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4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제3장
힘계의 합성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1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1 서론

• 힘계(force system)가 물체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할 때는 힘계를


가장 간단한 등가계로 변환시키는 것이 편리

예) 2장에서 공점력계(concurrent force system)는 단일의 힘으로 대체될


수 있고, 우력계(couple system)는 단일의 우력으로 대체 가능

• 다음 절에서는 임의의 힘계가 어떻게 힘과 우력으로 변환될 수 있는가를


설명

• 그 이후에는 힘-우력계를 적용하여 힘계의 합성을 결정하는 것에 관하여


논의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2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2 힘계를 힘과 우력으로 변환하기


• 주어진 힘계를 임의의 점에 작용하는 힘과 우력으로 구성되는 등가계(힘-
우력계)로 변환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3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2 힘계를 힘과 우력으로 변환하기


• 힘-우력계의 특징

 합력 R 은 점 O의 위치에 상관없이 동일
 합 우력 벡터 CR 은 점 O에 대한 각 힘들의 모멘트 합으로, O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 기준점 O가 좌표계의 원점이라 하면 Rx   Fx R y   Fy Rz   Fz
C xR   M x C Ry   M y C zR   M z
• 원래 계의 힘이 평면, 즉 xy평면 내에 있다면

Rx  Fx R y   Fy C R  Mo

 CR 은 항상 z축 방향
 R 과 CR 는 서로 수직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4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예제
예제 3.1
구조 부재에 작용하는 힘계가 우력 C와 힘 F1, F2 및 F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 G에 힘이 작용하는 등가 힘-우력계를 구하여라. C = 271 N∙m, F1 = 445 N,
F2 = 400 N 및 F3 = 534 N을 사용하라.

 벡터법을 사용하라.

 우력의 방향은?

 F1과 F2의 전달 우력
계산시 벡터 r은?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5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예제
예제 3.2
그림 (a)의 공면력계는 3개의 힘과 1개의 우력으로 이루어져 있다. O점에
작용하는 힘으로 등가 힘-우력계를 구하여라.

 스칼라법이 편리하다.

 전달 우력이 모두 z방향이다.

 반시계 방향을 (+)로 해서

값이 (-)가 나오면 시계방향이다.

 최종적으로 우력의 방향은?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6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3 합성(resultant)의 정의
• 힘계의 합성

 원래의 계가 강체에 대한 외부 효과의 변화 없이 대체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계라고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R 과 CR 의 힘-우력계)

• 만약 R 과 CR 가 수직이면 단일 힘으로 추가 변환 가능

• 힘계의 합성은 다음 중 하나에 해당

1) 합력 R (CR = 0 또는 R 과 CR 가 수직인 경우) → 공점력계, 2차원 문제


2) 합우력 벡터 CR (R = 0인 경우)
3) 합력-우력계(R 과 CR 가 수직이 아닌 경우) → 3차원 문제

• 등가 힘계는 합력이 같고,어떤 점에 대해서도 동일한 합모멘트를 갖는다.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7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4 공면력계의 합성
일반적인 공면력계(coplanar force system)

• 등가계의 3가지 Resultant 형태


 R = 0: 합성은 우력 CR이다.
 CR = 0: 합성은 작용선이 O을 통과하는 힘 R이다.
 R ≠ 0 및 CR ≠ 0: R과 CR은 서로 수직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단순화를
통하여 단일 힘으로 표시 가능(이 때 d = ΣMO/R)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8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4 공면력계의 합성
일반적인 공면력계(coplanar force system)

• 요약하면, 일반적인 공면력계의 Resultant


 F  0 이면, Rx  Fx R y  Fy M0  Rd
→ 여기서 R의 작용선 위치(d)는 모멘트 식에서 결정

 F  0 and  Mo  0 이면, Resultant는 우력


C R   Mo
• 모멘트 식의 또 다른 유용한 형태

 M0  R y x A M0  Rx y B
→ 여기서 xA, yB는 R이 교차하는 x, y 축의
교점의 좌표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9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4 공면력계의 합성
공면 공점력계(Concurrent, Coplanar Force System)

• 모든 힘이 한 평면 위에 있고, 한 점을 통과할 때

R  F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10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4 공면력계의 합성
공면 평행력계(Parallel, Coplanar Force System)

• 모든 힘이 한 평면 위에 있고, 작용선이 평행할 때


R  F1  F2  F3  ...   F
C R  F1 x1  F2 x 2  F3 x3  ...   M0

• x의 값은  Mo  Rx 에서 계산 가능

• 만약  F  0 and  Mo  0 이면,
C R   M0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11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예제
예제 3.3

xy평면에 놓여있는 4개의 힘계에 대한 및


값이 다음의 표에 나열되어 있다. 점 O는 좌표계의 원점이고, 양의 모멘트는
반시계방향이다. 각각의 힘계에 대한 합성을 구하고, 그 합성을 좌표계에
나타내어라.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12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예제
예제 3.4
힘 R은 그림에 보이는 3개의 다른 공점력의 합력이다. P와 R을 구하여라.

1) R과 P의 방향이 주어져 있으므로,


미지수는 2개(크기)이다.

2) 쓸 수 있는 방정식도 2개이다.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13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예제
예제 3.5

그림 (a)에 보이는 굴착기 팔에 작용하는 공면력계의 합성을 구하고, 이를


좌표계에 나타내어라.

→ 먼저 점 O에 작용하는 힘-우력계를 구한다. 다음에 R이 떨어진 거리 d를

구한다.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14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예제
예제 3.6

그림에 보이는 힘계는 우력 C와 4개의 힘들로 구성되어 있다. 만약 이 계의


합성이 56.5 Nꞏm의 반시계방향의 우력이라면, P, Q 및 C를 구하여라.

1) Resultant가 우력이므로 합력은 0이다.(P, Q 계산 가능)

2) 어떤 점(A 또는 B)에 대한 모멘트합이

반시계방향 56.5 Nꞏm 이다.(C 계산 가능)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15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5 3차원 계의 합성
3차원 공점력계(Concurrent, 3-dimensional Force System)

• 일반적인 3차원 힘계는 힘-우력계로 단순화 됨

• 그러나 3차원 공점력계는 2차원과 마찬가지로 합력 R로 단순화됨 R  F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16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5 3차원 계의 합성
3차원 평행력계(Parallel, 3-dimensional Force System)
• (a)와 같은 z-축에 평행한 세 힘 F1, F2, F3, … 을 고려해 보자.
 (b)와 같이 O점에 작용하는 등가의 힘-우력계로 대체 가능
 R 과 CR 가 서로 수직이므로, (c)와 같이 추가 단순화 가능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17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5 3차원 계의 합성
3차원 평행력계(cont.)

R  F, C  Mo
R

→ 모든 힘이 z방향이므로, Mo 의 z방향 성분은 zero

• 이 때 R의 작용선의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Mo  r  R 사용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18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5 3차원 계의 합성
일반적인 3차원 힘계 : 렌치
• 임의의 점 O에 작용하는 합력과 우력 벡터로 항상 표시 가능
R  F C R  Mo
→ R 과 CR 이 서로 수직이면, 추가적인 단순화 가능

• 그러나 일반적으로 R 과 CR 이 서로 수직이 아니므로, 단일 힘으로 대체


불가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19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5 3차원 계의 합성
일반적인 3차원 힘계 : 렌치(cont.)
• 단순화 방법
R
1) CR 을 R에 평행한 성분과 수직인 성분으로 분해( Ct and CnR )
R
2) 수직 성분 Cn 과 R은 서로 수직하므로, 추가적 단순화 가능 → Rd  C nR
R
3) 평행한 성분 Ct 은 점 A로 이동 가능(우력은 자유벡터) → 렌치

렌치의 실례) 나사 드라이버, 나사 잭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20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예제
예제 3.7
z축에 평행한 3개의 힘계에서 각 resultant 를 구하고, 이를 좌표계에
나타내어라.

 모든 힘이 z방향이므로, 점 O에 대한 모멘트는 xy평면에 있다.


1) 먼저 R과 를 나타낸다.
2) R의 작용선이 통과하는 점의 위치를 로 나타낸다.
3) 를 사용하여 x, y를 구한다.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21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예제
예제 3.8 ~ 예제 3.9
교과서를 봅시다.
 풀이 방법은 앞의 예제와 동일하다.

예제 3.10
예제 3.1에 기술한 힘계와 등가인 렌치를 구하여라. 렌치의 축이 xy평면과
교차하는 점의 좌표를 구하여라.

• 힘-우력계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22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예제
예제 3.10(cont.)
예제 3.1에 기술한 힘계와 등가인 렌치를 구하여라. 렌치의 축이 xy평면과
교차하는 점의 좌표를 구하여라.

1) R 방향의 단위벡터 λ를 구하고, CR의 R에 평행한 성분을 구한다.

→ 렌치는 R과 CR의 R에 평행한 성분 CtR 로 구성된다.

2) 렌치 축과 xy 평면의 교차점
 먼저 R에 수직한 성분 계산
 로 하고, 을 사용하여 x, y 결정
R
→ R의 O점에 대한 모멘트가 Cn 와 동일해야 한다.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23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6 분포 수직하중의 소개

• 여기서는 압력(pressure) 과 같이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분포하중을 고려

예) 건물의 측면에 작용하는 풍압(wind pressure)

댐에 작용하는 수압 (water pressure)

• 수직 분포하중의 합력을 결정하는 방법은 집중하중의 경우와 매우 유사

• 차이는 합산 대신에 적분을 이용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24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6 분포 수직하중의 소개
표면하중(Surface loads)
• xy평면에 놓여있는 평면 A 에 작용하는 z축에 평행한 분포하중을 고려

• 하중의 분포 → 하중의 세기(load intensity)인 p(x,y)에 의해 정해짐 (N/m2)


• 평면 A 를 하중 면적(load area)이라하고, p(x,y)가 만드는 표면을 하중
표면 (load surface)이라 함 → 하중 면적과 하중 표면 사이에 영역(region)
V가 만들어 짐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25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6 분포 수직하중의 소개
• 합력의 크기 계산
 미소면적 dA 고려하면, dR = pdA

 무수히 많은 dR을 계산하여 합하면 R 계산 가능 → 적분

 합력 R의 크기

R   dR   pdA
A A

 기하학적 관점에서 보면
pdA는 하중 표면 아래의 미소 체적

R   dV  V
V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26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6 분포 수직하중의 소개
• 합력의 작용선의 위치 계산
 미소 힘 dR의 x축에 대한 모멘트를 모두 합한 것(적분)이 합력 R의
x축에 대한 모멘트와 같이야 함(y축도 마찬가지)

 pxdA  pydA
x A
and y  A

 pdA
A
 pdA
A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27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6 분포 수직하중의 소개
• 합력의 작용선의 위치 계산(cont.)

 기하학적 관점에서 보면

 영역 V가 차지하는 체적의 도심(centroid)를 나타냄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28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6 분포 수직하중의 소개

• 분포 수직하중의 합력에 대한 요약

1. 합력의 크기는 하중면적과 하중표면 사이 영역의 체적과 동일하다.

2. 합력의 작용선은 하중면적과 하중표면에 둘러싸인 체적의 도심을 통과


한다.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29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6 분포 수직하중의 소개
선하중(Line loads)
• 하중이 작용하는 면적의 폭이 길이에 비해 무시할
수 있을 때 → 분포하중은 선하중(line load)

• 선하중은 거리의 함수인 하중 세기(load intensity)


w (N/m) 에 의해 결정 → 하중선도(load diagram)

• 여기서는 직선 하중만을 고려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30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6 분포 수직하중의 소개
• 합력의 크기
L L
 R   Fz 이므로, R   dR   w dx
x0 o

• 합력 작용선의 위치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31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6 분포 수직하중의 소개
• 앞의 그림에서 dR = w dx 은 하중선도 아래의 미소 면적 dA와 동일

 w dx = dA를 대입하면

►►

→ 하중 선도 아래 면적의 도심(centroid)를 나타냄

• 직선 하중에 대한 요약

1. 합력의 크기는 하중선도 아래의 면적과 같다.

2. 합력의 작용선은 하중선도 아래 면적의 도심을 통과한다.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32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3.6 분포 수직하중의 소개
합력의 계산
• 기본적으로 적분 문제

• 하중표면 또는 하중선도가
단순하면, 알고 있는 체적
또는 면적의 도심 사용하여
계산 가능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33


Engineering Mechanics: Statics, Fourth Edition Pytel / Kiusalaas

예제
예제 3.11
그림 (a)와 같은 보에 작용하는 선하중의 합력을 구하여라.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3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