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이름: Phạm Phương Thảo

학번: 2156200073
[기말고사] 개인별 연구보고서
주제: 한국 정치 발전 과정의 주요 사건과 의미

1. 1951 - 1990년대 - 1960년 4.19 혁명

한국은 50 년대(20 세기) 빈곤선생활을 하는 수백만 명이 자원 부족에


빠졌지만 30 여 년 만에 이륙, 용화, 민주화를 이뤘다. 민주화는 민주적 가치를
실현하고 민주적 체제를 구축·발전·보호하는 요인이 되는 국가 발전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된다.
저는 4.19 민주혁명이 한국의 정치적 변화 과정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행사이자 지배계급의 사기, 불의, 비윤리적 행위에 대한 투쟁이기도 한다.
1960년 4.19 혁명은 복잡한 원인으로 형성되었다. 1960년 초, 모든 국민의
관심은 3월 15일에 치러지는 제4대 대통령 선거와 제5차 부통령 선거에 쏠렸다.
1960년 3월 부정선거가 극에 달하였다. 많은 공무원들이 이승만의 당선을 위하여
동원되었다. 이승만은 경제 기반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정치적
실패와 부패 등 큰 문제도 가져왔다. 한국군은 정치, 사회 문제에 자주 개입해
불공정하고 불만스러운 상황을 만들어낸다. 정부와 군대의 탄압과 부당한
행동으로 인해 주민들 사이에 분노가 쌓였습니다. 4월 11일 마산해수욕장에서는
눈에 최루탄을 맞은 시신이 인근 바다에 떠다니는 모습이 목격됐다. 지난 3월
15일 마산 시위에 참가한 지 27일 만에 실종된 김주열(17) 학생의 시신이었다.
친구의 죽음을 목격한 학생들은 등교를 거부하고 거리로 쏟아졌다. 사람들은
화가 나서 소리를 지르며 항의했다. 이 사건은 1960년 4월 19일 혁명의 계기가
되었다.전국 주요 도시에서 반정부 시위가 벌어지기 시작했고 부정선거와
불법선거를 규탄하는 여론이 전국적으로 끓어오르고 있다. 1960년 4월 19일
혁명은 선거 실패와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권력의 사용의
결과였습니다. 선거 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에 대한 불만이 한국 국민, 특히
학생과 지식인의 항의를 불러일으켰다. 그들은 처음으로 반체제 인사로 떠올랐고
민주주의의 자유를 요구하였다.결국 1960 년 4 월 19 일에 학생 중심의 전국적인
집회와 투쟁이 정점에 이르렀고 서울 지역의 학생 시민들이 지금 청와대이 된
경무대로 몰려갔다.
4.19 혁명이 12 년 이승만 대통령의 독재주의를 참은 시기를 마쳐서 학생과
시민이 주축이 되어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를 이루고 말았다. 1960년 4.19혁명은
역사적 사건일 뿐만 아니라 한국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에 있어서의
연대와 용기의 상징이기도 한다. 시위와 혁명에 참여한 이들은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에서 연대와 용기의 상징이 되었다. 이는 정부적이고
부도덕한 행위를 반대하려는 투쟁이라고 할 수 있기도 한다. ‘4월 혁명은 한국
사회의 역동성을 보여줍니다. 이 혁명의 경험을 통해 한국인들은 불만이 있을
때마다 자신의 의견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정부에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1
가진 정치적 의미는 대한민국에 자유민주주의 정신과 국민의 주권의식을
확립하는 데 큰 밑거름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사건은 한국의 민주화 과정을
가속화하고 보다 투명하고 민주적인 정치를 구축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했다.
또한 4.19 혁명은 시민들의 힘이 철옹성 같은 부패한 정권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한국인들의 역동성을 재확인한 의미도 크고 국민들의 뜻에 반하는 정권은 지속될
수 없다는 교훈을 아는다.
개인적인 의견: 학교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시민권의 기본권과 투표권을
이해하게 되는데 이는 자유민주주의에 매우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혁명은
또한 도전과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도전은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정치 및
경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2. 1991 - 2020년대 - 1992년 대통령 선거

1990-2020년대 한국의 정치적 변화 과정 중에서 중요한 사건 중 하나는


1992년 대통령 선거였다고 생각한다. 1992년 대선은 한국 민주정치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노태우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가는 1992년에 들어서면서 대선
출마 정당들의 활동은 다시 활발해졌다. 그 이전에 대한민국은 박정희 대통령과
전두환 대통령의 군사 독재 하에 있었다. 이는 1987년 6월 격렬한 민주화운동으로
이어졌다. 당시 한국 국민은 국민을 위한 정부에 대한 기대가 컸다. 수개월간의
선거운동 끝에 1992년 5월 김영삼은 여당인 민노당에 의해 대통령 후보로
임명되었다. 1992년 12월 8일 자유롭고 공정한 대통령 선거에서 대한민국 헌법

1
성신여대 사학과 홍석렬 교수가 평가했다.
공포 후 32년 만에 첫 민간 대통령인 김영삼이 당선되어 대한민국 역사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민간인 후보들이 참여한 14대 대선은 군 장성 시대의 종말을 고했다.
김영삼은 유명한 민주 지도자이자 이전에는 군사정치 시위 지도자였다. 그는
선거에서 승리하여 수년간의 군사 정치를 거쳐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1992년
선거는 이전에 군사 지도자들과 연관되었던 민주공화당의 통치가 끝났다는 것을
의미했다. 노태우에 비해 김영삼은 사회 민주화의 길에서 꽤 먼 걸음을 내디뎠다.
1992년 선거의 가장 큰 의미 중 하나는 한국의 군사-정치적 역사적 사슬이
끝났다는 점이다. 이번 선거에서 당선된 김영삼이 유권자에 의해 선출된 최초의
대통령이 되어 군사정치에서 민주화로의 전환을 이뤘다. 김영삼은 민주주의,
투명성, 유권자 권한 부여라는 가치를 옹호하고 민주정치와 정부구조를 재건하는
과정을 시작했다. 이는 오랜 군사통제 이후 자유와 권력을 향한 한국 국민의
열망을 보여준다. 1992년 선거는 김영삼 대통령이 평화협력정책을 이어가면서
남북관계 개선의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는 대외 관계에 긍정적인 초점을 맞추고
한국의 국제적 명성을 강화했다.
개인적인 의견: 유권자들이 김영삼을 대통령으로 선택한 것은 혁신과
자유에 대한 한국 국민의 염원을 보여주는 분명한 신호이다. 이번 선거는 군부에
의해 통치되는 정치적 왕조의 종말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완전한 선출 권력을
가진 공정하고 투명한 사회를 건설하는 중요한 단계이기도 한다.
참고 문헌

Hồ Sĩ Quý (2011), Hàn Quốc: Độc tài, hóa rồng và dân chủ, 잡지 “Nghiên cứu
Đông Bắc Á” số 10 (128)/2011
https://nghiencuuquocte.org/2023/03/25/han-quoc-doc-tai-hoa-rong-va-dan-chu/
Lê Thị Thu Mai. (2016). Dân chủ hoá ở Hàn Quốc, Nhật Bản và những giá trị
tham khảo đối với Việt Nam. Hà Nội
https://hcma.vn/Uploads/2016/3/4/le_thi_thu_mai_vi.pdf
Ngô Hài Uyên (2008), Bước quá độ từ chế độ độc tài đến dân chủ ở Hàn Quốc
dưới góc độ văn hóa chính trị, Thành phố Hồ Chí Minh
https://elib.hcmussh.edu.vn/flowpaper/simple_document.php?subfolder=42/38/86/&d
oc=42388694514397018713673972862773106997&bitsid=1ab8d22e-e3d6-4e28-b5e
2-35b654955773&uid=dd2bdf18-bbfe-4a9e-b37c-ca63fb09d369
Nguyễn Bá Long (2013), Hoạt động kinh tế đối ngoại của Hàn Quốc thời chính
quyền Park Chung Hee (1961 - 1979). Thành phố Hồ Chí Minh
https://elib.hcmussh.edu.vn/flowpaper/simple_document.php?subfolder=38/51/17/&d
oc=38511714357814072182387106008307944524&bitsid=11574e55-240e-47bb-9c0
0-b74e0e99bd4a&uid=dd2bdf18-bbfe-4a9e-b37c-ca63fb09d369
Nguyễn Thị Quỳnh Mai (2012), Bước phát triển chính trị từ chế độ độc tài đến
dân chủ ở Hàn Quốc (1961 - nay). Thành phố Hồ Chí Minh
https://elib.hcmussh.edu.vn/flowpaper/simple_document.php?subfolder=15/56/50/&d
oc=155650312459623918722640482413006516579&bitsid=422770c1-8b4c-4ba9-9fe
7-c04c4b8d3bf3&uid=dd2bdf18-bbfe-4a9e-b37c-ca63fb09d36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19 혁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02, 2023/11/2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민주화,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8056, 2023/11/2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