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1.

효과작인 노트테이캉 방법
 집중하여 듣기를 계속하면서 기록한다. 연설의 내용을 이해할 수 없을
때에는 노트테이킹을 중단, 듣기에 집중한다.
 적는 분량을 최소화한다.
 귀에 들리는 단어를 적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이해한 내용을
기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적는다.
 연사의 생각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분한다.
 노트테이킹에 사용할 언어는 도착어를 기본으로 하는 것이 좋다.
 평소에 사용하고 있는 기호나 약어가 많이 있다.

2. 영상 번역의 정의, 종류, 특징, 원칙

정의: 영상 번역이란 시각정보와 청각정보로 이루어진 복합 모드 텍스트를


문어텍스트로 전환하는 번역방식이다.

종류: 영상 번역의 방법에 따라 자막번역, 더빙번역, 보이스-오버가 있다.

특징: 영상 번역은 시각정보와 청각정보를 동시에 사용한다. 그리고 대중적인


번역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화면의 제약으로 인해 간결하고 경제적인 표현을
중시한다. 그리고 도착 텍스트 대상독자에 대한 전달 효과에 우선순위를 둔다.
출발텍스트 사용자와 도착 텍스트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배경지식과
문화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문화적 고려도 중요하다.

원칙: 영상 번역을 할 때 일정한 양적 제한 안에서 자막이나 더빙 텍스트를


확정해야 한다. 그리고 도착 텍스트의 표현을 경제적으로 해야 하며,
청각정보와 도착정보를 동시에 활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화면과 도착
텍스트의 내용이 일치하는지 반드시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3. 번역을 분류

야콥슨(Jacobson)의 번역 분류: 번역 언어간의 관계에 따라 언어내적 번역 (


생산된 텍스트를 그 언어와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여 번역), 언어간 번역 (
생산된 텍스트를 그 언어와 다른 언어를 사용하여 번역), 기호간 번역 (다른
기호 체계 간에 이루어지는 번역)이 있다.

뉴마크(Newmark) 의 번역 분류: 의미 중심 번역과 소통 중심 번역이 있다

나이다(Nida)의 번역 분류: 형태적 대응 중심 번역과 역동적 등가 중심 번역이


있다.

구트(Gutt)의 번역 분류: 기술적 언어 사용 (자신의 말”로 “자신의 뜻”을 전달)


과 해석적 언어 사용(자신의 말”로 “다른 사람”의 뜻을 전달)이 있다.

하우스(House)의 번역 분류: 공개적 번역과 내재적 번역이 있다.


노드(Nord)의 번역 분류: “번역 과정의 기능”에 따라 기록적 번역과 도구적
번역이 있다.

1. 통번역의 정의

통역·번역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정의는 달라진다.

텍스트의 성격에 따라 “하나의 언어로 이루어진 텍스트를 다른 언어로 구두로


전달하는 행위” (구어 텍스트(spoken/oral text)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행위)를
통역으로, “하나의 언어로 이루어진 텍스트를 다른 언어의 문자로 바꾸어 놓는
것” (문어 텍스트(written text)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행위)를 번역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텍스트를 구성하는 언어간의 관계”에 따라 “언어내적 번역(intra-lingual


translation)”, “언어간 번역(inter-lingual translation)”, “긴호간 번역(inter-semiotic
translation)”으로 나눈다.

“대상과 결과에 해당하는 두 텍스트간의 관계”에 따라 “출발어 텍스트(source


text)를 “도착어 텍스트(target text)”로 변환하는 과정을 통해 두 텍스트 간에 “
등가관계가 존재하도록 하는 처리 행위”, “출발어 텍스트를 도착어 또는
도착문화(target culture)”로 옮기는 모든 과정를 통해 도착어의 언어 체계를
위반하지 않으면서 도착 텍스트에 구현하는 행위라는 정의된다.

위키백과(Wikipedia)에 따라 통역, 번역이란 한 언어(출발어, source language)로


쓰여진 텍스트(출발텍스트, source text)의 의미를 해석하여 다른 언어(도착어,
target language)로 ST 와 동일한 메시지를 소통해주는 등가의 텍스트로
생산하는 것이다.

2. 통번역사의 자질

통역사/번역사의 자격 요건을 구성하는 '4 대기둥(four pillars)’이 있다.

+ 모국어 구사력

 모국어에 대한 '직관'을 갖고 있어야 한다.


 해당 언어로 이루어지는 모든 표현의 뉘앙스와 미묘한 차이까지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 실제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 외국어 구사력

 외국어 구사력은 모국어 구사력보다 복잡하고 측정이 어렵다.


 '음성학', '음운론', 문법적 지식' 등 전문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준비해야
한다.
 다양한 어휘와 관용표현 같이 평생학습을 통해 보완해 나가야 한다.

+ 배경지식과 주제지식

 범위가 정해진 것이 아니라 학습에 의하여 끊임없이 넓혀가야 한다.


 통역사/번역사가 교육과 경험을 통해 취득한 모든 지식과 경험
 주제 분야에 대한보다 깊이있고 체계적인 지식.

+ 통역/번역 방법론 자식

 통역, 번역은 단순한 언어중개만 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중개도 해야


한다.
 통역 청자, 번역 독자의 문화 경험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이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중개하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3. 대응과 등가의 차이를 설명하고 등가를 구분하고 대응과 등가의 관계를
정리하시오.

대응과 등가의 차이:

‘대응’이란 출발텍스트와 도착텍스트에서 구현되고 있는 의미가 형태적으로


동일한 경우를 가리키는 반면 ‘등가’란 이 두 텍스트를 통해 전달되고 있는
의미가 형태적으로는 동일하지 않으나, 내용 면에서 동동하거나 강한
유사성을 보이는 경우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등가를 구분:

쾰러(Köller)의 분류: 등가가 이루어지는 위치와 정도에 따라 외연적 등가


(Referential equivalence), 내포적 등가(Connotative equivalence), 텍스트 규범적
등가(Text-normative equivalence), 화용적 등가(Pragmatic/dynamic equivalence),
형태적 등가(Formal equivalence)로 나누었다.

카데(Kade)의 분류: 어휘 차원의 등가와 등가표현들 간의 양적 관계에 '일대일


등가’, ‘일대다 등가’, ‘일 대부분 등가', '일대무 등가’로 나누었다.

스코포스(skopos): “스코포스” 중심의 텍스트 등가 분류에 따라 텍스트 장르,


중요한 대상, 등가의 평가 기준이 있다.

대응과 등가의 관계를 정리

한 사람인 Seleskovitch 는 한 언어에서 사용되는 개별 어휘/ 표현들을 다른


언어로 옮기는 번역에 있어서 어휘들을 크게 ‘대응어’와 ‘문맥적 등가표현’
혹은 ‘문맥어’의 둘로 크게 나눈다.

대응어란 단어대단어에 단수치환이 가능한 어휘를 가리키는 반면, 문맥적


등가표현 또는 문맥어란 이런 대응어가 존재하지 않아 문맥에 따라 새로운
등가 표현을 끊임없이 찾아내야 하는 단어를 지칭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