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9

+

[서식 1]

신기술 요약 설명자료

접수번호 기술추천-2020-0079 제안자 (주) 현이앤씨

인증구분 ⍌인증신기술 ⍌특 허 □ 실용신안 □ 그 외


건설신기술 제 878호 2019.11.26. ~ 2027.11.25 (8년)
인증번호 / 특허 제1671123호
보호(인증)기간 2015.11.25. ~ 2035.11.25.(20년)
신기술 ㈜현이앤씨, ㈜건화, ㈜삼보기술단, ㈜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무소
권리자
신기술명 Pilot터널을 굴착 후 선지보재를 시공하고 확대굴착하는 터널공법

Pilot터널을 굴착 후 본 터널의 굴착면 방향으로 선지보재(네일 등)를 설치하고 압력그라우


팅으로 양호하지 않은 원지반을 보강한 후에 본 터널을 확대굴착하는 공법으로 후지보재
신기술 개요
(숏크리트, 록볼트 등)와 철근망(SRC,Reinforced Steel Cage) 또는 강지보, 격자지보 등으로
본 터널을 지보하는 기술(갱내선지보터널공법; KPST[Korean Pre-Supported tunneling method])

신기술
형 상

Pilot터널 굴착 시 Mapping을 통하여 지반 상태를 미리 확인할 수 있어 지반 대응이 우수


하고, 선지보 천공홀을 이용하여 발파하므로 천공수량의 감소로 경제적이며, Pilot터널의
자유면을 활용하여 장약량 감소 및 발파진동을 감소시키며, 선지보네일 및 압력그라우팅으
특 징 로 원지반 보강 및 아칭 영역을 확보함으로써 무지보 상태가 없게되므로 종래공법 대비 2
배 이상의 굴진장 증대가 가능하고 갱내에서 볼도의 보조공법이 불필요하여 굴착 공정간
간섭이 없고 굴착 분할수를 줄여 시공의 단순화가 가능하고, 선지보재와 RSC 또는 강지보
재를 지압판으로 체결하므로써 일체화 거동함으로써 영구지보로 작용하는 특징이 있다.

시공시기 공사명 발 주 처 시공규모


청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북일~남일2 건설 공 대전지방 폭 21m,
2018
사 중 백운터널 선지보대단면터널공사 국토관리청 4차로 대단면터널
적용실적 2016
대구국가산업단지 진입도로 건설공사 중 부산지방 폭 22m, 4차로+보도
대리터널 선지보터널공사 국토관리청 대단면터널
(대표실적)
소천~도계2 국도 확장공사 중 도계터널 부산지방 폭14m,
2014
선지보터널보강공사 국토관리청 2차로 터널
고속국도제12호선(5공구) 담양~성산간 폭 25m,
2013 한국도로공사
건설공사 중 유정터널 선지보터널공사 4차로 대단면터널
규 격 가 격 단 위 비 고
가 격 L=6.0m
837,677원 공 당 연암기준
직경 76mm
[서식2]

신기술 설명서

□ 기술명 : Pilot터널을 굴착 후 선지보재를 시공하고


확대굴착하는 터널공법

1. 신기술(or 신제품) 개요
Pilot 터널을 굴착 후 본 터널의 굴착면 방향으로 선지보재(네일,앵커 등)를 설치
하고 압력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양호하지 않은 원지반을 보강한 후에 본 터널을
확대굴착하는 공법으로 후지보재(숏크리트, 록볼트 등)와 철근망(SRC,Reinforced
Steel Cage) 또는 강지보, 격자지보 등으로 본 터널을 지보하는 기술(이하 갱내
선지보터널공법;KPST[Korean Pre-Supported tunneling method])

개요도 구조적 개념 특 징

∙ 굴착 전 이완 영역 전체를 복합
지반체로 구성
∙ 무지보 상태 구간 없이 종방향,
횡방향 아칭효과 발생
∙ 지반 특성에 따라 침투, 맥상그라
우팅 등 주입 가능
∙ 굴착 중 갱내 보조공법 배제, 급
속시공 및 공기단축 가능

2. 신기술(or 신제품) 특징
가) Pilot 터널 굴착 시 지반 상태를 미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지반 조건 변화에
대한 대응이 우수하여 시공성이 뛰어나고, 선지보 빈천공홀 활용하여 발파하므
로 천공수량이 감소하여 경제적이며, Pilot 터널을 자유면으로 활용하여 발파 효
율성 증대에 따른 장약량 감소 및 발파 진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선지보
네일 및 압력그라우팅으로 굴착 전 원지반 보강, 아칭영역을 확보함으로써 무지
보 상태가 없게 되므로 종래공법 대비 2 배 이상의 굴진장 증대가 가능하고, 갱
내에서 별도의 보조공법이 불필요하여 굴착 공정의 간섭이 없고 굴착분할 수를
줄여 시공의 단순화가 가능하다. 굴착 후 선지보네일과의 지보재를 지압판을 연
결하여 체결함으로써 일체화 거동하는 ‘영구 지보로서’ 작용하는 특징이 있다.
나) 시공 절차 및 방법
갱내 선지보 터널공법은 터널 굴착 전에 미리 설치한 선지보재가 굴착에 따른
초기 지반변형과 지반 내 응력을 미리 부담하여 전체 변형량을 줄일 수 있는 공
법으로 시공절차는 아래와 같이 ① Pilot 터널 굴착 → ② 선지보 네일 천공 →
③ 선지보 네일 제작 및 설치 → ④ 팩커 설치 및 압력 그라우팅 ⑤ 본선 터널
확대 굴착 → ⑥ 선지보 지압판 체결순으로 시공한다.
시공절차 시공사진 시공방법
∙ 본 터널 단면 내에 상대적으로 작은
Pilot 터널을 굴착한다.

① Pilot 터널 굴착 ∙ 단면크기의 차이는 Pilot 터널 굴착에


(발파 또는 TBM) 따른 이완영역보다 크게 한다.
∙ 굴착면 맵핑으로 지반상태를 확인하고
선지보 보강패턴에 반영한다.
∙ 천공지름은 75~105mm 이상을
원칙으로 하며 지반이 연약한
경우에는 직경을 증가시킨다.
② 선지보 네일 천공 ∙ 천공장비에 분도기를 장착하여
수직도와 경사도를 맞추어 시공한다.
∙ 천공 공내부를 압축공기로 청소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 선지보 네일을 소정의 위치까지
정확히 삽입하고 그라우트가 정착될때
까지 이동이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③ 선지보 네일 제작
∙ 네일이 천공경의 중앙에 위치하고
및 설치
공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스톱퍼를
최소 2개 이상 1.5~2.0m 간격으로
설치한다.
∙ 그라우팅은 1차로 팩커에 압력주입후
2차로 천공홀 내 그라우팅을 수행한다.
④ 팩커 설치 및 압력
∙ 천공홀 내 그라우트재 채움이
그라우팅
완료되고 오버플로우 되는 것을
확인한 후 압력을 가한다.
∙ 터널의 자유면과 선지보 시공시
Pilot

빈 천공홀을 이용한 발파로


진동영향을 최소화 하면서 본선
⑤ 본선터널확대굴착
터널을 확대굴착 한다.
∙ 상/하반 동시굴착, 굴진장 증대
등으로 급속시공이 가능하다.

∙ 선지보 네일 연결용 지압판을


이용하여 지보와 일체화시킨 후
⑥ 선지보 지압판 체결
숏크리트를 타설하여 RSC, 강지보재
등과 네일을 일체화시킨다.
3. 신기술(or 신제품) 도공기준과의 부합여부

항 목 도공 또는 KS 기준 제안자 비 고

SD400 400 이상 400 이상 MPa

네일항복강도
SD600 600 이상 600 이상 MPa

SD400 16% 이상 16% 이상


네일 연신율
SD600 10% 이상 10% 이상

※ 해당제품의 도공기준의 없는 경우 국가 기준과 비교

4. 신기술(or 신제품) 적용분야


대단면 터널을 저토피, 연약지반등 불리한 지반에서부터 시공이 양호한 지반까
지 선지보네일과 압력 그라우팅으로 안정성을 확보 후 굴착하는 터널공법으로
기존 고속도로의 병렬 터널을 1-Arch 대단면터널로 시공하여 도로 부지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시공이 가능한 공법이다.
5. 신기술(or 신제품) 활용에 따른 기대효과
1) 선지보에 따른 안정성 확보로 굴진장 증대 및 급속시공

∙ 굴착시 종방향의 무지보 구간 범위는


기존기술 1 회 굴진장 + 소성힌지까지임
(NATM) ∙ 무지보구간 안정성 확보를 위해 굴진장을
축소 적용하여 굴착

∙ 굴착시 이미 굴착면 전방에 선지보재가


갱내
설치되어있어 무지보 길이는 굴진장의 임
1/2
선지보
∙ 선지보 효과+무지보 길이 감소로 인해
터널공법
최소 2배이상 무한대 굴진장 증대 가능
수치해석에 의한 선지보 효과 검증(강관다단과 비교)

※ 대단면 터널에서 굴진장 3.0m / 1회 적용으로 급속시공(대리터널)

2) 선지보 네일 길이를 종래 록볼트 보다 훨씬 길게(6~20m 범위) 설치할 수 있


으므로 대단면 터널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에 유리하며 선지보효과로 편평률 축
소가 가능하여 굴착면적 감소에 따른 경제성이 향상됨.

3) 도로가 4 차선 이상일 경우 종래 분리 병설 터널을 하나의 선지보 대단면 터


널로 시공함에 따라 도로 선형을 최적화할 수 있음.

4) 부지면적의 최소화 효과
분리 병설 터널을 1-Arch 선지보 대단면 터널로 변경 시 터널간 이격 거리가
없어 부지 사용면적 절감이 가능하고 저토피 토사에서도 시공 가능하므로 갱구
의 위치를 최적화하여 입·출구부의 절취를 최소화 가능한 효과가 있음.
5) 신기술의 경제성 검토
대구국가산업단지 대리터널 건설공사의 사례를 통한 갱내선지보터널공법과
NATM공법과의 터널 굴착 및 보강 공정의 공사비 비교 결과 직접비 기준 약

15.5%의 절감효과를 보임.

신청기술 기존기술
절감액 절감률(%)
세부공정 (갱내선지보공법) (NATM공법) 비 고
[b-a] [1-a/b]
[a] [b]

1. 굴착 1,340,751,989 1,988,802,557 648,050,568 32.6


1.1 표준단면-1 - - - -
1.2 표준단면-2 332,830,469 391,102,679 58,272,210 14.9
1.3 표준단면-3 298,372,338 396,084,678 97,712,340 24.7
1.4 표준단면-4 490,907,463 873,246,760 382,339,297 43.8
1.5 표준단면-5 218,641,719 328,368,440 109,726,721 33.4
2. 버력처리 181,523,353 191,744,768 10,221,415 5.3
2.1 표준단면-1 - - - -
2.2 표준단면-2 59,338,208 63,380,112 4,041,904 6.4
2.3 표준단면-3 42,001,374 44,670,036 2,668,662 6.0
2.4 표준단면-4 53,365,920 56,211,168 2,845,248 5.1
2.5 표준단면-5 17,976,222 19,089,672 1,113,450 5.8
2.6 숏크리트버력처리 8,841,629 8,393,780 -447,849 -5.3
3. 강지보공 83,014,720 303,114,976 220,100,256 72.6
4. 숏크리트공 461,238,543 443,172,027 -18,066,516 -4.1
4.1 표준단면-1 - - - -
4.2 표준단면-2 90,332,101 87,085,640 -3,246,461 -3.7
4.3 표준단면-3 94,410,140 93,072,442 -1,337,698 -1.4
4.4 표준단면-4 191,397,184 184,481,133 -6,916,051 -3.7
4.5 표준단면-5 85,099,118 78,532,812 -6,566,306 -8.4
5. 락볼트공 272,851,788 344,037,695 71,185,907 20.7
5.1 표준단면-1 - - - -
5.2 표준단면-2 41,831,568 55,097,730 13,266,162 24.1
5.3 표준단면-3 62,887,138 78,334,131 15,446,993 19.7
5.4 표준단면-4 98,086,758 180,243,096 82,156,338 45.6
5.5 표준단면-5 70,046,324 30,362,738 -39,683,586 -130.7
6. 압력그라우팅 1,108,214,752 809,637,222 -298,577,530 -36.9
합 계 3,447,595,145 4,080,509,245 632,914,100 15.5
- 신청기술 적용으로 해당 사업구간 전체 직접공사비 기준15.5% 절감 가능

또한, 갱내선지보공법(KPST공법)과 종래 NATM 공법에 대한 원가계산 집계표


이다. 주요 항목별 절감률을 살펴보면 재료비 10.9%, 노무비 28.4% 및 경비
7.0% 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터널공사비는 약 17.4% 절감효과가 있음.
신청기술 공법 비교대상 공법 절감률
비목 구분
KPST공법 NATM공법 (%)

재 직접재료비 1,198,071,520 1,344,343,631 10.9


료 간접재료비 -
비 소계 1,198,071,520 1,344,343,631 10.9

노 직접노무비 1,338,481,915 1,868,500,483 28.4


무 간접노무비 168,648,721 235,431,060 28.4
비 소계 1,507,130,636 2,103,931,543 28.4
산출경비 911,041,710 867,665,131 -5.0
순 산재보험료 56,517,398 78,897,432 28.4

고용보험료 13,112,036 18,304,204 28.4

비 건강보험료 43,232,965 60,352,565 28.4
경 연금보험료 60,231,686 84,082,521 28.4
비 노인장기요양보험료 3,679,125 5,136,003 28.4
산업안전보건관리비 52,528,893 65,107,900 19.3
환경보전비 31,028,356 36,724,583 15.5
기타경비 213,710,970 272,413,738 21.5
소계 1,385,083,139 1,488,684,077 7.0
계 4,090,285,295 4,936,959,251 17.1
일반관리비 245,417,117 296,217,555 17.1
이윤 470,644,633 583,324,976 19.3
총원가 4,806,347,045 5,816,501,782 17.4
부가가치세 480,634,705 581,650,178 -
합계 5,286,981,750 6,398,151,960 17.4
6. 신청기술의 일반현황
가. 신청기술의 관련 지식재산권 현황

지식재산권명 종류 지식재산권출원인 출원일 출원국/출원번호

서민규
㈜현이앤씨 대한민국/
① 선지보와 후지보를 2015 년
㈜건화 10-2015-0165207
이용한 터널 공법 및 특허 11 월
㈜삼보기술단 등록번호 제10-
(
이에 적합한 장치 ㈜동명기술공단종 25 일
1671123 호)
합건축사무소

㈜현이앤씨
② Pliot 터널을 굴착 후 ㈜건화 2019 년
대한민국/
선지보재를 시공하고 건설신기술 ㈜삼보기술단 11 월
건설신기술 제878호
확대굴착하는 터널공법 ㈜동명기술공단종 26 일
합건축사무소

나. 신청자 재정상태

구 분 신청자 현황 비 고
부채비율 62.07%

신용등급 BB+

다. 신청기술의 적용실적(대표실적 5건 이내)


시공년도 공 사 명 발 주 처 시공규모 비 고

순창~운암(2공구) 도로확장공사중 강진터널 익산지방 폭 21m,


2009 준공
선지보터널공사 국토관리청 4차로 대단면터널

고속국도제12호선(5공구) 담양~성산간 건설공사 폭 25m,


2013 한국도로공사 준공
중 유정터널 선지보터널공사 4차로 대단면터널

소천~도계2 국도 확장공사 중 도계터널 부산지방 폭14m,


2014 준공
선지보터널보강공사 국토관리청 2차로 터널

대구국가산업단지 진입도로 건설공사 중 부산지방 폭 22m,


2016 4차로+보도(1차로) 준공
대리터널 선지보터널공사 국토관리청 대단면터널

청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북일~남일2 건설공사 대전지방 폭 21m,


2018 시공중
중 백운터널 선지보 대단면터널공사 국토관리청 4차로 대단면터널

라. 핵심기자재 생산 체계
“ 공정기술이므로 해당사항 없음”
마. 보유 인력현황
총괄책임자 ∙책임급 2 명
서동현 ∙선임급 4 명
∙원 급 4 명
∙기 타 2 명
( 계 12 명 )

설계팀 연구개발실 기획팀

부책임자 팀장 팀장
한구수 임재영 이태정

과장 팀원 선임
김종성 박종철 추진권

보조(기타) 팀원 보조(기타)
이경희 조현웅 전성희

팀원
김민규

팀원
방영주

바. 인원 채용현황
구 분 보유인력(명) 비고
전체인원 46명 일용직 7인 포함
※ 붙 임 : 4대보험 사업장 가입자 명부
신기술 시방서
신기술 시방서

가. 일반사항

1) 적용범위
본 시방규정은 터널의 중앙에 Pilot 터널을 굴착하여 관통 하고 그 내부에서 본선터널의
굴착 면에 네일로서 선지보 후 확공 굴착하는 터널공법(이하 “갱내 선지보 터널공법”
이라 함)의 재료, 시공방법, 안전, 품질에 관하여 적용한다.

그림 5.1 갱내 선지보 터널공법

가) 적용상의 주의사항
이 시방서의 적용은 설계서와 시방서에서 의도한 뜻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원활한 공사
가 되도록 활용되어야 한다.

나) 관련 기준 및 시방서
본 시방서에서 규정한 내용 이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관련 기준 및 시방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설계 및 시방기준 기준 명 관리기관

설계코드 터널설계기준(2007) 국토교통부

시방코드 터널표준시방서(2015) 국토교통부

- 2 -
다) 적용기준 및 법령
터널건설시 준수하여야 하는 관련법규를 모두 검토하여 해당내용에 위배되지 않도록 설
계·시공되어야 한다.
(1) 환경오염 방지 및 환경보전 관계
(2) 재해방지 관계
(3) 자연 재해대책법 등
(4) 총포․도검․화약류 단속법 및 동법 시행령

라) 참조규격
-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 방법
- KS F 2422 콘크리트에서 절취한 코어 및 보의 강도 시험 방법
- KS L 5201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또는 그라우팅용 시멘트
- KS F 2577 숏크리트용 재료

2) 용어의 정의
(1)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steel fiber reinforced shotcrete) : 숏크리트의 강도 특성
을 보완하기 위하여 강섬유를 혼합하여 타설하는 숏크리트를 말한다.
(2) 갱내 선지보 터널공법 : 최종 터널 굴착단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Pilot 터널을
미리 시공한 후 본선터널 굴착면을 향해 선지보재를 시공하여 이완영역을 보강한
후 본선터널 굴착선까지를 확폭시공하는 선지보 터널공법의 일종으로 Pilot 터널에
서 선지보가 시공되는 터널공법을 말한다.
(3) 계측 : 터널굴착에 따른 주변 지반, 주변 구조물 및 각 지보재의 변위 및 응력의 변
화를 측정하는 방법 또는 그 행위를 말한다.
(4) 굴착공법 : 굴진면 또는 터널굴착방향의 굴착계획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전단면굴착
공법, 분할 굴착공법, 선진도갱굴착공법 등이 있다.
(5) 굴착방법 : 굴진면의 지반을 굴착하는 수단을 말하며 인력굴착, 기계굴착, 파쇄굴착,
발파굴착 방법 등이 있다.
(6) 내공변위량 : 터널굴착으로 발생하는 터널 내공의 변화량으로 통상 내공단면의 축
소량을 양(+)의 값으로 한다.
(7) 단면확폭부 : 일반구간보다 단면이 확폭 변화된 단면구간을 말한다.
(8) 단층 : 지각의 응력에 의하여 생긴 일정 규모 이상의 전단파괴면에서 양측에 상대

- 3 -
적으로 어긋남을 가지는 선상 또는 대상의 부분을 말한다.
(9) 록볼트(rock bolt) : 굴착암반면의 안전보강을 위하여 삽입하는 볼트이며, 암반을
일체화 함으로써 원지반의 안정을 위하여 설치한다. 록볼트의 정착방식에는 선단정
착방식, 전면정착방식 및 병용 방식이 있다.
(10) 버력 : 터널굴착과정에서 발생하는 암석덩어리, 암석조각, 토사 등의 총칭이다.
(11) 벤치(bench) : 터널단면을 상ㆍ하부 분할하여 굴착하는 경우 분할 면을 벤치(bench)라 한다.
(12) 벤치길이 : 분할굴착 시 상부 굴진면과 하부 굴진면 간의 터널 축방향 이격거
리를 말한다.
(13) 변형여유량 : 굴착에 따른 지반변형이 있더라도 계획 내공단면이 확보될 수 있도
록 미리 예상 되는 지반변형량만큼 여유를 두어 굴착하는 내공 반경방향의 여유량
을 말한다.
(14) 선지보재 : 굴착 전 터널의 안정 및 시공의 안전을 위하여 지반을 보강, 지보 또
는 피복하는 부재를 말하며 가압그라우팅과 네일을 의미한다. 선지보 터널공법에
서는 선지보재가 지보재의 역할을 담당하나 굴착후 갱내에서 시공되는 일반적인
지보재(록볼트 및 숏크리트)와 구분하기 위해 선지보재로 표현한다.
(15) 섬유보강 숏크리트(fiber reinforced shotcrete) : 숏크리트의 역학적인 특성을 보
완하기 위하여 강 또는 기타 재질의 섬유를 혼합하여 타설하는 숏크리트를 말한다.
(16) 숏크리트(shotcrete) :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노즐로부터 뿜어내어 소정의 위치에
부착시켜 시공하는 콘크리트를 말한다.
(17) 스프링 라인(spring line) : 터널의 상반 아치의 시작선 또는 터널단면 중 최대 폭
을 형성하는 점을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선을 말한다.
(18) RMR(rock mass rating) 분류 : Bieniawski가 제안한 정량적인 암반 분류방법이
며 암석강도, RQD ,불연속면 간격, 불연속면 상태, 불연속면의 상대적 방향, 지하
수상태를 반영하여 암반 상태를 분류하는 방법을 말한다.
(19) 여굴 : 터널굴착공사에서 계획한 굴착 면보다 더 넓게 굴착된 것을 말한다.
(20) 이완영역 : 터널굴착으로 인하여 터널주변의 지반응력이 재분배되어 다소 느슨한
상태로 되는 범위를 말한다.
(21) 인버트(invert) : 터널단면의 바닥 부분을 통칭하며, 원형터널의 겨우 바닥부 90
˚ 구간의 원호 부분, 마제형 및 난형 터널의 경우 터널 하반의 바닥부분을 지칭
한다. 인버트의 형상에 따라 곡선형 인버트와 직선형 인버트로 분류하며, 인버트
부분의 콘크리트라이닝 타설 유무에 따라 폐합형 콘크리트라이닝과 비폐합형 콘크
리트라이닝 으로 분류한다.
(22) 일상계측 : 일상적인 시공관리를 위하여 실시하는 계측으로서 지표침하, 천단침하,
내공변위 측정 등이 포함된 계측이다.
(23) 주지보재 : 굴착 후 시공하는 지보재로서 보조지보재 및 콘크리트라이닝을 제외한

- 4 -
지보재의 총칭이며 강지보재, 숏크리트 및 록볼트 등으로 구성된다.
(24) 지보재 : 굴착 시 또는 굴착 후에 터널의 안정 및 시공의 안전을 위하여 지반을
지지, 보강 또는 피복하는 부재 또는 그 총칭을 말한다.
(25) 지중변위 : 터널굴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굴착면 주변 지반의 변위로서 터널반경
방향의 변위를 말한다.
(26) 천단침하 : 터널굴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터널 천장의 연직방향 침하를 말하며,
기준점에 대한 하향방향의 절대 침하량을 양(+)의 천단침하량으로 정의한다.
(27) 초기응력 : 굴착 전에 원지반이 가지고 있는 응력을 말한다.
(28) 콘크리트라이닝 : 터널의 가장 내측에 시공되는 무근 또는 철근 콘크리트의 터널
부재를 말한다.
(29) Q-시스템 : 바톤(Barton) 등이 제안한 정량적인 암반 분류의 하나이며 RQD, 절
리군수, 불연속면 거칠기, 불연속면 변화 정도, 지하수에 의한 감소계수, 응력감소
계수 등을 반영하여 암반을 분류하 는 방법을 말한다.
(30) 토피 : 터널 천장으로부터 지표면까지의 연직높이를 말한다.
(31) 표준지보패턴 : 지반의 등급에 따라 미리 표준화한 지보패턴을 지칭한다.
(32) 함수미고결지반 : 신생대 3기 말부터 제4기에 형성된 퇴적물, 암석의 풍화대, 파
쇄대 등의 미고결 또는 물을 포함하고 있어 고결도가 낮은 지반을 말한다.

3) 시공 전 검토사항

가) 지반조건의 확인
(1) 실시설계 단계에서 상세 지반조사 결과를 검토하고 확인한다.
(2) 토피고 및 지반조건에 대하여 검토를 실시하여야 하며 터널단면크기를 사전 검토하
여 갱외 선지보공법 또는 갱내 선지보공법 적용성 및 시공성이 검토되어야 한다.
(3) 선지보 그라우팅시 주변 구조물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검토하여야 한다.
(4) 터널 원지반의 지반 조건을 기록하여 단층대, 지하수에 의한 포화대 여부를 사전
확인하여 대책을 세운 후 시공 되어야 한다.
(5) 진입도로 및 장비의 운영에 필요한 부대설비에 대한 검토를 하여야 한다.
(6) 갱내 선지보 터널공법의 경우 선지보 시공을 위한 Pilot 터널부의 막장부 안정을 위
한 대책을 수립(필요시) 하여야 하며 Pilot 터널 굴착시 현장 암판정을 통해 선지보
보강영역 및 간격의 적정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나) 시공계획
(1) 갱내 선지보 공법이 적용될 현장의 터널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발주자 대리인에게

- 5 -
제출한다. 공사규모와 공사기간, 지반조건과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경제적
인 계획이 되도록 하여야 하며, 시공중 문제가 발생할 때는 계획안의 수정과 변경
이 가능하도록 수립한다.
(2) 선지보재의 설치범위, 시공구간의 품질, 안전, 공정계획, 시공순서, 시공방법 및 인
원, 장비계획, 자재 반입계획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3) 시공계획서 작성 : 공정계획(cycle time), 시공방법, 시공장비의 사양 및 장비 사용계
획, 작업장 배치도), 천공 슬라임 처리계획, 신축이음 시공계획, 방수 및 배수계획, 작
업장 환경 및 안전관리 계획 및 품질관리 계획 등을 포함하여 시공계획서를 작성한다.
(4) 설계검토 보고서 : 설계도면과 현장조건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그 처리대책으로서
해당분야 기술자가 작성한 수정도면, 설계구조계산서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다) 품질관리
(1) 품질확보를 위해 토사지반에서는 현장 확인인발시험을 갱내에서 시행하여 품질시험
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인발 횟수는 보강면적800㎡미만/3회, 800
㎡이상/매300㎡마다 1회의 추가시험을 실시한다.(쏘일-네일 현장인발시험 기준
2009,9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기준)

나. 재료

1) 선지보 재료
(1) 선지보재(인장재)는 강연선, 철근, GRP 및 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2) KS에 규정된 이형봉강 및 강봉 등의 고강도 강재를 사용하며, 철근을 적용시는
SD400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 재료를 사용하고 상기 철근의 파단시 신장율은
16% 이상을 사용한다(SD600인 경우는 신장율 10% 이상을 사용). 철근을 사용할
때는 재료의 항복강도를 적용한다.
(3) 연신율이 작은 GRP 또는 FRP를 설계 적용시는 임시 선지보재로 사용하는 것을 원
칙으로 하고 재료의 허용강도를 적용하여야 한다.
(4) 선지보재는 그 자체가 결함이 없어야 하며 그라우트와의 부착이 양호해야 하므로
유해한 흙, 기름 등을 제거한 후에 사용하여야 한다.
(5) 그라우트 시멘트는 KS L 5201에 적합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시멘트 또는
그라우팅용 시멘트 사용을 기본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혼화재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KS기준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6) 추가 차수가 요구될 때는 고분말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고 장기적인 재료의 안정성
을 확보하려면 용탈이 없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 6 -
(7) 한국산업규격(KS)이 없는 재료는 품질 담당자와 감독의 승인을 거쳐 사용되어야 한다.

다. 갱내 선지보공법의 시공

1) Pilot터널 굴착
(1) 선지보 시공을 위한 Pilot 터널을 굴착하여야 하며 선지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는 본터널의 단면내에 상대적으로 작은 Pilot 터널의 단면이 위치하여야 하며 단면
의 크기 차이는 Pilot 터널의 굴착에 따른 이완영역 보다 커야 한다.
(2) Pilot 터널시공은 선지보 시공을 위한 공간기능 뿐 아니라 사전 지반 현황확인의 기
능도 포함하는 만큼 암판정을 통해 갱내 선지보 적용범위 및 간격의 적정성을 확인
하고 현장암상태가 설계과정과 상이할 경우 현장감독원과 협의 하에 선지보 적용타
입을 변경할 수 있다.
(3) Pilot 터널의 여굴 및 요철이 과다하면 시공 정밀도를 위하여 숏크리트 취부를 통해
굴착면을 정리하고 본터널 굴착면에 대한 정밀시공이 가능하도록 측량을 통해 선지
보재 천공깊이, 위치 등을 표시한다.
(4) 단면이 작고 연장이 긴 지하철의 경우는 천공-발파의 굴착방법을 TBM 기계굴착
으로 시공하여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2) 천공
(1) 천공지름과 천공깊이는 설계도면을 따르며, 지반이 연약하여 정착력이 부족할 것으
로 예상되는 지반의 경우에는 재검토하여 천공홀의 직경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천공지름은 도면에 표시된 지름을 표준으로 하고, 천공 후 일정시간 (선지보재삽입
및 주입 시간) 이내 토사붕괴가 우려되는 구간에는 케이싱을 삽입하여 천공 내부의
토사교란 및 무너짐을 방지해야 한다.
(3) 천공은 설계도서에 표시된 위치, 방향 및 길이를 만족해야 하고 또, 슬라임(slime)
과 순환수에 의해 지층 및 용수(누수)의 유무를 판정하면서 공벽이 크게 손상되지
않도록 신중히 실시해야 한다.
(4) 원 지반이 다공질인 토사 리핑암에서는 팩커의 설치위치를 Pilot터널 원지반에 계획
하여 그라우팅 주입압에 견딜수 있는 깊이에 설치한다. 필요시 재주입을 통해 그라
우팅의 품질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5) 천공은 수직도와 경사도를 맞출 수 있는 분도기가 천공 장비에 장착되어야 한다.
(6) 정 밀 한 각 도 천 공 을 위 해 전 용 천 공 장 비 의 고 정 대 를 P ilo t터 널 천 단
및 바닥에 고정하고 분도기에 의한 각도조정과 예정굴착면의 천공

- 7 -
위치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야 한다.
(7) 천공이 완료된 후에는 선지보재를 삽입하기 전에 공내부에 이물질 존재여부를 확인
하여 이물질이 있을 경우 반드시 공내부를 청소하여야 한다. 공 내부의 청소 시에
는 공벽이 붕괴될 우려가 있으므로 가급적 물을 사용해서는 안되며, 압축공기에 의
하여 이물질을 공의 외부로 밀어내야 한다.
(8) 토사지반에서의 천공 시 공벽붕괴가 발생하는 경우는 케이싱을 사용하여 천공하고
선지보재를 삽입한 후에 제거되어야 한다.
(9) 암반지반에서의 천공시에는 설계시 지층조건의 확인을 위해 암반과 토사의 지반 구
분선을 확인하고 설계조건과 매우 상이한 경우에는 시공 중에 공별로 지반 구분선
을 기록하고 시공중 기록데이터는 터널의 안정 검토에 활용할 수 있다.
(10) 지하수위를 기록하여 터널굴착 시공 중 참고 하여야 한다.

3) 갱내 선지보재의 제작 및 설치
(1) 보강재는 소정의 위치까지 정확히 삽입하고 그라우트가 정착될 때까지 이동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강지보 또는 격자지보의 경간 사이에 시공되도록 오차 범
위를 최소화 한다.
(2) 선지보재의 위치 오차는 터널 굴착면에서 ±30cm 이내가 되도록 한다.(단, 굴착면
에서의 위치를 허용오차 이내로 하기 위해 경사계가 부착된 천공기의 경사도를 설
계각도 기준으로 0.5도 이내로 유지하여 시공관리 하도록 한다.)
(3) 선지보재는 이음매가 없이 한 본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삽입길이
가 길어 어쩔 수 없이 연결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커플러를 사용하여 연결하여야
하며, 용접으로 연결할 경우에는 강재의 성질이 변화되지 않는 특수 접합용접을 하
여야 한다. 커플러 연결을 위한 가공나사 제작 시 연결부 선지보재 강재 단면이 줄
어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선지보재는 삽입 시에 천공경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특수 제작한 스톱
퍼(쐐기체)을 사용하여야 한다. 스톱퍼(쐐기체)는 매 1.5∼2m 마다 설치하여야 하
고 최소 2개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선지보재는 압력그라우팅을 하므로 선지보재와
충전 시멘트밀크의 부착력 확보를 위해 에폭시코팅을 해서는 안된다.
스톱퍼 제작

팩커 제작

(a) 스톱퍼 및 팩커 제작 (b) 네일 제작 전경 (c) 선지보재 삽입


그림 5.2 선지보재 조립 및 삽입 과정

- 8 -
4) 그라우팅
(1) 그라우팅 전에 시험그라우팅을 실시하고 주입압력, 주변 지반에 대한 영향 및 손실
량 등을 파악한 후에 시공해야 한다.
(2) 그라우트재의 혼합은 그라우트 믹서에 의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혼합하는 것으로 하
며 이전의 그라우트재가 완전히 배출한 후가 아니면 다음 재료를 믹서해서는 안 된다.
(3) 혼합된 그라우트는 응결이 시작되기 전에 주입하는 것으로 하며, 응결이 된 그라우
트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4) 그라우팅은 주입펌프에 의해 연속으로 행하여야 한다.
(5) 갱외 선지보 터널공법의 경우 그라우팅은 천공홀의 바닥부분, 가장 낮은 곳부터 주
입하여야 하며, 터널의 외측면에 배치된 선지보재를 선주입 하고, 내부의 선지보재
주입 순서는 격간 시공이 되도록 하여 주입이 균질하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 갱내
선지보 터널공법의 경우 그라우팅은 천공홀내 상단에 위치하는 토출호스 위치보다
아래 부분부터 주입하여야 하며 재료분리 및 그라우팅 유실이 예상될 경우에는 필
요시 재주입 및 양생시간을 고려한 격간 시공을 통해 그라우팅 구근이 형성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6) 그라우팅은 천공, 선지보재 삽입 후 빠른 시간에 실시되어야 하며 공내부 공벽붕괴
및 공동부 발생의 우려가 있을 경우 천공경 보다 작은 케이싱을 사용하여 무압그라
우팅 후 제거하고 그 후 압력그라우팅을 실시한다.
(7) 주입호스는 천공홀의 공저까지 삽입되어야 한다.
(8) 물시멘트비는 48%로 한다. 다만 맥상주입이 필요한 절리가 많은 혈암과 같은 지반
에서는 물시멘트 비를 최대 55%까지 상향 조정 할 수 있다.
(9) 팽창재는 팽창률이 2∼5%가 발생하도록 사용하여야 한다.
(10) 그라우팅 압력은 5~7kg/㎠를 표준으로 한다. 지반조건에 따라 맥상 주입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주입압을 1.5∼2배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표 5.1 팩커의 최대 구동압력 (단위 kgf/㎠)

천공홀 직경(mm)
TPYE 100 105 110 115 120 125

팩커직경 72 Bimbar1 50 45 40 35 30 25

팩커직경 85 Bimbar1 55 50 40 35 35 30

팩커직경 102 Bimbar1 - 80 75 70 70 65

(11) 대기압상태에서 팽창가능한 외경은 180mm로서 천공홀 120mm홀내의 최대 팩커

- 9 -
압력은 35kgf/㎠임. 그라우팅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팩커의 공내압력을
10kg/㎠, 그라우팅 주입압을 7kg/㎠로 하여 압력차 3kg/㎠를 유지하는 것을 원칙
으로 하며 압력차를 통해 그라우팅 누실을 방지한다.
(12) 공내 압력이 오르지 않고 지속적으로 주입이 이루어질 경우 일정시간(t) 후 그라
우팅을 완료한다(맥상그라우팅). 여기서 일정시간은 천공홀내 충전 그라우트량의
2.0배를 주입할 때 까지의 시간이다.

    
 se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공내주입체적    
 
 
  유효경 증가를고려한할증계수        

(단면적의 제곱에 비례)

  맥상그라우팅을 고려한 할증계수
  기타 (공동 또는 침투 그라우팅 할증계수)

 : 그라우팅펌프 분당유량

(13) 그라우팅 펌프는 BY PASS 관을 설치하여 그라우팅 호스에 과압 작용시 그라우


트액이 믹서통으로 월류하도록 하여 과압방지를 하도록 한다. 또는, 정압 유지용
압력센서를 사용한다. 펌프의 기준압력은 가압그라우팅을 위한 5~7kg/㎠에 대해
최대 25kgf/㎠(팩커 최대압력 35kgf/㎠의 71%)를 기준압력으로 한다. 단 압력주
입목적 및 현장여건에 따라 변동가능하다.
(14) 천공홀 심도가 깊은곳은 nail을 설치하고 팩커에 주입호스가 체결되도록 시공하여
야 한다.

표 5.2 Grouting 배합비 (   =210kg/㎠)

시멘트(kg) 물(ℓ) W/C(%) 팽창제(kg) 비 고

14.0
1,400 672 48
시멘트량의 1%

시멘트량의 산출
 
물(W) + 시멘트(C) = 0.48(C) + 
시멘트비중
= 1㎥ = (0.48 + 

) C
∴ C = 1,400kg ≒ 1,400kg
* W/C는 현장 여건에 따라 조정 가능하다.

- 10 -
5) 지압판의 설치
(1) 선지보재와 쉘구조는 힌지구조로 결합한다.
- 부득이 강관다단과 중복하여 보강 할 때는 연결하지 않는다.
- 연결은 스틸리브 또는 격자지보 사이를 두 개의 철근으로 연결하고 이 연결 철근
사이를 슬라이딩이 가능한 지압판으로 선지보재와 결합하여 체결하고 숏크리트를
취부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지압판의 설치는 터널 굴착 후 지보 설치와 동시에 이
루어짐을 원칙으로 한다.
(2) 본 공정에 사용되는 지압판은 숏크리트와 강지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서에
표기된 규격으로 시공을 실시한다.
(3) 지보설치 구간에 대해서는 터널 굴착면보다 선지보재를 길게(터널 굴착면으로 부터
의 선지보재 돌출 길이는 50cm이상을 원칙으로 하며 지반조건에 따라 돌출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설치한 후 이를 지보와 연결되도록 지압판에 철근을 조립하여
체결시킨다.
(4) 지보연결용 철근은 지보의 종방향 간격의 길이만큼을 1쌍(2EA)씩 사용하며 설치
후 숏크리트를 취부하여 지보와 일체화시킨다.
(5) 격자지보, 스틸리브가 없는 경우는 선지보용 지압판에 버팀용 철근을 삽입하여 설
치후 숏크리트에 묻히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그림 5.3 지압판 설치 개념도 및 상세도

(5) 지보연결용 철근과 강지보재(H형강, 격자지보, RSC 등)와의 연결방법은 결속선으


로 고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지압판의 너트를 조여서 움직이지 않도록한 상태
에서 숏크리트를 지압판 하부로 밀실하게 채우고 연결철근이 묻히도록 취부하는 것
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대단면 터널에서 강지보를 거치할 때 뒤틀리거나 자립이
어려운 경우와 대단면에 따른 처짐이 발생할 때는 연결철근과 스틸리브를 용접하여

- 11 -
견고하게 시공하도록 하여야 한다.

(a) 연결철근의 결속선 고정 (b) 연결철근의 용접 고정

그림 5.4 버팀용 연결철근과 강지보재의 연결방법


(6) 균열 및 내공변위가 미소하여 기존 지보재(숏크리트, 강지보재)를 철거하지 않는
구간에 대하여 선지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선지보 설치 후 3cm내외의 숏크리트를
추가로 취부하여야 한다.
(6) RSC(Reinforcing Steel Cage)
- 미고결지반이나 지반조건이 불량한 구간, 단면 규모가 큰 경우 등에서 스틸리브
또는 격자지보 대신 RSC를 적용하여 터널 안정성 향상 및 보강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 용수가 많은 경우에는 RSC의 배면에 원활한 배수가 되도록 띠형 배수재를 천단
부부터 이어서 설치하여야 한다.
- RSC는 선지보재에 선지보 지압판 또는 일반 지압판으로 결착 설치한다.
- RSC에 숏크리트를 타설시는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진행하여 취부한다.
- RSC 격자망 철근은 숏트리트 타설 전에 터널 굴착면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용접
또는 결속선을 연결하여 고정하여야 한다.
- 용접으로 고정하는 경우에는 격자망이 유지될 수 있는 최소의 강도로 하여 모재
손상이 가능한 한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용접후 철근의 인장강도는
3,000kgf/㎠ 이상이 되어야 함).
- RSC에 사용되는 재료는 KS에 규정된 이형봉강 및 강봉 등의 강재를 사용하며,
철근을 적용시는 SD300 또는 그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 재료를 사용하고 상기
철근의 파단시 신장율은 16% 이상을 사용한다(SD600인 경우는 신장율 10% 이
상을 사용).

- 12 -
그림 5.5 RSC의 설치 개념도

라. 시공시 유의사항

1) 선지보재 설치시 문제
(1) 선지보재를 설치할 때 발생하는 문제는 지반, 지하수상태, 시간, 장비와 밀접한 관
계가 있다.
(2) 선지보재가 설계도에 명시된 깊이까지 삽입되지 않을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
우는 충분한 깊이까지 천공되지 않았거나 천공구멍이 중간에서 함몰되었을 때 발생
한다. 그래서 천공구멍의 깊이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는 설계도에 명시된 깊이까지
재 천공을 하고 천공 구멍이 함몰될 경우는 시공자는 반드시 재 천공 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3) 천공 구멍이 설계도에 명시된 설계 각도나 위치로 천공되도록 한다.
(4) 천공하는 동안 지장물로 인하여 설계 깊이까지 천공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한다.
공사중 설계서와 다른 지장물을 발견하였을 경우, 지장물 계측, 탐사 등을 통하여
상세한 내용이 포함된 지장물 조서 작성 및 대책을 수립한 후, 건설사업관리자 및
공사감독관에 즉시 보고하여야 한다. 감독관 또는 감리자는 선지보재를 설치할 새
로운 지점을 선정해 주어야 한다. 이때 선지보재는 가능한 터널 굴착면에 등간으로
위치 되도록 하고 선지보재 삽입을 위한 천공각도만을 조정한다
(5) 벤토나이트는 천공벽면에 막을 형성하여 마찰력을 감소시켜서 그라우트와 지반이

- 13 -
단단하게 결속되지 못하게 하므로 HOLE 안에서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6) 그라우팅시 인접 천공구멍으로 누액이 발생할 경우 천공홀 간격을 넓혀 격간시공을
하여야 한다.

2) 선지보 선지보재의 시공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가) 지반붕괴 징후
(1) ROD를 빼기 힘들다.
(2) 천공구멍의 깊이가 진전이 없는데 배출되는 토사의 양이 많다.
(3) 다른 천공구멍과 비교해서 비정상적으로 토사의 양이 많다.
(4) 천공위치의 상부지반이 침하한다.

나) 천공홀에 지하수위 형성
(1) ROD를 빼낼 때 천공구멍이 함몰되지 않으나 지하수가 존재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감독관 또는 감리자와 반드시 논의 하여야 하고, 시
공자는 천공후 즉시 네일 삽입 등 적당한 천공/삽입 작업방법을 제시하여야 한다.
(2) 상기의 경우 천공 구멍안의 지하수 깊이, 지반 종류, 천공후 그라우팅 작업시까지의
시간 간격, NAIL 시공위치를 감독관 또는 감리자에게 보고하여 안정성이 확보되는
시공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마. 품질관리

1) 점성도 시험
점성도 시험은 Flow Cone에 의하여 한다. Flow Time의 측정은 배합 후 15분 후에 실
시하여 12초에서 21초 이내이어야 한다. 단, 맥상그라우팅 효과를 위해서 w/c 배합비를
48%보다 크게 하여 주입시는 제외 한다.

2) 팽창성 및 블리딩 시험
팽창성 및 블리딩 시험(KSF 2414)은 직경 10cm의 Plexiglass용기를 사용한다. 측정
은 3시간 후와 24시간 후에 실시하여 아래 값을 측정한다.

- 14 -

․팽창율 (%) :  × 


․블리딩 (%) :  × 

(a) 점성도 시험 (b) 팽창성 및 블리딩 시험

그림 5.6 점성도 시험, 팽창성 및 블리딩 시험 방법

- 15 -
3) 인발시험
토사 및 취약터널에 대해 시공된 선지보재에 대한 인발시험은 반력지반의 이완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현장조건이 비슷한 시공외 구간에서 실시함을 원칙으로 한다. 단,
적절한 시공외 구간이 없을 경우에는 현장 감독원과 협의 하에 시공구간에 대하여 주변
지반의 파괴 없이 선지보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는 확인인발시험 또는 인장시험으로 대
체할 수 있다.시공된 선지보재에 대한 품질확인을 위해 현장감독원과의 협의
하에 인장시험을 수행하여 선지보재의 설계 하중 만족여부를 확인한다.

4) 육안조사
갱내 굴착시 선지보 네일의 그라우팅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인발시험과 육안판
정으로 확인한다. 품질관리에 문제 발생시는 그라우팅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시공방안을
강구하여 감리자의 승인을 득한 후 시행하여야 한다.

5) 그라우트의 품질관리
그라우트에 대한 품질시험(KS L 5105)은 일축압축시험용 몰드(50×50×50mm)를
사용하여 시험용 공시체를 만든 후 시험하며 그라우트의 강도는 설계에서 요구하는 강
도 이상이어야 한다 (그라우트 28일 강도는 21Mpa 이상이어야 한다).
서식

단가산출 집계표

□ 갱내선지보공법

구 분 공 종 명 규 격 수량 단 위 재 료 비 노 무 비 경 비 합 계 비 고
L=6.0m
1 갱내선지보 (보통암) 1 공 279,793 391,741 298,462 969,996 # 산근1
ⵁ76mm
L=6.0m
2 갱내선지보 (연 암) 1 공 263,804 331,775 242,098 837,677 # 산근2
ⵁ76mm
L=6.0m
3 갱내선지보 (풍화암) 1 공 299,168 422,669 344,175 1,066,012 # 산근3
ⵁ105mm
L=8.0m
4 갱내선지보 (보통암) 1 공 335,809 494,410 406,758 1,236,977 # 산근4
ⵁ76mm
L=8.0m
5 갱내선지보 (연 암) 1 공 292,550 404,124 328,447 1,025,121 # 산근5
ⵁ76mm
L=8.0m
6 갱내선지보 (풍화암) 1 공 362,086 543,746 469,271 1,375,103 # 산근6
ⵁ105mm
# 산근1
# 산근2
# 산근3
# 산근4
# 산근5
# 산근6
# 산근7
# 산근8
# 산근9
# 산근10
# 산근11
# 산근12
# 산근13
# 산근14
# 산근15
서식

신기술 대표 적용실적(5건 이내)



번 호 발 주 처 원도급사 공 사 명 시공규모 공 사 기 간 계약금액

대전지방 청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북일~남일2
1 이수건설 L=36m 18.5.08~20.7.31 11,327,800,000
국토관리청 건설공사중 선지보터널공사
부산지방 대구국가산업단지 진입도로 건설공사
2 아시아기업 L=241m 15.11.2~17.2.28 4,751,000,000
국토관리청 중 대리터널 선지보터널공사
부산지방 소천~도계2 국도 확장공사 중 도계터
3 현대건설 L=154m 14.11.6~16.3.31 3,587,100,000
국토관리청 널 선지보터널보강공사
고속국도제12호선(5공구) 담양~성산간
4 한국도로공사 현대산업개발 L=56m 13.10.28~15.4.30 1,340,801,000
건설공사중 유정터널 선지보터널공사
익산지방 순창~운암(2공구) 도로확장공사중 강진
5 현대산업개발 L=158m 09.12.24~10.6.30 97,570,000
국토관리청 터널 선지보터널공사

붙 임 : 적용실적 증빙서류(실적확인서, 하도급 계약서, 자재납품 계약서 등) 별첨


서식

道公기술마켓 신기술 등록 동의서


[신기술의 권리자가 다수인 경우]

□ 신기술명 터널을 굴착 후 선지보재를 시공하고 확대굴착하는 터널공법

□ 인증번호 건설신기술 호

□ 권리권자 ㈜현이앤씨 ㈜건화 ㈜삼보기술단 ㈜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무소

□ 대표권리자 ㈜현이앤씨

신기술 등록 및 활용 절차에 대한 동의 필수

도공기술마켓 신기술 등록에 있어 대표권리자 주 현이앤씨 가 동일권리권

자 개발자 특허권자 전용실시권자 를 대표하여 위 신기술을 도공기술마켓

에 등록 하는 것에 동의하며 이후 진행되는 모든절차는 접수 검토 심의 사

용 사후평가 취소 등 포함 신기술 관련 법령 한국도로공사의 관련 규정

및 기준 신기술 도입 및 적용 업무처리기준 에 따라 처리됨을 확약합니다

아울러 한국도로공사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를 위한 신기술의 채택

사용에 있어 신기술 관련자의 부정청탁 알선 사용압력 등 비위행위

적발시 관련 절차에 따라 조치됩니다

⍌ 위의 내용에 읽어 보았으며 내용에 동의합니다

※ 동의할 경우 네모칸에 체크 해주시기 바라며, 동의하지 않을 경우 신기술


등록이 진행되지 않습니다.
입력된 정보 활용 및 외부공개에 대한 동의 선택

도공기술마켓 신기술 등록에 있어 등록한 정보 는 등록한 신기술의 판로

지원을 위해 한국도로공사 내부직원 및 외부포털을 통해 가입한 회원

타발주청 신기술 보유자 및 개발자 시공사 설계사 개인 등 을 대

상으로 공개됩니다

* 등록한 정보
- 기업정보(법인번호, 재무상태, 대표자 성함 및 연락처, 담당자 성함 및
연락처, E-mail 주소)
- 등록한 신기술의 정보(첨부파일)
ㆍ신기술 요약설명서
ㆍ신기술 설명서
ㆍ관련기술자료(관련도면, 공인기관 시험성적서, 성능인증서, 시방서 등)
ㆍ신기술 단가증빙자료(단가산출집계표, 단가산출서 등)
ㆍ기타 증빙서류(사업자 등록증, 인증서, 신용평가등급확인서, 신기술 적용
실적, 신기술 등록동의서, 핵심자제 공급쳬게 증빙서류, 외산자재 권원
증빙서류, 신기술 적용실적 증빙서류 등)
ㆍ그 밖의 신청자가 기술홍보 등을 위해 필요하다고 첨부한 자료 일체
⍌ 위의 내용에 읽어 보았으며 내용에 동의합니다

※ 동의할 경우 네모칸에 체크 해주시기 바라며, 동의하지 않을 경우 한국도로


공사 내부직원에게만 공개 됩니다.

2020년 03월 20일

신청인(권리권자) : 주식회사 현이앤씨 (인)

신청인(권리권자) : 주식회사 건화 (인)

신청인(권리권자) :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인)

신청인(권리권자) : 주식회사 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무소 (인)


1/1

http://sminfo.mss.go.kr/sc/sq/SSQ020R7.pop 2020-04-2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