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w

৺!!!џ

피리는 일반적으로 속이 빈 대나무 통에 구멍을 뚫고 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로 대나무 관대에 겹서[舌]를 꽂아 부는 악기이다. 한자로는 필률(㿅ㆹ)이라고 표기한다.
피리에 대한 기록은 『수서(隋書)』, 『통전(通典)』의 「고구려전(高句麗傳)」 등에 보이는데, 이
를 통하여 고구려시대에 피리가 있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구당서(舊唐書)』에는 “지금 동
이(東夷)의 관목(管木)이라는 것은 도피(桃皮)피리이다.”라는 기록이 전한다. 또한 『삼국유
사』에도 통일신라시대에 “거문고와 피리가 제천고(祭天庫)에 보관되어 왔다.”는 기록이 보여
삼국시대부터 피리가 우리 음악사에 중요한 악기로 전승되기 시작했음 알 수 있다. 조선 개
국 초 편찬한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 권 71 ‘당악조(唐樂條)’에 지공(指孔)이 아홉 개
인 피리가, ‘속악조(俗樂條)’에는 지공이 일곱 개인 피리가 소개되어 있다. 더불어 조선조 초
기 궁중의 제향(祭享)・조회(朝會)・연향(宴享)에 사용되는 음악에 관한 이론과 음악의 실체
를 담은 악서(樂書)인 『악학궤범(樂學軌範)』 권7에도 향피리와 당피리의 산형(散形)과 안공법
(按孔法)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렇게 향피리・당피리・세피리라는 이름으로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피리의 구조는 관
대와 서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산에서 자라는 산죽(山竹)이나 울타리대로 쓰이
는 시누대, 또는 바닷가에서 자라는 해죽(海竹)을 이용하여 그 껍질을 얇게 깎고 접어서 서
[舌]를 만들고, 같은 재질의 관대에 서를 꽂아 소리를 내는 악기 구조로 되어있다. 이때 향피
리・세피리는 관대와 서의 굵기에 차이가 있을 뿐 구조는 동일하다. 다만 당피리는 이 세 종
류의 피리 중 관대가 가장 굵다. 향피리・세피리는 해죽(海竹)인 반면, 당피리는 이보다 굵
은 황죽(黃竹)이나 오죽(烏竹)으로 만든다. 또한 피리의 서는 정악용과 민속악용으로 구분된
다. 일반적으로 두껍게 깎은 서는 무겁고 힘찬 소리로 연주해야 하는 정악에 사용되고, 얇게
깎은 서는 민속악에서의 정교한 기법을 원활하게 내기 위해 사용된다.
피리는 한국음악에서 주선율을 담당하는 악기로 궁중음악부터 민속음악에 이르기까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궁중의 제사음악과 연향악, 풍류음악, 춤과 성악곡의 반주음악, 시나
위, 산조 등을 연주 할 때에도 피리가 쓰인다. 오늘날에는 궁중음악 및 가곡의 선율을 독주
하는 피리 정악도 독자적인 음악 영역으로 정착되었다.
8

2/!৺џ!‫ߕۯ‬Ԍ

(1) 피리 구조와 명칭
9
(2) 피리 운지법
10
11

3/!৺џ!‫־ڬ‬ȁ਴

(1) 주법에 관한 악상기호

서[ዢ]를 혀로 치라는 표시로서 피리의 가장 대표적인 주법이다.


아래 음에서 위 음으로 올라가거나 위 음에서 아래 음으로 내려올 때
제1공에서 혀를 서에 댔다가 떼면서 치라는 주법이다.

예1) 아래 음에서 위 음으로 진행할 경우

서침표 林에서 潢음을 서[ዢ]에 혀를 대어 짧게 소리낸 후


南을 낸다.

예2) 위 음에서 아래 음으로 진행할 경우

潢에서 汰음을 서[ዢ]에 혀를 대어 짧게 소리낸 후


南을 낸다.

위 음에서 아래 음으로 내려올 때 오른손 중지를 중심으로 검지와 약


지를 차례로 교차하여 도드라진 소리를 강하게 내라는 주법이다.
시루표
예) 黄에서 㑲의 지공을 거쳐 㑣으로 내려올 때 오른손
중지를 중심으로 검지와 약지를 차례로 교차하여 도
드라진 소리를 강하게 낸다.

아래 음에서 위 음으로 올라가거나 또는 같은 음을 이어서 연주할 때


사용되는 표시로 연주법은 (시루표)와 동일하다.
예1) 아래 음에서 위 음으로 진행할 경우
㑣에서 㑲의 지공을 거쳐 黄으로 올라갈 때 오른손
루러표 장지를 중심으로 검지와 약지를 차례로 교차하여 도
드라진 소리를 강하게 낸다.

예2) 같은 음을 반복하는 경우
太에서 黄의 지공을 거쳐 다시 太를 연주할 때 오른
손 장지를 중심으로 검지와 약지를 차례로 교차하여
도드라진 소리를 강하게 낸다.

추성표 본음에서 지공을 떼지 않고 음을 밀어 올리라는 표시이다.

퇴성표 본음에서 지공을 떼지 않고 음을 흘려 내리라는 표시이다.


12

본음에서 지공을 떼지 않고 한 음 위 음까지 한 번 요성하라는 표


시이다.
예1) 요성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1
黄에서 지공을 떼지 않고 太까지 밀어
요성표 올린 후 黄으로 내려온다.

예2) 요성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2

예1) 요성표와 추성표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1


黄에서 을 연주하고 다시 黄에서 太
까지 한 번 요성한다.

요성표
+
추성표 예2) 요성표와 추성표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2

표시된 음에서 지공을 떼지 않고 한 음 위 음까지 두 번 요성하라


는 표시이다.
겹요성표 예) 겹요성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黄에서 지공을 떼지 않고 太까지 밀어


올려 두 번 요성한다.

예) 겹요성표와 추성표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추성표 黄에서 을 연주하고 다시 黄에서 太


+ 까지 두 번 요성한다.
겹요성표
13
(2) 빠르기(한배)에 관한 악상기호

음의 좌측에 표기하며 항상 두 개의 기호가 함께 표기된다.


덧길이 ┃는 표기된 음을 시가보다 길게, •는 표기된 음을 시가보다 짧
반길이표 게 연주하라는 표시이며, 시가는 •에서 짧아진 만큼┃에서 늘이
라는 표시이다.

음정을 본래의 시가보다 더 길게 늘이라는 표시이다.


늘임표
는 에 비해 두 배 정도 더 길게 늘이라는 표시이다.

쉼표 박자의 시가가 있으며 시가만큼 숨을 쉬라는 표시이다.

숨표 박자의 시가가 없으며 숨을 짧게 쉬라는 표시이다.

조금 느리게 조금 느리게 연주하라는 표시이다.

조금 빠르게 조금 빠르게 연주하라는 표시이다.

반복표 에서 까지 표시된 부분을 반복하여 연주하라는 표시이다.

(3) 장식(꾸밈음)에 관한 악상기호

본음 앞에 한 음 위 음을 짧게 붙이는 앞꾸밈음이다.

니레표 예)

본음 앞에 두 음 위 음을 짧게 붙이는 앞꾸밈음이다.
니라표 예)

본음・한 음 위 음・본음을 연주하라는 앞꾸밈음이다.


노니로표
예)

한 음 아래・한 음 위・본음을 연주하라는 앞꾸밈음이다.


예1)
나니르표
※ 예외 : 향피리의 내려 잡는 주법 중
예2)
14

<독주곡 상령산>에서 사용되는 표시이다.


나니나니르표
예)

본음・한 음 아래 음・한 음 위 음・본음을 연주하라는 표시이다.


느로니르표 <수제천>에서 사용된다.

예)

※ 향피리 내려 잡는 주법에서 이 黄과 太에 표시된 경우 仲을 2공에서 연주


한다.

(4) 음정(가락)에 관한 악상기호

한 음 아래 음을 시가만큼 내라는 표시이다.

로표 예)

과 반대로 한 음 위 음을 시가만큼 내라는 표시이다.


니표 예)

한 음 위 음과 본음을 연주하라는 표시이다.


예)
니나표

※ 은 실제 연주 시 로 많이 연주된다.

한 음 아래・두 음 아래 음을 표기된 시가만큼 내라는 표시이다.


느라표 예)

과 반대로 한 음 위 음・두 음 위 음을 표기된 시가만큼 내라는


표시이다.
느니표
예)
15

본음의 두 음 위 음・한 음 위 음・본음을 시가만큼 내라는 표시이다.

니레나표 예)

본음의 한 음 아래 음・본음을 시가만큼 내라는 표시이다.


느나표 예)

본음・한 음 위 음・본음을 동일한 시가로 내라는 표시이다.


예)
나니나표

본음・한 음 아래 음・본음을 동일한 시가로 내라는 표시이다.


예)
나느나표

본음을 2도 내려 연주하라는 표시이다.

예1) 음의 옆에 표시된 경우

지공 林에서 仲을 연주한다.

예2) 음의 밑에 표시된 경우

林을 연주하고 지공을 치지않고 仲으로 끌어내


려 연주한다.

예3) 요성표와 함께 표시된 경우

潢 지공에서 無를 내고 潢까지 두 번 요성한다.

예4) 겹요성표와 함께 표시된 경우


林을 연주하고 지공을 치지 않고 仲으로 끌어 내
린 후 두 번 요성한다.

본음의 음정을 제 음보다 조금 낮게 연주하라는 표시이다.


16

본음의 한 음 위 음・본음・한 음 아래 음을 시가만큼 내라는 표시


니로나표 이다.
예)

음정이나 장식・부호 옆에 표시하며 숫자의 지공에서 음을 내라는


지공 표시
표시이다.

※ 향피리 내려잡는 주법에서 과 이 黄이나 太 다음에 표시된 경우 仲을 2공에서


연주한다.
예1)

예2)

(5) 당피리 관련 악상기호

예1) 보태평 및 당피리 계열 악곡


기보 찬

연주

예2) 정대업

기보

연주
17

예1) 보태평 및 당피리 계열 악곡

기보

연주

예2) 정대업

기보

연주

※ 종묘제례악 보태평 中 전폐희문의 장식음에 대한 설명

○ 의 은 을 시가보다 길게 연주한다.

○ 의 은 을 시가보다 길게 연주한다.

단 의 은 시가만큼 짧게 연주한다.

○ 의 은 으로 연주하고 南을 시가보다 길게 연주한다.

○ 의 은 으로 연주하고 南을 시가보다 길게 연주한다.


18

4/!‫ކ‬Ǘ!‫־ڬ‬ȁ਴

기호 구음 설명

덩(떵) 雙 장구의 북편과 채편을 동시에 치라는 표시이다.

작은 덩 響 ‘덩’을 치되 작게 소리 내라는 표시이다.

덕(떡) 鞭 오른손의 열채로 채편을 치라는 표시이다.

기덕 열채로 채편을 칠 때 짧은 앞꾸임음을 붙여 치라는 표시이다.

궁(쿵) 鼓 왼손으로 궁편을 치라는 표시이다.

더러러러 搖 열채의 탄력을 이용하여 채편을 굴려 치라는 표시이다.

다(더) 열채의 끝으로 채편을 짧고 약하게 치라는 표시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