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4

로고

캡스톤 디자인

Date : 2023/ 06 / 06

발표자 : 2078102 임정은


2078093 윤진영
1. 개요
1. 개요

 BIM

 Building Information Model(s) 의 약자

 형상정보와 공간정보의 유기적인 조합을


통해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 하는
과정을 의미설계 ,

 시공 및 유지관리로 국한 지을 범위가
아닌 전 생애주기 관점에서 지칭할 수 있음
1. 개요

 개요 및 배경

 국내외 건설 산업 규모의 대형화

 BIM 사용의 의무화가 자리잡게 됨

 발주기관들의 BIM 에 대한 관심 증가

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통합 및 관리의 필요성

 건설과 정보통신 기술의 결합

 높은 디지털화 지수 , 경쟁력의 향상

 4 차산업시대를 선도하는 새로운 원천


1. 개요

 BIM 의 도입 이점 - 발주자 측면

 3 차원으로 표현화로 인한 이해 당사자간의 협업 및 의사결정 개선

 설계오류 검토 등을 통한 설계품질 향상

 기획단계에서의 최적의 노선 타당성 검토

 설계 변경 이력 관리의 개선
1. 개요

 BIM 의 도입 이점 - 발주자 측면

표 _BIM 도입에 대한 기대편익 목록 중요도


1. 개요

 BIM 의 도입 이점 - 설계 측면

 지적 정보를 BIM 모델과 중첩하여 , 주변 환경 및 지적 상황을 고려한 설계

 설계 참여자들 간의 효과적인 협업 수행을 통한 설계 오류의 최소화

 시각화의 혜택과 더불어 설계변경사항의 자동 반영을 통한 정확성 확보

 설계 진행 단계별로 BIM 을 기반으로 한 수정작업의 비용 및 시간 절감


1. 개요

 BIM 의 도입 이점 - 시공 및 유지관리측면

 BIM 모델로부터 직접 시공 도면의 추출 도면의 정확성 향상

 시공 시뮬레이션을 통한 정밀한 공정 계획으로 린 건설 (Lean construction) 유도

 설계 오류 감소로 인한 재시공 비율 감소 , 공기 및 공사비 단축 유도

 시설물 정보의 접근이 용이 , 유지보수의 효율성 증가

 유지보수비 절감 및 효율적인 업무
1. 개요

 BIM 단계

1. 전환 BIM – Conversion BIM (BIM


1.0)
 전사적 BIM 팀 구성
전사차원 전사적 BIM 팀
인적 문제 분야

( 문화 · 조직 · 교육 )
개별 프로젝트 전환설계 관리능력
 2D 도면에서의 3D 도면으로
담당자 차원 BIM 모델 조작능력
전환 설계
제한된 인원의 팀원들
정책 및 인프라 분야 협업절차
사이의 설계 조율  사회 전반적인 변화 준비
( 정책 · 인프라 · 서비스 및
기존 발주 및 사업관리
성과물 · 작업절차 ·) 발주 및 관리절차
방식 활용
BIM 저작 도구
바탕 기술 BIM 뷰어
기술 분야
BIM 모델 체커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
CDE, Big Room 시스템
정보 )
관리 기술 설계오류를 추적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1. 개요

 BIM 단계

2. 투 트랙 BIM – Two-track BIM (BIM 2.0)

전사차원
다수의 BIM 프로젝트

진행상황
 일부분 BIM 적용
인적 문제 분야 모니터링 , 지원 , 및 관리
( 문화 · 조직 · 교육 )
개별 프로젝트 투트랙 BIM 주도능력  BIM 적용의 확대화에 중점
담당자 차원 BIM 모델 활용한 설계 검토

협업절차
도면과 BIM 모델간 조율의

중요성 증대 , 제한된 BIM


 철도 분야의 현 단계
사용
정책 및 인프라 분야 최저가 낙찰 또는
( 정책 · 인프라 · 서비스 및 유사효과가 나는
성과물 · 작업절차 ·) 발주방식의 지양
발주 및 관리절차
프리콘 (Preconstruction)

용역

CM@Risk ( 책임형 CM) 등


BIM 분석도구
바탕 기술 상세설계도구

상호운용성
기술 분야 2D 로 수행된 부분과 BIM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 으로
정보 ) 수행된 부분의 조율할 수
관리 기술
있는 기술

( 예 : 3D 스캐닝 , 모델

버전관리 )
1. 개요

 BIM 단계

3. 통합 BIM –Integrated BIM (BIM 3.0)

인적 문제 분야
전사차원 지속적 성공 , 실패 요인 관리
 통합사업 관리
개별 프로젝트 다중 인터페이스 구간 조율 능력
( 문화 · 조직 · 교육 )
담당자 차원 BIM 모델 활용한 수량산출 및 공정

BIM 도구 , 버전 조정 및 모델  시공단계에서도 BIM 을 활용


동기화
협업절차 사이의 상호운용성의 중요성 증대
정책 및 인프라 분야

( 정책 · 인프라 · 서비스 및 성과물 · 공동작업과 협력적인 업무  가장 핵심적이며 중요한 단계


작업절차 ·) 프로세스
기술력 평가 가점 제도
발주 및 관리절차
기술자 평가점수제도 확립

클라우드기반 도구

BIM 서버 , 현장 BIM 도구

바탕 기술 모델 - 현장 동기화를 위한 3D

스캐닝 및 사진측량법

실제 공정을 반영한 4D 스케줄

관리

기술 분야 다양한 BIM 소프트웨어간의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 정보 ) 원활한

정보교환이 가능한 체계

설계조율에 따라 지속적으로
관리 기술
변경되는

BIM 모델의 수정내용 및

모델버전을

추적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1. 개요

 BIM 단계

4. 린 BIM –Lean BIM (BIM4.0)

인적 문제 분야
전사차원 지속적 성공 , 실패 요인 관리
 새로운 기술들을 접목
개별 프로젝트 다중 인터페이스 구간 조율 능력
( 문화 · 조직 · 교육 )
담당자 차원 BIM 모델 활용한 수량산출 및 공정

BIM 도구 , 버전 조정 및 모델  실시간으로 프로젝트의 시공 및


유지관리 정보를 업데이트
동기화
협업절차 사이의 상호운용성의 중요성 증대
정책 및 인프라 분야

( 정책 · 인프라 · 서비스 및 성과물 · 공동작업과 협력적인 업무

작업절차 ·) 프로세스
기술력 평가 가점 제도
 린 기반 공장생산 및 모듈러
발주 및 관리절차
기술자 평가점수제도 확립 시공
클라우드기반 도구

BIM 서버 , 현장 BIM 도구

모델 - 현장 동기화를 위한 3D
 일체화에 가까운 유기적인 공사
바탕 기술
스캐닝 및 사진측량법

실제 공정을 반영한 4D 스케줄

관리

기술 분야 다양한 BIM 소프트웨어간의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 정보 ) 원활한

정보교환이 가능한 체계

설계조율에 따라 지속적으로
관리 기술
변경되는

BIM 모델의 수정내용 및

모델버전을

추적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1. 개요

 BIM 단계

5. 지능형 BIM –AI BIM (BIM5.0)

전사차원
빅데이터를 수집 , 분석하고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는 데이터


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접목
인적 문제 분야
사이언트 팀
( 문화 · 조직 · 교육 )
개별 프로젝트

담당자 차원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능력

빅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 초고도 기술과의 연계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프로세스 ,

데이터기반 설계 , 시공 및 시설물
협업절차 유지관리 및 자산관리 데이터 처리
정책 및 인프라 분야

( 정책 · 인프라 · 서비스 및 성과물 및 교환 자동화 현장 및 공장 생산

· 작업절차 ·) 건설을 위한 생산자동화


정보를 바탕으로 용역자 선정
발주 및 관리절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사 리스크

예측 및 관리

각 LOD 단계별 IDMs/MVDs

지리정보시스템과 BIM 기반의


바탕 기술
데이터 사이언스 스마트시티와

BIM 의 통합
기술 분야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 정보 )

각 프로젝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빅데이터로 만들 수 있는
관리 기술 시스템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1. 개요

 해외 및 국내 사례
 노르웨이 바네노르社의 철도 BIM

 BIM 과 GIS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지털 지도 생성

 철로의 단계별 건설 과정을 차트로


기록해 프로세스의 단순화 유도

 카타르 국립 박물관

 재시공 방지를 위한 설계 BIM

 LOD-400~500 수준을 확보

 물량산출 및 2D 도면추출 , DMU


등에 BIM 데이터를 활용
1. 개요

 해외 및 국내 사례

연우 테크놀러지社 BIM 시공 단계
1. 개요

 해외 및 국내 사례
 국내 LH 본사 신사옥

 Digital Project 및 TEKLA 를 활용한


단계별 / 활용별 BIM 작성 기술을
제안

 BIM 을 활용한 비용 일정 및 PMIS


통합 운영
2. Revit 실습과정
2. Revit 실습과정

 6 강 - 기초 작업

그리드 레벨
- 그리드는 설계 프로젝트의 - 레벨 또한 설계 프로젝트의
기준점이 된다 기준이다
- 이 때문에 BIM 모델링을 - 좌측에 적혀있는 숫자들은 각
작성하기전에 먼저 레벨들이 Ground Level 로부터
작성해야되는 필수적인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낸다
작업이다
2. Revit 실습과정

 8~20 강 - 외부요소 및 내부요소 설계

8강 11 강
- 건축물의 기초작업인 - 예제 파일에 주어진 가이드라인을
독립기초 및 매트 기초를 따라 구조 벽을 작성했다
작성했다 - 1 층을 완성한 다음 나머지 층에
- 매트 기초를 사용해서 2 개의 복사한 다음 벽 높이를 각 레벨에
매트 기초의 단차구간이 맞추기 위해 간격 띄우기 값을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도록 조정했다
했다
2. Revit 실습과정

 8~20 강 - 외부요소 및 내부요소 설계

13 강 13 강 6 층 계단
- 구조물의 계단 건축 단계 . - 6 층 계단 작성의 어려움은
- 재료 선택 후 한 층의 계단을 계단참이 제대로 작성이 안 됐다
작성한 뒤 다른 층에 복사해 - 기존에 있는 계단참을 삭제 후
작성을 했다 계단참만 따로 작성했다
- 계단과 계단참의 연결 끊김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조건에서
“철판 베이스 아래로”를
편집했다
2. Revit 실습과정

 8~20 강 - 외부요소 및 내부요소 설계

15 강 17 강
- 건축물의 바닥을 건물 전체 , - 건축물의 천장을 마감을 작성한
화장실 , 계단실 , 옥상 17 강이다
순으로 바닥 마감을 작성했다 - 천장 스케치를 사용해서 천장을
- 각 층 / 실마다 다른 유형의 작성한 다음 복사 기능으로 다른
바닥 마감을 사용했다 층에 천장을 붙여 넣고 각 층
- 옥상에는 조경과 데크까지 높이에 맞게 수정하였다
작성을 하였다
2. Revit 실습과정

 21~25 강 - 속성정보 기입

21 강 25 강
- 각 층별로 공간 BIM - 그래픽 옵션에서 불필요한 매스를
데이터를 작성했다 삭제한 다음 작업을 진행했다
- 룸 작성을 통해 공간 정보와 - 태양 경로와 그림자 기능을
시설 구분 정보를 입력했다 이용해서 일조를 분석한 단계이다
- 색상표 편집창에서 색상 - 태양 설정에서 위치 , 날짜 등
채우기 기능을 이용해 모든 태양과 관련된 설정을 변경할 수
층의 시설 공간 구분을 있다
작업했다 - 태양 경로 크기를 100 으로
설정해서 위와 같은 이미지가
3. 출처

 출처

철도 인프라 발주처 관점에서의 BIM 도입 전략 연구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제 21


권 제 8 호 _ 박정준 , 신민호 , 이강 , 유민택 , 이근일

토목공사 분야 BIM 활용 현황 및 적용 방안 _ 강인석 , 문현석


[ 대한민국 대전환 'ON'] 스마트건설 핵심 'BIM', 철도에도 확대 -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21024000148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 국내 건설사업에서 BIM 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주된


원인은 ?
https://www.auric.or.kr/User/Poll/Poll_view.aspx?Pollid=64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