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한국체육학회지, 2023, 제62권 제5호, 363-376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23, 62(5), 363-376

https://doi.org/10.23949/kjpe.2023.9.62.5.24 ISSN 1738-964X(Print) / ISSN 2508-7029(Online)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 평가: 공간분석을


중심으로*
Assessing the Spatial Equity of Seoul’s Public Sport Facilities Based on Its
Accessibility: A Spatial Analysis
류윤지 성균관대학교 박사후연구원ㆍ김기한**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Ryu, Yoonji Sungkyunkwan Univ.ㆍKim, Kihan Seoul National Univ.
요약
본 연구는 서울시 집계구별 공공체육시설의 접근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의 분배가 공간적으로 형평하게 분배
되어있는지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공공체육시설로 등록된 449개의 시설을 대상으로 집계구별 공간
적 접근성을 측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서비스 분배의 기준을 수요와 필요를 선정하여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형평
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최소거리방식을 사용하여 집계구별 접근성지수를 산출하였으며, 집중곡선과
집중지수를 이용하여 형평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서울시 공공체육시설의 접근성은 집계구별 편차가
나타났다. 둘째 접근성을 바탕으로 한 공간적 형평성 평가는 기준별로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수요를 나타
내는 대리변수인 총인구수를 기준으로는 형평성을 나타낸 반면 인구밀도의 기준에서는 비형평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필
요를 나타내는 대리변수 중 소득(주택실거래가)은 형평성을 보여주었지만 노령화지수는 비형평성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
는 공공체육시설의 분배의 공간적 형평성을 평가하는 틀을 제시함으로써,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설치와 관련된 정책방향과
계획을 수립하는데 근거로 활용될 수 있길 기대한다.

주요어: 공공체육시설, 접근성, 공간적 형평성, 서비스 분배, 공간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cessibility of public sports facilities by Seoul’s aggregate districts and to
evaluate whether the distribution of services is spatially and equitably distributed. Spatial accessibility by aggregate
district was measured for 449 facilities registered as public sports facilities in Seoul, and the spatial equity was
evaluated by selecting the criteria for public service distribution as demand and needs. For method, the accessibility
index for each aggregate district was calculated using the minimum distance method, and spatial equity was analyzed
using the concentration curve and the concentration index. The result shows, firstly, that the accessibility of public
sports facilities in Seoul differs by aggregate district. Secondly, the spatial equity evaluation based on accessibility
showed different results for each criterion. Specifically, regarding proxy measures of demand, spatial equity was
evident based on the total population number, while inequity was observed concerning population density. Among the
proxy variables representing needs, the income (real house transaction price) showed equity and aging index showed
inequity. By presenting a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spatial equity of the distribution of public sports facil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policy directions and plan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public
sports facilities in Seoul.

Key words: Public sport facilities, Accessibility, Spatial equity, Service distribution, Spatial analysis

* 이 논문은 제1저자의 박사 학위 논문 일부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음.


** kihan@snu.ac.kr
Copyrightⓒ2023 KAHPERD
364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서론 ‘형평성’ 중심의 정책을 추진하고자 하는 움직임으로


볼 수 있다.
공공서비스 배분의 형평성에 대한 논의는 학계에서
정부는 ‘생활 SOC 3개년 계획’을 발표하며 국민의
도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복지시설에 관한 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생활 SOC시설들을
구를 수행하는 많은 학자들은 공공 서비스는 형평하
대폭 확충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문화체육관
게 분배되어져야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이승종, 1993;
광부, 2019). 생활 SOC시설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 필
Welch, 2013). 대표적으로 이승종(1993)은 공공서비스
요한 인프라와 삶의 기본 전제가 되는 안전시설을 의
배분에 형평성을 적용하는 것이 평등성보다 적절하다
미하며 대표적인 시설로는 체육관, 도서관, 보육시설
고 주장하였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수요가 다른 지역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정부는 첫 번째 핵심과
에 균등한 서비스를 제공하면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
제로 ‘어디에서나 10분 안에 체육관을 이용할 수 있는
으며, 서비스의 투입과 지역 특성에 따라 결과가 달라
나라’를 만들기로 밝혔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30조
질 수 있다는 것이다. 서비스 배분의 형평성은 균등한
원의 투자계획을 발표하였다.
서비스를 지향하지 않더라도 균등한 상태를 추구하며,
공공체육시설은 대표적인 생활 SOC 시설로 자리매
빈곤지역에 대한 차등적 지원은 형평성을 우선시할 수
김하면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어 하는 국민들은
있음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빈곤지역의 공공서비스 수
점점 증가하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2023). 최근 발표
요가 높은 경우에는 형평성을 고려하여 공공부문의 차
된 2022 국민생활체육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
등적 지원이 정당하다고 주장하였다.
은 체육시설을 이용할 때 77.1%가 도보로 이동하고,
한편, 공공체육시설 서비스 배분에 대한 높은 관심
50% 이상이 15분 내의 거리에 있는 체육시설을 이용하
도에 비해 이에 대한 체계적인 학술적 연구는 미진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문화체육관광부, 2023). 이는 국민들
다. 공공서비스 배분의 형평성을 다룬 연구들은 보육시
은 운동을 하러 갈 때, 도보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거
설(김규식, 2016), 의료시설(이용재, 2010), 노인시설(손
리의 운동시설을 선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정렬, 오수경, 2007), 공원(Nicholls, 2001; 김미현, 안민
이렇듯 공공체육시설의 접근성에 대한 중요성이 부
우, 조남욱, 2015) 등을 대상으로 주로 이루어졌으며
각되며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의 형평한 배분에 대한
체육학 분야에서 배분의 형평성에 주목한 연구는 전무
요구 역시 높아지고 있다(노승철, 김미옥, 2021). 공공
한 실정이다.
체육시설은 국민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시설로서 모든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육학 분야에서 다루지 못했
국민에게 동등한 스포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이상적
던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형평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
이다. 그러나 자치단체의 재정 및 공간 확보의 제약으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공공체육시설의 배치
로 인해 모든 수요를 만족시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
형평성을 논의하고, 현재 공공체육시설의 접근성이 공
가능하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공서비
간적으로 형평하게 분포되었는지를 실증적으로 평가하
스의 배분에 있어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는 명확하고
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각 집계구별 공공체육시
객관적인 평가기준이 요구되고 있다.
설 접근성을 산출하고, 산출된 접근성을 기반으로 공공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고자 서울시는 1990년대부터
체육시설의 분배가 공간적으로 형평하게 이루어졌는지
서울 전 지역에 획일적으로 적용했던 생활 SOC 건립
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선행연
지원 원칙을 깨며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하겠다고 밝
구를 통해 형평성의 평가 지표로 수요와 필요를 선정
힌바 있다. 이는 보편적 편익기준선을 설정하여 미달하
하였고, 이를 대표하는 변수로는 인구수, 인구밀도, 주
는 자치구를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는 ‘불균형 지원책’
택실거래가, 노령화 지수 등을 설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을 가동하겠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방침은 정부에서 공
지역별 지수와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지수를 비교하여
공체육시설 배분의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공체육시설의 접근성이 공간적으로 형평하게 분배되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 평가 365

어있는지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하는 방향으로 체계적으로 조정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두 번째 조건은 공정한 기회평등의 원칙(균등의 원칙:
the Fair Equality of Opportunities)이다. 이 원칙은 공
이론적 배경 정한 기회평등의 조건은 아래 모든 사람들에게 직책과
직위가 개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동등한 능력과 의
욕⋅동기를 가진 사람들은 직책과 직위와 관련하여 동
1. 공간적 형평성
등한 삶의 전망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이 속한
사회계층이나 초기 가족 환경으로 인해 능력과 의욕의
형평성이란 영어로 ‘equity’이며 그 어원은 동등성
개발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저소득층에 대한 교육 및
(equality), 일치성(conformity), 대칭성(symmetry), 공정
훈련 기회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한다.
성(fairness)의 뜻을 함축하고 있는 라틴어 ‘aequitas’
롤스는 위의 원칙들 간의 우선성이 존재한다고 말한
에서 비롯되었다(조대헌, 2004). 형평(equity)은 일반적
다. 정의 원칙이 서로 충돌할 경우에는 제 1원칙이 제
으로 평등(equality)의 개념과 혼동되어 사용되는데, 형
2원칙에 우선하고, 제 2원칙 중 차등의 원칙이 균등의
평은 공정(justice)의 의미와 더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원칙을 우선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정치적 권리,
(임의영, 2011; 황경식 등, 2009). 구체적으로 형평의 개
법 앞의 평등은 제 1원칙에 해당하는 것으로 모든 사
념은 ‘다른 것은 다르게 취급하는 것이 정당하다’는 의
람이 동등하게 소유하는 권리로서 어떠한 사회적, 경제
미로써 아리스토텔레스가 재화나 명예, 권력 등 국민
적 이익과도 교환될 수 없는 본질적인 권리이며, 제 2
간에 이루어지는 모든 분배는 각자의 ‘가치에 따라’ 비
원칙은 사회생활을 영위할 때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례적으로 이루어질 때 정의로운 것이라고 말한 것에서
경쟁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은
비롯되었다.
최소 수혜자를 고려하여 배분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
형평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 롤스의 두 가지
한다(황경식 등, 2009).
원칙을 살펴볼 수 있다. 롤스의 정의론에 따르면 정의
공간적 형평성은 롤스의 정의론의 개념을 기반으로
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원칙이 존재하며, 이 원칙들
정의되어야 함에 대해 일부 학자들의 견해가 존재한다.
사이에는 서열이 있다고 설명한다(황경식 등, 2009). 첫
일부 학자들은 공간적 형평성을 모든 사람들에 대해
째, 제 1원칙(자유의 원칙, the Liberty Principle)이다.
어디에 사는지와 관계없이 동등한 대우를 받는 것으로
이 원칙에서는 ‘각 개인은 다른 모든 개인들에게 유사
정의한다(Smith, 1994; Tsou, Hung, & Chang, 2005). 그
한 자유의 체계가 소유되는 것과 양립 가능한 한도 내
러나 이러한 정의는 형평성의 본질적인 개념을 고려하
에서 최대한의 광범위한 기본적 자유의 전체적 체계에
지 않은 풀이로 판단된다. 형평성의 본질을 고려할 때,
대한 평등한 권리를 갖는다’라고 명시된다. 롤스는 이
공간적 형평성은 단순히 어디에 사는지와 관계없이 동
원칙에서 기본적 자유들은 대부분의 현대 국가에서 시
등한 대우를 받는 것 이상으로 개별 공간의 지리적,
민들에게 보장하는 시민적, 정치적 자유, 법치를 받을
사회경제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다르게 대우를 받는 것
자유 등을 포함한다고 설명한다.
으로 이해할 수 있다(김동현, 박진아, 2017). 이는 어디
둘째, 제 2원칙이다. 이 원칙에서는 사회적, 경제적
에 사는지와 관계없이 모두가 동등한 대우를 받는다면
불평등은 다음의 두 조건들을 만족하는 한에서 허용된
공간적으로 평등한 상태(spatial equality)로 볼 수 있으
다고 명시되어 있다. 첫 번째 조건은 차등의 원칙(the
나, 이를 공간적으로 형평(spatial equity)하다고 판단하
Difference Principle)이다. 이는 최소 수혜자에게 최대
기는 어려운 것으로 해석된다(김규식, 2016).
의 이득이 되어야 한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상위
이승종(1993)은 공공서비스(자원) 배분에 있어서 평
원칙들이 만족된다는 조건하에서 사회적 이득의 배분
등성보다 형평성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주장하
은(불평등을 통해서라도) 최소 수혜자의 처지를 극대화
며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에 따르면
366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다음과 같은 이유로 형평성을 우선시해야 한다. 첫째, 적인 연구자로는 Lucy(1981)가 있다. Lucy(1981)는 그
서로 다른 지역에 균등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의 논문에서 공공서비스시설의 형평한 배분과 관련하
더 심각한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요 여 대표적인 네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는 형평
를 고려하지 않고 서비스를 지역마다 균등하게 분배 성을 평등(equality), 필요(need), 수요(demand), 지불용
한다면 인구가 많은 지역의 사람들은 서비스 기회가 의(willingness to pay)의 네 가지 기준으로 범주화될
상대적으로 낮아지므로 결과적으로 불평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상기 기준들은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둘째,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더라도 지역 수도 있고 충돌될 수도 있음을 암시하며 연구의 목적
특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동일한 예산 과 시설의 특성에 맞게 기준을 알맞게 선정하는 것이
이나 인력을 투입해도 지역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 결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과는 차이가 발생한다. 셋째, 서비스 배분상의 형평성 구체적인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자면, Welch(2013)는
은 보다 균등한 상태를 추구한다. 예를 들어 건강불 대중교통서비스의 접근기회가 취약계층에 형평하게
평등 해소를 위해 빈곤지역에 더 많은 보건소를 제공 분배되어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득과 인구수를
한다면 균등한 분배가 아니지만 궁극적으로는 모두가 형평성의 기준으로 분석하였고, Nicholls(2001)은 도시
건강 적으로 평등한 상태를 추구하는 것이다. 넷째, 공원의 접근성을 측정하고 사회⋅경제적 특성을 비교
공공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은 빈곤지역은 시장의 하여 공원 배분의 형평성을 평가하였으며 Omer(2006)
원리에 따라서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은 인종과 소득을 형평성의 평가지표로 삼고 도시공
러한 지역에 대한 공공부문의 차등적 지원은 정당성 원이 형평성 있게 분배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 인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공서비스의 형평성 공공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을 평가한 국내연구로
은 균등개념에 우선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는 서현진, 전병운(2011), 윤종진, 우명제(2015), 김미
있다. 현, 안민우, 조남욱(2015), 김동현, 박진아(2017)등을
찾아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현진, 전병운(2011)은
2. 선행연구 대구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형평성을 사회
경제적 특성을 바탕으로 평가하였고, 윤종진, 우명제
공공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에 관한 연구는 국내⋅ (2015)는 서울시 대중교통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을
외 보건학, 지리학, 환경학 등의 다양한 학문에서 다 사회적 취약계층간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김미
수 보고되어지고 있으나, 체육학 분야에서는 해당 연 현, 안민우, 조남욱(2015)은 서울시 공원 접근성의 공
구들이 미진한 실정이다. 공간적 형평성은 주로 접근 간적 형평성을 알아보기 위해 공원의 형평성을 평가
성을 기준으로 분석되며, 이를 평가하기 위해 접근성 하는 기준으로 장애인 인구수, 기초생활수급자 인구수,
의 분포와 형평성에 기준이 되는 지표들(예: 소득, 인 65세 이상의 인구수 등 세 가지를 고려하여 비교⋅분
구, 직업 등)과 비교함으로써 공간적 형평성을 평가하 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김동현, 박진아(2017)는 서울시
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간적 형평성에 관한 선행연구 근린상점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을 분석하는데 있어
는 주로 공원, 의료시설, 도서관, 보건시설 등의 공공 서 공간적 형평성의 기준을 소득으로 선정하여 낮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며, 지역 위치한 근린상점의 접근성지수를 확인하였다.
각 시설의 특징에 맞게 적절한 접근성 측정방법을 선 종합해보면, 이전 연구들은 주로 필요와 수요를 고
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려하여 공공서비스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을 분석한
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사회적으로 공정하다고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평가되는 형평성 지표를 선정하는 것 또한 연구의 핵 연구에서도 공공체육시설의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
심이라고 볼 수 있다. 을 평가하기 위해 수요와 필요를 기준으로 삼고 연구
공공서비스시설의 형평한 배분과 관련한 가장 대표 를 진행하였다.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 평가 367

연구 방법 구수와 인구밀도, 노령화지수와 소득 등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득은 주택실거래가를 대리변수로 사
용하였다. 주택실거래가는 특정 지역의 주택 시장에서
1. 연구자료
거래되는 주택들의 가격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일반적
으로 주택의 가격은 해당 지역의 소득 수준과 밀접한
1) 접근성 평가
관련이 있다(김동현, 김진아, 2017). 주택실거래자료는
접근성 평가를 위해 필요한 자료는 속성자료와 공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
간자료이다(표 1).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해 2017년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매매가, 연립/다세
공공체육시설 중 간이운동장을 제외한 총 447개의 공
대, 단독다가구, 오피스텔 등의 매매가(만원/m2)을 주
공체육시설을 속성자료로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연
소별로 평균한 값을 이용하였다.
구 자료에 포함된 서울시 공공체육시설은 종목에 따
총인구수, 인구밀도 및 노령화지수는 통계청에서
라 총 16개(육상경기장, 축구장, 하키장, 야구장, 싸이
제공하는 집계구별 자료를 그대로 이용하였다. 공간적
클 경기장, 테니스 경기장, 체육관, 전천후 게이트볼
형평성 평가에 사용된 기준자료의 세부 내용은 다음
장, 수영장, 롤러스케이트장, 국궁장, 양궁장, 승마장,
<표 2>와 같다. 최종적으로 평등을 기준으로 한 공간
골프연습장, 빙상장, 기타체육시설 등)로 분류되어있
적 형평성 즉 균등성을 파악한 후 형평성 평가를 위
다. 공공체육시설의 종류의 하나인 간이운동장은 거주
해 수요와 필요의 기준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지 인근의 마을체육시설로 그 형태와 주소가 불분명
하여 분석 자료에서 제외하였다.
2. 분석 방법
본 연구의 공간자료로는 서울시 집계구 지도를 사용
하였다. 집계구는 행정동의 1/30의 규모로 통계청에서
1) 접근성의 산출방법
제공하는 최소 단위의 구역이다. 주된 구획요인은 인구
접근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컨테이너
수(300∼500)이므로 아파트 단지 등이 여러 구역으로
방식, 최소거리 방식, 총(평균) 비용 방식, 중력방식
분할되기도 한다. 서울시는 총 19,253개의 집계구로 나
등이 있다(Talen, 2003; Guagliardo, 2004; 조대헌, 신
뉘며 집계구 단위로 접근성을 측정할시 보다 정확하고
정엽, 김감영, 이건학, 2010). 이에 연구자가 측정하는
현실성 있는 접근성을 도출해낼 수 있다.
시설의 특성 및 분석 공간 단위를 고려하여 적절한
측정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가장
표 1. 접근성 평가를 위한 자료
직관적으로 해석이 가능한 최소거리 모형을 통해 접
구분 자료형태 출처 근성을 측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최소거
서울시 열린데이터 광장,
공공체육시설 주소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
리 모형을 통해 접근성을 산출하기 앞서 고려해야 할
속성
자료 서울시 열린데이터 광장, 사항은 최소거리(minimum distance)를 측정하는 방식
공공체육시설 면적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 이다. 보편적으로 두 지점간의 직선거리로 측정하는
공간 방법과 교통망의 노선을 따라 측정하는 방법을 고려
서울시 집계구 경계 통계청
자료
할 수 있다(허우긍, 2004). 본 연구의 대상지인 서울시
는 도로망이 고밀도로 잘 구축되어있는 대도시이기
2) 공간적 형평성 평가 때문에 지점과 지점간의 직선거리를 활용하여 거리를
공간적 형평성 평가를 위해 필요한 자료는 형평성 구하여도 실제 이용거리를 크게 왜곡하지 않을 것으
의 기준이 되는 지표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 로 판단된다(손정렬, 오수경, 2007). 따라서 본 연구에
해 공공서비스 배분의 형평성 기준 자료를 필요와 수 서는 집계구의 중심점인 수요지점과 체육시설간의 직
요로 선정하였고 이를 나타나는 대리변수로 각각 총인 선거리를 이용하여 접근성을 산출하였다.
368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표 2. 공간적 형평성 평가의 기준자료

구분 대리변수 세부변인 산출방법 출처


평등 - - - -
수요 인구 총인구수 그대로 이용 통계청
인구밀도 그대로 이용 통계청
필요 취약계층 소득 주택실거래가 국토교통부
노령화지수 그대로 이용 통계청

본 연구는 총 두 가지의 절차를 거친다. 첫째, 속성


자료를 지오코딩(geocoding)하는 작업이다. 이 작업은
시설의 주소 자료를 집계구 지도 선상 위에 위치해주
그림 1. 로렌츠곡선의 예
는 작업으로 접근성 분석을 위한 가장 기초단계라고
말할 수 있다. 둘째, 집계구의 중심점에서부터 가장 가 (1) 로렌츠 곡선과 지니계수
까운 시설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과정이다. 최소거리 로렌츠 곡선(Lorentz curve) 및 지니계수는 한 사회
방식은 집계구 중심점과 가장 가까운 공공체육시설까 의 불평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이다. 미
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그 값이 작을수록 접 국의 경제학자 Lorentz(1905)가 고안한 방법으로 인구
근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 에 대한 소득을 누적분포 함수로 나타낸 것이다. <그
해서는 Arcgis 9.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림 1>과 같이 가로축은 총인구를 100으로 설정하여 인
ArcGIS 9.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울시 집계구 지도상 구 순으로 나열한 인구누적비율을 세로축은 총소득을
에 공공체육시설을 포인트로 변환하였으며 각 집계구 100으로 설정한 소득누적비율을 기준으로 한다. 이때
의 중심점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시설까지의 직선거리 소득분배가 완전히 평등한 상태의 곡선은 기울기가 1
를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집계구별 도출된 접근성 지표 인 직선과 일치하게 되며 이 직선을 균등분포선(equa-
를 다시 지도상에 나타내주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lity line)이라고 일컫는다. 이와 달리 로렌츠곡선이 대
각선의 평등선 즉 균등분포선에서 멀어질수록 소득분배
2) 형평성의 평가방법 의 불평등 정도가 심하다는 것을 뜻한다.
앞서 측정한 접근성을 바탕으로 공공체육시설의 접 이탈리아 통계학자 Gini(1912)는 불평등의 정도를 수
근성이 공간적으로 형평하게 분배되어있는지 평가하 치화할 수 있는 식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지니계수라고
기 위하여 형평성 분석이 필요하다. 형평성 분석으로 한다(수식 1). 지니계수는 로렌츠곡선 면적을 통해 구
는 크게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법과 특정지수를 이 할 수 있으며 로렌츠 곡선의 균등분포선 아래의 삼각
용하는 방법 등 두 가지가 주로 사용된다. 시각적 표 형 면적 대비 두선 사이의 면적의 비율로서 계산된다.
현기법은 그 결과를 직관적으로 해석하기 쉬우나 하 예를 들어 <그림 1>의 균등분포선과 가로축에 의해 이
나의 수치로 요약하여 나타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루어진 삼각형의 넓이에 대한 불균등면적의 비율로 계
최근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특정지수를 이용하여 형평 산되어지며 구체적은 식은 다음 <수식 1>과 같다(정성
성 분석을 실시하였다(김동현, 박진아, 2018; 김철웅, 관, 이우성, 2008). 지니계수는 0부터 1까지의 값을 가
이상이, 홍성철, 2003). 지게 되며 0은 완전한 평등상태이며, 1에 가까울수록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득분포 불평등 정도를 측 불평등정도가 심하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정하는 대표적인 방식인 로렌츠 곡선 및 지니계수와
이를 확장한 개념인 집중곡선과 집중지수를 이용하여
형평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 평가 36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로렌츠곡선과 지니계수


를 이용하여 공공체육시설의 접근성이 집계구 단위로
균등(평등)하게 분포되어있는지 확인하고 집중곡선과
집중지수를 이용하여 수요와 필요의 기준에 형평하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서는 STATA14
수식 1. 지니계수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G: 지니계수
  : 로렌츠 곡선 아래면적
  : 가로축의 누적백분율
  : 세로축의 누적백분율
연구 결과
(2) 집중곡선과 집중지수
1. 공간적 분포
집중곡선과 집중지수는 로렌츠곡선과 지니계수에서
확장된 개념이며 불평등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유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현황을 각 자치구별로 지도화
용한 도구로 활용되어지고 있다(Wagstaff, O’Donnell, Van
하여 공공체육시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Doorslaer & Lindelow, 2007). 이론적으로는 집중곡선이
<그림 2>와 <그림 3>은 각각 공공체육시설의 개소와
완전평등 분포선 위에 놓여지면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
면적을 바탕으로 4분위수로 급간을 구분하여 표현하였
에 서비스의 공급이 몰려있음을 의미하고 아래에 놓여
다. 지도의 색이 짙을수록 시설의 개소 및 면적이 많
지면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 서비스의 공급이 몰려있
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그림 2>의 분포를 살
음을 의미한다. 집중지수는 집중곡선을 바탕으로 산출
펴보면 송파구, 서초구, 구로구, 노원구 등이 공공체육
할 수 있는데 이는 집중곡선과 완전평등분포선 사이의
시설이 많이 분포되어있는 자치구로 확인되었다. 이 중
면적을 두 배로 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집중지수는 –1
송파구가 38개로 가장 많은 공공체육시설을 보유한 것
에서 +1 사이의 값을 취하며 구체적인 식은 다음 <수
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봉구, 강북구, 동대문구 등의
식 2>와 같다. 결론적으로 양(+)의 값은 고소득에 유리
공공체육시설의 수는 다른 자치구에 비해 적은 것으로
한 불평등을 나타내며, 음(-)의 값은 저소득에 유리한
확인되었고, 이중 도봉구가 9개로 가장 적게 공공체육
불평등을 나타낸다. 0은 동등한 상태를 의미하며, 0에
시설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까울수록 평등에 가까우며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
면적의 분포 역시 <그림 3>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이 커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비슷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면적의 분포를 살펴보면 송파구, 서초구, 노원구 등이
 
     
      가장 많은 면적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 그 중에서도 송파구가 1,100,825m2으로 가장 많은 면적
   
 
을 보유하였다. 한편 서대문구, 강북구, 동대문구 등은
수식 2. 집중지수 공공체육시설의 면적 보유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
    ⋯ : i 집계구의 평균 접근성 며 그 중 서대문구가 34,912m2으로 가장 적은 비율의
 : i 집계구의 형평성기준(사회경제적) 순위
면적을 보유하고 있었다.
집중지수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인구를 서열화
한 누적 분포를 활용하기 때문에 관심변수와 사회경제 2.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접근성 분석
적 차원을 결합(ranked)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
구의 분석방법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림 4>는 최소거리방식을 이용한 공공체육시설의
370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그림 2. 공공체육시설 개소 분포 그림 3. 공공체육시설 면적 분포

접근성을 4분위수로 급간을 구분하여 시각화한 지도이 3동 등으로 확인되었다. 접근성이 좋지 않은 지역으로
다. 최소거리방식은 직관적인 해석이 가능하며 그 값이 는 신월5동, 방학3동, 서초1동, 내곡동, 구산동으로 가
작을수록 거리가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 장 가까운 공공체육시설이 1900m 밖에 위치해있는 것
도에서 색이 짙을수록 그 지역의 공공체육시설의 접 으로 확인되었다. <표 3>에는 접근성 상위 20개동과 접
근성은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색이 옅을 근성 하위 20개동을 제시하였다.
수록 접근성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 자세히 살펴보면,
종로구, 용산구, 성동구 일대의 지역이 접근성이 좋은 3. 서울시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형평성 분석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공공체육시설의 접근성이
낮은 지역으로는 서초구, 도봉구, 강서구 등으로 확인 1) 평등을 기준으로 한 형평성 평가
되었다. 최소거리 방식으로 측정한 공공체육시설의 접근성이
시각화를 위해 집계구값을 행정동으로 변환시켜 <그 평등을 기준으로 형평하게 분포되어있는지를 확인하기
림 5>로 나타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접근성을 4분 위하여 로렌츠 곡선과 지니계수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
위로 나뉘었다. 접근성지수가 250m 내로 나타나는 행 과 <그림 6>과 같이 나타났다. 다음의 로렌츠 곡선을
정동으로는 창신1동, 창신2동, 원효로1등, 용문동, 창신 살펴보면 곡선이 45도선 아래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공

그림 4. 최소거리방식을 이용한 공공체육시설 그림 5. 최소거리방식을 이용한 공공체육시설


의 접근성(집계구) 4분위 분포 의 접근성(행정동) 4분위 분포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 평가 371

표 3. 서울시 공공체육시설접근성 상위 및 하위 20개동 까운 값을 보여주므로 비형평성의 정도가 크지는 않은


상위 하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접근성 접근성
순위 동 순위 지역
(m) (m) 2) 수요를 기준으로 한 형평성 평가
1 창신1동 190.11 1 신월5동 2025.80 (1) 총 인구수
2 창신2동 195.36 2 방학3동 2001.62 <그림 7>은 총인구를 기준으로 한 집중곡선이다. 곡
3 원효로1동 229.69 3 서초1동 1972.56 선의 가로축에 각 집계구별로 순위화된 총인구를 설정
4 용문동 230.88 4 내곡동 1939.37 하고, 세로축에는 각 집계구별 공공체육시설의 접근성
5 창신3동 242.84 5 구산동 1914.71
을 누적한다. 그 결과 <그림 7>과 같이 집중곡선이 대
6 금호2.3가동 253.08 6 논현1동 1895.76
체적으로 45도선 아래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 번2동 257.44 7 방학2동 1801.11
하지만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위 약 20%에서 변곡점
8 거여1동 260.91 8 서초4동 1788.57
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변곡점을 기준으로
9 용산2가동 271.03 9 쌍문4동 1751.22
분리해서 해석하자면, 상위 약 20% 구간에서는 반대로
10 중림동 271.57 10 세곡동 1727.51
45도선 위에 집중곡선이 위치해있으며 이는 총인구가
11 무악동 272.38 11 화곡8동 1710.14
높은 지역에 공공체육시설의 접근성 지수가 낮다는 점
12 고덕2동 273.96 12 대조동 1665.53
에서 불평등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전반적
13 신당5동 279.22 13 화곡2동 1664.75
14 효창동 284.08 14 신사동 1649.18 인 집중곡선은 45도선 아래에 위치해 있으며 집중지수
15 미성동 288.93 15 가리봉동 1629.19 값 역시 0.0022로 양수인 것으로 확인되므로 총인구가
16 교남동 289.75 16 화곡3동 1609.03 많은 집계구에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의 지수가 더 높다
17 중곡3동 290.00 17 서초3동 1608.54 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은 인구
18 신길5동 292.96 18 회기동 1599.74 기준에 따르면 공간적으로 형평하게 분포되어 있다고
19 응봉동 293.50 19 신월3동 1580.69 평가할 수 있다.
20 천연동 295.79 20 삼양동 1578.67
(2) 인구밀도
공체육시설의 접근성이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고 <그림 8>은 인구밀도를 기준으로 한 집중곡선이다.
할 수 있다. 하지만 로렌츠곡선이 지나치게 늘어져있지 곡선의 가로축에 각 집계구별로 순위화된 인구밀도를
않다는 점과 지니계수 또한 0.3091로 1보다는 0에 가 설정하고, 세로축에는 각 집계구별 공공체육시설의 접

그림 6. 평등 기준의 로렌츠곡선 그림 7. 총인구 기준의 집중곡선


372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근성을 누적한다. 그 결과 <그림 8>과 같이 집중곡선


이 대체적으로 45도선 위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
다. 집중지수 역시 –0.0057로 음수인 것으로 확인되었
으며 이는 인구밀도가 적은 집계구의 공공체육시설 접
근성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은 인구밀도 기준에 따르면 공간적으로 비형평
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3) 필요를 기준으로 한 형평성 평가


(1) 주택실거래가
<그림 9>는 소득을 나타내는 변수인 주택실거래가를 그림 8. 인구밀도 기준의 집중곡선
기준으로 한 집중곡선이다. 곡선의 가로축은 집계구별
주택실거래가를 누적하였고 세로축에는 각 집계구별
공공체육시설의 접근성을 순위화하였다. 집중곡선이 45
도선 위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주택실거래가
가 낮은 지역에 유리한 불평등이 존재한다고 해석 가
능하다. 하지만 집중곡선이 상위 약 20% 지점에서 꺾
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지점을 기준으로 분리해서 해석하자면, 상위 약
20% 구간에서는 주택실거래가가 높은 지역에 공공체육
시설의 접근성이 몰려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전반적인 집중곡선은 45도선 위에 위치해 있으며 집중
지수 값 역시 –0.0382로 음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 그림 9. 주택실거래 기준의 집중곡선
체육시설의 접근성은 소득의 분포와 비교했을 때에는
공간적으로 형평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2) 노령화지수
<그림 10>은 노령화지수를 기준으로 한 집중곡선의
결과이다. 곡선의 가로축은 집계구별 노령화지수를 누
적하였고 세로축에는 각 집계구별 공공체육시설의 접
근성을 순위화하였다. 그 결과 집중곡선이 45도선 위에
놓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노령화지수가 낮
은 지역에 유리한 불평등이 존재한다고 해석이 가능하
다. 하지만 집중곡선이 하위 약 40%에서 꺾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지점을 기준으로 분리해서 해석하 그림 10. 노령화지수 기준의 집중곡선
자면, 하위 약 40% 구간에서는 노령화지수가 낮은 지
역에 공공체육시설의 접근성이 몰려있다고 해석할 수 인된다. 따라서 노령화지수를 기준으로 공공체육시설의
있다. 하지만 전반적인 집중곡선은 45도선 위에 위치해 접근성은 공간적으로 형평하게 분포되어있다고 평가할
있으며 집중지수 값 역시 –0.0025로 음수인 것으로 확 수 없다.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 평가 373

논의 체육시설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 분석 결과는 비형


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공서비스의 형평성 기
준이 필요와 수요에 더 적합하다는 선행연구들과 동
본 연구는 서울시 내의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을 바탕
일한 의미를 지닌다(김미현, 안민우, 조남욱, 2015; 김
으로 공간적 형평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상기 결과에
용국, 2015; 박진규, 김인, 2016). 이러한 결과는 앞서
따른 본 연구의 주요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
언급한 접근성 분석 결과와 부합하며, 공공서비스 분
체육시설 접근성은 지역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
배에서 흔히 발생하는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며 이는 특정 집계구에서는 높은 접근성을 갖고 있는
둘째, 수요를 기준으로 한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접근성을 갖고
형평성 분석 결과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결과는 정부가 지속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요를 대변하는 기준변수로 집계구별
공공체육시설을 확충하려고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공
총인구수와 인구밀도 분포를 활용하였다. 결과적으로
공체육시설의 분배에서 불균형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총인구수를 기준으로 한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은 공간
사실을 나타낸다. 이러한 불균형은 주로 시설 수를 늘
적으로 형평하게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구밀도
리는 측면에만 중점을 둔 양적 확충 위주의 정책의 한
를 기준으로 한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은 공간적으로
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이러한 연구 결
다소 비형평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는 다른 종류의 공공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연구(김
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이전에 공공체육시설의
미현, 안민우, 조남욱, 2015; 김용국, 2015)와도 부합하
수요를 평가할 때 주로 인구수를 기준으로 산정해왔
며, 공공 서비스 전체에 걸쳐 형평성 문제가 유사하게
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공공체육시설 분배의 불균
표한 공공체육시설 균형배치 중장기 계획 연구에서는
형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공공체육시설의 확충 기준을
공공체육시설의 수요분석을 지역별 참여 인구수를 기
적정소요면적(국민 1인당 생활체육시설 면적 증가)으로
준으로 수행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절대적 수치인 인
하는 것이 아니라, 1인당 접근성 향상으로 삼는 것이
구수만을 고려하는 경우, 형평성을 갖추지 못한 분배
지역 간 접근성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인구밀도는 일정 지역 내의
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인구를 해당 지역의 면적으로 나눈 상대적인 지표로,
둘째,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
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평가는 분석 기준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정보이다. 따라서, 지역별 수요를 고려할 때 인구밀도
이러한 결과는 공공체육시설의 배분이 명확한 기준 없
와 같은 상대적인 지표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수요에
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현재 체육시설의 법
따른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형평성을 향상시킬 수
적인 설치 기준이 명시된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있다고 판단된다.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 3조 생활체육시설의 설치 기
셋째, 필요를 기준으로 한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준에 따르면 “지역 주민의 선호도와 입지 여건 등을
형평성 결과 역시 상이하게 나타났다. 먼저 집계구별
고려하여 설치”라고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형평
주택실거래가를 기준으로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의 공
성 범주에 명확하게 부합하지 않는, 해석하기 모호한
간적 형평성은 형평하다고 나타났다. 이는 공공체육시
기준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보다 명확하
설의 접근성이 주택실거래가를 기준으로 형평하게 분
고 공정한 기준을 마련하여 공공체육시설을 공간적으
포되어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반면, 노령화
로 형평하게 분배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고 이러한
지수를 기준으로 한 공공체육시설의 접근성은 비형평
정책의 정당성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한 분포를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공공체육시설
구체적으로 평등, 수요, 필요 기준에 따른 결과는
공급과정에 있어서 노인들의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접
다음과 같다. 첫째, 평등을 기준으로 한 서울시 공공
근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이는 오
374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상은, 박재현, 안우진(2023)이 시도별 노인체육환경 형 하던 지표인 인구 당 체육시설 수, 인구 당 체육시설


평성을 조사한 결과와 일치한다. 노령화 지수가 높은 면적 등과 같은 총량지표가 아닌 수요자 입장을 고려
지역에 공공체육시설의 접근성 향상시킬 경우, 의료비 한 접근성 지표를 기준지표로 선정함으로써 정책의
와 사회보장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사회적 비용을 절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형평성
평가 기준으로 삼은 평등, 수요, 필요는 정책적 차원
에서 공공체육시설의 형평한 분배정책을 추진하기 위
결론 및 제언 해 활용 가능한 실질적인 기준이 될 수 있다. 이에
정부는 공간적 형평성을 개선하기 위해 공공체육시설
배분기준을 설정하고 동시에 현재 서비스 사각 지대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닌
에 놓여있는 지역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시설 분
학술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최소 지
배를 할 것으로 요구된다.
역단위인 집계구를 선정하여 최소거리모형을 이용하
반면 이상 기술한 연구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
여 접근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진다. 첫째, 연구의 대상
있다. 공간단위를 바탕으로 하는 분석은 그 단위가
이 되었던 공공체육시설의 범위가 서울이라는 지리적
세분화될수록 그 공간에 대한 설명력이 증가하며 오
공간에 제한되었고 학교체육시설을 포함하지 않았다
차량이 작아진다(이상일, 1999). 이에 본 연구는 집계
는 점에서 다소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후속 연
구를 공간단위로 설정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접근성
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서울 이외의 지역으로 확대하고
분석이 가능했다.
지역 주민에게 개방하는 학교체육시설을 별도로 판별
둘째, 본 연구에서는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형평
하여 자료 분석에 포함함으로써 보다 대표성 있는 연
성을 다양한 기준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일련의 연구
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야 한다.
에서는 형평성의 기준을 평등 혹은 수요의 기준에서
둘째,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접근성 분석을 함에
만 다루었다는 한계가 있다(김대은 외, 2010; 김성희,
있어서 서비스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김용진, 2017).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형평성의 기준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체육시설의 양적인
을 평등의 관점에서만 바라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수
접근성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지만 공공체육시설
요와 필요의 대리 기준들을 통해 공간적 형평성 평가
의 질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성 역시 고려해볼 필요가
를 시행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미가 크다.
있다. 예를 들어 공공체육시설의 프로그램, 시설상태,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리학 및 보건학 분야
지도자의 수 등은 수요자의 접근성에 영향을 줄 수
에서 사용되어온 공간분석을 체육학 분야에 접목하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공공체육시설의 양적
서 해당 분야 학술 연구방법의 정교화에 기여하였다.
접근성 및 질적 접근성을 모두 고려해볼 필요가 있을
구체적으로 공간자료와 특성자료를 이용하여 공간적
것으로 판단된다.
분석을 실시하고 이어서 그 결과를 바탕으로 형평성
평가를 시행하는 등의 종합적인 분석을 했다는 점에
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적 관점에서도 다음과 참고문헌
같은 의미 있는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첫째, 기존에
정책수립 과정에서 활용되었던 양적지표의 한계를 보 김규식(2016). 공공보육서비스 이용 기회의 공간적
완한 접근성 지표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형평성 평가. 서울도시연구, 17(1), 45-64.
공공체육시설 확충정책을 계획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 김대은, 김장환, 신홍범(2010). 대구광역시 공공체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 평가 375

육시설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시설 접근성 공간적 정의에 대한 실증연구. 국토계획,


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50(4), 69-85.
15(5), 33-48. 오상은, 박재현, 안우진(2023). 노인체육 환경의 형
김동현, 박진아(2017). 근린상점 접근성의 공간적 평성 및 효율성 평가. 한국체육측정평가학
형평성 분석: 서울시 사업체조사(2006∼ 회지, 25(1), 27-39.
2014) 자료를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 이상일(1999). 기능지역의 설정과 ‘공간단위 수정
Planning Association, 52(7), 43. 가능성의 문제 (MAUP)’. 한국지리환경교육
김동현, 박진아(2017) 근린상점 접근성의 공간적 학회지, 7(2), 757-783.
형평성 분석. 국토계획, 52(6), 43-56. 이승종(1993). 기고논문: 지방정부 공공서비스 배분
김미현, 안민우, 조남욱(2015). 환경형평성을 고려 의 균형성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2(1), 188-
한 서울시 공원 입지 분석: ArcGIS의 중첩 206.
분석 및 접근성 분석 기법의 응용. 지방행 이용재(2010). 소득계층별 건강 상태에 따른 의료이
정 연구, 29(2), 77-105. 용형평성 분석. 한국사회정책, 17(1), 267-
김성희, 김용진(2017). 공공체육시설 수요특성 및 290.
공간적 접근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 임의영(2011). 형평성의 개념화. 행정논총, 49(2), 81-
지, 17(7), 283-293. 102.
김용국(2015). 서울시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평 조대헌(2004). 제 1 부: 경제지리및 GIS; 공간적형평
가 및 형평성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 성(spatial equity) 의 평가 방법에 대한 연
시설계, 16(6), 133-149. 구: 도시공공서비스에의 접근성을 중심으
김철웅, 이상이, 홍성철(2003). 제주도 주민의 소득 로. 지리교육논집, 48, 100-120.
계층에 따른 암 입원 의료이용의 차이. 보 조대헌, 신정엽, 김감영, 이건학(2010). 농촌지역 공
건행정학회지, 13(3). 공 보건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 분석.
노승철, 김미옥(2021).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공공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2), 137-153.
체육시설 수요 분석 연구-국민체육센터를 허우긍(2004). 교통지리정보시스템 (GIS-T) 에 기반
중심으로-. Sports Science 2021, 39(3). 한 접근성 분석. 지리학논총, 43, 1-31.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2019). 생활SOC 3개년계 황경식, 박정순, 주동률, 김성우, 김비환, 정원규,
획(안): 문화체육관광부. 이야수, 정원섭, 염수균, 강준호, 박병섭, 하
문화체육관광부(2023). 2022년 국민 생활체육 참여 주영, 박상혁, 장동진(2009). 롤즈의 정의론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과 그 이후. 철학과현실사.
박진규, 김인(2016). 공공도서관 서비스 배분의 형 Gini, C. (1912). Variabilità e mutabilità. Reprinted
평성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지 in Memorie di metodologica statistica (Ed.
방정부연구, 20(2), 365-391. Pizetti E, Salvemini, T). Rome: Libreria
서현진, 전병운(2011). 대구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 Eredi Virgilio Veschi.
성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 분석. 한국지리정 Guagliardo, M. F. (2004). Spatial accessibility of
보학회지, 14(4), 221-237. primary care: concepts, methods and
손정렬, 오수경(2007). GIS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한 challe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서울시 노인주간 보호시설의 접근성 연구. Geographics, 3 (1), 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5), 576-594. Lorenz, M. O. (1905). Methods of measuring the
윤종진, 우명제(2015). 서울시 대중교통 접근성의 concentration of wealth. Publications of
376 한국체육학회지 제62권 제5호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 (70), pedestrian access. Environment and


209-219.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0 (2),
Lucy, W. (1981). Equity and planning for local 181-200.
service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Tsou, K. W., Hung, Y. T., & Chang, Y. L. (2005).
Association, 47 (4), 447-457. An accessibility-based integrated measure
Nicholls, S. (2001). Measuring the accessibility and of relative spatial equity in urban public
equity of public parks: a case study using facilities. Cities, 22 (6), 424-435.
GIS. Managing Leisure, 6 (4), 201-219. Wagstaff, A., O’Donnell, O., Van Doorslaer, E., &
Omer, I. (2006). Evaluating accessibility using Lindelow, M. (2007). Analyzing health
house-level data: A spatial equity equity using household survey data: a guide
perspective. Computers, Environment and to techniques and their implementation.
Urban Systems, 30 (3), 254-274. World Bank Publications.
Smith, D. M. (1994), Geography and Social Justice. Welch, T. F. (2013). Equity in transport: The
Oxford: Blackwell. distribution of transit access and
Talen, E. (2003). Neighborhoods as service connectivity among affordable housing
providers: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units. Transport Policy, 30, 283-293.

논문투고일: 2023. 07. 31


논문심사일: 2023. 08. 15
심사완료일: 2023. 09. 1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