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2

비매품(교육용)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본 책자는 중소기업의 지식재산 실무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용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저자 및 관련 기관의 허락 없이 이 책의 일부 또는 전부를 무단 복제, 전재, 발췌할 수 없습니다.
본 원고내용은 저자의 견해이며, 발행기관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님을 참고바랍니다.
목차

Ⅰ 머리말 ………………………………………………………………………………………… 5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6


1. 지식재산권(IP)이란?………………………………………………………………………… 6
2. 한국의 지식재산권(IP) 분류체계 및 보호객체… …………………………………………… 7
3. 지식재산권(IP)의 중요성…………………………………………………………………… 12
4. 다이슨 Ballbarrow 제품의 성공과 사업의 실패… ……………………………………… 16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


1. 특허권이란?… ……………………………………………………………………………… 23
23

2. 왜 특허권을 받아야 하는가?… …………………………………………………………… 24


3. 청구범위의 중요성 및 발명의 설명과의 관계……………………………………………… 24
4. 반드시 알아야 할 특허요건의 이해………………………………………………………… 26
5. 특허권의 속지주의 원칙 및 이를 고려한 해외출원제도의 이해… ……………………… 39
6. 특허를 통해 본 다이슨 Air treatment 제품의 성공과 사업의 성공…………………… 48
7. 다이슨 Air treatment 제품의 특허권분석(KR, 심화)… ………………………………… 77

Ⅵ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1. 디자인권이란?… …………………………………………………………………………… 89
89

2. 왜 디자인권을 받아야 하는가?… ………………………………………………………… 89


3. 반드시 알아야 할 디자인등록 요건의 이해… …………………………………………… 91
4. 디자인을 통해 본 다이슨 Air treatment제품의 성공과 사업의 성공…………………… 97
5. 디자인권의 침해판단 및 디자인 강화전략…………………………………………………101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107


1. 상표권이란?… ………………………………………………………………………………107
2. 왜 상표권을 받아야 하는가?… ……………………………………………………………107
3. 반드시 알아야 할 상표등록 요건의 이해… ………………………………………………108
4. 상표권을 통해 본 다이슨 Air treatment제품의 성공과 사업의 성공……………………114
5. 상표권의 침해판단 및 강한 상표권 확보전략………………………………………………116

Ⅵ 결어 ………………………………………………………………………………………118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Ⅰ 머리말

바야흐로 지식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IP)이 기업의 생존을 좌우하는 세상이 활짝 열리고 있다.

Ⅰ. 머리말
‘특허 전쟁의 시대’라던가 ‘총성 없는 전쟁’과 같은 말들은 이미 식상한 표현이 되어 버렸으며, 이제 각 국가,
그리고 그 국가에 속한 각 기업들은 현대 사회의 무한 경쟁체제에서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유일무이(唯一無
二)한 무기인 IP의 확보와 활용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제대로 된 IP를 확보한 기업은 생존하고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며, 제대로 된 IP를 확보하지 못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한 기업은 도태되고 소멸될 것이다. 이는 과장된 내용이 아니라 현재 벌어지고 있는 IP 분쟁들의 경과만을 보

지식재산권의 이해
더라도 쉽게 알 수 있는 사항들이다.

이제, IP라는 것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로 인식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저서는 한국의 많
은 기업들이 어떻게 IP를 확보하고 사용하여야 하는가에 대해 하나의 길을 보여주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특히, 과거의 질레트로부터 현재의 애플에 이르기까지 많은 외국의 선진기업들은 IP에 대한 체계적인 전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략을 갖춘 경우가 많으나 한국의 기업들은 그렇지 못한 면이 많이 보이는바, 본 저서는 IP의 강자로 평가받

특허제도의 이해
는 ‘Dyson’의 IP 사례를 기초로 하여 한국의 기업들이 어떻게 IP를 확보하고 활용해야 하는 가를 보여주고
자 한다.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Ⅵ. 결어

5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1. 지식재산권(IP)이란?
지식재산권이란 인간의 창조적 활동 또는 경험 등을 통해 창출하거나 발견한 지식, 정보, 기술이나 표현,
표시 그 밖에 무형적인 것으로서 재산적 가치가 실현될 수 있는 지적 창작물에 대하여 부여된 재산에 관한 권
리를 말한다(위키백과).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유형의 객체가 아니기 때문에 무체재산권이라는 용어를 사용
하기도 한다. 가장 쉬운 의미로 지식재산권은 “지식(Idea)”을 “재산(Property)”으로 바꿔줄 수 있는 “권리
(Right)”로 설명할 수 있다.

단순하게 생각해보자면 지식재산권의 유무(有無)에 관계없이 지식(Idea)은 재산(Property)으로 바뀔 수


있다. 즉, 누군가에게 좋은 지식이 있었고 이 지식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한다면 돈(재산)을 벌 수
있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며, 이는 지식재산권이 있고 없고의 문제가 아닌 것이다. 다시 말해 지식이 좋
다면 재산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은 상식의 문제일 뿐이다.

그러나, 만약 소위 짝퉁이라 불리는 카피품이 등장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A에게 좋은 아이디어가 있었고, A는 이를 이용하여 제품을 만들어 팔았으며, 그 제품이 불티나게 팔리는
순간 어떤 일이 일어나게 될 것인가? 당연하게도 A의 제품이 잘 팔리기 시작하면 경쟁자인 B는 카피품을 생
산하여 판매할 것이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보다 싼 제품을 찾게 되기 때문에 A의 제품이 더 이상 잘 팔리지
않고 오히려 카피품인 B의 제품이 잘 팔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B는 R&D에 비용을 투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품을 보다 싼 가격에 팔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A의 입장에서는 사업 초기에는 지식을 재산으로 잘 연결시키다가, 사업이 번창하면서 자신의 제품이


많이 판매되는 순간 경쟁자인 B가 카피품을 판매하는 순간을 맞이하게 되고, 이러한 카피품이 허용되는 경
우 더 이상 자신의 지식이 재산으로 잘 연결되지 않는 상황을 맞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카피품의 등장을 효율적으로 저지할 수만 있다면 A는 자신의 지식을 재산으로 지속적으로 연결
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자신의 사업도 번창하도록 만들 수 있다. 바로 이 지점에서 지식재산권이 필요
해 진다.

A가 자신의 지식을 지식재산권으로만 바꿔주게 된다면(단순한 지식재산권이 아닌 카피를 효율적으로 차


단할 수 있는 강력한 지식재산권이어야 한다), 지식재산권의 본질적인 특성인 독점배타권적인 성격을 기초
로 B가 카피품을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지식을 독점적으로 보호
받을 수 있게 된다.

6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즉, 아래의 그림 1과 같이 지식재산권은 지식과 재산 사이의 연결고리를 지속적으로 이어주는 강력한 권

Ⅰ. 머리말
리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HOW??

<그림 1.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지식재산권은 국가가 허용하는 아이디어의 독점 수단이며 이러한 독점권을 잘 사용할 수 있는 기업은 자
신의 제품을 자신이 원하는 가격에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지식이 지식재산권으로 바뀌는
순간 카피품을 차단할 수 있는 권리가 발생되는 것이므로 시장만 충분히 형성되어 있다면 제품에 대한 가격
결정권은 지식재산권의 권리자가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을 강력하게 구축하고 이를 통해 특정 제품에 대한 시장을 독점하는 기업 중의 하나가 바로 다

디자인제도의 이해
이슨사이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2. 한국의 지식재산권(IP) 분류체계 및 보호객체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그렇다면 지식재산권은 어떤 것들이 존재하며 그 각각의 지식재산권은 무엇을 보호하고자 하는 것인가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에 따라 R&D의 결과물을 어떻게 보호하면 되는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한국의 경우 지식재산권은 산업재산권과, 저작권, 신지식재산권의 그룹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으며, 이중


산업재산권은 다시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및 상표권의 4가지 권리 유형으로 분류되고, 저작권은 다
Ⅵ. 결어

시 저작인격권, 저작재산권 및 저작인접권의 3가지 권리 유형으로 분류되며, 신지식재산권은 다시 컴퓨터 프


로그램(현재는 저작권으로 통합되어 보호되고 있다), 영업비밀, DB(현재는 저작권으로 통합되어 보호되고
있다), 신품종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7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이하에서는 위에서 언급된 권리들 중 저작권 및 신지식재산권에 대한 사항은 생략하고 국가로부터 인정받
는 강력한 지식재산권인 산업재산권에 대한 내용만을 살펴보겠다.

산업재산권 중에서 먼저 등장하는 특허권은 소위 “발명”을 보호하고자 하는 권리이다. 특허법 제2조 제1


호에 따르면 발명은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으로서 고도한 것”을 의미한다. 이해하기 다소 어
려운 표현이 되겠으나 발명이 되기 위하여서는 자연법칙을 이용해야 하고, 기술적 사상이어야 하며, 창작이
어야 하고, 고도한 것이어야 한다.

즉 자연법칙 그 자체가 아닌 자연법칙을 이용하는 것만이 발명으로 취급받을 수 있으며, 사상에 해당할 정
도로 추상적이어서는 안 되고 기술에 해당할 정도로 구체적일 필요가 없는, 기술과 사상의 중간영역(구체화
된 아이디어)이어야 하며, 종래 기술을 그대로 따라한 것이 아닌 새롭게 만들어 낸 것이어야 하고, 그 기술 수
준이 고도해야 한다는 것이 한국 특허법에서 말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이보다 이해하기 쉬운 개념으로 미국의 연방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발명이란 태양 아래 인간이 만든 모든


것이라 정의하고 있다. 즉, 새롭게 인간이 만들기만 하였다면 이는 발명이라고 볼 수 있고 특허의 대상이 된
다는 것이다.

결국 특허법에서 보호하고자 하는 발명이라는 것은 새롭게 창작된 구체화된 아이디어이며 모든 아이디어


는 그 유형에 관계없이 모두 특허출원을 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물건에 대한 창작이든, 방법에 대한 창작이
든, 심지어 물질은 동일하지만 그 물질의 특정 용도를 알아낸 창작이든 모든 것들은 발명이라 볼 수 있고 따
라서 특허출원을 할 수 있는 발명의 유형에는 제한이 없다고 할 것이다.

이와 달리 실용신안권은 소위 “고안”을 보호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한국 실용신안법 제2조 제1호에 따르


면 고안이란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을 의미한다. 즉 특허법이 말하고 있는 발명의 개념으
로부터 “고도한 것”만이 빠지게 되면 이게 바로 고안이 되는 것이다.

결국 발명과 고안을 구별하는 유일한 척도는 “고도성”에 달려 있으며, 선행기술로부터 많이 개량되어 그


기술적 수준이 높은 아이디어라면 이는 특허의 대상이 되고, 선행기술로부터 적게 개량되어 그 기술적 수준
이 낮은 아이디어라면 이는 실용신안의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개념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이 과연 “고도성”을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즉 선


행기술을 개량한 개량 아이디어가 선행기술로부터 얼마만큼 개량이 된 것인지를 명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판단할 수 있다고 가정하더라도 과연 선행기술로부터 얼마만큼 개량된 아이디어가 고도한
것인지를 명확하게 가르는 것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누군가는 선행기술로부터 50% 가량
개량되었다면 고도하다고 말할 것이며, 다른 누군가는 선행기술로부터 적어도 80%는 개량되어야 고도하다

8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고 말할 수 있는데 그럼 도대체 선행기술로 몇 % 개량되어야 고도한 것인가에 대한 물음에 대한 답을 명확

Ⅰ. 머리말
히 내릴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을 기준으로 본다면 발명과 고안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며, 다만 실용신안
등록출원이 특허출원보다는 조금 더 등록이 잘된다는 점과, 실용신안은 물건(정확하게는 물품)만을 대상으
로 삼는 반면에 특허는 물건, 방법, 용도, 물질 등 모든 것을 대상으로 삼는다는 차이점만이 존재할 뿐이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실제로 특허청에서 발표한 통계자료를 참조하면 2018년을 기준으로 특허출원은 21만 건 정도가 이루어

지식재산권의 이해
졌고(전체 출원 비중의 43% 정도), 실용신안출원은 6천여 건 정도밖에 이루어지지 않았는데(전체 출원 비
중의 1.3% 정도) 이는 모든 기업들이 고도한 것만을 만들었기 때문이 아닐 것이며, 특허와 실용신안을 엄밀
히 구별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용신안등록출원을 해야 하는 단순 개량 아이템도 특허출원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그러나 이와 달리 디자인은 특허 및 실용신안과 완전히 구별될 수 있는 보호객체를 갖는다. 한국 디자인

특허제도의 이해
보호법 제2조 제1호에 따르면 디자인이란 물품의 형상, 모양, 색채 또는 이들을 결합한 것으로서 시각을 통
하여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것을 의미하는데, 쉽게 말해 한국의 디자인은 물건의 외관을 보호하고자 하는 권
리이다.

“물건의 외관”이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디자인은 물건에 구현되는 형상(3차원 적인 것) 또는 모양(2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차원적인 것)을 보호하되 물품의 내부가 아닌 외관, 즉 겉으로 보이는 껍데기만을 보호하고자 하는 권리이다.

따라서, 디자인은 물건의 기능 보호와는 전혀 관련이 없는 것이며, 물건의 기능적인 성격(제품이 동작하는
원리 등)은 특허 또는 실용신안으로 보호받을 수 있을 뿐 디자인으로 보호받을 수는 없다.

실제로 많은 한국 기업들이 디자인 특허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는 특허와 디자인이 각각 보호하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고 있는 보호 객체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데서 생기는 오류라고 볼 수 있다.
상표제도의 이해

간단히 말해 특허 또는 실용신안은 물건의 생김새(외관)이 아닌 그 물건이 동작하는 원리(기술)을 보호하


고자 하는 권리이며, 디자인은 그 물건이 동작하는 원리(기술)에는 관심이 없고 오직 그 물건의 원리(기술)
를 관심이 있는 권리이다.

따라서 적어도 한국에서는(미국의 경우라면 디자인특허-Design Patent-라는 용어가 오히려 자연스러


Ⅵ. 결어

울 수 있으며 이는 각 국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의 체계에 따라 발생되는 차이이다) 디자인특허라는 용어는 그


정체가 불분명한 부정확한 용어로 생각할 수 있다.

9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한편 한국 상표법 제2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표란 자기의 상품과 타인의 상품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
하는 표장(標章)을 보호하고자 하는 권리이며, 쉽게 말해 특정 상품의 출처로 인식될 수 있는 브랜드를 보호
하는 권리이다.

예컨대 스마트 폰에 “GALAXY”라는 문자를 붙여서 판매하게 된다면 소비자는 이를 특정 회사가 생산하
고 판매하는 제품이라고 인식하게 될 것인데 바로 이러한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업과 함께 사용되는 문자(물
론 문자뿐만 아니라 기호, 입체적 형상 심지어 소리, 색채, 냄새까지 자타상품식별 표장이 될 수 있다)를 보
호하는 권리가 상표이다.

이처럼 한국은 기술에 대한 결과물이라면 이는 특허 또는 실용신안의 대상이 되도록, 물건의 외관에 대한


결과물이라면 이는 디자인의 대상이 되도록, 상품의 특정 출처로 인식될 수 있는 표장에 대한 것이라면 이는
상표의 대상이 되도록 권리의 유형을 나누고 있다(IP 분류).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


발명보호 고안보호 디자인보호 브랜드호보
≑기술보호 ≑기술보호 ≑물건의 외관보호 ≑자타상품식별표장 보호

앞서 살펴본 것처럼 각각의 권리가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이 다르기 때문에 R&D의 결과물이 무엇인가에
따라 출원해야 하는 권리도 달라지는 것이 당연하다.

즉, 특정 제품을 구현하는 기술에 대한 R&D 결과물이라면 이는 특허권 또는 실용신안권으로 보호받아야


하고, 제품의 외관을 새롭게 만든 것이라면 이는 디자인권으로 보호받아야 하며, 특정한 브랜드를 새롭게 선
보이는 경우라면 이는 상표권으로 보호받아야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러한 내용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 기업이 오히려 드문 것이 현실이며, 실제로 필
자가 만나 본 대부분의 기업들은 특허권만을 확보하면 디자인권이나 상표권은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
우가 많았다.

하지만, 각각의 권리가 보호하고자 하는 보호객체만을 정확하게 이해하더라도 특허가 만능이라는 생각이
크나큰 착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A라는 기업이 독창적인 기술을 만들었고, 이와 함께 제품의 외관을 새롭게 디자인하였으며, 새로
운 제품에 붙일 독창적인 브랜드도 만들었다고 가정해 보자.

A기업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R&D 결과물을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특허(또는 실용신안), 디자인 및

10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상표를 각각 출원하여 등록받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경쟁기업의 기술카피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특허권이

Ⅰ. 머리말
존재해야 하고, 경쟁기업의 제품 외관카피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디자인권이 존재해야 하며, 경쟁기업의 제
품 브랜드 카피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표권이 존재해야만하기 때문이다.

즉, 기술에 대한 특허권만을 확보한 상태라면 경쟁기업의 제품 외관카피 또는 브랜드 카피를 막을 수단이


존재하지 않게 되며, 제품 외관에 대한 디자인권만을 확보한 상태라면 경쟁기업의 기술 카피를 제재할 수단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이 없기 때문에 각각의 지식재산권은 그 자체로서 독자적인 의미를 갖게 된다.

지식재산권의 이해
하지만, 아직도 많은 중소기업들은 특허만 확보하면 디자인권 또는 상표권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고 있으
며, 디자인권 또는 상표권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출원단계에서 필요한 비용을 줄일 목적으
로 특허출원만을 진행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러나 출원단계에서의 비용을 줄이는 것은 나중에 카피품의 등장을 막기 위한 소송에서 사용될 수 있는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무기를 줄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며, 결국 막대한 소송비용을 투입하고도 결국 카피품을 차단하지 못하는

특허제도의 이해
심각한 결과를 가져오게 될 수 있다.

소송단계의 비용은 출원단계의 비용과 상대가 되지 않을 정도로 큰 것인데 대부분의 기업들은 미래에 발
생할 수 있는 소송을 염두에 두지 않고 출원비용만을 아끼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기 때문에 결국 제품을 다
각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IP확보 노력을 게을리 하게 되고, 실제로 카피품의 등장 시 이를 효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대로 된 공격무기를 확보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결국 많은 소송비용을 들이고도
소송에서 패소하여 카피품을 허용하게 되는 상황을 맞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자신의 R&D 결과물을 어떻게 보호받을 수 있는 가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잠재적 위
험인 소송을 대비하여 다양한 유형의 IP를 확보하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만 R&D의 결과물을 독점할
수 있게 된다는 사실을 꼭 명심해야 한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결국, 한국에서의 특허권, 디자인권, 상표권은 그 보호대상이 다를 뿐이지 어떤 권리가 다른 권리보다 우


수하거나 열등하다는 문제가 아닌 것이며, 각각의 보호객체에 맞춘 다양한 IP의 확보만이 기업의 성공을 보
장하는 열쇠임을 명심하여야 할 것이다.
Ⅵ. 결어

11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3. 지식재산권(IP)의 중요성
지식재산권은 자신이 창작한 독창적인 기술 또는 모양 또는 브랜드에 대한 실시권한을 자신만이 가질 수
있도록 독점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가진다. 이러한 독점권의 특징 때문에 자신의 특허권 등을
침해하는 경쟁사의 제품이 등장하게 되면 특허권자 등은 특허침해를 이유로 한 소송 등을 제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삼성과 애플의 분쟁도 특허권(디자인권 포함)을 이유로 한 분쟁이었다. 하


지만 사실 스마트폰 영역에서의 분쟁은 삼성과 애플만의 싸움은 아니었으며 익히 한번쯤은 들어봤을 만한
유명 IT 업체들은 모두 전쟁에 참여한 큰 싸움이었다.

이처럼, 많은 기업들이 소송 전에 뛰어들었음에도 삼성과 애플의 분쟁이 가장 유명해진 것은 이 두 개의


회사가 가장 치열하게 싸웠기 때문이다.

<그림 2. 스마트폰 분야의 지식재산권 분쟁지도>

12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그림 3. 삼성과 애플의 특허분쟁지도>
출처: 연합뉴스 2012.08.25. 기사(https://www.yna.co.kr/view/AKR20120823061300091)

위 분쟁 지도에서 볼 수 있듯이 삼성과 애플은 미국을 포함한 한국, 일본, 영국, 독일, 네덜란드, 프랑스
등의 주요국가에서 모두 여러 건의 지식재산권관련 소송을 치열하게 진행한 바 있다. 물론 널리 알려진 것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처럼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서의 소송은 양사의 합의에 의하여 종결되었지만 미국에서의 소송은 7년여
에 걸쳐 계속되었으며 특히 미국 캘리포니아주 북부 새너제이 1심 지방법원에 따르면 삼성이 애플에서 총
9억 3천만 달러(1조원이 넘는 금액)을 지급하라는 판결이 내려짐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깜짝 놀랐었다.

물론 이 배상액이 2심을 거치며 감액되기는 하였으나 대다수의 사람들이 특허침해 문제로 큰 손해배상
Ⅵ. 결어

책임을 질 수도 있다는 사실이 한국에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가 된 사건이었다. 미국에서의 삼성과 애플 분


쟁은 7년여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결국 2018년에 이루어진 양 사의 합의에 의하여 분쟁이 최종적으로 종결
되었다.

13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이처럼 지식재산권과 관련된 분쟁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지식재산권 분쟁에서 지


게 되는 기업은 기업의 존립을 위협받을 정도로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게 되는 것도 현실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지식재산권과 관련된 분쟁이 많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이는 기본적으로 점차 많


은 지식재산권 들이 만들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분쟁이 제기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
이다.

<그림 4. IP5의 특허출원동향>

위 그림은 IP5, 즉 특허출원 건수만을 비교할 때 가장 많은 특허 출원을 하고 있는 5개 나라의 특허출원


건수를 비교한 것이다. 여기서 SIPO는 중국특허청을 의미하고, USPTO는 미국특허청을 의미하며, JPO는
일본특허청을, KIPO는 한국특허청을, EPO는 유럽특허청을 의미한다.

현재 가장 많은 특허출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나라는 중국이며 2016년을 기준으로 볼 때 중국에서는 대


략 135만 여건의 특허출원이 이루어진 바 있다.

135만 건을 365일로 나누어보면, 중국에서는 하루에 대략 3700건 정도가 매일매일 특허출원되고 있다


고 볼 수 있다. 휴일이고 주말이고 아무 상관없이 하루에 3700건의 특허출원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얼마나
무서운 이야기인가?

출원되는 사건 중 절반만 등록된다고 가정하더라도 중국에서는 하루에 1800건의 새로운 특허권이 매일


만들어지는 것이며 따라서 앞으로 특허침해 문제도 더 많이 생길 수밖에 없고 따라서 특허분쟁도 더 많아질

14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수밖에 없다는 것은 어찌 생각하면 당연한 것이 아닐까 싶다. 결국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특허 등의 지식

Ⅰ. 머리말
재산권을 확보하지 않고 중국에서 사업을 한다는 것은 결국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특허 등의 지식재산권
을 확보하지 않고 중국에서 사업을 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이는 비단 중국에서만의 문제는 아니다. 뒤에서 설명되겠으나 특허권은 기본적으로 속지주의의 원칙을


따르기 때문에 해외에서도 특허권을 확보하고자 해외출원이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아래의 그림은 하루에 이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루어지는 해외 출원(특히 PCT 국제출원)의 건수를 나타낸 것이다.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그림 5. PCT 국제출원동향>

디자인제도의 이해
2016년을 기준으로 볼 때 해외에서 특허권을 확보하기 위해 진행된 PCT 국제출원의 건수는 대략 24만
여건에 달하며, 이를 365일로 나누어보면 대략 하루에 660건 정도의 PCT 국제출원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물론 해외출원을 하는 방법은 PCT 국제출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 이루어진 해외출
원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이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결국 많은 기업들이 자신이 속한 국가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지식재산권을 확보하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명백한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지식재산권을 받지 않고 사업을 한
다는 것, 특히 해외에 제품을 수출하는 행위 등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카피품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목적의 지식재산권이 아니더라도,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방패막


Ⅵ. 결어

이 될 수 있는 지식재산권을 확보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


을 것 같다.

15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4. 다이슨사 Ballbarrow 제품의 성공과 사업의 실패

(1) 볼배로(Ballbarrow)의 발명과 커크-다이슨(Kirk-Dyson)社의 창업

다이슨사의 창업자인 제임스 다이슨(James Dyson)은 1947년 5월 2일에 태어난 영국의 발명가이자
산업디자이너이다. 제임스 다이슨은 세계 일류의 예술대학 중 하나인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대학교와 왕립
예술대학(RCA)를 졸업했으며, 1998년에는 대영제국 훈장 3등급(CBE)을 수훈 받았고, 2007년에는 기사
작위를 서임 받았으며, 2016년에는 메이트 훈장(OM)을 수훈 받은 바 있다. 또한 제임스 다이슨은 2018년
을 기준으로 순자산이 56억 달러에 이를 정도로 성공한 사업가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제임스 다이슨이 처음부터 이런 커다란 성공을 거둔 것은 아니었으며,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온갖


고난을 극복해내면서 이러한 성공에 이르게 되었는바 이하에서 이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청년 시절의 제임스 다이슨은 대학교를 다니면서 시트럭이라 불리는 화물운송용 평저선(平底船)을
발명한다. 시트럭은 물위에 닿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물 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고 이를 통해 빠른 속도
를 구현할 수 있는 운반용 소형 선박이다.

<그림 6. 시트럭의 구상도>


출처 : 제임스 다이슨 자서전

제임스 다이슨은 위의 그림과 같은 시트럭을 구상하여 이를 제품화하였으며 시트럭을 생산 및 판매하게


된 로토크社의 영업이사가 되어 실제로 상당한 성공을 거두게 된다.

16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그림 7. 1972년에 생산된 시트럭> <그림 8. 1974년에 생산된 시트럭>
출처 : 제임스 다이슨 자서전 출처 : 제임스 다이슨 자서전

한편, 제임스 다이슨은 이와 같은 시트럭의 성공에 만족하지 않고 자신만의 사업을 구상하게 되고 이를


위해 과감히 로토크社로부터 퇴사하여 새로운 제품을 사업화한다.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제임스 다이슨의 다음 발명품은 볼배로(Ballbarrow)라 불리는 정원용 수레였는데, 볼배로(Ballbar-
row)라는 용어는 제임스 다이슨이 만든 것으로 원래의 정원용 수레인 휠배로(Wheelbarrow)를 개량하면
서 탄생한 것이다.

유럽 또는 미국의 영화나 드라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처럼, 정원을 손질할 때 흙이나 기타 물건들을 나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로 휠배로라고 불리는 정원용 수레인데, 종래의 휠배로는 그 바퀴의 폭이 좁고

디자인제도의 이해
딱딱한 재질로 되어 있었다. 이러한 휠배로에 흙이나 기타 무거운 물건들을 넣고 나르게 되면 바퀴에 그 하
중이 집중되고 이에 따라 정원의 잔디 등에 바퀴자국이 깊게 남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휠배로를 세워 두
는 경우 자주 쓰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Ⅵ. 결어

<그림 9. 휠배로>
출처 : WIKIMEDIA COMMONS(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Empty_Wheelbarrow.JPG)

17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이러한 문제들에 따른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어느 누구도 종래의 휠배로를 개량하겠다는 생각을 한 적은


없는 것으로 보이는데 청년시절이 제임스 다이슨은 바로 이 문제에 주목한다.

제임스 다이슨은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를 고민하였고 폭이 좁은 바퀴를 둥근 공 형태의 플라


스틱 바퀴로 바꾸는 방식으로 휠배로를 개량하게 된다. 둥근 공 형태의 바퀴는 잔디에 바퀴의 자국을 남기
지 않을 수 있었으며 또한 휠배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이를 안정적으로 세워놓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제임스 다이슨은 종래의 휠배로를 개량한 제품을 볼배로(Ballbarrow)라 명명하였으며, 이를 제품으로


구현하여 판매한다. 볼배로(Ballbarrow)는 아이디어 자체는 별것 아니라 생각할 수 있을 정도로 단순한
것이었으나 꽤 실용적인 것이었고 결국 볼배로(Ballbarrow)는 많은 사람들이 구매하게 되는 제품으로 등
극한다.

<그림 10. 제임스 다이슨이 구상한 볼배로>


출처 : CBS NEWS(https://www.cbsnews.com/pictures/10-awesome-inventions-from-james-dyson/8/)

이처럼 다이슨사의 볼배로(Ballbarrow)는 꽤나 성공한 제품이었으나 잘못된 인사관리 그리고 늘어나


기 시작한 비용 등의 문제로 Kirk-Dyson사는 자금난을 겪게 된다. 제임스 다이슨은 이를 해결하고자 미국
시장에 진출하려 하였으나 오히려 미국시장에 공공연한 카피품이 팔리게 되는 어려움을 겪는다.

제임스 다이슨이 협상대상으로 접촉했던 글라스코사가 오히려 카피품을 생산하여 미국 대형 백화점 체인


인 시어스에서 볼배로를 팔기 시작한 것이다. 심지어 글라스코사는 “여기 볼배로가 있습니다”라는 공격적인
제품 광고 문구를 사용하면서 공공연히 Kirk-Dyson사의 볼배로를 판매했다. 이에 Kirk-Dyson사는 글라
스코를 상대로 소송을 벌였으나 패소하게 되고 결국 기업의 자금난만 더욱 심해지는 좋지 않은 결과를 맞이
하게 된다.

18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물론 그 당시와 지금의 상황이 동일할 수는 없겠으나 제임스 다이슨이 이후제품들에 적극적으로 확보했
던 IP 포트폴리오의 강화의 작업을 볼배로에 했었다면 위와 같은 결과는 나지 않았을까는 추측은 조심스럽
게 해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볼배로는 기술 및 제품의 우수성은 확보하였으나 이를 통한 기업의 성공에는 이르지 못한 불운의 제


품이 되고 만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2) 사이클론 원리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발명과 Dyson社의 창업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볼배로(Ballbarrow)는 제품적으로는 성공했으나 Kirk-Dyson사의 사업은 파


산 직전에 이를 정도로 실패하게 된다.

이에 제임스 다이슨은 자금난을 극복하기 위해 기존과 완전히 다른 새로운 진공청소기, 즉 기존의 진공청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소기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먼지봉투가 없는 진공청소기라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상하게 된다.

그 당시 진공청소기 시장은 후버(Hoover)社가 장악하고 있는 상태였는데, 후버의 진공청소기는 사용시


간이 길어짐에 따라 소음만 심할 뿐 먼지를 제대로 흡입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기본적으로 노즐을 통해 먼지와 공기를 같이 흡입하고 공기는 노즐의 반대편으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로 내보내지만 먼지는 먼지봉투에 의해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청소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진

디자인제도의 이해
공청소기를 계속 사용하게 되면 먼지가 먼지봉투의 구멍(필터 역할을 하게 되는 미세구멍)을 막게 되고 결
국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모터는 계속 구동됨에 따라 소음은 발생되지만 먼지에 의해 막힌 먼지봉투 때문에
노즐이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지 못하는(청소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그러나, 볼배로(Ballbarrow)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누구도 이러한 진공청소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는 노력을 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후버조차도 이러한 문제를 방치하고 있는 상태였다.
상표제도의 이해

제임스 다이슨은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상하게 되며, 사이클론 원리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발명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제임스 다이슨이 구상한 사이클론 진공청소기는 기존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를 없애고, 대신에 노즐을
통해 흡입된 공기 및 먼지를 큰 통안에서 회전시키는 것이었다. 보다 자세하게 제임스 다이슨이 구상한 진
Ⅵ. 결어

공청소기는 통 안에서 발생하는 사이클론은 바깥쪽 회오리가 시속 200마일의 속도로 돌면서 대부분의 먼
지를 제거하고 안쪽 회오리가 시속 944마일(분당 회전속도로 계산하면 32만 4000rpm)로 회전하면서 엄
청난 중력을 만들어 아주 작은 미세입자까지도 잡아내는 방식(듀얼 사이클론 기술)이었다.

19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그림 11. 제임스 다이슨의 듀얼 사이클론 구상도>


출처 : 제임스 다이슨 자서전

한편 이러한 듀얼 사이클론 기술에 의하더라도 긴 실형태의 띠는 쉽게 걸러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는데 제


임스 다이슨은 보호 판(Shroud)을 사용하여 이를 해결한다. 결국 제임스 다이슨이 만든 새로운 진공청소기
는 큰 먼지로부터 작은 먼지에 이르기까지, 입자형태의 오물로부터 띠 형태의 오물에 이르기까지 거의 대부
분의 먼지 및 오물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기술이었다.

제임스 다이슨은 이러한 사이클론 방식의 진공청소기를 제품으로 구현하기 위해 5,127개의 시제품을 제
작하였는데 이를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가 실현될 수 있는 프로토타입의 신제품을 만들게 된다. 그러나 기술
의 성공적 구현과는 별개로 많은 시제품을 제작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의 증가 문제 등에 따라 오히려 제
임스 다이슨은 심각한 자금난을 겪게 되며 이에 따라 제품을 상용화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를 해결하고자 제임스 다이슨은 투자를 유치하고자 프로토타입의 시제품을 들고 후버와 같은 메이저


진공청소기 업체를 방문한다. 그러나 후버와 같은 메이저 진공청소기 업체들은 제임스 다이슨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수용하기는커녕 오히려 “당신의 제품은 시장에서 환영받지 못할 것이다”, “아무도 먼지봉투가
없는 청소기를 원하지 않는다”와 같은 이유로 문전박대를 하게 된다. 이는 후버 등의 업체의 경우 진공청소
기의 판매와 함께 먼지봉투를 도로 판매하고 있는 상태에 기인한 것인데 만약 먼지봉투가 없는 청소기가 자
신들의 제품을 대체하게 된다면 오히려 자신의 매출이 감소하게 됨을 생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제임스 다이슨의 새로운 진공청소기는 유럽시장에서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했으며, 미국시장에서도

20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블랙앤드데커, 월마트 등으로부터 관심을 받긴 했으나 실질적인 성

Ⅰ. 머리말
과로 이어지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는다.

이처럼 좌절을 겪은 제임스 다이슨이었으나 기회는 오히려 뜻하


지 않게도 아시아의 국가로부터 오게 되는데, 이는 일본의 에이펙스
(Apex)사가 제임스 다이슨의 시제품에 관심을 가진 것이었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에이펙스(Apex)사는 제임스 다이슨에게 자신들이 그의 아이디

지식재산권의 이해
어를 상용화한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할 것을 제안하고, 특히 제품의
판매시마다 대당 판매가액의 일정 부분을 로열티로 주는 계약을 제
임스 다이슨과 맺게 된다.

에이펙스(Apex)사가 상용화한 제임스 다이슨의 진공청소기는 지 <그림 12. 지포스와 제임스 다이슨>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출처 : 제임스 다이슨 자서전
포스(G-Force)라는 브랜드 명으로 판매되기 시작하였으며 출시 3

특허제도의 이해
년 만에 연 매출 1200만 파운드를 달성할 정도로 성공한 제품이 된다.

다만, 지포스 1대의 소비자 가격은 1200파운드였으나 대형 도매상이 에이펙스(Apex)사에 주는 금액은


200파운드에 불과했고 이 때문에 제임스 다이슨에게 실제로 주어지는 돈은 1대 당 20파운드에 불과하기
는 했다. 그렇다 할지라도 제임스 다이슨은 이를 통해 상당한 시드머니를 축적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여기서 놓쳐서는 안 될 한 가지 사항은 지포스의 먼지통이 투명하다는 것이다. 주변의 모든 사람들, 특히
지포스의 바이어들조차 먼지통을 투명하게 만들면 쌓인 먼지를 보고 사람들이 역겹다는 생각을 할 수 있다
는 의견을 피력하며 제발 불투명한 먼지통을 만들자는 요청을 제임스 다이슨에게 한 바 있다.

그러나 제임스 다이슨은 카펫에서 빨아들인 오물을 사람들이 실제 보게 되면 우리의 진공청소기가 실제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로 작동한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게 될 것이라는 생각에 투명한 먼지통을 고집하였으며, 결국 이 고집이
상표제도의 이해

오히려 지포스의 성공에 일조하게 된다.

제임스 다이슨이 제품을 디자인하는 모토 중에 하나는 바로 “제품은 제대로 작동할 때 가장 아름답다”는


것이다. 즉 다이슨사의 제품은 제품의 미관만을 돋보이게 만들기 위한 인위적인 디자인을 채택하는 것이 아
니라 제품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반드시 있어야 하는 디자인을 고민하고 이를 제품에 반영함으로써 제품
Ⅵ. 결어

의 미관을 아름답도록 하는데 큰 특징이 있다.

실제로 다이슨사는 애플과 함께 가장 아름다운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선정되기도 했는데 이는 다이


슨사의 제품이 간결하면서도 제품의 기능을 위해 필수적인 미관을 채택하고 있음에 따른 것이라 생각된다.

21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제임스 다이슨의 이러한 디자인 철학은 향후에도 일관되게 이어져


서 다이슨사의 제품은 애플의 제품과 함께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
관을 갖는 제품이라는 평가를 받기에 이른다.

한편 Kirk-Dyson사의 다른 이사진들은 자금난을 이유로 하여 창


업주인 제임스 다이슨을 오히려 회사로부터 퇴출시키게 되며 이에 제
임스 다이슨은 온전히 자신만의 이름을 본 딴 다이슨사의 창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다이슨사는 사이클론 원리를 보다 개량한 신제품 DC-01을


미국에 출시하고 이 제품이 미국 시장에서 큰 돌풍을 일으킴에 따라 다
<그림 13. 다이슨사의 DC-01>
이슨사가 크게 성장하는 계기를 맞이한다. 이후 다이슨사는 DC-01을 출처 : 제임스 다이슨 자서전
지속적으로 개량한 DC-02 등의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며 미국
의 진공청소기 시장에서 엄청난 성공을 거둔다.

물론 제임스 다이슨은 IP전략의 부재에 따른 볼배로의 실패경험을


토대로 사이클론 진공청소기의 출시에 앞서 이를 보호하기 위해 강력
한 IP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상태였으며, 이러한 IP 포트폴리오를 기반
으로 사이클론 원리에 따른 진공청소기 기술을 독점한 상태였다. 즉 우
수한 기술을 강력한 IP로 연결시키고 이를 통한 시장의 독점이라는 IP
의 원리에 충실한 전략을 펼친 덕택에 사업의 성공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이다. 물론 IP가 사업의 성공을 완벽하게 보장하는 모든 것은 아니라
할 것이지만 강력한 IP가 없다면 사업의 성공 또한 없다는 간단한 진실
<그림 14. DC-01 생산공장>
을 말해주는 사례라 하겠다. 출처 : 제임스 다이슨 자서전

제임스 다이슨이 사업의 성공에 이르기까지 지나온 과정, 즉 자신이


창업한 회사로부터 퇴출당하고 이를 오히려 기회로 삼아 더 큰 성공을 거둔 과정이 애플의 창업자인 스티브
잡스와 지극히 비슷하기 때문에 제임스 다이슨을 영국의 스티브 잡스라고 부르게 된다.

사이클론 원리에 따른 진공청소기 시장에서의 성공을 토대로 다이슨사는 신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되고 이를 실현하는 새로운 제품이 탄생되는데 바로 이 제품이 아래에서 살펴보게 될 다이슨사의 날개 없는
선풍기이다.

22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먼저, 다이슨사의 날개 없는 선풍기와 관련된 특허내용을 이해하기 위하여서는 특허제도(특히, 특허요

Ⅰ. 머리말
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므로 아래에서는 다이슨사의 사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알고 있
어야 할 특허제도에 대한 설명을 먼저 진행한다.

1. 특허권이란?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특허권은 특허출원 발명의 설정등록에 의해 탄생하는 독점배타권을 의미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특허
등록 시 자신의 특허발명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는 독점권이라는 개념과 특허등록 시 타인이 특허발명을
실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배타권이라는 개념은 다르다고 볼 수 있겠으나(특허법 제98조의 이용발명의
경우를 생각한다면 특허권은 배타권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생략하겠다.

일반적으로 사상(추상적인 아이디어)은 R&D를 통해 구체화되어 발명(구체적인 아이디어)으로 완성되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고, 완성된 발명은 특허출원이 가능하게 되며, 이후 특허청의 심사과정을 거쳐 특허등록이 됨으로써 특허발
명이 탄생(특허권의 발생)하게 된다.

즉, 특허발명(특허권)은 사상에서 출발하여 발명의 단계를 거쳐 특허청의 특허등록에 따라 완성되는 것


이다.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사상 발명 특허발명
(추상적 아이디어) (구체적 아이디어) (특허권)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그림 16. 특허발명이 만들어 지는 과정>

다이슨사의 경우에도 날개가 없는 선풍기(사상)라는 단순하고 추상적인 아이디어로부터 출발하여 R&D


Ⅵ. 결어

를 통해 에어멀티플라이어 원리에 의한 날개 없는 선풍기(발명)를 완성하였으며, 본 발명을 특허출원하고


심사를 거쳐 적법한 특허등록을 받음으로써 특허권을 부여받은 바 있다.

23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2. 왜 특허권을 받아야 하는가?


반복하여 설명하듯이 특허권은 자신의 독창적인 기술적 아이디어(발명)를 독점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가장 강력한 보호수단이다. 만약 개발된 기술에 대한 특허권이 없다면 경쟁사는 이를 자유롭게 카피할 수 있
게 되며(부정경쟁방지법에 대한 논의는 제외한다), 이렇게 카피품이 등장하게 되면 결국 그 피해는 발명자
가 고스란히 입게 될 것이므로 발명자는 반드시 특허를 통해 자신의 기술을 독점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3. 청구범위의 중요성 및 발명의 설명과의 관계


특정 기술에 대하여 특허권을 받으려면 특허청에 출원서와 함께 명세서라는 서면을 제출해야 하는데 여기
서 명세서는 발명을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한 서면을 의미한다. 즉, 쉽게 말해 명세서는 기술을 글로 명확하
고 상세하게 옮긴 서면을 의미한다. 특허 명세서는 법률문서에 해당하기 때문에 임의로 작성될 수 없으며 특
허법이 정한 양식에 맞추어 작성된다.

하지만, 특허 명세서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면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청
구범위는 특허출원단계에서는 권리요구서로서 특허등록 이후에는 권리서로서 작용하게 되는 부분을 의미
한다.

즉, 수 십장 아니 수 백장짜리 명세서를 작성했다 할지라도 그 명세서의 모든 부분에 대하여 특허권을 인


정받게 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작성된 내용대로만 특허권을 인정받는 것이다. 결국 청구범위는 특허
출원 시에는 특허권을 청구하고자 하는 내용을 담는 그릇이며, 특허등록 이후에는 특허권이 부여된 내용을
담는 그릇이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특허권은 청구범위의 기재사항에 의해서만 인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청구범위는 특허권의 권
리범위와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만약 청구범위를 다음과 같이 작성하여 특허등록을 받았다면 그 권리는 매우 부실해 질 수밖에 없는데 아


래의 사례를 보길 바란다.

[청구항 1] (청구범위)
~ 하는 A;
~ 하는 B; 및
상기 A와 상기 B를 연결하는 볼트 및 너트를 갖는 장치.

24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위와 같이 청구범위에 볼트 및 너트라는 표현을 쓰는 순간 경쟁사는 이를 회피하기 위하여 중요부품인 A,

Ⅰ. 머리말
B는 그대로 사용하면서 볼트 및 너트를 대신하여 핀을 박거나 또는 리벳을 사용하는 등의 카피품을 만들 수
있는데 이 경우 특허권자가 특허침해를 인정받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즉, 특허권자의 청구범위에는 볼트 및 너트라는 표현이 포함되어 있고 경쟁사의 제품에는 볼트 및 너트가


없기 때문에 특허침해 소송을 하더라도 특허권자가 패소할 가능성이 높게 되는 것이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물론 균등론에 의한 보호가 가능하다고 생각할 여지는 있겠으나 1차적으로 중요한 것은 균등론에 의한 침

지식재산권의 이해
해까지 권리범위를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에 따른 침해를 인정받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청구범위에는 일반인이 전혀 알 수 없는(실제로 변리사들도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생소한 구성


요소의 명칭들이 등장한다. 위와 같은 사례에서라면 볼트 및 너트는 체결부재라는 명칭으로 대체될 것이며
그 밖에도 가압부재, 단차생성부재, 간극감소부재 등과 같이 표준어도 아니며 우리의 실제 생활에서도 전혀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들어보지 못한 표현들이 청구범위에 등장하는 것이다. 이는 가급적 청구범위의 해석을 넓게 인정받음으로써

특허제도의 이해
특허권을 강하게 보호받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써 실제로 변리사들은 한정적인 표현이 아닌 포괄적인 용
어를 선택하여 경쟁사의 회피설계를 막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청구범위의 이러한 독특성 때문에 청구범위의 기재만으로는 발명의 내용이 명확하게 이해되기 어
려우며, 이는 기술 공개를 통한 산업발전이라는 특허법의 법 목적에 반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청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구범위의 내용은 발명의 설명에 의해 뒷받침되도록 특허법이 강제하고 있다.

즉, 발명의 설명은 청구범위의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는 부분으로, 예컨대 청구범위에 체결부재라는 포
괄적 용어를 사용하였다면 발명의 설명에서는 “체결부재란 A와 B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도구로서 본 발명
의 제1 실시예에서는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볼트 및 너트를 대신하여 핀이나 리벳 등
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볼트 및 너트는 금속성 재질이며 크기는 볼트가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10Cm~20Cm 정도의 길이를 갖고 너트는 이에 대응될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등과 같이 자세히 설명하
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제3자는 청구범위의 기재와 이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 발명의 설명의 기재를 모두 읽음으로써 발명


의 내용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Ⅵ. 결어

25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4. 반드시 알아야 할 특허요건의 이해

(1) 선출원주의

선출원주의는 서로 다른 날에 동일한 발명이 특허출원되는 경우 먼저 특허출원된 발명만이 특허등록을 받


을 수 있다는 특허요건이다. 만약 동일한 발명에 대하여 두 개의 특허권이 탄생하게 되면 이는 지식재산권제
도의 본질인 독점권의 성질에 위반되는 것이기 때문에 허용될 수 없는 것이고, 따라서 선출원주의는 중복된
특허권의 발생을 막기 위해 요구되는 특허요건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선출원주의는 특허출원인이 동일한 자일 경우에도 적용되는데 만약 동일한 자에게 선출원주의를 적


용하지 않는다면 특허권의 존속기간을 연장받기 위한 꼼수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특허권의 존속기간은 특허권의 설정등록이 있는 날로부터 특허출원일 후 20년인데, 만약 갑이라는 사


람이 2019.01.01.자로 A발명을 특허출원하고 1년이 지난 2020.02.02.자로 똑같은 A발명을 특허출원하
였을 때 선출원주의를 적용하지 않고 두 개의 특허출원을 모두 등록하여 준다면 갑의 특허권은 1년이 늘어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뒤에 이루어진 갑의 특허출원은 그보다 앞선 자신의 특허출원을 이유
로 선출원주의 위반을 이유로 하여 거절하게 된다.

또한 만약 같은 날에 동일한 발명이 특허출원 되더라도 선출원주의는 여전히 적용된다. 즉 갑이


2019.01.01.자로 A발명을 특허출원하였는데 공교롭게도 을도 2019.01.01.자로 A발명을 특허출원한다
면 어떻게 될 것인가? 지식재산권의 본질인 독점의 문제를 생각한다면 당연히 갑과 을 모두가 특허를 받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선출원주의가 적용되어 갑과 을은 특허청으로부터 협의명령이라는 거절이유를


받게 되며, 협의명령이 정한 기간 내에 협의결과를 신고(갑의 특허출원 또는 을의 특허출원을 취하함으로써
선출원주의 위반의 문제를 남기지 않는 경우)하게 되면 선출원주의 위반의 문제가 해소됨에 따라 협의결과
에 의해 남는 자가 특허를 받게 된다.

만약 협의명령이 정한 기간 내에 협의결과가 신고되지 않는다면(갑과 을 모두가 자신이 특허를 받아야 한


다고 주장하면서 어느 출원도 취하되지 않고 선출원주의 위반의 문제가 지속되는 경우) 이 때는 갑의 특허출
원과 을의 특허출원 모두를 선출원주의 위반을 이유로 하여 거절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선출원주의라는 특허요건을 잘 이해하고 있다면 가급적 특허출원은 서두르는 것이 좋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발명이 제대로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허출원을 진행하는 것은 당연히 바람직하지 못한 일
이겠으나, 발명은 이미 완성되어 있는데 특허출원을 계속 늦추는 것 또한 당연히 바람직하지 못한 일이 된다.

26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실제로 많은 중소기업들은 R&D를 통해 발명을 완성하고도 특허출원을 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시제품 등

Ⅰ. 머리말
을 제작하여 발명을 테스트하고 모든 테스트가 종료된 후, 즉 제품으로써 양산할 수 있다는 확신이 들 때 특
허출원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정말로 잘못된 태도이다.

아마도 해당 중소기업의 입장에서는 발명이 완성되었더라도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는지를 확신하기 어렵


고 만약 발명이 완성된 시점에서 특허출원을 하고, 제품을 테스트하면서 그 완성된 발명을 수정하게 되면 또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다른 특허출원을 해야 할 것이기 때문에 특허출원 비용이 아깝다는 생각에 실제 제품으로 구현할 수 있는 단

지식재산권의 이해
계의 특허출원을 1건만을 진행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선출원주의라는 특허요건을 이해하고 있다면 이러한 행
동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를 알 수 있다.

즉, 특허를 받게 되는 것은 먼저 발명한 자가 아닌 먼저 특허출원을 한 자이기 때문에 A라는 기업이 먼저


발명을 완성하고 제품으로 만들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는 사이에 B라는 경쟁 기업이 발명을 완성하고 바로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출원을 해버리게 되면 결국 A가 아닌 B가 특허를 받게 되는 것이다. 결국 A기업은 자신이 먼저 발명을

특허제도의 이해
완성하고도 B기업이 특허를 받게 되는 순간 제품을 생산하거나 판매하지 못하는 문제를 맞이하게 되고 A기
업이 들인 많은 R&D 비용과 그 결과물은 낭비되고 폐기되어야 하는 운명을 맞이할 수밖에 없다.

경쟁이 치열한 현대사회의 생리를 생각하고, 선출원주의라는 특허요건을 이해한다면 발명은 완성된 그 시
점에 특허출원을 해야 하는 것이며, 혹시 특허출원 이후에 보다 개량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한다면 별개의 특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허출원을 추가로 진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안전한 방법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디자인제도의 이해
(2) 신규성 및 진보성

신규성은 선행기술과 동일한 발명은 특허를 받을 수 없다는 특허요건이며, 진보성은 선행기술로부터 쉽게


만들 수 있는 발명은 특허를 받을 수 없다는 특허요건을 말한다. 신규성은 다른 말로 발명의 객관적 창작성이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라고 부르며 진보성은 다른 말로 발명의 주관적 창작성이라 부른다. 객관적 창작성 또는 주관적 창작성이라
는 단어가 의미하고 있듯이 신규성은 그 판단이 객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진보성은 그 판단이 객관
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고 판단자의 주관이 어느 정도 개입될 수밖에 없다.

물론, 한국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국가가 진보성(각 국가마다 용어는 달라질 수 있다)의 판단을 객관화시키
Ⅵ. 결어

기 위하여 그 판단에 대한 기준들을 제시하고는 있으나 어느 경우라 할지라도 진보성을 완벽하게 객관적으로
판단하기는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27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먼저 신규성은 앞서 말한바와 같이 선행기술과 동일한 발명은 특허를 받을 수 없다는 특허요건을 말한다.


특허법 제29조 제1항에 따르면 “특허출원 전에 국내 또는 국외에서 공지되었거나 공연히 실시된 발명(1호)”
및 “특허출원 전에 국내 또는 국외에서 반포된 간행물에 개재되었거나 전기통신회선을 통하여 공중이 이용가
능 한 발명(2호)”는 특허를 받을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1호 및 2호가 바로 선행기술을 의미한다.

즉, 신규성 판단에 있어서 대비되는 선행기술이란 i)해당 특허의 특허출원 시(특허출원 전으로 이해하면
편할 것이다. 엄밀하게 선행기술은 시, 분, 초까지 아우르는 개념이라 특허출원한 시각보다 1초라도 앞선다
면 선행기술임이 맞지만 이러한 일로 문제가 생기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전에 존재하면서, ii)국내 또는 해외
어딘가에 존재하고, iii)공개된 모든 것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즉, 특허출원 전에 있어야만 선행기술이 될 수 있고,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심지어 아프리카의 어딘
가에 있더라도 선행기술이 될 수 있으며, 그 유형에 제한이 없이 논문으로 발표된 것이든 제품으로 판매된 것
이든 인터넷에 올라온 것이든 모든 공개된 것들이 선행기술이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공중의 영역(Free Domain)에 있는 기술로 볼 수 있


는데 선행기술과 동일한 발명에 대하여 특허를 주게 되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갑자기 특
정인만이 쓸 수 있는 독점의 영역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므로 이는 허용될 수 없으며 따라서 신규성이 없는 발
명은 특허를 받을 수 없도록 규정한다.

신규성의 판단은 선행기술과 특허출원발명(특허권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주어지는 것이므로 특허


출원발명은 당연히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의미한다)을 대비하여 양자가 동일한 지를 판단하는 방법으
로 이루어진다. 즉 특허출원발명이 선행기술과 동일하다면 이는 신규성이 없는 발명이므로 특허등록을 받
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신규성의 판단은 여러 개의 선행기술이 존재한다하더라도 이를 조합하여(더하여) 판단할 수 없으며


각각의 선행기술과 특허출원발명을 1:1로 비교하면서 동일성을 판단하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아래 그림 17에서와 같이, 어느 특허출원발명이 A, B, C라는 3가지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는데 선


행기술 1에는 A라는 구성요소가 나타나 있고 선행기술 2에는 B라는 구성요소가 나타나 있으며 선행기술 3
에는 C라는 구성요소가 나타나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이러한 특허출원발명은 신규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28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특허출원발명
A+B+C를 포함하는 X
: 신규성 인정됨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그림 17. 신규성의 판단>

왜냐하면 선행기술 1과 특허출원발명을 비교해 볼 때 특허출원발명에는 선행기술 1에 없는 B 및 C가 더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있는바 신규성이 있고, 선행기술 2와 특허출원발명을 비교해 볼 때 특허출원발명에는 선행기술 2에 없는 A
및 C가 더 있는바 신규성이 있으며, 선행기술 3과 특허출원발명을 비교해 볼 때 특허출원발명에는 선행기술
3에 없는 A 및 B가 더 있는바 신규성이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진보성은 앞서 말한바와 같이 선행기술로부터 쉽게 만들 수 있는 발명은 특허를 받을 수 없다는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요건을 말한다. 특허법 제29조 제2항에 따르면 “특허출원 전에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디자인제도의 이해
지식을 가진 사람이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발명에 의하여 쉽게 발명할 수 있으면 그 발명에 대
해서는 제1항에도 불구하고 특허를 받을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소위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라
고 한다)”라 부르는 자로서 그 기술분야의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를 의미하고 있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판례 및 심사기준에 따르면 당업자는 “출원 전의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상식을 보유하고 있고, 출원발명의
상표제도의 이해

과제와 관련되는 출원 전의 기술수준에 있는 모든 것을 입수하여 자신의 지식으로 할 수 있는 자로서, 실험,


분석, 제조 등을 포함하는 연구 또는 개발을 위하여 통상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공지의 재료 중에서 적
합한 재료를 선택하거나 수치범위를 최적화(最適化)하거나 균등물(均等物)로 치환하는 등 통상의 창작능력
을 발휘할 수 있는 특허법상의 상상의 인물”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정의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당업자가 “상
Ⅵ. 결어

상의 인물”이라는 점이다.

즉 당업자는 바로 이런 사람이다라고 정확하게 특정할 수 없는 인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당업


자는 정확하게 특정할 수는 없겠으나 진보성 판단시 주체적인 기준이 되는 자이며 너무 높은 수준의 지식을

29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가진 자가 아닌 그 발명과 관련된 분야에 종사하는 자로서 일반적인 지식수준을 가진 자를 의미한다고 생각


할 수 있다.

만약 당업자의 지식수준을 높게 생각하게 되면, 예컨대 반도체 분야의 교수 또는 박사급 지식을 가진 연구


원의 입장에서 반도체와 관련된 특허출원발명을 바라보게 되면 대부분의 발명은 선행기술로부터 쉽게 나올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눈높이에서 진보성을 판단하지 않고자 하는 의도에서
당업자라는 개념이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진보성은 1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발명, 즉 선행기술로부터 특허출원발명이 “쉽게” 나


올 수 있는가에 따라 판단되는데 이러한 “쉽게”의 의미가 도대체 무엇인가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진보성이라는 특허요건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진다.

한국의 경우 이러한 “쉽게”라는 표현을 객관화하기 위해 “쉽게”의 판단은 “목적의 특이성”, “구성의 곤란
성” 및 “효과의 현저성”에 따라 판단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즉 선행기술과 특허출원발명을 비교하였을 때 특
허출원발명이 선행기술 대비 목적이 특이하고, 구성이 곤란하며, 효과가 현저한 경우라면 진보성을 인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로 이 “목적의 특이성”, “구성의 곤란성” 및 “효과의 현저성”을 진보성 판단의 3가지 원
칙적 기준이라 부른다.

이와 함께 “쉽게”의 판단 시에는 “상업적 성공에 따른 모방품의 발생사실” 또는 “장시간 미해결과제의 해


결”이라는 사항들도 고려될 수 있는데 예컨대 어떤 제품이 굉장히 많이 팔림에 따라 모방품이 등장한 경우
또는 수십년간 해결하지 못한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는 발명 등의 경우에도 진보성이 인정될 가능성이 있다
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위의 두 가지 사항은 진보성 판단의 참고적 기준이므로 진보성을 판단하기 위하여서는 먼저 원칙


적 기준 3가지인 “목적의 특이성”, “구성의 곤란성” 및 “효과의 현저성”을 고려해야 하고, 이후 추가적으로 상
업적 성공에 따른 모방품의 발생사실” 또는 “장시간 미해결과제의 해결”이라는 참고적 판단기준도 고려할 수
있게 됨에 유의해야 한다. 사실 제품이 많이 팔려서 모방품이 발생되었다는 사실이 바로 제품의 우수성을 뒷
받침한다고는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어떤 제품이 많이 팔렸을 때 제품이 좋기 때문이 아니라 광고를 잘했기
때문일 수도 있는 점을 생각한다면 당연한 사항이 될 것이다.

어쨌든 진보성은 “당업자”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특허출원발명이 선행기술로부터 “쉽게” 나오는지를 판


단하고, 이때 “쉽게”의 판단은 “목적의 특이성”, “구성의 곤란성” 및 “효과의 현저성”을 고려해야 하며, 그 결
과 특허출원발명이 선행기술로부터 쉽게 나온다면 진보성흠결을 이유로 특허를 받을 수 없다는 요건임을 이
해할 수 있다.

30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또한, 진보성은 단일한 선행기술로부터 특허출원발명이 쉽게 나오는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이

Ⅰ. 머리말
와 달리 여러 선행기술의 조합으로부터 특허출원발명이 쉽게 나오는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도 있는데, 즉,
진보성은 신규성과는 달리 선행기술의 조합에 의한 판단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신규성에서 말한 것과 동일한 사안, 즉 아래와 같은 경우 진보성은 인정될 수 있는가?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특허출원발명
A+B+C를 포함하는 X
: 진보성은 인정되는가?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그림 18. 진보성의 판단>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위 그림 18의 경우에 있어서, 흔히 범하기 쉬운 실수로 선행기술 1, 선행기술 2 및 선행기술 3을 조합하면

디자인제도의 이해
특허출원발명이 나오기 때문에 특허출원발명은 진보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진보성의 판단은
“당업자”를 기준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조합에 의해 특허출원발명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조합에 의해 특허
출원발명이 쉽게 나오는 것”을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결론은 타당하지 않다.

결국 위 사안에서 선행기술 1, 선행기술 2 및 선행기술 3을 당업자가 조합하여 특허출원발명을 쉽게 만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수 있다면 특허출원발명의 진보성은 부정된다고 볼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특허출원발명의 진보성
상표제도의 이해

은 인정되어야 한다. 이처럼 진보성이라는 특허요건은 그 판단이 매우 어렵고 판단자의 주관이 어느 정도 개


입될 수밖에 없는 것이기에 진보성의 유무(有無)는 어떤 경우에도 함부로 단정해서는 안된다.
Ⅵ. 결어

31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이제 아래의 사례를 토대로 신규성 및 진보성을 다시 한번 이해해 보도록 하겠다.

CASE 1)

<그림 19. 신규성 및 진보성의 판단>

위 CASE 1의 경우 특허출원발명은 특허를 받을 수 없다. 즉, 특허출원발명은 선행기술과 동일한 것이므


로 신규성이 없으며 따라서 특허를 받을 수 없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 경우에는 따로 특허출원발명의 진보
성을 판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CASE 2)

<그림 20. 신규성 및 진보성의 판단>

위 CASE 2의 경우 특허출원발명 1은 특허를 받을 수 있는지가 불분명하다. 먼저 특허출원발명 1이 선행


기술과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특허출원발명 1은 선행기술에 없는 등받이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신규성이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진보성이 있는지는 단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즉 진보성을 판단하는 자가 특허출원발

32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명 1이 선행기술로부터 당업자가 쉽게 만들 수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면 특허출원발명 1은 진보성까지 인정
되어 특허를 받게 될 것이며, 그 반대의 경우라면 특허출원발명 1은 진보성이 인정되지 않으므로 특허를 받
지 못할 것이다.

결국 특허등록여부를 판단하는 자(일반적으로는 특허청 심사관)가 특허출원발명 1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


보는 가에 따라 특허출원발명 1의 등록여부가 결정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어떻게 생각한다면 특허등록여부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는 운이 좌우한다고 생각할 여지가 있는데 그렇다면 과연 어떤 특허출원발명이 등록이 되는지 또는 그렇지

지식재산권의 이해
않은가의 문제가 운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일까?

정답은 “아니다”이며 이는 아래의 CASE 3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CASE 3)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그림 21. 신규성 및 진보성의 판단>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위 CASE 3의 경우 특허출원발명 2는 앞서 살펴본 특허출원발명 1과 같이 특허를 받을 수 있는지가 불분
상표제도의 이해

명하다. 먼저 특허출원발명 2가 선행기술과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특허출원발명 2는 선행기술에 없는 등받


이 및 팔걸이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신규성이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진보성이 있는지는 단정하기 어렵기 때문
이다. 즉 진보성을 판단하는 자가 특허출원발명 2가 선행기술로부터 당업자가 쉽게 만들 수 없는 것으로 생
각한다면 특허출원발명 2는 진보성까지 인정되어 특허를 받게 될 것이며, 그 반대의 경우라면 특허출원발명
Ⅵ. 결어

2는 진보성이 인정되지 않으므로 특허를 받지 못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진보성을 단정할 수 없기 때문에 특허출원발명 1 및 특허출원발명 2 각각이 특허를 받을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어려워지는데 그렇다 할지라도 특허출원발명 2의 진보성은 특허출원발명 1의 진보성보
다 높다는 한 가지 사실만은 확실하다.

33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그림 22. 신규성 및 진보성의 판단>

즉,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특허출원발명 1 및 특허출원발명 2의 진보성의 인정여부를 쉽게 단정할 수는 없


겠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위 그림 22와 같이 특허출원발명 2의 진보성은 특허출원발명 1의 진보성보다 높
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특허출원발명 1은 선행기술로부터 등받이만을 추가한(1개 부분만을 개량
한) 발명이지만 특허출원발명 2는 선행기술로부터 등받이 및 팔걸이까지 추가한(2개 부분을 개량한) 발명
이기 때문이다.

개량이 많이 되면 될수록 선행기술로부터 당업자가 발명을 쉽게 할 수 없다는 것은 당연할 것이며 결국 선


행기술로부터 많이 개량된 특허출원발명일수록 진보성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특허등록이 될 수 있는 가
능성도 올라가게 된다. 만약 특허출원발명 2에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독창적인 시스템을 달게 되
면 그 발명의 진보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며, 이에 더하여 의자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독창적인 접이
시스템을 달게 되면 그 발명의 진보성은 더더욱 높아질 것이다.

결국 진보성을 쉽게 인정받을 수 있는 길은 선행기술로부터 많은 개량을 하는 것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선


행기술과 차별성이 크지 않은 단순한 개량발명이라면 특허를 받기 어려울 수 있겠지만 선행기술과 차별성이
큰 많은 부분을 개량한 발명이라면 특허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할 것이다.

진보성이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밖에 없는 특허요건이라고 해서 특허등록여부가 완전히 운에만 의존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특허등록을 받길 원한다면 선행기술과 차별화될 수 있는 독창적인 개량 부분이 많이 포함되도록 하


고 이를 특허출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34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3) 기재불비

Ⅰ. 머리말
특허출원을 하는 출원인은 출원인 및 발명자의 정보 등이 기재된 특허출원서를 특허청에 제출하여야 하
며, 출원서에는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가 기재된 명세서(그림 23 참조)를 첨부하여야 한다. 여기서 명세서
는 특허출원발명을 명확하고 상세하게 적은 서면을 말하며, 쉽게 생각하자면 특허법이 정하는 요건에 맞추
어 특허출원의 대상이 되는 기술을 글로 적은 것이라 이해될 수 있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명세서의 기재 시 발명의 설명은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당업자)가 그

지식재산권의 이해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해야 하고 이와 함께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
경기술을 기재하여야 하며,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에 의하여 뒷받침되도록 기재되야 하고, 발명이 명확하
고 간결하게 적혀 있어야 한다.

위 요건을 만족하도록 명세서를 기재하지 않는 경우 특허청으로부터 기재불비라는 거절이유를 받게 된다.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명세서]
[발명의 명칭] 발명의 설명
[기술분야]
[배경기슬]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
[도면의 간단한 설명]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부호의 설명]
상표제도의 이해

[특허청구범위]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

[요약서]
[도면]
Ⅵ. 결어

<그림 23. 특허명세서의 구성>

35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명세서의 두 가지 부분인 발명의 설명과 청구범위 모두가 중요한 부분이라 볼 수
있겠지만, 청구범위는 특허등록에 따라 특허권이 발생되는 경우 특허권의 권리범위(‘보호범위’라고도 부르
며 이하에서 동일하다)에 직결되는 부분이므로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발명의 설명보다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흔히 청구범위는 “특허출원단계에서는 권리요구서로 특허등록 이후에는 권리서”로 작용한다고 말하는데


이는 청구범위가 특허출원 시에는 특허출원인이 요구하는 권리의 내용을 적는다는 의미이며, 특허등록이 되
었다면 특허권이 인정되는 권리의 내용이 적혀있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흔히 “청구범위는 권리의 시작이자 끝”이라거나, “청구범위가 부실하면 특허등록증은 종이쪼가리에


불과하다”거나, “특허소송은 청구범위 싸움”과 같은 말을 하는데 이는 모두 위와 같은 청구범위의 중요성을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애플이 이미 스마트폰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술에 대하여 특허를 받고 있음에도 삼성 또는 엘지 등


의 스마트폰 제조사는 애플에게 로열티를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애플로부터 특허침해 소송을 당하기 어렵
다. 왜냐하면 삼성 또는 엘지 등의 스마트폰 제조사는 애플이 스마트폰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술에 대하여 확
보한 특허권의 청구범위에 해당하는 내용을 실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제품카피?
특허침해?

<그림 24. 애플의 스마트폰 잠금해제 기술 특허의 문제>

36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애플이 확보하고 있는 스마트폰 잠금해제 기술에 대한 특허권의 청구범위 내용을 살펴보면 “1. A method

Ⅰ. 머리말
of unlocking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the device including a touch-sensitive display,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contact with the touch-sensitive display at a first predefined location cor-
responding to an unlock image;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continuously moving the unlock image on the touch-sensitive display in accordance with

지식재산권의 이해
movement of the contact while continuous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s maintained,
wherein the unlock image is a graphical, interactive user-interface object with which a
user interacts in order to unlock the device; and

unlocking the hand-held electronic device if the moving the unlock image on the touch-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sensitive display results in movement of the unlock image from the first predefined loca-

특허제도의 이해
tion to a predefined unlock region on the touch-sensitive display.“ 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애플 특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은 ”Unlock image“를 ”first predefined lo-
cation“으로부터 ”predefined unlock region“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스마트폰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다.

즉 애플의 특허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밀어서 스마트폰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술”을 청구범위에 기재함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으로써 특허등록이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삼성 등 다른 제조사의 스마트폰은 밀어서 잠금을 해제하는
방식이 아니라 패턴을 입력하거나 지문 또는 홍채인식 등을 통해 스마트폰의 잠금을 해제하는 방식이기 때문
에 애플 특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스마트폰의 잠금을 해제하고 있고 따라서 이러한
방식에 의해 제품을 제조하더라도 위 애플특허의 침해로 보기는 어려워지는 것이다.

결국 애플 특허는 “스마트폰을 잠금해제하는 모든 방식에 대한 특허”가 아니라 “밀어서 스마트폰의 잠금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을 해제하는 기술에 대한 특허”이기 때문에 이와 다른 방식으로 스마트폰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술은 애플 특


허의 침해가 될 수 없고 따라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사실 “스마트폰을 잠금해제하는 모든 방식에 대한 특허”라는 것은 “기술적 사상”이 아닌 “단순한 사상”의


영역에 가깝기 때문에 특허등록을 받을 수 없는 것이며 어떤 방식으로 스마트폰의 잠금을 해제할 것인가가
Ⅵ. 결어

명확하게 특정되어야 특허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애플은 “밀어서 잠금해제 방식”을 청구항에 명확하게 기재함으로써 특허를 받았기 때문에 이와 다른 방
식으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쟁사에 대해서는 특허침해 주장을 할 수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7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결국, 사상을 어떻게 구현하는 가에 따라 별개의 특허발명이 성립하게 되고 구현방식이 다르고 그 각각의
방식이 신규성 및 진보성을 갖추고 있다면 각각 특허권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특허침해의 문
제는 특허권자의 제품과 경쟁사의 제품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권자의 등록특허 명세서의 청구범위와
경쟁사의 제품(이를 보통 “확인대상발명”이라고 부른다)을 비교하는 관계임에 유의해야 한다.

위와 같이, 청구범위가 바로 특허권을 결정하게 되는 사항이 되기 때문에 청구범위는 명확하고 간결하게


기재되어야 한다. 즉, 청구범위에는 “필요에 따라”, “소망에 따라”, “주로”, “주성분으로” 등과 같은 표현을 기
재할 수 없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이러한 표현들이 청구범위를 불명확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예컨대 “필요에 따라 a성분이 포함된”과 같은 표현은 필요하다면 a성분이 포함되고 필요하지 않는 경우라
면 a성분을 포함시키지 않겠다는 의미가 되는데 그렇다면 과연 a성분은 발명에 포함되어야 하는지 또는 그
렇지 않은가가 불분명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표현을 청구범위에 적을 수는 없도록 한다.

한편 특허권자는 특허권의 권리범위를 보다 넓게 인정받기 위해 앞서 말한 것처럼 청구범위의 용어를 “


포괄적” “함축적”으로 기재하려 한다. 따라서 제3자의 입장에서는 청구범위를 열심히 읽어보더라도 발명의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하는 것은 어려울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의 설명이 존재하
는 것이다.

즉,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에 의해 뒷받침되도록 작성되야 하며, 따라서 청구범위에 있는 “포괄적” “함축
적” 용어들과 기타 필요한 내용들은 발명의 설명에 자세히 풀어서 기재됨으로써 청구범위 내용이 발명의 설
명에 의해 뒷받침 되게 되는 것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앞서 살펴본 ‘청구범위의 중요성 및 발명의 설명과
의 관계’를 다시 한번 읽어보길 바란다.

이와 함께 청구범위는 특허권으로 보호를 받으려는 사항을 적은 청구항이 하나 이상 있어야 하며, 이처럼


청구범위에 하나 이상의 항을 적는 것을 “다항제(多項制)”라 한다.

특허법에서는 이러한 다항제의 기재방법은 특허법 시행령에 위임하고 있으며, 특허법 시행령에 따르면 다
항제는 “종속항은 독립항 또는 다른 종속항 중에서 1 또는 2 이상의 항을 인용하여야 하며 인용되는 항의 번
호를 적어야 한다”, “2 이상의 항을 인용하는 항은 인용되는 항의 번호를 택일적으로 기재하여야 한다”, “2 이
상의 항을 인용하는 항은 2 이상의 항이 인용된 항을 인용할 수 없다” 및 “인용되는 항은 인용하는 항보다 먼
저 기재되어야 한다“의 요건을 만족하도록 기재되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부분들은 명세서를 직접 작성하는 변리사가 고민해야 할 사항이라 볼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38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위와 같은 명세서의 기재요건에 부합하지 못하도록 작성된 명세서를 첨부하여 특허출원을 하게 되면 특
허출원 자체가 불수리 또는 무효처분이 되거나 또는 특허청으로부터 거절이유가 나오게 되고, 만약 착오로
등록이 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부적법한 특허권이 탄생하더라도 이러한 특허권에 기초한 특허침해의 주장은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판례에서도 “명세서의 기재불비 등으로 인하여 특허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 특허발명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의 실시가 불가능한 경우에 있어서는 확인대상발명은 특허발명과의 구체적 기술 대비를 할 필요도 없이 그

지식재산권의 이해
권리범위에 속하지 않는다”라 함으로써 잘못 기재된 명세서에 기초하여 특허권을 행사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음을 말하고 있다.

결국 특허명세서는 특허법에 규정된 요건에 맞추어 기재되어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문제가 생기게 된
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5. 특허권의 속지주의 원칙 및 이를 고려한 해외출원제도의 이해

(1) 특허권의 속지주의 원칙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엄밀하게 속지주의 원칙이란 “자국의 영토 주권이 미치는 범위의 영역에서 범해진 죄에 대하여는 범인이
어느 나라의 국민인가에 관계없이 모두 그 지역의 형법을 적용한다”는 원칙을 의미한다. 즉, 속지주의의 원
칙은 어느 국가의 법률은 그 국가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며 국가를 뛰어넘어 다른 국가에 영향을 미칠 수 없
다는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이를 특허권의 영역으로 가져오게 되면 “한국에 등록된 특허권은 한국에만 영향을 미칠 뿐 다른 국가에 영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향을 미칠 수 없다”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한국에 등록된 특허권은 한국 내에서만 영향력을 가질 뿐이므로 그


발명을 중국에서 생산하거나 미국에서 판매하는 등의 행위에 대하여 한국 특허권자임을 이유로 소송을 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된다(이는 다른 국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일본에만 등록되어 있는 특허발명을 한국
에서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것은 당연히 자유롭다고 볼 수 있다).
Ⅵ. 결어

39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B사가 A사의 특허 침해품을 중국에서 생산하여


미국으로 수출하는 경우 A사가 취할 수 있는 조치는?

B사 : A사 경쟁사

A사 : 한국 특허권자

<그림 25. 특허권의 속지주의 원칙의 이해>

예컨대 위 그림 25와 같이 A라는 회사가 한국에서 특허권을 받았다고 가정해 보자. B사는 A사의 경쟁사
인데 B사가 A사 특허권의 침해문제 없이 A사가 한국에서 특허등록을 받은 제품을 미국에서 판매하고자 한
다면 어떻게 하면 될까? 이에 대한 답은 아주 간단한데 B사는 그 제품을 중국에서 싸게 생산하여 미국으로
바로 수출해 버리면 된다.

A사의 특허권은 한국에서만 존재하는 것이므로 B사가 중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행위와 미국에 수출하
는 행위에 대해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기업들은 자신이 사업하고자 하는 국가에 별개의 특허권을 받음으로써 카피품을 방지
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게 되며, 이에 따라 많은 해외특허출원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해외출원 시 많이 사용되는 PCT 국제출원의 경우 2017년을 기준으로 243,500의 사건이 진행되었


으며 연간 증가율 4.5% 및 8년 연속 출원 건수의 증가를 기록하였다.

이처럼 많은 해외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많은 기업의 특허담당자들조차 해외출원은 한국출원일로부


터 1년 이내에 해야 한다는 사실만을 알고 있을 뿐, 왜 1년이라는 기간이 중요한지 그리고 1년의 기간을 놓

40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치게 되면 과연 해외출원은 못하게 되는 것인지에 대한 내용을 거의 이해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Ⅰ. 머리말
이하에서는 해외출원의 두 가지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2)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주장 출원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그림 26.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주장출원의 방법>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주장 출원은 전통적인 해외출원의 방법으로서 제1국 특허출원일로부터 1년 이내
에 제2국 특허출원을 진행하면서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을 주장하게 되면 제2국 특허출원의 심사에 있어
서 특허요건(선출원주의, 신규성 및 진보성 등)의 판단시점을 제1국 출원일로 소급시켜주는 제도를 말한다.

즉, 한국에 특허출원을 한 후 6개월 뒤에 미국에 출원을 하거나 또는 한국에 특허출원을 한 후 11월 뒤에


중국에 출원하면서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을 주장하면 미국 또는 중국의 심사관은 실제 그 국가에 특허출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원 한 날을 기준으로 특허요건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특허출원일로 소급하여 특허요건을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에 특허출원을 한 후 미국 또는 중국에 제품을 판매한 경우라도, 혹은 기타 다른 공개행위를 한


경우에도 미국 또는 중국의 심사과정에 있어서 이러한 공개행위는 선행기술로서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따라
서 해당 국가에서의 특허등록이 가능해진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제1국 및 제2국의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한국에 특허출원한 후 미국에 특허출원을 하는 경우거나 또는 그


역으로서 미국에 특허출원한 후 한국에 특허출원을 하는 경우라도 동일한 취급을 받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해하기 쉽도록 실제 미국에 출원한 날을 한국에 출원한 날로 소급시킨다(출원일의 소급)라고 설


명할 수 없는 것은 특허요건의 판단시점을 소급시키는 것과 특허출원일 자체를 소급시키는 것은 그 효과 측
Ⅵ. 결어

면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즉 2019.01.01.자로 한국에 특허출원을 하고 2019.11.01.자로 미국에 특허출원을 하면서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을 주장하게 되면 미국 특허청의 심사과정에 있어서는 한국 특허출원일인 2019.01.01.자로 특

41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허요건의 구비여부를 심사하게 되지만, 해당 특허가 미국에서 등록이 되면 미국 특허의 존속기간은 한국 특


허출원일이 아닌 미국 특허출원일로부터 20년인 2039.11.01.자로 만료된다.

결국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주장 출원은 특허요건의 판단시점을 제1국 특허출원일로 소급시켜 제1국 특


허출원 후 공개된 선행기술의 영향을 받지 않는 유리한 효과를 부여하면서 제2국에서의 특허권의 존속기간
은 실제 제2국 특허출원일을 기준으로 함으로써 존속기간이 줄어들 수 있는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제도(특허출원인에게 유리한 효과만을 주기 위한 제도)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림 27. 우선권 인정에 따른 효과>

그러나 만약 제1국 특허출원일로부터 1년이 지난 후에 제2국에 특허출원을 하면 어떻게 될 것인가? 즉,


위 그림 27에서와 같이 한국 특허출원일로부터 13개월이 지난 후에 중국에 특허출원을 하면 어떻게 되는가?

이 경우 중국 특허출원 자체가 허용되지 않는 것이 아니다. 즉 중국에의 특허출원일이 한국 특허출원일로


부터 1년이 지난 경우라 하더라도 중국에 특허출원하는 것은 가능할 것이지만 중국에서 특허등록을 받을 가
능성은 한국출원일로부터 1년 이내에 중국에 특허출원하는 경우보다 낮아질 수 있는 위험이 따를 뿐이다.

42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그림 28. 우선권 인정에 따른 효과>

즉, 위 그림 28에서와 같이 한국에 특허출원을 한 후 제품을 판매하였고(신규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


개된 사유는 가리지 않는다) 13개월이 지난 후에 중국에 특허출원을 하게 되면 중국에서의 특허출원일은 한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국 특허출원일로부터 1년이 이미 지난 상태이기 때문에 우선권주장을 인정받을 수 없다.

따라서 특허요건의 소급효도 인정받을 수 없게 되며 결국 중국 특허청 심사관은 한국에 판매된 제품을 근


거로 하여 신규성 흠결을 이유로 중국 특허출원을 거절시키게 될 것이다.

다만, 만약 한국에 특허출원한 이후 어떠한 공개행위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기타 제3자의 공개행위나 특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허출원도 없었다는 가정을 해본다면 한국 특허출원일로부터 1년이 지나 이루어진 중국 특허출원도 등록이
상표제도의 이해

될 수 있다.

이미 1년이 지났기 때문에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주장을 할 수는 없겠으나 실제 중국 특허출원일을 기준


으로 하여 심사를 하더라도 특별한 선행기술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특허출원이 등록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만약 한국에 특허출원한 이후 1년 6개월이 지나 중국에 특허출원을 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Ⅵ. 결어

한국 특허출원일로부터 1년 6개월이 지나게 되면 한국 특허출원이 이미 출원공개가 된 상태가 되기 때문


에 중국 특허청 심사관은 한국의 공개공보를 이유로 하여 해당 특허출원을 신규성 흠결을 이유로 거절시키
게 된다.

43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즉, 한국에 특허출원을 한 날로부터 1년 이내에 해외출원을 원하는 모든 국가에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


을 주장하면서 진입을 마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해외출원의 방법이 될 것이지만, 만약 한국 특허출원일로
부터 1년의 기간을 놓쳤다 할지라도 한국 특허출원일~1년 6개월 이전까지는 해외출원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어떠한 공개자료도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만 특허등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달


리 한국 특허출원일~1년 6개월까지 지난 시점이라면 한국 특허출원이 출원공개 되었을 것이므로 이후에 다
른 국가에 특허출원을 하게 되면 출원 자체는 인정될 것이지만 신규성 흠결을 이유로 특허등록은 받을 수 없
게 된다.

해외출원은 1년 이내에 해야 한다는 사항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왜 1년의 기간이 요구되는지 그리고 1
년이 지난다면 해외출원은 진행할 수 없는 것인지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3) PCT 국제출원

<그림 29. PCT 국제출원의 방법>

PCT 국제출원은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 주장 출원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도입된 제도이다. 파
리조약에 의한 우선권 주장 출원은 제1국 출원일로부터 1년 이내에 원하는 모든 지정국가(제2국)에 진입을
마칠 것을 요구하고 있는데 사실 이 1년이라는 기간은 생각보다 짧다는 점에서 실제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 때문에 PCT 국제출원제도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즉,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해외 특허출원의 특성상 기업의 입장에서는 어떤 국가에서 특허를 받아야 하는


지를 꼭 판단하게 되는데 1년 이내에 특정 국가에서의 사업성 등을 판단하여 해외출원을 마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국공립연구소 혹은 대학의 경우 직접 외국에서 사업을 할 것이 아니라면 특허권을 이전받거나 라이센


스 등을 체결할만한 파트너를 찾아야 하는데 이를 1년 이내에 마치는 것도 매우 어려운 일이다.

결국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 주장 출원이 요구하고 있는 1년이라는 기간을 늘려 보자라는 논의가 지속적

44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으로 이어져 왔으며 그 결과물로서 탄생한 것이 PCT 국제출원이라 볼 수 있다.

Ⅰ. 머리말
PCT 국제출원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된다. 먼저 제1국 특허출원일로부터 1년 이내에 WIPO라는
국제기구에 PCT 국제출원을 진행해야 한다. WIPO는 지식재산권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국제기구로 생각하
면 되며, 1년이라는 기간을 요구하는 이유는 WIPO에 PCT 국제출원을 하는 경우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
주장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이처럼 제1국 특허출원일~1년 이내에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을 주장하면서 WIPO에 PCT 국제출원 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자는 다음으로 제1국 특허출원일~30개월 이내에 원하는 지정국에 특허출원을 진행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PCT 국제출원을 원하는 지정국에 진입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국내단계진입이라고 부르나 이하에서는 이해
의 편의를 위해 지정국에 출원하는 것으로 설명하겠다.

한편, 지정국에 진입할 수 있는 국내단계진입기간 30개월은 국가마다 다르게 인정되는데, 한국 및 유럽의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경우 31개월이, 미국, 일본 및 중국의 경우 30개월이 인정된다. 각 국가별 국내단계진입 가능기간은 WIPO

특허제도의 이해
사이트(http://www.wipo.int/pct/en/texts/time_limits.html)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니 필요시 확
인하면 된다.

앞서 설명한 바에 따라 i)제1국 특허출원일~1년 이내에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을 주장하면서 WIPO에


PCT 국제출원을 하고 ii)제1국 특허출원일~30개월 이내에 원하는 국가(제2국, 지정국)에 출원을 하면 적법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한 국제출원의 효력을 인정받을 수 있게 된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Ⅵ. 결어

<그림 30. PCT 국제출원의 방법>

45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즉 위 그림 30에 있어서 미국에 진입된 PCT 국제출원은 적법한 국제출원의 효력을 인정받게 되며, 30개
월이 지난 중국에 진입된 PCT 국제출원은 적법한 국제출원의 효력을 인정받을 수 없다.

적법한 국제출원은 이중의 소급효가 인정되게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먼저 국내단계진입을 마친


제2국의 특허출원일은 PCT 국제출원일로 소급되며(제1 소급효-출원일 자체의 소급효), 다음으로 제2국에
서의 특허요건의 판단시점은 제1국 출원일로 소급된다(제2 소급효-특허요건의 판단시점의 소급효, 파리조
약에 의한 우선권 주장의 효과).

<그림 31. PCT 국제출원의 효력>

위 그림 31에 있어서 한국출원일로부터 1년 이내에 WIPO에 PCT 국제출원이 이루어졌고, 한국출원일로


부터 30개월 이내에 미국 및 중국에 진입된 PCT 국제출원은 모두 적법한 PCT 국제출원의 효력을 인정받을
수 있다. 따라서, 미국 및 중국 특허청 심사관(지정국 심사관)은 실제 자신의 국가에 출원이 이루어진(진입을
마친) 날짜를 출원일로 보는 것이 아니라 PCT 국제출원을 출원일로 보게 되고, 특허요건을 판단할 때에는
한국을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게 된다.

앞서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 주장 출원과 비슷하게, 예컨대 한국에 특허출원을 한 후 제품을 판매하였다


면 PCT 국제출원의 적법한 효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경우에는 제품 판매행위가 선행기술로 작용하지 않게
되겠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제품 판매행위가 선행기술로 작용하게 되어 해당 국가에서 특허를 받을 수
없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46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결론적으로 PCT 국제출원은 제1국 특허출원 후 제2국 특허출원으로 이어지는 사이에 국제출원이라는 다

Ⅰ. 머리말
리를 하나 놓음으로써 1년의 기간을 적어도 2년 6개월로 늘려주는 제도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PCT 국제출원은 국제특허등록(전 세계에서 통용되는 특허)을 탄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간만


을 늘려주기 위한 특허출원에 불과하다는 것을 꼭 명심해야 하며, PCT 국제출원 또한 파리조약에 의한 우
선권 주장 출원과 마찬가지로 원하는 국가에 특허출원을 해야만 해당국가에서 특허등록을 받을 수 있는 것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이다.

지식재산권의 이해
어쨌든 PCT 국제출원제도의 존재에 따라 해외 특허출원을 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기간은 적어도 2.5
배(1년에서 2년 6개월)로 늘어날 수 있으므로 기업의 입장에서는 특정 국가에서의 사업성을 충분히 판단해
보고 해외출원을 진행할 수 있고, 국공립연구기관이나 대학의 입장에서는 기술이전의 협상 파트너사를 충분
히 찾아본 후 해외출원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또한, PCT 국제출원은 한번의 PCT 국제출원으로 다수의 가입국에 직접 출원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

특허제도의 이해
문에 개별 나라마다 일일이 출원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PCT 국제출원은 특허를 받고자 하는 나라의 특허청(지정국 특허청)의 심사에 앞서 국제조사기관의


선행기술조사(필수절차) 및 특허성에 대한 견해와 국제예비심사기관의 특허성 유무에 대한 예비심사(선택절
차)를 거침으로써 특허획득 가능성을 미리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가·보완의 기회도 가질 수 있어 각 국가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에서의 특허획득에 유리한 면이 존재한다.

또한 PCT 국제출원은 한국 특허청을 수리관청으로 이용하는 경우 영어 및 일어뿐만 아니라 한국어 출원


이 가능하므로 다수 국가를 지정하여 PCT 국제출원을 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초기에 개별국가언어로 된 번
역문을 일일이 준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또한 PCT 국제출원은 국제조사 및 예비심사보고서를 토대로 특허획득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함과 동시에
상표제도의 이해

각 지정국의 시장성을 조사한 다음에 국내절차 이행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비용지출 및 무모한 해외
출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물론 PCT 국제출원 자체에 상당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비용이 부담될 수 있다는 점과, 국제예비심사 및
각 지정국 심사를 모두 진행하게 되기 때문에 심사절차가 이중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에 대한 단점이 있다.
Ⅵ. 결어

하지만 PCT 국제출원은 앞서 보듯이 단점에 비하여 장점이 훨씬 더 큰 제도이므로 해외출원을 해야 하는


국가가 아주 명확한 경우(이 경우라면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 주장을 통해 해외출원하는 편이 유리할 수 있
다)가 아니라면 PCT 국제출원을 통해 해외출원을 진행하는 편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47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6. 특허를 통해 본 다이슨사 Air treatment 제품의 성공과 사업의 성공

(1) 개요

앞서 살펴본 다이슨사의 진공청소기는 DC-01 및 DC-02를 걸쳐 지속적으로 개량되어 왔으며 미국 진공


청소기 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도 계속하여 선두를 지키고 있는 상태이다.

<그림 32. 다이슨 진공청소기 발전사>


출처 : “꿈꾸는 섬 CASE STUDY”
(https://happist.com/ 558963 /%EB% 8 B%A 4 %EC% 9 D%B 4 %EC% 8 A%A 8 %EC% 9 D%B 4 -%EC% 9 E% 98 -
%EB%82%98%EA%B0%80%EB%8A%94-%EC%9D%B4%EC%9C%A0/)

48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그림 33. 진공청소기 분야 미국시장점유율 추이>
출처 : “꿈꾸는 섬 CASE STUDY”
(https://happist.com/ 558963 /%EB% 8 B%A 4 %EC% 9 D%B 4 %EC% 8 A%A 8 %EC% 9 D%B 4 -%EC% 9 E% 98 -
%EB%82%98%EA%B0%80%EB%8A%94-%EC%9D%B4%EC%9C%A0/)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이러한 진공청소기 분야의 성공에 힘입어 다이슨사는 새로운 개념의 선풍기 제품(현재는 공기 청정 기능을
갖춘 제품군으로 성장하여 이를 “Air treatment” 제품으로 부르고 있다)을 선보이게 된다.

사실 선풍기의 역사는 생각보다 오래되었으며, 정확하게 현재의 선풍기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를 알 수


없으나 대다수의 견해는 1882년 미국의 엔지니어인 스카일러 휠러가 제작한 선풍기를 최초의 선풍기로 생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각하고 있다.
상표제도의 이해

한국의 경우 이러한 선풍기는 1960년대부터 등장했으며 1960년 8월 29일에 동아일보에 개재된 금성선
풍기의 광고를 한국 최초의 선풍기광고로 생각하고 있다.
Ⅵ. 결어

49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그림 34. 한국 최초의 선풍기 광고>


출처 : “다나와쇼핑 톡”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anawaelec&logNo=221338467058&categoryNo=51&parentCateg
oryNo=0&viewDate=&currentPage=1&postListTopCurrentPage=1&from=postView&userTopListOpen=true&use
rTopListCount=5&userTopListManageOpen=false&userTopListCurrentPage=1)

그러나 1880년대로부터 다이슨사의 선풍기가 탄생한 2009년 이전에 이르기까지 거의 130여년의 시간


동안 선풍기의 원리는 크게 바뀌지 않았다. 즉 전기에너지의 공급에 의한 모터의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른
구동축의 회전->구동축의 회전에 따른 날개(fan)의 회전->날개의 회전에 따른 바람의 생성이라는 선풍기의
기본적인 원리는 과거로부터 2009년 이전까지 그대로 유지된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선풍기는 크게 느끼지 못할 수도 있겠으나 사실 상당한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물건이다.


즉, 일반 선풍기를 오랫동안 켜놓게 되면 모터가 과열되면서 열이 발생되고 그 열이 바람에 전달되어 결국 사
용자가 시원하지 못한 바람을 쐬게 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또한 일반 선풍기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볼트에 의해 결합된 앞망과 뒷망을 분리하고, 날개를 꺼낸 후 이를


닦고 그 역순으로 다시 조립을 해야만 하는데 앞망과 뒷망을 결합하는 자체가 상당한 불편함이 따른다(선풍
기를 청소해 본 사람은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앞망과 뒷망은 잘 끼워지지 않는다).

다이슨사는 바로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일반 선풍기보다 청소가 간편한 선풍기를 새롭게 만들게 된다. 청
소가 불편해지는 이유는 앞망과 뒷망의 결합이 어렵기 때문이므로 앞망 및 뒷망을 없앨 수 있다면 당연히 청
소는 쉬워질 것인데, 문제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날개(fan)의 특성상 마음대로 망을 없앨 수 있다는 점에 있었

50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다. 즉, 망을 없애기 위해서는 날개를 없애야 하는 것이며 결국 다이슨사는 날개가 없는 선풍기의 개발을 위

Ⅰ. 머리말
한 R&D에 착수하게 되고 그 결과물로서 날개 없는 선풍기 발명을 완성한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그림 35. 다이슨 선풍기의 발명 과정>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즉 다이슨사의 선풍기는 일반 선풍기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날개 없는 선풍기라는 새로운 발명을 하겠다는
사상에서 출발하여, R&D를 거쳐 에어 멀티플라이어 원리에 의한 날개 없는 선풍기라는 발명으로 완성되었
으며, 이후 제품화되어 현재의 상용화단계에 이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이때 주의할 점은 반복하여 말했듯이 발명 단계에서 특허출원을 진행하여야 한다는 것이며 다이슨사는 이
상표제도의 이해

를 충실히 지킴으로써 자사의 독창적 아이템을 지식재산권으로 강력하게 보호하게 된다.

참고로, 날개 없는 선풍기를 최초로 생각한 것은 다이슨사가 아니라 일본의 도시바였다. 도시바의 날개 없


는 선풍기를 보면 다이슨사의 날개 없는 선풍기와 거의 동일한 원리를 담고 있으며, 도시바는 이러한 자신의
아이디어를 다이슨사보다 거의 28년이나 앞선 1981년에 개발한바 있다.
Ⅵ. 결어

이와 함께 도시바는 자신의 기술을 독점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일본에서 특허등록까지 받았는데 문제는


도시바가 이러한 아이디어를 상용화하기 위해 시제품을 제작하였더니 지나치게 큰 소음이 발생된다는 것이
었다.

51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약간 과장된 표현으로 선풍기를 켜면 항공기 제트엔진 소리가 날 정도였다고 하니 제품으로 구현하기는 어


려웠을 것이다. 또한 도시바의 아이디어는 날개 없는 선풍기의 기본 메커니즘만을 담고 있을 뿐 바람의 세기
도 매우 약해서 일반 선풍기보다 약한 바람을 발생시키는 정도에 불과했다. 결국 도시바는 자신의 아이디어
를 상용화시키지 못하고 특허 또한 2001년에 소멸된다.

<그림 36. 도시바의 날개 없는 선풍기 특허도면>

다이슨사는 도시바의 기본 메커니즘을 그대로 따르면서도 풍량을 강하게 만들고, 이와 함께 소음을 줄이는
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날개 없는 선풍기를 상용화하였으며 이 제품도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게 된다.

물론 다이슨사는 날개 없는 선풍기의 아이디어를 보호하기 위해서 많은 IP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


장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구축하고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자세히 살펴보겠다.

52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2) 다이슨사 Air treatment 제품의 특허권분석(IP5, 기본)

Ⅰ. 머리말
2-1) 에어멀티플라이어 원리의 이해

다이슨사의 날개 없는 선풍기의 작동 메커니즘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그림 37. 다이슨의 날개 없는 선풍기의 단면도>

위 그림 37과 같이 다이슨사의 날개 없는 선풍기는 크게 아래쪽의 케이스와, 케이스의 위에 있는 원형 또


는 타원형 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부적으로 케이스는 그 내부에 모터, 임펠러 및 디퓨져를 포함하고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있으며, 원형 또는 타원형 링은 그 내부가 텅 빈 중공 링으로 구성되고 중공 링의 한쪽 끝을 따라서는 원주방
상표제도의 이해

향으로 연속적인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링의 모습을 자세히 보면 두 개의 판이 벌어져 있는데 벌어진 부분
이 바로 슬릿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다이슨사의 날개 없는 선풍기를 작동시키면 모터가 회전하면서 그 구동축에 연결


된 임펠러가 회전하게 되고 임펠러는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 내부로 빨아들인 후 디퓨저를 거쳐 중공 링측으
Ⅵ. 결어

로 전달한다.

53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중공 링측으로 전달된 고속의 공기는 중공 링 내부를 빙글빙글 돌면서 순환하게 되는데 이때 중공 링의 한


쪽 끝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부 순환 공기의 일부가 슬릿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한편,
슬릿은 중공 링의 안쪽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나 있는 상태이므로 내부 순환공기는 중공 링의 안쪽 표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또한 중공 링의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도 모터의 힘에 의해 빠른 속도를 갖는 상태인데 이러한 공기가 슬


릿이라는 좁은 틈을 통해 빠져나오게 되기 때문에 그 유속은 더욱 빨라지게 되고 결국 한쪽 방향으로 강한 공
기의 흐름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이 워낙 강력하다 보니 한쪽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은 주변의
공기를 함께 빨아들이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고 결국 선풍기의 풍량이 아주 풍부해지는데 다이슨사는 이를 에
어멀티플라이어 원리라 명명하였다.

<그림 38. 에어멀티플라이어 원리의 이해>

즉, 다이슨사의 선풍기는 유속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일부 구성들을 제외한다면 가장 단순하게 모터의 힘


으로 외부 공기를 빨아들이고, 그 공기를 중공 링으로 전달하여 공기가 중공링의 내부를 순환하도록 하며, 순
환공기의 일부가 슬릿을 통해 나오도록 한다는 것이 기술의 핵심이며 전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단순한 원리를 구현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사실 중소기업이라 할지라도 쉽게 할 수 있는 일로


보이는데 다이슨사가 구축해놓은 강력한 IP 포트폴리오 때문에 어느 기업도 쉽게 카피품을 내놓고 있지 못
한 것이 실정이다.

또한 다이슨사는 이러한 자사의 날개 없는 선풍기를 40만원~300만원대(물론 고가형 제품은 공기 청정,


온풍, 냉풍 등의 기능을 추가로 갖추고 있다)에 판매하고 있는데 과연 그 생산단가가 그만큼 높을 것인가는
사실 의문이 드는 사항이다. 그러나 다이슨사는 자신의 우수한 기술을 강력한 IP로 보호함으로써 경쟁사의
카피를 효율적으로 차단하였고, 자사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층은 충분히 확보한 상태이므로 자신이

54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원하는 가격에 자신의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자신감이 있다고 볼 수 있는 상태이며 이에 따라 순이익율도 매
우 높게 가져가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다이슨사의 연간 순이익율은 25~30%에 달할 정도로 일반 제조기업이 꿈꿀 수 없는 수준의 것


이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그림 39. 다이슨 연도별 매출 및 성장율> 디자인제도의 이해
출처 : “꿈꾸는 섬 CASE STUDY”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https://happist.com/ 558963 /%EB% 8 B%A 4 %EC% 9 D%B 4 %EC% 8 A%A 8 %EC% 9 D%B 4 -%EC% 9 E% 98 -
%EB%82%98%EA%B0%80%EB%8A%94-%EC%9D%B4%EC%9C%A0/)
Ⅵ. 결어

55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그림 40. 다이슨 순이익 및 순이익율>


출처 : “꿈꾸는 섬 CASE STUDY”
(https://happist.com/ 558963 /%EB% 8 B%A 4 %EC% 9 D%B 4 %EC% 8 A%A 8 %EC% 9 D%B 4 -%EC% 9 E% 98 -
%EB%82%98%EA%B0%80%EB%8A%94-%EC%9D%B4%EC%9C%A0/)

이제 이하에서는 다이슨사가 날개 없는 선풍기를 보호하기 위해 어떤 특허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였는지


를 살펴보겠다.

(2-2) 다이슨사의 영국 특허출원 분석

날개 없는 선풍기의 발명을 완성한 다이슨사는 이를 먼저 모국인 영국에 특허출원한다. 영국의 특허출원


일은 2007년 9월 4일로서 특허출원의 명세서 상의 발명의 명칭은 “Bladeless fan”이며 기본적인 내용은
아래 그림 41과 같다.

56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그림 41.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 영국 특허출원 명세서>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한편 영국 특허출원의 대표 청구항(독립항)은 다음과 같다.
상표제도의 이해

[청구항 1]

A fan assembly suitable for creating an air current comprising a nozzle and means suit-
Ⅵ. 결어

able for creating an airflow through the nozzle, wherein the fan assembly is bladeless; and
the nozzle comprises an interior passage communicating with a mouth, the mouth being
adjacent a surface and adapted and arrang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passage
so as to direct airflow from the interior passage over the surface.

57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사실 위와 같은 청구항은 지나치게 넓은 특허권을 청구하는 내용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앞서 살펴본 도시


바의 특허와 거의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 특허등록이 되기에는 매우 어려웠을 것으로 판단
된다.

2-3) 다이슨사의 해외출원 분석

(2-3-1) 유럽 특허출원 분석

다이슨사는 위 영국 특허출원을 기초로 하여 2008년 8월 26일에 PCT 국제출원을 진행하였고 이를


2011년 4월 20일에 유럽 특허 등록을 받게 된다.

<그림 42.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의 유럽 특허출원 등록과정>

한편 다이슨사가 유럽에서 등록받은 명세서의 기초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림 43.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 유럽 특허등록 명세서>

58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또한 다이슨사가 유럽에서 등록받은 대표 청구항(독립항)은 다음과 같다.

Ⅰ. 머리말
[청구항 1]

A bladeless fan assembly for creating an air current,


the fan assembly comprising a nozzle (1) mounted on a base (16) housing means (22,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30) for creating an airflow through the nozzle (1), the nozzle (1) comprising an interior
passage (10) for receiving the air flow from the base (16) and a mouth (12) through which
the air flow is emitted, the nozzle (1) extending substantially orthogonally about an axis (X)
to define an opening (2) through which air from outside the fan assembly is drawn by the
air flow emitted from the mouth (12), wherein the nozzle (1) and the base (16) each have a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depth in the direction of said axis,

특허제도의 이해
and charicterised in that the depth (D1) of the base (16) is no more than twice the depth
(D2) of the nozzle (1), and wherein the nozzle (1) comprises a Coanda surface (14) located
adjacent the mouth (12) and over which the mouth (12) is arranged to direct the air flow.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이를 아래의 그림 44와 비교해보자면 다이슨사는 유럽에서 특허를 받기 위해, 베이스(도면번호 16번, 앞
에서 아래쪽 케이스라고 설명된 부분)의 Depth(도면번호 D1)가 노즐(도면번호 1번, 앞에서 원형 또는 타원
형 중공 링이라고 설명된 부분)의 Depth(도면번호 D2)의 2배를 넘지 않는다는 점과, 노즐에 형성되어 있는
코안다 표면(도면번호 14번, Coanda Surface)이라는 내용을 강조하였음을 알 수 있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Ⅵ. 결어

59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그림 44.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 유럽 특허등록 명세서 도면>

여기서 코안다 표면은 코안다 효과를 일으키기 위한 구성으로, 마우스(도면번호 12번, 앞에서 슬릿이라
고 설명된 부분)에 인접하게 형성된 둥근 영역을 의미한다. 다이슨사의 선풍기에 있어서 코안다 표면은 노
즐로부터 유출되는 강한 공기의 흐름(제트류)을 흐름을 노즐에 밀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코안다 효과를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를 빠르게 분사하면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빠르게 분사된 공기의 주변이 상대적으로 저기압을 형성
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주변에서 제트쪽에 압력을 주게 되고, 그 압력 때문에 제트류는 곧게 뻗어나가게 된다.

하지만, 만약 제트류 주의에 벽이 있다면 벽이 막고 있는 부분에서는 제트류가 압력을 받지 못하게 되고 벽


이 막고 있지 않는 부분에서는 제트류가 압력을 받게 되므로 제트류는 이러한 압력에 의해서 벽 쪽에 붙어서
흐르게 된다. 이는 벽이 곡면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60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그림 45. 코안다 효과의 이해 <그림 46. 코안다 효과의 이해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 제트류 주위에 벽이 없는 경우> : 제트류 주위에 벽이 있는 경우>

지식재산권의 이해
다이슨사는 이러한 코안다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마우스에 인접하여 둥근 코안다 표면을 만들고 노즐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가 마우스를 통해 빠르게 빠져나오는 경우 코안다 표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의 흐름을 균일하게 그리고 와류 등에 의한 떨림이 없도록 만들어 낸 것이다. 이를 통해 다이슨사의 선풍기는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빠른 공기의 흐름을 일정하게 만들고 또한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허제도의 이해
정리하자면 영국의 최초 특허출원 내용만으로는 특허등록이 어렵기 때문에 다이슨사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부 창의적인 구성을 청구범위에 포함시켰고 이를 통해 유럽 특허권을 확보하게 된다.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2-3-2) 미국 특허출원 분석

디자인제도의 이해
다이슨사는 위 영국 특허출원을 기초로 하여 2008년 8월 26일에 PCT 국제출원을 진행하였고 이를
2008년 9월 2일자로 미국에 진입시켰으며 2016년 2월 2일에 미국 특허 등록을 받게 된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그림 47.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의 미국 특허출원 등록과정>


Ⅵ. 결어

61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한편 다이슨사가 미국에서 등록받은 명세서의 기초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림 48.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 미국 특허등록 명세서>

또한 다이슨사가 미국에서 등록받은 대표 청구항(독립항)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

A bladeless fan assembly for creating an air current,


the fan assembly comprising:
a nozzle; a base; a mixed flow impeller; a motor for driving the mixed flow impeller to
create an air flow through the nozzle, and a diffuser located downstream form the mixed
flow impeller and at least partially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motor,

62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wherein the nozzle is mounted on the base,

Ⅰ. 머리말
wherein the base houses the mixed flow impeller,
the nozzle comprising an interior passage for receiving the airflow from the base and a
mouth through which the airflow is emitted,
the nozzle extending substantially orthogonally about an axis to define an opening
through which air from outside the bladeless fan assembly is drawn by the air flow emit-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ted from the mouth,
wherein the nozzle and the base each have a depth in the direction of said axis, and
wherein the depth of the base is no more than twice the depth of the nozzle.

이를 아래의 그림 49와 비교해보자면 다이슨사는 미국에서 특허를 받기 위해, 베이스(도면번호 16번)의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Depth(도면번호 D1)가 노즐(도면번호 1번)의 Depth(도면번호 D2)의 2배를 넘지 않는다는 점, 외부 공기
를 빨아들이기 위한 혼류 임펠러(도면번호 30번)의 기구적 구성, 모터(도면번호 22번)의 기구적 구성 및 디
퓨져(도면번호 32번)의 기구적 구성 등을 강조하였다.

한편 다이슨사의 미국 특허 대표청구항의 내용을 보면 유럽 특허 대표청구항에서 강조된 코안다 표면(도


면번호 14번)의 내용은 빠져 있음을 알 수 있다.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또한 미국 특허출원의 대표도면이 유럽 특허출원의 대표도면과 동일한 것은 이 두건의 특허출원이 모두 하
나의 PCT에 근거하여 각 국에 진입된 사건이기 때문이며 이러한 내용은 이하에서 모두 동일하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Ⅵ. 결어

63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그림 49.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 미국 특허등록 명세서 도면>

한편 유럽과 미국에서의 청구항이 다른 것은 각국에서의 심사결과의 차이에 따라 특허를 받기 위해 강조


한 부분이 달라진 점에 기인한 것이다. 즉,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허권은 속지주의의 원칙에 따라 세계 각
국가에서 그 국가가 규정하고 있는 특허법의 내용에 따라 심사를 받고 등록이 되는데 따라서 어느 한 국가에
서 특허등록이 되었다고 하여 다른 국가에서도 마찬가지의 내용으로 특허등록이 될 수 있을지 여부는 장담
할 수 없는 것이다.

즉 다이슨사의 경우 유럽 특허청에서 진행된 특허출원 심사결과 미국 특허청에서 진행된 특허출원 심사


결과가 달랐기 때문에 유럽 및 미국에서 등록을 받은 특허 명세서의 청구항 내용 또한 달라진 것으로 이해
할 수 있다.

64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2-3-3) 일본 특허출원 분석

Ⅰ. 머리말
다이슨사는 위 영국 특허출원을 기초로 하여 2008년 8월 26일에 PCT 국제출원을 진행하였고 이를
2008년 9월 3일자로 일본에 진입시켰으며 2013년 9월 20일에 일본 특허 등록을 받게 된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그림 50.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의 일본 특허출원 등록과정>

한편 다이슨사가 일본에서 등록받은 명세서의 기초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그림 51.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 일본 특허등록 명세서>


Ⅵ. 결어

65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또한 다이슨사가 일본에서 등록받은 청구항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
空気の流れを生じさせる羽根無し送風機組立体であって、ベースに連結されると共にこれ
によって支持されたノズルを有し、前記ベースは、前記ノズルを通る空気流を生じさせる手
段を有し、前記ノズルを通る空気流を生じさせる前記手段は、混流インペラと、前記インペ
ラを駆動するモータと、前記インペラの下流側に位置するディフュ…ーザとを有し、前記ノ
ズルは、内部通路と、前記内部通路からの前記空気流を受け入れる口と、前記口に隣接して
設けられたコアンダ面とを有し、前記口は、前記空気流を前記コアンダ面上に差し向けるよ
う構成されている、送風機組立体.

위와 같이, 다이슨사는 일본에서 “베이스에 연결됨과 동시에 베이스에 의해 지지된 노즐을 가지며, 베이
스는 노즐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일으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노즐을 통과하는 공기흐름을 일으키는 수단
은 혼류 임펠러와 임펠러를 구동하는 모터와 혼류 임펠러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디퓨저를 가지며, 노즐은 내
부 통로와 내부 통로로부터의 공기 흐름을 수용하는 마우스와 마우스에 인접해서 마련된 코안다면을 가지
며, 마우스는 공기 흐름을 코안다면상에 보내도록 구성되어있는 송풍기 조립체”를 내용으로 하여 특허등록
을 받은 바 있다.

이를 아래의 그림 52와 비교해보자면 다이슨사는 일본에서 특허를 받기 위해, 외부 공기를 빨아들이기 위


한 혼류 임펠러(도면번호 30번)의 기구적 구성, 모터(도면번호 22번)의 기구적 구성 및 디퓨져(도면번호 32
번)의 기구적 구성 등을 강조하였다.

한편 다이슨사의 일본 특허에서는 유럽 및 미국 특허에서 강조된 베이스(도면번호 16번)의 Depth(도면


번호 D1)가 노즐(도면번호 1번)의 Depth(도면번호 D2)의 2배를 넘지 않는다는 점은 일본에서 빠져있음
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각 국에서의 심사결과 차이에 따른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66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그림 52.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 일본 특허등록 명세서 도면>

(2-3-4) 중국 특허출원 분석

다이슨사는 위 영국 특허출원을 기초로 하여 2008년 8월 26일에 PCT 국제출원을 진행하였고 이를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2008년 9월 4일자로 중국에 진입시켰으며 2014년 5월 28일에 중국 특허 등록을 받게 된다.


Ⅵ. 결어

<그림 53.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의 중국 특허출원 등록과정>

67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한편 다이슨사가 중국에서 등록받은 명세서의 기초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림 54.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 중국 특허등록 명세서>

또한 다이슨사가 중국에서 등록받은 대표 청구항(독립항)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

즉 다이슨사는 중국에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무 블레이드 팬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에 결합되

68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고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노즐을 포함하며, 베이스는 노즐을 통한 통로를 생성하기 위한 혼합 유동 임펠러,

Ⅰ. 머리말
혼합 유동 임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및 혼합 유동 임펠러의 하류에 배치된 디퓨저를 포함하는 노즐을 통
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부재를 포함하며, 노즐은 내부 통로로부터의 공기 유동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고, 배기 포트 및 배기 포트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코안다 표면을 통해 공기 유동을 지향시키는 방향
으로 구성되도록 내부 및 외부 벽은 서로 근접하여 배기 포트를 한정하도록 환형 또는 접힌 형상으로 배열되
고, 배기 포트는 내벽과 외벽 사이에서 테이퍼지는 출구를 포함하는 팬 장치”에 대하여 특허등록을 받았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그림 55.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 중국 특허등록 명세서 도면>

이를 위의 그림 55와 비교해보자면 다이슨사는 중국에서 특허를 받기 위해, 베이스(도면번호 16번) 및 노


즐(도면번호 1번)의 구성과, 외부 공기를 빨아들이기 위한 혼합 유동 임펠러(도면번호 30번, 앞서 본 혼류 임
Ⅵ. 결어

펠러와 동일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의 기구적 구성, 모터(도면번호 22번)의 기구적 구성 및 디퓨져(도면번
호 32번)의 기구적 구성과, 마우스에 형성된 코안다 표면(도면번호 14번) 등을 모두 강조하였다.

또한 다이슨사는 유럽, 미국 및 일본에서는 구체적으로 기재되지 않은 마우스의 외벽과 내벽 사이에 형성

69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된 테이퍼 영역까지 한정하여 중국에서 특허 등록을 받았다.

다만 다이슨사의 중국 특허는 유럽 및 미국 특허에서 강조된 베이스(도면번호 16번)의 Depth(도면번호


D1)가 노즐(도면번호 1번)의 Depth(도면번호 D2)의 2배를 넘지 않는다는 점은 빠져 있는 상태이다.

한편, 다이슨사의 중국 등록 특허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사실 중국에서는 다이슨사의 짝퉁 제품들이 성


행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러한 짝퉁 제품은 한국에까지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아래의 그림 56에서와 같이 네이버 지식쇼핑과 같은 인터넷 쇼핑사이트에서 “차이슨 선풍기(차이


슨은 중국의 특정 기업 명칭이 아니며 다이슨사의 제품을 카피하고 있는 중국 업체를 통징하는 명칭이다)”라
는 명칭만을 넣고 검색하더라도 수백 개의 다이슨사의 짝퉁 선풍기가 중국으로부터 수입되어 한국에서 판매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심지어 그 가격도 2만원~10만원에 불과할 정도로 다이슨사의 선풍기에 비해 매
우 저렴함을 알 수 있다.

<그림 56. 차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


출처 : “네이버 지식쇼핑”
(https://search.shopping.naver.com/search/all.nhn?query=%EC%B0%A8%EC%9D%B4%EC%8A%A8+%EC%84
%A0%ED%92%8D%EA%B8%B0&cat_id=&frm=NVSHATC&=&=&=&=)

70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그렇다면 과연 차이슨은 다이슨사의 지식재산권을 무시하고 제품을 카피할 수 있는 정당한 권리가 있기 때
문에 이러한 짝퉁이 성행하고 있는 것일까?

다이슨사가 중국에서 확보하고 있는 모든 지식재산권(특허권을 포함한 디자인권, 상표권 등)을 검토하기


전까지 명확하게 답변하기는 어려운 내용이라 할 것이나 사실 차이슨이 다이슨사의 제품을 카피하는 것은 허
용되지 않는다고 봄이 타당하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그림 57. 차이슨 선풍기 분해사진>

위 그림 57만을 놓고 본다면, 사실 일부 차이슨 선풍기는 다이슨사의 특허권(앞서 살펴본 다이슨사의 중


국 특허출원에 대한 특허권)의 침해로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즉, 다이슨사는 중국에서 베이스, 노즐, 혼합 유동 임펠러, 모터 및 디퓨져와, 코안다 표면 및 마우스가 테
상표제도의 이해

이퍼지도록 형성된다는 내용까지 포함된 상태로 특허등록을 받았는데 위 그림 57의 제품에는 코안다 표면
과 같은 구성이 생략된 상태이기 때문이다(보다 자세한 사항은 뒤에서 설명되는 특허침해의 판단방법 중 구
성요소완비의 원칙을 참조하길 바란다). 다시 말해 일부 차이슨 선풍기는 앞서 살펴본 다이슨사의 특허권의
침해로 인정되기 어려운 면이 있어 보인다. 물론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일부 차이슨 선풍기는 바람은 약
Ⅵ. 결어

하면서도 소음은 매우 큰 사실 제품으로써 다이슨사의 선풍기만큼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기는 어려운 것이


라 볼 수 있다.

71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다만 다이슨사는 중국에서도 특허뿐만 아니라 디자인등록도 받은 상태이므로 마음만 먹는다면 사실 디자


인권의 침해를 이유로 차이슨을 공격할 수 있다고는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이슨사는 왜 차이슨을 공격하지 않는 것일까?

이에 대한 답변은 의뢰로 많은 신문기사들에서 분석된 바가 있는데, 그 중 하나의 이유는 구매자 층의 차


이라는 것이다. 즉, 다이슨사의 제품을 사는 사람들은 구매력이 충분한 즉 꽤 부유한 사람들일 것이고 차이슨
제품을 사는 사람들은 구매력이 불충분한 즉 부유하지는 않은 사람들일 가능성이 높다.

결국 다이슨사의 핵심 소비자층과 차이슨의 소비자층이 분명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차이슨 선풍기가 많이


팔린다고 해서 다이슨사의 선풍기가 적게 팔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다이슨사가 차이
슨을 상대로 지식재산권 침해 소송을 벌일 이유도 적다고 볼 수 있다.

<그림 58. 다이슨이 차이슨에게 소송하지 않는 이유를 분석한 기사>


출처 : “한겨례 신문기사”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48438.html)

실제로 차이슨 제품이 많이 팔리면서 다이슨사의 제품이 더욱 주목받게 되었고 이 때문에 오히려 다이슨
사의 중국내 매출액이 상승했다는 점도 이러한 정황을 뒷받침해준다.

2019년 올해 열린 중국의 광군제에서는 다이슨사 제품이 1시간도 되지 않았음에도 약 1억위안(167억원


정도)의 매출을 올렸다고 하며, 2018년 지난해의 광군제에서는 징둥닷컴에서 15초, 알리바바 티몰에서 3분

72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만에 다이슨사의 제품이 완판되는 놀라운 실적을 올렸다고 한다. 또한 다이슨사의 중국내 매출도 2012년부

Ⅰ. 머리말
터 2015년 까지 244%의 증가세를 보였으며 2016년에는 343%, 2017년에는 159%의 성장세를 보일 정
도로 매년 세 자리수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처럼 다이슨사는 이미 중국내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므로 굳이 차이슨을 상


대로 지식재산권 소송을 벌일 이유가 적다고 생각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2-3-5) 한국 특허출원 분석

다이슨사는 위 영국 특허출원을 기초로 하여 2008년 8월 26일에 PCT 국제출원을 진행하였고 이를


2010년 3월 17일자로 한국에 진입시켰으며 2013년 10월 16일에 한국 특허 등록을 받게 된다.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그림 59.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의 한국 특허출원 등록과정>

한편 다이슨사가 한국에서 등록받은 명세서의 기초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Ⅵ. 결어

<그림 60.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 한국 특허등록 명세서>


73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또한 다이슨사가 한국에서 등록받은 대표 청구항(독립항)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무블레이드(bladeless) 송풍기 조립체로서,


상기 송풍기 조립체는, 베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노즐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 흐름 발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흐름 발생 수단은 혼류형(mixed flow)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및 상기 임
펠러의 하류에 위치한 디퓨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내부 통로를 함께 형성하는 외벽 및 내벽을 포함하되, 상기 외벽과 내벽은 서로 접근하여 상기
내부 통로로부터의 공기 흐름을 받아들이기 위한 마우스를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마우스는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에 형성된 출구 쪽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마우스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코안다 표면(Coanda surface)을 포함하되, 상기 마우스
는 상기 공기 흐름을 상기 코안다 표면으로 유도하도록 되어 있는, 송풍기 조립체.
이를 아래의 그림 61 및 62와 비교해보자면 다이슨사는 한국에서 특허를 받기 위해, 베이스(도면번호 16
번) 및 노즐(도면번호 1번)의 구성과, 외부 공기를 빨아들이기 위한 혼류 임펠러(도면번호 30번)의 기구적
구성, 모터(도면번호 22번)의 기구적 구성 및 디퓨져(도면번호 32번)의 기구적 구성과, 마우스의 외벽과 내
벽 사이에 형성된 테이퍼 영역(도면번호 42번)과, 마우스에 인접하게 형성된 코안다 표면(도면번호 14번)
등을 모두 강조하였다.

74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Ⅰ. 머리말 지식재산권의 이해 특허제도의 이해 디자인제도의 이해 상표제도의 이해 Ⅵ. 결어

75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그림 61.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 한국 특허등록 명세서 도면 1>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그림 62. 다이슨 날개 없는 선풍기 한국 특허등록 명세서 도면 2>

다만 다이슨사의 한국 특허에서는 유럽 및 미국 특허에서 강조된 베이스(도면번호 16번)의 Depth(도면


번호 D1)가 노즐(도면번호 1번)의 Depth(도면번호 D2)의 2배를 넘지 않는다는 점은 빠져 있는 상태이다.

하지만 다이슨사는 특허 포트폴리오 강화를 위해 두 번째의 한국 특허등록에서 테이퍼 영역과 코안다 표


면의 내용을 생략하고 혼류 임펠러, 모터 및 디퓨저의 기구적 구성과 위 Depth의 차이를 강조한 내용으로
등록을 받은 바 있다.

어쨌든 위 한국 첫 번째 특허는 유럽이나 미국보다 다소 좁은 권리를 확보한 상태로 등록이 되었는데 이는


한국의 심사과정에서 도시바의 선행특허가 선행기술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즉 도시바의 선행특허 존재에
따른 진보성 흠결이라는 한국 특허청의 거절이유를 극복하기 위해 다이슨사는 PCT 국제출원의 대표 청구항
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베이스, 노즐, 혼류 임펠러, 모터, 디퓨져, 테이퍼 영역 및 코안다 표면이라는 구성을 모
두 보정서에 포함하여 특허등록을 받았다고 이해하면 될 것이다.

(2-3-6) 소결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이슨사는 IP5라 부르는 유럽, 미국, 일본, 중국 및 한국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기
술을 모두 특허로 출원하여 등록을 받았으므로(사실 각 국가 당 1건이 아닌 여러 건의 특허등록을 받은 상태이
다) 해당국가에서 자신의 제품을 독점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은 상태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76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7. 다이슨 Air treatment 제품의 특허권분석(KR, 심화)

Ⅰ. 머리말
(1) 특허권 침해의 판단방법

특허권의 침해란 a)유효한 특허권이 존재함에도, b)특허발명을 실시할 정당한 권한이 없는 제3자가, c)특
허권의 보호범위 내에서, d)업(業)으로서 특허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성립한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대부분의 경우 위 a), b), d)의 요건은 만족되므로 결국 특허권의 침해는 c)확인대상 발명의 실시가 특허

지식재산권의 이해
권의 보호범위 내의 실시인가 또는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판단된다.

즉, 확인대상발명의 실시가 특허권의 보호범위 내라면 이는 특허권의 침해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고, 그렇
지 않다면 이는 특허권의 침해로 인정될 가능성이 낮게 되는 것이다.

결국 특허권의 침해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서는 특허권의 보호범위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하며 이하에서는 특허권의 보호범위를 다루는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이론인 구성요소완비의 원칙과 균등론
을 살펴보기로 한다.

(2) 구성요소완비의 원칙(All Elements Rule, AER)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침해의 판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이 되는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

디자인제도의 이해
성요소 전부를 실시하는 경우에만 특허권의 보호범위에 속한다(≃특허침해가 성립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다수의 한국 판례(대법원 2000후3449 판결 외 다수)에서도 “특허발명의 청구항이 복수의 구성요소로 되


어 있는 경우에는 그 각 구성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한 전체로서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것이지 각 구성요
소가 독립하여 보호되는 것은 아니므로, 특허발명과 대비되는 확인대상발명이 특허발명의 청구항에 기재된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필수적 구성요소들 중의 일부만을 갖추고 있고 나머지 구성요소가 결여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그 확인대상
발명은 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함으로써 이를 지지하고 있다.

예컨대 A라는 특허권자가 특허등록을 받았는데 그 등록특허의 청구항이 “a+b+c를 갖는 X”라고 기재되어
있다면 B라는 확인대상발명의 실시자가 “a+b+c를 갖는 X”를 실시하고 있거나 또는 “a+b+c+d를 갖는 X”를
실시하는 경우 특허권의 침해가 성립하게 된다. 여기서 확인대상발명이란 특허권의 침해여부가 문제시 되는
Ⅵ. 결어

제3자(경쟁사)의 실시제품 정도로 인식하면 된다.

왜냐하면 B가 “a+b+c를 갖는 X”를 실시하고 있거나 또는 “a+b+c+d를 갖는 X”를 실시하는 경우 이러한


확인대상발명은 모두 A의 등록특허 청구항에 기재된 a, b 및 c라는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77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구성요소 완비의 원칙은 등록된 특허의 청구항에 기재된 모든 구성요소가 확인대상발명에 들어 있는가를 보
고자 하는 것이며, 모두 들어 있다면 이는 특허권의 침해가 성립한다는 원칙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A의 등록특허 청구항이 “a+b+c를 갖는 X”라고 기재되어 있는데 B가 “a+b를 갖는 X”를 실시


하고 있다면 이는 특허권의 침해가 성립하지 않게 된다. B의 확인대상발명에는 A의 등록특허 청구항의 구성
요소 중 c가 생략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청구항의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된 확인대상발명의 실시는 특허
권의 침해를 구성하지 않게 된다.

한국은 이와 같은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을 다소 엄격하게 적용하는 국가이기 때문에 등록된 특허라 할지라
도 그 청구항이 잘못 기재되어 있는 경우 특허권의 침해가 인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나라이다. 실제
로 특허권자가 확인대상발명의 실시자를 상대로 특허침해 소송을 하는 경우 한국에서 특허권자의 승소가능
성은 25%라고 알려져 있다(미국의 경우 특허권자의 승소가능성은 65% 내외임).

따라서, 특허등록을 받은 것만으로 기뻐하기에는 이르며 과연 그 특허등록이 내 기술을 온전히 보호받


을 수 있는 것인가를 청구항 기재사항을 토대로 면밀히 검토하는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아래에서는 간단한 사례를 통해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을 다시 한번 설명하고자 한다.

<그림 63.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의 이해>

위 그림 6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등받이가 없기 때문에 오랜 시간동안 의자에


앉아 있는 경우 허리에 부담이 가게 되었는데 A는 이를 해결하고자 종래의 선행기술에 등받이를 새롭게 부착
하여 발명을 완성했다고 가정해 보자.

A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보호받기 위한 특허출원을 하였고 추후 심사과정을 거쳐 특허등록을 받게 되었고,


A가 등록받은 특허 명세서의 대표청구항은 다음과 같이 작성된 상태이다.

78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청구항 1]

Ⅰ. 머리말
사람의 엉덩이를 걸치기 위한 사각형의 나무로 된 밑판;
상기 밑판에 부착되어 밑판을 지면으로부터 공중에 떠받치는 네 개의 다리; 및
상기 밑판의 한 변에 직각으로 부착되어 상기 밑판 위에 앉은 사람의 등을 지지하는 등판을 포함하는 의자.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A가 특허등록을 받은 이후 경쟁사 B는 그림 64에 나타난 아래와 같은 제품을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그림 64.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의 이해>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이런 경우 A는 자신이 등받이를 갖는 의자에 대하여 특허권을 가지고 있고 그 뿐만 아니라 자신이 등받이
를 갖는 의자를 판매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B가 판매하는 제품(확인대상발명)은 자신의 특허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하지만 앞서 살펴보았듯이 특허권자인 A의 제품과 확인대상발명의 실시자인 B의 제품을 비교하는 것은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특허권의 침해를 판단하는 과정이 아니며 A의 등록 특허의 청구항과 B가 판매하고 있는 확인대상발명을 비


교해야만 특허침해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실무적으로 청구항에 기재된 글과 확인대상발명이라는 제품을 직접 비교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따


르기 때문에 대부분 청구항 차트(Claim Chart)라 부르는 청구항의 구성요소를 모두 옮겨 놓은 차트를 그
Ⅵ. 결어

려보게 된다.

79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아래의 표는 A의 등록특허의 대표청구항에 대한 청구항 차트이다.

No 구성요소 내용 YES(O)/NO(X)
사람의 엉덩이를 걸치는가? O
1 밑판
사각형의 나무로 되어 있는가? X
밑판에 부착되어 있는가? O
2 다리 밑판을 지면으로부터 공중에 떠 받치는가? O
4개인가? X
밑판의 한 변에 직각으로 부착되어 있는가? O
3 등판
밑판 위에 앉은 사람의 등을 지지하는가? O

먼저 확인대상발명인 의자 또한 밑판, 다리 및 등판을 갖추고 있으므로 확인대상발명에는 특허 청구항의


상위구성(큰 구성)이 완비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이란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
성요소 전부를 실시하는 경우에만 특허권의 보호범위에 속한다”는 원칙을 의미하기 때문에 상위구성의 완비
여부 뿐만 아니라 그 상위구성을 한정하고 있는 내용(하위구성)까지 완비되어 있는가를 보아야 한다.

확인대상발명인 의자가 특허 청구항의 하위구성을 완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확인대상발명에는 특허


청구항 구성 중 밑판의 일부 하위 구성인 “사각형의 나무”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확인대상발명의 밑판은 천
재질로 되어 있음), 또한 확인대상발명의 다리는 1개 또는 2개임이 명백하므로 특허 청구항 다리의 일부 하
위 구성인 “4개인가”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

즉 확인대상발명은 특허 청구항의 구성 중 2개를 생략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확인대상발명의 실시는


특허권의 침해를 구성하지 않게 된다.

너무도 억울한 상황으로 보이겠지만,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을 엄격히 적용하는 한국의 입장에서는 위와 같
은 사건이 종종 벌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면 위와 같은 상황을 피하기 위하여 A는 과연 무엇을 했어야만 했는가? 먼저 유능한 변리사에게 업


무를 맡겨야 함은 당연한 것일 것이고 다음으로 변리사가 작성해서 보내온 청구범위를 자기 스스로 면밀히
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80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즉 내가 새롭게 만든 기술이 과연 밑판에 대한 것인가 다리에 대한 것인가 또는 등판에 대한 것인가를 정
확하게 이해한 상태에서 만약 변리사가 밑판과 다리를 지나치게 한정하는 청구항을 작성해서 보내왔다면 그
변리사와의 대화를 통해 밑판 및 다리에 대한 한정사항을 제거해야만 하는 것이다.

의자는 등판만으로는 성립할 수 없는 것이기에 청구항에 당연히 밑판, 다리, 등판에 대한 사항이 기재되겠
으나 나의 관심사가 아닌 밑판과 다리는 최소한의 한정만하고 나의 관심사인 등판 부분을 적절히 한정했다면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즉 밑판에서 사각형의 나무라는 표현을 삭제하고, 다리에서 4개인가라는 표현을 삭제하였다면) 확인대상발

지식재산권의 이해
명을 특허권의 침해영역으로 끌어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법이 권리위에 잠자는 자를 보호하지 않듯이 제대로 된 특허권을 받고 싶어 하는 사람 또는 기업이라면 스


스로 특허에 대한 지식을 쌓아야 함은 어찌보면 지극히 당연한 일이라 생각할 수 있다.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3) 균등론(Doctrine of Equivalents, DOE)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을 지나치게 엄격하게 적용하게 되면 사실 특허침해로 인정될만한 사건은 드물게 된


다. 예컨대 청구항에 “볼트 및 너트”라고 기재된 내용이 있었다면 제3자가 이를 “핀”으로 대체한 상태에서 다
른 구성들을 그대로 사용한다 하더라도 특허침해로 인정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미국에서부터 균등론이 발전되어 왔으며 한국에서도 1990년대 후반
에 이르러 이를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균등론은 특허발명의 보호범위를 문언적인 사항에 한정하지 않고 그와 균등한 침해물까지 보호범위를 확


장하고자 하는 이론이며, 다시 말해 확인대상발명과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요소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당업자가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요소로부터 확인대상발명의 구성요소를 쉽게 치환하여 실질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일 때에는 확인대상발명이 특허발명의 기술사상과 균등한 것으로서 특


허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한된다는 이론을 말한다.

다만, 균등론은 특허권의 보호범위 해석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는 이론이기 때문에 그 적용요건이 엄격


하게 판례를 통해 제시되고 있다.
Ⅵ. 결어

81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그림 65. 균등론의 이해>

위 그림 65와 같은 사례에서 특허 청구항에는 하우징, 뚜겅, 래치, 레버, 마네킹 및 코일스프링과 같은 구


성요소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확인대상발명은 특허 청구항의 모든 구성요소를 그대로 포함하고 있지만 코일
스프링이 스펀지블록으로 바뀐 상태이다.

이 경우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을 적용하게 되면 확인대상발명에는 특허 청구항의 코일스프링이 완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이 적용될 수 없고 따라서 확인대상발명의 실시는 특허권의 침해에
해당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보면 스펀지블록은 코일스프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당업자를 기준으로 볼 때 코일스프링을 스펀지블록으로 바꾸는 것도 쉬운 일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
균등론이 적용되어 확인대상발명의 실시는 특허권의 침해에 해당하게 된다.

그러나 청구항의 일부 구성이 균등물로 치환된 경우라 하더라도 모두 균등론이 적용될 수는 없으며 판례(
대법원 97후2200 판결 외 다수)의 경우, a)확인대상발명과 청구항 발명의 과제 해결원리가 동일해야 하며,
b)확인대상발명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치환 내지 변경이 있더라도 양 발명의 작용 효과가 동일해야 하고, c)
그와 같이 치환하는 것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도록 자명해야 하며, d)확인대상발명이 특허발명의
출원 전에 공지된 기술이 아니어야 하고, e)확인대상발명의 치환된 구성요소가 특허발명의 청구범위로부터
의식적으로 제외된 것이 아니어야만 균등론이 적용됨으로써 침해를 인정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위에서 말한 5가지 요건이 모두 만족되어야만 균등론에 따른 침해를 인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에 따른 침해를 인정받을 수 없는 경우라 할지라도 균등물 치환의 경우

82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균등론에 따른 침해를 인정받을 수 있으나, 균등물 치환의 모든 경우에 있어서 균등론에 따른 침해를 인정받

Ⅰ. 머리말
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극도로 엄격한 요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균등론에 따른 침해를 인정받을 수 있
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경쟁사의 카피를 막고자 특허출원을 하는 자는 먼저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을 고려하여 청구항을


작성하여야 하지 균등론에 따른 침해인정을 염두에 두는 순간 위험한 상황을 맞을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야 할 것이다.

지식재산권의 이해
(4) 다이슨사의 선풍기의 청구항 분석 및 회피설계 가능성 분석(KR)

위에서 말한 구성요소완비의 원칙과 균등론을 고려하여 다이슨사의 선풍기의 한국특허권을 회피할 수 있


는 길이 있는 가를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이슨사는 아래와 같은 청구항을 토대로 한국에서 특허등록을 받았으며 이를 청
구항 차트로 옮기면 다음과 같다.

[청구항 1]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무블레이드(bladeless) 송풍기 조립체로서,
상기 송풍기 조립체는, 베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노즐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 흐름 발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흐름 발생 수단은 혼류형(mixed flow)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및 상기 임
펠러의 하류에 위치한 디퓨저를 포함하고,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기 노즐은 내부 통로를 함께 형성하는 외벽 및 내벽을 포함하되, 상기 외벽과 내벽은 서로 접근하여 상기
상표제도의 이해

내부 통로로부터의 공기 흐름을 받아들이기 위한 마우스를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마우스는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에 형성된 출구 쪽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마우스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코안다 표면(Coanda surface)을 포함하되, 상기 마우스
는 상기 공기 흐름을 상기 코안다 표면으로 유도하도록 되어 있는, 송풍기 조립체.
Ⅵ. 결어

83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No 구성요소 내용 a″ 생략가능??
공기흐름 혼류형 임펠러
베이스 임펠러 구동용 모터
발생수단 임펠러 하류에 위치한 디퓨져
외벽
송풍기 외벽과 함께 내부 통로를 형성
조립체 하는 내벽
노즐
외벽과 내벽에 의해 출구 쪽으로 좁아
형성되는 마우스 지는 테이퍼영역
마우스에 인접한 코안다표면

<그림 66. 다이슨 선풍기의 한국 특허 청구항 차트>

먼저 구성요소완비의 원칙을 고려할 때 위 청구항 차트에서 생략될 수 있는 구성은 무엇인가를 판단해 볼


수 있다.

베이스와 노즐은 선풍기를 이루는 기초구성에 해당하기 때문에 생략될 수 없을 것이며, 베이스의 공기흐름
발생수단의 혼류형 임펠러와 임펠러 구동용 모터는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다만 디퓨져는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균일하게 만들기 위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를 생략하는 경우 제
품의 품질은 저하되겠으나 일단 생략 자체만은 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노즐에 있어서 외벽, 내벽 및 내벽과 외벽에 의해 형성되는 마우스는 노즐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필수적 구성이므로 생략할 수 없으나 마우스에 인접한 코안다 표면은 생략될 여지
가 남는다.

물론 디퓨저와 마찬가지로 코안다 표면을 생략하게 되면 마우스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균일해지
지 못하고 이 때문에 소음 등이 매우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지만 제품 품질의 저하를 감수한
다면 일단 생략 자체만은 가능한 것이 아닐까 판단된다.

즉, 다이슨사의 선풍기의 한국 특허권을 침해하지 않기 위해서는 디퓨저와 코안다 표면을 모두 생략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다만, 매우 시끄럽고 전해지는 공기의 양도 부족한 선풍기를 과연 누가 살 것
인지는 사실 의문일 것이다.

또한 이러한 회피설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일부를 생략하는 방법이라면 특허권의 침해위험을

84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낮출 수 있지만 구성요소의 일부를 균등물로 대체하는 경우에는 균등론에 따른 침해를 인정받을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회피설계 방향이 큰 의미가 없을 수 있는 것이 다이슨사가 한국에서 등록받은 특허의 건


수는 앞에서 말한 단 한건이 아니라 사실 50여건에 가깝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특허에 대한 회피설계가 가능
하더라도 이러한 회피설계 제품은 다이슨사의 다른 특허의 침해에 해당할 수 있다는 점이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Ⅵ. 결어

<그림 67. 다이슨 선풍기의 한국 등록 특허 리스트 1>

85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그림 68. 다이슨 선풍기의 한국 등록 특허 리스트 2>

위 그림 67 및 68은 다이슨사가 한국에서 선풍기와 관련하여 등록받은 특허들의 일부이며 이와 같은 특허


들이 50여건이나 존재하기 때문에 사실상 다이슨사의 선풍기의 회피설계제품을 정당하게 만든다는 것은 매
우 어려운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해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다이슨사의 특허전략은 많은 시사점을 준다. 실제로 대다수의 한국 중소기업들은 우수한 기


술을 개발하고도 이를 1건의 특허만으로 보호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바람직한 특허전략이라 볼 수 없다.

86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즉, 회피설계의 방법을 생각해 본다면 1건의 특허만이 존재한다면 이를 회피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쉬운

Ⅰ. 머리말
일일 수 있지만 그 특허의 건수가 10건... 100건이 되는 순간 점점 회피설계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자신의 기술을 1건의 특허로 보호하는 것은 회피설계의 차단이라는 담장을 발목 높이 정도까지만 구축하
는 것이고, 100건의 특허로 보호하는 것은 회피설계의 차단이라는 담장을 내 키의 100배 높이까지 구축하
는 것이다. 발목 높이의 담장을 넘는 것이 쉬운 가 또는 키의 100배 높이의 담장을 넘는 것이 쉬운가를 생각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해 본다면 정답은 이미 정해져 있다.

지식재산권의 이해
물론 특허의 건수가 많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겠지만 회피설계라는 영역을 고려해 본다면 일단 담장
의 높이를 높게 하는 것이 중요함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한국 중소기업들이 우수한 기술을 개발하고도 특허출원비용의 문제로 적은 건수의 특허출원을 하


는 일이 비일비재한데 이는 나중에 발생할지 모르는 특허침해의 문제를 고려한다면 어리석은 생각이라 할 것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이다. 사실 소송에서 들어가는 비용은 특허권의 확보를 위해 들어가는 비용과 비교도 안될 만큼 많기 때문이다.

특허제도의 이해
결국 특허권 확보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이는 기업은 나중에 그와 비교할 수 없는 특허침해 발생 시의 비용
을 감당해야 하는 것이며 그렇게 비용을 들이고도 침해소송에서 패소함으로써 결국 카피품을 허용해야 하는
허망한 상황을 맞이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는 미래에 대한 보험이며 이러한 보험 없이는 미래의 성공도 점점 멀어진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기 바란다.

디자인제도의 이해
이와 같은 사실을 잘 말해주는 사례 중 하나가 앰피맨 사건이라 볼 수 있다.실제로 많은 사람이 모르고 있
는 사실 중의 하나가 MP3 플레이어의 원조가 한국의 벤처기업인 디지털캐스트였다는 것인데, 디지털캐스
트는 1997년도에 전 세계에서 최초로 MP3 플레이어인 앰피맨의 개발에 성공한 한국의 벤처기업이다(물론
이후 자금 상의 문제로 디지털캐스트는 새한미디어와 손을 잡는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Ⅵ. 결어

<그림 69. 세계 최초의 MP3 플레이어인 엠피맨(디지털캐스트 제품)>

87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한편 디지털캐스트는 자신이 개발한 기술을 보호하기 위해 단지 몇 건의 특허권만 한국 및 미국 등지에서


확보한 상태였는데, 이후 자금난과 특허소송 및 각종분쟁의 많은 복잡한 상황들을 거치면서 결국 디지털캐
스트는 파산을 하게 된다.

그러나 나중에 디지털캐스트가 개발한 기술은 과연 어느 정도의 가치가 있는 지를 산정하는 작업이 진행


되었는데 만약 디지털캐스트가 자신의 기술에 대한 특허권을 다양한 방식으로, 그리고 제대로만 확보하였다
면 이 기술은 2005년부터 2010년간 단 5년의 기간만으로도 3조가 넘는 로열티를 받을 수 있는 기술로 평
가되었다.

즉, 디지털캐스트는 우수한 기술을 만들고도 이를 지식재산권을 통해 제대로 독점시키지 못한 면이 있었


기에 그 기술에 대한 가치를 제대로 받지 못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자사의 우수한 기술은 지식재산권이라는 독점권으로 확보되어야만 하는 것이며, 그것도 단 한


건의 특허만이 아니라 여러 건의 특허 그리고 필요하다면 디자인 및 상표까지 확보하는 전략을 통해서만 사
업의 성공을 바라볼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88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1. 디자인권이란?

Ⅰ. 머리말
디자인권은 물품의 외관을 독점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권리이며, 디자인등록을 받은 디자인권자는 등
록받은 디자인과 동일 또는 유사한 디자인을 실시할 권리를 독점하고 제3자가 등록받은 디자인과 동일 또
는 유사한 디자인을 실시하는 경우 이를 배제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즉, 디자인권이 미치는 효력범위는 등록받은 디자인과 동일한 범위뿐만 아니라 유사한 범위까지이다. 유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사 범위까지 디자인권의 효력을 확장하는 것은 디자인권의 보호를 넓히기 위함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지식재산권의 이해
2. 왜 디자인권을 받아야 하는가?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 등의 속담과 같이 디자인의 중요성은 이미 오랜

특허제도의 이해
옛날부터 인정되어 왔던 사항이다. 고도로 산업화된 현대사회에 있어서도 디자인의 중요성은 변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그 중요성은 더욱 커져만 가고 있는 상태이다.

즉, “디자인의 중요성은 계속 강조되어 왔지만, 테크 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숙한 이후에는 그 중요성이 하


루가 다르게 커지고 있다. 단순히 ‘예쁜 것’이 아니라 제품/서비스의 차별화 포인트로, 경우에 따라서는 회사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자체를 정의하는 결정적인 요소가 되기도 한다(디자인을 정의하는 5+1가지 방법–최종원)” 는 말과 같이 디

디자인제도의 이해
자인은 현대사회에서 단순히 제품의 모양만을 의미하는 개념이 아니라 넓게 보면 회사를 정의할 수 있는 하
나의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개념이다.

디자인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최근의 연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동차 산업의 경우 60~90%,
전자산업의 경우 70~80%, 의류산업의 경우 80% 내외, 속옷산업의 경우 90% 내외, 문구산업의 경우 거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의 100%에 이를 정도로 디자인은 어느 회사의 매출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상표제도의 이해

그러나 아직도 많은 기업들이 이러한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거나, 인식하고 있다 하더라
도 자신이 창작한 독창적인 디자인을 디자인권으로 보호받아야만 한다는 사실을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 생각된다.
Ⅵ. 결어

89
Ⅳ. 다이슨사의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최근의 예로써 “토끼모자”사건만을 보더라도 이와 같은 사실을 쉽게 알 수가 있다.

<그림 70. 움직이는 토끼모자 제품사진>


출처 : CADEAU DESIGN
(http://ohpackege.com/product/%EC%9B%80%EC%A7%81%EC%9D%B4%EB%8A%94-%ED%86%A0%EB%81%BC-
%EB%AA%A8%EC%9E%90-%ED%86%A0%EB%81%BC-%EB%AA%A8%EC%9E%90-%ED%86%A0%EB%81%BC-
%ED%84%B8-%EB%AA%A8%EC%9E%90-%EC%8A%A4%ED%82%A4%EC%9E%A5-%EC%BB%A4%ED%94%8C-
%EB%AA%A8%EC%9E%90/1640/)

위 그림 70의 움직이는 토끼모자 제품은 국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끈 것으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환
호했던 매우 우수한 디자인의 제품이었다. 이 제품은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에까지 빠른 속도로 전파될 정도
로 인기를 탔는데 아쉬운 점은 이 토끼모자를 최초로 만든 제작자인 월리샵의 권용태 대표는 정작 1만 여개
에 불과할 정도의 소량의 제품밖에 판매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에 반해 이를 카피한 한 업체는 무려 10만개가 넘는 제품을 판매하였다고 알려지고 있는데 그렇다면 왜


이런 어이없는 일이 벌어진 것일까?

최초로 권용태 대표가 이 모자를 디자인한 후 중국에서 생산하여 판매를 시작했을 때만 하더라도 이 모자
는 너무 유치하다는 이유로 인기가 별로 없는 상태였다. 그러나 나중에 유명 연애인이 이 모자를 쓰고 나오면
서 갑자기 선풍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고 이 때문에 많은 카피품들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권용태 대표는 이 모자가 이처럼 어마어마한 인기를 얻을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기에 모
자의 출시 전 특허나 디자인 또는 상표와 같은 권리를 확보하지 않은 상태였고 따라서 카피품을 제재할 수 있
는 효율적인 방법이 없는 상태였다.

위와 같은 사건들은 무수히 많은 유사 사례를 찾을 수 있을 정도로 빈번하게 벌어진다. 즉, 자신이 창작한

90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독창적인 디자인을 디자인권이라는 독점적인 권리로 보호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아예 모르고 있거나, 또는 비

Ⅰ. 머리말
용문제로 디자인권을 확보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중에 많은 카피품들이 등장한다 하더라도 이를 제재할 수 있
는 방법이 없는 상황들이 계속하여 벌어지는 것이다.

특허와 마찬가지로 디자인의 경우에도 제품이 판매된 후에 디자인출원을 하게 되면 이는 신규성이 없다


는 이유로 거절되기 때문에(신규성 상실의 예외라는 제도는 생각하지 않는 편이 오히려 바람직하다), 자신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의 제품에 대한 카피품이 등장한 후 디자인권을 확보할 수는 없는 것이고 따라서 제품 판매 이전에 디자인

지식재산권의 이해
출원을 하지 않는다면 자신만의 독창적인 디자인을 독점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길도 막힌다는 점을 잘 알
고 있어야 한다.

카피품의 문제는 제품의 판매 초창기에 벌어지는 것이 아니고 제품이 많이 팔리면 팔릴수록 심각해지는
문제라는 것을 생각해 본다면 제품의 기획단계에서부터 먼저 디자인권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안된다.

특허제도의 이해
3. 반드시 알아야 할 디자인등록 요건의 이해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1) 공업상 이용가능성

디자인제도의 이해
디자인보호법 제33조 제1항에 따르면 “공업상 이용할 수 있는 디자인”만이 디자인등록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공업상 이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란 공업적인 생산방법에 의하여 동일한 물품을 양산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예컨대 동물의 박제와 같은 자연물이나, 순수미술 분야의 예술품과 같은 것들은 공업적으로 양산할 수 없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는 것에 해당하기 때문에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 없다.
상표제도의 이해

또한 디자인 보호법 제2조 제1호에 따르면 “디자인”을 “물품의 형상, 모양, 색채 또는 이들을 결합한 것으
로서 시각을 통하여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라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디자인권으로 보호받기 위하여서
는 물품성, 형태성, 시각성, 심미성을 만족시켜야 하고 이에 어긋나는 경우 공업상 이용가능성의 흠결을 이
유로 디자인등록을 받지 못한다.
Ⅵ. 결어

한편, 디자인등록을 받을 수 있는 물품이란 “독립거래의 대상이 되는 구체적인 유체 동산”을 의미하기 때문


에 독립하여 거래대상이 되지 않거나, 그 자체로서 특정된 일정한 형태가 없어 구체성이 결여되어 있거나, 빛 또
는 전기와 같은 유체이거나 또는 부동산과 같은 것이라면 디자인 보호법이 보호하고자 하는 디자인에 해당하지

91
Ⅳ. 다이슨사의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않으므로 물품성을 갖추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공업상 이용가능성 흠결을 이유로 디자인등록을 받지 못한다.

결국 디자인등록을 받을 수 있는 디자인은 거래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사고 팔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특정


한 형태가 존재하고, 부동산이 아닌 동산이어야 한다고 이해하면 될 것이다. 다만, 거래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사고 팔 수 있는 것이 아니더라도 “부분디자인제도”에 의하여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존재하며,
“운반 가능한 조립가옥”과 같은 것은 동산으로 취급받으며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공업상 이용가능성의 흠결을 이유로 디자인 등록을 받지 못하는 많은 경우가 “디자인의 표현이
구체적이지 않은 경우”이다.

즉 디자인권은 물건의 외관에 대하여 주어지는 권리이기 때문에 그 물건(물품)의 형태를 명확하게 특정할
수 있어야 하고, 따라서 디자인 출원시에는 도면이라는 서면 첨부된 첨부도면란에 디자인 출원의 대상이 되
는 물건의 명확한 형태를 도시하여야 한다.

만약 첨부도면에 그려진 디자인의 형태가 명확하게 특정되기 어려운 경우라면 그 디자인을 명확하게 파악
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특허청 심사가 진행되기 어렵고 또한 이러한 경우에도 디자인권을 부여한다면
제3자에게 예측하기 어려운 피해가 갈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그림 71. 등록디자인 30-0982097호의 사시도> <그림 72. 등록디자인 30-0982097호의 정면도>

위 그림 71 및 72는 “캐릭터 인형”에 대하여 디자인 등록을 받은 것이다. 그림 7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


이 이 캐릭터 인형은 양 팔이 아래쪽을 향해 45도 정도의 각도로 굽어져 있는데 만약 사시도에서 보이는 오
른 팔이 정면도에서 생략되어 있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즉 사시도에서 보이는 오른 팔은 당연히 정면도에서
도 보여야 하는데 도면을 잘못 그림으로써 정면도에서 오른 팔을 생략하게 되면 공업상 이용가능성의 흠결

92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을 이유로 하여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사시도에만 오른 팔이 있고 정면도에서는 오른 팔이 없다

Ⅰ. 머리말
면 오른 팔이 있어야만 하는 것인지 또는 없어도 되는 것인지를 알 수가 없게 되므로 위와 같이 디자인권으
로 보호받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건들은 변리사를 통해 디자인 출원을 진행하지 않고 회사가 직접 디자인 출원을 진행하는 경우
종종 벌어지는 일이다. 디자인 출원은 특허 출원과 비교할 때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회사가 직접 디자인 출원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을 하는 것도 가능하겠으나 위와 같은 공업상 이용가능성이 흠결되지 않도록 모든 도면이 서로 일치하게 도

지식재산권의 이해
면작업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2) 선출원주의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선출원주의는 서로 다른 날에 동일 또는 유사한 디자인이 디자인 등록출원되는 경우 먼저 출원된 디자인

특허제도의 이해
등록출원만이 디자인등록을 받을 수 있다는 등록요건이다. 만약 동일 또는 유사한 디자인에 대하여 두 개의
디자인권이 탄생하게 되면 이는 지식재산권제도의 본질인 독점권의 성질에 위반되는 것이기 때문에 허용될
수 없는 것이고, 따라서 선출원주의는 중복된 디자인권의 발생을 막기 위해 요구되는 등록요건이라 할 수 있
다. 기타 같은 날에 동일 또는 유사한 디자인 등록출원이 이루어지는 경우 등에 대한 내용은 앞서 살펴본 특
허의 경우와 동일하게 취급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3) 신규성 및 창작성

신규성은 선행디자인과 동일한 디자인은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 없다는 등록요건이며, 창작성은 선행디자
인으로부터 쉽게 창작될 수 있는 디자인은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 없다는 등록요건을 말한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디자인의 등록요건으로서의 신규성 및 창작성은 특허 등록요건으로서의 신규성 및 진보성과 상당히 유사


한 면이 있다.

그러나, 디자인에서의 신규성은 특허와 달리 선행디자인과 동일한 디자인뿐만 아니라 유사한 디자인으로
부터도 판단이 가능하고, 디자인에서의 창작성은 선행디자인으로부터 쉽게 창작될 수 있는 디자인뿐만 아니
라 주지형태로부터 쉽게 창작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이러
Ⅵ. 결어

한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아래 그림 73과 같이 출원디자인이 선행디자인과 동일한 경우에는 신규성 흠결을 이유로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 없다. 여기서 선행디자인의 범위나 신규성이 없는 디자인에 대하여 등록을 주지 않는 이유는 앞서 살

93
Ⅳ. 다이슨사의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펴본 특허의 경우와 동일하다. 즉, 디자인 등록출원 전에 전 세계 어딘가에 존재하는 모든 공개된 디자인은


선행디자인이 될 수 있으며, 신규성이 없는 출원디자인에 대하여 등록을 주게 되면 누구나 자유롭게 쓸 수 있
는 형태에 대하여 독점권을 부여하는 결과가 되므로 이러한 등록이 인정되지 않는 것이다.

<그림 73. 신규성의 판단 1>

한편 아래 그림 74와 같이 출원디자인이 선행디자인과 유사한 경우에도 신규성 흠결을 이유로 디자인 등


록을 받을 수 없다. 즉 아래 그림 74를 살펴보면 상자의 손잡이 구멍이 선행디자인보다 크게 뚫려 있는데 이
정도의 크기 변형은 선행디자인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출원디자인은 등록을 받을 수 없다. 디자인
권은 독창적인 형태의 창작에 대해 부여될 수 있는 독점권이며 공지형태와 유사한 형태도 누구나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허용하여야 한다는 필요성 상 이러한 경우에도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 없다고 이해하기 바란다.

<그림 74. 신규성의 판단 2>

한편 선행디자인과 동일하거나 유사하지는 않지만 당업자(그 디자인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가 선행디자인으로부터 쉽게 창작할 수 있는 디자인은 창작성 흠결을 이유로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
없다.

94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그림 75. 창작성의 판단 1>

즉 위 그림 75의 경우에 있어서, “시계가 부착된 라디오”에 대한 출원디자인은 창작성 흠결을 이유로 디자
인 등록을 받을 수 없다. 즉, 해당 출원디자인의 출원일 이전에 이미 “라디오” 및 “시계”라는 공지디자인이 존
재하고 있으며 출원디자인은 공지된 “라디오”의 시계 부분을 공지된 “시계”로 치환하고 있을 뿐이므로 이러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한 치환이 당업자에게 쉬운 일로 보고 디자인등록을 주지 않는 것이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Ⅵ. 결어

<그림 76. 창작성의 판단 2>

95
Ⅳ. 다이슨사의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위 그림 76의 경우에 있어서, 오른쪽의 “책꽂이가 결합된 책상”에 대한 출원디자인은 창작성 흠결을 이유
로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 없다. 즉, 해당 출원디자인의 출원일 이전에 이미 “책상” 및 “책꽂이”라는 공지디자
인이 존재하고 있으며 출원디자인은 공지된 “책상”에 공지된 “책꽂이”를 단순히 결합만하고 있을 뿐이므로
이러한 결합이 당업자에게 쉬운 일로 보고 디자인등록을 주지 않는 것이다.

<그림 77. 창작성의 판단 3>

위 그림 77의 경우에 있어서, 위쪽의 “전화기”에 대한 출원디자인은 창작성 흠결을 이유로 디자인 등록을 받
을 수 없다. 즉, 해당 출원디자인의 출원일 이전에 이미 “전화기”라는 공지디자인이 존재하고 있으며 출원디자
인은 공지된 “전화기”에서 가로로 된 단축다이얼을 세로로 바꾸고 세로로 된 송수화기를 가로로 바꾼 정도의 배
치만을 바꾸고 있을 뿐이므로 이러한 배치변경이 당업자에게 쉬운 일로 보고 디자인등록을 주지 않는 것이다.

<그림 78. 창작성의 판단 4>

위 그림 78의 경우에 있어서, 왼편의 “벤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오른편의 “벤치”를 디자인출원하거나 또
는 그 반대의 경우에도 출원디자인은 창작성 흠결을 이유로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 없다. 즉, 해당 출원디자
인의 출원일 이전에 이미 공지된 “벤치”가 존재하고 있으며 출원디자인은 공지된 “벤치”의 구성 수를 증가하
거나 또는 감소하는 정도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러한 구성단위의 수를 증감하는 것이 당업자에게 쉬운 일로

96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보고 디자인등록을 주지 않는 것이다.

Ⅰ. 머리말
이처럼 공지디자인으로부터 당업자가 쉽게 창작할 수 있는 디자인은 창작성 흠결을 이유로 디자인등록을
받지 못하게 되는데 이와 함께 주지형태로부터 당업자가 쉽게 창작할 수 있는 디자인의 경우에도 창작성 흠
결을 이유로 디자인등록을 받지 못한다.

즉, 너무나 흔한 삼각형 또는 사각형과 같은 평면적 형상이나, 삼각기둥 또는 사각기둥과 같은 입체적 형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이나, 가로 또는 세로 스트라이프와 같은 주지의 모양이나, 남대문과 같은 유명한 건조물의 형상을 그대로

지식재산권의 이해
본 딴 것과 같은 출원디자인은 등록을 받지 못하는 것이다.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그림 79. 창작성의 판단 5>

위 그림 79의 경우에 있어서, 왼쪽의 “케로로 캐릭터”는 그 자체가 너무도 유명한 것인데 이를 오른쪽과
같이 단지 완구로만 전용하여 디자인출원을 하게 되면 창작성 흠결을 이유로 디자인등록을 받지 못한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4. 디자인을 통해 본 다이슨사 Air treatment 제품의 성공과 사업의 성공

(1) 개요

다이슨사는 혁신적인 기술을 시장에 제공하는 기술기업임과 동시에 최고의 디자인을 시장에 제공하는
Ⅵ. 결어

디자인기업으로 평가될 수 있다. 실제로 제임스 다이슨사는 “제품은 제대로 작동할 때 가장 아름답다” 또는
“디자인은 기능을 따른다”와 같은 디자인적 사고방식으로 다이슨사의 제품의 독특한 디자인을 창작하는 것
으로 유명하다.

97
Ⅳ. 다이슨사의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실제로 다이슨사에서 디자인은 제품의 일부일 뿐이며, 다이슨사는 제품이 어떻게 보일지 구상한 후에 제
품을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불편함과 소비자의 욕구를 세심하게 검토한 후 무엇이 디자인이고 무엇이
기술인지를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통합된 제품 설계를 통해 군더더기 없이 핵심 기능만을 강조한 새로운 기
능적 미감을 제품에 구현하고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디자인은 제품의 일부”라는 표현은 제품에 있어서의 디자인적 요소를 가볍게 보는 것이 아니고 오
히려 이를 강조하는 표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다이슨사는 제품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디자인을 추구
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이 그 본질적인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서 어떤 형태를 가져야 하는 가를 고민하고 연구
함으로써 그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가져야하는 형태를 제품으로 구현하는 기업인 것이다.

단지 소비자의 구매의욕만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제품의 기능과 상관없는 장식적인 디자인만을 추구하는


기업들과 차별화될 수 있는 지점이라 하겠다.

(2) 다이슨사의 한국에서의 디자인 전략

<그림 80. 다이슨의 등록디자인 30-0563437-0000호의 사시도>

먼저 다이슨사는 영국에서 2008년 11월 7일자로 출원된 디자인출원에 기초하여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


권을 주장하면서 2009년 4월 28일자로 한국에 디자인출원을 하였고 2010년 6월 3일자로 위 그림 80과 같
은 디자인 등록을 받은바 있다.

98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특허와 달리 디자인출원에 있어서의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 주장 가능기간은 6개월임에 유의하기 바란다.

Ⅰ. 머리말
다음으로 다이슨사는 2013년에 디자인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기 위해 여러 건의 디자인출원을 진행하고
이에 대해 디자인권을 확보하게 된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그림 81. 다이슨의 등록디자인 <그림 82. 다이슨의 등록디자인
30-0783510-0000호의 사시도> 30-0783510-0001호의 사시도>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이 두건의 등록디자인은 모두 유럽 디자인 출원을 기초로 파리조약에 의한 우선권을 주장하면서 한국에

디자인제도의 이해
2013년 9월 6일자로 출원된 사건이다. 이 두 건의 등록디자인의 등록번호를 자세히 살펴보면 앞의 2자리
숫자는 모두 30으로, 그리고 그 뒤의 7자리 숫자는 모두 0783510으로 일치하고 있으며 다만 마지막의 4자
리 숫자가 하나는 0000이고 다른 하나는 0001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이 두건의 디자인 출원이 유사디자인제도(현재의 관련디자인제도)를 이용하여 출원되었기 때문이


다. 관련디자인 제도는 디자인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자 할 때 매우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뒤에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서 자세히 살펴보겠다.
Ⅵ. 결어

99
Ⅳ. 다이슨사의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그림 83. 다이슨의 등록디자인 <그림 84. 다이슨의 등록디자인


30-0783509-0000호의 사시도> 30-0783509-0001호의 사시도>

위 그림 83 및 84의 디자인 등록도 모두 2013년에 유사디자인제도를 이용하여 출원하고 등록받은 디자


인권들이다.

이후에도 다이슨사는 선풍기와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디자인권을 확보함으로써 현재(2019년 11월)을 기


준으로 볼 때 대략 34건의 디자인권을 받은 상태이다.

즉, 다이슨사는 제품의 기술을 독점적으로 보호받기 위한 특허권의 확보 노력에 못지않게 제품의 외관을
독점적으로 보호받기 위한 디자인권의 확보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으며 이를 통해 다각도로 자신의 제품을
보호받고 있는 상태이다.

100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5. 디자인권의 침해판단 및 디자인 강화전략

Ⅰ. 머리말
(1) 디자인권의 침해 판단방법

디자인권자는 등록된 디자인과 동일 또는 유사한 디자인을 실시할 권리를 독점하므로 정당한 권한이 없는
제3자가 등록된 디자인과 동일 또는 유사한 디자인을 실시하는 경우 디자인 침해를 구성하게 된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다만, 경쟁사가 디자인 등록을 받고 있음을 아는 상태에서 그 등록된 디자인의 형태를 그대로 카피할 회사

지식재산권의 이해
는 거의 없을 것이므로 대부분의 분쟁은 유사 영역에서 발생하게 된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유사” 영역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가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부각된다.

즉 디자인권자의 입장에서는 카피로 생각되는 제품(확인대상디자인)이 등장하는 경우 자신의 등록디자인


과 확인대상디자인 사이의 동일한 부분을 강조하면서 양 디자인이 유사하다고 주장할 것이지만, 상대방의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입장에서는 등록디자인과 확인대상디자인 사이의 차이점을 강조하면서 양 디자인이 유사하지 않다고 주장

특허제도의 이해
할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벌어진 심판 및 소송사건을 토대로 위의 내용을 설명해 보겠다.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그림 85. 헤어밴드 등록디자인 <그림 86. 카피 제품의 사시 사진> 디자인제도의 이해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30-0807273-0000호의 사시 사진>
상표제도의 이해

그림 85는 2015년 7월 17일자로 등록된 헤어밴드의 사시 사진이다. 이 헤어밴드는 중앙 부분에 주름이


잡혀 있어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물론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내용은 디자
인권과는 크게 상관이 없는 것이고 주름 형상이 있다는 것 자체가 디자인권에서 의미가 있다(특허는 기술보
Ⅵ. 결어

호 VS 디자인은 물건의 외관보호).

디자인권자가 이 디자인을 등록받은 후 제품화하였지만 시장에서는 크게 반응이 없는 상태였다. 그러나


모 TV 프로그램에서 연애인이 이 헤어밴드를 착용하고 나온 후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고 이
에 덩달아 디자인권자의 제품도 잘 팔리기 시작한다. 당연하게도 디자인권자의 제품이 잘 팔리기 시작함과

101
Ⅳ. 다이슨사의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동시에 다수의 카피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그림 86의 제품은 이 디자인을 카피한 대표적인 것이었다.

디자인권자는 카피 제품을 막기 위해 적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사실상의 1심 소송과 유사하다고 생각하


면 된다)을 제기하면서 그림 86의 카피제품은 자신의 등록디자인과 유사하다고 주사하였지만 상대방은 비
유사를 주장하였다.

즉 디자인권자는 양 디자인의 주름무늬가 공통되므로 유사하다는 주장이었으나 상대방의 입장에서는 양


디자인의 색상이 다르고 자신의 제품에는 양 끝에 독창적인 문양을 새겨 넣었음으로 디자인이 다르다는 주
장을 한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본 사건은 1심 심결 – 특허법원의 2심 판결 – 대법원의 3심 판결을 거쳐 최종적으로 디자인


권자가 승소함에 따라 그림 86의 제품은 막을 수 있게 되었으나 디자인권자도 소송에 많은 노력과 시간, 그
리고 무엇보다 많은 비용을 소모하면서 얻은 승리일 뿐이었다. 그나마 디자인권자의 승소로 끝났으나 사실
유사와 비유사의 문제는 판단하는 사람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매우 큰 것이어서 소송의 승리는 장담할 수
없다는 위험성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새롭게 독창적으로 창작된 디자인은 그 보호를 더욱 강하게 할 필요성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이하에서는 디자인 보호를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는 두 가지 전략을 소개하고자 한다.

(2) 디자인 강화전략-관련디자인을 통한 디자인권 확보(KR)

디자인 보호법 제35조 제1항에서는 “디자인권자 또는 디자인등록출원인은 자기의 기본디자인과만 유사


한 디자인을 그 기본디자인의 출원일로부터 1년 이내에 출원하여 디자인등록을 받을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
으며 이를 관련디자인이라 부른다. 관련디자인제도는 과거의 유사디자인제도를 정비하여 2014년 7월 1일
시행된 개정법에 따라 인정되는 제도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미 등록된 디자인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등록디자인은 선행디자인으로 작용하


게 되어 이후 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디자인이 출원되면 신규성 흠결을 이유로 등록을 받을 수 없다. 마찬가
지로 이미 출원된 디자인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출원디자인은 선출원 디자인의 지위를 갖게 되므로 이후
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디자인이 출원되면 선출원주의 위반을 이유로 등록을 받을 수 없다.

그러나 디자인 보호법에서는 자신의 디자인과 유사한 디자인을 출원하는 경우에 관련디자인제도라는 예
외를 인정함으로써 하나의 디자인 컨셉에서 비롯된 다양한 변형디자인들을 디자인권자 또는 디자인등록 출
원인이 확보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고 있는 것이다. 다만 앞서 출원되거나 등록된 디자인(기본디자인이라 한

102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다)과만 유사한 디자인등록출원이어야 하며(즉 관련디자인과만 유사한 디자인은 등록받을 수 없다), 관련디

Ⅰ. 머리말
자인의 출원일은 기본디자인 출원일로부터 1년 이내여야 한다.

아래는 유사디자인출원을 통해 디자인의 보호를 확장한 일예이다. 관련디자인제도와 유사디자인제도는


그 요건에서만 일부 차이가 있을 뿐 보호하고자 하는 취지는 동일하기 때문에 아래의 사건을 통해 관련디자
인제도를 이해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그림 87. 기본디자인 <그림 88. 유사디자인
: 등록번호 30-0355780-0000호> : 등록번호 30-035578-00001호>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그림 89. 유사디자인 <그림 90. 유사디자인


Ⅵ. 결어

: 등록번호 30-0355780-0002호> : 등록번호 30-035578-00003호>

위 그림 87~90에서와 같이 LG 전자에서는 새로운 새로운 세탁기의 모양을 창작하면서 그림 87의 형태를


기본디자인으로 등록받고 이와 유사한 3가지의 세탁기 형태를 유사디자인으로 추가적으로 등록을 받았다.

103
Ⅳ. 다이슨사의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이와 같이 등록을 받게 되면 제3자의 카피품이 기본디자인에 유사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다른 유사디


자인에 유사할 가능성이 생길 수 있으며 따라서 LG 전자는 카피품을 제재하는데 가장 효율적으로 쓰일 수 있
는 디자인권을 근거로 하여 소송을 제기할 수 있게 된다.

즉, 디자인권자가 다양한 무기를 확보할수록 카피품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가능성은 높아지게 될


것이므로 기본디자인의 창작자는 관련디자인 등록을 받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원거리의 적이 있다면 대포가 있어야 효율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것이고, 근거리의 적이 있다면 칼이 있


어야 효율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것처럼 자신의 디자인을 어떻게 카피할 것인지를 단정할 수 없고 또한 유사
의 판단이 주관적이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디자인 등록이 필요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3) 디자인 강화전략-부분디자인을 통한 디자인권 확보(KR)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디자인 등록을 위하여서는 디자인의 대상이 되는 물품이 물품성을 갖춰야 하며, 물
품이라는 것은 “독립거래의 대상이 되는 구체적인 유체 동산”을 의미하기 때문에 물품의 일부라면 디자인 등
록을 받을 수 없는 것이 원칙이다.

예컨대 “컵의 손잡이 부분”을 독창적인 형태로 만들었다고 하여 컵의 손잡이만 시장에서 판매되는 것이 아
니기에 결국 컵의 손잡이로는 디자인등록을 받을 수 없는 것이다.

<그림 91. 하트 손잡이 컵 – 컵의 손잡이 부분만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는 없다>


출처 : NC부산대점 공식블로그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ncbusandae&logNo=40206486784&proxyReferer=http%3A%2F
%2Fwww.google.co.kr%2Furl%3Fsa%3Di%26rct%3Dj%26q%3D%26esrc%3Ds%26source%3Dimages%26cd%3
D%26ved%3D%26url%3Dhttp%253A%252F%252Fm.blog.naver.com%252Fncbusandae%252F40206486784%26
psig%3DAOvVaw05saDhK2rzDwBAc0tGwW4N%26ust%3D1574420690619496

104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즉 위와 같은 하트모양의 손잡이를 단 컵을 새롭게 창작하였다 하더라도 물품성이라는 디자인등록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결국 컵 전체에 대한 디자인등록을 받아야만 했으며 이렇게 하여 등록된 디자인권의 효력은
오각형 컵 본체에 하트모양의 손잡이를 단 카피제품에 미칠 수 없는 것이기에 물품의 일부만을 보호할 수 있
는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계속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2001년 7월 1일 시행 개정법에서는 물품의 일부에 대한 디자인 등록을 인정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하는 제도, 즉 부분디자인제도를 도입하기에 이른다.

지식재산권의 이해
부분디자인 등록을 받고자 하는 자는 아래 그림 92에서와 같이 디자인등록을 받고자 하는 부분을 실선(實
線)으로(또는 이와 상응하는 방법으로), 그 외의 부분은 파선(波線)으로(또는 이와 상응하는 방법으로) 표시
하여 도면을 그리고 출원을 하게 되며, 이러한 출원이 등록되면 등록된 부분만을 카피하는 제3자에게도 디자
인권에 근거한 제재를 가할 수 있게 된다.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그림 92. 부분디자인제도를 이용한 디자인출원>

즉, 위 그림 92와 같은 부분디자인이 등록되면 제3자가 어떤 형태의 컵에 일자 모양의 손잡이를 달더라도


Ⅵ. 결어

디자인권 침해를 주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부분디자인제도는 디자인권을 강화할 수 있는 매우 강력한 제도이므로 이를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 할 것이다.

105
Ⅳ. 다이슨사의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실제로 리복은 신발 밑창의 돌기 모양을 새롭게 창작하면서 다음과 같은 디자인권 들을 등록받은 바 있다.

<그림 93. 리복의 등록디자인30-0607474호> <그림 94. 리복의 등록디자인30-0628711호>

<그림 95. 리복의 등록디자인30-0610143호> <그림 96. 리복의 등록디자인30-0610144호>

<그림 97. 리복의 등록디자인30-0610145호> <그림 98. 리복의 등록디자인30-0610146호>

위와 같이 리복은 새로운 운동화의 형태를 창작하면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운동화의 갑피부분은 파선
으로 처리하고 자신이 보호받길 원하는 밑창의 돌기 부분에 대하여서는 다양한 디자인출원을 통해 부분디자
인 등록을 받음으로써 디자인권의 강화를 도모하였다. 이와 같은 디자인권들의 등록에 따라 만약 제3자가 신
발의 갑피부분만 독특하게 하고 신발 밑창의 어느 돌기 부분이든지(앞쪽의 돌기이든 중앙의 돌기이든 뒤쪽의
돌기이든) 카피를 하게 되면 리복은 그에 맞는 디자인권을 근거로 제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디자인 전략을 제대로 수립하는 기업들은 자신이 창작한 독창적인 형
태를 강력하게 보호하기 위해 권리를 확보하는데 드는 비용을 아끼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이 있어
야 자신의 창작물을 제대로 보호받을 수 있다는 것을 꼭 명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106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1. 상표권이란?

Ⅰ. 머리말
상표권은 자신만의 브랜드를 독점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권리이며, 상표등록을 받은 상표권자는 자신
이 등록받은 상표를 그 지정상품에 사용할 권리를 독점하고 제3자가 등록받은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
표를 그 지정상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에 사용하는 경우 이를 배제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즉, 상표권이 미치는 효력범위는 상표권자의 상표 사용 시에는 동일범위로 한정되지만, 제3자의 사용을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배제할 시에는 동일 또는 유사범위로 확장된다.

지식재산권의 이해
2. 왜 상표권을 받아야 하는가?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어떻게 보면 상표권은 지식재산권 중에서도 가장 비싼 가격으로 책정될 수 있는 권리로 이해될 수 있다.

특허제도의 이해
이는 존속기간이 연장(갱신)되는 상표권만의 독특한 제도에서 기인하는데, 상표권은 그 존속기간(독점권이
유지되는 기간)이 10년에 불과하지만 존속기간갱신등록신청에 의해 매 10년 단위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특허나 디자인에는 존속기간의 연장이 허락되는 제도가 없으나(특허의 경우 극히 일부 예외적인 사유로 연
장이 될 수는 있다) 상표의 경우 원칙적으로 존속기간의 연장을 허용하고 있는 것이다.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따라서, 상표권자가 존속기간갱신등록신청만 지속적으로 한다면 상표권은 사실상 반영구적으로 독점될

디자인제도의 이해
수 있는 권리라 할 수 있다. 상표제도는 그 법의 목적에서 수요자의 이익을 보호하고자 하는 독특한 목적을
가지고 있기에 이와 같은 존속기간의 연장(갱신)이 인정된다.

따라서, 독특한 브랜드에 대하여 상표등록을 받고 이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며, 이에 맞추어 시장에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계속 공급하게 되면 시간이 흐를수록 상표권의 가치는 올라갈 수밖에 없다. 처음에야 소비자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가 브랜드를 인식하지 못하겠으나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그리고 제품의 우수성이 점차 널리 알려질수록
상표제도의 이해

특정한 시점을 넘어서는 순간 소비자는 브랜드만을 믿고 제품을 구입하게 되는 단계에 이를 것이며 이렇게
되는 순간 상표권의 가치는 무궁무진해지는 것이다.

예컨대 삼성이나 엘지 또는 애플과 같은 브랜드들은 이미 제품의 품질을 고민하지 않고 소비자들이 제품


을 구매하는 단계에 이르렀기 때문에 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Ⅵ. 결어

실제로 가장 최근에 발표된 브랜드 조사회사 WPP, 칸타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브랜드는 아
래와 같다고 한다.

107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그림 99. 2019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브랜드>

물론, 브랜드를 조사하는 기관마다 그 결과가 다르고, 또한 브랜드의 가치가 곧 상표권의 가치라고는 단
정할 수 없겠으나 상표권의 가치가 매우 높을 수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또한, 대부분의 선진기업들은 자신만의 독창적인 브랜드를 보호받기 위해 사업의 초창기에서부터 사업


종료시점까지 다양한 상표권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3. 반드시 알아야 할 상표등록 요건의 이해

(1) 자타상품 식별력

상표법 제2조 제1호에 따르면 상표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상표라는 것은 “자기의 상품과 타인의 상품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표장(標章)“을 말하며, 여기서 표장이란 “기호, 문자, 도형, 소리, 냄새, 입체적 형
상, 홀로그램ㆍ동작 또는 색채 등으로서 그 구성이나 표현방식에 상관없이 상품의 출처(出處)를 나타내기 위
하여 사용하는 모든 표시”를 말한다.

즉 상표법에서 보호하는 상표라는 것은 자타상품식별력을 갖춘 표장이 되며, 표장의 정의가 상품 출처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상표는 상품과 떨어져서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 된다.

따라서 상표출원을 할 때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표장과 그 표장이 사용될 상품(지정상품)을 반드시 기재하

108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도록 되어 있다.

Ⅰ. 머리말
먼저, 표장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앞서 말했듯 표장은 상품의 출처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문자이거나(아래 그림 100), 도형이거나(아래 그림 101) 또는 동작(아래 그림 102)
이 되더라도 표장이 될 수 있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그림 100. 문자상표 등록상표 40-1117149호> <그림 101. 도형상표 40-1528255호>
지정상품 : 휴대폰 등 지정상품 : 스마트폰용 카메라 도매업 등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그림 102. 동작상표 등록상표 45-0033542호>


지정상품 : 음향 기록 장치 등

위와 같은 유형 이외에도 한국의 경우 심지어 소리나 색채나 냄새까지도 상품의 출처만 나타낼 수 있다면
Ⅵ. 결어

표장으로 인정받는다.

즉,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SK 텔레콤의 T 연결음(“띵띵 띠리링”)은 2012년 3월 30일자로 소리상표로 출


원되어 현재 등록이 된 상태이다. 물론 아래 그림 103에서와 같이 본 상표의 출원서에는 해당 소리를 시각적
으로 표현하는 내용과 함께 소리의 견본도 첨부되어 있다.

109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그림 103. 소리상표 등록상표 41-0282551호>


지정상품 : 무선통신 광고업 등

이처럼 표장은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는 개념이지만 다만 상표는 모든 표장을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 아


니라 자타상품식별력이 있는 표장만을 보호한다. 즉, 자타상품식별력이 없는 표장은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
으며 이하에서는 자타상품식별력이 없기 때문에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는 상표의 유형을 살펴보기로 한다.

① 보통명칭상표

상품의 보통명칭을 표시하는 표장만으로 된 상표는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 여기서 보통명칭이란 그 상


품을 취급하는 거래계에서 그 상품을 지칭하는 것으로 실제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명칭을 말한다.

즉, “호도과자”라는 문자 표장을 “과자류”라는 지정상품을 지정하여 상표출원을 하는 경우 상표등록을 받


을 수 없는데 이는 지정상품 “과자류”에 “호도과자”라는 상품도 포함되는 것이고 “호도과자”라는 문자 표장
은 이미 거래계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보통명칭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ASPIRIN”이라는 문자 표장을 “의약용제제”라는 지정상품에 출원하는 경우 또는


“JEEP”라는 문자 표장을 “자동차”라는 지정상품에 출원하는 경우에도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

② 관용상표

상품에 대하여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표장만으로 된 상표는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 여기서 관용적
으로 사용된다는 의미는 그 상품을 취급하는 거래계에서 동종업자들 사이에 자유롭고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LAN”이라는 문자 표장을 “견직물, 모직물”라는 지정상품을 지정하여 상표출원을 하는 경우 상표등록


을 받을 수 없는데 이는 지정상품 “견직물, 모직물”을 동종업자들이 흔히 “LAN”이라 부르고 있기 때문이다.

110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마찬가지의 이유로 “NET”이라는 문자 표장을 “통신업”이라는 지정상품에 출원하는 경우 또는 “코롱”이라

Ⅰ. 머리말
는 문자 표장을 “방향제”라는 지정상품에 출원하는 경우에도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

③ 기술적표장(성질표시상표)

상표가 그 지정상품의 성질 등을 직감시키는 표장만으로 된 경우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이해
즉, “CLEAN & CLEAR”라는 문자 표장을 “화장비누”와 같은 지정상품을 지정하여 상표출원을 하는 경
우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는데 이는 “화장비누”라는 지정상품의 성질을 “CLEAN & CLEAR”라는 문자 표장
이 직감시키기 때문이다(“CLEAN & CLEAR”라는 문자가 비누에 인쇄되어 있다면 소비자는 그 비누가 깨
끗하게 클렌징 될 것이라는 인식을 직감하게 된다).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마찬가지로 “Nofire”라는 문자 표장을 “페인트”라는 지정상품에 출원하는 경우 또는 “無洗米”이라는 문

특허제도의 이해
자 표장을 “쌀”이라는 지정상품에 출원하는 경우(“無洗米”라는 한자는 씻지 않아도 되는 쌀이라는 인식을 직
감시킨다)에도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

실제로 많은 기업들이 기술적표장에 대하여 상표출원을 하고 있는데 이는 다소 위험이 따르는 행동이다.


즉 기업의 입장에서는 소비자가 직관적으로 상품을 인식할 수 있는 브랜드를 원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기술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적표장에 대하여 상표등록을 받고자 하는데, 이러한 기술적표장들은 특허청 심사과정을 거치며 상표등록에

디자인제도의 이해
이르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기술적표장은 누구나 사용하고 싶어하는 것이기에 상표권이라는 독점권을 부여하기 어려운 면이 있고 따


라서 상표등록을 받기도 어려움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④ 현저한 지리적 명칭

현저한 지리적 명칭이나 그 약어 또는 지도만으로 된 상표는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

즉, “GEORGIA”라는 문자 표장만으로 된 상표는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는데 이는 “GEORGIA”라는 문자


가 널리 알려진 특정 지명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지정상품과의 관련성은 고려하지 않는다.
Ⅵ. 결어

마찬가지로 “일동”이라는 문자 표장 또는 “장충동 왕족발”과 같은 문자 표장은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

111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⑤ 흔한 성 또는 명칭

흔한 성 또는 명칭만으로 된 상표는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

즉, “LEE”라는 문자 표장만으로 된 상표는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는데 이는 “LEE”라는 문자가 흔한 성(


姓)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지정상품과의 관련성은 고려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윤씨”이라는 문자 표장(흔한 성) 또는 “PRESIDENT”과 같은 문자 표장(흔한 명칭)은 상표


등록을 받을 수 없다.

⑥ 간단하고 흔한 표장

간단하고 흔히 있는 표장만으로 된 상표는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

즉, “HD”라는 문자 표장만으로 된 상표는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는데 이는 “HD”라는 문자가 간단하고 흔


한 표장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지정상품과의 관련성은 고려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Ω”이라는 문자 표장 또는 “A6”와 같은 문자 표장은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

실무적으로 1자의 한글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2자 이내의 알파벳만으로 구성된 표장은 간단하고 흔한 표


장으로 취급되어 상표등록을 받지 못한다.

(2) 사용에 의한 식별력 취득

앞서 언급된 기술적표장, 현저한 지리적 명칭, 흔한 성 또는 명칭, 간단하고 흔한 표장에 해당하더라도 특


정인이 이를 계속하여 독점적으로 사용한 결과 수요자에게 특정인의 상표로 인식이 되었다면 이러한 상표의
등록을 허용하게 된다. 이는 사용에 의하여 이미 자타상품식별력을 취득하였다면 더 이상 자타상품식별력이
없다고 할 수 없고 또한 이러한 표장을 특정인의 상표로 인식하고 있는 수요자의 신뢰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그림 104. 등록상표 41-0104644호>


지정상품 : 고교입시학원 경영업등

112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다만, 보통명칭상표 및 관용표장은 공익상 자유사용의 필요성이 큰 것이기에 위와 같은 사용에 의한 식별

Ⅰ. 머리말
력 취득을 인정하지 않는다.

(3) 선출원주의

선출원 된 타인의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를 그 지정상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에 상표출원하는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경우 선출원주의 위반을 이유로 상표등록을 받지 못한다. 만약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출원에 대하여 두 개의

지식재산권의 이해
상표권이 탄생하게 되면 이는 지식재산권제도의 본질인 독점권의 성질에 위반되는 것이기 때문에 허용될 수
없는 것이고, 따라서 선출원주의는 중복된 상표권의 발생을 막기 위해 요구되는 등록요건이라 할 수 있다. 기
타 같은 날에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출원이 이루어지는 경우 등에 대한 내용은 앞서 살펴본 특허의 경우와 동
일하게 취급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다만 상표출원의 경우 선출원주의는 출원인이 동일한 경우에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적용되지 않는데 이는 유사 브랜드들을 등록받을 수 있는 방법을 열어주기 위함이다.

특허제도의 이해
(4) 기타 등록요건

기타, 표장에 국기 등이 포함되어 있거나, 건전한 사회질서를 유지하는데 방해가 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
거나, 박람회의 상패 모양이 포함되어 있거나, 널리 알려진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이거나, 저명한 타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인의 상품과의 혼동 등을 일으킬 염려가 있는 상표의 경우 상표등록을 받지 못한다.

(5) 신규성 요건 미요구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표의 경우 식별력이 인정되지 않거나 또는 공익보호 또는 사익보호를 위해 상표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등록을 받을 수 없는 독특한 등록요건이 존재한다. 즉, 상표의 경우 특허나 디자인과 같이 신규성이라는 등
상표제도의 이해

록요건을 요구하지 않는 것이다.

이 때문에(상표의 등록요건으로 신규성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이미 자신이 오랫동안 사용해 온 특정한


브랜드라 하더라도 제3자가 이를 상표출원하여 등록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제3자가 사용하고 있는 브
랜드를 등록받고 이를 통해 경제적 이득을 얻고자 하는 상표브로커가 생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Ⅵ. 결어

실제로 “열정감자”라는 브랜드의 경우 김윤규대표가 이미 사업자등록 및 영업허가를 얻어 간판에 사용하


고 있는 상태였으나 이 브랜드가 시사매거진 2580에 소개된 이후 제3자가 이를 상표출원하고 출원공고결
정을 받음으로써 등록에 이를 뻔한 사건이 있었다. 물론 이후 본 사건은 부정한 목적의 상표로 인정되어 결국

113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상표등록을 받지 못하였으나 이와 같은 위험은 항상 존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중국의 경우 더욱 심각하게 발생되는데, 한국에서 잘 알려진 브랜드 “설빙”이 2014
년에 중국에 프랜차이즈 사업을 진행하고자 하였으나 “설빙” 및 “雪氷”이라는 상표를 중국인이 이미 등록을
받은 상태였기에 결국 중국진출에 실패하는 사례가 벌어지게 된다. 실제로 어떤 중국인의 경우 한국에서 잘
알려진 브랜드가 중국에 진출하는 것을 노리고 330여건이 넘는 상표등록을 받고 있다고 할 정도이니 상표브
로커의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 것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상표는 신규성을 등록요건으로 삼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브랜드라


할지라도 제3자가 상표등록을 받는 것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으며, 제3자가 상표등록을 받고 권리행사를 하
게 되면 최악의 경우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브랜드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점에 유
의해야 할 것이다.

4. 상표권을 통해 본 다이슨사 Air treatment 제품의 성공과 사업의 성공

(1) 개요

다이슨사는 자신만의 브랜드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상표권을 이미 한국에서 확보하고 있는 상


태이다. 즉 다이슨사는 한국에서 자신의 브랜드인 “DYSON”만을 등록받은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상표등록을
통해 상표권의 확장을 도모하고 있는바 이하에서는 다이슨사가 한국에서 등록받은 상표권들의 내용을 검토
해 보기로 한다.

(2) 다이슨사의 한국에서의 상표 전략

먼저 다이슨사는 2014년 2월 14일자로 두 건의 상표를 출원하여 2014년 5월 2일자로 이를 모두 등록


받는다.

<그림 105. 등록상표 40-1035350호> <그림 101. 등록상표 40-1035349호>


지정상품 : 선풍기 등 지정상품 : 선풍기 등

114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Ⅰ. 머리말
위 두 건의 상표를 보게 되면 지정상품이 동일함에도 한 건은 소문자로 그리고 다른 한건은 대문자로 되
어 있고 글자체만이 차이가 있다는 점이 눈에 띄는데 이는 상표의 유사범위 판단에 대한 위험성을 낮추기 위
함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자신의 등록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를 사용하는 제3자에게는 상표권의 침해주장을 할 수 있는


데(물론 상품도 동일 또는 유사해야 한다), 유사의 판단이라는 것이 디자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판단자의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주관이 개입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가급적 다양한 상표권을 확보해 놓은 것이 침해소송에서 유

지식재산권의 이해
리해지는 면이 있다.

따라서 다이슨사는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두 건의 상표출원을 통해 두 건의 상표권을 확보했다고 생각


된다.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특허제도의 이해
<그림 107. 등록상표 40-0979286호> <그림 108. 등록상표 40-0979284호>
지정상품 : 선풍기 등 지정상품 : 선풍기 등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다음으로 다이슨사는 냉풍과 온풍이 모두 나오는 선풍기(공기청정기)에 대한 자사 브랜드를 보호하고자

디자인제도의 이해
위와 같은 두 건의 상표등록을 받는다. 물론 온풍에 대한 상표도 “dyson hot”이라는 표장을 사용하여 별도
의 등록을 받는다.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그림 109. 등록상표 41-0349683호> <그림 110. 등록상표 40-1167534호>


지정상품 : 선풍기 설치업 등 지정상품 : 선풍기 등
Ⅵ. 결어

이 뿐만 아니라 다이슨사는 자사의 시그니처 브랜드인 “DYSON”을 다양한 유형의 상품들에 대하여 모두
등록을 받음으로써 브랜드의 카피를 방지할 수 있는 효율적인 장벽을 구축한 상태이다.

115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다이슨사가 한국에서 등록을 받은 상표만 하더라도 이미 79건에 이르며, 선풍기와 관련하여 등록받은 상
표는 대략 30건에 이른다.

5. 상표권의 침해판단 및 강한 상표권 확보전략

(1) 상표권의 침해 판단방법

상표권자는 자신이 등록받은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를 그 지정상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에 사


용하는 제3자에 대하여 상표권의 침해를 주장할 수 있다.

즉, 상표권의 침해에 대한 제재의 범위는 동일뿐만 아니라 유사범위에까지 확장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디자인에서와 마찬가지로 “유사” 범위의 판단은 함부로 단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상표권자의 입
장에서는 “유사 상표” 및 “유사 상품”에 대하여서도 미리 상표권을 선점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강한 상표권 확보전략-독창적인 네이밍을 통한 상표권 확보(KR)

강한 상표 또는 좋은 상표라는 것은 독창성(Unique)이 있으면서, 경쟁브랜드와 구별이 용이하고(차별성,


Difference), 안정감과 신뢰감(규모성, Scale)이 있고, 세월이 흐르더라도 꾸준한 신뢰를 얻을 수 있는(내
구성, Durability)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품에의 대입이 용이해야 하며(적용성, Function), 글로벌하게 통용될 수 있다면(국제성,


Global)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즉 자사의 독창적인 브랜드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 단편적인 사항만을 검토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과연


어떤 메시지를 소비자에게 전달해야 하는가, 그리고 이런 메시지는 다른 기업의 브랜드와 어떻게 구별될 것
인가, 그리고 이런 메시지의 일관성을 어떻게 유지해야 하는가, 그리고 이런 메시지가 우리만의 것으로 특화
될 수 있는가 등의 사항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강한 브랜드를 탄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BMW사의 경우 “BMW”라는 자사의 독창적인 패밀리 브랜드를 창작함과 동시에 유명한 자사
의 로고( )를 창작하고, 이후 “BMW 3 Series”, “BMW 5 Series”, “BMW 7 Series” 및 “BMW Z
Series”와 같은 브랜드로 이를 확장하고, 이를 다시 “BMW 3 Series”의 하위 모델로서 “318i” 및 “320i”
등과 같은 개별브랜드로 확장하는 전략을 통해 자사만의 독특한 아이덴티티(Identity)를 구축한 바 있다.

116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이와 달리 현대자동차의 경우 “현대자동차” 또는 “HYUNDAI”라는 자사의 독창적인 패밀리 브랜드를 창

Ⅰ. 머리말
작함과 동시에 유명한 자사의 로고( )를 창작하고, 이후 “AVANTE”, “SONATA”, EQUUS“, GRAN-
DEUR” 등과 같은 개별브랜드로 확장함으로써 자사만의 독특한 독특한 아이덴티티(Identity)를 구축한 바
있다.

결국 좋은 브랜드가 되기 위해서는 자사만의 철학이 녹아 있어야 하는 것이며 이러한 철학은 아무 고민 없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닐 것이므로 강한 상표 또는 좋은 상표를 만들고자 하는 자는 반드시 이에 대한 고민

지식재산권의 이해
www.towelstreet.com

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표권의 측면에서 본다면 기술적 표장과 같이 손쉽게 소비자에게 의미가 전달될 수 있는 상표를 사
용하기 보다는 독창적이고 새로운 표장, 예컨대 세상에 없는 말을 새롭게 창작하는 표장(조어상표라 부르며
“Ferrari”등과 같은 것을 말한다)을 선택하고 상표권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조어상표의 경우 상표등록을 받는 것은 당연할 것이며, 이후 상표권의 침해를 판단할 때에도 유사범위를

특허제도의 이해
확장시켜 판단받는 것이 일반적이기에 상표권을 보호받을 수 있는 범위도 강력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급적 조어상표를 만들고 이를 상표권으로 독점받으며, 지속적인 갱신을 통해 상표권을 연장하
고 시장에 우수한 제품을 공급하는 전략을 통해 가치 있는 브랜드를 만들어 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디자인제도의 이해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Ⅵ. 결어

117

Ⅵ. 결어 결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이슨사는 자사의 제품인 선풍기를 보호하고자 한국에서만 대략 100건이 넘는 지


식재산권을 확보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는 다이슨사가 부유한 기업이기 때문만은 아닐 것이며 자사의 제품을 효율적으로 보호하여 카피품의 난
립을 막기 위해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하는가를 다이슨사가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R&D의 결과로 탄생한 결과물을 제대로 보호받기 위해 어떤 사항을 고려해야 하는지는 앞서 살펴본 바가
있으나 특히 주의해야 하는 몇 가지 사항을 반복함으로써 결어에 갈음하고자 한다.

1. 적재적소(適材適所) - 특허만이 전부는 아니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특허나 실용신안은 “기술”을 보호하기 위한 권리일 뿐 모든 것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
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즉, 경쟁사에서 자사의 제품 형태를 그대로 카피하는 경우 특허권 또는 실용신안
권은 의미가 없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디자인권이 존재해야만 경쟁사의 카피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특허, 디자인 및 상표는 보호하고자 하는 객체만이 다를 뿐 어느 권리가 다른 권리에 종속되거나 열등


한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님을 잘 기억하고 “기술”에 대한 사항은 특허 또는 실용신안으로, “제품의 외관”에 대
한 사항은 디자인으로, “브랜드”에 대한 사항은 상표로 보호받아야 함을 잘 이해해야 할 것이다.

2. 다다익선(多多益善) - 무기는 많을수록 좋다


특허권, 디자인권 및 상표권의 개수가 많다고 하여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닐 것이지만 우선은 권리의 개수가
많은 것이 침해의 문제에 있어서 유리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권리의 개수는 상대편이 카피를 하고자 하는 경우 분석해야 하는 내용의 많음을 의미하게 되고 따라서 단
지 특허권만 1건이 있는 경우보다 특허권, 디자인권 및 상표권이 수십건, 혹은 수백건에 이를 정도로 많은 경
우가 되어야 상대편에게 지울 수 있는 부담감을 늘리게 되기 때문이다.

즉, 권리의 개수는 곧 카피를 차단하기 위해 내가 보유하고 있는 무기의 개수를 의미하는 것이기에 가급적
많은 무기를 확보해야 카피의 문제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118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3. 역지사지(易地思之) - 상대방의 입장에서 평가하라

Ⅰ. 머리말
지식재산권을 확보한 후에는 반드시 상대편의 입장에 서서 카피품을 생산하고 판매할 수 있는가를 판단
하기 바란다.

즉, 특허등록을 받았다고 해서 혹은 디자인등록을 받았다고 해서 모든 카피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


기 때문에 자사의 입장이 아닌 경쟁사(상대방)의 입장에서 이러한 권리를 어떻게 빠져나갈 것인가를 고민해

Ⅱ. 다이슨 사례를 통한
보라는 뜻이다.

지식재산권의 이해
특허권의 측면에서라면 자사 특허의 청구항을 기준으로 하여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략될 수 있는 구성이 무
엇인가(구성요소완비의 원칙을 고려)를 고민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며, 디자인권의 측면에서라면 등록디자
인의 형태를 고려하여 어떻게 비유사하게 만들 수 있는가를 고민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Ⅲ. 다이슨 사례를 통한
만약 상대방의 입장에서 고민하였을 때 자사 권리의 회피가 용이하다면 이는 카피를 차단할 수 없는 권리

특허제도의 이해
를 받고 있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4. 설안형창(雪案螢窓) - IP에 대하여 계속 공부하라

Ⅳ. 다이슨 사례를 통한
아는 만큼 보일 수밖에 없는 법이다. 자기 스스로 IP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면 카피를

디자인제도의 이해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강한 IP의 확보도 점점 멀어진다고 생각해야 한다.

R&D의 결과물을 어떤 방식으로 보호해야 하는지, 특허에 있어서 청구범위는 어떻게 가져가야 하는지, 관
련디자인 또는 부분디자인 등록의 필요성이 있는지 등등의 사항을 스스로 알아야만 한다.

그 이후에 유능한 대리인(변리사)과 논의하고 강한 IP를 창출하는 노력을 함께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명 Ⅴ. 다이슨 사례를 통한
상표제도의 이해

심하길 바란다.

모쪼록 한국의 많은 기업들이 “Dyson”과 같이 강한 IP를 창출하고 활용하여 세계에 우뚝 서게 되는 날을


그리며 미흡하나마 이 글을 마치고자 한다.
Ⅵ. 결어

119
혁신기업의 지식재산 경영 사례집
- dyson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지식재산 -

발행처 | 특허청 산업재산인력과 / 한국발명진흥회 지식재산인력양성실


저 자 | 김승환 변리사
발 행 | 2019년 12월
혁신기업의
특별한 IP 전략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