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1단계] 탐구 에세이 계획서 3502 강민경

글자 포인트 11pt 서론 분량 : 1-2페이지(1쪽 제출 경우 80%로 이상 채워주세요!)

베버리지 보고서에서 제시한 사회보장 제도의 방향성이 2차 대전 후 연합국의 복지국가


수립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
탐구 질문

: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수업 중 2차 대전의 결과를 배우며 오늘날 사회복지국가의 틀이 2차 대전 후 영국에서


등장한 ‘베버리지 보고서’에 의해 정립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오랜 시간이 지난
탐구 동기
오늘날까지도 사회복지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자료로 남아있는 것을 보면서, 그 당시에도
(왜 이러한 탐구 질문을 굉장히 혁신적이고 진보한 내용이 담겨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구체적으로
선택했고, 이러한 탐구를 베버리지 보고서에서 추구하는 복지국가가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지 궁금하게 되었다.
통해 본인이 알고 싶은 점에 또한 2차 대전 후 영국과 같은 축을 이루던 연합국들은 각자 다양한 국가적 문제를
대해 설명해주세요.)
마주하고 있었을텐데, 이렇게 다른 상황에서 베버리지 보고서 속 복지국가의 틀이 각
국가의 복지국가 형성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알아보고 싶었다.

링크 : 베버리지 보고서

누가? 영국의 자유주의 경제학자 윌리엄 베버리지

언제? 1942
사료 출처 및 설명
어디서 발간? 발표?
*사료는 탐구 내용 설명 : 베버리지 보고서에서는 현대사회의 5대 악을 명시하고 있는데, 바로 무지,
에세이에서 가장 불결, 질병, 나태, 빈곤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복지국가는 교육 정책, 보건의료정책,
중요한 사료 선정할 것! 고용보장정책, 소득보장정책을 핵심으로 운영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사회보장제도에서 사회보험을 중심 제도로서 제시하는다. 이 사회보험은 다시
*가치와 한계 각각
균일생계비지금, 균일 갹출, 행정책임의 통일, 급여의 적절성, 포괄성, 피보험자의
분류’를 기본 원칙으로 운영한다.
2가지씩 서술할 것.
가치 :
* 가치와 한계는 출처,
내용, 목적을 골고루 베버리지 보고서는 베버리지 위원장으로서 소속되어 있는 범정부위원회라는 공식적인
정부기관에서 제출된 보고서로서 사료 속 내용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 수 있다는 출처
활용할 것! - 출처만
측면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또한 베버리지 보고서는 복지국가의 기초를 정부에
하면 안됨 !!!!!!! 제시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자료로서 복지국가를 만들기 위한 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져야할 책임과 정책에 대해 굉장히 세부적으로 설명이 되어있다. 때문에 베버리지
보고서의 어떠한 부분이 영국 사회복지 국가 형성에 반영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알수
있다는 목적과 내용적 측면에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한계 : 베버리지 보고서는
링크 : 6 영국의 사회보장제도.pdf

누가? 최복천 외 13

언제? 2018

어디서 발간? 발표? 한국보건사회연국원

사료 출처 및 설명 내용 설명 :

*사료는 탐구 1차 대전 이전부터 영국의 역사적 배경부터 시작해서 현대까지 전반적인 영국의


복지국가로서 발달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설명하는데 주로 ‘사회보장제도’의
에세이에서 가장 발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시기별 사회보장제도의 구조, 소득분배의 구조를
중요한 사료 선정할 것! 설명한다. 또한 앞으로 영국의 인구 추이를 통한 고령화 정책의 대응을 소개하고, 현재
정부재정과 사회보장재정 사황을 설명하며 앞으로 영국에서 사회 보장 개혁이 어떻게
*가치와 한계 각각 이루어질 것인가에 대해서 동향을 살펴보기도 한다.
2가지씩 서술할 것.
가치: 이 사료는 베버리지 보고서가 나왔을 때 보다 많은 시간이 흐른 후 출간된
보고서이다. 따라서 이 사료는 그동안의 연구된 영국 복지국가에 대한 역사적 연구를
* 가치와 한계는 출처,
바탕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사료 내용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는 출처 측면의
내용, 목적을 골고루 가치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보고서는 2차대전 바로 직후의 시기 뿐만 아니라 1차대전
활용할 것! - 출처만 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영국 복지국가의 발전이 어떻게 이루어져있는지를 다루고
하면 안됨 !!!!!!! 있기 때문에 영구 복지국가 형성에 대한 넓은 시각을 제시할 수 있다는 내용적 측면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한계: 이 사료에서 다루고 있는 영국 사회보장제도의 범주가 너무 넓기 때문에 베버리지


보고서의 사회보장 부분 중 세부적으로 어떠한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알기에는
제한적일 수 있다는 내용적 측면의 한계가 있다. 이 보고서는 한국 사람들이 영국
사회보장제도의 내용을 다룬것이다. 영국 자국의 연구원(?)들보다는 정보의 접근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사료 내용에 대한 신뢰성이 감소할 수 있다는 출처 측면에서의
한계가 있다.

1번 사료 : 본 연구에서는 베버리지 보고서가 영국과 다른 연합국가의 사회보장제도


구축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베버리지 보고서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구체적을 알고
사료 선택 이유 있어야한다고 파악하였고, 따라서 1번 사료인 ‘베버리지 보고서’를 본 연구의 가장
바탕이 되는 자료로 사용할 것이다.
(이 사료와 본인의 탐구
질문이 어떠한 관련이 2번 사료 : 2번 사료에서는 1차대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영국의 복지국가로의
있으며, 본인이 이 사료를
발전에 있어서 전반적인 역사적 흐름을 설명해준다. 즉 2차 대전 직후인, 베버리지
선택한 이유 및 이 사료를
통해 밝히고 싶은 점을 보고서가 나왔을 당시에 대한 내용 또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2차 대전후 베버리지
서술해주세요.) 보고서가 영국 사회보장제도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알 수 있어 해당 사료를
선택한 것이다. 또한 복지국가의 다양한 요소 중에서도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내용을
중심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위에서 설명했던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 선택하였다.
서론

1929년 경제 대공황과 약 4천 4백만 명의 사망자를 낳은 6년간의 2차 대전으로 유럽 국민들은


두려움과 불안함 속에 살아야만 했다. 때문에 2차 대전 이후 유럽 국민들은 국가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고 사회의 평화를 구축할 수 있는 정부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사회
개선’을 위한 여러 노력들이 시작되었고, 그중 ‘복지 국가의 수립’이 하나의 방안이었다. 국가가
국민의 최소한의 개인적 삶을 보장하는 ‘복지국가’라는 단어는 영국에서부터 처음 등장했다. 2차
대전 이후 영국의 복지국가로의 수립은 베버리지가 정립한 ‘베버리지 보고서’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베버리지 보고서’는 복지국가의 기본 원칙을 확립한 문서로 다른 국가들의
복지국가의 틀을 다지는데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에서도 500,000 부가 판매될
정도로 많은 관심을 가졌다. 특히 미국은 2차 대전 이후 세계 질서의 중심이 된 국가로 이전의
대영제국으로서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영국과 사회복지 측면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을지 비교
연구해 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베버리지 보고서>에서는 사회 5대 악인 무지, 불경, 궁핍, 질병, 나태 중 ‘궁핍’을 가장 핵심적인


문제로서 여기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베버리지가
정립한 ‘사회보장’의 정의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개인의 수입이 중단되거나,
이례적인 지출에 대처함으로써 생계를 이어갈 수 있도록 최소한의 소득을 보장하는 것’. 베버리지
보고서에서는 이와 같은 사회보장이 바람직하게 이행되는 사회는 다음의 세 가지 가정이
달성되는 것을 기반으로 해야 함을 정리한다. 첫 번째는 ‘아동수당’, 두 번째는 ‘포괄적인 보건 및
사회 서비스’, 세 번째는 ‘고용유지’이다. 위의 세 가지 가정은 베버리지 보고서의 가장 핵심을
하고 있는 전제로서 영국과 미국의 전후 사회 복지 정책을 비교 연구하는 본 에세이에서 비교의
척도로 사용될 것이다. 즉, 각각의 가정이 2차 세계대전 후 두 국가의 사회복지 정책에 얼마나
반영되었으며, 반영 정도에서 두 국가 간의 차이가 있는지 본 에세이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본론

1. 아동 수당/가족 수당

영국

1945년 영국에서는 ‘가족수당법’이 통과 됨에 따라 베버리지 보고서의 첫 번째 가정인 ‘아동


수당(가정수당)’을 달성하고자 하였으나, 보고서에서 강조한 만큼 ‘아동수당’을 사회복지정책에서
매우 중요한 분야로 여기고 있지 않았다.Lavinia.C.E. Mitton은 그의 저서 <The Objectives and
Outcomes of Means Testing under the British Welfare State> 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가족 수당의 생계 원칙은 도입 당시 폐기되었으며, 가족 수당은 어린이 양육에 대한 부모와


사회의 공동 책임을 나타내는 보조금으로 정당화 되었다.’

즉, 가정 수당은 단순 보조금 이상으로서의 역할로는 여겨지지 않았던 것이다. 실제로 베버리지


보고서에서 제시한 바와는 달리 학교 급식비는 가난한 사람을 제외하고는 모두에게 부과되었다.
또한 베버리지는 416항에서 전후 물가 상승 및 아동에게 제공될 급식과 우유 비용을 고려할 때
주당 8실링 정도의 아동 수당을 지급해야 한다고 제안했으나, 영국의 실제 아동 수당 정책은 이에
비해 3실링 적은 5실링을 지원하였다.

미국

사회복지 정책 추진에 ‘아동수당’에 대한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되었던 영국과 달리 미국의 전후


사회복지 정책에서 ‘아동수당의 지원’은 완전히 배제되고 있었다. 전쟁 당시에도 군인의 아내를
대상으로 한 부분적인 아동수당만이 지급되고 있었으며, 베버리지 보고서가 발표된 이후 연방
정부에서 제출한 ‘확장된 사회 프로그램을 권장하는 연방 보고서’에서는 가정수당에 대한 내용이
완전히 누락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가정수당법을 통과시킨 영국과 ‘Leonard Marsh
보고서’를 통에 가정수당을 정책 의제로 선정한 바로 주변국인 캐나다와 비교되며 미국이 얼마나
아동수당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않고 있었는지 보여준다.

2. 보건 의료 서비스

영국

베버리지 보고서의 두 번째 가정인 ‘포괄적인 보건 및 재활 서비스’는 첫 번째 가정인 아동


수당에 비해 전후 영국 사회 복지 정책에서 핵심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베버리지 보고서의
427항 1조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사회보험 관련 부처가 아니라 국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부서, 치료용 조치뿐 아니라 적극적이고
예방적인 조치를 담당하는 부서가 보건 서비스 조직을 해야한다.’

이에 따라 영국 노동당은 ‘국민보건서비스 The National Health Service, 이하 NHS)’라는 서비스


부를 조직해 보건 의료를 체계적으로 이행하였다. 당시 NHS에 지원된 예산은 4억 3,7000만
파운드(현재 가치 90억 파운드)로 영국 정부가 국민 의료 서비스에 얼마나 심혈을 기울였는지 알
수 있다. 특히 환자에게 진료, 약 처방과 같은 보건 서비스를 전액 무료로 제공한 NHS의 한
정책은 (비록 재정적 한계를 인식하고 이후 요금을 도입하기는 하나) 영국이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의료 서비스의 보편화를 얼마나 중요하게 다루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미국

1935년 제정된 미국 사회보장법에서는 의료보장이 개인의 기본권에서 제외되어 있었으나,


베버리지 보고서와 세계인권선언 발표된 이후 의료 서비스가 공공재로서의 기능을 해야 함이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1949년, ‘국가 의료 시스템’에 대한 계획이 투르먼 대통령에 의해
수립되었지만 냉전의 영향으로 미국에서 공공의료에 대한 투자는 영국에 비해 늦게 시작되었다.
정치계에서는 모든 계층에 대한 평등한 의료 보장이 ‘사회주의적’ 활동으로 여겨 반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1966년부터는 ‘Medicare’와 ‘Medicaid’ 프로그램이 통과되어 미국 공공의료
서비스가 각 주를 중심으로 운영되기 시작되었다. 두 프로그램을 통해 연방 정부에서는 ‘일반
건강, 결행, 치과 건강, 가정 및 정신 건강’ 예방에 대한 보조금을 지원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NHS라는 별개의 부서를 조직해 보건 서비스를 운영했던 영국과는 달리 원래 있던 주 기관
내에서 역할을 담당해 진행되었다. 그러나 1967년 ‘건강계획법’ 이후에는 ‘건강기획기관’을
구축하여 베버리지보고서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보건 서비스에 대한 기관을 세분화였다. 비록
영국보다는 공공의료에 대한 진행이 늦추어졌지만, 베버리지 보고서에서 제시한 보편화된 보건
및 의료 서비스를 구축하고자 체계화한 것이다. .

3. 고용 정책

영국

2차 대전 후 집권한 영국 노동당은 비자발적 실업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 실업자의 수가 3~4%인


상태, 즉, ‘완전 고용’의 상태를 고용정책 목표로 하여 베버리지 보고서에서 제시한 세 번째
가정인 ‘고용유지’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역 간 불균형을 해결함으로써 완전 고용을
이루어내고자 하였는데 구체적인 정책 방안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쇠퇴되고 있거나
정체되어 있는 지역에 위치한 기업들에게 고용 창출을 위하여 투자 및 고용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이다. 둘째는 런던과 같은 수도권 지역의 기업 입지를 규제함으로써 인구 과밀화에 따른 실업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세 번째는 New Town Act 프로젝트를 통해 런던권에 위치한 공공 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면서 지방 지역에서의 고용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렇게 영국은 지역 균등화
정책을 통해 ‘완전고용’을 실현함으로써 베버리지 보고서에서 제시한 ‘고용유지’를 달성하고 한
것이다.

미국

영국과 마찬가치로 미국은 전후 경제 회복 및 경기 침체의 예방을 위해 ‘완전고용’을 목표로 하여


고용 정책을 실시하였다. 이는 2차 대전이 끝난 다음 해인 1946년, 경‘The Employment Act’라는
이름으로 입법화되기까지 하였다. The Employment Act 법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선언하며
국민의 일자리를 보장하는 것을 국가의 책임으로 명시한다.

의회는 연방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 및 책임으로서 최대 고용, 생산 및 구매력을 촉진할


것임을 공표한다.

위와 같은 국가의 책임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의 예로는 1964년부터 시작된 ‘Job


Corps’프로그램이 있다. ‘Job Corps’ 프로그램은 미국 노동부에서 관리된 프로그램으로
16세에서 24세 청년들에게 무료 직업 교육을 시행함으로써 취업의 기회와 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고용 정책의 방식은 미국 정부가 베버리지 보고서의 5대 악 중 ‘나태’에 대한
해결을 통해 고용 유지를 실현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베버리지 보고서에서 제시한 사회보장 제도의 세 가지 가정이 2차 대전 후 영국과


미국의 복지국가 수립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수당’의 경우 영국과 미국 두 국가 모두 핵심적인 복지 정책으로서 다루고 있지


않았다. 영국에서는 베버리지 보고서에서 명시한 아동 수당이 어느 정도 지원되기는 하였으나,
지원 정도가 보고서에 비해 약했으며, 미국에서는 연방 보고서에서 완전히 다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둘째, 미국의 경우 공공의료 서비스에 대한 제도화가 영국보다 늦기는 하였으나 두 국가 모두


의료 서비스의 보편화를 전후 복지 정책의 핵심으로 다루고 있었다. 특히 영국에서는 NHS,
미국에서는 ‘건강기획기관’이라는 보건 전문 부처를 구축함으로써 베버리지가 명시한 보건
서비스 조직의 필요성(427항 1조)*을 달성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고융 유지’는 전후 경제 회복을 위한 필수 전제였다. 따라서 미국과 영국 모두 ‘완전고용’을


목표로 하여 국민들의 일자리를 보장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영국의 경우 지역 간 불균형을
해결함으로써 이를 달성하고자 하였고, 미국의 경우 직업 교육을 통한 청년들의 취업 기회
확장으로 완전고용을 달성하려 했다는 점에서 정책의 결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차 대전 후 두 국가의 사회보장 정책에서 드러난 표면적인 차이점과 공통점만을


비교 연구하였다. 각 국가의 전후 경제, 사회적 맥락에서 위와 같은 차이점과 공통점이 왜
나타났는지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사회보장 정책 발달에 대한 확장된 연구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사회보험 관련 부처가 아니라 국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부서, 치료용 조치뿐 아니라 적극적이고
예방적인 조치를 담당하는 부서가 보건 서비스 조직을 해야한다.’

*쓰앵님 참고문헌은 아래 페이지에 있어염


참고문헌

1. 김용수. (2011). 영국 국가보건서비스 (NHS) 개혁논의 (Vol. 6, Issue 1).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 변필성, & 이동우. (2008). 영국 지역정책 변화 동향과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1), 111~129.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0833338551168.pdf

3. 이규식. (2017). 공공의료의 올바른 정의와 발전방향 . 대한공공의학회지.

4. 최병호, 한동운, 이정우, 이건세, 신현웅, 선우덕, & 배성일. (2005).


건강보험제도의 발전과정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 A History of the Public Health System. (1988). The Future of Public Health.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218214/

6. Beveridge, W. (1942). Social Insurance And Allied Services. Stationery Office.

7. Madrick, J., & Wing, S. (2021, October 15). Why Did It Take America So
Long to Pass a Refundable Child Tax Credit? The Century Foundation.
https://tcf.org/content/report/take-america-long-pass-refundable-child-tax
-credit/

8. Mitton, L. C. (2004). The Objectives and Outcomes of Means Testing under


the British Welfare State. http://etheses.lse.ac.uk/id/eprint/1770
우왓 승은쌤 저 보고서 다 썼어염ㅎㅎ 여전히 💩 같이 쓰지만 작년이랑 비교하면 저 듸게 많이
성장한 것 같아욥!작년에는 주제 정하는 것부터 너무 힘들었는데, 그래도 올해는 다
썼잖아요?ㅎㅋㅎㅋ. 이번에는 주제가 느무느무 재미있어서 열심히 써볼라 했는데 아쉽게도
시간이 너무 부족했네요ㅎㅎ 그래도 수학IA랑 TOK 제출 기한 늘려주신 만큼 나름 자료도 짱
열심히 찾고 보고서도 짱 열심히 썼어욥ㅋㅋㅋ(진짜 기한 늘려주셔서 느므느므 감사합니당
💕💕💕 저 진짜 수학 주제 바꿔야 해서 완전 좌절 직전이었거덩여ㅎㅎㅎ)

근데

이번 기말고사는 쪼꼼 힘들 것 같아요...ㅎㅎㅎ

그래두 저 놀면서 살고 있지는 않아요 쓰앵님 헤헿

풀디 열심히 해볼게욥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