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파타고니아로

알아보는

의류산업에서
의 제품 환경성
개선
원료

생산 단계

운송 단계

사용 단계
유기농 목화

1996 년부터 모든 면제품 유기농 목화로 생산


살충제 , 제초제 , GMO 종자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적인 방식으로 해충 관리 , 토양 재배
화학 비료 업체에 대한 의존도 감소
물 사용량 84%, 이산화탄소 배출량 16% 감소
리사이클 울

공장에서 나오는 자투리 천 등 제품의 생산


단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폐기물을 활용하는 pre-consumer 소재
+
소비자가 사용 후 버린 post-consumer 소재 모두
활용
일반적 울과 비교 - 이산화탄소 배출량 95% 감소
PFCs/PFAs 사용 X

발수기능 - 과불화화합물에 의존해 왔음


과불화화합물 - 인체와 생태계 내에서 사라지지 않는
영속적 화학물질
2013- 2016 당시 덜 유해한 탄화 플루오린으로 대체
but 이 또한 유해
2023 년 가을 과불화탄소 없이 92% 의 의류 제작
2025 년까지 모든 발수와 방수막 처리에서
과불화화합물 이용 X 계획
포장재 사용 원칙
단순화와 용량 최소화의 원칙에 기반한 표준화에
따라 포장재 최소화
환경에 영향을 최소화하는 자재 사용
목재 섬유 제품 사용하는 경우 - 재활용된 제품 또는
SFI( 지속가능한 산림 이니셔티브 ) , FSC( 국제
산림 관리 협의회 ) 에서 인증받은 자재 활용
ㄴ 보전 가치 높은 산림 , 멸종위기 야생동물 ,
원주민의 권리 등
운송 방식

배송 과정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 - 전체의 8%


운송 발자국 줄이기 위해 공장에서 국제유통 센터로
바로 배송
항공 운송 최소화
광고

2011 년 블랙 프라이데이 광고
‘ 이 옷을 사지 마세요‘ 라는 독특한 광고
환경을 위해 꼭 필요하지 않다면 사지 말라는 뜻
환경을 위해 소비자들이 취해야 할 자세 적어놓음
내구성이 강해 빠르게 사고 버려지는 값싼 ‘패스트
패션‘ 의 산물이 아닌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의미
있는 옷 , 의류 산업에서 친환경 기업으로 자리매김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