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설 계 설 명 서

이필구와가 담장 보수공사 설계설명서


1. 사 업 명 : 이필구와가 담장 보수공사
책임기술자 정용진
2. 지 정 별 : 안동시 문화유산 제 79호
현장조사자 정용진, 김남호, 최종서, 심은진
3. 소 재 지 :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 822-4
내역작성자 정용진, 김남호
4. 총사업비 : 일금 일억칠천만원정(₩170,000,000)
도면작성자 정용진, 김남호, 최종서, 심은진
시 비 : 170,000천원
이필구와가 사업비 : 일금 일억원정(₩100,000,000)
공사비 : 일금 팔천육백사만원(₩86,040,000)

5. 연혁
5.1 연혁 :
고종 때 홍문관 교리를 지낸 남반(南沜) 이만형(李晩瀅)의 옛집으로, 태호는 ‘교리댁(校理宅)’이다. 원래 진성이씨 집성촌인 예안면 의인마을(현,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에 있었으나, 안동댐 건설로 1976년에 이건하였다.

6. 현황
6.1 사업대상 주변 현황 :
안동 민속박물관 야외에 위치한 남반고택은 본래 진성이씨 집성촌인 예안면 의인마을(현,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에 있었으나, 안동댐 건설로
1976년 현재의 자리로 이건하였다.
야외 박물관 연자방아를 지나 보월루로 가는 언덕 초입에 자리하고 있는 남반고택은 앞으로 낙동강이 내려다보이고, 뒤로는 가파른 경사의 산이
있다.
2

6.2 사업대상 현황 :
이 집은 북향으로 되어 있으며 건물의 구성은 정침과 대문채로 이루어져 있다. 대문을 열고 마당으로 들어서면 전면에 사랑채가 있고, 그 뒤쪽
에 ‘ᄆ’자형에 가까운 안채가 이어져 있어 전체적인 모습은 ‘ᄆ’자형에서 약간 벗어난 ‘巳’자형의 변형된 형태를 취한다. 크기는 정면 5칸,
측면 5칸이며 돌출된 부분이 2칸 반이다.
대문채는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반가 건물로는 소박하게 초가로 지붕을 올린 것이 특이하다.

< 이필구 와가 전경 현황 > < 이필구 와가 정면 담장 현황 -1 > < 이필구 와가 정면 담장 현황 -2 >

6.2.1 담장현황
이필구 와가의 담장은 하부는 한식 토석 담장에 상부 3~4단 정도의 와편으로 장식한 담장이다.
기와는 소와로 착고위 적새 2단을 쌓았으며 끝단은 와구토로 마감을 하였다.
담장외부는 회를 발라 마감 하였다.
현재 담장 일부 구간은 붕괴 및 미장이 탈락 하였으며 담장 기와가 노후되었으며 기와 일부가 교란되거나 파손된 구간이 있다.
3

7. 보수공사
7.1 사업지침
◦ 이필구 와가 담장 보수

7.2 보수공사 내용
∎ 담장보수
- 위치 : 정면 및 좌측 협문 주변
- 길이 : 55.79m
- 형식 : 복합담장(토석담+와편담)
- 지붕 : 착고적새2단쌓기, 한식기와'소와'
- 보수 : 기초 및 지대석 신설
담장기와 교체(100%)
토석담 및 와편담쌓기(와편 : 기존기와 사용)

평균높이
구간 길이 내부 외부 보수 내용
현황 계획 현황 계획
- 기초이상 해체/보수
‘가’구간 2.77m 1.30m 1.30m 1.40m 1.40m ․ 담장석 교체율 : 80%
․ 기와 교체율 :100%
- 기초이상 해체/보수
‘나’구간 2.42m 1.25m 1.35m 1.575m 1.575m ․ 담장석 교체율 : 80%
․ 기와 교체율 :100%
- 기초이상 해체/보수
‘다’구간 5.91m 1.185m 1.285m 1.475m 1.475m ․ 담장석 교체율 : 80%
․ 기와 교체율 :100%
- 기초이상 해체/보수
‘라’구간 9.09m 1.01m 1.11m 1.55m 1.55m ․ 담장석 교체율 : 80%
․ 기와 교체율 :100%
- 기초이상 해체/보수
‘마’구간 21.7m 0.9m 1.1m 1.65m 1.65m ․ 담장석 교체율 : 80%
․ 기와 교체율 :100%
4

평균높이
구간 길이 내부 외부 보수 내용
현황 계획 현황 계획
- 기초이상 해체/보수
‘바’구간 3.60m 1.10m 1.20m 1.425m 1.425m ․ 담장석 교체율 : 80%
․ 기와 교체율 :100%
- 기초이상 해체/보수
‘사’구간 2.25m 1.35m 1.35m 1.4m 1.4m ․ 담장석 교체율 : 80%
․ 기와 교체율 :100%
- 기초이상 해체/보수
‘아’구간 1.83m 1.43m 1.43m 1.43m 1.43m ․ 담장석 교체율 : 80%
․ 기와 교체율 :100%
- 기초이상 해체/보수
‘자’구간 6.22m 1.50m 1.50m 1.30m 1.30m ․ 담장석 교체율 : 80%
․ 기와 교체율 :100%
5

8. 공사개요 9. 이필구 와가 위치도


◾ 공 사 명 : 이필구와가 담장 보수공사
◾ 지 정 별 : 안동시 문화유산 제 79호
◾ 소 재 지 : 경북 안동시 성곡동 822-4

8.1 공통가설공사
가.소형 안내판 설치

8.2 담장공사 이필구와가


가. 노후 및 붕괴된 담장을 보수한다.
6

10. 배치도
7

11. 설계변경 조건
11.1 공사시공
본 공사는 「이필구와가 담장 보수공사」 설계도서에 의하여 도급으로 시행한다.

11.2 공사기간
본 공사의 공사기간은 착공일로부터 90일간으로 한다.

11.3 설계변경조건
가) 수리대상 문화재가 설계도서에서 제시한 조건과 다를 경우
나) 설계도서와 같이 시공하는 것이 불가능한 사항이 있는 경우
다) 수리공사 기한의 연기를 필요로 하는 사항이 있는 경우
라) 수리공사의 일부변경이 수반되는 추가비용이 발생한 경우
마) 특정 공종의 삭제 및 공정계획의 변경
바) 시공방법의 변경
사) 기타 적정한 수리공사의 이행을 위하여 변경이 필요한 사항
아) 골재 및 자재의 운반거리에 심한 변동이 생겼을 경우.
공 사 시 방 서
1

이필구와가 담장 보수공사 특기 시방서


▮ 이필구와가 담장 특기시방서
1) 가설공사
․ 공사전 공사내용과 공사중임을 표시하는 안내판(900×1,200mm)을 지정위치에 설치한다.
․ 공사안내판에는 공사 실명제에 따른 기술자 및 기능자, 감독관의 성명, 연락처를 기입해야 한다.
․ 공사중 불필요한 것은 즉시 장외로 반출하여 항상 청결 및 정돈을 해야 한다.
․ 공사용 반입자재들은 지정위치에 적치하였다가 필요시 운반하여 사용하며 자재가 흩어지거나 섞이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특히, 자연
조건에 의하여 비바람에 날리거나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을 때에는 천막 등으로 안전하게 보호해야 한다.
․ PVC 천막지를 준비하여 두었다가 우천시 적치자재에 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덮어 보호한다.
․ 화재예방을 위하여 적당한 곳에 소화기 또는 방화수를 비치하여야 한다.

2) 담장해체공사
․ 해체시 쌓기 기법, 부재의 재질․형태․규격, 풍화상태, 뒷채움 기법 등을 조사한다.
․ 사진촬영은 해체 전, 해체 및 조사과정에 대한 전경 촬영 및 주요부분에 대한 상세 촬영을 한다.
․ 해체 시 부재의 손상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보양한 후 해체하고, 무리한 힘을 가하여 부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 해체 시 매 켜마다 기준선을 설치하여 높이, 부재규격 등을 기록한다.
․ 재사용 되는 해체부재는 붙어있는 이물질은 제거하고, 풍화, 파손되어 재사용이 불가한 부재는 지정장소에 보관한다.

3) 담장기초공사
․ 강회잡석다짐은 잡석다짐 위에 생석회 잡석다짐을 한다.
․ 생석회 잡석다짐은 두께 100~150mm의 잡석을 골고루 펴다지고 틈새는 자갈로 매운 후 그 위에 강회를 50mm 정도 펴서 고른다. 이 방법
을 도면 수치대로 거듭하여 축조한다.
․ 그 위에 담장 지대석(한변300mm내외)을 담장 양면으로 설치하고 진흙, 잡석 등으로 속채움을 한다.
2

4) 토석 및 와편 담장공사
․ 지대석 상부 토석 담장을 쌓는다.
․ 담장석은 자연석으로 면을 가공하지 않고 사용한다. 크기는 길이가 200㎜ 내외, 두께는 길이보다 얇은 것을 사용한다.
․ 쌓기용 흙은 진흙에 짚여물을 혼합하여 흙의 점도를 보강한다.
․ 쌓기는 지대석을 놓고, 50㎜ 정도 들여 흙 한켜를 놓아 윗돌이 흙과 물리도록 쌓으며, 경사는 기존대로 한다.
․ 뒷채움은 양면을 쌓은 후 잡석, 흙을 밀실하게 채워다진다.
․ 1일 쌓기 높이는 1.2m정도로 하여 상부하중으로 인하여 배부름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 토석 담장 상부는 기존과 동일한 모양으로 와편담장을 쌓는다.
․ 외부요인에 의한 진동 등 시공여건의 변화로 인하여 기존 구조가 취약한 경우에는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 진흙에 생석회를 배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 진흙등의 외부 줄눈은 거칠게 마감하여 생석회 마감시 접착력을 높이며 생석회줄눈의 두께는 약 3mm 정도로 한다.
․ 담장기와와 기존의 토석담과의 맞닿는 부분은 상호간 이질되지 않게 구재와의 결합이 밀실하게 되도록 한다.
․ 보충되는 석재는 자연석(산석)을 외부 반입하여 사용한다.

◆ 공사 중 발생되는 폐자재는 반드시 전량 장외 (시지정 폐기물처리장)로 반출하며 문화재 주변에 적치․ 방치 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 반입되는 모든 자재는 지정 위치에 적재하였다가 필요시 옮겨 사용하며 자재는 야적하지 말고 반드시 별도의 보관시설을 두도록 한다.
◆ 사람의 통행이 빈번한 지역이므로 공사장의 청결유지에 만전을 기하도록 한다.
◆ 시공자는 반드시 공사 전, 공사 중, 공사 후의 모습을 사진촬영하며 문화재 수리 준공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실제의 공사내용을 소정의 양
식에 따라 공사완료 후 시행청에 제출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