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2017 경제수학

5. 선형모형과 행렬대수 3

선형방정식 체계 의 해의 존재 조건

비동차함수의 경우 동차함수의 경우

유일한 비자명 유일한 자명(trivial) 해


(nontrivial)해가 존재 가 존재
행렬 A 는 비특이행렬

무한한 해가 존재 무한한 해가 존재
행렬 A 가 특이행렬이면 (trivial 해는 포함안됨) (trivial 해까지 포함)
서 방정식이 종속된 경

해가 존재하지 않음 동차함수에서는 이 경
행렬 A 가 특이행렬이면 우가 불가능
서 방정식이 모순되는
경우

1
2017 경제수학

행렬대수의 국민소득모형에의 응용

• 다음의 국민소득 모형의 균형을 크래머 법칙과 역행렬을 이용하여


찾아보자

⁃ 선형연립방정식 체계를 행렬로 표현

⁃ 크래머법칙을 이용

• 역행렬을 이용:

• 행렬대수를 이용하는 경우 복잡한 (1) 방정식체계의 단순화, (2)


유일한 해의 존재를 검증하는데 유용, (3) 역행렬이나 크래머법칙을
이용하여 균형을 쉽게 도출

2
2017 경제수학

레온티에프 투입산출모형(Leontief Input-Output Models)

• 레온티에프 투입산출 모형이란?

⁃ 산업연관표(일정기간 동안의 산업간 거래관계를 일정한 원칙에 따라

행렬형식으로 기록한 통계표)를 활용하여 산업간 상호의존관계를


수량적으로 분석하는 일련의 작업을 산업연관분석 또는
투입산출분석이라 함

✓ 한 경제내 n개의 산업에서 생산하는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정확히(correct: 과부족이 없는 상태) 충족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산업에서 생산해야 하는 재화나 서비스의 양을 계산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되는 방법론

✓ 1973년 노벨경제학 수상자 레온티에프의 1936년

논문(Quantitative Input-Output Relations in the Economic System

of the United States)이 출발점으로 언급됨

✓ 제3장에서 소개된 ‘일반균형분석’과의 차이점: 시장균형조건

보다는 투입과 산출간의 기술적(technical) 관계를 만족시키는


산출량을 도출하는 데 초점을 맞춤

⁃ 활용되는 분야

✓ 경제적 파급효과의 계산

✓ 산업간(지자체간) 연관관계 등의 분석

3
2017 경제수학

• Eg.) 한 경제내에서 요구되는 전력(E:electricty)과 수도(W: water)

산업(2개의 산업을 가정)의 생산품에 대한 수요량을 과부족없이

충종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산업에서 얼마나 생산해야 하는가?

⁃ 가정들(assumptions)

✓ 한 개의 산업에서는 한 가지 동질적인(homogeneous)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

✓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CRS: Constant Return to Scale) 생산을 가정:

모든 생산요소 투입을 k배 하면, 산출도 k배가 되는 생산구조를


가정

✓ 각각의 산업은 고정된(fixed) 투입비율에 기초하여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

• 투입계수행렬(Input Coefficient Matrix)

⁃ 각 산업의 재화나 서비스 한 단위를 생산하는 데 투입되는 다른 또는


동일 산업의 재화나 서비스의 양을 표시한 행렬

⁃ : j 산업의 재화나 서비스 한 단위 $1 생산에 투입되는 i산업

생산 재화나 서비스의 투입량은 $0.35

4
2017 경제수학

• 개방모형(Open model)에서는 투입계수행렬의 열별 합계(column sum)는

1보다 작음. 예를 들어 j산업 생산에 중간재로 투입된 (n산업으로 부터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합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됨

⁃ 개방모형: 재화와 용역의 배분을 중간수요와 최종수요로 구분하여

기록(행별로)하고, 투입면에서는 중간투입(intermediate inputs: 생산을

위한 원재료 등의 투입)과 노동 등 원초적 투입(primary input)으로

나누어 기록(열별로)한 뒤 최종수요부문과 원초적 투입부문을

개방부문(open sector)으로 취급하는 모형

• 생산요소의 가치: 예를들어, j산업에서 생산에 사용된 생산요소의 가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됨.

• 1-산업에서 생산된 재화나 서비스는 모두 중간재 또는 최종재로


수요됨을 나타내는 조건

where

⁃ : j산업의 생산량,

⁃ : j산업 재화 또는 서비스 생산에 투입요소로서 필요한 i산업의


재화나 서비스의 양

⁃ : 1산업의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최종수요

• n산업 모두를 포함하면

5
2017 경제수학

• 우변(RHS: right-hand side)에 최종수요부문만이 남게 재정리하여 행렬로

표현하면,

• 위 선형방정식체계의 해( ):

⁃ 를 레온티에프 행렬이라 지칭

⁃ 유일한 해의 존재 조건: 가 비특이행렬이어야 함

⁃ 특별한 경우 을 생산유발계수라고 부르기도 함

• Eg.) 개방모형에서 투입계수 행렬과 최종수요를 다음과 같다고 가정하고

원초적 투입(primary input)의 가치와 투입-산출 시스템을 만족시키는

산업별 산출량을 계산하라.

6
2017 경제수학

⁃ 산업별 원초적 투입의 가치를 이라 하면

⁃ 투입-산출시스템을 만족하는 산업별 산출량은 다음과 같이 구함

를 이용

• 의 행렬식을 라플라스 전개(1행 기준)로

구하면,

7
2017 경제수학

• 여인자 행렬

• 부수행렬

• 레온티에프 행렬의 역행렬

8
2017 경제수학

⁃ 최종수요 벡터가 으로 주어질 경우 를 구하라

⁃ 크래머의 법칙을 이용하여 를 구하라

=7.2+0.36+0.3-(-1.08+0.6-1.2)=9.54

⁃ 위와 같이 는 크래머 법칙을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다. 만약

여러가지 최종수요 벡터를 가지고 정책실험을 한다면 를 구하기


위해 위의 역행렬을을 이용하는 방법과 크래머의 법칙 중 어떤

방법이 더 효율적인가?

9
2017 경제수학

• Hawkins-Simon theorem: 비음(nonnegative) 해(solution) 존재의

필요충분조건을 나타내는 정리(theorem)

⁃ 레온티에프 행렬 로 표기할 때, 를 만족시키는


가 존재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을 의미

⁃ Hawkins-Simon theorem: (a) 행렬 가 주어지고

이며, (b) 벡터 일 경우 를 만족하는

벡터 가 존재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이다. 여기서 은 행렬 의

선도주소행렬식(Leasing principal minor)이다.

⁃ 주소행렬식(Principal minor): 소행렬식 중 행과 열이 같은 소행렬식을


의미

✓ 예를 들어 행렬 가 주어질 때

✓ 2계 주소행렬식은 의 소행렬식(minor) 중 인

소행렬식 를

의미

✓ 위와 같이 주소행렬식을 2계(second order) 주소행렬식이라


지칭

✓ 1계 주소행렬식:

✓ 3계 주소행렬식:

⁃ 선도주소행렬식(Leanding principal minors, Naturally ordered principal

minors, successive principal minors)

10
2017 경제수학

✓ 주의: 여기서 하첨자는 크래머 법칙의 행렬식 하첨자와 의미가

틀림. 여기서 하첨자는 선도주소행렬의 차원을 나타냄

• Hawkins-Simon정리의 경제적 의미

⁃ 한 산업의 재화나 서비스 한 단위(예, 1달러)를 생산하기 위하여

직간접적으로 사용되는 그 산업의 재화나 서비스의 양(또는 가치)은


한 단위보다 작아야 됨을 의미

⁃ Eg.) 2개의 산업을 가정할 경우의 Hawkins-Simon정리의 의미

✓ 투입계수 행렬 라

하자.

✓ Hawkins-Simon정리는 ,

이어야 비음해가 존재함을 의미

✓ : 산업 1의 재화나 서비스 생산에 직접 이용되는 산업1

재화나 서비스의 양은 1보다 적음

11
2017 경제수학

Finite Markov Chains (유한 마코프 연쇄과정)

• 행렬대수는 시간에 따른 변수의 발생확률을 모형화 하는 마코프

프로세스(stochastic process의 한 종류) 또는 마코프체인 이라 지칭되는


확률이론 또는 통계기법에도 활용됨

⁃ 마코프체인은 계량경제학 등 경제학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확률과정임

⁃ 시계열계량경제학 분야의 학자인 Hamilton은 마코프 프로세스


개념을 이용하여 미국의 고용시장 상황(정상성장, 약간의 침체,
심각한 침체)이 이행할 확률을 구함
https://research.stlouisfed.org/publications/review/05/07/Hamilton.pdf

• Markov transition matrix(마코브 전이확률 행렬): 임의의 한 상태(state:

고용상태, 경기상황 등등)에서 다른 상태로 이동할 확률을 표시한 행렬


⁃ 마코프 전이 행렬을 반복적으로 곱해가며 시간경과에 따른 상태의
변화를 추정가능







12
2017 경제수학

• Eg.) 특정시점에서 한 회사내 A지점과 B지점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수의


추정

⁃ 다음과 같은 마코프 전이 행렬( )과 현재시점(t)의 A와 B지점의


근로자 수 벡터( )를 가정

: 현재 A 지점의 근로자가 다음 시점에도 A 지점에서 근무할 확률

: 현재 A 지점의 근로자가 다음 시점에는 B 지점에서 근무할 확률

: 현재 B 지점의 근로자가 다음 시점에는 A 지점에서 근무할 확률

: 현재 B 지점의 근로자가 다음 시점에도 B 지점에서 근무할 확률


: 현재(t 시점) A 지점의 근로자수
: 현재(t 시점) B 지점의 근로자수

⁃ 다음 시점(t+1)에서 A와 B지점의 근로자수의 계산

⁃ 2기간 후 시점(t+2)에서 A와 B지점의 근로자수의 계산

⁃ n기간 후 시점(t+n)에서 A와 B지점의 근로자수의 계산

13
2017 경제수학

• 다음과 같이 현재 A와 B지점의 근로자 수와 마코프 전이 행렬을


가정하라. 현재를 t=0라 하고 10기간 후인 t=10에서 A와 B지점의
근로자 수를 계산해 보자

⁃ ,

• 만약, A와 B지점의 근로자가 퇴사할 가능성과 퇴사하는 경우 A와 B에서


다시 근무할 가능성은 없다고 가정하는 경우 마코프 전이 행렬을
만들어 보자

1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