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보고서

전 지구적 환경문제 ”산성비“

탐구 동기 :: 통합사회 교과 시간에 배웠던 ”II. 자연환경과 생활“ 부분에서 전지적 환경문제인


산성비 부분에서 관련 내용을 공부하던 도중, 토양을 황폐화하고, 건물을 부식시키고, 심지어
인류의 폐 질환을 일으키기까지 하는 산성비를 탐구해보고, 해결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탐구하였다.

-산성-
물에 녹으면 수소이온(H+)을 내놓는 성질이 있으며 공통으로 신맛을 내는 특징이 있다.

-산성비-
산성비란 흔히들 수소이온 농도, 즉 PH농도가 5.6 미만인 비를 산성비라고 한다. (pH 농도가 7
미만인 물질은 모두 산성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비는 대체로 약산성이다. (pH 농도가 5.6~6.4) 하지만 산성비는 이 일반적인
약 산성도보다도 훨씬 강한 산성이다.

-산성비의 심각성-

산성으로 풍화된 조각상이다. 산성비는 강한 산성이 아니라도,


약산성물질에 장기적으로 노출되면 옆 그림과 같이 조각상이
부식 될 수도 있다.

이 말고도 산성비는 인류에게는 폐 질환을 토양에는 산성화를, 건물의 부식을, 수생 생태계


감소를 가져온다. 산성비의 심각성에 대해 좀 더 알아보기 위해 뉴스 기사를 읽었다.

산성비를 다룬 뉴스기사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514731&ref=A
-> 상반기 제주지역에 내린 비의 90% 이상이 산성비였다. 비가 내렸던 10번 중 9번은 산성비로
내렸다는 점이다. (구체적인 수치는 47일)

산성비를 소재로 한 게임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237997&site=indie
레인 월드(Rain World) 라는 이 게임은 슬러그캣인 주인공 고양이가 살아가는 게임이다.
산성비를 소재로 한 게임이기에 게임의 배경화면이나, 음악, 아이콘 등이 모두 산성비로
폐해가 된 도시를 잘 보여준다..

다음장
-산성비 문제를 많이 해결해준 촉매컨버터-

자동차와 공장에서 산성 물질 배출량을 줄여주는데 가장 큰 공을 들인 촉매컨버터이다.


촉매컨버터는 산화환원반응을 촉진하여 독성이 강한 물질을 저독성 물질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액체 상태의 석회석을 추가하여 이산화 황이 석회석과 반응하여 아황산 칼슘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직접 만들어본 산성저하 스프레이- (직접 그려서 만든거에용 ㅠㅠ)

이 제품은 기존의 촉매컨버터의 원리를 이용해서 만들어본 제품이다.


산화환원반응을 촉진하는 촉매 컨버터와는 달리,
쓰다남은 비눗물의 적정 pH농도를 맞추면 내부 코팅캡슐과 합쳐져
액체가 짙어지고, 건물외벽이나 외부조각상에 뿌리면 염기가 코팅되어
산성비의 부식을 막아준다.

--------------------------------------------------------------------
느낀 점 : 교과 시간에 배웠던 환경문제에 관해서 탐구해보고 공부해서 보고서를 쓰는 과정에서
깊이 있는 공부를 어느 정도는 한 거 같아 좋았다. 그중 산화 환원을 원리로 한
촉매컨버터가 특히 신기하고 탐구하는 과정이 재미있었다.

오랜 계획을 세워 탐구한 건 아니지만 내가 관심 있는 화학과 관련된 사례를


접하고 내용 정리한 이번 경험이 후에 다른 보고서를 쓸 때도 도움이 될 거 같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