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쫑카파 대사의 깨달음의 노래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옴, 모든 이들이 평안하길!

세상의 선취와 해탈을 보는 눈


윤회를 떠돌다 지친 몸 편히 쉴 수 있는 안식처,
행복의 전당, 고마운 스승,
존귀한 지혜의 보고(문수보살)께 예경합니다.

첫째, 다양한 가르침을 폭넓게 듣고 탐구하라.

다른 사람이 행한 선행을 함께 기뻐하는 것은


작은 노력으로 큰 자량을 쌓는 최고의 방법.
과거에 내가 지은 선업에 대한 교만심은 버리고
기쁜 마음을 크게 일으켜
부처님의 가르침을 익히기 위해 노력하고
과거에 지은 선업을 증장하겠다는 서원을 세워야 한다.

초기엔 다양하게 많이 들으려고 했다.


그리고 모든 가르침을 받아 사유했다.
궁극엔 주야로 정진했다.
그리고 불법이 융성하기를 바라며 회향했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어두운 아둔함을 골라 버리고


바른 법을 청해 들어 법의 등불을 잘 간직하면
최상 해탈의 도시로 들어서니
길을 모를 수 없다.
미륵보살과 여섯 장엄으로 알려진 분1들과 수승한 두 분2의 가르침을
대충 보거나 한 부분만 보지 않고
전부 꼼꼼하게 공부했다.

1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특히 해탈을 목표로 삼는 사람이


사물의 이치를 확립하는 유일한 방법은
완전한 논리학의 핵심을
거듭 거듭 배우는 것이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현교와 밀교 경전을 배우기 위해 애썼고


심오한 뜻을 수행하고 가르쳤지만
배운 바 없으며 알지 못한 견해의 이치를
넘어서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용수보살이 주신 가르침,
깊이 분석하여 세밀하게 정립한 논리학으로
정견이 이끈 핵심을
제대로 배웠고 (비로소) 의심이 끊어졌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부처가 되는 길은 두 가지
심오한 금강승과 바라밀승3이다.
금강승은 바라밀승보다 뛰어나니
이는 해와 달과 같다.
이것이 진실이라면
심오한 금강승을 탐구하고
법을 구하지 않는 이가 있다면
심지어 그가 스스로를 지혜로운 이라 자청한다면
이보다 어리석은 일이 어디 있겠는가?

참으로 만나기 어렵고, 이보다 뛰어난 길이 없는데


이렇게 외면하는 것이 너무 놀랍다.
그러므로 부처님의 최상 밀의승
부처님보다도 귀한 금강승

2
성취의 보고인 이 심오한 두 길에 입문해
오랫동안 수없이 정진했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하위 삼종(소작, 행, 요가) 수행법도 모르면서


무상요가4를 최상의 밀교 수행법이라 확신하는 것은
그저 말일 뿐인 것.

보편적이고 개별적인 세 종류5의 소작 탄트라 경전인


『밀의총서6』 『소실지경蘇悉地経7』
『묘비보살소문경妙臂菩薩所問経8』『선정후차제분禅定後次9』을
오랫동안 배우고 익혔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두 번째 행 탄트라의 주 경전인『대일경大日経10』을
배우고 익혀 행 탄트라를 올바르게 알았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세 번째 요가 탄트라의 주 경전인 『진지섭경真実摂経11』과


해석서인 『금강정경金剛頂経12』등을
배우고 익혀 요가 탄트라의 정수를 맛보았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네 번째 무상 요가 탄트라,
인도 성자들에게 해와 달과 같은 존재로 알려진
부계13 전통의 구햐사마자와 모계 전통의 헤바즈라, 차크라삼바바 등의
근본밀의경과 주석이 있고,
일반 금강승경과는 다른 해석을 담고 있는
깔라차크라밀의경과 해석서『무구광無垢光14』을 공부했다.

3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여기까지는 먼저 다양한 가르침을 폭넓게 듣고 탐구하는 것의 중요함을 설명한 첫


번째 장이다.

둘째, 모든 경전을 이해하라.

중생의 어리석음을 제거하는


최고의 (스승) 문수보살을 향해
영원히 변치 않는 굳건하고 견고한 신심 일으켜
모든 법이 수행으로 이어지도록
간절히 기도하고 (깨달음의) 모든 원인을 닦으려고 노력했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이런 노력으로 용수보살과 무착보살으로부터


전승된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수행법에
확신을 지니니
심오한 반야바라밀의 정수를 얻게 되었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이 북쪽 땅에 사는,
인명학을 배웠거나 배우지 못한 자들이 한 목소리로
“『집량론 集量論15』과『인명칠론 因明七論16』에는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차제가 없다.”라고 했다.
하지만 문수보살은 진나보살에게 직접 이렇게 말씀하셨다.
“이 논서는 미래에 모든 중생의 눈이 되어줄 것이니 논서를 집필하라.”
(나는) 이 말씀을 받들어서
(사람들의 주장이) 완전히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아
더 깊이 인명학의 이치를 탐구했다.
『집량론』에 실려 있는 예경문에 나와 있듯이
바른 인식을 하는 수순과 역순의 차제를 통해

4
해탈을 확신하고 추구하게 되었다.
세존이야말로 바른 인식을 지닌 분.
올바른 논리를 통해 올바른 인식을 지닌
부처님만이 해탈의 길이라는 확신을
마음 깊이 지니게 되었다.
두 승二乗 차제의 핵심을 집약하고
논리적으로 관찰하여 특별한 기쁨을 얻었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보살지 菩薩地17』와『대승장엄경론 大乗荘厳経論18』을


잘 배워 가르침대로 정진하였으며
미륵보살과 그의 제자들이 쓴 모든 저서에 실린
가르침대로 수행하였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심오하고 광대한 모든 경전을 단계별로 배열하여


모든 사람이 도의 핵심을 이해하도록 한
산티데바보살의『대승집보살학론 大乘集菩薩學論19』을 의지했고
용수보살의 『대승집보살경론 大乘集菩薩經論20』을 비롯해
많은 훌륭한 저서들의 의미를
제대로 정확하게 배우고 익히는 차제를 보았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붓다구햐(Buddhaguhya)보살이 잘 설명한
『선정후차제분禅定後次第分』과 『대일경大日経』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도의 모든 핵심을 이해했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5
수승한 『진지섭경真実摂経』의 핵심이
세 가지 선정으로 요약됨을 아는 것은 다소 쉽지만
이 도의 심오한 뜻인 수행법은 깨닫기 어렵기에
붓다구햐 성인이
근본경과 주석과 수행을 통합해
이치대로 설명했다.
단계별로 설명한 (하위) 삼종의
심오한 수행법들을 통해 마음의 어리석음을 제거했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부처님께서 주신 궁극의 설법은


수승한 무상 요가 탄트라.
그 중에서도, 왕과 같은, 가장 심오한 것은
수승한 구햐사마자(비밀집회 탄트라)이다.
대학자 용수보살은 이렇게 설명했다.
“근본밀의경에서 도의 핵심을
6 가지 경계21와 4 가지 방식22으로 존재한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밀의경의 해석이 기반이 되고
스승의 가르침이 있어야만 알 수 있다.”

이 가르침을 핵심으로 삼아
『근본밀의석23』, 『행집등론行集燈論24』『수도론修道論25』등
비밀 집회의 전부를 오랫동안
세세하게 배우고 익혀
근본 밀의경을 환하게 밝힌 해석26을 배우고,
더불어 5 가지 해석서27를
잘 통합하여 열심히 배우고 익혔다.
이렇게 배우고 익히니 비밀 집회의 일반적인 두 차제와
특별한 완성 차제28를 전부 발견하게 되었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이렇게 하니 삼바라, 헤바즈라, 칼라차크라와 같은


많은 밀의의 핵심이 이해가 되었고

6
이런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었으나
이것은 지혜로운 자에게 문을 열어 주는 일일 뿐이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여기까지는 모든 경전을 이해해야 함을 설명한 두 번째 장이다.

셋째, 주야로 수행하고, 모든 선업을 회향하라.

이와 같이 가르침의 보고인 금강승과 바라밀승의


공통적인 도와 공통적이지 않는 도의
핵심을 집약한 가르침을 수행했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갠지스강 강물처럼 보살의 기도는


정법을 수지하는 서원이 된다 했으니
내가 지은 선업 모두
불법이 융성해지는 데 회향했다.

돌이켜보니 나는 목표를 성취했다.


감사합니다! 지혜의 보고시여!

여기까지는 주야로 수행하고 불법이 융성하는데 모든 선업을 회향하는 것을


설명한 세 번째 장이다.

자신의 선업을 확장하고


사리 분별이 분명한 많은 선우들에게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올바른 길을 보여주기 위해
나의 깨달음에 대해 이렇게 말하였다.

이와 같이 얻은 선업들
이런 차제를 통해 모든 중생,
부처님의 위 없는 수행을 잘 따라
부처님께서 기뻐하는 길에 들어서게 하소서!

7
다문 비구 쫑카파 롭상닥빠는 동쪽 독리산에 위치한 간덴사원에서 수행담을 들려주고 까시빠 린첸
뻴이 이것을 받아 적었습니다. 불법이 언제나, 어디에든 전해지게 하소서!

2021 년 5 월 양지애가 번역했습니다.

1
나가르주나(용수), 아리야데바(제바), 아상가(무착), 바수반두(세친), 디그나가(진나), 다르마끼르띠(법칭)
2
구나쁘라바(공덕광), 샤꺄쁘라바(석가광)
3
바라밀승은 현교를 의미하며, 금강승은 밀교를 의미한다.
4
4 종 탄트라 – 소작(끄리야:내적 수행보다 외적 수행을 더 중시한다), 행(짜리야:내적 수행과 외적 수행의
비중이 동일하다), 요가(요가:외적 수행보다는 내적 수행을 더 중시한다), 무상요가 탄트라(아누따라요가:
오로지 내적 수행만을 중요하게 여긴다)
5
소작탄트라에서 설명하는 3 종 본존: 여래종(문수불), 연화종(관세음불), 금강종(바즈라요기니)
6
밀의총서 Samanya Vidhiramguhyatantra
7
소실지경蘇悉地経 Susidhi
8
묘비보살소문경妙臂菩薩所問経 Subahupariprccha
9
선정후차제분禅定後次 Dhyanottara
10
대일비로자나밀의경 大日経 Vairocanabhisambodhi
11
진지섭경真実摂経 Tattvasamgraha
12
금강정경金剛頂経 Vajrashekhara
13
부계 전통 수행법이란 환신 성취를 목표로 하는 수행법을 의미하며, 모계 전통 수행법은 광명 성취를
목표로 하는 수행법을 의미한다.
14
무구광석 無垢光 Vimalaprabha – 칼라차크라 주석
15
집량론 集量論 Pramanasamuccaya 진나 저
16
법칭보살이 지은 7 권의 주석 –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저서가 양평석(量評釋)이다.
17
보살지 菩薩地 Bodhisattvabhumi 아상가 저
18
대승장엄경론 大乗荘厳経論 Sutralamkara 미륵 저
19
대승집보살학론 大乘集菩薩學論 Shikshasamuccaya 샨티데바 저
20
대승집보살경론 大乘集菩薩經論 Sutrasamuccaya 나가르주나 저
21
요의, 불요의, 직접적 의미, 비유적 의미, 사실인 말, 사실이 아닌 말
22
문자적 의미, 일반적 의미, 숨겨진 의미, 궁극적 의미
23
수습요의론 Pindavidhisadhana 용수보살 저
24
행집등론行集燈論 Charyamelapakapradipa 아리야데바 저
25
오종수도론 修道論 Samajasadhanavyavasthali 나가보디 저
26
오종등론 燈論 Pradipodyotana 찬드라끼르띠 저
27
구햐사마자 근본밀의경의 5 권의 주석서
28
미완성차제(생기차제)와 완성차제(원만차제)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