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14

목 차

1. 총괄 ····································································································· 1

2. 방적분야 ·························································································· 41

3. 방사, 사가공 ··················································································· 72

4. 제직준미 및 제직 ········································································· 113

5. 편직 분야 ······················································································ 133

6. 염색설비 분야 ·············································································· 165

7. 가공 ································································································· 208

8. 의류 자동화 분야 ········································································ 233

9. 산업용섬유/부직포 ······································································ 270


총괄

김환국 부장(한국섬유기계연구원)

1. 서론

1951 년 제1회 전시회를 프랑스에서 처음 개최한 이래 금년 68 주년을 맞이하는


제18회 ITMA 2019 국제섬유기계전시회가 유럽섬유기계협회(CEMATEX) 회원국
(9 개국: 벨기에, 스페인, 프랑스, 스웨덴, 독일, 스위스, 이태리, 영국, 네덜란드)
인 스페인 바르셀로나 Fira De Barcelona, Gran Via. 에서 6 월 20 일부터 26 일까지
7 일간의 일정으로 개최되었다.

이번 전시회는 수년 동안 섬유산업의 트렌드와 도전에 맞춰 섬유기계도 진화되


어 현재의 섬유 및 의류 생산 체인에 대한 섬유 통합소싱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
다. 따라서 모든 이해 관계자들에게 플랫폼을 재발견하고 개발하는 새로운 방법
을 모색하게 하는 통합의 장이 되었으며, 3D 제직 및 편성에서부터 하이테크 부
직포 공정, 지속 가능한 화학물질 및 최첨단 의류제조기술,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반의 자동화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많은 새로운 기술이 출시되는 혁신의 장이
었다.

또한 전방산업인 섬유 및 의류 산업은 매우 경쟁이 치열하며 생산주기가 더 짧


아지고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이 여전히 어려움에 당면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다
생산적이고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모든 프로세스에서 보다 많은 혁신적인 솔
루션을 도입해야 하는 현실에서 ITMA 2019 와 같은 전시회는 직물에서부터 의
류 제작, 심지어 재료까지 모든 솔루션을 한 곳에서 탐색 할 수 있는 전시회라
고 할 수 있다.

그리고 Industry 4.0 과 지능적이고 유연한 제조공정의 새로운 시대에 접어들면


서 기술혁신이 섬유 및 의류 제조에 혁명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섬유 및 섬유기
계산업의 생존에 필수적이라는 것은 분명해진 사실이다. 따라서 디지털화는 수
십 년 동안 우리산업에 직면한 가장 큰 기회일 것이며 이러한 메시지는 이번 전
시회의 주제인 “Innovating the World of Textiles” 에 잘 반영되었다.

- 1 -
더불어 ITMA 전시회를 주관하는 유럽섬유기계협회인 CEMATEX 의장인 프리
츠 P. 메이어 (Fritz P. Mayer) 는 "실시간 데이터 추적 및 상호 연결과 함께 자
동화 및 디지털화의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제 4 차 산업혁명 그리고 인텔리전트
공장의 출현에 의해 섬유 및 의류산업의 성장을 견인하는 지속가능한 혁신이 계
속 강조 될 것 "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ITMA 2019 는 로봇 및 인공지능이 산업을 혁명적으로 바꿔 놓을 스마


트 의류 기술을 주목하고 있으며, 빅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발전과 함께 클라
우드 기반의 시스템을 포함한 대규모 데이터 스토리지에 액세스 할 수 있는 진
보적인 기술들을 선보였다.

그 예로 경편기 전문업체인 Karl Mayer 사는 기존의 패턴디스크를 없애고 클라


우드시스템에 모든 디자인을 업로드하여 권한을 부여받은 사업자가 클라우드에
액세스하여 원하는 패턴을 다운받고 해당기계에 적용, 패턴디스크 없이 전자모
터를 이용하여 구동하게끔 공정시스템을 혁신하였다.

독일 Saurer 사의 Digital Mill Management System 인 Senses 을 이용, 모든 부서


에서 생산, 품질 및 성능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단일 프로그램
을 통해 섬유체인을 따라 전체 생산 및 품질 보증 시설을 관리 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의류 자동화분야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sewbots'( 자동화 봉제기술)


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것은 기업에게 새로운 기회를 부여하여 경
쟁자보다 빠르게 디지털 시대에서의 우위를 점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공급 업체의 설계, 자재 공급 및 완제품 생산을 원활하게 통합하기 위해, 의류


패션 업계는 디지털화를 통해 빠르고 유연한 생산 공정에 잘 대응하고 생산성을
높이고 폐기물을 줄임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Industry 4.0 을 통하여 섬유․의류패션 제조업계는 노동집약적이고


생산성이 낮은 현재의 상황을 바꾸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이번 ITMA 2019 전시
회에서 각 분야별로 다양하게 적용하여 전시하였다.

이번 전시회는 가장 큰 규모의 섬유기계 및 제품이 전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ㅇ 19 개의 전시 분야 - 전체 가치 사슬을 위한 통합 솔루션
ㅇ 137 개국에서 105,000 명의 방문객

- 2 -
ㅇ 총 220,000㎡ 전시면적에서 펼쳐지는 첨단기술과 실제 라이브 시연이 가능한
기계 전시
ㅇ 주요 의사 결정권자 및 영향력 있는 업계 전문가와의 수준 높은 네트워킹
ㅇ 45 개국에서 1,717 여개의 출품업체
ㅇ 글로벌 통찰력 및 동향에 대한 정보교류의 컨퍼런스 및 포럼

전시 주제는 “Innovating the World of Textiles”(' 섬유의 세계를 혁신하는 것')


로 지난 ITMA 2015 의 “Master the art of Sustainable Innovation” 의 연장선이
다. 이것은 섬유기계 전반에 기술혁신을 통한 기술개발과 함께 Industry 4.0 과
지능적이고 유연한 제조공정의 새로운 시대의 기술혁신이 섬유 및 의류 제조에
혁신을 불러일으킬 것이라는 각오이기도 하다.

전반적인 전시현황으로 전체 방문객수는 지난 2015 이탈리아 ITMA 보다는 다


소 감소하였지만 137 개국에서 약 105,000 명 이상이 참가하였으며, 방문객 상위 5

개국은 스페인(11%), 이탈리아(10%), 인도(8%), 터키 ⋅독일 (7%) 이었다. 그 다음으


로 프랑스, 미국, 포르투갈, 브라질, 파키스탄, 중국, 영국이 그 뒤를 이었다. 이
번 ITMA 전시 기간이 8 일에서 7 일로 단축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여전히 관람
객들의 호평이 좋았다"고 볼 수 있다.

참가업체수의 구성을 살펴보면 개최국인 스페인은 88 개 업체가 참가, 전체의


5.1%를 차지했으며, 가장 많은 업체가 참가한 나라는 이탈리아로 364 개 업체가

- 3 -
참가, 전체 참가업체의 21.2% 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작년(186개 업체) 대비
이번 전시회에 276 개의 많은 업체를 참가시킨 중국이 16.1% 를 차지하였다.(작년
대비 148% 증가) 그 뒤로 독일 222 개 업체 (12.9%), 인도 개 업체
169 (9.8%), 터
키 개 업체
164 (9.6%) 순으로 상위 5개국이 전체 1,717 개 업체 중 70% 를 차지하
였다. 지난 전시회 대비하여 중국의 참여업체수가 148% 이상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 특이할만한 사항이며 터키 업체 또한 작년대비 117% 증가하였다. 한국은
지난 전시회 대비 다소 감소한 24 개 업체 및 기관이 참여하였다.

유럽섬유기계협회(CEMATEX) 회원국의 비중은 이전 전시회와 비슷한 50.5% 를


차지하고 있다. 이제는 CEMATEX 회원국과 그 외의 유럽국가와 아시아, 중동
및 아메리카의 비율이 대동소이하게 참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번 전시회
도 아시아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아시아권의 참가업
체 증가추세는 중국과 터키의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어 섬유기계의 전
방산업인 섬유산업 규모의 세계 시장 흐름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번에 개최된 Fira De Barcelona, Gran Via. 전시장은 기존 7 개의 전시홀이 운


영될 계획이었으나 추가로 신청업체가 몰리는 바람에 2 개의 홀이 추가로 운영되
어 총 9 개의 전시홀이 운영되었다. Hall 1,2 은 염색․가공기 및 물류, Hall 3 에서
는 프린팅, 염료 및 화학, 봉제․자수기, Hall 4 에서는 제직기, Hall 5 에서는 제
직기, 부직포 및 블레이딩 설비와 시험기, Hall 6,7 에서는 방적 및 제직준비기,
테스트장비, Hall 8, 8-1 에서는 편성기 및 리사이클, 소프트웨어 등이 배치되어
전시되었다. 그리고 Hall 6 과 7 사이에 연구기관 및 혁신기관들이 전시되었다.
그리고 Hall 6 과 7 사이에 있는 Research & Innovation(R&I) 파빌리온에는 총 27

개 기관이 참여하여 최첨단 섬유 및 관련 연구 개발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R&I

파빌리온은 ITMA 2007 이후 섬유, 의류 및 패션 산업을 변화시킬 새로운 소재


와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기업, 연구센터 및 대학 간의 협력을 장려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올해 전시회에서 시작된 ITMA 이노베이션 랩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스


피커 플랫폼에 큰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냈다. 약 60 개의 프레젠테이션이 있었고
900 명이 넘는 참가자가 참석했다.

행사 중에는 ITMA-EDANA 부직포 포럼, Textile Colourant and Chemical

Leaders Forum, Better Cotton Initiative Seminar, European Digital Textile

Conference, Tex-Summit Global, Planet Textiles, SAC & ZDHC Manufacturer

- 4 -
Forum 등이 개최되어 1,000 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가하였으며 섬유 및 섬유관련
회의가 이루어졌다.

<ITMA 2019 전시장 Lay-out>

<ITMA 2019 전시장>

- 5 -
2. 전시동향

ITMA 2019 의 두드러진 특징은 자재에서 생산․판매, A/S 에 이르기까지 전체


적으로 Industry 4.0 에 따라 섬유기계별 모든 프로세스에서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혁신적인 통합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들이 선을 보인 것이다.

그리고 섬유, 원사 및 직물부분에서는 항상 천연섬유, 산업용섬유 및 재활용 섬


유들이 스마트 패브릭, 보호 의류 및 지오텍스타일과 같은 새로운 용도를 계속
찾고 있어 이에 대응하는 기계들이 각각의 솔루션을 제공하며 전시장을 채웠다.
특히, 편성기 분야에서는 완벽한 핏을 갖춘 제품을 생산하는 디지털 최적화 공
정과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인 3D 편성기술에서부터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편물 생산을 위한 다축 편성기계까지 다양하게 전시되었
다.

의류제작 분야에서는 자동화 및 로봇 공학을 이용한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


어 의류 제작 솔루션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으며 생산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마이크로 팩토리를 추구하는 통합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이번 전시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주문형 생산'의 새로운 시대를 선도


하고 있는 디지털 프린팅분야는 더욱 엄격한 새로운 환경 규제에 직면하여 혁신
적이고 지속가능한 염료와 화학물질에 대처할 수 있는 기계들을 내놓고 있다.

또한 증가하는 탄소복합재료 등 혁신적인 소재의 시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최첨단 제조기술의 제시와 리사이클링 및 폐기물 감소, 환경오염 방지 등 지속
가능한 친환경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

ITMA 2019 전시회는 지난 ITMA 2015 전시회의 주제인 “Master the Art of

Sustainable Innovation( 지속가능한 혁신의 완성)” 연장선인 “Innovating the

World of Textiles( 섬유의 세계를 혁신하는 것)”을 슬로건으로 선정, 지속적인 섬


유의 세계 혁신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다. 분야별 Top 5 는 우선 전체 16.4% 의
참가업체수를 자랑하는 염색․가공기분야이며, 다음으로는 12.5% 의 방적기분야
이다. 그리고 9.8% 의 제직기분야, 9.4% 의 프린팅분야, 8.4% 의 권사기 및 텍스쳐
링분야 순이다.

특히 ITMA 2019 의 가장 흥미진진한 부문은 프린팅분야이다. 이 분야는 디지털

- 6 -
전환을 수용하면서 매우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으며 프린팅 및 잉크부문의 출품
업체 수가 157 개로 ITMA 2015 에 비해 약 38% 증가했다. 그럼 각 세부분야별로
전시회 동향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가. I ndustry 4.0 관련

이번 전시회의 특이할만한 사항은 대부분 유럽기업들의 제조기술에서의 사물


인터넷 및 클라우드 컴퓨팅을 포함한 Industry 4.0 을 적용한 스마트공장 기술들
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이다.

Industry 4.0 은 제조 기술에서의 자동화 및 데이터 교환을 중심으로 사이버 물


리적 시스템, 사물의 인터넷 및 클라우드 컴퓨팅을 포함한다.

이것은 사물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은 서로 의사소통하고 실시간으로 인간과 협


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Internet of Things" 및 "Industry 4.0" 이라는 용어로 요
약된 일부 측면에서 유지 보수 및 프로세스 최적화를 위한 전자제어 및 원격서
비스는 수년 동안 적용되어 왔기 때문에 섬유기계공학에서 새로운 것이 아니다.

Industry 4.0 은 기업 간 연결성, 데이터 관리, 원격 기계 설정 및 운영자 실시간


대화형 기능 등의 섬유공장을 위한 스마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전에는
기계 및 전기 부품으로만 구성되던 것에 비해 현재의 섬유기계는 하드웨어, 센
서, 데이터 저장소, 마이크로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및 연결 장치를 결합하는 복
잡한 시스템이 되었다.

따라서 요즘 섬유기계의 제품개발은 온라인에서 데이터를 전송해야하는 "스마


트" 구성요소에 중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스마트 기계는 섬유공장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장 및 가동 중단을 피하기 위한 예측 유지보수를 수행 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대표적인 기업들의 Industry 4.0 적용사례를 살펴보도록 하
겠다.

□ SAVIO(Italy)

Savio 그룹은 Savio Winder 4.0 를 내세우고 있으며 세 가지 다른 Savio

Industrial IoT 수준은 간단한 연결성 및 기계 데이터 다운로드부터 원격 기계

- 7 -
설정, 운영자의 실시간 상호작용까지 Savio 섬유기계에 적용되는 Industry 4.0 의
차별화된 다양한 옵션 레벨을 추구하고 있다.

Savio Winder 4.0 은 넓은 디지털화 프로세스를 향한 중요한 단계로, 방적/와인


딩 공정에서 기계의 지능형 네트워킹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매우 현대적이고 중요한 관리도구로서 공장관리 직원


에게 시간이 많이 소비되는 일상적인 작업을 덜어주며 공장 관리자는 와인딩 공
정을 자신의 책상에서 직접 실시간 감시 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 분석 덕분에
풍부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최상의 방식으로 다양한 생산
단계를 관리하고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중요한 매개 변수를 모
니터링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기능을 통해 고객은 전반적인 장비 효율성을 제어하고 인력의 효


율성을 높이며 품질과 근무 시간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되며 심지어 이동 중에도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필요할 경우 기계 운영자와 서비스 전문가 간의 의사
소통을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직원들이 Smartwatch 를 통해 손목에 직접 경보 신호를 수신 할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제어 시스템에서는 섬유기계의 품질 향상을 분명하게 할 것
이다. 와인딩 머신 중 하나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이상 신호가 스마트워치인
Savio Smart Bracelet 을 통해 운영자에게 전송되어 필요한 간섭 유형을 전달할
수 있어 기계의 브레이크 중단 시간이 최소화된다.

<Savio Winder 4.0>

- 8 -
□ Muratec(Japan)

Muratec Smart Support (MSS)는 Muratec의 통합 고객 지원 시스템이며 기계,


관리자 및 운영자를 Iot으로 연결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이다.

공장에 있는 모든 기계는 Muratec 자체 기술로 개발된 LAN 케이블 또는


Muratec 무선 장비 (MWE)를 통해 Visual Manager III (자동 와인더의 경우) 또는
V-LABOIII (VORTEX 방적기의 경우)에 연결된다. MSS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지
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ㅇ 주별⋅월별 분석 보고서
ㅇ MSS 웹 응용 프로그램을 통한 작동 정보, 문제 해결, 작업 목록, 경보 코드 설
명, 기계 매뉴얼 및 부품 조회 기능
ㅇ 내부 공장 LAN 네트워크에 연결된 PC에서 액세스하는 것 외에도 MWE를
사용하여 스마트폰 및 태블릿 장치에서 보면서 유지보수 지원 제공
ㅇ MSS 포털 사이트
ㅇ Muratec과의 인터넷 연결이 Visual manager III 또는 V-LABOIII를 통해 유
지되는 경우 공장이나 사무실 외부에서도 스마트 폰 및 태블릿 장치의 공
장 작동 상태 확인
ㅇ 데이터 분석 등을 통한 고객과의 기술 자문

<Muratec Smart Support(MSS)>

- 9 -
□ Brückner Textile Technologies GmbH & Co.(Germany)

독일 Leonberg에 소재한 70년 전통의 코팅․가공기 전문생산업체인 Brückner


Textile Technologies GmbH & Co. KG는 최근 몇년 동안 가공기 분야에서 많은
연구개발을 해왔으며 특히 디지털화와 industry 4.0에 주목하고 있다.

Brückner의 지능형 지원시스템은 장비설정을 모니터링하고 시스템 운영자에게


보다 생산적으로 시스템을 실행하고 더 적은 자원 소비에 대한 정보를 장비 운
영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생산 매개변수를 최적화하면 생산속도를 최대 40%까
지 높이거나 에너지 소비를 최대 30%까지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새로 개발된 시뮬레이션 도구는 기존 레시피를 최적화하는데 도움이 되며 설정


할 수 있는 많은 기계 매개 변수가 필수 요소로 축소되었으며 향후 섬유 종류별
데이터를 자동으로 계산 할 수 있다.

서비스 영역에는 기계 운용자나 유지보수 부서에 일지기록으로 추적 할 수 있는


서비스 지침을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새로운 유지 관리 도구가 되며, 앞으로 새로
개발된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은 다양한 서비스 문의가 있는 고객들에게 능동적으
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자는 화상 회의를 통해 고객과 직접 통신하며 부분적으로는 증강 현실을 사


용하며 회로도 또는 유지 보수 매뉴얼과 같은 문서를 함께 보거나 설명하고 예비
부품을 직접 주문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된다.

정기 유지 보수 프로세스의 경우 사진 또는 비디오 삽화를 현지 언어로 저장할


수 있다. 기술적으로 야기된 다운 타임은 이러한 새로운 시스템으로 크게 줄일
수 있어 이로 인해 시스템 가용성과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OPC-UA를 사용하면 높은 수준의 제어 스테이션 또는 ERP 시스템과 머


신데이터를 쉽게 교환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텍스타일 공장의 프로세스를 합
리화하고 품질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Brückner Textile Technologies GmbH & Co>

- 10 -
□ Marzoli((Italy)

방적기 전문생산업체인 Marzoli 사는 섬유 기계의 예측 유지 보수 및 성능 최적


화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MRM(Morzile Remote Maintenance) 플랫
폼을 만들어 IoT 기술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통해 공장 디지털화 프로젝트에
이상적인 파트너가 되었다.

Marzoli 사는 이 플랫폼을 통해 기계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유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유지보수비용절감( – ∼
20 -30%), 생산력효과(1 ∼ 1.5%) 가 있으며
전체 방적 라인에서 광범위한 경험을 보유한 Marzoli 기술자 및 제품 관리자간
의 네트워크는 개별 기계 및 방적 공정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효과적인 서비스를
보장하고 있다.

사의
<Marzoli MRM(Morzile Remote Maintenance)>

□ Saurer(Germany)

Industry 4.0 의 기술로 미래에는 공급자로부터 양질의 데이터를 얻고, 자체 실


험실에서 추가 테스트를 수행하며, 이 데이터를 기계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그
런 다음 시스템은 설정을 조정하고 런타임에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 11 -
이를 달성하기 위해 Saurer Group 과 Intex Consulting GmbH 는 협업을 하고
선택적으로 시스템을 결합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들의 목표는 최고 수준의 기술
수준에서 일관된 인프라를 실현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Intex 는 이미 RWTH Aachen University for Industry 4.0 의 ITA ( 섬유기술연구


소)로부터 인증을 받았으며, 시퀀스 최적화로 자재 및 용량계획을 동시에 수행함
으로써 Saurer 기계의 최적 활용을 보장하고 있으며 운송시스템 및 창고 관리와
같은 각종 제어에 대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인프라를 완성하였다.

ㅇ Mill Management System ‘Senses’

Saurer 의 Digital Mill Management System 인 Senses 는 모든 부서에서 생산, 품


질 및 성능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어디에서나 안전
하게 하청업체의 기계도 관리 할 수 있다. 즉, 단일 프로그램을 통해 섬유체인을
따라 전체 생산 및 품질 보증 시설을 관리 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디지털 공장관리시스템
- 모든 방적기를 하나의 웹 응용프로그램에서 관리
- 생산성 증가를 위한 교차 프로세스 분석
- 완벽한 데이터 제어 및 보안
- 지역 및 위치에 관계없이 엑세스
- 모듈방식으로 확장가능

<Saurer 사의 Mill Management System ‘Senses’>

- 12 -
그리고 Saurer 는 제품의 수명주기 동안 탁월한 성능과 지속성 유지하기 위하여.
‘SUN’ Service 란 차별화된 Service 를 통해 컨설팅, 설치, 교육, 유지 보수, 업데이
트 및 업그레이드 등을 제공하여 동반 관계를 확고히 하고 있다.

따라서 Customer 들에게 혁신적인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제품 품질, 기계


성능 및 수익성을 향상시켜 주고 있다.

□ Shima Seiki(Japan)

Shima KnitPLM 은 최신 IoT 기술을 사용하여 SHIMA SEIKI 제품을 ERP 및


SCM 과 같은 핵심시스템과 연결하며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추적성 및 생산성
향상을 보장하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간 원활한 데이터 링크로 각 단계에서
데이터 입력이 필요 없으므로 작업의 흐름에 대한 자동화 및 인력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시스템은 3D 디자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품 기획 및 디자인과 생산관리시


스템인 SPR3 을 이용하여 생산공정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Shima Seiki 사의 Shma KnitPLM>

- 13 -
□ Oerlikon(Germany)

폴리에스터, 나일론 및 폴리프로필렌의 생산을 위한 Oerlikon Manmade Fibers

Segment Industrie 4.0 솔루션은 생산환경의 디지털화와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


된 대량의 데이터에 대한 지능형 처리를 기반으로 한다.

이는 고객들에게 강력하고 유연하며 무엇보다 안전한 IT 인프라를 제공하고 업


무의 효율성과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Oerlikon 사의 "Datacenter in a box" 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OpenStack

Summit 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는데 사설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 컴퓨팅을 가


능하게 하는 개방형 운영 체제인 OpenStack 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박스 외부에는 서버 랙, 네트워크 구성요소, 신뢰성을 위한 배터리, 센서 및 몇


가지 사항을 모니터링하는 표준 하드웨어가 포함되어 있지만 내부 오픈소스 소프
트웨어 OpenStack 은 다양한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연한 확장형 사설 클라
우드에서 컴퓨팅,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리소스의 대규모 풀을 가상화하고 있다.

이것의 두 가지 이점은 가상 운영을 통한 비용을 절감하고 현재와 미래의 IT

인프라 구성 및 적응과 확장을 단순화하고 있다. 반면 사설 클라우드는 월드 와


이드 웹 (World Wide Web) 으로부터 안전하고 암호화 된 데이터 연결을 유지하
기 때문에 데이터 보호 수준이 높다.

또한 Plant Operation Center (POC) 는 Oerlikon Manmade Fibers 의 생산관리


시스템이다. 방적 또는 텍스쳐링 모든 생산단계에 걸쳐 - 원료부터 최종제품까지
생산단계에서 생산 공정을 탐지하고 최적화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Oerlikon Manmade Fibers Segment Industrie 4.0>

- 14 -
□ Monforts(Germany)

<Monforts 사의 ‘Digital twin’>

Monforts 는 최신 첨단센서 기술을 활용하여 포괄적인 기계 대이터를 실시간으


로 클라우드에 가상으로 매핑가능한 ‘Digital Twin’ 기술을 선보였다.

이는 새로운 Monforts Smart Support 및 Smart Check 앱을 사용하여 데이터


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으며 즉각적인 상태 확인을 할 수 있다.

기계성능 및 생산 프로세스와 관련된 모든 사양을 데이터화하여 계획 및 생산


을 제어하기 위해 단순화되고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오류의 잠재적 원
인을 예상하고 제거 할 수 있으므로 가동 중단 시간을 상당히 줄이면서 향상된
기계 가용성을 보장 할 수 있다.

또한 Digital Twin System은 변환기 또는 기어와 같은 시스템의 개별 마모 부


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전 정비 및 주요 구성품의 교체가 필요할 때
Smart Check 센서를 통해 즉시 부품을 주문할 수 있어 장비 가동 중단시간을
사실상 방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고객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통해 Monforts 서비스에 연락하여 원


격 유지 보수 지원을 이용할 수 있다.

- 15 -
나. 방적기

방적산업에서 ITMA 전시회는 방적공장의 증설, 신규 방적설비의 도입, 방적설


비의 개선, 저렴하면서도 성능이 우수한 방적기계 부품의 발굴, 인력 소모를 최
소화 시킬 수 있는 자동화 및 모니터링 시스템, 신제품 개발을 위한 특수 방적
설비의 도입 등에 대한 최신 정보를 수집, 기계 메이커별로 출시한 최신 기계의
장단점을 한 눈에 파악하고 비교해 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전시회라 할 수 있
다.

이번 ITMA 2019 에서의 방적기 분야는 6,7 홀에 걸쳐서 전시되었으며 여러 해


동안 고품질, 고생산력과 광범위한 호환성, 에너지 효율 향상, 노동인력 절감 등
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customer 가 요구하는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


하는 기술과 작업의 편의성, 에너지 및 유틸리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의
최적화를 통해 특화된 제품생산을 위한 설비들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Savio, Saurer, Riter 등 대부분의 유럽기업들은 제조기술에서의 사물인터넷


및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탑재된 Industry 4.0 을 적용, 스마트공장 기술들을
선보였다.

Toyota 사에서 기존 링 방적사와 구조가 동일하면서도 최대 5만 에서 실을


rpm

제조할 수 있는 신형 정방기를 비밀리에 공개하면서 큰 화제를 모았으며, 그간


Muratec 사와 Rieter 사에서만 출시했었던 에어젯 정방기를 Saurer 그룹과 사
LMW

도 출시함으로써 큰 인기를 끌었다.

이미 많이 보편화된 컴팩트 정방기의 경우 새로운 방식은 소개되지 않았지만,


Rieter 사에서 자사 제품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그간 단점이었던 컴팩트 전용 링
정방기를 링 정방기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모듈화 시킨 3 가지 모델의 컴팩트사
장치를 개발하여 동시에 출품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번 전시회의 방적기 부분에서의 전시경향은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혁신의 관점이 되어 온 생산설비에서 생산성, 성능, 안정성 및 품질 측면에서 보
다 개선된 모델이 선보였으며, 에너지 절감을 달성하기 위한 많은 기술이 소개

- 16 -
되었고 제조기술에서의 사물의 인터넷 및 클라우드 컴퓨팅을 포함한 Industry

4.0 을 적용한 스마트공장 기술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출품된 기계들을 토대로 기술전개 방향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 IT 및 자동화 기술을 활용한 품질 향상 및 관리 시스템


ㅇ IT, 정밀 센서 및 카메라를 활용한 실시간 품질 모니터링
ㅇ 문제 발생시 원료 자동 공급 차단 및 재공급
ㅇ 정밀 기계세팅의 자동화를 통한 품질 향상 및 편리성
ㅇ 공정 최적화를 위한 품질 분석 및 관리 시스템

□ 생산성 향상 및 에너지 절감
ㅇ 섬유처리 능력 증가 : 베일오프너/소면기 작업폭 증가
ㅇ 신형 링 정방원리 도입 : 최대 50,000 rpm ( 기존 최대 25,000 rpm)

ㅇ 에어젯 정방기 생산성 증가 및 다양화 : 최대 55,000 rpm

ㅇ 구동 모터/드라이버의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통한 에너지 절감


ㅇ 센서 및 인버터 부착을 통한 최적화 운전으로 에너지 절감

□ 운전 및 기계 세팅의 용이성
ㅇ 모니터를 통한 기계 자동 세팅 및 운전조건 설정 편의성 향상
ㅇ 부품 모듈화를 통한 생산 및 보전 편리성 향상

<Toyota 의 RX300 링정방기>

- 17 -
다. 방사․사가공기

이번 ITMA 2019에서의 방사․사가공기 분야는 총 9개 Hall 중 6,7홀에 걸쳐서


전시되었으며 Low-Cost, High Speed, E-Control 중심의 업그레이드가 방사․사가
공기 분야에서도 지속적으로 이루지고 있었다.

그러나 합섬위주의 전통적인 방사분야의 설비 혁신성과 차별성은 ITMA 2015


전회 전시내용과 유사하였으며 방사관련 간접설비 분야인 Extruder~ MP간 필터
링 유닛적용으로 폴리머 Purity 증대를 추구하고 있다.

사가공관련 설비분야에서는 전통적인 V, M, T형 yarn path에서 탈피 Linear


yarn path로 구성하여 고속화를 지향하고 있으며 다축 가연 유니트 구성으로 사
가공 고유의 잔류 토크 제어를 정밀하게 하고 있다.

주요 업체 동향으로 대만의 Advantae Scientific사는 초정밀 광학현미경과 Micro


probe Cleaning을 병행한 Spinnerette Inspection 설비를 선보였으며, 이탈리아의
Doteco사는 Automatic Multiple-Chip 공급 장치와 최대 8개종의 다양한 Chip의
도징을 초정밀 제어하는 장치를 소개하였다.

독일의 Gneuss kunstsofftechnik사는 폴리머 필러링, 실시간 점도측정 시스템을 이


용한 폴리머 이물 정제 및 방사성 제어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설비를 전시하였다.

그리고 일본의 TMT 및 독일 Oerlikon사는 컴팩트한 yarn path 구조로 이루어


진 에너지 세이빙, 고생산성형 방사설비를 선보였으나 전통 합섬 방사설비 메이
커 등에서는 종전 전시회 대비 이렇다할만한 기술적 진전은 없었다.

일본의 MURATA에서는 20d 세섬사를 5개축으로 구성된 가연 유닛과 일직선 형


태의 yarn path 조합을 통하여 고속 사가공을 시현하였다.

따라서 Spinning분야는 기존 합성섬유 대비 천연/재생섬유 소재의 방적분야 설


비 중점으로 Recycle 컨셉이 반영되었으며 칩, 화이버 기반으로 재생 가능한 천
연/합섬, 합섬/합섬 구성의 Item 연구개발이 전개되었다.

- 18 -
<Barmag Smart Factory>

<Oerlikon Barmag 사의 eAFK Evo>

라. 제직준비 ․제직기
2019 년 스페인 ITMA 에서 제직준비기 분야는 Hall 6 전체와 Hall 7 등 2 개홀에
걸쳐서 전시가 이루어졌다. 제직준비기 분야의 기술 개발 동향은 2015 년 ITMA

까지는 종래의 기술개발 방향에서 큰 차이가 없이 ‘생산량 및 생산속도 증가’와


‘ 에너지 효율 향상’에 초점을 맞춰 발전해왔다. 그러나 작년 ITMA ASIA 2018 에
서부터 기존의 기술개발 방향은 유지하면서 생산된 실의 품질을 높이고,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ICT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Industry 4.0 또는
Smart Factory 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 19 -
제직준비공정의 Smart Factory 도입은 기본적으로 구동하는 설비의 상태 진단,
생산되는 실의 모니터링, 생산 조건, 생산 효율, 생산된 실의 이력관리 등을 포
함한 관리 시스템의 도입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의 장력을 모니터링하고 장력의
이상을 통해 설비의 진단을 하는 방식은 Smart Factory 를 도입하는 대부분의 업
체에서 공통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설비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속도 증가와 에너지 효율 증가 역시 지속적으로 기


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존의 설비 최적화에서 부품의 모듈화, 실의 사도
를 최적화하는 방향으로 기술이 진보되고 있다.

국내 업체는 일진에이테크(주), 이화SRC가 참여하여 국내의 기술력을 알리며


다수의 상담 실적을 올리고 있으나 ICT 를 활용한 Smart Factory 기술부분에서
는 도입하지 못해 선진사와의 기술격차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업체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기계성능 향상과 더불어 서비스, 기능 향상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금년 ITMA 2019 에서 제직기 분야는 Hall4 전체와 Hall5 일부분에 걸


쳐 전시되었다. 제직기 분야에서도 금번 전시회의 캐치프레이즈인 혁신을 화두
로 4 차 산업혁명을 겨냥한 스마트 요소 기술과 인공지능기술 등을 선보였다.

기존 제직기 분야의 선진기업인 유럽의 Picanol, VANDEWIELE, Itema 그룹,


Dornier, 산텍스 리마 그룹의 SMIT, MULLER 사와 일본의 Toyota, Tsudakoma

사가 주력제품과 신제품 등을 다양하게 전시하였다.

수년전부터 진행중인 직기 업체들의 전략적 제휴 또는 기업 M&A 도 본 전시회


에서도 보였는데 특히 Staubli 사와 더불어 자카드 분야의 메이저 회사인
BONAS 가 VANDEWIELE 에 인수합병되어 VANDEWIELE 부스에서 전시하고
있는 것이 눈이 띄었고, 이탈리아의 Itema 그룹은 PTMT 사(구 PANTER 사)와의
합병을 통해 산자용 직기 전문인 Itematech 를 출범하고 다른 부스에서 전시를
하고 있었다.

전시 업체별로 살펴보면 Picanol 사는 5 대의 에어젯 직기(OmniPlus-i 5 대)와 5 대


의 레피어 직기(OptiMax-i 4 대, TerryMax-i 1 대)를 선보였는데 Smart 기술과 에
너지 절감,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터치패널, Picanol 직기 간 데이터 통신 및 축
적된 제직 운전 데이터를 이용한 제직 최적화에 강점을 둔 직기들을 선보였다.

- 20 -
독일의 DORNIER 는 P2 Type 의 레피어 직기인 TKN 8/S G24 모델과 TKN

4/E D8 모델, A1 Type 의 에어젯 직기인 AWS 6/S G16 모델을 출품하였다.

금번 DORNIER 사는 제직 환경의 개선을 목표로 AWS 6/S G16 모델의 직기를


개별 room 으로 설치하여 제직시 발생하는 분진을 배출하고, 소음 등도 저감할 수
있음을 소개하였다. 이탈리아의 Itema 그룹은 새로운 컨셉의 직기인 DISCOVERY 모
델을 출품하였다. 이 직기는 레피어의 다양성, 프로젝타일의 품질과 신뢰성, 에
어젯의 사용편의성을 결합한 능동형 Flying shuttle 위사 공급 방식 직기임을 강
조하고 IoT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 원격 계측 기능과 400 picks/min 이상의
제직속도로 작동한다.

일본의 TOYOTA 는 차세대 직기인 JAT810 모델 3 대와 새로운 컨셉의 에어젯


직기를 출품하였다. TOYOTA 는 자신들의 전자식 개구시스템인 e-shed 를 장착한
새로운 컨셉의 직기를 전시하였다. 이것은 능동형 캠방식 개구장치와 전자식 도
비장치보다 속도가 우수한 서브모터를 이용하여 Healdframe 을 개별적으로 구동
하는 방식으로, 직기 구동 동력을 이용하는 Staubli 사의 도비 및 개구장치와는
차별성을 보였다.

Tsudakoma 는 에어젯 직기인 ZAX9200i MASTER 3 대를 출품하면서 모노필라


멘트 제직 및 서로 다른 종류와 두께의 실을 이용한 제직과 타월제직을 위한 전
자식 자카드 제직을 선보였다.

독일의 세폭직기 전문 회사인 MULLER 는 새로운 세폭직기인 NFM 과 NFMJ,

NG3, MD 모델을 선보였다. 세폭직기에 경편 모듈을 장착하여 편직 기능을 가


미하여 입체적인 형상 구현 및 다양한 패턴 구현과 대폭직기 회사들의 자카드기
를 이용한 3D 직물 제직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21 -
<ITMA 2019 의 Weaving 동향>

독일의 는 스페이스 직물로 대표되는 3D 직물 제품을 선보이고


VANDEWIELE

BONAS를 인수하여 카펫 제직기 분야에서 절대 강자가 되기 위한 준비를 진행

중이었다. RCE2+ 카펫 직기와 VANDEWIELE 의 SMART Creel 을 적용하고 벨


벳직물을 제직하기 위한 VSi32 자카드 직기를 출품하였다. VANDEWIELE의
SMART Creel은 로봇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실을 자동 및 연속적으로 공급 가

능하도록 구현한 시스템이다. 산텍스 리마 그룹의 제직기 메이커인 SMIT 는 유


연한 첨단 Shuttleless 제직 기술과 제직 품질 관리 시스템, 변사부 등 제직 폐기
물 최소화 기술이 접목된 2FAST라는 레피어 직기를 출품하였다.

마. 편성기

2019 년 개최된 ITMA 2019 섬유기계 분야 중 편성기 전시는 8 Hall 및 8.1

에서 전시되었다. 편성기 분야는


Hall Knitting and Hosiery 기계 위주로 8 Hall

에서 전시되었으며 섬유기계와 4차 산업 융합 분야로 Software, Recycling 장비


는 8.1 Hall에서 일부가 전시되었다. 최근 전 세계에 일어나고 있는 Industry 4.0
에 맞추어 스마트 팩토리 관련 센서 업체 및 섬유기계분야 MES 솔루션 구축 업
체가 대거 참여하였다. 이번 전시회에서 유럽 선진사들과 중국 등 아시아권 업
체의 스마트화 노력이 돋보였으며 유럽업체들은 한층 더 스마트팩토리에 적용하
려는 노력이 보였다.
편성기 분야는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효과를 적용하여 구매자의 만
족도를 높이고 다양한 고밀도 편직물 생산을 위한 니들구조 개선을 통해 생산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리고 비의류 분야인 산업용원단(카시트원단, 신발원
단, 의료용원단 등) 생산이 가능한 기종들을 대거 전시하여 관람객들과 바이어들
의 관심을 받았다. 또한 편성기는 유럽, 일본 기업들이 주도하고 일부 중국 제품
의 환편기 등이 전시되었다. 유럽 칼마이어 에서는 4D직물을 편성할 수 있는 기
계를 출품하였고 전반적으로 고생산성, 저에너지로 가성비를 높이는 방향으로

- 22 -
제품 개발이 진행되었다.
특히 섬유 전체 공정에 적용 가능한 MES 및 센싱 모니터링 업체로 datatex,
inteos, interlem, SETEX社 등의 S/W 및 IoT 통신모듈을 섬유기계에 연동하여

관리하는 업체 전시품이 관심 받았다. 그 중 SETEX社 의 Yarn Dyeing, Fabric

Dyeing, 는 PDA나 태블릿 터미널로 다수 기계가 IoT모듈로 연


Plant Navigator

결되어 전체 기계 가동상태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여 섬유 공정에 스마


트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업체로는 TNS社가 소개한 염색, 편직, 봉제공정의 적기생산 시점을 모니터
링 하도록 하는 PDM 연동 센싱 모니터링 장치가 전시 되었다.
횡편기 분야에서는 유럽 선진사 업체가 큰 규모로 강세를 보였다. 특히 독일
STOLL社 는 Industry4.0 에 맞추어 스마트팩토리에 적용 가능한 CMS530 을 전시
하였고 이 기계는 FRICTION FEED WHEELS 을 탑재하여 실이 감소되어도 일정
한 장력을 유지한다. 또한 CMS-NEEDLE 은 스프링 장착형 래치 형태로 스프링
이송 Needle 마모가 적고 개폐, 이동시에 높은 안전성이 특징이다. Needle 베드
에는 4 인치의 최대 Racking 코스와 Racking 속도가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도록
Racking 디바이스가 탑재되어 있다. 스마트화를 위해 CMS 시리즈에 모바일 및
태블릿을 장착하고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클라우드와 캐드 데이터 연동 및 기계
간 M2M으로 연결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공장 내 모든 기계가 모니터링 되어
위치별로 가동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보여 주었다.
경편기 분야에서는 독일 KARL MAYER社의 4D-KNIT SOLUTIONS 기계인 피
에조 자카드 기술을 적용한 더블라셀기 RDPJ 6/2EL을 전시하였다. 차세대
Warp Knit 패브릭이라 소개하고 있었으며 자사 기술인 Double Needle Bar 기
술은 일반적인 3D-Spacer 직물 외에도 새로운 4D직물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한다.
4D-KNIT, Double Layer는 1.5~2.5mm, Spacer : 2~8mm으로 소개하였다.

<Industry 4.0 ICT 기반 STOLL社 의 횡편기>

- 23 -
<KARL 사의 더블라셀기
MAYER RDPJ 6/2EL>

바. 염색기

이번 ITMA2019 의 염가공기 관련 전시장은 1~3 홀에서 전시되었다. 염색기 분야


는 친환경 설비와 에너지 소모량 개선이 주된 개발방향으로 분석되고 있었으며,
최근 Industry 4.0 에 맞추어 스마트 공정 관리 또는 모니터링 기능이 접목된 설
비의 출품이 이루어져 많은 관심을 받았다.

염색기 분야는 사염, 포염, 날염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사염과 포염은 저욕비
설비(최저 1:3) 와 염액의 재순환 및 재활용을 통한 폐수 발생 억제 모듈, 설비의
콤팩트화와 다목적 염색기를 통한 설비공간의 효율적 관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24 -
사염/포염 분야에서는 Thies, THEN(Fong’s), SANTEX RIMAR Group,

DANITECH, CEDiT, LORIS BELLIN, CANLAR, HISAKA, LAIP, GALVANIN

등의 선진사들이 참가하였다. THEN 의 타원형 염색기는 염색 목적에 따라 가변


적 용량 선택이 가능하여 범용적 사용이 가능도록 하였으며, GALVANIN 는 사
염색에서 보빈 이송 트레이의 자동 공급 및 배출 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염색 분
야의 자동화 시스템을 출품하였다.

스마트 관리 및 모니터링 관련 분야는 이번 전시회의 여러 품목에 접목되었으


며, 염색기 분야에서는 염색기 공정 관리 및 모니터링, 공정 진단 프로그램을 통
한 설비 관리에 관한 염색 공정의 효율적 공정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프로그램
이 적용되고 있었다. 프로그램 관련 주요 참가업체는 SedoTreepoint 의 IoT

Smart Factory S/W 와 SETEX 의 OrgaTEX S/W 등이 많은 관심을 받았다.

날염 분야는 DTP 와 DTG, 스크린 날염으로 나뉠 수 있다. 이번 ITMA2019 에서


DTP 분야에서는 MS-italy, EFI, SPGprinter, aleph, MOUVENT, HP, KONICA

MINOLTA 가 참가하였으며, 한국 업체로는 D-gen, DGI 가 참가하였다. 주요 개


발동향은 인쇄품질 향상과 생산관리의 편의 확보로 분석되었다. 또한 인쇄 속도
가 향상됨에 따라 건조 품질 확보를 위한 DTP 전용 건조시스템의 출품 또한 눈
에 띄었다.

특히, 이번 전시회의 DTP 분야에서는 Single-Pass DTP 설비의 경쟁이 눈에 띄


었다. Single-pass DTP 는 MS-italy(LARIO), EFI(Reggiani Bolt), SPGprinter(PIKE),

KONICA MINOLTA(NASSENGER SP-1) 등이 설비를 전시하였다. EFI 는 이번


신제품인 Reggiani BOLT 를 출품하였으며, 기존 최대 인쇄속도 72m/min 에서 이
보다 더 높은 90m/min 의 인쇄 속도를 시현하였다. MOUVENT 는 2020 년 3 월에
TX611 모델의 Single-Pass DTP설비를 출품할 예정이고, 기존 DTP 설비는 잉크
색상별 별도 모듈로 구성되어 인쇄 구간이 6m 이상 요구되던 구조를 하나의 모
듈에서 인쇄가 되도록 설비 개발을 진행 중이며, 인쇄 구간이 2m 이내, 최대 인
쇄 속도는 100m/min 로 현재 개발된 Single-pass DTP 중 가장 콤팩트하며, 높은
인쇄 속도임을 홍보하였다.

DTG 분야에서는 스크린 날염과 DTG 프린터의 복합 설비의 비중이 높아졌다.


전처리 및 BASE white 날염과 DTG 프린터가 복합되어 낮은 인쇄 속도인 DTG

의 단점을 극복하고 높은 생산성 확보와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설비이다. 주


요업체로는 FLORA, ROQ, ADELCO, WINGS 등이 있으며, ROQ 는 DUAL

- 25 -
DTG 로터리 설비를 개발하여 Base white 인쇄 모듈과 CMYK 인쇄 모듈, 건조
모듈이 연속되도록 설계됨으로써 생산 관리의 용이성 및 높은 생산성이 확보되
었다.

이번 전시회에서 염색기 관련 분야는 선진업체들의 경쟁과 후발업체의 추격이


한층 거세졌으며, Industry4.0 과 Smart factory 구현을 위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년 뒤에 있을 ITMA 2023 에서는 한층 더 발전된 설
비와 설비의 스마트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며, 한국 또한 세계 시장에 경
쟁하기 위한 지속적 개발 필요성이 절실히 느껴졌다.

<Konica Minolta 사의 Nassenger SP-1 Single-Pass Textile Printer>

사. 가공기

가공기는 신축성이 우수한 섬유(스판덱스 및 니트류), 산업용 섬유(부직포), 기


타(필름)용도로 개발되고 있다. 용수절약 및 에너지 절감을 통한 친환경을 강조
하였으며, 기존 설비 대비 완전히 새로운 변화 보다는 기존 user 의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능을 hybrid 하거나 가공방법에 따라 제품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multi function 형의 제품들이 다수 출시되었다.

- 26 -
코팅기 주요업체는 SANTEX 그룹, Zimmer, Weko 가 있으며, SANTEX 그룹은
핫멜팅 코팅 및 라미네이팅 시스템인 CAVIFLEX 을 소개하였다. 코팅모듈이 그라
비아, 스크린, 멀티 롤, 슬롯다이 교체가 가능하다(USP: interchangeable coating

modules – flexibility). Zimmer 는 자체개발한 MAGNET SYSTEM 을 통하여 롤로드


표면구조를 통하여 균일두께 조절이 가능하며, 페이스트 또는 폼 적용을 위한
로터리 스크린 스테이션은 선택적으로 수직 또는 수평으로 기계 블레이드 스퀴
지 적용이 가능하다. WEKO 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원심력을 위한 스프레이 코팅
기술을 소개하였다.

텐터기 주요업체는 BRÜCKNER, iNTERSPARE, Monfots 가 있다. BRÜCKNER 는


POWER-FRAME VNE 다층 텐터기(Multi-layer Stenters) 를 소개하였으며, 다층
텐터기는 출입구 방향이 동일하며 Six Layer 로 구성되어 효율적 공간사용 및 생
산량 약 20% 증가를 위하여 설계되었다. 또한 BRÜCKNER 의 텐터기에는 특허
받은 스플릿-플로우 공기 순환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으며, 각 반 칸막이의 교대
배치는 최적의 균일한 공기 순환과 직물 열처리를 가능하게 하였고, 치수 안정
성이 좋은 편직물, 부직포, 펠트 및 양모 소재에 적합하다. iNTERSPARE 는 특허받은
Star-Jet 노즐 시스템이 최적의 온도 분포와 원단의 환기를 통해 직물의 최적의
고착 및 잔류 수분량으로 볼륨 있고 부드러운 터치감을 제공한다. 그리고 특허
받은 Econ-Air 공기 흐름 시스템은 사용된 열 에너지 최적화를 통하여 에너지
절감을 실현하였다. 또한 강모 벨트는 직물 폭의 장력을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
다.

Monfots 사는 Twin-Air 시스템 상단 및 하단 공기 흐름을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직물 전체에 균일건조가 가능하다. 디스크-오-클린 (Disk-O-Clean) 의 효과
적인 린트 필터 시스템인 디스크-오-클린(Disk-O-Clean)은 린트가 가장 많이 발생
하는 곳이기 때문에 챔버용으로 설계되었으며, 챔버 당 2 개의 회전 스크린과
자동 세척 시스템 및 중앙 공기 배출 장치 및 외부 린트 수집 장치가 있어 텐터
기가 작동하는 동안 청소가 용이하다. 폐열회수시스템인 ECO Booster 는 8 챔버
기준으로 1 세트를 장착하여 폐열을 회수시킴으로서 기존의 stenter와 비교하여
최대 40 % 까지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입구부에 특수소재로 장착함으로
서 열손실을 최소화하려는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 27 -
< 에너지 Saving 을 위한 신소재를 소개한 MONTEX 텐터기>

수세기 주요업체는 Goller, Daintech 가 있으며, Goller 는 Nylon, Spandex 소재


의 조제제거에 적합하고 수세드럼에 타공이 있으며 물이 분사되면서 상반되게
동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Daintech 은 OPTIWASH 를 소개하였다. 10 챔버로 구성
되어 있는 한 챔버당 16 개의 노즐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일필터가 장착되어 있어
한 개의 열교환기를 각 챔버 온도조절이 가능하다. 주요특징은 탁도센서가 장착
되어 각 챔버당 물의 탁도를 측정하여 수세공정을 제어 가능함으로서 기존대비
용수를 30% 이상 절감 할 수 있다.

< 일성기계공업의 JET- BUFFER 연속식 텀블러 건조기>

텀블러 주요업체는 Biancalani, 일성이 있으며, Biancalani 과 일성 텀블러의 큰


차이점은 Biancalani 은 배치식이며 일성은 연속식이다. Biancalani 은 BRIO 24 는
세구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무장력 건조 및 수축, 릴렉싱 기능이 구현이 가능
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주로 니트류에 적합하다. 일성은 연속적인 텀블러 방식을
구현하였으며 면직물, 타올, 기모 등 모든 직물에 적용가능하다.

- 28 -
이번 전시회 염색가공 분야에서는 디지털화 및 친환경, 에너지 & 인력 절감이
최대 이슈였다.

인력 절감의 경우 인더스트리 4.0 에 맞는 디지털화와 시스템의 compact 화 및


유지보수 간편화를 위한 시스템 개선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고, 에너지 절감의
경우에는 열 회수 재사용 장치의 적용도 많았지만 공정 과정에서의 저에너지에
의한 최대 가공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는 고효율 시스템 개발이나 공정단축 등이
핵심 기술로 등장하였다.

후가공기의 경우 품질향상과 지능형 공장 실현을 위한 각종 sensor 의 발전과


가공설비의 복합화, 다기능화를 통하여 한 가지 설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거나 몇 가지 모듈화된 설비를 조합하여 다양한 품목에 적용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었다.

자. 봉제 ․의류기
2019 년 개최된 ITMA2019 에서 섬유기계 분야 중 자수봉제 전시는 3 Hall 에서
전시되었다.

자수봉제 분야에서는 SAURER, LASSER, ZSK 및 JUKI 등의 선진사들이 참가


하였으며 SAURER 및 JUKI는 IoT 기능을 강조하여 MES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설
비를 모니터링하고 가동상태를 체크하는 등 AI와의 접목을 강조하였다.

<ICT기반 JUKI 자동봉제기>

- 29 -
< 자수봉제 공정 모니터링 IoT 모듈 탑재 SAURER 자수봉제기>

셔틀 자수봉제기의 대표업체인 LASSER 에서는 셔틀자수기인 MVD71-II MINI

MULTI DRIVE 기계 및 SCHIFFLI 자수 기술 기반 LÄSSER SCHIFFLI HEAD 2

기계를 전시하였다. 이 기계는 Schiffli 자수 기술인 LÄSSER LSH 를 기반으로 한


세계 최초의 플랫 베드 자수기의 추가 개발품이다. 기존의 모든 멀티 헤드 봉제
기에서 Schiffli 자수기의 장점과 멀티헤드 유연성을 결합한 기계이다.

그리고 이번 ITMA 2019 에서의 의류분야 키워드는 “Sustainability through

Automation and Digitalization“ 이었다. 의류산업의 경우 비교적 자동화가 더딘


산업중의 하나인데, 이는 자동차와 같이 모든 아이템이 동일한 제조공정을 거치
지 않으며, 아직은 개발도상국의 저렴한 노동력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높은 초기투자비용, 의류 제조의 복잡성, 빈번한 스타일변화 등으로 자동화 도입
이 까다로운 상황이다.
따라서 의류제조기 분야에서는 단순한 CAD/CAM 설계기술을 뛰어넘어 개념화
(conceptualization), 구체화(definition), 예비제작(pre-production), 생산(production)
까지 연속되는 시스템으로써 버츄얼 피팅까지 가능케 함으로써 시제품 제작에
따른 경제적, 환경적 손실분을 줄이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 30 -
차. 산업용설비

현재 산업용섬유 제조 기술의 키워드는 재료의 특수성, 다기능성, 지속가능성


등이며, 이에 따른 산업용섬유 제조 공정 측면의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을
위한 제조 기술의 고속화, 자동화 및 공정의 최적화 기술 등이 성장하고 있다.

EDANA(European Nonwovens and Disposables Association) 의 수치에 따르면


부직포의 연간 평균 성장률은 지난 10 년간 약 4% 였다. 2018 년에는 유럽에서 약
280 만 톤이 생산되었으며, 2019 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산업용 섬유 중 부직포에 대한 시장 성장 가능성 및 혁신 기술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듯이 ITMA 2019 에서 “ITMA-EDANA 부직포 포럼”이 개최되었으며, 포
럼의 주제는 “21 세기를 위한 부직포 제조 기술 : 보다 유연한, 보다 효율적인,
보다 지속가능한”이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부직포 관련 협회 및 전문가들이 이
포럼에서 소통함에 따라 부직포 최신 기술과 관련한 네트워크화 및 플랫폼 제공
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경제적이고 지속가능한 부직포 제조 공정의 글로
벌 동향을 확인함에 따라 부직포 제조 공정에 대한 바이오 및 재활용 소재 처
리, 하이브리드 및 복합재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 공정, 스마트 제조 공정 등의
부직포 기술의 혁신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번 ITMA 2019 에서 산업용섬유 생산설비는 전 분야에 걸쳐 제시되었으며 그


중 산업용섬유를 대표하는 부직포기는 Hall5 에서 전시되고 있었다. 기존의 부직
포기 분야의 해외 선진사인 DILO Group, AUTEFA, ANDRITZ, LAROCHE,

TEXNOLOGY 등을 비롯하여 국내 업체인 삼화기계, 부광기계 등이 주력 제품과


신기술이 적용된 혁신 제품을 전시하고 있었다.

DILO Group 은 산업용 섬유 제조를 위한 모든 공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기 위하


여 생산라인 전체를 전시하였으며, 부직포의 연간 생산량 증대를 위해 웹 형성
및 니들링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스마트 공정 관리 및 자동화
를 위해 diloline 4.0 운영 체제를 적용하고 있었는데, 이는 ‘Smart Industry’ 모
듈로써 Siemens 와 협력하여 개발된 솔루션이다. diloline 4.0 을 통해 부직포 제조
시 공정을 단순화 하고 생산, 운전 제어, 품질 및 유지보수 등의 다양한 데이터
의 저장과 신속한 분석을 통해 웹 형성 및 부직포 제조의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
록 하였다.

- 31 -
ANDRITZ 는 자동차 산업에서 널리 응용되어지는 벨루어 펠트(veloured felts)

를 생산하기 위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브러쉬와 높은 생산성이 확보되는 최신의


니들링 기술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시장에서 증강 현실 컨텐츠와 결합하여 전시
장 방문객에게 니들룸의 핵심 기술에 대한 기능을 설명하였는데, 최근 사물인터
넷을 포함하거나 활용하여 신제품을 출시하는 트랜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AUTEFA 는 복합소재 보강재로 사용되는 부직포 활용 증대로 인해 오스트리


아 린츠(Linz)에 위치한 기술 센터에 4 번째 생산 라인을 설치하여 탄소 및 산업
용 소재를 이용한 부직포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 ITMA 2019 에서는 공기역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웹을 형성하는 Futura 설비를 통해 고효율, 고품질, 낮은 유지
보수 비용 등의 부직포 제조의 최신 기술을 제공하였다.

<DILO Group 의 부직포 제조 라인>

전체적인 부직포기의 ITMA 2019 전시회의 동향은 이전 전시회인 ITMA 2015

와 출품된 설비들은 기술적으로는 유사하나, 부직포의 지속 가능성과 Industry

4.0 산업과의 융합을 강조하면서 최신 개발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32 -
3. 결언

스페인 바르셀로나 Fira De Barcelona, Gran Via. 에서 6 월 20 일부터 26 일까지 7

일간의 일정으로 개최된 ITMA 2019 전시회는 섬유소재 생산에서부터 3D 제직


및 편성, 하이테크 부직포 공정, 지속 가능한 화학물질 및 최첨단 의류제조기술,
그리고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반의 자동화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기술이
출시되는 혁신의 장이었다.

그리고 19 개의 전시분야에 걸쳐 전체 가치사슬을 위한 통합솔루션이 제시되었


으며 45 개국에서 1,717 여개의 업체가 출품하였고, 137 개국에서 약 10.5 만명의 방
문객이 전시장을 찾아 최신의 섬유기계 기술과 트렌드를 접하였다.

또한 Industry 4.0 과 지능적이고 유연한 제조공정의 새로운 시대에 접어들면서


기술혁신이 섬유 및 의류 제조에 혁명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섬유 및 섬유기계
산업의 생존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분명이 인식하는 “Innovating the World of

Textiles” 의 경연장이 되었다.

ITMA 2019 는 로봇 및 인공지능이 산업을 혁명적으로 바꿔 놓을 스마트 의류


기술을 주목하고 있으며, 빅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발전과 함께 클라우드 기
반의 시스템을 포함한 대규모 데이터 스토리지에 액세스 할 수 있는 진보적인
기술들을 선보였다.

전시 주제는 “Innovating the World of Textiles”(' 섬유의 세계를 혁신하는 것')로


지난 ITMA 2015 의 “Master the art of Sustainable Innovation” 의 연장선이다.
이것은 섬유기계 전반에 기술혁신과 함께 Industry 4.0 과 지능적이고 유연한 제
조공정이 섬유 및 의류 제조에 혁신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의류 제작분야에서는 자동화 및 로봇 공학을 이용한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


어 의류 제작 솔루션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으며 생산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스마트팩토리를 추구하는 통합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산업용섬유 및 재활용 섬유들이 스마트 패브릭, 보호의


류 및 지오텍스타일과 같은 새로운 용도로 대응할 수 기계들이 각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었다.

- 33 -
염색가공기분야에서는 인더스트리 4.0 에 맞는 디지털화와 시스템의 compact 화
및 유지보수 간편화를 위한 시스템 개선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고, 에너지 절감
의 경우에는 열 회수 재사용 장치의 적용도 많았지만 공정 과정에서의 저 에너
지에 의한 최대 가공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는 고효율 시스템 개발이나 공정단축
등이 핵심 기술로 등장하였다.

' 주문형 생산'의 새로운 시대를 선도하고 있는 디지털 프린팅분야는 더욱 엄격


한 새로운 환경 규제에 직면하여 혁신적이고 지속가능한 염료와 화학물질에 대
처할 수 있는 기계들을 내놓고 있다.

진화한 sensor, 가공설비의 복합화, 다기능화를 통하여 품질향상과 지능형 공장


실현을 할 수 있게 되었고 한 가지 설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
하거나 몇 가지 모듈화된 설비를 조합하여 다양한 품목에 적용하는 형태로 진화
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기술은 다양한 적용을 통해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고 있다.
증가하는 탄소복합재료 등 혁신 소재의 시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최첨단 제조
기술의 제시와 리사이클링 및 폐기물 감소, 환경오염 방지 등 지속가능한 친환
경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이 현재의 추세인 것이다.

따라서 이번 전시회는 수년 동안 섬유산업의 트렌드와 도전에 상응한 섬유기계


의 진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의 섬유 및 의류 생산에 대한 통합 소싱
플랫폼을 제공하고 모든 이해 관계자들에게 플랫폼을 재발견하고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게 하는 통합의 장이 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유럽 선진업체들은 수년전부터 진행 중인 전략적 제휴 또는 기업 M&A 를 통해


시장 및 국제경쟁력을 꾸준히 확보해 나가고 있다. 예를 들어 쟈카드 분야의 메이저
회사인 BONAS 가 를 인수 합병하였으며, 이탈리아의
VANDEWIELE Itema 그룹은
PTMT 사 (구 PANTER 사)와의 합병을 통해 산자용 직기 전문인 Itematech 사를 출
범하였다.

이렇듯 해외선진업체들은 국제경쟁사회에서 생존과 경쟁력확보를 위해 꾸준히


상생해나가고 있으며 우리나라 기업들은 이를 고려해야 한다. 국내의 섬유기계
산업도 갈수록 어려워지는 시장 경쟁력 제고를 위해 발전적인 변화를 지속적으
로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자동차 부품 및 기계, 금속 산업과 많은 부분을 공
유하면서 전방 산업인 섬유산업이 선진형 섬유산업으로 단계적으로 발전해 갈
수 있도록 기업의 내부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 34 -
국내 섬유기계 메이커, 관련 대학 및 연구소에서는 향후 글로벌 섬유기계의 신
제품 개발 방향과 시장수요를 좀 더 치밀하게 분석하여 혁신적인 제품 개발 능
력을 배양해야 한다. 또한 해외 마케팅 역량 및 시장 다변화를 꾀할 수 있도록
기업의 운영조직 및 규모를 재구성해야 한다. 아직 세계시장에서의 우리나라 섬
유기계시장의 위상은 선진국이 되기에 요원하다. 이러한 현실적 상황에서 우리
는 틈새시장공략을 위한 혁신적인 전략과 지혜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이
며 협업의 행동으로 옮겨야 할 것이다.

- 35 -
4. ITMA 2019의 전시회 현황

구 분 ITMA 2019

장 소 Fira De Barcelona, Gran Via.

기 간 2019. 6. 20. ∼ 2019. 6. 26.

주 최 CEMATEX( 유럽섬유기계협회)

참여업체 45 개국 1700 개업체

전시면적 총면적 : 220,000m²( 전시면적 : 114,500m²)

관람인원 137 개국에서 105,000 여명 참가

2019 년 I TM A 참여업체 2019 년 I TM A 참여업체

국 가 업체수 (개) 비 율 (% ) 국 가 업체수 (개) 비 율 (% )

Italy 364 21.2 UK 44 2.6

China 276 16.1 USA 44 2.6

Germany 222 12.9 France 33 1.9

India 169 9.8 Belgium 26 1.5

Turkey 164 9.6 Korea 24 1.4

Spain 88 5.1 Japan 24 1.4

Switzerland 65 3.8 Etc. 174 10.1

T OT AL 참가업체수 : 1,717

- 36 -
5. ITMA2019 참여업체 및 참관인원 분석자료

가. 지역별 참여업체 수

ITMA 91 ITMA 95 ITMA 99 ITMA ITMA ITMA ITMA ITMA

2003 2007 2011 2015 2019


Hanover Milan Paris Birmingham Munich Barcelona Milan Barcelona

CEMATEX 1,163 1,168 1,065 876 986 836 952 867

Central Europe 28 24 29 23 29 23 28 32

Eastern Europe 14 24 24 20 22 17 22 20

North America 67 76 81 58 40 37 38 46

S outh America 6 5 3 6 14 16 12 12

Middle East 13 14 41 71 101 108 153 347

Eastern Asia 98 123 143 213 276 309 477 384

Af rica 0 0 0 6 2 3 3 2

S outh Pacif ic 2 2 4 6 4 5 6 7

S ub Total
228 268 325 403 488 518 739 850
Non-CEMATEX

TOTAL 1,391 1,436 1,390 1,279 1,474 1,354 1,691 1,717

< 지역별 참여업체수>

- 37 -
나. 역대 CEM AT EX 회원국 및 비 회원국의 참여 업체 수 추이

< 역대 CEMATEX 회원국 참여업체수>

다. 역대 CEM AT EX 회원국 및 비 회원국의 참여 업체 수

역대
< CEMATEX 회원국 참여업체수> < 역대 CEMATEX 비회원국 참여업체수>

- 38 -
라. I T MA2015 분야별 참여업체 비율(I ndex기준)
15년 19년

산 업 분 야 참여비율 참여비율
(%) (%)

1. MACHINERY FOR SPINNING PREPARATION, MAN-MADE FIBRE

PRODUCTION, SPINNING, AUXILIARY MACHINERY AND 17.1 12.5

ACCESSORIES

2. MACHINERY FOR WINDING, TEXTURING, TWISTING, AUXILIARY


5.4 8.4
MACHINERY AND ACCESSORIES

3. MACHINERY FOR WEB FORMATION, BONDING AND FINISHING

OF NONWOVENS AND FELTING, AUXILIARY MACHINERY AND 4.4 6.3

ACCESSORIES

4. WEAVING PREPARATORY MACHINERY, WEAVING, TUFTING


10.6 9.8
MACHINERY, AUXILIARY MACHINERY AND ACCESSORIES

5. KNITTING AND HOSIERY MACHINERY, AUXILIARY MACHINERY


7.6 6.8
AND ACCESSORIES

6. EMBROIDERY MACHINERY, AUXILIARY MACHINERY AND


0.5 1.0
ACCESSORIES

7. BRAIDING MACHINERY AND ACCESSORIES 0.7 1.5

8. WASHING, BLEACHING, DYEING, DRYING, FINISHING, CUTTING,

ROLLING AND FOLDING MACHINERY, AUXILIARY MACHINERY 17.9 16.4

AND ACCESSORIES

9. PRINTING MACHINERY, DIGITAL PRINTING MACHINERY,


6.7 9.4
AUXILIARY MACHINERY AND ACCESSORIES

10. GARMENT MAKING MACHINERY, OTHER TEXTILE

PROCESSING MACHINERY, AUXILIARY MACHINERY AND 3.5 5.2

ACCESSORIES

11. LABORATORY TESTING AND MEASURING EQUIPMENT AND


2.2 3.3
ACCESSORIES

12. TRANSPORT, HANDLING, LOGISTICS, STORING AND PACKING


0.7 2.3
EQUIPMENT AND ACCESSORIES

13. EQUIPMENT FOR RECYCLING, WASTE REDUCTION AND


1.2 2.5
POLLUTION PREVENTION AND ACCESSORIES

14. SOFTWARE FOR DESIGN, DATA MONITORING, PROCESSING


1.9 3.7
AND INTEGRATED PRODUCTION

15. COLOURANTS AND CHEMICAL AUXILIARIES FOR THE TEXTILE


6.0 3.6
INDUSTRY

16. EQUIPMENT AND PRODUCTS TO ENSURE MACHINERY AND


2.2 1.9
PLANT OPERATIONS

17. SERVICES FOR THE TEXTILE INDUSTRY 4.2 2.0

18. RESEARCH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2.4 1.0

19. NATURAL FIBRES, MAN-MADE FIBRES, TECHNICAL FIBRES,

NATRURAL YARNS, SYNTHETIC YARNS AND TECHNICAL YARNS 3.5 2.0

AND RECYCLED FIBRES AND YARNS

20. CEMATEX ASSOCIATION AND REST OF WORLD ASSOCIATION 1.3 0.4

- 39 -
< 분야별 참여업체 비율>

마. 역대 의 국가별 참여 업체 수
IT M A

2003
1991 1995 1999 2007 2011 2015 2019
Country Birming
Hanover Milan Paris
-ham
Munich Barcelona Milan Barcelona

Belgium 24 25 31 29 37 31 25 26

France 80 73 100 45 43 32 34 33

Germany 370 286 269 230 339 213 239 222

Italy 421 534 427 312 377 322 455 364

Netherlands 17 21 17 18 15 16 16 16

Spain 55 54 58 49 39 92 60 88

Switzerland 103 89 89 77 74 66 63 64

UnitedKingdom 93 86 74 105 57 54 50 44

Sweden - - - 11 5 10 10 10

CEMATEX 1,163 1,168 1,065 876 986 836 952 867

Argentina - - - 1 - 1 1 1

Australia 1 1 3 4 3 4 4 6

Austria 15 16 17 15 20 13 16 16

Bangladesh - - - - - 2 1 2

Brazil 6 5 3 5 14 13 11 9

Bulgaria - - - - 1 - 1 -

Canada 3 5 5 6 5 3 1 1

China 3 3 5 28 58 84 186 276

- 40 -
2003
1991 1995 1999 2007 2011 2015 2019
Country Birming
Hanover Milan Paris
-ham
Munich Barcelona Milan Barcelona

Colombia - - - - - 2 - 2

Croatia - 1 - - - - - -

CSI-Russia(USSR) 3 3 1 5 3 1 2 -

CzechRepublic - 11 12 8 10 12 8 8

Denmark 6 4 5 5 5 5 4 3

Egypt - - - 2 2 3 1 2

England - - - - - - - -

Finland 1 1 2 1 1 1 1 2

Greece 4 5 6 4 4 1 4 4

HongKong 9 10 7 - 12 11 12 9

Hungary 3 1 1 1 - - - -

India 10 24 42 89 107 125 161 169

Indonesia - - 1 - - 1 3 3

Iran 2 1 1 3 6 3 5 7

Ireland 2 - 1 2 1 - - -

Israel 4 3 4 4 1 2 4 2

Japan 51 41 34 22 28 23 30 24

Korea 1 6 10 19 31 29 36 24

Lithuania 1

Liechtenstein - - - - 1 - - -

Luxembourg - - - - 1 1 2 1

Malaysia - 1 1 2 2 2 1 2

Mexico - - 1 - - 2 1 1

NewZealand 1 1 1 2 1 1 2 1

Norway - - 1 - - - - -

Nigeria - - - 1 - - - -

Pakistan 1 - 1 3 2 4 5 3

Poland 2 2 3 1 1 1 4 5

Portugal 4 3 3 - - 3 5 6

Russian Federation 2

Romania - - - - - - 1 -

Singapore 2 1 2 1 2 6 7 8

Slovenia - 1 2 1 1 1 1 1

Slovakia - - - - 2 1 1 2

SriLanka - - - - - - - -

SouthAfrica - - - 3 - - - -

Syria - - - - 1 2 - -

Taiwan 22 36 40 51 36 24 38 37

Thailand - - - 1 - 2 2 1

Turkey 5 11 34 61 91 97 140 164

Ukraine 1

UAE 63 - - - - - 1 -

USA 62 70 76 52 35 32 36 44

Yougoslavia 2 1 - - - - - -

소 계 288 268 325 403 488 518 739 850

TOTAL 1,451 1,436 1,390 1,279 1,474 1,354 1,691 1,717

- 41 -
바. 역대 IT M A 참여업체 및 전시면적 현황

연 도 장 소 전시면적(㎡) 참여업체수
1951 Lille, FRANCE 12,465 278

1955 Bruxelles, BELGIUM 20,585 453

1959 Milan, ITALY 36,659 616

1963 Hanover, GERMANY 64,622 828

1967 Bale, SWITZERLAND 71,902 881

1971 Paris, FRANCE 114,461 1,074

1975 Milan, ITALY 123,479 1,220

1979 Hanover, GERMANY 120,245 1,092

1983 Milan, ITALY 125,602 1,251

1987 Paris, FRANCE 145,467 1,286

1991 Hanover, GERMANY 185,543 1,391

1995 Milan, ITALY 166,179 1,436

1999 Paris, FRANCE 156,027 1,390

2003 Birmingham, UK 101,515 1,279

2007 Munich, GERMANY 102,000 1,474

2011 Barcelona, SPAIN 90,000 1,354

2015 Milan, ITALY 108,268 1,691

2019 Barcelona, SPAIN 114,500 1,717

<역대 ITMA 참여 업체수 추이>

- 42 -
방적 분야

김규호 팀장(KOTITI 시험연구원)

1. 서론

가. 개요

방적산업에서 ITMA 전시회는 방적공장의 증설, 신규 방적설비의 도입, 방적설


비의 개선, 저렴하고 성능이 우수한 방적기계 부품의 발굴, 인력 소모를 최소화
시킴과 동시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화 및 모니터링 시스템, 신제품 개
발을 위한 특수 방적설비의 도입 등에 대한 최신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기계
메이커별로 출시한 최신 기계의 장단점을 한 눈에 파악하고 비교해 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전시회라 할 수 있다.

금번 ITMA 2019 전시회에서는 총 9 개 Hall 중 2 개 Hall 에서 방적기계를 전시


하였는데, 지난 ITMA 2015 밀라노 전시회에 비해 전반적으로 첨단 IT 및 자동
화 기술을 응용한 기계들이 많이 출시되었고, 이에 따라 품질 및 설비의 관리와
작업이 보다 용이해졌으며, 특히 기계 메이커별로 다양한 방식의 신형 정방기를
많이 출시하여 주목을 받았다.

Toyota 사에서 기존 링 방적사와 구조가 동일하면서도 최대 5 만 rpm 에서 실을


제조할 수 있는 신형 정방기를 비밀리에 공개하면서 큰 화제를 모았으며, 그간
Muratec사와 Rieter사에서만 출시했었던 에어젯 정방기를 Saurer그룹과 LMW사

도 출시함으로써 큰 인기를 끌었다.

또한 이미 많이 보편화된 컴팩트 정방기의 경우 새로운 방식은 소개되지 않았


지만, Rieter사에서 자사 제품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그간 단점이었던 컴팩트 전
용 링 정방기를 링 정방기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모듈화 시킨 3 가지 모델의 컴팩
트사 장치를 개발하여 동시에 출품하였다.

특히 Rieter사는 신형 컴팩트 정방기 이외에도 소면기, 정소면기, 연조기, 로터


정방기, 정방 오토 피싱 장치 등 다양한 신제품들을 출품하였으며, 사
Trützschler

는 기존과 형태 및 성능이 다른 신형 베일오프너와 신형 소면기 및 연조기를 출


품하였다.

- 43 -
Uster 사, Pinter/Fani 사 및 Premier사는 각사의 장점을 내세운 다양한 정방 사
절감지 및 로빙 스톱장치를 출품하였는데, 특히 Uster사는 링 정방기와 권사기
를 연동시켜 정방기에서 발생한 불량 콥을 제거 및 관리할 수 있는 신형 품질
관리시스템을 출품하여 주목을 받았다.

금번 전시회에서도 국내 면방회사들은 공동 참관단을 구성하여 ITMA 전시회를


참관하였으며, 각 회사별 구축설비 및 생산품종의 차이로 인해 주요 관심분야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위한 설비, 자동화 및 모니터링 시스템,
컴팩트 및 에어젯 정방기, 신제품 생산 설비 등이 참관단의 많은 주목을 받았다.

나. 방적설비 시장동향

국제섬유생산자연맹(ITMF), Saurer사 및 Rieter사를 포함한 중국의 섬유기계 제


조업체, 그 외 방적 관련 기계를 생산하는 전 세계 15개 업체가 참가하여 실시
한 2017 년 방적기계 관련 연간 시장조사에 따르면 2013 년 이후 처음으로 면방용
링 스핀들의 출하량이 증가하였다.

□ 링 방적설비
2017 년 면방용 링 스핀들의 출하량은 전년대비 약 21 % 증가한 165 만추로,
년 이후 처음으로 전년 출하량 대비 증가하였다. 새롭게 출하된 면방용 링
2013

스핀들의 약 95 %는 아시아에서 도입하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약 24 % 증가한


것이다. 세계 최대 투자국인 중국의 경우 2017 년 도입량이 전년 대비 약 34 %

증가하였으며, 방글라데시와 베트남의 경우 각각 33 % 및 39 % 감소하였다. 한


편 인도네시아의 경우 2017 년 도입량이 크게 증가하여 전년 대비 약 135 % 상
승하였으며, 2017 년 가장 많이 도입한 국가는 중국, 인도, 우즈베키스탄, 방글라
데시, 인도네시아 순으로 나타났다.

□ 로터 방적설비
로터의 출하량은 2017 년 788 천 로터로 2016 년 대비 약 24 % 증가하였다. 아시
아 지역의 경우 전년 대비 약 15 % 증가한 약 674천 로터를 도입하였는데, 이는
2017년 전체 로터 출하량의 약 85 %에 해당된다. 한편 이란, 브라질, 우즈베키스

탄, 일본 등의 국가들이 전년 대비 약 2~4 배 정도 도입량을 증가시킨 반면, 세


계 최대의 로터 투자국인 중국은 2017년 전년 대비 약 6% 설비를 증가하였다.
2016년의 경우 터키와 인도가 각각 로터 관련 두 번째 및 세 번째로 큰 투자국

이었다.

- 44 -
다. 기술전개 방향

방적산업은 노동집약적산업인 동시에 기술집약적산업으로, 인력 및 전력 소모


가 많고 사용 원료 및 공정별로 기술자의 기술 know-how 및 기계 세팅조건에
따라서 품질 및 생산성에 큰 차이를 보이며, 대부분 24 시간 운전해야 되는 설비
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부품을 교체하고 관리해 주어야 한다.
또한 원료 혼섬 및 이송을 위한 기계 제어기술에 따라서 다양한 신소재를 개발
할 수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지난 ITMA 2015 에서는 ‘품질 향상’, ‘생산성 향상 및


에너지 절감’, ‘운전 및 관리의 용이성’이라는 크게 3 가지 측면에서 기술이 개발
되어 왔다.

금번 ITMA 2019 에서도 전반적인 개발방향은 유사하지만, 그간 급속도로 발전


된 첨단 IT 및 자동화 기술을 기반으로 모바일 기기와 연동된 자동화 및 모니터
링 기술들이 많이 소개되었으며, 정방방식도 보다 다양해졌다. 출품된 기계들을
토대로 기술전개 방향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 IT 및 자동화 기술을 활용한 품질 향상 및 관리 시스템


ㅇ IT, 정밀 센서 및 카메라를 활용한 실시간 품질 모니터링
ㅇ 문제 발생시 원료 자동 공급 차단 및 재 공급
ㅇ 정밀 기계세팅의 자동화를 통한 품질 향상 및 편리성
ㅇ 공정 최적화를 위한 품질 분석 및 관리 시스템

□ 생산성 향상 및 에너지 절감
ㅇ 섬유처리 능력 증가 : 베일오프너/소면기 작업폭 증가
ㅇ 신형 링 정방원리 도입 : 최대 50,000 rpm ( 기존 최대 25,000 rpm)

ㅇ 에어젯 정방기 생산성 증가 및 다양화 : 최대 55,000 rpm

ㅇ 구동 모터/드라이버의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통한 에너지 절감


ㅇ 센서 및 인버터 부착을 통한 최적화 운전으로 에너지 절감

□ 운전 및 기계 세팅의 용이성
ㅇ 모니터를 통한 기계 자동 세팅 및 운전조건 설정 편의성 향상
ㅇ 부품 모듈화를 통한 생산 및 보전 편리성 향상

- 45 -
2. 개발동향

가. 혼타면기

혼타면 공정의 경우, Trützschler 사가 기존 대비 생산량을 약 25~40 % 증가시


키고, 디자인을 완전 변경하여 설치공간을 약 30~45 % 절감시킨 신형 베일 오
프너를 전시하였이며, Rieter 사는 2017 년도에 개발된 베일 오프너를 브로셔를 통
해서만 홍보하였다.

□ A12 Unifloc (Rieter 사)


ㅇ 경제성
- 최대 생산량 : 2,400 kg/h (A11 : 1,400 kg/h)

- 자사 특허기술인 스캐닝 힘 측정장치를 기반으로, 베일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


- 최고 효율 등급의 드라이브 및 최신 기술의 서보 유닛을 통해 에너지 절감
ㅇ 품질
- 베일을 마이크로터프트(microtuft) 크기까지 개섬해 줌으로써 이후 클리닝
공정에서 정면 및 먼지 제거 성능이 향상되며 균일한 혼섬 가능
- 테이크-오프 유닛에서의 스캐닝 힘 측정으로 인해 공급 베일을 균일하게 개선
- 자사 특허기술인 워블 디스크(wobble disc) 롤러를 적용하여 터프트를 손
상없이 연속적으로 추출
ㅇ 유연성
-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사용자 친화적인 메뉴 구성을 통해 장비 조작을 직
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입출력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가능
- 통합 제어 시스템인 UNIcontrol 을 통해 전체 공정에 대한 모니터링 가능

<BO-P Unifloc A12>

- 46 -
□ BO-P (Trützschler 사)
ㅇ 신형 개섬 롤러를 적용하여 마이크로터프트 크기까지 개선
- 기존 개섬 롤러 대비 부하를 감소시켜 단위시간당 섬유처리량 증가
- 기존 BO-A 대비 약 25~40 % 향상
ㅇ 최대 생산량
- 2,500 kg/h( 작업영역: 2,900 mm), 3,000 kg/h( 작업영역: 3,500 mm)

- 커버 벨트 개선을 통해 베일을 가로 최대 75 m 까지 처리 가능(기존 50 m)

- 최대 가로 6 베일까지 처리 가능
ㅇ 디자인 변경으로 기존 대비 설치공간 약 30~45% 절감, 설치시간 최소화

<BO-P> < 신형 개섬 롤러 >

나. 소면기

Rieter 사와 Trützschler 사가 카딩 영역을 확대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IT 및 각


종 자동화 기능을 적용시켜 품질, 운전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신형 소면기를 전
시하였다. 양사 모두 다각도로 성능이 향상되었는데, 특히 카딩영역 확대, 실린
더/플랫 게이지 정밀도 향상, 리커인 모듈 개선, 보전 및 모니터링 기능 강화
등이 주요 특징이며, Trützschler 사는 실린더/플랫 게이지를 자동으로 세팅하고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T-GO 기능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 C 80 소면기 (Rieter 사)
ㅇ 현재 개발은 되었으나, 공장 실험 중으로 판매는 하지 않고 있으며, 정확
한 기계 사양도 공개되지 않았음
ㅇ 카딩 영역 확대
- 카딩 작용을 하는 플랫 수가 40 개로 현존하는 소면기 중 카딩 영역이 가
장 넓고, 경쟁사 대비 약 30 % 이상 생산성 증가

- 47 -
ㅇ 품질 향상
- 실린더/플랫 게이지는 중앙에서 조정하며, 1/100 mm 단위로 설정할 수
있어, 소면 슬라이버의 균제도 및 품질 향상

< 유효 카딩 영역 비교> < 실린더/플랫부>

ㅇ 최적의 리커-인 모듈 구성
- 생산 중에도 리커-인의 모트 나이프를 전자식으로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어
서 최적의 원료 사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원료에 대해 유연하게 조정 가능
- 성능 향상을 위해 기존 대비 리커-인 위치가 변경됨

< 리커-인의 모트 나이프 조정에 따른 잡물 추출량 변화(C75 소면기)>

ㅇ Q-Package 및 자동 연마장치는 큰 변동 없음
- Q-Package : Pre/Post 카딩영역에서 잡물 추출을 신속하고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인서트
- IGS(Integrated Grinding System) : 소면기 내장용 자동 연마장치로 기계
정대 없이 생산 중 자동 연마하며, 침포 수명이 20 % 연장됨
- IGS-classic : 실린더 침포용 자동 연마장치
- IGS-TOP : 플랫 침포용 자동 연마장치

- 48 -
IGS-TOP 사용 사용 안함
< 인서트 교체작업>
<240 톤 생산 후 플랫 침포상태>

□ TC 19
i
(Trützschler 사)
ㅇ TC 19
i
는 3 가지 지능형(Intelligent) 개념을 도입한 신형 소면기로, TC 15

대비 IT 기술 및 자동화 기능을 대폭 강화시켰음


ㅇ 현재 개발은 되었으나, 일부 기능은 보완 중이며, 따라서 생산성 및 정확
한 기계 사양은 공개되지 않았음
ㅇ 카딩 영역
- TC 15 대비 실린더 폭은 1.28 m, 카딩 부분은 2.8 m 로 변동 없으나, 카딩
영역이 3.7 ㎡에서 5.3 ㎡로 확장되어 품질이 향상되었음

i
< TC 19 >

ㅇ 지능형(Intelligent) 기능
- Gap Optimizer T-GO : 생산 중에도 실린더/플랫 게이지를 일정하게 유지
모니터를 통해 3/1000” 까지 게이지 자동 세팅
- WASTECONTROL : 잡물 모니터링을 통해 원료 사용 최적화 및 잡물 최소화
- NEPCONTROL TC –NCT : 소면 슬라이버의 넵 수준 실시간 모니터링
리커-인 롤러 하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이송되는 웹을 초당 약 20 장 촬영
특수 분석용 소프트웨어와 고성능 컴퓨터를 사용하여 사진을 평가한 후
넵, 트래시 및 종자편 넵 구분

- 49 -
<NEPCONTROL TC-NCT> < 넵 분석용 소프트웨어>

ㅇ T-MOVE 2 : 생산속도를 유지하면서 캔 교체가 가능한 슬라이버 코일링


및 캔 적재 시스템
- 1,200 mm 직경의 캔을 사용하지만, 1,000 mm 직경의 캔 체인저 대비 공
간을 적게 차지하고, 소면기와의 거리가 길어져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음

ㅇ MAGNOTOP 3 : 마그네틱 방식의 플랫 바


- 별도의 보전설비 없이 자기력을 이용하여 플랫 톱을 분리 및 장착
- 초강력 네오디뮴 자석을 사용하여 기존 MAGNOTOP 대비 공차를 1/2 로
감소시켰고 정밀도는 향상됨.
ㅇ T-Con 3 : 실린더, 플랫, 고정식 카딩 요소 간 게이지를 자동 모니터링 하
여 화면에 보여주며, 권장 설정치를 제안함.
- TC 19
i
소면기에 신규로 적용된 T-GO 기능 활용에 필수적인 기능임

기존 클립 방식 MAGNOTOP 방식
<T-Con 3 화면>
<MAGNOTOP 3>

- 50 -
다. 정소면기

Rieter 사가 생산성이 증가된 신형 E 90 정소면기를, Trützschler사는 기존모델인


TCO 12A 를 전시하였다.

□ E 90 (Rieter 사)
ㅇ 최대 생산량 : 100 kg/h(600 nips/min), E 86( 최대 90 kg/h, 550 nips/min)

ㅇ Ri-Q-Comb flex-s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원형 콤 적용으로 톱 콤과 원형


콤의 응용범위를 확장 시킬 수 있는 신기술
- E 86 모델에도 적용됨
- 톱 콤 및 원형 콤의 세팅조건을 변경하지 않고도 노일을 3% 까지 감소시킬
수 있음

<E 90 정소면기> <Ri-Q-Comb flex-s>

ㅇ 자동화
- 랩 교환 및 연결 시스템인 ROBOlap 과 완전 자동 랩 이송장치인 SERVOlap

을 함께 사용하면, 기계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고, 슬라이버 및 사 품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 인원을 약 60 % 까지 감소시킬 수 있음
ㅇ 에너지 절감 및 공간
- 신형 구동 시스템의 적용으로 약 40 %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으며, 기존
대비 약 25 % 공간을 적게 차지함
ㅇ RQM(Rieter Quality Monitor) : 센서를 통해 슬라이버의 중량편차 및 균제
도를 실시간 감지하는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

- 51 -
<ROBOlap> <RQM>

□ TCO 12A (Trützschler 사)


ㅇ Toyota 사와 Trützschler 사가 공동 개발한 정소면기로, Toyota 사의 직기 제
어 및 코밍 기술과 Trützschler 사의 연조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함
ㅇ 최대 생산량 : 약 400 kg/h(600 nips/min)

ㅇ 주요 특징
- 2-twin drive 를 사용하여 디태칭 롤러의 비틀림을 75 %, 진동을 25 % 감
소시킴
- 디태칭 롤러 양쪽에 2 개의 서보모터 장착
- 터치 스크린 상에서 품질 중심 또는 에너지 절감 중심으로 생산 조건을
변경할 수 있음

<TCO 12A> < 디태칭 롤러의 비틀림 비교>

라. 연조기

Rieter 사와 Trützschler 사가 각각 2 가지 모델을 전시했는데, 첫 번째는 일반 링


사용 연조기로 양사 모두 기존 모델을 전시하였고, 두 번째는 소면기와 연동시
켜 소면 슬라이버를 즉시 드래프팅 시킴으로써 기존 2~3 회의 연조공정을 생략
하거나 단축시킬 수 있는 에어젯 또는 로터 정방용 연조기를 전시하였다.

- 52 -
양사 모두 두번째 모델에 대해 적극적으로 홍보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사는
Rieter

RSB-MODULE 50 이라는 신형 연조기를 전시하였다.

□ RSB D 50 (Rieter 사)
ㅇ 최대 생산속도 : 1,200 m/min

- 섬유 소재별로 기존 모델 대비 최대 33 % 까지 속도 증가
ㅇ 에너지 절감
- 드라이브 컨셉 ECOrized 를 적용시켜 기존 모델 대비 차동 기어 이외에
벨트와 구동장치를 25 % 절감시켰고, 2개의 서모 모터가 드래프트 시스템을
구동시킴
- 코일러용 신형 구동장치는 직선형 벨트로 구성되며, 수명이 연장됨
- 기계 운전시 소음이 적고, 기계의 마모가 낮음

<RSB D 50> 코일러용 서보모터 및 벨트>


<

ㅇ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
- RQM(Rieter Quality Monitor) 을 통해 오토 레블러의 독립 구동이 가능하
며, 캘린더 롤러 및 연조기를 독립적으로 조작하여 슬라이버의 정량을 연
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안정적인 품질 확보 가능
- SPIDERweb 과 결합시키면,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음

<RQM 을 통한 품질 모니터링>

- 53 -
□ RSB-Module 50 (Rieter 사)
ㅇ 소면기와 연동시켜 소면 슬라이버를 즉시 드래프팅 시킴으로써 기존 2~3

회의 연조공정을 생략하거나 단축시킬 수 있는 연조기로 주로 에어젯 또는


로터 정방시 사용함
ㅇ 최대 생산속도 : 900 m/min, 드래프트 방식 : 4/3, 총 드래프트 : 5

ㅇ 비접촉식 스캐닝 시스템을 통해 오토 레블링하며, 캘린더 롤러 전방에 RQM

을 설치하여 슬라이버 정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함

<RSB-Module 50> < 오토레블러의 원리>

□ TD 10 (Trützschler 사)
ㅇ 최대 생산속도 : 1,000 m/min, 드래프트 방식 4/3

ㅇ 경쟁사 대비 방출 슬라이버의 편각을 약 30 % 감소시켜 래핑 현상을 감


소시켰고 고속 방출시에도 섬유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킴

< 슬라이버 이송 각도>

ㅇ 스마트 크릴
- 슬라이버 이송상태를 실시간 감지하여 슬라이버 절단으로 인한 오류 방지
- 오토 레블러 모터와는 별도로, 독립 서보 모터를 장착하여 오토 레블러 모
터가 크릴을 가속시킬 필요 없음

- 54 -
< 슬라이버 감지용 센서> < 스마트 크릴 구동용 서보모터>

ㅇ 오토 레블러 및 오토 드래프트는 기존 모델과 동일


- 공급 슬라이버 모니터링을 위한 Tongue-and-Groove 타입의 센서를 부착
하고 센서 축을 고정하여 흔들림에 의한 오류를 방지했으며, 방출 슬라이
버의 품질 모니터링을 위한 DISC MONITOR 센서를 부착했음
- 공급 슬라이버의 굵기, 공급속도 및 롤러 게이지 등의 변화에 따른 드래
프트 힘을 측정하여 최적 브레이크 드래프트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음

<DISC LEVELLER> <TD 10 오토 레블러 시스템> <DISC MONITOR>

□ IDF 2 사)
(Trützschler

ㅇ 연조공정 단축을 위해 소면기와 연동시킨 에어젯 또는 로터 정방용 오토


레블링 연조기

<IDF 2> 드래프트 시스템>


<

- 55 -
- 최대 생산속도 : 700 m/min, 드래프트 방식 : 2/2, 총 드래프트 : 2

- 공급 및 방출부에 Trützschler 슬라이버 측정 센서를 설치하여 슬라이버를


오토 레블링시킴
- 약 48 % 의 공간 절약 및 사용 캔 감소 효과

< 로터 정방을 위한 IDF 2 활용 예>

< 에어젯 정방을 위한 IDF 2 활용 예>

마. 조방기

Rieter 사, Marzoli 사 및 Electro-Jet 사가 조방기를 전시했다. Riter사는 Electro-Jet

사로부터 OEM 방식으로 조방기를 납품받아 판매하기 때문에 양사 조방기는 동


일한 제품이라 할 수 있으며, Marzoli 사와 Electro-Jet 사 조방기의 가장 큰 차이점
은 로빙 모니터링 및 도핑방식이라 할 수 있다.

□ Roving Frame F 40 (Rieter 사), Electro-Jet 사 OEM

ㅇ F 40 은 완전자동 도핑방식이고, F 20 은 반자동 도핑방식의 조방기임


ㅇ 최대 플라이어 속도 : 1,500 rpm/min, 최대 스핀들 수 추, 도핑시간
: 252 초
: 90

ㅇ 도핑 공정
- F 40 은 도핑 장치가 통합되었으며, 90 초 이내에 도핑이 이루어짐
- 조방기가 정대되면 로빙이 자동으로 절단되고, 보빈 트레이가 조방기 후방
으로 당겨져서, 조방기 내부에서 전체 보빈이 빈 보빈으로 교체됨

- 56 -
- 보빈 트레이가 작업 위치로 복귀하면, 로빙은 빈 튜브에 자동으로 배치되
고 생산이 자동으로 이루어짐

<F 40> < 자동 도핑장치>

ㅇ 로빙 모니터링 시스템
- 높이가 다른 플라이어 트럼펫을 채용하여 플라이어 전 후열의 조사 입사각이
동일하며, 광학식 센서로 로빙의 장력을 모니터링하여 장력을 일정하게 조정함
- 개별 로빙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로빙의 이송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평가 유닛을 통해 스핀들의 이상 유무를 신속하게 파악함
- 옵션으로 제공되는 센서를 추가로 장착하면, 로빙의 절단을 비롯해 가동
중단의 원인도 감지할 수 있음
ㅇ 로빙 성형
- 크라운 형태의 특수 스핀들이 보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회전시킴
- 보빈 성형은 실시간 모니터링되고, 광학 센서가 초기 회 회전 위치에서의
3

장력을 측정하여, 장력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권취 속도를 조정하여 로빙을


균일하고 정밀하게 보빈에 성형시킴

< 로빙 모니터링 시스템> 자동 도핑장치>


<

ㅇ 전자식 드래프트 시스템


- 전자식 드래프트 시스템을 적용하면, 드래프트, 꼬임수 및 기타 조방조건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설정할 수 있음
- 크릴은 슬라이버가 정밀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속도를 조정할 수 있음

- 57 -
□ FT6E/FT6DE, FT7E/FT7DE 조방기 (Mazoli 사)
ㅇ FT6DE, FT7DE 는 완전자동 도핑방식, FT6E, 는 반자동 도핑방식의 조
FT7E

방기임
ㅇ 최대 플라이어 속도 : 1,500 rpm/min, 최대 스핀들 수 : FT6E/FT6DE 240

추, FT7E/FT7DE 192 추, 도핑시간 : 180초


ㅇ 도핑 공정
- 반자동 도핑 : 조방기가 정대되면 보빈 레일이 낮아지고 기울어지게 되어
보빈 수집 및 교체를 용이하게 만들어줌
- 완전자동 도핑 : 조방기가 정대되면 전체 보빈이 도퍼 레일의 운송시스템
으로 인해 수집 및 교체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짐

< 반자동 도핑 방식>

< 완전자동 도핑 방식>

ㅇ 신형 전자장치 적용
- 플라이어, 스핀들 및 보빈레일 구동용 모터 정밀 동기화
- 진동 제거를 통해 고속 및 고품질 로빙 생산
- 부품간 마찰 감소로 인해 낮은 에너지 소비 및 부품 마모 감소
- 전자식 터치스크린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업 효율성 향상

- 58 -
ㅇ 드래프트 시스템
- 드래프트 시스템 : 3/3, 4/4, 실린더 직경 : 27/32 mm 드래프트 비 : 4~20

- 공기압 방식의 웨이팅 암 탑재로, 전체 롤러의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시켜


드래프트가 일정하게 이루어짐
ㅇ 톱 롤러 클리너
- 고무 핀 또는 펠트 소재의 클리너를 사용하며, 3 선식 조방기에는 고무 핀
클리너를, 4 선식 조방기에는 펠트 클리너를 사용함

< 고무 핀 클리너> < 펠트 클리너>

바. 정방기

Toyota 사는 기존 링 방적사와 구조가 동일하면서도 최대 5 만 에서 실을


rpm

제조할 수 있는 신형 정방기를 비밀리에 공개하였고, Saurer 그룹과 LMW 사가


로터 방식의 신형 에어젯 정방기를 전시했으며, Muratec 사는 생산성이 증가된
신형 MVS 정방기를 출품한 반면, Rieter 사는 기존과 동일한 모델의 에어젯 정방
기를 시연 없이 모듈만 2 드럼 전시하였다.
또한 이미 많이 보편화된 컴팩트 정방기의 경우 새로운 방식은 소개되지 않았
지만, Rieter 사에서 자사 제품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그간 단점이었던 컴팩트 전
용 링 정방기를 링 정방기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모듈화 시킨 3 가지 모델의 컴팩
트사 장치를 개발하여 동시에 전시하였다.

바-1. 링 정방기

□ G38 (Rieter 사)
ㅇ 최대 스핀들 속도 : 25,000 RPM, 전자식 드래프트 시스템
ㅇ 최대 추수 : 1,824 추/대(70 mm 게이지), 1,632 추/대(75 mm 게이지)

- 59 -
ㅇ 슬럽사 제조
- 기본 모델에도 VARIOspin 가 통합되어 있어서 슬럽사를 생산할 수 있으
4

며, 정방기 자체 또는 컴퓨터를 통해 슬럽 조건을 설정하고 입력할 수 있음


ㅇ 코어사 및 사이로사 장치는 옵션으로 제공함

<G38> <VARIOspin 4 슬럽 조건>

ㅇ 에너지 효율
- 메인 구동 모터 용량 : 110 kW (1,824 추 기준), 4 스핀들 벨트 드라이브 방식
- 저 에너지 고속 LENA 스핀들을 장착하여 약 4 %의 에너지가 절감되며, 전
체 시스템은 기존 대비 약 45 % 에너지 소비량이 절감됨
- 대의
2 70 watt 용량 서보모터 사용으로, 유압식 시스템 대비 90 % 이상 에
너지가 절감됨

<G38 에너지 소비량 > 에너지 절감형


< 4 스핀들 테입>

ㅇ ISM Premium : 사절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으며, 추별로 사절이 발생하면 램프가 켜지고, 그 이
외에도 정방기 섹션별로 상 하단에 LED 램프가 탑재되어 있어서 설정된
사절수를 초과하면 램프가 켜짐
- 추별로 스핀들 속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설정된 속도 범위를 벗어난
추에 램프가 켜짐

- 60 -
- 옵션으로 권사기와 연동시킬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 실에 결함이 발생하
여 권사기가 ISM 에 신호를 보내면 해당 추에 램프가 켜지고, 로빙 스톱장
치가 로빙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시킴
- 공장 모니터링 시스템인 SPIDERweb 과 연동 가능

ISM 이 없을 때 ISM이 있을 때
<ISM Premium>
<ISM 설치 유무에 따른 작업자의 동선>

□ ROBOSpin (Rieter 사)
ㅇ 세계 최초로 개발된 링 정방기용 오토 피싱장치로, 스플라이싱 방식을 적
용하고 있으며, 신형 및 기존 정방기 모두 설치 가능함
ㅇ ISM 으로부터 사절 정보를 받아서 링 정방기 운전 또는 도핑 중 발생한
사절을 자동으로 이어줌
ㅇ 사절 발생시 자동으로 실 잇기를 진행하므로, 최소 운용 인원으로 최대의
생산효율을 확보할 수 있음

<ROBOspin>

□ COMPACTdrum, COMPACTeasy, COMPACTapron (Rieter 사)


ㅇ Rieter 사에서 처음 공개한 탈부착 가능한 링 정방기용 컴팩트 장치로, 자
세한 기술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음
ㅇ COMPACTdrum 과 COMPACTapron 은 공기식 컴팩트 장치이며, 는
COMPACTeasy

기계식 컴팩트 장치임

- 61 -
<Rieter 사의 신형 컴팩트 장치>

ㅇ COMPACTdrum

- 공기식 컴팩트 정방 시스템


- 탈부착이 용이하고, 모든 품종의 섬유에 적용 가능하며, 사 링 정방
Rieter

기에는 모두 호환됨

<COMPACTdrum>

ㅇ CompactEasy

- 기계식 컴팩트 정방 시스템으로 추가 에너지 소비가 없다는 것이 특징임


- 프런트 톱롤러와 직경이 작은 CompactEasy 롤러를 지지해 주는 로
retainer

구성되고, easy-Spring 이 CompactEasy 롤러를 보텀롤러에 압착시켜주며, 두


개의 톱롤러 사이에는 y-channel 과 Pin 이으로 구성된 Compactor 가 있음
- 가방 번수 범위 : Ne20 ~ 80

<COMPACTeasy>

- 62 -
ㅇ COMPACTapron

- 공기식 컴팩트 정방 시스템


- Rieter 자회사인 Süessen 사에서 개발한 것으로, 3선식 드래프트 방식을 채
용하고 있고, 보텀 롤러 앞부분에 2세대 래티스(lattice) 에이프런이 탑재됨

®
<Süessen 사의 EliTe CompactSet V5> <COMPACTapron>

□ ZR 72XL/ZI 72XL (Saurer 사)


ㅇ ZR 72XL 은 링 정방기이고, ZI 72XL 은 컴팩트 정방기임
ㅇ 최대 스핀들 속도 : 26,000 RPM, 전자식 드래프트 시스템
ㅇ 최대 추수 : 2,016 추/대(68.75 mm 게이지), 1,848 추/대(75 mm 게이지)
ㅇ 여러 대의 모터를 사용하여 하나의 탄젠셜 벨트로 전체 스핀들을 구동시
켜 스핀들간 변동을 최소화시킴
ㅇ 사절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 광학식 ISM( 스핀들 모니터링 시스템)을 사용하여 링과 센서와의 거리를
확장시킴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켰고, 로빙 스톱장치와 연동시키면 사절
을 감지하고 로빙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음
ㅇ OptiSpeed : 지능형 스핀들 속도 제어 시스템
- ISM 과 연동시켜 사절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최적의 스핀들 속도 유지
- 사절한계에 도달할 때까지 스핀들 속도를 증가시키고, 로빙 품질이 저하되
면, 속도를 낮춰 생산성을 증가시킴
- 로빙 스톱장치와 연동
ㅇ 슬럽사 제조
- FancyDraft 를 사용하여 슬럽사를 제조할 수 있음
- 슬럽사 이외에 멀티-카운트 및 멀티-트위스트사도 제조할 수 있고, 슬럽사
인자는 정방기의 터치스크린(EasySpin)에서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컴퓨터
에서 전용 프로그램(FancyDesigner)를 통해 인자를 입력하고 시뮬레이션
할 수도 있으며, USB 를 통해 정방기로 이송시킬 수 있음

- 63 -
<ZI 72XL> <ISM>

ㅇ 컴팩트사 장치 (Impact FX/Impact FX pro)

- Impact FX : 셀프 클리닝이 가능하며, Ne 40 이내의 컴팩트사 제조시 사용


- Impact FX pro

Impact FX 를 개선한 신형 컴팩트 장치로 가방 번수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개발됨
주요특징은 메쉬 에이프런으로, 부정 압력이 가해지는 경사진 메쉬 에이
프런을 통해 섬유를 이송시킴

<Impact FX> <Impact FX pro>

바-2. 로터 정방기

□ R 70 (Rieter사)
ㅇ 신형 로터 정방기로 로터 속도, 얀 피싱원리, 최대 추수 등에 대한 정확한
사양은 공개되지 않았음
ㅇ 기존 오토 피싱 장치인 AEROpiecing 이 Saurer사 로터 정방기처럼 정방기
에 내장되었으며, AEROpiecing 위치에 자동 콘 및 튜브 교체, 로터 클리닝
장치로 대체됨
ㅇ생산성

- 추별 구동장치를 개선하여 스피닝박스의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생산성은


증가되고, 원료 및 에너지 소비는 절감됨
- 기존 R66 대비 사 강력이 증가되었고, 생산성이 최대 7 % 까지 증가됨

- 64 -
< R 70> <R66/R70 사강력 비교>

ㅇ 로트 변경
- 로트 변경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원사가 목표 길이에 도달하면 풀
콘은 새로운 색상의 빈 튜브로 자동 교체되고 방적조건이 상이한 새로운
로트의 원사를 즉시 생산할 수 있음
- 생산 손실을 최소화 시키고, 연간 생산량을 약 2 % 까지 증가시킬 수 있음.
ㅇ VARIOLOT : 정방기 한쪽 면에서 2로트의 원사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기능
- 정방기 한쪽 면에 독립 튜브 로더, 패키지 컨베이어 벨트 및 패키지 리프
트로 구성된 VARIOLOT 2× 1 이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으며, 옵션으로 양면
에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음(VARIOLOT 2×2)

<VARIOLOT 2×2>

ㅇ차별화 기술
- TWISTunit 및 self-centering : 노즐 및 로터의 정확한 위치 선정 기술
- Cool-Nozzle : 노즐을 최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기술
- CHANNELinsert/SPEEDpass : 섬유 이송 최적화 기술
ㅇ R 86 사양 (기존 모델)
- 최대 로터속도 : 175,000 rpm, 최대 방출속도 : 350 m/min

- 가방 번수범위 : Ne 3 ~ 60, 최대 로터수 : 700 로터

- 65 -
□ Autocoro (Saurer 사)
ㅇ 신형 로터 정방기로 로터 속도, 얀 피싱원리, 최대 추수 등에 대한 정확한
사양은 공개되지 않았음
ㅇ 신형 Autocoro 는 3세대 로터 정방기로, 기존 오토 피싱 장치인 DIGIpiecing

과 와인딩 기술인 DIGIwinding 이 탑재됨


ㅇ 오토 피싱 공정
- 최대 36 로터에서 실 잇기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서, 기존 대비
50 % 이상 성능이 향상됨
ㅇ 생산성
- TurboStart 기능이 탑재되어, 정방기의 길이와 상관없이 10 분 이내에 최대
생산 속도에 도달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됨
- 최대 8 개의 도퍼(DCUs)를 장착할 수 있어서 기존 대비 최대 5 % 이상 생
산성이 향상됨
ㅇ 세계 최초로 슬라이버 자동 이음 장치도 현재 개발 중임
ㅇ 정방기 모니터링 시스템
- 정방기 전방에 LED 스트립을 탑재하여 빈 캔 또는 생산성 감소시 램프
색상이 변경되게 함으로써, 최대 3 % 까지 작업 효율이 증가됨
- 각 로터별로 탑재된 램프를 통해 정방기 상태 및 결함에 대한 정보를 얻
을 수 있음
ㅇ Autocoro 9 사양 (기존 모델)
- 최대 로터속도 : 180,000 rpm, 최대 방출속도 : 300 m/min

- 가방 번수범위 : Ne 3.5 ~ 60, 최대 로터수 : 576 로터

< 신형 Autocoro>

- 66 -
바-3. 에어젯 정방기

□ VORTEX 870 EX (Muratec 사)


ㅇ 모터의 개선, 사이클 시간의 단축 및 장치별 처리량 향상을 통해 생산속도
를 기존 대비 약 10 % 증가시켰으며, 방적 가능한 소재의 범위도 확대함
ㅇ 최대 생산속도 : 550 m/min (VORTEX Ⅲ 870 : 500 m/min)

ㅇ 최대 드럼수 : 96 드럼, 번수 범위 : Ne 10 ~ 80

<VORTEX 870 EX> < 원료 및 가방 번수범위>

ㅇ EX 향상 기술
- 스플라이서 캐리지 : 87C EX

사이클 시간을 단축시켜 스플라이싱 성능을 향상시킴


사이클 시간 : 8.5 초, 스플라이싱 회수 : 120 회/시간
- 오토 도퍼 : 87D EX

도핑 성능을 향상시켜 Ne 10 의 경우에도 450 m/min 로 의 콘 제조 가능


2 kg

<87C EX> <87D EX>

- 67 -
□ Autoairo (Saurer 사)
ㅇ Saurer 사에서 처음 개발하여 공개한 에어젯 정방기로, 로터 정방기에 탑재된
다양한 장치 및 기술들이 접목되어 있으며, 정확한 사양은 공개되지 않았음

<Autoairo>

ㅇ SynchroPiecing 24 : 오토 피싱 장치
- 추별 독립 구동 방식으로, 오토 피싱 장치인 이 탑재됨
DIGIpiecing

- 최대 24 드럼에서 실 잇기 공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어서, 기존 모델 대


비 실 잇기 성능이 약 2 배 향상됨
ㅇ TurboStart

- 다른 에어젯 정방기 대비 최고 속도 도달 시간이 빠르며, SynchroPiecing

24 로 인해 최소 30 % 까지 가동시간이 단축됨
ㅇ 설치 및 작업 공간 : 양면 정방방식으로, 한면 정방방식 대비 약 40 % 공
간을 절약할 수 있고, 기계 설치 시간 및 비용이 감소됨
ㅇ 사 품질
- DIGIpiecing( 오토 피싱 장치), Airolab( 얀 클리어러) 및 DIGIWing FX( 와인
딩 기술)이 탑재되어 있어서 사 품질 우수
ㅇ MultiLot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서, 1대의 정방기에서 4로트의 실을 동시에 생
산할 수 있으며, 정방기 상태 및 캔 모니터링 시스템인 LED 스트립이 탑재됨
ㅇ Sense : 방적공장 관리 시스템
- 전체 방적공장에 대한 생산, 품질 및 기계 데이터를 수집, 분류 및 시각화함
- 원료, 시간, 인력, 에너지 및 자본투자 등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

- 68 -
추별 독립구동>
< < 에어젯 정방기별 가동시간 비교>

□ LJS 9 (LMW 사)
ㅇ Lakshmi 사에서 처음 개발하여 공개한 에어젯 정방기로, 전시회 현장에서
만 공개했을 뿐 정확한 사양은 공개되지 않았음

<LJS(Lakshmi Jet Spinning) 9>

ㅇ 최대 딜리버리 속도 : 550 m/min, 최대 드럼수 : 200 드럼


ㅇ 4/4 드래프트팅 방식 : 스프링 압력방식, 정방 유닛별 독립 구동방식
ㅇ Robotic 오토 도핑 장치가 탑재되어 있고, 동일 정방기에서 다양한 번수
의 실을 생산할 수 있음

사. 권사기

권사기는 Muratec 사가 기존 QPRO Plus 대비 생산성은 동일하지만, 에너지 소


비를 약 5 % 절감시키고 일부 성능을 향상시킨 QPRO 를 전시했으며,
EX Saurer

사는 RFID 기술을 적용하여 사 품질 및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한 신형


Autoconer 를 전시하였다.

- 69 -
□ QPRO EX (Muratec 사)
ㅇ QPRO 는 High Quality, High Productivity, Energy Reduction 및 Easy Operation

의 약자임
ㅇ 최대 권사 속도 : 2,200 m/min (QPRO Plus 와 동일), 개별 구동방식
ㅇ PC Sensor, PC Tensor 및 PC Bal-Con 으로 구성된 각각의 PC 모듈을 통
해 보빈부터 콘까지의 사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킴
ㅇ PLC21 : 비접촉식 광학 센서로 콘에 권취된 실의 길이를 정확히 측정함
- 입력값 대비 콘에 감긴 실 길이 편차 : ±0.3 %

<PC 모듈> <PC 모듈 사용여부별 장력 비교>

ㅇ Traverse Sensor : 실시간 얀 트래버스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트래버스 상


태가 불균일할시 유닛을 정대시킴
ㅇ Plus Run System

- 풀 보빈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고 빈 보빈을 제거함으로써 정방기 도핑중에


도 연속적으로 와인딩함
ㅇ S-Feed Control : 새로 개발된 시스템으로, 풀 보빈 중 필요한 양만 회전
시킴으로써 보빈 이송을 최적화시킴

<Plus Run System> <S-Feed Control>

- 70 -
ㅇ VOS Ⅲ(Visual On Demand System) : 운전, 품질 및 보전 종합관리시스템
ㅇ MSS 통합 고객 지원 서비스와 연동시켜, 운전 정보, 트러블 슈팅, 작업
:

리스트, 알람 코드 설명, 기계 매뉴얼, 파트 조회 가능

□ Autoconer (Saurer 사)
ㅇ 최대 권사 속도 : 2,200개별 구동방식
m/min,

ㅇ Bobbin Cloud : 4차 산업혁명 대응 원료 이송 시스템

- Autoconer 에는 RFID 기술이 기본으로 탑재되었고, RFID 칩 제어를 위해


가 적용됨
SmartTrays

- 분산된 설계, 지능형 벨트 이송시스템 및 모든 보빈 및 튜브에 RFID 제어


기능을 갖춤
- 권사 유닛은 Bobbin Cloud 로부터 보빈을 공급받으며, 연속적으로 와인딩
공정이 이루어짐
- SmartTrays 가 RFID 제어 하에 보빈을 집계하여 권사 유닛으로 이송시키
기 때문에 분류 저장라인 및 경로 변동이 불필요함

<Autoconer> <RFID 가 탑재된 보빈>

ㅇ SPID(Spindle Identification Syatem) : 스핀들 인식 시스템


- 모든 보빈의 품질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기록하고, 이번수와 같이 결함이
발생한 보빈은 자동으로 제거됨
ㅇ SmartSplicer

- SmartSplicer, SmartSplicer Injection, SmartSplicer Thermo, SmartSplicer

Elasto 와 같이 원사 품종에 따라서 다양한 성능의 스플라이서를 제공함

<SmartSplicer> <SmartSplicer Thermo> <SmartSplicer Elasto>

- 71 -
3. 결론

2010 년 이후, 방적설비는 IT 기술을 비롯해 정밀 기계 및 전기/전자기술의 급


속한 발전을 토대로, 방적공정별 생산성 및 품질, 운전 및 보전작업, 품질관리,
에너지 절감, 특수사 제조용 설비 등에도 다양한 첨단 기능들이 추가되고 성능
이 향상되는 등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에 ITMA 2015 에서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계의 고속화, 품질 향상을 위한


기계의 정밀화, IT 기술을 이용한 공정 모니터링 및 자동제어, 공정별 에너지 절
감 등의 기술들이 융합된 기계들이 주류를 이루었고, 특수사 장치로는 컴팩트사,
인젝션얀, 모자이크얀 및 코어사 제조장치 등이 다수 전시되어 주목을 받았었다.

금번 ITMA 2019 에서도 전반적인 개발방향은 유사하였지만, 최근 산업 전 분


야에서 4 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첨단 기술들의 발전으로, 섬유기계분야에서도
ITMA 2015 에서 소개되었던 기계들에 비해 더욱 정밀화 및 고속화되었으며, 모
바일 기기와 연동된 자동화 및 모니터링 기술들도 크게 향상되었다.

다만, ITMA 유럽 전시회가 4 년 주기로 개최되다보니, 기계 메이커들이 자사


기술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경쟁업체들 사이에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첨단 기
능이 탑재된 설비들을 다수 전시하긴 했지만, 아직 공장 실험이 미진한 부분들
이 많아서 기계 사양에 대한 상세 자료 제시가 미흡한 부분들이 많았다.

예를 들어 Toyota 사에서는 기존 링 정방기와 구조는 유사하면서, 일부 사 물


성이 더 우수하고 50,000 rpm 에서도 제조 가능한 혁신 정방기를 전시했지만, 아
직 미완성 단계로 일반인에게는 공개하지 않았으며, 상용화 단계까지는 적어도
2~3 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측된다.

그 외에 Rieter 사를 비롯해 Trützschler 사 및 Saurer 사 등도 베일오프너, 소면


기, 연조기, 컴팩트, 로터 및 에어젯정방기 등 방적설비 전 분야에 걸쳐 다양한
혁신 기술들이 융합된 최신 기계들을 전시하였으나, 대부분 전반적인 소개 자료
만 있을 뿐 기계 사양에 대한 정확한 기술자료는 공개하지 않았다.

특수사 장치의 경우 ITMA 2015 에서는 Toyota 사의 인젝션 및 모자이크얀 장


치를 비롯한 다양한 기계들이 소개된 반면, 금번 전시회에서는 Rieter 사의 컴팩
트사 장치 이외에는 별다른 이슈가 없었다.

- 72 -
또한 중국업체의 경우 ITMA 유럽전시회와는 별도로 2 년 주기로 중국 상해에
서 ITMA ASIA+CITME 전시회를 개최하므로, 금번 전시회에서는 CHTC 그룹과
H-Fang 사를 비롯해 일부 업체만 전시에 참가했을 뿐, 유럽 메이커에 비해 특별
한 첨단 기술들은 제시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이 금번 ITMA 2019 전시회에서는 급격한 세계시장 및 산업 변화,


첨단 IT 및 기계, 전기/전자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섬유기계들도 기존 대비 품질
은 더욱 향상되고, 최적의 에너지 소비로 안정적이면서도 고속 생산이 가능하도
록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IT 및 정밀 자동화 기능을 융합시켜 기존에는
인력소모가 많고, 기술자의 know-how 에 따라서 운영되었던 기계들을 정밀 자동
화시켜 최소 인력으로 최적의 방적설비를 운영, 보전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전반
적으로 시스템을 첨단화시키고 있다.

다만 국내 면방적산업은 상기와 같은 첨단 방적설비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


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및 인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지역의 방적시장 확장
으로 인해 점차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으며, 일부 업체를 제외하고는 당장 신규
투자가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이어서 향후 장기적인 측면에서 볼 때 이에 대한
대응방안도 모색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면방업체가 생존 및 회생하기 위해서는 당장은 상기


첨단설비들을 도입할 상황이 아니더라도 방적설비들이 어떠한 방향으로 개발되
고 있고, 어느 지역으로 판매되고 있는지는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더 나아가 국내 실정에 맞게 일부 필요한 설비들만 도입한다거나 또는
벤치마킹하여 국내기술로 응용 개발 및 특화시킴으로써 국내 면방업체의 경쟁력
강화에도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최신 설비들을 활용하여 대량 물량으로 공세하면서 사 품


질 또한 점차 향상되고 있는 중국 및 인도 제품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국내만
의 특화된 방적기술을 토대로, 고속생산 또는 최신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
품질을 유지 또는 향상시킨다거나, 다양한 소재, 방적기술 또는 장치를 활용한
다양한 중저가 및 고부가가치의 신소재/신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 73 -
방사, 사가공

정재훈 센터장(한국섬유개발연구원)

1. 서론

가. 개요

□ 합섬섬유 방사기 관련 분야에서는 전회 대비 혁신적인 기술은 보이지 않


았지만 에너지 효율, 생산성향상, 경제성, 자동화, 사용자의 편리성 등의
컨셉을 토대로 기계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었음

□ 사가공 관련 분야에서의 주요 키워드는 고속화 , 모듈화, 일체화 및 자동화


이었으며 또한 대표적인 Texturing 공정인 가연 분야에서는 세섬 고속화,
차별적 가연 유니트 조합을 통한 후공정 응용 전개성 확대 컨셉의 기술 진
전이 MURATA, TMT 사를 중심으로 전시되고 있었으며 그 외 TWISTING,

COVERING, WINDING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설비가 전시되고 있었음

□ 특히 독일의 Oerlikon( 구 Barmag) 및 일본의 TMT 가 방사 및 사가공기의


기술적인 혁신을 선도하고 있었지만 중국 및 인도의 기계메이커에서도 상
업화 가능한 성능을 부각시키며 의류용 및 산업용의 다양한 방사기 및 사
가공기들을 전시하고 있었음

□ SPINNING HALL 관의 주요 전시내용들은 전통적인 합섬 방사 설비 보다


는 천연/재생섬유를 중심으로 하는 화이버, 부직포 관련된 혁신 설비들이
대부분 이었으며 특히 최근 Plastic Out 기류와 발 맞추어 리싸이클링 소
재에 대한 적합성과 응용분야에 대한 설비 전시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음

- 74 -
나. 주요 업체
국가명 업체명 아이템 전시 특징
- 12end Compact Godet R/O 방식
eco, e-save 컨셉 설비 전시
Fiber - 24end WINGS-6 Winder

독일 Oerlikon Spinning . Ny6 FDY

BCF - BCF-S8 700fila/end(2.5dpf)

. 2003 년 BCF S5(300fila, 9dpf)

. 2010 년 BCF S+(400fila, 5dpf).

- 12end/pos’n ORCA Winder

. Compact GR system
일본 TMT Spinning
. max 15kg(Ny6 9kg)

- 32end/pos’n MANTA

Fiber 용 방사설비제조
- Pilot/Lab
영국 FET
Spinning - 모노필라멘트, 멀티필라멘트
대만 PLASCO Spinning - Blown film, 모노필라멘트, Band 방사
중소형 복합 방사설비

-
독일 FOURNE Spinning
max 420 용융, 멀티,모노 및 BCF

- LEESONA 861 Winder

. Wind Ratio Control 컨셉의 태섬


Winding
미국 LEESONA 산자용 와인더
system
. max speed 1,000mpm

. max diameter 343mm

- 다양한 소재와 형상의 산자용


Winding 와인딩 시스템 및 코팅사 제조
독일 SAHM system, . Carbon fiber, Pan precusor

Coating yarn, prepreg tape, adhesive

tape 등
- M250 new-20

Winding 전용, 6~20end


. Spandex
이태리 COMOLI
system - 의류 및 산업용, BCF, Acetate
. max 16kg, 2,500de

BMK - 의류 및 산업용 다양한 구금 디자인


터키 Spinneret
BIRLIK 제작
Metering - 의류 및 산업용 다양한 메터링 펌프
이태리 IMA
pump 설계 제작
Advantage Spinneret - ASI-6050 구금 검사, 세정 설비
대만
Scientific Inspection . 초정밀 Laser focus, Auto cleanning

이태리 DOTECO Dosing sys - max 6 종 폴리머 연속 도징 설비


Filteration, - 연속 필터링 시스템
독일 GNEUSS
Extruding - 무건조 압출, 리싸이클링, 점도제어

- 75 -
국가명 업체명 아이템 전시 특징
- REIKA-Ny 120pos’n/台

. 균일 오일링 부착장치
가연방향 다변화를 통한 잔유

.

일본 TMT Texturing 토르크 제어(3축 5축disk)

- WINDING MASTER

. 사종제한없이 균일한 장력 및
권폼 제어 가능한 권취기

- AT-501 series ATY, 에어커버링


- TH series DTY(spindle type)

일본 AIKI Texturing - 분권기


KA 532,524

- APW PAN계 권취기

- ASFW 카본계 권취기

- eFK-PA 240pos’n/台

. Span 공급장치 부착 가능
독일 Oerlikon Texturing - eAFK-Evo 384pos’n/台

. Low hight Creel 로 실걸이


편의성 증대

- 사가공설비
DTY, ATY
: Dye Package/Rewinding
스위스 SSM DWY,
: Draw winding, Air Texturing
Air Covering
: Air Covering / Intermingling

중국 Hongyuan Texturing - HY-7 288pos’n/台 가연기

인도 Himson Texturing - HSS-AXR-NY 240pos’n/台

Twisting
- Tire cord 등 산업용 원사
독일 Oerikon Saurer doubling
twisting & doubling
machine

- Spinning, Air texturing, Draw


스위스 Heberein Interlace Nozzle
texturing 특화 노즐

- Spinning, Air texturing, Draw


일본 AWA Interlace Nozzle
texturing 특화 노즐

이태리 Comoli Drawing - 열연신복합기

- 76 -
2. 개발동향

가. 방사부문

□ Oerlikon( 독일)

ㅇ WINGS-6 Winder

- PET, Ny6, High multi, POY, HOY 등 다양한 적용분야


- max 24end 까지 확장가동 가능

- max 24end 까지 확장 가능
- Godet R/O 부의 완벽한 보온, 안정스러운 S형 진입사도와 근거리 사도에 의한
정교한 연신
- Godet Box 내 자연스러운 Air flow 및 효율적 Venting

- Godet R/O~Winder 간 Linear yarn path 구조에 의한 교락 및 실걸이 효율성 증대

- 77 -
ㅇ BCF-S8 system

- max 3 종의 이색 소재를 동시 복합방사 가능


- 통상적인 BCF 소재 dpf 대비 세섬화 가능(9dpf → 2.5dpf)

- 78 -
□ TMT( 일본)

ㅇ ORCA Winder

- 통상의 방사 사도 대비 Top-Down Linear 사도 및 Tilting 가능한 Godet

R/O 부로 인해 max 12end 까지 확장 가능

< 생산성 증대>


. 최대 12end, 15kg권량(Ny6 9kg) < 균일하고 안정스러운 권폼>

< 설치공간의 효율성 증대> <Compact GR system>

- 79 -
ㅇ eco 방사 system

- 에너지 절감형 보온마감재, IQC 퀀칭 적용, eco-ORCA 형 와인더 적용에


의한 Work load 축소, 고생산성(15kg x 12end) 및 최소 가동인력

- 80 -
ㅇ 산자용 방사 system

- PET 고강력, 저수축, 초저수축물성 특성의 250~3,000de 방사설비,


Winding speed 2,500~4,000mpm

- Ny6 고강력 물성 특성의 420~1,260de 방사설비, Winding speed

3,000~7,000mpm

- 81 -
ㅇ MANTA system

- 통상의 방사 사도 대비 Top-Down Linear 사도 및 Tilting 가능한 Godet

R/O 부로 인해 max 32end 까지 확장 가능


- max 167dtex 까지 생산 가능
- 8kg, max 32end 확장 가능(기존 설비 대비 30% 의 생산성 증대)
- 쾌적한 작업환경, 소음방지, 작업Load 감소
- 기존 대비 25% 의 에너지 비용 절감 가능

- 82 -
□ FET(Fiber Extrusion Technology, 영국)

ㅇ The FET-100 Series

- 하나의 압출 unit 만으로 multifilament, nonwoven, 개 공정


monofilament 3

조합변환 가동 가능

- 83 -
□ PLASCO( 대만)

ㅇ JC-3CX

- 멀티 레이어 Co-Ex blown film 방사 설비


- 주요소재 LDPE/LLDPE/HDPE/EVA/PP

- 압출기 사양 50/55/50mm , 75/90/75mm

- 압출 용량 220 ~ 550kg/hrs

- Film 두께 0.02 ~ 0.25mm

- 84 -
ㅇ JC-MNP

- HDPE/PP 모노필라멘트 설비
- 소재 HDPE/PP

- 압출기 사양 55 ~ 100mm, 55 ~ 240kg/hrs

- 모노필라멘트 직경 0.15 ~ 1.0mm

ㅇ JC-MNN

- Ny/PET 모노필라멘트 설비
- 소재 Ny/PET

- 압출기 사양 50 ~ 80mm, 35 ~ 120kg/hrs

- 모노필라멘트 직경 0.08 ~ 4.0mm

* 태, 세섬도 모노필라멘트(단독 및 복합), Crimped 모노필라멘트 생산 가능


(추후 기술적 Co-work 필요)

- 85 -
□ FOURNE( 독일)

ㅇ Lab-Scale 급 복합 방사 system

- 통상의 방사소재에 대한 섬유상 구현 여부 확인 용도로 활용


- 조업성 사전 확인 용도로 활용
- 소량 간이 시제품 생산 용도로 활용
- 신규 소재에 대한 특성 분석 용도로 활용

ㅇ Pilot 급 복합 방사 system

- 복합방사 가능성 확인 용도로 활용(액상, 고상 소재 Dosing 가능)


- 전기히팅 350 ℃ 또는 420 ℃ 승온 가능
- 다양한 선속 제어로 UDY, POY, FDY, BCF 및 모노필라멘트 가능

- 86 -
□ LEESONA Winder( 미국)

ㅇ LEESONA 861 Winder

- 권취 장력 제어 컨셉의 태섬도 산자용 섬유 Winder

- max speed 1,000mpm

- max package diameter 343mm

PAN 프리커서 yarn 500kg 점보 와인더 점착성 tape, prepreg tape 와인더

carbon fiber 와인더-2cop 다양한 권폭 제어가능한 tape 와인더

- 87 -
□ SHAM Winder( 독일)

ㅇ YARN STAR3+

- Single end Pilot 급 yarn 코팅 설비, 정확한 정심 제어


- max speed 1,500mpm

< PET core + 코팅


PVC 0.50mm >

- 88 -
□ COMOLI Winding system( 이태리)

ㅇ M250 new-20

- 6, 8, 12, 16 또는 20end 의 spandex 전용 와인더

ㅇ M300

- 고강력사, High Bulked yarn 및 Spandex diaper yarn 전용

- 89 -
□ BMK BIRLIK( 터키)

ㅇ 의류 및 산업용 다양한 구금, 분배판, pump 류 설계 및 제작

- 90 -
□ IMA( 이태리)

ㅇ 의류 및 산업용 다양한 metering pump 류 설계 및 제작


- max 5,000poise 점도 인내, 0.3~5.0cc/rev, 300bar

- 91 -
□ Advantage Scientific( 대만)

ㅇ 초정밀 Laser Inspection 및 Automatic cleanning 구금 검사 장치


- 800,000 화소 정밀 카메라 장착
- 0.02 ~ 5mm hole size 및 다양한 형상 인지
- 최대, 최소 직경, 면적, 형상, 둘레 측정 가능

<Spinneret placing> <Parameter setting>

<Automatic focus & cleanning> <Automatic inspection & judgment>

- 92 -
□ DOTECO( 이태리)

ㅇ max 8 종 Chip 의 정밀 계량, 연속공급 Dosing system

- 이중 Hopper 및 진공 Loading system

- Base chip 대비 중량비로 screwing 연속공급


- PLC, HML program control

- 93 -
□ GNEUSS( 독일)

ㅇ GPU(Gneuss Processing Unit) 설비 활용 다양한 형태의 부산물을 소재로


재활용하여 압출하면서 직접 방사 또는 side feeing 가능
- 재활용(압출, 방사) 가능소재
⋅ 방사유제 또는 다른 오염물이 뭍은 섬유 부산물 및 고수분 상태의 부산
물까지 재활용 가능
- 선택사양으로 IV boost unit 을 활용하여 안정적인 점도 제어 가능

ㅇ MRS extrusion 설비 활용 Bottle to Bottle recycling 가능


- GNEUSS 의 독자 기술인 MRS extrusion unit 을 활용하여 전처리 없이
PET bottle flake 그대로 압출, 용융이 가능

- 94 -
ㅇ MRS extrusion

- 압출기내 다축 압출기가 추가 장착되어있어 단위 압출능력 향상


- 스크류 직경 35, 50, 70, 90, 110, 130, 160, 200mm

- 단위 토출량 35, 80, 200, 450, 700, 1000, 1400, 2000kg/hrs(PET 기준)

- 95 -
- 구간별(Feeding, multi rotation, discharge) 스크류 형상

- multi screw 의 다양한 spec 으로 압출능력 & 효율 향상

ㅇ Online-Viscometer-VIS

- metering pumping 부에서 소량의 폴리머를 채취, 2 개소의 초정밀


센서로 용융온도 및 압력을 감지하여 점도와 응력을 실시간으로
자동 계산 가능

- 96 -
ㅇ Rotary Filteration system

- 면실링 형태의 filtering box 사이에 rotary type 의 filter screen 이 장착되어
있으며 1~2 도 정도씩 미세하게 회전하면서 폴리머내 응집된 미세 gel형상
의 이물질을 filtering

- filter screen 에 미세 gel 형상의 이물질이 적층되면서 미세한 압력 변화가


발생되며, 이러한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filter screen 이 회전하면서
filtering 시행

< rotary type filter disk >

- 97 -
나. 사가공부문

□ TMT( 일본)

ㅇ ATF-21 Draw texturing machine 240pos’n

- 다양한 yarn path M-type, V-type, T-type

- IAD(Individual Auto Doffing) Take off system 장착


- 짧은 가연구간, 최적화된 yarn path(T-shape)

- Quattronnip twister 또는 friction twister

- TCS-2(new tension control & monitoring)

[ M-type ]

[ T-type ] . 비접촉식히터, Suction cooling plate

[ V-type ]

- 98 -
- ATF-21 TCS-2

⋅ 실시간 장력 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
⋅ 생산제품 이력 품질등급 분석 가능, ,

⋅ Hosting 구축을 통한
network e-Control 관리 가능

ㅇ ATF-1500 FOUR

- 384pos’n, max 1,350mpm

- T-type compact yarn path

- Friction twist

- 99 -
ㅇ ATF-1500 FV-SZ

- 288pos’n, max 1,350mpm

- V-type yarn path

- Double Friction twist(S+S, S+Z, Z+Z 2ply)

* Twin-PAC system 적용을 통한 대량 생산화 구현

* HTP & SCP + Shorten twist zone 적용을 통한 고속화 구현

⋅ HTP: High Temperature Short Heater) 비접촉식, 지그재그형 가이드,


통상 히팅구간 2.5m → 1m

⋅ SCP: Suction Cooling Plate

⋅ Shorten twist zone: 통상 가연구간 5m → 3m 직선구간으로 설계하여


저장력(마찰계수 최소화)

- 100 -
□ AIKI( 일본)

ㅇ AT-500 series

- 다양한 섬도, slub, max 240pos’n, Auto doffing unit 장착


AT-501 AT-501
구분 ATS-600 AT-501A AT-501B AT-501C
EⅫ HDⅡ

pos’n max 240 max 240 max 240 max 240 max 240 max 48

de range 30~600 30~600 30~600 30~600 30~600 30~3,000

max max max max max max


speed
800mpm 800mpm 800mpm 800mpm 800mpm 1,000mpm

- 101 -
ㅇ TH series

- 다양한 섬도, slub, span feeding, Auto doffing unit 장착


- magnet spindle/spinner 활용 Texturing

TH-631
구분 TH-431 TH-432 TH-831 TH-832 TH-211B
/632
pos’n max 288 max 288 max 288 max 288 max 288 max 240

de range 30~600 30~600 30~300 30~300 30~600 30~400


max max max max max max
speed
400mpm 400mpm 600mpm 800mpm 800mpm 180mpm

- 102 -
ㅇ AT-501 RWSI

- span+ Ny6, 등
PET Air covering

ㅇ KA-524 & 532OF

- Split monofilament(Mother yarn) Ny6, 등 분권


PET

ㅇ APG series

- 열가소/열경화성 수지활용 Prepreg UD

- 103 -
□ Orelikon( 독일)

ㅇ eFK-PA

- V-type or M-type, max 480pos’n, max speed 1,200mpm

- multi spindle, double heater, 10section 으로 480pos’n 구현

ㅇ eAFK-Evo

- 최신 개발 사양으로서 타사 copy 방지를 위해 밀실에서 전시


- 4.7m 높이임에도 불구하고 4deck take-up unit 으로 구축되어 있어 384pos’n

의 대량 동시생산 가능
- 30cm 의 혁신적 evo cooling system 에 의해 타 기대 대비 10~20% 이상의
생산속도 증가 및 25% 의 에너지 절감 가능
- 2018 년 10 월 pilot 가동

- 104 -
□ SSM( 스위스)

ㅇ 다양한 시장요구 충족을 위한 dye package/rewinding

구분 pos’n speed 사종 figure

staple,

monofilamen
max
XENO-YW 5~80 t,
2,500mpm
textured

yarn

staple,
max
XENO-FW 6~120 textured
1,500mpm
yarn

max
XENO-BW 6~120 staple
1,600mpm

max
XENO-PB 6~120 staple
2,600mpm

max staple,
DURO-TW 2~40
1,500mpm filament

max staple,
TWX-W 6~120
1,200mpm filament

textured, flat

max filaments,
PWX-W 6~96
1,200mpm elastic yarns,

silk

max elastic
PXW-CTM 4~40
1,500mpm filament

- 105 -
ㅇ Air Texturing

구분 pos’n speed 사종 figure

PET,Ny6,

max PP,PBT,PTT
DP5-T 5~40
1,500mpm ,Glass

POY, FDY 등

PET, Ny6,
max
TG2-AT 24~288 PP POY,
800mpm
FDY

PET, Ny6,
max
TG1-AT 24~288 PP POY,
800mpm
FDY

ㅇ Draw Texturing (False twist)

- TG2-FT: max 7dtex 세섬 가연 가능


- TG30-ETC: DTY + Air texturing + double slub 동시 가능
- TG.30 AE/AEM: DTY + Air covering(span) 동시 가능

구분 pos’n speed 사종 figure

max PET,Ny6,
TG2-FT 24~288
900mpm PP POY

PET, Ny6,
max
TG30-ETC 8~80 PP POY,
1,100mpm
FDY

PET, Ny6,
max
TG.30 AE/AEM 12~168 PP POY,
1,100mpm
PU

- 106 -
ㅇ Draw Winding

- DP5-S POY: 모든 사종의 POY, 열연신


FDY

- DP5-S: 열셋팅기(제봉사등)

구분 pos’n speed 사종 figure

POY, FDY
max
XENO-YD 5~40 1,000dtex
1,500mpm
Ny6 330dtex

max PET, Ny6,


DP5-S 8~80
1,500mpm 50~2,500dtex

ㅇ 다양한 시장요구 충족을 위한 합사기


- XENO-YD/FD: 천연/합섬 전사종의 합사 가능
- DURO-TD: max 50,000dtx 태섬 합사 가능

구분 pos’n speed 사종 figure

staple, mono

max filament,
XENO-YD 5~80
2,500mpm textured

yarn

staple,
max
XENO-FD 5~80 textured
1,500mpm
yarn

all

staple,
max
DURO-TD 2~40 filament
1,500mpm
(max

50,000dtex)

- 107 -
ㅇ Yarn singeing machine

- 면, 레이온 또는 방적사 표면잔털 제거 가능

구분 pos’n speed 사종 figure

cotton,

rayon staple

max fibre yarns,


GSX3-E 12~84
1,500mpm blends and

other spun

yarns

cotton,

rayon staple

max fibre yarns,


GSX3-GD 12~84
1,500mpm blends and

other spun

yarns

- 108 -
ㅇ Sewing thread machine

- DP5-S POY: 모든 사종의 POY, FDY 열연신


구분 pos’n speed 사종 figure

max bonded
TK2-20 KTE 5~40
1,200mpm filament 류

ㅇ Covering machine

- 모든 사종의 single 또는 double covering

⋅ Spindle speed: 25,000rpm

⋅ core: Elastic, rubber, textured yarn, rigid yarn (others)

⋅ cover: flat or textured PA, PES, wool, cotton, metallic yarn

구분 pos’n speed TM figure

FM1 5~40 max 40mpm 200~2,500

□ HONGYUAN( 중국)

ㅇ HY-7 Draw texturing machine

- V-type 사도, single disk 및 double disk 장착


- max speed 1,000mpm

- 288pos’n/台

- 중국 자체 개발 가연기로서 특별한 기술적 유닛은 없음

- 109 -
□ HIMSON( 인도)

ㅇ HSS-AXR-NY Draw texturing machine

- V-type 사도, 세라믹 working disk 장착


- max speed 1,000mpm

- 인도 자체 개발 가연기로서 특별한 기술적 유닛은 없음

- 110 -
□ OERLIKON( 독일)

ㅇ Allma TCS(Twisting & doubling machine)

- Tire cord 등 산업용 원사의 twisting & doubling

- 적용가능 섬도 : 235~45,000dtex

- PA, PES, PP, CV, AR 의 twisting & doubling

- Spindle rpm : 2,000~11,000rpm

- 사속 : 30~350m/min 의 비교적 고속생산


- 연사범위 : 18~733T/M 으로 태섬도 산업용 원사의 wisting & doubling

- 추별 별도의 작업조건 설정가능


- 고속생산능력과 작업조건의 유연성 확보
- 다기능성과 함께 광범위한 섬도범위에 적용가능
- Doubling 장치와 함께 비대칭 사공급 장치와 다중설계 기술적용
- 최상의 경제적 효율성과 cutting edge 의 품질양호

- 111 -
□ HEBREIN( 스위스)

ㅇ 다양한 사종, 공정별 Air Nozzle

- 고속 사가공 공정에 최적화 설계(max 1,200mpm)

- single 섬도로 0.5dtex 부터 교락 가능


- tight loop, more volume 등 다양한 표면 형상과 질감 부여 가능

구분 공정 특성 figure

사속 1,200mpm 에도 적용
Slide Jet-FT15-2 DTY
가능한 인터밍글링

Poly Jet-SP-3-HP SPIN max 1,500mpm

60dtex~max 3,500dtex
TEX Jet-ATY ATY
까지 ATY 가능

□ AWA( 일본)

ㅇ Interlace Air Nozzle

- 40% 이상의 에너지비용 절감 및 20% 이상의 교락 효율 향상

- 112 -
구분 공정 특성 figure

40% 이상의
FDY
Air 소비량 감소
AS series

20% 이상의
POY
교락수 증가

ㅇ Migration Air Nozzle

- 금회 신규 노즐은 60% 이상의 Air 소비량 절감 가능


- Compact Yarn pitch 설계를 통한 Multi end 생산 가능

구분 공정 특성 figure

MR series SPIN 60% 이상의


Air 소비량 감소

MV series SPIN multi end 고생산성

□ COMOLI( 이태리)

ㅇ DWI-500 & DWI-2000

- Polyamide, PET, PP등 산자용 소재의 고강력, 저수축 열연신복합 가능

- 113 -
3. 결론

□ 금회 전시회에서는 전통적인 합섬섬유 방사설비에서의 이렇다할만한 기술


적 진전은 없었음

□ 주요 메이져 방사설비 업체인 Oerlikon 및 TMT에서는 compact 사도 구성


을 통한 multi end winding 이 가능한 집적화된 설비를 전시하고 있었으며
FET 의 Multi-One 방사설비는 하나의 압출기로서 멀티필라멘트, 모노필라
멘트, non-woven 까지 필요에 따른 unit 변경을 통해 효율적인 processing 이
가능하게 하였음

□ 사가공 분야 또한 제한된 공간에서의 대량생산, 고속화가 주요 컨셉으로


반영된 가연설비가 주목할 만하였음. 특히 TMT 에서 최근 개발한 다축 디
스크 가연UNIT, Oerlikon 의 멀티 크릴 가연기는 단위 생산량의 증대, 압
축공기, 전력비등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에너지 비용의 절감을 효과적으로
시현됨

□ 특히 독일 GNEUSS 의 고효율 Filteration unit, 실시간 점도 측정 unit, 수


분제거를 위한 전처리 공정이 skip 된 압출설비, R-PET, R-PA6 등 리싸이
클링 목적의 특화된 방사 processing 은 눈여겨볼만 한 설비였음

□ 금번 전시회에서 체험 할 수 있었던 고효율 , 에너지 세이빙, 대량생산을 위


한 compact 한 사도 및 multi end(pos’n) 은 전회 전시회에서와 유사한 컨셉
이었으나, 재활용과 생분해와 관련된 설비, 공정 및 기존 설비에서의 waste

최소화 방안은 소재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분야임. 금회 방


사, 사가공분야 설비는 제직준비, 제직공정에서와 같이 정교하고 구체화된
e-control 컨셉은 제시되지 못하였으나, 전용 on-line 을 통한 유지, 보수
service 등은 주요 메이커별 자체 개발한 프로그램을 전시

□ 국내 섬유산업에도 생산공정 설비의 업그레이드뿐만 아니라 IT UNIT와의


접목을 통해 세계적 추세와 발맞추어 나아가야 할 것임

- 114 -
제직준비 및 제직

최익성 파트장(한국섬유개발연구원)

1. 서론

□ 2011 년도 주요 전시동향은 산업용 소재 특성에 적합한 내구성 ⋅유연성 확


보, 정밀한 장력조절 및 제어를 통한 공정성 확보, 사용자 편의성과 정밀운
전 제어능력 향상, 에어젯트 직기 공기제어 및 위입기술의 첨단화, 고속화
및 고속화에 따른 부품 손상 방지 및 광폭화, 대량생산화를 중심적으로 이
루어졌음

□ 2015 년도 주요 전시동향은 자동화 및 모듈화를 통한 에너지 저감, 생산성


향상, 산업용 섬유 생산설비 비중의 확대, 인체공학적 설비 설계를 통한 작
업성과 편의성 증대, 공정 폐기물 수집으로 작업환경 개선 및 자동화 기술
의 접목 위주였음

□ 금번 2019 년도에는 피카놀, 반데빌레, ITEMA, 산텍스등 주요 메이저 그룹


간 기술력 경쟁 과시의 장이었으며, 초광폭, 초고속화, 정밀화, Compact 설
계를 기반으로 2011 년, 2015 년 전시회까지는 800rpm 수준이었던 초고속 레
피어직기인 피카놀 RPL 기 1,100rpm 가동이 전시장에서 시현됨

□ 특히 금번 전시회에서 제직준비, 제직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주요 변화는


Smart Creel 등 IT, e-control unit 와의 접목으로 편의성, 효율성, 생산성 증
대 및 실시간 모니터링, 유지보수가 모듈화되어 자동제어, 분석, 통계가 가
능하다는 점이었음

- 115 -
2. 개발동향

□ CCI( 대만)

ㅇ 샘플정경/정경 machine

- LUTAN- 정경기
⋅ 종래 Single end 정경기의 고질적 문제점인 경사 layer간 사층 붕괴 및
latching 현상의 혁신적 개선, max 7,000rpm, 정경폭 2,200mm, 정경장
11~200meter, 5m 원주
⋅ 정경빔 표면 벨트 이동에 의한 정경비밍 방식에서 정경빔은 고정되어있
고 가이드 자체가 회전, 수평전후 이동으로 비밍하는 방식
⋅ compact design 의 mini type( 샘플 정경기) 설계 가능

- 116 -
⋅ Rotary creel 및 Super type creel 적용 가능: super creel 적용 시에는 예
비 크릴내 잉여 원사가 대기하고 있으므로 연속적인 장기 가동 가능
(Over night operation)

ㅇ 샘플제직/제직 machine

- EvergreenⅡ- 샘플직기
⋅ 제직폭 500~900mm

⋅ Machine size 3.4m(L) x 1.2m(H) x 1.2m(W)

⋅ speed max 100rpm

⋅ Window OS 기반 콘트롤러 제어, 자가진단


⋅ 1344/2688 구 자카드 설비 활용 가능

⋅ max 24 shedding device ⋅ digital warp tension control system

- 117 -
⋅ weft selection device ⋅ weft insertion device

(multi weft color 구현 가능) (3 종의 위사 인입 가능)

⋅ self-diagnostic function

( 실시간 자가 진단 모니터링 가능으로 효율적 기기 관리)

⋅ dobbytronic ( 터치 스크린과 platform 프로그램을 활용, 다양한 디자인


과 조작 편의성 증대)

ㅇ 샘플제직/제직 machine

- KEBALAN- 샘플직기
⋅ 제직폭 500mm

⋅ Machine size 4.9m(L) x 1.6m(H) x 1.7m(W)

⋅ speed max 300rpm

- 118 -
<500mm, speed 300rpm KEBALAN 샘플 직기>

⋅ 개별 servo shedding device

⋅ 경위사 실시간 장력 모니터링 , 제어 장치

- 119 -
ㅇ 샘플가호/가호 machine

- TARAKA- 샘플가호 및 가호기


⋅ 개별 pos’n 히팅, 가호, 별개조건설정
⋅ 1end 및 multi end 확장 가능
⋅ max speed 500mpm 및 200mpm(1end 샘플 가호기)

□ KARL MAYER( 독일)

ㅇ 샘플정경/정경 machine

- NOM(Nov-O-Matic) - 정경기
⋅ 중 소량
. sacle 급 정경기
⋅ 정경폭 2,200mm/3,600mm

⋅ 정경 speed max 1,000mpm

⋅ Package 사층에 따른 사장력 변화, 정경기의 정지 및 가동 중 사의 늘


어짐과 장력 peak 를 추별로 설정된 장력으로 유지, 보상
⋅ Laser technology 를 이용 Warping diameter 제어 및 사층 높이 감지,
정밀한 정경작업 가능
⋅ Beaming 및 사의 장력 제어를 통해 극세사, 태번수 또는 고강도 Technical

yarn 까지 정경작업 가능
⋅ 모든 운전 data 를 표시하며, 설정 값과 실제 운전상태 동시 표시

- 120 -
ㅇ 샘플정경/정경 machine

- MULTI-MATIC- 샘플정경기
⋅Single end sample 정경기
⋅ 정경폭 35~1,500mm

⋅speed 800mpm(32end, 128end)

- 121 -
□ PICANOL( 벨기에)
ㅇ Air-jet/Rapier Weaving machine Technology

- max 540cm 까지 광폭화 및 RPL 1,1000rpm 고속화


- 다양한 사종, 섬도 제직 지원 가능
- 제직정보 수집, 분석 for industry 4.0 , remote service 가능

구분 직기별폭/특징 figure

Omni Plus-i 190/220/250/280/340/360/400

Airjet cm

Omni Plus 800


190cm
TC
max 900rpm
Airjet

190/210/220/230/250/300/320

/340/360/380/400/430/460/5

40cm

One-piece woven Airbag

cushion

Opti Max-i

Rapier
extreme densities tent

& awing fabrics

460cm 폭의 coating fabrics

, monofilament 0.3mm

- 122 -
ㅇ Air-jet/Rapier Weaving machine 세부 사양
- 190~400cm 의 다양한 성폭과 함께 90cm 정도의 변경조정 가능
- Spun yarn(Nm 3~ Nm170), Filament yarn(10denier~1,000denier)

- 이징모션(경사의 장력 보상), 경사의 거동에 따른 경사장력 제어


- 위사의 다양함을 위해 최대 8color 까지 선택가능
- 바디(reed)의 측면 및 전단에서 필링현상 발생時 자동정지

- 123 -
- 124 -
- 125 -
ㅇ OMNI plus Summum Air-jet Loom

- 낙하산용 고밀도직물, 자동차용 시트 등 산자용직물 및 의류용 직물 전반


에 제직 위사 송출용 개별 전자압력 제어 레귤레이터 장착

<OMNIplus Summum 4-R 190(고밀도제직)>

<OMNIplus Summum 4-P 340( 광폭제직)>

- EPR(Electronic Pressure Regulator) 시스템 채택


· 디스플레이에 압력조건을 효율적으로 변경
· 공기소비를 효율적으로 조정하여 air 의 소모량 10% 절감
· 설비의 재가동시 손쉽게 조건변경 가능(생산효율 증대)
- AirWave : 공기압을 자동 측정하여 relay nozzle 에 공급
· 제직 중 일관성 있는 공기를 공급하며, 설비정대 시 자동으로 air 차단
- FillMax device : 15% 정도의 위입 효율을 증가시키는 장치

· 피카놀의 특허출원 중인 기술로서,


15% 까지 위입 효율을 증가하는 기
능으로 Main Nozzle 에 거치하여 탈
거가 쉬운 모듈형태로 구성
· 셔츠직물 및 데님직물 등 주요 시장

<FillMax> 진입이 용이한 제품개발에 유리

- 126 -
- Blue Box System

· 새로운 전자시스템으로 사용자 편의성과 작업 효율 향상

<Blue Box System>

ㅇ 기타 직기
- 에너지 절감 및 사용자 편의성 등에 역점
- 범용성과 Device 의 모듈화로 넓은 확장성으로 다양한 직물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장점 보유

TERRY plus Summum

Air-Jet Loom

OMNI plus 800TC

Air-Jet Loom

OptiMax-i Rapier Loom

- 127 -
TERRY Max-i Rapier Loom

GT-Max Rapier Loom

GT-Max-i Rapier Loom

GT-Max-i Rapier Loom

- 128 -
□ VANDEWIELE( 벨기에)

ㅇ Rugs/Carpet/Velvet Weaving machine

R CE02

- Double rapier

- 5meter size

- 신개념 compact electronic selection

system

- Ground warp shedding

- weft insertion & transfer

- servo driven whetstones

- smart cutting motion scm

- smart edges se

HCI X2

- high density

- real hand knotted

- 5 백만 POINT/1sqm

UCE03

- cut pile, loop pile, flat weave 동시 가능


- 3~5meter 카펫 제직 가능
- 320~500d/m

M AX91

- 세계최초 Smart Creel & ROBUST system

- max 16color, 다양한 문양 발현


- high speed

- 129 -
ㅇ 주요 Technology

- 다이렉트 구동으로 향상된 개구정밀도


- 고정된 수평 샤프트로 인한 고속화, 안정화
- 좌우 양쪽에 장착된 캠박스 구동에 의한 샤프트 뒤틀림 방지
- 직기별 폭과 용도에 최적화 설계된 통합형 드웰
- 종전 대비 20% 이상 줄어든 개구각도

-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한 지능적 통제 가능


⋅ 전기장치 , 데이터 전송, 온도, 에러원인 분석, 모니터링등
- 디자인, 콘트롤 편의성과 효율성 증대
⋅ 컨트롤러에서 읽기 저장 편집 가능 , ,

⋅ 외부 와 연동 디자인 수정 색상 선정등 다양한 설계 가능


PC ,

- WE@VELINK( 위브링크) network 에 의한 통합 생산관리 가능


⋅ 중앙 사무실에서 통제 가능
⋅ 생산데이터 집결 분석 투입량 , , , 생산량 등 생산효율 분석
- 공간적 효율성

- 130 -
ㅇ SMART CREEL

□ TSUDAKOMA( 일본)

ㅇ ZAX-9200i Air JET LOOM

- Navi board, I-weave system 장착


- DSS-Ⅱ Direct sub-nozzle system

- 8 종의 위사 위입

- PSC P/G 에 의한 속도 제어

- 131 -
- EPRC(Electronic Pile Patio Control) 시스템에 의한 cloth 거리 자동제어로
pile 비율 통제, 균일성 확보 가능

- 위사 유입 최소최적 에어압력 제어로 에너지 절감 가능

- TISS network 접속 가동상태, 생산성, 유지보수 지원


- Weave Navi 프로그램에 의한 다양한 통계화 분석 제공

- 132 -
□ ITEMA( 스위스)

ㅇ R9500-Rapier LOOM

- 제직폭 170~540cm

- max 12colors 위사 선택 위입
- Oil cooling direct motor 장착으로 에너지비용절감 가능
- Ceramic 코팅 처리 래피어 해드에 의한 효율적 운전 가능
- FPA(Free Positive Approach) Weft 에 의한
Transfer

- i-MANAGER 장착으로 제직data, 통계까지 효율적 분석 가능

- 133 -
3. 결론

□ 2019 년 바르셀로나 ITMA 부문별 주요 전시내용은 편의성, 고속화, 정밀


및 IoT 접목성이라고 단언할 수 있음

□ 제직준비 / 제직/방사/사가공등 전분야에 걸쳐 메이커별 자체 개발된 제어/


통제프로그램과 NET WORK 의 ON-Machine 연결을 통해 주요조건의 설
정, 가동상태확인, 품질수준, 생산량 등의 토탈 생산관리 포인트의 실시간
통제가 실제로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음

□ 방사 / 사가공분야에서는 한정된 공간과 시간에서 얼마나 더 효율적으로 비


용의 절감과 고속화가 가능한가에 대한 컨셉을 토대로 기술적 발전성을 선
보였음

□ 특히 제직분야에서는 전통적 기계적 제어방식 대비 각부의 전자제어 장비


와 센싱, 미세한 움직임과 위치 제어가 가능한 모듈화된 제어 UNIT 의 장
착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은 물론이고 시간과 에너지의 절감과 더불어 작업
연속성과 생산량 향상이 연계되어지는 일괄 시스템으로의 혁신성, 발전성
이 두드러지는 전시의 장이었음

□ 5G 초시대에 접어들고 있는 국내 상황과 발맞추어 전통산업으로 취급받고


있는 섬유 산업에서도 2019 바르셀로나 ITMA 전시회에서 선보이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e-control concept 을 하루빨리 접목하여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새로운 섬유제품의 개발은 물론이고 효율적인 생산관리가 구축된 산
업체계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을 절실히 실감

□ 금번 전시회에서 체험하였던 더욱 더 정교하게 제어 가능한 up-grade 설비


를 토대로 다양한 패턴과 Color 구현이 가능한 준비공정과 제직공정, 다변
화된 구금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multi 및 crimped mono filament 방사
소재의 개발과 compact 한 사도와 소재의 조합을 통한 새로운 질감의 가공
사 개발, 통합 제어와 분석이 가능한 생산 전공정의 관리 기법에 대한 변
화의 시도를 중점적으로 추진필요

- 134 -
편직 분야

정구 실장(한국섬유소재연구원)

1. 서론

가. 개요

□ 1951 년 첫 번째 전시회를 개최한 이래 올해로 18 번째를 맞는 ITMA 는 역


대 최대 규모를 기록하였음

ㅇ 유럽섬유기계협회(CEMATEX) 소속 9 개 국가들이 주최가 되어 개최되는


ITMA 전시회는 올해 18 회째 개최되고 있으며, 역대 최대규모의 전시회로
개최되었음
- 전시면적 : 114,500㎡, 전시규모 : 45 개국, 1,717 개 업체 출품
- 방문객 : 137 개국 약 105,000 명(주최측 추산)

ㅇ 편직분야 역시, 역대 최대 규모의 전시규모(19개국, 136 개 업체 출품)를


기록하였음
- 95 개사(2011년) → 128 개사(2015년) → 136 개사(2019년)로 계속해서 규모가
확대되고 있음
- 중국(41개 업체), 이탈리아(28개 업체), 독일(18개 업체), 터키(11개 업체)
업체 순으로 출품되었으며, 이들 국가의 전시관이 전체의 약 72% 를 차지

- 135 -
- 한국 출품기업으로는 경편기 빔 전문 형제정밀기계, 경편기 자동장치 전문
티엔에스, 환편기 편침 전문 삼성제침 및 니텍스제침 등 4 개 기업이 출품
하였고, 환편, 경편, 횡편분야의 편기관련 제조기업은 참가하지 않았음

나. 기술개발 동향

□ 환편분야
ㅇ 울트라하이게이지(Ultra High gauge) 경쟁의 종말
- 지난 전시회까지 Mayer & Cie社, Terrot社, Vanguard Pai Lung社 등이
경쟁적으로 출시하였던 울트라하이게이지 환편기는 올해 전시회에서 찾아
볼 수 없었음
- 낮은 생산성 대비 높은 가격, 용도창출 실패, 하이게이지 관련 원사개발
부재 등의 한계로 상용화에 한계를 보인 것으로 판단되며, 울트라하이게
이지편기 및 관련 소재시장의 향후 전망 역시 불투명한 것으로 판단됨

ㅇ 3-Way Transfer Jacquard 와 Dobule Selection Jacqudard 의 부상


- 지난 전시회까지 상대적으로 출품빈도가 낮았던 트랜스퍼자카드는 기존의
knit-miss 편성만이 가능한 2-Way 방식에서 tuck 편성이 가능한 3-way 방
식으로 개선된 자카드 시스템을 Mayer & Cie社, Terrot社, Vanguard Pai

Lung社 모두 출품하였음
- 다만, Terrot社 에서 보유하고 있는 28 게이지 이상 하이게이지 관련 원천특
허로 인해 Mayer & Cie社 와 Vanguard Pai Lung社 는 28 게이지 이하의
환편기를 출품하였음
- 또한, 표면과 이면 양측에 모두 자카드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Dobule

Selection Jacqudard 의 경우 기존 침대 매트리스용 용도를 벗어나 의류용


과 신발 갑피용으로 접목할 수 있는 설비들이 출품되었음
- Terrot社 의 경우 자사보유 3-Way Transfer Jacquard 기술을 Dobule

Selection Jacqudard 와 융합하여 3-Way Transfer Dobule Selection

Jacqudard 편기를 출품하였음

- 136 -
ㅇ Spinit(Spin+knitting) 기술의 완성
- Mayer & Cie社, Terrot社, Vanguard Pai Lung社 3 사 모두 기술적으로 완
성된 Spinit 편기를 출품하였음
- Mayer & Cie社는 조사(roving yarn) 를 드래프팅하여 직접 편직하는 방식,
Terrot社 는 코어얀을 동시에 공급하면서 조사로 커버링하여 편직하는 방
식, Vanguard Pai Lung社 는 연조슬라이버를 드래프팅하여 편직하는 방식
을 사용하고 있으며, 각각의 특성을 살려 기술적으로 완성된 제품을 출시
하였음
- 다만, 조사나 연조슬라이버를 이용하는 만큼 조사, 슬라이버의 공급이 원
활하지 못한 일반 편직공장 보다는 방적공장에서 직접투자하는 것이 유리
할 것으로 판단됨
- 조사나 슬라이버를 꼬지 않고 드래프팅 하는 방식으로 편직을 진행하므로,
최종제품의 표면 터치감이 매우 소프트하여 유아복 등에 접목하는 제품이
출시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꼬임이 없는 특성상 모우의 제어가 용이하
지 않아 필링성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
- Terrot社 는 크릴타입 원사공급의 장점을 살려 Corizon compact 를 출시하
여 스타킹편기 등 소폭편기에 접목 가능한 용도 다변화를 시도하였음

ㅇ 새로운 시도
- Mayer & Cie社 는 기존 래치타입의 편침이 아닌 스프링 비어드편침을 이
용한 환편기인 Weftnit3.2 를 출시하였음
- Groz-Beckert社 와 공동으로 개발한 스프링 비어드편침과 싱커를 대신하는
펀칭캠을 이용한 편직기로서, 동일 게이지의 래치타입 편기를 사용한 원
단 대비 고밀도의 편직이 가능하며, 위사방향의 신도를 제어할 수 있어
직물 또는 경편물의 원단과 유사한 물성의 원단 생산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로의 용도전개가 가능할 것으로 보임

ㅇ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
- Mayer & Cie社, Terrot社, Vanguard Pai Lung社 3 사 모두 생산성향상을
위해 多급사구와 고속회전(45~60rpm)에 중점을 둔 제품들을 출시하였음
- Groz-Beckert社 는 편침의 양쪽 측면의 두께를 일부 축소하여 편침 내구성
증대, 에너지 효율 향상, 생산성 증가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litespeed

plus 편침을 출품하였음

- 137 -
□ 경편분야
ㅇ 경계를 허물다
- Karl Mayer社 는 트리코트 경편기의 다양한 응용을 통해 직물과의 경계,
환편과의 경계를 허물 수 있는 제품생산이 가능한 경편기를 출시하였음
- 3-bar 트리코트 HKS 3-M 편기와 원사 및 경편조직 설계의 조합을 통해
옥스퍼드 직물과 거의 유사한 특성을 갖는 원단을 생산할 수 있는 경편기
를 제안하였고, 이를 이용한 casual suit 와 가방 시제품을 제안하였음
- 라셀 편기의 자카드 패턴 조직을 응용하여 환편분야의 3-way transfer

jacquard 설비를 통해 제조한 원단과 유사한 특성을 갖으며, cut & sew 가
가능한 경편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RSJ 4/2 EL 를 제안하였고, 이를 이용
한 의류 시제품을 제안하였음
- 다양한 레이스 조직의 응용을 통해 란제리, 체형보정 속옷, 비치웨어 등으
로 적용 가능하며 cut & sew 가 가능한 경편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멀티
바 레이스 경편기를 출시하였음

ㅇ 새로운 시도
- 경편분야 최초로 e-textile 제품을 편직할 수 있는 멀티바 레이스편기를 제
안하였고, 서로 다른 5 개의 전도성 소재를 사용하여 컨트롤 판넬, 충전선,
신호선 등이 일체형으로 편직된 원단을 편직하여, proto type smart shirt

를 제안하였음
- 최초 제안 제품으로 아직 완벽한 상태는 아니나, 멀티바 레이스 경편기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textronics 에 접목이 가능한 편기로 향후 발전된 제품
에 대한 기대를 품기에 충분했음
- 기존 더블라셀 편기에서 제조되는 3 차원 spacer 제품과 차별화 된 형상의
spacer 제품(4D Knit Spacer) 을 생산할 수 있는 더블라셀 자카드 편기인
RDPJ 6/2EL 제품이 출시되어 신발, 카시트, 가구 등에 접목할 수 있는 제
품을 제안하였음

- 138 -
□ 횡편분야
ㅇ Smart & Speed Factore

- Shima seiki社 와 Stoll社 모두 진보된 홀가먼트 제조시스템을 통해 최근


국내에서도 화두가 되고 있는 Speed Factore 개념이 도입된 시스템을 제
안하였음
- Shima seiki社 는 고객의 신체치수를 DB화하여 소비자 맞춤형 홀가먼트 의류
제조 시스템을 지원하는 MADE2FIT system 을 제안하였고, 공급자 차원의
트랜드 분석, 웹기반 제품기획, PLM 관리, 생산관리 및 모니터링, 기술 서
포트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Shima Seiki Online Services 솔루션을 제
안하였음
- Stoll社 역시 고객 지원솔루션으로 디자인에서 제품 생산에 이르기까지 원
스톱으로 고객을 지원하는 knitelligence 솔루션을 제안하였음

ㅇ 새로운 시도
- Shima seiki社 와 Stoll社 모두 홀가먼트를 중심으로 한 패션용 횡편기 이
외에도 스포츠, 신발 및 액세서리에서부터 의료, 자동차, 항공 및 기타 웨
어러블 및 산업용 섬유 응용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는 편기를 제안하였음
- 특히, Stoll社 는 편침의 편성운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의류부자재를 제품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knitrobotic system 을 세계 최초로 제안하였음
- knitrobotic system 은 최초 제안 제품으로 아직 완벽한 상태는 아니나, 향
후 의류 부자재 삽입 또는 산업용 소재 전개시 보강재의 삽입 등 다양한
형태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기술로 보임

- 139 -
2. 개발동향

가. 환편분야 출품 현황

□ 올해 ITMA 에서 가장 큰 규모로 출품하였던 Mayer & Cie社, Terrot社,

Vanguard Pai Lung社, Hukuhara社 중심으로 출품 된 혁신 설비는 다음


과 같음

□ Mayer&Cie

ㅇ MJ 3.2E(3 in 1 컨셉의 컴퓨터자카드 편기)


- 싱글저지용 컴퓨터자카드를 베이스로 하여 메쉬(mesh)와 바디매핑
(bodymapping) 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3 in 장비로서,
1 ① 컴퓨터자카
드 편직시 2-way 와 3-way 모두 구현이 가능하고, 34“ 직경의 프레임에
서 25rpm 의 생산이 가능하며, ② 바디매핑 편직시 30“ 직경의 프레임에
서 23rpm 의 생산이 가능함, 또한 ③ 바디매핑/메쉬 구조의 경우 30“ 직
경의 프레임에서 를 구현하고 있어 생산성이 매우 향상된 기술임
48feeder

- 140 -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 Technical data

D iameter G auge Feeder No. S peed(rpm)

26 ∼34 28 ~36 84 ∼ 108 25

ㅇ OVJA 1.1 EETT(3-way double selection & double transfer)

- 양면 컴퓨터자카드를 베이스로 하여, ① 3-way 편성운동이 가능하고, ②

양면의 다이얼(dial)부와 실린더(cylinder) 양측에 컴퓨터자카드 패턴 구현


이 가능하며, ③ 다이얼(dial)부와 실린더(cylinder) 양측에 트랜스퍼자카드
구현이 가능한 편기임

- 141 -
- 환편소재의 신발갑피용 원단, 아우터웨어, 매트리스 커버, 아웃도어용품,
기타 산업용 소재의 용도전개를 위해 개발되었고, 14 게이지에서 최대
1200d 의 태섬사 편직이 가능하며, 최대 약 5mm 의 spacer 원단의 편직이
가능함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 Technical data

D iameter G auge Feeder No. S peed(rpm)

34 14~20 36 19

ㅇ Spinit 3.0 E( 기술적으로 완성된 spinit system)

- 지난 2011 전시회에서 처음 소개되었던 spinit system 은 이번 전시회에서


기술적으로 좀 더 완성된 편기가 소개되었으며, 주요 기술로는 다음 2 가
지 정도로 볼 수 있음. ① 한가닥의 로빙사의 드래프트 조절을 통해 편성
시 로빙의 굵기를 얇게, 또는 굵게 구현함으로써 슬럽사 또는 팬시얀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음 ② 지난 전시회에 출품했던 설비 대비 약 20% 의
생산성이 향상된 최대 30 rpm 의 생산이 가능함
※ spinitsystem : 편직기에서 원사의 공급이 기존 방적사 대신 로빙사(Ne 0.7) 가 환편기
상단에 탑재되어 공급되며, 탑재된 로빙사는 3 개의 연신 롤러를 통과하면서 섬유직경
을 줄이고 길이가 늘어난 상태에서 에어제트 스핀 노즐을 통해 false twist 에 의한 원
사가 형성되어 편직기에 공급되는 원리임. spinitsystem 에서 제조된 원사는 면 27‘s

정도이며, 공급원사의 번수는 로빙사의 개수와 게이지 변화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며


28G×90feeders 장비에서 24~54’s 원단이 제조된다고 함. 공급된 원사로 편직된 원단
은 매우 소프트한 태가 특징임

- 지난 전시회 이후 미국, 인도, 일본 등에 약 10 여대의 판매가 이루어 졌다


고 하며, 일본의 경우 유아복종의 제품전개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
되고 있음

- Spinit 시스템의 최대 관건은 양질의 로빙사 공급이며, 제품화의 관건은


무연방식의 원사를 활용함에 있어 최상의 터치감을 구현할 수 있는 반면,
표면 모우에 따른 필링성의 제어가 여전한 기술적 관건으로 남아있음

- 142 -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 Technical data

D iameter G auge Feeder No. S peed(rpm)

30 28 90 Max. 30

․ Production output

Speed(rpm) 25 25 25

Fabric weigh(g/
80 130 200
㎡)
Output(kg/h) <17~20 17~20 >17~20

ㅇ Weftnit 3.2( 비어드편침을 이용한 새로운 편물원단 구현)


- 과거 Mayer & Cie 를 비롯한 대부분의 환편기 제조회사는 래치타입의 편
침을 이용한 환편기를 제작해 왔으나, 올해 Mayer & Cie에서 출시한
Weftnit 3.2는 스프링 비어드편침을 이용한 환편기로 기존의 패러다임을

깬 새로운 개념의 편기임

- 143 -
- 비어드편침의 경우 ① 래치가 없어 편침의 헤드부위가 래치편침의 헤드보
다 얇기 때문에 환편 스티치의 형성이 매우 부드러우며, 낮은 급사장력이
필요한 경우 더욱 부드러운 스티치를 구현할 수 있음. ② 래치를 열고 닫
기 위한 공간이 필요 없기 때문에 편환 밀도를 좀 더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어, 동일 게이지에서 래치편침을 사용한 편물원단 대비 고밀도의 원단
을 생산할 수 있고, ③ 장력조절을 통해 경편물과 유사한 물성의 원단을
생산 할 수 있음. ④ 래치니들의 경우 래치 및 헤드의 파손 위험이 있으
나, 스프링 비어드 편침의 경우 좀 더 편침의 수명이 길어 생산원가 측면
에서 유리함
- Mayer & Cie 는 비어드편침을 이용한 Weftnit 3.2 제작을 위해 환편기에
적합한 비어드 편침과 편침 헤드의 open & close 운동을 위한 펀칭 싱커
를 Groz-Beckert社 와 공동개발 하였음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 Technical data

D iameter G auge Feeder No. S peed(rpm)

32 28 90 Max. 30

<Beard needle for Weftnit3.2 by GROZ BECKERT>

<Sinker & Press sinker by GROZ BECKERT>

- 144 -
□ Terrot

ㅇ UCC 572-T, UCC 572-TR

- 양면 컴퓨터 트랜스퍼 자카드 편기로서 실린더부의 3-way 자카드 패턴과


트랜스퍼 패턴 구현이 가능한 편기로, 다급사화와 생산속도 향상을 통해
기존제품 대비 50% 이상 생산성이 향상된 장비임
- 최근 들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스포츠용 신발갑피용 원단에 적극적
으로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편기이며, 신발갑피 이외 아우터웨어, 매트리
스 커버, 아웃도어용품, 기타 산업용 소재로의 용도전개가 가능함
- 트랜스퍼 자카드 테크닉을 최초로 양산시킨 브랜드답게, 트랜스퍼 자카드
관련 기술을 선도하고 있으며, 타사 대비 하이게이지 구현, 생산성 향상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음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D iameter G auge Feeder No. S peed(rpm)

30 14~32 72 18

34 14~32 84 16

- 145 -
ㅇ UCC 566-TRE, 566-TE series

- Mayer&Cie 사의 OVJA 1.1 EETT와 대응되는 양면 컴퓨터 자카드 트랜스


퍼 자카드 편기로서 ① 양면 컴퓨터자카드 기반에 ② 다이얼(dial)부
3-way, 실린더(cylinder)부 2-way 의 컴퓨터자카드 패턴 구현이 가능하며,
③ 다이얼(dial)부와 실린더(cylinder) 양측에 트랜스퍼자카드 구현이 가능
한 편기임
- 기존 자사 제품 대비 다급사화와 생산속도 향상을 통해 기존제품 대비
50% 이상 생산성이 향상된 장비임
- 최근 들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스포츠용 신발갑피용 원단에 적극적
으로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편기이며, 신발갑피 이외 아우터웨어, 매트리
스 커버, 아웃도어용품, 기타 산업용 소재로의 용도전개가 가능함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D iameter G auge Feeder No. S peed(rpm)

30, 34 16~20 78 18

- 146 -
ㅇ JV-4.0 OW

- 싱글저지 편기의 생산성을 극대화 시킨 JV4.0 이 출시되었음


- 다급사화(4 feeder/inch) 와 최고의 회전속도를 이용한 편기로, 최근 대두되
고 있는 생산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편기로 32“ 직경의 프레임에서 136

feeder 를 구현하였고, 최대속도 45rpm 의 속도를 실현하였음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D iameter G auge Feeder No. S peed(rpm)

26-34 20-34 104-136 Mas. 55(26G)

ㅇ Corizon system

- 지난 2011 년 전시회에서 처음 소개되었던 Corizon system 은 이번 전시회


에서 기술적으로 좀 더 완성된 편기가 소개되었으며, 주요 기술로는 다음
3 가지 정도로 볼 수 있음. ① 로빙사와 코어얀의 조합을 통해 면번수 기
준 30‘s~70’s 의 원사를 120 feeder 까지 공급할 수 있고, ② 드래프트조
절을 통해 원사의 굵기를 조절하여 팬시얀의 효과를 발현할 수 있으며,
③ 완벽한 스판덱스 커버링 등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음

- 147 -
※ corizon system : 편직기기의 원사 공급이 기존 원사 대신 로빙사가 필라멘트 코어얀
을 감싸는 형태로 환편기 크릴로부터 공급되며 공급되는 원사는 면 30‘s~70’s 수준
임. Mayer & Cie 사의 과는 다르게 편사가 환편기 크릴로부터 공급되는
spinitsystem

방식으로, 중심의 환편설비를 다양하게 교체하여 다양한 원단의 제작이 가능함(싱글,


양면, 하이-로우 게이지, 자카드 등)

- 148 -
ㅇ Corizon Compact

- Corizon 의 소형화 응용버전으로 기존


system Corizon system 이 환편시스
템에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이라면, Corizon Compact 은 양말편기에 적용
가능하게 소형화 시킨 버전임
- Corizon Compact 는 6 추의 방적시스템을 이용하여 6 feeder 의 양말편기에
접목한 방식으로 Corizon system 의 원사 번수 조절시스템을 통해 양말 및
스타킹 제품의 각 부위별 번수조절로 최적의 압박력을 갖는 제품을 제조
할 수 있음

- 149 -
□ Vangaurd Pailung

ㅇ SJ 3A / T13 & SJ 4A / T1

- 싱글저지 편기의 생산성을 극대화 시킨 SJ 3A / T13 모델과 SJ 4A / T1

모델이 출시되었음
- SJ 3A / T13 모델의 경우 32“ 직경의 프레임에서 90 feeder 를 이용하여
60rpm 의 세계최고 생산속도를 기록하였음
- SJ 4A / T1 모델은 22“ 직경의 프레임에서 88 feeder 를 이용하여 81rpm 의
세계최고 생산속도를 기록하였음
- 압도적인 속도와 생산량으로 인해 기존 환편설비대비 높은 프레임을 채용
하였으며, Marathon Motor社 와 공동개발한 저전력 모터를 채용하여 최대
일 생산량 1ton 이 가능한 수준임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 SJ 3A / T13

D iameter G auge Feeder No. S peed(rpm)

32 28 90 60

․ SJ 4A / T1

D iameter G auge Feeder No. S peed(rpm)

22 11~28 88 Max. 81

- 150 -
ㅇ SF 3A / T

- 프렌치 테리 환편 설비에서 생산성을 극대화 시킨 SF 3A / T 모델이 출


시되었음
- 30“ 직경의 프레임에서 90 를 이용하여
feeder 40rpm 의 속도를 구현하였음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D iameter G auge Feeder No. S peed(rpm)

19~42 11~28 33~84 Max. 40

ㅇ spinit system

- 지난 2015 전시회에서 처음 선보였던 Pailung社 의 spinit system 은 이번 전시


회에도 출품되었으나, 아직 완벽한 상용화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 Mayer & Cie社 나 Terrot社 의 경우 로빙(roving)사를 사용하는 반면에
Pailung社 의 spinit system 은 슬라이버(sliver)를 이용하며, 이로 인한 경제
성에 장점이 있는 차별성을 보이고 있으나, 전시회 기간 중 정상적으로
가동되지는 않고 있었음

- 151 -
□ GROZ BEKERT

ㅇ Litespeed plus

- 지난 2015 전시회에서 기존 편기용 니들의 한쪽면을 깎아내어(두께를 축


소시켜) 경량화에 따른 에너지 절감, 윤활작용의 개선, 편침 및 니들베드
의 마모를 줄여 유지보수비용의 절감을 유도했던 Litespeed 제품의 개선
품인 Litespeed plus 가 출시되었음

- Litespeed 제품이 한쪽면만 두께를 축소시켰다면, Litespeed plus 제품은


양쪽측면의 두께를 축소시켜 기존 Litespeed 제품보다 에너지 소비량을
약 12% 이상 절감시킨 제품으로, 환편 에너지 절감 및 기타 부품 마모개
선, 유지보수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152 -
나. 경편분야 출품 현황

□ 올해 ITMA 에서 가장 큰 규모로 출품하였던 KARL MAYER社 중심으로


출품 된 혁신 설비는 다음과 같음

□ KARL MAYER

ㅇ RDPJ 6/2 EL

- 올해 전시회에서 처음 선보인 RDPJ 6/2 EL 모델은 Double Raschel 자카


드 기계의 응용버전으로, 양 측면 니들바의 KARL MAYER 피에조방식 자
카드기술을 이용하여 양 측면 니들바의 배열, 모양, 위치, 높이 제어를 통
해 입체적인 모양을 갖는 4D 스페이서 원단을 제조하는 설비임
- 기존 Double Raschel 설비들이 일정한 두께의 3 차원 형태의 스페이서 원
단이라면, RDPJ 6/2 EL 을 이용한 4D 스페이서 원단은 다양한 입체감이
원단의 양측에 배열되어 입체감이 더욱 도드라지게 구현 한 제품임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Working width : 3505mm(=138“)

․Working Gauge : E24

․Warp be․am support : 6 × 812mm(= 32“)

․Knock-over comb bar distance

: 4D knit, Double layer = 1.5~2.5mm

: Spacer = 2~8mm

- 153 -
ㅇ RSJ 4/1 ON & RSJ 4/2 EL

- 올해 전시품중 차별화된 모델 중 하나인 RSJ 4/1 ON & RSJ 4/2 EL 모


델은 환편분야의 cut&sew 개념과 트랜스퍼자카드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바디매핑(bodymapping)의 개념을 복합화 하여 경편원단에서 구현시킬 수
있는 기술과 관련한 설비임
- Single Raschel 자카드의 기초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가먼트랭스 개념의 자
카드 패턴에 트랜스퍼자카드의 메쉬(mesh)&니트(knit) 복합편성기술을 도
입하여 cut&sew 제품에 적용 가능한 원단을 제조하도록 하는 설비임
- 본 설비를 통해 기존 경편원단이 갖는 생산유연성의 한계를 뛰어넘고, 최
근 아웃도어시장에서 유행하고 있는 환편소재의 바디쉐이딩(bodyshading)
및 바디매핑(bodymapping) 기술을 접목한 경편원단을 제작할 수 있게 되
었음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Working width : 4950mm(=195“)

․Working Gauge : E28

․Yarn let-off device

: 5 electronically controlled let-off gears for ground guide bars

- 154 -
ㅇ HKS 3-M-ON

- HKS 3-M-ON 은 혁신적인 ON gear 를 도입한 3 bar 트리코트 편기로서,


기존 설비에서 패턴을 구현하는 디스크가 없는 제품임
- KARL MAYER 만의 혁신적인 일렉트로닉 제어 가이드바 기술을 채용한
경편기로서, 높은 생산속도와 기계적 수정 또는 생산지연 없이 패턴변경
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극대화 시킨 모델임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Working width : 3302~7112mm(=130~280“)

․Working Gauge : E28~E32

․Warp beam support : 3 × 812mm(= 32“) ~ 3 × 1016mm(= 40“)

- 155 -
․Bars/knitting elements

: Individual needle bar with compound needles, slider bar with plate

slider units (½"), sinker bar with compound sinker units, three guide

bars with guide units.

: All bars are made of carbon-fibre-reinforced plastic.

ㅇ LACE.EXPRESS(OJ 91/1 B)

- LACE.EXPRESS 는 기존 KARL MAYER 레이스 경편기에 최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제품의 품질을 충족시키면서 작업능률을 높이기 위해 특수사양
을 갖춘 설비임
- 이에 따라 LACE.EXPRESS 는 개선된 생산성, 생산비용절감, 에너지 소비
감소(기존 대비 약 40%) 등의 효과를 바탕으로 의류용 제품전개가 가능함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Working width : 3400mm(=134“)

․Working Gauge : E18~E24

․ Yarn let-off device


: 3 electronically controlled let-off gears for ground guide bars

․Pattern bar : ~ 88 bar

- 156 -
ㅇ Textile-Circuit

- 최근 유행하고 있는 Smart Textronics 제품의 제작을 위한 시스템인


Textile-Circuit 기술을 소개하였음
- KARL MAYER 의 Multibar 레이스 자카드머신을 이용하여 전도성 소재의
자카드 패턴 편성을 통해 전도성 소재의 다양한 형태(회로선, 충전선, 버
튼 등)을 구현하였음
- 또한, 위 세 가지 형태의 센서를 위해 5 개의 전도성 소재를 이용하여 편직
을 진행하였으며, 이는 신축성의 유무와 상관없이 구현될 수 있는 기술임
- 이러한 기술을 총망라하여 프로토타입의 Smart Shirt 제품을 출시하였음

- 157 -
다. 횡편분야 출품 현황

□ 올해 ITMA 에서 가장 큰 규모로 출품하였던 SHIMA SEIKI社 및 STOLL社

중심으로 출품 된 혁신 설비는 다음과 같음

□ SHIMA SEIKI

ㅇ MACH2VS

- 기존 MACH2S 모델에서 개선된 모델로 기존 제품 대비 더욱 다양한 스


타일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일반 횡편시 8 ∼ 16 게이지의 범위에서 편직
이 가능하며, 하프게이지의 경우 홀가먼트 니트웨어 생산이 가능함
- 기존대비 더욱 빠른 캐리지 리턴을 가능하게 하는 R2CARRIAGE 시스템
을 통해 편직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 또한 게이지리스 편직(gaugeless knitting) 이 가능하여 다양한 종류의 게이
지를 한 벌의 의복에 표현할 수 있음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 Knitting width : 72inch (183cm)

․ Knitting system : Triple KNITRAN system

․ Gauge : 8, 10, 12, 14, 16

․ Features

: Rapid Response R2CARRIAGE System / i-DSCS+DTC / Air Splicer

- 158 -
ㅇ MACH2XS103 15L

- SHIMA SEIKI社 의 대표모델인 MACH2XS103 의 소형버전으로 40 인치 편


성폭에 4 개의 니들베드와 SHIMA SEIKI社 고유의 슬라이드 니들을 갖추
고 있음
- R2CARRIAGE 시스템을 이용한 최고속도 1.6m/sec 의 높은 생산성으로 고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음
- 또한, 스프링형 이동식 싱커시스템을 채택하여 입체 조직 및 셀렉트 조직
등 다양한 응용편조직의 구현이 가능함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 Knitting width : 40inch(100cm) / 50inch(125cm) / 60inch(150cm)

․ Knitting system : Ultra compact 3-system

․ Gauge : 8L, 12S, 15S, 15L

․ Features

: Rapid Response R2CARRIAGE System / i-DSCS+DTC / 4-Bed

Configuration / Spring-Type Movable Sinker System / The Original

Slide Needle /Air Splicer

- 159 -
ㅇ MADE2FIT by WHOLEGARMENT

- 봉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홀가먼트 편직은 고객맞춤형 생산에 최적의 시


스템이며, MADE2FIT by WHOLEGARMENT 이라는 고객 맞춤형 주문생
산방식 시스템을 선보였음.
- 스마트폰 앱을 사용하여 신체를 스캔한 뒤 고객의 신체치수를 DB 화하여
고객 맞춤형 홀가먼트 의류 제조 시스템을 지원하는 시스템임

ㅇ Shima Seiki Online Services

- 2019 년 6 월 론칭하는 Shima Seiki社의 새로운 포털사이트로 다양한 웹기


반 서비스를 진행함
- IoT 기술을 활용하여 공급자 차원의 트랜드 분석, 웹기반 제품기획, PLM 관
리, 생산관리 및 모니터링, 기술 서포트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시스템

- 160 -
□ STOLL

ㅇ knitrobotic system

- 편침의 편성운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의류부자재를 제품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knitrobotic system 을 전시하였음
- 최초 제안 제품으로 아직 완벽한 상태는 아니나, 향후 의류 부자재 삽입
또는 산업용 소재 전개시 보강재의 삽입 또는 스마트섬유나 의복 등에 전
자부품을 삽입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기술로 보임

ㅇ ADF 830-24 ki W knit and wear

- ADF 830-24 ki W 모델은 12 개의 트랙과 Weave-in device 에 24 개의 yarn

carrier 가 장착되어 있는 편기로서, 색상과 패턴 적용의 유연성 및 생산성


이 개선된 모델로 횡편 및 홀가먼트 관련 모든 기술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모델임(Ikat Plating, reverse plating, selective plating, intarsia

plating 등)
- Weave-in device 를 채택하여 위사 삽입을 통해 직물과 유사한 물성의 외
관을 보이는 원단을 제작할 수 있고, knit & wear 편기에서의 인타샤 편
직기술이 구현된 모델임

- 161 -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 Knitting width : 84inch(213cm)

․ Knitting system : 3

․ Gauge : E6.2, E7.2, E9.2

․ Features

: Light Curtain(ADF) / CMS-Needle / Gauge Conversion / V-Shaped

Arranged Yarn Control Unit / Weave-in Device

ㅇ CMS 530 ki W

- Technical Textile 분야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CMS 530 ki 모델은 복잡


한 패턴의 효율적 생산이 가능하며, CMS 530 ki W 모델의 경우
Wea0ve-in device 를 채택하여 직물과 유사한 물성을 갖는 편물원단을 생
산할 수 있음

- 162 -
- 본 전시회에서는 CMS 530 ki W 을 이용해 제작된 스포츠 및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용 스마트섬유제품, 자동차 시트커버 및 부품, 신발 갑피, 자
동차 및 우주 항공 애플리케이션 용 섬유 강화 복합 재료 및 기타 여러
가지 다양한 Technical Textile 샘플이 전시되었음
- 설비에 대한 자세한 규격은 아래와 같음
․ Knitting width : 50inch(127cm)

․ Knitting system : 3

․ Gauge : E2, E5.2 ∼ E7.2

․ Features

: Friction Feed Wheels/ CMS-Needle / Gauge Conversion / Clamping

and Cutting Device / Intarsia Yarn Feeders / Plush Device

ㅇ knitelligence

- 고객 지원솔루션으로 디자인에서 제품 생산에 이르기까지 원스톱으로 고


객을 지원하는 웹기반 서비스임

- 163 -
- 164 -
3. 결론

□ 이번 ITMA 2019 에서 편직분야는 전반적으로 2015( 밀라노), 2011( 바르셀로


나)에 비해 출품 기업 및 전시 제품들이 양적으로는 늘어났지만 질적인 변
화는 그다지 크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됨

□ 기술적으로는 생산성을 위한 ① 고속화, ② 다급사화, ③ 신규시장 창출을


위한 ④ 경계를 허물기 위한 노력 정도로 볼 수 있으나, 2015 년의 전시에
비해 크게 진보된 기술이 없었음

□ 또한 지난 전시회까지 경쟁적으로 출시되었던 울트라하이게이지 편기가 이


번 전시회에서 사라졌다는 점은 제품화 및 상용화를 위한 제반 기술개발이
함께 하지 않는 기술경쟁은 의미가 없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음

□ 특히 눈길을 끌었던 것은 경 ․위편 분야 모두 전통적으로 인식되었던 상호


간의 영역을 허물거나, 그간 편직분야에서 쉽게 접근하지 못했던 산업용도
의 영역을 개척하는 제품들이 출시되었다는 점임

□ 각 편성분야에 따라 전시품들을 간략히 요약해보면 ,

ㅇ 환편분야 : 울트라하이게이지 환편기 경쟁의 종말과 더불어 생산성 향상


을 위한 노력, 3-Way Transfer Jacquard 와 Dobule Selection Jacqudard

의 부상으로 이번 전시회를 특징지을 수 있음. 지난 전시회를 마지막으로


울트라하이게이지 편기는 진화를 끝낸 것으로 보이며, 생산성향상에 대한
노력은 이번 전시회가 정점일 것으로 판단됨. 3-Way Transfer Jacquard

와 Dobule Selection Jacqudard 역시 이번 전시회에 전면에 나서 기술적


진보를 이뤄가고 있으며, 향후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적 진보가 이뤄져
야 할 것으로 판단됨

ㅇ 경편분야 : 이 분야를 대표하던 칼마이어(Karl Mayer, 독일)는 진화를 멈


추고, 전통적으로 인식되던 상호간의 영역 허물기에 나선 모습이었음.

- 165 -
환편 특유의 cut&sew 나 bodymapping, transfer jacquard 등에 대한 경
편의 도전은 최근 침체되어가고 있던 경편소재산업에 또다른 기회를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ㅇ 횡편분야 : 스톨(Stoll)과 시마세이키(Shima Seiki) 에서 다수의 전시품을 출


품하였으며, 홀가먼트 편기와 고객 맞춤형 생산을 접목한 스마트팩토어
개념의 네트워크기반 서비스를 출품하였음. 지난 전시회부터 지속되어오
던 산업용 제품군으로의 용도전개가 더욱 진화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 166 -
염색설비 분야

민문홍 본부장(DYETEC 연구원)

1. 서론

가. 수세기 및 염색 설비 분야

□ 이번 ITMA 2019 전시회에 소개된 정련수세 및 염색설비 분야의 개발 핵심


Key-word 는 친환경 공정을 위한 용수 절감과 Smart 컨트롤 시스템의 도
입이라고 할 수 있음. 그러나 이전의 ITMA 전시회에 소개된 설비들과 비
교할 때 크게 차별화되거나 혁신적인 설비는 많이 보이지 않음

□ 염색 및 수세 공정에서의 용수 사용량 절감을 통한 폐수 발생량 감소 , 에


너지 절감, 공정시간 단축 등의 효과를 내세운 설비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
음. 염색기의 염욕 순환 라인에 광학센서를 설치하여 수세공정에서의 효율
적인 용수 절감 및 공정시간 단축 효과를 가지도록 한 설비들도 다수 소개

□ 작업자의 편의성 향상 및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염색결과 편차를 줄이기


위해 IT 기술을 접목한 자동 계량 dosing 시스템, 자동 Self-cleaning 필터,
자동 수치제어 가변형 Jet flow 노즐 등의 다양한 Smart 제어기술 및 실시
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염색설비들이 다수 전시

□ 수세기의 경우에도 최근 날염에서 DTP 출력 원단이 증가함에 따라 다품종


소량 작업에 맞도록 수세조의 용수량을 감소시키고 특수 노즐을 도입하여
효율적인 수세가 되도록 한 설비들이 소개

나. 디지털 날염(D T P) 분야

□ 4 년 전에 개최된 ITMA 2015( 이탈리아 밀라노) 전시회부터 디지털 날염설


비가 기존의 전통적인 스크린 날염설비에 비하여 전시 비중이 더 높아지기
시작하더니 이번 ITMA 2019 전시회에서도 디지털 날염설비의 전시품목과

- 167 -
업체 수가 더욱 증가, 성능 면에서도 급진적인 발전을 이룬 설비들이 소개
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날염기술에 대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
음을 확인

□ 프린팅 관련 전시품목을 살펴보면 2015 년 전시회(213 품목)보다 더 많은


품목(282 품목)이 전시되었으며, 역시 디지털 날염 파트가 기존 날염 파트
보다 전시품목이 많음. 디지털 프린팅 설비도 55 개 업체가 참여했던 2015

년보다 7 개 업체가 늘어난 62 개 업체에서 이번 전시회에 참여. 디지털 날


염의 발전과 동시에 기존의 날염설비도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많은 발전
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재료나 부품, 부대설비 등이 다양하게 전
시. 잉크 관련한 전시도 48 개 업체에서 진행되었을 만큼 디지털 날염이 4

년 전보다 더욱 활성화되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음

ㅇ ITMA 2019 와 ITMA 2015 전시회의 DTP 분야 전시품목 분류 비교


기존 Printing 설비 : Flat/Roll/Rotary screen 설비
ITMA Digital Printing 설비 : 잉크/안료 디지털 프린팅 출력 설비
2015 Printing 공정 관련 : 전사 프레스, 전사 프린터 부품, 라벨 프린터 등
Printing 관련 부속 및 부대설비 : 스크린, 전사용지, 센서 등
기존 Printing 설비 : Flat/Roll/Rotary screen 설비
Digital Printing 설비 : 잉크/안료 디지털 프린팅 출력 설비
ITMA
Printing 관련 부대설비 : 전사프레스, 라벨프린터, 전후처리/수세기 등
2019
Printing 관련 부속 및 재료 : 전사용지, 잉크젯 헤드, 스크린 등
INK : Digital printing ink, Screen printing ink

2015 ITMA 2019 ITMA

< 프린팅 분야 전시품목 분포 >

- 168 -
2. 개발동향

가. 수세기 및 염색 설비 분야

□ 이번 전시회의 정련수세 및 염색 설비 분야의 핵심 개발 동향은 용수 절감


및 공정시간 단축이 가능한 친환경 설비 개발과 IT 기술 접목을 통한
Smart 자동 컨트롤 시스템의 도입이라고 할 수 있음

□ 염색설비의 친환경 공정기술 측면에서는 염색 및 수세 공정에서의 용수 사


용량 절감을 통한 폐수 발생량 감소, 에너지 절감, 공정시간 단축 등의 효
과를 내세운 설비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음. 이러한 설비들은 기본적으로
1:3.5~5 정도의 저욕비 염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염색조를 원단과 염
욕이 분리되도록 설계를 하고 있으며, 염욕의 순환 및 염액의 균일한 염색
노즐로의 분배시스템을 개발하여 도입

□ 또한 , 대부분의 염색설비들이 가변형 Jet flow 노즐, 새로운 원단 이송 채


널 도입, Rapid 염색 노즐에 Air-flow 시스템 도입 등을 통하여 민감한 원
단소재에 대해서도 저욕비에서 균염이 될 수 있도록 개발. 그리고 염색기
의 염욕 순환 라인에 광학센서를 설치하여 염색 후 수세공정에서 염욕의
색상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의 탁도가 감지될 경우 수세공정을 중단하고
자동으로 다음 스텝으로 넘어갈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염색공정
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는 수세공정에서의 효율적인 용수
절감 및 공정시간 단축 효과를 가지도록 한 설비들도 다수 소개

□ IT 기술 접목을 통한 염색설비의 Smart 자동 제어 기술은 작업자의 편의성


향상 및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염색결과 편차를 줄이기 위한 염욕의
pH, 전해질 농도, 색상 등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등이 선을 보였으며,
염조제의 효율적이고 정략적인 공급을 위한 자동 계량 dosing 시스템, 자
동 Self-cleaning 필터, 자동 수치제어 가변형 Jet flow 노즐 등의 기술이 적
용된 염색설비들이 전시

□ 수세기의 경우에도 최근 대량의 스크린 날염보다는 다품종 소 Lot 인 DTP

- 169 -
출력 원단이 많아지고 있는 염색산업의 세계적인 추세를 반영하여 수세조
의 용수량을 감소시켜 색상 변화에 따른 수세조의 빠른 용수 교체가 가능
하도록 하였음. 또한 수세조에서 원단과 오염된 물을 분리시키고 수세 모
듈에 특수 노즐을 도입하여 원단과 물의 접촉 횟수를 늘려서 적은 물을 사
용하고도 효율적인 수세가 될 수 있도록 한 설비들이 소개

□ 그러나 이전의 ITMA 전시회 등에서 소개된 설비들과 비교할 때 크게 차


별화되거나 혁신적인 설비는 많지 않았지만, 이번 전시회를 대표할 만한
특징적인 염색설비에 대해 소개할 예정

□ 비수계 염색설비
ㅇ DyeCoo社 ( 네덜란드)
- DyeCoo 는 세계 최초의 물을 사용하지 않고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하
여 염색을 하는 200kg 급 염색조(Vessel) 3 개가 1set 로 이루어진 상업적인
염색설비인 ‘DYEOX’ 를 개발하여 홍보 마케팅을 진행함
- 초임계 유체 염색설비는 물과 염색 조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유
해한 폐수 발생이 없고, 염색 후에도 원단이 젖어있지 않아 별도의 탈수/
건조 공정이 필요없어 공정시간 단축 및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음
- 염색에 사용된 이산화탄소는 최대 95% 까지 회수하여 재사용 가능함
- 초임계 유체 염색설비의 핵심 기술은 250bar 의 고온고압을 견딜 수 있는
염색조 압력용기 및 고압 상태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순환시킬 수 있
는 펌프 설계 기술, 균일한 염색을 위한 Beam 설계 기술 등이며 이외에
도 초임계 유체 염색용 염료 및 염색 공정기술 등이 함께 개발되어야 함
- 현재는 분산염료를 사용한 PET 섬유만 염색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120 ℃ ,

250bar 조건에서 60~90 분 정도 염색을 하며, 1 batch 염색에 3 시간 정도


소요됨
- 염색 Capa. 는 염색조 1 vessel 당 20~200kg 정도이며, 3 vessel 을 사용하여
하루 24 batch 를 염색할 경우 하루 4,000kg 정도 염색 가능
- 현재 DyeCoo 설비는 대만의 4 개 업체에 8 대(3 vessel 1set 기준), 태국 1

개 업체에 3 대, 배트남 1 개 업체에 3 대로 전체 14 대 설비가 가동 중임


- 염색설비의 총 무게는 130 ton 이며, 설치 필요 하중은 2.5 ton/㎡, 설치 필

- 170 -
요 면적은 냉각 Chiller를 포함하여 14.3m(L) × 9.5m(W) × 4m(H)

- Beam 염색기 type 으로 설계되었으며, Beam 은 Ø 200/400/600㎜ 3 가지 종


류가 있음. 상대적으로 통기성 좋은 편물은 Ø 200㎜ Beam 을 사용하여 최
대 200kg 까지 한번에 염색할 수 있으며, 직물의 경우 조직의 밀도에 따라
Ø 200~600㎜ 를 선택하여 사용함
- 최근 실을 염색할 수 있는 사염 Cheese 용 Beam 을 개발하여 최대 42

cones(7cones/spindle × 6 spindles) 의 사염도 가능하도록 함


- 전기 소모량은 염색 Batch 당 160KWH, 스팀 소요량은 250 kg 소요되어
Batch 당 평균 320KWH 에너지 소요

< DyeCoo 초임계 유체 염색설비의 구성도 및 특징 >

- 171 -
< DyeCoo 초임계 유체 염색설비의 구성 부품 >

< DyeCoo 초임계 유체 염색공정 Process >

- 172 -
□ 저욕비 , 초절수 염색설비

ㅇ NOSEDA社 ( 이탈리아)
- NOSEDA 는 저욕비에서 안정적으로 균일한 염색이 가능한 ‘acqua ZERO’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설비를 개발하여 전시함


- ‘acqua ZERO’ 는 고압 순환펌프 기술을 바탕으로 고밀도 직물 또는 사염
Package 염색에서 피염물의 양에 따라 유연하게 변동되어 저욕비에서도
최적의 안정적인 염액 순환이 가능하도록 함
- 아라미드 섬유, 합성 Felt 등의 산업용 섬유에서부터 신축성 편물, 생활용
섬유, Wool, Silk 등 민감한 섬유에 이르기까지 피염물 소재의 특성에 따
른 다양한 특화된 Beam type 염색기를 개발

< NOSEDA의 acqua ZERO Beam 염색설비 >

- Beam 염색기의 염색공정 중 순환 펌프 차압의 변화, 순환 유량 및 사이


클, 온도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함으로
써 고밀도 직물, 민감한 직물에 대한 염색 data 확보로 균염성 향상
- Beam 염색기의 염액 순환 라인에 작은 Beam에 염색 시료를 감아서 빠르
게 염색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Easy sampling 시스템 설치

- 173 -
< 실시간 염색 모니터링 시스템(左) 및 염색 원단 Easy sampling 시스템(右) >

- ‘icontrol’ 시스템은 twin beam, double beam, 원단의 두께가 다르거나 원


단의 직경이 다르게 감겨있는 Beam 에 대해서도 저욕비에서의 안정적이고
균일한 염액 순환이 가능하도록 함 (FLEX L/D Beam, DUAL 시스템)

< NOSEDA 의 acqua ZERO 및 icontrol 시스템의 특징 컨셉 >

ㅇ FONG’S社 ( 중국 홍콩)
- 아시아 및 유럽 유수의 염색가공 설비회사를 인수 합병하여 계열사로 두
고있는 세계 최대의 염색가공설비 제조업체인 FONG’S 그룹은 다양한 염
색가공 설비를 소개함
- ‘TECWIN’ 고압 염색기는 기존 Jet nozzle 에 Air flow 시스템을 도입한 하
이브리드 개념의 노즐을 개발하여 설치함. 에어 블로워에서 생성된 고압
의 공기역학적 기류를 Jet nozzle 에 공급함으로써 초저욕비에서도 우수한
원단 이송 및 균염이 가능
- 메인 Jet nozzle 전에 Front spray nozzle 을 설치하여 원단에 대한 염욕
교환 정도를 향상시켜 원단의 염색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

- 174 -
- 투입되는 피염물의 양에 따라 적재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조
절 원단 적재 Chamber 도입
- 염액의 분산효과 향상을 위해 염액 분산 저장 Chamber 설치
- 저욕비 염색시 원단 적재 패턴이 더욱 순조롭게 정리되어 염색이 잘 될
수 있도록 염액과 원단을 분리할 수 있는 염색조 염액 분리 디자인 적용
- 작업자에 의한 수동 조절이 필요 없는 모터 드라이브 시스템 적용 염색
Nozzle 자동 조절
- 상/하부 Overflow Rinsing 시스템 적용. 하부 overflow 린싱은 낮은 염욕
수위에서 펌프 작동을 유지하고 염욕 분리효과 개선. 상부 overflow 린싱
은 기존의 전통적인 overflow 린싱 기능을 위해 도입
-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염색기 상/하부에 Door 설치

< FONG’S 의 TECWIC 염색기 사진 및 상/하부 Door 장치 >

- 염액의 순환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효과적으로 염액을 모을 수 있도록


설계를 하였으며, 염색조 하단에 필터를 설치하여 원단에서 떨어진 섬유
린트 및 잔유물을 효과적으로 걸러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
- 광학 센서를 사용하여 수세공정에서 배수되는 물의 색상 지표(Color
Index) 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IIR 시스템 개발. 수세공정에서
미리 설정해 둔 Color Index 값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으로 수세공정을 멈
추고 다음 공정으로 넘어가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수세로 인한 물 소비 및
수세시간, 에너지 소비 절감. 또한 이 시스템을 개별 업체의 염색 폐수와
재사용수 시스템과 결합하게 되면 폐수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음

- 175 -
< 염색기 하부에 설치된 Operated Filter >

< 수세공정에서 배수되는 물의 광학센서 IIR 시스템을 이용한 Color Index 측정 >

ㅇ THEN社 - FONG’S Group ( 독일)


- ‘SmartFlow(TSF)’ 염색기는 라운드형의 염색조를 가진 고온고압 염색기로
염색조 내부 Chamber 크기를 프로그램으로 조절하여 원단 투입량
40~300Kg 까지 염색이 가능하도록 설계됨
- 300kg 용량의 염색기에 최소 용수량 500L 로도 염색이 가능한 저욕비 염색
기로 1:3.3 욕비부터 염색 가능(면 100% 원단 기준으로 1:4~5 수준)
- 최대 9 개의 염색조 chamber 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면
적을 최대 40% 까지 줄일 수 있음
- 염색 및 수세 공정에서 일반적인 색상의 경우 25L/kg, Black 의 경우
35L/kg 정도의 용수 사용
- 염색 Nozzle 은 원형(Ø140㎜, Ø180㎜)과 사각형(85㎜)이 있어서 적용하는
원단 소재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 가능
- 염색조 Chamber 하단부는 PTFE 파이프로 되어있어서 원단 이송 및 기계
세척이 용이하도록 함
- Self-cleaning filter 시스템

- 176 -
- 순환형 원단 적재 Plaiter 를 적용하여 염색시 원단의 효율적인 적재로 균
염성과 원단 이송효과 향상
- 원단 투입시 가이드 로프 없이 손쉽게 원단 투입이 가능한 Easy Fabric

loading 시스템 적용

< THEN 의 TSF 염색기 >

ㅇ MCS社 ( 이탈리아)
- ‘DYNAMICA SPRINT’는 의 저욕비에서도 염색이 가능하도록
1:3.5 Self-cleaning

static filter, Multisuction 펌프, 원심 펌프를 최적화하여 개발된 고온고압


Soft flow 염색기임
- MCS 의 특허 기술인 염색조 내부로 투입되는 염/조제 펌프와 별개로 염
액의 순환을 위한 Multisuction 펌프를 설치하여 저욕비에서도 안정적인
염액 순환이 가능
- 염색조 내부 원단의 적재 Plaiting 시스템과 결합된 새로운 원단 적재 이
송 시스템을 개발하여 염색설비의 실제 염색 Capa. 증가

- 177 -
< MCS 의 DYNAMICA SPRINT 저욕비 염색기 >

의 특허 기술인
< MCS Multisuction pump 개요도 >

- 염액을 배수할 때마다 Self-cleaning static 를 씻어주도록 설계하여 염


filter

색기 내부의 염액 순환 펌프의 압력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음. 이를 통


해 필터의 세정 작업을 줄이고 순환 펌프 자체의 성능을 향상시킴

- 178 -
< 원단 적재 이송 시스템(上) 및 Self-cleaning static filter(下) 개요도 >

- ‘HYDROVARIO’ 시스템을 개발하여 전기적으로 노즐을 조절 제어할 수


있어 다양한 소재에 적용 가능
- 5kg/m 이상의 타월 원단과 같은 무거운 원단의 이송을 위한 별도의 염색
설비 라인 구축

- 179 -
< 전기적으로 조절가능한 가변형 염색 노즐(左) 및 중량물 염색용 설비 사진(右) >

- ‘TSS(Twins Saving System)’ 는 동일한 용량의 염색설비를 2 대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연결된 염색설비의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각
염색조의 아날로그 수위를 센싱하여 컴퓨터를 통해 자동으로 연결된 밸브
를 개폐함으로써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

< 동일 용량의 염색설비를 2대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TSS 시스템 개념도 >

- ‘SOFTFLOW 18│HT’ 염색기는 염색조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투입된


피염물의 용량에 따라 염색조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큰 설비 용량에서도
소량 투입하여 저욕비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설비임

- 180 -
< 염색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SOFTFLOW 18│HT’ 염색기 >

- ‘COMBY Jigger HT-C4’ 직거 염색기는 염색공정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원단의 feed 속도를 100m/min. 에서 120m/min. 으로 향상시킴. 또한 염색
조 내부를 2 개의 파트로 나누어 동일한 원단 양을 2 개의 파트에서 동시에
염색함으로써 염색시간을 40% 단축시켜 생산원가 절감 효과를 가짐
- 원단 양을 반으로 나누어 염색하기 때문에 한쪽에 감긴 원단이 반대쪽으
로 다시 다 감길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Lap time) 을 줄일 수 있어서 염색
공정시간 단축은 물론 균염성 및 재현성이 향상됨
- 또한, 한번에 염색할 수 있는 원단의 양은 동일하지만 한쪽 Roll 에 권취되
는 원단의 길이를 반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장력 조절이 훨씬 유리함
- 2,400m 의 원단을 염색할 경우 권취 속도를 100m/min. 으로 할 때 기존의
전통적인 Jigger 는 1 Passage 에 24 분이 소요되지만, COMBY Jigger HT-C4

는 12 분만 소요되어 100% 생산성 향상 효과가 있음

- 181 -
< COMBY Jigger HT-C4 의 개념도 >

ㅇ BRAZZOLI社 ( 이탈리아)
- ‘ecologic plus Ⅱ’염색기의 특수 설계된 염색조 내부 이동 Plaiter 시스템
은 원단을 염색조 내부 바스켓에 균일하고 최적화되게 적재를 시켜줌으로
써 투입하는 원단의 양에 맞게 최적화된 염색조 Capa. 를 사용할 수 있도
록 해주며 Double 로프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원단 뭉침으로 인한 매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
- BRAZZOLI 특허 기술인 새롭게 개발된 MTS(Magnetic Tower System) 마
그네틱 Reel 은 로프 형태의 원단 염색공정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Reel 의
분해 없이 빠른 Rubber stripes 교체가 가능하도록 설계됨. 또한 새롭게
설계된 Reel flange 를 사용하여 최소 3 년 이상 유지보수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함
- 순환 파이프 라인에 플랜지를 설치하여 간단하게 재순환 펌프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설비 정비를 위한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음
- 서보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되는 가변형 Turbovario nozzle 사용. 적용
가능한 노즐의 직경은 110-148-168㎜ 이며, Terry 타월 조직을 위한 273㎜

특수 노즐도 있음

- 182 -
< ecologic plus Ⅱ 염색기의 주요 특징 >

< BRAZZOLI 특허 기술인 MTS(Magnetic Tower System) Reel 시스템 >

- 183 -
- 염액의 균일한 순환 및 염색조 내부로의 노즐을 통한 균일한 분배 공급을
위해 특허 기술인 multi-intake 시스템을 개발함. 기존의 염액 순환 시스
템과 비교해보면, 염액의 빠르고 균일한 혼합 및 염색조 내부로의 균일한
염액 분배 공급이 가능함

< BRAZZOLI 특허 기술인 염액 순환 multi-intake 시스템 >

ㅇ DANITECH社 ( 이탈리아)
- ‘DANI-OPTIMA’ 염색기는 세계 최초로 전 자동 염색공정을 목표로 제작
된 염색기임. 염색조는 물론 염조제 탱크의 조작 및 파리미터를 전 자동
으로 제어 가능함
- IWS(Intelligent Washing system) 와 통합된 SEE-DO 컨트롤 시스템의 개발
로 염색, 수세, 소핑 공정의 최적화로 에너지 소비와 생산비용 절감 가능
- ‘SEE-DO’ 시스템은 염액 bath 의 색상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공정 중 세정
정도 레벨을 결정하는 IWS 시스템과 염액 중의 염(NaCl)의 농도 또는
Sulphate 의 농도를 측정하는 전도도 측정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음
- 다기능 서비스 탱크 시스템인 MFT(Multifunctional Tank) 를 사용한 새로
운 수세공정 시스템은 MFT 에 버퍼 또는 수세를 위한 용수를 알맞은 양과
온도를 자동으로 맞추어 준비를 하고, 수세를 위해 요구되는 용수의 양을
원심 펌프를 사용하여 유량을 제어하여 염색기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오염
된 물의 배수와 새로 공급되는 깨끗한 물의 유량을 제어하면서 수세공정
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음

- 184 -
< IWS(Intelligent Washing system)(左) 과 SEE-DO 시스템(中/右) >

- 새로 개발된 특허 기술인 염색조 내부 원단이송 채널은 염색조 바스켓에


원단이 적재되는 동안 더욱 효과적으로 원단 로프가 풀리면서 원단 로프
의 꼬임을 막아주도록 설계됨

< 원단 로프의 꼬임 방지를 위해 개발된 원단 이송 Channel 특허 기술 >

- 빠르고 균일한 염색을 얻기 위해서는 염액에 dosing 으로 투입된 염료와


조제의 균일한 혼합이 중요하기 때문에 염액의 균일한 순환 및 혼합을 위
해 보조 순환 펌프를 설치함. 염액이 한쪽으로 쏠리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염색기의 아래쪽에서 균일하게 순환이 될 수 있도록 설계를 함

- 185 -
< 보조 순환 펌프를 이용한 염액 Mixing/ 순환 시스템 >

- 특허 진행 중인 염액 Bath Distribution 시스템은 각각의 염색 Nozzle 에


동일한 염액 유량이 공급 및 분배될 수 있도록 설계됨

< 가변형 Flow Nozzle(左) 및 Bath Distribution 시스템(右) >

ㅇ LAIP社 ( 이탈리아)
- LAIP 의 ‘NAUTILUS’ 염색기는 내부에 원단 이송을 위한 스테인리스 재질
의 특수 컨베이어 벨트를 설치하여 원단에 걸리는 장력과 주름 발생을 감
소시켜줌. 또한 원단과 염액을 분리함으로써 1:4 의 균일한 저욕비로 염색
이 가능하도록 개발됨
- 염색조에는 2 개의 로프가 동시에 염색되도록 설계되어있으며, 2 개의 내부
Reel 을 특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독립적인 속도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
로써 길이가 다른 2 개의 로프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

- 186 -
< LAIP의 ‘NAUTILUS’ 염색기 개념도 >

□ 특수 사염설비
ㅇ LAIP社 ( 이탈리아)

- B.I.D(Bobbins Injection Dyeing) 는 염조제의 Injection 이 가능한 특수


Printing head 를 사용하여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의 날염방식의 Package

사염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특수 사염기임


- 특수 사염 공정은 다음과 같음
① 사염을 할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를 일반적인 코니컬 또는 실린더형
사염용 보빈에 와인딩하여 준비
② 사염하고자 하는 섬유의 일반적인 염색 방법(분산, 반응성, 직접염색
등)에 따라 염료 및 조제를 준비하여 Colour kitchen 설비를 사용하여
혼합하고 40~50 정도로 가열함
③ 섬유 Package 내부로의 균일하고 완전한 주입이 되도록 염료와 조제
의 양에 맞는 single 또는 double injection 을 통한 염색공정 진행

- 187 -
④ 패턴 염색된 섬유 Package 의 균염을 위해서는 펌프의 높은 부스트압
과 진공 펌프의 흡입 조절이 매우 중요함
⑤ 염색된 섬유 Package 는 특수 운반차를 사용하여 진공 스티머에 넣고
고착처리를 함. 스티밍 공정의 처리 시간과 온도는 섬유의 종류에 맞
게 조절함
⑥ 일반 사염기를 사용하여 수세 및 소핑 공정을 진행하여 잔류 염조제
제거 후 건조


< LAIP ‘BID’ 특수 사염기(左) 및 Colour kitchen 탱크, Injection head 시스템(右) >

< LAIP 의 ‘BID’ 특수 사염기를 사용하여 염색된 실과 원단 샘플 >

- 188 -
< B.I.D. 사염기의 핵심 장치인 Printing head, 진공 펌프, 가압 펌프 >

□ 국내 업체의 염색설비
ㅇ 일성기계공업 (한국)
- ‘UNIJET ISDI-R’ 염색기는 Reelless type 의 고압염색기로 이 없기 때
Reel

문에 Reel에서의 원단 슬립으로 인한 원단의 마찰 손상이나 미어짐 없이


안정적인 원단 주행이 가능하며, 기존 염색기 대비 염색조의 흐름판 각도
를 1° 상승하도록 설계하여 1:8~10 정도의 저욕비에서도 균염이 가능하며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음

- 189 -
- 염색할 원단 소재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염색 노즐을 쉽게 교체할 수 있
으며, 특수 펌프를 사용하여 높은 유속과 원단 이송 능력을 가짐
- 염색기 헤더에 사각형 chute( 미끄럼틀)를 사용하여 원단의 꼬임을 방지하
고 액류의 소용돌이 발생이 감소하도록 설계
- 또한, 염색 노즐에서 카운터 노즐의 위치를 메인 노즐 앞쪽에 설치함으로
써 안정적인 주행을 향상시키고 counter flow 효과를 부여함

< 일성기계공업의 ‘UNIJET’ 염색기의 새로운 사각 Chute 및 Counter nozzle 위치 >

- 190 -
ㅇ 동아기계 (한국)
- ‘iSmart’ 시리즈의 염색기는 자동 조절 가변형 사각 Nozzle, 원단 소재의
투입량에 따른 염색조의 Chamber 크기 자동 조절시스템을 탑재하여 소량
염색 및 경량소재의 염색에도 다양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
- Terry 타월 전용 염색설비의 경우 특수 설계된 Head 를 사용하여 타월의
루프 조직이 염색 후에도 살아있도록 하였으며, 타월 원단의 무거운 특성
을 고려하여 윈치 Reel 뒤쪽에 염색 Nozzle 을 설치하여 원단의 원활한 이
송 주행이 가능하도록 함
- 일반 니트, 직물 원단 기준으로 1:3.7~ 정도, 타월 원단 기준으로는 1:4.5~

정도의 저욕비 염색이 가능하며, 원단의 포속은 일반 원단용은 최대


400m/min. 까지 가능함
- 옵션 장치로 망초(Glauber salt) 를 물에 녹이지 않은 분말상태로 공급할
수 있는 Powder dosing 장치가 있음. 이 장치는 염색공정 중 망초를 녹
이기 위해 염색조 내부의 염욕을 조제 탱크로 빼냄으로 인해 염욕 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
- 염색조 내부에는 X, 축으로 이동할 수 있는 원단 적재
Y 가 설치되
Plaiter

어 있으며, 원단 인출 Plaiter 도 X, 축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대량의 원단


Y

인출시 적재가 용이하도록 함

< 동아기계의 iSmart 고압염색기 - 일반 편직물용(左), Terry 타월용(右) >

- 191 -
□ 정련 수세 설비
ㅇ MCS社 ( 이탈리아)
- ‘STARWASH’ 는 MCS 의 특허기술인 고효율 수세조인 ‘Star 드럼’의
Overflow & Bubble 시스템을 적용하여 편물 및 직물 원단 모두에 사용
가능한 확포형 수세장치임
- 수세 시 용수 절감을 위해 수세조의 용량을 350L 로 설계하였으며, 염색된
원단의 색상 및 공정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10L/kg 정도의 물로 수세가
되도록 설계
- 특수 설계된 ‘STARWASH’ 는 원단 가이드 롤러 3 개에 로드 셀을 장착하
여 원단에 걸리는 장력없이 작업을 할 수 있으며, Star drum 에서 발생한
강력한 물살과 기포가 섬유사이로 침투하여 우수한 수세효과를 가질 수
있음
- 외부에는 Self-cleaning 필터가 부착되어 있어서 수세 공정 중 발생한 찌꺼
기 등을 걸러주며, 내부에는 Overflow 필터가 있어서 부유물을 걸러줌

< MCS 특허기술인 확포형 ‘STARWASH’ 수세조 >

- 192 -
< ‘STARWASH’ 수세장치의 수세 효과 >

< ‘STARWASH’ 수세장치 – Bubble 수세 효과(左), Self-cleaning 필터(中), 로드셀(右)

- ‘MULTIWASH’ 는 최근 대량의 스크린 날염보다는 다품종 소 Lot 인 DTP

출력 원단이 많아지고 있는 염색산업의 세계적인 추세를 반영하여 새롭게


개발된 Rope 형 수세장치임
- DTP 날염의 특성상 소량의 원단으로 색상 변화가 심할 경우 색상이 바뀔 때
자주 빠르게 수세조의 용수를 교체해줘야 하므로 원단이 적재되어 수세시
체류시간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는 U-BOX Module 은 1㎥ 의 작은 용수량을
가지고도 강력한 수세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특수 설계되었으며, 원단 적재

- 193 -
량은 225m 정도임. 컴팩트한 설계로 설치 면적도 13㎡ 정도만 필요함
- 또한, IWM(Intensive Washing Module) 수세조는 4 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모듈당 5 개의 수세 노즐을 갖고 있어 20 번의 수세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음. 공정에 사용되는 용수량은 150L 로 매우 낮기
때문에 1 분에 6 회 정도 재순환된 물로 수세를 할 수 있음

< Rope 형 ‘MULTIWASH’ 수세장치 >

- 194 -
< Rope 형 ‘MULTIWASH’ 수세장치 모식도 >

< U-BOX MODULE(左) 및 Intensive Washing Module(右) 수세조 >

- 195 -
ㅇ DANITECH社 ( 이탈리아)
- ‘OPTIWASH’ 는 날염 또는 염색된 원단의 Rope 형 수세기로 가열 장치와
필터 시스템에 연결된 폄프의 2 개 탱크로 구성되어 있음. 수세조는 4 개의
모듈이 있고 각 모듈에는 2 개의 펌프에 의해 작동되어 수세효과를 높여주
는 4 개의 특수 설계된 Nozzle 이 있음(MCS의 IWM(Intensive Washing

Module) 시스템과 유사). 일반적으로 10 개 모듈로 구성된 수세장치를


공급하고 있음
- 각 모듈당 원단의 투입량은 5m 정도로 매우 낮으며, 전체 원단 투입량은
50m 정도임. 1 개의 모듈당 120L 의 매우 낮은 용수량을 가지도록 설계되
었으며 전체 1,200L 의 용수량이 필요함
- 설치 필요면적 13㎡ 로 컴팩트하게 설계
- 모듈에 설치된 특수 Nozzle 로 인해 1 개의 수세조에서 원단이 물과 16 번
활발하게 접촉(전체 160 nozzles) 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수세 효과를 높임
- 상대적으로 깨끗한 다음 수세조의 물이 이전 수세조로 넘어올 수 있도록
한 Countercurrent water 시스템으로 인해 원단이 수세로 인해 오염된 물
과 접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원단과 물을 분리한 극도의 낮은 수위에서도
작업 가능함

< OPTIWASH 수세조 >

- 196 -
나. 디지털 날염(D T P) 분야

□ 이번 ITMA 2019 전시회에서는 디지털 날염(DTP;Digital Textile Printing)

설비 분야의 개발 핵심 Key-word 인 고속/대량화, 소재 다양화, 공정단축


등에 대한 발전된 기술들을 확인할 수 있었음. 지난 ITMA 2015 에서는
Single-pass 방식의 출력설비가 선진업체 3 군데, 국내업체인 ㈜평안에서만

전시했던 데에 비하여 이번 ITMA 2019 전시회에서는 유럽 선진업체 및


중국 업체에서도 Single-pass 출력설비를 전시하면서 DTP 설비를 이용한
고속/대량 날염생산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음

□ 또한, DTP 분야의 최근 이슈인 pigment 프린팅에 대한 솔루션들이 다수


소개되면서 기존 DTP 기술의 소재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과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음

□ DTP 출력 설비

ㅇ MS社 ( 이탈리아)
- 분당 75m 의 높은 생산속도를 갖는 Single-pass 출력기인 ‘Lario’ 를 필두로
속도에 따른 상품군을 분류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하고 있음
- 4 년 전 전시회에서는 경쟁업체들에서 Single-pass 장비가 출시됨에 따라
먼저 출시되어 안정성을 확보했다는 측면에서 마케팅을 하였으나, 금번
전시회에서는 다양성을 확보하여 Lario 는 기존 작업폭인 1,800mm 에서
3,200mm 까지 가능하도록 판매를 하고 있으며, 전사 DTP 를 위한 paper 용
모델의 경우 최대속도를 분당 120m 가 가능한 설비로 출시함
- 기존 JPK EVO, JP7, JP4 EVO, JP4 모델들도 작업폭을 1,800mm 와
3,200mm 의 2 종 작업폭 그리고 fabric 과 paper 모델을 구분한 상태임
-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Mini Lario 모델을 선보여 Single-pass 방식이 너
무 빠르다는 소비자에게 분당 18m 의 생산이 가능한 제품을 출시하여 첫
선을 보였음
- Mini Lario 의 경우 Single-pass 방식은 아니며 64 헤드를 운용하여 고속의
생산을 지원함

- 197 -
< MS社 상품군 >

< MiniLario >

ㅇ Reggiani社 ( 이탈리아)
- Reggiani 는 MS社 와 더불어 고속형 DTP 출력설비의 선두업체이며, 디지털
이미지 전문의 미국 그룹이 인수함에 따라 과감한 투자로 상품군의 다
EFI

양성과 차별화 전략을 취하고 있음


- 2018 ITMA ASIA 전시회에서 Single-pass 방식의 출력설비를 2018 년 11 월
에 출시하여 2019 ITMA 전시회에서 시연을 하겠다는 계획에 따라 이번
전시회에서 Single-pass 설비인 ‘BOLT’ 제품 시연을 진행함

- 198 -
- ‘BOLT’ Single-pass 출력설비는 최대속도가 분당 90m 이며, 원단이 출력부
에 통과되기 전과 통과 후에 로터리 설비 장착이 가능하여 DTP 전처리나
금박 및 스크린 날염이 가능함. 기존의 스크린 날염과 디지털 날염이 동
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설비로 소개됨
- 또한 자사기술에 대한 세미나를 전시기간 중에 개최하여 앞으로 Reggiani 사
가 추진하고자 하는 방향을 설명함. 내용을 요약하면 초고속의 Bolt 를 필두
로 12 색 이상 컬러구현이 가능한 ‘Colors’, pigment 용 출력설비인 에
‘Terra’

설비를 중점적으로 완성시키려 하며, 반응성 잉크와 산성 잉크의 고품질 개


발, Indio 염색 관련 공정 개발 등에 대한 연구의지를 발표함

< Reggiani社 상품군 >

< EFI Reggiani社 세미나 >

ㅇ Stork社 ( 네덜란드)
- Stork 는 기존 프린팅 산업에서 선두기술을 보유하며 70 년 넘게 인정을 받고
있으며, 최근에 프린팅 산업이 디지털화됨에 따라 DTP 출력설비에 연구투
자를 많이 하고 있음

- 199 -
- 4 년 전 ITMA 전시회에서 Single-pass 설비인 ‘PIKE’ 와 Multi-pass 설비인
‘JAVELIN’ 을 공개하고 현재까지도 두 모델에 대한 안정화와 사용자 편의
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
- 다른 메이저 그룹과 차이는 고속의 사양임에도 해상도가 1,200*1,200 dpi

로 높은 퀄러티의 이미지를 얻기 위한 장치임


- 2015 ITMA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Single-pass ‘PIKE’ 를 선보였으며, 이번
전시회에서는 최고 생산속도를 분당 60m 로 향상시킴(기존 분당 40m)

- Multi-pass 장비인 JAVELIN 은 최고 속도 분당 6m 수준이었음

< Stork社 JAVELIN >

ㅇ Epson社 ( 일본)
- 헤드 전문제조 업체인 Epson 은 자체 브랜드의 전사 프린터 및 다이렉트
프린터를 상품화하면서 부품을 넘어서 본격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함.
최근에는 고속형 장비를 제조하던 이탈리아의 Robustelli社 를 인수하여
Monna Lisa 모델에 Epson 의 고속형 헤드를 개발하여 장착함
- ‘Monna Lisa Evo Tre 16’ 와 ‘Monna Lisa Evo Tre 32’ 를 출시하여 전시하
였으며, 인쇄품질로 인정받은 Epson 사의 명성으로 많은 참관객의 관심을
받음
- 또한, 신제품으로 분당 10m 이상 작업이 가능한 ‘Monna Lisa Evo Tre

64’, 상대적으로 저속설비인 ‘Monna Lisa Evo Tre 8’ 을 소개함


- 잉크부문에서도 ‘Genesta PG-Revo’ 라는 전처리가 필요 없는 안료형 잉크를
새로 선보이며 헤드, 설비, 잉크, S/W 등 모든 솔루션이 가능한 업체로
거듭나고 있음

- 200 -
<Epson社 헤드배열 도식 및 64 헤드 출력설비>

ㅇ Aleph社 ( 이탈리아)
- 이탈리아 Aleph 사도 고속형 Multi-pass 장비 ‘LAFORETE 600’ 을 paper

및 fabric 용 두가지를 새로 출시하여 선보임


- 최고속도 분당 8.8m 로 선진업체들이 최근 개발하고 있는 고속형 64 헤드
장비군에 합류하여 작은 규모지만 기술력을 보여줌

< Aleph社 Laforte 600-fabric 설비 >

- 201 -
ㅇ ICHINOSE社 ( 일본)
- 국내에도 높은 인쇄품질로 잘 알려진 일본의 ICHINOSE 도 새로운 제품을
ITMA 전시회에서 발표하였음. 우선 기존의 스크린 날염설비에 잉크젯 모
듈 장착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IUGO’ 를 출시함
- IUGO 는 기본 54 헤드에서 최대 81 헤드 장착이 가능하며 기본 장비의 경우
분당 9m 의 최대속력을 낼 수 있음. 기존 날염설비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
어 스크린 날염에서 디지털로 전환하고자 하는 소비자에게 적합한 제품
임. 특히 ICHINOSE 의 벨트 시스템에는 호환이 매우 용이함
- ‘Ginga’ 라는 이색적인 프린터도 소개됨. Ginga 모델의 경우 환편 소재에
잉크젯으로 프린트하는 방식으로 양말제품에 적합한 모델로 출시됨. 헤드
는 고정이며 환편물을 장착한 봉이 회전하며 잉크가 토출되는 헤드부를
통과하며 프린팅되는 방식임

< 하이브리드 출력설비 IUGO > < 환편물 프린터 Ginga >

ㅇ HEWLETT PACKARD_HP社 ( 미국)


- HP 의 경우 보통의 DTP 출력설비에서 채택한 피에조 방식의 잉크젯 설비가
아닌 써머졸 방식의 잉크젯 헤드를 장착함으로써 그동안 텍스타일 보다는
OA 및 광고용 분야에 많이 사용됨
- 이번에 paper 용
DTP HP Stich S 시리즈를 출시하면서 다시 텍스타일
프린팅 분야에 도전하고 있음. ‘HP Stich S500’, ‘HP Stich S1000’ 의 두 가지
모델을 전시하였으며 S500 모델의 최대속도는 분당 1.2m이며 S1000 은 분당
2.4m 수준으로 최대 작업 폭은 3,200mm 까지 가능함
- 써머졸 방식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헤드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잉크
사용량에 따라 헤드를 무상 공급하는 정책을 사용하고 있으며, 잉크의
건조속도가 높아 저평량 전사용지에 적합하다는 평을 듣고 있음

- 202 -
< HP Stich S500 출력 샘플 >

ㅇ Kornit社 이스라엘)
(

- Pigment DTP 분야의 선두업체인 Kornit에서는 새로운 Roll-to-Roll 설비인

‘Presto S’를 출시함. 기존 ‘Allegro’ 모델의 단점인 느린 생산속도(분당 2m)

를 개선하여 동일 헤드수(64헤드)로 최대속도 분당 3m까지 증진시킴

ㅇ 중국)
Atexco社 (

- 중국의 대표적인 DTP 설비업체인 Atexco사에서는 이번 전시회에 새로운


전사 프린터 ‘Model X’를 출시함. 최대속도 분당 7.5m 수준으로 매우 빠
르지만 설비 자체는 컴팩트하게 출시되어 앞서나가고 있는 중국의 DTP
기술을 엿볼 수 있었음

< Atexco 사의 전사용 출력기 Model X >

- 203 -
ㅇ 기타 DTP 설비
- 일본의 Mutoh社는 새로운 pigment DTP 장비인 ‘ValueJet 1938TX’ 에 개
발된 ‘Diamontex pigment ink’를 장착하여 선보임
- 오스트리아의 Zimmer社 는 카펫 및 타월 등 기모 또는 후지의 직물 프린
팅에 적합한 설비에 주력함
- 국내 업체로는 DGI社에서 나일론 전사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시를
진행하였으며, D.gen 에서는 광폭전사 출력기를 선보임

□ DTP 부대 설비

ㅇ 전처리 설비
- Direct 프린팅 공정에서 잉크젯 분사하기 전 공정으로 직물의 전처리는 필

수임. 국내 대부분 업체에서는 기존의 Tenter 설비를 활용하여 패딩방식으


로 전처리제를 코팅하고 있음
- 최근에는 DTP 전용의 전처리 설비가 나오고 있으며, 이탈리아의 SETeMa

社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음
- 의 전처리 방식은 기존의 패딩방식이며 소량 다품종에 적합하도록
SETeMa

컴팩트하게 설비가 디자인되어있음


- 독일의 WEKO社 의 경우 Rotor spray 방식으로 직물표면에 소량의 전처리
프라이머를 뿌려주어 코팅하는 제품을 판매하고 있고 국내에도 도입사례
가 있음. 이번 전시회에는 WEKO 외에도 RotaSpray社( 독일)가 Rotor

spray 방식의 제품을 선보임


- 이밖에도 영국의 TECHNIJET社가 ‘Swift-jet’ 이라는 spray 코팅방식의 전처
리 설비를 선보임
- 전체적으로 물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정으로 설비의 개발이 진행
되고 있음을 확인함

< TECHNIJET社 의 Spray coater > < RotaSpray社 의 Spray coater >

- 204 -
ㅇ 전사프레스 및 기타 설비
- 전사프레스의 경우 이탈리아의 Monti Antonio社 가 1,000mm 급 직경의 히
팅롤의 온도편차를 최소화하는 고속형 설비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탈
리아의 transmatic社, 네덜란드의 KLIEVERIK社 도 역시 직경이 200mm 에
서 1,000mm 급 히팅롤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음
- 특히 KLIEVERIK社 는 히팅롤에 오일을 100% 충전하여 온도차를 최소화한
자사의 기술을 자랑하며 대형 점보롤 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주력으로 선보임

< KLIEVERIC社 히팅롤 고유 기술 > < KLIEVERIC社 대형 점보롤 전사시스템 >

□ DTP 솔루션 관련

ㅇ DTP INK

- 글로벌 염료 및 잉크제조 업체인 Huntsman社( 스위스)에서는 Epson,

Kyocera, Fujifilm 헤드에 적합한 반응성, 산성, 승화 잉크를 제조하고


있으며 DTP direct 프린트에 적합한 전처리 약제인 ‘PREPAJET’ 을 제공
하고 있음
- 승화전사 잉크로 유명한 KIIAN社( 이탈리아)는 pigment 잉크와 direct

분산잉크를 새로 개발하여 전시함으로써 DTP 에서 소재에 따른 전처리


및 잉크사용의 복잡함과 공정의 차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개발방향을 엿
볼 수 있었음
- 독일의 DR. PETRY社 는 섬유염색 관련 보조제를 개발하는 업체로 이번
전시회에 WEKO社 의 Rotor spray 에 적합한 프린팅 전처리 약제를 개발하
여 전시함

- 205 -
ㅇ 전사용지
- 전사용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전사 DTP 에서 가장 중요한 재료로 잉크를
수용하는 반면에 히팅에 의해 기화된 잉크를 섬유로 이행시키는 역할을 함.
전시된 전사용지들을 살펴보면 전사 DTP 제품들이 생산이 많이 이루어짐에
따라 대량생산이 가능한 저평량(40~50g/m )의 용지들이 개발되고 있음 2

- 스페인의 eurokarpa社 는 40, 50, 75, 90, 95g/m


2
제품군을 보유하며 발색성
및 잉크수용성에 따라 전사날염 솔루션을 제공함. 40g/m
2
의 경우 용지에
코팅량을 최소화하여 옅은 색상의 날염에 적합하도록 설계됨
- 인도의 ZIBO社 도 55~100g/m
2
제품군을 보유하며 Epson, Mutoh, Mimaki,

Roland, MS, Durst 등 다양한 설비에 대하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


- 네덜란드의 TTS社 도 45~150g/m
2
제품군을 보유하며 3,200mm 의 광폭 전
사용지도 생산하고 있음. 스페인의 TEXPAPER 사는 전사용지보다는 전사
공정에서 이염을 방지하는 용지를 판매하며 20, 25, 35, 38g/m
2
의 종이를
생산하고 있음
- 전사용지 분야의 선두업체인 네덜란드 COLDENHOVE社 는 이번 전시회
에서 Cotton에 전사가 가능한 ‘TEXCOL’ 제품을 출시하여 전시함. 육안으로
보기에 발색도 충분하고 마찰견뢰도 및 세탁견뢰도 역시 4 급 이상으로
양호하였으나, 터치감은 Cotton 보다는 필름의 느낌이라 아직은 개발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됨

< COLDENHOVE社 TEXCOL >

- 206 -
3. 결론

□ 이번 전시회의 정련수세 및 염색 설비 분야의 핵심 개발 동향은 용수 절감


및 공정시간 단축이 가능한 친환경 설비 개발과 IT 기술 접목을 통한
Smart 자동 컨트롤 시스템의 도입이라고 할 수 있음

ㅇ 친환경 공정기술 측면에서는 염색 및 수세 공정에서의 용수 사용량 절감을


통한 폐수 발생량 감소, 에너지 절감, 공정시간 단축 등의 효과를 내세운
설비들이 주를 이룸. 저욕비 염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염색조를 원단과
염욕이 분리되도록 설계를 하고 있으며, 염욕의 순환 및 염액의 균일한
염색 노즐로의 분배시스템을 개발하여 도입하고 있음

ㅇ 대부분의 염색설비들이 가변형 Jet flow 노즐, 새로운 원단 이송 채널 도입,


Rapid 염색 노즐에 Air-flow 시스템 도입 등을 통하여 민감한 원단소재에
대해서도 저욕비에서 균염이 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음

ㅇ 염색기의 염욕 순환 라인에 광학센서를 사용하여 수세공정에서 염욕의


색상이 기준치 이하의 탁도가 감지될 경우 수세공정을 중단하고 자동으
로 다음 스텝으로 넘어갈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수세공정에서
의 효율적인 용수 절감 및 공정시간 단축 효과를 가지도록 한 설비들이 소
개됨

ㅇ IT 기술 접목을 통한 염색설비의 Smart 자동 제어 기술은 작업자의 편의성


향상 및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염색결과 편차를 줄이기 위한 염욕의
pH, 전해질 농도, 색상 등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염조제 자동 계량
dosing 시스템, 자동 Self-cleaning 필터 등의 기술이 적용됨

□ 수세기의 경우에도 최근 대량의 스크린 날염보다는 다품종 소 Lot 인 DTP

출력 원단이 많아지고 있는 염색산업의 세계적인 추세를 반영하여 수세조의


용수량을 감소시키거나 수세효율을 높이기 위한 설비들이 소개

ㅇ 날염 원단의 수세작업 시 색상 변화에 따른 수세조의 빠른 용수 교체가

- 207 -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수세조의 용수량을 줄이거나, 수세조에서 원단과
오염된 물을 분리시키고 수세 모듈에 특수 노즐을 도입하여 원단과 물의
접촉 횟수를 늘려서 적은 물을 사용하고도 효율적인 수세가 될 수 있도록
개발됨

□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염색산업의 경기 침체로 인해 국내 염색설비 관련


업체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꾸준한 연구
개발을 통해 이번 전시회에 참가한 국내 업체들이 상당한 호응과 관심을
받음

□ 그러나 해외 선진업체들의 염색설비와는 가격적인 차이는 분명 있겠지만


이번 전시회를 통해 새롭게 선보인 해외 선진업체의 최신 기술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임. 기존에 국내 업체들이 가지고 있는 염색설비에
대한 많은 경험과 know-how 를 바탕으로 차별화 된 초절수, 에너지 절감,
공정단축 프로그램 및 설계기술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보임

□ 디지털 날염설비는 출력 고속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지속되고 있으며 , 이제는


고속생산에서도 고품질/차별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함께
제공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ㅇ 글로벌 잉크젯 프린팅 업체에서 초고속의 Single-pass 에 대한 기술을 확보


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Multi-pass 방식도 고속화 한 다양한 제품군을
전시함. 기계적으로 고속생산이 가능하여 일반화됨에 따라 DTP 관련업체는
차별성과 다양성, 편리성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ㅇ DTP 출력 설비는 계속하여 고속화되고 있으며, 이제는 고속생산에서도


고품질/차별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솔루션을 함께 제공하고 있음.
Multi-pass 방식의 설비의 경우 64 헤드를 적용한 기술이 선보이며
Single-pass 와의 생산속도 차이를 줄여 제품선택의 폭이 더 넓어짐

ㅇ 일본의 ICHINOSE社 의 경우 기존 스크린 날염설비에 잉크젯 방식을 접목


시킨 하이브리드 설비를 개발하였고, 써머졸 잉크젯 방식을 채택한 HP社

- 208 -
도 텍스타일 전사프린터를 새로 출시함. Kornit社를 비롯하여 Mutoh社

등도 pigment 용 출력설비를 출시함으로써 다른 업체와는 차별화된 전략


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음을 확인함

ㅇ DTP 전처리 방식이 기존의 패딩 방식이 아닌 스프레이 방식의 설비들이


출시되면서 용수를 줄이는 친환경적인 공정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
출력물에 대한 품질 차이는 검증이 필요한 상황임

ㅇ 이번 전시회에 많은 잉크제조사에서 pigment 잉크를 제조하고 출력설비


업체와 협력하여 용 출력설비도 개발도 활발히 진행 중임
pigment

□ 중국의 DTP 장비 및 디지털 날염기술이 선진국 수준에 아직 못 미치는 것


으로 판단되나, 많은 자본의 투자와 연구개발에 대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고,
동남아국가인 파키스탄과 유럽의 터키도 많은 설비 투자를 진행하고 있어
이러한 글로벌 변화에 국내 DTP 관련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빠르게 대응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 209 -
가공

윤석한 본부장(DYETEC 연구원)

1. 서론

가. 전시 개요

□ ITMA- 바르셀로나 전시 개요

ㅇ 2019 년 ITMA- 바르셀로나는 스페인 바로셀로나의 국제 전시장(Fira de

Barcelona, Gran via) HALL 1~8.1 관에서 6 월 20 일부터 26 일까지 개최되


었으며, 45개 국가, 1,717개 업체가 참가한 가운데 137개국 10만 5 천여 명
의 참관객이 방문한 명실상부한 세계적인 섬유기계 전시회

- 방문자가 발생한 상위 5 개 국가는 스페인(11%), 이탈리아(10%), 인도(8%),


터키 및 독일(7%)이고, 프랑스, 미국, 포르투갈, 브라질, 파키스탄, 중국,
영국 순이며, 이 수치에서 주목할 부분 중 하나는 2015년 이후 섬유 제조
강국인 중국의 참여가 크게 줄었다는 부분이고, 중국이 격년으로 열리는
ITMA ASIA 에 주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임

- 유럽 섬유기계업체들의 전시 형태와 참관자에 대한 대응방식에서도 중국


에 대한 견제를 확인할 수 있는데 그동안 중국 내 전시회에서 카탈로그
전시가 주를 이뤘다면 이번 ITMA 전시회에서는 실물전시 사례가 크게
증가하였음

<2019 년 바르셀로나 전시홀>


ITMA-

- 210 -
ㅇ 국내의 경우 대림스타릿(염색자동화기), 니텍스제침(편직기 부품), 부광테
크(부직포기), 디젠(디지털프린트기), 삼화기계(부직포기), 이화에스알씨(연
사기ㆍ합사기), 경인양행(염안료), 동아기계(염색기), 디지아이(디지털프린
트기), 이화글로텍(섬유가공기), 풍광기계(섬유가공기), 형제정밀기계(경편
기빔), 동원롤(카렌더기), 티엔에스(경편기 자동장치), 일성기계공업(섬유가
공기), 유케이아이엘(정경기), 삼성제침(편직기 부품), 일진에이테크(방사
기), 한국세폭(세폭직기), 컬러케미(염안료), 매일기계(권사기), 일신기계(와
인더) 등 24 개사가 참여하였음

□ ITMA- 바르셀로나 전시 동향

ㅇ 2019 년 ITMA- 바르셀로나는 지속가능성과 디지털화 분야의 혁신이라는 주


제로 지난 2015 년 밀라노에 이어 4년 만에 개최되었으며, 2015 년도와 마찬
가지로 친환경 에너지 저감형 혁신 설비에 대한 부분이 여전히 핵심이슈

- 2015 년도와 다른 점은 실현방법이나 사례가 좀 더 구체화되었다는 것임.


이번 전시회의 경우 특히, 자동화, 스마트화에 대한 기술이 빠르게 발전
및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 3D 직조와 니팅, 부직포 공정, 친환경 섬유소재 염가공 및 스마트 의류제


조기술 등 제조설비 전 분야에 걸쳐 자동화, 스마트화 솔루션이 적용된
다양한 신기술이 출시되었다. 지속가능성과 인더스트리 4.0 이 향후 섬유제
조 설비 개발의 핵심요소로 할 수 있음

<2019 년 바르셀로나 핵심 키워드


ITMA- – 자동화 , 에너지 저감 시스템>

- 친환경 에너지 저감, 자동화 설비 분야의 경우 독일, 이태리 등 유럽업체


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실증 자료를 함께 제시하고 있다는 특징
적인 부분이었음

- 211 -
□ 가공기 분야 전시 동향
ㅇ 섬유 염색가공 설비 분야에서 이번 전시회의 주요 동향은 2015 년의 주요
이슈였던 에너지 절감, 환경친화, 운전 편이성을 기본으로 하고 있음

- 전처리 설비는 폐수열 회수, 에너지 보온형 설계, 폐수 무방류 시스템 등


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염색설비의 경우는 이전의 저욕비화는 거의 정점에
도달하였으며 지금은 염색 후 수세수의 절감형 설비가 다수 소개 되고 있
으며, 다양한 원단에 적합한 염색안정성 부여, 대형설비의 균염성 확보를
위한 기술이 보편화 되고 있음

- 가공 설비의 경우는 기존 설비 대비 완전히 새로운 변화 보다는 기존


유저의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능을 하거나 가공방법에 따라
hybrid

제품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multi function 형의 제품들이 다수 출시되었음

- 가공설비 부분도 전시 주요 개발 동향과 마찬가지로 친환경, 에너지 저감,


자동화 기술에 대한 확산이 공통적인 현상이었으며, 특히 가공 설비 분야의
경우 에너지 저감 및 생산 효율 향상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혁신이 이루어져
왔음

- 이번 전시회에서도 이러한 설비들에 대한 업그레이드가 계속해서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용자의 운전 편이성이 향상된 설비가
다수 소개되었음

ㅇ 본 보고서에서는 2019 ITMA 전시 내용 중 섬유 가공기 분야에 대한 설비


기술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한 관련 분야의 산업전망을 고찰하고자 함

- 212 -
2. 개발동향

가. 설비 및 기술 동향 (IT M A 전시 기준)

□ Tenter 설비

ㅇ Montex tenter – Monforts( 독일), Fong‘s Group( 중국) 인수

- 2015 년에 소개된 heat recovery eco booster( 열회수 장치: 그림 9 번)가 포


함된 설비로 형태와 기능의 큰 변화는 없으나 에너지 절감형 applicator 가
적용되었으며, 실시간으로 장비의 데이터를 송신,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기능으로 기존 장비에 비해 13% 이하의 에너지 절감효과와 함께 최적의
운용 솔루션 제공
․ 폭 2m, 중량 150g/㎡ 의 직물을 6,000 시간 운전할 경우 의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
35%

며, Eco booster 세정에는 약 100L 정도의 용수만 소모되며, 모든 공정은 자동으로


진행

<에너지 회수장치인「Eco Booster HRC」 가 장착된 stenter「Montex 8000」>

- Matex Eco Applicator( 그림 2 번)


⋅ 최소한의 용액으로 가공 처리가 가능하여 에너지 및 비용절감에 유리하
며, 가공액을 1side 또는 2side 로 처리할 수 있어 2 가지의 서로 다른 가
공제를 동시에 처리하는 것이 가능
⋅ 유연 , 친수, 소수, 방오가공 및 데님 섬유에 대한 over dyeing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

- 213 -
<Matex Eco Applicator>

- Carbon coating roller

⋅ 벽의 두께가 얇고 굽힘 강성이 높아 스크린 프린팅과 마그네틱 롤러 코


팅에서의 전자기력 효과가 증가함

<Carbon coating roller> <Eco booster HRC>

- Twin therm air circulation system( 옵션으로 제공)은 두 개의 별도 air

circulation 방식을 채택, 상단과 하단 사이 최고 60 ℃정도의 온도 차이를


허용하기 때문에 온도에 민감한 소재의 건조나 single side 가공한 자동차
용 nonwoven carpet 등의 건조에도 높은 건조 효율을 얻을 수 있음

- 각 chamber 아래에는 두 개의 rotating screen air cleaner 이


“Disc-O-clean'

장착되어 있어 작업 중 발생되는 모든 dust성 물질을 운전 중에도 쉽게 제


거가 가능하여 텐터의 작업효율을 일정하게 유지

- 214 -
ㅇ The multi-layer stenter - BRUCKNER( 독일)

- 원단 투입구와 배출구가 같은 방향에 위치하여 1 명으로 가동이 가능하며,


좁은 공간에서 설치가 가능한 열효율이 우수한 2 단 텐터

< 원단 투입구와 배출구가 같은 방향> < 열효율이 우수한 2단 텐터>

- 텐터 배기가스 정화 및 폐열 회수 시스템
⋅ Bruckner 사는 폐열회수부와 배기가스 정화부가 조합된 시스템 개발. 고
효율 열전달 및 경량화 위해 알루미늄소재 적용
⋅ 열회수율은 35%, 열교환기 자동 세정 장치 설치(steam 및 고압 수분사
방식)로 오염물질에 의한 열교환량 감소를 방지
⋅ 자동 세정 스크러버와 2 단계 정전압 및 필터 설치로 배기가스 내 오염
물질도 제거

<Bruckner 사 Heat recovery & Air purification system>

- 215 -
ㅇ TEXTINNO tenter –이화글로텍 한국
( )

- 에너지 절감을 위한 일체형 배기시스템 적용. 챔버와 일체형으로 설계되어


방열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촉매를 이용한 대기정화 시스템인 INNOECO

& INNOENERGY 시스템을 적용. 챔버 내에 N – zone 을 설치하여 챔버


내부공기와 외부공기의 완충역할로 결로현상 방지 및 챔버 내부 외기 유
출 방지효과와 챔버 내부 공간확보로 인한 유지보수가 용이

- 가공 공정의 통합관리 시스템 솔루션 제공


⋅ 작업공정의 프로그래밍 및 실제 작업 데이터 값의 메모리 기능 , 여러 대
의 설비를 동시에 연결하여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에너지 소비량
의 계산 및 데이터 저장 기능
⋅ IT 네트워크 기반으로 모바일 폰을 통한 실시간 작업 데이터의 모니터
링이 가능하며, INNODENS 라는 자동밀도 조절장치가 있어 운용이 용이

<INNOECO & INNOENERGY 시스템> < 챔버내에 N– ZONE>

네트워크 기반 실시간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

- 216 -
□ Coating 설비

ㅇ Montex Allround – Monforts( 독일), Fong‘s Group( 중국) 인수

- module multi coating head "Montex Allround


Ⓡ를" 2015 년 소개 이후 지
속적인 업그레이드 및 시스템 안정화
⋅ 자체 특허기술로 개발된 module multi coating head 는 coating 가공 등
섬유의 각종 가공 공정에 유연하게 활용이 가능. Slide-in/slide-out 기술
을 적용하여 다양한 섬유 가공기 라인에 옵션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필
요시 영구히 장착 가능하며, coating module 의 세척 등 maintenance 를
최소화해 줄 수 있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
⋅ Montex Allround 는 tenter 작업이나 coating 작업 등 원하는 가공에 따
라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변환 가능한 module. knife system(knife

on the roll, knife over roll), foam coating, comma bar 가 장착되어 있
어 원하는 coating 방식 선정 가능
⋅ 그 외에도 slot coating(cold system) module, rotary screen printing,

gravure printing, flexography printing 이 가능한 printing module 외에


powder scattering 과 침지 가공용 module, laminating module 도 설치 가능

<Montex Allround (infeed/overfeed 장치, slide-out 위치에서의 coating head)>

- 217 -
ㅇ ECO-COAT - BRUCKNER( 독일)

- Pre-dosed kiss-roll 방식으로 액 bath 에 침지하지 않아서 가공 후 배액되


는 가공제 량이 5L 이하이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3 가지 경로로 원단을
진행시킴으로써 침지, 편면가공이 가능함

- 운전 정보 및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네트워크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


템 적용을 통해 생산 효율과 불량률 최소화 관리 가능

< 네트워크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 Compact 설비

ㅇ Supercompact – SINTEC TEXTILE( 이태리)

- 기존의 설비들이 1 단 또는 2 단으로 된 팰트 가공 part 를 가지는데 비해 3

단으로 된 팰트 컴팩터를 독점 개발(특허 보유)함으로써 가공속도의 증가


와 설비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
- 200 ℃ 이상의 고온까지 승온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온도에서 가공이 가능
하며, 가공 효율이 우수함

- 218 -
< 이태리 SINTEC TEXTILE 의 Supercompact>

ㅇ Rubber compactor, Felt compactor – Bianco( 이태리)

- 기존의 open 컴팩터 라인에 사용되는 rubber 와 felt part 를 hybrid 함으로
써 기존에 문제가 되었던 cotton knit 제품의 수축률을 표면 필링 발생 없
이 3% 이내로 가공이 가능

< 이태리 Bianco 의 하이브리드 compactor>

- 219 -
□ Sanforizing 설비

ㅇ Toptex compactor ‘Sanford system’ - Monforts( 독일), Fong‘s Group( 중국) 인수

- Monforts 에서 개발된 산포라이징 설비로 Rubber 수명이 길고 automatic

grinding 기능이 부착되어 있어 Rubber blanket 교체시간이 짧고 타 설비


에 비해 용수 사용량도 40% 까지 절감 가능

<Monforts 의 Sanfor system>

⋅ 기계적 수축은 가열된 shrinking cylinder 와 rubber belt 사이에서 이루


어짐. 압력 roll 이 가열된 shrinking cylinder 쪽으로 rubber belt 를 누르
면 가공물은 한껏 신축이 일어나고, roll 이 압력이 제거될 대 belt 는 다
시 수축. 이 때 rubber belt 와 cylinder 사이에 있는 fabric 은 belt 의 움추
림 동작을 따라하게 되어 수축이 발생. Rubber belt 에 있어서의 압력변
화에 따라 fabric 의 수축률이 달라짐. 옵션으로 제공되는 CCD 카메라를
입출구 쪽에 장착하여 IR 의 grey scale image 로 부터 위사, 경사 수 등
을 확인할 수 있음
⋅ 대상 소재 및 요구 품질에 따라 Monfortex 와 toptex 등의 다양한 방축
가공기와의 조합으로 보다 우수한 방축가공 가능

ㅇ POWER-SHRINK - BRUCKNER( 독일)

- 독일 BRUCKNER 의 니트용 산포라이징 설비인 POWER-SHRINK 는 펠트


calender 와 펠트 벨트 compactor 를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니트 소재에 고
품질의 유연 촉감과 최소 잔류 수축률을 발현. Rubber 벨트 뒤에서 원단
이 guide 와 scroll roller 를 지나 펠트 calender 로 유입되어 저장력으로 릴
렉싱 벨트를 지나 와인더로 이송되는 방식

- 220 -
⋅ 소재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폭 2m 기준, 중량 50~300g/㎡ 의 범위원단에
대해 30m/min 의 속도로 처리 가능하며, 대상 소재는 이너웨어, 아웃웨
어용 셀룰로오스계 소재 및 폴리에스터, 나일론 소재 적용 가능
⋅ 가공 전 수축률 8~10% 에 달하는 니트 소재의 경우에도 잔류 수축률을
최소로 일정하게 유지 가능하며, 면소재 0%, 탄성소재 0~3%, 레이온 소
재 2~4% 수준의 잔류 수축률 제어 가능

<Bruckner 의 POWER-SHRINK>

□ Shrink dryer 설비

ㅇ Krantz Syncro Shrink dryer – iNTERSPARE( 독일)

- 그동안 shrink dryer 라인의 생산을 중단하였던 독일 iNTERSPARE 에서


새롭게 출시한 Krantz Syncro Shrink dryer 는 원단을 아래에서 위로 진행
함으로써 over feed 를 극대화하였고 챔버 내에서 원단의 가공효과를 극대
화하기 위하여 air guiding system 과 stepped nozzle 시스템을 도입함으
로서 수축률과 고급스러운 터치감 부여

< 독일 iNTERSPARE 의 Krantz Syncro Shrink dryer>

- 221 -
<독일 iNTERSPARE 의 Krantz Syncro Shrink dryer 도면>

ㅇ Swing drop( 연속 텀블 드라이어) –일성기계공업 한국 ( )

- 기존 설비에서는 볼 수 없는 와일드한 액션을 보여주는 설비로 ITMA 전


시회에서 처음 소개되어 많은 관심을 받은 설비.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knit 원단의 축률 향상 및 품질 고급화를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향후 장
비의 안정화를 위한 업그레이드가 진행 중
- 진자운동의 원리로 내부 chamber 가 좌우로 흔들리면서 원단이 위에서 아
래로 떨어지면서 강한 마찰 작용이 일어나며 steam 에 의한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용도에 따라 5m 길이의 chamber 를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

내부 원단 action

< 일성기계공업의 연속 텀블 드라이어 Swing drop>

< 일성기계공업의 연속 텀블 드라이어 Swing drop 도면 및 원리>

- 222 -
- 일성기계공업에서는 ITMA 전시회에서 Swing drop 과 더불어 우수한 성능의
위곡조절기(i-FRAME340) 장비도 함께 소개하였으며, 고속(340fps급) 고해
상도(2048*1024) 센싱 카메라를 활용하여 원단의 위곡 및 조직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가지
3 알고리즘(line, circle, DFT

SCANNER) 으로 원단상태 확인 가능

<일성기계공업의 위곡조절기 I-FRAME340>

ㅇ Jet - Buffer( 연속 텀블 드라이어) –일성기계공업 한국 ( )

- Chamber 내에 있는 노즐을 통해 뜨거운 공기를 강하게 공급하여 직물을 빠


르게 이송하고 버퍼 존에 있는 hole 을 통해 뜨거운 공기가 빠져나가게 되므
로 직물의 이송속도가 급격하게 줄어들게 되는 원리로 tension 없이 직물에
진동이 일어나게 됨. 축율, 태, 벌키성, 드래이프성이 좋아지는 효과

- 223 -

설비 내부 원단 action

< 일성기계공업의 연속 텀블 드라이어Jet - Buffer>

ㅇ open 및 rope knit 용 연속 텀블러설비‘EnAIRgy’ - Pentek( 이태리)

- 이태리 Pentek 의 open 및 rope knit 용 연속 텀블러 설비인 EnAIRgy 는 직


물과 편물 모두 처리 가능하며, Dry 및 Wet & Steam 방식 동시에 가능하
며, 가공물의 유연성, 볼륨감, 터치 및 형태안정성 등의 고품질 확보 가능
⋅ Airflow control system 인 ‘Ecowin’ system 에 의해 원단이 주행하고 있
는 구간만 공기가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여 일반
가공기 대비 50% 이상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으며, 원단에 처리된 각
종 가공 조제에 의한 스모킹 현상도 최대한 줄일 수 있음
⋅ Crash no flying effect ( 특허기술) : 일반적으로 가장 강한 텀블링효과는
고압으로 조절되는 기류를 낼 수 있는 두 개의 원심 환기장치
(centrifugal ventilator) 에 의해 얻을 수 있음. 이 때 SS grid 에 대항해
발생되는 반복되는 충격으로 fiber 의 swelling 에 의한 soft touch 와
drape 등의 EnAIRgy 효과를 얻게 됨
⋅ Steam + Hot air : 스팀 분사의 균제도가 knit 제품의 릴랙싱 등 품질에
중요한 요소가 되며, air 의 정밀한 조정과 별도 이송벨트 설치로 원
flow

단 이송 시 나타날 수 있는 장력 등의 기계적 작용을 완벽하게 제거가능

- 224 -
< 이태리 Pentek 의 연속 텀블러 설비인 EnAIRgy>

ㅇ SANTASHRINK - Santex( 프랑스)

- 프랑스 Santex 사가 소개한 tubular 및 광폭 open 니트 소재용 무장력 수


축 및 relaxing 가공기로 Chamber 수에 따라 건조기 길이 및 처리용량을
대폭 조정이 가능하며, 원단이 overfeed 롤러와 특수 받침대가 장착된 이
송 벨트로 이송되면서 웨이브를 형성하면서 건조 가공기를 통과하는 방식
⋅ 자체 기술의 Nozzle alignment 는 원단의 최적의 건조와 텀블링 효과를
부여하며, 스팀과 vibration chamber 는 수축공정에서 벌키감을 증진
⋅ 출구 쪽에는 나무 선반 이송 벨트가 있어 원단이 토출되기 전에 냉각효
과가 발현. 모든 chamber 는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한 린트 필터가 장착되
어 있어 작업 중에라도 수시로 청소가 가능하며, 자동 크리닝도 가능
- Santex ESC-energy saving chamber : 의 방축가공기
Santex 로부
Santashrink

터 폐열회수 및 재사용 설비. 동일한 에너지로 15~17% 의 생산량을 올릴 수


있으며, 최대 20% 까지 에너지 절감효과(투자 회수기간 1.5년 보장). 별도 열
교환기가 필요하지 않고, 각 chamber 온도는 자유롭게 설정 가능

- 225 -
< 프랑스 Santex의 SANTASHRINK>

ㅇ BRIO Ⓡ 24, Aquaria – Biancalani( 이태리)

- BRIO Ⓡ 24 는 2018 년 ITMA 아시아에서 축율 0% 를 보장하는 고효율 설비


로 처음 소개된 바 있으나, 당시 철저한 보안 속에 내부공개 뿐 아니라
자료배포조차 꺼려했던 설비
⋅ Heated air channel 에서의 건조와 안정된 기계적 작용에 의한 수축을 유
도. 원단의 주행 라인은 완벽한 직선 주로를 이루며 진동에 의해 fabric

은 자연스럽게 밀려 나가 건조 chamber 로 부드럽게 유입되어 multiple

air jet 에 의해 점진적으로 건조됨


⋅ 필링 발생없이 최대 수축률 20% 이상 수세 후 잔류 수축률 0% 까지 달
성 가능
⋅ 시간당 60kg 에 달하는 높은 건조용량과 동시에 건조효율이 높아 에너지
소비가 적으며, 설비가 Compact 해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음

<Biancalani 의 BRIO Ⓡ 24>

- 226 -
- BRIO Ⓡ24 와 더불어 이번에 소개된 AQUARIA 는 건식 설비인 Brio24 의 습
식형 설비임
⋅ 기존의 dry type 이 air를 이용한 이송 및 원단과 설비의 물리적인 충격
에 의하여 섬유의 태를 향상시키는 설비인데 반하여 AQUARIA 는 air 로
원단을 이송하는 것은 동일하나 wet 상태에서 수세와 물리적 충격을 동
시에 주어 무결점의 제품을 실현하고자 한 설비임
⋅ 사용용도로는 효소가공, 피치스킨, 신축성직물의 이완, 호발, 알칼리 처
리 등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건식 설비인 Brio24 의 습식형 설비라
고 할 수 있으며, 설비의 제조 컨셉은 Biancalani 의 핵심 주요 설비인
AIRO 를 기본으로 하고 있음
⋅ AQUARIA 는 비스코스, 큐프라, 폴리아마이드, 텐셀 등과 같은 섬유뿐만
아니라 면직물, 린넨, 실크 및 양모와 같은 천연 섬유로 구성된 직물과
모든 합성물을 포함한 합성 섬유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현

<Aquaria 의 주행 모식도>

- 227 -
<Biancalani 의 AQUARIA>

ㅇ Biella shrunk process - Biella( 이태리)

- 스티밍 처리에 의한 shrinking, relaxing 및 conditioning 설비. 스팀과 물


및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스티밍 터널로 유입되는 hot & Humid 시스템
방식으로 고효율 축소와 최적의 치수 안정성 및 유연성을 부여할 뿐만 아
니라 스팀 사용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에너지저감 설비

<Biella 의 자체 특허기술 "NANOMIX" 시스템>

- 228 -
⋅ Steam tunnel : 챔버 상단으로 유입된 공기는 반대편 channel 을 통해
steaming tunnel 의 inlet point 와 outlet point 에 도달. 이 때 형성된 두
개의 공기막이 보이지 않는 차단막 역할을 수행해 스팀 누수를 최소화
시켜줌으로써 tunnel 내 증기포화도를 높여주게 됨. 상단에서의 공기 막
은 원단 상에서의 부분적인 스팀 응축을 위한 냉각기능을 가지고 있어,
결과적으로 최대의 수분율을 갖도록 해 줌. 하단에서는 원단이 통과할
때 증기를 즉시 뽑아 낼 수 있는 흡입장치가 연결되어 있어, 스팀을 뽑
아 배출관으로 이송
⋅ Steam box : 높은 열전달율로 인해 증열효과 상승. 내부에 3 개의 서로
다른 pipe 가 장착되어 있음 (다공성 고온고압 steam pipe, water spray

nozzle pipe, 자동 클리닝 시스템)

<"NANOMIX" 의 Steam channel 과 steam box>

□ 기타 가공설비
ㅇ 액체암모니아 가공기 – Nontong Ruituo Machinery( 중국)

- 이태리 Ruituo-Machinery 를 인수한 중국 Nontong Ruituo Machinery 에서


는이번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액체암모니아 가공기를 선보임
⋅ Nontong Ruituo Machinery 는 이태리 Ruituo 사를 인수 합병 후 기존 기
술진을 활용하여 Ruituo 사 설비 디자인을 기반으로 직물과 편물가공이
가능한 액체암모니아 가공기를 처음으로 선보임
⋅ 기존 액체암모니아 가공기에 암모니아 가공 후 변부를 pining 할 수 있
는 장치를 부여하여 형태안정과 더불어 직/편물 모두 가공이 가능한 설
비로 최초로 선보인 업체이며, 액체 암모니아 회수시설도 포함

- 229 -
ㅇ COMPAS – Santex SperottoRimar( 이태리)

- 본 설비는 주로 천연섬유와 그 교직물 특히 레이온 형태안정과 데님류의


후가공에 적합한 설비
⋅ 특별한 탄성치를 가진 특수 벨트를 사용하여 섬유의 압축력을 증가시키
는 혁신적인 아이디어/시스템에 기반함
⋅ 벨트는 설정된 값에 의해 선 장력을 받으며 , 원단과 접촉할 시점에 최대
장력을 받게 되며, 이후에 벨트는 장력이 풀리고 원래 상태로 돌아가고
섬유는 길이방향으로 압축되어 이동

< 이태리 의
Santex SperottoRimar COMPAS 설비>

- 230 -
ㅇ Dream air( 연속가공기) – Pentek( 이태리)

- 본 설비는 주로 여성의류, 니트류의 피브릴 효과, 면과 라이오셀 섬유의


염색 후 효소가공, 데님의 fade-out, 이완효과 등을 목적으로 사용
⋅ 에 의하여
air 25~35 초마다 번갈아 원단이 이송되며 이때 원단은 물과 가
공제에 의해 항상 젖은 상태를 유지
⋅ 가공제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dosing part( 가공제 사용수에 따라 늘리거
나 줄일 수 있음)가 있으며 각각의 kier 에는 펌프와 필터, 열교환기와
온도 컨트롤러가 독립적으로 부착

< 이태리 Pentek의 Dream 연속가공기)>


air(

- 231 -
ㅇ Dry powder 함침 시스템 - FiBROLiNE( 프랑스)

- Dry powder 함침기술은 복합재 및 기능성섬유 제조를 위한 습식공정의


대체가 가능. 다양한 종류의 파우더 함침과 함침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물과 솔벤트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친화형 제조 공정
⋅ 메디컬 분야 와이퍼 , 카펫, 인테리어 소재로 적용 가능

<FiBROLiNE 사의 dry powder impregnation 모식도>

ㅇ 실시간 센싱 기술을 활용한 친환경 고효율 시스템 - PLEVA( 스위스)

- 스위스의 센서 및 컨트롤러 개발업체인 PLEVA 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


한 트래버싱 비접촉식 수분측정기(폭방향 최대 2,000g/㎡ 의 수분측정 가
능) 등 다양한 센서를 섬유제조 공정 설비에 적용
⋅ 온도센서 TDS 8 개, 습도센서 FSX 1 개, 잔류수분 측정센서 RR 1 개 등
총 10 개의 센서 연결이 가능한 제어 박스 PPB 개발 : 코팅, 열처리, 연
속염색, 포목교정라인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 트래버스 카메라와 영역별 교정이 가능한 새로운 모델 ZS (Zone

stragtener) 이용해 전폭에 대한 교정능력 향상 : 포목 교정기 적용

- 232 -
<PLEVA 사의 센서 및 컨트롤러 적용 사례>

ㅇ Weightex SW – Bianco( 이태리)

- 기존의 방사선 동위원소를 이용한 무게 측정이 아닌 저전력 soft

backscatter X-ray 를 이용한 무게 측정 장치

< 이태리 Bianco 의 Weightex SW>

- 233 -
3. 결론

□ 개발 동향 요약 및 시사점
ㅇ 친환경 및 지속가능성이 수요기업들의 제품 선택의 주요 기준이 됨에 따
라 친환경 섬유소재, 친환경 제조공정, 제조 제품의 친환경 인증 확보가
섬유 산업의 핵심경쟁력으로 대두
ㅇ 소비자 중심의 맞춤형 제조공정, 유연한 인력 운용, 품질 향상 등을 위한
자동화, 스마트화를 통한 제조공정 혁신 요구 확대
ㅇ 지속가능한 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친환경 저에너지형 산업구조에 대한
인식이 사회 전반에 확산됨에 따라 제조공정에서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
으로 제조혁신 범위가 확대되어 소재 및 제품 생산에 있어 제조시스템의
혁신이 매우 중요
ㅇ 섬유 가공설비 분야에서 주요 설비 개발동향을 요약하면 친환경, 에너지
절감, 디지털화(자동화, 스마트화)를 통한 운전 편이성 및 품질 향상, 인력
절감으로 정리할 수 있음
ㅇ 2019 ITMA 에서 섬유 가공설비 분야의 경우 이전 전시회에서 소개된 기
존 설비 대비 완전히 새로운 변화 보다는 기존 유저의 요구사항을 해결
하기 위하여 기능을 hybrid 하거나 가공방법에 따라 제품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multi function 형의 제품들이 다수 출시
ㅇ 인력 절감의 경우 인더스트리 4.0 에 맞는 디지털화와 시스템의 compact 화
및 유지보수 간편화를 위한 시스템 개선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고, 에너지
절감의 경우에는 열 회수 재사용 장치의 적용도 많았지만 공정 과정에서
의 저 에너지에 의한 최대 가공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는 고효율 시스템
개발이나 공정단축 등이 핵심 기술로 등장
ㅇ 가공설비에 있어서도 품질향상과 지능형 공장 실현을 위한 각종 sensor 의
발전과 가공설비의 복합화, 다기능화를 통하여 한 가지 설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거나 몇 가지 모듈화된 설비를 조합하여 다
양한 품목에 적용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음

- 234 -
의류 자동화 분야

정원영 수석연구원(한국생산기술연구원)

1. 서론

가. 개요

□ 1951 년에 시작하여 4 년마다 개최되어 섬유분야 올림픽이라고 불리는


International Exhibition of Textile Machinery(ITMA) 는 섬유 및 의류 전
체 생산공정을 포괄하는 가장 크고 유일한 쇼케이스라고 할 수 있음. 특
히 ITMA 2019 는 19 개의 전시분야, 45 개국 1,700 개 이상의 전시부스,
220,000m
2
이상의 전시면적으로 종전 최고 기록을 갱신함

<ITMA 2019 가 개최된 Fira de Barcelona>

□ 금번 전시회는 3D 제편직, 하이테크 부직포공정, 화학물질분야 지속가능기


술, 최첨단 의류제조기술, 소프트웨어 기반의 자동화솔루션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신기술이 소개되었음

□ 이번 ITMA 2019 에서의 키워드는 “Sustainablility through Automation

and Digitalization“ 이었음. 의류산업의 경우 비교적 자동화가 더딘 산업중


의 하나인데, 이는 자동차와 같이 모든 아이템이 동일한 제조공정을 거치
지 않으며, 아직은 개발도상국의 저렴한 노동력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임.
또한 높은 초기투자비용, 의류 제조의 복잡성, 빈번한 스타일변화 등으로
자동화 도입이 까다로운 상황임

- 235 -
□ 1 달여 앞서 2019 년 5 월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된 Texprocess 2019 에서 34

개국 317 개 업체가 참가하여 의류제조를 위한 최신 기계, 공정 및 서비스


를 선보인 바 있으며, 그에 비해 ITMA 2019 에서는 의류 자동화분야의 장
비 업체가 상대적으로 적게 참가한 것으로 확인됨

<ITMA 2019 Hall 구성>

□ Garment & Embroidery 는 Hall 3 에 일부 영역으로 참가를 하였고, Hall

8.0, 8.1 의 Knitting 분야에서도 의류 및 신발 완제품 분야의 자동화 관련


최신기술이 비교적 많이 소개됨

□ ITMA 및 Texprocess 에 소개된 의류 및 완제품 분야의 기계, 공정 및 서비


스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음

ㅇ CAD/CAM, product development

- 2D/3D 디자인, 패턴 및 그레이딩 제작과 관련된 혁신기술 소개


- CAD/CAM, 바디 스캐닝, 가상 prototype 및 산업 규모의 제조 공정에 대
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및 기술

ㅇ CMT (Cutting, Making, Trimming)

- 절단, 분리, 삽입 및 조립을 위한 보조장비, 기계 및 공정

- 236 -
ㅇ Fusing, setting and manufacturing preparation

- Fusing, labelling 및 marking 을 위한 장치 및 관련 기술

ㅇ Knitting technology

- Fat-knitting, circular knitting, special stitch formation, linking machines

등 편물 및 제품화 관련된 최신기술과 관련 부품들 소개

ㅇ Embroidery technology

- Single and multi head embroidery machines, automated systems,

tensioning accessories, reversing units 등

ㅇ Stitching, joining and fastening technology, automation technology

- 단추, 리벳, 후츠 등의 부착 장비, 재봉 장비, 웰딩 장비 등 joining 장비의


자동화 기술

ㅇ Quality control

- 인증 및 제품검사를 통한 품질 표준 확보 기술

ㅇ Textile logistics

- 저장 및 물류비용 절감을 위한 제품의 folding, placing, binding, labelling

장비 및 공정기술

ㅇ Information Technology

- IT 기반의 혁신적인 생산, 계획 및 제어 시스템을 통한 상품관리 기술

나. 의류 제조 공정의 자동화

□ 자동화(automation)란, 생산시스템을 운영하고 조절하기 위하여 전기전자,


기계, 컴퓨터 시스템을 적용한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됨. 의류 생산
에서의 자동화는 첫째, 공장 제조시스템의 자동화, 둘째, 제조시스템의 컴
퓨터화로 구분이 가능함

□ 자동화는 생산율 및 노동 생산성을 증대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적


인 생산을 가능하게 하며, 선진국의 노동력 부족 및 임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또한 제조 품질을 향상시키고 생산자에게 경쟁력을 부가할 수 있
는 장점을 지님

- 237 -
□ 의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다양한 기술 및 기계의 개발로 디자인 및 패턴설
계(CAD/CAM), 텍스타일 제조(Spinning, Weaving, Knitting, Dyeing 등),
텍스타일 연단(Textile spreading machine) 및 재단(Automatic cutting

machine) 은 자동화율이 매우 높음. 그러나 재단물의 합봉을 위한 봉제와


최종 제품의 품질검사는 아직 부분적인 자동화에 머물러 있는 상태로 판단됨

□ 봉제분야는 부분적인 부품 접합 등의 자동화가 시연되었고 , 로봇암을 활용


한 봉제물의 이송, 패키징 등의 자동화가 일부 소개되었음. 전반적으로 봉
제기술은 기계화(mechanization)에서 자동화(automation)을 향해 발전하고
있으며 조만간 로봇화(robotics)의 단계로 진화할 것으로 기대됨

□ 단순한 CAD/CAM 설계기술을 뛰어넘어 개념화(conceptualization), 구체화


(definition), 예비제작(pre-production), 생산(production)까지 연속되는 시스
템으로써 버츄얼 피팅까지 가능케 함으로써 시제품 제작에 따른 경제적,
환경적 손실분을 줄이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

< 표> 의류 제조 공정 자동화의 장단점

Advantages Disadvantages

- Fastplanning and scheduling

- Reduced production time

- Improved data collection

- Control of production at multi-locations - Less versatility

- Higher production, increase in (limitation of flexibility and variety)

profitability - Larger initial investment

- Reduced waste as the operations can be - Increase in unemployment

paperless - Unpredictable costs

- Less human error and more repeatability

- Increase in accuracy

- Less employee costs

- 238 -
2. 개발동향

가. I T MA 2019 의 의류자동화 관련 개요

□ ITMA 2019 참가업체 리스트의 index 를 통하여 확인된 의류자동화분야의


참가업체는 아래 표에 정리된 바와 같이 총13개국 23 개 업체임. 그 중 유
럽 업체가 10 개국 19 개 업체로 집중되어 있음. 전술한 바와 같이 앞서 독
일에서 개최된 Texprocess 2019 로 인한 영향으로 ITMA 2019 에는 의류자
동화 분야의 참가업체가 다소 축소된 것으로 판단됨

□ CAD/CAM 시스템, 연단, 재단, 봉제, virtual fitting 기술 분야 등의 다양


한 업체가 참가하였으나 특히 재단 자동화 장비가 주를 이루었음. 재단자
동화 장비는 대량생산 가능한 knife type 과 특수목적 및 정확도가 높은
laser type 이 많이 소개되었으며, 특히 laser cutting 뿐만 아니라 laser 를 이
용한 친환경 가공 분야의 장비도 다수 소개가 되어 주목을 끌었음

< 표> ITMA 2019 의류자동화 관련 참가업체 목록

NO Company name I ndex of products Country B ooth

Advanced cutting technology,Cutting machines, CAD system, Spain

H1-C106
S.A.(Oteman) Fabric spreading, Fabric inspecting
1
machines

2 Comatex Textile Machinery Automatic cutting systems, Bag Italy H1-C230

Srl stitching and end-to-end sewing

machines, Fabrics guiding devices

3 Best Bilgisayar Elektronik Laser machines for special effects Turkey H2-A206

Sanayi Ticaret Ltd. Sti on broad fabrics (denim)

(ARGES LASER) Laser cutting machines

4 VAV Teknoloji Bilisim San Laser machines for special effects Turkey H2-A212

Ve Tic A.S. on broad fabrics, Other software

(VAV Technology) and systems for product planning,

design and related automation

technology for garment making,

Washing machines
5 MONTI-MAC Srl Mechanical cutting machines, Italy H2-C207

Automated sewing units

6 S.Roque-Maquinas E Rotary screen printing machines, Portugal H3-A108

- 239 -
Technologia Laser (ROQ) Inkjet Printers, Handling, Packing,

labelling and marking machines

for the garment making industry


7 AVA CAD CAM group Ltd Inkjet printing, CAD system, UK H3-B119

Engraving systems

8 ES Automatex Solution AB Automated sewing units Sweden H3-C250

9 Zund System technik AG Cutting machines, CAD system, Switzerland H3-D227

Automatic cutting systems

10 Suzhou Transparent Automated sewing units, General China H3-D230

Electronic Technology (TPET) automatic conveying and handling

equipment for the textile industry

11 Eurolaser GmbH Laser cutting machines Germany H3-D231

12 JUKI Central Europe Sewing machines, Automated Poland H3-D234

sewing units

13 RSG Automation Technics Automated sewing units Germany H3-D242

GmbH

14 Thermotron S.A. Folding machines for ready made Greece H3-D246

textiles and garments


15 IMA SPA Fabric spreading and laying Italy H3-E204

machines, Automatic cutting

systems
16 FK Group Srl Automatic cutting systems Italy H3-E206

17 KURIS Spezialmaschinen Automatic cutting systems, Hand Germany H3-E207

GmbH operated cutting machines

18 Durkopp Adler AG Automatic buttonhole machines, Germany H3-E209

Automated sewing units


19 PFAFF Industrie systeme Automated sewing units, Germany H3-E209

und maschinen GmbH Ultrasonic seaming equipment

20 INL International technology Hanging garment transportation Singapore H3-E211

PTE Ltd systems, General automatic

conveying and handling

equipment for the textile industry


21 Autimak S.L –Folding Folding machines for ready made Spain H3-E224

&packaging of T-Shirts textiles and garments

(AUTIMAK)
22 Shima Seiki MFG, Ltd Knitting machines, Cutting Japan H8-B106

machines, 3D body scanners

23 Singapore machinery co pte Hanging garment transportation Singapore H8-C107

(SMCPL) systems

※ 이후 기술동향 및 주요업체는 위 ITMA 2019 참가업체뿐만 아니라 해당분야 핵심기술을


주도하는 주요 업체들을 함께 소개함

- 240 -
나. 의류 설계 시스템

□ CAD/CAM 시스템

ㅇ CAD(Computer aided design) 란, 실물이나 시각적인 디자인을 위한 컴퓨


터 응용기술로 용도에 따른 재료선정, 공정과정, 사이즈 선택 및 오차 등
과 같은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음

ㅇ 의류산업에서 CAD 가 활용되고 있는 분야는 패션 디자인 및 일러스트레


이션, 패턴 디자인, 패턴메이킹, 그레이딩 및 버츄얼 피팅(virtual fitting)

등이 있음. CAD 를 통한 작업공정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음

<Application of CAD in patternmaking, grading and creating 3D avatars for visual fit>

- 개념화(conceptualization) : 디자이너의 취향이나 의류업체의 고유스타일


및 패션정보 등을 토대로 전개할 디자인의 아이디어 및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과거 실루엣이나 유행색 자료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기술이나 3 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한 샘플링으로 샘플제작의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 활용

- 241 -
- 구체화(definition) : 제작할 의상의 색채, 소재, 형태를 구체화하여 디자인
을 완성하는 것. 전통적인 이미지 보드 대신 photoshop 이나 illustrator 를
통해 이미지맵 구축이 가능함

- 예비제작(pre-production) : 이미지상의 디자인을 실제로 제작, 인체에 입


혀보는 과정을 반복하여 실제 생산에 이용되는 최종 평명 패턴을 출력하
는 과정. 소재디자인, 그레이딩, 마커 메이킹 시스템 등이 활용 가능함

- 생산(production) : 패턴들을 재단하고 봉제하여 최종 의상을 생성하는 것.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이 활발하게 도입. 재단과정에 있어
서 CAM 은 marking planning, spreading, cutting 과 같은 작업들을 유연하
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 최근에는 패턴메이킹 소프트웨어와
연단기 및 재단기가 통합되면서 원부자재 소요량을 절감하고 신속한 수정
및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해짐

□ 3D virtual fitting 시스템

ㅇ 최근 실제 샘플을 제작하기 전 drape 성과 fit 감 등을 확인하고자 하는 요


구가 증가함에 따라 많은 CAD 개발 업체들은 2D 에서 3D 로의 전환을 시
도 중임. 이러한 시스템은 2D 패턴 조각을 시각적으로 봉제하여 fit 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

ㅇ 3D CAD 소프트웨어는 디자이너의 스케치를 통해 디지털 이미지를 형성


하고 시각화함으로써 물리적인 샘플 제작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함.
또한 패턴 디자인과 그레이딩, 마킹, 재단까지 품질 증진 및 정확성 향상
등이 주요한 장점임. 특히 금번 ITMA 2019 의 중요한 키워드인 지속가능
성 측면에서도 수차례 샘플제작에 따른 폐기물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매우 주목받고 있음

ㅇ 3D 시뮬레이션 방식은 전통적인 패션산업의 과정처럼 패턴을 위치시키고


소재의 물리적 특성을 입히고, 의복의 재단과 보정, 이후 봉제로 결합하는
공정을 거쳐 애니메이션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

- 242 -
ㅇ 의류의 3D visualization 에서 drape modeling 은 CAD 를 활용한 의류 디자
인 시스템의 핵심 기술임. 디자이너가 컴퓨터를 활용해 의류 패턴의 정확
도, 원단의 적합성 및 디자인을 평가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그 외에도 원
단의 장력에 의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

□ 주요 CAD/CAM 시스템

ㅇ Gerber Technology ( 미국)


- 패션비즈니스 라이프사이클 전체를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
벌 기업으로 패턴 디자인, 자동 연단기, 자동 재단기 등 CAD/CAM 시스
템을 취급하고 있으며 한국에서 가장 먼저 사용하기 시작한 시스템으로
보급률이 높음

<AccuMark 3D and AccuNest automated nesting software by Gerber>

ㅇ Lectra ( 프랑스)
- 직물, 가죽, 산업용 섬유, 복합소재 등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에 특화된
통합기술솔루션(소프트웨어, CAD/CAM 장비 및 관련 서비스)을 제공
- Lectra Fashion PLM 4.0 은 의류 생산의 통합 관리 솔루션으로 AI 및 ERP

등과 호환하여, 제품 생산 계획에서부터 디자인, 생산과 관련된 여러 정보


를 저장하고 공유함으로써 대량주문생산(mass customization), 맞춤생산
(made to measure) 및 신속한 제조(agile manufacturing) 를 가능하게 함

- 243 -
<Lectra Fashion PLM 4.0>

ㅇ Optitex ( 이스라엘)
- 의류, 가방 및 카시트의 가상 착의를 위한 Optitex 2D 및 3D 프로그램과
CAM 장비, 레이저 재단기 등을 생산함
- 실제 샘플을 만들지 않고 원단의 물성치를 입력하면 fitting 이 가능하고,
다양한 아트웍 및 악세서리를 자유롭게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Optitex

2D, 3D 프로그램(O/Dev solution) 을 선보임. 이는 2012 년 미국의 Target

과 공동으로 발표하면서 전 세계 처음으로 상용화 됨

<O/Dev Solution by Optitex>

ㅇ Assyst ( 독일)
- 3D 시뮬레이션과 패턴 CAD 를 통합하여 2D 패턴을 3D 모델로 변환하고,
3D 디자인은 즉시 생산을 위한 CAD, sizing 및 fitting, marker, design

techpack 파일을 형성함

- 244 -
<3D Vidya by Assyst>

ㅇ TUKAtech ( 미국)
- TUKA 3D 프로그램은 가상의 핏 모델을 사용자가 지정하고, 2D 패턴을
기초로 실제와 같이 가상 의류 샘플을 제작하여 바이어들에게 바로 보여
줄 수 있는 시스템임
- 모델이 이동하거나 춤추거나 달리기하는 등 애니메이션 기능을 수행함으
로써 다양한 동작에서의 drape 성과 fitting 을 확인할 수 있게 함

<TUKA 3D from TUKAtech>

ㅇ Browzwear ( 싱가포르)
- 2D 패턴을 3D 모델링으로 변환하여 3D 가상 프로토타이핑이 가능한
VStitcher, 3D 에서 디자인 작업이 가능한 Lotta 프로그램을 제공. 특히
Adobe 의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레이터 등의 툴로 쉽게 작업이 가능하고,
2D 도면과 패턴을 Lotta 프로그램과 동기화 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임
- 맞춤형 디자인을 즉각적으로 시도해볼 수 있는 3D 패션디자인 플랫폼 서
비스(Smart design) 를 제공하여 핏이나 칼라, 소매, 디테일 디자인 등에
제시된 옵션을 선택하여 나만의 맞춤 의류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

- 245 -
<VSTITCHER and Smart design platform from Browzwear>

ㅇ Shima Seiki ( 일본)


- 횡편기 분야의 세계적인 선두기업으로서 CAD 및 3D 시뮬레이션 프로그
램도 니트웨어에 특화되어 있음
- Wholegarment 니트웨어 생산에 있어, SDS-One APEX 3 디자인 시스템을
통하여 가상 샘플 제작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실제 생산 이전에 미리 디
자인된 니트웨어의 실루엣 및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

<SDS-ONE APEX 3 from Shima Seiki>

- SDS-ONE APEX 시리즈는 Shima Seiki 사의 모든 생산 장비들을 연결하는


핵심이며, 아래 이미지에서 큰 나뭇가지처럼 퍼져나간 제조 흐름은 기획,
생산 및 판매의 세 가지 프로세스를 중단 없이 서로 연결하고 서로 순환
시켜보다 효율적이고 높은 품질을 제공하는 것을 도식화 한 것임

- 246 -
<Big Tree from SDS-ONE APEX Series>

ㅇ CLO virtual fashion ( 한국)


- 3 차원 가상 기술을 의류에 융합하여 샘플 제작과정을 가상으로 실현함으
로써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한 3D apparel sample CAD

system 임
- 사용자 중심의 직관적인 2D 패턴의 3D 구현, 패턴디자인, 3D 드레이핑,
피팅, 로고프린트 등의 기능을 구현하며 최근에는 국내 패션 대기업인 LF

와 함께 온라인 3D 피팅과 맞춤의류 디자인을 위한 솔루션 개발 프로젝


트에 참여하면서 디자이너의 작업을 지원하는 수준을 넘어 on-demand 맞
춤 생산을 위한 새로운 방식을 제안함

<CLO 3D>

- 247 -
ㅇ Textronics Design Systems ( 인도)
- 섬유 및 의류 설계 분야의 소프트웨어 솔루션 제공 업체로써 retail

solution 과 다양한 직물 설계를 포함한 CAD system 분야의 사업영역을


보유하고 있음
- Tailor-i 시스템은 맞춤형 의류의 요구사항에 대응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
반 대화형 플랫폼임.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커프스, 칼라, 옷
깃, 피트 등을 선택할 수 있어 온오프라인 맞춤형 상점이 될 수 있음

<Tailor-i system from Textronics>

ㅇ 이외에 C-Design Fashion(C-Design, 프랑스), Zedonk Software(F2iT, 영


국), Inventor(Autodesk Design, 미국), PolyNest(Polygon software, 스페
인) 등이 있음

- 248 -
다. 자동재단시스템

□ 재단공정의 특성 및 종류
ㅇ 재단은 신체적, 정신적인 부담이 큰 분야로 작업자의 상태에 따라 효율성
과 품질이 달라짐. 특히 작업자의 기술과 경험, 결단력에 의해서 크게 좌
우되는 분야임에 따라 자동화에 따른 관리 및 제조 관리가 제일 먼저 이
루어짐

ㅇ 자동재단시스템은 1 인 작업이 가능하고, 정확성이 우수함. 또한 ERP, 원


부자재 관리시스템 및 CAD/CAM 과 연동되어 생산주문에 따라 원단의
소요량, 재단시간, 생산성에 따른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최적조건을 도출
하며, 가장 효과적으로 원단을 절감하기 위한 레이아웃 구성 및 재단 방
법을 결정할 수 있게 해 줌

ㅇ 자동재단시스템은 cutting device, 이를 고정시키는 carriage, carriage 를


이동시키는 crossbar, 재단 작업이 이루어지는 working surface 로 구성됨.
모터를 이용하여 재단테이블의 X, Y 축으로 이동되며, 재단테이블은 고정
형 혹은 컨베이어 벨트형이 있고, 대부분 펼쳐진 원단을 고정하기 위하여
vacuum 이 통합됨
system

<Digital cutting system 의 구조>

- 249 -
ㅇ 현재 의류 생산에 활용되는 자동재단시스템의 cutters 는 knife cutters,

laser cutters 및 water-jet cutters 로 구분되며 각각의 특징은 아래 표와


같음

<표> 재단기의 종류

종류 특징

- 원단의 자동 재단에 폭넓게 사용되는 장비


Automated - Rotary blade, Drag, Oscillating knife 및 Punch 등 자르는 형태나 두께에

knife cutters 따라 다양
- 여러 장을 한 번에 재단하는데 용이

- 높은 정확성과 속도, 유연성, 간단한 작동법 및 우수한 자동화 수준


- 재단 시, smoke particles이나 soiling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흡입하는
필요
extraction system

Automated - Textile의 조성에 따라 외관 상 변화 발생 : 천연섬유의 경우 annealing

laser cutters marks, 합성섬유의 경우는 melting, darkening 등 발생

- 경량 원단의 경우 재단 중 칼날의 움직임으로 변형 및 왜곡이 가능하여


레이저 커팅이 보다 적합
- 나이프 커팅에 비하여 복잡한 패턴의 원단을 재단하는데 효과적

Water-jet - 최근 의류산업에서의 사용 증가 추세
system - 종이, 폼, 플라스틱, 고무, 원단과 같은 부드러운 물질을 자를 때 사용
for cutting - 섬유를 손상시킬만한 수준의 열을 발생시키지 않음
textiles - 좁고 날카로운 가장자리 혹은 어려운 윤곽선을 자를 때 사용

□ 주요 자동재단기 현황
ㅇ GERBER, DSC cutter ( 미국)
- High-speed single-ply 테이블 재단기로써 컴퓨터로 시스템을 운영하며,
vacuum system 을 함께 갖추고 있어 재단 중 발생하는 먼지 및 오염물을
흡입함
- Cutting head 는 straight knives, wheel knives, notching tool 및 punches

로 구성되어 재단 중 칼날의 교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됨

- 250 -
<DSC 2500 of Gerber technology>

ㅇ Lectra, Cutting Room 4.0 solution ( 프랑스)


- 준비부터 생산 단계 전반에 이르는 전 과정을 자동화하고 최적화할 수 있
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컨설팅 서비스의 토탈 솔루션임
- 모든 자동재단기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하기 위하여 180 여개의 센
서를 탑재함으로써 실시간 모니터링 및 재단기 효율 분석을 실시하고 있
으며 vacuum system 을 일체화하여 고르게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함
으로써 재단 품질을 향상시킴
- cutting head 에 설치된 벨트식 칼날 연마 시스템은 보전시간을 감소시킴
으로써 다운타임(down time) 을 최소화할 수 있게 설계함

자동재단시스템
< Vector 및 재단 헤드의 벨트식 칼날 연마기>

ㅇ ZÜND ( 스위스)
- Cutting machine 및 software 에 특화된 기업으로 그래픽, 패키지, 가죽,
텍스타일, 복합재 및 산업용 소재의 정교한 절삭을 위한 기술 및 장비를
제공함

- 251 -
- 지난 Texprocess 에서 Digital Textile Micro Factory 프로젝트를 통해 지능
화된 재단시스템을 소개함. 개별적으로 주문된 제품의 데이터 파일 정보
를 확인하고, DTP 를 통해 원단에 인쇄된 패턴을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하
여 재단 지점을 정확히 인식, 최적화된 cutter 공정 조절로 완벽한 자동
재단을 수행함

<Digital cutting machine of Zund>

- 금번 ITMA 2019 에서는 “perfect pattern matching on textile” 이 가능한


업그레이드 된 디지털 재단기를 선보임

<Digital cutting machine of ITMA 2019>

- 252 -
ㅇ Morgan Tecnica ( 이탈리아)
- 패션산업에 특화된 CAD/CAM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기업으로
2018 년, 설립 10 주년을 맞이하여 향후 Industry 4.0 에 의한 새로운 포트폴
리오를 제공하며 Cut order planning 과 PDM, 및 virtual fitting 기능을
도입함으로써 패션 토탈 솔루션 기업으로의 도약을 발표함
- 소량 맞춤 생산을 위한 single ply cutting machine 과 강력 모터를 이용해
4,500 및 6,000 RPM 속도로 매우 빠르게 다량의 원단을 재단할 수 있는
multi ply cutting machine 을 전개함

<Morgan Tecnica Maquina de Cort Next 70>

ㅇ Bullmer ( 독일)
- 의류와 신발, 자동차 시트, 가구 등을 위한 cutting system 제조 기업으로
“Made in Germany” 를 내세우며 혁신과 정교함을 강조함
- Industry 4.0 기류에 맞춰 초대형의 커팅 시스템과 printed clothing 을 위
한 다기능 커터로 구성된 시스템이 최근 주력하고 있는 분야임. 원단에
인쇄된 윤곽선을 판독하기 위한 multi-array scanner system 인 “Scan &

Cut” 기술로 정교한 재단이 가능함

<Bullmer cutter for printed materials>

- 253 -
ㅇ Autometrix ( 미국)
- CNC 와 연동하여 폼, 직물, 가죽, 비닐, 탄소섬유 등을 plotting 하고 재단할
수 있는 장비를 제공함. 재단되는 재료에 따라 Catalyst, Argon, Radium

의 3 가지 형태의 자동재단기가 있음

<Cutting solution of Autometrix >

ㅇ KURIS ( 독일)
- 소프트웨어 개발부터 연단 및 재단 기술분야를 포괄하는 라인업을 보유하
고 있으며 의류산업분야뿐만 아니라 자동차, 항공우주, 산업용섬유, 가구
및 건축분야 적용이 가능한 최적의 특수용도 재단기 설계 및 개발을 수행
하고 있음

<KURIS spreading and cutting technology>

- 254 -
- 텍스타일용 high-ply cutter, 가죽용의 in-line solution, off-line solution 등
을 제공하며 특허 받은 scanning station 을 적용하여 automatic nesting 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정확도와 효율성을 극대화시킴

ㅇ Eurolaser ( 독일)
- 비금속재료의 cutting & engraving 을 위한 High performance laser

machines 제조업체로써 재단의 정확성, 자동공급 가능한 컨베이어시스템,


왜곡 없는 무접촉 레이저 절단, 단일 작업스텝으로 컷팅 및 라벨링, 광학
인식시스템 등의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 텍스타일 소재뿐만 아니라 목재, MDF, 아크릴, 가죽, 복합재료, 탄소섬유
부직포 등에도 적용이 가능한 flexible laser system

- 최초로 양모의 레이저 재단이 가능한 Cut’n’Protect Technology 를 기반으


로 특허를 획득하였고, 레이저 재단 중 양모 섬유가 용융되어 깨끗한 절
삭면을 제공하여 트리밍 처리단계 없이 연속 공정이 가능함. 재단시 발생
하는 냄새 또한 해당 특허기술을 통해 최소화함

<Eurolaser 의 laser cutting system>

ㅇ 이외에도 Eastman( 미국), Novocut( 독일), Oteman( 스페인), Elitron( 이탈리아),


FK group( 이탈리아), Iberlaser( 스페인), Sei Laser( 이탈리아), Rofin( 독일),
Trotec( 오스트리아), BITO( 미국), Golden laser( 중국) 등이 있음

- 255 -
라. 봉제 자동화 기술

□ 의류 봉제기술의 특징
ㅇ 의류산업의 경우 비교적 자동화가 더딘 산업이며, 실제로 100 년전과 비교
해보았을 때 특히 봉제분야는 변화가 가장 더딘 산업 중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음

ㅇ 봉제는 텍스타일을 결합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기술로 결합기술의


85% 를 차지함. 또한 봉제는 의류를 제조하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로서 섬
유 제품의 가치를 부가하는 단계로 총 제조비용의 35~40% 를 차지하며
이에 따라 제조 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임금이 저렴한 곳으로 생산지가
이동하는 경향을 보임

ㅇ 최근 봉제기술은 기계화(mechanization)에서 자동화(automation)를 향해


발전하고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는 로봇화(robotics)의 단계로 진화할 것으
로 기대됨

M echanization Automation R ob otics

→ →

< 봉제 기술의 변화>

- 256 -
ㅇ 봉제작업은 loading, sewing, unloading 의 3 단계로 구분됨. 일반적인 작업
장에서 loading 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며, sewing 과 unloading 은 부분적
으로 자동화되고 있는 실정임
- 재단물의 투입 (Loading of fabric component) : 이 단계는 원단을 집어서
배열하고, 접고 맞추어 봉제기계의 presser foot 아래로 밀어 넣는 과정을
포함함. 본 과정에서는 원단의 겉면을 확인하기 위한 visual 혹은 touch

sensor 가 필요하며, 원단 더미로부터 낱장의 원단을 집어 올릴 수 있는 특


화된 gripping 기술이 적용되어야 함
- 재단물의 봉제 (Sewing of fabric component) : 이는 봉제 바늘을 움직이
고 봉제과정이 완료될 때까지의 가이드, 배열, 맞춤, 측정 및 고정 등의
과정을 포함함. 근접센서나 광학센서에 의하여 봉제기술은 기계화가 된
반면, feed 동작은 장력을 조절하는 시스템을 별도로 필요로 함. 또한 크
기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원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clamp feed 나
template sewing 을 요구하기도 함
- 봉제물의 제거 (Unloading of sewn component) : 봉제물을 제거하는 과정은
재봉사를 잘라서 쌓아올리기 위한 sliding, flipping, folding 을 포함함

ㅇ 의류 봉제는 평편했던 2 차원의 텍스타일이 봉제를 통해 솔기(seam)가 형


성되면서 3 차원의 공간적인 구조를 갖게 된다는 것이 특징임. 실제로 평
면의 2D 봉제기술은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technology) 를 활용하여 이미 부분적으로 제조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음

ㅇ 로봇을 기초로 하는 봉제시스템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개발이 활발하게 진


행 중임. 아직 기초적인 수준으로 가능한 디자인이 한정적이지만, 산업용
로봇을 활용한 의류 봉제는 머지않아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됨

ㅇ 봉제의 자동화 관점에서 미래의 트렌드는 모듈화(modularization), 디지털


화(digitalization), vision-based sewing, IoT robotics 를 꼽을 수 있음
- 봉제장비의 모듈화는 서로 다른 기계 간 기본 부품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쉬운 관리 및 운영비 절감 효과를 노릴 수 있음
- IoT 기능은 모든 봉제기계를 인터넷을 통해 연결하고 원거리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면서 생산성 데이터 분석을 현실화함

- 257 -
- Vision system 의 경우 이미 시장에 물결이 형성되어 기계의 움직임을 감
독하고 봉제 과정 중 원단을 취급하는 작업자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화의 핵심임

<Brother 사의 vision sewing system>

ㅇ 사람과 함께 작업하는 협업 로봇인 cobots 은 섬유의류산업에서 가장 빠르


게 활용할 수 있는 분야로 주목할 만함.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에 따르면 2019 년까지 전 세계 공장에서 새로운 형태의 산업용


로봇 약 140 만대가 운용될 것이라고 예측하였으며, 이 중 인간과 짝을 이
루어 작업하는 cobots 이 대세가 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음

□ 자동 봉제 개발 사례
ㅇ SoftWear Automation “SEWBOT”

- 미국 아틀란타에 위치한 SoftWear Automation 의 창업자이자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의 교수인 Steve Dickerson 은 봉제를 위한 로봇기


술을 연구하여 2015 년 자동봉제시스템 SEWBOT 을 출시함

<SEWBOT 과 기존 의류생산공정의 supply chain 비교>

- 258 -
- 해당 특허를 2012 년에 획득하면서 미국방성 연구개발 기관인 DARPA 로부
터 연구계약을 수주하였으며, 이후 Walmart Foundation 으로부터 약 200

만 달러의 자동 봉제 시스템 생산라인 구축을 위한 투자를 유치함


- Softwear Automation 사는 2017 년 완전하게 자동화된 T-shirt work-line 을
선보였는데, 이 시스템은 원단의 재단에서부터 완제품 봉제까지 약 4 분이
소요되며, 연간 800,000 벌의 셔츠 생산이 가능함. 현재 Adidas 에 납품하기
위한 티셔츠를 생산하는 용도로 중국 Tianyaun Garment Company 의 미
국 공장의 생산 라인 개발 계약을 체결함
- 시스템은 자동봉제기계인 ASM(Auto Sewing Machine), 직물을 잡고 옮기
는 로봇팔 LOWRY, 직물이 봉제될 수 있도록 모든 방향으로 직물을 이동
시키는 Budgers 로 구성됨. ASM 은 기본적인 바느질뿐만 아니라 주름잡기
와 옷단 정리, 옷감 이어 붙이기 등 다양한 바느질 작업 수행이 가능함.
LOWRY 는 공기 흡착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직물을 구김 없이
신속하게 ASM 에 전달함

AS M LOWR Y B UD G ER S

<SEWBOT 의 주요 구성요소>

<Tech Pack of T-shirt and digital Sewbot workline from Softwear Automation>

- 259 -
ㅇ Atlanta Attachment 사
- 미국의 봉제기계 제조사인 atlanta attachment 는 매트리스, 의류, 인테리어
및 가구 제조를 위한 산업용 봉제기계를 세계적으로 공급하고 있음
- 의류제조 분야에서는 밑단처리, 소매 및 칼라봉제, 라벨봉제, 주머니 봉제
등과 같은 부분적인 디테일 봉제에 있어서 완전 자동기계 혹은 반자동기
계를 개발함. 이는 봉제할 원단을 해당 기계 장치에 배치시키면 자동으로
봉제 및 제거를 수행할 수 있는 협업로봇(cobots)의 개념으로 생산성 향상
및 품질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야기함

<Apparel automation machine by Atlanta Attachment>

Automatic coverstitch bottom hemmer Automatic cuff, collar, and waistband workstation

Automatic set-in pocket workstation Automatic placket setting workstation

Automatic rib knit bottom band setting workstation Semi-automatic sleeve closing workstation

- 260 -
ㅇ VETRON “Autoseam”

- 유럽의 VETRON 사는 2 차원의 평편한 텍스타일을 봉제하기 위하여


position ring 이라 불리는 alternating sewing foot transport 방식을 접목
한 “Autoseam” 을 개발함
- 이 기계는 광학센서를 통해 서로 겹쳐진 2 장 원단의 가장자리를 인식하고,
스티치를 한 땀, 한 땀 스캔하면서 위치를 조절하여 솔기의 가장자리로부
터 일정한 간격으로 정확하게 봉제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함
- 본 시스템을 통해서 길이와 곡률이 서로 다른 2 장의 텍스타일의 봉제가
가능하며, 2D 의 텍스타일의 3D 의 형태를 갖게 됨

<Autoseam of VETRON>

ㅇ SINTEF Raufoss Manufacturing AS “Robot-guided sewing process”

- 노르웨이 기업인 SINTEF Raufoss Manufacturing AS 는 봉제 자동화 연구


를 위한 실험실을 운영하며, 가구기업인 Ekornes ASA, 보호복 제조사인
Hansen Protection AS, CAD/CAM 공급기업인 Amatec AS, 노르웨이 과
학기술대학(NTNU) 및 The Research Council of Norway 와 협력하여 로
봇이 가이드 하는 봉제 프로세스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본 시스템에서 sewing cell 은 산업용의 C- 프레임 봉제기계와 2 개의 로봇팔
로 구성되어 있으며, 로봇팔은 mechanical grippers 가 장착되어 있어 텍스
타일에 가하는 장력을 모니터링하여 일정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함. 로
봇에 의하여 잡힌 원단은 봉제기계로 투입되며, 봉제된 솔기는 센서를 통
해 품질이 검수됨. 전반적인 로봇의 움직임은 Linux computer 와 Robot

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조절됨

- 261 -
<Robot-guided sewing process of SINTEF Raufoss Manufacturing AS>

ㅇ Sewbo 사의 “SEWBO”

- 시애틀에 위치한 Sewbo사는 2016 년 로봇을 기본으로 하는 봉제시스템 “SEWBO”

를 소개함. 이는 산업용 로봇을 이용하여 최초로 의 모든 솔기를 자


T-Shirts

동으로 봉제하는 시스템으로 봉제전 텍스타일을 수용성 고분자인 polyvinyl

alcohol 로 처리하여 뻣뻣하게 만들어 로봇에 의한 가이드 봉제가 가능하도록


하였음
- 해당 시스템은 로봇이 원단을 진공으로 흡착하고, 봉제기계는 프로그래밍
에 의하여 봉제하면서 T-shirts 의 생산을 자동으로 진행한다는 특징이 있
으나, 봉제 후 원단에 처리된 고분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과정이 필요
함에 따라 전/후 처리에 따른 비용 상승 및 시간 증가의 문제가 있음

<T-shirt sewing process by SEWBO>

- 262 -
ㅇ RSG Automation Technics GmbH

- 독일의 사는
RSC 1982 년에 설립된 봉제장비 제조기업으로 tailor-made

solution 과 봉제 공정의 모니터링 솔루션을 갖춘 독립된 봉제장비를 기획


하고 개발함
- 이 기업은 narrow band textiles 제조를 위한 완전 자동화, 부분 자동화
기술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최신의 Narrow-Matic 장치는 섬유 스트랩
의 unrolling, cutting, folding 및 sewing 을 완전히 자동화하여 생산할 수
있으며, 자체적인 모니터링 장치와 bobbin exchanger 를 보유함

<Fully automatic cutting, folding & sewing of straps by RSG>

- 263 -
ㅇ JUKI

- JUKI 는 전세계 180 개국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가정용재봉기 및 SMT-

related system 등을 개발하는 기업이며, 2019 년에는 Texprocess 에 이어


ITMA2019 에도 참가함. 금번 전시에는 워크웨어 및 니트웨어의 봉제에 중
점을 둔 다양한 기계를 소개함

<JUKI 의 사업영역>

- 봉제자동화 영역으로는 라벨, 엠블럼 등의 작은 부품에 대한 봉제, 단추구


멍, 단추달기 등의 영역에서 자동화가 구현되고 있었고, 전반적으로 높은
생산성과 고속화를 위한 기술영역에 대한 시연이 많았음. 봉제장비 이외
에는 ultrasonic welding, hot-air sealing machine 등이 소개됨

<JUKI booth & computer controlled cycle machine>

- 264 -
마. 최신 자동화 기술

□ 니트분야의 의류 및 신발 자동화기술
ㅇ SHIMA SEIKI

- 최근 니트분야에 디지털화와 자동화기술이 적용되면서 편직물 제조에 머


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3 차원의 제품화가 가능함으로써 패션산업뿐
만 아니라 다양한 사업분야에서 스마트하고, 빠르고, 지속가능한 제조혁신
을 실현하고 있음

< 니트분야의 자동화기술 개념도>

- ITMA 2019 에서는 "KNITify the World" 라는 주제로 SHIMA 의 최


SEIKI

신 기술을 소개하였음
- 일반적으로, 편직물은 전면 및 후면패널 및 슬리브 부품을 편직후 재봉으
로 결합시키는 공정이었으나 SHIMA SEIKI의 Wholegarment 니트웨어는
편물기에서 바로 3 차원의 의복으로 생산되는 기술임

< 봉제 및 접합공정까지 일체화 시킨 3D Wholegarment>

- 265 -
- Wholegarment 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후반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움직임을 방해하는 이음새가 없다는 장점이 있음. 해당 기술로 생산된 제품
에는 Wholegarment Tag 을 부착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상표로 인식되도록 함
- 또한 기존에 시간적으로, 비용적으로 많이 소요되던 공정비용을 Virtual

sampling 을 통해 대거 축소하며 지속가능성 실현함

<Sustainability with Wholegarment & Virtual Sampling Tech.>

<Wholegarment Tag>

ㅇ STOLL

- STOLL 에서 제시하는 혁신적인 니트 솔루션은 knitelligence® 라는 신조어


를 타이틀로 니트분야의 전 chain 을 모두 보유하고 있음

<Tool chain of STOLL>

- 266 -
-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지속적이고 최적화된 공정흐름 구현, 생산성 향상,
빠른 오류소스 식별, 빠른 형태 인식 등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의 제품화가
가능함. 현재 스포츠, 헬스케어, 안전보호. 자동차, 가구·인테리어, 산업용,
e-textile 분야 등 매우 다양한 분야의 제품화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는 상황임

<STOLL 의 제품화 ITEM>

ㅇ Karl Mayer

- Karl Mayer 에서는 다양한 경편기와 이를 기반으로 한 신제품 설계 및 제


조기술을 소개하여 크게 주목을 끔. 특히 “Revolution of Bodymapping”

기술은 2 개의 자카드 바를 사용하여 각 영역별로 개별 컨트롤이 가능하여


탄성, 피팅감, 통기성 등을 다양하게 부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착용감과
기능성이 뛰어난 제품을 개발함
- 니트 설계부터 3D 니트웨어 제작 단계까지 자동화 기술 확보됨

<Karl Mayer 의 제품화 사례 및 bodymapping 제품>

ㅇ 그 외에도 Santoni, Lonati, Mayer & Cie, Fzukuhara 등의 니트 장비메이


커에서 의류 및 신발 완제품 및 공정에 대한 다양한 전시를 함으로써 기
존의 섬유기기 전시회와는 다른 패션 리테일매장과 같은 이색적인 분위기
를 연출함. 즉 최신 니트장비를 기반으로 각 제품별 자동화공정이 구축됨
으로써 기계와 공정, 제품까지 동시에 전시하며 판매할 수 있는 형태로
진화하는 과정으로 보임

- 267 -
< 니트 장비, 공정, 제품을 동시에 전시·시연하는 부스>

□ 스마트웨어 분야의 자동화기술


ㅇ Karl Mayer, Textile Circuit

- Textile-Circuit 은 섬유제품에 전자기능을 통합한 것으로, 금번 ITMA 2019

에 참가한 Karl Mayer 사가 섬유부분의 미래 혁신사례로 Live Demo 를 하


며 소개한 제품으로 큰 주목을 끌었음

<Textile-Circuit Live Demo & the Structure of smart wear>

- 268 -
- 해당 Textile-Circuit 제품은 Karl Mayer 사의 경편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
으며 생산 과정 중에 Stringbar 기술을 사용하여 기능 구조를 형성하는 것
이 가능함
- 이는 ground fabric 에 특수기능사를 integration 시키는 형태로 구성되며 맞
춤형 섬유 배치를 통해 필요한 곳에 정확하게 기능을 추가 할 수 있음. 특
히 전도사를 포함한 여러 가지 사종을 동시에 적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다양한 직물구조의 형성이 가능함
- 현재 해당 장비는 개발완료 단계, 판매 준비 중인 상태임

<Inducting charging, Textile remote control 용 Textile-Circuit samples>

ㅇ The Myant & STOLL 의 Digital Textile Factory

- 독일을 대표하는 3D knitting machinery company STOLL 과 캐나다를 대


표하는 Textile computing company Myant, Inc. 가 Digital Textile Factory

를 런칭함
- STOLL 은 140 년 이상의 3D 편직기계 및 소프트웨어 제작의 혁신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Myant 의 독점 기술인 섬유를 통한 생체인식 및 작동과
관련된 정보처리 및 네트워킹 기술과 접목함으로써 텍스타일을 혁신하고
IoT 세계에 연결하는 텍스타일 기반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함
- Myant 와 STOLL 의 Digital Textile Factory 는 자동차, 건강 및 웰빙, 산업,
생명 공학, 라이프 스타일, 게임, 의류, 의료, 군용 및 우주 항공 및 안전
을 포함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를 타겟으로 제품 및 서비스 개발 중

- 269 -
<Myant 헬스케어분야 제품 영역>

- 실제로 ITMA 2019 에서도 STOLL 전시장에서 Myant 가 개발한 하네스 및


전자섬유가 적용된 텍스타일 샘플을 공동 전시함

<STOLL 전시부스에서 함께 전시중인 Myant>

- 270 -
3. 결론

□ 의류산업의 경우 비교적 자동화가 더딘 산업 분야이지만 , 디자인 및 패턴


설계(CAD/CAM), 원사 및 원단 제조(spinning, weaving, knitting, dyeing

등), 연단 및 재단(textile spreading & cutting) 등의 공정영역은 비교적 자


동화율이 높은 편임

□ 이후 재단물의 봉제 및 품질검사는 부분적인 자동화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


며 봉제분야는 부품 접합 등의 자동화가 실현되고 있고, 로봇암을 활용한
봉제물의 이송, 패키징 등의 자동화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
황임. 봉제기술은 기계화(mechanization)에서 자동화(automation)을 향해
발전하고 있는 상황이며, 사람과 함께 작업하는 협업로봇인 cobot 이 섬유
의류산업에 빠르게 활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최근에는 단순한 CAD/CAM 설계기술을 뛰어넘어 개념화(conceptualiza


tion), 구체화(definition), 예비제작(pre-production), 생산(production)까지
연속되는 시스템으로써 버추얼 피팅까지 가능케 하여 시제품 제작에 따른
경제적, 환경적 손실분을 줄이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

□ 금번 전시회의 눈에 띄는 변화는 니트기술 분야로써 의류제품화의 또 다른


®
혁신을 엿볼 수 있음. Shima Seiki社 의 KNITifyTM, Stoll社 의 KNITELLIGENCE

등 신조어를 만들어 낼 정도로 혁신적인 whole garment 기술을 선보임으


로써 큰 주목을 끌었음. 원사, 직물, 연단, 재단, 봉제 등의 공정을 거쳐 의
복으로 완성되는 복잡다단한 공정을 다양한 편직기술을 바탕으로 1step 으
로 구현. 3D knitting Technology 를 통한 솔기가 없는 WHOLEGARMENT

구현을 통해 착용감이 우수하며 편안하고 가벼운 니트웨어의 제작이 가능


해졌으며, 탄소섬유, 금속 전도사 등 다양한 원사의 적용이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스마트웨어 제품화 또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 전자섬유를 적용한 제품화에 있어서도 전용장비 개발 및 장비업체와의 협


업을 통하여 공정자동화에 대한 개발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어 제품의 상용
화 가능성이 더욱 가까이 와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271 -
산업용섬유/부직포

여상영 수석연구원(한국생산기술연구원)

1. 서론

가. 개요

□ 섬유산업의 리딩 분야가 의류용섬유에서 산업용섬유로 변화하고 , 소재부품


및 산업간 융복합화된 제품이 개발됨에 따라, 명실상부한 대표적인 섬유기
계전시회인 ITMA 전시회에서 산업용섬유 분야만 따로 구분짓는 것은 쉽
지 않았음. 과거 방적기/제직기/편직기/염색기 등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
었지만, 부직포를 필두로 한 산업용섬유산업은 그 응용분야가 매우 넓고,
현재도 분야를 확충해가는 상황에서 산업용섬유에 해당하는 분야만 따로
조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

□ ITMA 2019 전시회의 5 홀에서는 부직포 제조설비를 전시한 부스들이 집중


되어 있어서, 부직포 제조설비 주요 업체들의 최신 동향과 그 외 산업용섬
유 전반에 걸친 제조설비 및 분석설비와 최신기술에 대해서 본 보고서에서
작성함

<ITMA 2019 부스 배치도>

- 272 -
나. 부직포 산업현황

□ 부직포의 용도는 크게 일회성제품(Short-Life/Disposable)과 다회성제품


(Long-Life/Durable) 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위생재(Absorbent hygiene),

와이퍼(Wipes), 필터(Filter), 의료(Medical), 토목(Geosynthetics), 가구(Furnishings),


건축(Construction), 수송재(Transportation), 의류(Apparel), 기타 등 종으로
10

분류됨(Worldwide outlook for the nonwovens industry, INDA/EDANA)

< 부직포 제조공정 및 용도>

□ 세계 지역별, 연도별 부직포산업의 생산량 기준 성장률을 비교해 보면


2004 년~2014년 사이 글로벌 생산량은 연평균 7.1% 의 고도성장을 이루었지
만, 2014 년~2020년 사이는 다소 둔화되어 연평균 5.7% 성장할 것으로 예
측되고 있음. 2014 년 세계 부직포 생산량은 중국이 약 243 만 톤, 유럽이
약 216 만 톤, 미국이 약 209 만 톤으로 그 뒤를 따르고 있음. 하지만, 아시
아 시장 중 한국은 그 성장률이 매우 낮은데, 2014 년 생산량이 약 22 만 1천
톤으로 전년 대비 0.1% 증가에 불과할 정도로 세계시장 성장에 비해 한국
의 부직포 시장은 후퇴하고 있는 실정임

- 273 -
□ 세계 각국의 경제가 성장하고 있고 ,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유아용, 여성
용, 성인용 위생재의 수요는 당분간 큰 부분을 차지할 것이며, 와이퍼와 건
축․토목용 부직포도 5% 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수송용과 필
터에 대한 시장 성장은 평균치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됨

출처: WORLDWIDE OUTLOOK FOR THE NONWOVENS INDUSTRY 2014-2020, edana

< 전세계 용도별 부직포 수요량>

- 274 -
□ 부직포 제조공정별 전세계 생산량을 살펴보면, 2004 년에는 건식부직포
(Carded Nonwoven) 이 47.5% 로 가장 점유율이 높았으나, 용융방사부직포
(Spunbond, Meltblown) 의 수요 증가로 2014 년도에는 거의 비슷해지나 수
송용과 필터용 부직포 수요의 증가에 따라 2020 년에는 건식부직포가 다소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습식부직포 전체 점유율은 낮으나 빠르게 생
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에어레이드부직포는 설비구축비용이 비
싸고 용도가 한정적이라서 비교적 낮은 점유율과 성장세가 예상됨

< 세계 연도별, 제조기술별 부직포 생산량>

□ 부직포는 제품의 활용이 다양한 소재산업으로 , 의류용, 토목용, 건축용, 자


동차용, 위생용품 등 다양한 용도를 가지고 있으며, 제 2 차 가공기술을 첨
가하면 직물 등 경쟁업종이 제공할 수 없는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생산
할 수 있는 산업. 최근에는 아라미드, 탄소섬유 등을 이용한 부직포를 통해
플라스틱 및 금속제품을 대체하는 등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음. 산업용자재
와 자동차부품 신소재 등 다양한 용도제품에서의 부직포 적용이 확대되어
가면서 섬유류 전체 대비 부직포의 수입은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음

<국내 부직포산업 수출입동향>


(단위 : 백만불, 증가율 %)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섬유류 13,899 15,932 15,595 15,955 15,936 14,304

전체 (5.1%) (14.62%) (5.7%) (2.31%) (5.8%) (-10.24%)


수출
415 474 462 473 468 401
부직포
(18.9%) (14.0%) (-2.4%) (2.2%) (-1.1%) (-14.2%)

섬유류 9,924 12,628 11,989 13,520 14,658 14,461

전체 (3.1%) (27.24%) (7.9%) (12.77%) (8.6%) (-1.34%)


수입
213 249 251 282 330 361
부직포
(30.5%) (16.9%) (0.9%) (12.2%) (17.0%) (9.5%)

- 275 -
2. 개발동향

가. 제조설비

□ Trützschler

ㅇ 연혁
- 1888 년 Paul Heinrich Trützschler 가 Crimmitschau 에서 사업 시작
- 1948 년 현재의 본사 위치인 Mönchengladbach 근처 Odenkirchen 으로 이전
- 1967 년 Basel ITMA 에서 첫번째 Trützschler Card DK 출품
- 1969 년 American Trützschler 설립 (Charlotte)

- 1975 년 Brazil Trützschler 설립 (Curitiba)

- 1977 년 Indian Trützschler 자회사 TRUMAC 설립 (Ahmedabad)

- 1997 년 Turkey Trützschler 자회사 설립 (Gaziantep)

- 2001 년 China Trützschler Textile Machinery Co., LTD 설립 (Shanghai)

- 2003 년 Trützschler Card Clothing(TCC) 설립 (Neubulach)

- 2005 년 Erko GmbH 주식 인수, Erko-Trützschler 부직포 제조설비 공급


시작 (Dülmen), Bale Opener 에서 Roller Card 까지 생산
- 2006 년 Fleissner 가 Trützschler 에 인수되면서 사업영역이 합성섬유 제조
및 부직포 산업으로 확장됨
- 2009 년 Erko Trützschler 및 American assets of John D. Hollingsworth

완전 인수. 부직포 사업부 확장


- 2010 년 Trützschler Nonwovens社 로 개명 (Fleissner & Erko Trützschler)

- 2011 년 폭 1.3M High Production Card TC11 출품. 가장 넓은 carding

section, 최대 품질, 최대 경제적 효율을 가짐


- 2012 년 Bastian Winder Technologies GmbH & Co. 인수. 필름, 부직포,
종이, 복합재료에 대한 Winder 생산 시작
- 2012 년 Swisstex 직원 및 노하우 인수, Trützschler Switzerland AG 설립.
CF Yarn 생산을 위한 설비 및 시스템 사업 시작
- 2013 년 독일 종이 설비 업체인 Voith Paper 와 개발 및 마케팅 협력 시작
Wet-laid nonwoven, Hydroentanged nonwoven 생산용 설비
- 2017 년 Toyota 로부터 Combing 설비에 대한 개발/마케팅/서비스 인수
Toyota-Trützschler 공동개발을 통한 새로운 Comber SUPERLAP TSL 12

수백대 판매

- 276 -
< 과거 Card 설비>

ㅇ 주요 사업 분야
- TRÜTZSCHLER SPINNING (Mönchengladbach)

․Fiber preparation installations(Bale operner, Mixer, Cleaner, Opener,

Foreign part separator, Dust separator, Tuft blender), Waste cleaner,

Card, Draw frame, Combing machine, Digital Solutions(My Mill, My

Production App, My Wires App)

- TRÜTZSCHLER NONWOVENS (Dülmen, Egelsbach)

․Bale opener, Mixer, Card feeder, Card, Crosslapper, Wet laying line,

Hydroentangling, Needling, Thermo bonding, Chemical bonding, Finishing,

Drying, Winding, Slitting machinery

- TRÜTZSCHLER MAN-MADE FIBERS (Egelsbach)

․Filament line: Carpet yarn(BCF), Industrial yarn

- TRÜTZSCHLER CARD CLOTHING (Neubulach)

․Metallic wires: Card, Card long staple, Card Nonwoven, Rotor

spinning, Flat top, Fillet, Carding segment, Service machine, My Wires

App, Service 24/7

- 277 -
ㅇ 2019 ITMA 전시품
- Intelligent, individual, sustainable: Truetzschler presents new solutions

for spinning preparation, nonwovens & man-made fibers at ITMA

Barcelona 2019

- Intelligent spinning preparation

- Individual, sustainable installation concepts for nonwovens and

man-made fibers

- Competent service and tailor-made clothings

< 전시부스 입구, 전체 전시부스 조감도>

ㅇ Intelligent spinning preparation

- Cost pressure, personnel bottlenecks, fluctuating raw material qualities 는


전방공정(spinning preparation, fore spinning) 에서 가장 신경 써야할 인자들
이며, 동시에 전방공정에서는 방적사의 품질도 결정됨

- 278 -
⟶ The new intelligent card TC 19i 출시
⟶ Automatically & continuously carding gap 조절 (by T-CON 3)

⟶ 최소 3/1000inch 까지 carding gap 조절 가능

- 방적공장의 모든 공정들을 투명하게 볼 수 있도록 new cloud-based digital

monitoring & management system 개발


⟶ The My Wires app 을 이용하면, Card Cloth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여
교체시기를 계획을 지원함 (by Truetzschler Card Clothing/TCC)

⟶ Truetzschler Intelligent system 은 생산과 유지관리 뿐만 아니라, 방적


전 공정에 걸쳐 고객을 편하게 지원함

* *
<11 /15 Truetzschler Card TC 19i>

*
( 번호는 전시부스조감도상 위치를 가리킴)

- The Portal Bale Opener BO-P( 폭 2,900 or 3,500mm): 믹싱효과가


우수하고 최대 3,000kg/h 까지 생산량이 증가됨
① Working width: 2,900 or 3,500 mm

② Working length: Max. 63 M

- 279 -
③ Productivity: 2.5 ~3.0 ton/h

④ 30~45% less space requirement

⑤ 25~40% better blending

⑥ Up to 48h unattended operation of a bale lay-down

<07 Portal Bale Opener BO-P>

- The autoleveller draw frame TD 10: 최적의 슬라이버 품질을 위해 연신


이 자동적으로 조절되며, 컴팩트한 디자인과 에너지 효율적인 흡입시스템
으로 경비를 절약할 수 있음

- Digital solutions: 트래츌라는 Industry 4.0 시대를 맞이하여, 여러 가지 센


서와 앱 등을 이용하여 방적공정 전체를 Networking 하고, 휴대폰이나 모
니터 등으로 간편하게 생산/재고/품질 관리가 가능하다고 홍보하였음
① WASTECONTROL: Blowroom 에서 원료 사용을 최적화하는 waste sensor

② T-CON 3: 최적 생산성을 위한 완벽한 Card 셋팅법


③ EMG 1: 과도한 높은 전력소비의 원인을 확인하고 제거하는 시스템
④ T-SCAN TS-T5: 면방적 오프너에서 이물질을 검출하는 시스템
⑤ T-GO: 생산조건이 변경될 때 최적의 Carding gap 을 맞춰주는 시스템
⑥ NEPCONTROL LC-NCT: Card Sliver 의 장주기 nep 발생량 확인
⑦ MY MILL: 생산공정의 효율적 분석이 가능한 방적공정 품질관리 시스템
⑧ MY PRODUCTION APP: 휴대폰 실시간 생산 모니터링 시스템
⑨ MY WIRES APP: 휴대폰 카드 와이어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280 -
<24 Digital solutions>

ㅇ Individual, sustainable installation concepts for nonwovens and man-made

fibers

- Truetzschler Nonwovens presents sustainable concepts tailored to individual

customer needs

- 2013 년 Voith와 협력관계를 맺고, 재생가능한 원료로부터 생분해성의 저중량


부직포 제조기술을 개발하는데 집중하고 있으며, 100% 면이나 100%

viscose 를 기반으로 carded, spunlaced nonwoven 을 위한 공정설비를 개발


하고 있음
⟶ 지속가능한(Sustainable) 고품질의 와이퍼와 청소포 등은 고객이 사용
후 미생물에 의해 완전히 분해됨
- The new four-end BCF machine MO40: 보통 속도에서 고생산성을 갖고,
안정된 공정을 유지함

<TRÜTZSCHLER 주요용도별 부직포 제조라인>

- 281 -
<01 Mother roll winder TWW-SD>

- High speed card TWF-NCT 특징


① Optimized design for high throughputs

② 300m/min at winder

③ Tuft feeder TWF-TF

④ Belt weigher TWF-WB

⑤ With Clean Card Concept

⑥ Improved undercasing accessibility

⑦ Available with various doffer configurations

<02 NW models; High speed card TWF-NCT>

- 282 -
- 부직포 샘플 테이블에서는 재사용할 수 있는 원료로 제조된 생분해성, 수
류결합된 다양한 부직포를 전시하였으며, 테이블 위 모니터에 샘플번호를
입력하면 샘플 정보(확대사진, 원료, 중량, 용도, 제조방법 등) 확인할 수
있었고, 제조공정을 클릭하면, 각 설비에 대한 스펙 확인이 가능하였음.
반대로, 원료, 중량, 용도 등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샘플을 확인할 수 있음

<03 NW sample tables>

ㅇ Competent service and tailor-made clothings

- The new PRECISETOP flat clothing: TC 19i 에 들어가는 self-optimization

Card gap 을 위한 필수적인 부품임

<06 TCC Service; demonstration of clothing>

- 283 -
□ DILO

ㅇ 연혁
- 1874 년 Werdau 에서 Temafa Maschinenfabrik GmbH 설립
- 1902 년 Oskar Dilo 가 Eberbach 에서 설립
- 1948 년 Consul Schiermeyer 가 Spinnbau GmbH 설립
- 1949 년 2 대 CEO Richard Dilo (1949~1988)

- 1988 년 3 대 CEO Johann Philipp Dilo

- 1996 년 Spinnbau 인수, 현재까지 270 이상의 부직포 제조라인 판매


- 2005 년 Temafa Maschinenfabrik GmbH at Bergisch Gladbach 인수 fiber

preparation 강화 (opening, blending, dosing, cleaning)

- 2007 년 사업영역 확장 (Crosslappers)

<DILO 그룹 조직도, ITMA 전시부스 전경>

ㅇ DILO 그룹사별 주요 업무
- Dilo Temafa: Opening 파트 생산 (Opener, Blender, Dust filtration, etc)

- Dilo Spinbau: Carding 파트 생산


- Dilo Machines: Crosslapper, Needle looms( 최대 폭 16M, Stroke 최고속도
3000 회/min)
- Dilo Systems: Textile Research Centre, Project 관리, 설비 설계, 해외사무
소 관리

- 284 -
< 부직포 라인 설계(左), Project Schedule(右)>

ㅇ VectorQuadroCard (VQC)

- Universal carding system

- 4 worker/stripper pairs at breast section

- 5 worker/stripper pairs at min cylinder

- Double doffer

- Working width 3.2M

- Speed range up to 200m/min

ㅇ Hyperlayer HLSC “NT”

- Web in-feed speed up to 200m/min

- Working width 3.2 X 4.0 M

- Apron guide rolls

- Webguide system

ㅇ DILO 3D-Lofter

- 3D fiber topology through individual web-forming heads

- Fiber savings for lightweight structures

- Colour patterning for floor coverings

- 285 -
<DILO 3D-Lofter>

ㅇ DILO Needleloom (DI-LOOM OD-II SLC HV-35)

- Working width 3.5M

- Stroke frequency up to 1,600 #/min

- Needle pattern “6000X” with 2X6,000 needles/m/board

- Variable horizontal stroke length 0-6mm

ㅇ Diloline 4.0

- Dilo 에서는 Industry 4.0 을 대비한 몇가지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Diloline 4.0” 이라고 명명함
① Expert system “Smart Start” – automatic starting aid

② Expert system “Bale-Timer” – Control of Bale Opener

③ Production and Machine Control by “Mindsphere” Cloud applications

④ “Condition Monitoring”Control of operating conditions

⑤ “Maintenance Monitor” and “Production Monitor”

⑥ DI-LOWATT – energy savings

- 286 -
ㅇ Diloline 4.0 -“Smart Start”

- 생산라인을 시작할때 약간의 수동 동작으로 쉽게 작동이 가능하며, 작업자


가 빈번히 바뀌는 현장에 더 도움이 됨
- Automatic filling of the empty production line to the card infeed stage

- Automatic creation of a heavy starting web, minimizing wrapping at

delivery rollers

- To avoid wrapping before the winder, the cross apron is stopped and

the crosslapper lays down several layers on top of each other

- All “Smart Start” states are automatically suspended after start up

ㅇ Diloline 4.0 -“Bale-Timer”

- 3D 적외선 센서는 Bale Opener 에서 섬유들이 다 이송될 시점을 정확하게


계산하고, 제어하여, 생산라인에 섬유공급이 비기 전에 베일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지원함
- detailed control of the fiber volume in the filling chute

- predicted time to the next bale feeding

- mobile display of the filling level

- 287 -
ㅇ Diloline 4.0 - Production and Machine Control

- 지멘스(Siemens) 시스템으로 생산과 기계를 제어하고, 앱을 통하여 정보들


을 클라우드로 확인할 수 있음
- Data from the line are sent to a Cloud and can be checked, analysed

and visualized via apps.

- Access by the customer as well as by Dilo if approval has been

granted.

- Display and Control of Line Parameters;

① Line Availability

② Line Speed

③ Quality

④ Alarm monitor

ㅇ Diloline 4.0 – Condition Monitoring

- 작동 조건 및 설정 값 제어가 스트로크, 진동, 베어링 온도에 따라 앞당겨짐


- Control bearing temperature;

① Display of bearing temperature limit

② Speed of temperature increase with warning

③ Automatic stop

④ Temperature history and analysis

⑤ Preventive maintenance at high average temperature

<Production and Machine Control(左), Condition Monitoring(右)>

- 288 -
ㅇ Diloline 4.0 – “Maintenance Monitor” and “Production Monitor”

- Maintenance Monitor 는 유지보수를 위한 부분과 유휴시간을 위한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지원함
- Production Monitor 는 모든 유휴시간 현황을 보여주고, 개선할 부분에 대
한 결정을 지원함. 또한 생산라인의 유휴시간은 제품이나 설비에 따라 정
량화할 수 있음
- Quantitative comparison of the non-productive times depending on

end-products or machines

- Transfer of data to the service department

- Fast problem analysis

- History of maintenance for all machines for the past 2 years

- Improvement of line efficiency

<“Production Monitor”>

ㅇ Diloline 4.0 – DI-LOWATT

- 부직포 생산라인의 에너지 소비는 닥트내 흡입 및 공기 이송에 의해 결정됨


- 닥트내 센서가 너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도록 유동적 이송을 위해
팬 속도, opener 속도, card feeder 속도 등을 제어하고, 섬유가 없을 때는
팬 속도는 자동적으로 감소됨

<DI-LOWATT>

- 289 -
□ SML

ㅇ 연혁
- 1967년 Lenzing AG 사업부로 시작

- 1995년 100% 가족소유기업 설립

- 1997년 Horizontal sliding winder W2000 출시

- 1998년 FDY, BCF 복합섬유 방사라인 출시 (AUSTROFIL)

- 2001년 통기성 위생필름(breathable hygienic film)용 평면 압출라인 출시

- 2019년 신사옥으로 이전

ㅇ 사업영역
- Cast Film Lines: Stretch wrap film, CPP/CPE/CAST PET film, Barrier

film, Hygiene film

- Sheet Lines: PET/R-PET sheet, PP/PS/barrier/thermoforming sheet

- Coating Lines: Extrusion coating and laminating

- Multifilament Lines: Austrofil BCF, Austrofil FDY/MDY/POY

- Winding Technology: Winders, Unwinders

ㅇ SML Technology Centre

- 년 신사옥으로 이전하면서 필름, 시트, 섬유방사 파이롯트 라인을 구


2019

축하고, 시험테스트를 위한 Technology Centre 구축


- SML의 기술 센터는 고객과의 내부 시험 및 공동 R & D 프로젝트를 위

해 제조라인 Pilot를 운영하고 있음


- SML은 새로운 원료에 대한 테스트를 고객과 함께 진행하며, 최종제품의

물성을 개선하거나 제조공정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SML의 탁월한 압출기술의 핵심 기능은 유연한 테스트 스탠드로 모든
SML 압출기 유형에 대한 스크류 검증 테스트가 가능함

- 고성능 압출 스크류와 함께 다양한 폴리머 유형과 등급을 테스트하는 데


한계가 거의 없음

<SML Technology Centre>

- 290 -
ㅇ New PP monolayer sheet line

- 새로운 PP monolayer thermoforming sheet line 출시


- High-speed extruder(HSE) technology for maximum efficiency

- Longevity with outstanding value for money

-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이슈에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순환 경제의 창조


가 가장 현실적인 해답인데, 재활용이 쉬운 포장재를 만들 수 있는 새로운
라인에는 SML 의 최신 고속 압출 기술이 포함되어 생산성 및 낮은 단가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수립함

<New PP monolayer sheet line>

ㅇ Aseptic board packaging

- SML 은 새로운 triplex 압출 라미네이션 라인의 도입으로 무균 보드 패키


징용 라미네이션 기계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함
- SML 의 새로운 라인은 유연한 주머니용 얇은 용지와 음료 상자용 판지를
동일하게 고품질로 처리할 수 있음
- 얇은 종이를 처리하기 위한 저장력에서의 매우 민감하고 빠른 응답 장력
제어와, 두껍고 단단한 판지에 대한 견고한 설계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라인을 설계함
- SML 은 PLC, 드라이브 및 인터페이스 프로그래밍을 사내에서 개발 및 지
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라미네이션을 위한 장력 제어 시스템은 현
장에서 개발되었음
- 새로운 라인의 핵심기술 중 하나는 최대 4 M 톤까지 무거운 제품에 적합
한 자동 릴 및 샤프트 핸들링 시스템을 갖춘 전자동 드럼 와인더 W1800

임 (최대속도 400m/min)

- 291 -
<Aseptic board packaging, W1800 Winder>

ㅇ New BCF spinning line

- 증가된 출력 용량과 새로운 기능을 갖춘 새로운 BCF Tricolor 모델은


2019 년 중반에 Monocolor 용 entry-level line 강화와 함께 출시 될 예정임
- SML 의 기존 BCF Tricolor line 과 비교할 때, 신형 라인은 50% 더 높은 생
산능력을 보다 우수한 가격 대비 성능으로 제공됨

®
<Austrofil BCF multifilament line>

- 292 -
□ GRAUTE

ㅇ 연혁
- 1997 년 Hergeth Hollingsworth Air Lay machine 개발부에서 독립
- 2001 년 Air Lay line 첫 출시
ㅇ Business

- Opener, Card, Random Card, Cross Lapper, Web Drafter, Air Lay Card

ㅇ Bale Opener (BO)

- Max. fiber length 220mm

- Max. output 900kg/h

ㅇ Continues Mixing Opender(CMO-W2)

- 일종의 Fine Opener 로 매우 정밀해서 적은 섬유양으로도 믹싱 효과 우수함

<Bale Opener & Continues Mixing Opener>

□ BONINO Carding Machines

ㅇ 연혁
- 1913 년 설립
- 1913~1980 년 소모방 및 준소모방적 카드기 주로 생산, 2 차 세계대전 이후
자동차 내장재를 위한 부직포 카드기 설계
- 1983 년 밀라노 ITMA 에서 재생섬유를 위한 Flat Card 출시, cutters and

rag tearing machines 제조업체 인수, Opening 분야 강화


- 리싸이클 원료를 이용한 컷팅에서 카딩공정까지 셋업한 업체

- 293 -
<Bonino 부스 전경, Test Pilot>

<Bonino 전시 샘플>
ㅇ Turbo Card

- Bonino社 의 Turbo Card 는 Air-lay Card 의 일종


- 천연섬유 및 천연섬유와 합성섬유간 혼합을 위해 설계된 Turbo Card 는
천연섬유, 합성섬유, 유리섬유, special 섬유 등 모든 타입의 섬유를
Carding 할 수 있음
- Aerodynamic web formation 은 기존의 Carding & Crosslapping 으로 만들
던 공정보다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음
- MD:CD 비율이 향상됨, 공간이 작게 요구됨, 3 차원적 섬유 분포가 향상됨
- 용도: automotive, sound and heat insulation, filtration, garment, hygiene

- 터보 카드는 spiked apron 이 장착된 호퍼 피더와 진동 츄트(chute) 또는


중력 츄트 피더가 공급됨. 호퍼와 카드 입구(inlet) 사이에 설치된 섬유 중
량 제어 시스템에 의해 웹(carded web) 의 균제도가 높아짐
- Turbo Card 는 섬유에 따라 두 가지 Feed 공정으로 나누어짐
① 강력한 카딩 작용을 지닌 전통적인 feed plate inlet

② 섬유 파손 및 응력을 방지하기 위해 기계에 부드러운 섬유(유리섬유 또


는 special fibers) 도입을 위한 overhead feed

- 부직포 생산조건: 100~3,000gsm, Max. 500kg/h

- 294 -
<Turbo Card>

□ TECTEX

ㅇ 연혁
- 1958 년 Tecnica Tessile 설립
- 1968 년 crosslappers, needle looms 사업 시작
- 1970 년 Automatex 설립
- 1997 년 Tectex 설립
- 2011 년 Tectex 는 Automatex 노하우 인수

ㅇ 사업품목: Cards, Crosslappers, Needle Looms

- For Geotextiles

- For Technical felts

- For Insulation for high temperature

- For Filtration

- For Automotive

- 295 -
ㅇ New GAMMA needle machine

- Pure elliptical kinematic

- Exceptional needle accuracy

- Speed increased to 2500 RPM

- Reduced overall dimensions

- Reduced noise

- Improved reliability

- 최대 폭 5m

ㅇ PGM Simulation

- Lines calculation: 각 설비에 대한 이론적 효율을 대입하여 생산량 계산


- Needle pattern simulation: 1996 년에 최초로 만들어진 needle patterns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꾸준히 발전시킴


- Remote Support: 언제 어디서나 고객의 설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Remote Service 를 오래전부터 실시하여 왔음

<PGM Simulation>

- 296 -
□ Bematic

ㅇ 업체 개요
- 1970 년대 Bematic 설립, 섬유기계 제조 및 수리 시작
- 사업품목: Openers, Hopper Feeders, Cards, Lab Carding Machine

<Opener, Lab Carding Machine>

□ Laroche

ㅇ 업체 개요
- 1926 년 Laroche 설립, 의류쓰레기 재생을 위한 Pulling 장치 설계

<Pulling 장치 과거(左), 현재(右)>

ㅇ 사업품목:
- Textile waste recycling

- Fiber opening, blending, metering

- Airlaid mats

- 3D nonwoven structures

- Bast fiber processing (flax, hemp, kenaf, coconut fibers, etc.)

- 297 -
ㅇ Tearing Machine

- Tearing Machine 은 부직포 제조방법(섬유 결합형태)에 따라 섬유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부 장치 및 부품의 최적화가 필요하며, Laroche 는
Tearing Machine 의 리딩업체임
- STARCUT-CADETTE LINE 1ea (10~20 억원): 최대 생산량 100kg/h

- STARCUT-EXEL LINE 1ea (20~30 억원): 최대 생산량 600kg/h

- STARCUT-JUMBO LINE 1ea (30 억원 이상): 최대 생산량 1,000kg/h

<Total Tearing Line>

□ Starlinger

ㅇ 연혁
- 1835 년 Franz Laubek 이 Franz Laubek's Successors 설립, 증기 엔진 및
구동 부품 생산
- 1897 년 Franz Starlinger 로 사명 변경, 섬유 기계 생산으로 업종 변경
- 1913 년 Starlinger & Co. 로 사명 변경

- 298 -
- 1920 년 제직 산업을 위한 특수한 권취기계 생산
- 1955 년 합성섬유를 위한 특수 권취기 개발
- 1968 년 환편기 개발
- 1973 년 중국내 오스트리아 기계 전시회 이후, 중국에서 10 년간 30 개 환편
기 라인 판매됨
- 1987 년 직물 PP 양말 제조를 위한 Recycle 라인 개발
- 1990 년 테이프 압출 라인 생산을 위한 라이센스 취득
⟶ 2006 년 400 번째 starEX tape 라인 판매
- 2000 년 Starlinger Recycling Division 설립
- 2001 년 열가소성고분자용 recycle 라인인 recoSTAR 출시
- 2002 년 Georg Sahm GmbH社 가 Starlinger Group 에 조인
- 2004 년 recoSTAR PET(for food) 라인으로 만든 PET의 FDA 승인
- 2012 년 오스트리아 북부 St.Martin 에 20,000m2 의 새로운 생산공장과 연구소
오픈

부스 전경,
< recoSTAR 설비>

ㅇ Recycling Technology

- Vacuum SSP 반응기를 통하여, IV 조절 가능


- 100% 재생 수지를 이용한 virgin 수지 레벨의 물성 구현 가능
- 원료 및 최종제품에 따라 다양한 Recycle 라인 적용 가능
- recoSTAR direct

- recoSTAR dynamic: 습도 최대 20%

- recoSTAR universal: 습도 최대 2%

- recoSTAR PET: 습도 최대 1%

- 299 -
ㅇ recoSTAR PET with Starlinger iV+ technology

- 플레이크 및 펠렛을 위한 FIFO 는 체류 시간 조절 가능


- High-vacuum degassing 압출기를 사용하여 점도 손실을 줄이고 용융물을
휘발성 오염으로부터 정화함.
- 언더워터 펠렛타이징 후 결정화는 에너지 절약 및 높은 결정성을 보장함
- IV 증가를 조정할 수 있으며, Virgin 수지와 유사하게 제조 가능
- SSP 는 설치면적이 작고, 높이가 크게 높지 않고, 신속한 설치가 가능

<Starlinger recycle lines>

- 300 -
□ Pureloop

ㅇ EREMA Group 자회사


ㅇ Recycling Technology

- Shredder extruder technology

- Double feed ram system, single-shaft shredder

⟶ Very broad different material types

<ISEC evo 102, max. 230kg/h>

□ 부광테크 (Bookwang Tech)

ㅇ 회사개요
- 1982 년 부림기계 설립
- 1989 년 고속 니들펀칭설비 개발
- 1992 년 고속 Cross lapper 개발
- 2003 년 부광테크로 상호 변경
- 2005 년 자동차 인테리어용 더블펀칭기 개발
- 2007 년 하이 벨로어 니들펀칭기 개발
- 주요수출국: 일본, 파키스탄, 중국, 인도, 이란, 우즈베키스탄, 태국, 방글라
데시
- 주요제품: 니들펀칭기, Heating Roller, Cross Lapper, Winder, Web

Drafter, Opener, Mixing Tank, Card 등

- 301 -
ㅇ Velour Needle Loom

- 자동차 인테리어용 니들펀칭기(BKVN-2600, 폭 2600mm) 과 카펫용 니들


펀칭기(BKVN-4600, 폭 4600mm) 을 최근 출시하여, 해외 수출을 중심으로
판매중임

<Velour Needle Loom>

□ Dongwonroll

ㅇ 연혁
- 1989 년 설립
- 2002 년 China textile machinery 와 기술 협력 시작
- 2004 년 Suminoe & Itochu( 일본)과 기술 협력 시작
- 2005 년 샤오싱 중국 법인공장 설립
- 2009 년 PT.KSA PRIMA ROLL 인도네이사 법인 설립

ㅇ 특징
- 생산품목: 섬유방사 와인더, 언와인더, 습식방사설비, PAN 중합-방사-열처
리설비 등
- 산자용 섬유 설비에 대한 오더가 80% 이상을 차지하며, 일본 Toray社 에
섬유, 부직포, 핫멜트 라미네이팅 설비를 공급 중이며, PU 와 PVC 코팅을
이용한 인조피혁 분야의 엠보싱 롤에 대한 공급 가능
- 일본 Teijin社 아라미드 필라멘트 연신 장비 공급 경험이 있으며, 아라미
드, PTFE, 탄소섬유에 사용되는 고온 Heating Roll 공급 가능

- 302 -
< 아라미드 부직포 가공라인, 핫멜트 라미네이팅>

□ Dissol

ㅇ 개요
- 2013 년 설립. Lab. 습식방사장치 개발 및 생산
- 2014 년 습식방사장치, 와인더 등 수출 개시
- 생산품목: 섬유방사 와인더, 언와인더, 습식방사설비, 중합-방사-열처리
PAN

설비 등

< 탄소섬유 제조설비>

- 303 -
ㅇ Flexible Carbon Nano Tube(CNT) Sheet 출시
- 우수한 유연성과 높은 전기적 특성을 갖는 CNT Sheet

- Binder Free, Fe Free

- Porous Structure

- Flexible & Foldable

- 용도: Battery, Fuel cell, Surface heater, etc.

나. 분석설비

□ Uster

ㅇ 연혁
- 1875 년 Uster 설립 (공공 전신 작업장)
- 1927 년 제직기 악세사리 생산 시작
- 1948 년 최초의 균제도 테스트 설비 USTER GGP 출시
- 1951 년 최초의 자동 강도 측정기 USTER DYNAMAT 출시
- 1957 년 USTER STATISTICS 출시
- 1990 년 자동 섬유 번들 테스트기 USTER HVI 출시
- 2009 년 ZWEIGLE 생산분야 인수
- 2013 년 Jossi System 인수, Yarn quality management 분야 강화

ㅇ 사업품목:
- Fiber-testing instruments

- Online yarn monitoring

- Offline yarn-testing instruments

- 304 -
ㅇ USTER Q-BAR 2

- 일반 제직기에 부착이 가능한 Online 검단기인 USTER Q-BAR 2 출시


- Fast, early-stage detection to prevent material loss

- Attractive and ergonomic design

- User-friendly visualization and classifying

<USTER Q-BAR 2>

ㅇ USTER FABRIQ EXPERT

- 생산품 품질관리 프로그램 USTER FABRIQ EXPERT 출시


- Quality statistics, including trends for all produced rolls

- Detailed quality analysis by position of defect

- Interpretation of current quality status, with context information

<USTER FABRIQ EXPERT>

- 305 -
□ Textechno

ㅇ 연혁
- 1949 년 Textechno 설립
- 1963 년 ITMA(hannover) 에서 최초의 자동 사인장시험기 STATIMAT 출시
- 1971 년 자동 크림프 접촉 테스터 TEXTURMAT 출시
- 1972 년 필라멘트사의 수축률, 크림프, 연신력 테스터 DYNAFIL 출시
- 1995 년 Hoechst AG industries 로부터 자동화기술 인수받고, 단사테스터
FAFEGRAPH 와 VIBROMAT 를 기초로 한 최초의 자동 단사(single fiber)

시험기 FAVIMAT-ROBOT 출시
- 2004년 Lenzing Instruments 인수, 온라인 측정기술 강화 및 제품분야 다양화

<STEIN'S MEASURING HEAD, STATIMAT, FAVIMAT-ROBOT>

ㅇ MDTA 4

- Automatic Fiber-length-, Impurity- and Spinnability Tester

<MDTA 4>

- 306 -
ㅇ FIMABOND

- Fiber-Matrix Adhesion Tester

- 다용도의 재현성 있는 single fiber pull-out 시험을 위함


- Leibniz Institute of Polymer research Dresden(IPF) & Faserinstitut Bremen

(FIBRE) 에서 협력하여 개발하였는데, IPF 는 fiber-to-matrix 접착분야에서


오랫동안 역량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지만, FIBRE 는 임베딩(embedding)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이미지 분석 경험을 통해 많은 기여를 해왔음
- 이 시스템은 두 가지 장치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 모든 유형의 보강섬유
(reinforcement fibers) 뿐만 아니라 열경화성, 열가소성 또는 미네랄 매트릭스에
적합한 부분 자동화되는 임베딩 스테이션 FIMABOND 와 Textechno 의
단섬유 선밀도 및 인장 시험기인 FAVIMAT+ 의 새로운 부속품으로 고정밀
풀아웃(pull-out) 테스트를 수행하는 장치로 나누어짐

<FIMABOND>

- 단섬유 풀 아웃 시험에서 재현 가능한 결과를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포인


트 중 하나는 전단력을 피하기 위해 섬유의 정확한 embedding 임. 이를
위해 섬유는 매트릭스 중심에 정확히 임베딩 되어야 하고, 이는
FIMABOND 임베딩 스테이션에서 완벽히 수행됨

- 307 -
- FIMABOND 는 최대 400°C 까지 자유롭게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온도 프
로파일과 불활성 가스하에 임베딩 할 수 있으며,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매트릭스에 모두 적합함

□ Lenzing Instruments

ㅇ 연혁
- 1960 년대 Lenzing 사에서 textile testing 사업 시작
- 2004 년 Textechno Group 으로 편입

ㅇ 주요 제품 분야
- Filament Testing: evenness, linear density, abrasion, friction, inspection, etc.

- Online Monitoring: fluff detection, yarn defects, color inspection, etc.

- Staple Fiber Testing: linear density, tenacity, crimp, bulk properties, etc.

- Nonwovens Testing: inspection, rewet properties, water permeability, etc.

- Fabric Testing: online inspection of woven

- Film Testing: film thickness, shrinkage properties

- Process Control: moisture and wet spots in bales

ㅇ FLUSH 100(Flushability Tester)

- Flushability 는 부직포 소재의 소모성 와이퍼(wipe)의 사용 증가에 따라 점


점 중요해지고 있음. Flushability 에 대한 라벨링이 잘못되었거나 이 물성
을 갖추지 못하면 운반 및 폐수 처리 시스템에서 막힘 및 장비 고장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됨
- 샘플을 알려진 양의 시험 용액이 들어있는 밀폐된 플라스틱 튜브에 넣고 미리
설정된 회전수대로 튜브가 회전을 한 다음, 잔류된 단편의 크기를 sievebox 를
사용하여 분석하는데, 최대 4개의 샘플을 동시에 테스트 할 수 있음

- 308 -
<FLUSH 100>

ㅇ SLOSH BOX 100(Flushability Tester)

- INDA/EDANA 가 작성한 지침에는 생산자가 제품의 Flushability 을 확인


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테스트가 포함되어 있음. 신규 출시된
SLOSH BOX 100 은 미리 설정된 테스트 기간 동안 미리 정의된 진동 속
도로 앞뒤로 기울어 진 최대 3 개의 샘플을 동시에 테스트 할 수 있으며,
INDA/EDANA 의 지침을 따른 분석 장치임
- SLOSH BOX 100 은 Slosh Box Disintegration Test (FG502) 를 수행하여 제
품이 물속에서 기계적 교반을 받을 때 분해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함.
SLOSH BOX 100 을 사용하면 작업자의 주관적인 영향 없이 부직포 제품
의 분해 시험이 자동으로 수행되며, SLOSH BOX 100 은 INDA/EDANA

지침에 따라 효율적인 테스트와 재현 가능한 결과를 제공함


- 부직포를 컨테이너 박스에 물이나 폐수와 함께 넣고, 자동으로 교반을 주
어 샘플을 분해시키고, 60 분이 지난 뒤 남은 잔량을 측정함. 부직포의 잔
량을 체로 헹구어 낸 다음, 체에 걸러진 입자들을 수집하여 중량을 측정
함. Flushability 가 있다고 판정받기 위해서는, 부직포 시편의 초기 건조
질량의 60% 이상이 체를 통과해야 하며, 최소 6 개의 시편에서 80% 이상
의 결과를 보여야 함

<SLOSH BOX 100>

- 309 -
다. 최신 기술

□ Technical University of Liberec

ㅇ 나노섬유 복합사
- 바늘 없고(Needleless), 콜렉터가 없는(Collectorless) AC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섬유 복합사 생산라인 개발
- Blood vessel, Biodegradable scaffold, Tissue engineering 으로 응용

<Technical University of Liberec 전시 부스 사진>

□ KITECH

ㅇ Fiber Blow-Injection Molding(FBIM)

- 중간재 제조공정이 필요없는 Fiber Blow-Injection Molding(FBIM) 공정기


술을 개발 중임. 등방성 밀도와 섬유배향 제어가 가능함
- 개발품목: Hood Liner, Under Cover, Floor Carpet Pad, Dash Inner

<FBIM 공정도, 용도>

- 310 -
□ Eurecat

ㅇ New 3D printing technology (Blackbelt)

- 섬유산업을 위한 연속적(Infinite length) 출력이 가능한 3D printing 기술


- 연속 출력이 가능한 3D printing 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함
- Blackbelt 3D printer 는 2017 년 네덜란드의 Blackbelt社에서 출시되었으며,
필라멘트(Colorfab)와 모델링 프로그램(Ultimaker) 등은 다른 업체들과 협
력하고 있음. 국내 ㈜텍스타일러에서 이를 활용한 의류소품들을 개발중

<Blackbelt 3D printing>

- 311 -
3. 결론

□ 현대는 “Industry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국내외적으로


4.0”(

홍보가 도배되고 있는 상황으로, 지적이고 유연한 제조(Intelligent and

Flexible 의 새로운 시대로 들어서면서, 기술 혁신은 섬유 및


Manufacturing)

의류 제조에 혁명을 일으킬 뿐 아니라 업계의 생존에 결정적으로 중요함. 이


번 2019 년 국제섬유기계전시회(ITMA)의 주제는 섬유세계의
“ 혁
신”(Innovating the World of Textiles) 이라고 밝혔듯이, 산업용섬유와 부직
포분야에서도 이를 여실히 보여주었으며, Industry 4.0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
이며, 이미 전 세계 선진업체들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었음

□ 산업용 섬유 분야는 올해 5 월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된 Techtextil 전시회


와 비교할 수 있는데, Techtextil 전시회에서는 1700 여개 업체가
120,000sqm 면적에 참가하였고, 42,500명의 참관객이 다녀간 반면, 이번
ITMA 전시회는 1700개 이상의 업체가 220,000sqm 면적에 참가하고, 약
120,000 명의 참관객이 다녀간 것으로 추산됨. 이는 Techtextil 은 산업용섬유
와 관련된 소재 및 설비에 대한 전시회로 비교적 규모가 작은 업체들이 작
은 부스로 다수 참여한 반면, ITMA는 섬유전반에 걸친 기계전시회에 걸맞
게, 큰 업체들이 제조설비를 다양한 방법으로 홍보하기 위한 대형부스를
많이 확보하여 업체당 부스면적이 컸음

□ 부직포 제조공정에 따른 설비업체들을 살펴보면 , 과거에는 Opener 제조업


체, Card 제조업체, Metallic Card Wire 제조업체, Cross-lapper 제조업체,
Needle 제조업체, Needle-punching Machine 제조업체, Needle Board 제
조업체, Water-punching Machine 제조업체, Dryer 제조업체, Winder 제조
업체, Slitter 제조업체 등 각 업체들의 전문분야에 따라 분류할 수 있었고,
1990년대와 2000년대에 들어서 공정별로 전문화된 업체들은 인수합병 및

협력을 통하여 그룹화, 대형화되어 갔으며, 이는 소재업체들도 마찬가지 현


상을 보이고 있음

□ 소재분야든 기계분야든 유사한 분야의 업체끼리 그룹화/대형화하면 서로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됨.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제조
업체들의 대형화가 더 가속화되었으며, 단순히 공정별 제조업체들이 집합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Big Data, Automation, Artificial Intelligence(A.I.),

- 312 -
Sensor, Application(App) 등 회사들도 섬유와 부직포 제조설비 업체들과
그룹화되어 있었음

□ 소비자가 쇼핑을 할 때, 과거에는 개별 의류매장을 방문하다가 최근에는


쇼핑몰, 아울렛, 백화점 등 대형화된 한 곳만 방문하여 쇼핑이 가능하듯이,
바이어가 제조설비를 구매함에 있어서도 원료준비 단계부터 제품생산, 품
질관리, 재고관리 등을 실시간으로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과 솔루션 제공이
가능한 상황임. 전문적인 틈새시장을 선도하는 소규모 업체들이 모두 사라
질 수는 없겠지만, 이것의 지금의 산업발전 방향이며, “Industry 4.0” 은 이
미 시작되었다고 생각됨

□ 산업용섬유와 부직포분야에서 국내기업은 겨우 3 곳만이 ITMA 전시회에


참여하였으며, 해외 선진업체들과 경쟁하기에 매우 왜소하다는 느낌이었는
데, 이는 해외선진업체들과 중국업체들 사이에 낀 넛크래커 상황의 국내
산업용섬유 및 부직포산업 현황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됨

□ 향후 , 연평균 5% 이상으로 성장할 산업용섬유/부직포 분야는 지금도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관련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첨단화, 부품소재 경량화,
소형 박막화의 추세로 지속 성장이 예상됨. 또한, 첨단 성장산업 분야의 원
부자재 공급의 집적효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공존 발전하는 구조의 유
연화가 가능하며, 더욱이 섬유산업과 첨단산업의 유기적 연계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음

□ 이미 시작된 “Industry 4.0” 과 미국-중국, 미국-유럽, 미국-중동, 중국-일본


등 매주/매일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무역전쟁 속에서 미래가 그 어느 때
보다 불투명하다고 판단됨. 부직포 등 산업용섬유가 활용되는 용도분야가
매우 넓기에 섬유산업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부품소재산업 및 완제품산
업의 생존을 위해 정부, 산업계, 학계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됨

- 31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