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 최대 실체 치수와 최소 실체 치수 관련 용어 소개

- 최대실체조건(MMC): 형체의 실체 즉 부품의 크기가 최대인 상태.

- 최대실체치수(MMS): 형체의 최대실체상태를 정하는 치수이며 축과 같은 외측 형체에서는 최대

허용치수가 되며, 구멍과 같은 내측 형체에서는 최소허용치수.

- 최소실체조건(LMC): 형체의 실체 즉 부품의 크기가 최소인 상태.

- 최소실체치수(LMS): 형체의 최소실체상태를 정하는 치수이며 축과 같은 외측 형체에서는 최소

허용치수가 되며, 구멍과 같은 내측 형체에서는 최대허용치수.

- 실효상태(VC): 대상 형체의 최대실제치수와 기하공차의 결합효과에 의해 생기는 한계상태.

- 실효치수(VS): 규제된 치수공차와 형상, 위치공차에 의하여 결합되는 상대부품과 가장 빡빡하

게 결합되는 가장 극한에 있는 상태의 치수.

1
KUT CSE HPCL KCJ

* memo

2
KUT CSE HPCL KCJ
* 최대 실체 공차 방식
- MMS : Maximum Material Size (기호 : )

- 치수공차를 갖는 형체의 허용한계범위 내에서 체적 또는 질량이 최대일 때의 치수.

- 구멍의 최대 실체치수와 축의 최대 실체치수일 때 두 부품의 결합은 최악의 결합상태.

- 축 : 최대 허용치수 = 최대 실체치수(MMS)

- 구멍 : 최소 허용치수 = 최대 실체치수(MMS)

- 치수공차와 기하공차 사이의 관계가 형체의 최대 실체 상태를 기본으로 주어지는 공

차방식.

- 형체의 실 치수와 최대 실체 치수의 차이만큼 기하공차에 추가 여유가 허용되는 방법.

- 실 치수의 변동에 따라 기하공차에 여유가 커지므로 제작공차를 최대로 이용하여 결

합부품 상호간에 호환성을 확실하게 하는 장점.


3
KUT CSE HPCL KCJ

* 최대 실체 공차 방식 적용 예

- 최대 실체 치수 : 축(or 핀)의 최대 허용 한계 치수, 구멍(or 홈)의 최소 허용 한계 치수 일 때.

- 최소 실체 치수 : 축(or 핀)의 최소 허용 한계 치수, 구멍(or 홈)의 최대 허용 한계 치수일 때.

- 4
KUT CSE HPCL KCJ
* 최대 실체 공차 방식의 적용
- 결합되는 형체에 적용.(결합부품이 아니면 적용하지 않음)

- 치수공차와 기하공차 사이에 상호 의존성을 고려하여 치수의 여분을 기하공차에 부

가할 수 있는 경우에 적용.

- 중심 또는 중간면이 있는 치수공차를 가지는 형체에 적용.(평면 또는 표면상의 선에

는 적용할 수 없음)

- 규제형체가 최대실체치수일 때 적용되는 공차값이고 형체치수가 최대실체치수를 벗

어날 경우에는 그 벗어난 크기만큼 추가공차가 허용됨.

- 데이텀 자체가 치수공차를 갖는 형체라면 데이텀에도 최대실체공차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

5
KUT CSE HPCL KCJ

* 최대 실체 공차 방식의 적용을 지시하는 방법


- 규제형체에 적용하는 경우 :

- 공차값 뒤에 기호를 기입.

- 데이텀형체에 적용하는 경우 :

- 데이텀 문자기호 뒤에 기입.

- 규데형체와 데이텀에 적용하는 경우 :

- 공차값과 문자 뒤에 기입.

- 데이텀을 지시하는 문자기호에 의하여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

- 테두리 3번째 구역에 기입.

6
KUT CSE HPCL KCJ
* 최대 실체 공차 방식으로 규제된 기하 공차 - 위치도
- 최대실체공차방식은 위치도 공차에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

- 구멍의 최대실체치수를 고려해서 위치도 공차를 배정.

- 구멍의 최대실체치수(20.0)와 핀의 최대실체치수(19.8)의 차이인 0.2를 위치도 공차로 배정.

- 구멍과 핀에 각각 0.1씩 위치도 공차를 분배.

7
KUT CSE HPCL KCJ

* 최대 실체 공차 방식으로 규제된 기하 공차 - 위치도


- 4개의 구멍(or 핀)이 최대실체조건일 때 허용된 위치도 공차역 범위 내에서 구멍(or

핀)의 중심이 극한 위치에 존재할 수 있는 구멍(or 핀)위치.

8
KUT CSE HPCL KCJ
* 최대 실체 공차 방식으로 규제된 기하 공차 - 위치도
- 하나의 구멍(or 핀)에 위치도 공차의 외주상의 한 점을 중심으로 구멍(or 핀) 의 최대실체치수의 원을 그려나

가면 내접(or 외접)하는 원이 생기는데, 이 원이 결합되는 핀 (or 구멍) 의 최대치수.

- 두 부품의 실효치수(결합되는 상대부품의 최대실체치수)가 같으므로 최악의 경우에도 결합 가능.

9
KUT CSE HPCL KCJ

* 최대 실체 공차 방식으로 규제된 기하 공차 - 위치도


- 공차역의 한 점을 중심으로 최소실체치수의 원을 그려나가면 내접하는 원이 형성.(이 직경이 실효치수).

- 직경이 최대실체치수일 때의 위치도 공차가 규제되었을 때의 실효치수와 같음.

10
KUT CSE HPCL KCJ
* 최대 실체 공차 방식으로 규제된 기하 공차 – 직각도(축)

11
KUT CSE HPCL KCJ

* 최대 실체 공차 방식으로 규제된 기하 공차 – 직각도(구멍)

12
KUT CSE HPCL KCJ
* 최소 실체 치수
- LMS : Least Material Size

- 축이나 핀의 경우 : 최소 허용 한계 치수.

- 구멍이나 홈의 경우 : 최대 허용 한계 치수.

- 치수공차를 갖는 형체의 허용한계범위 내에서 체적 또는 질량이 최소일 때의 치수.

- 최소 실체치수 규제기호는 ANSI에서만 규제하고 ISO, KS에는 규제기호가 없음.

13
KUT CSE HPCL KCJ

* memo

14
KUT CSE HPCL KCJ
* 구멍과 축의 최대 및 최소 실체 치수 해석 예 #1
-0.03

39.97
39.98

15
KUT CSE HPCL KCJ

* 구멍과 축의 최대 및 최소 실체 치수 해석 예 #2

구멍

16
KUT CSE HPCL KCJ
* 실효 치수
- VS : Virtual Size

- 기하공차가 규제된 형체의 최대실체치수와 그 형체에 규제되는 기하공차와의 종합효과로서 생기는 한계의

치수.

- 결합되는 상대 부품의 최대실체치수.

- 상대 부품의 기하공차를 결정하는 설계상의 기준이 되는 치수.

- 실효치수일 때, 기하공차는 0 (기하공차가 이미 적용된 치수이기 때문)

- 축 또는 핀의 경우 :

- 축 또는 핀의 최대실체치수 + 지시된 기하공차. (50.2+0.1=50.3)

- 축이나 핀에 결합되는 상대부품 구멍의 최대실체치수.

- 축이나 핀을 검사하는 기능게이지의 기본치수.

- 구멍 또는 홈의 경우

- 구멍이나 홈의 최대실체치수 – 지시된 기하공차. (49.8-0.1=49.7)

- 구멍이나 홈에 결합되는 상대 부품의 핀이나 축의 최대실체치수

- 구멍이나 홈을 검사하는 기능게이지의 기본치수


17
KUT CSE HPCL KCJ

* 구멍의 실효치수

18
KUT CSE HPCL KCJ
* 축의 실효치수

19
KUT CSE HPCL KCJ

* 홈의 실효치수

20
KUT CSE HPCL KCJ
* 핀의 실효치수

21
KUT CSE HPCL KCJ

* 경사진 홈의 실효치수

22
KUT CSE HPCL KCJ
* 돌출 공차
- Projected tolerance zone (기호 : )

- 형체 밖으로 튀어나온 부분에 기하공차를 적용할 경우의 공차역.

- 구멍에 핀이 끼워지고 그 핀에 구멍을 갖는 부품이 결합되는 경우.

- 탭 구멍에 구멍이 뚫린 부품을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부품에 위치도 공차나 직각도 공차를 도면

에 지시한 경우.

- 그 공차역을 그림으로 표시한 형체자체(구멍)의 내부에서가 아니고 그 형체의 외부로 튀어나온

돌출된 부분에 공차를 지시하는 것.

- 자세 및 위치공차에 적용 가능.

23
KUT CSE HPCL KCJ

* 탭 구멍에 규제된 돌출 공차역

24
KUT CSE HPCL KCJ
* 돌출 공차역으로 규제된 두 부품과 결합 상태

25
KUT CSE HPCL KCJ

* 돌출 공차역으로 규제된 직각도와 위치도

26
KUT CSE HPCL KCJ
* 돌출 공차역으로 규제된 위치역

27
KUT CSE HPCL KCJ

* memo

28
KUT CSE HPCL KCJ
* KS B 0411
- 개별적인 지시가 없는 주조로 만들어진 주물 제품에 적용하는 보통공차.(보통치수공차)

29
KUT CSE HPCL KCJ

* KS B 0412
- 개별적인 지시가 없는 절삭 가공 부분에 적용하는 보통공차.(보통치수공차)

30
KUT CSE HPCL KCJ
* 보통 기하 공차
- 기하공차의 지시가 없이 치수공차만으로 형체의 기하특성을 규제하는 공차.

- 원통도, 윤곽도, 경사도, 동축도, 위치도 온흔들림을 제외한 모든 기하특성에 적용.

- KS B – 0148에 의거.

31
KUT CSE HPCL KCJ

* 진직도에 대한 보통 기하공차 예

- 기하공차가 지시되어 있지 않은 도면에 보통기하공차와 보통치수공차가 적용된 예.

- 길이(250mm)에 대한 보통기하공차(진직도) (H급) : 0.2

- 지름(150mm)에 대한 보통치수공차(보통급) : ±0.5


32
KUT CSE HPCL KCJ
* 평면도에 대한 보통 기하공차 예

- 윗변과 밑면의 폭 치수 150mm의 보통치수공차(보통급) : 150±0.5

- 양 표면의 평면도에 대한 보통 기하공차(K등급) : 0.4mm


33
KUT CSE HPCL KCJ

* 진원도에 대한 보통 기하공차 예

- 진원도의 보통기하공차는 지름의 치수공차값과 같게, 반경방향 원주흔들림공차값을 초과하지 않게 지정.

- 치수공차가 없을 때는 보통치수공차값을 적용.

- 치수공차가 있을 때 : 0.1 // 치수공차가 없을 때 : 0.2


34
KUT CSE HPCL KCJ
* 평행도에 대한 보통 기하공차 예

- 평행도의 보통기하공차는 치수 공차 범위내에서 제한되며, 2개의 형체 중 긴 쪽을 데이텀으로 함.

- 보통치수공차(보통급) : ±0.2

- 보통기하공차(평행도) : 0.4mm 이내에서 평행.


35
KUT CSE HPCL KCJ

* memo

- 36
KUT CSE HPCL KCJ
* 직각도에 대한 보통 기하공차 - 1

- 직각을 형성하는 2변 중 긴 쪽을 데이텀으로 지정.

- 보통기하공차(H급) : 0.3mm 이내에서 직각.

- 37
KUT CSE HPCL KCJ

* 직각도에 대한 보통 기하공차 - 2

- 직각을 형성하는 2변 중 긴 쪽을 데이텀으로 지정.

- 보통기하공차(H급) : 0.3mm, 0.2mm 이내에서 직각.

- 38
KUT CSE HPCL KCJ
* 직각도에 대한 보통 기하공차 - 3

- 직각을 형성하는 2변 중 긴 쪽을 데이텀으로 지정.

- 보통기하공차(H급) : 0.2mm 이내에서 직각.

- 39
KUT CSE HPCL KCJ

* 직각도에 대한 보통 기하공차 - 4

- 직각을 형성하는 2변 중 긴 쪽을 데이텀으로 지정.

- 보통기하공차(H급) : 0.3mm 이내에서 직각.

- 40
KUT CSE HPCL KCJ
* 원주흔들림에 대한 보통 기하공차 예

- 데이텀이 지시되지 않을 경우 : 직경이 긴 쪽을 데이텀으로 지정.

- 보통기하공차(K급) : 치수와 관계없이 0.2mm 이내에서 반지름방향(축과 직각방향) 원주흔들림.

- 41
KUT CSE HPCL KCJ

* memo

- 42
KUT CSE HPCL KCJ
* 대칭도에 대한 보통 기하공차 예

- 2개의 형체 중 긴쪽을 데이텀으로 지정.

- 보통기하공차(H급) : 0.5mm 이내에서 대칭.

- 2개의 형체 중 1개가 중심평면을 가질 때나 2개의 축선이 서로 직각일 때 적용.


43
KUT CSE HPCL KCJ

* 길이가 긴 쪽을 데이텀으로 적용한 대칭도에 대한 보통 기하공차

- 어느 쪽이 데이텀일까요 ?

- 2개의 형체 중 1개가 중심평면을 가질 때나 2개의 축선이 서로 직각일 때 적용.


44
KUT CSE HPCL KCJ
* 보통치수공차와 보통기하공차의 적용 예 – 도면상의 지시

- 45
KUT CSE HPCL KCJ

* 보통치수공차와 보통기하공차의 적용 예 - 해석

- 가는 2점 쇄선으로 나타낸 것은 보통치수공차와 보통기하공차의 적용 예.

- 46
KUT CSE HPCL KCJ
* 제도-공차 표시 방식의 기본 원칙
- 제도-공차 표시 방식의 기본 원칙 :

- 치수공차와 기하공차 사이의 관계에 대한 기본원칙을 규정. (KS B 0147)

- 길이에 대한 치수 공차 :

- 형체의 실체치수만을 규제.(기하공차는 규제하지 않음)

- 각도에 대한 치수 공차 :

- 선 or 표면을 구성하고 있는 선분에 대한 각도를 규제.

- 이상적인 기하학적 모양의 접촉선 자세로 결정.

- 기하 공차 :

- 형체의 치수에 관계없이 그 형체의 이론적으로 정확한 모양, 자세, 위치 또는 흔들림에서의 편차를 규

제.

- 개개 형체의 국부 실체 치수와는 독립적으로 적용.

- 기하편차는 그 형체의 가로 단면이 최대실체치수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최대치를 선택할 수 있음.

47
KUT CSE HPCL KCJ

* 치수공차와 기하공차

- 임의의 가로 단면에서 최대실체치수를 갖는 원통축은 진원도공차내에서 변형된 편차를 가질 수

있고, 또 진직도 공차의 크기만큼 굽은 것도 허용됨.


48
- KUT CSE HPCL KCJ
* 포락의 조건
- 형체가 그 최대실체치수에서 완전한 모양의 포락면을 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

- 포락 조건의 기호 : 치수공차 뒤에 기호를 부기.

- 치수와 기하특성의 상호 의존성은 포락의 조건을 사용하여 지시할 수 있음.

49
KUT CSE HPCL KCJ

* 포락 조건에서 규제된 구멍 예

- 완전한 형상일 때 주어진 포락조건에 만족하는 최대치수를 기입하세요.

- 주어진 포락조건에 만족하도록 공차가 적용된 최대 실제치수 및 포락조건 치수를 기입하세요. 50


KUT CSE HPCL KCJ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