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오세암

엄마를 찾으러 오세암으로 ...


길손이와 감이의 슬픈 엄마 찾기
길손이와 감이 , 머리카락씨만 뿌려진 스님을 만나다 !
눈을 감은 소녀 감이와 다섯 살 길손이에겐 서로가 세상의 전부다 . 엄마의
기억이 없는 길손이의 평생 소원은 한번이라도 엄마를 가져 보는 것 . 둘은 어디
있는지 모를 엄마를 찾기 위한 여행을 떠난다 . 그리고 막 추운 겨울이
시작되려는 즈음 한 마을에서 머리에 머리카락씨만 뿌려진 설정 스님을 만난다 .
사고뭉치 길손이 , 조용한 절집을 뒤집다 !
" 아저씨 이름이 스님이야 ? 참 재밌는 이름이네 !" 스님을 스님 아저씨라
부르며 절집 생활을 시작하게된 두꼬마 . 그러나 순진 발랄이 도를 넘어

등장인물
엽기적이기까지 한 길손이는 순식간에 조용한 절집을 뒤집어버린다 . 이불에
오줌싸는 일은 사흘에 한번 꼴 , 조용해야할 선방으로 날짐승을 몰아와
우당탕거리는 일은 이틀에 한번 꼴 , 법회때 한가운데 앉아있다 방귀를 뽕
소리가 나게 뀌질 않나 , 법회중인 스님들 신발을 몽창 가져다 나무에
달아놓지를 않나 . 바람 소리와 풍경소리가 전부이던 조용한 절이 순식간에
길손이 길손이의 활기로 가득 찬다 .
본작의 주인공으로마음을 다해 부르면
감이의 그러면 엄마가
남동생.... 누나와 단 둘이온단 말이지 ?
떠돌아다니는 거지 소년으로 , 강가에서 스님들과 만나 절에 기식하게 된다 . 때 묻지 않은
그러나 밝음 그자체인 것 같은 길손이에게도 밖으로 내보이지 못하는 슬픈
순수한 성격으로 엄마가 먼 곳에 여행 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 천방지축인 성격 때문에 절에서 잦은 사고를 일으켜 설정 스님과 관음암으로
소원이 하나 있다 . 한번이라도 엄마를 가져 보는 것 . ' 엄마 ..' 라고 큰 소리로
수행을 떠나게 된다 . 그러다 추운 겨울날 설정 스님이 식량과 생필품을 구하기 위해 마을로 내려가면서 관음암에 혼자 남게 된다 . 설정 스님은
마음껏 불러 보는 것 . 길손이는 설정 스님을 따라 겨우내 작은 암자에서 마음의
금방 돌아오겠다고눈을약속했지만 암자로한다
뜨는 공부를, 하기로 돌아가던
. 정말 중 폭설
마음의 로 인해
눈을 사고를볼당하여
뜨면 엄마를 수 있을까제때
? 길손이에게 돌아가지 못하게 된다 . 이 사실을 알 리 없는
길손이는 하염없이 스님을
마음을 다해기다리다가 식량까지
부르면 ... 엄마가 내게바닥이
와줄까 나자
? , 스님이 들어가면 안 된다고 한암자 골방에 머물게 되는데 이때 골방에 있는
설정 스님이 마을로 내려가 길손이 혼자 암자에 남은 어느 밤 . 한바탕 하얀
관세음보살 그림을 보게 된다 . 길손이는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서 보살 그림과 매일같이 이야기를 나누기 시작한다 . 관세음보살을 보고
폭설이 온 산하와 암자를 가득 덮은 그 밤 . 암자에서 혼자 잠든 길손이는 자신을
엄마라고 불러도 돼요 ? 라고 묻는 장면은 영화의 가장 가슴 아픈 장면 중 하나기도 하다 . 이후 추위와 굶주림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세상을 뜬다 .
품에 안고 정성스럽게 토닥거려주는 손길을 느낀다 .
그러나 이때 길손이의 순수한 마음을
이런 따뜻함이 높게
... 엄마의 본 관세음보살은
품일까 엄마를 더
길손이를
? 지금 눈을 뜨면 볼수이상있을까괴로움이
? 없는 곳으로 데려간다. 정말이지 눈물 없이 볼 수
없다
감이
길손이의 누나로 어렸을 적 일어난 화재로 엄마를 잃었으며 , 이때 재가 눈에 들어가는 바람에 눈을 다쳐 실명한다 . 스님들의 밥을 해주면서
절에 기식할 수 있게 되어 길손이와 다른 운명을 맞는다 . 마지막에 보살님을 만난 후 시력을 되찾았다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