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구비문학 둘러보기

구비문학의 개념
민요의 특성과 존재 방식
설화의 유형 ( 신화 , 전설 , 민담 ) 과 의미
무가와 일상
한국고전문학의 전개
문자의 사용 , 이중언어 (Bilingual) 상황 등에 영향 받음

1. 구비문학 (oral literature): 민요 , 설화 등

2. 한글문학 : 시조 , 가사 , 한글 소설 , 한글수필 등

3. 한문학 ( 漢文學 ): 한시 , 한문소설 , 한문수필 등 - 1443 년 한글


창제
- 삼국시대 - 구비문학 ,
한자 ( 漢 한문학 ,
字 ) 의 도입 한글문학의
구비문학의 - 시대
시대 구비문학과
한문학의
시대
구비문학부터의 흐름을 정리하면…
1 . 구비문학만이 있던 시대
2. *
3 . 구비문학이 문학의 대부분을 차지 . 한문의 전래에 의해 일부 구비문학이 문자로 기록되고 한문문학이 부분적으로 출현한 시대
4. *
5 . 구비문학과 병행하여 향가와 같은 借字表記 문학이 형성 , 발달하고 , 제한된 사회계층에서 한문문학이 성장한 시대
6. *
7 . 문인 , 지식층의 한문 사용이 보편화되어 , 사회 상층의 한문문학과 하층의 구비문학이 병존한 시대
8. *
9 . 한글이 창제되어 한문문학 , 국문문학 , 구비문학이 사회계층적 구조와 긴밀한 관련을 맺으면서 공존한 시대
10. *
1 1 . 신분제적 사회체제의 붕괴로 한문문학이 존재 기반을 상실 . 인쇄문화의 발달로 구비문학도 크게 약화 . 국문문학이 한국문학의 거의
전 영역으로 확대된 시대
구비문학의 개념

- 口碑文學 , oral literature

- 구비 ( 口碑 ): 비석에 새겨 놓은 것처럼 오래도록 전해 온 말 . 돌에 새긴 비석 ( 石碑 ) 보다 말에 새긴 비석이

- 더욱 진실되다는 함의 . (<= 구전심비 ( 口傳心碑 ). 말로 전하되 , 마음에 새긴다 )

-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절실한 사연을 일정한 형식 , 구조를 갖추어 형상화한 문학

- 물리적 제한 , 변화 가능성 => 유동 ( 流動 ), 표박 ( 漂泊 ), 적층 ( 積層 )

- 현장성과 향유자들의 공통된 역사와 정서

- 민요 , 설화 , 무가 , 판소리 , 민속극 , 속담 , 수수께끼 등


< 한국구비문학대계 ( 韓國口碑文學大系 )>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현 한국학중앙연구원 ) 에서 간행한 전국 구비문학자료 조사 보고서 . 조사보고서 .

- 자료집 82 책 , 부록 3 책 ( 유형 분류 및 색인 ). 1979 년부터 1985 년에 걸쳐 조사 , 간행은 1980 년∼ 1992 년

- 전국적인 조사를 바탕으로 대량의 자료 채록

- 각 권은 우선 시군별 지역 개관에 이어 동면별 조사마을 개관 , 제보자 설명 . 본문은 그 다음에 수록

- 각 자료는 순번과 녹음테입 번호에 이어 조사장소 , 연월일 , 조사자 이름 , 제보자 사항 ( 이름 , 성별 , 연령 )


이 우선 제시 , 자료의 제목 다음에 조사상황을 설명한 뒤 마지막으로 본문

https://gubi.aks.ac.kr/web/
민요 ( 民謠 ) _ 생활 속의 노래

노동 : 여럿이 일하는 데 보조를 맞추는 것 .

유희 : 흥을 유발해 즐거운 심리 상태 조성 . 고통과 지루함을 덜기 .

의식 : 신에게 비는 인간의 소원 , 신을 즐겁게 하고 찬양하기 .

에헤에 김매러 가세 김을 매러 가세 / 얼럴러 상사듸야 김매러 가요 악곡


뒷집에 머슴아 김매러 와요 / 우리 논 다 매고 자네 논 매세
에헤에 에헤야 디야 물가운데 뜸북새 뜸북뜸북 / 이 논으로 날면서 뜸뜸북 뜸북
민요
알맞게 비가 와서 오곡을 거둘 때 / 세세년년히 풍년이 되니
기능 가사
경술년 대풍년이 다시나 돌아 왔구나 / 두둥실 춤을 추세 추세
민요의 존재 방식
설화 ( 說話 ) _ 이야기 구비문학

신화 , 전설 , 민담 등

신화 ( 神話 ): 신성한 이야기

전설 ( 傳說 ): 신성성은 약화 , 인간과 그 행위 , 역사적 사건과 연관된 이야기

민담 ( 民譚 ): 신성성과 구체성이 결여 . 흥미 중심의 허구적 이야기


신화에서 전설로
신화 : 우주와 인간 , 사회의 시작 , 근원의 신성함에 대한 공동체의 믿음과 설명

전설 : 특정한 시공간적 배경과 구체적 증거물 . 대체로 비장한 , 전승자가 사실이라고 여기는 이야기

하늘
자연물 ( 지명 , 산 , 고개 등등 )

인공물 ( 유적 , 유물 등등 )
농경 culture 수렵

인간과 동물 ( 특별한 , 특이한 )

땅, 물
< 아기장수설화 >_ 좌절한 영웅의 전설

옛날 어느 곳에 한 평민이 아들을 낳았는데 , 태어나자마자 겨드랑이에 날개가 있어 이내


날아다니고 힘이 센 장수였다 . 부모는 이 장수가 크면 장차 역적이 되어 집안을 망칠 것이라고 해서
돌로 눌러 죽였다 .

아기장수가 죽을 때 유언으로 콩 닷섬과 팥 닷섬을 같이 묻어달라고 하였다 . 얼마 뒤 관군이


아기장수를 잡으러 왔다가 부모의 실토로 무덤에 가보니 콩은 말이 되고 팥은 군사가 되어 막
일어나려 하고 있었다 .

결국 아기장수는 성공 직전에 관군에게 들켜서 다시 죽었다 . 그런 뒤 아기장수를 태울 용마가


나와서 주인을 찾아 울며 헤매다가 용소에 빠져 죽었다 .
옛날 옛적 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의 민담

- 신화의 신성성 , 전설의 구체성이 사라짐 . 옛날 옛적 , 어느 한 곳에… .

- < 나무꾼과 선녀 > 의 사례 :

전국적 , 범세계적 분포 . 효 ( 孝 ) 와 사랑 , 이상세계에 대한 동경과 현실 의식 사이의 갈등

몽골의 < 조녀 ( 鳥女 ) 설화 > 가 남쪽으로 전파되며 변이 . 새 여인 ( 鳥女 ) -> 선녀 ( 仙女 )

나무꾼이 사냥꾼에게 쫓기는 사슴을 숨겨 주었더니 사슴은 은혜의 보답으로 선녀들이 목욕하고 있는 곳을 일러 주며 선녀의 깃옷을
감추고 아이를 셋 낳을 때까지 보여 주지 말라고 당부한다 . 사슴이 일러 준 대로 선녀의 깃옷을 감추었더니 목욕이 끝난 다른
선녀들은 모두 하늘로 날아 돌아갔으나 깃옷을 잃은 한 선녀만은 가지 못하게 되어 나무꾼은 그 선녀를 데려다 아내로 삼는다 .
아이를 둘까지 낳고 살던 어느 날 나무꾼이 선녀에게 깃옷을 보이자 선녀는 입어 보는 체하다가 그대로 아이들을 데리고 승천한다 .
어느 날 사슴이 다시 나타나 나무꾼에게 하늘에서 두레박으로 물을 길어 올릴 터이니 그것을 타고 하늘로 올라가면 처자를 만날 수
있을 거라고 일러 준다 . 사슴이 일러준 대로 하늘에 올라간 나무꾼은 한동안 처자와 행복하게 살았으나 지상의 어머니가 그리워져서
아내의 주선으로 용마를 타고 내려오는데 , 이 때 아내는 남편에게 절대로 용마에서 내리지 말라고 당부한다 . 지상의 어머니가
아들이 좋아하는 호박죽 ( 또는 팥죽 ) 을 쑤어 먹이다가 뜨거운 죽을 말 등에 흘리는 바람에 용마는 놀라서 나무꾼을 땅에 떨어뜨린
채 그대로 승천한다 . 지상에 떨어져 홀로 남은 나무꾼은 날마다 하늘을 쳐다보며 슬퍼하다가 죽었다 . 그리고는 수탉이 되어 지금도
지붕 위에 올라 하늘을 바라보며 울음을 운다 .
인간이 설화와 함께 살아온 이유

우리들은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문제 상황에 놓이게 된다 . 우리들이 부딪치고 있는 문제 상황들은 어제 오늘


처음으로 나타난 것들이 아니라 인류 역사를 통하여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는 것들이다 . 그리고 그러한 문제
상황들은 서사에 담겨서 면면히 전승되고 있으며 , 그 서사를 통하여 우리들은 그러한 문제 상황들의 다양한 전개
과정을 짐작할 수가 있다 . 서사 속에는 문제 상황 자체뿐만이 아니라 문제 상황에 대한 해결책까지 담겨 있다 .
우리가 인류의 스승으로 존경하고 있는 석가모니나 공자나 예수는 우리 인류의 심각한 문제 상황들과 그 근본적인
해결책들이 담겨 있는 서사를 깨달으신 분들이며 , 우리들로 하여금 그 서사를 깨닫게 하려고 애쓰신 분들이다 . 물론
그렇게 유명한 분들만 그 서사를 깨달았다고 단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 이름도 없이 곳곳에 숨어 살면서 그 서사를
깨닫고 그 서사를 실현시키고 있는 고수들도 많이 있다고 보는 게 옳을 것이다 .

- 정운채 , 문학치료학의 서사 및 서사의 주체


무가 ( 巫歌 ) 의 개념과 구성

굿과 같은 무속 의식에서 무당이 부르는 노래

신의 내림을 비는 ‘청배’

강림한 신이 인간을 향해 잘못을 꾸짖거나 복을 약속하는 ‘공수’

인간이 신에게 소원을 비는 ‘축원’

신과 인간이 서로 어울려 화합하며 유대를 강화하는 ‘오신’


무가의 유형

서정무가 : < 노랫가락 >, < 대감타령 >, < 창부타령 >

교술무가 ( 무의 진행용 ): 성주축원 , 망자축원 – 청배 -> 공수 -> 축원

서사무가 : < 바리공주 >, < 제석본풀이 >

희곡무가 (‘ 무극’ , ‘ 굿놀이’를 채록한 것 )


우리 일상 속의 다양한 무속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