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2024 수능특강 영어 - 16강

Unit 16 주어진
주어진 문장의
문장의 적합한
적합한 위치
위치 찾기
찾기
Gateway : 문화적 관심사가 반영되는 공원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the park reflecting cultural interests )
↱주격 관계대명사 + be동사 생략
↱which/that is 생략
Parks take the shape [demanded by the cultural concerns of their time].
선행사 ↳과거분사(수동) 관심사
주제문
해석 공원은 그것이 속한 시대의 문화적 관심사가 요구하는 형태를 취한다.

Once parks are in place, they are no inert stage —


일단 ~하면 비활성의
↱개조하다
their purposes and meanings are made and remade by planners and by park users.
↳과거분사(수동)①↳과거분사(수동)②
일단 공원이 자리 잡으면, 그것은 결코 비활성 단계가 아니며
그것의 목적과 의미는 계획자와 공원 이용자에 의해 만들어지고 개조된다.

Moments of park creation are particularly telling, however,


의미가 있는 그러나
for they reveal and actualize ideas about nature and its relationship to urban society.
드러내다 실현하다
그러나 공원을 조성하는 시기는 특히 의미가 있는데, 그것(공원을 조성하는 시기)이
자연과 자연이 도시 사회와 갖는 관계에 관한 생각을 드러내고 구현하기 때문이다.

↱distinguish A from B : A를 B와 구별하다


Indeed, [what distinguishes a park from the broader category of public space]
실제로 ↳명사절의 접속사(주절) : 단수취급 더 넓은 범주
↳선행사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
is the representation of nature [that parks are meant to embody].
구현 선행사 ↳목적격 관계대명사 ~하려하다 구현하다
실제로 공원을 더 넓은 범주의 공공 공간과 구별하는 것은 공원이 구현하려는 자연의 표상이다.

Public spaces include parks, concrete plazas, sidewalks, even indoor atriums.
광장 보도 실내의 아트리움(현대식 건물 중앙 높은 곳에 보통 유리로 지붕을 한 넓은 공간)
공공 공간에는 공원, 콘크리트 광장, 보도, 심지어 실내 아트리움도 포함된다.

Parks typically have trees, grass, and other plants as their central features.
일반적으로 ~로
일반적으로 공원에는 그것의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나무, 풀, 그리고 여타 식물이 있다.

[When entering a city park], people often imagine a sharp separation from streets, cars, and buildings.
↳현재분사구문 분명한 분리
↳when they enter~
도시의 공원에 들어갈 때, 사람들은 흔히 거리, 자동차, 그리고 건물과의 분명한 분리를 상상한다.

There’s a reason for that: traditionally, park designers attempted to create such a feeling
~하려 하다
↱심다
by planting tall trees at park boundaries, building stone walls, and constructing other means of partition.
↳by ~ing① : ~함으로써 경계 ~ing② ~ing③ 수단 벽
그것에는 이유가 있는데, 전통적으로 공원 설계자들은 공원 경계에 키가 큰 나무를 심고, 돌담을 쌓고,
그 밖의 다른 경계 벽의 수단을 건축하여 그런 느낌을 만들어 내려고 했다.

- 1 - 카톡문의 :trainingeng
2024 수능특강 영어 - 16강

[What’s behind this idea] is not only landscape architects’ desire to design
↳명사절의 접속사(주절) : 단수취급 ┃ 조경가 ~하려는 욕망
↳선행사 + 주격 관계대명사 ┃
┗------------┳not only A but (also) B : A뿐만 아니라 B도
aesthetically suggestive park spaces, but a much longer history of Western thought
미적으로 시사하는 ↳비교급 강조 비교급 사상/선행사
↳훨씬(=still, far, a lot, even)
↱=which ↱상상하다
[that envisions cities and nature as antithetical spaces and oppositional forces].
↳주격 관계대명사 ~로 대조적인 대립하는 세력
이 생각의 배후에는 미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큰 공원 공간을 설계하려는 조경가의 욕망뿐만 아니라,
도시와 자연을 대조적인 공간이자 대립하는 세력으로 상상하는 역사가 훨씬 더 오래된 서구 사상도 있다.

- 2 - 카톡문의 :trainingeng
2024 수능특강 영어 - 16강

1 : 극단적인 행위로 향할 수 있는 집단의 양극화


( the polarization of groups that can lead to extreme behavior )
When we are in groups, we tend to feel
~하는 경향이 있다
↱명사절의 접속사(목적절) ┏--as ~ as : 원급비교--┓ ↱현재분사(진행)
that we, personally, aren’t as responsible as we would be if we were acting on our own.
개인적으로 책임이 있는 ↳가정법 과거 : 주어 + 조동사 과거 + 동사원형 ~ if + 주어 + 동사과거
우리는 집단 속에 있을 때,
혼자서 행동하고 있는 경우에 책임이 있을 만큼 개인적으로 책임이 있지는 않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which
So the decisions [that the group makes] can easily become extreme.
선행사 ↳목적격 관계대명사 극단적인
그래서 집단이 내리는 결정은 쉽게 극단적이 될 수 있다.

Occasionally, groups reach more risky decisions —


이따금 위험한
↱=that
they decide to take actions [which are more challenging or unsafe than they should be].
↳명사적(목적어) 선행사 ↳주격 관계대명사 도전적인
이따금 집단은 더 위험한 결정에 도달하는데,
즉 그들은 응당 그러해야 하는 것보다 더 도전적이거나 안전하지 않은 행동을 취하기로 결정한다.

↱=which
Sometimes, though, they make choices [that are too cautious].
하지만 선행사 ↳주격 관계대명사 신중한
하지만, 때로 집단은 너무 신중한 선택을 한다.

It’s known as group polarization: a tendency towards extremes.


~라고 알려지다 양극화 경향 주제문
그것은 집단 양극화라고 알려져 있는데, 극단적인 행위로 향하는 경향이다.

↱논의
A lot depends on [how the discussions in the group develop].
↳간접의문문 : 의문사 + 주어 + 동사 전개하다
↳명사절의 접속사(목적절)
많은 것이 집단 내의 논의가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좌우 된다.

↱옹호하다
If one person is advocating a risky strategy early on,
↳현재분사(진행) 전략
others may begin to think of even more challenging examples,
↳명사적(목적어) ↳비교급 강조 비교급
↳훨씬(=still, far, much, a lot)
and that leads the discussion towards reaching a riskier decision.
↳전치사 + 동명사
어느 한 사람이 초기 단계에서 위험한 전략을 옹호하고 있다면,
다른 사람들은 훨씬 더 도전적인 예를 생각하기 시작할 수 도 있고,
그것은 논의를 더 위험한 결정에 도달하는 방향으로 이끈다.

But if someone advocates more cautious approaches at an early stage,


this too can influence the direction of the discussion,

[resulting in a more cautious decision than the group members might have made individually].
↳현재분사구문 ↳might have p•p : ~이었을지 모른다
↳as it results ~
그러나 만약 누군가가 초기에 더 신중한 접근법을 옹호한다면,
이것도 또한 논의의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결국 집단 구성원들이 개별적으로 내렸을지도 모르는 것보다 더 신중한 결정에 이르게 한다.

- 3 - 카톡문의 :trainingeng
2024 수능특강 영어 - 16강

3 : 사실과 사건의 차이 ( the difference between facts and events )


Some people think that facts are the same as events,
↳명사절의 접속사(목적절) 선행사
↱regard A as B : A를 B로 간주하다
[which they regard as the “objective,” “hard core” elements of this universe].
↳주격 관계대명사(계속적) 객관적인 핵심적인 요소
어떤 사람들은 사실이 ‘사건’과 같다고 생각하는데,
그들은 사건을 이 우주의 ‘객관적이고’ ‘핵심적인’ 요소로 간주한다.

The main reason for thinking this is that events seem the best candidates
↳명사절의 접속사(보어절) 후보/명사
to offer us a rock-solid foundation for our facts.
↳형용사적(명사수식) 확고부동한 토대
이렇게 생각하는 주된 이유는 사건이 우리에게 우리가 가진 사실에 대한 확고부동한 토대를 제공하는
가장 좋은 후보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True, events do happen or do not happen; you can neglect them but not deny them.
=It is true that ↳동사강조 동사 동•원① 무시하다 동•원② 부정하다
사건은 실제로 일어나거나 혹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 사실이므로,
여러분은 그것을 무시할 수는 있지만 그것을 부인할 수는 없다.

↱replace A with B : A를 B로 대체하다


So by replacing facts with events,
↳by ~ing : ~함으로써
↱현재완료(완료) ↱=which ↱~을 얻으려고 노력하다
we might think we have found the strong objective foundation [that we strive for].
↳명사절의 접속사 that 생략 선행사 ↳목적격 관계대명사
그래서 사실을 사건으로 대체함으로써,
우리는 우리가 얻으려고 노력하는 강력한 객관적인 토대를 찾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However, facts and events are concepts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그러나 개념
그러나 사실과 사건은 서로 매우 다른 개념이다.

Unlike facts, events are dated, [tied to space and time], whereas facts are detached from space and time.
날짜가 있는 ↳과거분사구문 반면에 ~에서 분리되다
↳and it(=앞 절) is tied~ 주제문
사실과 달리, 사건은 날짜가 있어 시공간에 묶여 있는 반면에, 사실은 시공간에서 분리되어 있다.

It is even considered a fact that certain events did not occur;


↳가주어 ↳과거분사(수동) ↳명사절의 접속사(진주어)
it is a fact, for instance, that Darwin did not have a copy of Mendel’s 1866 article in his collection.
↳가주어 예를 들어 ↳명사절의 접속사(진주어) 한 편의 논문 장서
심지어 특정한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조차 사실로 여겨지는데,
예를 들어, Darwin이 장서에 Mendel의 1866년 논문 한 편을 가지고 있지 않았던 것은 사실이다.

Apparently, a fact is not the same as an event;


분명히
↱명사절의 접속사(보어절)
the best [we can say] is that a fact is a description of an event, but not the event itself.
선행사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that 생략 기술 ↳재귀대명사(강조)
↳생략 O
분명히, 사실은 사건과 같지 않은데,
우리가 말할 수 있는 최선의 것은 사실은 사건에 관한 기술이지만, 사건 그 자체는 아니라는 것이다.

- 5 - 카톡문의 :trainingeng
2024 수능특강 영어 - 16강

4 : 참여형 의사 결정 (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


↱~와 공유하다
The extent [to which decision making is shared with subordinates or
선행사 ↳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과거분사(수동)① 하급자
concentrated at the top of the hierarchy] differs across organizations.
↳과거분사(수동)② 위계 다르다
의사 결정이 하급자와 공유되거나 위계의 정상부에 집중되는 정도는 조직마다 다르다.

Thus, organizations can vary


따라서 다양하다
┏-----------------------------from A to B : A에서 B까지-----------------------------------┓
from strongly centralized decision-making practices to highly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practices.
강력한 중앙 집권형의 관행 고도의 참여형의
따라서 조직은 강력한 중앙 집권형 의사 결정 관행에서 고도의 참여형 의사 결정 관행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다.

In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subordinates have much more input into [how decisions are made].
↳비교급 강조 비교급 의견 ↳간접의문문 : 의문사 + 주어 + 동사 ↳과거분사(수동)
↳훨씬(=still, far, a lot, even) ↳명사절의 접속사(목적절)
참여형 의사 결정에서, 하급자는 어떻게 결정이 내려지는가에 관해 훨씬 더 많은 의견을 낸다.

Research shows that greater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improves


↳명사절의 접속사(목적절) 참여
employees’ satisfaction with the decisions,
직원 ~에 대한 만족도
but does not necessarily translate into better group performance.
~로 이어지다 성과
연구에 따르면, 의사 결정에 더 많이 참여하는 것은
그 결정에 대한 직원들의 만족도를 향상하지만, 반드시 더 나은 집단 성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research has investigated


그러므로 ↳현재완료(완료) 조사하다
when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is most useful, and when it is less important.

그러므로 연구는 참여형 의사 결정이 가장 유용한 때와 그것이 덜 중요한 때를 조사했다.

When the workers are highly educated, intelligent,


동사 ↳과거분사(수동) 지적인
and have considerable expertise in their areas,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is more effective.
동사② 상당한 전문 지식 분야
근로자가 고학력이고, 지적이며,
자신의 분야에서 상당한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을 때, 참여형 의사 결정이 더 효과적이다.

Additionally, when the task at hand is highly complex and knowledge about local conditions
게다가 당면한
is important to the decision,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is important.

게다가, 당면한 과제가 매우 복잡하고 현지 상황에 관한 지식이 의사 결정에 중요할 때,


참여형 의사 결정이 중요하다.

Finally, in times of crisis,


마지막으로 ~의 시기에 위기
when the decisions have very strong impact,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is useful.

마지막으로, 결정이 매우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위기시기에, 참여형 의사 결정이 유용하다.

- 6 - 카톡문의 :trainingeng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