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논의의 재검토

1
1. 서론
▐ 연구윤리와 공학윤리의 중요성에 대한 화두의 부각

▐ 본 논문의 문제의식은 ,

 연구윤리와 공학윤리에 대한 연구와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들이 부각되고 있지만 ,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점에 출발함

2
글의 구성방식
▐ 2 절과 3 절에서는 ,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이 논의되는
객관적 조건과 주체적 조건에 대한 논의

▐ 4 절에서는 , 과학기술자의 윤리적 갈등에 대한 사례를


유형화한 후 이에 대한 해석의 정교화

▐ 5 절에서는 ,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한 과제에


대한 고찰

3
2. 과학기술의 제도화

▐Q.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는 주로
과학기술자가 전문직업인의
일종이라는점에서 시작한다 ?(2004/2005)

4
▐ 기존 논의에서는 ,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
( 주체적 조건 )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이


논의 되는 객관적 조건 =
과학과 기술이 제도화면서
과학 , 기술 , 사회의 관계가 긴밀해 지는 과정

5
과학기술의 제도화를 통해서 본
현대 과학기술의 특징 4 가지
① 과학기술 연구는 개인의 고립된 활동이 아니라
과학기술자들의 팀 작업으로 변모하고 있다
② 원리적으로 과학과 기술을 구분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
실제로는 과학과 기술의 진보가 매우 비슷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③ 과학기술의 활용이 기업의 생존에 필수적 요소로 부상하였고 ,
과학기술자의 상당수가 기업의 피고용인 혹은 관계자로
활동하고 있다
④ 국가의 경제성장 , 복지증진 , 국토방위 등은 과학기술의
발전 없이는 불가능하게 되었고 , 과학기술이 국가의 핵심적인
관심사로 부상하게 되었다

6
3. 전문직업으로서의 과학기술자
▐ Q. 전문가 집단에 속하는 사람들의 특징 ?

A. 일반인보다 뛰어난 능력 /
전문가는 일반인보다 더 많은 보수와
존경을 받으며 , 이에 상응하는 역할과
책임을 지녀야 하는 집단으로 여겨짐

7
▐ 전문직업이 되기 위한 요소 3 가지

① 지식과 기술 : 전문직업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은 공식적인


교육훈련을 통해서 획득

② 일정한 자율성 : 전문직업은 그 분야에 속한 사람들로 특정한


조직을 형성하며 , 그것은 한 사회로부터 일정한 자율성을
갖는다

③ 공공선 : 전문가들은 개인적인 이익을 넘어 공공선을 위해


행동할 것을 요구 받는다

8
▐ Q. " 공학은 전문직과 비 전문직 사이의 경계선상에 있다 "
고 볼 수 있다 ?(2005)

9
▐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는 이유 : 근접성

① 과학기술자는 사회적 논쟁에서 쟁점을 명확하게 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
② 과학기술이 가지고 있는 현재적 / 잠재적 위험을 발견하고
평가하는데 가장 먼저 참여하는 집단이 과학기술자이다
③ 과학기술자는 현재의 과학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는 대안을 제안하고 탐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10
4. 과학기술자의 윤리적 갈등에 관한 해석

 포드의 핀토 (Pinto ) 소송 사건 ( 과학기술자들이 공식적으로


문제점을 제기하지 않은 사례 )

 우주왕복선 챌린저호 사건 ( 과학기술자들이 문제점을


제기했으나 , 그것이 수용되지 않은 사례 )

 시드니 하수시스템 개발계획 ( 문제점을 제기한 과학기술자가


불이익을 받은 경우 )

 샌프란스시코만 고속철도시스템 ( 문제점을 폭로한


과학기술자들이 사후에 보호된 경우 )

11
Q.
과학기술자들에게 윤리적 갈등이 일어나는 이유 ?

12
 과학기술자들에게 윤리적 갈등이 일어나는 이유는 ,
이러한 윤리적 갈등이 다양한 행위자나 집단과의 관계 속에서
발생한다는 점이다
 과학기술자가 고용주 , 사회 , 동료 전문가 등을 비롯한
다양한 관계에 편입되어 있다는 존재적 조건과 직결된다

관련된 사회집단 (relevant social groups)

13
5.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한 과제

Q. 과학기술자는 어떤 사회적 책임을


어느 정도로 수행해야 하는가 ?

14
▐ 전문가적 증인 (expert witness) 으로서의 역할

" 어떤 것이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사실이고 , 어떤 것이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이며 , 알려진 사실의 경우 그것에 따르는
불확실성은 무엇이며 , 지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은
무엇이고 , 노력하면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이며 , 또 필요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를 수행해야 하는가 등에
대하여 자신의 능력을 나타내 보이는 것 "

15
▐ 과학기술자가 적절한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
그것을 보장할 수 있는 성문화된 근거가 있어야 한다

" 어떠한 규제이든지 과학기술자들 자신에 의해 행해지는 편이


훨씬 나을 것 "

 과학기술자단체 스스로가 과학기술자의 윤리를 선도적으로


제정할 것을 촉구

16
▐ 과학기술윤리에 대한 교육 강화

 공학윤리 / 공학윤리교육의 필요성 부각


 공학교육인증원 ( 한국 )
 과학기술윤리 교육의 쟁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 /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

17
6. 결론
▐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주요 논지

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객관적 조건으로서 ,


과학과 기술이 제도화되면서 사회와 긴밀한 관계가 형성됨
 과학기술이 매우 강력한 공공성을 가짐으로써 , 전문직업인에
대한 주체적 조건에 대한 논의의 재고의 필요성
 과학기술자의 윤리적 갈등의 사례를 통한 대안 모색 지적
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과제 : 부도덕한
행위에 관한 문제제기 / 전문가적 증인의 역할 수행 /
과학기술의 윤리강령 제정 / 과학기술윤리교육의 강화
Fin.

1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