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http://dx.doi.org/10.5659/JAIK_PD.2015.31.10.

109

1)호주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특징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Space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of Australian Nursing Homes

정 미 렴*
Chung, Miryum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verview the elderly care welfare policy related to nursing home, to analyze spacial characteristics of
Australian nursing homes to find the relationship with policy and design trend. 11 residential care service facilities from 1991s to 2007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Elderly care welfare policy was started in 1954 and went through big reform by Aged
Care Act in 1997.(2)Home care services are expanding but Government's financial burden of nursing homes outpass the rest of the services.
Financial reform lead to the increasing size of the services. (3) The pseudomorphic shape of the building is the result of considering
separation of each clusters. Orientation is less considered. Diverse floor plans in 90's are standardizing, and facilities near cities are densely
planned. Several common rooms are provided, while outdoors are considered important. (4)Service areas are separated from residential area
for homely atmosphere. (5)Racial diversity with different life background are valued and their needs were reflected in design.
………………………………………………………………………………………………………………………
키워드 : 노인요양시설, 호주, 노인간호 주거시설, 공간구성, 노인케어정책
Keywords : Nursing Home, Australia, Aged Care Residential Service Facilities, Space configuration, Aged Care Policy
………………………………………………………………………………………………………………………

1. 서 론 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설하고, 지역내 계속 거주(Ageing


in Place)에 중점을 둔 다양한 케어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1.1 연구의 목적 ‘지속적인 케어(Continuity of care)’를 구축하고 있다. 이를
급속하게 고령화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현재까지 가 통해 사회보장체계가 노인의 80%내외를 커버하고 있으면
장 중요하게 다루어진 현안 중 하나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도 조세부담은 다른 유럽의 복지국가에 비하여 낮다는
의 정착과 노인요양시설, 재가서비스 등으로 이루어진 노 점(Yuo, Y. & Jung, Y., 2011)등은 우리가 긴밀하게 연구
인케어복지시스템의 정비였으며, 이를 위하여 복지선진국 해야 할 대상이다. 그러나 호주 노인요양시설에 관한 국
들의 사례가 연구되어 왔다. 국내에서는 주로 북유럽, 미 내 연구는 여전히 매우 적은 실정이다2).
국, 일본의 노인복지체계와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연구들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의 노인요양시설과 연관된 노인
이 진행되었으나(Byun, Chung, Kim & Yoon, 2008), 최근 케어복지정책의 변화를 살펴보고, 호주 노인요양시설의
에 호주의 사회복지체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부 공간구성 특징을 정책과 연관지어 분석하며, 건축계획 경
보고서와 단행본, 논문 등의 출간이 늘고 있다. 호주가 향과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것은 1938년으로, 1950년대부터 연
방정부 주도하에 노인을 위한 전문적인 서비스와 시설이 1.2 연구의 방법 및 절차
체계적으로 구축되었다. 호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으로 구성되었다. 국내
2012년 기준 전체 인구 22,700,000명 중 3,200,000명으로 외의 선행연구, 단행본, 호주 보건복지부(AIHW)자료, 법
14%에 도달하여 이미 고령 사회에 들어섰다. 호주에서는 령, 웹사이트 등을 통하여 노인요양시설 관련 케어복지정
노인의 다양하고 변화하는 수요에 대응하고 효율성을 증 책을 살펴보았다. 사례분석을 위한 도면은 관련도서와 방
대시키기 위하여 전국적으로 노인요양시설1)을 노인인구
1)호주의 노인요양시설은 Aged care residential services facilities
이며 Kim(2003), Choi(2004)의 연구에서는‘노인간호 집합주거’
* 가톨릭대학교 소비자주거학전공 조교수, 건축학박사
로 번역되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현재 이 시설들이 노인요
(Corresponding author : Department of Consumer &
양시설과 형태와 운영이 거의 같기 때문에‘노인요양시설’이라
Housing Studi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mrchung@catholic.ac.kr) 2)Kim(2003), Choi(2004)의 연구에서 호주 멜버른시의 노인간호
이 연구는 2015학년도 가톨릭대학교 교비연구비의 지원으로 이 집합주거 사례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이후 호주의 노인케어시
루어졌음. 설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다.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제31권 제10호(통권324호) 2015년 10월 109

www.dbpia.co.kr
정미렴

문 등을 통하여 선정하였으며, 평면도와 시설정보를 비교 하였고, 모든 거주자들은 자신의 개인적 물품을 전시하고
분석하여 그 공간구성특징과 경향을 파악하였다. 안전하게 보관할 개인 장소가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였으
며 자립과 존엄을 강조하였다. Aged or Disabled Persons
2. 호주의 노인케어복지 정책과 노인요양시설의 현황 Care Act(1954)에서는 호스텔의 평가방법,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 거주자의 비용 등에 대하여 규정하였다. 1963년에
2.1 호주의 노인케어복지 정책 는 너싱홈의 보조금을 규정하는 Nursing Home Benefit이
(1) 호주 노인요양시설의 변천 시행되었고, 늘어난 노인수요와 연방정부가 보장하는 보
초기 호주에는 공공의 노인 케어 서비스 개념이 없었기 조금에 힘입어 70년대 후반까지 기업가, 종교단체나 자선
때문에, 유병노인은 자선단체나 가족케어에 의지하였다. 2 단체에 의한 주거복지시설들이 급증하고 기존 시설도 확
차 대전후 후 가족이 없는 유병노인들이 공공․자선병원 장되었다. 그러나 수요자에 비해 너싱홈의 병상 수가 과
에 장기입원하면서 병원이 요양시설과 같은 역할을 하기 도하게 증가하면서 시설화 문제, 유지비용절감에 따른 서
도 하였다. 그러나 1952년의 Hospital Benefits Act와 1953 비스의 질 저하 문제, 거주자 대우에 대한 비판 등이 지
년의 National Health Act로 병원에서 장기요양중인 노인과 속적으로 제기되었다. 또한 같은 시기에 상대적으로 너
장애인이 국가의료보험의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었고(44조) 싱홈에 비하여 호스텔의 발전이 저조하였기 때문에 중간
이들을 수용할 시설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제정 단계의 노인들이 적절한 케어를 받기 어려웠다. 이에, 고
된 The Aged Persons Homes Act(1954)는 노인간호주거시 비용의 시설입소 대신 증상이 가벼운 노인을 집에서 지원
설3)을 운영하고 있거나 신설하려는 단체가 연방정부의 보 을 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호스텔로 이주하도록 하는 방
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준과 조건, 액수 등을 제시 법 등의 대안이 사회적으로 논의되었다.
(2) 호주 노인케어복지의 발전
Table 1. Acts and strategies for the aged care service
호주 연방정부는 노인케어복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Acts and 비용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재조직하기 위하여 1980년대
Contents
Strategy 에 노인케어혁신전략(Aged Care Reform Strategy)을 발표
To provide for Commonwealth’s assistance 하였다. 그 내용은 요양시설 지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케
The Aged
towards the provision of Homes for aged 어요구가 크지 않은 사람들을 집이나 커뮤니티기반의 서
Persons
persons. eligible organizations, 비스로 이관하는 것이었다. 1,000명의 70세 이상 노인 당
Homes Act
requirements(status of the building), the 100개의 요양침상을 마련하는 등의 새로운 조례들이 제
(1954)
amount of a grant. 정되었고, 요양시설로의 입소규정과 평가기준도 까다로워
Aged or
졌다. 노인케어 사정을 위해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Disabled Hostel care assessment, Hostel’s obligations to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심리학자 등으로 구성된
Persons residents, Resident Charges, Outcome
ACAT(Aged Care Assessment Teams)이 조직되어 ‘지속적
Care Act Standards.
인 케어’를 목표로 노인 개개인에게 상담을 통하여 적합
(1954)
한 서비스에 대하여 조언하고, 서비스 필요도를 평가하여
Defined the qualification of organizations
Nursing 시설입소나 서비스 이용을 허가하기 시작하였다(Figure
running nursing homes to be eligible for
Home 1). 시설 입주보다는 커뮤니티 케어의 확장에 중점을 두
benefits. Commonwealth funded benefits led
Benefits 어 가정 및 지역사회케어(HACC)와 지역사회 노인복지케
the number of nursing home beds grew
(1963) 어 패키지(CACP) 등이 신설되었다.
rapidly.
Aged Care Diverted those who did not need much care 또한 공적 케어 뿐만 아니라 가족들의 사적 케어
Reform to alternative, home and other (informal care) 역시 공공서비스와 수당 등의 지원을 받을
Strategy community-based provisions. Restrictions on 수 있게 되었다. 커뮤니티 기반 프로그램들을 통해서 노
(1980’s) access to nursing homes. 인케어의 상당부분이 지역사회로 이관되면서, 연방정부와

Limited government commitment to financing


aged care and increased the users’ expense on
Aged Care
services. In detail, care standards, rights, financial
Act
regulations on accommodation bonds, fees,
(1997)
grants. Reconstructed elderly care into Residential
care, Community care, and Flexible care.

3)호주의 노인간호주거시설은 너싱홈(Nursing Home)과 호스텔


Figure 1. Each care service connected into
(Hostel 또는 Homes for the aged)로 나눌 수 있다. 너싱홈은 높
Integrated System (ACAT), Diagram based on
은 수준의 케어(24시간 간호관찰과 개인적 케어)를, 호스텔은 낮
texts of Borowski & Ozanne(2007)
은 수준의 케어를 제공한다. 현재는 노인요양시설로 통합되었다.

110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제31권 제10호(통권324호) 2015년 10월

www.dbpia.co.kr
호주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특징에 관한 사례 연구

주정부간의 비용분담이 이루어졌다. (4) 지속되는 개혁


(3) 노인케어복지서비스의 상업화와 재조직 현재 케어가 필요한 노인과 가족에게 선택의 폭을 넓
1996년 연방정부는 노인케어서비스 시장의 확장을 촉 히고 지속가능하며 통합적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개
진하였으며 지역 내 거주(Ageing in Place) 프로그램을 지 혁이 계속되고 있다. [Figure 3]에서 보는 것처럼 노인요
속적으로 발전시켰다. 양시설 지출비용이 많지만 상승폭은 줄어들고 있으며 재
1997년 시행된 Aged Care Act는 노인케어복지서비스에서 택 서비스를 꾸준히 늘려가고 있다.
큰 의미를 가지는데, 전체 노인케어를 주거시설 케어 2014년 7월 1일부터 시행된 2차 개혁에서는 Home Care
(Residential care; 노인요양시설), 커뮤니티 케어(Community Packages Program 이용시 개인부담비용에 소득이, 노인주거
care), 플렉서블 케어(Flexible care)로 재조직하고 다양한 재 시설 거주시 지불비용에는 자산과 수입이 반영되었으며 낮
택 서비스를 정비․개발하였다4)(Figure 2). 이를 통하여 정부 은 단계의 케어(Low care)와 높은 단계의 케어(High care)의
의 지출을 줄이고 서비스 사용자의 분담을 늘렸는데, 노인 구분을 없애 노인은 원할 경우 거주하는 시설에서 필요에
케어복지의 재조직은 각 주와 연방정부간의 의료 관련 재 따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늘어나는 노
정적, 행정적 책임에 대한 분쟁을 해결하려는 노력과 연관 인케어서비스의 질 관리를 위하여 담당부서(Australian
된다. 의료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의료비가 급증하면서, Aged Care Quality Agency)를 확장하였다.
통합된 시스템을 만들어 수술을 요하는 급성환자 병실의 회
전률을 높이고 요양시설서비스를 저렴한 대안으로 이용하고 2.2 호주 노인요양시설의 현황과 경향
자 하는 논의 역시 진행되었다. 노인요양시설은 종전에 입 노인요양시설 병상수는 1995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
주시에 큰 액수의 입주비를 지불하는 대신 매달 서비스 이 여 2011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 2,644,368명에 대하
용료를 내는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HACC 서비스도 사용료 여 185,482병상이 제공되었다(AIHW, 2012). 그 외에 다양
를 인상하였다. 이전까지 너싱홈과 호스텔로 분리되어 운영 한 재택케어와 보호자 휴식을 위한 단기보호를 합하면
되던 방식을 높은/낮은 수준 케어의 노인요양시설 전체 노인 케어수는 246,753개에 이른다(Figure 3). 호주정
(Residential care facilities)로 통합하였으며 이를 통해 거주 부에서는 노인요양시설의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이 매우
자는 시간이 흐르면서 높은 수준의 케어가 필요하더라도 크고5), 인구가 국토면적에 비하여 적지만 인구 분포가 광
이주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Lee & Jang, 2013). 범위하게 퍼져 있기 때문에 시설 설립이 어려운 부분도
그러나 물리적 환경, 직원 배치 등의 문제로 모든 시 있어 재택케어를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정부의
설에서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었는데, 지속적 개선을 통 노인요양시설 비용의 비율이 가장 높고, 부담은 계속 증
하여 2013년 6월에는 56.7%의 시설에서 낮은 단계와 높 가하고 있는 추세이다(Figure 4). 또 다른 경향으로는 시
은 단계 케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Australian 설의 대형화를 볼 수 있다. Figure 5에서처럼, 2002년에서
Government Department of Social Services, 2013). 2012년 사이에 시설수는 2,961개소에서 2,725개소로 8%
감소하였으나, 같은 기간동안 병상수는 22% 증가하였으
며 60병상 이상의 시설은 전체 시설의 23%에서 두 배인
47%로 증가하였다6).

Figure 2. Reconstruction of Aged Care based


on Aged Care Act 1997(Refer to footnote 4)

4)Community Care에는 HACC(Home and Community Care;지역사회케어),


VHC(Veteran's Home Care;퇴역군인 재택케어), 퇴역군인과 배우자를 위
Figure 3. The change of operational
한 DVA(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Community Nursing,
residential aged care
CACP(Comminity Aged Care Packages;지역사회 노인복지케어 패키지)가
(Graph based on AIHW, 2012)
있으며, Flexible Care에는 EACH(Extended Aged Care in the Home;확장
노인재택케어), EACHD(Extended Aged Care in the Home Dementia;확장
치매노인재택케어), 병원 퇴원노인의 기능회복을 위한 TCP(Transition 5)호주정부의 연간 요양시설 노인 1인당 보조금은 2012-13년 기
Care Program;전환기케어), MPS(Multi-Purpose Services;농촌과 벽지 거주 준으로 평균 $53,100(약 44,700,000원)로, 전해에 비하여 3.3% 증
자를 위한 다목적 서비스), NATSIFACP(National Aboriginal and Torres 가하였다(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Social Services,
Strait Islander Flexible Aged Care Program;호주원주민과 토러스해협제도 2012). 우리나라는 2014년 상반기 요양시설거주 1등급 정부보조
원주민을 위한 케어프로그램)이 있다. 금이 약 6,413,000원으로 호주보다는 지급비용이 훨씬 적다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제31권 제10호(통권324호) 2015년 10월 111

www.dbpia.co.kr
정미렴

Figure 6. Example of single bedroom and


Figure 4. Australian Government outlays bathroom (Victorian Government
for aged care 2009-2013 (Australian Department of Human Services, 2000)
government department of social
services, 2013)
으나 적절한 문헌들을 통하여 사례를 선정하였다8). 연도
를 알 수 있는 도면들로 90년대 6개, 2000년대 5개의 사
례를 선정하였으며 건축적 특징, 거주단위 배치 형태, 개
인생활공간-공용생활공간 배치관계, 공용생활공간의 특징,
개인생활공간, 직원/서비스 공간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와
비교하였다.

3.2 분석 대상 시설의 개요
Table 2에 정리된 대로, 분석 대상 시설의 건축년도는
1991년부터 2007년까지였으며 규모는 16명이 거주하는 그
Figure 5. Number of residential Aged Care 룹홈부터 276명의 대형복합시설까지 다양하다. 건강상태
Services by size of service, 2000-2012 도 비교적 케어요구가 적은 Hostel, 많은 케어가 필요한
(http://www.aihw.gov.au/aged-care/residential Nursing Home, 가족의 휴식을 위해 단기 보호를 제공하는
-and-community-2011-12) Respite Home이 포함되었다. 시설의 종류는 다양하나 호주
노인요양시설 거주단위의 인원수가 기본적으로 적고, 1인
2.3 주정부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당 면적이나 개인거주실규모의 차이도 오히려 우리나라의
연방 정부의 역할은 주정부, 관련기관과의 논의를 통한 노인요양시설만을 종합한 것보다 훨씬 적다(Table 4의 표
노인간호서비스의 정책방향 설정, 행정지원과 자금제공이 준편차값). 또한 개원초기와는 달리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다. 노인간호 표준과 서비스제공 업체의 인증, 관리 등도 거주노인의 노화나 치매가 진행되면서 케어요구가 증가하
포함된다. 각 주정부는 노인주거간호시설의 건축물 법규
및 방화규정, 산업보건 및 안전과 관련된 규제를 담당한 Table 2. Overview of facilities
다. 이러한 역할분담에 따라서 1997년의 Aged Care Act
Year
제정 이후 주별로 노인요양시설 건축물 설계에 관한 지 Open- Location Type* No. of No. of Story
ed residents units
침서가 제작되었다7). 이들 출판물에서는 일반적인 원칙과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Figure 6은 다이어그램 A 1991 Tasmenia GH 32 4 1
B 1991 Wingham GH 16 2 1
과 도면이 포함된 빅토리아주의 가이드라인으로, 화장실
C 1995 Hammondville H 40 3 1
이 딸린 1인용 거주실의 평면의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D 1995 Kinross H 40 3 1
E 1996 Melbourne H 35 6 1
3. 사례조사 시설 F 1997 Alice Springs H 20 2 1
G 2000 Ernabella RH 16 1 1
3.1 분석 사례 선정 H 2001 Subiaco NH 60 4 1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로, 호주의 요양시설 디자인을 다 I 2007 Randwick Mixed 276 - 5
J 2007 Hammondville NH 83 6 1
룬 문헌이 매우 적어서, 출처의 다양성에 아쉬움이 있었
K 2007 Canberra NH 100 6 2
*Type: GH: Group Home, H: Hostel, NH: Nursing Hom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4).
RH: Respite Home
6)http://www.aihw.gov.au/aged-care/residential-and-community-2011-12
7)퀸즈랜드 정부에서 Design Guidelines for Queensland Residential
Aged Care Facilities(1999), 빅토리아주 정부에서는 Aged Care 8)Judd, Marshall & Phippen(1998)에서 5사례, Anderzhon et
Residential Services Generic Brief(2000),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는 al(2012)에서 5사례, 그리고 2013년에 연구자가 직접 답사한 시설
Design Guidelines for Aged Care Facilities(2005) 를 발간하였다. 1사례를 선정하였다.

112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제31권 제10호(통권324호) 2015년 10월

www.dbpia.co.kr
호주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특징에 관한 사례 연구

Table 3. Floor Plans of analyzed facilities. (Source: Judd, Marshall & Phippen(1998), Anderzhon et al(2012), and by author)

A(1991), unit plan B(1991) C(1995), unit plan D(1995), unit plan

E(1996) F(1997) G(2000) H(2001)

I(2007) J(2007) K(2007) The location and population

여, 건강상태가 전반적으로 유사해지는 양상을 보이므로9) 4.1 건축적 특징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비교분석하였다. 시설 위치는 대도 J, K를 제외하고는 단층의 건물이 대부분이며, 대규모
시와 근교 5개소, 중소도시 3개소, 아웃백의 오지 2개소이 인 I 시설 이외에는 모두 박공지붕 형태로 호주의 식민지
다(Table 3의 지도) 시대부터 지어온 주택과 유사하다. 강한 햇빛을 가리기
위하여 처마를 길게 하거나 창에 차양장치를 부착하였다.
4. 공간구성 분석결과 Table 5와 같이, 1인당 연면적 평균은 50.16m2 로 우리나
라의 33.42m2보다 약 1.5배 크며, 1인당 거주실면적은 호
시설의 평면 형태는 Table 3, 공간별 분석 내용은 Table 주가 17.77m2로 우리나라의 5.77m2보다 약 3배 넓다(Table
8에 정리하였다. 4).

Table 4. Comparison of area sizes, Australia and Korea


4.2 거주단위 배치 형태
Average(Standard deviation), unit: m2 거주단위가 1개인 G시설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시설의
Regulation Actual Case 블록 배치를 보면(Table 5; 회색으로 표기된 것이 하나의
Total Bedroom Average of Average of 거주단위이다.), 거주단위 형태는 유사하게 반복하되 최대
building size per Total building bedroom size
area per residents area per 한 각 거주단위를 분리하고,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독립시
per residents
residents residents 키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를 통하여 각 거주단위가 하나
* * **
Australia 45.2 14.0 50.16(8.43) 17.77(1.38)**** 의 ‘집’으로서 기능하며, 사무실이나 시설적인 설비가 눈
***
Korea 23.6 6.6 33.42(15.33) 5.77(5.71)*****
에 띄지 않아 가정적 분위기를 조성한다. 정원 60인 이상
*Guidelines of VIC. **Facility I(outlier), K(lack of data) 으로 도시지역에 위치하고 밀도가 높은 시설인 H, I, J의
excluded. ***Data from researcher’s 2006 nationwide survey
were analyzed. (91 cases) **** A,B,C,D,F analyzed. ***** 경우에도 I를 제외하고는 최대한 각 거주단위를 멀리 떨
Data from researcher’s 2007 nationwide 14 case study result 어뜨려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블록의 형태는 방사형에
were analyzed. Since the regulations changed after the
study, the sizes are smaller than current standards. 가까운 부정형의 형태를 띤다. 우리나라의 시설이 향과
냉난방비 등을 고려하여 표면적을 줄이도록 건물이 -자,
9)Respite Home은 별도로 존재하기 보다는 여러 시설에서 몇 개 ㄱ자 등으로 컴팩트하게 구성되는데 비하여10), 호주의 경
의 실을 단기보호로 운영하고 있으며, 분석대상 중 유일하게
Respite Home으로 계획된 G시설의 경우에도 지금은 이용노인들 10)Byun et al.(2008)의 우리나라 전국노인요양시설 192개소를 을
의 건강상태 악화로 일부는 요양시설로 사용되고 있다.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건물형태는 -자형, ㄱ자형, ㅁ자형, 원형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제31권 제10호(통권324호) 2015년 10월 113

www.dbpia.co.kr
정미렴

Table 5. Block plan with unit configuration Table 6. Corridors to connect social area and private rooms

No Single Double Tripple


corridor corridor corridors corridors

A(4 units) B(2 units) C(3units) D(3 units) E(6 units)

B A, F C,E,G,H,I,J,K D
I(2 units K(3 units
F(2 units) H(4 units) on each J(6 units) on each 4.4 공용생활공간의 특징
floor) floor) 공용생활공간은 대체로 다양한 종류의 거실(Living
room, Lounge, Parlor, Sitting room, Sun room), 부엌, 식사
우에는 온화한 해양성 기후가 자유로운 배치를 가능하게 실, 공용욕실, 공용화장실, 가정식 세탁실로 구성된다.
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그러나 1990년 후반부터 정부부담 호주시설의 특징은 거실이 개방된 우리나라시설과는
을 줄이기 위한 법규들이 제정되고, 대지가격이 상승하면 달리 거실이 문이 있는 독립된 실로 분리되어 있는 사례
서 건물이 집약적으로 변화하는 추세를 볼 수 있다. 경제 가 많다는 것이다(C,D,F,G,H,I), 또한 거실이 여러 개로 구
적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J 시설은 유병 노인들을 경제적 성되어 복도의 끝부분이 막다른 골목으로 끝나지 않고
능력과 관계없이 수용하여 운영하려면 한 시설에 최소한 다른 소규모의 거실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Sitting
15명이 거주하는 거주단위 6개가 있어야 한다고 계산하 Room, Sun room등으로 명명되는 이 공간은 치매노인이
였다(Anderzhon et al., 2012). 복도를 배회하면서 자연스럽게 진입하여 쉴 수 있도록
조성되었다. 그러나 직원의 시선이 닿지 않아 거주노인의
4.3 개인생활공간-공용생활공간 배치관계 낙상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다(Anderzhon et al., 2012).
공용공간과 개인공간의 연결 방식을 살펴보면(Table 6), 식사실은 독립된 경우도 있지만(A, G) 입구로 들어왔을
1990년대 평면의 경우 공용공간에서 직접 개인거주실로 때 가장 먼저 만나는 개방된 공간인 경우(B, C,D,E,F,H,J,)
진입하는 무복도식과 1복도식, 2복도식, 3복도식으로 다 가 훨씬 더 많다. 부엌은 식사실 옆에 있으며 충분한 규
양하였으나 2000년대 이후 사례는 모두 공용공간을 중심 모의 공간이다. 많은 시설이 거주노인의 식사를 부엌에서
으로 한 2복도식으로 전환되었다. 다양한 시도를 한 90년 조리하며, 케어직원 활동의 중심이 된다. K시설에 계획된
대 시설에 비해 두 복도의 각도만 다를 뿐 2복도식의 형 다양한 공용공간의 사례를 Figure 7에 제시하였다.
태로 설계가 획일화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 아쉽다. 이 또한 야외공간의 이용에 중요성을 부여하여 공용공간
는 시설의 대형화 경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2,3복도식 이 정원, 산책로 등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특히 호주원
은 1복도식에 비하여 길이가 짧아서 공용공간에 접근하 주민(Aborigin)이나 노숙자였던 거주노인을 위하여 거주실
기 쉬운 장점이 있으나, 치매노인이 공용공간에서 자신의 을 독채로 독립시키고 실내복도가 아예 없이 야외 산책
거주실로 돌아갈 때 혼란을 느낀다. 2복도식일 경우 공용 로로 연결된 시설도 있다(E, G). 정원에는 거주노인의 안
공간에서의 복도의 각도는 C, H, I가 90°, J, K가 180°, E, 전과 안정감을 위하여 펜스가 설치되어 있다11).
G가 자유곡선으로, J시설을 제외하고는 모두 시선이 공용
공간에서 차단되어 시설적으로 느껴지지 않도록 배치하
였다. 특히 K시설은 두 복도간의 시선차단을 위해 약간
각도를 틀거나 두 복도를 엇갈리게 하였다.
실내복도가 있는 경우 거주실 배치방식은 모두 양복도
식으로, 복도가 어둡고 치매노인이 자신의 거주실을 찾기 a. floor plan b. Dining area c. TV lounge
어려울 수 있다. 양복도식의 거주실 출입문은 서로 마주
보도록 계획되는 경우가 많은데, J시설에서는 문을 엇갈
려 배치하여 치매노인이 자신의 방을 나와 바로 타인의
방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배려하였다. 또 다른 흥미로운
점은, 거주실의 향이 크게 고려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공 d. Game room e. Hobby room f. Sitting room
용부는 채광이 좋은 북향으로 배치를 고려하나, 거주실은
Figure 7. Diverse communal area of K facility
북향실과 남향실 비중을 동등하게 하였다.

11) 백인 호주인들은 200년의 정착기간 동안 광활한 대지에 위


처럼 표면적이 작은 형태가 81.8%로 대부분이고 X자형이나 T자 협을 느끼고 펜스를 설치해 왔으며, 현재에도 펜스가 없는 외부
형의 경우는 7.3%에 불과하였다. 공간에서는 불안감을 느낀다(Judd, Marshall & Phippen, 1998).

114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제31권 제10호(통권324호) 2015년 10월

www.dbpia.co.kr
호주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특징에 관한 사례 연구

Table 7. Bedroom module of I facility 문제가 있지만, 침실부에 세 벽을 사용할 수 있어 가구 배


(Source: http://www.montefiorehome.com.au/) 치가 자유롭고 분위기가 아늑해지는 장점도 있다.
Standard room, Deluxe room, Suite room, 개인생활공간은 기본적으로 다인실인 우리나라와 비교
1 grid width 1.5 grid width 2 grid width 하여 매우 차이가 크다. 우리나라 시설의 경우에는 지금
은 4인실이 기준이고 개인의 특성이나 프라이버시가 고려
Floor 되지 않았지만, 앞으로 다양한 배경의 거주노인들의 거주
Plan 성, 개성, 프라이버시 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될 것이므로,
신축이나 리모델링시 1~2인실로의 변환을 고려한 융통성
있는 계획이 필요하다. 거주실 부속 화장실 역시 같은 거
주실을 사용하는 여러 사람이 화장실을 공유하도록 되어
있으며 두 실에서 화장실 하나를 공용하는 경우도 많아,
Photos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12).

4.6 직원/서비스 공간
노인거주시설은 가정적인 분위기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저해하는 것이 일반 주택에는 없는 사무실, 대형 세
4.5 개인생활공간(거주실) 탁실과 같은 시설적인 분위기의 설비들이다. 호주 시설에
B, G 시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개인실에, 욕실이 딸 서는 직원 사무공간과 서비스 공간은 가정적인 세탁실, 공
린 형태이다(Table 8). 90년대까지는 병동과 유사한 형태 용목욕실 등 반드시 필요한 공간을 제외하고는 최대한 거
에 다인실로 5인까지 같은 실을 공유했던 적이 있으나, 주공간과 분리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공간
90년대 후반 이후 각종 기관에서 편찬된 노인요양시설 을 분리시키면 치매 거주자들이 불필요하게 낯선 사람에
가이드라인 등에서는 욕실이 딸린 1~2인실이 사례로 제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Judd, Marshall & Phippen,
시되어 대체로 이 형태를 따르고 있다. 1998). 직원/서비스공간은 대체로 직원실, 직원 화장실, 직
분석 시설들은 기본적으로 개인실 위주이며 프라이버시 원 샤워실, 간호사실, 리셉션, 일반 사무실 등으로 이루어
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함을 볼 수 있다. I시설의 사례에서 진다. 대형 세탁실은 외주 여부에 따라 유무가 결정된다.
는 장래의 융통성을 고려하여 모듈을 사용하였는데, 1, 한 거주단위의 거주인원이 줄어들면 분위기가 안정되고
1.5, 2 모듈로 실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케어의 질은 높아지지만, 직원 비용이 늘어나게 된다. 적절
거주실 부속 화장실은 대체로 배관 공유를 위항 두 실 한 직원 배치는 시설이 지속적으로 운영되기 위하여 중요
의 욕실이 벽을 맞대고 있는 형태로 계획되어 왔는데 한 부분이다. 특히 주간보다 케어요구는 훨씬 줄어들지만
(A,C,D,EH,I,J,K 시설), 배치 방식은 Table 8에 정리한 대로 반드시 필요한 야간의 직원 배치가 관건이 된다. A 시설
두 거주실 사이에 배치하는 형식(A, C)에서 출입문과 먼 (Table 9)은 8명의 소규모 거주단위 4개로 이루어진 시설인
쪽에 돌출시켜 두 면이 외기를 접하도록 배치하는 방식(B, 데, 주간에는 닫혀있는 거주실측 복도가 야간에는 문을 열
D), 그리고 근래에는 출입구와 가깝게 배치하는 형태로 바 면 중심을 향해 연결되도록 계획되었다. 덕분에 야간에 직
뀌었다(I, J, K). 90년대 전반에는 기능, 후반에는 거주성에 원들이 건물마다 배치되는 대신 한 스테이션에서 32명을
초점을 맞추다가, 2000년대 후반부터는 시설이 점점 대형 한꺼번에 케어할 수 있어 야간 인력을 절감할 수 있었다.
화하면서 공간의 효율성과 화장실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이 절감된 비용으로 주간케어인력을 더 이용할 수 있어 다양
렇게 변화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화장실이 출입구 부근 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주간의 활동 덕분에 거주노인들
에 외기에 면하지 않고 배치되는 경우 채광과 환기 등의 이 야간에 수면을 더 잘 취하게 되는 상승효과를 가져왔다.
Table 8. Layout of bathrooms in private rooms
H시설은 중심과 외부에 서비스 공간이 위치하며, J시설은

Table 9. Service areas(grey colored blocks) separated from


Between
Extruded Near entrance residential units.
bedrooms

A(1991) D(1995) I(2007)


A H J

12) 우리나라 요양시설의 욕실배치형태는 각 실마다 화장실이


있는 부속공유형이 65.4%, 두 거주실 사이에 위치하여 공유되는
부속 공유형이 26.9%, 거주실 외부에 있는 독립형이 7.7%이다
C(1995) H(2001) J(2007)
(Kim, Chung, Youn & Byun, 2008).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제31권 제10호(통권324호) 2015년 10월 115

www.dbpia.co.kr
정미렴

Table 10. Analysis on spac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s

Connection Communal Area Service/Staff Area


Facility Layout between Characteristics of
Characteristics CA-PA Private Area
Rooms Characteristics Rooms Characteristics
Dead end corridors B w/ b. StfT, Each B corridors
Innovative design (4) houses K, D, L, and locked doors wardrobes: locked, Stf, leads to central
solution to night connected to V, G, La, avoided to reduce disguised parts/ StfL, administration
A staffing, central area (1) corridor (2) CTs, anxiety and frustration. unlocked StfS, area. Saved
disguised doors. containing night (2) Ss AB, G leads back to the rummageable NS, TR, expenses on night
nurses station M, St house. parts. O staffing.
K, D, L, Open-plan design for
Open-plan for two (0)corridor. M(quite the central area for B w/o b. Stf(NS),
B good visual access. mirrored-image All Bs area), total visual access. All (2)communal StfS, O, NS connected to
small and domestic wings attached in opens to (3)CT, BA, Bs opens to Spacious toilets are shared. StfL K of both units.
atmosphere. 90 degrees. CA. G , St Living & Dining area.
(3) houses Many different spaces
Tried to attain the interconnected by (2) short for socialization
feeling of discrete corridors, corridors. K, D, L, (sun-porch, a reading Bs w/ b. O, R, Y plan allows
C Smallness but be which connects Y shaped. V, La, St, room and a parlour) b are close from Stf maximum visual
economically to administration ∠:90° P, CT or privacy. G with the door. access.
sustainable. building. circular walk to P.
Separate activity (3) short Lounge area and B w/ b. Stf w/ K is the center of
rooms, Good (3) houses linked corridors. K, (2)D, Activity room outside spacious B. K, the house. Staff
D access to garden by long discrete Kitchen is (3)L,V,G the building for those Sliding doors to Outdoor can see most of
areas, Admin. corridors. the center. (2)CTs,St, who wants to stay out bath are confusing area, the house in the
building separated ∠:90°, La, during the day. to dementia R, O, K.
from cottages 120° residents. Stu.
Each cluster There is Different level of
For previously made of 5-7 (0) indoor privacy that residents
homeless or at risk houses and corridor. K, D, L, can choose. Familiar B w/ b, P Staffs’ visual
E of homelessness. communal spaces. Buildings La,V,G, M rather than familial. All rooms have a R, O supervision is not
The circulation was Unique plan w/ are w/ BBQ Residents haven't small V or P. easy in this plan.
to be by veranda. no internal connected experienced traditional
circulation. w/ covered home setting. BBQ for
Vs. a sense of community.
B w/ b & k
Remote location, K, D, (2)L, All Bs have direct
Designed for both (2) clusters Transitional G, AB, Varied social space access to secured Staffs of each
F indigenous and completely space CT, La, St, inside and outside for garden. Bs can Stf, StfT wing can relax or
white Australians. separated but between L Campfire(o both White and house more than communicate in
Strong relationship connected in Stf and Bs. utside) Aboriginal people. one bed as Stf.
to outdoors. Aborigin custom.
Very remote Residents want to sit Bedroom unit
location. (4) separate K, D, L, most of the time in consist of (2)Db A service path
Designed for older bedroom units La, (2)AB, (7) outside shades, B w/ b. separated so that
Anangu(Aborigin). consist of (2) (2) outdoor G w/ “wiltja”. Paths between Shared bedroom- services and
G The buildings were shared B, b. paths PA. (7)Shade buildings are wide so residents prefer to Stf, O deliveries can be
designed as a Connected to CA ∠:spline structures that beds can be stay together than provided
shelter rather than by outdoor paths outside. moved outside and to to be isolated. As discreetly.
living space. L. L often used for a shelter, windows
residents’ painting. are small.
"Culture change" (4)Cottages linked Staff and service
model. Service for by central, shared (2) K, D, L, D sparsely furnished B w/ b. O, Stf, area separated
H all age at risk of social areas and corridors La, G, for wheelchair users. Bedrooms w/ St from residential
being devalued in service areas. ∠:90° Club Rm large windows. area but close to
society. each other.
A"neighbourhood"
consist of 15 Bs K, L, D, B w/ b, k.
Strong Jewish and CA. SP, Cafe, CA located at each 3 different types Kosher
cultural tradition. Floorplan failed (2) T, P, Craft corner for Natural of modular suites, K, Service area
I Very large & to meet the corridors Rm,Sewing Light. Limited access by grid width. La(C), disguised.
expensive high concept but ∠:90° Rm, Card to G because it is Separated L & k O
quality facility. social program Rm, SP, multistory building. depending on the
makes up for it. limited G size.
(5)Cottages for
“Culture Change” 15 residents, (1) Staff have good
project for 8 severe Kitchen where all B w/ b Stf, StfT visual access to
for older people w/ Dementia (2) K, (4)L, D, meals are prepared, L B doors are not corridor, all spaces from K
J severe dementia residents, corridors V, G, AB, w/ fireplace, TV Rm, directly opposite O, Stf, . Separation
needing continual Cottages linked ∠: 180° La Sun rooms at the end each other. R, between residents’
nursing care. w/ hidden of corridor St,La(C) home and facility.
corridors.

116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제31권 제10호(통권324호) 2015년 10월

www.dbpia.co.kr
호주 노인요양시설의 공간구성특징에 관한 사례 연구

Table 10. Analysis on spac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s(cont’d)

2 story building,
Spacious Common 3 wings on each K, D, (2)L,
area, Catholic floor. Ward-like CT, G w/ Spacious L and quite B w/ b Stf, Hard to supervise
K influence. floorplan. (2)corridors BBQ, Sitting Rm. Garden w/ bs are spacious. B StfT, O, both corridors at
Hospital ward like Corridors are not ∠:180°, Chapel, M, pond and BBQ small compared to St, the same time.
floorplan. in line to cut the offset Cafe b La(C)
sight.
Abbreviation: CA:Communal Area, PA:Private Area, K:Kitchen, D:Dining room, L:Living;Lounge;Parlour;Sitting, V:Verandah,
La:Laundry, CT:Communal Toilets, AB:Assisted Bathroom, Stu:Study, G:Garden, M:Multi-purpose room, SP:Swimming Pool,
B:Bedroom b:Bathroom, S:Shower, Sg:Single Db:Double, k:Kichenette, St:Storage, P:Pantry, Stf:Staff room, StfT:Staff Toilet,
StfL:Staff Locker, StfS:Staff Shower, O:Office, NS:Nurses Station, TR:Treatment Room OT:Occupation Therapy Room /
∠:Angle w/: with, w/o: without, ( ) : Number of rooms (C):Communal

감추어진 직원 복도와 계단으로 연결되는 옥상을 통해, 다 되었는지 다시 자문해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농촌에
른 거주단위의 거주노인과 마주치지 않고 건물을 통과할 서 자연과 함께 생활하던 노인들이 정원이 없는 고층의
수 있도록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인력절감과 거주단위의 시설에서 어떤 느낌을 받을지, 일제 강점기와 전쟁의 트
편안하고 안정된 분위기를 위한 아이디어 도출이 필요하다. 라우마를 불필요하게 상기시킬 수 있는 환경에는 어떤 것
이 있을지 등을 연구하는 것은 앞으로 우리나라 노인요양
4.7 다양한 배경의 거주노인과 그들의 요구를 반영한 시설 거주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할 뿐만 아니라, ‘문
디자인 제행동’이라고 일컫는 치매노인들이 자신의 어려움을 표
호주 노인요양시설은 노인을 하나의 집단으로 보는 것 출하는 행동의 상당 부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것이
이 아니라,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인종, 지역적 특성, 다.
삶의 방식, 요구사항 등을 반영하여 평면을 설계하였다. 모
든 호주 시설이 외부공간, 즉 정원으로의 자유로운 출입을 5. 결 론
중시하지만, 특히 호주원주민이 거주하는 F,G시설에서는
이를 더 깊이 있게 풀어냈다. 그 지역의 호주 원주민이 희 본 연구는 호주의 노인요양시설과 관련된 케어복지 정
망하는 시설환경을 대화를 통하여 파악하고 계획에 반영하 책을 살펴보았으며, 1990년대와 2000년대 시설 11개 사례
였는데, 호주 원주민은 땅과의 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 를 선정하여 공간구성 특성과 변화를 정책과 연관하여
며, 아무리 건강이 악화되어도 외부에서 생활하고 싶어하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 때문에 외부공간에 불 피우는 공간과 다양한 그늘막을 첫째, 호주의 노인요양시설과 관련된 노인케어복지정책
설치하고, 외부와 거주실이 직접 연결되도록 하였다. 또한 은 1954년부터 시작되었으며 거주노인의 자립과 존엄성
인종과 배경에 따라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는데, 호주의 이 강조되었다. 1997년의 Aged Care Act를 통해 큰 변혁
원주민 고령자는 그동안의 강제 이주와 열악한 생활환경, 을 거쳤으며, 케어가 필요한 국민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복지혜택으로부터의 소외 등으로 노화가 빨라 평균수명 제공하고 정부의 증가하는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이 비원주민보다 짧다13). 당뇨, 시각장애, 시각, 신장, 심 법령의 개정과 개혁은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 재택케어를
장과 관련된 질병과 만성질환으로 고통을 받으며 이동장 늘리고 있으나 호주의 노인요양시설 병상수는 여전히 증
애를 겪는다. 이를 위하여 완화의료를 제공하고 침대가 가하고 있으며, 여전히 정부의 노인요양시설의 재정적 부
지나갈 수 있도록 이동로를 넓게 계획하였다(G시설). 담이 크다. 호주의 노인요양시설은 점차 대형화되고 있는
E시설의 거주자인 노숙인 고령자는 정신질환, 뇌손상, 추세이다.
사회성/행동문제, 조로와 치매문제가 있어 개인거주실을 둘째, 건축적 특징으로는 호주의 노인요양시설은 대체
독채로 하고 공용공간을 지붕이 있는 외부로 연결하였으 로 주택과 유사한 단층의 건물에 박공지붕형태이고, 면적
며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단계의 사회적 공간을 제 은 우리나라시설과 비교하면 1인당 연면적이 1.5배, 거주
공하였다. I시설은 거주노인의 1/3이 홀로코스트 생존자이 실면적은 3배의 크기로 훨씬 넓다.
며 나머지 노인들 중 다수가 생존자의 자녀이거나 그 사 셋째, 거주 공간의 경우 거주단위는 최대한 독립성을 강
건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이들은 치매의 진행과 함 조하여 표면적이 넓은 부정형의 형태로 조직되고 향이 우
께 트라우마로 어려움을 겪는다. 이를 위하여 갇힌 느낌 리나라에 비하여 비교적 덜 중요하게 여겨진다. 개인생활
이나 시설적 느낌을 주는 재료나 디자인을 피하였다. 공간은 2개의 복도로 나뉘어 공용생활공간과 연결되는 추
노인요양시설을 계획하면서 설계자는 일반적으로 노인 세이며 도시시설은 집약화되고 있다. 공용생활공간은 식사
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장애’에 초점을 맞추기 쉽지 실이 진입공간으로 열려 있고, 다양하게 여러 개 계획된
만, 사실은 그 시설에 거주하게 될 노인의 지역적․생활 거실은 독립되는 경우가 많으며 야외공간이 중요하게 다루
사적 특성, 교육과 생활수준, 요구사항 등이 얼마나 고려 어진다. 개인생활공간은 거주자가 특별히 원하는 경우가
아니면 프라이버시와 자립, 존엄성을 위하여 건강상태와
13)호주 원주민들은 50세부터 노인케어복지 서비스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제31권 제10호(통권324호) 2015년 10월 117

www.dbpia.co.kr
정미렴

관계없이 욕실이 딸린 개인거주실로 제공되었다. Services(2014), Aged Care Reforms Overview. 2-45.
넷째, 직원, 서비스 공간은 가정적인 분위기를 위해 거 7. Borowski, A., Encel, S., & Ozanne, E.(2007), Longevity
주공간과 분리된다. 소규모의 거주인원을 유지하면서도 케 and Social Change in Australia, UNSWPress. 265-295.
어인력을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계획이 시도되었다. 8. Judd, S., Marshall, M., & Phippen, P.(1998). Design for
다섯째, 다양한 인종과 배경의 거주자들은 공간에 대하 Dementia, Hawker Publications. 57-132.
여 다른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성이 공간계 9. Lee, H., & Jang, H.(2013), The Commonwealth of
획에 심도 있게 반영되었다. Australia, Vol.2, Yonsei Univ.
이처럼 호주 노인요양시설에서는 거주노인의 인지능력, 10. Yuo, Y., & Jung, Y.(2011), Australian Social Security
신체적 건강이 감퇴하더라도 최대한 자립과 존엄성을 유 System,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지할 수 있도록 공간을 할애하고, 호주원주민과 이민자들 11. Byun, H., Chung, M, Kim, D., & Yoon, Y.(2008).
의 상당히 극단적이라 할 수 있는 다양성을 반영하여 공 Analysis of research on nursing home in Korea-focused
간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정책과 경제적 상황에 맞추어 on thesis and journal papers since 1990. Journal of the
시설이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지만 그 안에서도 유연성 있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2), 2008, 93-103
게 인력을 배치하고 운영할 수 있는 평면, 각 거주단위를 12. Byun, H., Yoon, Y., Kim, D., & Chung, M.(2008). A
가정적인 분위기로 이끌 수 있도록 블록배치를 고려하고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서비스공간과 인력을 분리하는 등 실리적이면서도 거주노 differences by the type, districts, and surrounding
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시도되고 있다. environment of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in Korea.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은 현재까지 급속도로 발전하였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지만 공간에서 아직 개인의 자립이나 존엄, 프라이버시를 and Design Section, 24(11), 3-12.
실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동안 무장애디자인에 대 13. Choi, S., & Kim, C.(2004). A study on designing the
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거주노인의 ‘장애’를 위한 환경 communal living area for aged care residential services
은 무난히 조성되고 있지만, 시설 소재지 거주노인의 지 facilities-focused on Melbourne in Australia-. Journal of
역적․생활사적 특성, 교육과 생활수준, 삶의 역사, 요구사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5(2), 2004, 1-9
항 등 노인의 특성과 요구에 대한 적극적 청취와 분석은 14. Kim, C.(2003).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of the
매우 부족하다. 이를 종합적으로 연구, 반영하여 시설이 계 private zone for the aged care residential services in
획될 때 거주노인이 생의 마지막까지 높은 삶의 질을 유지 Australi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요양시설은 주거시설로서 개인의 14(4), 57-67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해야 한다. 그와 동시에, 호주 시설들 15. Kim, D., Chung, M., Youn Y., & Byun, H.(2008), A
이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재정적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다 Study on the space planning and design of
양한 창의적인 평면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bathroom/toilet in Korean nursing homes through
호주 노인요양시설은 우리나라에 이미 많이 소개된 북 nationwide survey and case study, Journal of the
유럽, 미국, 일본 시설과는 다른, 실리적이고 개인의 권리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and Design
와 삶의 질, 차이를 존중하는 고유의 특성이 있으며, 적극 Section, 24(2), 71-82
적으로 서비스 개혁이 계속되고 있어 지속적으로 그 변화 16. Kim, S., Yoon, Y., Kim, D., & Byun, H.(2008). A
를 살펴 볼 가치가 있다. 앞으로 호주의 시설과 복지서비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environment
스 관련 연구가 다방면에서 계속 진행되기를 희망한다. examined from the change process and the research
trends of elderly care facilities in Japan. Journal of the
REFERENCE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and Design
Section, 24(10), 11-20
1. AIHW(2012), Residential Aged care in Australia 2010-11. 17.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2014), The First Half
AIHW. 8. Year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Key Statistics,
2. AIHW(2013), Australia's Welfare 2013. AIHW. 239-275. 11,13,98,99.
3. Anderzhon, J., Hughes, D., Judd, S., Kiyota, E., & 18. http://www.myagedcare.gov.au
Wijnties, M.(2012). Design for Aging, John Willey & 19. http://www.dss.gov.au/our-responsibilities/ageing-and-aged-
Sons, Inc. 1-53. care/aged-care-reform
4. Australian Government(2010), Australia to 2050: Future 20. http://www.brightwatergroup.com/rac/onslow-gardens.html
Challenges. 4,5,15,20. 21. http://www.calvary-canberra.org.au/
5.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Social 22. http://www.hammond.com.au/facilities/southwood
Services(2013), 2012-13 Report on the Operation of the 23. http://www.montefiorehome.com.au/
Aged Care Act 1997. 8-91. 24. http://www.wintringham.org.au/
6.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Social (Received Aug. 6 2015 Revised Sep. 4 2015 Accepted Oct. 8 2015)

118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제31권 제10호(통권324호) 2015년 10월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