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학습포트폴리오

• 수업에서 지정한 마감일까지 학습포트폴리오를 작성하여 경희대학교 e-campus에 제출해주세요.


• 워드나 pdf 파일로 첨부해주세요.
• 파일명: 회차_학번_성명

-과목명 : 법경제학(Law and Economics)

-성 명 : 김세민

-학 번 : 2018103811

-회 차 : 3회차

1. 내용
(수업내용 요약 및 정리)
2. 느낀 점

사회적 현상을 (계약의 체결 및 이행) 여러가지 변인으로 설정하고, 수식을 사용하여 효율적인지
의 여부를 논하는 것이 처음에는 머리가 아프다고 생각했는데 이제 조금 재미있게 느껴졌습니다.
동아리에서 토론을 하다보면 ‘~~무엇이 정당한가?’ 에 대한 논의를 하게 될 때가 많은데 단순히
~~한 이유로 정당하지 않다. 혹은 과도한 사회적 비용을 요구한다 식의 주장이 아닌 해당 내용을
수식을 사용하여 논증할 수 있으면 훨씬 더 유용한 논의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도의 성립을 논할 때, 정당한가 (혹은 정의로운가)가 아니라 사회적 효율성을 따지는 것에 처


음에는 거부감이 살짝 있었습니다. 비인간적이라는 생각도 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사회에서 제
도를 수행하고 (복지 등), 사회를 유지함에 있어서 효율성을 빼놓고 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생
각이 들었습니다. 정당성과 효율성의 균형을 모색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비효율적
이라는 이유로 사회적으로 정당한 제도를 채택하지 않는 것이 과연 올바른 일일까에 대한 의문이
들었고, 동시에 비효율적인데 사회적으로 정당하다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3. 향후 계획

동아리에서 진행하는 다음 토론의 주제가 ‘외교관의 면책특권의 인정범위의 한정’ 그리고 ‘코로
나 19 백신 부작용에 대한 국가 보상의 현행 기준의 적정성’ 입니다. 해당 주제의 입론서를 작성
하고 검토함에 있어 효율성 문제를 검토해보고 수식을 만들 수 있다면 만들어보고자 합니다.

(위 성찰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 수행해야 할 활동 계획)

4. 질문

1) 계약법의 두번째 케이스 강의자료에서, 의사와 흉터를 제거하는 – 가슴의 피부를 손에 이식하
는 계약을 하였는데 계약 체결 이후 오히려 더 끔찍한 상황이 되었다면, 계약의 불완전한 이행
혹은 계약의 파기로 볼 수도 있지만 불법행위로 볼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의사가 충분히 주의를 기울일 의무가 있었는데 해당 의무를 다하지 않아 수술의 결과가 좋지 않
게 나오는 손해가 발생했다고 보아도 괜찮지 않을까요…?

2) 최근 발생하고 있는 코로나 백신부작용의 경우에도 무인책임의 원칙을 적용할 수 있을까요?


만일 무인책임의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면 그 책임의 주체는 국가가 되어야 하는지, 백신을 제조
한 회사가 지는 것이 정당한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3) 징벌적 손해배상과 관련하여, 최근 언론중재법의징벌적 손해배상이 문제가 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 해당 조항을 적용하게 될 경우 언론의 자유가 과도하게 억압될 수 있다
는 점에서 기본권 위반의 차원에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징벌적 손해배상
을 적용함으로써 언론의 오보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서 사람들의 효용이 증가한다면 징벌적 손해
배상을 언론중재법에 적용하는 게 기본권 차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더라도 효율적일수도 있다는
주장을 할 수 있을까요?

4) 계약법 사례 첫번째 강의자료에서, A의 토지가 아님에도 A의 토지인 줄 알고 통행료를 받았


다면, (B와 통행료를 받는 계약을 체결했다면 B의 경우 (이 사건 결말이 어떻게 되었는지 모르겠
지만) A가 법적 근원 없이 이익을 취한 것이므로 B가 부당이득반환 혹은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방
식으로는 해결방법에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할까요? 계약의 유, 무효를 다투는 것이 아니라 A가
그동안 취해온 이익을 B의 입장에서 반환을 청구할 수도 있을까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