” HV/M2-2 OFF



16.“ 예비” SHV/7 OFF 中

17.”SHV/6” VCB ON 정상 17~19.VCB 수동 ON.( 복전 中 )


전원 ① UVR 동작 → Reset 후 수동 투입
공급 ② OCR 동작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18.HV/M1-2 VCB ON

19.HV/U1~U8 VCB ON

20. 정전 / 순간 정전과 연계 20. 전압 , 전류 ,LOAD 일지 비교 및 정상 운전 상태 확인

21. 보고서 21. 고장 원인 결과 종합 보고

22. 향후 대책 수립 .
22. 상황종료 ① 고장사례 및 대책방안 강구 / 전파 .
② 복 전 완료 안내방송 .

6-43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동력 “ A 모선” HV/M3-2, “B 모선” HV/M3-3 동시 고장 시 ( 발전 전원 공급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 정전 확인 .( 전등 Off 로 정전 인식 )
1. 고장발생 ① 항온항습기 부하 가동상태 확인


2. 랜턴 휴대 → SHV/A-2  “ UVR” 동작확인


2. 수전실 이동 B/Z 확인
→B/Z 만 정지

3.“HV/M3-2,M3-3” 확인 3.HV/M3-2, M3-3  “ Trip” 동작확인

No ( 동작 不 )

4.HV/M3-2, M3-3   2 차 사고 유발방지


4.SHV/8 VCB OFF
발전
전원
공급
5. 발전기 G-1,2 호기 수동운전 5~9. 발전기 VCB “ 순차적” 수동 투입
UVR 계전기 Trip 해지 및 Reset 후 수동 투입

6. 발전기 VCB ON

7. 발전기 메인 VCB ON

8. 발전기 HV/G-PM ON

9. 수전실 HV/G-PM ON

10.HV/P1~P6 ON 10. VCB “ 순차적” 수동 투입


UVR 계전기 Trip 해지 및 Reset 후 수동 투입

11. 정전 / 순간 정전과 연계 11. 전압 , 전류 ,LOAD 일지 비교 및 정상 운전 상태 확인


전층 전기 / 기계설비 확인 / 점검

6-44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동력 “ A 모선” HV/M3-2, “B 모선” HV/M3-3 동시 고장 시 ( 발전 전원 공급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발전 13. 복 전 조건 .
12. 복 전
전원 ① A 모선 HV/M3-2, B 모선 M3-3 VCB 고장 복구 완료
yes 공급
② 안내 방송

14. 발전전원공급 14.VCB 수동 ON.( 정전 발생 中 )


정전
수전실 HV/G- PM OFF ① UVR 동작 → Reset 후 수동 투입
② OCR 동작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15.”SHV/8” ON 15.VCB 수동 ON.( 복 전 )


① UVR 동작 → Reset 후 수동 투입
② OCR 동작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16.VCB 수동 ON.( 복 전 )
16.HV/M3-2 ON
① UVR 동작 → Reset 후 수동 투입
② OCR 동작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17.VCB 수동 ON.( 복 전 )
17.HV/P1~P6 ON
① UVR 동작 → Reset 후 수동 투입
② OCR 동작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정상
18.LV/P1~P16 전압 확인 전원
18. 1 차 전압 인가 여부 확인 및 일지 비교 확인
공급

19. 발전 HV/GM.G-PM OFF


19. VCB OFF 및 UVR 계전기 설정

20. 발전기 전원공급


(1.2 호기 ) VCB OFF 20. VCB OFF 및 UVR 계전기 설정

21. 발전기 G-1.2 호기


수동 정지 21. 발전기 정지 및 일지 작성 확인

22. 수전실 확인 22. 전층 전기 / 기계설비 확인 / 점검


① 냉수 펌프 , 공조기 , 항온항습기 ② 분전반 , 소방설비 등
③ 발전기 자동 선택 ④ 상황에 따라 A/S 신청
23. 전층 확인
23. 고장 원인 결과 종합 보고

21. 보고서 24. 향후 대책 수립 .


① 고장사례 및 대책방안 강구 / 전파 .
② 복 전 완료 안내방송 .

25. 상황 종료

6-45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MTR-1,2,3 고장 발생 시 ( 발전 전원 으로 공급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 고장발생 1. 정전 확인 .( 전등 Off 로 정전 인식 )
①UPS 1 차 전원 장애 여부
정전
②ALTS 자동 절 체 여부
UPS 2. 랜턴 휴대 → 동력 콘덴서 /H-1 “UVR” 동작확인
2. 수전실 이동 ∧ →B/Z 만 정지


3.” 주” SHV/6,7,8 상태 확인 中 3.”UVR” 및 DFR 동작 여부 .
∨ ① 차단기 Trip 시 B/Z 정지 .(Yes : “UVR” Reset 복구 )
② 발전기 “ Warming 中
4.SHV/A-2,5 VCB OFF

5.SHV/6,7,8 VCB OFF 확인


(Trip)
5. 장애 요소
①OCR,OCGR,DFR 동작 : 2 차 측 Shout or 과 부하
6.MTR-1.2.3 확인 ②VCB/ 변압기 소손 : A/S.
( 변압기 소손 ) 6. 변압기 육안 점검
①1 차 측 전압 , 전류계 “ 0 “ 확인
② 전원 투입 시 소음 발생
7.HV/U1~U8,P1~P8
OFF 확인
7.UVR 동작에 의한 VCB “Trip” 재 확인 및 OFF

8.G –1,2,3,4,5,6,7,8 호 기동 .(Warming )


8.G-1,2,3,4,5,6.7.8 수동 기동 ① 발전 전압 확인 (6.6KV)
② 급 , 배기 / 냉각수 펌프 정상 확인

9. 발전 전원 공급 9. 발전실 G-1,2,3,4,5,6,7,8 VCB 투입


(G-1,2,3,4,5,6,7 ON) → 발전실 HV/GM,UM,PM VCB 투입
발전기
→ 수전 실 HV/G-UM, G-PM VCB 투입
전원
공급 ① UVR 동작 → Reset 후 수동 투입
10. 발전 HV/GM,G-1,2,3 VCB ② OCR 동작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ON
10. 고장원인 파악
① 운영센터 비상연락망 가동 → 운영센터장 → DC 기술이행팀
11. 수전 HV/G-UM ② 유지보수 업체 外 호출 ( 지엔씨에너지 ,LS 산전 )
G-PM VCB ON ③ 필요 시 “경유” 보충

전원 11.VCB “ 순차적” 수동 투입
12.HV/U1~U8, P1~P8 ① UVR 동작 → Reset 후 수동 투입
정상
VCB ON ( 투입 ) 공급 ② OCR 동작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12. 각 설비 가동 상태 확인
13. 정전 / 순간 정전과 ① 냉수 펌프 , 공조기 ,E/L  등 ② 분전반 , 소방설비 등
연계 조치 ③ 상황에 따라 A/S 신청 ④ 발전기 정지 선택 ( 자동
선택 )

6-46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MTR-1,2,3 고장 발생 시 ( 발전 전원 으로 공급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발전기 14. 복 전 조건 .
14. 복 전 전원 ① 변압기 MTR – 1,2,3 고장 복구 / 교체 완료
공급 ② 발전기 (G-1,2,3,4,5,6,7,8) 수동 운전
③ 안내 방송

15.” 주” ALTS → OFF → 자동 선택


15.” 주” ALTS 확인 ① 주 ALTS A/S : LS 산전
② 예비 ALTS A/S : LS 산전

16. HV/G-UM,G-PM OFF 정전 16.VCB 수동 OFF.( 정전 발생 中 )


( 수전실 ) UPS
→ G-1,2,3,4,5,6,7,8 호 Warming 中 .
백업

17. SHV/2,5,6,7,8 VCB ON 16.VCB 수동 ON.( 정전 발생 中 )

17.VCB 수동 ON ( 복전 )
18.HV/U1~U8,P1~P8
① Trip 시 Reset 후 수동 투입
ON 확인
② OCR 동작 시 → 2 차 측 재 확인 후 수동 투입

전원 19. 각 설비 가동 상태 확인
19. 정전 / 순간정전 과
정상
연계 조치 공급

20. 보고서 20. 고장 원인 결과 종합 보고

21. 향후 대책 수립 .
22. 상황 종료 ① 고장사례 및 대책방안 강구 / 전파 .
② 복 전 완료 안내방송 .

6-47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TR/U3 고장 으로 TIE/U2 ACB 절체 전원공급 시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 정전 확인 .(BMS 모니터링 Trip 팝업발생 )


1. 고장발생 정 ① UPS 1 차 전원 장애 여부
전 ② ALTS 자동 절 체 여부

UP
S 2. 랜턴 휴대
2. 수전실 이동


업 3~4. 투입상태 확인 .
3. SHV/A-2,5 VCB 확인 中 → 차단기 Trip 시 B/Z 정지 .(Yes : “UVR” Reset 복구 )

4.SHV/6,7,8 VCB 확인

5.HV/U1 VCB 확인 5.”UVR” 동작 여부 .


(Trip) → 차단기 Trip 시 B/Z 정지 .(Yes : “UVR” Reset 복구 )

6. 변압기 육안 점검
6.TR/U13 확인
① 1 차 측 전압“ 0 “ 확인
( 변압기 소손 )
② 전원 투입 시 소음 발생

7.”TR/U3 복구 / 교체
yes

8.HV/U3 VCB OFF


8.VCB “ 안전상” OFF 후 TIE 전원 투입 .( 사전 조치 )
( 수동 )

9.LV/U3 ACB OFF 9.ACB “ 안전상” OFF 후 TIE 전원 투입 .( 사전 조치 )


( 수동 )

TIE
10.TIE/U2 ACB ON /U1
전원 10.ACB “ 순차적” 수동 ON (LV/U4 로 전원 공급 )
( 수동 )
공급

11.2,3 층 UPS A 그룹 전원
11.2,3 층 UPS A 그룹 가동 상태 확인
공급

6-48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TR/U3 고장 으로 TIE/U2 ACB 절체 전원공급 시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TIE
U1 12. 복 전 조건 .
12. 복 전 전원 ① 변압기 - 1 고장 복구 / 교체 완료
공급 ② 안내 방송

13.HV/U3 전압 확인 13. 1 차 6,600V 전압 확인 → TIE/U1 OFF 사전 확인

14.TIE/U2 ACB OFF 14.GIPAM 수동 OFF.( 정전 발생 )


( 수동 )

부분
15.HV/U3 VCB ON 정전
15.GIPAM VCB 정상 동작 확인 .( 전압 , 전류 外 )
( 수동 )

16.LV/U3 ACB ON 16.GIMAC ACB 수동 ON.( 복 전 )


( 수동 )
정상
전원
공급

17.4,5 층 UPS 18. 정상 전원공급 → 4,5 층 UPS A 그룹 가동 상태 확인


(A 그룹 전원공급 )

18. 보고서 19. 고장 원인 결과 종합 보고

20. 향후 대책 수립 .
19. 상황 종료 ① 고장사례 및 대책방안 강구 / 전파 .
② 복 전 완료 안내방송 .

6-49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TR/P1 고장으로 TIE/P1 ACB 전원 공급 시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 정전 확인 .( 모니터링 팝업 발생 고장 인식 )
1. 고장발생 → 항온항습기 1 차 전원 장애 여부

정전
2. 수전실 이동 2. 랜턴 휴대
UPS

백 3~4. 투입상태 확인 .
3. SHV/A-2,5 VCB 확인 → 차단기 Trip 시 B/Z 정지 .(Yes : “UVR” Reset 복구 )



4.SHV/6,7,8 VCB 확인

5.HV/P1 VCB 확인 5.”UVR” 동작 여부 .


(Trip) ① 차단기 Trip 시 B/Z 정지 .(Yes : “UVR” Reset 복구 )

6.TR/P1 확인 6. 변압기 육안 점검
( 변압기 소손 ) ① 1 차 측 전압 “ 0 “ 확인
② 전원 투입 시 소음 발생

7.”TR/P1 복구 / 교체 yes

8.HV/P1 VCB OFF 8.VCB “ 안전상” OFF 후 TIE 전원 투입 .( 사전 조치 )


( 수동 )

9.LV/P1 ACB OFF 9.ACB “ 안전상” OFF 후 TIE 전원 투입 .( 사전 조치 )


( 수동 )

10.TIE/P1 ACB ON
10.ACB “ 순차적” 수동 ON (LV/P1 으로 전원 공급 )
( 수동 )

11.LV/P2 ACB ON TIE


11.ACB“ 순차적”수동 ON (PE-HT-2A,3A 항온항습기 전원 공급 )
( 수동 ) P1
전원
공급
12.LV/P3 전원 확인 12. 항온항습기 전원 인가여부 확인
( 측정 )

13. 각 설비 전원 확인 13. 항온항습기 및 MCC#E4,E6 전원 인가여부 확인

6-50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TR/P1 고장으로 TIE/P1 ACB 전원 공급 시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TIE
/P1 14. 복 전 조건 .
14. 복 전 전원 ① 변압기 TR/P1 고장 복구 / 교체 완료
공급
② 안내 방송

15.HV/P1 전압 확인 15. 1 차 전압 확인 → TIE/P1 OFF 사전 확인

16.TIE/P1 ACB OFF 16. ACB 수동 OFF.( 정전 발생 )


( 수동 )

17.HV/P1 VCB ON 부분 17. VCB ON → 정상 동작 확인 .( 전압 , 전류 外 )


( 수동 ) 정전

18.LV/P1 ACB ON 18.ACB 수동 ON → ( 복 전 )


( 수동 )

정상
전원
19.LV/P2 ACB ON 공급 19.ACB 수동 ON → 2,3 층 A 항온항습기 정상 동작 확인
( 수동 )

20.LV/P3 전원 확인 20. MCC#E4, MCC#E6 → 정상 동작 확인 ( 전압 , 전류 外 )

21. 각 설비 전원 확인 21. 항온항습기 및 펌프 정상 동작 확인 ( 전압 , 전류 外 )

22. 보고서 21. 고장 원인 결과 종합 보고

21. 향후 대책 수립 .
23. 상황 종료
① 고장사례 및 대책방안 강구 / 전파 .
② 복 전 완료 안내방송 .

6-51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정류기 고장 시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 감시 모니터링 UPS 1.BMS 근무자 알람 메시지 확인 .


( 고장 알람 발생 ) ∧ ① 나머지 UPS 의 부하율 확인 .
병 ② 바이패스로 절체 여부 확인 .

운 2. 수 , 변전 설비 알람 / 장애 여부 확인 .

中 3. 해당 UPS D/P 패널 확인
2.UPS 실로 이동
∨ ① D/P 화면 심볼 확인

3. 확인
(UPS 전원공급 )
① ② ③ ④ ⑤ ⑥ ⑦

4. 확인
전면 제어 Panel 4. 전면 D/P 판넬 “ EVENTS LOG” 내역 확인 할 수 있음 .
Dispiay 경보 메시지 확인

5. 확인
EVENTS LOG 확인
알람 : Module Input Voltage is
out of Tolerance

5. “EVENTS LOG” 이력
① 알람 : Module Input Voltage is out of Tolerance
6. 비상 연락망 가동 ② 내용 : UPS 는 입력 전압이 UPS 셋팅 설정 범위를 벗어남
( 유지보수업체 外 )
③ 상태 : UPS 입력전원 허용범위 초과
또는 입력차단기 OFF
④ 조치 : UPS 병렬운전 및 D/P 상태 값 확인 후 UPS OFF
* UPS 출력부에 FAN 전워이 있어 줄력 OFF 시 내부온도 상승
7.Trouble shooting 하므로 UPS 입력전원 OFF
from
6. 상황 전파 .( 근무자 )
① 비상 연락망 가동 .
: MA 테크 / LG CNS / 운영센터 / DC 기술이행팀
8. 보고서 ② 필요 시 콘솔에 Data 백업 통보 .( 사전 협의 )

7. 해당 고장에 필요한 Spare part 준비하여 시스템 정상화


: Error 복구 / 이상 부품 교체
8. 고장 원인 결과 종합 보고 및 상황 종료
9. 상황 종료 ① 향후 대책 수립 .
② 고장사례 및 대책방안 강구 / 전파 .

6-52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인버터 고장 시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 감시 모니터링 UPS 1.BMS 근무자 알람 메시지 확인 .


( 고장 알람 발생 ) ∧ ① 나머지 UPS 의 부하율 확인 .
병 ② 바이패스로 절체 여부 확인 .

운 2. 수 , 변전 설비 알람 / 장애 여부 확인 .

中 3. 해당 UPS D/P 패널 확인
2.UPS 실로 이동
∨ ① D/P 화면 심볼 확인

3. 확인
(UPS 전원공급 )
① ② ③ ④ ⑤ ⑥ ⑦

4. 확인
전면 제어 Panel 4. 전면 D/P 판넬 “ EVENTS LOG” 내역 확인 할 수 있음 .
Dispiay 경보 메시지 확인

5. 확인
EVENTS LOG 확인
알람 : Module Output Voltage
is out of Tolerance

5. “EVENTS LOG” 이력
6. 비상 연락망 가동 ① 알람 : Module Output Voltage is out of Tolerance
( 유지보수업체 外 ) ② 내용 : UPS 는 출력 전압이 UPS 셋팅 설정 범위를 벗어남
③ 상태 : UPS 줄력전원 허용범위 초과
또는 출력차단기 OFF
④ 조치 : UPS 병렬운전 및 D/P 상태 값 확인 후 UPS OFF
* UPS 출력부에 FAN 전워이 있어 줄력 OFF 시 내부온도 상승
7.Trouble shooting 하므로 UPS 입력전원 OFF
from
6. 상황 전파 .( 근무자 )
① 비상 연락망 가동 .
: MA 테크 / LG CNS / 운영센터 / DC 기술이행팀
8. 보고서 ② 필요 시 콘솔에 Data 백업 통보 .( 사전 협의 )

7. 해당 고장에 필요한 Spare part 준비하여 시스템 정상화


: Error 복구 / 이상 부품 교체
8. 고장 원인 결과 종합 보고 및 상황 종료
9. 상황 종료 ① 향후 대책 수립 .
② 고장사례 및 대책방안 강구 / 전파 .

6-53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배터리 모듈 고장 시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 감시 모니터링 UPS 1.BMS 근무자 알람 메시지 확인 .


( 고장 알람 발생 ) ∧ ① 나머지 UPS 의 부하율 확인 .
병 ② 바이패스로 절체 여부 확인 .

운 2. 수 , 변전 설비 알람 / 장애 여부 확인 .

中 3. 해당 UPS D/P 패널 확인
2.UPS 실로 이동
∨ ① D/P 화면 심볼 확인

3. 확인
(UPS 전원공급 )
① ② ③ ④ ⑤ ⑥ ⑦

4. 확인
전면 제어 Panel 4. 전면 D/P 판넬 “ EVENTS LOG” 내역 확인 할 수 있음 .
Dispiay 경보 메시지 확인

5. 확인
EVENTS LOG 확인
알람 : Module Battery No
Longer Charging

5. “EVENTS LOG” 이력
① 알람 : Module Battery No Longer Charging
6. 비상 연락망 가동 ② 내용 : 모듈 배터리가 더 이상 충정하지 않음
( 유지보수업체 外 ) ③ 상태 : 배터리 방전 중
④ 조치 : UPS 병렬운전 및 D/P 상태 값 확인 후 UPS OFF
* UPS 출력부에 FAN 전워이 있어 줄력 OFF 시 내부온도 상승
하므로 UPS 입력전원 OFF
7.Trouble shooting
from 6. 상황 전파 .( 근무자 )
① 비상 연락망 가동 .
: MA 테크 / LG CNS / 운영센터 / DC 기술이행팀
② 필요 시 콘솔에 Data 백업 통보 .( 사전 협의 )
8. 보고서
7. 해당 고장에 필요한 Spare part 준비하여 시스템 정상화
: Error 복구 / 이상 부품 교체

8. 고장 원인 결과 종합 보고 및 상황 종료
9. 상황 종료
① 향후 대책 수립 .
② 고장사례 및 대책방안 강구 / 전파 .

6-54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바이패스 고장 시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 감시 모니터링 UPS 1.BMS 근무자 알람 메시지 확인 .


( 고장 알람 발생 ) ∧ ① 나머지 UPS 의 부하율 확인 .
병 ② 바이패스로 절체 여부 확인 .

운 2. 수 , 변전 설비 알람 / 장애 여부 확인 .

中 3. 해당 UPS D/P 패널 확인
2.UPS 실로 이동
∨ ① D/P 화면 심볼 확인

3. 확인
(UPS 전원공급 )
① ② ③ ④ ⑤ ⑥ ⑦

4. 확인
전면 제어 Panel 4. 전면 D/P 판넬 “ EVENTS LOG” 내역 확인 할 수 있음 .
Dispiay 경보 메시지 확인

5. 확인
EVENTS LOG 확인
알람 : Module Backfeed Relay
Failure

5. “EVENTS LOG” 이력
① 알람 : Module Backfeed Relay Failure
6. 비상 연락망 가동 ② 내용 : 바이패스 릴레이에 오류 발생
( 유지보수업체 外 ) ③ 상태 : 바이패스 이상발생
④ 조치 : UPS 병렬운전 및 D/P 상태 값 확인 후 UPS OFF
* UPS 출력부에 FAN 전워이 있어 줄력 OFF 시 내부온도 상승
하므로 UPS 입력전원 OFF
7.Trouble shooting
from 6. 상황 전파 .( 근무자 )
① 비상 연락망 가동 .
: MA 테크 / LG CNS / 운영센터 / DC 기술이행팀
② 필요 시 콘솔에 Data 백업 통보 .( 사전 협의 )
8. 보고서
7. 해당 고장에 필요한 Spare part 준비하여 시스템 정상화
: Error 복구 / 이상 부품 교체

8. 고장 원인 결과 종합 보고 및 상황 종료
9. 상황 종료
① 향후 대책 수립 .
② 고장사례 및 대책방안 강구 / 전파 .

6-55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FAN 고장 시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 감시 모니터링 UPS 1.BMS 근무자 알람 메시지 확인 .


( 고장 알람 발생 ) ∧ ① 나머지 UPS 의 부하율 확인 .
병 ② 바이패스로 절체 여부 확인 .

운 2. 수 , 변전 설비 알람 / 장애 여부 확인 .

中 3. 해당 UPS D/P 패널 확인
2.UPS 실로 이동
∨ ① D/P 화면 심볼 확인

3. 확인
(UPS 전원공급 )
① ② ③ ④ ⑤ ⑥ ⑦

4. 확인
전면 제어 Panel 4. 전면 D/P 판넬 “ EVENTS LOG” 내역 확인 할 수 있음 .
Dispiay 경보 메시지 확인

5. 확인
EVENTS LOG 확인
알람 : Module Fan Failure

5. “EVENTS LOG” 이력
① 알람 : Module Fan Failure
6. 비상 연락망 가동
② 내용 : UPS 내부 하나 이상의 Fan 오류가 발생
( 유지보수업체 外 )
③ 상태 : Fan 고장 발생
④ 조치 : UPS D/P 상태 값 확인
* UPS 출력부에 FAN 전워이 있어 줄력 OFF 시 내부온도 상승
하므로 UPS 입력전원 OFF
7.Trouble shooting
from
6. 상황 전파 .( 근무자 )
① 비상 연락망 가동 .
: MA 테크 / LG CNS / 운영센터 / DC 기술이행팀
② 필요 시 콘솔에 Data 백업 통보 .( 사전 협의 )
8. 보고서
7. 해당 고장에 필요한 Spare part 준비하여 시스템 정상화
: Error 복구 / 이상 부품 교체

8. 고장 원인 결과 종합 보고 및 상황 종료
9. 상황 종료 ① 향후 대책 수립 .
② 고장사례 및 대책방안 강구 / 전파 .

6-56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고온 발생 시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 감시 모니터링 UPS 1.BMS 근무자 알람 메시지 확인 .


( 고장 알람 발생 ) ∧ ① 나머지 UPS 의 부하율 확인 .
병 ② 바이패스로 절체 여부 확인 .

운 2. 수 , 변전 설비 알람 / 장애 여부 확인 .

中 3. 해당 UPS D/P 패널 확인
2.UPS 실로 이동
∨ ① D/P 화면 심볼 확인

3. 확인
(UPS 전원공급 )
① ② ③ ④ ⑤ ⑥ ⑦

4. 확인
전면 제어 Panel 4. 전면 D/P 판넬 “ EVENTS LOG” 내역 확인 할 수 있음 .
Dispiay 경보 메시지 확인

5. 확인
EVENTS LOG 확인
알람 : Module Temperature
Limit was Exceeded

5. “EVENTS LOG” 이력
① 알람 : Module Temperature Limit was Exceeded
6. 비상 연락망 가동 ② 내용 : UPS 내부 허용온도 초과 발생
( 유지보수업체 外 ) ③ 상태 : UPS 내부 허용온도 초과 및 주변온도 상승 발생
④ 조치 : UPS 병렬운전 및 D/P 상태 값 확인 후 UPS OFF
UPS 실 온도 점검 및 항온항습기 공급 온도 점검
* UPS 출력부에 FAN 전워이 있어 줄력 OFF 시 내부온도 상승
7.Trouble shooting 하므로 UPS 입력전원 OFF
from
6. 상황 전파 .( 근무자 )
① 비상 연락망 가동 .
: MA 테크 / LG CNS / 운영센터 / DC 기술이행팀
8. 보고서 ② 필요 시 콘솔에 Data 백업 통보 .( 사전 협의 )

7. 해당 고장에 필요한 Spare part 준비하여 시스템 정상화


: Error 복구 / 이상 부품 교체
8. 고장 원인 결과 종합 보고 및 상황 종료
9. 상황 종료
① 향후 대책 수립 .
② 고장사례 및 대책방안 강구 / 전파 .

6-57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23 층 UPS Main ACB 고장 시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 감시모니터링 UPS
( 고장 알람 발생 ) ∧ 1. 고장 알람 메시지 확인 .
백 ① 나머지 UPS 의 부하율 확인 .
업 ② 바이패스로 절 체 여부 확인 .
中 2. 설비 알람 / 장애 여부 확인 .
2. UPS 실로 이동 ∨

3. UPS 전원공급 상태 확인 3. UPS ALL 배터리 전원공급 중 확인

4. 원인 파악 ( 장애 요소 ) 4. 상황 전파 .( 근무자 ) → 비상 연락망 가동 .

5. Main ACB Trip 확인 5. 큐비클內 Main ACB 투입 off 상태 -> ACB Trip`
No
6. ACB 계전기 복구 (Reset) 6.Main ACB Reset 실패

No
7. Bypass ACB 투입 7.Bypass ACB 투입→ Static switch 전원공급

No
7. ACB 교체 (S/P) 7.ACB 차단기 교체 -> 세부 조작방법 첨부 -5 참조 `

8. 투입 준비
완료 yes

9. 복전 UPS
∧ 9. ACB 투입 및 LOAD 전력 표시 상태 `
ACB “ON” 투입


10. UPS 기동 투
10. 제어 패널 확인
( 해당 그룹 ) 입
∨ - Bypass Static switch,inverter,rectifier-charger 단의 각 해당

11. 각 UPS 그룹별 LOAD


확인 11. 각 그룹별 LOAD 확인

12. 정전 / 순간 정전 과 12. 해당 고장에 필요한 Spare part 준비하여 시스템


연계 조치 정상화
Error 복구 / 이상 부품 교체

13. 보고서 13. 고장 원인 결과 종합 보고 및 상황 종료


① 향후 대책 수립 .
② 고장사례 및 대책방안 강구 / 전파 .
14. 상황 종료

6-58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1 호기 1 차 ACB 고장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 감시모니터링 UPS
( 고장 알람 발생 ) ∧ 1. 고장 알람 메시지 확인 .
백 ① 나머지 UPS 의 부하율 확인 .
업 ② 바이패스로 절 체 여부 확인 .
中 2. 설비 알람 / 장애 여부 확인 .
2. UPS 실로 이동 ∨

3. UPS 전원공급 상태 확인 3. UPS 배터리 전원공급 중 확인

4. 원인 파악 4. 상황 전파 .( 근무자 ) → 비상 연락망 가동
( 장애 요소 )

5. 1 호기 ACB Trip 확인 5.1 호기 ACB off 상태 확인 -> ACB Trip`

No
6. ACB 계전기 복구 6.Main ACB Reset
(Reset)
No
7. ACB 교체
7.SP ACB 차단기 교체 -> 첨부 - 5 참조 `
(S/P)

8. 투입 준비
완료 yes

9. 복전 UPS
∧ 9. ACB 투입 및 LOAD 전력 표시 상태 `
ACB “ON” 투입


10. UPS 기동 투 10. 제어 패널 확인
( 해당 그룹 ) 입
∨ - Bypass Static switch,inverter,rectifier-charger 단의 각 해당

11. 각 UPS 그룹별 LOAD


확인 11. 각 그룹별 LOAD 확인

12. 정전 / 순간 정전 과 12. 해당 고장에 필요한 Spare part 준비하여 시스템


연계 조치 정상화
Error 복구 / 이상 부품 교체

13. 보고서 13. 고장 원인 결과 종합 보고 및 상황 종료


① 향후 대책 수립 .
② 고장사례 및 대책방안 강구 / 전파 .

14. 상황 종료

6-59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2 차 TR 고장 시 (EMS UPS-23B 그룹 )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1. 감시모니터링 2차
( 전력 하안값 )) TR
1. 전력감시 하안값 경보 발생시 고압측 전력 모니터링 확인
고장

2. 계측기 및 비상공구 지참
2. UPS 실로 이동

3. UPS 1 차 ACB 및 TR 1 차 ,2 차 ACB 전압 확인


3. UPS 전원공급 상태 확인

4. TR 2 차측 전압 확인
4. UPS 2 차 변압기 소손

5. 센터장 및 DC 기술이행팀 및 MA 테크 출동요청


5. 비상연락망 가동

6. 예비변압기 절체 승인 6. 센터장 절체 승인 후 조작

7. 고장 TR 1 차 , 2 차 ACB OFF 상태확인


7. UL-23B6 ACB 투입 ACB 투입 전 조작 KEY 로 잠금해제 후 ACB 투입

2차
8. 변압기 전원 공급 TR 8. TR 2 차 ACB 전압 확인
절체

9. UL-23B9 ACB 투입

10. 투입 후 UPS 상태 확인 및 변압기 상태 확인


10. UL-B(TIE) ACB 투입

11. 각 UPS 그룹별 LOAD 11. 각 그룹별 LOAD 확인


확인

12. 해당 고장에 필요한 Spare part 준비하여 시스템


12. 보고서
정상화
Error 복구 / 이상 부품 교체

13. 상황 종료 ① 향후 대책 수립 .
② 고장사례 및 대책방안 강구 / 전파 .

6-60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기동
현장 IMAGE 세부내용

6-61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정지
현장 IMAGE 세부내용

6-62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Bypass 운영


현장 IMAGE 세부내용

6-63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경보 발생시 UPS Fault 세부사항 -1


ㅁ .1 차 UPS 알람 ( 긴급 Bypass 운영 )
Alarm
NO Alarm 내용 상태 확인
image

1 Module Input Voltage is out UPS 는 입력 전압이 UPS 구성 페이지에 UPS 입력전원 허용범위 초과 디스플레이 확인 ,
of Tolerance 구성된 전송 지점을 벗어남 또는 입력스위치 OFF 스위치 상태확인

Module output voltage is 디스플레이 확인 ,


2 모듈의 출력 전압이 허용 범위를 벗어남 UPS 출력스위치 OFF
out of tolerance 스위치 상태확인

Module Output Voltage is UPS 출력 전압은 UPS 구성 페이지에 디스플 N 레이 확인 ,


3 UPS 출력스위치 OFF
out of Tolerance 구성된 변경점 설정을 벗어남 스위치 상태확인

Module Battery NO Longer


5 모듈 배터리가 더 이상 충전하지 않음 배터리 방전 중 디스플레이 확인
Charging

Module on battery
배터리 방전 중 , 배터리 잔여 디스플레이 확인 정류기
4 (estimated minutes 배터리 모듈 ( 예상 분 남은 : 27)
시간 표시 고장 시 출력스위치 OFF
remaining : 27)

디스플레이 확인 ,
UPS 는 하나 높거나 낮은 라인으로 인해 UPS 입력 허용범위 벗어남 입력전원확인 정류기
5 Module On Battery
배터리 전원으로 실행됨 ( 정전인식 ) 정류기 이상 고장 시
출력스위치 OFF

남은 배터리 런타임이보다 작거나 UPS


Module Low Battery 배터리 방전중 저전압 경고
6 구성 페이지에서 설정 한 배터리 부족 알람 디스플레이 확인
Condition 또는 ON/OFF 시 발생
시간과 동일

거의 없거나 전혀없는 배터리 전력이


7 Module Battery Depleted 남아있다 . UPS 는 유틸리티 전원이 손실 된 배터리 완방전 디스플레이 확인
경우 때 본 부하를 유지 할 수 없음

6 Module Backfeed Relay


백 피드 릴레이에 오류가 발생 바이패스 이상발생 디스플레이 확인
Failure

Module input voltage is UPS 입력 허용범위 벗어남 디스플레이 확인 정류기


8 모듈 입력 전압이 허용치를 벗어남
out of tolerance ( 정전인식 ) 정류기 이상 고장 시 출력스위치 OFF

Module temperature
9 limit was exceeded 모듈 온도 초과 ( 온도 : 65,516) 온도허용범위 초과 디스플레이 확인
( temperature : 65516 )

이것은 일반적으로 UPS 내부의 온도가 너무


Module Temperature 온도허용범위 초과로 인한
10 뜨거운 것을 의미한다 . 이 작업은 UPS 의 디스플레이 확인
Limit was Exceeded 알람발생
주위에 가난한 환기에 의해 발생할 수 있음

6-64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경보 발생시 UPS Fault 세부사항 -1


ㅁ .2 차 UPS 알람 (UPS 운영 ) - 1
Alar
NO m Alarm 내용 상태 확인
image

수정되지 않은 문제는 UPS 충전기 서브


1 Module Charger Failed 정류부 불량발생 디스플레이 확인
시스템 내에서 감지됨

UPS 의에서 도출되는 전원은 UPS 의 출력


2 Module Output Overload 과부하발생 디스플레이 확인
용량을 초과함

3 Module Battery Charging 모듈 배터리 충전중 배터리 충전 중 디스플레이 확인

Module retun from 디스플레이 확인 ,


4 배터리 퓨즈이상 고장 배터리스위치 ON
battery fuse blown 스위치 상태확인

Module battery fuse 디스플레이 확인 ,


5 모듈 배터리 퓨즈가 끊어짐 배터리스위치 OFF
blown 스위치 상태확인

Module Battery needs 하나 이상의 배터리 교체가


6 배터리 교체주기 경과 (10 년 ) 배터리 상태확인
replacing 필요하기로 결정됨

7 Module On Bypass 바이 패스는 현재는 UPS 에 종사 바이패스에 의한 전원공급 디스플레이 확인

바이패스전원 허용범위 초과 디스플레이 확인 ,


8 Module Bypass Bad 바이 패스는 허용 오차를 벗어남 또는 바이패스 스위치 스위치 상태확인
OFF 상태 입력전원확인
Module Lost
UPS 가 배터리 전원으로 실행하는
9 Communications While UPS 통신상태 이상 통신카드 확인
동안 UPS 에 통신이 끊어짐
On Battery

10 Module Battery Charging UPS 의 배터리가 충전중 배터리 충전 중 디스플레이 확인

Module Battery Fuse 배터리를 분리하거나 배터리 차단기 / 디스플레이 확인 ,


11 배터리스위치 OFF
Blown 퓨즈이 울 렸습니다 리셋하거나 교체해야함 스위치 상태확인

Module Battery 하나 이상의 배터리 성능이 저하되고 교체가


12 배터리 교체필요 디스플레이 확인
Degraded 필요할 수 있음

Module Bypass Normal


13 모듈 바이 패스 보통 ( 입력 전압 : 214) 바이패스 전원 정상 디스플레이 확인
( Input Voltage : 214 )

바이패스 전원 허용범위
Module Bypass bad 모듈 바이 패스 상태 좋지않음 ( 입력 전압 : 디스플레이 확인 ,
14 벗어나거나 바이패스 스위치
( Input Voltage :3 ) 3) 스위치 상태확인
(QS2) OFF 상태

6-65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경보 발생시 UPS Fault 세부사항 -2


ㅁ .2 차 UPS 알람 (UPS ON) - 2
Alarm
NO Alarm 내용 상태 확인
image
Module no longer running
모듈은 더 이상 바이 패스에서 실행하지
15 on bypass 바이패스 전원 정상 디스플레이 확인
않습니다 ( 입력 전압 : 214)
( input voltage : 214 )

Module on bypass
16 바이 패스 모듈 ( 입력 전압 : 218) 바이패스에 의한 전원공급 디스플레이 확인
( input voltage : 218)

Module Utility Power re-


모듈 유틸리티 전원이 복원 ( 남은 추정 분 :
17 stored (estimated UPS 복전 디스플레이 확인
0)
minutes remaining : 0 )
Module input voltage is
18 no longer out of 모듈 입력 전압 허용 오차 벗어남 UPS 허용오차범위 내 복귀 디스플레이 확인
tolerance

Module retun from


19 일반 경고에서 모듈 반환 UPS 일반경고 해제상태 디스플레이 확인
general warning

system load no longer UPS 시스템 ON/OFF 시


20 시스템 부하 전력 초과 디스플레이 확인
exceeds power margin 발생

system load exceeds UPS 시스템 ON/OFF 시


21 시스템 부하 전력 초과 디스플레이 확인
power marging 발생

22 Module general warning 모듈 일반적인 경고 UPS 일반경고 디스플레이 확인

Module system system


23 시스템 정상 복원 되지 않았음 모든 UPS 정상동작 디스플레이 확인
restart no longer pending

UPS 시스템 ON/OFF 시


24 system restart pending 시스템 재 시작 디스플레이 확인
발생

Module general fault


25 모듈 일반적으로 오류가 삭제됨 UPS 불량상태 해제 디스플레이 확인
has been cleared

26 Module general fault 모듈 일반적인 오류 UPS 불량발생 디스플레이 확인

Module temperature limit


27 back to normal 모듈 온도가 정상으로 복귀 ( 온도 : 65,516) 온도허용범위내 복귀 디스플레이 확인
( temperature : 65516 )

shutdown pending on
28 종료 모듈에 보류 인버터 OFF 버튼 누름 디스플레이 확인
module

29 Output Off As Requested 요청에 따라 UPS 출력이 해제됨 UPS 시스템 OFF 진행 디스플레이 확인

30 Module Output Is Off UPS 출력은 오프 상태 UPS 출력 OFF 디스플레이 확인

6-66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경보 발생시 UPS Fault 세부사항 -3


ㅁ .2 차 UPS 알람 (UPS ON) - 3
Alarm
NO Alarm 내용 상태 확인
image

31 Module System Is Off UPS 시스템은 오프 상태 UPS 시스템 OFF 디스플레이 확인

32 Module Fan Failure S 에 하나 이상의 팬의 오류가 감지됨 FAN 고장 발생 디스플레이 확인

33 Module Fuse Failure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퓨즈의 실패가 감지됨 FUSE 고장 발생 디스플레이 확인

34 Module General Fault UPS 의에서 일반 오류가 감지됨 UPS 중알람 발생 디스플레이 확인

Module Diagnostics
35 UPS 를 진단 테스트가 진행중 UPS 테스트 모드상태 엔지니어 AS 상태
Test in Progress

Module Diagnostics
36 마지막 진단 테스트의 결과는 실패를 나타냄 UPS 자가진단 실패 디스플레이 확인
Failed

Module Lost 문제점은 ManageUPS 네트 어댑터와


37 UPS 통신상태 이상 통신카드 확인
Communications UPS 간의 통신에서 발견됨

UPS 셧다운 , 출력이


UPS 출력은 꺼져 있고 UPS 는 입력 전원의 공급되고 있지 않거나 UPS 디스플레이 확인 ,
38 Module Awaiting Power
반환을 기다림 ON/OFF 스위치 상태확인
조작 시 발생
UPS 셧다운 , 출력이
Shutdown Pending On 공급되고 있지 않거나 UPS 디스플레이 확인 ,
39 지연 카운트 다운 후의 UPS 종료가 진행중
Module ON/OFF 스위치 상태확인
조작 시 발생
UPS 셧다운 , 출력이
Shutdown Imminent On 공급되고 있지 않거나 UPS 디스플레이 확인 ,
40 UPS 는 5 초 미만의 부하에 전원이 꺼짐
Module ON/OFF 스위치 상태확인
조작 시 발생

디스플레이 확인 ,
41 System Restart Pending 시스템 다시 시작 대기 중 UPS ON/OFF 조작 시 발생
스위치 상태확인

Module Autonomy 자율성 교정은 일어나고 , UPS 가 배터리


42 방전시간 자동시간교정 디스플레이 확인
Calibration 전원으로 실행됨

43 Module General Warning 일반적인 경고 조건은 UPS 에 발견됨 UPS 일반경고 디스플레이 확인

UPS 셧다운 , 출력이


Module Off As 공급되고 있지 않거나 UPS 디스플레이 확인 ,
44 요청에 따라 UPS 는 종료됨
Requested ON/OFF 스위치 상태확인
조작 시 발생

System Load Exceeds UPS 시스템 ON/OFF 시


45 시스템 부하 전력 한계를 초과 디스플레이 확인
Power Margin 발생

Failed To Synchronize 서버 ManageUPS 순 어댑터는 NTP 서버와


46 시간동기 실패 없음
System Clock With NTP 시스템 클럭을 동기화하는 데 실패함

6-67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전면부 부품 설명


ㅁ . 명칭 설명

구성도 Function 설명

QS1 입력 차단기

QS2 자동 바이패스

수동 바이패스
QS3
( 보수 )

QS4 출력 차단기

QS9 배터리 차단기

QS14 중성점 차단기

Socket 비상콘센트

Bypass Module 정적 모듈

Cap. Bench 커패시터 벤치

RECT U, V, W 정류기 모듈 R, S, T

6-68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후면부 부품 설명


ㅁ . 명칭 설명

구성도 Function 설명

KM1-KM3 전원 접촉부

EMI 입력 모듈
AP53-AP55
필터 보드

EMI 바이 패스
AP50-AP52
필터 보드

입력 차단기
TA12-TA14
입력 버스

EMI 입력
AP56-AP58
필터 보드

출력 차단기
TA15-TA17
입력 버스

EMI 배터리
AP60-AP61
필터 보드

EMI 배터리
AP68-AP69
필터 보드

EMI 중성점
AP59,AP66-AP67
필터 보드

각 모듈 EMI
AP72
필터보드

6-69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D/P LCD 설명


ㅁ . 명칭 설명

구성도 Function Details

1 Bypass Input 전압 및 주파수 측정

Output 3 상 입력의 전류 , 전압 및
Bypass
2 Mains Input
Input 주파수 값
1 9

바이패스 , 정류기 , 인버터 ,


3 Warning/Fault 부스터 / 충전기 , 배터리 및
부하의 이상 상황을 경고

중요한 ups 이벤트 ,


4 Events log 경보 및 기타 경고의
날짜 및 시간

각 내부 기능 블록의 전압 ,
Mains 5 Measures
전류 및 주파수 값
Input

2
온도 , 셀 전압 용량 가동
6 Battery 시간 및 테스트를 포함한
상태 / 값

Battery
Chloride LIFE.NET 연결
7 LIFE
및 호출 상태
10

8 Settings LCD 설정 및 언어 선택

전압 , 전류 , 주파수
9 Output
및 배터리 측정
3 4 5 6 7 8
Warning Events log Measures Battery LIFE Settings
/Fault
10 Battery 배터리 값 표시

6-70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EMS UPS – 그룹 단선결선도 (2,3 층 )

지하 3 층 UPS 설비 단선결선도 2,3 층

6-71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임승진

유형 □.[ Main
APMACB
UPS] OFF 조작법 [ MCCB ] [ UPS 조작반 ]
MAIN 1 호기 SPARE 출력 출력 Q5 출력
SPARE
12 11 9 OFF
5A2 ON
MAIN 1 10
2 호기 바이패스
SPARE Q3 MBP
11 5A1
10
조작금지
Q2
[ UPS D/P ] [ BCB ] 바이패스 8
OFF
ON

Q1 입력 OFF
5 6 7
ON

[ UPS D/P ]
3 2

확인 ㅁ . 1 단계 : UPS “2 대”병렬 확인
ㅁ . 2 단계 : Alarm / 장애 이력 재 확인 후

ACB 1 ACB Cubicle 출력 OFF


D/P 2 LOG IN : 로그인 선택 (P.W : 1234)
D/P 3 OPERATE 선택
D/P 4 Inverter OFF : 인버터 OFF 선택
D/P 5 인버터 System or Single OFF : 인버터 OFF 확인
- 1 호기 , 2 호기 병렬 정지 시 System 선택
OFF
UPS
순서 - 1 호기 , 2 호기 개별 정지 시 Single 선택
조치
UPS 6 BCB OFF : 배터리 차단기 OFF 확인
UPS 7 입력 OFF : Q1 ( 입력 스위치 ) OFF 확인
UPS 8 Bypass OFF : Q2 (Bypass) OFF 확인
UPS 9 출력 OFF : Q5 ( 출력 스위치 ) OFF 확인
MCCB 10 입력 MCCB OFF : 해당 호기 MCCB 차단기 OFF

ACB 11 Cubicle “1 차” 1, 2 호기 ACB : OFF 상태


ACB 12 Main 입력 ACB OFF : Main 입력 1 차 ACB 차단기 OFF

주의
*Inverter 동작 中 절대 Maintanace Bypass Switch(Q3) 투입 금지 *

6-72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임승진

유형 □. APM UPS ON 조작법


[ Main ACB ] [ MCCB ] [ UPS 조작반 ]
MAIN 1 호기 SPARE 출력 출력 Q5 출력
SPARE

1 2 13 4 OFF

ON
MAIN 3 5A2
2 호기 바이패스
SPARE Q3 MBP

2 3 5A1
조작금지

Q2
[ UPS D/P ] [ BCB ] 바이패스 5 OFF
9 8
ON
10
Q1 입력
OFF
7 6
ON

[ UPS D/P ] [ UPS D/P ]

12

11 12

입력전원 확인 1 Cubicle “1 차” Main ACB : ON 상태


2 Cubicle “1 차” 1, 2 호기 ACB : ON 상태
3 UPS 내부 육안 점검 : 정상 투입 및 이상유무 판단
내부 MCCB ON 1 호기 (5A1) MCCB ON 2 호기 (5A2) MCCB ON
- UPS 배터리 MAIN, 분기 차단기 ON 확인
출력 S/W ON
- 배터리 랙 AC 차단기 모두 투입 후 DC 차단기 모두 투입
내부
4 Q5( 출력 스위치 ) ON
내부 바이패스 ON
5 배터리실 이동
Q2(Bypass 스위치 ) ON
- 수 초 후 Bypass FAN 동작 확인
내부 입력 S/W ON 6 Q1( 입력 스위치 ) ON
- 20 초간 정류기 동작 확인
내부 BCB ON - D/P DC 전압 확인
7 BCB( 배터리 차단기 ) ON
(UPS) - UPS 배터리 스탠바이 상태 필히 확인
LOG IN
Display 8 LOG IN : 로그인 선택 (P.W : 1234)
9 OPERATE 선택
(UPS) 10 Inverter On : 인버터 On 선택
11
인버터 ON
Display 인버터 System or Single 확인 후 ON
1 호기 , 2 호기 병렬 동작 시 System 선택
(UPS)
알람내역 확인 1 호기 , 2 호기 개별 동작 시 Single 선택
Display - Inverter FAN 기동 확인 / Mains Output (V) 확인
ACB 출력 ON 12 발생 알람내역 (Event Log) 확인
13 ACB Cubicle 출력 ON
주의사항
*Inverter 동작 中 절대 Maintanace Bypass Switch(Q3) 투입 금지 *

6-73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임승진

유형 □. APM UPS
[ Main ACB ] OFF 조작법 [ MCCB] [ UPS 조작반 ]
MAIN 1 호기 SPARE 출력 출력 Q5 출력
SPARE

OFF
1 2 8
ON

MAIN 2 호기 바이패스 5A2


SPARE
Q3 MBP

OFF
4
5A1
ON

Q2
바이패스
[ UPS D/P ] [ BCB ] OFF
7
ON

Q1 입력
OFF
3
5 6 ON

입력전원 확인 Cubicle “1 차” Main ACB : ON 상태 확인


1
Cubicle “1 차” 1, 2 호기 ACB : ON 상태 확인

내부 출력 ON 2 1 호기 (5A1), 2 호기 (5A2) MCCB ON 상태 확인

내부 인버터 OFF 3 1 호기 (5A1), 2 호기 (5A2) Inverter OFF


- System 선택 시 : 전체 UPS Bypass 절체
- Single 한대 시 : 해당 UPS Inverter OFF (Bypass 대기모드 )
내부 MBP ON - Inverter FAN 정지 확인
4 UPS 1, 2 호기 Q3(Maintenance Bypass 스위치 ) ON

내부 BCB OFF
5 UPS 1, 2 호기 BCB(Battery 차단기 ) OFF
- UPS 출력 분전반의 Bypass(Tie) 확인
내부 입력 S/W OFF
6 UPS 1, 2 호기 Q1( 입력스위치 ) OFF
내부 Byapass ON
7 UPS 1, 2 호기 Q2(Bypass 스위치 ) OFF
- Bypass FAN 정지 확인
내부 출력 ON
8 UPS 1, 2 호기 Q5( 출력스위치 ) OFF
(UPS)
절체완료 확인
Display - Maintenance Bypass 절체 완료

주의사항
*Inverter 동작 中 절대 Maintanace Bypass Switch(Q3) 투입 금지 *

6-74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발전기 과 전류 발생 시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ㅁ . 한전 2 회선 정전 ㅁ . 발전기 재 기동 방법
1. 한전 2 회선 정전

정전
2. 발전기 자동 기동 ㅁ . 발전기 4 대 병렬운전
2
2
UP
S
3. 발전기실 이동 ㅁ . 운영센터 직원 ∧
백 1
1


4. 비상전원 절체 ㅁ . 정전 FLOW ∨

ㅁ . 발전기 재 기동시 ① 절환스위치를 0 위치에 놓는다


5. 발전기 과전류로 ㅁ . 발전기 경보 확인
발전기 4 대 DOWN

ㅁ .② RESET 버튼을 누른면 디스플레이 경보창 경보가 해제됨


6. 상황 전파 ㅁ . 비상연락망 가동
세진 파워 호출

ㅁ . ① 절체스위치를 AUTO 위치에 놓으면 발전기 자동 기동됨


7. 동력 LV 판넬 ㅁ . 전산실용 제외한 일반
부하 조정 전력 차단기 OFF

8. 발전기 재기동 ㅁ . 발전기 경보 RESET 후


재 기동 ㅁ . 한전 서부지점 유선 확인 : 배전 운영과 (02-710-2261)

9. 비상전원 절체 ㅁ . 정전 FLOW

9.UPS 확인 ㅁ . 전압 , 전류 ,LOAD 확인
ㅁ . 센터장 , DC 기술이행팀 보고 후 사고보고서 보관
정상 운전 확인

10. 정전원인 확인 ㅁ . 한전 문의
ㅁ . 상황 전파 및 ISSUE 상황 공유

11. 보 고 ㅁ . 사고 보고서 작성

12. 상황종료 ㅁ . 상황 전파

6-75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발전기 기동 중 실패 시 조치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ㅁ . 발전기 4 대 병렬운전 ㅁ . 발전기 재 기동 방법


1. 발전기 기동

정전
2. 발전기 1 대 기동 ㅁ . 발전기 1 대 기동실패 2
실패 2
UP
S
3. BMS 상황전파 ㅁ . 운영센터 직원 상황 전파 ∧ 1
백 1


4. 기동용 배터리 확인 ㅁ . 배터리 전압 확인 ∨

ㅁ . 발전기 재 기동시 ① 절환스위치를 0 위치에 놓는다

5. 연료탱크 확인 ㅁ . 연료량 확인

ㅁ .② RESET 버튼를 누른면 디스플레이 경보창 경보가 해제됨

6. 연료 필터 확인 ㅁ . 연료필터 막힘
여부 확인

ㅁ . ① 절체스위치를 AUTO 위치에 놓으면 발전기 자동 기동됨


7. 세진 파워 ㅁ . 전산실용 제외한 일반
출동 요청 전력 차단기 OFF

8. 원인제거 ㅁ . 원인제거 및 긴급조치


ㅁ . 한전 서부지점 유선 확인 : 배전 운영과 (02-710-2261)

9. 발전기 재기동 ㅁ . 발전기 재 기동

9.UPS 확인 ㅁ . 전압 , 전류 ,LOAD 확인 ㅁ . 센터장 ,DC 기술이행팀보고 후 사고보고서 보관


정상 운전 확인

10. 정전원인 확인 ㅁ . 한전 문의
ㅁ . 상황 전파 및 ISSUE 상황 공유

11. 보 고 ㅁ . 사고 보고서 작성

12. 상황종료 ㅁ . 상황 전파

6-76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발전기 전압 이상 시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ㅁ . 병렬운전 VCB 가 투입 ㅁ . 발전기 전압 셋팅 방법


1. 전압 이상 발생 되지 않는다

정전


2. 발전 실로 이동 ㅁ . 랜턴 / 무전기 휴대


UP
S
ㅁ . 발전기 컨트롤보드 ∧
3. 1 차 전압확인



4. 발전기 전압 조정 ㅁ . 디스플레이 셋팅 ∨

ㅁ . VOLT 0.78% 전압 조정을 ① ,② 를 눌러 전압


조정 후 발전기 병렬운전 확인
5. 전압조정 실패시 ㅁ . 세진 파워 긴급 출동요청
- LOAD 부하 조정
정상 기동 발전기
전원 공급

ㅁ . 병렬운전 VCB 자동투입 ㅁ . 한전 서부지점 유선 확인 : 배전 운영과 (02-710-2261)


6. 발전기 병렬운전
확인

7. 병렬운전 ㅁ . VCB 정상 투입 확인 ㅁ . 센터장 ,DC 기술이행팀보고 후 사고보고서 보관

ㅁ . 냉수펌프 ,E/L
8. 각 장비 확인 분전반 , 소방설비 ㅁ . 상황 전파 및 ISSUE 상황 공유
항온항습기 등

9.UPS 확인 ㅁ . 전압 , 전류 ,LOAD 확인
정상 운전 확인

10. 정전원인 확인 ㅁ . 한전 문의

11. 보 고 ㅁ . 사고 보고서 작성

12. 상황종료 ㅁ . 상황 전파

6-77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발전기 저 유압 상태 시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ㅁ . 발전기 엔진오일 보충
1. 저 유압 발생

정전
2. 발전 실로 이동 ㅁ . 랜턴 / 무전기 휴대 엔진오일 적정량 확인

UPS
ㅁ . 발전기 경보 확인 후
3. 발전기 경보확인 발전기 정지 후 조치 ∧
엔진오일 투입구


3. 세진 파워 출동 요청 中

ㅁ . 엔진오일 부족 시
5. 엔진오일 체크 보충한다

ㅁ . 엔진오일을 투입구에 넣고 오일 체크을 하여


6. 오일라인 확인 ㅁ . 발전기 하부 오일 누수
적정량만 투입
가 없는지 확인 한다

6. 오일필터 확인 ㅁ . 필터오염 여부 확인

VCB 순차 투입 ㅁ . 정전프로세스 순차 투입
ㅁ . 한전 서부지점 유선 확인
: 배전 운영과 (02-710-2261)
ㅁ . 냉수펌프 ,E/L
8. 각 장비 확인 분전반 , 소방설비
항온항습기 등

ㅁ . 센터장 ,DC 기술이행팀보고 후 사고보고서 보관


9.UPS 확인 ㅁ . 전압 , 전류 ,LOAD 확인
정상 운전 확인

10. 정전원인 확인 ㅁ . 한전 문의 ㅁ . 상황 전파 및 ISSUE 상황 공유

11. 보 고 ㅁ . 사고 보고서 작성

12. 상황종료 ㅁ . 상황 전파

6-78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발전기 냉각수 과 온도 상태 시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ㅁ . 발전기 RPM 확인
1. 과 온도 발생

정전
2. 발전 실로 이동 ㅁ . 랜턴 / 무전기 휴대

UP
S

ㅁ . 경보 확인 후 냉각수
3. 발전기 경보확인 백
부족일 경우 물보충

하여 발전기 재기동

서머스타트 고장시

4. 세진 파워 긴급 출동 ㅁ . 유진상과장 출동요청 ㅁ . 발전기 디스플레이 창 냉각수 온도 확인


107℃ 도달하면 발전기 자동 정지 됨

ㅁ . 전산용 부하를 제외한


5. 병렬운전
일반전력 차단기 OFF
발전기 3 대 병렬운전

6.VCB 순차 투입 ㅁ . 정전프로세스 순차 투입

7. 각 장비 확인 ㅁ . 냉수펌프 ,E/L
분전반 , 소방설비 ㅁ . 한전 서부지점 유선 확인 : 배전 운영과 (02-710-2261)
항온항습기 등

ㅁ . 전압 , 전류 ,LOAD 확인
8.UPS 확인 정상 운전 확인

ㅁ . 센터장 ,DC 기술이행팀 보고 후 사고보고서 보관

9. 정전원인 확인 ㅁ . 한전 문의
ㅁ . 상황 전파 및 ISSUE 상황 공유

10. 보 고 ㅁ . 사고 보고서 작성

11. 상황종료 ㅁ . 상황 전파

6-79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발전기 과 속도 상태 시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전압 조치 ( 이상 시 )

ㅁ . 발전기 RPM 확인
1. 과속도 확인

정전
2. 발전 실로 이동 ㅁ . 랜턴 / 무전기 휴대

3. 발전기 R.P.M 확인 ㅁ . 2070R.P.M 이상이 되면 ∧


자동 정지 백


4. 연료 드레인 확인 ㅁ . 연료 드레인 배관 확인 ∨

ㅁ . 발전기 디스플레이 창 RPM 확인


5. 발전기 업체 비상연락 ㅁ . 유진상과장 출동요청

6. 병렬운전 ㅁ . 전산용 부하를 제외한


일반전력 차단기 OFF
발전기 3 대 병렬운전

7.VCB 순차 투입 ㅁ . 정전프로세스 순차 투입

ㅁ . 한전 서부지점 유선 확인 : 배전 운영과 (02-710-2261)


ㅁ . 냉수펌프 ,E/L
8. 각 장비 확인 분전반 , 소방설비
항온항습기 등

9.UPS 확인 ㅁ . 전압 , 전류 ,LOAD 확인 ㅁ . 센터장 , DC 기술이행팀보고 후 사고보고서 보관


정상 운전 확인

10. 정전원인 확인 ㅁ . 한전 문의
ㅁ . 상황 전파 및 ISSUE 상황 공유

11. 보 고 ㅁ . 사고 보고서 작성

12. 상황종료 ㅁ . 상황 전파

6-80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Battery 누액 시 조치 사항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일일 점검

2. 누액 CELL 확인 2. 누액 및 전압 측정

3. 상황전파 3. 상황전파 및 비상 연락망 가동

4. 한불 출동 요청 4. 누액 상태 및 전압 측정 결과 및 긴급 출동 요청

5. 원인파악 5. 전압 , 저항 , 온도 등으로 교체 여부 판단

6. UPS 업체 출동 요청 6. 해당 UPS 출동 요청

7. 교체 일정 협의 7. 운영센터 , DC 기술이행팀

8. 해당 cell 교체 8. 누액 cell 교체 및 수시로 상태를 점검

9. 보 고 9. 센터장 , DC 기술이행팀보고 후 사고보고서 보관

10. 상황종료
10. 상황 전파 및 ISSUE 상황 공유

6-81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나 . 전기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발전기 단자 풀림 시 조치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일일 점검

2. 단자 풀림 확인 2. 유관점검으로 단자 풀림 및 열화확인
( 열화상측정 )

3. 상황전파 3. 상황전파 및 비상 연락망 가동

4. 한불 출동 요청 4. 누액 상태 및 전압 측정 결과 및 긴급 출동 요청

5. 원인파악 5. 전압 , 저항 , 온도 등으로 교체 여부 판단

6. UPS 업체 출동 요청 6. 해당 UPS 출동 요청

7. 교체 일정 협의 7. 운영센터 , DC 기술이행팀 , EMS

8. 해당 cell 교체 8. cell 교체 및 수시로 상태를 점검

9. 보 고 9. 센터장 , DC 기술이행팀 보고 후 사고보고서 보관

10. 상황종료 10. 상황 전파 및 ISSUE 상황 공유

6-82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소방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소화기 사용 요령 (1 차 초기 진압 )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화재지역 확인 1. 현장 출동 .
( 수신기 / 접수 ) -. 소화기를 들고 화재 현장출동 .
-. 무전기 지참 .

2. 발화점에 방사 ( 소화기 사용법 숙지 )


1) 소화기 손잡이의 윗부분을 잡고 안전핀을 뽑는다 .
2) 화점에서 3 ~ 5M 의 거리를 두고 노즐을
불이 있는 곳으로 향한다 .
2. 화재 현장 출동 3) 손잡이 ( 레버 ) 의 위 아래를 힘껏 움켜쥔다 .
4)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바람을 등지고
빗자루로 쓸듯이 바닥으로 방사한다 .

소화기 사용법

1. 손잡이를 잡고 불 쪽으로 접근한다 .

3. 화재진압실시
2. 안전핀을 뽑는다 .

4. 진압확인 ( 잔불 ) 3. 바람을 등지고 호스는 불을향한다 (2~3 M 전방 )

4. 손잡이를 힘껏 쥐어 방사한다

5. 보고 / 상황
종료

6-83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소방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소화전 사용 요령 (2 차 초기 진압 )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화재진압실시 1. 현장 출동 .
-. 화재 현장출동 -. 무전기 지참

2. 발화점에 방사 ( 소화전 사용법 숙지 )


1) 화재에 가까운 소화전함을 연다 .
2) 화점으로 이동하여 거리를 두고 노즐을 불이 있는 곳으로 향한다 .
3) 소화전 앵글밸브를 왼쪽으로 돌린다 .
4) 관창 분사를 조절하여 소화작업을 한다 .
5) 화재진압이 끝나면 소방호수를 원위치 한다 .

2. 진압확인 ( 잔불 )

1. 화재현장 가까운 소화전함을 연다 .

2. 소화전 호수를 화점으로 이동한다 .

3. 앵글밸브를 왼쪽으로 돌려서 연다 .


4. 화재진압이 끝나면 앵글밸브를 오른쪽으로
돌려서 잠근다 .

5. 보 고 / 상황
3. 보 고 / 상황
종료
종료
5. 화재진압이 끝나면 소방호수를 원위치 한다 .

6-84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소방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지하 4 층 습식 스프링쿨러 누수 시 조치 요령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현장 출동 .
1.BMS 수신기 방출확인 -. 해당층 현장출동
-. 무전기 지참

2. 신속히 현장에 도착하여 아람밸브 1 차측 게이트


밸브를 잠근다 .
3.2 차측 드레인밸브를 연다 .
4. 말단에 설치된 테스트 밸브함을 열고 볼밸브를 연다 .


2. 해당 밸브를 신속히
조작한다 ,

- ①알람밸브 1 차측 게이트밸브를 잠근다 .


- ②앵글 밸브를 열어 배관내 수압을
배출 시킨다 .

2. 누수지역을 신속히 조치한다 ,

- 말단에 설치된 테스트 밸브함 쪽으로 간다 .


- 말단에 설치된 테스트 밸브함을 연다
③ 배관내 수압을 볼밸브을 열고 배출 시킨다 .

3. 보 고 / 상황 - 배관 누수 및 파손된 헤드를 교체 후 장상으로


종료 배관내 수압을 채운다 .

6-85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소방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프리 액션 현장 수동 기동 방법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현장 출동 .
1. 해당층 구역별 (1,2)
프리액션실 출동 -. 해당층 현장출동
-. 무전기 지참


2 차측 게이트밸브


솔레노이드 ④ 셋팅밸브

2. 해당 밸브를 신속히
조작한다 , ③ 1 차측 게이트

프리액션 밸브 수동기동 방법
1) 현장 SVP( 슈퍼비죠리판넬 ) 기동버튼 (②) 을 누른다
기동이 안될 경우
2) 솔레노이드 밸브 (①) 면 작은버튼을 누르고
핸들을 수동으로 돌려서 동작시킨다

2. 누수지역을 신속히 조치한다 ,

② 기동버튼

3. 보 고 / 상황
종료
슈퍼 비죠리 판넬

6-86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소방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프리 액션 감지기 오동작 기동 시 복구 방법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현장 출동 .
1.BMS 수신기 방출확인 -. 해당층 현장출동 . 무전기 지참


2 차측 게이트밸브

2. 해당 밸브를 신속히
조작한다 ,

솔레노이드 ④ 셋팅밸브

③ 1 차측 게이트

2) 프리액션 밸브 작동 후 복구 방법

1) 1 차측 게이트 밸브 (③) 를 잠근다

2) 수신반에서 화재복구를 한다

3) 개방된 솔레노이드 밸브 (①) 를 복구시킨다

4) 드레인 밸브를 개방하여 2 차측 소화수를 방출시킨다


- 2 차측 게이트밸브 폐쇄

5) 셋팅밸브 (④) 를 열어 밸브를 셋팅한다

6) 1 차측 게이트밸브 (③) 를 서서히 연다 .


이때 소화수가 넘어가는 소리가 나지 않으면 셋팅 완료

3. 보 고 / 상황
종료

6-87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소방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이너젠 가스 감지기 오동작 시 복구 방법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화재발생 1. 현장 출동 .
-. 해당층 현장출동
-. 무전기 지참

2. 전산실 감지기설치 위치는 천정안 (a 회로 ,b 회로 )


1. 해당층 출동
천정 텍스 (a 회로 ,b 회로 )
악세스 플로어 바닥면 (a 회로 ,b 회로 )

3. 천정 안에서 감지기 동작 시 주위를 자세히 확인한다 ( 케이블 , 전등 )

4. 천정텍스 감지기 동작시 주위에 서버장비를 유심히 관찰한다 .


2. 감지기 위치를 찾고
화재의 여부를 확인한다 . 5, 악세스 후로아 바닥에서 감지기 동작시 전선 , 케이블 , 전원을 확인

6, 현장에 이상이 없으면 해당층 수신기 복구 스위치를 누른다

* 저층부 (2~5 층 ) 지하 2 층에 수신기 설치됨

* 고층부 (6,8,9 층 ) 지상 6 층에 수신기 설치됨

3. 보 고 / 상황
종료

6-88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소방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이너젠 가스 수동 기동 방법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화재발생 1. 현장 출동 .
-. 해당층 현장출동
-. 무전기 지참

Ⅰ 번 방법

수동조작함
기동스위치 커버
1. 해당층 출동

Ⅱ 번 방법

2. 해당 스위치 신속히 조작한다

Ⅲ 번 방법

Ⅰ. 해당방호구역 수동조작함 커버를 열고 기동스위치 기동

Ⅱ. 해당방호구역 기동용기 수동레버 조작


- ① 의 2 개의 안전핀을 제거 후 레버를 내린다

Ⅲ. 해당방호구역의 선택밸브를 수동으로 개방한다


1) ② 의 커버를 제거한다
2) 공구를 이용해 선택밸브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강제로 개방한다
3) 해당방호구역의 기동용기 수동개방 및 소화약제 방출

6-89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소방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이너젠 가스 수동 기동 방법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레버

기동용기 레버를 수동으로 기동

2. 해당 스위치 신속히 조작한다


기동용기가 동작이 안 될 때 해당 선택 밸브를 수동으로
열고 실린더에서 수동레버를 기동

3. 해당방호구역 소화약제 실린더 기동 및 소화약제 방출

4. 가스압식 담파 (P.R.D) 폐쇄

5. 화재진화여부 확인

3. 보 고 / 상황
종료 6. 담파 (P.R.D) 수동 복구 / 화재수신반 복구

6-90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소방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BMS 수신반 에러 시 복구 방법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모자이크 판넬 모자이크 판넬
확인램프 복구 안됨

현장에 이상 없고 모자이크 판넬에


확인램프 복구 안 될때

2.CRT 화면우측에 어드레스 번호가


자주 동작

모자이크판넬에 확인램프가 동작되어 복구해도 복구가


안되고 중계기 어드레스 번호가 0000000 모니터 확인

R형
3. 복합수신기 카바를 연다 . 복합식수신기
1 번 ~4 번 순서대로 리셋한다 .

4.PC 재부팅 한다 .

1번 3번 2번 4번

1 번 콘넥터 빼고 4 번 전원 켜고

2 번 휴즈 빼고 3 번 전원 켜고
15 초후
3 번 전원 끄고 2 번 휴즈 끼우고
3. 보 고 / 상황 1 번 콘넥터 끼운다
종료 4 번 전원 끄고

6-91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다 . 소방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감지기회로 단선 시 조치 방법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회로단선 시 CRT 표시
1.BMS CRT 회로단선표시

중계반 터치시

2. 중계반 터치

해당 중계기 터치시

3. 해당 중계기 터치

IN
통신라인
OUT ①

4. 해당층 해당 ③ 입력단자
( 감지기 )
중계기 확인

출력단자

IN ② ( 시설물 )
중계기전원
(24V) ⑤
OUT

④ 딥 스위치 ( 주소입력 )

① 통신계통에 이상이 있으면 LED OFF


② 감지기 2 회로 입력단자 : 회로에 종단저항 불량 시 중계기
전원상태 LED OFF
③ 출력 2 회로 입력단자 :
- 통신라인 ,LED 깜박임을 확인
- 중계기전원 LED ON 이면 정상
- 중계기 감지기측 전압을 제어 본다 .(20V~24V)
6. 보 고 / 상황 - 전압이 없으면 중계기 불량으로 교체한다 .
종료

6-92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한국지역난방공사 냉수공급 중단 시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한국지역난방공사 1. 상황 발생 .
냉수공급중단
① 냉수 1 차측 온도 지속적 상승 .
② 한국지역난방공사 냉수공급 중단 유선 통화 .
2.BMS 비상 알람 경보 작동 .
2.BMS 경보 발생
① 냉수 1,2 차측 공급온도 상한 확인
② 전산실 실내온도 상한 확인

3. 기계실로 신속한 이동 3. 비상용 랜턴 및 무전기 휴대 후 이동조치

4. 적외선 열량계 및 유량계 확인


원격운전 YES 4. 한국지역난방공사 냉수공급 중단 확인시 한국지역난방공사 유선통화
터보냉동기 원격운전 터보냉동기 및 냉수 설비 원격 가동 요청

원격운전 NO

전산실 냉수 적외선 열량계 전산실 냉수 적외선 유량계


3.5℃~5.5℃ 공급시 정상 500 ton 이상 공급시 정상
5. 한국지역난방공사 CRT 문제로 인하여 원격제어 불가시
5. 냉각탑 MAKE–UP 펌프 냉각탑 보충수 MAKE – UP 펌프 수동가동
수동운전

냉각탑 MAKE-UP 수동운전 버튼


펌프
6. 터보냉동기 및 냉수 설비 수동운전 실시
6. 터보냉동기 , 냉각탑 ① 터보냉동기 AUTO-> 수동 전환 ( 전동 v/v open 확인 )
냉수 , 냉각수 펌프 수동운전 ② 수동 전환시 냉각수 펌프 자동가동 ( 전동 v/v open 확인 )
③ 수동 전환시 냉수 펌프 자동가동 ( 전동 v/v open 확인 )
④ 수동 전환시 냉각탑 자동가동 ( 전동 v/v open 확인 )

터보냉동기 제어반 수동운전 버튼 전동 v/v


* 터보냉동시 수동운전시
냉각수 펌프 -> 냉수펌프 -> 냉각탑 -> 터보냉동기
순차적기동
7. 확인 – 1 7. 원격운전 or 수동운전 정상 가동시 가동상태 점검
MAKE-UP, 냉수 , 냉각수 펌프 ① 냉수 입 , 출구 압력 확인
가동상태 ② 냉각수 입 , 출구 압력 확인
③MAKE – UP 펌프 압력 확인

6-93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한국지역난방공사 냉수공급 중단 시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8. 냉각탑 가동상태 점검
① 냉각탑 MAKE – UP 상태 확인
8. 확인 – 2 ② 냉각탑 순환펌프 가동상태 확인
냉각탑 가동상태

9. 터보냉동기 가동 및 가동상태 확인
( 응축기 압력 , 증발기 압력 , 추기압력 , 베인 개도 개도
상태
9. 냉동기 가동 냉수 입 , 출구 온도 , 냉각수 입 , 출구 온도 확인
사이드글라스 ( 응축기 , 증발기 , 오일레벨 ) 확인 .)

터보냉동기 제어반 압력계

운전시 정상압력 좌 -> 우 순서


Low oil -10 ~ -
30 psi High oil
10 ~ 30 psi
EVAD 증발기 -10 ~ -30 psi
COND 콘덴서 0 ~
10. 한국지역난방공사 냉수공급 10 정상화psi 유선 통화 .
냉수 절체 터보냉동기 -> 지역냉수 (100%->0% 순차적 절체 )
① 냉수 1,2 차측 온도 정상화
10. 한국지역난방공사 ② 전산실 실내온도 정상 확인
냉수공급 정상화

전산실 냉수 적외선 열량계 전산실 냉수 적외선 유량계


3.5℃~5.5℃ 공급시 정상 500 ton 이상 공급시 정상

11. 터보냉동기 원격 or 수동 off


11. 터보냉동기 , 냉각탑 ,MAKE –UP 냉각수 , 냉수 ,MAKE-UP 펌프 원격 or 수동 off
펌프
냉수 , 냉각수 펌프 정상화
12. 고장원인 결과 종합 보고 및 상황 종료
① 향후 대책 수립 .
12. 보 고 / 상황 ② 고장사례 및
종료 대책방안 강구 / 전파 .

6-94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항온항습기 누수 발생 시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항온항습기 1. 상황 발생
누수 발생 ① 항온항습기 누수 발생

2.BMS 설비 PC 누수 경보 발생
2.BMS 경보 발생 ① 누수 항온항습기 호기 확인
② 전산실 내부 누수 감지기 작동여부 확인

3. 비상용 랜턴 및 무전기 휴대 후 이동조치


3. 전산실로 신속한 이동

4. 항온항습기 점검
4. 항온항습기 점검 ① 누수 감지기 오작동 확인
② 항온항습기 누수 점검

5. 누수부위 확인후 밸브조작


5. 항온항습기 밸브 조작 ① 항온항습기 냉수 입구 밸브 close
② 항온항습기 냉수 출구 밸브 close

6. 항온항습기 드레인 실시
6. 항온항습기 퇴수 ① 항온항습기 하부 드레인 밸브 open

7. 항온항습기 주변 복구 작업
7. 항온항습기 주변 복구 작업 ① 항온항습기 주변 흡수 작업
② 전산실 내부 누수 확인 및 흡수 작업
③ 항온항습기 하부 층 누수 확인 및 흡수 작업

6-95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항온항습기 누수 발생 시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8. 누수 경보 해제 확인 8. 복구작업 완료 후 누수경보 해제 여부 확인

9. 항온항습기 누수 부위 보수 작업
9. 항온항습기 누수
부위 보수 ① 자체 보수 가능시 운영센터 인원 보수 작업
② 자체 보수 불가시 유지보수 업체 A/S 통보

10. 항온항습기 충수 실시
10. 항온항습기 충수
① 항온항습기 하부 드레인 밸브 close

11. 누수 보수 부위 확인후 밸브조작


11. 항온항습기 밸브 조작
① 항온항습기 냉수 입구 밸브 open
② 항온항습기 냉수 출구 밸브 open

12. 항온항습기 보수 완료후 가동 테스트


12. 항온항습기 가동 테스트 ① 항온항습기 정상가동 여부 확인
② 항온항습기 누수 부위 확인

13. 항온항습기 정상가동


13. 항온항습기 정상가동

6-96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항온항습기 2way 밸브 고장 시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항온항습기 1. 상황 발생
2Way 밸브고장 ① 항온항습기 2way 밸브고장

2.BMS 설비 PC 전산실 온도상한 경보 발생


2.BMS 경보 발생

3. 전산실로 신속한 이동 3. 비상용 랜턴 및 무전기 휴대 후 이동조치

4. 항온항습기 점검
4. 온도상한 경보 발생 구역 냉방 공급 항온항습기 점검

5. 항온항습기 밸브 조작
5. 항온항습기 2way 컨트롤 밸브 고장 확인
① 냉수 공급 바이패스 밸브 open

6. 항온항습기 2way 밸브 전원 off


6. 항온항습기 2way 밸브 전원 차단

7. 항온항습기
2way 밸브 보수 7. 항온항습기 2way 밸브 보수 작업
① 자체 보수 가능시 운영센터 인원 보수 작업
② 자체 보수 불가시 유지보수 업체 A/S 통보

6-97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항온항습기 2way 밸브 고장 시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8. 항온항습기 2way 밸브 보수 완료
8. 항온항습기 2way 밸브 전원 on
① 항온항습기 2way 밸브 전원 공급

9. 항온항습기 2way 0~100% 작동 상태 점검


9. 항온항습기 2way 밸브 테스트

10. 항온항습기 2way 밸브 정상 가동 10. 항온항습기 2way 밸브 정상 가동

11. 항온항습기 밸브 조작 11. 냉수 공급 바이패스 밸브 close

12. 항온항습기 정상 가동 12. 항온항습기 정상 가동

6-98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항온항습기 Fan 고장 시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항온항습기 1. 상황 발생
FAN 고장 ① 항온항습기 FAN 고장

2.BMS 설비 PC 전산실 온도상한 경보 발생


2.BMS 경보 발생

3. 전산실로 신속한 이동 3. 비상용 랜턴 및 무전기 휴대 후 이동조치

4. 항온항습기 점검 4. 온도상한 경보 발생 구역 냉방 공급 항온항습기 점검

5. 항온항습기 FAN 고장 확인
5. 항온항습기 FAN 전원 off ① 항온항습기 FAN 전원 차단

6. 항온항습기 FAN 보수 작업
① 자체 보수 가능시 운영센터 인원 보수 작업
6. 항온항습기
② 자체 보수 불가시 유지보수 업체 A/S 통보
FAN 보수 or 교체

7. 항온항습기 보수 완료
7. 항온항습기 FAN 전원 on ① 항온항습기 FAN 전원 공급

6-99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항온항습기 Fan 고장 시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8. 항온항습기 가동 테스트 8. 항온항습기 FAN 가동 테스트


① 급기 풍량 측정 240 CMM 이상 확인

9. 항온항습기 정상가동
9. 항온항습기 정상가동

6-100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열교환기 누수 시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열교환기 1. 상황 발생
누수 발생 ① 열교환기 누수 발생

2.BMS 설비 PC 유량 하한 경보 발생
2.BMS 경보 발생

3. 비상용 랜턴 및 무전기 휴대 후 이동조치


3. 기계실로 신속한 이동

4. 열교환기 점검
① 열교환기 누수 점검
4. 열교환기 점검
② 열교환기 연결 배관 누수 점검

5. 열교환기 누수 확인
① 한국지역난방공사 통보 ( 유선통보 )
5. 한국지역난방공사 통보
② 열교환기 절체 운전 협의

6. 한국지역난방공사 협의후 예비 열교환기 가동


① 예비 열교환기 1 차측 입 , 출구 밸브 open
6. 예비 열교환기 밸브조작

② 예비 열교환기 2 차측 입 , 출구 밸브 open

6-101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열교환기 누수 시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7. 예비 열교환기 정상 가동 후
7. 누수 열교환기 밸브조작
① 누수 열교환기 1 차측 입 , 출구 밸브 close

② 누수 열교환기 2 차측 입 , 출구 밸브 close

8. 열교환기 퇴수

8. 누수 열교환기 퇴수 작업
① 열교환기 하부 드레인 밸브 open

9. 열교환기 보수
9. 열교환기 보수 작업
① 자체 보수 가능시 운영센터 인원 보수 작업
② 자체 보수 불가시 유지보수 업체 A/S 통보

10. 보수 열교환기 테스트

10. 열교환시 누수 보수 완료 후 테스트


① 누수 보수 부위 점검
② 열교환기 수압 테스트

6-102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열교환기 누수 시 -3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0. 보수 열교환기 테스트 10. 열교환시 누수 보수 완료 후 테스트


① 누수 보수 부위 점검
② 열교환기 수압 테스트

11. 열교환기 보수 및 테스트 완료후


11. 한국지역난방공사 통보
① 한국지역난방공사 통보 ( 유선통보 )
② 열교환기 절체 운전 협의

12. 한국지역난방공사 협의후 보수 열교환기 가동


12. 보수 열교환기 밸브조작
① 보수 열교환기 1 차측 입 , 출구 밸브 open

② 보수 열교환기 2 차측 입 , 출구 밸브 open

6-103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열교환기 누수 시 -4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3. 예비 열교환기 밸브조작 13. 보수 열교환기 정상 가동 후


① 예비 열교환기 1 차측 입 , 출구 밸브 close

② 예비 열교환기 2 차측 입 , 출구 밸브 close

14. 열교환기 정상 가동 14. 열교환기 정상가동

6-104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열교환기 컨트롤 밸브 고장 시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열교환기 1. 상황 발생
컨트롤 밸브 고장 ① 열교환기 컨트롤 밸브 고장

2.BMS 경보 발생 2.BMS 설비 PC 열교환기 온도 상한 경보 발생

3. 기계실로 신속한 이동 3. 비상용 랜턴 및 무전기 휴대 후 이동조치

4. 열교환기 점검
4. 열교환기 점검
① 열교환기 컨트롤 밸브 점검

5.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 조작 5. 열교환기 컨트롤 밸브 고장 확인


①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 open

6. 열교환기 보수 작업
6. 컨트롤 밸브 보수 ① 자체 보수 가능시 운영센터 인원 보수 작업
② 자체 보수 불가시 유지보수 업체 A/S 통보

6-105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열교환기 컨트롤 밸브 고장 시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7. 열교환기 컨트롤 밸브 보수 완료 후
7. 컨트롤 밸브 테스트
① 열교환기 컨트롤 밸브 0~100% 작동 상태 점검

8. 열교환기 컨트롤 밸브 8. 열교환기 컨트롤 밸브 정상 가동


정상 가동

9.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 조작 9. 열교환기 컨트롤 밸브 정상 가동후


①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 close

10. 열교환기 정상가동 10. 열교환기 정상 가동

6-106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냉수 펌프 고장 시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상황 발생
1. 냉수 펌프 고장 ① 냉수 펌프 고장

2.BMS 설비 PC 유량 하한 경보 발생
2.BMS 경보 발생

3. 기계실로 신속한 이동 3. 비상용 랜턴 및 무전기 휴대 후 이동조치

4. 냉수 펌프 점검 4. 냉수 펌프 점검

5. 고장 펌프 정지 5. 냉수 펌프 고장 확인
① 펌프 가동 정지
② 펌프 Main 전원 차단

6. 고장 펌프 입 , 출구 밸브 조작 6. 고장 냉수 펌프 입 , 출구 밸브 close

6-107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냉수 펌프 고장 시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7. 예비 펌프 입 , 출구 밸브 조작 7. 예비 냉수 펌프 입 , 출구 밸브 open

8. 예비 펌프 가동 8. 예비 냉수 펌프 가동

9. 냉수 펌프 보수 작업
9. 펌프 보수 ① 자체 보수 가능시 운영센터 인원 보수 작업
② 자체 보수 불가시 유지보수 업체 A/S 통보

10. 냉수 펌프 보수 완료 후
10. 펌프 가동 테스트
① 펌프 Main 전원 공급

② 펌프 입 , 출구 밸브 open

③ 펌프 가동 테스트

6-108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냉수 펌프 고장 시 -3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1. 펌프 정상 가동 11. 냉수 펌프 보수 및 테스트 완료


① 냉수 펌프 정상 가동

12. 예비 펌프 가동 정지 12. 예비 냉수 펌프 가동 정지

13. 예비 펌프 입 , 출구 밸브 조작 13. 예비 냉수 펌프 입 , 출구 밸브 close

14. 냉수 펌프 정상 가동 14. 냉수 펌프 정상 가동

6-109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저수조 누수 시 -1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상황 발생
1. 지하 저수조
누수 발생 ① 지하 저수조 누수 발생

2.BMS 설비 PC 저주조 저수위 경보 발생


2.BMS 경보 발생 ① 저수위 경보 발생 확인
② 저수조 수위 레벨의 급변동 발생 확인

3. 기계실로 신속한 이동 3. 비상용 랜턴 및 무전기 휴대 후 이동조치

4. 저주조 점검 4. 저수조 점검

5. 누수부위 확인후 밸브조작


5. 저수조 밸브 조작
① 저수조 상부 시수 급수 밸브 close
② 소화용수 공급 밸브 close
③ 저층부 공급 밸브 close
④ 고층부 공급 밸브 close

6.DDC 판넬 스위치 조작 6.DDC 판넬 스위치 절체 ( 지하 4 층 장비 반입구 입구측 )


①A 저수조 누수시 스위치 A→B 절체
②B 저수조 누수시 스위치 B→A 절체

B A

6-110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저수조 누수 시 -2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7. 저수조 퇴수
7. 저수조 퇴수
① 다량의 누수 발생시 저수조 드레인 밸브 open
② 누수 부위 수위 도달시 저수조 드레인 밸브 close

8. 수중펌프 설치 및 펌핑 작업 8. 누수 탱크 내부 수중펌프 설치 후 펌핑 작업 실시
①A 저수조 누수시 A→B 펌핑
②B 저수조 누수시 B→A 펌핑

9. 저수조 주변 복구 작업 9. 저수조 주변 누수 피해구역 복구 작업


① 피해구역 주변 흡수기를 이용한 흡수 작업
② 피해구역 주변 기계 , 전기 설비 점검

10. 저수조 누수 원인 파악 및 보수 작업
10. 저수조 누수 ① 저수조 누수 원인 파악
부위 보수 ② 자체 보수 가능시 운영센터 인원 보수 작업
③ 자체 보수 불가시 유지보수 업체 A/S 통보

11. 저수조 충수 및 보수 부위 점검
11. 저수조 충수
① 저수조 상부 시수 급수 밸브 open
② 누수 보수 부위 점점

6-111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저수조 누수 시 -3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2. 저수조 밸브 조작 12. 최종 점검 후 이상 없을 경우 저수조 밸브 조작


① 소화용수 공급 밸브 open
② 저층부 공급 밸브 open
③ 고층부 공급 밸브 open

13. 저수조 정상가동 13. 저수조 정상가동

6-112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라 . 기계 설비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부스터 펌프 고장 시 -4
대응 Process / 확인 사항 조치 ( 이상 시 )

1. 부스터 펌프 1. 상황 발생
인버터 고장 ① 냉수 펌프 고장

2.BMS 경보 발생 2.BMS 설비 PC 부트터 펌프 경보 발생

3. 기계실로 신속한 이동 3. 비상용 랜턴 및 무전기 휴대 후 이동조치

4. 부스터 펌프 점검 4. 부스터 펌프 점검

5. 부스터 펌프 인버터 고장 확인
5. 부스터 펌프 인버터 정지
① 인버터 전원 차단

6. 부스터 펌프 수동 조작 스위치 on
6. 부스터 펌프 수동 조작

7. 부스터 펌프 인버터 보수
7. 부스터 펌프 ① 부스터 펌프 인버터 고장 원인 파악
인버터 보수
② 자체 보수 가능시 운영센터 인원 보수 작업
③ 자체 보수 불가시 유지보수 업체 A/S 통보

8. 인버터 보수 완료 후 부스터 펌프 수동 조작 스위치 off


8. 부스터 펌프 수동 조작

9. 부스터 펌프 정상 가동 9. 부스터 펌프 인버터 정상 가동

6-113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마 . 당직자 비상대응 Process

초기 비상연락 및 보고 Process 당직 근무자 역할 및 개인임무

[ 위기대응 Process]
[ 전기 부문 ] 센터장

위치 BMS BMS 1 차 출동 1 차 출동 2 차 출동 경계

담당 기계 -2 전기 -3 전기 1 전기 2 기계 1 보안

발전기운전
비상연락 전원투입 펌프 ,CRAC
상황지휘 현장점검 비상방송
모니터링 순차적투입 확인
임무 상황보고 경유확인 인원통제
( 전력 , 단속운전 펌프가동
전화응대 급/ 출입통제
설비 ) 전력확인 MCC 확인
배기확인
경광봉
지참 - - 랜턴 랜턴 랜턴
안전띠
SMS 문자
연락망 - 종합상황실 - - -
( 발송 )

※ BMS 역할 [ 화재 부문 ]

구분 세부 내용 위치 BMS BMS 1 차 출동 1 차 출동 2 차 출동 경계

담당 기계 -2 전기 -3 전기 1 전기 2 기계 1 보안
- 최초 Risk 감지 및 건물 상황 통제
모니터링 수행 비상연락
역할 상황지휘 소화기소화 소화기소화 방열복착용 비상방송
- 상황파악 전달 및 DC 기술이행팀과 모니터링
임무 상황보고 환자이송 환자이송 소화전소화 인원통제
( 전력 ,
협업하여 업무 수행 전화응대 복구지원 복구지원 복구지원 환자이송
설비 )
경광봉
소화기 소화기
지참 - - 방열복 안전띠 /
랜턴 랜턴
들것
- DC 기술이행팀 , 유관기관 , 유지보수업체
유선연락 SMS 문자
- 종합상황실 연락망 - 종합상황실 - - -
( 발송 )

[ 누수 부문 ]
SMS
- DC 기술이행팀
발송 위치 BMS BMS 1 차 출동 1 차 출동 2 차 출동 경계

담당 전기 -2 전기 -3 기계 1 기계 2 전기 1 보안

비상연락 누전점검
상황지휘 누수파악 차수작업 비상방송
① 소방설비 작동상태 및 출입문 개방 확인 모니터링 배수펌프
임무 상황보고 밸브차단 시설물보양 인원통제
② 비상방송 송출 확인 ( 전력 , 배수작업
모니터링 전화응대 복구지원 복구지원 출입통제
③ 엘리베이터 정지 설비 ) 복구지원
④ 전력계통 , UPS, CRAC 가동상태 확인 공구가방 사다리 경광봉
지참 - - 누설전류계
랜턴 비닐랜턴 안전띠
SMS 문자
연락망 - 종합상황실 - - -
( 발송 )

6-114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마 . 당직자 비상대응 Process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한전 “정전”시 -1
절차 확인 / 조치 사항 용도 위치 담당자

□ 전등 소등

상황 인식 □ SHV-A-2 B/Z Alarm 확인 / 정지


한전인입 (Main) B4F 전기실 전기 -1
□ SHV-B-1 LBS ( 녹색 ) 표시등 점등
□ SHV-B-2 22.9KV 전압 확인

□ 발전기 자동 기동 확인
발전기 발전기
□ G-1~7 VCB 자동 투입 확인 B4F 발전기실 전기 -2
자동기동 확인 호기별 차단기
12F 발전기실
□ G-8 P-22 1 차 전압 확인

1 HV/GM Main VCB 투입


발전기실 (Main)
2 G1-UM ( 전산 ) VCB 투입
발전기실 발전기실 (UPS)
3 G2-PM ( 동력 ) VCB 투입 발전기실 ( 동력 ) B4F 발전기실 전기 -2
차단기 투입
4 G3- 한난 VCB 투입 발전기실 ( 한난 )

5 HV-G-PM VCB 투입 전기실 발전기


전기실
발전기 6 HV-G-UM VCB 투입 ( 동력 Main) B4F 전기실 전기 -1
차단기 투입 7 P-22 ACB 투입 (7 층 UPS) 전기실 발전
(UPS Main)

8 ~ 14 HV-P1~P6,P8 VCB 투입
전기실
동력 Group 전원
그룹별 차단기 15 ~ 22 HV-U1~U8 VCB 투입 B4F 전기실 전기 -1
투입 UPS Group 전원

□ 저압반 투입상태 점검
□ UPS 작동상태 점검
점검 □ 각층 EPS 실 분전반 점검 전층 설비실 전기 -1,2

□ 전층 설비 작동상태 점검

보고 □ BMS 상황실 보고 B1F BMS 실 전기 -1

6-115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마 . 당직자 비상대응 Process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한전 “정전”시 -2
역할 (1) 확인 / 조치 사항 역할 (2) 확인 / 조치 사항

□ UPS 배터리 동작상태 , □ 유선 연락

출력부하 확인 ① 김훈동 센터장 ( 운영센터장 )


FMS 상태 확인 ② 박준호 팀장 (DC 기술이행팀 )
( 정전 발생 즉시 ) □ UPS 저압 분전반 정상 확인 유선연락
□ 층별 전산실 온도 확인
□ 승강기 내부 승객 확인

전기실 □ [ 전기실 ] 비상대응 진행상황 확인


진행상황 확인

□ UPS 동작상태 , 출력부하 확인 □ 대상 : DC 기술이행팀


□ UPS 저압 분전반 정상 확인 + 시설 + 보안
□ 냉수펌프 가동 , 냉수 유량 확인
□ 냉수 열교환기 2way 밸브 [ 한전 정전발생 현장 출동
Open 확인 바랍니다 –상암운영센터 - ]
FMS 상태 확인 □ 층별 항온항습기 가동 확인

( 발전기 전원투입 □ UPS 실 공조기 가동 확인 [ 정전 발생으로 비상발전기 가동 및


후) □ 수변전실 냉방기 가동 확인 설비 상태 점검 중 이상 없음

□ 전층 승강기 운행상태 확인 SMS 발송 – 상암운영센터 - ]

□ 전력 / 설비 모니터링 상태 확인

6-116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마 . 당직자 비상대응 Process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한전 “복전”시 -1
절차 확인 / 조치 사항 용도 위치 담당자

□ ALTS-B 전원 2 점등 / 개폐상태점등확인
□ SHV-A-2 LAMP 확인
상황 인식 □ SHV-B-1 LBS ( 적색 ) 표시등 점등 확인 B4F 전기실 전기 -1
한전인입 (Main)
□ SHV-B-2 22.9KV 전압 확인

전기실 발전기
전기실 1 HV-G-PM VCB OFF
( 동력 Main) B4F 전기실 전기 -2
발전기 차단기 전기실 발전
2 HV-G-UM VCB OFF
OFF (UPS Main)

3 SHV-B-5 VCB 투입
한전인입 (Main)
전기실 □ SHV-6 VCB 확인 ( 전원 투입 ) 한전인입 (UPS) B4F 전기실 전기 -1
한전인입 □ SHV-8 VCB 확인 ( 전원 투입 ) 한전인입 ( 동력 )
□ SHV-10 VCB 확인 ( 전원 투입 ) 한전인입 ( 한난 )
차단기 투입

4 HV-M3-2 VCB 투입
전기실 한전
5 ~ 11 HV-P1~P6, P8 VCB 투입
( 동력 Main)
전기실 12 HV-M1-2 VCB 투입 동력 Group 전원 B4F 전기실 전기 -1
그룹별 13 ~ 21 HV-U1~U9 VCB 투입 전기실 한전
(UPS Main)
차단기 투입 22 LV-P21 ACB 투입→ ATS 절체 UPS Group 전원
3 LV-P22 ACB OFF

□ 발전기 자동 정지 확인
발전기 □ G-1~7 VCB 자동 차단 발전기 B4F 발전기실 전기 -2
자동정지 확인 □ G-8 VCB 자동 차단 호기별 차단기 12F 발전기실

□ 저압반 투입상태 점검
□ UPS 작동상태 점검

점검 □ 각층 EPS 실 분전반 점검 전층 설비실 전기 -1,2


□ 전층 설비 작동상태 점검

□ BMS 상황실 보고
보고 B1F BMS 실 전기 -1

6-117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마 . 당직자 비상대응 Process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한전 “복전”시 -2
역할 (1) 확인 / 조치 사항 역할 (2) 확인 / 조치 사항

□ UPS 배터리 충전상태 , 출력부하확인 □ 유선 연락


① 김훈동 센터장 ( 운영센터장 )
FMS 상태 확인 □ UPS 저압 분전반 정상 확인 ② 박준호 팀장 (DC 기술이행팀 )
( 한전 복구 즉시 ) □ 층별 전산실 온도 확인
□ 승강기 내부 승객 확인 유선연락

전기실
□ [ 전기실 ] 비상대응 진행상황 확인
진행상황 확인

□ UPS 동작상태 , 출력부하 확인 □ 대상 : DC 기술이행팀


□ UPS 저압 분전반 정상 확인 + 시설 + 보안
□ 냉수펌프 가동 , 냉수 유량 확인
□ 냉수 열교환기 2way 밸브 [ 한전 복전 완료 설비상태 점검 중
Open 확인 – 상암운영센터 - ]
FMS 상태 확인 □ 층별 항온항습기 가동 확인
SMS 발송
( 한전전원 투입 후 ) □ 층별 전산실 온도 확인 [ 한전 복전 완료 설비 점검결과
□ UPS 실 공조기 가동 확인 이상 없음 –상암운영센터 - ]
□ 수변전실 냉방기 가동 확인
□ 전층 승강기 운행상태 확인
□ 전력 / 설비 모니터링 상태 확인

6-118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마 . 당직자 비상대응 Process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한난 냉수공급 중단 시 -1
절차 확인 / 조치 사항 용도 위치 담당자

상황 인식 □ 냉수 상한경보 발생 B1F BMS 실


기계 -1,2
한전인입 (Main) B4F 기계실
□ 냉수 공급온도 확인

1 터보냉동기 판넬 트립
터보 냉동기 B4F
기계 -2
판넬 확인 경보 해제 냉동기 기동준비 냉동기 판넬

2 DCS Program B4F


터보 냉동기 기계 -2
냉동기 기동준비 한난 기계실
프로그램 접속 ( 한난 자동제어 ) 접속

3 DCS Turbo Start

4 DCS Control Valve Open B4F


터보 냉동기 가동 냉동기 가동 기계 -2
5 DCS Make–up Pump Start 한난 기계실

6 터보냉동기 정상가동
터보 냉동기 B4F
정상운전 확인 7 전산실 냉수 공급 전산실 냉수 공급 기계 -1
한난 기계실

□ 냉동기 공급온도 정상유무 점검

□ 전층 항온항습기 공급온도 점검

점검 □ 전산실 내부 온도 점검
전층 설비실 기계 -1,2
□ UPS 실 내부 온도 점검

□ BMS 상황실 보고
보고 B1F BMS 실 기계 -1

6-119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마 . 당직자 비상대응 Process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한난 냉수공급 중단 시 -2

역할 (1) 확인 / 조치 사항 역할 (2) 확인 / 조치 사항

□ 1 차측 냉수 공급온도 확인 □ 한난 비상연락
□ 층별 전산실 온도 확인 □ 유선 연락

□ UPS 실 및 수변전실 온도 확인 ① 김훈동 센터장 ( 운영센터장 )


② 박준호 팀장 (DC 기술이행팀 )
□ 건물 외부 온도 확인
FMS 상태 확인
유선연락
( 냉수중단 즉시 )

□ 전산실 공조기 가동 □ 대상 : DC 기술이행팀 + 시설 + 보안

보조 □ UPS 실 , 수변전실 급 / 배기팬 가동 [ 한난 냉수공급 중단 발생 현장


출동바랍니다 –상암운영센터 - ]
공조설비 가동
[ 터보냉동기 가동 및 설비상태
점검 중 이상 없음 –상암운영센터 -]

SMS 발송

□ [ 기계실 ] 비상대응 진행상황 확인


기계실
진행상황 확인

6-120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마 . 당직자 비상대응 Process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박익범 , 전광오

유형 □. 한난정전 + 한난 냉수공급 중단 시 -1
절차 확인 / 조치 사항 용도 위치 담당자

□ 전등 소등
□ SHV-A-2 B/Z Alarm 확인 / 정지
상황 인식 □ SHV-B-2 22.9KV 전압 확인 B1F BMS 실 전기 -1
□ 냉수 상한경보 발생 한전인입 (Main)
B4F 기계실 기계 -1
□ 냉수 공급온도 확인

□ 발전기 자동 기동 확인
발전기 발전기 B4F 발전기실
□ G-1~7 VCB 자동 투입 확인 전기 -2
자동기동 확인 호기별 차단기 12F 발전기실
□ G-8 ACB 자동 투입 확인

1 HV/GM Main VCB 투입


발전기실 (Main)
2 G1-UM ( 전산 ) VCB 투입 발전기실 (UPS)
발전기실 B4F 발전기실 전기 -2
3 G2-PM ( 동력 ) VCB 투입 발전기실 ( 동력 )
차단기 투입 G3- 한난 VCB 투입
4 발전기실 ( 한난 )

4-1 442-E-SW-506-IT G VCB 투입


한난 발전기 전원용
전기실
4-2 442-E-SW-502-IT VCB 투입 (Main) B4F 전기실 기계
한난 차단기
투입 4-3 443-E-LC-1301~1303-IT ACB 투입 한난 Pump 용

5 HV-G-PM VCB 투입
6 HV-G-UM VCB 투입 전기실 발전기 ( 동력 M)
전기실
전기실 발전기 (UPS M) B4F 전기실
발전기 차단기 7 HV-P6- 전등 VCB 투입 전기실 발전기 ( 전등 M) 전기 -1
투입 8 LV-P22 ACB 투입
8-1 터보냉동기 판넬 트립 경보 해제
B4F
8-2 터보 냉동기 가동 DCS Turbo Start
터보 냉동기 가동 전산실 냉수 공급 냉동기 판넬 기계 (1)
8-3 DCS Control Valve Open
B4F
8-4 DCS Make-up Pump 기동 한난 기계실
전기실 9 ~ 14 HV-P1~P5, P8 VCB 투입
동력 Group 전원
그룹별 차단기 15 ~ 22 HV-U1~U8 VCB 투입 UPS Group 전원 B4F 전기실 전기 -1,2
투입
□ 전층 항온항습기 공급온도 점검
□ 전산실 내부 온도 점검
점검 □ UPS 실 내부 온도 점검 기계 -2)
전층 설비실
□ UPS 작동상태 점검 전기 -1-2
□ 각층 EPS 실 분전반 점검

보고 □ BMS 상황실 보고 B1F BMS 실 전기 -1

6-121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마 . 당직자 비상대응 Process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한난정전 + 한난 냉수공급 중단 시 -2
역할 (1) 확인 / 조치 사항 역할 (2) 확인 / 조치 사항

□ UPS 베터리 동작상태 ,


출력부하 확인 □ 한난 비상연락

FMS 상태 확인 □ UPS 저압 분전반 정상 확인 □ 유선 연락


( 정전 발생 및 □ 층별 전산실 온도 확인 유선연락 ① 김훈동 센터장 ( 운영센터장 )

냉수중단 즉시 ) □ 승강기 내부 승객 확인 ② 박준호 팀장 (DC 기술이행팀 )


□ 1 차측 냉수 공급온도 확인
□ 층별 전산실 온도 확인
□ UPS 실 및 수변전실 온도 확인
□ 건물 외부 온도 확인

전기실
□ [ 전기실 ] 비상대응 진행상황 확인
진행상황 확인 □ [ 기계실 ] 비상대응 진행상황 확인

□ 대상 : DC 기술이행팀
+ 시설 + 보안
□ UPS 동작상태 , 출력부하 확인
□ UPS 저압 분전반 정상 확인 [ 한전정전 및 냉수중단 발생 현장
□ 냉수펌프 가동 , 냉수 유량 확인 출동바랍니다 –상암운영센터 - ]
□ 냉수 열교환기 2way 밸브

FMS 상태 확인 Open 확인 SMS 발송 [ 비상발전기 / 터보냉동기 가동 중


□ 층별 항온항습기 가동 확인 설비상태 점검 중 이상 없음
( 발전기 전원투입
후) □ 층별 전산실 온도 확인 – 상암운영센터 - ]
□ UPS 실 공조기 가동 확인
□ 수변전실 냉방기 가동 확인 [ 한전복전 및 냉수공급 중 설비상태
□ 전층 승강기 운행상태 확인 점검 중 이상 없음
□ 전력 / 설비 모니터링 상태 확인 – 상암운영센터 -]

6-122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마 . 당직자 비상대응 Process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신기준

유형 □. 화재 시
절차 확인 / 조치 사항 위치 담당자

□ 화재 수신반 화재 감시
: A,B 감지기 동작
상황 인식 □ 화재 위치 및 진행 단계 확인 B1F BMS 실 전체
□ 화재 비상 연락망 가동

□ 안전로 확보
□ 방화구역 설정 화재 구역 및 주변
주변 경계 기계 -1
□ 연소확대 방지

□ 현장 출동
□ 인명 피해 확인 및 이송 BMS-1
초기 소화 화재 구역 및 주변
□ 소화기로 화재 진압 실패 시 소방서 신고 B1F BMS 실 전기 -1
□ 시설물 상시 모니터링 전기 -2

본격 소화 □ 소화전으로 화재 진압 기계 -2
화재 구역 및 주변
및 □ 화재 구역 통제 기계 -3
건물 외곽
출입통제 보안

차량 유도 □ 소방차 진입 유도 보안
화재 구역 및 주변 기계 -2
및 □ 화재 진압 완료 보고
건물 외곽
화재 진압 □ 2 차 피해 확인 기계 -3

□ 피해 복구 및 2 차 피해 확인 전기 -2
비상 복구 □ 각 시설물 점검 및 복구 전기 -3
□ 상시 모니터링 화재 구역 및 주변 기계 -2
및 전층 시설물 기계 -3
점검 B1F BMS 실 미화

보고 □ BMS 상황실 보고 B1F BMS 실 BMS-1

6-123
Ⅵ. 설비별 비상 대응 매뉴얼 CNS 상암운영센터

마 . 당직자 비상대응 Process

작성일 2022.01.20
공동 비상대응 Process
[ 재난 , 비상사태 ] 작성자 전광오

유형 □. 누수 시
절차 확인 / 조치 사항 위치 담당자

□ 누수감지기 동작 및 육안 확인
□ 누수 위치 및 누수 여부 확인
□ 누수 비상연락망 가동 B1F BMS 실
상황 인식 전체
□ 각종 물탱크 수위여부 수시확인 누수 현장

□ 현장 출동
□ 누수로인한 2 차 피해 예방 조치 누수 구역 및 주변
누수 확인 □ 누수 지역 확인 기계 -1

□ 분기 밸브 차단
□ 누수 원인 확인
BMS-1
밸브 차단 □ 누수 조기 조치 가능 여부 판단 누수 구역 및 주변
B1F BMS 실 기계 -2
및 □ BMS 상황 보고 및 피해 확산 방지
상 . 하층 기계 -2
누수 원인 파악

□ 피해 상황 파악 기계 -1
□ 시설물 보양 기계 -2
피해 상황 파악 누수 구역 및 주변
□ 배수 작업 진행 전기 -2
상 . 하층
미화

□ 시설물 점검 기계 -1
누수 구역 및 주변 기계 -2
□ 피해 시설물 복구
복구 및 점검 건물 외곽 전기 -2
□ 누전 점검 및 확인
상.하 미화

□ 피해 복구 및 2 차 피해 확인
전기 -2
□ 누수 조치 확인
피해 확인 전기 -3
□ 배수 작업 완료 누수 구역 및 주변
및 기계 -1
□ 누수 조치 완료 전층 시설물
시설물 보수 기계 -2
B1F BMS 실
미화

보고 □ BMS 상황실 보고 B1F BMS 실 BMS-1

6-12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