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여름쌤 음악 각론 총정리]

blog.naver.com/yeoreumssam

[정간보]
● <: 숨표
● △: 쉼표
● >: 장단의 세
● - / 빔: 앞의 율명을 이어서 소리냄
● 실선 1칸: 기본박 ↔현대곡: 일정박
점선 1칸=소박: ♪
ex) 기본박을 친다: 매 박의 첫 소박을 친다
2 4 6
일정박을 친다: 4
= 한 마디에 2번 친다 / 4
= 한 마디에 4번 친다 / 8
= 한 마디에
6번 친다

[말붙임새]
● 노랫말의 리듬(음의 길고 짧음)

[장단]
<3소박 3박>
● 세마치: 덩 덩 덕쿵덕

<3소박 4박> 빠르기: 자진모리>중중모리>굿거리


● 자진모리: 덩 쿵 쿵 덕쿵
덩 덕쿵덕 쿵 덕쿵덕
-> 삼채장단(풍물놀이, 사물놀이)
: 갠 갠 갠 지개갠
갠 지개갠 갠 지개갠
덩 덩 덩 따쿵따
덩 따쿵따 쿵 따쿵따
둥 둥
둥 둥


● 굿거리: 덩 기덕쿵더러러러 쿵 기덕쿵더러러러
덩 기덕쿵더러러러 쿵 기덕쿵덕
● 중중모리: 덩 덕쿵덕덕쿵쿵덕쿵 쿵
덩 덕쿵덕덕쿵쿵덕쿵덕
● (자진)타령장단(봉산탈춤, 군밤타령): 덩 덕 덩 덕 얼~쑤
● 타령장단(영산회상, 천년만세)
● 시조 장단
● 엇모리장단(모심는 소리)

<2소박 4박>
● 단모리장단(손치기 발치기): ⵀVIIOIOV
덩V덕덕쿵덕쿵V
손치기V손치기V

<장단 구분>
9 3
= ♩. =♩.♩.♩. 세마치
8

16분음표 X 자진모리
12 4
8
= ♩.
16분음표 O 16분음표 多 굿거리

16분음표 少 중중모리

[변형 장단 만들기 = 장단꼴 바꾸기]


● 첫 박의 첫 소박은 ‘덩’으로 시작한다.
● 매 박의 첫 소박에는 반드시 소리를 넣는다.
● 매 박의 첫 소박 외의 소박에는 ‘쿵’이나 ‘덕’을 넣는다.
● 자진모리, 굿거리, 중중모리: 첫째 소박, 아홉째 소박(장단의 세)은 바꾸지 않는다.

[말붙임새를 바꾸어 노래 부르기]


● 매 박의 첫 소박에 노랫말을 넣는다.

[가락 만들기 = 가락 바꾸기]


● 메나리토리: 상행: 미-라-도 (미-도 X)
하행: 레-도-라 / 라-솔-미 (도-미 X)
● 육자배기토리: 첫 음: 미, 라
미, 라, 시는 건너뛸 수 없다
2소박 이상의 미: 떠는 소리 시김새
2소박 이상의 시: 꺾는 소리 시김새
[토리]

지역 음계 시김새, 특징

경기민요=경토리=창 서울, 경기, 충청 ⦁창부타령조: ⦁긴 음: 잘게 떠는


부타령토리 일부 솔라도레미(창부타령조- 소리
>경쾌->솔부터 시작) ⦁순차 진행
⦁베틀가조: ⦁한 글자에 많은 음이
라도레미솔(라, 레 붙는다
종지)(베틀가조->우울->
라부터 시작)
ex) 훨훨이, 경복궁 타령

남도민요=육자배기토 전라, 충청 일부 미라시 ⦁미: 굵게 떠는 소리


리=육자배기조 ⦁라: 평으로 내는 음
⦁시(시 有->100%
남도민요): 꺾는 소리

동부민요=메나리토리 경상, 강원, 함경 미솔라도레(‘메’나리토리- ⦁솔: 하행 경과음


=메나리조(강원도 >미부터 시작)
미나리)

서도민요=수심가토리 평안, 황해 레미솔라도(수‘심’가토리- ⦁라: 잘게 떠는 소리


=수심가조(북한이라 >레몬->레부터 시작) ⦁도: 흘러내리는 소리
수심 多)

[음이름, 계이름]
● 음이름: 조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다.
● 계이름
고정도법 계이름(달크로즈): 조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다. = 다장조처럼 읽는다.
이동도법 계이름(코다이): 조가 바뀌면 변한다.

[조표, 임시표]
● 조표: 옥타브 달라도 적용 -> 음이름, 고정도법 계이름에 반영
● 임시표: 옥타브 적용 X, 임시표 뒤의 해당 마디 -> 음이름, 고정도법 계이름, 이동도법
계이름에 적용

[장조]
※으뜸음: 음계의 첫번째 음(장조: 도, 단조: 라)
※조이름: ex) 사장조: 음이름 ‘사’가 으뜸음(장조면 도, 단조면 라)
<조이름 찾기>
● 조표: 올림표(#=샵): 살려고먹나봐
— 올림
● 조표: 내림표(♭≒b): 밤나무가로수
—------------ 내림

<으뜸음(도) 찾기>
● 올림표(#): 마지막에 붙은 #의 계이름 = 시
● 내림표(♭): 마지막에 붙은 ♭의 계이름 = 파

<첫음, 끝음>
● 첫음: 장조의 I도화음(도미솔) 中 한 음
● 끝음: 장조의 I도 화음(도미솔) 中 한 음

<장조의 음계 = 장음계>
※음계: 으뜸음부터 8개의 음을 한 옥타브 안에 나열한 것
● 3~4음, 7~8음 사이가 반음

<장조의 주요 3화음>
※3화음: 어떤 음에 3도 음, 5도 음을 쌓아서 만든 화음
※으뜸음: 음계의 첫번째 음, 버금딸림음: 4번째 음, 딸림음: 5번째 음
● 으뜸 3화음 = 으뜸화음 = I도화음: 도미솔
● 버금딸림 3화음 = 버금딸림화음 = IV도화음: 파라도
● 딸림 3화음 = 딸림화음 = V도화음: 솔시레

[단조]

<조이름 찾기>
※음정 세는 법: 시작음, 끝음을 넣어서 센다
● 장조로 접근(살려고먹나봐/밤나무가로수) -> 나란한조 찾기(3도 ↓)

<첫음, 끝음>
● 첫음: 단조의 I도화음(라도미) 中 한 음
● 끝음: 단조의 으뜸음(라)

<단조의 음계 = 단음계>
● 자연 단음계
-> 라시도레미파솔라
● 화성 단음계: 자연 단음계의 7번째 음을 반음 올린 단음계
-> 라시도레미파솔#라
● 가락 단음계

<단조의 주요 3화음 - 화성단음계의 경우>


● 으뜸 3화음 = 으뜸화음 = I도화음: 라도미
● 버금딸림 3화음 = 버금딸림화음 = IV도화음: 레파라
● 딸림 3화음 = 딸림화음 = V도화음: 미솔#시
● ex) 라장조 화성단음계 - 버금딸림화음
고정도법 계이름: 레파라
이동도법 계이름(악기 연주): 솔시♭레

<조이름, 음계, 화음 찾기> 단조일 수도 있어 -> 첫음+끝음 -> 단조면 장조의 나란한조를 찾는다 ->
솔에 #이 있는지 확인한다(자연단음계? 화성단음계?)

<마디에 어울리는 주요 3화음 찾기> 어떤 화음에 속한 계이름이 많은지 다져 본다. -> 애매할 때는
강박에 속한 음표의 계이름을 확인한다.

[화음의 자리바꿈]
● 화음 구성음의 위치가 바뀌어도, 구성음이 같으면 같은 화음이다.

[같은 으뜸음조]
● ex) 라장조, 라단조
라장조: 음이름 ‘라’가 으뜸음(도)
라단조: 음이름 ‘라’가 으뜸음(라)
[D.C, D.S]
● D.C(다 카포): Dㅏ시 Cㅓ음(다시 처음) -> 끝마침표(늘임표와 모양이 같음)
● D.S(달 세뇨): 세뇨로 돌아가기 ->Fine

[음악 기호]
● 스타카토(.): 짧게 끊어서
● 악센트(>): 특히 세게
● 테누토(-): 음의 길이를 충분히
● 페르마타 = 늘임표: 음의 길이를 2~3배로

[리코더 아티큘레이션]
● 청킹: 아티스트 존 레논의 포스
● 레가토 주법: 이음줄 앞의 음만 텅잉, 나머지 음은 호흡을 끊지 않고 운지만 바꾼다
● 논 레가토 주법: 음을 뚜렷이 구분
● 포르타토 주법: 테누토(-)가 붙은 음, 부드럽게 텅잉하여 음의 경계 최소화
● 스타카토 주법: 동음 반복, 짧게 끊어서 텅잉하여 음표의 반 길이로

[리코더 주법]
● 서밍 주법: 높은음
● 텅잉 주법
낮은음역(도~솔): 입안의 크기가 넓다, ‘도-’, 많은 양을 느리게
중간음역(라~높은 레): 입안의 크기가 보통, ‘두-’, 보통 빠르기로
높은음역(높은미~도): 입안의 크기가 좁다, ‘투-’, 빠르고 세게
● cf) 단소, 소금: ‘후-’

[같은 음 반복 연주하는 방법]


● 멜로디언: 운지로 해결하지 않고 텅잉으로 연주한다.
● 단소, 소금
혀 치기: 혀 끝으로 입천장을 가볍게 쳐 준다, ‘루’
손 치기(단소): 한 음 아래 지공을 가볍게 쳐 준다.

[악기 연주법]
※유율 타악기: 실로폰, 핸드 벨, 팀파니
● 반주 장구 = 정악 장구: 장구의 가운데가 몸 가운데에 오게 놓는다.
풍물 장구= 사물 장구: 장구의 채편이 몸 가운데에 오게 놓는다.
● 장구-채편: 열채가 사선(직선 X)으로 채편의 한가운데를 지나도록 친다.
● 큰북: 북채가 비스듬히 곡선을 이루도록 위아래로 북면을 친다.
● 작은북: 양 손의 북채 각도=90°, 북면과의 각도=45°
● 실로폰: 양 손의 채 각도=90°
● 단소: 몸과 단소의 거리=45°, 입술을 펴서 주름 X, 바람의 반은 취구 안으로 반은 취구
밖으로, 복식 호흡
● 소금: 몸을 오른쪽으로 30° 돌려서 앉는다, 머리를 왼쪽으로 45° 돌린다, 시선은 15°
아래를 본다. 입술을 펴서 주름 X, 바람의 반은 취구 안으로 반은 취구 밖으로, 복식 호흡
● 트라이앵글: 아랫변 중앙부, 여린(높은 X) 소리는 열린 곳
● 탬버린: ♩=북면치기, x=테치기, ///=트레몰로 주법
cf) 전통민요에서의 x: 음높이 없이 외치듯이 노래
● 트레몰로 주법 연주법
탬버린: 가볍게 쥐고 손목을 좌우로 흔든다.
실로폰: 오른손, 왼손을 번갈아 빠르게 친다.
트라이앵글: 손목에 힘을 빼고 두 변의 모서리 부분을 좌우로 빠르게 두드린다.

[리듬 악기 연주법]
● 마라카스: 흔들기
● 우드블록: 치기
● 귀로: 채로 긁기
● 카바사: 마찰시키기
● 심벌즈

[12율명]
● (다장조 기준)
임 남 무 청황 청태 청고 청중 = 시♭ 도 레♭ 미♭ 파 솔 라♭
-> 양 끝, 레&미에 ♭ 붙이기

임 남 무 청황 청태 청고 청중

시♭ 도 레♭ 미♭ 파 솔 라♭
(청킹:
임시표♭)

● ex)
※ 온음: 흰-검-흰 / 반음: 흰-흰
1. 건반을 그린다.
2. ‘태’를 고정도법으로 찾는다: 미 -> ‘태=미’이다.
3. (다장조 기준) 임 남 무 청황 청태 청고 청중 = 시♭ 도 레♭ 미♭ 파 솔 라♭
(현재) 임 남 무 청황 청태 청고 청중 = ? ? ? ? 미 ? ?
4. 건반 ‘미’에 ‘태’를 적는다.
5. 나머지 율명을 적는다.
ex) ‘태->고’는 ‘파->솔’이므로 (건반으로 확인하면) 온음 차이, 따라서 ‘미’와 온음 차이인
음을 찾으면 ‘파#(솔♭)’

[운지법]
<구멍>
※시작: 리코더-0번 / 단소, 소금-제1공
※뒷구멍: 리코더, 단소-O / 소금-X
※사용 X 구멍: 단소-제5공 / 소금-칠성공
● 리코더: 엄지 0123 / 검지 4567
● 단소: 엄지 123 / 중지 4 / 5 X
● 소금: 검지 123 / 검지 456 / 7 X
● 리코더(파, 파#, 시♭, 도#), 단소, 소금 운지: L자파일

<단소 운지법 지도>


● (중임무황태) 중 임 무 청황 청태 ~ 중청태
● 가장 소리 내기 쉬운 ‘청태’부터 지도

<소금 운지법 지도>


● (임남무황태고중) 임 남 무 청황 청태 청중 청고 청중 ~ 중청남

[붙임줄, 이음줄]
● 붙임줄: 같은 높이, 한 음같이 연주
● 이음줄: 다른 높이, 부드럽게 연주

[셈여림표]
● pp: 피아니시모, 매우 여리게
● p: 피아노, 여리게
● mp: 메조 피아노, 조금 여리게
● mf: 메조 포르테, 조금 세게
● f
● ff
● <: 크레센도, 점점 세게
● >: 데크레센도

[빠르기말]
● ♬동네한바퀴
● 라르고 렌토 아다지오(매우 느리게) 안단테 안단티노(조금 느리게) 모데라토
알레그레토(조금 느리게) 알레그로 프레스토 매우빠르게 비바체 빠르기말
● rit.(리타르단도): 점점 느리게

[악곡의 형식]
※같음, 음표 하나 다름: a
한두 마디 다름: a’
다름: b
● 한도막 형식: 큰악절 1개(8마디)
ex) ab형식
● 두도막 형식: 큰악절 2개
ex) AB형식, aa’ba’형식
● 세도막 형식: 큰악절 3개
ex) ABA형식, aa’bb’aa’형식, A(aa’)B(bb’)A(aa’)형식
● 작은 세도막 형식: 작은악절 3개(12마디)
ex) aba’형식

[프레이징]
● 음악으로서 최소한의 감정과 의미가 나타나는 단위
● 두 마디, 네 마디(일반적)

[가락의 흐름]
● 차례가기 가락 = 순차진행
뛰어가기 가락 = 도약진행: 3도 이상 도약
● 올라가는 가락
머무르는 가락
내려가는 가락

[센내기, 여린내기]
● 갖춘마디: 곡이 시작될 때 박자를 갖추고 시작
4
ex) 4
박자 악곡 첫 마디: 강 약 중강 약 -> 강박으로 시작 -> 센내기
● 못갖춘마디: 곡이 시작될 때 박자를 갖추지 못하고 시작
4
ex) 4
박자 악곡 첫 마디: 약 -> 약박으로 시작 -> 여린내기

[당김음]
● 강박과 약박의 규칙성이 바뀌는 리듬 형태
● 리듬에 의한 당김음: 강박 자리 음표 길이 < 약박 자리 음표 길이 -> 뒤바뀜
● 붙임줄에 의한 당김음: 약박 자리 음표 - 강박 자리 음표 -> 강박이 약박 자리로 이동
● 쉼표에 의한 당김음: 강박 자리에 쉼표 -> 강박이 약박 자리로 이동
● 악센트에 의한 당김음: 약박에 악센트 -> 약박이 강박으로 바뀜

[지휘]
● 예비박: 첫 박의 전 박 ex) 눈빛, 숨
● 큐: 첫 박에 주는 사인 ex) 왼손, 고갯짓
● ex) 4박자 여린내기 악곡
예비박: 3박
큐: 4박
3
● 3박자 계통: 4
강약약
2
2박자 계통: 4
강/약
6
8
강약약/강약약
4
4
강약/중강약
4
(4박자 계통: 4
강/약/중강/약)
6
● ex) 8
박자 악곡
느리게 노래할 때: 6박자 지휘도형
빠르게 노래할 때: 2박자 지휘도형
● ex) 한 마디: ♪♪♪♩.
6
한 마디가 둘로 쪼개지면 8
박자의 곡
● ex) 한 마디: ♩♩♩
3
둘로 쪼개지지 않는 마디가 하나라도 있으면 4
박자의 곡

[오스티나토]
● 오르프
● 리듬 오스티나토
● 가락 오스티나토

[동형 진행]
● 가락선 모양이 같지만 음높이는 다름

{국악 감상곡}
※ㅇㅇ음악
● 풍류음악: 줄풍류(현악 영산회상, 천년만세), 대풍류(관악 영산회상), 시조창
● 축제음악 = 유희음악: 풍물놀이, 서우젯소리(축제음악/무속음악/노동요)
● 무속음악: 시나위, 봉죽타령(귀항/무속음악-풍어), 서우젯소리
● 의식 음악, 종교 음악, 유교 음악: 종묘 제례악
● 궁중 연회 = 잔치: 수제천
● 장원질 소리: 에롱데롱, 칭칭이소리

● 놀이요: 강강술래(강강술래 부수 놀이요), 실구대 소리, 어깨동무, 월워리청청, 두꺼비 집이


여물까, 꼭꼭 숨어라
● 놀이요 中 메기고 받는 형식(손 잡고 도는 대규모 놀이): 강강술래, 강강술래 부수 놀이요
中 덕+청꼬고, 월워리청청
● 놀이요 中 주고받는 형식: 어깨동무

● 노동요: 먼데소리, 둥당기타령, 거문도 뱃노래, 훨훨이, 나무타령, 모심는 소리, 도움소,
마댕이 소리, 풍구타령, 멜 후리는 소리, 서우젯소리
● 노동요 中 메기고 받는 형식 X: 풍구타령
● 노동요 같은데 노동요 아님: 봉죽타령(귀항/무속음악-풍어), 산아지타령(노 저으러 ‘가자’)

● 놀이요, 노동요 아닌데 메기고 받는 형식: 늴리리야 & 쾌지나 칭칭 나네(of course),
군밤타령 & 도라지 타령(가능), 장원질 소리(에롱데롱, 칭칭이 소리), 산아지 타령(노 저어
가자는 노래니까), 둥당애 타령(물장구 둥당애둥당애 치면서 부르니까),
봉죽타령(귀항하는 노래니까)

● 메기고 받는 형식 곡 中 반복 X: 봉죽타령, 군밤타령, 도라지 타령

● 유네스코 인류 무형 문화유산: 종묘 제례악, 판소리, 아리랑, 강강술래

[대취타]
● 청킹: 징용장소 발각! 자바라~
● 징, 용고, (장구), 태평소, 나발, 나각, 자바라

● 집사: “명금일하대취타” “허라금”


● 관악기+타악기: 유일한 유율관악기=태평소

[취타]
● 청킹: 거, 대박 향해소 아장아장 가좌!
● 거문고, 대금, 박, 향피리, 해금, 소금, 아쟁, 장구, 가야금, 좌고

● 관현악 합주곡: 관악기+타악기+현악기


● 궁중 잔치

[풍물놀이]
● 청킹: 북쪽음식 징기스칸 소태(솥에) 끓이면 꽹장히 맛나
● 북, 징, 소고, 태평소, 꽹과리, 장구

● 상쇠: 꽹과리

[사물놀이]
● 북, 징, 꽹과리, 장구

[종묘 제례악]
● 박, 축, 어..

기악 = 음악 정대업 보태평

악장 = 노래 무공 찬양 문덕 찬양

일무 = 춤 무무 문무
[판소리]
● 소리꾼, 고수(북 반주)
● 구성 요소: 소리, 아니리, 발림, 추임새
● 통성 발성: = 민요, 배의 힘, 자연스러운 발성

[삼현육각]
● 청킹: 향이가 북대에서 해장한다.
● 향피리 2, 북, 대금, 해금, 장구

● 무용 반주 음악
● 수제천: +박소아(박, 소금, 아쟁)
처용무 반주 음악/궁중 연회=잔치
연음 형식
● 탈춤: +꽹과리, 징
봉산 탈춤: 불림-“낙양동천이화정”
● 시나위
● 궁중무용 = 정재: 처용무, 향발무, 학무
● cf) 포구락

[줄풍류, 대풍류]

악기 편성 중심 악기 사용하는 피리 대표곡

줄풍류 ⦁청킹: 양놈거 대단해 ⦁거문고 ⦁세피리(음량 小 ⦁현악 영산회상


가장세 ∵세악 편성) ⦁천년만세
⦁(양금), 거문고, 대금,
(단소), 해금, 가야금, 장구,
세피리

대풍류 ⦁삼현육각과 같다. ⦁향피리 2 ⦁향피리(음량 大) ⦁관악 영산회상


+소아(소금, 아쟁)

[국악 현악기]
● 발현악기

줄의 수 술대 사용되는 곳

거문고 6줄 O ⦁줄풍류의 중심
가야금 12줄 X ⦁줄풍류
⦁가야금 산조
⦁가야금 병창

● 찰현악기: 해금, 아쟁
● 타현악기: 양금

[산조]
● 기악 독주곡 + 장구 반주
● ex) 가야금 산조

● ‘산’이 들어가면 한배에 따른 형식 -> 현악/관악 영산회상, 산조


● cf) 민요 中 한배에 따른 형식=긴.자진 형식: 강강술래, 쾌지나 칭칭 나네, 장원질 소리
2(에롱데롱, 칭칭이 소리), 서우젯소리

[청성곡 = 청성 자진한잎]
● 대금/단소 기악 독주곡
● 산조 X

[병창]
● 악기 연주 + 노래 (+장구 반주)
● ex) 새타령: 가야금 병창

[병주]
● 두 개의 악기 ex) 생소병주=생황+단소
● 수룡음: 조선 선비들이 즐기던 가곡을 기악곡으로 연주한 곡
생소병주, 양금+단소 병주, 향피리 중심 합주.. 가능

{민요}

[강강술래 부수 놀이요]
● 청킹: 강강술래 땜에 바덕(바닥) 개판남.. 2손(두 손) 짚어! 대청소 꼬고(gogo)!
● 바늘귀 꿰기
● 덕석몰자
● 개고리 개골청
● 남생아 놀아라
● 손치기 발치기
● 손자랑 발자랑
● 장장 짚세기
● 대문놀이
● 청어엮자
● 꼬리따세
● 고사리 꺾자

● 강강술래: 중중모리
부수 놀이요: 거의 자진모리
예외: 손치기 발치기(단모리), 장장 짚세기(자진모리-세마치),
꼬리따기(자진모리-중중모리)
● 메기고 받는 형식: 덕+뒤에 3개(청, 꼬, 고)만
● 미라도 채보 남도민요 4: 대덕고청(대덕구청)

[제목&장단]
※한배에 따른 형식=긴.자진 형식(강강술래, 쾌지나 칭칭 나네, 장원질소리 2(에롱데롱,
칭칭이소리), 서우젯소리) 中 한배가 짧은 곡은 모두 자진모리 -> 한배가 긴 곡만 청킹에 넣음
※강강술래 부수놀이요는 ‘손치기 발치기, 장장 짚세기 뒷부분, 꼬리따기 뒷부분’ 빼고 모두
자진모리 -> 묶어서 청킹에 넣음 -> 문제 풀 때는 풀어서 써 놓아야 함

<경기 민요>
● 청킹: 경기도에서 굿을 하니 태풍 늴리리에 나무가 천안까지 날아갔다.
자진해서 경복궁까지 가다니, 자타공인 군밤이다.
중전까지 훨훨 날아가니
마치 또라아리 같았다.
● (굿거리) 태평가, 풍년가, 늴리리야, 나무타령, 천안 삼거리
● (자진모리) 경복궁 타령
● (자진타령) 군밤타령
● (중중모리) 훨훨이
● (세마치) 도라지 타령, 아리랑

<남도 민요>
● 청킹: ♬ 세 산아지가 뒷짚에 있어
“먼데?! 부수기 전에 자진해서 돈돌라리~
그래야 굿걸 돼서 남쪽 거문도로 돌아가지~”
중간에 데롱데롱 달려있던 꼬리가 강에 둥둥
여자는 남단으로 발치기 해서 감
● (세마치) 산아지타령, 장장 짚세기 뒷부분
● (자진모리) 먼데소리, 강강술래 부수놀이요(손치기발치기 제외), 돈돌라리
● (굿거리) 거문도 뱃노래
● (중중모리) 에롱데롱, 꼬리따세 뒷부분, 강강술래, 둥당기타령, 둥당애타령
● (단모리) 손치기 발치기

<동부 민요>
● 청킹: 동부 지방 굿걸이 칭칭 칭칭거려서
동자승이 월(달)밤에 나물을 나눠줬더니 두꺼비가 실실 웃으며 어깨춤 추며 돌아갔다.
다음날 동네 중학교 매롱이, 마댕이 다 도움 달라고 자장자장(아장아장) 몰려와서
엇! 모자라..
● (굿거리) 쾌지나 칭칭 나네, 칭칭이 소리
● (자진모리) 월워리 청청, 나물노래, 두꺼비 집이 여물까, 실구대 소리, 어깨동무
● (중중모리) 매롱이 소리, 마댕이 소리, 도움소, 자장가
● (엇모리) 모심는 소리

<서도 민요>
● 청킹: 서쪽에 굳어있는 봉죽(곤죽)은 풍구가 중 2 때 싸름한 금꿍이야..
● (굿거리) 봉죽타령
● (자진모리) 풍구타령
● (중중모리 or 중모리) 싸름, 금다래꿍

<제주 민요>
● 청킹: 제주의 굿걸 서우가 멜 후리는 중에 노래를 부른다.
“너와 나의 거리는 세마치..”
● (굿거리) 서우젯소리
● (중중모리) 멜 후리는 소리
● (세마치) 너영나영

<전지역>
● 새야 새야: 중중모리
● 꼭꼭 숨어라: 자진모리

[진도 아리랑 - “아라리가 났네~”와 비슷한 부분]


● 산아지 타령 끝부분
● 장장 짚세기 끝부분
{서양 감상곡}

[ㅇ중주]
● 현악 4중주(피터 주제가락):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 현악 5중주: 현악 4중주 + 제 2 바이올린
● 피아노 5중주(송어): 현악 4중주 + 피아노
● 목관 5중주: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호른(금관악기)

[목관악기, 금관악기]
● 목관악기(길쭉이들):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 플루트 제외 리드 사용
● 금관악기: 호른, 트럼펫, 트롬본, 튜바
-> 리드 사용 X

[ㅇ부 합창]
● 여성 2부 합창: 소프라노, 알토
● 여성 3부 합창: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알토
● 남성 4부 합창: 테너 2, 베이스 2 / 테너 2, 바리톤, 베이스
● 혼성 4부 합창: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빌헬름 텔 서곡]
● 장면 = 부: 새벽 - 폭풍우 - 고요함 - 스위스 군대의 행진
● 주요 악기: 첼시 팀이 잉글리시 리그에서 트로피를 받았다.
첼로 - 팀파니 - 잉글리시 호른 - 트럼펫

[표제 음악]
● 피터와 늑대
● 사계
● 페르 귄트 모음곡
● 동물의 사육제
● 숲속의 대장간
● 빌헬름 텔 서곡
● 전람회의 그림
● 행성

[춤곡]
● 호두까기 인형: 발레 음악, 왈츠도 포함됨
● 봄의 소리: 왈츠
●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왈츠
● 스케이터의 왈츠: 왈츠
4 2
● 가보트: 17세기 프랑스, 보통 빠르기, 4
or 2
, 스타카토-서정적-스타카토
● 볼레로: 주제가락 반복+악기 추가, 여리게-세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