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4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2022년 12월 31일, 75~108쪽
IP & Data Law
Inha Law Research Institute
Vol. 2, No. 2, December, 2022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

전성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부연구위원
정수연
연구원

<목 차>

Ⅰ. 서설

Ⅱ. 온라인 전시회의 의의와 현황


1. 의의 및 유형
2. 온라인 전시회의 참여 주체와 각 주체 간 법률관계

Ⅲ.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보호동향


1. 개관
2.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
3. 주요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지식재산정책 및 약관
4. 주요 오픈 마켓 플랫폼 운영자의 지식재산정책 및 약관
5. 소결

Ⅳ.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지식재산 보호방안


1. 개관
2. 온라인 전시회의 개최 단계별 고려사항
3. 온라인 주최자의 지식재산 보호 및 침해방지 방안
v. 결론

* 투고일 : 2022. 11. 24, 심사일 : 2022. 12. 01, 게재일 : 2022. 12. 31.
** 이 글은 “온라인 전시회 관련 지식재산 보호가이드(Kotra, 2020)” 연구과제의 일부를 수
정·보완한 것입니다.

- 75 -
76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 국문초록 >

전시 산업은 전 세계적인 코로나 감염병의 유행으로 비대면 형태인 온라인 전시회로 추


세가 변화하고 있다. 특히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고 있어 해외 고객과의 물리적 접근이 어
렵기 때문에 온라인 전시회는 더욱 수요가 증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온라인 전시회가 증가
하고 있는 상황에서 온라인상에 출품되는 다양한 제품 등에 타인의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
권을 비롯하여 저작권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지식재산권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온라인 전시회에 참가하는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와 전시 참가업체는 자신의 지식재산을
보호하고, 타인의 지식재산을 침해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운영자의 플랫폼에서
지식재산 침해가 많이 발생하거나 분쟁이 지속될 경우에는 해당 전시회의 명성이나 운영에
도 악영향을 준다. 이 점은 참가업체에게도 마찬가지이다. 자사의 지식재산권 침해를 방지
하지 못하거나 타사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한 것으로 판명된다면 자사의 명성이 훼손되어 해
외 진출이나 제품 생산에도 차질이 생기기 마련이다.
온라인 전시회에 참가하는 각 주체는 지식재산 보호에 만전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
한 까닭에 지식재산 분쟁 예방을 위하여 적어도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해서는 충분히 체크
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는 자신이 개최하는 온라인 전시회에서 지식
재산권의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약관과 지식재산 보호 규정의 마련 등을 통해 전반적인
지식재산 보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
가 온라인 전시회에서 지식재산 보호를 위하여 취해야할 지식재산 보호 및 침해방지 방안
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주 제 어 >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 오픈마켓 플레이스 제공자 책임, 전시회 약관, 온라인 전시회 보호
규정, 지식재산권

Ⅰ. 서설

온라인 전시회는 기업들의 제품을 바이어에게 선보이는 플랫폼을 물리적 전


시회장에서 온라인으로 옮긴 형태라 할 수 있다. 온라인 전시회는 개최 주체는
물론 참여하는 모든 주체의 측면에서 기존 물리적 전시회 보다 개방적이다. 물
리적 전시회 주최자, 무역 지원기관, 산업전문지, 개별기업 등이 온라인 전시회
의 주체가 되어 폭넓고 다양한 형태로 온라인 전시회가 개최되고 있다.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77

온라인 전시회는 코로나 팬데믹 이전에도 여러 번 개최 시도가 있어왔다. 하


지만 대면 전시회의 경우 면대면 상담과 실물 제품의 관람 및 체험이 가능하다
는 장점이 있었기 때문에 물리적 전시회의 부대 행사나 일부 기관에 한하여 온
라인 전시회가 개최되었다. 특히 기계·장비와 같은 산업류는 제품을 직접 시연
하고 구동하는 데 있어서 온라인 전시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존재했다.
그러나 전 세계적인 코로나 감염병의 유행으로 전시 산업의 트렌드가 점차
변화되었다. 국제사회의 방역단계가 강화되면서 온라인이 사회 활동의 대체 플
랫폼이 되고 있고, 이에 따라 기존의 오프라인 전시회가 비대면 형태인 온라인
전시회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2022년 한해 동안 개최 또는 개최 예정인 온라인
전시회는 전 세계적으로 110여 건에 이른다.1)
온라인 전시회에 참가할 경우, 참가부스 구축비용, 제품 운송비용, 출장비 등
이 감소하여 비용적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이고 출장자의 투자 시간도 감소된다
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이어와 정보교환이 원활해져 고객 정보 수집이 보다
용이하다. 거리, 일정 등의 이유로 직접 참가가 힘들었던 바이어의 경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시 참석이 가능해 세일즈 리드 수집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제
품 직접 시연에 대한 한계도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제품 홍보 자
료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해결해 가고 있다. 특히 고화질 이미지와 영상물을 넘
어 인공지능(AI)과 가상현실(VR)·증강현실(AR)·혼합현실(MR), 3D프린터와
빅데이터, 그리고 다양한 스마트앱 등 변혁적 첨단기술을 활용하면서 오프라인
전시회의 대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온라인 전시회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온라인상에 출품되는 다
양한 제품 등에 타인의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을 비롯하여 저작권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지식재산권 침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2) 지식재산분쟁 없

1)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글로벌 전시 플랫폼, <https://www.gep.or.kr/gept/ovrss/exbi/exb


iInfo/allExbiList.do>(2022. 11. 13. 최종방문).
2) 실제로 오프라인 전시회 사례이기는 하나, 독일에서 개최된 전시회에서 코트라 프랑크푸
르트 IP-DESK를 통해 집계된 국내기업들의 지재권 침해건수는 35건이었으며 침해유형비
중은 상표권 침해(19건), 특허권 침해(14건), 디자인권 침해(3건) 순으로 나타난 바 있다
(2014 ~2018년). 독일, 커져가는 지식재산권의 중요성, <https://news.kotra.or.kr/user/glo
balBbs/kotranews/7/globalBbsDataView.do?setIdx=245&dataIdx=174038>(2022. 11. 15.
78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이 온라인 전시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전시회 플랫폼 주최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하에서는 온라인 전시회가 타인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하지
않고 원활히 개최될 수 있도록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를 중심으로 한 지식재산권
보호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온라인 전시회의 의의와 현황

1. 의의 및 유형

(1) 정의

일반적으로 전시회란 유형(제품) 또는 무형의 상품(서비스)을 매개로 하여 특


정장소에서 일정기간 방문객과 참가업체 간에 상품거래와 홍보 등 주요한 경제
적 목적으로 샘플 등을 전시하며 진행되는 일체의 마케팅 활동을 의미한다.3)
우리나라의 「전시산업발전법」에서는 전시회를 “무역 상담과 상품 및 서비스
의 판매․홍보를 위하여 개최하는 상설 또는 비상설의 견본 상품박람회, 무역상
담회, 박람회 등의 행사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종류와 규모에 해당하는
것”4)이라고 정의하고 있고(전시산업발전법 제2조 제2호), 동조 제6호에서는

최종방문).
3) 이용근 외, “해외 전시회 지식재산권 보호 가이드”, 「KOTRA 심층보고서」, 2018, 5쪽.
4) 전시산업발전법 시행규칙 제2조(전시회의 종류와 규모) : 「전시산업발전법」(이하 "법"이라
하다) 제2조제2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종류와 규모에 해당하는 것”이란 다음 각 호
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개정 2013. 3. 23., 2015. 8. 3.>
1. 「국제박람회에 관한 협약」에 따라 박람회 국제사무국 총회에 등록하거나 박람회 국제사
무국 총회에서 승인한 박람회
2.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상설 또는 비상설 전시회
가. 옥내와 옥외 전시면적이 2천 제곱미터 이상일 것
나. 100명 이상의 외국인 구매자가 참가등록할 것
3. 그 밖에 상설 또는 비상설 전시회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요건을 갖춘
전시회 중 법 제2조제5호 나목에 따른 전시주최사업자의 신청에 의하여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전시산업 발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전시회
가. 옥내와 옥외 전시면적이 1천 제곱미터 이상일 것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79

‘사이버전시회’란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을 활용하여 사이버 공간에서 개최하는


전시회로서 산업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고 규정하
고 있다.5)
광의적 개념으로는 ‘온라인 전시회’를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을 활용하여 사
이버 공간에서 개최하는 전시회’라 정의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하면, 온라인 전시
회란 전통적으로 전시장에서 개최되는 전시회를 온라인상에 구현한 것을 의미
하는 것으로 사이버 전시회(Cyber Show), 버추얼전시회(Virtual Show) 등으
로도 불린다.6)

(2) 유형

일반적으로 전시회의 유형은 전시 품목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전문전시


회이다. 이는 특정산업분야 또는 전문품목을 전시하는 경우이다. 둘째, 종합전
시회이다. 이는 다양한 산업분야 및 종합 품목을 전시하는 경우이다. 셋째, 세
계박람회이다. 산업, 과학, 기술, 문화 예술 등 전 분야를 망라하여 전시하는
경우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7)

나. 10개 이상의 전시부스를 갖출 것


5) 전시산업발전법 시행규칙 제2조(사이버전시회) : 「전시산업발전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
2조제6호에서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조건”이란 다음 각 호의 조건을 말한다. <개
정 2011. 12. 16., 2013. 3. 23., 2015. 8. 4.>
1. 법 제2조제5호에 따른 전시사업자가 운영할 것
2. 전시품목이 10개 이상일 것
3. 다른 제품과 비교할 수 있는 전시 견본상품의 형상이 있을 것
4. 무역상담과 상품 및 서비스의 판매ㆍ홍보를 위하여 개최될 것
5. 쌍방향 실시간 대화가 가능한 화상통신시스템을 갖추고 있을 것
6. 대금결제시스템을 갖추고 있을 것
6) 이창현/서민교, “온라인 전시회의 특성 분석 및 효과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인터넷
전자상거래 연구」, 2008, 158쪽.
7) 이용근 등, 앞의 보고서(주 1), 6쪽.
80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표 1> 전시회의 유형별 구분

구분 전문전시회 종합전시회 세계박람전시회


산업, 과학, 기술,
특정산업분야 또는 다양한 산업분야 및
전시품목 문화, 예술 등 전
전문분야 종합품목
분야 망라
전시기간 3~5일 1~2주 6개월 이내
참가업체 제조업체, 유통업체 개별업체 국가단위
방문객 바이어 정부기관 일반대중
미래 지향적인 전시
바이어 및 일반대중 주제를 갖고
성격 철저한 상거래 목적 자국 산업에 대한 일반대중에게 발전
홍보 및 교역활성 방향을 제시하는
비상업적 박람회
홍콩전자전, 시리아 다마스커스
상해 엑스포 여수
예 싱가포르정보통신전, 국제박람회,
엑스포
두바이건축박람회 한국상품전(폐지)

출처 : 이용근 외, “해외 전시회 지식재산권 보호 가이드”, 「KOTRA 심층보고서」, 2018.

전시회를 성격별로 구분하면, 무역전시회, 일반전시회, 혼합전시회로 나눌


수 있다.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8)

<표 2> 성격별 전시회 구분

무역전시회 일반전시회 혼합전시회


구분
(Trade Show) (Public Show) (Combined Show)
소매업자 및
최종소비자를
참가기업 제조업체, 유통업체 제조업체, 유통업체
접촉하려는
제조업체
참관객 바이어 일반대중 바이어, 일반대중
통상 바이어만 입장
바이어 및 초청장 입장 제한 거의 가능한 별도의
입장제한
소지자만 입장 없음 Business hour
운영

8) 이용근 등, 앞의 보고서(주 1), 7쪽.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81

무역전시회 일반전시회 혼합전시회


구분
(Trade Show) (Public Show) (Combined Show)
미국 내에서 미국 내에서
미국 내에서 개최되는
점유율 개최되는 전시회의 개최되는 전시회의
전시회의 49% 차지
13% 차지 38% 차지
서울국제식품산업대
예 서울국제공작기계전 한국결혼상품전

출처 : 이용근 외, “해외 전시회 지식재산권 보호 가이드”, 「KOTRA 심층보고서」, 2018.

이와 같이 오프라인 전시회의 분류방법인 품목별로 전시회의 유형을 구분하


는 것과 성격별로 전시회를 구분하는 것은 온라인 전시회의 경우도 마찬가지라
고 할 수 있다.

2. 온라인 전시회의 참여 주체와 각 주체 간 법률관계

(1) 참여주체

온라인 전시회에는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운영자(제공자)(Platform Service


Provider)’, ‘온라인 전시 주최자(Organizer)’, ‘참가업체(Exhibitor)’, ‘참관객
(Visitor or Attendee)’이 참여한다. 제1주체는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운영자이
다. 오프라인 전시회의 경우라면 전시장 운영자라고 볼 수 있다. 즉, 온라인에
서 전시를 할 수 있는 가상공간(전시 플레이스)을 제공해 주고 운영해 주는 관
리 주체로서 온라인 전시 주최자로부터 일정한 비용(공간 임대료 또는 전시 시
스템 구축비 등)을 받고 일정기간 동안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해 주는 주체라고
할 수 있다.
제2주체는 온라인 전시 주최자이다. 온라인 전시 플랫폼을 일정기간 동안 임
대하여 전시회를 기획, 개최 및 결산 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예컨대 코트라의
바이코리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고비즈 코리아, 오픈마켓 플레이스 운영
자인 11번가나 옥션 등은 모두 플랫폼 운영자이나 상품 거래를 도와주는 주최자
라고도 할 수 있다. 즉, 플랫폼 운영자이면서 주최자인 것이다.
82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제3주체는 전시 참가업체이다. 소정의 참가비를 지불하거나 무료로 온라인


전시 주최자로부터 온라인 전시 부스를 임대하여 전시품을 진열하고 비즈니스
를 행위를 하는 주체이다.
제4주체는 참관객이다. 온라인 전시 기간 중 온라인 전시장을 방문하여 참가
하는 업체들을 대상으로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담을 하거나 시장 정보를 수집하
는 주체이다.

(2) 각 주체 간 법률관계

1)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 운영자와 온라인 전시 주최자 간의 법률관계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 운영자는 온라인 전시 주최자와의 사이에 플랫폼 이용


계약을 체결하고, 전시회 주최자는 참가업체에게 재화나 용역을 판매한다. 이러
한 플랫폼 이용계약의 법적성질에 대해서는 위임계약설, 도급계약설, 도급과 위
임의 성격을 갖는 혼합설로 나뉜다.9)
위임계약으로 보면, 플랫폼 운영자는 온라인 전시회장의 이용에 필요한 플랫
폼을 운영하는 등의 사무를 처리하여야할 의무만을 진다. 도급계약으로 보면,
주최자가 플랫폼을 이용하여 전시회를 할 수 있도록 플랫폼 운영자가 플랫폼을
적합하게 재구성하므로 도급의 성격이 강하다고 본다. 혼합계약으로 볼 경우에
는 플랫폼 운영자가 당해 전시회의 특성에 맞게 시스템을 구축 및 제작하여 주
최자에게 제공하고 플랫폼을 전시에 적합하게 재구성하므로 위임과 도급의 성
격을 모두 갖는 혼합계약으로 본다.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의 경우, 온라인 전시 품목이나 성격에 따라 플랫폼 운
영자가 주최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된다. 즉,
플랫폼 운영자가 주최자의 전시 품목이나 성격에 따라 플랫폼 환경을 보수하거
나 재구성할 경우에는 도급계약으로 볼 수 있고, 주최자가 플랫폼의 공간을 구
매하거나 이용허락을 하게 되므로 매매나 임대차 성격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 운영자와 온라인 전시 주최자가 체결하는 플랫폼
이용계약의 법적 성질은 혼합계약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9) 정진명, “플랫폼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법률문제”, 「비교사법」 제24권 4호, 2017, 1563쪽.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83

2)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와 참가업체와의 관계

당해 전시회 참가업체들은 주최자에 대해 거래 비용을 지불한다고 볼 수도


있다.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 운영자와 주최자가 동일한 경우는 물론, 플랫폼 운
영자와 플랫폼 이용계약을 체결한 주최자는 자신이 구축한 플랫폼 또는 이용계
약을 체결한 플랫폼에서 전시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스템을 유지,
관리하여야 할 의무를 부담하여야 한다.

3)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의미

기본적으로 디지털화된 플랫폼의 유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정해진 것은 없다.


플랫폼의 목적이나 관심사항 등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그러나 온
라인 전시회 플랫폼 운영자 또는 주최자와 관련하여 지식재산권법적 검토를 하
기 위해서는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 운영자와 주최자가 어느 유형에 포함되는지
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플랫폼을 경제학적으로 구분하면 이하와 같
다.10)

<표 3> 플랫폼 운영자 유형(경제학적 분류)

이용자 이용자
분류 기능 플랫폼 예
사이트 1 사이트 2
쇼핑몰, 온라인 경매,
거래 거래 장소만 판매자
구매자 온라인 쇼핑, 전자책
중개형 제공 (소매 등)
상점 온라인 음악 등
콘텐츠를 TV, 잡지·신문, 웹
제공하고, 이용자 검색 서비스, SNS
미디어형 광고주
그 이용자와 (시청자) (이용자와 광고의 관계)
광고주를 매개함 등
인터페이스에
의해 소비자의 컴퓨터 OS, TV, 게임,
소프트 콘텐츠
소프트웨어 소비자 비디오·DVD 등 전자
웨어형 제공자
(콘텐츠) 이용을 책 리더, SNS 게임 등
가능하게 함

10) David S. Evans, “The Antitrust Economics of Multi-Sided Platform Markets”, 20 YALE
L.J. 325, 2003, pp.325-381.
84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이용자 이용자
분류 기능 플랫폼 예
사이트 1 사이트 2
결제 거래의 결제를 신용카드, 온라인결제
구매자 판매자 등
수단형 중개 시스템(PayPal 등) 등

출처 : David S. Evans, The Antitrust Economics of Multi-Sided Platform Markets, 20 YALE L.J.
325 (2003).

위의 구분에 따라 살펴보면,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 운영자는 거래 중개형에


해당된다. 즉,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이라는 장소를 제공한다. 이러한 유형의 예
로는 오픈 마켓 플레이스 제공자인 옥션, 지마켓 등의 온라인 쇼핑몰을 들 수
있다. 유럽위원회에서도 온라인 플랫폼의 구체적인 예로서 광고 플랫폼, 마켓
플레이스, 검색 엔진, 소셜 미디어, 제작 컨텐츠 판매, 응용 프로그램 전달 플랫
폼, 통신 서비스, 결제 시스템, 공유 이코노미 플랫폼을 들고 있다.11)
한편, 전자상거래 측면에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는 ‘정보제공형’, ‘장소대여
형’, ‘거래중개형’, ‘판매형’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12) ‘정보제공형’, ‘장소대여형’
및 ‘거래중개형’의 경우는 사실 상 거래에 관여하지 않거나 어느 정도의 관여를
하더라도 거래에 직접 관여하는 지위가 아니므로 중개의 성질과 더 가깝다.
여기서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 운영자는 ‘장소대여형’과 유사하다. 장소대여형
은 인터넷에 거래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참가자가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장소대여형은 가격비교 사이트와 같이 통신
판매에 관한 정보만 제공하고 거래에는 적극적으로 관여하지 않는다. 예컨대,
사이트에서의 거래에 관한 규약 거래 성립에 필요한 정보의 교환이나 제공, 이
미 성립된 거래에 관한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경우 등이다. 장소대여형 플랫
폼 운영자는 통신 판매에 직접 관여하지 않지만 플랫폼이라는 거래장소와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므로 통신판매중개업자에 해당한다.13) 마찬가지로 온라인 전

11) Google's AdSense, DoubleClick, eBay, Amazon, Marketplaces, Google, Bing Search,
Facebook, YouTube, Google Play, App Store, Facebook Messenger, PayPal, Zalando
marketplace, Uber 등이 있다.
12) 정진명, 앞의 논문(주 9), 1559-1596쪽.
13) 정진명, 위의 논문(주 9), 1559-1596쪽.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85

시회 플랫폼 운영자는 전시회 장소와 전시회를 할 수 있는 시스템만을 제공하므


로 통신판매중개업자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 운영자는 저작권법 제2조의 ‘온라인 서비스 제공
자’로 볼 여지도 있다. 저작권법은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자가 선택한
저작물 등을 그 내용의 수정 없이 이용자가 지정한 지점 사이에서 정보통신망
(정보통신망법 제2조 제1항 1호의 정보 통신망을 말한다)을 통하여 전달하기 위
하여 송신하거나 경로를 지정하거나 연결을 제공하는 자” 및 “이용자들이 정보
통신망에 접속하거나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저작물 등을 복제·전송할 수 있도
록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그를 위한 설비를 제공 또는 운영하는 자”라고 정의하
고 있다(저작권법 제2조 제30호).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가 온라인 전시회를 기획하고
참가업체를 모집하는 등의 업무를 한다면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가 주최자가 된
다. 그렇지 않고,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이라는 장소와 시스템만을 제공한다면
플랫폼 운영자에 해당된다. 이러한 플랫폼 운영자에게서 플랫폼을 제공받아 당
해 온라인 전시회를 기획하고, 참가업체를 모집하고, 온라인 부스를 만드는 등
의 업무를 한다면 이는 온라인 전시회의 주최자가 될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온라인 전시회를 기획하고 진행하는 온라인 전시회 주최
자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에는 온라인 전시
회 플랫폼을 운영하면서 동시에 주최하는 자와 온라인 플랫폼을 대여하여 온라
인 전시회만을 주최하는 자를 의미한다.

Ⅲ.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동향

1. 개관

온라인 전시회 관련 플랫폼이 부각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온라인 전


시회에서도 오프라인 전시회만큼이나 많은 참가자가 방문하게 된다. 온라인이
라는 특성상 온 세계의 사람들이 시간이나 공간의 제약 없이 참여할 수 있다.
86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온라인 전시회에 신제품을 출품하기도 한다. 특히 특허, 상표, 디자인 등에 대


한 출원 전단계에서 전시회 출품을 먼저 진행하기도 한다. 영업담당자 또는 대
표이사가 지나치게 의욕이 넘쳐 실수로 관련 자료 파일이나 시제품이 온라인상
에 공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명, 디자인의 신규성 상실로 이어질 수 있고,
상표의 도용이나 저작권 모방으로 이어질 수 도 있다. 그러나 온라인 전시회 플
랫폼 운영자, 주최자, 전시 참가업체 등이 지식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이나
약관은 보편화되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의 운영 형태와
유사한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의 경우에는 지식재산 침해 예방 또는 침해 조치를
위한 지식재산 정책이나 약관 등이 잘 정비되어 있고 실제로도 운영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란 인터넷 상에서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한 판
매자와 구매자가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사고 팔 수 있는 웹사이트를 말한다.
특정기업이나 개인이 운영하며 직접 재고 운영과 판매 관리를 담당하는 여타
인터넷 쇼핑몰과 달리 누구나 참여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사업을 영위할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거래의 대상에 따라 B2B, B2C, C2C에 특화된 사이
트들이 존재하며, 초기의 상품 위주 거래에서 최근에는 서비스 혹은 컨텐츠의
거래까지 다양한 형태의 마켓 플레이스들이 생겨나고 있다. 크게 기업-기업
(B2B) 형태와 기업과 소비자 간의 거래(B2C)형태로 나뉘는데, 특히 최근 전 세
계 B2C 전자상거래 시장이 인터넷 이용자 확대 및 IT 기술 발달에 의해 급속도
로 발전 중이다.14)
B2B 거래는 기존 기업 간의 무역거래를 온라인상으로 옮긴 형태로서 오퍼/
견적 등의 협상을 통한 거래가 이루어진다. 한편 B2C 거래는 국가별로 상이한
수출입 상품 구색, 유통구조 및 환율 등으로 소비자가 직접 구매를 하고, 수출
업체(중소 유통업체)는 해당 상품을 주로 해외배송으로 보내는 형태이다.

14) 대한상공회의소, “글로벌 온라인 유통의 주요 트렌드 및 국내 기업의 수출시장 진출전


략”, <http://www.korcham.net/FileWebKorcham/OnlineSeminar/File/01.%EA%B8%8
0%EB%A1%9C%EB%B2%8C%EC%98%A8%EB%9D%BC%EC%9D%B8%EC%9C%A0%E
D%86%B5.pdf>(2022. 11. 30. 최종방문).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87

<표 4> 주요 글로벌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

국가 B2B 마켓 B2C 마켓
BuyKorea(KOTRA), EC21(KITA) Gmarket 영문샵, Qoo10,
한국
GoBizKorea(중기청) 11번가 해외배송
중국 Alibaba Taobao
일본 Export-japan.com Rakuten
미국 Business.com Amazon, eBay
유럽 Esources, Germany business hub eBay, Amazon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글로벌 온라인 유통의 주요 트렌드 및 국내 기업의 수출시장 진출전략」.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의 운영 형태는 온라인 전시회 플


랫폼의 운영 형태와 매우 유사하다. 특히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중 B2B 거래 플
랫폼은 온라인에서 제품 등을 전시하고, 홍보하고, 판매하고자 하는 온라인 전
시회 플랫폼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하에서는 온라인 전시회에서 지식재산권 침
해가 발생했을 경우에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에게 어떠한 책임이 있는지 검토한
다. 또한 현재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지식재산 보호 현황을 살펴보고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 운영자의 지식재산 정책 및 약관을 중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향
후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 등의 지식재산 보호 방안에 대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2.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

온라인 전시회 운영자는 직접 전시회에서 전시를 하거나 제품을 판매, 구매


하는 것은 아니며, 오픈마켓 플레이스 운영자와 같이 전시회 참가업체들이 전시
회에 참여하여 거래를 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에 그친다. 이처럼 온라인
전시회 운영자가 전시회에서 장소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는 경우 통신판매중개
자와 마찬가지로 운영자는 전시회 장소를 제공하는 것에 그친다는 점을 참가자
가 알기 쉽도록 미리 고지한다면,15) 참가업체들의 지식재산권 침해 등에 대하
여 원칙적으로 법적 책임을 부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법원은 오픈마
88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켓에서 판매자가 상표권을 침해하는 제품을 판매한 경우에 그러한 사정만으로


바로 오픈마켓이 법적 책임을 지지는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면서도, 경우에
따라서는 오픈마켓 운영자가 상표권 침해행위에 대하여 조치를 취할 의무를 인
정하고 있다.
우리 판례는 대법원 2012. 12. 4. 자 2010마817 결정에서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가 판매자로서 직접 소비자들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형태가 아니라, 판매
자와 구매자 사이에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전자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판매자로부터 서비스 이용료를 받을 뿐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의 구체적
거래에는 관여하지 않는 이른바 오픈마켓(Open Market)에서는, 운영자가 제
공한 인터넷 게시공간에 타인의 상표권을 침해하는 상품판매정보가 게시되고
그 전자거래 시스템을 통하여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에 이러한 상품에 대한 거래
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만으로 곧바로 운영자에게 상표권 침해 게
시물에 대한 불법행위책임을 지울 수는 없다고 판시하였다.
다만 상표권 침해 게시물이 게시된 목적, 내용, 게시기간과 방법, 그로 인한
피해의 정도, 게시자와 피해자의 관계, 삭제 요구의 유무 등 게시에 관련한 쌍
방의 대응태도, 관련 인터넷 기술의 발전 수준, 기술적 수단의 도입에 따른 경
제적 비용 등에 비추어 볼 때, ① 오픈마켓 운영자가 제공하는 인터넷 게시공간
에 게시된 상표권 침해 게시물의 불법성이 명백하고, ② 오픈마켓 운영자가 위
와 같은 게시물로 인하여 상표권을 침해당한 피해자로부터 구체적·개별적인
게시물의 삭제 및 차단 요구를 받거나, 피해자로부터 직접적인 요구를 받지 않
았다 하더라도 그 게시물이 게시된 사정을 구체적으로 인식하였거나 그 게시물
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었음이 외관상 명백히 드러나고, ③ 나아가 기술적, 경
제적으로 그 게시물에 대한 관리·통제가 가능한 경우에는, 오픈마켓 운영자에
게 그 게시물을 삭제하고 향후 해당 판매자가 위 인터넷 게시공간에서 해당 상

15)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20조(통신판매중개자의 의무와 책임) ① 통신판매중개를 하는 자(이하 "통신판매중개
자"라 한다)는 자신이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소비자가 쉽게 알 수 있도
록 총리령으로 정하는 방법으로 미리 고지하여야 한다.
제20조의2(통신판매중개자 및 통신판매중개의뢰자의 책임) ① 통신판매중개자는 제20
조제1항의 고지를 하지 아니한 경우 통신판매중개의뢰자의 고의 또는 과실로 소비자에
게 발생한 재산상 손해에 대하여 통신판매중개의뢰자와 연대하여 배상할 책임을 진다.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89

품을 판매할 수 없도록 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 요구되며(대법원


2009. 4. 16. 선고 2008다53812 전원합의체 판결 등 참조), 오픈마켓 운영자
가 이를 게을리 하여 게시자의상표권 침해를 용이하게 하였을 때에는 위 게시물
을 직접 게시한 자의 행위에 대하여 부작위에 의한 방조자로서 공동불법행위책
임을 진다고 할 것이다.16)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오픈마켓 운영자에게 요구
되는 조치의무에, 타인의 상표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게시물을 게시한
판매자의 신원정보 및 판매정보를 오픈마켓 운영자가 임의로 상표권자에게 제
공할 의무까지 포함된다고 할 것은 아니다”라고 하였다.
결국 민법 제760조 제3항의 방조에 의한 불법행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온
라인 전시회 주최자가 참가업체 등 이용자의 위법행위를 방조한 것에 대한 고의
또는 과실이 필요하고, 과실에 의한 방조는 불법행위에 도움을 주지 않아야 할
주의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주의의무를 위반한 경우에 성립할 수 있다는
것이 현재의 다수설과 판례의 입장이라고 볼 수 있다.17)

3. 주요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지식재산정책 및 약관

2020년을 기준으로 개최된 국내외 주요 온라인 전시회를 조사한 결과, 2020


미국 뉴욕 사진 전시회, 2020 스위스 제네바 건강기능식품 전시회, 2020 스페
인 마드리드 농산품·과일 전시회, 2020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해양 및 준설 장
비 전시회, 2020 중국 추계 수출입 상품 교역회 등이 있었다. 이들의 지식재산
정책 및 약관 현황을 요약하여 정리해보면 이하와 같다.

<표 5> 국내외 주요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지식재산 정책 및 약관

PDN PhotoPlus International - 타인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하는 상


2020 미국
Conference and Expo는 상 품의 전시 등과 관련하여 이를 보
뉴욕 사진
업, 편집, 결혼식, 초상화 및 호하기 위한 특별한 규정을 두고
전시회
예술 사진과 같은 사진 및 디 있지 않음

16) 대법원 2010. 3. 11. 선고, 2009다4343 판결 참조.


17) 최지현,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동아법학」 제12권 제4호.
2021, 167쪽.
90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지털 이미징 산업에 관심이


있는 전문가, 학생, 교육자 - 자사의 플랫폼과 관련한 지식재산
및 고급 아마추어를 위한 연 의 소유권 규정과 자사의 지식재
례 사진 행사 산을 침해하지 않는데 동의하도록
<http://www.emeraldexpos 하는 규정
itions.com/>
- 자사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하는 행
위는 금지하도록 규정하고, 타인
Vitafoods는 유럽 최대 규모
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도
의 건강기능식품 전시회로
2020 스위스 금지할 수 있도록 규정
1997년 처음 개최된 이후 올
제네바 - 플랫폼 운영자는 본 플랫폼 상의
해로 24회를 맞이하였으며,
건강기능식품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자료의
상담 위주의 비즈니스 전문
전시회 차단, 필터링할 수 있으나, 이에
전시회
대한 의무는 없고, 또 지식재산권
<www.vitafoods.eu.com>
침해에 대한 모니터링 의무는 없
다고 규정
- 타인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하는 상
품의 전시 등과 관련하여 이를 보
스페인 마드리드 세계 농산물
2020 스페인 호하기 위한 특별한 규정을 두고
박람회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마드리드 있지 않음
큰 농산물 박람회
농산품·과일 - 자사의 플랫폼과 관련한 지식재산
<http://fruitattraction.com
전시회 의 소유권 규정과 자사의 지식재
/en/home/>
산을 침해하지 않는데 동의하도록
하는 규정
2020 네덜란드 해양 및 준설장비
- 자사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하는 행
네덜란드 전시회(Offshore Energy)는
위는 금지하도록 규정하고, 타인
암스테르담 2008년 최초로 개최됨
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도
해양 및 준설 <https://www.navingo.com
금지할 수 있도록 규정
장비 전시회 >
1957년 중국정부가 대외개방
창구로 활용하기 위해 개최를 - “온라인 참여 콘텐츠의 지식재산
2020 중국 시작, 매년 봄·가을 두 차례 권 침해 의심에 대한 불만 및 처
수출입 상품 개최되며 중국에서 역사가 가 리에 한 임시 조항”을 마련하여
교역회 장 오래되고 전시 규모 역시 온라인 전시회에서의 지식재산 보
가장 큰 세계적인 종합전시회 호 강화
<www.cantonfair.org.cn>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91

4. 주요 오픈 마켓 플랫폼 운영자의 지식재산정책 및 약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 중 B2B 거래 플랫폼의 경우


온라인에서 제품을 전시·홍보·판매한다는 점에서 그 운영 형태가 온라인 전
시회 플랫폼과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국내외 주요 오픈마켓 플랫폼 운영자
(B2B, B2C)의 지식재산 정책과 약관의 주요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온라인 전시
회 플랫폼 운영자의 지식재산 정책 및 약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
다. 주요국 오픈마켓 플랫폼 운영자의 지식재산 정책 및 약관의 주요 내용은 정
리하면 이하와 같다.

<표 6> 주요국 오픈마켓 플랫폼 운영자의 지식재산 정책 및 약관

<약관 중 지식재산 관련 조항>


바이 바이코리아(buyKOREA)는
제6조(게시물의 관리 등)
코리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제8조(매매 부적합 상품)
(Buy (KOTRA)에서 운영하는 B2B
제9조(“Seller"의 의무)
Korea, 온라인 해외 마케팅 및 무역
제11조(이용의 제한 및 탈퇴)
B2B) 지원전용 웹사이트 플랫폼
제12조(대리 및 보증의 부인)
고비즈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코리아
(KOSME)에서 운영하는 국제 <약관 중 지식재산 관련 조항>
(GoBiz
바이어와 한국 공급 업체를 제12조(“게시물”관리)
Korea,
연결하는 B2B 온라인 플랫폼
B2B)

한 <구매회원 약관>
국 제33조 (저작물 책임)
지마켓 Gmarket은 2000년 설립된 제30조 (매매부적합상품)
(Gmarket, 오픈 마켓 플랫폼(지식재산보 <판매회원 약관>
B2C) 호센터 운영) 제32조 (금지행위)
제37조 (회사의 면책)
제38조 (관할법원)
<구매회원 약관>
제17조 (저작권 정책)
11번가는 2008년 설립된 오 <판매회원 약관>
11번가
픈마켓 플랫폼(지식재산권 보 제6조 (지식재산권)
(B2C)
호센터 운영) 제15조 (회사의 면책)
제16조 (금지 상품 및 행위)
제20조 (관할법원)
92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약관상 지식재산 관련 조항>


3. 우리의 독점적 권리
14. 의무적 중재 및 집단소송 포기
Business.com은 디지털 미
Business.
디어 회사이자 B2B 웹 사이
com(B2B) <저작권 정책>

1.1 침해 신고를 제출하는 방법
1.2 이의 제기 신청서를 제출하
는 방법
미 <판매자에 대한 IP 정책>
국 : IP 문제 개요, IP 권한 유형,
아마존의 IP 집행(IP 침해 통지
에 대한 대응 등)
아마존은 미국 최대의 전자상
Amazon
거래 플랫폼이자 세계 최대의
(B2C) <권리자에 대한 IP 정책>
온라인 쇼핑 중개자
: 권리 소유자의 IP 권리 위반
금지, 주요 IP 유형(상표, 저작
권, 특허, 병행수입품, 퍼블리시
티권 등), 침해 신고
Esources는 영국 최대의
B2B 도매 공급 업체로, 영국
<약관상 지식재산 관련 조항>
의 합법적인 국제 도매 업체,
Esources 5. eSources.co.uk에 정보를 게
유통 업체, 직송업체, 수입업
(B2B) 시하는 사용자
체, 수출업체, 제조업체 및
8. 지식재산권
에이전트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

럽 이베이는 글로벌 쇼핑 네트워
크를 보유한 세계적 전자 상
거래 기업으로, B2C, C2C <약관상 지식재산 관련 조항>
판매를 중개하며 미국, 영국, 10. U.S. Code Title 17 512(c)
eBay
중국, 스페인, 일본, 대한민 에 따른 지식재산권 위반 및 저
국 등 국경을 넘어 전 세계의 작권 침해 청구 통지
상품과 서비스를 일반 개인과
사업체가 거래할 수 있음

알리바바 닷컴은 B2B 온라인 <지식재산보호 정책>


쇼핑몰로, 중국의 중소기업이 - 지식재산권(“IPR”) 보호
중 Alibaba 만든 제품을 전 세계 기업들 - 침해 주장에 대한 조치
국 (B2B) 이 구매할 수 있도록 중개 - 침해 주장
(Alibaba Group의 주요 전 - IP 보호 플랫폼, 온라인 신고
자상거래 플랫폼은 Taobao, 시스템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93

<IP 보호 플랫폼(IPP) 정책>


Tmall, 1688, AliExpress - IPP 플랫폼에 적격한 불만
및 Alibaba International) - IPP 플랫폼에 부적격한 불만
- 판매자의 책임

5. 소결

국내외 오픈마켓 플랫폼 운영자의 경우, 지식재산 보호 정책이나 약관 등이


비교적 잘 정비되어 있다. 기본적으로는 플랫폼의 이용약관에 게시물의 관리,
매매부적합상품, 구매/판매회원의 책임, 금지행위 등 지식재산과 관련한 규정
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미국 아마존과 중국 알리바바의 경우 이용약관과는 별
도로 개별 저작권 정책이나 IP 정책을 시행하기도 했다. 아마존은 브랜드 레지
스트리, 프로젝트 제로 등의 자체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의 대형 플랫폼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침해 분쟁 해결에 개입하고 있었고,18) 중국 알리바바는 IP 보
호 정책과 더불어 IP 보호 플랫폼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었다.19)
특히 중국의 경우, 2020년 12월 ‘전자상거래 플랫폼 지식재산 보호 관리’ 조
치20)가 발표됨에 따라 향후 온라인 플랫폼 산업에 있어 더욱 강한 지식재산 보
호 규정 및 정책이 완비될 것으로 예상된다.21)22) 따라서 미국과 중국 온라인
플랫폼의 IP 정책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국내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의 운
영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

18) 구태웅 외, “미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지식재산권 가이드”, 「KOTRA 심층보고서」, 2020,
55쪽.
19) 최재웅 외,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지식재산권 가이드”, 「KOTRA 심층보고서」, 2020,
10-16쪽.
20)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지식재산 보호 관리”, 「IP Report」, 2020.
21)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중국, 전자상거래에 있어 IP 보호의 새로운 국가표준 공개”, 2020
년 12월 8일자 보도자료, <https://www.kiip.re.kr/board/notice/view.do?bd_gb=board
&bd_cd=1&bd_item=0&po_item_gb=1&po_item_cd=&po_no=13950>(2021. 3. 7. 최종
방문).
22) 김연, “최근 중국의 지식재산권 관련 법규 변화 동향”, 차이나 법률정보, 베이징 징두법
률사무소, 2020, 2쪽.
94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Ⅳ.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지식재산 보호 방안

1. 개관

온라인 전시회에 참가하는 온라인 전시회 플랫폼 운영자(주최자)와 전시 참


가업체는 자신의 지식재산을 보호하고, 타인의 지식재산을 침해하지 않도록 주
의를 기울여야 한다. 운영자의 플랫폼에서 지식재산 침해가 많이 발생하거나 분
쟁이 지속될 경우에는 해당 전시회의 명성이나 운영에도 악영향을 준다. 이 점
은 참가업체에게도 마찬가지이다. 자사의 지식재산권 침해를 방지하지 못하거
나 타사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한 것으로 판명된다면 자사의 명성이 훼손되어 해
외 진출이나 제품 생산에도 차질이 생기기 마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온라인
전시회에서 지식재산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가 온라인
전시회 개최 전과 운영 중에 실시하여야할 사항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온라인 전시회의 개최 단계별 고려사항

(1) 온라인 전시회 개최 전

1) 지식재산 표준약관 정비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는 전시회 참가업체 등의 지식재산을 보호하고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전시회 주최자와 참가업
체 사이에 계약서 또는 약관에서 지식재산 관련 조항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2) 지식재산권 온라인 민원 포털 페이지 설치

온라인 전시회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지식재산 침해 상황 등을 예상하여 참가


업체가 지식재산 정책을 지킬 의무를 규정하여야 하고, 또 혹시 모를 분쟁에 대
비하여 지식재산 보호 또는 상담센터를 설치하여야 한다. 지식재산 보호 또는
상담센터는 권리자 또는 대리인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한다는 증거가 있거나 침
해가 의심되는 경우 해당 침해 사실을 신고할 수 있게 하고, 필요할 경우 지식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95

재산 분쟁에 대해 상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당해


온라인 전시회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온라인 전시회 운영 중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는 당해 전시회 운영 중에 지식재산권 침해 등을 적극


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조사할 의무는 없다. 그러나 온라인 전시회에서 지식재산
권 침해가 일어나고 있음을 알면서도 어떠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식
재산권 침해에 대한 방조자가 되어 간접침해 책임을 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당
해 온라인 전시회에서 지식재산 침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고, 침해신고가 있는 경우 매뉴얼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3. 온라인 주최자의 지식재산 보호 및 침해방지 방안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는 전시회 참가업체 등의 지식재산을 보호하고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전시회 주최자와
참가업체 사이에 계약서 또는 약관에서 지식재산 관련 조항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온라인 전시회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지식재산 침해 상황 등을
예상하여 참가업체가 지식재산 정책을 지킬 의무를 규정하여야 하고, 또 혹시
모를 분쟁에 대비하여 지식재산 보호 또는 상담센터를 설치하여야 한다. 지식재
산 보호 또는 상담센터는 권리자 또는 대리인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한다는 증거
가 있거나 침해가 의심되는 경우 해당 침해 사실을 신고할 수 있게 하고, 필요
할 경우 지식재산 분쟁에 대해 상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당해 온라인 전시회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국내 오픈마켓 운영자의 경우 지식재산권 보호센터를 설립하거나 지식재산권
침해 해결을 위한 공동협력 프로그램인 VeRO Program을 운영하고 있었고,
해외 오픈마켓 운영자 또한 IP 보호 플랫폼(IPP)과 소유자 권리 인증 프로그램
(VeRO Program), 침해청구 통지서를 제공하거나 약관 내외에 지식재산 정책
을 두어 지식재산 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96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표 7> 국내외 오픈마켓 플랫폼 운영자(주최자)의 주요 지식재산 정책

오픈마켓 플랫폼명 주요 지식재산 정책


- 소유자 권리 인증 프로그램(VeRO Program)
Gmarket
- 권리침해신고 제도
- 약관 내 저작권 정책
11번가
- 지식재산권 보호센터
Business.com - 약관과 별도로 저작권 정책(저작권침해신고 등)
- 판매자에 대한 IP 정책(권리침해신고 등)
Amazon
- 권리자에 대한 IP 정책(권리침해신고 등)
- 소유자 권리 인증 프로그램(VeRO Program)
eBay
- 침해청구 통지서(NOCI)
- 약관과 별도로 지식재산권 보호 정책
Alibaba
- 지식재산 보호 플랫폼(IPP)을 통한 권리침해신고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도 오픈마켓 운영자와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참가자나 권리자로부터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삭제 및 차단 요구를 받거나,
명백히 지식재산권 침해행위를 인식할 수 있었던 상황에서 아무런 조치를 취하
지 않을 경우 침해자에 대하여 부작위에 의한 방조자로 판단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실제 중국 최대 무역박람회인 중국 수출입 상품 교역회(주로 줄임말
‘광교회’라 칭함)는 지난 6월 코로나에 대응하여 개최 63년 만에 처음으로 온라
인 전시회를 개최하였고,23) 「온라인 참여 콘텐츠의 지식재산권 침해 의심에
대한 불만 및 처리에 관한 임시 조항」을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광교회는 지식
재산 민원을 온라인으로 처리할 수 있는 ‘온라인 지식재산 민원 리포트’를 신설
하여, 전시회와 관련해 발생한 지식재산권 침해 혐의를 접수 및 해결하고, 참
가업체가 전시물, 전시품 포장, 판촉물 등 기타 콘텐츠에 대한 지식재산 인증
문서(특허등록 인증서, 상표등록 인증서, 저작권등록 인증서 등)를 업로드 하
도록 하였다.

23) “제127회 중국수출입상품교역회 첫 온라인 개최”, 인민망한국어판, 2020년 6월 15일


자, <http://kr.people.com.cn/n3/2020/0615/c203280-9700773.html>(2021. 3. 7. 최종방
문).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97

<표 8> 중국 수출입 상품 교역회의 주요 지식재산 정책

전시회명 주요 지식재산 정책
§ 온라인 지식재산 민원 리포트
- 권리침해신고 접수(침해 물품, 권리 소유 증명서, 연락수단
중국 수출입 상품
등 제출)
교역회
- 관련 조치 집행(물품 제거, 참해사실 웹사이트에 공표 등)
(광교회)
- 이의 신청 수렴
§ 참가업체의 지식재산 인증 문서 제출

따라서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도 약관 내 또는 약관과 별도로 ‘지식재산 정책’


을 마련하여 제3자의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지식재산권 침해행위를 방조했다는 등의 시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참가업체는 해당 지식재산 정책을 지킬 의무를 가지고, 만약 이를 위
반하여 발생하는 지식재산권 침해 등의 민·형사상 책임은 모두 참가업체 본인
이 지도록 하여, 주최자 및 참가업체 모두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해 적극적인 노
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표 9> 지식재산 정책(예시)

제○조 (지식재산 정책)


① “주최자”는 전시회를 운영함에 있어 제3자의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저작
권, 성명권, 초상권 등 제반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 지식재산 정책을 수
립해야 한다.
② “참가업체”는 운영자의 지식재산 정책을 지킬 의무가 있으며, 전시 과정에 제
3자의 지식재산권을 사용 하는 경우 정당한 권리자로부터 사용허락을 득한
다. 해당 정책을 위반하여 발생하는 지식재산권 침해 등의 민·형사상 모든
책임은 “참가업체” 본인이 부담한다.

특히 지식재산 정책의 내용은 지식재산 침해를 신고할 수 있는 방법과 절차


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전시회에서 지식재산권 침해행위가 발생하였
을 때 실질적으로 참가자가 신속하게 법적 조치를 취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을
98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수 있다. 따라서 전시회에서 지식재산권 침해행위가 발생했을 때 주최자가 해당


제품의 전시를 중단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장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더라도 온라인 전시
회 운영자는 전시회 상에서 지식재산권 침해가 발생한 경우에 신고를 받고, 그
에 대한 조치 방안에 대해 정해 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따라서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는 ‘이용약관’이나 ‘지식재산 정책’ 또는 참가자
들과의 개별 계약에 ‘지식재산 침해 신고’ 조항을 두어, 지식재산권을 침해한다
는 증거가 있거나 침해가 의심되는 경우 해당 침해 사실을 신고할 수 있는 제도
를 마련하고, 지식재산 침해 신고가 제기되었을 시 즉시 해당 물품에 대한 전시
나 판매를 중지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점을 규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
하다.
다만, 짧은 전시 기간 동안 권리 침해에 대하여 정확한 법적 판단을 하는 것
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해당 조치는 권리 침해를 주장하는 자와 권리를 침해했
다고 주장되는 자 사이의 이해관계를 조정하여 양자 모두에게 불공평하지 않도
록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권리 침해를 신고하고자 하는 자가 지식
재산을 침해하는 물품의 목록과 주장하는 권리의 소유 정보 등과 같은 입증자료
를 첨부하여야만 침해 신고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적법한 신고
가 접수된 경우 일단 즉시 전시, 노출 등을 정지하는 조치를 취하되, 권리를 침
해했다고 주장되는 자가 해당 신고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할 수 있도록 하고, 권
리자는 해당 이의 제기 신청을 충분히 검토 후 수락 또는 거부할 수 있으며,
권리 침해 사실이 소명되는 경우 해당 조치를 취소하거나 원상복구 할 수 있도
록 하는 방안을 고민해 볼 수 있다.

<표 10> 지식재산 침해 신고(예시)

제○조 (지식재산 침해 신고)


① “주최자”는 권리자 또는 대리인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한다는 증거가 있거나 침
해가 의심되는 경우 해당 침해 사실을 신고할 수 있는 지식재산 침해 신고
제도를 운영하여야 한다. 지식재산 침해 신고서에는 다음의 내용이 포함된다.
1. 지식재산 침해 물품 목록 및 관련 증빙 자료(상품, 이미지, 홍보자료 등)
2. 지식재산 소유권 정보(특허, 상표, 저작권 등)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99

3. 연락 가능한 수단(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


② “주최자”는 지식재산 침해 신고가 제기된 경우, 사전 통보 없이 “참가업체”에
게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다.
1. 침해 물품의 전시 및 노출 정지
2. 전시 참가자격의 제한 또는 박탈
3. 전시 계약의 해지
③ 지식재산권 침해 신고를 받은 “참가업체”는 해당 주장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이의 제기 신청이 접수되면 지식재산 권리자에게 통지되며 권리자
는 이의 제기 신청을 수락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④ “주최자”는 당사의 재량에 따라 지식재산 침해 신고에 대한 조치를 복원할 권
리를 보유한다.
⑤ 모든 지식재산권 침해 주장은 위증시 처벌을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는 직접 전시회에서 전시를 하거나


제품을 판매, 구매하는 것은 아니고, 전시회 참가업체들이 전시회에 참여하여
거래를 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에 그친다. 이처럼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
가 전시회에서 장소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는 경우 통신판매중개자와 마찬가지
로,24) 주최자는 전시회 장소를 제공하는 것에 그친다는 점을 참가자가 알기 쉽
도록 미리 고지한다면, 원칙적으로 참가업체들의 지식재산권 침해 등에 대하여
법적 책임을 부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는 ‘이용약관’이나 참가자들과의 개별 계약에
다음과 같이 ‘대리 및 보증의 부인’이라는 조항을 마련해 두고, 운영자는 참가자
를 대리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24)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20조(통신판매중개자의 의무와 책임) ① 통신판매중개를 하는 자(이하 "통신판매중개
자"라 한다)는 자신이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소비자가 쉽게 알 수 있도
록 총리령으로 정하는 방법으로 미리 고지하여야 한다.
제20조의2(통신판매중개자 및 통신판매중개의뢰자의 책임) ① 통신판매중개자는 제20
조제1항의 고지를 하지 아니한 경우 통신판매중개의뢰자의 고의 또는 과실로 소비자에
게 발생한 재산상 손해에 대하여 통신판매중개의뢰자와 연대하여 배상할 책임을 진다.
100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표 11> 대리 및 보증의 부인 조항(예시)

제○조(대리 및 보증의 부인)


① 주최자는 참가자의 거래를 위한 온라인 전시 관련 장소를 제공할 뿐이므로
‘본 전시회’에 참가한 참가자를 대리하지 않는다. 또한 운영자의 어떠한 행위
도 참가자를 대리하는 행위로 간주되지 않는다.
② 주최자는 ‘본 전시회’를 통해 이루어지는 참가자 간의 전시, 판매 및 구매와
관련하여 판매의사 또는 구매의사의 존부 및 진정성, 제품의 품질, 완전성,
안정성, 적합성 및 타인의 권리에 대한 비침해성, 참가자가 제공하는 자료의
진실성 등 일체에 대하여 보증하지 아니하며, 이와 관련한 일체의 위험과 책
임은 해당 참가자가 부담한다.
③ ‘본 전시회’에 참가한 참가자 간에 또는 ‘본 전시회’를 통해 이루어진 참가자
간의 거래에 분쟁이 있는 경우, 운영자는 이에 개입하지 않으며 이로 인한
모든 비용이나 책임은 참가자가 부담한다. 다만, 운영자는 분쟁의 합리적이고
원활한 조정을 위하여 예외적으로 그 분쟁에 개입할 수 있다.

‘대리 및 보증의 부인’ 조항에서는 먼저 주최자가 온라인 관련 장소를 제공하


는 역할에 그칠 뿐이며, 어떠한 참가자도 대리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시할 필요
가 있다. 또 주최자가 참가자의 전시, 거래 등과 관련하여 진정성, 안정성, 권리
비침해성을 보증하지 않고, 이와 관련한 일체의 위험과 책임을 참가자가 부담한
다는 점도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원칙적으로 주최자가 참가자
간의 분쟁에 개입하지 않게 될 것이지만, 예외적으로 주최자가 전시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분쟁에 개입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예외적으로
분쟁에 개입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것이 좋다.
또한 주최자는 ‘이용약관’이나 참가자들과의 개별 계약에 다음과 같이 원칙적
으로 주최자가 전시회의 참가 및 이용과 관련한 분쟁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않는다는 점과 그 외에 어떠한 경우에 책임을 부담하지 않는지를 ‘면책’ 조항을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101

<표 12> 면책 조항(예시)


제○조(면책)
1. 주최자는 ‘본 전시회’를 위한 전시 관련 장소 및 플랫폼을 제공할 뿐이며,
‘본 전시회’의 참가 및 이용과 관련한 모든 분쟁에 대해서는 해당 참가자가 책
임을 부담하여야 한다.
2. 주최자는 다음 각 호의 사유로 발생된 문제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는다.
① 천재지변, 전쟁, 재해, 전염병, 또는 이에 준하는 불가항력으로 인하여 운영
자의 의무 불이행 또는 지연이 발생한 경우
② 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서비스를 중지하거나 정상적으로 제공하지 아니한 경

③ 참가자의 컴퓨터 환경이나 운영자의 고의 또는 과실이 없는 네트워크 환경
으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한 경우
④ 참가자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경우
⑤ 참가자가 자신의 개인정보를 타인에게 유출 또는 제공함으로써 피해가 발생
한 경우
⑥ ‘본 전시회’의 시스템에 발생한 사고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서비스의 중단

‘면책’ 조항에서는 우선 주최자가 전시회를 위한 전시 관련 장소 및 플랫폼을


제공할 뿐이며, 전시회의 참가 및 이용과 관련한 모든 분쟁에 대해서는 책임지
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로서 전시회의 참가 및 이용과 관
련한 분쟁은 해당 참가자 간에 해결해야 됨을 사전에 고지할 수 있다. 한편, 주
최자는 ‘면책’ 조항에서 참가자의 지식재산권 침해행위 등에 대해 책임지지 않
는다는 점뿐만 아니라 온라인으로 전시회를 진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해서도 규정해 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코로나 19로 인하여 각종 오프라인 전시, 공연 등이 취소되
면서 많은 법적 분쟁이 발생하였는바, 이와 같은 불가항력적 상황에서 불가피하
게 전시회가 취소, 지연되는 경우에 주최자가 계약 위반으로 인한 책임을 지는
것이 아니라 면책이 되는 점을 명시함으로써 법적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
한 온라인으로 전시회를 진행할 경우 통신망이나 네트워크망, 컴퓨터 환경 등
운영자가 책임질 수 없는 상황에 의하여 전시회가 중단되거나 제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면책’ 조항에서는 위와 같이 운영자가 책임질 수 없
는 상황에 의하여 전시회가 중단, 제한되는 경우에 주최자에게 계약 위반 책임
이 발생되지 않고, 주최자는 면책됨을 명확히 규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102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아가 참가자의 고의나 과실로 인하여 전시회가 중단되거나 참가자가 전시회를


이용할 수 없었던 경우에까지 주최자의 책임을 확장하는 것은 부당하므로, 이러
한 경우에도 운영자가 면책됨을 규정해 두는 것이 좋다. 그 외 각 전시회의 종
류나 선례에 비추어 특수한 상황들이 있는 경우에 운영자에게 법적 책임을 인정
하는 것이 부당한 경우들을 정리하여 규정해 두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상을 고려했을 때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지식재산권 관련 약관 조항은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3>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지식재산권 관련 약관 조항(예시)

① “주최자”는 전시회를 운영함에 있어 제3자의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


권, 저작권, 성명권, 초상권 등 제반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 지
제○조 식재산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지식재 ② “참가업체”는 주최자의 지식재산 정책을 지킬 의무가 있으며, 전시
산정책) 과정에 제3자의 지식재산권을 사용 하는 경우 정당한 권리자로부터
사용허락을 득한다. 해당 정책을 위반하여 발생하는 지식재산권 침해
등의 민·형사상 모든 책임은 “참가업체” 본인이 부담한다.

① “주최자”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전시 부적합 상품의 등록을 금지


하며, 이를 등록함에 따른 모든 책임은 당해 “참가업체”가 부담한다.
제○조 1. 허가 없이 신문 기사를 게재하거나, 기사의 일부분을 편집하여 홍보
(전시 에 사용한 물품
부적합 2. 타인이 창작, 제작한 사진이나 이미지, 제조사 등의 카탈로그 또는
상품의 문구 등을 무단으로 사용하거나 링크한 물품
등록 3. 방송화면을 캡처하여 홍보에 사용한 물품
금지) 4. 타인의 초상권 및 성명권을 침해한 물품
5.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을 침해하거나 명예
훼손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한 물품

① “주최자”는 권리자 또는 대리인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한다는 증거가


있거나 침해가 의심되는 경우 해당 침해 사실을 신고할 수 있도록
지식재산 보호 및 상담센터를 설치하고 지식재산 침해 신고 제도를
제○조
운영하여야 한다. 지식재산 침해 신고서에는 다음의 내용이 포함된
(지식재
다.
산 침해
1. 지식재산 침해 물품 목록 및 관련 증빙 자료(상품, 이미지, 홍보자료
신고)
등)
2. 지식재산 소유권 정보(특허, 상표, 저작권 등)
3. 연락 가능한 수단(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103

② “주최자”는 지식재산 침해 신고가 제기된 경우, 사전 통보 없이 “참


가업체”에게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다.
1. 침해 물품의 전시 및 노출 정지
2. 전시 참가자격의 제한 또는 박탈
3. 전시 계약의 해지
③ 지식재산권 침해 신고를 받은 “참가업체”는 해당 주장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이의 제기 신청이 접수되면 지식재산 권리자에게 통
지되며 권리자는 이의 제기 신청을 수락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④ “주최자”는 당사의 재량에 따라 지식재산 침해 신고에 대한 조치를
복원할 권리를 보유한다.
⑤ 모든 지식재산권 침해 주장은 위증시 처벌을 받는다.
① “주최자”는 참가자의 거래를 위한 온라인 전시 관련 장소를 제공할
뿐이므로 ‘본 전시회’에 참가한 참가자를 대리하지 않는다. 또한 “운
영자”의 어떠한 행위도 참가자를 대리하는 행위로 간주되지 않는다.
② “주최자”는 ‘본 전시회’를 통해 이루어지는 참가자 간의 전시, 판매
제○조 및 구매와 관련하여 판매의사 또는 구매의사의 존부 및 진정성, 제품
(대리 의 품질, 완전성, 안정성, 적합성 및 타인의 권리에 대한 비침해성,
및 참가자가 제공하는 자료의 진실성 등 일체에 대하여 보증하지 아니
보증의 하며, 이와 관련한 일체의 위험과 책임은 해당 참가자가 부담한다.
부인) ③ ‘본 전시회’에 참가한 참가자 간에 또는 ‘본 전시회’를 통해 이루어진
참가자 간의 거래에 분쟁이 있는 경우, “운영자”는 이에 개입하지 않
으며 이로 인한 모든 비용이나 책임은 참가자가 부담한다. 다만, “운
영자”는 분쟁의 합리적이고 원활한 조정을 위하여 예외적으로 그 분
쟁에 개입할 수 있다.

① “주최자”는 ‘본 전시회’를 위한 전시 관련 장소 및 플랫폼을 제공할


뿐이며, ‘본 전시회’의 참가 및 이용과 관련한 모든 분쟁에 대해서는
해당 참가자가 책임을 부담한다.
② “주최자”는 다음 각 호의 사유로 발생된 문제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는다.
1. 천재지변, 전쟁, 재해, 전염병, 또는 이에 준하는 불가항력으로 인하
여 운영자의 의무 불이행 또는 지연이 발생한 경우
제○조 2. 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서비스를 중지하거나 정상적으로 제공하지 아
(면책) 니한 경우
3. 참가자의 컴퓨터 환경이나 운영자의 고의 또는 과실이 없는 네트워
크 환경으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한 경우
4. 참가자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경우
5. 참가자가 자신의 개인정보를 타인에게 유출 또는 제공함으로써 피해
가 발생한 경우
6. ‘본 전시회’의 시스템에 발생한 사고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서비스
의 중단
104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제○조 이 약관과 주최자와 참가자 간의 이용계약 및 참가자 상호간의 분쟁에


(관할법 대해 회사를 당사자로 하는 소송이 제기될 경우에는 운영자의 본사 소재
원) 지를 관할하는 법원을 합의관할법원으로 한다.

Ⅴ. 결론

이상과 같이,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온라인 전시회가 급속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온라인 전시회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식재산권 침해 리스크에 대비
하여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가 취할 수 있는 지식재산권 보호방안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온라인 전시회에 참가하는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와 전시 참가업체는 자
신의 지식재산을 보호하고, 타인의 지식재산을 침해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
야 한다. 운영자의 플랫폼에서 지식재산 침해가 많이 발생하거나 분쟁이 지속될
경우에는 해당 전시회의 명성이나 운영에도 악영향을 준다. 이 점은 참가업체에
게도 마찬가지이다. 자사의 지식재산권 침해를 방지하지 못하거나 타사의 지식
재산권을 침해한 것으로 판명된다면 자사의 명성이 훼손되어 해외 진출이나 제
품 생산에도 차질이 생기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온라인 전시회에 참가하는 각 주체는 지식재산 보호에 만전을 기하
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까닭에 지식재산 분쟁 예방을 위하여 적어도 다음과 같
은 항목에 대해서는 충분히 체크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
는 자신이 개최하는 온라인 전시회에서 지식재산권의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약관과 지식재산 보호 규정의 마련 등을 통해 전반적인 지식재산 보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오픈마켓 플레이스 제공자들은 지식재산 보호
정책이나 신고시스템의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는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들에
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코로나 19 펜데믹의 영향으로 온라인 전시회가 증가
하고 있고, 온라인 전시회에 대한 고객의 편리성도 어느 정도 입증되었다. 앞으
로 코로나 19가 종식된다고 하더라도 온라인 전시회는 꾸준히 진행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추세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지식재
산 보호에 대한 역할과 책임이 강조되는 시점이다.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105

<참 고 문 헌>

1. 국내문헌

김연, “최근 중국의 지식재산권 관련 법규 변화 동향”, 차이나 법률정보, 2020.


이용근 외, “해외 전시회 지식재산권 보호 가이드”, 「KOTRA 심층보고서」, 2018.
이창현/서민교, “온라인 전시회의 특성 분석 및 효과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인
터넷 전자상거래 연구」, 2008.
정진명, “플랫폼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법률문제”, 「비교사법」 제24권 4호, 2017.
구태웅 외, “미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지식재산권 가이드”, 「KOTRA 심층보고서」,
2020.
최지현,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동아법학」, 제12권 제4
호, 2021.
최재웅 외,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지식재산권 가이드”, 「KOTRA 심층보고서」,
2020.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지식재산 보호 관리”, 「IP Report」,
2020.

대한상공회의소, “글로벌 온라인 유통의 주요 트렌드 및 국내 기업의 수출시장 진출


전략”, <http://www.korcham.net/FileWebKorcham/OnlineSeminar/Fil
e/01.%EA%B8%80%EB%A1%9C%EB%B2%8C%EC%98%A8%EB%9D%BC%
EC%9D%B8%EC%9C%A0%ED%86%B5.pdf>(2021. 3. 7. 최종방문).
인민망한국어판, “제127회 중국수출입상품교역회 첫 온라인 개최”, 2020년 6월 15일
자, <http://kr.people.com.cn/n3/2020/0615/c203280-9700773.html>
(2021. 3. 7. 최종방문).
코트라(KOTRA) 글로벌 전시플랫폼, <https://www.gep.or.kr/gept/ovrss/main/
mainPage.do>(2021. 3. 7. 최종방문).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중국, 전자상거래에 있어 IP 보호의 새로운 국가표준 공개”,
2020년 12월 8일자 보도자료, <https://www.kiip.re.kr/board/notice/view.
do?bd_gb=board&bd_cd=1&bd_item=0&po_item_gb=1&po_item_cd=&
po_no=13950>(2021. 3. 7. 최종방문).
106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2. 국외문헌

David S. Evans, The Antitrust Economics of Multi-Sided Platform Markets,


20 YALE.
온라인 전시회 주최자의 책임과 지식재산 보호 방안 107

<ABSTRACT>

A Study on Responsibilities of Online Exhibition


Organizers and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Jeon seongtae* / Jeong suyeon**

The exhibition industry is changing the trend toward online


exhibitions in a non-face-to-face form due to the worldwide
epidemic of corona infection. In particular, because movement
between countries is restricted and physical access to overseas
customers is difficult, demand for online exhibitions is increasing.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online exhibitions, variou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fringement problems, including patent rights,
trademark rights, design rights, and copyrights of others, may occur
in various products exhibited online.
Online exhibition organizers and exhibitors participating in online
exhibitions should protect their own intellectual property and take
care not to infringe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of others. If a lot of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occurs on the operator's platform or
if disputes persist, the reputation or operation of the relevant
exhibition will be adversely affected. This is the same for exhibitors.
If it is found that the company'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fringement cannot be prevented or it is found that the company'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infringed, the company's reputation
will be damaged, leading to disruptions in overseas expansion or

* Associate Researcher Fellow, Institute of Intellectual Property.


** Full-time Researcher, Institute of Intellectual Property.
108 IP & Data 法 제2권 제2호

product production.
Each entity participating in the online exhibition should make every
effort to protect intellectual property. For this reason, in order to
prevent intellectual property disputes, at least the following items
should be checked sufficiently. In particular, it is desirable for the
online exhibition organizer to establish an overall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ystem through provisions of terms and conditions and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regulations to prevent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online exhibition they are holding.
In this study, the online exhibition organizer looked at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and infringement prevention measures to be taken
to protect the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online exhibition.

keywords Online Exhibition Organizer, Open Marketplace Provider


Responsibilities, Exhibition Terms and Conditions, Online
Exhibition Protection Regulation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