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4

건축 계획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주거와 생활수준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일반 주택 건축 계획

주거의 생활 수준 기준

주택의 부족은 큰 사회문제로 대두 .


주택의 부족은 세계적인 현상이며 , 빈부의 격차에 따라 주거 환경의 질이 차이 .

우리나라의 사회문제 중에서 주택문제 해결은 당면한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로 대두 .


이유는 정치 . · 경제문제의 근본적인 뒷받침이 필요 .

주택생활수준의 기준 : 1 인당 주거면적 .

주거면적 : 주택건축 총면적에서 공공공간 (public space) 을 제외한 부분을 말하며 , 건축면적의 50~60%. 평균 55% 정도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일반 주택 건축 계획

1 인당 주거면적

cologne 기준 [ ㎡ ]
거주
실의 수
인원수 주거당 거주 1 인

3 56 18.7
3
4 62 15.5
4 65 16.2
4 5 75 15.0
6 82 13.7
6 87 14.5
5 7 94 13.4
8 110 13.7
6 8 114 14.2
세계 가족단체협의회 콜로뉴 기준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일반 주택 건축 계획

1 인당 주거면적

거주
실의 수 주택면적 [ ㎡ ]
인원수
2 4 69.5 - 74

3 5 83.5 - 98

3 6 91 – 95.5

4 6 93 – 161

4 7 102 - 109

일반주택기준 ( 영국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일반 주택 건축 계획

1 인당 주거면적

실의 수 거주 주택면적 [ ㎡ ]
인원수
1 1 25 – 33
1-2 2-3 25 - 50

2-5 2–5 42 - 93

6 6 90 - 110
6-7 6–7 90 -125
7 7 110 - 125

일반주택기준 ( 프랑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일반 주택 건축 계획

1 인당 주거면적

실의 수 거주 주택면적 [ ㎡ ]
인원수
1 2 25.6

2 2-4 37.83

3 4 -5 47.9

일반주택기준 ( 일본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한옥 vs. 양옥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한옥 vs. 양옥 건축 계획

우리나라의 전통 한옥은 도시 및 농촌에 고가 ( 古家 ) 로서 남아 있으며 , 극히 부분적으로만 신축 .


근래에 도시에 건설되고 있는 대부분의 한식 주택은 한식과 양식의 절충적 형식 .

한옥과 양옥의 특징 비교

한옥은 본 건물과 마당 그리고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담장으로 구성 .


이러한 형식을 구내형 ( 構內型 ) 주거 (compound type house) 라고 하며 , 동남아시아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도 볼 수 있는 공통적 형식 .
주택에서의 생활이 양옥처럼 건물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마당에서도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물이 작아도 생활이 가능 .
마당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에 담장 , 울타리를 높이 설치 .
양옥은 거의 모든 생활이 건물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담장 , 울타리에 대한 요구가 적음 .
한옥은 단층구조이지만 , 양옥은 주로 2 층 구조로서 1 층에는 공용실 , 2 층에는 침실이 배치 .
한옥은 주로 남방형 ( 南方型 ) 이므로 겨울에 불리하며 여름의 고온 · 다습에 유리한 개방형으로 통풍에 유리한 구조 .
양식주택은 목구조도 있으나 벽돌구조가 많으며 , 방한구조로 유리한 배치는 북방형 ( 北方型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한옥 vs. 양옥 건축 계획

한옥과 양옥의 특징 비교

한옥의 지붕은 여름 일사 및 겨울의 보온 등을 위하여 단열구조로서 유리하도록 초가 또는 알매흙을 두텁게 쌓은 깊은 처마로 된 지붕형식이 발전 .
한옥의 각 실들은 양식주택의 경우처럼 용도가 개별적으로 독립되어 있지 않고 다용도 형식으로 되어 있어 유연성이 확보 .
적은 주거면적으로 시간에 따른 다목적 활용이 가능 .
양옥은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되는 유리한 점이 있는 반면 많은 주거 면적이 소요 .
한옥에서는 좌식생활이며 부엌에서 조리활동은 불완전한 입체생활 .
양옥에서는 침대 , 의자 등의 가구가 비치되어야 하므로 공간이 더 넓게 소요되고 가구비 부담 .

우리나라 현대 주택 : 한옥과 양옥의 절충형

대개 침실은 안방 또는 자녀방으로 호칭되고 온돌로 된 좌식생활 가능 .


주방 및 식당은 가사활동이 편리한 입식생활이 되며 , 거실은 좌식과 입식이 혼용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한옥 vs. 양옥 건축 계획

한옥과 양옥의 평면

1. 한옥

한옥은 은폐적이며 실의 조합으로 구성 : 조합평면

한옥은 안방 , 건넌방 , 사랑방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각 실이 다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실의 사용용도에는 확실한 구분이 되어 있지 않음 .
각 실이 복도로 연결되어 조합된 평면이기 때문에 각 실의 프라이버시가 어느 정도 확보 .

실 1

실 2 실 3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한옥 vs. 양옥 건축 계획

2. 양옥

양옥은 개방형이며 실의 분화로 구성 : 분화 평면

양옥은 거실 · 식당 · 침실 등 활동영역별로 각 실이 한 공간 내에서 분화되고 전체는 홀로 연결되어 있어 각 실의 프라이버시를 보장 .


양옥은 분화평면으로 구성되어서 개방적이며 집중식 배치

실 1 실 3

홀 (Hall)

실 2 실 4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한옥 vs. 양옥 건축 계획

한옥과 양옥의 구조

한옥은 바닥이 높고 개구부가 작으며 그 수가 적음 . : 목조가구식

양옥은 바닥이 낮고 개구부가 크며 그 수가 많음 . : 벽돌조적식

특히 창과 개구부는 지역기후에 영향을 받아 그 형태와 크기가 달라짐 .


우리나라의 경우는 겨울철의 방한으로 인하여 개구부가 적었다고 할 수 있으며 , 개구부가 큰 일본주택은 겨울철에는 약간 불리하지만 여름철의
고온다습한 기후에 유리 .
프랑스의 경우 다습하기 때문에 주층을 지상에서 약간 올려 반지하에 가까운 카브 (la cave) 를 설치하여 포도주와 같은 식품 등의 저장고로 사용 .
일반적으로 자연환경조건의 영향을 받음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한옥 vs. 양옥 건축 계획

한옥과 양옥의 생활습관

한옥 : 좌식생활

양옥 : 입식 ( 의자식 ) 생활

생활습관의 차이로 온돌과 침대 문화가 발생 .


한옥은 온돌 바닥으로 안방은 거실 혹은 객실 , 서재 , 식사실 , 휴식까지 겸하고 있는 다용도실 좌식생활로써 유연성과
경제적인 면으로는 유리한 점도 있으나 , 반면 위생에 취약하고 , 평면의 비분화성되고 비근대적인 결점 .

양옥은 항상 가구와 침대 등을 사용한 용도별 입식생활이기 때문에 활동이 편리하고 위생이 보장되며 , 평면이 잘 분화되어 근대적이라는 이점 .
평면의 유연성이 거의 없이 평면 계획상 가구의 크기에서 생기는 면적의 증가는 건축비의 증가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한옥 vs. 양옥 건축 계획

한옥과 양옥의 용도차이

한옥 : 각 실들이 유연하게 다른 용도로 사용가능 .

양옥 : 각 실의 용도가 고정되고 유연성이 떨어짐 .

한옥은 주인을 위주로 사용자에 따라 달라지며 , 각 실의 프라이버시가 결여 .

양옥은 독립적 용도로서 거실과 같은 다용도실과 침실 , 서재등 단일용도로 실의 고유의 기능이 보장되며 주로 침실에서 프라이버시 확보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한옥 vs. 양옥 건축 계획

한옥과 양옥의 가구의 차이

한옥에서의 가구 : 부가적 용도

양옥에서의 가구 : 주요한 용도

한옥은 거의 가구와는 관계없이 각 소요실의 크기와 설비가 결정되나 , 양옥은 가구의 종류와 형에 따라 실의 크기와 폭 비가 결정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주거의 일반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거의 일반 계획 건축 계획

1. 동선 계획

동선은 일상생활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경로 .


동선의 요소 : 빈도 , 속도 , 하중

주택의 동선 계획시 유의 사항 :

개인 , 집단 , 가사노동의 3 개 동선이 서로 분리하여 간섭을 최소화 .


동선이 혼선되면 생활권의 독립성이 상실 .

특히 복도 (corridor) 가 없는 거실은 이러한 결점이 발생 .


유럽의 경우 복도를 두어 동선을 독립적으로 배치하고 , 방의 프라이버시 (privacy) 를 살리는 경우가 많음 .
주택 내부 동선은 외부 조건과 배실 설계에 따른 출입 형태에 의해 1 차적으로 결정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거의 일반계획 건축 계획

주택의 내부 동선 유형


부엌
고 거실

홀 거실 거실 주택

홀 홀 거실
홀 부엌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거의 일반 계획 건축 계획

2. 주거 공간의 기능적 구성

주택의 기본 기능은 가족의 휴식 , 섭취 , 단란 및 가사 등이며 , 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침실 , 거실 , 서재 , 주방 , 식당 , 욕실 , 다용도실


등이 분리되어 있어야 함 .

각 실의 상호관계가 기능적으로 편리하게 배치되어야 함 .

원시적인 주택은 침실을 위한 단순한 공간 .


이러한 단순한 공간이 점차 발전하여 현대의 주택에서는 휴양과 오락 , 식사와 육아 또는 레크리에이션 등이 포함 .
다양한 기능이 보다 잘 수행될 수 있도록 각종 보조시설이 배치되고 가사활동이 편리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 그럼으로써 주공간은
보다 평안하고 안락한 기능을 수행 .
따라서 주택공간의 기능적 구성은 주생활의 조직에 따라 용도별 기능권과 이용 시간별 시간권 , 영역별 공간권 , 그리고 가족들의 생활행동별
가족권 등으로 구분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거의 일반 계획 건축 계획

2. 주거 공간의 기능적 구성 ( 주거기능의 내용 )

배설 취침

대화
목욕

휴식
오락

식사
섭취 단란
접객
조리
가사

육아 청소

세탁 수납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거의 일반 계획 건축 계획

2. 주거 공간의 기능적 구성 ( 프라이버시의 범주 )

어린이의
프라이버시
성인의 어린이의
프라이버시 프라이버시

가족

Community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거의 일반 계획 건축 계획

2. 주거 공간의 기능적 구성 ( 용도 )

개인생활

침실

욕실 서재

서비스야드 화장실 테라스


세면장

부엌 설비 식당 입구 응접 거실

가사노동 공동생활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거의 일반 계획 건축 계획

2. 주거 공간의 기능적 구성 ( 시간 )

낮 + 밤

낮 시간대 밤 시간대

부엌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거의 일반 계획 건축 계획

2. 주거 공간의 기능적 구성 ( 영역 )

화장실
욕 실
취침
단체휴식
공부
식 사
유희

부 엌
서비스야드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거의 일반 계획 건축 계획

2. 주거 공간의 기능적 구성 ( 기능에 따른 실배치 )

R K

K R
D D R
E H E
L L
R

E : Entrance R : Room D : Dining L : Living K : Kitchen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거의 일반 계획 건축 계획

2. 주거 공간의 기능적 구성 ( 기능에 따른 실배치 )

R
R

R R

L R
E E

LDK
R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거의 일반 계획 건축 계획

2. 주거 공간의 기능적 구성 ( 실배치와 방위 )

N
종일 햇빛이 들지 않음 .
겨울에 추움 .
광선은 종일 균일함 .

아틀리에
냉장고
보일러실 가사실
저장실
차고 화장실
화장실
창고
아침 햇빛이
오후 햇빛이 욕실 침실 실내 깊이
W 깊이 들어와 빨래
건조실
식당
부엌
들어옴 .
겨울의
E
여름에 특히
더움 . 아침은
유희 침실 따뜻하나
사교 식당 거실
접대 아동 방
오후는 추움 .
식당
거실
테라스
발코니

여름철 직사광선이 깊이 들어오지 않음 .


반대로 겨울에는 깊이 들어옴 .

S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배치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배치 계획 건축 계획

1. 대지 선정

1) 사회적 조건

- 교통이 편리하고 통근 거리에 무리가 없을 것 .


- 학교 , 의료시설 , 도서관 , 공원 등이 근접해 있을 것 .
- 판매시설이 주변에 있을 것 .
- 소음 , 공해 등이 없을 것 .
- 상하수도 , 가스 , 전기 , 통신시설 등이 갖추어져 있을 것 .

2) 물리적 조건

- 저습지 , 매립지 , 부식토질 등이 아니고 북쪽으로 경사지지 않은 평탄한 부지일 것 .


- 일조와 통풍이 좋은 자연환경일 것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배치 계획 건축 계획

2. 대지

주택의 대지는 일조와 통풍이 잘 되고 , 전망이 좋고 , 정원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이상적 .


만약 대지가 좁아서 정원을 만들 수 없을 때는 거주 부분을 건물의 2 층에 두고 1 층을 필로티 (pilotis) 로 하여 정원의 일부로 사용 .
대지가 경사지일 때에는 경사지의 특성을 살려 2 층에서 들어가 진입층 밑을 침실로 하는 등 , 유효한 이용방법을 여러 가지로 고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배치 계획 건축 계획

2. 대지 ( 경사지를 이용하는 경우 )

절토 도로
도로 성토
차고 도로 차고

경사면을 평탄하게 완만한 경사면을 그대로 고저차가 심한 경사면을 부지가 도로면보다


정지하는 경우 이용하는 경우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 높은 경우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배치 계획 건축 계획

2. 대지

대지로의 진입은 프라이버시나 방의 배치와 관계 .


특히 중소주택에서는 동쪽 또는 서쪽에 도로가 배치되려면 다음의 사항을 검토 .

- 건축법에 규정된 건폐율이 적합한지 검토


- 인동 간격을 충분히 고려하여 일조 , 통풍 , 채광 , 방재 ( 防災 ), 프라이버시 등을 검토
- 정원과 건축물의 면적비에 대한 밸런스 고려
- 경우에 따라서는 장래 증축 문제도 고려
- 장독대 , 빨래건조대 , 창고 등으로 쓰이는 공간과 부엌 출입문을 연계
- 차고 및 현관은 도로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배치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배치 계획 건축 계획

3. 건물의 배치

약 150~300 ㎡정도의 대지에 60 ㎡정도의 집을 건축할 때는 정사각형 또는 남향으로 조금 긴 편이 정원을 두거나 계획에 편리 .
일반적인 주택의 평면은 대체로 동서로 조금 긴 직사각형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 이런 경우 대지 안에 서비스 코트 (service court) 에 대한
여지를 남기고 북쪽으로 붙여서 배치하는 것이 유리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배치 계획 건축 계획

4. 도로와 건축물

도로는 공도 ( 고속도로 , 일반국도 , 특별시도 , 지방도 , 시도 , 군도 ) 와 사도로 구별 .


도로법 : " 도로 " 란 차도 , 보도 ( 步道 ), 자전거도로 , 측도 ( 側道 ), 터널 , 교량 , 육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로 구성된 것으로서
제 10 조에 열거된 것을 말하며 , 도로의 부속물을 포함한다 .
건축법 : 도로라 함은 공도 , 사도에 관계없이 보행 및 자동차통행이 가능한 폭 4m 이상 되는 도로 .
또한 대지는 최소한 2m 이상 도로에 접하지 아니하면 건축물을 건축할 수 없게 되어 있다 .
도로에 접하지 못하여 법적으로 대지가 될 수 없는 토지 : 맹지 ( 盲地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배치 계획 건축 계획

5. 기존 건물의 장애에 대한 보호

인접대지에 기존건물이 있을 때 주택 위치 및 평면계획은 주어진 주변의 환경과 맥락에 맞추는 것이 좋음 .


기존 건물이 없다면 미래의 개발 가능성을 예측 .
건축가는 주택지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는 인접대지에 부당한 일조장애가 없도록 할 의무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평면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평면 계획 건축 계획

평면

평면 : 건물의 합리적인 구획 .

평면 계획 : 건물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실들이 필요 , 그 실들이 결정될 때 기능을 합리적으로 구획 배치하는 과정

주택의 평면 계획은 일반적으로 평면의 합리적인 결정에서부터 시작하여 입면을 구상하는 것이 일반적 계획의 순서가 되나 , 실제로 는 평면과
입면 , 단면은 동시에 계획이 되는 것이 이상적 .

입면에 의한 평면의 부분적인 변경은 불가피하다 하겠으나 입면이 평면을 좌우할 수는 없음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평면 계획 건축 계획

평면

극단적으로 건물 내부의 기능을 전혀 고려할 필요가 없는 탑 구조물은 순전히 도안에 가까운 입면만의 형태 문제가 되지만 ,
주택은 평면상의 기능을 충족시켜 주어야 하는 것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필요 .

전시장이나 종교건축은 내부의 기능은 비교적 단순히 처리되는 반면 , 외관은 전시적 또는 숭고한 입면을 , 표현해야 하기 때문에 입면이
우선적으로 고려 될 가능성도 있음 .

은행 , 극장 , 상점과 같은 건물들은 상업적 의도가 평면상의 기능충족에 못지 않게 내 · 외부에 다 같이 중요성을 가지고 표현 .

특히 여기서 주택의 평면계획은 인간과 가구기능을 생각할 때 평면의 합리화란 가장 중요한 조건 .

가족구성에 의한 생활 활동 , 생활 형태에 따라서 주택의 평면은 결정 .

이러한 생활공간을 기술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평면계획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평면 계획 건축 계획

1. 생활

주거 내에서 이루어지는 생활을 분석

주부의 생활 유아 돌봄 , 재봉 , 세탁 , 요리 등의 다양한 활동

자녀의 생활 공부 , 유희 등의 활동

가장의 생활 직업을 떠난 여가 및 휴식 활동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평면 계획 건축 계획

2. 생활공간

주거 내의 생활공간을 정리하면 그림 (1) 과 같으며 , 이것을 다시 이용 시간별 로 구분하여 보면 그림 (2) 와 같음 .


특히 소주택의 경우에는 작은 공간 내에서 많은 실들을 분화하는 것을 피하고 , 단순화시키는 방향으로 한다 .
즉 , 한 공간의 일부를 거실로 , 또는 식당으로 , 때로는 부엌까지 흡수시켜 공간의 성격이 불분명한 평면 계획을 지양 .

화장실 낮 +
욕 실 밤
취침
단체휴식
공부 낮 시간대 밤 시간대
식 사
유희
부 엌 부엌
서비스야드

그림 (1) 영역별 공간 그림 (2) 시간별 이용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세부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세부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출입구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출입구 건축 계획

저장 위생
주방
세탁 출입구
식사
작업공간 휴식 및
개인공간 커뮤니케이션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출입구 건축 계획

출입구

출입구의 기능 - 내부와 외부공간을 연결 ( 사적공간 ( 내부공간 ) 과 공적공간 ( 외부 ) 를 연결 )


기술적으로는 외기와 내기를 단절하는 역할

기능의 변화 - 과거 주거에서 출입구는 방문객을 맞이하는 중요한 공간


오늘날 출입구는 복도의 연장 혹은 복도의 한 부분으로 그 중요성이 감소 .
오늘날 주거에서는 거실이 방문객을 맞이하는 기능을 담당 .

출입구의 기능은 주거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남 .


원칙적으로 출입구는 출입을 위한 충분한 공간과 물건을 세워둘 수 있는 공간이 필요 .
또한 오늘날에는 중문을 설치하여 외기를 충분히 차단하는 독립된 공간으로도 인식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출입구 건축 계획

출입구의 종류 ( 일반적인 경우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출입구 건축 계획

출입구의 종류 ( 장애인의 경우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출입구 건축 계획

출입구의 종류 ( 장애인의 경우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주방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방 건축 계획

출입구

저장 식사

세탁 주방
휴식 및
커뮤니케이션
위생
개인공간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방 건축 계획

주방의 기능 - 식사를 준비하고 요리하는 기능 .

기능의 변화 - 과거에는 식사를 준비하는 단일 기능 .


현대 주거에서 거실 , 식사 , 세탁 및 저장 공간이 통합된 경우가 많음 .

주방의 원래 기능을 벗어나 각 공간들과의 통합으로 단독으로 정의되기 애매함 .


또한 주방에서 따로 테라스 등을 설치하여 개인공간과의 연결 .
기본적으로 식품을 저장하는 공간과 가까이 배치 .
주방과 욕실 등 설비가 들어가는 공간과 같이 배치함으로 설비시설을 하나의 공간으로 배치하는 것을 권고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방의 치수 건축 계획

작업공간의 최소 치수 - 일반인

주방에서 작업할 때 필요한 작업공간의 깊이는 약 120 cm 정도이다 . 이 치수는 일반인 기준 .


혼자서 작업을 할 때에는 충분한 공간이나 두명 이상이 되면 작업 동선에 방해가 될 수도 있음 .

작업공간의 최소 치수 - 장애인

장애인들을 위한 작업공간의 깊이는 최소 150cm 정도가 적정 . 이는 휠체어의 회전반경에서 도출된 치수 .

주방가구의 치수

주방에 설치되는 가구 ( 서랍장 등 ) 의 너비는 일반적으로 30, 40, 60, 90,120 그리고 150 cm 이며 , 전기제품 ( 식기세척기 등 ) 은 60 cm
이다 . 이는 어디까지나 공산품으로 제작되어 나왔을 때의 치수이며 , 주방의크기와 상황에 따라 주문제작이 이루어진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방의 치수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방의 치수 건축 계획

하부에 설치되는 수납장의 높이 : 77, 82, 87, 92 cm ( 유럽기준 )

작업높이 : 80, 85, 90, 95 cm 정도가 적정 .

이 치수들은 어디까지나 표준화된 치수로 특별한 요구나 필요가 있을 때 , 각 사용자의 신체치수에 맞추어 설계할 필요가 있음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방의 치수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동선 및 평면 계획 건축 계획

일자형 배치 , 병렬 배치 , L- 형 배치 , U- 형 배치

1. 일자형 배치

주방가구의 배치는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각 집기들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배치할 때 가장 효율적이다 .

거치대 - 레인지 - 작업대 - 세척 - 거치대

왼손잡이를 기준으로 한다면 위의 순서를 거꾸로 바꾸어야 한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동선 및 평면 계획 건축 계획

2. 병렬 배치

레인지와 세척대 , 작업대를 한쪽에 반대쪽에는 냉장고를 배치한다 . 기본 배치는 일자형 배치를 따르도록 한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동선 및 평면 계획 건축 계획

3. L - 형 배치

주로 냉장고를 레인지 , 세척기 , 작업대와 분리 배치한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동선 및 평면 계획 건축 계획

4. U - 형 배치

병렬형의 양쪽을 연결한 형태로 작업공간을 추가한 형태이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방의 형태 건축 계획

특수한 주방의 형태

주방의 배치와 형태는 다양하며 , 상황에 따라 많은 대안이 가능하다 .

특수한 형태의 주방으로 1 인 가구를 위한 주방서랍장이나 이동식


주방서랍장이 있다 .

1 인 혹은 최대 2 인 가구를 위한 최소화된 주방의 형태로 공간활용을


극대화한다 .

주로 소규모 주택 , 기숙사 , 사무실 등에 설치가 가능하며 가설이


필요한 공간에 적합한 형태이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방의 배치 건축 계획

일자형 배치

서랍장과 주방가구 및 전기제품이 일렬로 배치된 주방이다 .


이런 형식의 배치는 가족구성원이 작은 경우 적합하다 .
구성원이 3 -4 인 이상일 경우 최소길이는 약 5.40 m 정도는
되어야 한다 .
계획 시 구성원이 작거나 , 주방공간이 너무 협소한 경우에 적합한
배치방식이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방의 배치 건축 계획

병렬형 배치

병렬형 배치는 그림과 같이 주방가구 및 서랍장 등이


마주보고 배치된 방식이다 .
주로 한쪽에는 설비 ( 배관 등 ) 시설이 내장되어 있으며 ,
반대쪽은 서랍장이 배치된다 .
일정규모 이상의 사용자가 있을 때 , 가장 효율적인
배치방식이며 , 작업동선의 효율화를 위해 냉장고를
서랍장쪽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방의 배치 건축 계획

L - 형 배치

서랍장과 주방가구 및 전기제품이 L 자형으로


배치된 주방이다 .
모서리 부분은 특별히 제작해서 공간의 낭비가
없도록 주의를 기울여 계획해야 한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방의 배치 건축 계획

U - 형 배치

병렬형 배치에 연결부를 추가한 형태이다 .


기본적 배치는 병렬형을 따라 , 한쪽에는
설비 ( 배관 등 ) 시설을 설치 , 반대쪽은 서랍장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방의 배치 건축 계획

아일랜드형 배치

독립된 아일랜드를 설치하여 조리 및 작업 ,


경우에 따라서는 식탁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배치이다 .
이런 형태의 배치는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필요하며 , 작업공간에서 아일랜드로의 동선이
효율적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주방의 배치 건축 계획

식탁이 추가된 L - 형 배치

L - 형 배치에 식탁을 추가한 형태로 , 가정에서는


식탁외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
특히 작은 식당에 효율적인 배치방식이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장애인을 위한 주방 계획 건축 계획

일자형 배치 병렬형 배치 L- 형 배치 U- 형 배치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장애인을 위한 주방 계획 건축 계획

일자형 배치 병렬형 배치 L- 형 배치 U- 형 배치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장애인을 위한 주방 계획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식당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식당 건축 계획

주방
휴식 및
커뮤니케이션 출입구

작업공간 식사
화장실

개인공간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식당 건축 계획

식당의 기능과 구성은 가구의 크기와 개별 가구의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오늘날 1 인 가구의 증가로 인한 가족내 생활습관의 변화와 가정내에서의 파티 등
과거와는 달리 주거공간의 기능이 변화하는 관계로 실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으며 ,
특히 식사를 하는 공간은 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다 .
따라서 계획에 있어 더 많은 주의를 요구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식당 건축 계획

주방 , 식당 , 거실의 조합

식탁이 주방과 함께 배치되었을 경우 ,


식사를 하기 위한 적절한 면적의 크기는
최소 4 m² 정도이다 .

만약 주방이 식당과 같이 배치되면 ,


식탁쪽으로는 상부장을 설치하지
않아야 주방과 식당 간의 시각적
연결이 가능해 진다 .

1 인 혹은 2 인 가구의 계획에서
가능하면 식당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 .
규모가 작은 주거의 경우 미닫이문이나
접이식문으로 각 공간을 분리하면
필요에 따라 공간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Youn Suk Cha
있다 .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식당 건축 계획

식당의 규모
일반적으로 4 인에서 6 인용의 식탁을 배치
하기 위한 최소 공간으로 약 4 m² 의 공간이
필요하다 .

식탁의 크기

식사를 하기 위한 최소 면적은 1 인당
약 60 cm x 40 cm 정도가 필요하다 .
편안한 식사를 위해서는 약 65 cm 에서
70 cm 정도의 너비가 필요하다 .

의자와 식탁 사이에는 약 50 cm 에서 55 cm 정도의


여유공간을 두어 이동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
만약 의자 후면에 벽이 있을 경우 , 약 30 cm 정도의
여유 공간이 더 필요하며 , 가구가 있을 경우 ,
약 70cm 정도의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식당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식당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식당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식당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식당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식당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식당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휴식 및 커뮤니케이션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휴식 및 커뮤니케이션 건축 계획

주방
화장실
식사

휴식 및
침실 커뮤니케이션 출입구

작업공간
개인공간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휴식 및 커뮤니케이션 건축 계획

거실의 기능 - 휴식 , 오락 및 커뮤니케이션 .

기능적으로 보았을 때 , 거실은 20 세기 이후 주거건축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


거실은 가족구성원을 위한 공간이 아닌 , 손님을 맞이하고 대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외부인의
출입이 다른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공간이며 ,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공간으로서
주거건축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휴식 및 커뮤니케이션 건축 계획

거실의 치수

식탁이 없는 거실

1 인 ≥ 16 m²
1-2 인 ≥ 18 m²

식탁이 있는 거실

4 인 ≥ 20 m²
5 인 ≥ 22 m²
6 인 ≥ 24 m²

1 인 추가 시≥ 2 m²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휴식 및 커뮤니케이션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휴식 및 커뮤니케이션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침실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침실 건축 계획

탈의

작업공간 화장실

침실 휴식 및
개인공간 커뮤니케이션

어린이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침실 건축 계획

침실의 기능 - 취침 및 휴식 .

1 인 혹은 2 인 가구를 제외한 일반적인 주거에서 침실은 공용 공간과 분리되어 배치된다 .


주로 침실은 1 인 혹은 2 인을 위한 공간으로 주기능은 취침 및 휴식으로 분류되나 , 가장
개인적인 공간으로 그 기능 또한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 공용 공간 , 예를 들어 거실에서
행해지는 행위들은 침실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 사용자의 생활습관과 가구의 크기에
따라 여러 기능이 통합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
일반적으로 독립된 공간으로 계획되나 , 1-2 인 가구를 위한 주거나 작은 복층의 경우 침대나
이부자리를 위한 공간의 확보로 다른 공간과 분리되지 않고 계획되기도 한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침실 건축 계획

배치

침실과 같은 개인 공간은 자연채광이 가능


해야 한다 . 또한 외부의 소음이나 기타 요인
들로부터 가능하면 영향을 적게 받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

규모

침실과 같은 개인공간은 적어도


14 m² - 15 m²
정도의 규모를 필요로 한다 .

만약 독립된 탈의 공간이 필요하다면 위의


면적에서 약 2 m² 정도를 탈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침실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침실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침실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침실 건축 계획

장애인을 위한 침실계획

장애인을 위한 이동면적은 최소너비 150 cm 정도가 필요하다 . 특히 침실계획에 있어서 침대 주위 그리고 가구 앞에 150 cm 의 이동
공간이 계획되어야 하며 , 부득이한 경우 한쪽 면은 최소 120 cm 정도로 계획하여 이동성을 보장하도록 한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침실 건축 계획

노약자를 위한 침실계획

노약자를 위한 이동면적은 최소너비 120 cm 정도가 필요하다 . 가능하면 침대 주위로 너비를 확보하도록 계획하되 , 부득이한 경우
최소 90 cm 정도로 계획하여 이동성을 보장하도록 한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어린이를 위한 공간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어린이를 위한 공간 계획 건축 계획

침실 ( 성인 )
위생

실내놀이 및 주방 , 식사
침실

어린이 공간
휴식 및
커뮤니케이션
야외놀이 및
개인공간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어린이를 위한 공간 계획 건축 계획

어린이 공간

아이들 ( 유 . 소아를 포함 ) 을 위한 공간은 단지 아이들의 방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


아이들의 공간은 특정 공간이 아닌 , 주거공간 전체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성장과 더불어 개인 공간을 얻게 되며 , 그 공간은 아이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
아이들의 방은 단지 취침을 위한 공간이 아니며 , 그 용도로 보았을 경우 다양한 기능을 내포한다 .
놀이 , 독서 , 친구와의 만남 , 음악감상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
또한 성장과 더불어 가구와 기타 시설물을 바꾸어줄 수 있는 유연성도 요구되므로 , 계획에 있어 신중해야 한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어린이를 위한 공간 계획 건축 계획

유아들의 발달 단계

신생아 유소아 초등학생 청소년 성인

0 1 6 12 18

Ätherleib ( 생명 Astralleib ( 감성 Ich ( 자


Physischer Leib ( 물질체 )
체) 체) 아)

0 7 14 21

어린이

주변인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어린이를 위한 공간 계획 건축 계획

기능적 관계

아이들의 발달단계 초기를 살펴보면 주변인들과 매우 가까운 관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따라서 이 시기에 아이들에게 필요한
공간은 주변인들과의 관계에 따라서 규정된다고 할 수 있다 .

신생아나 유 . 소아의 경우 부모의 침실과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 좋다 . 같은 침실을 이용하거나 , 다른 침실을 이용할 경우 가능하면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는 것이 좋다 .

성장에 따라 차츰 독립된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 독립된 공간을 사용하는 초기에는 두 명의 아이들이 같은 공간을 사용하는 것도
괜찮으나 , 8 세에서 10 세 정도가 되면 각자 독립된 공간을 사용하는 것을 권고한다 .

학교에 입학하게 되면 , 개별적으로 공부를 할 수 있는 책상이 필요하다 . 청소년들에게 독립된 개인 공간은 큰 의미를 가지며 ,
이 시기에 그들의 공간은 주거 내에서 독립된 섬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

특히 청소년들에게는 독립된 침실 외에도 작은 화장실이 딸린 거실과 독립된 입구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어린이를 위한 공간 계획 건축 계획

전기기구로 부터
안전고려 바깥을 볼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추락방지 창호를 낮게 설치

가구 크기 , 색깔 , 재료
유모차 , 자전거 및 놀이기구를
보관할 수 있는 장소가 필요

웅덩이 , 독초 등
난간 높이 및 안전 고려

아이들이 사용하는 건물이나 집의 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은 안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또한 아이들의 신체 치수에 맞춘
가구와 난간높이 , 가구배치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

아이들을 위한 공간은 가능하면 따뜻한 계열의 색을 사용하며 , 색의 대비를 뚜렷하게 사용하고 자연채광이 좋아야 한다 .

아동심리학에 따르면 아이들의 공간은 변화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계획해야 한다 . 또한 아이들이 스스로 계획하고 배치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도 바람직한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 벽은 낙서와 청소가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또한 아이들의 공간은 아이들이 편안하게 느끼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것이 중요하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어린이를 위한 공간 계획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어린이를 위한 공간 계획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어린이를 위한 공간 계획 건축 계획

아이들은 성인에 비해 3 차원 인식능력이


뛰어나다 . 아이들의 시선은 평면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 수평과 수직을
넘나드는 아주 역동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
아이들을 위한 공간은 따라서 다양한 시선
변화와 움직임을 고려해서 계획되어야 한다 .
공간의 높이가 약 2.50 m 이상이 된다면
아이들에게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게 된다 . 아주 어린 아이
들은 몸을 숨길 수 있는 , 조그마한 틈이나
굴같은 공간에서 안정감을 느낀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작업 공간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작업 공간 건축 계획

침실 ( 성인 )

출입구 주방 , 식사

작업 공간
휴식 및
위생 커뮤니케이션

개인 공간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작업 공간 건축 계획

노동형태의 변화

90 년대 이후 노동 형태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 노동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


전통적인 포디즘이 붕괴되고 노동과 사적생활의 경계가 점점 모호해지고 있고 , 정보통신의 발달로 노동의 형태는 이제 특정 공간이 필요하다기
보다는 몇가지 간단한 도구만으로 어디서든 가능하게 되었다 . 이는 예를 들어 오늘날 재택근무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

2005 년 영국의 “ Future Foundation” 의 보고서에 따르면 , 전체 혹은 일부의 노동시간을 재택근무하는 노동자의 수는 독일의 경우 약 6.8%
정도로 조사 되었다 . 이는 2005 년 기준으로 전체 노동자 수 약 3 천 9 백만 명 중 2 백 6 십만명이 재택근무를 하고 있으며 , 이 비율은 2020
년 약 14.8% 정도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작업 공간 건축 계획

작업공간과 주거공간의 조합

주거공간에서 작업공간의 배치는 작업의 형태와 각 개인의 작업 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하지만 주거공간 내에서의 작업은 어떤 식으로든
사적 공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계획 시 반드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작업 공간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작업 공간 건축 계획

작업공간의 구성

작업공간의 크기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조명계획


계획되어야 한다 . 오늘날 재택근무에
필요한 도구로 기본적으로 컴퓨터를 작업공간의 조도는 300 lux - 1000 lux 로
꼽을 수 있으며 , 그 형태에 따라 특정 평균적으로 500 lux 정도가 필요하다 .
작업공간의 필요여부가 결정된다 .
작업의 특성에 따라 추가로 필요한 반사광에 의해 작업이 방해받지 않기
도구나 기구들의 크기도 고려되어야 위해서 가구들의 표면은 반사되지 않는
한다 . 재질로 계획한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작업 공간 건축 계획

직접조명 간접조명

직 , 간접조명 조합 Mild lighting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작업 공간 건축 계획

업무용 책상의 크기

120 cm x 80 cm
140 cm x 80 cm
160 cm x 80 cm
180 cm x 80 cm

일반적으로 업무용 책상의


높이는 72 cm 이나 , 작업자의
신체 치수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 (68 cm - 76 cm)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작업 공간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작업 공간 건축 계획

장애인을 위한 작업 공간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위생 공간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위생 공간 건축 계획

침실 주방

위생 공간
아동
세탁 및 관리

개인 공간
휴식 및
커뮤니케이션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위생 공간 건축 계획

주거에 있어 위생을 담당하는 공간은 크게 욕실과 화장실이다 . 오늘날 주거 계획에서 욕실과 화장실은 일반적으로 한 공간에 계획되며 ,
생리적인 욕구를 해결하는 공간인 동시에 , 건강한 생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공간이다 .
또한 오늘날 그 기능이 확대되면서 , 주거의 질을 높여주는 보조공간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

기능적 연결

욕실은 일반적으로 개인 공간과 연계되어 있다 . 설비를 고려한다면 욕실을 또한 주방과 가능한 가깝게 연결하는 것이 경제적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 이외에도 세탁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따로 있다면 , 연결이 되는 것이 경제적이며 , 그렇지 않다면 욕실 내에 이 기능들을 같이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위생 공간 건축 계획

평면 배치 사례

각 개인 실들에 독립된 욕실 및 화장실


이 배치된 예 . 이 경우 공용공간에도
별도의 화장실을 배치하도록 한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위생 공간 건축 계획

평면 배치 사례

두개의 개인실에 하나의 욕실 및


화장실이 배치된 예 . 이 경우도 역시
공용공간에는 별도의 화장실을
배치하도록 한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위생 공간 건축 계획

평면 배치 사례

공용공간에만 욕실 및 화장실이
배치된 경우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위생 공간 건축 계획

계획 시 고려할 사항

배관 계획 전기 계획

배관 설비를 위한 공간은 가능하면 같은 공간에 욕실과 화장실은 그 특성상 항상 어느


배치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 집합주택의 계획에 정도의 습도가 있으므로 , 전기 배관과
있어서 각 세대의 욕실과 화장실을 같은 위치에 콘센트의 위치를 선정하는데 있어 주의를
배치하여 하나의 배관 통로를 사용하도록 한다 . 기울여야 한다 .
배관은 구조체로 사용되는 벽에 매립하거나 ,
구조체 앞에 가벽을 설치하여 가벽 내에 설치하도록
한다 . 가벽 구조는 차후 보수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 설비를 위한 면적이 더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 배관은 기본적으로 보수를 전제로 계획해야
한다 . 따라서 가능하면 면적을 할애하더라도
가벽을 설치하고 여기에 보수를 위한 개구부를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위생 공간 건축 계획

계획 시 고려할 사항 방음 계획

채광과 환기 계획
욕실과 화장실 계획에 있어 종종 문제가
발생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방음문제이다 .
욕실과 화장실이 외벽에 면하고 있다면
특히 공동주택이나 아파트에서 배수관으로
외벽에 채광과 환기를 위한 창을 설치하도록
물이 흐르는 소리는 무시되기 쉬운 문제로
한다 . 만약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면 , 반드시
치부되고 있으나 , 이제는 프라이버시의
기계 환기를 설치해야 한다 .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 배관은 가능하면
비용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 고급주거에서는
벽에 가까우며 , 욕실과 주방의 배관을 가까이
일반적으로 각 세대마다 독립된 환기시설이
위치시키는 것이 경제적이다 . 또한 가능하면
계획되며 , 일반적인 주거에서는 공용 환기
침실이나 거실과 거리를 유지하도록 계획한다 .
시설이 계획된다 . 공용 환기 시설은 경제적인
대안이나 방음에서 문제가 생길 여지가 많다 . 재료 표면

사용 특성상 항상 어느 정도의 습도가 있으므로 ,


사용되는 재료의 표면은 미끄럽지 않아야 한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위생 공간 건축 계획

만약 독립된 세탁실이 계획되지 않았거나 , 세탁기와 세탁물을 보관할 장소가 없을 경우 , 욕실 내에 세탁기 , 건조기 , 세탁물 등을 수납할
공간을 계획해야 한다 .

또한 수건이나 비누 , 치약 등 욕실에서 사용되는 물품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도 계획에 포함되어야 한다 .

오늘날 욕실은 과거와는 달리 거주 공간의 일부분으로 인식되는 경향도 있다 . 따라서 사우나나 월풀 등이 설치되고 단순한 욕실이
아닌 개인 혹은 가족을 위한 공용 공간으로 간주될 수도 있으나 , 이는 어디까지나 개인 혹은 가족의생활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위생 공간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위생 공간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위생 공간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위생 공간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위생 공간 건축 계획

장애인을 위한 사용 면적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위생 공간 건축 계획

노약자를 위한 사용 면적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위생 공간 건축 계획

장애인을 위한 사용 면적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세탁 및 관리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세탁 및 관리 건축 계획

출입구
저장
위생

개인 공간
세탁 및 관리

주방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세탁 및 관리 건축 계획

기능 평면 배치

주방과 욕실 이외에도 주거에서 반드시 주방과 욕실에 가능하면 가까이 혹은


필요한 기능 공간은 세탁과 주거를 관리 직접 연결하는 것이 기능적으로 기술적으로
하는데 필요한 물품을 보관하는 공간이다 . 경제적인 계획이다 .
가사노동을 보다 편리하게 하기 위해 이
공간은 반드시 계획되어야 함에도 , 집합 관리 공간은 채광과 환기가 잘 되어야 한다 .
주거에서는 제대로 계획된 관리 공간을 채광과 환기 , 난방이 보장된다면 지하실을
찾아보기 힘들다 . 집합 주거나 작은 주거 활용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된다 .
에서는 욕실이나 주방과 합쳐진 경우가
크기
대부분이다 . 간혹 기숙사와 같은 공동 주거
에서 공용공간의 일부로 빨래방의 형태로
정확히 어느정도 커야 한다는 규정은 없으나 , 일반적으로 약 7
계획되곤 한다 .
- 9 m² 정도가 필요하며 , 필요한 도구들을 제대로 정리하기
위해서는 약 3 m 이상의 공간이 필요하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세탁 및 관리 건축 계획

기준 치수

세탁 및 관리공간에서 필요한 이동 공간은 주방과 동일하다 . 일반적으로 120 cm, 휠체어 사용자 150 cm 가 필요하다 . 이 공간에서
발생하는 가사노동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된다 . 물을 사용하는 빨래와 같은 습식 가사노동과 그 외의 건식 가사노동이 있다 .

세탁 건조

일반적으로 유럽의 드럼형 세탁기의 치수는 기계식 건조기의 치수는 60 cm x 60 cm 로


60 cm x 60 cm 로 주방 싱크대의 깊이와 같다 . 세탁기의 치수와 같다 .
하지만 우리나라 문화의 특성상 같은 드럼형 건조기의 건조시스템은 제품에 따라 차이가
세탁기라도 약간 크게 제작이 된다 . 있으나 , 건조기에서 발생하는 습한 공기가
세탁기는 가능하면 옆에 세면기를 설치하여 바깥으로 바로 빠져나가도록 배치하는 것이
손세탁과 기계세탁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좋다 .
하는 것이 이상적인 배치이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세탁 및 관리 건축 계획

기준 치수
너비 깊이
세탁기 60 cm 60 cm
건조기 60 cm 60 cm
작은 기구를 위한 수납장 60 cm 60 cm
하부장이 달린 세면대 60 cm 60 cm
빨래 수납장 60 cm 60 cm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세탁 및 관리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세탁 및 관리 건축 계획

장애인을 위한 사용 면적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저장 공간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저장 공간 건축 계획

출입구 주방
작업공간
식사

침실 저장 및 보관
세탁 및 관리
어린이 공간
개인 공간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저장 공간 건축 계획

주거계획에 있어 또 하나 중요한 공간은 사용하지 않는 실내


물건을 세워놓거나 저장하는 공간이다 . Ca. 1 m2
경험적 연구에 따르면 각 가구는 약 6 m² 정도의 면적이
전체 면적
필요하며 , 그 중 1 m² 는 실내에 계획하는 것이 적절 창고 , 옥외2
Ca. 6 m
하다 . Ca. 5 m2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저장 공간 건축 계획

창고 저장의 예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저장 공간 건축 계획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예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쓰레기 & 폐기물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쓰레기 & 폐기물 건축 계획

2018 년도 폐기물 종류별 발생 현황

폐기물 종류별 발생 추이

’18 년도 총 폐기물 발생량은 446,102 톤 / 일 , 전년 (429,531 톤 / 일 ) 대비 약 3.9% 증가


’18 년도 폐기물 종류별 구성비는 건설폐기물 46%, 사업장배출시설계 38%, 생활계폐기물 13%, 지정폐기물 3% 순으로 나타남

구분 ’13 ’14 ’15 ’16 ’17 ’18


발생량 393,116 401,658 418,214 429,128 429,531 446,102
총계
전년대비 증감율 -0.3 2.2 4.1 2.6 0.1 3.9

생활계 발생량 48,728 49,915 51,247 53,772 53,490 56,035

전년대비 증감율 -0.5 2.4 2.7 4.9 -0.5 4.8


폐기물
사업장 발생량 148,443 153,189 155,305 162,129 164,874 167,727

배출시설계 전년대비 증감율 1.4 3.2 1.4 4.4 1.7 1.7


폐기물
건설 발생량 183,538 185,382 198,260 199,444 196,262 206,951

전년대비 증감율 -1.7 1.0 6.9 0.6 -1.6 5.4


폐기물
발생량 12,407 13,172 13,402 13,783 14,905 15,389
지정
전년대비 증감율 -0.6 6.2 1.7 2.8 8.1 3.2
폐기물
출처 :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2018 년도 ), 환경부 , 한국환경공단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쓰레기 & 폐기물 건축 계획

폐기물 ( 쓰레기 ) 은 종류에 따라서 여러 위험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 폐기물 처리 공간의 조건


특히 건조 폐기물의 경우 발화의 위험이 있으며 , 비건조 폐기물의
경우 악취 및 가스 배출의 가능성이 있다 . 1. 불연재를 사용하여 화재의 위험을 배제 .
이러한 위험요소를 배제 혹은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을 최대한 2.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개구부가 설치될 경우
줄이는 것이 설계 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 가능하면 난연재를 사용하고 , 개구부는 밀폐 .
3. 폐기물 수거통은 외부에서 비워질 수 있도록 계획 .
4. 처리 공간의 환기가 확보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쓰레기 & 폐기물 건축 계획

쓰레기통의 종류는 보통 60 l 에서 1000 l 까지


다양하다 . 용도와 지역에 따라 적절한 종류를
사용하도록 한다 .

일반적으로 쓰레기장을 계획할 때는 다음과


같은 요건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

- 개방적인 공간을 선정
- 쓰레기통이 들어갈 충분한 공간이 필요 V 60 L 120 L 240 L
- 각 가구에서 쓰레기장까지의 동선 고려
b 400 485 584
- 눈 , 비를 맞지 않도록 지붕 또는 덮개 고려
l 470 573 717
- 외부인의 출입을 배제
h 781 955 1094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쓰레기 & 폐기물 건축 계획

V 660 L 1000 L V 1100 L

b 1360 1360 b 1360

l 820 1060 l 1075

h 1160 1370 h 1470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쓰레기 & 폐기물 건축 계획

개방된 쓰레기장의 예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쓰레기 & 폐기물 건축 계획

설계 시 유의사항
출입문은 개방된 공간 쪽으로 위치

주기적인 환기 필요

바닥의 경사
ca. 2% 벽과 지붕은 불연재 사용

수전 설치
물청소 가능

내화 및 밀폐 구조의 출입문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쓰레기 & 폐기물 건축 계획

장애인을 위한 설계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개인 공간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개인 공간 건축 계획

출입구

주방

침실 개인 공간 식사

어린이 공간 작업공간
휴식 및
커뮤니케이션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개인 공간 건축 계획

개인을 위한 외부 공간은 일종의 경계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 여기서 경계공간이란 물리적으로 내부와 외부의 경계가 되면서 개인과 공공의 중간에서 매개가 되는
공간이란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
또한 사용여부에 따라 주거의 질을 향상 또는 저하 시킬 수 있으므로 , 계획에 있어 주의를 요한다 .

이런 공간은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한편으로는 기능 중립적 , 다른 한편으로는 다용도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
사용 예 : 식사 , 작업 , 독서 , 휴식 , 아이들의 놀이

이 외에도 세탁 및 관리를 위한 공간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경우 파티를 위한 공간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
확장된 주거공간으로서 이웃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을 주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개인 공간 건축 계획

외부 개인 공간의 형태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네 가지 형태가 있으며 ,
이를 활용하여 많은 형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

또 다른 형태로는 전체 -
혹은 부분적으로 유리를
사용한 온실의 형태
(Winter Garden) 가 있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개인 공간 건축 계획

계획 시 고려사항

향 ( 일조 시간 ), 기후 , 외부로부터의 방해 요소 ( 교통소음 , 노출 정도 ), 내부와의 기능적 연결 , 법적 검토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개인 공간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개인 공간 건축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개인 공간 건축 계획

장애인을 위한 계획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개인 공간 건축 계획

장애인을 위한 계획

휠체어 사용자를 위해 문턱의 높이는 2 cm


이하로 설계하고 출입문으로 빗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을
설치하도록 한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NEUTRAL USE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Neutral Use 건축 계획

현대 건축계획에 있어 새롭게 대두되는 개념이 “ neutral use” 이다 . 이는 해석에 따라 여러가지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개념이다 .

사용에 있어 중립적이란 말은 거꾸로 공간의 성격이 확실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는 의미이며 , 이는 사용자에 따라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는 의미도 된다 .
디자이너가 설계를 할 경우 대부분의 공간은 어느 정도까지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계획이 되나 , 사용자의 변심이나 잘못된 계획 혹은 설계로 인해 기능의
수행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 불가피하게 공간의 성격을 바꾸어야 할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

이는 특히 계획 시 사용자의 요구가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거나 , 공동주택의 경우 그 구조적 특성상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는 데에 따른 어려움 ,
혹은 비용의 제약으로 인해 발생한다 .

또한 유럽의 공동주택들은 과거에 계획되었던 평면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 이는 오늘날 사용자의 요구를 받아들이기에 무리가 있다고 보아도 과언은
아니다 .

이에 대한 가장 간편하고 효율적인 해결책은 가구의 배치를 통한 다양한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또한 각 공간의 용도에 따른 적절한 배치가 이루어져야 하며 , 사용에 있어 편리성은 기본 전제가 될 것이다 .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건축 계획

감사합니다

Youn Suk Cha


Dept. of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