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School of Electronic Engineering


BA0026 공학수학2
Professor: Ph.D. Hee-Jin Lee

◆ 선형연립방정식의 해: 존재성, 유일성


● 선형연립방정식에 대한 기본정리
⇒ 존재성(Existence): 선형연립방정식이 모순이 없기 위한(Consistent), 다시 말해
서 해를 갖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계수행렬과 첨가행렬이 같은 rank를 갖는
것이다.
⇒ 유일성(Uniqueness): n개의 미지수를 갖는 선형연립방정식이 유일한 해를 갖
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계수행렬과 첨가행렬의 rank가 같고 그 값이 n인 값을
갖는 것이다.
⇒ 무수히 많은 해(Infinitely Many Solutions): 계수행렬과 첨가행렬의 rank가 같
고 계수행렬의 rank가 미지수의 개수보다 작으면 무수히 많은 해가 존재
⇒ Gauss 소거법(Gauss Elimination): 해가 존재하면 Gauss 소거법에 의해 모두
구해질 수 있다.

● 제차연립방정식
⇒ 제차연립방정식은 항상 자명한 해(Trivial Solution)을 갖는다.
계수행렬의 rank = r, 미지수의 갯수 = n

⇒ 자명하지 않은 해가 존재할 필요충분조건 : r < n


⇒ r < n이면 해공간은 n-r차원 벡터공간이다. (유일해이면 한 점으로 표현)
⇒ 제차연립방정식의 두 해벡터의 일차결합도 제차연립방정식의 해이다.
(무수히 많은 해를 가질 경우)

- 14 -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School of Electronic Engineering
BA0026 공학수학2
Professor: Ph.D. Hee-Jin Lee

● 미지수보다 방정식의 수가 적은 제차 선형연립방정식


⇒ 방정식의 수가 미지수의 수보다 적은 제차연립방정식은 항상 자명하지 않은
해 (Nontrivial Solution)를 갖는다. (무수히 많은 해를 갖는다)
● 비제차연립방정식
⇒ 만약 비제차 연립방정식이 해를 갖는다면 모든 해는     와 같은 형태
가 된다.
⇒ 은 비제차 연립방정식을 만족하는 하나의 해이고 는 대응하는 제차연립
방정식을 만족하는 임의의 해이다.

(증명)

◆ 2차 및 3차 행렬식
● 2차 행렬식(Determinant of Second Order)
⇒ 행렬은 대괄호로 표시하는 반면 행렬식은 두 개의 세로선으로 표시한다.

● 선형연립방정식
⇒ Cramer 법칙을 이용하여 해를 구한다.
⇒ D가 0이 아닐 때 구할 수 있다.

- 15 -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School of Electronic Engineering
BA0026 공학수학2
Professor: Ph.D. Hee-Jin Lee

(증명) Gauss 소거법 활용

⇒ 를 소거하기 위해 위의 식에 를 곱하고 아래식에  를 곱해 더한다.

⇒ 를 소거하기 위해 위의 식에  를 곱하고 아래식에 를 곱해 더한다.

⇒ 일 때 위의 결과와 일치한다.

예제 Cramer 법칙을 이용하여 다음의 연립방정식을 풀어라

- 16 -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School of Electronic Engineering
BA0026 공학수학2
Professor: Ph.D. Hee-Jin Lee

● 3차 행렬식(Determinant of Third Order)

● 선형연립방정식
⇒ Cramer 법칙을 이용하여 해를 구한다.
⇒ D가 0이 아닐 때 구할 수 있다.

◆ 행렬식. Cramer의 법칙
● n차 행렬식(Determinant of nth Order)
⇒ n차 행렬식은  ×  정방행렬    에 관한 스칼라 값이며,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 17 -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School of Electronic Engineering
BA0026 공학수학2
Professor: Ph.D. Hee-Jin Lee

⇒    이면   
⇒  ≧  이면

또는

⇒ 소행렬식(Minor): 
⇒ 여인수(Cofactor): 

예제 다음의 3차 행렬식을 전개하라.

⇒ 1행에 대해서

⇒ 3열에 대해서

- 18 -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School of Electronic Engineering
BA0026 공학수학2
Professor: Ph.D. Hee-Jin Lee

예제 삼각행렬의 3차 행렬식을 전개하라.

⇒ 삼각행렬의 행렬식은 대각선에 위치한 성분들을 곱해서 구할 수 있다.

● 기본 행연산(Elementary Row Operation) 수행 시 n차 행렬식의 변화


⇒ 두 행(열)을 바꾸면 행렬식의 값에 –1이 곱해지게 된다.
⇒ 한 행(열)의 상수 배를 다른 행(열)에 더하는 것은 행렬식의 값에 변화를 주
지 않는다.
⇒ 한 행(열)에 0 아닌 c를 곱하면 행렬식의 값이 c배가 된다.
⇒ 전치(transposition)를 취하여도 행렬식의 값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
⇒ 0행 또는 0열이 있으면 행렬식의 값은 0이다.
⇒ 두 행이나 두 열이 비례관계에 있으면 행렬식의 값은 0이다. 특히 같은 두
행이나 두 열을 가진 행렬식의 값은 0이다.

예제 삼각형 형태로 만들어 행렬식을 계산하라.

- 19 -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School of Electronic Engineering
BA0026 공학수학2
Professor: Ph.D. Hee-Jin Lee

● 행렬식에 의한 계수
⇒ m×n 행렬    가 rank r(≥1)을 갖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A의 r×r 부분
행렬의 행렬식은 0이 되지 않는 반면, A의 (r+1)×(r+1) 또는 그 이상의 행을 갖
는 모든 정방 부분행렬의 행렬식은 0이 되는 것이다. 특히, A가 정방행렬 n×n
일 때, 계수가 n일 필요충분조건은 det(A)≠0 이다.

● Cramer의 정리(행렬식으로 표현된 선형연립방정식의 해)


⇒ n(미지수의 개수) < p 개의 성분을 갖는 p개의 벡터들은 항상 일차종속이다.

일 때

⇒ 는 D의 k번째 열을  ⋯ 인 성분으로 하는 열벡터로 대치하여 얻은 행


렬식이다.

- 20 -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School of Electronic Engineering
BA0026 공학수학2
Professor: Ph.D. Hee-Jin Lee

◆ 역행렬. Gauss-Jordan 소거법


● 역행렬(Inverse Matrix)

⇒ 정칙행렬(Nonsingular Matrix) : 역행렬을 갖는 경우


⇒ 특이행렬(Singular Matrix) : 역행렬을 갖지 않는 경우
⇒ 역행렬을 가지면 그 역행렬은 유일하다.

● 역행렬의 존재성
⇒ A가 n×n행렬일 때, 역행렬  이 존재

● Gauss-Jordan 소거법에 의한 역행렬의 결정

예제 다음 행렬 A의 역행렬  를 구하라

- 21 -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School of Electronic Engineering
BA0026 공학수학2
Professor: Ph.D. Hee-Jin Lee

⇒    ,      로 확인 가능


● 행렬식에 의한 역행렬 공식
⇒ n x n 정칙행렬    의 역행렬은

⇒ 는 detA에서 의 여인수

예제 다음 행렬 A의 역행렬 

를 구하라

예제 다음 행렬 A의 역행렬  를 구하라

- 22 -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School of Electronic Engineering
BA0026 공학수학2
Professor: Ph.D. Hee-Jin Lee

⇒ 앞의 Gauss-Jordan 소거법의 결과와 일치

● 대각행렬의 역행렬
⇒ 대각행렬    의 역행렬이 존재

⇒  은 이 대각원소인 행렬

예제 다음 행렬 A의 역행렬  를 구하라

- 23 -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School of Electronic Engineering
BA0026 공학수학2
Professor: Ph.D. Hee-Jin Lee

● 두 행렬의 곱의 역행렬

● 역행렬의 역행렬

● 행렬의 곱에 대한 특이 성질. 소거법


⇒ 행렬의 곱은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    일 때    또는    이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    일 때  ≠  일 수도 있다. (심지어  ≠  인 경우에도)

● 소거법칙
A, B, C를 n x n행렬이라 하자. 그러면
⇒ rankA=n이고 AB=AC이면, B=C 이다.
⇒ rankA=n 이면 AB=0은 B=0을 의미한다.
AB=0이면서 A≠0이고, B≠0이면 rankA<n 이고 rankB<n
⇒ A가 특이행렬이면 AB와 BA도 또한 특이행렬이다.

● 행렬곱의 행렬식

- 2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