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2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내 <불을 끄고 호랑이를 살리자>



Lesson 3 We Are All Connected 호랑이 멸종 위기의 원인과 결과 및
정 본문 1 - TURN OFF THE LIGHTS AND SAVE A TIGER 멸종 위기에 처한 종들을 보호하기 위한
리 노력의 방안들

= save ‘지키다’

You can protect tigers simply by switching off the lights. ü기출 포인트 You can protect tigers
simply by ①(switch / switching) off the
해석 단지 불을 끄는 것만으로도 당신은 호랑이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lights.
① by -ing: ‘~함으로써’라는 뜻으로, 전치사 by의 목적어로 동명사(구)가 온다. 여 ① 뒤에 부사 off가 이어지므로 ‘~의 스위치
기서는 by 뒤에 동명사구 switching off the lights가 쓰였다. 를 끄다’라는 뜻의 구동사 switch off에
✔switch off ~: ‘~의 스위치를 끄다’라는 뜻의 동사와 부사로 이뤄진 구동사로, 쓰인 동사 switch임을 알 수 있다. 전치
목적어는 부사 뒤에 위치하거나, 동사(switch)와 부사(off) 사이 사 by의 목적어 자리이므로, ‘~함으로써’
에 위치할 수 있다. 라는 뜻의 표현 ‘by -ing’를 이루는 동명
= ~ switching the lights off. 사 switching이 알맞다.
목적어

② ③ ② ④
This may sound strange, but it is actually true. ü기출 포인트 This may sound ③(strange
/ strangely), but it is actually ④(true /
해석 이것이 이상하게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그것은 정말로 사실입니다.
truly).
② 지칭: This와 it은 모두 앞 문장 전체의 내용(불을 끄는 것만으로도 호랑이를 보 ③ 조동사 may 뒤에 이어지므로 sound가
호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동사로 쓰였으며, 특히 뒤에 목적어가
[참고] 방금 언급한 내용을 다시 언급할 때 this/that/it을 쓸 수 있으며, 없으며 주어 This가 소리를 내는 것이
this/that으로 언급한 것을 다시 지칭할 때는 it을 사용한다. 아니므로, ‘~하게 들리다’의 의미를 가
③ may+동사원형: ‘~할지도 모른다’라는 뜻으로, 약한 추측을 나타내는 조동사 지는 2형식 동사로 쓰였음을 알 수 있
다. 따라서 sound 뒤에는 보어 역할을
may 뒤에 동사원형 sound가 쓰였다.
하는 형용사 strange(이상한)가 알맞다.
✔sound+형용사: ‘~하게 들리다’
참고로, 보어로 부사는 쓸 수 없다.
→ 2형식 동사로 쓰인 sound의 보어로 형용사 strange(이상한)가 쓰였다. 보
④ be동사인 is의 보어로 형용사가 와야 하
어로 부사는 쓸 수 없다.
므로 형용사 true가 알맞다. 참고로, 앞
[참고] sound: n. ‘소리, 음’ 의 부사 actually는 형용사 true를 수식
vi. ’(소리가) 나다, 울리다‘ <1형식> 하며, 보어로는 쓰일 수 없다.
vt. ’(소리를) 내다; (경보를) 울리다/알리다; 발음하다‘ <3형식>
④ 보어로 쓰인 형용사: is의 보어로 형용사 true(참된, 사실인)가 쓰였으며, 부사
actually(실제로, 정말로)의 수식을 받고 있다. 보어로 부
사는 쓸 수 없다.

- 1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An everyday action ①
that helps us save energy can also ②
help 내
ü기출 포인트 An everyday action ①(that

③ / what) helps us ①(save / saving / to 정
save an endangered species.
save) energy can also help ②(save / 리
해석 우리가 에너지를 아끼는 데 도움이 되는 일상적인 행동이 멸종 위기에 처한 saving / to save) an endangered species.
동물을 구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①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helps ~
energy’를 이끌어, 명사구 An everyday
①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인 helps us save energy를 이
action을 수식하는 관계사절을 이루는
끌어, 명사구 An everyday action을 선행사로 수식하는 관계사
자리이므로,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이 알
절을 이루는 주격 관계대명사이며, which로 바꿔 쓸 수 있다. 맞다.
→ An everyday action which helps us ~ 관계사절의 동사 helps의 목적어 us에
✔수일치: 주격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의 동사는 선행사에 수를 일치시키므로, 이어지는 목적격보어 자리로, 5형식으
단수 명사구인 An everyday action에 수일치 시킨 단수동사 helps가 로 쓰일 때 help는 목적격보어로 동사
쓰였다. 원형이나 to부정사를 취하므로 save 또
✔help+목적어+목적격보어(동사원형/to부정사): ‘…가 ~하는 것을 돕다’의 의미 는 to save가 알맞다.
로 5형식으로 쓰일 때 help는 목적격보어로 동사원형이나 to부 ② help 뒤에는 동사원형이나 to부정사가
정사를 취한다. 여기서는 동사원형 save가 쓰였으며, to save로 올 수 있으므로 save 또는 to save가
바꿔 쓸 수 있다. 알맞다.

→ ~ helps us (to) save energy ~ ü기출 포인트 An everyday action that


목적어 목적격보어 ①(help / helps) us save energy can also
② help+동사원형/to부정사: ‘~하는 것을 돕다’의 의미로, help 뒤에 목적어가 생 help save an ③(endanger / endangered)
략되고 동사원형이나 to부정사가 바로 올 수 있다. species.
여기서는 동사원형 save가 쓰였으며, to save로 바꿔 ① 앞의 that은 명사구 An everyday action
쓸 수 있다. 을 선행사로 하는 주격 관계대명사이다.

→ ~ help (to) save an endangered species. 주격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의 동사는


선행사에 수를 일치시켜야 하므로, 단수
③ 형용사 endangered: ‘멸종 위기에 처한’이라는 뜻의 과거분사형 형용사로, 명사
명사구인 선행사 An everyday action에
species를 수식하고 있다.
수일치 시킨 단수동사 helps가 알맞다.
cf) endanger: v. ‘위험에 빠뜨리다, 위태롭게 만들다’
③ 관사 an과 명사 species 사이에 쓰여 명
✔명사 species: ‘종(種)(생물 분류의 기본 단위)’이라는 뜻으로, 단수형과 복수형
사 species를 수식하고 있으므로 형용사
이 같다. 여기서는 단수형으로 관사 an과 함께 쓰였다. endangered(멸종 위기에 처한)가 알맞다.
[참고] 형용사가 명사를 앞에서 단독으로 수식할 때는 보통 ‘관사+형용사+명
사’의 순서로 쓰인다.


How does this work?
Point Check
해석 이것이 어떻게 작용하는 것일까요?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을 구하는 데 도
④ 지칭: this는 앞에 언급된 내용인 ‘우리가 에너지를 아끼는 데 도움이 되는 일 움이 되는 일상적인 행동의 예
상적인 행동이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을 구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불을 끄는 것(switching off the lights)
것‘을 가리킨다.
→ 이렇게 에너지를 아끼는 데 도움이
되는 일상적인 행동(an everyday
action that helps us save
energy)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

Let's take a look. (예: 호랑이)을 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
해석 같이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 세부정보 서술형 유형 출제
⑤ Let's+동사원형: ‘~하자, ~합시다’라는 뜻의 제안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Let's 뒤
에 동사원형 take가 쓰였다.
✔take a look: ‘한 번 보다’

- 2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cf) IN DANGER OF EXTINCTION ‘멸종 위기에 처한’


내 ①
A SPECIES IN DANGER

정 해석 위험에 빠진 종

① in danger: ‘위험에 처하여’

동격
② ③
Tigers, one of the world's largest feline species, have long ü기출 포인트 Tigers, one of the world's
largest feline species, ③(have / has) long
been the kings of Asia's forests.
been the kings of Asia's forests.
해석 세계에서 가장 큰 고양잇과 동물 중 하나인 호랑이는 오랫동안 아시아 숲의 ③ 주어가 복수명사인 Tigers이므로 현재완
왕이었습니다. 료(have[has]+p.p.)를 이루는 조동사로
복수 조동사인 have가 알맞다. 참고로,
② 동격: 이중 콤마(,) 사이에 삽입된 명사구 one of the world's largest feline
이중 콤마(,) 사이에 삽입된 one of the
species(세계에서 가장 큰 고양잇과 동물 중 하나)는 주어로 쓰인 명사 world's largest feline species는 주어
Tigers를 부연 설명하는 동격 어구이다. Tigers를 부연 설명하는 동격 어구이다.
✔one of the+최상급+복수명사: ‘가장 ~한 …들 중 하나’
→ one of the 뒤에 소유격 world's의 수식을 받는 최상급 largest가 쓰였으
며, 이어서 형용사 feline의 수식을 받는 복수명사 species가 왔다.
species(종(種))는 단수형과 복수형이 같은 명사로, 여기서는 ‘one of the
최상급+복수명사’ 표현을 이루므로 복수형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③ 현재완료(have[has]+p.p.): 기간을 나타내는 부사 long(오래, 오랫동안)과 함께,
과거부터 현재까지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상태를 나
타내는 현재완료 have long been이 쓰였다.
✔수일치: 주어가 복수명사인 Tigers이므로 현재완료를 이루는 조동사로 복수
조동사 have가 쓰였다. 동격 삽입구인 ‘one of ~ species’에서 one에
수일치 시킨 has를 쓰지 않도록 유의한다.
[참고] ‘one of the 최상급+복수명사’ 표현이 주어인 경우, one에 수일치 시
킨 단수동사를 쓴다.
e.g. One of the world's largest feline species is tigers.

↔ subordinate ‘종속된, 하위의’ (x)


cf) reigning ‘군림하는, 널리 퍼져 있는’ ┏ tigers tigers ┓

Despite being the dominant predators of their habitats, they ü기출 포인트 Despite ④(be / being) the
= In spite of ‘~에도 불구하고’ cf) preys ‘먹이, 사냥감’ (x)
⑤ ⑥ ⑤ ⑦ ⑧
dominant predators of their habitats, they
move silently and remain unseen most of the time. move ⑥(silent / silently) and ⑤(remain /
remaining) unseen ⑧(most / most of)
해석 그들의 서식지에서 지배적인 포식자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조용히 움직이며 the time.
④ 전치사 Despite의 목적어로 명사 상당어구
대부분의 시간을 눈에 띄지 않는 상태로 지냅니다.
가 와야 하므로 동명사 being이 알맞다.
④ 전치사 Despite: ‘~에도 불구하고’라는 뜻의 전치사로, 뒤에 목적어로 동명사구
⑤ 동사 move와 등위접속사 and로 병렬
‘being ~ habitats’가 쓰였다. 연결되므로 동사 remain이 알맞다.
cf) 접속사 Although/Even though/Though+완전한 절: ‘~임에도 불구하고’ ⑥ 앞의 동사 move를 수식하는 자리이므
e.g. Although tigers are the dominant predators of their habitats, ~ 로 부사 silently가 알맞다.
⑤ 병렬구조: 주어 they에 수 일치된 복수동사 두 개가 등위접속사 and에 의해 병 ⑧ 이어지는 명사(구)에 관사 the가 있을
렬 연결되어 있다. 때는 전치사 of로 연결하므로 most of
✔~ they move ~ + and + remain ~ 가 알맞다.
복수동사1 복수동사2 ü기출 포인트 ④(Despite / Although)
⑥ 부사 silently: ‘조용히’라는 뜻으로 동사 move를 수식하고 있다. tigers are the dominant predators of
⑦ remain+형용사: ‘계속[여전히] ~한 상태이다’라는 뜻으로, 2형식 동사로 쓰인 remain their habitats, they move ~
의 보어로 형용사 unseen(눈에 보이지[띄지] 않는)이 쓰였다. ④ 뒤에 주어와 동사가 있는 완전한 절
⑧ most of: ‘대부분의~’라는 뜻으로, 불가산명사(time)나 복수명사를 수식한다. 전 (tigers are ~ habitats)이 이어지므로
치사 of를 생략할 수 있으나, 수식하는 명사(구)에 관사(the), 소유격 부사절 접속사 Although가 알맞다. 전
등의 한정사가 함께 쓰일 때는 of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치사 Despite 뒤에는 목적어로 명사 상
most the time (x) → most of the time (o) 당어구가 와야 한다.

- 3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Imagine ②
how ancient people must have felt ③
when 내
ü기출 포인트 ①(Imagine / Imagining)

cf) should have felt how ancient people must ②(feel / have
encountering tigers in the wild! 정
‘느꼈어야 한다’ (x)
= running into ‘~와 우연히 마주치는’
felt) when ③(encounter / encountered / 리
encountering) tigers in the wild!
해석 고대인들이 야생에서 호랑이와 마주쳤을 때 어떻게 느꼈을지 상상해 보십시오! ① when 앞의 주절에 주어가 없고 목적어인
how절만 있으므로, 주어(You) 없이 동사
① 명령문: 주어(You)를 생략하고 동사원형(Imagine)으로 시작하는 명령문이 쓰였다.
원형으로 시작하는 명령문의 형태가 되어
② 간접의문문: Imagine의 목적어로 how 이하의 간접의문문이 쓰였으며, ‘의문사 야 한다. 따라서 동사원형 Imagine이 알
(how)+주어+(ancient people)+동사(must have felt)~’의 어순을 취 맞다.
한다. ② 흐름상 주어 ancient people(고대인들)
Imagine how must ancient people have felt ~ (x) 이 과거에 어떻게 느꼈을지 상상해보라
✔의문부사 how: 기분, 상태 등을 묻는 how가 사용되었다. 는 의미가 되어야 하므로, 앞의 must와
[참고] 기분이나 상태를 물을 때 how는 문장에서 보어의 역할을 하므로 뒤 함께 과거의 일에 대한 강한 추측을 나
에 보어가 없는 절이 온다. 타내는 ‘must have p.p.(~했음이 틀림

how ancient people must have felt 보어 없다)’ 형태를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have felt가 알맞다.
cf) 방법·수단을 묻는 how의 경우, 부사(구)의 역할을 하므로 뒤에 완
③ 접속사 when 뒤에 주어가 없으므로 접
전한 절이 온다.
속사 when을 남겨 둔 분사구문이 되어
e.g. how the system works
야 한다. 생략된 주어 they[=ancient
cf) ‘얼마나’의 의미로 how가 쓰일 때는 보어인 형용사나 문장의 부사를 people(고대인들)]가 목적어인 tigers(호
바로 뒤에 취해 ‘how+형용사/부사+주어+동사’의 형태로 쓰인다. 랑이들)를 마주치는 주체이므로 능동의
e.g. how soft it is / how well it went 의미를 가지는 현재분사 encountering
✔must have p.p.: 과거의 일에 대한 강한 추측을 나타내며, ‘~했음이 틀림없 (마주치는)이 알맞다.
다’와 같이 해석한다. ü기출 포인트 Imagine how ancient
↔ cannot have p.p.: ‘~했을 리가 없다’ <과거 일에 대한 강한 부정 추측> people must have felt when they
cf) may/might have p.p.: ‘~했을지도 모른다’ <과거의 일에 대한 약한 추측> ③(encountering / encountered) tigers in
should have p.p.: ‘~했었어야 한다’ <과거의 일에 대한 후회> the wild!
could have p.p.: ’~할 수 있었을 텐데‘ <과거의 일에 대한 후회/가능성> ③ 부사절 접속사 when은 완전한 절을 이
would have p.p.: ‘~했을 텐데’ <과거 상황에 대한 가정> 끌어야 하므로, 부사절의 주어 they에 이
③ 접속사를 남겨둔 분사구문: when 이하는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접속사 어지는 동사로 encountered가 알맞다.
when을 남겨둔 분사구문이다. 생략된 주어
they[=ancient people]가 마주치는 주체이므로 능
동의 의미를 가지는 현재분사 encountering(마주
치는)이 쓰였다.
[참고] 부사절의 주어와 주절의 주어가 같을 때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남은
동사를 현재분사로 바꿔 분사구문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의미를 명확
하게 하기 위해 분사 앞에 접속사를 남길 수 있다.
[부사절] ~ when they[=ancient people] encountered tigers in the wild!
→ [분사구문] ~ (when) encountering tigers in the wild!

- 4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내 ①
It is no surprise ①
that tigers ②
have been feared and ü기출 포인트 It is no surprise ①(that /
용 cf) ignored ‘무시된’ (x)
정 what / which) tigers ②(have feared and
② ③
리 worshipped by humans for centuries, standing as symbols of worshipped / have been feared and
cf) despised ‘경멸당하는’ (x) worshipped) by humans for centuries,
power and courage. standing as symbols of power and
서술형 대비 courage.
① 원래 주어 자리에 가주어 It이 있으므로
해석 호랑이가 수 세기 동안 힘과 용기의 상징으로 존재하며 인간에게 두려움과 숭 이에 상응하는 진주어가 와야 한다. 진
배의 대상이었던 것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주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tigers ~
courage)을 이끌고 있으므로 명사절 접
① 가주어-진주어: It은 가주어이고 that 이하가 진주어이다.
속사 that이 알맞다.
✔명사절 접속사 that: 진주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tigers ~ courage)을 이끈다.
② 기간을 나타내는 부사구 for centuries
✔It is no surprise that+S+V: ‘~인 것은 놀랍지 않다’
(수 세기 동안)와 함께 과거부터 현재까
② 현재완료 수동태(have[has] been p.p.): 기간을 나타내는 부사구 for centuries 지 계속되어 온 상태를 나타내는 현재
(수 세기 동안)와 함께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되어 온 상태를 완료 시제에서 능동인지 수동인지 묻는
나타내는 현재완료(have[has]+p.p.)와, that절의 주어 tigers(호 형태로, 진주어절의 주어 tigers(호랑이
랑이들)가 fear(두려워하다)와 worship(숭배하다)의 대상임을 들)가 fear(두려워하다)와 worship(숭배
나타내는 수동태(be동사+p.p.)가 결합한 형태인 현재완료 수동 하다)의 대상이므로 수동태가 되어야
태 have been feared and worshipped가 쓰였다. 또한 뒤에는 한다. 따라서 현재완료 수동태(have[has]

수동태의 행위자를 나타내는 전치사구 ‘by humans’가 이어지 been p.p.)로, have been 뒤에 과거분
사 feared와 worshipped가 등위접속사
고 있다.
and로 병렬 연결된 형태인 have been
✔수일치&병렬구조: 주어가 복수명사인 tigers이므로 현재완료 수동태를 이루
feared and worshipped가 알맞다.
는 조동사로 복수 조동사 have가 쓰였으며, have been에
ü기출 포인트 It is no surprise that tigers
이어지는 과거분사(p.p.) feared와 worshipped가 등위접속
have been feared and worshipped by
사 and에 의해 병렬 연결되어 있다. 또는 and 뒤에 have
humans for centuries, ③(stand / standing
been이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된 구조로도 볼 수 있다.
/ stood) as symbols of power and courage.
→ ~ tigers have been feared + and (have been) worshipped ~
③ 콤마(,) 뒷부분은 명사절 접속사 that이
현재완료 수동태1 현재완료 수동태2
이끄는 절의 주어 tigers에 관한 설명이
③ 분사구문: standing 이하는 부대상황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으로, ‘~하면서’와 같
므로, that절 안에서 ’tigers ~ centuries’
이 해석한다. 이때 stand는 ‘(어떤 상태·위치에) 있다, 존재하다’라는 에 연결되는 부분임을 알 수 있다. that
뜻의 자동사로, 수동의 의미를 가지는 과거분사(stood)로는 쓸 수 없 절의 동사구 have been feared and
으며, 분사구문의 의미상 주어인 tigers가 존재하는 것이므로 능동의 worshipped에 접속사 없이 콤마(,)로만
의미를 가지는 현재분사 standing이 쓰였다. 또 다른 동사(구)가 이어질 수 없으므
✔분사구문은 ‘접속사+주어+동사~’의 부사절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는 ‘~하 로, 분사구문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의
면서’의 의미로, 완전한 절을 이끄는 접속사 as를 사용하여 전환할 수 있다. 미상 주어 tigers가 존재하는 것이므로,

→ ~, as they[=tigers] have stood as symbols of power and courage. 능동의 의미를 가지는 현재분사 standing
이 알맞다. 참고로, stand는 ‘(어떤 상태·
✔전치사 as: ‘~로서’라는 뜻의 전치사로 쓰여, 뒤에 목적어로 명사구 symbols
위치에) 있다, 존재하다’라는 뜻의 자동
of power and courage가 이어진다.
사로 쓰였으므로, 수동의 의미를 가지는
과거분사 stood로는 쓸 수 없다.

- 5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동격

① 내
The fact that ancient rock paintings feature images of tigers ü기출 포인트 The fact ①(that / which)

ancient rock paintings feature images of 정
② ③
shows how closely tigers have been related to humans tigers ②(show / shows / showing) how 리
closely tigers have been related to
throughout history. humans throughout history.
서술형 대비
① 명사구 The fact를 부연 설명하는 완전
한 절(ancient ~ of tigers)을 이끌고 있
해석 고대 암각화에 호랑이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는 사실은 역사에 걸쳐서 호랑이 으므로, 동격의 접속사 that이 알맞다.
가 인간과 얼마나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② 문장의 주어 ‘The fact ~ of tigers’에 이
어지는 동사 자리로, 주어의 핵인 The
① 동격의 접속사 that: that은 동격의 접속사로, 앞의 명사구 The fact를 부연 설
fact가 단수이므로 단수동사인 shows가
명하는 완전한 절(ancient rock paintings feature images
알맞다.
of tigers)을 이끈다.
ü기출 포인트 The fact that ancient rock
✔The fact = ancient rock paintings feature images of tigers
paintings ①(feature / features / featuring)
[참고] 동격 접속사 that은 보통 fact, belief, doubt, news, idea, possibility 등
images of tigers shows ③(how / what)
의 추상명사 뒤에서 앞의 명사를 부연 설명하는 완전한 절을 이끈다.
closely tigers have been related to
✔수일치: 동격의 접속사 that이 이끄는 절의 주어 ancient rock paintings가 복
humans throughout history.
수명사구이므로, 복수동사 feature로 수일치 시켰다.
① ‘that ~ of tigers’는 The fact를 부연 설
[참고] feature: n. ‘특징, 특색’ v. ‘~를 특별히 포함하다, ~를 특징으로 삼다’ 명하는 동격절이다. 동격의 접속사 that
② 수일치: 문장의 주어 ‘The fact that ~ of tigers’에서 주어의 핵인 The fact가 은 완전한 절을 이끌어야 하므로 that절
단수이므로, 단수동사인 shows가 쓰였다. 의 주어 ancient rock paintings 뒤에 동
③ 간접의문문: 문장의 동사 shows의 목적어로 how 이하의 간접의문문이 쓰였으며, 사가 와야 한다. 주어 ancient rock
‘의문사구(how closely)+주어(tigers)+동사(have been related) ~’의 paintings가 복수명사구이므로 복수동사
어순을 취한다. feature가 알맞다.

✔의문부사 how(얼마나)는 부사 closely(밀접하게)를 수식하여 의문사구를 이루 ③ 문장 전체의 동사인 shows의 목적어 자


리에서 간접의문문을 이끄는 의문사로,
며, how closely 뒤에는 완전한 절(tigers ~ history)이 온다.
부사 closely를 수식해 의문사구를 이루
cf) 의문형용사 what은 명사를 수식하여 의문사구를 이루며, ‘what+명사’ 뒤
어야 하므로 의문부사 how가 알맞다.
에는 주어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 온다.
참고로, 의문형용사 what은 명사를 수식
✔현재완료 수동태(have[has] been p.p.): 기간을 나타내는 부사구 throughout 해 의문사구를 이룬다.
history(역사에 걸쳐서)와 함께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되어 온 상
ü기출 포인트 The fact that ancient rock
태를 나타내는 현재완료(have[has]+p.p.)와, 간접의문문의 주어
paintings feature images of tigers shows
tigers(호랑이들)가 relate(관련시키다)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수동태
how closely ③(tigers have been / have
(be동사+p.p.)가 결합한 형태인 현재완료 수동태 have been tigers been) related to humans
related가 쓰였다. throughout history.
✔A be related to B: ‘A는 B와 관련되다’라는 뜻으로, ‘relate A to B(A를 B와 ③ 문장의 동사 shows의 목적어로 how
관련시키다’의 수동표현이다. closely이하의 절이 이어지므로, ‘얼마나
~한지’의 의미를 갖는 간접의문문이 되
어야 한다. 따라서 ‘의문사구(how closely)
+주어+동사 ~’의 어순이 되어야 하므
Point Check 로 tigers have been이 알맞다.

인간의 역사와 문화 속 호랑이(Tigers in Human History and Culture)


: 내용 일치·불일치 파악 유형 출제
1. 호랑이의 이미지
- 수 세기 동안 인간에게 두려움과 숭배의 대상이었음(have been feared
and worshipped by humans for centuries)
- 힘과 용기의 상징(symbols of power and courage)임
2. 호랑이와 인간의 관련성
- 고대 암각화에 호랑이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ancient rock paintings
feature images or tigers)는 사실은 호랑이와 인간의 밀접한 관련성을
보여줌
➜ 인간의 역사와 문화 속에서 호랑이가 인간에게 어떤 이미지로 존재해 왔는지,
호랑이와 인간의 긴밀한 관련성을 무엇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지 잘 기억해
두세요!

- 6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내 Lesson 3 We Are All Connected



정 본문 2 - TURN OFF THE LIGHTS AND SAVE A TIGER

= all over ‘~의 전역에’


① ②
At one time, tigers were found all across Asia, from Korea ü기출 포인트 At one time, tigers ①(found

② cf) widespread ‘광범위한, 널리 퍼진’ / were found) all across Asia, from Korea
to Turkey. cf) founded ‘설립된’ (x) to Turkey.
해석 한때 호랑이는 한국에서 터키에 이르는 아시아 전역에서 발견되었습니다. ① 주어 tigers(호랑이들)가 발견되었던 대
상이며, 뒤에 이어지는 목적어가 없으므
① 수동태(be동사+p.p.): 주어 tigers(호랑이들)가 복수명사이며 과거에 발견되었던
로, 수동태 were found가 알맞다.
대상이므로, 복수동사 were를 쓴 과거형 수동태 were
found가 문장의 동사로 왔다.
[참고] find(발견하다) – found – found
found(설립하다) – founded – founded
② from A to B: ‘A부터 B까지’

(x) ‘증가하는’ growing ↔


(x) ‘증가하는’ increasing ↔
(x) ‘증가하는’ rising ↔
cf) Therefore ‘그러므로’ (x)
‘줄어드는’ decreasing =
cf) As a result ‘그 결과’ (x)
‘감소하는’ diminishing =
cf) Besides ‘게다가’ (x)
cf) For example ‘예를 들어’ (x) ‘떨어지는, 하락하는’ dropping =

③ ④
However, the world's tiger population has been shrinking ü기출 포인트 However, the world’s tiger
cf) the number of tigers ‘호랑이의 수’ population ④(have / has) been shrinking

rapidly. rapidly.
문장 삽입 ④ 뒤의 been shrinking과 함께, 과거부터
cf) drastically ‘대폭’
cf) at an alarming rate ‘급속도로’ 현재까지 계속되어 왔으며 지금도 계속
cf) slightly ‘약간, 조금’ (x)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현재완료 진행
cf) unnoticeably ‘눈에 띄지 않게’ (x) (have[has] been -ing)을 이루는 조동사
자리로, 주어 the world's tiger
해석 하지만 전 세계의 호랑이 수는 급격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population에서 핵인 단수명사 population
에 수일치 시킨 단수 조동사 has가 알
③ 접속부사 However: ‘그러나, 하지만’의 뜻으로, 앞 문장의 내용(과거 호랑이가
맞다.
아시아 전역에서 발견되었다는 것)과 대조되는 내용(호랑
ü기출 포인트 However, the world’s tiger
이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것)을 연결한다.
④ 현재완료 진행(have[has] been -ing):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되어 왔으며 지금 population has been shrinking ⑤(rapid /
rapidly).
도 계속해서 진행 중임을 강조하여 나타내기 위해 현
⑤ 동사구 has been shrinking을 수식하므로
재완료 진행형 has been shrinking이 쓰였다.
부사 rapidly(급속히, 신속히)가 알맞다.
✔수일치: 현재완료 진행을 이루는 조동사로, 주어 the world's tiger
population에서 핵인 단수명사 population에 수일치 시킨 단수 조
동사 has가 쓰였다.
⑤ 부사 rapidly: ‘급속히, 신속히’라는 뜻으로 동사구 has been shrinking을 수식하
고 있다.

- 7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 Legal hunting ‘합법적인 사냥’ (x)


= Poaching ‘밀렵’ cf) preservation ‘보존’ (x) 내
Point Check 용

Illegal hunting and habitat loss are the main reasons behind 정
호랑이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

this decrease. - 불법 사냥 (illegal hunting)
서술형 대비 & 문장 삽입
↔ increase ‘증가’ (x) - 서식지 상실 (habitat loss)
해석 불법 사냥과 서식지 상실이 이러한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입니다. ➜ 세부정보 파악, 서술형 유형 출제
① the main reason(s) behind ~: ‘~의 주요 원인(들)’
✔지칭: 전치사 behind의 목적어로 온 this decrease(이러한 감소)는 앞 문장에
언급된 내용인 ‘전 세계 호랑이 개체 수의 급격한 감소(the rapid
decrease in the world's tiger population)’를 가리킨다.

= In the early 20th century ‘20세기 초에’


② ③ ②
At the start of the 20th century, it was estimated that ü기출 포인트 At the start of the 20th
④ century, it ③(estimated / was estimated)
there were approximately 100,000 wild tigers.
that there ④(was / were) approximately
서술형 대비
= roughly ‘대략, 거의’ 100,000 wild tigers.
↔ exactly ‘정확히’ (x) ③ 앞의 it은 가주어이고, that 이하가 진주
어이다. that 이하의 내용이 추정되었던
해석 20세기 초에는, 약 10만 마리의 야생 호랑이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대상으로, 뒤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
② 가주어-진주어: it은 가주어이고 that 이하가 진주어이다. 태를 쓴 was estimated가 알맞다.
✔명사절 접속사 that: 진주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there ~ tigers)을 이끈다. ④ that절의 동사로, 유도부사 there에 의해
③ 수동태(be동사+p.p.): that 이하의 내용이 추정되었던 대상이므로 수동태 was 도치된 주어(approximately 100,000 wild
estimated가 쓰였다. tigers)의 핵인 wild tigers가 복수이므로,
✔it was estimated+that절: ‘~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에 수일치 시킨 복수동사 were가 알
cf) estimate+that절: ‘~인 것으로 추정하다’ 맞다.
e.g. Experts estimated that there were approximately 100,000 wild tigers.
(전문가들은 약 10만 마리의 야생 호랑이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했다.)
④ 시제&수일치: that절 내에서 유도부사 there에 의해 ‘there+동사(were)+주어
(approximately 100,000 wild tigers)’의 어순으로 도치되었다. 동
사는 복수명사인 주어 wild tigers에 수일치하고, 과거를 나타내
는 시간부사구(At the start of the 20th century)와 주절의 과거
시제(was)에도 일치시킨 과거형 복수동사 were가 쓰였다.

cf) consequently ‘그 결과, 따라서’ (x)


cf) for instance ‘예를 들어’ (x)

In recent years, however, three of the nine subspecies of ü기출 포인트 In recent years, however,
⑥ three of the nine subspecies of tigers
tigers have become extinct.
문장 삽입 ⑥(have / has) become extinct.
cf) have been thriving ‘번성해 오고 있다’ (x) ⑥ 현재완료(have[has]+p.p.)를 이루는 조동
해석 그러나 최근 몇 년간 9개의 호랑이 아종(亞種) 중 3개의 종은 멸종되었습니다. 사로, 주어 ‘three of the nine subspecies
of tigers’에서 three subspecies의 의미
⑤ 접속부사 however: ‘그러나, 하지만’의 뜻으로 앞 문장의 내용(20세기 초에는
를 가지는 복수형 수량대명사 three에
약 10만 마리의 야생 호랑이가 있었던 것)과 대조되는 내 수일치 시킨 복수형 have가 알맞다.
용(최근 몇 년간 9개의 호랑이 아종(亞種) 중 3개의 종이
멸종된 것)을 연결한다.
⑥ 현재완료(have[has]+p.p.): 현재까지 지속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부사구 In
recent years(최근 몇 년간)와 함께 현재완료 have
become이 쓰였다.
✔수일치: 현재완료를 이루는 조동사로, 주어 ‘three of the nine subspecies of
tigers’에서 three subspecies의 의미를 가지는 복수형 수량대명사
three가 주어의 핵이므로 이에 수일치 시킨 복수형 have가 쓰였다.
✔become+형용사: ‘~하게 되다’
→ have become의 보어로 형용사인 extinct(멸종된)가 쓰였다.

- 8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cf) In contrast ‘그에 반해서’ (x)


내 cf) On the other hand ‘반면에’ (x)
용 = Actually ‘실제로, 사실은’

① ② ③ ② ④ ④
리 In fact, it is now estimated that there are fewer than ü기출 포인트 In fact, it is now ③(estimated
cf) remaining ‘남아있는’ / estimating) that there ④(is / are) fewer

4,000 tigers living in the wild. than 4,000 tigers living in the wild.
서술형 대비 ③ 앞의 it은 가주어이고, that 이하가 진주
어이다. that 이하의 내용이 추정되는 대
해석 실제로 현재는 야생에서 사는 호랑이가 4,000마리 이하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상으로, 뒤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앞의
be동사 is와 함께 수동태(be동사+p.p.)를
① In fact: ‘사실상, 실제로’라는 뜻으로, 앞 문장의 내용(최근 몇 년간 호랑이가 멸
이루는 과거분사 estimated가 알맞다.
종된 것)에 대한 구체적인 부연 설명을 연결한다.
④ that절의 동사로, 유도부사 there에 의해
② 가주어-진주어: it은 가주어이고 that 이하가 진주어이다.
도치된 주어(fewer than 4,000 tigers
✔명사절 접속사 that: 진주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there ~ wild)을 이끈다.
living in the wild)의 핵인 tigers가 복수
③ 수동태(be동사+p.p.): that 이하의 내용이 현재 추정되는 대상이므로 부사 now(현 명사이므로, 이에 수일치 시킨 복수동사
재)와 함께 현재시제 수동태 is now estimated가 쓰였다. are가 알맞다.
✔it is estimated+that+S+V: ‘~인 것으로 추정된다’
ü기출 포인트 In fact, it is now estimated
cf) estimate+that절: ‘~인 것으로 추정하다’
that there are fewer than 4,000 tigers
e.g. Experts estimate that there are fewer than 4,000 tigers living in the wild. ⑤(live / living / lived) in the wild.
(전문가들은 야생에서 사는 호랑이가 4,000마리 이하인 것으로 추정한다.) ⑤ that절의 동사로 are가 있으며, 여기에
④ 시제&수일치: that절 내에서 유도부사 there에 의해 ‘there+동사(are)+주어 접속사 없이 또 다른 동사가 연결될 수
(fewer than ~ wild)’의 어순으로 도치되었다. 현재를 나타내는 없으므로 앞의 명사구 fewer than
부사 now와 주절의 현재시제(is now estimated)에 시제를 일치 4,000 tigers를 수식하는 분사의 형태가
시키며, 주어의 핵인 tigers가 복수명사이므로, 현재형 복수동사 되어야 한다. 뒤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are가 쓰였다. 자동사 live(살다)의 현재분사인 living이
알맞다. 참고로, 자동사는 수동의 의미
✔비교급+than: '~보다 더 …한‘의 의미로 뒤의 가산 복수명사(tigers)를 수식할
를 가지는 과거분사로 쓸 수 없다.
수 있는 few의 비교급 fewer가 than과 함께 쓰여 ’~보다 더 적
은‘의 의미를 가진다. ü기출 포인트 In fact, it is now estimated

⑤ 명사(구)를 수식하는 현재분사(구): living in the wild는 앞의 명사구 fewer than that there are fewer than 4,000 tigers
that ⑤(live / lives / living) in the wild.
4,000 tigers를 수식하는 현재분사구로, ‘살다’라는 뜻의 자
⑤ 앞의 that은 명사구 fewer than 4,000
동사 live의 현재분사인 living이 쓰였다.
tigers를 선행사로 하는 주격 관계대명
✔명사(구)를 뒤에서 수식하는 현재분사(구)는 관계사절로 바꿔 쓸 수 있다.
사이다. 주격 관계대명사절의 동사 자리
→ fewer than 4,000 tigers which[that] live in the wild
로, 선행사에 수를 일치시켜야 하므로,
→ fewer than 4,000 tigers (which[that] are) living in the wild 복수명사구 fewer than 4,000 tigers에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는 생략 가능) 수일치 시킨 복수동사 live가 알맞다.

= expect ‘예상하다’

Some experts even predict that the last of the world’s wild ü기출 포인트 Some experts even predict
⑦ ⑧ ⑥(that / what) the last of the world’s wild
tigers will disappear within the next 10 years.
= be gone ‘사라지다’ = decade ‘10년’ tigers will disappear within the next 10
years.
cf) become extinct ‘멸종되다’
↔ appear ‘나타나다’ (x) ⑥ 문장의 동사 predict의 목적어 자리에서
cf) survive ‘생존하다’ (x) 완전한 절(the ~ years)을 이끌고 있으
cf) increase ‘증가하다’ (x) 므로,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알맞다.
cf) be revived ‘부활되다’ (x) ü기출 포인트 Some experts even predict
that the last of the world’s wild tigers will
해석 어떤 전문가들은 심지어 전 세계의 마지막 야생 호랑이가 향후 10년 안에 사
⑦(disappear / be disappeared) within the
라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next 10 years.
⑥ 명사절 접속사 that: 문장의 동사 predict(예상하다, 예측하다)의 목적어 자리에 ⑦ disappear(사라지다)는 자동사이므로 수
서 완전한 절(the last of ~ 10 years)을 이끈다. 동태로 쓸 수 없다. 따라서 disappear가
⑦ 자동사 disappear: ‘사라지다’라는 뜻으로, 자동사이므로 목적어를 취하지 않으 알맞다.
며 수동태로 쓸 수 없다. will be disappeared (x)
⑧ 전치사 within: ‘~이내에’라는 뜻의 전치사로, 목적어로 명사구 the next 10
years가 쓰였다.

- 9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Lesson 3 We Are All Connected 내



본문 3 - TURN OFF THE LIGHTS AND SAVE A TIGER 정


OUR INTERCONNECTED WORLD
해석 서로 연결된 우리 세상

① 명사를 수식하는 과거분사형 형용사: INTERCONNECTED는 ‘상호 연결된’이라는


뜻으로 명사 WORLD를 수식하는 과거분
사형 형용사이다.

② ② ②
It would be very sad if there were no more wild tigers. ü기출 포인트 It ②(will / would) be very
서술형 대비 sad if there ②(are / were) no more wild
tigers.
해석 만약 야생 호랑이가 더는 존재하지 않는다면 매우 슬플 것입니다. ② 흐름상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야생
② 가정법 과거: ‘If+주어+동사의 과거형 …, 주어+조동사의 과거형(would/could/ 호랑이가 더는 존재하지 않을 경우)을
might/etc.)+동사원형 ~’ (만일 …라면 ~일 텐데) 가정해야 하므로 가정법 과거(If+주어+
동사의 과거형 …, 주어+조동사의 과거
→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야생 호랑이가 더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을 가
형(would/could/might/etc.)+동사원형 ~
정하는 가정법 과거 문장으로, 여기서는 if절보다 주절이 먼저 쓰였으며, 주
(만일 …라면 ~일 텐데)) 문장이 되어야
절에는 조동사 과거형인 would, if절에는 과거형 동사인 were가 쓰였다.
한다. if절보다 주절이 먼저 쓰인 형태
✔도치 구문: if절은 유도부사 there에 의해 ‘there+동사(were)+주어(no more
로, 주절에는 조동사의 과거형인 would,
wild tigers)’의 어순으로 도치되었다. if절에는 과거형 동사인 were가 알맞다.

= be important ‘중요하다’
③ ③ ③ ④
Would it really matter, though? ü기출 포인트 Would it really ③(matter /
matters), though?
해석 그런데 그게 정말로 중요한 일일까요?
③ ‘조동사+주어+동사원형~’ 형태의 의문
③ 가정법 과거: 주어로 쓰인 it은 앞 문장에 언급된 ‘야생 호랑이가 더는 존재하 문으로, 앞의 조동사 Would와 연결되
지 않는 상황’을 가리킨다. 주어에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의 므로 동사원형 matter가 알맞다.
의미가 내포되어 if절을 대신하므로, if절 없이 주절만 있는 가정
법 과거 의문문의 형태로 과거형 조동사인 Would가 쓰였다.
✔동사 matter: ‘중요하다, 문제되다’라는 뜻의 자동사로, 앞의 조동사 Would와
연결되므로 동사원형인 matter가 쓰였다.
cf) 명사 matter: ‘문제, 일, 상황; 물질’
④ 부사 though: 문장 끝에 쓰일 때 though는 부사로, ‘그런데, 하지만’의 뜻을 나
타낸다. 여기서는 앞 문장의 내용(야생 호랑이가 존재하지 않는
다면 매우 슬플 것이라는 것)과 상반되는 흐름의 질문(그게 정말
로 중요한 것일까?)을 연결하고 있다.
[참고] though는 ‘비록 ~할지라도’이라는 뜻의 접속사로도 쓰이며, 이때는 뒤에
완전한 절이 온다.
e.g. The room was cozy though it was small.
(그 방은 작지만 아늑했다.)

- 10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cf) However ‘그러나, 하지만’ (x)



cf) As a result ‘그 결과’ (x) ┏ wild tigers
용 ① ② ② ②
정 After all, we could still see them in zoos or watch ü기출 포인트 After all, we could still see
리 them in zoos or ②(watch / watching)
programs about them on TV.
programs about them on TV.
┗ wild tigers
② 조동사 could에 이어지는 동사원형 see
해석 어쨌든, 우리는 여전히 그들을 동물원에서 보거나, TV에서 그들에 관한 프로그 와 등위접속사 or로 병렬 연결되므로
동사원형 watch가 알맞다.
램을 시청할 수 있으니까요.

① After all: ‘어쨌든’이라는 뜻으로, 앞 문장에서 ‘그것[야생 호랑이가 존재하지 않


는 상황]이 정말로 중요한 일인지’ 질문한 이유(여전히 야생 호랑이를
동물원이나 TV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를 연결하고 있다.
② 가정법 과거: 앞 내용에 이어 야생 호랑이가 더는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 상황
을 가정하고 있으므로, if절 없이 주절만 있는 형태의 가정법 과
거로 ‘주어(we)+조동사의 과거형(could)+동사원형(see) ~’의 구조
가 쓰였다.
✔병렬구조: 조동사 could에 연결되는 두 개의 동사원형이 등위접속사 or에 의
해 병렬 연결되어 있다.
→ ~ we could still see ~ + or + watch ~
동사원형1 동사원형2

③ ③ ③ ④
Shouldn't we be more worried about protecting human ü기출 포인트 Shouldn't we ③(more
worried / be more worried) about
beings?
④(protect / protecting) human beings?
해석 우리는 인간을 보호하는 것에 대해 더 걱정해야 하는 것 아닐까요? ③ 부정형으로 쓰인 조동사 Shouldn't에 연
③ 조동사+동사원형: 부정형으로 쓰인 조동사 Shouldn't에 연결되므로 동사원형 결되는 동사원형이 필요하므로, 동사원
형 be를 포함한 be more worried가 알
be가 쓰였으며, be의 보어로 형용사 worried(걱정하는)가 이
맞다.
어진다.
④ 전치사 about의 목적어로 명사 상당어
✔be worried about: ‘~에 대해 걱정하다’
구가 와야 하므로, 동명사 protecting이
④ 목적어로 쓰인 동명사: 전치사 about의 목적어로, protecting 이하의 동명사구
알맞다.
가 쓰였다.

- 11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cf) accordingly ‘그런 이유로, 그래서’ (x)


cf) for instance ‘예를 들어’ (x) 내
① ② ③ ④

The fact is, however, that we need to protect tigers in ü기출 포인트 The fact is, however, ②(that 정
/ which) we need to protect tigers in 리
order to protect ourselves.
문장 삽입 & 빈칸 추론 order to protect ④(us / ourselves).
② be동사인 is의 보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
해석 그러나 사실은 우리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우리는 호랑이를 보호할 필요가 있 을 이끌고 있으므로 명사절 접속사 that
이 알맞다.
습니다.
④ to protect의 의미상 주어인 we와 목적어
① 접속부사 however: ‘그러나, 하지만’의 뜻으로 ‘야생 호랑이보다 인간을 보호하는 가 동일하므로 재귀대명사인 ourselves가
것을 더 걱정해야 하지 않을까?’라는 앞의 질문에 대해 ‘우리 자신을 알맞다.
보호하기 위해 호랑이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반론을 연결한다.
② 명사절 접속사 that: 동사 is의 보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we ~ ourselves)을 이끈다.
③ need+to부정사: ‘~할 필요가 있다’라는 뜻으로, need의 목적어로 명사적 용법
의 to부정사 to protect가 쓰였다.
cf) need+동명사: ‘~될 필요가 있다’ = need to be p.p.
e.g. This room needs cleaning. = This room needs to be cleaned.
④ in order to+동사원형: ‘~하기 위해서’
✔‘in order to+동사원형’은 ‘so as to+동사원형’ 또는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로 바꿔 쓸 수 있다.
= so as to protect ourselves = to protect ourselves
✔‘so[in order] that+주어+동사~(~하도록)’의 절로도 전환 가능하다.
→ ~ so[in order] that we protect ourselves. (우리 자신을 보호하도록)
cf) lest+주어+동사: ‘~하지 않도록’
e.g. ~ lest we protect ourselves. (우리 자신을 보호하지 않도록)
✔재귀대명사 ourselves: to protect의 의미상 주어(we)와 목적어가 동일하므로,
재귀대명사 ourselves가 쓰였다.
→ ~ in order (for us) to protect ourselves.

(x) ‘경쟁하는’ competitive cf)


(x) ‘단절된’ disconnected cf)
(x) ‘독립적인’ independent cf)
‘불가분의’ inseparable cf)
‘상호 의존적인’ interdependent cf)
cf) This is why ‘이것이 ~한 이유이다’ (x) ‘서로 관련된’ interrelated =

⑤ ⑥ ⑦ Point Check
This is because all of Earth's species are interconnected.
문장 삽입 & 빈칸 추론 우리가 호랑이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
Q. Why should we conserve tigers?
해석 이것은 지구의 모든 종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왜 호랑이를 보호해야 하는가?)
⑤ This is because+S+V: ‘이것은 ~이기 때문이다’
⦁It is because all of Earth's
✔지칭: This는 앞 문장 전체의 내용(우리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호랑이를 보
species are interconnected. (지구
호해야 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의 모든 종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
✔because 뒤에는 이유·원인을 나타내는 완전한 절(all ~ interconnected)이 온다.
문이다.)
⑥ all (of)+소유격+명사: all of 뒤에 소유격 Earth's와 복수명사 species가 쓰였으
= It is because all species on Earth
며, 이때 of는 생략 가능하다.
are interrelated. (지구상의 모든 종
✔all은 가산명사의 복수형 또는 불가산명사와 함께 쓰이며, all of 뒤에 관사,
은 상호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소유격 등의 한정사가 이어질 때 of는 생략될 수 있다.
→ all (of) Earth's species
= It is because species on earth
⑦ 수동태(be동사+p.p.): because가 이끄는 절의 주어 all of Earth's species(지구의 모든
are bound together by the
influence they have on one
종들)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로, 타동사 interconnect(연
another. (지구상의 종들은 그들이
결하다)의 수동태인 are interconnected가 쓰였다.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에 의해 결속되
✔수일치: ‘all (of)+한정사(관사/소유격/etc.)+명사’가 주어로 쓰일 때는 ‘all (of)+
어 있기 때문이다.)
한정사’ 뒤의 명사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키므로, 수동태를 이루는 be
동사로 복수명사 species에 수일치 시킨 복수동사 are가 쓰였다. ➜ 빈칸 추론, 세부정보 서술형 유형 출제

- 12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내 ①
Think about ②
what ②
would happen ②
if tigers ②
became ü기출 포인트 Think about what ②(would

정 ③ happen / would have happened) if tigers
extinct.
리 became extinct.
서술형 대비
② if절에 과거형 동사인 became이 쓰였으
해석 호랑이가 멸종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생각해 보십시오. 며, 흐름상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
(호랑이가 멸종된 경우)을 가정해야 하
① 명령문: 주어(You)를 생략하고 동사원형(Think)으로 시작하는 명령문이 쓰였다.
므로 가정법 과거(주어+조동사의 과거
② 간접의문문: 전치사 about의 목적어로, 가정법 과거를 사용한 what절인 간접의 (would/could/might/etc.)+동사원형 ~
문문이 쓰였다. 여기서 what은 의문사와 주어 역할을 동시에 한다. if+주어+동사의 과거형 … (만일 …라면
✔가정법 과거: ‘만일 …라면 ~일 텐데’의 의미로 ‘주어+조동사의 과거형+동사원형 ~ ~일 텐데))를 써야 한다. 따라서 주절에
if+주어+동사의 과거형 …’의 구조를 가지며, 현재 사실과 반대되 는 ‘조동사의 과거형+동사원형’ 형태인
는 상황(호랑이가 멸종된 경우)을 가정한다. would happen이 알맞다.
→ Think about [what + would+happen if + tigers + became extinct].
 + [의문사(주어)+조동사 과거형+동·원 if+주어+과거형 동사 …]
간접의문문(=전치사 about의 목적어)
✔What would happen if 주어+과거형 동사?: ‘만일 ~라면 어떻게 될까?’라는 뜻으로,
would happen을 생략한 ‘What if ~?’로 바꿔 쓸 수 있다.
→ What if tigers became extinct?
[참고] 가정법 과거완료는 과거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할 때 사용되며,
‘주어+조동사의 과거형+have p.p.~ if+주어+had p.p. …'의 형태로 ’만
일 …했다면, ~했을 텐데‘의 의미를 가진다.
e.g. ~ what would have happened if tigers had become extinct.
(만일 호랑이가 멸종되었다면, 어떤 일이 일어났을지) ü기출 포인트 ④(Exist / Existing / Existed)
③ become+형용사: ‘~하게 되다’의 의미를 가지며, 보어로 형용사인 extinct(멸종
at the top of the food chain, they
된)가 쓰였다. maintain the populations of animals
⑤(that / what / which) they prey on,
such as deer and boar.
↔ bottom ‘맨 아래’ (x) cf) increase ‘늘리다’ (x) ④ 완전한 절(they maintain ~)이 접속사
④ 없이 콤마(,)로만 연결되므로, 콤마(,) 앞
Existing at the top of the food chain, they maintain the
부분은 주절 앞에 쓰인 분사구문의 형
┏ tigers ┗ tigers
⑤ ⑥ 태가 되어야 한다. 흐름상 주절의 주어
populations of animals they prey on, such as deer and boar.
they에 대한 설명으로, they가 존재하는
문장 삽입
주체로 능동의 의미로 ‘~하면서’라는 뜻
의 부대상황을 나타내야 하므로 현재분
해석 그들은 먹이 사슬의 정점에 존재하며 사슴과 멧돼지같이 그들이 잡아먹는 동 사 Existing이 알맞다. 참고로, exist는
물들의 개체 수를 유지합니다. ‘존재하다’라는 뜻의 자동사이므로 수동
④ 분사구문: ‘Existing at the top of the food chain’은 부대상황을 나타내는 분사 의 의미를 가지는 과거분사로는 쓸 수
없다.
구문으로 ‘~하면서’와 같이 해석한다. 주어 they가 존재하는 것으로
⑤ 전치사 on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능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현재분사 Existing이 쓰였다. exist는 ‘존재하
절 ‘they prey on’을 이끌어, 앞의 명사
다’라는 뜻의 자동사이므로 수동의 의미를 가지는 과거분사로는 쓸
animals를 선행사로 수식하는 관계사절
수 없다.
을 이루는 자리이므로, 목적격 관계대
✔분사구문은 ‘접속사+주어+동사~’의 부사절로 전환할 수 있다. 명사 that 또는 which가 알맞다.
→ As they exist at the top of the food chain, ~
ü기출 포인트 Existing at the top of the
⑤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전치사(on)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they prey
food chain, they maintain the populations
on은 명사 animals를 수식하고 있으며, they 앞에
of animals on ⑤(that / which) they prey,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생략되었다. such as deer and boar.
✔[구조]→ animals (which[that]) prey on 전치사의 목적어 ⑤ 전치사 on과 함께 완전한 절 they prey
✔prey on: ‘~를 잡아먹다’ 를 이끌어 animals를 수식하는 관계사절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의미상 목적어로 취하는 전치사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을 이루는 자리이다. ‘~를 잡아먹다’의
앞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단, 전치사 뒤에 관계대명사 that은 쓸 수 없다. prey on에서 전치사 on이 관계사절 앞
→ animals on which they prey / (x) animals on that they prey 으로 이동한 ‘전치사+관계대명사’의 형
⑥ such as: ‘~와 같은’이라는 뜻으로, 앞의 animals they[=tigers] prey on(그들[= 태임을 알 수 있으므로, 전치사의 의미
상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목적격 관계대명
호랑이들]이 잡아먹는 동물들)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사슴, 멧돼지)를
사 which가 알맞다. 참고로 관계대명사
연결한다.
that은 전치사 바로 뒤에 쓸 수 없다.

- 13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늘어나다, 증가하다’ grow =

서술형 대비 & 문장 삽입
‘확장하다, 팽창하다’ expand = 내
① ② ① ③ ①

Without tigers, these species would rapidly increase in ü기출 포인트 Without tigers, these species 정
(x) ‘감소하다’ decrease ↔ ①(will / would) ③(rapid / rapidly) increase 리
number. (x) ‘줄어들다’ diminish ↔ in number.
(x) ‘줄어들다’ shrink ↔
① 흐름상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호랑
해석 호랑이가 없다면, 이러한 종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할 것입니다. 이가 없는 경우)을 가정하므로 ‘Without+
명사(구), 주어+조동사의 과거형(would/
① Without 가정법 과거 구문: '~이 없다면, …할 텐데‘의 의미로 ‘Without+명사
could/might/etc.)+동사원형~’ 형태의 가
(tigers), 주어(these species)+조동사의 과거형(would)+동사원
정법 과거 문장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형(increase) ~’ 형태의 가정법 과거 구문이 쓰여 현재 사실의 조동사의 과거형인 would가 알맞다.
반대 상황(호랑이가 없는 경우)을 가정하고 있다. ③ 앞의 조동사에 연결되는 동사원형 increase
✔[직설법] → As/Because/Since there are tigers, these species do not rapidly 를 수식하므로 부사 rapidly가 알맞다.
increase in number. (호랑이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종들의 수는 ü기출 포인트 If it ①(were not / had not
급격히 증가하지 않는다.)
been) for tigers, these species would
✔가정법 과거 구문에 쓰인 without은, but for나 if it were not for, 또는 if를 rapidly increase in number.
생략하여 도치된 were it not for로 바꿔 쓸 수 있다. ① 주절에 조동사의 과거형(would)과 동사
→ But for tigers, these species would rapidly increase in number. 원형(increase)이 쓰였으며, 흐름상 현재
→ If it were not for tigers, these species would rapidly increase in number.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호랑이가 없는 경
→ Were it not for tigers, these species would rapidly increase in number. 우)을 가정하므로, ‘~이 없다면, …할 텐
[참고] 과거 사실의 반대를 가정할 경우, ‘Without/But for/If it had not been 데‘라는 뜻의 가정법 과거 구문(If it
for/had it not been for+명사(구), 주어+조동사의 과거형(would/could/ were not for+명사(구), 주어+조동사의
과거형(would/could/might/etc.)+동사원
might/etc.)+have+p.p. …(~이 없었더라면, …했을 텐데)’의 가정법 과거
형 …)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동사의 과
완료 구문을 쓴다.
거형인 were가 알맞다. 참고로, ‘If it
② 지칭: these species(이러한 종들)는 앞에 언급된 ‘사슴과 멧돼지같이 호랑이가
had not been for+명사(구), 주어+조동
잡아먹는 동물들’을 가리킨다. 사의 과거형(would/could/might/etc.)+have
✔these species = animals (which[that]) they prey on such as deer and boar +p.p.’는 ‘~이 없었다면, …했을 텐데’라
③ 부사 rapidly: ‘급속히, 신속히’라는 뜻으로 동사 increase를 수식하고 있다. 는 뜻으로 과거 사실의 반대를 가정할
때 쓴다.
cf) Similarly ‘마찬가지로’ (x)
cf) Likewise ‘비슷하게’ (x)
cf) For example ‘예를 들어’ (x)
= Consequently ‘그 결과’
④ ⑤ ⑥ ⑦
As a result, their food source, vegetation, would begin to ü기출 포인트 As a result, their food
동격 source, vegetation, would begin ⑦(disappear
disappear.
문장 삽입 / to disappear).
↔ appear ‘나타나다’ (x) ⑦ begin의 목적어 자리에 쓰였으므로, to
cf) increase ‘증가하다’ (x) 부정사인 to disappear가 알맞다.

해석 그 결과로, 그들의 먹이인 초목이 사라지기 시작할 것입니다.

④ As a result: ‘그 결과로, 결과적으로’라는 뜻으로, 앞 내용(호랑이가 없다면 호


랑이가 잡아먹는 종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한다는 것)에 대한 결과
(호랑이가 잡아먹는 종들의 먹이인 초목이 사라질 것이라는 것)를
연결한다.
⑤ 동격: 콤마(,)로 연결된 their food source와 vegetation은 동격이다.
✔지칭: their는 ‘호랑이가 잡아먹는 종들’을 가리킨다.
their food source = the food source of the species tigers prey on
⑥ 가정법 과거: 앞 문장에 이어 계속해서 현재 사실의 반대(호랑이가 없는 경우)
를 가정하고 있으므로, if절 없이 주절만 있는 형태의 가정법 과
거 구문인 ‘주어(their food source, vegetation)+조동사의 과거형
(would)+동사원형(begin) ~’이 쓰였다.
⑦ 명사적 용법의 to부정사: begin의 목적어로 to부정사인 to disappear가 쓰였다.
begin은 목적어로 to부정사와 동명사를 모두 취하는
동사이므로, to disappear는 disappearing으로 바꿔
쓸 수 있다. → ~ would begin disappearing.

- 14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문장 삽입
cf) expand ‘확장시키다’ (x)
내 ① ② ② ③
This would cause birds and insects to lose their homes, ü기출 포인트 This would cause birds

‘다 써버리다’ use up = and insects ②(lose / to lose / losing)
정 ④ ② ②
리 and bigger animals that prey on them would soon run out of their homes, and bigger animals ④(that /
(x) ‘얻다’ gain cf) what) prey on them would soon run out
food. (x) ‘~를 늘리다[증가시키다]’ add to cf) of food.
② 동사 cause의 목적어 birds and insects
에 이어지는 목적격보어 자리로, 5형식
해석 이것은 새들과 곤충들이 그들의 집을 잃는 사태를 일으킬 것이고, 그것들을 잡 으로 쓰일 때 cause는 목적격보어로 to
아먹는 더 큰 동물들은 곧 먹이가 바닥나게 될 것입니다. 부정사를 취하므로 to lose가 알맞다.
④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인 ‘prey on
① 지칭: This는 앞 문장에 언급된 내용인 ‘초목이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them’을 이끌어, 명사구 bigger animals
② 가정법 과거: 앞 내용에 이어 계속해서 현재 사실의 반대(호랑이가 없는 경우)를
를 선행사로 수식하는 관계사절을 이루
가정하고 있으므로, if절 없이 주절만 있는 형태의 가정법 과거(주
는 자리이므로,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이
어+조동사의 과거형+동사원형 ~)가 쓰인 두 개의 절이 and로 이
알맞다.
어져 있다.
✔cause+목적어+목적격보어(to부정사): ‘(목적어)가 ~하는 것을 야기[초래]하다’
→ 5형식으로 쓰인 동사 cause의 목적격보어로 to부정사구인 ‘to lose their
homes’가 쓰였다.
~ cause birds and insects to lose their homes, ~
목적어 목적격보어
cf) make+목적어+목적격보어(동사원형): ‘(목적어)가 ~하게 하다[만들다]’
→ ~ make birds and insects lose their homes, ~
목적어 목적격보어
✔run out of: ‘~이 없어지다[떨어지다], ~를 다 써버리다’
③ 지칭: their는 ‘새들과 곤충들(birds and insects)’을 가리킨다.
✔their homes = homes of birds and insects
④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prey on them을 이끌어 명
사구 bigger animals를 선행사로 수식하는 관계사절을 이루
는 주격 관계대명사이며, which로 바꿔 쓸 수 있다.
→ bigger animals which prey on them
✔수일치: 주격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의 동사는 선행사에 수를 일치시키므로,
복수명사구인 bigger animals에 수일치 시킨 복수동사 prey가 쓰였다.
✔지칭: them은 ‘새들과 곤충들(birds and insects)’을 가리킨다.

cf) At first ‘처음에’ (x)


cf) Initially ‘처음에’ (x)
cf) However ‘그러나, 하지만’ (x)
= In the end ‘결국’ = influenced ‘영향을 받는’
⑤ ⑥
Eventually, the entire ecosystem would be affected. ü기출 포인트 Eventually, the entire
ecosystem would ⑥(affect / be affected).
해석 결국, 생태계 전체가 영향을 받게 될 것입니다.
⑥ 뒤에 이어지는 타동사 affect의 목적어
⑤ Eventually: ‘결국’이라는 뜻으로, 앞에서 언급한 내용들의 최종적인 결과를 연결 가 없으며, 주어 the entire ecosystem
한다. (생태계 전체)이 영향을 받는 대상이므
⑥ 가정법 과거: 앞 내용에 이어 계속해서 현재 사실의 반대(호랑이가 없는 경우) 로, 수동태인 be affected가 알맞다.
를 가정하고 있으므로, if절 없이 주절만 있는 형태의 가정법 과거
구문인 ‘주어(the entire ecosystem)+조동사의 과거형(would)+동
사원형(be) ~’이 쓰였다.
✔수동태(be동사+p.p.): 주어인 the entire ecosystem(생태계 전체)이 영향을 받
는 대상이므로, 조동사 would 뒤에 수동태인 be
affected가 쓰였다.

- 15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 depend on ‘~에 의존하다’


① ② 내
Humans are no exception, as we rely on nature for ü기출 포인트 Humans are no exception,

as we rely on nature for everything 정
③ ④
everything we need to survive, including air, food, and ③(that / what) we need to survive, including 리
air, food, and water.
water. ③ 동사(need)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we need to survive)을 이끌어,
해석 인간도 예외가 아닌데, 우리는 공기, 음식 그리고 물을 포함하여 살아가는데 everything을 선행사로 수식하는 관계
필요한 모든 것을 자연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절을 이루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
① 접속사 as: ‘~하기 때문에, ~하므로’라는 뜻의 접속사로 쓰여 완전한 절(we rely that이 알맞다.

~ water)을 이끈다.
② rely on: ‘~에 기대다, ~에 의지하다’
= rely upon = depend on = depend upon
③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동사(need)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we need
to survive는 everything을 선행사로 수식하고 있으
며, we 앞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이 생략되었다.
→ everything (that) we need 목적어 to survive
[참고] 선행사가 -thing으로 끝나는 경우, 관계대명사로 주로 that을 쓴다.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 to survive는 목적(~하기 위해서)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이다.
④ 전치사 including: ‘~를 포함하여’라는 뜻으로, 목적어로 명사 air, food, water가
A, B, and C의 구조로 병렬 연결되어 있다.

↔ appearance ‘나타남, 출현’ (x)


cf) extinction ‘멸종’

This is how the disappearance of a single species can ü기출 포인트 This is ⑤(how / what) the
= entire ‘전체의’ disappearance of a single species can
threaten the whole planet. threaten the whole planet.
빈칸 추론
cf) affect ‘영향을 미치다’ ⑤ 완전한 절이 뒤에 이어지므로 의문부사
cf) endanger ‘위험에 빠뜨리다’ 또는 관계부사 how가 알맞다. 참고로,
cf) devastate ‘완전히 파괴하다’ what은 의문대명사 또는 관계대명사로
cf) save ‘구하다’ (x) 뒤에 주어, 목적어 등이 빠진 불완전한
cf) benefit ‘~에게 유익하다’ (x) 절이 온다.

해석 이렇게 해서 하나의 종이 사라지는 것이 지구 전체를 위협할 수도 있는 것입


니다.

⑤ how절: how 이하는 두 가지로 분석할 수 있다.


1. 의문사 how가 이끄는 간접의문문으로, ‘어떻게 ~인지’와 같이 해석한다. 간
접의문문은 의문사(how)에 이어 ‘주어(the ~ species)+동사(can threaten)~’
의 평서문 어순을 취한다.
[참고] 의문부사(e.g. how, why 등)뒤에는 완전한 절이 온다.
cf) 의문대명사(e.g. what, who(m) 등) 뒤에는 주어, 목적어 등이 빠진
불완전한 절이 온다.
2. 선행사 the way가 생략된 관계부사절로, ‘~하는 방법[방식]’과 같이 해석한
다. 선행사 the way와 관계부사 how는 함께 쓰지 않고 둘 중 하나만 쓴다.
→ This is the way the disappearance of ~ planet.
(x) This is the way how the disappearance of ~ planet.

- 16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Point Check Point Check



용 호랑이의 멸종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본문3]의 주제 및 요지

: 순서배열, 문장 삽입, 본문 재구성(순서도 완성하기) 유형 출제 1) 주제

⦁The reason we need to protect
Tigers become extinct. (호랑이가 멸종된다.)
wild tigers (우리가 야생 호랑이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
The populations of animals tigers prey on rapidly increase.
2) 요지
(호랑이가 잡아먹는 동물들의 개체 수가 급격히 증가한다.)
↓ ⦁The extinction of wild tigers
Vegetation begins to disappear. would endanger other species
because all of the creatures on
(초목이 사라지기 시작한다.)
Earth are interdependent.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들은 상호의존적
Birds and insects lose their homes.
이기 때문에 야생 호랑이의 멸종은 다
(새들과 곤충들이 그들의 집을 잃는다.) 른 종들을 멸종 위기에 빠뜨릴 것이다.)

⦁As every species on Earth is
Bigger animals that prey on birds or insects run out of food.
interconnected, the extinction of
(새나 곤충을 잡아먹는 더 큰 동물들은 먹이가 바닥난다.) tigers can affect the entire
↓ ecosystem.
The entire ecosystem is affected. (지구상의 모든 종은 상호 연결되어
(생태계 전체가 영향을 받는다.) 있기 때문에, 호랑이의 멸종은 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호랑이는 먹이 사슬의 정점(at the top of the food chain)에 존재하며 그
들이 잡아먹는 동물들의 개체 수를 유지하는(maintain)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 ➜ 글의 요지 추론, 요약문 완성하기 유
니다. 따라서 호랑이의 멸종은 먹이사슬 내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다른 종들 형 출제

의 개체 수에 차례로 영향을 미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생태계의 불균형


(ecological imbalance)을 초래하게 됩니다. 원인(cause)-결과(effect) 관계
에 따른 글의 흐름을 잘 파악하고 정리해 두세요.

- 17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Lesson 3 We Are All Connected 내



본문 4 - TURN OFF THE LIGHTS AND SAVE A TIGER 정

① ② ② ② ②
Now imagine what would happen if we made the effort ü기출 포인트 Now imagine what ②(will
/ would) happen if we made the effort

to save tigers. to save tigers.
서술형 대비
② if절에 과거형 동사 made가 쓰였으며,
흐름상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우
해석 이제 우리가 호랑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상상해 리가 호랑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는
보십시오. 경우)을 가정하므로 가정법 과거(주어+
조동사의 과거형(would/could/might/etc.)
① 명령문: 부사 Now 뒤에 주어(You)를 생략하고 동사원형 imagine으로 시작하는
+동사원형 ~ if+주어+동사의 과거형 …
명령문이 쓰였다.
(만일 …라면 ~일 텐데)) 문장이 되어야
② 간접의문문: 동사 imagine의 목적어로 what 이하의 간접의문문이 쓰였다. 여기 한다. 따라서 주절의 조동사로 과거형인
서 what은 의문사와 주어의 역할을 동시에 하기에, 바로 뒤에 동 would가 알맞다.
사 would happen이 이어진다. ü기출 포인트 Now imagine what would
✔가정법 과거: 간접의문문에는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우리가 호랑이를 보 happen if we made the effort ③(saved /
호하기 위해 노력하는 경우)을 가정하는 가정법 과거 ‘주어 to save) tigers.
(what)+조동사의 과거형(would)+동사원형(happen) if+주어 ③ if절의 동사로 made가 있으며 여기에
(we)+동사의 과거형(made) … (만일 …한다면 어떻게 될지)’가 접속사 없이 또 다른 동사가 연결될 수
쓰였다. 없으므로 준동사의 형태가 되어야 한
✔what (would happen) if+주어+동사의 과거형~?: ‘만일 ~한다면 어떻게 될까?’ 다. 흐름상 완전한 절(we made the
cf) what would have happened if+주어+had+p.p.~?: ‘만일 ~했다면 어땠을까?’ effort)에 ‘호랑이를 보호하기 위해’라는
③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 to save tigers는 목적(~하기 위해서)을 나타내는 부사 의미로 이어지거나, ‘호랑이를 보호하려
는’의 의미로 앞의 명사구 an effort(노
적 용법의 to부정사구이다.
력)를 수식해야 하므로, 목적(~하기 위
✔make an/the effort+to부정사: ‘~하기 위해 노력하다’
해서)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 또는 명
[참고] 명사구 the effort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의 to부정사구로 볼 수도 있
사(구)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의 to
으며, 이때는 ‘보호하려는, 보호하는’으로 해석할 수 있다. 부정사로 to save가 알맞다.

cf) are referred to as ‘~로 불리다’


= are regarded as ‘~로 여겨지다’

Tigers are considered an "umbrella species." ü기출 포인트 Tigers ④(consider / considered
/ considering / are considered / are
해석 호랑이는 ‘우산종’으로 여겨집니다.
considering) an "umbrella species."
④ A be considered B: ‘A는 B로 여겨지다’라는 뜻으로, consider A B(A를 B로 여 ④ 주어 Tigers(호랑이)가 여겨지는 대상이
기다)의 수동 표현이다. 므로 수동태 are considered가 알맞다.
✔주어 Tigers(호랑이)가 여겨지는 대상이므로 수동태 are considered가 쓰였으 참고로, 뒤에 이어지는 명사구 an
며, 능동 표현 consider A B에서 목적격보어(B)에 해당하는 an "umbrella "umbrella species"는 ‘consider A B(A를
B로 여기다)’에서 목적격보어(B)에 해당
species"가 이어진다.
하며, consider가 수동태로 바뀐 후 뒤
[참고] consider A (as/to be) B: ‘A를 B로 여기다[간주하다]’
에 그대로 위치한 것으로, 목적어가 아
= regard A as B = think of A as B = see[view] A as B
님에 유의한다.
cf) refer to A as B: ’A를 B로 언급하다, A를 B라고 부르다‘

- 18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내 ① ② ③
This is an ecological term referring to species that live in ü기출 포인트 This is an ecological term

정 ④ ②(refer / refers / referring / referred) to
a large area containing a variety of different ecosystems.
리 서술형 대비 & 빈칸 추론
species ③(that / which / what) live in a
large area ④(contain / contains /
해석 containing) a variety of different
이것은 서로 다른 다양한 생태계를 포함하는 넓은 지역에 사는 종을 일컫는
ecosystems.
생태학적 용어입니다.
② 문장의 동사로 is가 있으며, 여기에 접속
① 지칭: This는 앞 문장의 an "umbrella species"를 가리킨다. 사 없이 또 다른 동사가 연결될 수 없
✔위 문장은 an "umbrella species"를 선행사로 하는 계속적 용법의 관계사절 으므로 준동사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로 전환하여, 앞 문장과 연결된 문장으로 변형할 수 있다. 단, 계속적 용법의 흐름상 앞의 명사구 an ecological term
관계대명사로 that은 쓸 수 없다. 을 수식해야 하며, 전치사 to와 함께 ‘~
→ Tigers are considered an "umbrella species," which is an ecological term ~ 를 가리키는, ~를 나타내는’의 뜻이 되

② 명사(구)를 수식하는 현재분사(구): ’referring ~ ecosystems’는 명사구 an 어야 하므로, 자동사 refer(가리키다, 나


타내다)의 현재분사인 referring이 알맞
ecological term을 수식하는 현재분사구로, ‘가리키다, 나타내다’라
다. 참고로, 자동사는 수동의 의미를 가
는 뜻의 자동사 refer의 현재분사인 referring이 쓰였다.
지는 과거분사로는 쓸 수 없다.
✔term: n. 용어, 말; 학기; 기간; 임기, 형기; 기한, 만기; 사이, 관계
③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live in ~
✔refer to+명사(구): ‘~를 가리키다, ~를 나타내다’
ecosystems)을 이끌어, 명사 species를
✔명사(구)를 뒤에서 수식하는 현재분사(구)는 관계사절로 바꿔 쓸 수 있다. 수식하는 관계사절을 이루는 자리이므
→ an ecological term which[that] refers to species ~ 로 주격 관계대명사 that 또는 which가
③ 주격 관계대명사: that 이하는 명사 species를 선행사로 수식하는 관계사절이다. 알맞다.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live ~ ④ 문장의 동사 is와 관계사절의 동사(live)
ecosystems’을 이끌어 명사 species를 수식하는 관계사절을 가 이미 있으므로 접속사 없이 앞의 동
이루고 있으며, which로 바꿔 쓸 수 있다. 사들 중 어느 것과도 연결될 수 없기에
→ species which live in ~ 앞의 명사구를 수식하는 준동사 형태가
되어야 한다. 흐름상 수식받는 명사구 a
✔수일치: 주격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의 동사는 선행사에 수를 일치시킨다.
large area가 포함하는 것으로 능동의
species는 단·복수형이 동일한 명사로, 여기서는 관사(a) 없이 쓰였으
의미를 나타내는 현재분사 containing이
므로 복수형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관계사절의 동사로
알맞다.
복수명사 species에 수일치 시킨 복수동사 live가 쓰였다.
ü기출 포인트 This is an ecological term
④ 명사(구)를 수식하는 현재분사(구): containing 이하는 명사구 a large area를 수
referring to species that ③(live / lives) in
식하는 현재분사구이다. 수식받는 명사구 a large area(넓
a large area which ④(contain / contains
은 지역)가 포함하는 주체이므로 능동의 의미를 가지는 현
/ containing) a variety of different
재분사 containing이 쓰였으며, 목적어로 명사구 a variety ecosystems.
of different ecosystems가 이어진다. ③ 앞의 that은 명사 species를 선행사로
✔명사(구)를 뒤에서 수식하는 현재분사(구)는 관계사절로 바꿔 쓸 수 있다. 하는 주격 관계대명사이다. 주격 관계
→ a large area which[that] contains a variety of different ecosystems 대명사절의 동사는 선행사에 수를 일치
시켜야 하며, 선행사 species가 관사(a)
⑤ ⑥ ⑦ ⑧ 없이 쓰인 것으로 보아 복수형임을 알
If we choose to protect these species, we must conserve
수 있으므로, 이에 수일치 시킨 복수동
⑦ = protect
their habitat. ‘보호하다’
사 live가 알맞다.
④ 앞의 which는 a large area를 선행사로
해석 만약 우리가 이러한 종들을 보호하기로 결정한다면, 우리는 그들의 서식지를
하는 주격 관계대명사이다. 주격 관계대
보호해야만 합니다. 명사절의 동사 자리로, 단수명사구인 선
⑤ 조건절의 시제: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 접속사 If가 이끄는 절에서는 미래를 행사 a large area에 수일치 시킨 단수
현재시제로 나타내므로, 현재형 동사 choose가 쓰였다. 동사 contains가 알맞다.
If we will choose ~ (x) ü기출 포인트 This is an ecological term
⑥ 명사적 용법의 to부정사: If절의 동사 choose의 목적어로 to부정사구인 to protect that ②(refers / referring) to species that
these species가 쓰였다. choose는 목적어로 to부정사를 live in a large area containing a variety
취하는 동사이다. of different ecosystems.

⑦ 지칭: these species와 their는 모두 앞에 언급된 ‘species that live in a large ② 앞의 that은 명사구 an ecological term
을 선행사로 하는 주격 관계대명사이다.
area containing a variety of different ecosystems(서로 다른 다양한 생
주격 관계대명사절의 동사는 선행사에
태계를 포함하는 넓은 지역에 사는 종)’를 가리키며, ‘호랑이와 같이 ’우
수를 일치시키므로, 단수명사구 an
산종‘에 속하는 종들’을 의미한다.
ecological term에 수일치 시킨 단수동
⑧ 조동사 must: 강한 의무(~해야만 한다)를 나타내며, 뒤에 동사원형(conserve)이
사 refers가 알맞다.
온다. must는 have to로 바꿔 쓸 수 있다.

- 19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As a result, ②
the other species ③
that share this habitat, 내
ü기출 포인트 As a result, the other

species ③(that / what / which) share this 정
④ ⑤ ⑥
including trees and insects, are protected too, as if there habitat, including trees and insects, ⑤(is 리
/ are) protected too, as if there were a
⑥ ⑦
were a large umbrella being held over them. large umbrella ⑦(holding / being held)
서술형 대비 & 빈칸 추론 over them.
③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share this
해석 결과적으로, 나무와 곤충을 포함해 이 서식지를 공유하는 다른 종들도 마치 그 habitat을 이끌어, 명사구 the other
들 위에 큰 우산이 씌워져 있는 것처럼 보호를 받게 됩니다. species를 수식하는 관계사절을 이루므
로, 주격 관계대명사 that 또는 which가
① As a result: ‘그 결과로, 결과적으로’라는 뜻으로, 앞에 언급된 내용(우리가 우
알맞다.
산종의 서식지를 보호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예상되는 결과(우산
⑤ 주어의 핵인 the other species는 흐름
종의 서식지를 공유하는 다른 종들도 보호받게 된다는 것)를 연결
상 우산종을 제외한 ‘나머지 종들’을 가
한다. 리키므로 단·복수형이 동일한 명사
② the other+명사: ‘나머지 다른 ~’ species가 복수형으로 쓰였음을 알 수
✔the other species는 ‘우산종을 제외한 나머지 종들’을 가리킨다. 있다. 따라서 수동태를 이루는 be동사
[참고] one ~ / another ~ / the other ~: ‘하나의 ~ / 또 다른 ~ / 나머지 ~’ 로 복수명사구인 주어에 수일치 시킨
some ~ / other ~ / the other ~: ‘몇몇의[일부의] ~ / 다른 ~ / 나머지 ~’ 복수동사 are가 알맞다.
③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share this habitat을 이끌어, ⑦ 수식받는 명사구 a large umbrella(큰 우
명사구 the other species를 선행사로 수식하는 관계사절을 산)가 씌워지는 대상이며, 뒤에 목적어가

이루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which로 바꿔 쓸 수 있다. 없으므로 수동형인 being held가 알맞다.

→ the other species which share this habitat ü기출 포인트 As a result, the other
✔수일치: 주격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의 동사는 선행사에 수를 일치시키므로, species that share this habitat, including
복수명사구 the other species에 수일치 시킨 복수동사 share가 쓰였다. trees and insects, ⑤(protect / are
protected) too, as if there were a large
✔명사(구)를 수식하는 관계사절은 분사(구)로 바꿔 쓸 수 있다.
umbrella over them.
→ the other species sharing this habitat
⑤ 문장의 주어는 관계사절(that ~ habitat)
④ 전치사 including: ‘~를 포함하여’라는 뜻으로, 목적어로 명사 trees와 insects가
의 수식을 받는 the other species(나머
등위접속사 and로 병렬 연결되어 있다.
지 종들)이며, 보호받는 대상으로 뒤에
⑤ 수동태(be동사+p.p.): 문장의 주어는 관계사절(that share this habitat)의 수식을 protect(~를 보호하다)의 목적어가 없으
받고 있는 the other species로, 이는 보호받는 대상이며 므로, 수동태인 are protected가 알맞다.
복수명사구이므로, 복수동사 are를 쓴 수동태 are protected
ü기출 포인트 As a result, the other
가 쓰였다.
species ③(share / shared / sharing) this
⑥ as if/as though 가정법과거: ‘마치 ~인 것처럼’의 뜻으로, 주절의 시제와 같은 habitat, including trees and insects, are
시점의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하는 표현이다. as if 뒤 protected too, as if there were a large
에는 가정법 과거 시제인 ‘주어+동사의 과거형 ~’이 쓰이며, umbrella ⑦(hold / held) over them.
as if는 as though로 바꿔 쓸 수 있다. ③ 문장의 동사로 are protected가 있으며,
✔도치와 과거형 동사: as if절 내에서 유도부사 there가 문두에 위치하여 주어 문장 안에서 두 개의 동사가 접속사 없
(a large umbrella ~ them)와 동사(were)가 도치된 형태 이 연결될 수 없으므로, 주어 자리의 명
로, 주절의 시제(are)와 동일한 현재 시점에 큰 우산이 사구 the other species를 수식하는 분

실제로 씌워진 것이 아니므로 가정법 과거 시제인 과거 사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the other
species가 공유하는 주체이자 뒤에 목적
형 동사 were가 쓰였다. 가정법 과거 시제에서 be동사
어로 명사구 this habitat이 이어지므로,
는 주어의 인칭과 수에 관계없이 were를 주로 쓴다.
능동의 의미를 가지는 현재분사 sharing
[참고] 주절의 시제보다 앞선 시점의 일을 가정할 때는 ‘as if/as though 가정
이 알맞다.
법 과거완료(주어+had p.p. ~)’를 쓴다.
⑦ as if가 이끄는 절의 동사로 were가 있으며,
e.g. I behaved as if[=as though] nothing had happened. 여기에 접속사 없이 또 다른 동사가 연결
(그는 마치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던 것처럼 행동했다.) 될 수 없으므로 명사구 a large umbrella를
⑦ 명사(구)를 수식하는 현재분사(구): being held over them은 명사구 a large 수식하는 분사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수식
umbrella를 수식하는 현재분사구이다. 수식받는 명사구 a 받는 명사구 a large umbrella(큰 우산)가
large umbrella(큰 우산)가 씌워지는 대상이므로 수동형 씌워지는 대상이므로, 수동의 의미를 가지
인 being held가 쓰였다. 이때 being은 생략 가능하다. 는 과거분사 held가 알맞다.

→ ~ a large umbrella (being) held over them.


✔hold an umbrella over ~: ‘~에게 우산을 씌워주다’
✔지칭: them은 ‘나무와 곤충같이 우산종과 서식지를 공유하는 종들’을 가리킨다.

- 20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Point Check

용 '우산종'(an "umbrella species")으로서 호랑이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

: 세부정보 파악, 함축의미 추론 유형 출제

1. An "umbrella species" is an ecological term referring to species
that live in a large area containing a variety of different
ecosystems. ('우산종'은 서로 다른 다양한 생태계를 포함하는 넓은 지역에
사는 종을 일컫는 생태학적 용어이다.)
2. An umbrella species can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the
conservation of other species around it. (우산종은 직접적 혹은 간접적
으로 그것의 주변에 있는 다른 종들의 보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When an umbrella species is protected in the wild, many other
species of the same habitat come under the umbrella of
protection, too. (야생에서 하나의 우산종이 보호되면, 같은 서식지의 많
은 다른 종들 또한 보호의 우산 아래 놓이게 된다.)
→ If the habitat of an "umbrella species" is conserved, many other
species that share its habitat, including trees and insects, are
protected too.
('우산종'의 서식지가 보호된다면, 나무와 곤충을 포함해 그것의 서식지를
공유하는 많은 다른 종들 역시 보호를 받게 된다.)
3. Tigers are considered an "umbrella species." This means that the
protection of these species ensure the protection of other species
sharing the same habitat. (호랑이는 '우산종'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이 종
의 보호가 같은 서식지를 공유하는 다른 종들의 보호를 보장한다는 것을 의미
한다.)
➜ [본문4]는 '우산종'의 개념을 통해, 우산종에 해당하는 호랑이를 보호해야만 다
른 종들이 함께 보호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우산종의 개념을 정확하
게 이해하고 정리해 두세요.

- 21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Lesson 3 We Are All Connected 내



본문 5 - TURN OFF THE LIGHTS AND SAVE A TIGER 정

SMALL EFFORTS WITH BIG RESULTS


작은 노력으로 큰 결과를

= apparent ‘분명한, 명백한’


① ② ①
Now, it is obvious that we must protect tigers. ü기출 포인트 it is ②(obvious / obviously)
that we must protect tigers.
해석 이제, 우리가 호랑이를 보호해야만 한다는 것은 명백합니다.
② ‘가주어(it)-진주어(that절)’의 구문에서 is
① 가주어-진주어: it은 가주어이며, that 이하가 진주어이다. 의 보어 자리에 쓰였으므로 형용사
✔명사절 접속사 that: 진주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we must protect tigers)을 obvious가 알맞다. 보어로 부사는 쓸 수
이끈다. 없다.
② 보어로 쓰인 형용사: is의 보어로 형용사 obvious(분명한, 명백한)가 쓰였다.
✔it is obvious that+S+V: ‘~라는 것은 명백하다’

cf) wander ‘거닐다, 돌아다니다’ (x)


③ ④ ⑤
You may, however, still wonder how switching off the ü기출 포인트 You may, however, still
⑥ cf) switching on wonder how ④(switching off the lights
lights helps. ‘스위치를 켜는 것’ (x)
helps / does switching off the lights help).
cf) helps the protection of tigers ‘호랑이 보호를 돕다’
④ 동사 wonder의 목적어 자리에 쓰였으므
cf) hinders the protection of tigers ‘호랑이 보호를 방해하다’ (x)
로 ‘의문사+주어+동사’의 간접 의문문
해석 어순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switching
하지만 당신은 아마 불을 끄는 일이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가 여전히 궁금할
off the lights helps가 알맞다.
것입니다.
ü기출 포인트 You may, however, still
③ 접속부사 however: ‘그러나, 하지만’의 뜻으로, 명백한 사실을 언급하는 앞 문장
wonder how switching off the lights
의 내용과 대조적인 내용(여전히 궁금할 것이라는 것)을 연
⑥(help / helps / helping).
결한다.
⑥ how가 이끄는 절의 주어인 동명사구
④ 간접의문문: 동사 wonder(궁금해 하다)의 목적어로 how 이하의 간접의문문이 switching off the lights에 이어지는 동
‘의문사(how)+주어(switching off the lights)+동사(helps)’의 어순으 사 자리이다. 동명사(구) 주어는 단수
로 쓰였다. 취급하므로 이에 수일치 시킨 단수동사
~ wonder how does switching off the lights help. (x) helps가 알맞다.
✔의문부사 how는 완전한 절인 switching off the lights helps를 이끌고 있다.
이때, helps는 ‘도움이 되다’라는 뜻의 자동사로 쓰였다.
⑤ 주어로 쓰인 동명사(구): 간접의문문의 주어로 동명사구 switching off the
lights가 쓰였다.
✔switch off ~: ‘~의 스위치를 끄다’라는 뜻의 구동사로, 목적어는 동사(switch)
와 부사(off)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 switching the lights off
목적어
⑥ 수일치: 동명사(구) 주어는 단수 취급하므로, 주어 switching off the lights에 수
일치 시킨 단수동사 helps가 쓰였다.

- 22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 need ‘필요로 하다’



Well, the lights in our homes require electricity, and more than ü기출 포인트 Well, the lights in our

= electric power ‘전력’ homes require electricity, and more than
정 ① ② ③
리 half of the world’s electricity is created by burning fossil half of the world’s electricity ②(create /
= generated ‘발생되는, 만들어지는’ creates / is created / are created) by
fuels. cf) consumed ‘소비되는’ (x) ③(burn / burning) fossil fuels.
② 접속사 and 뒤에 이어지는 절의 주어
해석 그러니까, 우리의 집에 있는 불은 전기를 필요로 하고, 전 세계 전기의 절반 more than half of the world's
이상은 화석 연료를 태움으로써 만들어집니다. electricity(전 세계 전기의 절반 이상)가
① half (of)+the+명사: ‘~의 절반’ 만들어지는 대상이므로 수동태(be동사

✔half of 뒤에 관사, 소유격 등의 한정사가 올 때 of는 생략될 수 있다. +p.p.)를 써야 하며, ‘half of+명사(구)’가
주어로 쓰일 때는 of 뒤의 명사(구)에
→ half (of) the world's electricity
동사의 수를 일치시키므로, 단수 불가산
② 수동태(be동사+p.p.): 접속사 and 뒤에 이어지는 절의 주어 more than half of
명사 electricity에 수일치 시킨 단수동사
the world's electricity(전 세계 전기의 절반 이상)가 만들
를 쓴 수동태 is created가 알맞다.
어지는 대상이므로 수동태 is created가 쓰였다.
③ 전치사 by의 목적어 자리이므로, ‘~함으
✔수일치: ‘half (of)+한정사(관사/소유격/etc.)+명사’가 주어로 쓰일 때는 ‘half 로써’라는 뜻의 표현 ‘by -ing’를 이루는
(of)+한정사’ 뒤의 명사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키므로, 수동태를 이루 동명사 burning이 알맞다.
는 be동사로 단수 불가산 명사 electricity에 수일치 시킨 단수동사 is
가 쓰였다.
③ by -ing: ‘~함으로써’라는 뜻으로, 전치사 by의 목적어로 동명사(구)가 온다. 여
기서는 by 뒤에 동명사구 burning fossil fuels가 쓰였다.

= is emitted ‘배출되다’
④ ⑤
When fossil fuels are burned, carbon dioxide is released into ü기출 포인트 When fossil fuels are
⑥ ⑦ burned, carbon dioxide ⑤(releases / is
the air, and this contributes to climate change.
cf) causes ‘~를 야기하다[초래하다]’ released) into the air, and this ⑦(is
= atmosphere ‘대기’
cf) results in ‘~를 야기하다[초래하다]’ contributed / contributes) to climate change.
cf) brings about ‘~를 야기하다[초래하다]’ ⑤ ‘배출하다’라는 뜻의 타동사 release의
cf) results from ‘~에 기인하다’ (x) 목적어가 없으며, 주어 carbon dioxide
cf) is attributed to ‘~에 기인하다’ (x) 가 배출되는 대상이므로, 수동태 is
released가 알맞다.
해석 화석 연료가 탈 때 이산화탄소가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데, 이것은 기후 변화의
⑦ ‘~의 원인이 되다’의 뜻일 때 contribute
원인이 됩니다. 는 자동사이므로 수동태로 쓸 수 없다.
④ 부사절 접속사 When: ‘~할 때’라는 뜻의 시간 부사절 접속사로, 완전한 절 따라서 contributes가 알맞다.
(fossil fuels are burned)을 이끈다.
⑤ 수동태(be동사+p.p.): 주절의 주어 carbon dioxide(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대상
이며, 불가산 명사로 단수이므로, 단수동사 is를 쓴 수동태
is released가 쓰였다.
⑥ 지칭: this는 and 앞의 절에 언급된 내용 전체(화석 연료가 탈 때 이산화탄소가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를 가리킨다.
⑦ contribute to+명사(구)/동명사(구): ‘~의 원인이 되다’라는 뜻으로, 전치사 to의
목적어로 결과를 나타내는 명사 climate change가 쓰였다. ‘~의
원인이 되다’의 의미로 쓰일 때는 자동사이므로 수동태로 쓸 수
없다.
✔contribute: vi. ‘(~의) 원인이 되다; 기여하다; 기부하다’
vt. ~을 기부하다[기증하다]

- 23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 positive ‘긍정적인’ (x)


① ② 내
Climate change has a number of negative effects, including ü기출 포인트 Climate change has a

③ ④ number of negative ①(effect / effects), 정
rising sea levels that threaten many parts of the world.
문장 삽입
including ③(rose / risen / rising) sea 리
cf) endanger ‘위험에 빠뜨리다’ levels that threaten ④(many / much)
cf) fertilize ‘풍요롭게 하다’ (x) parts of the world.
① a number of(많은) 뒤에 복수명사(구)가
해석 기후 변화는 세계의 많은 지역에 위협을 가하는 해수면 상승을 포함하여 많은
와야 하므로, 복수명사 effects가 알맞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③ 문장의 동사로 has가 있으며 여기에 또
① a number of+복수명사(구): a number of는 ‘많은’이라는 뜻으로 복수명사구 다른 동사가 접속사 없이 이어질 수 없
negative effects를 수식하고 있다. 으며, 전치사 including의 목적어 자리에
cf) the number of+복수명사(구): ‘~의 수’ 서 명사구 sea levels를 수식하는 준동사
② 전치사 including: ‘~를 포함하여’라는 뜻으로, 뒤에 목적어로 명사구(rising sea 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흐름상 ‘상승하

levels ~ world)가 온다. 는’의 의미가 되어야 하므로 자동사 rise


(오르다, 상승하다)의 현재분사인 rising이
③ 명사(구)를 수식하는 현재분사: rising은 명사구 sea levels(해수면)를 수식하는
알맞다. 참고로 rise는 자동사이므로 수
현재분사이다.
동의 의미를 가지는 과거분사로는 쓸 수
✔rise는 ‘오르다, 상승하다’라는 뜻의 자동사이므로 목적어를 취하지 않으며, 수
없다.
동의 의미를 가지는 과거분사로도 쓸 수 없다. risen sea levels (x)
④ 복수명사 parts를 수식하므로 many가 알
[참고] rise: vi. ‘오르다, 상승하다, 증가하다’ (rise – rose – risen) 맞다. much는 불가산명사를 수식한다.
raise: vt. ‘올리다, 인상하다, 높이다’ (raise – raised – raised)
ü기출 포인트 Climate change has a
④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threaten many parts of the
number of negative effects, including
world를 이끌어, 명사구 rising sea levels를 선행사로 수식하 rising sea levels ④(that / what / which)
는 관계사절을 이루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which로 바꿔 쓸 ④(threaten / threatens) many parts of
수 있다. the world.
→ rising sea levels which threaten many parts of the world ④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을 이끌어, 명
✔수일치: 주격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의 동사는 선행사에 수를 일치시키므로, 사구 rising sea levels를 수식하는 관계
복수명사구인 선행사 rising sea levels에 수일치 시킨 복수동사 사절을 이루므로, 주격 관계대명사 that
threaten이 쓰였다. 또는 which가 알맞다.
✔many+복수명사: many는 ‘많은’이라는 뜻으로 복수명사 parts를 수식한다. 주격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의 동사는
선행사에 수를 일치시키므로, 복수명사
cf) much+불가산명사: ‘많은 ~’
구인 선행사 rising sea levels에 수일치
시킨 복수동사 threaten이 알맞다.

Point Check

[본문5]의 중심 내용: 글의 목적 및 주제 추론 유형 출제
1) 목적: to explain how switching off the lights helps
(불을 끄는 일이 호랑이 보호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설명하기 위해)
2) 주제:
⦁How can turning off the lights help save tigers?
(불을 끄는 일이 어떻게 호랑이를 살리는 데 도움이 되는가?)
⦁the reasons we should turn off the lights to protect tigers
(호랑이를 보호하기 위해 우리가 불을 꺼야 하는 이유)
➜ 앞서 글쓴이는 우리가 호랑이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로 호랑이의 멸종이 생태
계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했습니다. 이어서 [본문5]에서는 글의 맨 처음에
언급했던 ‘불을 끄는 일’이 호랑이를 보호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설명
하고 있습니다. [본문5]의 주제 및 핵심 내용을 잘 정리해 두세요.

- 24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내 One of ①
these places, ②
called the Sundarbans, ③
is an area on ü기출 포인트 One of these places, ②(calling

정 / called) the Sundarbans, is an area on

리 the coast of Bangladesh inhabited by a large number of the coast of Bangladesh ④(inhabiting /
= populated ‘밀집된’ inhabited) by a large number of tigers.
tigers. cf) inhibited ‘억제된, 방해된’ (x) ② 문장의 주어(One of these places)와 동
문장 삽입 사(is) 사이에 콤마(,)로 삽입되어 있으므
로, 흐름상 주어 One of these places를
해석 이러한 지역 중 한 곳은 순다르반스(Sundarbans)라는, 다수의 호랑이가 서식 부연 설명하는 분사구의 형태가 되어야
하는 방글라데시의 해안에 있는 지역입니다. 한다. 명사구 One of these places가 불
리는 대상이므로, 수동의 의미를 가지는
① 지칭: these places는 앞 문장에 언급된 ‘해수면 상승의 영향으로 위협받는 세
called가 알맞다. 참고로, 뒤에 이어지는
계의 많은 지역들’을 가리킨다.
명사구 the Sundarbans는 call A B에서
✔these places = many parts of the world threatened with rising sea levels 목적격보어(B)에 해당하며, call이 과거분
② 과거분사구: 이중 콤마(,) 사이에 삽입된 called the Sundarbans는 주어 One of 사 called로 바뀐 뒤 뒤에 그대로 위치
these places를 부연 설명하는 과거분사구이다. 한 것으로, called의 목적어가 아님에 유
✔One of these places가 불리는 대상이므로, 수동의 의미를 가지는 과거분사 의한다.
called가 쓰였으며, call A B(A를 B라고 부르다)에서 목적격보어(B)에 해당하 ④ 문장의 동사로 is가 있으며 여기에 접속
는 the Sundarbans가 이어진다. 사 없이 또 다른 동사가 연결될 수 없
✔과거분사 called 앞에 ‘주격 관계대명사+be동사’가 생략된 것으로도 볼 수 있 으므로, 흐름상 앞의 명사구 an area

다. 콤마(,) 사이에 계속적 용법으로 쓰이므로, 주격 관계대명사로 that은 쓸 on the coast of Bangladesh를 수식하
는 분사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수식받
수 없다.
는 명사구 an area on the coast of
→ One of these places, (which is) called the Sundarbans, ~
Bangladesh(방글라데시의 해안에 있는
③ 수일치: ‘~들 중 하나’라는 뜻의 ‘One of+복수명사(구)’가 주어로 쓰일 때, One
지역)가 타동사 inhabit(~에 거주하다, ~
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키므로 단수동사 is가 쓰였다. 에 서식하다)의 대상이며, 뒤에 목적어
④ 명사(구)를 수식하는 과거분사(구): inhabited 이하는 명사구 an area on the 없이 ‘by+행위자’ 형태의 구가 이어지므
coast of Bangladesh를 수식하는 과거분사 로 수동의 의미를 가지는 과거분사
구이다. inhabited가 알맞다.
✔inhabit는 ‘~에 거주하다, ~에 서식하다’라는 뜻의 타동사로, 거주지[서식지]를 ü기출 포인트 One of these places, called
나타내는 명사(구)를 목적어로 취한다. 수식받는 명사구 an area on the the Sundarbans, ③(is / are) an area on
coast of Bangladesh(방글라데시의 해안에 있는 지역)가 inhabit의 대상이므 the coast of Bangladesh which ④(is / are)
로, 수동의 의미를 가지는 과거분사 inhabited가 쓰였으며, 뒤에 서식하는 주 inhabited by a large number of tigers.
체인 ‘by+행위자(a large number of tigers)’ 형태의 구가 이어진다. ③ 문장의 주어는 One of these places로,
✔과거분사 inhabited 앞에 ‘주격 관계대명사+be동사’가 생략된 것으로도 볼 수 ‘~들 중 하나’라는 뜻의 ‘One of+복수
있다. 이때 주격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의 동사는 선행사에 수를 일치시키 명사(구)’가 주어로 쓰일 때 One에 동사
의 수를 일치시키므로, 단수동사 is가
므로, 선행사의 핵인 an area에 수일치 시킨 단수동사 is를 쓴다.
알맞다.
→ an area on the coast of Bangladesh (which[that] is) inhabited by ~
④ 앞의 which는 명사구 an area on the
✔a large number of+복수명사(구): a large number of는 ‘다수의 ~’라는 뜻으
coast of Bangladesh를 선행사로 하는
로 복수명사 tigers를 수식한다.
주격 관계대명사이다. 주격 관계대명사
가 이끄는 절의 동사는 선행사에 수를
일치시키므로, 선행사의 핵인 an area에
수일치 시킨 단수동사 is가 알맞다.

- 25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파괴된’ destroyed =
문장 삽입
① ② ③ 내
If Earth’s oceans continue to rise, this area could be wiped out ü기출 포인트 If Earth’s oceans ①(continue

┗ Sundarbans / will continue) to rise, this area could
④ ⑤ ⑥ ⑦ 정
and its tiger population could be reduced by as much as ③(wipe out / be wiped out) and its tiger 리
┗ Sundarbans' = decreased ‘감소된’ population could be reduced by as
96%. cf) induced ‘유도된’ (x) ⑦(many / much) as 96%.
① If는 ‘만약 ~라면’의 의미로 조건을 나타
해석 만약 지구의 해수가 계속 상승한다면, 이 지역은 완전히 파괴될 수 있고 그곳 내는 부사절 접속사로 쓰였으며, 조건절
의 호랑이 개체 수는 96%만큼이나 감소할 수 있습니다. 에서는 미래를 현재시제로 나타내므로
현재형 동사 continue가 알맞다.
① 조건절의 시제: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 접속사 If(만약 ~라면)가 이끄는 절에서
③ wipe out은 ‘~을 완전히 파괴하다, ~을
는 미래시제를 현재시제로 나타내므로, 현재형 동사 continue가
없애버리다’를 뜻하며, 주절의 주어 this
쓰였다. If Earth's oceans will continue ~ (x)
area(이 지역)가 파괴되는 대상이므로
② 명사적 용법의 to부정사: If절의 동사 continue의 목적어로 to부정사인 to rise 조동사 could 뒤에 수동태가 이어져야
가 쓰였다. continue는 목적어로 to부정사와 동명사 한다. 따라서 be wiped out이 알맞다.
를 모두 취하는 동사이므로, to rise는 rising으로 바 ⑦ as ~ as 뒤에 비율을 나타내는 96%가
꿔 쓸 수 있다. = continue rising 쓰였으며, percent(%)는 불가산명사이므
③ 조동사+be p.p.: 주절의 주어 this area(이 지역)가 파괴되는 대상이므로, 가능 로 as much as가 수식해야 한다. 따라
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could 뒤에 수동태로 동사원형 be와 서 much가 알맞다. 참고로, as many as
과거분사구 wiped out이 쓰였다. 는 가산명사의 복수형을 수식한다.

✔wipe out: ‘~을 완전히 파괴하다, ~을 없애 버리다’


④ 지칭: 앞의 단수명사 Sundarbans를 가리키므로 단수형 소유격 its가 tiger
population을 수식한다.
⑤ 조동사+be p.p.: 접속사 and 뒤에 이어지는 절의 주어 its tiger population(그
곳의 호랑이 개체 수)이 감소되는 대상이므로, 조동사 could
뒤에 수동태 be reduced가 쓰였다.
⑥ 전치사 by: ‘~만큼’이라는 뜻의 전치사로 by가 쓰여 뒤에 양·정도를 나타내는
명사구 as much as 96%가 목적어로 이어진다. 수동태에 이어지는
by가 아님에 유의한다.
⑦ as much as+불가산명사: ‘~만큼 많은’
✔비율을 나타내는 percent(%)는 불가산명사이므로, as much as가 수식한다.
cf) as many as+가산명사의 복수형: ‘~만큼 많은’

(x) ‘가속화하다’ accelerate ↔


(x) ‘속도를 높이다’ speed up ↔
‘속도를 줄이다’ decelerate =
cf) By using less electricity
‘전기를 덜 사용함으로써’ ‘지연시키다’ hold up =
= By saving energy ‘에너지를 아낌으로써’ ‘지연시키다’ delay =

⑧ ⑨ ⑩
By conserving energy, however, we can slow climate ü기출 포인트 By ⑧(conserve / conserving)
⑪ ⑩ energy, however, we can ⑩(slow / slowly)
change, and this will slow the rise of the oceans.
climate change, and this will slow the
빈칸 추론
rise of the oceans.
해석 하지만 에너지를 아낌으로써 우리는 기후 변화를 늦출 수 있고, 이것은 해수의 ⑧ 전치사 by의 목적어 자리이므로, ‘~함으
로써’라는 뜻의 표현 ‘By -ing’를 이루는
상승을 늦출 것입니다.
동명사 conserving이 알맞다.
⑧ By -ing: ‘~함으로써’라는 뜻으로, 전치사 by의 목적어로 동명사구 conserving
⑩ 조동사 can에 이어지는 동사원형 자리
energy가 쓰였다. 이므로, ‘속도를 줄이다, 둔화시키다’라
⑨ 접속부사 however: ‘그러나, 하지만’의 뜻으로, 해수면 상승의 부정적 영향을 언 는 뜻의 동사 slow가 알맞다.
급하는 앞 내용과 반대되는 흐름으로, 기후 변화와 해수면
의 상승을 늦출 수 있다는 긍정적인 내용을 연결한다.
⑩ 동사 slow: ‘속도를 줄이다, 둔화시키다’라는 뜻의 타동사로 쓰여, 목적어로 명사
구 climate change와 the rise of the oceans를 각각 취하고 있다.
✔slow: adj. ‘느린’ adv. ‘느리게’ vi. ‘천천히 가다’ vt. ‘속도를 줄이다, 둔화시키다’
⑪ 지칭: this는 and 앞의 절에 언급된 내용인 ‘에너지를 아낌으로써 기후 변화를
늦추는 것’을 가리킨다.

- 26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내 So ①
keep switching off the lights ②
whenever you're the last ü기출 포인트 So keep ①(switch / switching)

정 ③ off the lights ②(whoever / whenever)
person to leave a room!
리 서술형 대비 & 빈칸 추론
you're the last person ③(leaves / to
leave) a room!
해석 그러므로 당신이 방을 나가는 마지막 사람일 때마다 계속 불을 끄도록 하십시오! ① 뒤에 부사 off가 이어지므로 ‘~의 스위치
를 끄다’라는 뜻의 구동사 switch off에
① keep -ing: ‘계속 ~하다’
쓰인 동사 switch임을 알 수 있다. 동사
✔명령문: 동사원형 keep으로 시작하는 명령문으로, 주어(you)가 생략되어 있다. keep 뒤에 또 다른 동사가 접속사 없이
✔switch off ~: ‘~의 스위치를 끄다’라는 뜻의 구동사로, 목적어는 동사(switch) 연결될 수 없으므로, ‘계속 ~하다’라는
와 부사(off)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뜻의 ‘keep -ing’를 이루는 switching이
→ ~ keep switching the lights off whenever ~ 알맞다.
목적어 ② 완전한 절(you're ~ room)을 이끌고 있
② 복합관계부사 whenever: ‘~할 때는 언제나, ~할 때마다’의 의미로 완전한 절 으므로 복합관계부사 whenever(~할 때
(you're ~ room)을 이끄는 접속사 역할을 하고 있다. 는 언제나, ~할 때마다)가 알맞다. 참고
✔whenever는 (at) any time (when), 또는 every time (that)으로 바꿔 쓸 수 있다. 로, 복합관계대명사 whoever는 주어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을 이끈다.
= ~ (at) any time (when) you're the last person to leave a room!
③ 완전한 절 you're the last person에 접
= ~ every time (that) you're the last person to leave a room!
속사 없이 동사가 이어질 수 없으며, 흐
[참고] 복합관계부사(whenever, wherever 등)는 완전한 절을 이끄는 반면, 복합
름상 ‘~할, ~하는’의 의미로 명사구 the
관계대명사(whoever, whatever, whichever 등)는 주어, 보어, 목적어 등
last person을 수식해야 하므로 형용사적
문장 구성 성분인 명사(구)가 없는 불완전한 절을 이끈다. (복합관계대명
용법의 to부정사인 to leave가 알맞다.
사가 절 안에서 주어나 보어, 또는 목적어의 역할을 함)
e.g. Whoever wants this pen may have it.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이 펜을 갖고 싶은 사람은 누구든지 이것을 가질 수 있어.)
③ 형용사적 용법의 to부정사: to leave a room은 명사구 the last person을 수식
하는 형용사적 용법의 to부정사구이다.
✔the last/first person+to부정사: ‘~할[~하는] 마지막/첫 번째 사람’

Point Check

인과 관계(cause-and-effect relationship) 파악하기 Point Check


: 순서 배열, 문장 삽입, 본문 재구성 유형 출제 문제점&해결책 파악하기

Cause Fossil fuels are burned to generate electricity. 1) 문제점


(원인)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화석 연료가 연소된다.) :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의 상승과,
Carbon dioxide is released into the air. 이에 따른 호랑이 서식지의 파괴
(이산화탄소가 공기 중으로 배출된다.) 2) 해결책(Solution)
→ Climate change speeds up. : 방을 나갈 때 불을 끄는 등 에너지
(기후 변화가 가속화된다.) 를 아낌으로써 기후 변화 및 해수
Effect
→ Sea levels rise. 면의 상승을 늦출 수 있다.
(결과)
(해수면이 상승한다.) ➜ 세부정보 파악, 내용 일치·불일치 파
→ The habitats of tigers are destroyed and tiger 악 유형 출제

population is reduced.
(호랑이의 서식지가 파괴되고, 호랑이 개체 수가 감소한다.)

➜ 우리는 사용하는 전기의 절반 이상은 화석 연료를 태움으로써 만들어지며, 이


과정에서 많은 이산화탄소가 공기 중으로 배출됩니다. 이것은 기후 변화의 원
인이 되며, 기후 변화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면 호랑이의 서식지가 파괴됩니
다. 이에 따라 호랑이의 개체 수는 감소하게 되고, 우산종인 호랑이가 사라지
게 되면 생태계 전체가 위협을 받게 됩니다. 인과관계에 따른 글의 흐름을 정
확히 파악하고 정리해 두세요.

- 27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Lesson 3 We Are All Connected 내



본문 6 - TURN OFF THE LIGHTS AND SAVE A TIGER 정

① ②
You can also protect tigers when shopping. ü기출 포인트 You can also protect tigers
문장 삽입 when ②(shop / shopping).
② 부사절 접속사 when은 주어와 동사가
해석 당신은 또한 장을 볼 때도 호랑이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있는 완전한 절을 이끌어야 하나, 뒤에
① 부사 also: 호랑이를 보호하는 첫 번째 방법(불을 끄는 것)에 이어, 또 다른 방 이어지는 주어가 없으므로 접속사를 남
법이 also(또한)로 연결된다. 겨 둔 분사구문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② when -ing: ‘~할 때’라는 뜻으로, 시간을 나타내는 접속사 when 뒤에 ‘주어+be 따라서 현재분사 shopping이 알맞다.
동사’가 생략되고 분사만 남은 형태로 보거나, 접속사 when을 남긴 ü기출 포인트 You can also protect tigers
분사구문으로 볼 수 있다. when you ②(shop / shopping).
1. 부사절 축약으로 접속사 when 뒤에 ‘주어+be동사’가 생략된 경우 ② 부사절 접속사 when은 완전한 절을 이
: when, while 등 시간을 나타내는 접속사가 쓰인 부사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 끌어야 하므로 주어 you에 대한 동사로
어와 같고, 동사가 be동사일 때, ‘주어+be동사’를 생략할 수 있다. shop(물건을 사다, 쇼핑하다)이 알맞다.

→ ~ when (you are) shopping


2. 접속사 when을 남긴 분사구문으로 볼 경우
: 부사절의 주어와 주절의 주어가 같을 때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남은 동
사를 현재분사로 바꿔 분사구문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분사 앞에 접속사를 남길 수 있다.
[부사절] ~ when you shop
→ ~ (when) shopping
✔shop: n. ‘가게, 상점’ vi. ‘물건을 사다, 쇼핑하다’

③ ④
Many popular products, including chocolate, instant noodles, ü기출 포인트 Many popular products,


including chocolate, instant noodles, and
and soap, are made with palm oil. soap, ⑤(make / made / is made / are
made) with palm oil.
해석 초콜릿, 라면, 그리고 비누를 포함해서 많은 대중적인 제품들은 팜유로 만들어
⑤ 문장의 주어 Many popular products와,
집니다.
주어를 부연 설명하는 삽입구 ‘including
③ Many+복수명사(구): Many는 ‘많은’의 뜻으로 복수명사구 popular products를 ~ soap’ 뒤에 이어지는 문장의 동사 자
수식하고 있다. 리이다. 뒤에 목적어 없이 전치사 with
cf) much+불가산명사 가 이어지며, 주어 Many popular
④ 전치사 including: ‘~를 포함하여’라는 뜻으로, 목적어로 명사(구) chocolate, products(많은 대중적인 제품들)가 만들
instant noodles, soap가 A, B, and C의 병렬 구조로 연결 어지는 대상이므로, 수동태(be동사+p.p)

되어 있다. 를 써야 한다. 또한 주어 May popular


products가 복수명사구이므로 이에 수
✔주어(Many popular products)와 동사(are made) 사이에 주어를 부연 설명하
일치 시킨 복수동사 are를 쓴 수동태
는 전치사구 ‘including ~ soap’가 콤마(,)로 삽입되어 있다.
are made가 알맞다.
⑤ A be made with B(재료): ‘A는 B(재료)로 만들어지다’
✔주어 Many popular products(많은 대중적인 제품들)가 만들어지는 대상이며,
복수명사구이므로, 복수동사 are를 쓴 수동 표현 are made with가 쓰였다.
cf) make A with B(재료): ‘A를 B(재료)로 만들다’

- 28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 Fortunately ‘다행스럽게도’ (x)


내 ↔ Luckily ‘다행히도’ (x)
용 cf) Sadly ‘애석하게도, 불행히도’

= Unluckily ‘불행히도’

① ② ③
Unfortunately, forests where tigers live are being destroyed ü기출 포인트 Unfortunately, forests ②(in
④ which / which / where) tigers live ③(is /
to build more and more palm oil plantations.
are) ③(destroying / being destroyed) to
서술형 대비 & 빈칸 추론
build more and more palm oil plantations.
해석 불행하게도, 호랑이들이 사는 숲이 점점 더 많은 팜유 농장을 짓기 위해 파괴 ② 자동사(live)가 쓰인 완전한 절 tigers
live를 이끌어,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
되고 있습니다.
forests(숲)를 수식하는 관계사절을 이
① 부사 Unfortunately: ‘불행하게도’라는 뜻으로, 많은 대중적인 제품들이 팜유로 루고 있으므로, ‘전치사+관계대명사’ 형
만들어진다는 일반적인 내용 뒤에 팜유 농장을 짓기 위해 태의 in which 또는 관계부사 where가
호랑이들이 사는 숲이 파괴되고 있다는 부정적인 내용을 알맞다. 참고로, 관계대명사 which는 불
연결한다. 완전한 절을 이끈다.
② 관계부사 where: 완전한 절(tigers live)을 이끌어, 장소를 나타내는 선행사 ③ 주어의 핵인 forests가 복수명사이므로, 이
forests(숲)를 수식하는 관계부사절을 이룬다. 이때 live는 ‘살 에 수일치 시킨 복수동사 are가 알맞다.
다, 거주하다’라는 뜻의 자동사로 쓰였다. destroy(파괴하다)는 타동사이므로 명사
(구)를 목적어로 취해야 하나, 뒤에 이어
✔관계부사는 ‘전치사+관계대명사’로 바꿔 쓸 수 있다. 이때 전치사는 선행사에
지는 목적어가 없으며, 주어 forests(숲)
어울리는 적절한 것을 쓴다. 또한, 전치사는 관계사절 맨 끝으로 이동할 수
가 파괴되는 대상이므로 수동태를 써야
있다. 단, 전치사 뒤에 관계대명사 that은 쓸 수 없다.
한다. 따라서 진행형 수동태(be동사
→ ~ forests in which tigers live +being p.p.)를 이루는 being destroyed
→ ~ forests which[that] tigers live in 가 알맞다.
③ be동사 being p.p.: 관계사절의 수식을 받는 주어 forests가 파괴되는 대상이자
현재 파괴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기 위해, 현재 진행(be동사
+-ing)과 수동태(be동사+p.p.)가 결합된 현재 진행 수동태
are being destroyed(파괴 되고 있는 중이다)가 쓰였다. 이
때, 주어 forests가 복수명사이므로 be동사 자리에 복수동
사 are가 쓰였다.
④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 to build 이하는 목적(~하기 위해서)을 나타내는 부사
적 용법의 to부정사구이다.
✔비교급 and 비교급: ‘점점 더 ~한’
→ more and more는 ‘점점 더 많은’의 의미로 명사구 palm oil plantations
를 수식하고 있다.

‘환경 친화적인’
cf) environmentally friendly
⑤ ⑥
Some palm oil, however, is produced in a more sustainable ü기출 포인트 Some palm oil, however,
cf) for example ‘예를 들어’ (x) ↔ less ‘덜’ (x) ⑥(produces / is produced) in a more
way.
문장 삽입 sustainable way.
⑥ 뒤에 이어지는 목적어가 없고, 주어
해석 하지만 어떤 팜유들은 (환경 파괴 없이) 보다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생산됩니다. Some palm oil이 생산되는 대상이므
로, 수동태 is produced가 알맞다.
⑤ 접속부사 however: ‘그러나, 하지만’의 뜻으로 앞 내용(팜유 농장을 짓기 위해
호랑이들이 사는 숲이 파괴되고 있다는 것)과 상반되는 내 ü기출 포인트 Some palm oil, however, ⑥(is

용(어떤 팜유들은 (환경 파괴 없이) 보다 지속 가능한 방식 / are) produced in a more sustainable way.

으로 생산된다는 것)을 연결한다. ⑥ 주어 Some palm oil이 불가산명사


palm oil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수동태
⑥ 수동태(be동사+p.p.): 주어 Some palm oil이 생산되는 대상이며, palm oil은 불
(be동사+p.p.)를 이루는 be동사로 단수
가산명사이므로, 단수동사 is를 사용한 수동태 is produced
동사 is가 알맞다.
가 문장의 동사로 쓰였다.
[참고] some은 불가산명사나 복수명사를 수식하며, 수식받는 명사 앞에 관사,
소유격 등의 한정사가 올 때는 some of를 쓴다. 또한, ‘some (of)+명사
(구)’가 문장의 주어로 쓰이면, some (of) 뒤의 명사(구)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킨다

- 29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 environmentally unfriendly ‘환경 친화적이지 않은’ (x) ü기출 포인트 Products ①(that / what /
① 내
Products that use this environmentally friendly palm oil which) use this environmentally friendly

palm oil usually have a special mark on
usually ②
have a special mark on the label. 정
the label. 리
①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use ~ oil’을
해석 이러한 환경친화적인 팜유를 사용한 제품들은 보통 상표에 특별한 표시가 되 이끌어, 명사 Products를 선행사로 수식
어 있습니다. 하는 관계사절을 이루어야 하므로, 주격

①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use this environmentally 관계대명사 that 또는 which가 알맞다.

friendly palm oil을 이끌어, 명사 Products를 선행사로 수식 ü기출 포인트 Products that ①(use /
하는 관계사절을 이루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which로 바꿔 uses) this environmentally friendly palm
쓸 수 있다. oil usually ②(have / has / having) a
special mark on the label.
→ Products which use this environmentally friendly palm oil
①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이 이끄는 절의 동
✔수일치: 주격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의 동사는 선행사에 수를 일치시키므로,
사로, 복수명사인 선행사 Products에 수
복수명사 Products에 수일치 시킨 복수동사 use가 쓰였다.
일치 시킨 복수동사 use가 알맞다.
② 수일치: 주어가 관계사절(that ~ oil)의 수식을 받고 있는 복수명사 Products이
② 문장의 본동사 자리로, 주어가 관계사절
므로, 문장의 동사로 복수동사 have가 쓰였다.
(that ~ oil)의 수식을 받는 복수명사
Products이므로, 이에 수일치 시킨 복수
동사 have가 알맞다.

③ ④
Look for it the next time you go shopping! ü기출 포인트 Look for it the next time
you ④(go / going) shopping!
해석 다음에 장을 보러 갈 때 그것을 찾아보세요!
④ the next time 뒤에는 주어와 동사가 있
③ 지칭: it은 앞 문장의 a special mark (on the label), 즉 ‘환경 친화적인 팜유를 는 완전한 절이 와야 한다. 따라서 the
사용한 제품의 상표에 붙어 있는 특별한 표시’를 가리킨다. next time이 이끄는 절의 주어 you에
④ the next time+완전한 절: ‘다음에 ~할 때’ 대한 동사로 go가 알맞다.


GET INVOLVED
참여하세요
⑤ get involved: ‘관여/참여하게 되다’
cf) involve: ‘관여시키다, 참여시키다’

ü기출 포인트 There ⑥(is / are) many


⑥ ⑦
There are many other things you can do to protect tigers other things ⑦(that / what) you can do
⑦(protect / to protect / to be protected)
and other endangered species. tigers and other endangered species.
cf) dangerous ‘위험한’ (x) ⑥ 유도부사 There에 의해 도치된 주어의
핵인 many other things가 복수명사구
해석 호랑이와 다른 멸종 위기의 종들을 보호하기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다른 많
이므로, 이에 수일치 시킨 복수동사 are
은 일이 있습니다. 가 알맞다.
⑥ 수일치: 유도부사 There에 의해 도치된 주어의 핵인 many other things가 복수 ⑦ 동사(do)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명사구이므로, 복수동사 are가 쓰였다. (you can do ~ species)을 이끌어, 명사
⑦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동사(do)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you can do 구 many other things를 수식하는 관계

to protect tigers and other endangered species)이 명사구 many 사절을 이루는 자리이므로, 주격 관계대
명사 that이 알맞다.
other things를 선행사로 수식하고 있으며, things와 you 사이에 목적격
앞의 동사 do에 또 다른 동사가 접속사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생략되었다.
없이 연결될 수 없으므로 준동사의 형태
→ many other things (which[that]) you can do ~
가 되어야 하며, 흐름상 ‘보호하기 위해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 to protect 이하는 목적(~하기 위해서)을 나타내는 서’라는 의미가 되어야 하므로, 목적을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구이다.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 to
✔병렬구조: protect의 목적어로 명사 tigers와 명사구 other endangered protect가 알맞다. 뒤에 목적어로 명사구
species가 등위접속사 and에 의해 병렬 연결되어 있다. (tigers ~ species)가 이어지므로 수동형
to부정사(to be p.p.)로는 쓸 수 없다.

- 30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① ①
You could volunteer at a nonprofit organization or share ü기출 포인트 You could volunteer at a
내 nonprofit organization or ①(share / to
용 important information on social networking sites.
share / sharing) important information on

리 해석 당신은 비영리 단체에서 봉사 활동을 하거나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SNS)에 중 social networking sites.
요한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① 조동사 could에 이어지는 동사원형
volunteer(봉사하다)와 등위접속사 or로
① 병렬구조: 조동사 could에 이어지는 동사원형 volunteer와 share가 등위접속사
병렬 연결되므로 동사원형 share(~를
or에 의해 병렬 연결되어 있다.
공유하다)가 알맞다.
✔volunteer: n. ‘자원봉사, 자원봉사자’
vi. ‘자원하다, 봉사하다’ vt. ‘~를 자진하여 제공하다’
✔share: n. ‘몫, 지분’ vt. ‘~를 나눠 갖다; ~를 나눠 주다; ~를 공유하다’

┏ your actions
② ③ ④
However small your actions may seem, they can help make ü기출 포인트 ②(How / However / Whatever)
small your actions may seem, ③(it /
a big difference. they) can help ④(make / making) a big
서술형 대비 & 빈칸 추론
cf) great ‘엄청난, 위대한’ difference.
② 바로 뒤에 주어와 동사가 있는 절이 이
해석 당신의 활동이 아무리 사소한 것처럼 보일지라도, 그것들은 큰 변화를 만드는
어지고 있으며, 콤마(,) 뒤에도 완전한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절(they can ~)이 이어지고 있으므로,
② However+형용사/부사+주어+동사: ‘아무리 ~할지라도, 아무리 ~하더라도’라는 콤마 앞부분은 부사절이 되어야 한다.
뜻으로, 문장 안에서 양보 부사절의 역할을 또한 뒤의 형용사 small을 수식하는 자
한다. 리이므로, ’아무리 ~할지라도, 아무리 ~

✔복합관계부사 However는 No matter how로 바꿔 쓸 수 있다. 하더라도‘라는 뜻의 ’However+형용사/


부사+주어+동사‘의 구조를 가지는 양보
→ No matter how small your actions may seem, ~
부사절을 이루는 복합관계부사 However
cf) 양보부사절을 이루는 복합관계부사 however과 달리, how절은 문장 안에서
가 알맞다. 참고로, How절은 명사절로
명사절의 역할을 하여 주어나 목적어로 쓰인다.
쓰이므로 알맞지 않으며, Whatever는
e.g. It depends on how you think. (전치사의 목적어 역할) 형용사(small)를 수식할 수 없기에 알맞
✔seem+형용사: ‘~처럼 보이다, ~인 것 같다’ 지 않다.
→ 복합관계부사 However 뒤에 2형식 동사 seem의 보어 역할을 하는 형용 ③ 흐름상 앞의 복수명사구 your actions를
사 small이 쓰였다. 가리키므로, 복수 대명사인 they가 알맞다.
[참고] 복합관계형용사 whatever/whichever는 명사를 수식하여 ‘whatever/whichever+ ④ help 뒤에는 동사원형이나 to부정사가 올
명사+주어+동사’의 형태로 쓰인다. 수 있으므로, 동사원형 make가 알맞다.
e.g. Whatever problems you have, you can always ask me for help.
(네가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던지, 너는 언제나 나에게 도움을 요
청해도 돼.)
③ 지칭: 앞의 your actions를 가리키는 대명사로 복수형인 they가 쓰였다.
④ help+동사원형/to부정사: ‘~하는 것을 돕다’의 의미로, help 뒤에 목적어가 생
략되고 동사원형이나 to부정사가 바로 올 수 있다.
여기서는 동사원형 make가 쓰였으며, to make로 바
꿔 쓸 수 있다.
= ~ help (to) make a big difference
✔make a difference: ‘차이[변화]를 만들다, 효과를 내다, 영향을 미치다’

⑤ ⑥ ü기출 포인트 ⑤(Most important / Most


Most importantly, you must remember that we all share the
importantly), you must remember ⑥(that
same planet. / what) we all share the same planet.
빈칸 추론
⑤ 콤마(,) 뒤에 완전한 절(you must ~)이
이어지므로,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자리
해석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 모두가 같은 지구를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사의 최상급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표현인 Most importantly가 알맞다.
⑤ Most importantly: ‘가장 중요한 것은’이라는 뜻으로 문장 전체를 수식한다. ⑥ 동사 remember의 목적어 자리에서 완
⑥ 명사절 접속사 that: remember의 목적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we all share the 전한 절을 이끌고 있으므로 명사절 접
same planet)을 이끈다. 속사 that이 알맞다.

- 31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 appears ‘나타나다, 출현하다’ (x)


cf) thrives ‘번창하다, 잘 자라다’ (x)

cf) becomes extinct ‘멸종되다’ 용
① ① ②
If a single species disappears, every other living creature, ü기출 포인트 If a single species ①(will 정
③ ④ disappear / disappear / disappears), every 리
including human beings, could be affected.
other living ②(creature / creatures),
= be influenced ‘영향을 받다’
including human beings, could be
cf) be in danger ‘위험에 빠지다’
affected.
①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 접속사 If(만약
해석 만약 하나의 종이 사라지면, 인간을 포함한 다른 모든 살아 있는 생명체가 영
~라면)가 이끄는 조건절에서는 미래를
향을 받을 것입니다.
현재시제로 나타내며, If절의 주어가 단
① 조건절의 시제&수일치: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 접속사 If(만약 ~라면)가 이끄 수명사구인 a single species이므로, 현
는 절에서는 미래를 현재시제로 나타내며, If절의 주어가 단수명사구 재형 단수동사 disappears가 알맞다.
인 a single species이므로 현재형 단수동사 disappears가 쓰였다. ② every other(다른 모든) 뒤에는 단수명사
If a single species will disappear ~ (x) (구)가 와야 하므로, creature가 알맞다.
② every other+단수명사(구): every other는 ‘다른 모든’의 뜻으로 쓰여 living ü기출 포인트 If a single species disappears,
creature를 수식하고 있다. every가 ‘모든‘의 의미로 every other living creature, ③(include /
명사를 수식할 때는 항상 단수명사를 수식하므로, including) human beings, could ④(affect
단수명사구 living creature가 쓰였다. / be affected).
[참고] ‘every other+단수명사(구)’는 '~를 하나 걸러[두 …마다 한 번씩]'의 의 ③ 주절의 주어(every other living creature)

미로도 사용 가능하다. 와 동사(could~) 사이에 콤마(,)로 삽입


되어 있으므로 human beings를 목적어
e.g. every other week(격주로) / every other line(두 줄마다 한번씩)
로 취하여 전치사구를 이루는 전치사
✔명사를 수식하는 현재분사: living은 ‘살아 있는’의 뜻으로 명사 creature(생명
including(~를 포함하여)이 알맞다. 한
체)를 수식하는 현재분사형 형용사이다. ‘살다’의
문장 안에서 두 개의 동사가 접속사 없
뜻일 때 live는 자동사이므로 수동의 의미를 가지 이 연결될 수 없으므로 동사 include(~
는 과거분사로는 쓸 수 없다. 를 포함하다)는 쓸 수 없다.
cf) 과거분사형 형용사 lived: ‘생명이 ~한’의 뜻으로, 보통 시간의 길이를 나 ④ 주어 every other living creature가 영향
타내는 표현과 결합하여 복합어를 이룬다. 을 받는 대상이므로, 가능성을 나타내는
e.g. long-lived (장수하는) 조동사 could 뒤에 수동태가 이어져야
③ 전치사 including: ‘~를 포함하여’라는 뜻으로, 목적어로 명사구 human beings 한다. 따라서 be affected가 알맞다.
가 쓰였다. ‘주절의 주어와 동사 사이에 이중 콤마(,)로 삽입
된 전치사구 including human beings는 주어인 every other
creature를 부연 설명한다.
④ 조동사+be p.p.: 주어 every other living creature가 영향을 받는 대상이므로,
앞으로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could 뒤에 수동태로 동
사원형 be와 과거분사 affected가 쓰였다.

- 32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3

Point Check Point Check



용 글의 구조 및 각 부분의 중심 내용: 주제·제목 추론 유형 출제 멸종 위기의 종들을 구하기 위해 일상생
정 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
리 도입부 Tigers in Human History and Culture
1) 에너지 절약
[본문1] (인간의 역사와 문화 속 호랑이)
e.g. 마지막으로 방을 나갈 때 불끄기
Tigers: Once Flourished but Currently Going Extinct
2) 환경 친화적인 팜유를 사용한 제품
(한때 번성했으나 현재 멸종되고 있는 호랑이)
사용하기
문제 제기 Why Do We Need to Protect Wild Tigers?
(우리는 왜 야생 호랑이를 보호해야 하는가?) 3) 비영리 단체에서 봉사활동하기
[본문2~4]
Tigers as an "umbrella Species“ 4)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SNS)에 (멸종
('우산종'으로서의 호랑이) 위기의 종들을 보호하는 것과 관련
Switching Off the Lights To Save Tigers! 된) 중요한 정보 공유하기

해결방안
(호랑이를 보호하기 위해 불을 끄세요!) ➜ 세부정보 서술형 유형 출제
What Else Can We Do to Protect Tigers and Other
제시
Endangered Species?
[본문5~6] (호랑이와 다른 멸종 위기의 종들을 보호하기 위해 우리는
또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글은 야생 호랑이의 멸종 위기 문제를 다룬 후, 호랑이를 보호해야 할 필요성과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부분의 주제 및 중심내용
을 기억해두세요!

- 33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내 <우리나라 문화유산의 수호자>



Lesson 4 Build a Better World 일제 강점기 시대에 자신의 재산을 바쳐
정 본문 1 - A Protector of Our National Heritage 우리 문화유산을 지킨 간송 전형필의
리 헌신과 업적

동격

Yunju, a high school student, went to a Korean art exhibition.
해석 고등학생인 윤주는 한국 미술 전시회에 갔었다.
① 동격: 콤마(,) 사이에 삽입된 a high school student는 주어 Yunju를 부연 설명
하는 동격의 어구이다.
Yunju = a high school student


She wrote a report about her experience to share with her ü기출 포인트 She wrote a report about
her experience ②(share / to share) with
class.
her class.
해석 그녀는 반 친구들과 공유하기 위해 그녀의 경험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② 동사 wrote가 쓰인 완전한 절에 접속사
없이 또 다른 동사가 연결될 수 없으므
②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 to share 이하는 ‘공유하기 위해’라는 의미로 목적(~하
로 준동사의 형태가 되어야 하며, 흐름
기 위해서)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구이다.
상 ‘공유하기 위해’라는 의미로 연결되
[다른 분석] 형용사적 용법의 to부정사: ‘반 친구들과 공유할 그녀의 경험’이라
어야 하므로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는 뜻으로, 명사구 her experience를 의미상 목적어로 to부정사구 용법의 to부정사인 to share가 알맞다.
‘to share [목적어×] with her class’가 뒤에서 꾸미는 것으로 설명
할 수도 있다.


Last week, I visited an exhibition of artwork and ancient items ü기출 포인트 Last week, I ③(visited /
have visited) an exhibition of artwork and

selected from the Kansong Art Museum's collection. ancient items ④(selecting / selected) from
the Kansong Art Museum's collection.
해석 지난주, 나는 간송 미술관 소장품에서 선별된 미술품과 골동품 전시회에 방문 ③ 과거의 특정 시점을 나타내는 표현 Last
week(지난 주)가 앞에 있으므로 과거시
했다.
제인 visited가 알맞다.
③ 과거시제: 과거 시간 표현 Last week(지난 주)와 함께 과거시제 visited가 쓰였다. ④ 수식받는 명사구 artwork and ancient
✔과거시제는 보통 yesterday(어제), last week/month/year(지난 주/달/해), in+연 items(미술품과 골동품)가 선별된 대상
도(~년에), 숫자+years ago(~년 전) 등 과거의 특정 시점을 나타내는 표현과 함 이므로 수동의 의미를 가진 과거분사
께 쓰인다. selected(선별된)가 알맞다.
④ 명사구를 후치 수식하는 과거분사구: selected 이하는 명사구 artwork and ü기출 포인트 Last week, I visited an
ancient items를 뒤에서 수식하는 과거분사구이다. 분사가 단 exhibition of artwork and ancient items
독으로 명사(구)를 수식할 때는 보통 명사(구) 앞에 쓰이지만, which ④(selected / were selected) from
분사 뒤에 수식어(구)나 목적어, 보어 등이 이어져 구를 이룰 the Kansong Art Museum's collection.
때는 명사(구) 뒤에서 수식한다. ④ 주격 관계대명사 which가 이끄는 절의
✔수식받는 명사구 artwork and ancient items(미술품과 골동품)가 선별된 대상 동사로, 선행사 artwork and ancient
이므로 수동의 의미를 가진 과거분사 selected(선별된)가 쓰였다. items(미술품과 골동품)가 선별된 대상

[참고] 수식받는 명사(구)와 분사의 관계가 능동이면 현재분사를 쓴다. 으로 뒤에 이어지는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태(be동사+p.p.)인 were selected(선
e.g. a woman selecting a color for painting
별되었다)가 알맞다.
✔과거분사 selected 앞에 ‘주격 관계대명사+be동사’가 생략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 ~ artwork and ancient items (which[that] were) selected from ~ collection.

- 1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The exhibition included information about the man ①


who 내
ü기출 포인트 The exhibition included

② information about the man ①(who / that 정
gathered all of the artwork displayed there.
= collected ‘모았다’
/ what) gathered all of the artwork 리
②(displaying / displayed) there.
해석 그 전시회는 그곳에 전시된 모든 미술품을 모은 남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했다. ①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gathered ~
there)을 이끌어, 앞의 명사구 the man
① 주격 관계대명사: who는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gathered ~ there)을 이끌
을 선행사로 수식하는 관계사절을 이루
어, 사람 선행사 the man을 수식하는 관계사절을 이루는 주 어야 하므로 주격 관계대명사 who 또
격 관계대명사이며, that으로 바꿔 쓸 수 있다. 는 that이 알맞다.
→ the man that gathered ~ there ② 수식받는 명사구 all of the artwork(모
✔능동태: 선행사 the man이 모은 주체이므로 주격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의 든 미술품)가 전시된 대상이므로 수동의
동사로 능동태인 gathered가 쓰였으며, 목적어로 all 이하의 명사구 의미를 가진 과거분사 displayed(전시
가 이어진다. 된)가 알맞다.
✔all of+한정사(the)+명사(artwork): all은 불가산명사(artwork)나 복수명사를 수 ü기출 포인트 The exhibition included
식하며, all 뒤에 한정사(the/my/this/etc.)로 시작하는 명사구를 쓸 때 information about the man who ①(was
전치사 of로 연결하거나 of를 생략하고 쓸 수 있다. gathered / gathered) all of the artwork
→ all (of) the artwork / all artwork ②(that / what) was displayed there.
[참고] all 뒤에 대명사 this, that, these, those가 오면 전치사 of로 연결하거 ① 주격 관계대명사 who가 이끄는 절의 동
나 of를 생략할 수 있지만, 대명사 them, you, us, it, what, which, 사로, 선행사 the man이 모은 주체이며
뒤에 목적어로 all 이하의 명사구가 이어
whom이 오면 생략하지 않는다.
지므로, 능동태인 gathered가 알맞다.
all this (o) → all of this (o)
②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was displayed
all us (x) → all of us (o)
there)을 이끌어, 앞의 명사구 all of the
② 명사구를 후치 수식하는 과거분사구: displayed there는 명사구 all of the
artwork를 수식하는 관계사절을 이루어야
artwork를 뒤에서 수식하는 과거분사구이다. 수식받는 명사구 하므로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이 알맞다.
all of the artwork(모든 미술품)가 전시된 대상이므로 수동의
의미를 가진 과거분사 displayed(전시된)가 쓰였다.
✔과거분사 displayed 앞에 ‘주격 관계대명사+be동사’가 생략된 것으로 볼 수
도 있다.
→ ~ all of the artwork (that[which] was) displayed there.
(선행사에 all이 사용되어 that이 which보다 훨씬 선호된다.)


His name was Jeon Hyeongpil, but he is better known by his ü기출 포인트 His name was Jeon
④ Hyeongpil, but he ③(knows better / is
pen name, Kansong.
better known) by his pen name, Kansong.
동격
③ 주어 he가 알려진 대상이며 뒤에 목적
해석 그의 이름은 전형필이지만, 그는 필명인 간송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어 없이 전치사 by가 이어지므로, ‘~에
의해 알려지다, ~로 알 수 있다’라는 의
③ 수동태(be동사+p.p.): 주어 he가 알려진 대상이므로 수동태 is known이 쓰였으
미의 수동태 be known by 표현을 이루
며, 부사 well의 비교급인 better는 is known을 수식하고
는 is better known이 알맞다.
있다.
✔be known by: ‘~에 의해 알려지다, ~로 알 수 있다’
cf) be known for: ‘~때문에 알려져 있다’
be known to: ‘~에게 알려져 있다’
be known as: ‘~로(서) 알려져 있다’
④ 동격: 콤마(,)로 연결된 his pen name과 Kansong은 동격이다.
his pen name(그의 필명) = Kansong(간송)

- 2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 poor ‘가난한’ (x)


내 = wealthy ‘부유한’ = affluent ‘부유한’
용 ① ②
정 He was born into a rich family in 1906 and lived through ü기출 포인트 He was born into a rich
리 ③ family in 1906 and ②(lives / lived) through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cf) independence ‘독립’ (x)
② 주어 He에 대한 동사로, 앞의 과거형
해석 그는 1906년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고 한국의 일제 강점기를 겪었다. 동사구 was born과 등위접속사 and로
병렬 연결되므로 같은 과거형 동사인
① be born into: ‘~의 가정에서 태어나다’
lived가 알맞다.
② 병렬구조: 과거형 동사(구) was born과 lived가 등위접속사 and에 의해 병렬 연
결되어 있다.
✔live through ~: ‘~을 겪어내다, ~을 견뎌내다’
③ 명사 occupation: ‘직업, 업무, 일; 점령 (기간); (건물·방·토지 등의) 사용, 거주’

cf) inhibited ‘억제했다, 금지했다’ (x)


④ ⑤
At the age of 24, he inherited a massive fortune. ü기출 포인트 At the age of 24, he ④(was
inherited / inherited) a massive fortune.
해석 24세에, 그는 막대한 재산을 물려받았다.
④ 주어 he가 물려받은 주체이며 뒤에 목
④ 능동태: 주어 he가 물려받은 주체이므로 능동태 inherited가 쓰였으며, 목적어 적어로 명사구 a massive fortune이 이
로 명사구 a massive fortune이 이어진다. 어지므로, 능동태인 inherited가 알맞다.
✔자·타동사 inherit: vi. ‘재산을 물려받다; 대를 잇다; (~에게서) 이어받다’
vt. ’~를 상속받다, 물려받다‘ ü기출 포인트 After carefully ⑥(thinking /
⑤ 명사 fortune: ‘운[행운]; 재산, 부’ thought) about what ⑦(could he / he could)
do for his country, he decided ⑧(using / to
use) the money ⑩(protected / to protect)
Korea's cultural heritage from the Japanese.
⑥ ⑦ ⑥ 전치사 After의 목적어로 명사 상당어구
After carefully thinking about what he could do for his
가 와야 하므로 동명사 thinking이 알맞
⑧ ⑨ ⑩
country, he decided to use the money to protect Korea's 다. After를 접속사로 볼 경우, 접속사절
= save ‘지키다’ 의 주어가 없으므로 접속사를 남겨 둔
cultural heritage from the Japanese. 분사구문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재분
서술형 대비 & 문장 삽입 & 빈칸 추론 사 thinking이 알맞다.
= cultural inheritance ‘문화유산’
⑦ 전치사 about의 목적어로 쓰인 간접의
해석 조국을 위해 자신이 무엇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심사숙고한 후에, 그는 일본 문문이므로 의문사 what에 이어 ‘주어+
으로부터 한국의 문화유산을 보호하는 데 그 돈을 쓰기로 결심했다. 조동사+동사원형~’의 평서문 어순이 되
어야 한다. 따라서 he could가 알맞다.
⑥ After -ing: ‘~한 후에’라는 뜻으로, 두 가지로 분석 가능하다.
⑧ decide는 목적어로 to부정사를 취하는
1. 전치사 After의 목적어로 동명사구 ‘thinking ~ country’가 쓰였으며, 부사
동사이므로, decided의 목적어로 to
carefully는 동명사 thinking을 수식하고 있다.
use가 알맞다.
2.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접속사 After를 남겨둔 채, 주절의 주어와 같은 부
⑩ 동사 decided가 쓰인 완전한 절에 접속
사절의 주어 he를 생략하고 남은 동사를 현재분사로 바꿔 분사구문으로 전 사 없이 또 다른 동사가 연결될 수 없으
환시킨 형태이다. 이때, 부사 carefully는 현재분사 thinking을 수식한다. 므로 준동사의 형태가 되어야 하며, 흐
[부사절] → After he carefully thought about ~ country, ~ 름상 ‘보호하기 위해서’라는 의미로 이어
⑦ 간접의문문: ‘what ~ country’는 전치사 about의 목적어로 쓰인 간접의문문으 져야 하므로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
로, 의문사 what에 이어 ‘주어(he)+조동사(could)+동사원형(do)~’의 법의 to부정사인 to protect가 알맞다.
평서문 어순을 취한다. 의문대명사 what 뒤에는 동사 do의 목적어 ü기출 포인트 After ⑥(careful / carefully)
가 없는 불완전한 절(he could do for his country)이 이어진다. thinking about ⑦(what / that) he could
~ about what could he do ~ (x) do for his country, he decided ~
⑧ 명사적 용법의 to부정사: to use 이하는 주절의 동사인 decided의 목적어로 쓰 ⑥ 동명사 또는 현재분사 thinking을 수식
인 명사적 용법의 to부정사구이다. decide는 목적어로 하므로 부사 carefully가 알맞다.
to부정사를 취하는 동사이다. ⑦ 전치사 about의 목적어 자리에서 동사

⑨ 지칭: the money(그 돈)는 앞 문장에 언급된 ‘간송이 물려받은 막대한 재산’을 do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he
could do for his country)을 이끌고 있
가리킨다.
으므로, 간접의문문을 이룰 수 있는 의문
⑩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 to protect 이하는 ‘보호하기 위해서’라는 의미로 목적
대명사 what이 알맞다.
(~하기 위해서)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구이다.

- 3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동격

This decision ②
was greatly influenced by his mentor, ③
Oh 내
ü기출 포인트 This decision ②(greatly

influenced / was greatly influenced) by 정

Sechang, who was an independence activist and had keen his mentor, Oh Sechang, ④(who / that / 리
‘예리한’ sharp = ‘예리한’ acute = which) was an independence activist and
insight into Korean art. ④(has / had) keen insight into Korean
문장 삽입 art.
② 주어 This decision이 영향을 받은 대상
해석 이 결정은 그의 스승인 오세창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는데, 오세창은 독립운 이며 영향을 준 주체가 ‘by+행위자(his
동가이면서 한국 미술에 날카로운 통찰력을 가지고 있었다. mentor)’구로 뒤에 이어지므로 수동태
(be동사+p.p.)를 써야 한다. 따라서 was
① 지칭: This decision(이 결정)은 앞 문장에 언급된 ‘물려받은 재산을 한국의 문
greatly influenced가 알맞다.
화유산을 보호하는 데 쓰기로 한 간송의 결심’을 가리킨다.
④ 콤마(,) 뒤에서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② 수동태(be동사+p.p.): 주어 This decision이 영향을 받은 대상이므로 수동태 was
(was ~ art)을 이끌어, Oh Sechang을
influenced가 쓰였으며, 부사 greatly는 was influenced를 수식하고 있다.
선행사로 콤마(,)에 의해 연결되어 부연
뒤에 영향을 준 주체가 ‘by+행위자(his mentor)’ 형태로 이어진다. 설명하는 계속적 용법으로의 분석과, 이
③ 동격: 콤마(,)로 연결된 his mentor와 Oh Sechang은 동격이다. 중콤마로 Oh Sechang이 동격의 부연
his mentor(그의 스승) = Oh Sechang(오세창) 설명을 위해 삽입된 상태에서 그 앞의
④ 주격 관계대명사 who: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was ~ art)을 이끌어, 고유명 명사구 his mentor를 선행사로 꾸미는
사인 Oh Sechang에 콤마(,)로 연결되어 부연 설명하는 계속적용법의 주 한정적 용법으로의 분석 둘 다 가능하
격 관계대명사로 분석할 수 있다. (고유명사가 선행사인 경우 한정적 용 며, 선행사가 사람이므로 who가 알맞고,
법을 쓸 수 없고 계속적 용법만 가능하다.) 또는 Oh Sechang이 동격의 한정적 용법으로 보면 that도 가능하다.
부연 설명을 위해 이중콤마로 삽입된 것으로 보고, 명사구 his mentor를 관계사절의 동사로, 앞의 과거형 동사
선행사로 꾸미는 한정적 용법의 주격 관계대명사로도 분석할 수 있으며, was와 등위접속사 and로 병렬 연결되므
‘이 결정은 독립운동가이면서 한국 미술에 날카로운 통찰력을 가지고 있 로 같은 과거형 동사 had가 알맞다.

던 그의 스승 오세창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로 해석된다.


[참고]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로 볼 경우, who는 ‘접속사+대명사’로 바꿔 쓸 수 있다.
→ ~ his mentor, Oh Sechang, and he was ~
한정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로 볼 경우, who는 that으로 바꿔 쓸 수 있다.
→ ~ his mentor, Oh Sechang, that was ~
✔병렬구조: 관계사절의 동사로, 과거형 동사 was와 had가 등위접속사 and에
의해 병렬 연결되어 있다.
✔insight into: ‘~에 대한 이해, 통찰력’

서술형 대비 ┏ Kansong's

With Oh's guidance and his own convictions, Kansong ü기출 포인트 With Oh's guidance and
⑥ ⑥ his own convictions, Kansong devoted
devoted most of his fortune to acquiring old books, most of his fortune to ⑥(acquire /
⑦ cf) collecting ‘수집하는 것’
paintings, and other works of art. acquiring) old books, paintings, and other
cf) destroying ‘파괴하는 것’ (x)
works of art.
cf) inquiring about
⑥ 전치사 to의 목적어로 명사 상당어구가
‘~에 관해 묻는 것’ (x)
와야 하므로 동명사 acquiring이 알맞
해석 오세창의 지도와 자신의 강한 신념으로, 간송은 그의 재산 대부분을 오래된 다. 참고로, ‘devote+목적어+to+명사/동
명사’는 ‘(목적어)를 ~에/~하는 데 바치
책, 그림, 그리고 다른 미술품을 획득하는 데 바쳤다.
다’라는 뜻이다.
⑤ 명사 conviction: ‘유죄 선고[판결]; 신념, 확신; 자각; 납득, 설득(력)’
⑥ devote+목적어+to+명사/동명사: ‘(목적어)를 ~에/~하는 데 바치다’
✔most of+한정사+복수명사/불가산명사: most는 복수명사나 불가산명사(fortune)
를 수식하며, 명사 앞에 관사, 소유격(his) 등의 한정사가 있
거나 대명사가 이어지면 전치사 of로 연결한다.
most his fortune (x) / most fortune (o)
✔to는 전치사이므로 뒤에 목적어로 명사나 동명사와 같은 명사 상당어구가 온
다. 위 문장에서는 동명사 acquiring이 쓰였다.
⑦ other+복수명사: other는 ‘다른’의 의미로 복수명사(works)나 불가산명사를 수식
한다. 위 문장에서 work는 ‘예술 작품’이라는 뜻의 가산명사로
쓰여 other 뒤에 복수형으로 왔다.
cf) another+단수명사 / another+숫자+복수명사: ‘또 다른 ~’

- 4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내 He ①
considered ②
these items the pride of the nation and ü기출 포인트 He considered these items

정 ① ② the pride of the nation and ①(believes /
believed they represented the national spirit.
리 문장 삽입
believed) they represented the national
cf) killed ‘없앴다, 망쳤다’ (x) spirit.
해석 그는 이러한 물품들을 나라의 긍지로 여겼고, 그것들이 민족혼을 나타낸다고 ① 주어 He에 대한 동사로, 앞의 과거형
동사 considered와 등위접속사 and로
믿었다.
병렬 연결되므로 같은 과거형 동사인
① 병렬구조: 과거형동사 considered와 believed가 등위접속사 and에 의해 병렬 believed가 알맞다.
연결되어 있다.
ü기출 포인트 He considered these items
✔consider+목적어+목적격보어: ‘(목적어)를 ~로 여기다’
the pride of the nation and believed
→ considered는 5형식 동사로 쓰여 목적어로 these items, 목적격보어로 the ①(that / what) they represented the
pride of the nation이 이어진다. national spirit.
[참고] consider A (as/to be) B: these items와 the pride of the nation 사이 ① 동사 believed의 목적어 자리에서 완전
에 전치사 as 또는 to부정사 to be가 생략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 절(they ~ spirit)을 이끌고 있으므로
✔명사절 접속사 that의 생략: believed의 목적어로 완전한 절(they represented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알맞다.
the national spirit)이 쓰였으며, they 앞에 명사
절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다.
→ ~ and believed (that) they represented the national spirit.
② 지칭: these items와 they는 모두 앞 문장의 ‘old books, paintings, and other
works of art’를 가리킨다.

‘손상된’ damaged =
(x) ‘보호된’ protected cf)
③ ④ ③ ⑤
Without his actions, they would have been destroyed or ü기출 포인트 Without his actions, they
⑤ would have ⑤(destroyed / been destroyed)
taken overseas. or taken overseas.
서술형 대비 & 빈칸 추론
cf) to other countries ‘다른 나라로’ ⑤ 주어 they가 가리키는 ‘old books,
paintings, and other works of art’가
해석 그의 행동이 없었다면, 그것들은 파괴되거나 해외로 반출되었을 것이다.
파괴되는 대상이므로 would have 뒤에
③ 가정법 과거완료 표현: ‘Without+명사(구), 주어+조동사 과거형+have p.p.’는 ‘~ 수동태(be동사+p.p.)로 연결되어야 한
가 없었다면, …였을 텐데)’라는 뜻으로 과거 사실의 반 다. 따라서 been destroyed가 알맞다.
대를 가정하는 가정법 과거완료 표현이다. ü기출 포인트 If it ③(were not / had not
✔[직설법] → Thanks to his actions, they were not destroyed or taken been) for his actions, they would have
overseas. (그의 행동 덕분에, 그것들은 파괴되거나 해외로 반출 been destroyed or ⑤(take / taken)
되지 않았다.) overseas.
✔가정법 과거완료 표현에 쓰인 Without은 If it had not been for[Had it not ③ 주절에 ‘조동사 과거형(would)+have
been for]나 But for로 바꿔 쓸 수 있다. p.p.(been)’가 쓰였으며, 흐름상 과거
= If it had not been for his actions, they would have been ~ 사실의 반대를 가정하고 있으므로, ‘~
= Had it not been for his actions, they would have been ~ 가 없었다면, …였을 텐데’라는 뜻의 가

= But for his actions, they would have been ~ 정법 과거완료 표현 ‘If it had not
been for ~, 주어+조동사 과거형
cf) 가정법 과거: Without+명사(구), 주어+조동사 과거형+동사원형‘
+have p.p.’를 이루는 had not been이
= If it were not for+명사(구), 주어+조동사 과거형+동사원형‘
알맞다.
= Were it not for++명사(구), 주어+조동사 과거형+동사원형‘
⑤ 주어 they가 파괴되거나 반출되는 대상
= But for+명사(구), 주어+조동사 과거형+동사원형‘
으로 흐름상 등위접속사 or에 의해 앞
(~가 없다면, …일 텐데) <현재 사실의 반대를 가정> 의 과거분사 destroyed와 병렬 연결되
④ 지칭: they는 ‘old books, paintings, and other works of art’를 가리킨다. 어야 하므로, 과거분사 taken이 알맞다.
⑤ 수동태(be동사+p.p.)&병렬구조: 주어 they가 파괴되거나 반출되는 대상이므로
가정법 과거완료의 주절(조동사 과거형+have p.p.)에 수동
태(be동사+p.p.)가 결합된 would have been destroyed or
taken이 쓰였다. have been에 과거분사 destroyed와 taken
이 등위접속사 or로 병렬 연결된 형태이다.

- 5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Point Check Point Check



간송 전형필 간송이 일본으로부터 지키려고 한 것 용

[본문1]은 간송 전형필에 관한 인물 정보 및 업적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전형필이 간송이 자신이 물려받은 대부분의 재산을

한국의 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한 일과 그의 신념, 그 결과에 관한 내용을 반 바쳐 지키고자 했던 것은 바로 오래된
드시 기억해 두세요. 또한 그에게 영향을 준 그의 스승 오세창에 관한 정보를 잘 책, 그림, 미술품과 같은 한국의 문화유
구분하여 정리해 두세요. 산(Korea's cultural heritage)이었으며,
⦁‘간송’이라는 필명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이것이 나라의 긍지이자, 민족혼을
(He is better known by his pen name, Kansong.) 나타낸다고 믿었습니다.

⦁1906년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고 한국의 일제 강점기를 겪었다. (o) Korea's cultural heritage (한국의
(He was born into a rich family and lived through the Japanese 문화유산)
occupation of Korea.) (o) national heritage (국가 문화유산)
⦁24세에 막대한 재산을 물려받았다. (x) national anthem (국가)
(He inherited a massive fortune at the age of 24.) (x) his stolen property (도난당한 그
⦁일본으로부터 한국의 문화유산을 보호하는 데 물려받은 돈을 쓰기로 결심했다. 의 재산)
(He decided to use the money he had inherited to protect Korea's (x) tourist attractions in Korea (한
cultural heritage from the Japanese.) 국의 관광 명소들)
⦁독립운동가이면서 한국 미술에 날카로운 통찰력을 가지고 있었던 그의 스승 오 (x) Korea's famous historical site
세창에게 영향을 받았다. (한국의 유명한 역사유적지)
(He was influenced by his mentor Oh Sechang, who was an ➜ 빈칸 추론 유형 출제
independence activist and had keen insight to Korean art.)
⦁자신의 재산 대부분을 오래된 책, 그림, 미술품 등을 획득하는 데 바쳤다.
(He devoted most of his fortune to acquiring old books, paintings,
and other works of art.)
⦁자신이 수집한 물품들을 나라의 긍지로 여겼고, 그것들이 민족혼을 나타낸다고
믿었다.
(He considered the items he had collected the pride of the nation
and believed they represented the national spirit.)
⦁그의 노력 덕분에 많은 한국의 예술품들이 파괴되거나 해외로 반출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었다.
(Thanks to his effort, many of Korean works of art could be
protected, without being destroyed or taken overseas.)
➜ 내용 일치 불일치 유형 출제

- 6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내 Lesson 4 Build a Better World



정 본문 2 - A Protector of Our National Heritage

cf) criticize ‘비난하다’ (x)


ü기출 포인트 As soon as I walked in, I
① ②
As soon as I walked in, I could not help but admire some could not help but ②(admire / to admire
③ / admiring) some ink-and-water paintings
ink-and-water paintings by Jeong Seon, a famous Korean
by Jeong Seon, a famous Korean artist
동격
artist also known as Gyeomjae. also ③(knew / known / knowing) as
Gyeomjae.
② ‘~하지 않을 수 없었다’라는 뜻의 표현
해석 나는 들어가자마자 겸재로도 알려진 유명한 한국 화가 정선이 그린 수묵화 몇
으로 could not help but 뒤에는 동사
점을 감탄하여 바라보지 않을 수 없었다. 원형이 와야 하므로, admire가 알맞다.
① As soon as+주어+동사~: ‘~하자마자’라는 뜻으로, ‘On -ing’로 바꿔 쓸 수 있다. ③ 동사구 could not help를 포함한 완전한 절
= On walking in, ~ 에서 Jeong Seon을 부연 설명하는 명사구
② 주어+cannot help but+동사원형: ‘(주어)가 ~하지 않을 수 없다, (주어)가 ~할 a famous Korean artist에 접속사 없이 또
수밖에 없다, (주어)가 어쩔 수 없이 ~하다’라는 뜻으로, 위 다른 동사가 연결될 수 없으므로, 흐름상 앞
의 명사구를 수식하는 분사의 형태가 되어
문장에서는 과거형인 could not help but이 쓰였다.
야 한다. a famous Korean artist(유명한 한
= 주어+cannot but+동사원형 = 주어 cannot help -ing
국의 화가)가 알려진 대상이므로 수동의 의
= 주어+can do nothing but+동사원형
미를 가진 과거분사 known이 알맞다.
= There is nothing (that[which])+주어+can do but+동사원형
ü기출 포인트 On ①(walking / walked) in,
→ ~ I could not but admire ~
I could not help ②(admire / admiring)
→ ~ I could not help admiring ~
some ink-and-water paintings by Jeong
→ ~ I could do nothing but admire ~
Seon, a famous Korean artist also known
→ There is nothing (that[which]) I could do but admire ~ as Gyeomjae.
③ 동격: Jeong Seon을 부연 설명하는 동격의 명사구 ‘a famous Korean artist ① ‘~하자마자’의 뜻으로 ‘On -ing’를 사용
also known as Gyeomjae’가 콤마(,)로 연결되어 있다. 하므로 walking이 알맞다.
Jeong Seon = a famous Korean artist also known as Gyeomjae ② ‘~하지 않을 수 없었다’라는 뜻으로
✔명사구를 후치 수식하는 과거분사구: ‘also known as Gyeomjae’는 명사구 a could not help 뒤에는 -ing 형태가 와
famous Korean artist를 뒤에서 수식하는 과거분사구이다. 수식받는 명사구 a 야 하므로 admiring이 알맞다.
famous Korean artist(유명한 한국의 화가)가 알려진 대상이므로, 수동의 의
미를 가진 과거분사 known(알려진)이 쓰였다. 과거분사 known 앞에 ‘주격
관계대명사+be동사’가 생략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ü기출 포인트 These paintings ⑤(kept /
→ ~ a famous Korean artist (who[that] is) also known as Gyeomjae
✔be known as: ‘~로(서) 알려져 있다’ were kept) in an album called the Haeak
jeonsincheop.
cf) be known for: ‘~때문에 알려져 있다’ be known to: ‘~에게 알려져 있다’
⑤ 주어 These paintings가 보관된 대상으로
뒤에 이어지는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
④ ⑤ ⑥ 태(be동사+p.p.)인 were kept가 알맞다.
These paintings were kept in an album called the Haeak
ü기출 포인트 These paintings were kept
jeonsincheop. in an album ⑥(call / called / calling) the
해석 이 그림들은 「해악전신첩」이라고 불리는 화첩에 들어 있었다. Haeak jeonsincheop.
⑥ 동사구 were kept가 쓰인 완전한 절에
④ 지칭: These paintings(이 그림들)는 앞에 언급된 ‘some ink-and-water
접속사 없이 다른 동사가 연결될 수 없
paintings by Jeong Seon(정선이 그린 수묵화 몇 점들)’을 가리킨다.
으므로, 흐름상 앞의 명사구 an album을
⑤ 수동태(be동사+p.p.): 주어 These paintings가 보관된 대상이므로 수동태 were 수식하는 준동사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kept가 쓰였다. 명사구 an album이 불리는 대상이므로
⑥ 명사구를 후치 수식하는 과거분사구: called 이하는 명사구 an album을 뒤에서 수동의 의미를 가진 과거분사 called가
수식하는 과거분사구이다. 수식받는 명사구 an album이 불리는 알맞다. 참고로, 뒤에 이어지는 명사구 the
대상이므로 수동의 의미를 가진 과거분사 called가 쓰였다. Haeak jeonsincheop은 ‘call+목적어+목적
✔‘call+목적어+목적격보어(~를 …라고 부르다)’를 수동태로 전환 시 목적격보어 격보어(~를 …라고 부르다)’에서 목적격보
어에 해당하는 것으로, 수동태에서 ‘be동
는 ‘be동사+called’ 뒤에 오므로, 과거분사 called 뒤에 능동태의 목적격보어
사+called’ 뒤에 오므로 과거분사 called
에 해당하는 the Haeak jeonsinsheop이 이어진다.
뒤에 그대로 이어지며, 목적어가 아님에
✔과거분사 called 앞에 ‘주격 관계대명사+be동사’가 생략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유의한다.
→ an album (which[that] is) called the Haeak jeonsinsheop

- 7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cf) distort ‘비틀다, 왜곡하다’ (x)



= illustrate ‘보여주다’

= describe ‘묘사하다’ ü기출 포인트 They ②(depict / depicting 정
= portray ‘묘사하다, 나타내다, 보여주다’ / are depicted) the beautiful scenery of 리
① ② Geumgangsan Mountain and ③(its /
They depict the beautiful scenery of Geumgangsan Mountain
their) ④(surrounding / surrounded) areas.
③ ④
and its surrounding areas. ② 뒤에 목적어로 the 이하의 명사구가 이
어지고 있으므로 능동태 현재형 동사인
해석 그것들은 금강산과 주변 지역의 아름다운 경치를 묘사한다. depict(묘사하다, 그리다)가 알맞다. 참고

① 지칭: They는 앞에 언급된 ‘「해악전신첩」에 들어 있는 정선의 수묵화 몇 점들’ 로, 전체 문장의 동사가 필요하므로 준
동사인 depicting은 쓸 수 없고, 수동태
을 가리킨다.
는 목적어를 취할 수 없으므로 are
② 타동사 depict: ‘묘사하다, 그리다’라는 뜻의 타동사로, 목적어로 the 이하의 명
depicted 역시 쓸 수 없다.
사구가 이어진다.
③ 흐름상 앞의 Geumgangsan Mountain을
✔현재시제: 전체적인 글은 과거시제이지만, 위 문장에서는 그림의 내용에 관한
가리키므로, 단수형 소유대명사인 its가
변하지 않는 사실을 말하고 있으므로 현재시제로 쓰였다. 알맞다.
③ 지칭: 앞의 Geumgangsan Mountain을 가리켜, 단수형 소유대명사 its가 쓰였다. ④ 소유대명사와 명사 사이에 쓰여 뒤의 명
④ 현재분사형 형용사: ‘인근의, 주위의’라는 뜻으로 명사 areas를 수식하고 있다. 사를 수식하는 자리이므로 분사의 형태
명사 areas(지역들)가 금강산을 주위에서 에워싸고 있는 가 되어야 한다. 수식받는 명사 areas(지
것이므로 능동의 의미를 가진 현재분사형 형용사 역들)가 금강산을 주위에서 에워싸고 있
surrounding이 쓰였다. cf) surrounded: a. ‘둘러싸인’ 는 것이므로 능동의 의미를 가진 현재분
사형 형용사 surrounding이 알맞다.

ü기출 포인트 The way ⑤(how / that)


⑤ Gyeomjae painted the mountains, rivers,
The way Gyeomjae painted the mountains, rivers, and valleys
and valleys ⑥(make / makes) them
┏ the mountains, rivers, and valleys
⑥ ⑦ ⑧ ⑦(look / looks) very ⑧(inviting / invitingly).
makes them look very inviting.
⑤ 완전한 절(Gyeomjae ~ valleys)을 이끌
= attractive ‘매력적인’ = appealing ‘매력적인’
어, 명사구 The way를 선행사로 수식하
= engaging ‘호감이 가는, 매력적인’
는 관계부사절을 이루는 관계부사 자리
↔ unappealing ‘매력 없는’ (x) 이나, 선행사 The way와 how는 함께
↔ uninviting ‘마음을 끌지 못하는, 매력 없는’ (x) 쓰지 않으므로 how를 대신할 수 있는
cf) confusing ‘혼란스러운’ (x)
관계부사 대용의 that이 알맞다.
해석 겸재가 산과 강, 계곡을 그린 방식은 그것들을 매우 매력적으로 보이게 한다. ⑥ 주어(The ~ valleys)의 핵인 The way가
단수이므로, 이에 수일치 시킨 단수동사
⑤ 관계부사절: 완전한 절 ‘Gyeomjae ~ valleys’는 방법을 나타내는 명사구 The
makes가 알맞다.
way를 선행사로 수식하는 관계부사절이다.
⑦ makes와 목적어 them에 이어지는 목적
✔선행사 The way와 관계부사 how는 함께 쓰지 않으므로 둘 중 하나만 쓰거
격보어 자리이다. 사역동사 make는 목
나, The way 뒤에 how 대신 관계부사 대용의 that 또는 선행사에 어울리는 적격보어로 동사원형을 취하므로, 동사
전치사가 쓰인 ‘전치사+관계대명사(in which)’를 쓸 수 있다. 원형 look이 알맞다.
(x) The way how Gyeomjae painted the mountains, rivers, and valleys ~ ⑧ 2형식 감각동사(look)의 보어 자리이므
→ The way Gyeomjae painted the mountains, rivers, and valleys ~ 로, 형용사 inviting(매력적인)이 알맞다.
→ How Gyeomjae painted the mountains, rivers, and valleys ~ 보어로 부사는 쓸 수 없다.
→ The way that Gyeomjae painted the mountains, rivers, and valleys ~ ü기출 포인트 The way ⑤(which / in which)
→ The way in which Gyeomjae painted the mountains, rivers, and valleys ~ Gyeomjae painted the mountains, rivers,
⑥ 수일치: 주어의 핵인 The way가 단수이므로 단수동사 makes로 수일치 시켰다. and valleys allows them ⑦(look / to look)
⑦ make+목적어+목적격보어(동사원형): ‘(목적어)가 ~하게 하다’ very inviting.
→ 사역동사로 쓰인 makes의 목적어로 them, 목적격보어로 동사원형 look이 ⑤ 완전한 절(Gyeomjae ~ valleys)을 이끌
쓰였다. 어 선행사 The way를 수식하므로, 선행
cf) allow+목적어+목적격보어(to부정사): ‘(목적어)가 ~하게 하다’ 사에 어울리는 전치사를 쓴 ‘전치사+관
계대명사’ 형태의 in which가 알맞다.
→ ~ allows them to look very inviting.
참고로, 관계대명사 which는 불완전한
⑧ look+형용사: ‘~하게 보이다’의 뜻으로, 2형식 감각동사로 쓰인 look의 보어로
절을 이끈다.
형용사 inviting(매력적인)이 쓰였다. 보어로 부사는 쓸 수 없다.
⑦ allows와 목적어 them에 이어지는 목적
look very invitingly (x)
격보어 자리이다. 5형식으로 쓰일 때
✔보어로 쓰인 현재분사 형태의 형용사 inviting: ‘매력적인, 마음을 끄는’이라는 allow는 목적격보어로 to부정사를 취하
능동의 뜻으로, 동사 look의 의미상 주어인 them, 즉 the 므로, to look이 알맞다.
mountains, rivers, and valleys와 능동관계를 나타낸다.

- 8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내 I was ①
shocked ②
when the museum tour guide said ③
that the ü기출 포인트 I was ①(shocking / shocked)

정 ④ ⑤ when the museum tour guide said ③(that
album was almost burned as kindling.
리 / what) the album was almost ④(burning
해석 나는 미술관 안내원이 그 화첩이 불쏘시개로 태워질 뻔했다고 말했을 때 충격 / burned) as kindling.
을 받았다. ① 주어 I가 충격을 받은 대상이므로, was
의 보어로 과거분사형 형용사 shocked
① 보어로 쓰인 과거분사형 형용사: 주어 I가 충격을 받은 대상이므로, was의 보어
(충격을 받은)가 알맞다.
로 과거분사형 형용사 shocked(충격을 받은)가 쓰였다.
③ 부사절 접속사 when이 이끄는 절의 동
cf) shocking: ’충격을 주는, 충격적인‘ 사 said의 목적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
② 부사절 접속사 when: ‘~할 때’라는 뜻의 시간 부사절 접속사로, 완전한 절(the (the album ~ kindling)을 이끌고 있으
museum ~ kindling)을 이끈다. 므로,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알맞다.
③ 명사절 접속사 that: 부사절의 동사 said의 목적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the ④ said의 목적어절의 주어 the album이
album ~ kindling)을 이끈다. 태워질 뻔했던 대상으로 뒤에 이어지는
④ 수동태(be동사+p.p.): 접속사 that이 이끄는 절의 주어 the album이 태워질 뻔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태(be동사+p.p.)
했던 대상이므로 수동태 was burned가 쓰였으며, 부사 를 써야 한다. 따라서 앞의 be동사 was
almost는 ‘거의 ~할 뻔하다’의 의미로 was burned를 수 에 연결되어 수동태를 이룰 수 있는 과
거분사 burned가 알맞다.
식하고 있다.
✔부사 almost: ‘거의 ~할 뻔’의 뜻으로 동사구를 꾸민다. 부사가 절 중간에 쓰
이면 보통 일반동사는 앞에, be동사와 조동사, 완료의
have는 뒤에 쓰이므로, be동사 was 뒤에 쓰였다.
[참고] almost[nearly]+동사: ‘거의 ~할 뻔하다’
= come close to -ing
= come[go] near (to) -ing
= come[be] within a whisker[a hair’s breadth] of -ing
→ ~ the album was nearly burned as~
→ ~ the album came close to being burned as~
→ ~ the album came[went] near (to) being burned as~
→ ~ the album came[was] within a whisker[a hair’s breadth] of
being burned as~
⑤ 전치사 as: ‘~로서’라는 뜻의 전치사로 쓰여, 목적어로 명사 kindling(불쏘시개)
가 뒤에 이어진다.

the album ┓ = saved ‘구조된’


⑥ ⑦ ⑧
Fortunately, it was rescued at the last minute and later ü기출 포인트 Fortunately, it ⑦(rescued /
↔ Unfortunately ‘불행하게도’ (x) was rescued) at the last minute and later

purchased by Kansong. purchased by Kansong.
문장 삽입 ⑦ 주어 it이 가리키는 the album(화첩)이
구해진 대상으로 뒤에 이어지는 목적어
해석 다행히도, 그것은 마지막 순간에 구해졌고 후에 간송에 의해 매입되었다. 가 없으므로 수동태(be동사+p.p.)인 was
rescued가 알맞다.
⑥ 부사 Fortunately: ‘다행히도’라는 뜻으로, 앞 내용(화첩이 불쏘시개로 태워질 뻔
ü기출 포인트 Fortunately, it was rescued
한 것)과 반전을 이루는 긍정적인 내용(마지막 순간에 간송이
at the last minute and later ⑦(purchase
그것을 매입하여 구한 것)을 연결한다.
/ purchased) by Kansong.
⑦ 수동태&병렬구조: 주어 it이 가리키는 the album(화첩)이 구해지고 매입된 대
⑦ 주어 it이 가리키는 the album(화첩)이
상이므로 수동태(be동사+p.p.)가 쓰였다. was 뒤에 과거분사
매입된 대상으로 목적어 없이 ‘by+행위
rescued와 purchased가 등위접속사 and로 병렬 연결되어
자(Kansong)구가 뒤에 이어지므로, was
있다. 뒤의 과거분사 rescued와 등위접속사
→ ~ it was rescued ~ + and later + purchased by Kansong. and로 병렬 연결되어 수동태(be동사
be동사 과거분사1 등위접속사 과거분사2 +p.p.)를 이룰 수 있는 과거분사
⑧ at the last minute: ‘마지막 순간에’ = at the last moment purchased가 알맞다.

- 9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cf) Realizing ‘깨달은 것’ ü기출 포인트 ①(Know / Knowing / Known)


① ② ③ 내
Knowing that these beautiful paintings were nearly turned that these beautiful paintings ③(was /

were) nearly turned to ashes made me
to ashes ④
made me ④
feel very ⑤
sad. 정
④(feel / to feel) very sad. 리
서술형 대비 & 빈칸 추론
① 문장의 동사 made에 대한 주어가 필요
해석 이 아름다운 그림들이 재가 될 뻔했다는 것을 알고 나는 매우 슬펐다. 하므로, 주어 역할을 할 수 있는 동명사

① 주어로 쓰인 동명사: 문장의 주어로 동명사구인 ‘Knowing ~ ashes’가 쓰였다. Knowing이 알맞다.

② 명사절 접속사 that: 동명사 Knowing의 목적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these ~ ③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이끄는 절의 주어
these beautiful paintings가 복수이므로
ashes)을 이끈다.
이에 수일치 시킨 복수동사 were가 알
③ A be turned to B: ‘A가 B로 바뀌다’라는 뜻으로, turn A to B(A를 B로 바꾸다)
맞다.
의 수동 표현이다.
④ made와 목적어 me에 이어지는 목적격
✔접속사 that이 이끄는 절의 주어 these beautiful paintings가 복수이며 바뀔
보어 자리이다. 사역동사 make는 목적
뻔했던 대상이므로, 복수동사 were로 수일치 시킨 수동표현 were turned to가 격보어로 동사원형을 취하므로, 동사원
쓰였다. 부사 nearly는 ‘거의 ~할 뻔하다’의 의미로 were turned를 수식한다. 형 feel이 알맞다.
[참고] 부사 nearly: ‘거의 ~할 뻔’의 뜻으로 동사구를 꾸민다. 부사가 절 중간
ü기출 포인트 Knowing ②(that / what)
에 쓰이면 보통 일반동사의 앞, be동사와 조동사·완료의
these beautiful paintings were nearly
have 뒤에 쓰이므로, be동사 were 뒤에 쓰였다.
③(turning / turned) to ashes ④(made /
~ these beautiful paintings were nearly turned to ashes~ to make) me feel very ⑤(sad / sadly).
= ~ the album came close to being turned to ashes~ ② 동명사 Knowing의 목적어 자리에서 완
= ~ the album came[went] near (to) being turned to ashes~ 전한 절(these ~ ashes)을 이끌고 있으
= ~ the album came[was] within a whisker[a hair’s breadth] of 므로,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알맞다.
being turned to ashes~ ③ Knowing의 목적어절의 주어 these
④ make+목적어+목적격보어(동사원형): ‘(목적어)가 ~하게 하다’ beautiful paintings가 바뀔 뻔했던 대
✔문장의 동사로 사역동사 made가 쓰였으며, 목적어로 me, 목적격보어로 동사 상으로 뒤에 목적어 없이 전치사 to가
원형 feel이 쓰였다. 이어지므로, 수동 표현 ‘A be turned
⑤ feel+형용사: ‘~하게 느끼다’의 뜻으로, 2형식 감각동사로 쓰인 feel의 보어로 to B(A가 B로 바뀌다)’를 이루는 과거
분사 turned가 알맞다.
형용사 sad(슬픈)이 쓰였다. 보어로 부사는 쓸 수 없다.
④ 문장의 주어는 ‘Knowing ~ ashes’이며,
cf) pitiful ‘측은한, 동정하는’ (x) 이에 대한 동사가 와야 하므로 made가
= gratefull ‘고마워하는, 감사하는’ 알맞다.
서술형 대비
⑥ ⑦ ⑧ ⑤ 2형식 감각동사로 쓰인 feel의 보어 자
I am thankful that these paintings are still around so that
리이므로, 형용사 sad가 알맞다. 보어로
⑨ ⑧ ⑧ ⑦
future generations can also appreciate them. 부사는 쓸 수 없다.

cf) depreciate ‘~의 가치를 떨어뜨리다’ (x)


해석 나는 미래 세대 또한 이 그림들을 감상할 수 있게 그것들이 여전히 주변에 존
재한다는 것에 감사한다.
⑥ 접속사 that: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 thankful(고맙게 생각하는, 감사하는) 뒤에서 ü기출 포인트 I am thankful ⑥(that /
감정의 원인·이유를 나타내는 완전한 절(these ~ them)을 이끈다. what) these paintings are still around
✔glad, happy, afraid, relieved, surprised, shocked, thankful 등 주어의 감정 상태 ⑧(so that / so as for) future generations
를 나타내는 형용사는 감정의 원인·이유를 나타내는 that절을 수반할 수 있다. can also appreciate ⑦(it / them).

⑦ 지칭: these paintings와 them은 모두 앞 문장의 these beautiful paintings, 즉 ⑥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 thankful(고맙
게 생각하는, 감사하는) 뒤에서 감정의
‘「해악전신첩」에 들어 있는 정선의 그림들’을 가리킨다.
원인·이유를 나타내는 완전한 절(these ~
⑧ so that+주어+can/could+동사원형: ‘…가 ~할 수 있도록, …가 ~하기 위해’
them)을 이끌고 있으므로 접속사 that이
✔so that은 구어체에서 that을 생략하고 쓰기도 하며, in order that으로도 바
알맞다.
꿔 쓸 수 있다.
⑦ 흐름상 앞의 these paintings를 가리키
→ ~ so future generations can also appreciate them.
므로 복수 대명사인 them이 알맞다.
→ ~ in order that future generations can also appreciate them.
⑧ 뒤에 조동사 can이 있는 완전한 절이
✔‘so[in order] that+주어+can/could+동사원형’은 ‘so as[in order]+to부정사(~ 이어지므로 ‘so that+주어+can/could+
하기 위해서)’ 형태로도 바꿔 쓸 수 있다. 이때, 주절의 주어(I)와 so[in order] 동사원형(…가 ~할 수 있도록, …가 ~하
that 이하의 주어(future generations)가 다르므로 to부정사 앞에 ‘for+의미상 기 위해)’ 구문을 이루는 so that이 알
주어’를 써 준다. 맞다.
→ ~ so as[in order] for future generations to also appreciate them.
✔동사 appreciate: ‘(문학·예술을) 감상하다, 음미하다; 진가를 알아보다, 인정하
다; 고마워하다, 환영하다; (중요성·위험 등을) 인식하다, 잘 이해하다’
⑨ 명사 generation: ‘세대; 시대; (전기·열 등의) 발생’

- 10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Point Check Point Check



용 「해악전신첩」에 들어 있는 정선의 수묵화를 구해낸 간송의 노력 윤주의 심경 변화

[본문2]는 「해악전신첩」에 들어 있는 정선의 수묵화의 특징과 이 그림들에 얽힌
리 admired (감탄하는)
뒷이야기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림의 특징 및 그림과 관련하여 윤주가 새롭게

알게 된 사실들을 잘 정리해 두세요.
shocked (충격을 받은)
Question(질문) Answer(답) ↓
Where was the ink-and-water They were kept in an album sad (슬픈)
paintings by Jeong Seon called the Haeak jeonsinsheop. ↓
kept? (정선이 그린 수묵화들은 어 (그들은 「해악전신첩」이라고 불리 thankful (감사하는)
디에 보관되었는가?) 는 화첩에 보관되었다.) : 윤주는 화가 정선의 아름다운 수묵화를
They depict the beautiful 감탄하며 바라보았으며, 그 그림들이
What does Jeongseon's scenery of Geumgangsan 태워질 뻔했다는 말을 듣고 충격을 받
paintings portray? Mountain and its surrounding 았습니다. 다행히 그 그림들이 간송에
(정선의 그림은 무엇을 묘사하는가?) areas. (그것들은 금강산과 그 주변 의해 마지막 순간에 구해졌다는 말을
지역의 아름다운 경치를 묘사한다.) 닫고 안도하며, 간송의 덕분으로 그 그
What did the museum tour The museum tour guide told 림들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에 감사해
guide tell Yunju about the her that the album was almost 하고 있습니다. 글의 흐름에 따른 윤주
album? burned as kindling. (미술관 안내 의 심경 변화를 잘 파악해 두세요.
(화첩에 관해 미술관 안내원은 윤주 원은 윤주에게 그 화첩이 불쏘시개 ➜ 심경추론 유형 출제
에게 무엇을 말해주었는가?) 로 태워질 뻔했다고 말했다.)
She was sad about the fact
that Jeong Seon's beautiful
What did Yunju feel sad
paintings were nearly turned
about? (윤주는 무엇에 대해 슬펐
to ashes. (그녀는 정선의 아름다
는가?)
운 그림들이 재가 될 뻔했다는 사실
에 대해 슬펐다.)
What did Kansong do to
He purchased them. (그는 그것
rescue the paintings? (그림을 구
들을 구입했다.)
하기 위해 간송은 무엇을 했는가?)

➜ 세부정보 파악, 내용 일치·불일치 파악 유형 출제

- 11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Lesson 4 Build a Better World 내



본문 3 - A Protector of Our National Heritage 정

① ②
The next item that impressed me was a gorgeous porcelain ü기출 포인트 The next item ①(that /
what / which) impressed me was a

vase called the Celadon Prunus Vase with Inlaid Cloud and gorgeous porcelain vase ③(calling /
called) the Celadon Prunus Vase with
Crane Design. Inlaid Cloud and Crane Design.
①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impressed
해석 나에게 감명을 준 다음 물품은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이라고 불리는 아주 멋 me)을 이끌어, 명사구 The next item
진 자기 화병이었다. 을 선행사로 수식하는 관계사절을 이
루는 자리이므로 주격 관계대명사 that
①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impressed me’을 이끌어 선
또는 which가 알맞다. 참고로, 선행사
행사 The next item을 수식하는 관계사절을 이루는 주격 관
에 the next가 포함되어 관계대명사
계대명사로, 선행사가 사물이므로 which로 바꿔 쓸 수 있다.
that이 which보다 훨씬 선호된다.
선행사에 the next가 포함되어 관계대명사 that이 which보다
③ 동사 was가 쓰인 완전한 절에 접속사 없
훨씬 선호된다. 이 또 다른 동사가 연결될 수 없으므로,
→ The next item which impressed me ~ 흐름상 앞의 명사구 a gorgeous porcelain
✔능동태: 선행사 The next item이 감명을 준 것이므로, 관계사절의 동사로 능 vase를 수식하는 분사의 형태가 되어야
동태인 impressed가 쓰였으며, 감명 받은 대상인 me가 목적어로 이 한다. a gorgeous porcelain vase(자기 화
어진다. 병)가 불리는 대상이므로 수동의 의미를
② 수일치: 주어(The ~ me)의 핵인 The next item이 단수이므로, 단수동사 was로 가진 과거분사 called가 알맞다. 참고로,
뒤에 이어지는 the 이하의 명사구는
수일치 시켰다.
‘call+목적어+목적격보어(~를 …라고 부르
③ 명사구를 후치 수식하는 과거분사구: called 이하는 명사구 a gorgeous
다)’에서 목적격보어에 해당하는 것으로
porcelain vase를 뒤에서 수식하는 과거분사구이다. 수식받는
과거분사 called 뒤에 그대로 이어진 것이
명사구 a gorgeous porcelain vase(자기 화병)이 불리는 대상 며, 목적어가 아님에 유의한다.
이므로 수동의 의미를 가진 과거분사 called가 쓰였다.
ü기출 포인트 The next item that
✔‘call+목적어+목적격보어(~를 …라고 부르다)’의 수동태에서 목적격보어는 be
①(impressed / was impressed) me was a
동사+called 뒤에 오므로, 과거분사 called 뒤에 능동태의 목적격보어에 해당
gorgeous porcelain vase called the
하는 the Celadon ~ Design이 이어진다. Celadon Prunus Vase with Inlaid Cloud
✔과거분사 called 앞에 ‘주격 관계대명사+be동사’가 생략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and Crane Design.
→ a gorgeous porcelain vase (which[that] is) called the Celadon ~ Design ①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이 이끄는 절의 동
사 자리이다. 선행사 The next item이
감명을 준 것으로, 목적어로 me가 뒤에
= charming ‘매력적인, 멋진’
있으므로 능동태인 impressed가 알맞다.
= delightful ‘기분 좋은, 마음에 드는’
④ ⑤ ⑥
It is a pleasant shade of green, with a lovely pattern of
clouds and cranes encircling the entire vase. ü기출 포인트 It is a pleasant shade of
= surrounding ‘둘러싼’
green, with a lovely pattern of clouds
해석 and cranes ⑥(encircling / encircled) the
그것은 아름다운 구름과 학 무늬가 화병 전체를 둘러싸고 있으며 기분 좋은
entire vase.
녹색 계열의 색을 띠고 있다.
⑥ 전치사 with의 목적어 a lovely pattern
④ 지칭: It은 앞 문장에 언급된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The Celadon Prunus of clouds and cranes에 이어지는 목적
Vase with Inlaid Cloud and Crane Design)을 가리킨다. 격보어 자리이다. a lovely pattern of
⑤ 명사 shade: ‘색조; (시원한) 그늘; (그림의) 음영, 명암’ clouds and cranes(아름다운 구름과 학
⑥ with+목적어+현재분사(-ing): ‘(목적어)가 ~하고 있는’ 무늬)가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뒤에 명
✔전치사 with의 목적어 a lovely pattern of clouds and cranes(아름다운 구름 사구 the entire vase가 목적어로 이어

과 학 무늬)가 둘러싸고 있는 것이므로, 목적격보어로 능동의 의미를 가진 현 지므로, 능동의 의미를 가진 현재분사
encircling(에워싸고 있는)이 알맞다.
재분사 encircling(에워싸고 있는)이 쓰였다.
cf) 목적어와의 관계가 수동일 때는 목적격보어로 과거분사를 쓴다.
e.g. with the sheep encircled by a fence

- 12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cf) asleep ‘잠이 든’ (x)



cf) full of energy ‘활기 있는’ ü기출 포인트 The cranes seem ①(to be
용 ①
정 The cranes seem to be alive and stretching their wings in / being) alive and stretching their wings
리 cf) folding ‘접고 있는’ (x) in search of freedom.
search of freedom.
① ‘~인 것처럼 보이다’의 뜻으로 ‘seem+to
cf) oppression ‘억압, 탄압’ (x) 부정사’를 사용하므로, to be가 알맞다.

해석 그 학들은 살아서 자유를 찾아 날개를 뻗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ü기출 포인트 The cranes seem to be
alive and ①(stretched / stretching) their
① seem+to부정사: ‘~인 것처럼 보이다’
wings in search of freedom.
✔병렬구조: be의 보어로 형용사 alive(살아 있는)와 현재분사 stretching(뻗고
① 흐름상 be의 보어로 앞의 형용사 alive
[펼치고] 있는)이 등위접속사 and로 병렬 연결되어 있다. 현재분사
와 등위접속사 and로 병렬 구조를 이루
stretching은 현재진행형(be동사+-ing)을 이루고 있으며, 목적어로
어야 하므로 형용사 역할을 할 수 있는
명사구 their wings가 이어진다. 분사가 연결되어야 한다. 뒤에 목적어로
✔‘주어+seem(s)+to부정사’는 ‘It seems that+주어+동사’로 바꿔 쓸 수 있다. 명사구 their wings가 이어지므로, 능동
→ It seems that the cranes are alive and stretching ~ 진행의 의미를 가진 현재진행형(be동사
+-ing)을 이룰 수 있는 현재분사
stretching이 알맞다.
② ③
Kansong bought the vase from a Japanese art dealer in
ü기출 포인트 Kansong ②(bought / has
1935.
bought) the vase from a Japanese art
해석 간송은 1935년에 일본인 미술상으로부터 그 화병을 샀다. dealer in 1935.
② 과거시제: 과거 시간 표현 in 1935(1935년에)와 함께 과거시제 bought가 쓰였다. ② 뒤에 과거 특정 시점을 나타내는 표현
✔과거시제는 보통 yesterday(어제), last week/month/year(지난 주/달/해), in+ in 1935가 있으므로 과거시제인 bought
가 알맞다.
연도(~년에), 숫자+years ago(~년 전) 등 과거의 특정 시점을 나타내는 표현
과 함께 쓰인다.
③ 지칭: the vase(그 화병)는 앞 문장에 언급된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the
Celadon Prunus Vase with Inlaid Cloud and Crane Design)을 가리킨다.

┏ the vase
④ ⑤
With the money he spent on it, Kansong could have bought ü기출 포인트 With the money he spent
cf) used to buy it ‘그것을 사는 데 썼다’ ④(it / on it), Kansong could ⑤(buy /
20 nice houses! cf) saved on it ‘그것에 대한 돈을 아껴두었다’ (x) have bought) 20 nice houses!
서술형 대비 ④ it은 앞 문장의 the vase를 가리키므로
cf) decent ‘괜찮은, 제대로 된’
흐름상 spent의 목적어가 될 수 없다.
해석 간송은 그것에 쓴 돈으로 좋은 집 20채를 살 수도 있었다! spent의 의미상 목적어는 ‘he ~ it’이
수식하는 명사구 the money이며,
④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동사 spent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he
it[=the vase]은 ‘spend A(돈/시간) on
spent on it’은 앞의 명사구 the money를 선행사로 수식하고 있으며,
B’ 표현에서 전치사 on의 목적어가 되
he 앞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생략되었다.
어야 하므로, 전치사 on을 쓴 on it이
→ With the money (which[that]) he spent on it, ~ 알맞다.
✔spend A(돈/시간) on B: ‘A(돈/시간)를 B에 쓰다’ ⑤ 흐름상 과거에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았
→ 전치사 on의 목적어로 쓰인 it은 앞 문장의 the vase(그 화병), 즉 「청자 던 일을 가정하고 있으므로, could
상감운학문 매병」(the Celadon Prunus Vase with Inlaid Cloud and Crane have p.p.(~했을 수도 있었다) 표현을
Design)을 가리킨다. 이루는 have bought가 알맞다.
⑤ could have p.p.: ‘~했을 수도 있었다’라는 의미로 주절에 쓰이며, 과거에 발생 ü기출 포인트 With the money ④(that /
했을 수도 있었던 일을 추측하거나 과거에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았던 which / what) he spent on it, Kansong
일을 가정할 때 사용된다. 위 문장에서는 실제 그러지 않았으므로 가정 could have ⑤(bought / been bought) 20
의 의미로 쓰였다. 주절에 쓰인 ‘could+동사원형’은 과거에 발생했을 수 nice houses!
도 있었던 일을 추측할 때에만 쓰인다. ④ 동사(spent)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cf) cannot have p.p.: ’~했을 리가 없다‘ 절(he spent on it)을 이끌어, 앞의 명사
must have p.p.: ‘~했음에 틀림 없다’ 구 the money를 선행사로 수식하는 관
계사절을 이루는 자리이므로, 목적격 관
may/might have p.p.: ‘~했을지도 모른다’
계대명사 that 또는 which가 알맞다.
should have p.p.: ’~했어야 했다 (그런데 하지 못했다)‘
⑤ 뒤에 목적어로 명사구 20 nice houses
✔could have bought의 목적어로 명사구 20 nice houses가 이어진다.
가 이어지므로 능동태가 되어야 한다.
cf) 20 nice houses could have been bought.
따라서 bought가 알맞다.

- 13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 proposed ‘제안했다’
① ② 내
Later, a different Japanese collector offered double the price ü기출 포인트 Later, a different Japanese

③ collector ①(offered / offering) double the 정
Kansong had paid for the vase.
서술형 대비 & 문장 삽입
price ③(that / what) Kansong had paid 리
for the vase.
해석 후에, 다른 일본인 수집가가 간송이 그 화병에 지급했던 금액의 두 배를 제안 ① 주어 a different Japanese collector가
제안한 주체로, 뒤에 목적어로 double
했다.
이하의 명사구가 이어지므로, 절의 동
① 능동태: 주어 a different Japanese collector가 제안한 주체이므로 능동태 과거 사로 능동태 과거형 offered가 알맞다.
형 offered가 쓰였으며, 목적어로 double 이하의 명사구가 이어진다. ③ had paid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참고] offer: v. ‘제의하다, 제안하다; 제공하다’ ‘Kansong had paid for the vase’를 이
n. ‘제의, 제안; 할인’ 끌어, 명사구 the price를 선행사로 수식
② double+the+명사: ‘두 배의 ~’라는 뜻으로, double은 정관사 the 앞에 쓰여 명사 하는 관계사절을 이루므로, 목적격 관계
를 꾸민다. the double price (x) 대명사 that이 알맞다.

[참고] 배수사 double(두 배의), twice(두 배의), ~ times(~배)는 전치한정사로 ü기출 포인트 Later, a different Japanese
중치한정사인 정관사 the나 소유격, 지시형용사의 앞에 쓰인다. collector offered ②(the double price /
e.g. double their salaries 그들 월급의 두 배 double the price) Kansong ③(has paid /
twice her age 그녀 나이의 두 배 had paid) for the vase.

three times this amount 이 양의 세 배 ② ‘두 배의 ~’라는 뜻으로 ‘double+the+명


사’의 어순이 되어야 하므로 double the
③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had paid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Kansong had
price가 알맞다.
paid for the vase’는 앞의 명사구 the price를 선행사로 수식하고 있으며,
③ 일본인 수집가가 금액을 제안한(offered)
Kansong 앞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생략되었다.
과거 시점보다 간송이 화병에 돈을 지급
→ the price (which[that]) Kansong had paid for the vase
했던 것이 더 먼저 일어난 일이므로, 과
✔과거완료(had p.p.): 일본인 수집가가 금액을 제안한(offered) 과거 시점보다 거완료(had p.p.)인 had paid가 알맞다.
간송이 화병에 돈을 지급했던 것이 더 먼저 일어난 일이
므로, 과거완료 시제인 had paid가 쓰였다.

cf) accepted the offer ‘그 제안을 받아들였다’ (x)


cf) decided to hand over the vase
‘그 화병을 넘기기로 결정했다’ (x)
cf) agreed to part with it ‘그것을 내주는 데 동의했다’ (x)
cf) rejected the offer ‘그 제안을 거절했다’
cf) Likewise ‘마찬가지로’ (x) cf) declined to sell it ‘그것을 파는 것을 거절했다’
cf) So ‘그래서’ (x) cf) refused to part with it ‘그것을 내주는 것을 거절했다’
④ ⑤ ⑥
However, Kansong refused to part with it because he knew ü기출 포인트 However, Kansong refused
┗ the vase ⑤(parting / to part) with it because he

that it was the most magnificent vase of its kind. knew ⑦(that / which) it was the most
┗ the vase = gorgeous ‘아름다운, 멋진’
문장 삽입 magnificent vase of its kind.

cf) ordinary ‘평범한’ (x) ⑤ refuse는 목적어로 to부정사를 취하는


동사이므로, refused의 목적어로 to
해석 하지만, 간송은 그것이 그런 종류의 화병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화병이라는 것 part가 알맞다.
⑦ 접속사 because가 이끄는 절의 동사
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것을 내주는 것을 거절했다.
knew의 목적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it
④ 접속부사 However: ‘그러나, 하지만’의 뜻으로, 앞 문장의 내용(일본인 수집가가 ~ kind)을 이끌고 있으므로 명사절 접
화병에 대해 간송이 지급했던 금액의 두 배를 제안한 것) 속사 that이 알맞다.
과 대조적인 흐름의 내용(간송이 그 제안을 거절한 것)을
연결한다.
⑤ refuse+to부정사: ‘~하는 것을 거절하다’의 뜻으로, refuse는 to부정사를 목적어
로 취하는 동사이다. 위 문장에서는 refused의 목적어로 to부
정사구인 to part with it이 쓰였다.
✔part with: ‘~을 내주다, ~을 포기하다’
⑥ 부사절 접속사 because: ‘~하기 때문에’라는 뜻의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절 접
속사로 완전한 절(he ~ kind)을 이끈다.
⑦ 명사절 접속사 that: 부사절의 동사 knew의 목적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it ~
kind)을 이끈다.

- 14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 is registered ‘등록[등재]되어 있다’


내 ① ② ③
Today it is listed as one of Korea's National Treasures. ü기출 포인트 Today it ②(listing / is

정 listed) as one of Korea's National
해석 오늘날 그것은 한국의 국보 중 하나로 등록되어 있다.
리 ③(Treasure / Treasures).
① 지칭: it은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the Celadon Prunus Vase with Inlaid ② 주어 it의 동사가 필요하며, 주어 it이 가
Cloud and Crane Design)을 가리킨다. 리키는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이 국보
② 수동태(be동사+p.p.): 주어 it이 가리키는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이 국보 목록 목록에 포함된 대상으로 뒤에 이어지는
에 포함된 대상이므로, 타동사 list((목록/명단/리스트)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준동사인 현재분사
포함시키다)의 수동태 is listed가 쓰였다. listing이 아니라 동사 역할의 수동태 is

[참고] list는 ‘목록에 실리다’라는 뜻의 자동사로도 쓰이므로, 현재형 lists도 가 listed가 알맞다.

능하다. ③ ‘~중 하나’라는 뜻의 ‘one of+the/소유


격+복수명사(구)’를 이루는 복수명사
③ 전치사 as: ‘~로서’라는 뜻의 전치사로 쓰여, 목적어로 명사구 one of Korea's
Treasures가 알맞다.
National Treasures가 뒤에 이어진다.
✔one of+the/소유격+복수명사(구): ‘~중 하나’
→ 위 문장에서는 one of 뒤에 소유격 Korea's와 복수명사구 National
Treasures가 쓰였다.

cf) amazing ‘놀라운’


cf) awful ‘끔찍한’ (x)
④ ⑤ ⑥
Seeing it in person was an absolutely breathtaking ü기출 포인트 ④(See / Seeing) it in
= definitely ‘확실히, 분명히’ person was an absolutely ⑥(breathtaking
experience! / breathtakingly) experience!
해석 그것을 직접 보는 것은 정말로 숨이 막히는 경험이었다! ④ 문장의 동사 was에 대한 주어 자리이므
로, 주어 역할을 할 수 있는 동명사
④ 주어로 쓰인 동명사: 문장의 주어로 동명사구인 ‘Seeing it in person’이 쓰였다.
Seeing이 알맞다.
✔지칭: 동명사 Seeing의 목적어로 쓰인 it은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the
⑥ 명사 experience(경험)를 수식하는 자리
Celadon Prunus Vase with Inlaid Cloud and Crane Design)을 가리킨다. 이므로, 형용사 breathtaking이 알맞다.
✔in person: ‘직접’
ü기출 포인트 Seeing it in person ⑤(was
⑤ 수일치: 동명사(구) 주어는 단수 취급하므로 단수동사 was로 수일치 시켰다.
/ were) an absolutely breathtaking
⑥ 형용사 breathtaking: ‘(너무 아름답거나 놀라워서) 숨이 막히는[멎는 듯한]’이라
experience!
는 뜻으로 뒤의 명사 experience(경험)를 수식한다.
⑤ 문장의 주어로 동명사구 Seeing it in
✔부사 absolutely는 ‘굉장히’라는 강조의 의미로 형용사 breathtaking을 수식하 person이 쓰였으며, 동명사(구) 주어는
고 있다. 단수 취급하므로, 이에 수일치 시킨 단
수동사 was가 알맞다.

- 15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Point Check Point Check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에 관한 사실들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의 가치 용

[본문3]에 소개된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의 특징과 가치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 간송이 그것에 쓴 돈으로 좋은 집 20채

들을 잘 정리해 두세요. 를 살 수도 있었다(With the money
he spent on it, Kansong could
Celadon Prunus Vase with Inlaid
have bought 20 nice houses!)는 문
name (이름) Cloud and Crane Design (「청자 상
장과, 다른 일본인 수집가가 간송이 그
감운학문 매병」)
화병에 지급했던 금액의 두 배를 제안했
kind (종류) a porcelain vase (자기 화병)
다(a different Japanese collector
a pleasant shade of green
color (색깔) offered double the price Kansong
(기분 좋은 녹색 계열의 색) had paid for the vase)는 문장을 통
a pattern of clouds and cranes 해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이 엄청난
pattern (무늬) encircling the entire vase (화병 전체 가치를 지니고 있다(The Celadon
를 둘러싸고 있는 구름과 학 무늬) Prunus Vase with Inlaid Cloud and
when and from whom Crane Design is of great value.)는
- in 1935 (1935년에)
Kansong purchased it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from a Japanese dealer (일본인 미
(간송은 그것을 언제
술상으로부터) ➜ 내용 추론하기 유형 출제
누구에게서 구입했는가)
how much Kansong paid
to purchase it (간송은 money equivalent to 20 nice
그것을 구입하기 위해 얼마를 houses (좋은 집 20채에 상응하는 돈)
지불했는가)
because he knew that it was the
the reason Kansong most magnificent vase of its kind
refused to sell it (간송이 (그것이 그런 종류의 화병 중에서 가장
그것을 팔기를 거절한 이유) 아름다운 화병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one of Korea's National Treasures
current status (현황)
(한국의 국보 중 하나)

➜ 세부정보 파악 유형 출제

- 16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내 Lesson 4 Build a Better World



정 본문 4 - A Protector of Our National Heritage


Finally, I saw the one item in the museum that I will never ü기출 포인트 Finally, I saw the one item
in the museum ①(that / where) I will
forget ② — an original ③
copy of the Hunminjeongeum Haerye.
never forget — an original copy of the
해석 마지막으로 나는 미술관에서 절대 잊을 수 없는 한 물품을 보았다. 바로 「훈민 Hunminjeongeum Haerye.

정음 해례본」의 원본이다. ① forget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I


will never forget)을 이끌어, 명사구 the
①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은 forget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I will never
one item을 선행사로 수식하는 관계사
forget)을 이끌어, 명사구 the one item을 선행사로 수식하는 관계사절 절을 이루는 자리이므로, 목적격 관계대
을 이루고 있으며, which로 바꿔 쓸 수 있고, 생략할 수도 있다. 문장의 명사 that이 알맞다. 참고로, 관계부사
균형을 위해 상대적으로 긴 관계사절을 부사구 in the museum 뒤에 where는 완전한 절을 이끈다.
위치시킨 경우이다.
→ the one item in the museum (that[which]) I will never forget
② 대시(dash): 앞의 명사구(the one item ~ forget)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나타
내는 명사구(an ~ Haerye)가 대시(―)로 연결된다.
③ 명사 copy: ‘(책·신문 등의) 한 부; 복사[복제]본; (신문·잡지 등에 실을) 원고, 기사’

‘보여주다’ illustrates cf)


‘말하다, 서술하다’ describes cf)
④ ⑤ ④ ⑥
This ancient book was written in 1446, and it explains ü기출 포인트 This ancient book ⑤(wrote

⑦ ⑧ / was written) in 1446, and it ⑥(explains


the ideas and principles behind the creation of Hangeul, the
/ is explained) the ideas and principles
동격
writing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behind the creation of Hangeul, the
writing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해석 이 아주 오래된 책은 1446년에 쓰였고, 그것은 한국어의 문자 체계인 한글 창 ⑤ 주어 This ancient book이 쓰인 대상으
제의 바탕이 되는 발상과 원리를 설명한다. 로, 뒤에 이어지는 목적어가 없으므로
④ 지칭: This ancient book과 it은 모두 앞 문장의 ‘the original copy of the 수동태 was written이 알맞다.

Hunminjeongeum Haerye(「훈민정음 해례본」의 원본)’을 가리킨다. ⑥ 주어 it이 가리키는 this ancient book이
설명하는 것으로, 뒤에 명사구 ‘the ~
⑤ 수동태(be동사+p.p.): 주어 This ancient book이 쓰인 대상이므로 수동태 was
language’가 목적어로 이어지므로 능동
written이 쓰였다.
태 explains가 알맞다.
✔과거시제: 과거 시간 표현 in 1446(1446년에)와 함께 과거시제로 쓰였다.
⑥ 현재시제: 책의 내용에 관한 변하지 않는 사실을 말하고 있으므로 현재시제
(explains)로 쓰였다.
⑦ 전치사 behind: ‘~의 뒤에 있는, ~ 이면의’를 뜻하는 전치사로 쓰여, 목적어로
명사구 ‘the creation ~ language’가 이어진다. behind 이하는
앞의 명사구 the ideas and principles를 수식한다.
⑧ 동격: 명사 Hangeul을 부연 설명하는 동격의 명사구 ‘the ~ language’가 콤마
(,)로 연결되어 있다.
Hangeul = the writing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 17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 discovered ‘발견된’

It ②
was found in Andong in 1940. 내
ü기출 포인트 It ②(found / was found /

was founded) in Andong in 1940. 정
해석 그것은 1940년에 안동에서 발견되었다.
② 주어 It이 가리키는 ‘The original copy 리
① 지칭: It은 ‘The original copy of the Hunminjeongeum Haerye(「훈민정음 해례 of the Hunminjeongeum Haerye(「훈민
본」의 원본)’을 가리킨다. 정음 해례본」의 원본)’가 발견되었다는
② 수동태(be동사+p.p.): 주어 It이 가리키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원본이 발견된 의미로 수동태(be동사+p.p.)를 써야 한
대상이므로 수동태 was found가 쓰였다. 다. 따라서 was에 find(찾다, 발견하다)
✔find(찾다, 발견하다) – found – found 의 과거분사 found가 이어진 was
cf) found(설립하다, 세우다) – founded – founded found가 알맞다. 참고로, founded는
found(설립하다, 세우다)의 과거분사로
✔과거시제: 과거 시간 표현 in 1940(1940년에)와 함께 과거시제로 쓰였다.
was founded는 ‘설립되었다’라는 의미
이므로 내용상 알맞지 않다.

cf) was under the Japanese control


‘일본 지배하에 있었다’
cf) was governed ‘지배를 받았다’
③ ④ ⑤
At that time, however, Korea was still occupied by Japan. ü기출 포인트 At that time, however,
Korea ⑤(still occupied / was still occupied)
해석 하지만, 그 당시에 한국은 여전히 일본에 의해 점령된 상태였다.
by Japan.
③ 지칭: At that time(그 당시에)은 1940년 안동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었 ⑤ 주어 Korea가 점령된 대상으로 뒤에 이
던 때를 가리킨다. 어지는 목적어 없이 ‘by+행위자(Japan)’
✔At that time = When it was found in Andong in 1940 구가 왔으므로 수동태(be동사+p.p.)를
④ 접속부사 however: ‘그러나, 하지만’의 의미로, 앞 문장의 내용(훈민정음 해례본 써야 한다. 따라서 was still occupied가
이 발견된 것)과 대조적인 흐름의 내용(발견 당시 한국이 알맞다.
일본에 점령된 상태였다는 것)을 연결한다.
⑤ 수동태(be동사+p.p.): 주어 Korea가 점령된 대상이므로 수동태 was occupied가
쓰였으며, 점령한 주체가 ‘by+행위자(Japan)’ 형태로 이어
진다. 부사 still(여전히)은 was occupied를 수식하고 있으
며, 부사가 절 중간에서 쓰이면 보통 일반동사 앞에, 그리
고 be동사, 조동사·완료의 have 뒤에 쓰이므로, 위 문장에
서는 was 뒤에 쓰였다..

‘금하다, 억압하다’ suppress cf)


‘~을 없애다’ do away with =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tended to get rid of the Point Check
cf) pretended ‘~인 척했다’ (x)
Korean language. 일본 정부가 한국어를 없애려고 한 의도
해석 일본 식민 정부는 한국어를 없애려 했다. 일본 정부는 한국의 정체성과 혼을 파괴
하기 위해(to destroy Korea's
⑥ intend+to부정사: ‘~할 작정이다, 고의로 ~하다’
identity and spirit) 한국어를 없애려
✔intended의 목적어로 to부정사구 ‘to get rid of the Korean language’가 쓰
고 했으며, 이에 따라 한국어 수업을 금
였다. intend는 목적어로 to부정사와 동명사를 둘 다 취할 수 있는 동사이므
지하고 한국어를 연구하는 학자들을 체
로, to get은 getting으로 바꿔 쓸 수 있다.
포했습니다.
→ ~ intended getting rid of the Korean language.
✔get rid of: ‘~를 없애다’
➜ 내용 추론 유형 출제

- 18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cf) were urged to teach ‘가르치도록 촉구 받았다’ (x)


내 cf) were allowed to teach ‘가르치도록 허용되었다’ (x)
용 cf) were prohibited from teaching ‘수업이 금지되었다’
서술형 대비 & 빈칸 추론


리 Schools were forbidden to teach lessons in Korean, and ü기출 포인트 Schools ①(forbade / were
forbidden) to teach lessons in Korean,
② ③
scholars who studied Korean were arrested. and scholars ②(who / which) studied
cf) praised ‘칭찬받는’ (x) Korean ③(arrested / were arrested).
cf) respected ‘존경받는’ (x) ① 주어 Schools가 금지당한 것으로, 뒤에
목적어 없이 to부정사구(to teach ~
해석 학교들은 한국어로 수업하는 것을 금지당했고, 한국어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체 Korean)가 바로 이어지므로, ‘forbid+목
포되었다. 적어+to부정사((목적어)가 ~하는 것을 금
① be forbidden+to부정사: ‘~하는 것을 금지당하다’라는 뜻으로, ‘forbid+목적어+to부 지하다)’의 수동 표현인 ‘be forbidden+to
부정사(~하는 것을 금지당하다)’를 써야
정사((목적어)가 ~하는 것을 금지하다)’의 수동 표현이다.
한다. 따라서 were forbidden이 알맞다.
✔주어 Schools가 금지당한 것이므로, 수동 표현인 were forbidden to teach가
②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studied
쓰였다.
Korean)을 이끌어, 명사 scholars를 수
[능동태] → It[=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forbade schools to
식하는 관계사절을 이루는 주격 관계
teach lessons in Korean, ~ 대명사 자리이다. 선행사 scholars(학
② 주격 관계대명사: who는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studied Korean)을 이끌어 자들)가 사람이므로 주격 관계대명사
사람 선행사인 scholars(학자들)를 수식하는 관계사절을 이루 who가 알맞다.
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that으로 바꿔 쓸 수 있다. ③ and 뒤에 이어지는 절의 주어 ‘scholars
→ scholars that studied Korean ~ Korean’이 체포된 대상이므로 수동태
③ 수동태(be동사+p.p.): and 뒤에 이어지는 절의 주어 scholars who studies (be동사+p.p.)를 써야 한다. 따라서
Korean(한국어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체포된 대상이며, were arrested가 알맞다.

주어의 핵인 scholars가 복수이므로, 복수동사 were로 수 ü기출 포인트 It forbade schools to


일치 시킨 수동태 were arrested가 쓰였다. ①(teach / teaching) lessons in Korean,
and scholars who studied Korean ③(was
/ were) arrested.
① forbid는 목적격보어로 to부정사를 취해
‘forbid+목적어+to부정사((목적어)가 ~하
는 것을 금지하다)’의 5형식으로 쓰이므로,
forbade의 목적어 schools 뒤에 목적격보
어로 to부정사(to+동사원형)가 와야 한다.
Point Check
따라서 to 뒤에 동사원형 teach가 알맞다.
「훈민정음 해례본」 ③ and 뒤에 이어지는 절의 주어가 관계사
절(who studied Korea)의 수식을 받고
「훈민정음 해례본」이 쓰여진 시기, 내용, 발견된 시기를 잘 정리해 두세요.
있는 복수명사 scholars이므로, 수동태
⦁1446년에 쓰였다. (It was written in 1446.) (be동사+p.p.)를 이루는 be동사로 복수
⦁한국어의 문자 체계인 한글 창제의 바탕이 되는 발상과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동사인 were가 알맞다.
(It explains the ideas and principles behind the creation of
Hangeul, the writing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1940년 안동에서 원본이 발견되었다.
(Its original copy was found in Andong in 1940.)
➜ 세부정보 파악 유형 출제

- 19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Lesson 4 Build a Better World 내



본문 5 - A Protector of Our National Heritage 정

① ②
From the moment he heard that the Hunminjeongeum ü기출 포인트 From the moment ①(when
cf) kept thinking ‘계속 생각했다’ / which) he heard that the
③ ④
Haerye had been discovered, Kansong couldn't stop thinking Hunminjeongeum Haerye ③(had discovered
/ had been discovered), Kansong couldn't
about it. stop ④(think / to think / thinking) about it.
┗ the Hunminjeongeum Haerye 문장 삽입
① 완전한 절(he ~ discovered)을 이끌어, 시
간을 나타내는 명사구 the moment(순간)
해석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들은 순간부터, 간송은 그것에 대한 을 선행사로 수식하는 관계부사절을 이루
생각을 멈출 수 없었다. 므로 관계부사 when이 알맞다.
③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이끄는 절의 주어
① 관계부사의 생략: 완전한 절 ‘he ~ discovered’는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구 the
the Hunminjeongeum Haerye(「훈민정음
moment(순간)를 선행사로 수식하고 있으며, he 앞에 관계부
해례본」)가 발견된 대상이므로 수동태를
사 when 또는 관계부사 대용의 that이 생략되어 있다. the 써야 한다. 따라서 과거완료 수동태인
moment와 같은 일반적인 시간 명사(구) 뒤에서 관계부사 had been discovered가 알맞다.
when은 that으로 바꿀 수 있고, 생략될 수 있다. ④ stop은 목적어로 동명사를 취하는 동사이
→ From the moment (when[that]) he heard that ~ 므로 thinking이 알맞다. 참고로, ‘stop+to
[참고] 관계부사는 선행사에 어울리는 전치사가 쓰인 ‘전치사+관계대명사’로 바 부정사’는 ‘~하기 위해 멈추다’의 뜻이므
꿔 쓸 수 있다. 로 흐름상 어색하다.
→ From the moment at which he heard that ~ ü기출 포인트 From the moment he heard
② 명사절 접속사 that: 관계부사절의 동사 heard의 목적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 ②(that / what) the Hunminjeongeum
(the ~ discovered)을 이끈다. Haerye ③(has / had) been discovered,
③ 과거완료 수동태(had been p.p.): 「훈민정음 해례본」은 발견된 대상이며(수동 Kansong couldn't stop thinking about it.
태), 그것이 발견된 것은 간송이 그 사실을 들은 과거(heard)의 ② the moment를 수식하는 절의 동사
시점보다 더 이전에 일어난 일이므로(과거완료), 과거완료 수 heard의 목적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
(the ~ discovered)을 이끌고 있으므로
동태인 had been discovered가 쓰였다.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알맞다.
④ couldn't stop -ing: ‘~하는 것을 멈출 수 없었다’
③ 흐름상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된 것
✔stop은 목적어로 동명사를 취하는 동사이므로, 뒤에 동명사 thinking이 왔다.
은 간송이 그 사실을 들은 과거(heard)
cf) stop+to부정사: ‘~하기 위해 멈추다’의 뜻으로, 이때 to부정사는 목적을
의 시점보다 더 이전에 일어난 일이므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이다.
로, 과거완료 시제를 써야 한다. 따라서
과거완료 수동태(had been p.p.)를 이루
는 조동사 had가 알맞다.

┏ the Hunminjeongeum Haerye


⑤ ⑤ ⑥
He knew he had to protect it at all costs. ü기출 포인트 He knew ⑤(that / which)
cf) protest cf) under no[any] circumstances he ⑤(has / had) to protect it at all costs.
‘반대하다’ (x) ‘무슨 일이 있어도, 어떤 경우에도’ ⑤ 동사 knew의 목적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 ‘he ~ costs’를 이끌고 있으므로 명
해석 그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그것을 지켜야만 한다는 것을 알았다. 사절 접속사 that이 알맞다.
⑤ 명사절 접속사 that의 생략: 동사 knew의 목적어로 완전한 절 ‘he ~ costs’가 주절이 과거시제(knew)이므로, 목적어절
의 동사 역시 과거시제로 일치시켜야
쓰였으며, knew와 he 사이에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다.
한다. 따라서 had가 알맞다.
→ He knew (that) he had to protect it at all costs.
✔시제일치: 주절의 과거시제(knew)에 맞춰 목적어절에도 과거시제 조동사인
had to가 쓰였다.
✔had to+동사원형: ‘~해야 했다’
⑥ at all costs: ‘무슨 수를 써서라도’

- 20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얻다’ gain =
내 ‘얻다’ acquire =
용 ① ② ③ ③
정 After years of waiting, he was finally able to obtain the ü기출 포인트 After years of ②(waited /
리 ‘어렵게 구하다, 입수하다’ procure cf) waiting), he was finally able to ③(obtain
book. (x) ‘양도하다, 내어주다’ yield cf) / obtaining) the book.
┗ the Hunminjeongeum Haerye (x) ‘팔다’ sell cf)
② 전치사 of의 목적어로 명사 상당어구가
(x) ‘기부하다’ donate cf)
와야 하므로, 동명사 waiting이 알맞다.
해석 수년간의 기다림 후에, 그는 마침내 그 책을 얻을 수 있었다. ③ ‘~할 수 있다’라는 뜻의 ’be able to+동
① 전치사 After: ‘~후에’라는 뜻의 전치사로 쓰여 뒤에 목적어로 명사구 years of 사원형‘ 구문을 이루는 동사원형 obtain
이 알맞다.
waiting이 이어진다.
cf) After가 접속사로 쓰일 경우, 완전한 절을 이끈다.
e.g. After he waited for several years, he was finally ~
② 목적어로 쓰인 동명사: 전치사 of의 목적어로 동명사 waiting이 쓰였다.
③ be able to+동사원형: ‘~할 수 있다’

↔ sold ‘팔았다’ (x)


④ ⑤ ⑥ ⑦
He purchased it at ten times the price the owner was ü기출 포인트 He purchased it at ten
⑧ ④ ⑤ times the price the owner was asking
asking and carefully hid it in his house. and carefully ④(hiding / hid) it in his
문장 삽입
cf) displayed ‘전시했다’ (x) house.
④ 주어 He가 사서 숨긴 것으로, 앞의 과
해석 그는 그것을 소유자가 요구한 가격의 10배에 샀고 그것을 그의 집에 조심스럽
거형 동사 purchased와 등위접속사
게 숨겼다.
and로 병렬 연결되어야 하므로 같은 과
④ 병렬구조: 과거형동사 purchased와 hid가 등위접속사 and에 의해 병렬 연결되 거형 동사 hid가 알맞다.
어 있다. ü기출 포인트 He purchased it at ⑥(ten
[참고] 위 문장에서 and 이하는 연속동작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으로 전환 가능 times the price / the ten times price) the
하다. owner was asking and ⑧(careful /
→ ~ asking, carefully hiding it in his house. carefully) hid it in his house.
⑤ 지칭: it은 모두 앞 문장의 the book, 즉 the Hunminjeongeum Haerye(「훈민정 ⑥ ‘~의 …배’라는 뜻으로 ‘배수사+the+명
음 해례본」)를 가리킨다. 사’ 어순이 되어야 하므로 ten times
⑥ … times+the+명사: ‘~의 …배’의 뜻으로, 배수사(… times/double/twice/etc.)는 the price가 알맞다.
정관사 the 앞에서 명사를 꾸민다. ⑧ 동사 hid를 수식하는 자리이므로 부사
⑦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was asking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the carefully가 알맞다.

owner was asking’은 명사구 the price를 수식하고 있으며, the owner ü기출 포인트 He purchased it at ten
앞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이 생략되었다. times the price ⑦(what / that) the owner
→ the price (which[that]) the owner was asking was asking, carefully ④(hid / hiding) it in
⑧ 부사 carefully: 동사 hid를 수식하고 있다. his house.
④ 완전한 문장(He ~ asking) 뒤에 접속사
없이 콤마(,)로만 연결되고 있으므로, ‘그
리고 (그는) 숨겼다’의 뜻으로 주절 주
어 He와 능동관계를 나타내며 흐름상
연속동작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을 이끌
수 있는 현재분사 hiding이 알맞다.
⑦ was asking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the owner was asking’을 이끌어,
명사구 the price를 선행사로 수식하는
관계사절을 이루는 자리이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이 알맞다.

- 21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cf) the Japanese defeated Korea ‘일본이 한국을 패배시켰다’ (x) 내


cf) the Japanese were defended ‘일본이 방어/옹호되었다’ (x) 용
cf) Korea lost its independence ‘한국이 독립을 잃었다’ (x) 정
cf) Korea regained its independence ‘한국이 다시 독립을 얻었다’ 리
① ② ③
When the Japanese were finally defeated, he was able to ü기출 포인트 When the Japanese ②(finally
defeated / were finally defeated), he was
share it with the rest of Korea.
able ③(share / to share) ③(it / them)
┗ the Hunminjeongeum Haerye
with the rest of Korea.
해석 마침내 일본이 패망하자, 그는 그것을 한국 국민과 공유할 수 있었다. ② 접속사 When이 이끄는 절의 주어 the
Japanese(일본인들)가 defeat(패배시키
① 부사절 접속사 When: ‘~할 때’라는 뜻의 시간 부사절 접속사로, 완전한 절(the
다)의 대상으로, 뒤에 이어지는 목적어
Japanese were finally defeated)을 이끈다. 가 없으므로 수동태(be동사+p.p.)를 써
② 수일치&수동태: 주어 the Japanese는 ‘일본인들’이라는 뜻으로 복수 취급하며, 야 한다. 따라서 were finally defeated
defeat(패배시키다)의 대상이므로, 복수동사 were로 수일치 시 가 알맞다.
킨 수동태 were defeated가 쓰였다. were와 defeated 사이에 ③ ‘~할 수 있다는 뜻의 ’be able to+동사
부사 finally가 삽입되었다. 원형‘ 구문을 이루는 to share가 알맞다.
③ be able to+동사원형: ‘~할 수 있다’ the Hunminjeongeum Haerye(「훈민정음
✔share A with B: ‘A를 B와 공유하다’ 해례본」)를 가리키므로, 단수 대명사인

[참고] share: v. ‘공유하다; 함께 쓰다; 나누다, 나눠 갖다, 나눠주다’ it이 알맞다.

n. ’몫, 지분‘

④ ⑤
The guide said that the Hunminjeongeum Haerye is the
ü기출 포인트 The guide said ④(that /
museum's most precious treasure. what) the Hunminjeongeum Haerye is the
= priceless ‘값을 매길 수 없는, 대단히 귀중한’ museum's most precious treasure.
= valuable ‘소중한, 귀중한’ ④ 동사 said의 목적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
= invaluable ‘매우 귀중한’ (the ~ treasure)을 이끌고 있으므로 명
↔ valueless ‘가치 없는, 쓸모없는’ (x) 사절 접속사 that이 알맞다.
↔ worthless ‘가치 없는, 쓸모없는’ (x)
해석 그 안내원은 「훈민정음 해례본」이 미술관의 가장 소중한 보물이라고 말했다.

④ 명사절 접속사 that: 동사 said의 목적어 자리에서 완전한 절(the ~ treasure)을


이끈다.
⑤ 시제일치의 예외: 주절의 동사는 과거(said)이지만 that절의 내용은 현재의 사실
에 해당하므로 현재시제 is가 쓰였다.

- 22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 the Hunminjeongeum Haerye


내 ① ①
Without it, the origins and fundamentals of Hangeul would ü기출 포인트 Without it, the origins and

정 fundamentals of Hangeul ①(will / would)
have been lost to history.
리 서술형 대비
have been lost to history.
cf)
have disappeared from history ‘역사에서 사라졌다’ ① 흐름상 과거 사실의 반대를 가정하고 있
cf)
have remained in history ‘역사에 남았다’ (x) 으므로 가정법 과거완료 표현인 ‘Without+
cf)
have been added to history ‘역사에 추가되었다’ (x) 명사(구), 주어+조동사 과거형+have p.p.(~가
cf)
have been passed down ‘전해졌다’ (x) 없었다면, …였을 텐데)’를 써야 한다. 따라
해석 그것이 없었다면, 한글의 기원과 기본 원칙은 전해지지 않았을 것이다.
서 과거형 조동사인 would가 알맞다.
① 가정법 과거완료 표현: ‘Without+명사(구), 주어+조동사 과거형+have p.p.’는 ‘~ ü기출 포인트 ①(Had it not been for /
가 없었다면, …였을 텐데)’라는 뜻으로 과거 사실의 반 Were it not for) it, the origins and
대를 가정하는 가정법 과거완료 표현이다. fundamentals of Hangeul would have
✔가정법 과거완료 표현에 쓰인 Without은 If it had not been for[Had it not ①(lost / been lost) to history.
been for]나 But for로 바꿔 쓸 수 있다. ① 흐름상 과거 사실의 반대를 가정하고
= If it had not been for it, the origins and fundamentals of Hangeul ~ 있으므로 가정법 과거완료 표현인 ‘Had
= Had it not been for it, the origins and fundamentals of Hangeul ~ it not been for+명사(구), 주어+조동사
= But for it, the origins and fundamentals of Hangeul ~ 과거형+have p.p.(~가 없었다면, …였을
텐데)’를 써야 한다. 따라서 Had it not
cf) 가정법 과거: Without+명사(구), 주어+조동사 과거형+동사원형‘
been for가 알맞다.
= If it were not for+명사(구), 주어+조동사 과거형+동사원형‘
주어인 ‘한글의 기원들과 기본 원칙들’
= Were it not for++명사(구), 주어+조동사 과거형+동사원형‘
이 ‘잃어지다’라는 의미로 주어와 수동
= But for+명사(구), 주어+조동사 과거형+동사원형‘ 관계이고 뒤에 이어지는 목적어가 없으
(~가 없다면, …일 텐데) <현재 사실의 반대를 가정> 므로 수동 표현을 이루는 been lost가
✔be lost to history: ‘역사에서 사라지다, 역사에 전해지지 않다’ 알맞다. 참고로, be lost to history는
[참고] be lost to: 1. ‘~을 느끼지 않다 ‘역사에서 사라지다, 역사에 전해지지
2. ~에게 가능성이 없다 않다’라는 뜻이다.
3. ~에서 사라지다‘
→ be lost to history 역사에서 사라지다
be lost to sight 시야에서 사라지다
be lost to shame 수치심이 없다
be lost to sense 감각이 사라지다

┏ The Hunminjeongeum Haerye



It has since been designated a National Treasure of Korea ü기출 포인트 It has since ②(designated
cf) designed ‘설계된’ (x) / been designated) a National Treasure

and included in the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of Korea and ②(includes / included /
↔ excluded from ‘~에서 제외된’ (x) including) in the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해석 그것은 이후에 한국의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포함되 ② 주어 It이 지정된 대상으로 뒤에 이어지
었다. 는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태를 써야 한
다. 따라서 현재완료 수동태(have[has]
② 현재완료 수동태(have[has] been p.p.):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상태
been p.p.)를 이루는 been designated가
를 나타내며(현재완료), 주어 It이 지정되고 포함된 대상이므로(수동
알맞다. 참고로, a National Treasure는
태) 현재완료 수동태가 쓰였다. has since been에 이어지는 과거분사
‘designate A (as) B(A를 B로 지정하다)’
designated와 included가 등위접속사 and로 병렬 연결되어 있다. 에서 B에 해당하며, 수동 표현인 ‘A be
✔A be designated (as) B: ‘A는 B로 지정되다’의 뜻으로, ‘designate A (as) B(A designated (as) B’에서 수동태 be
를 B로 지정하다)’의 수동 표현이다. designated 뒤에 이어진 것으로, 목적어
✔has와 been 사이에 온 since는 ‘이후에’라는 뜻의 부사로 쓰였다. ‘완료’ 용법 가 아님에 유의한다.
의 완료 시제는 just(방금, 막), already(이미), yet(아직), since(이후에)와 같은 주어 It이 포함된 대상으로 앞의 과거분
부사와 흔히 함께 사용된다. 사 designated와 등위접속사 and로 병
렬 연결되어 현재완료 수동태(have[has]
been p.p.)를 이루어야 하므로, 과거분
사 included가 알맞다.

- 23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 the Hunminjeongeum Haerye


① 내
Looking at the ancient book, I could feel Kansong's strong ü기출 포인트 ①(Look / Looking / Looked)

= conserving ‘보호하는 것’ at the ancient book, I could feel Kansong's
② 정
commitment to preserving Korean history. strong commitment to ②(preserve / 리
서술형 대비 & 빈칸 추론 preserving) Korean history.
= devotion to ‘~에의 헌신, 전념’
= dedication to ‘~에의 헌신’ ① 주어가 없으며, 콤마(,) 뒤에 완전한 절(I
cf) effort for ‘~에 대한 노력’ could ~ history)이 접속사 없이 이어지
cf) indifference to ‘~에 대한 무관심’ (x) 므로, 콤마 앞은 주절 앞에 쓰인 분사구
cf) compliment on ‘~에 대한 칭찬’ (x) 문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흐름상 ‘보면
서’라는 의미의 동시동작을 나타내는 주
해석 그 오래된 책을 보면서, 나는 한국 역사를 보호하려는 간송의 강한 의지를 느
절 주어 I와 능동관계의 현재분사
낄 수 있었다. Looking이 알맞다.
① 분사구문: ‘Looking at the ancient book’은 동시동작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으로, ② ‘~에의 전념, 헌신’이라는 뜻의 표현
‘~하면서’로 해석한다. 주절 주어 I가 ‘보면서’라는 의미로 주절 주어 commitment to에서 전치사 to 뒤에는
와 능동관계를 나타내는 현재분사 Looking이 쓰였다. 명사나 동명사 같은 명사 상당어구가
목적어로 와야 하므로 동명사 preserving
✔[부사절 전환] → As[While] I looked[was looking] at the ancient book, ~
이 알맞다.
② commitment to+명사/동명사: ‘~에의 전념, 헌신’이라는 뜻으로, 전치사 to 뒤
에는 명사나 동명사 같은 명사 상당어구가 목적어로 온다. 위
문장에서는 to 뒤에 동명사 preserving이 쓰였다.

Point Check Point Check

「훈민정음 해례본」을 지키기 위한 간송의 노력 간송의 노력이 일궈낸 결과


간송은 엄청난 노력과 비용을 들여 「훈
[본문4]는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었을 당시의 시대적 상황 → 책을 지키려
민정음 해례본」을 지켜냈으며, 그 결과,
는 간송의 다짐 → 책을 구입해 보관한 간송의 노력 → 일본의 패망과 「훈민정음
한글의 기원과 기본 원칙이 미래 세대에
해례본」의 공개 → 이후 「훈민정음 해례본」의 상황을 설명하는 순서로 진행되고
전해졌습니다.
있습니다. 글의 전개 과정을 잘 파악해 두세요.
또한 간송은 이 책을 발견 직후가 아닌 수년간의 기다림 끝에 얻었다는 것, 소유 → The origins and fundamentals
자가 원래 요구한 가격보다 훨씬 비싼 10배의 가격에 샀다는 것, 일본이 패망하기 of Hangeul were handed down
전까지 집에 숨겨 보관했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 두세요. to future generations.
➜ 세부정보 서술형 유형 출제
1940년 「훈민정음 해례본」 원본이 발견됨
- 당시 한국은 일본에 의해 점령된 상태였고, 일본 식민 정부는 한국어를
없애려 했음 (한국어 수업 금지, 한국어 연구하는 학자들 체포)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들은 순간부터, 간송은 그것에 대한
생각을 멈출 수 없었고, 무슨 수를 써서라도 그것을 지켜야만 한다는 것을 알았음

수년간의 기다림 끝에 마침내 그 책을 얻을 수 있었음
- 소유자가 요구한 가격의 10배에 구입

그것을 그의 집에 조심스럽게 숨김

일본이 패망하자, 그것을 한국 국민과 공유함

이후 「훈민정음 해례본」은 한국의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포함됨

➜ 순서배열, 문장 삽입, 내용 일치·불일치 파악 유형 출제

- 24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내 Lesson 4 Build a Better World



정 본문 6 - A Protector of Our National Heritage

① ②
Standing in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hall, surrounded by ü기출 포인트 ①(Stand / Stood / Standing)

③ in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hall,


Korean art, I could not stop thinking about Kansong.
surrounded by Korean art, I could not
서술형 대비
stop thinking about Kansong.
해석 한국 미술품에 둘러싸여 전시장 한가운데에 서서, 나는 간송에 대해 생각하는 ① 주어가 없으며, 뒤에 분사구문(surrounded
~ art)과 완전한 절(I could ~ Kansong)
것을 멈출 수가 없었다.
이 접속사 없이 콤마(,)로만 이어지므로,
① 분사구문: ‘Standing ~ hall’은 부대상황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으로, ‘~하면서’로 surrounded 앞부분 역시 분사구문의 형
해석한다. 참고로, ‘서다, 서 있다’의 뜻일 때 stand는 자동사이므로 태가 되어 두 개의 분사구문 뒤에 주절
수동의 의미를 가지는 과거분사로 쓸 수 없다. 주절 주어 I가 서 있 이 이어지는 구조를 이루어야 한다. 따
는 동작의 주체이므로 주절 주어와 능동관계임을 나타내는 현재분사 라서 흐름상 ‘서서’라는 의미로 부대상황
Standing이 쓰였다. 을 나타내는, 주절 주어 I와 능동관계의

✔[부사절 전환] → When I stood[was standing] in the middle of the 현재분사 Standing이 알맞다. 참고로,
‘서다, 서 있다’의 뜻일 때 stand는 자동
exhibition hall, ~
사이므로 수동의 의미를 가지는 과거분
② 분사구문: ‘surrounded by Korean art’는 부대상황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이다.
사로는 쓸 수 없다.
분사구문의 의미상 주어인 주절의 주어 I가 둘러싸여 있는 대상이므
ü기출 포인트 Standing in the middle of
로 수동의 의미를 가진 과거분사 surrounded(둘러싸인)가 쓰였으며,
the exhibition hall, ②(surrounding /
뒤에 ‘by+행위자(Korean art)’구가 이어진다. surrounded 앞에 being
surrounded) by Korean art, I could not
이 생략되어 있다.
stop thinking about Kansong.
✔[부사절 전환] → ~, as I was surrounded by Korean art, ~
② 주어가 없으며, 뒤에 완전한 절(I could
✔주절 앞에 분사구문 두 개가 연속으로 이어진 구조의 문장이다. ~ Kansong)이 접속사 없이 콤마(,)로만
→ Standing ~ hall, (being) surrounded by Korean art, I could ~ Kansong. 이어지므로, 앞의 분사구문(Standing ~
분사구문1 분사구문2 주절 hall)에 연속으로 이어지는 또 다른 분
③ couldn't stop -ing: ‘~하는 것을 멈출 수 없었다’ 사구문을 이루는 분사 자리이다. 분사구
✔stop은 목적어로 동명사를 취하는 동사이므로, 뒤에 동명사 thinking이 왔다. 문의 의미상 주어에 해당하는 주절의
cf) stop+to부정사: ‘~하기 위해 멈추다’의 뜻으로, 이때 to부정사는 목적을 주어 I가 둘러싸여 있는 대상이므로 수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이다. 동의 의미를 가진 과거분사 surrounded
(둘러싸인)가 알맞다.

④ ü기출 포인트
He was an amazing person! He was an ④(amazing /
amazed) person!
해석 그는 놀라운 사람이었다! ④ 수식받는 명사 person이 다른 사람들을
④ 현재분사형 형용사: amazing은 명사 person을 수식하는 형용사이다. 수식받는 놀라게 하는 주체이므로, 능동의 의미를
명사 person이 다른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주체이므로, 가진 현재분사형 형용사 amazing(놀라
‘놀라운’이라는 능동의 의미를 가진 현재분사형 형용사 운)이 알맞다.

amazing이 쓰였다.
cf) amazed: ’(매우) 놀란‘

- 25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 own ‘자기 자신의’


= gather ‘모으다’ = private ‘사적인, 개인의’ 내

He did not collect art for his personal enjoyment. 문장 삽입 정

해석 그는 자신의 개인적인 즐거움을 위해 미술품을 수집하지 않았다.

① ② ③
He did it to protect Korea's cultural identity during the ü기출 포인트 He did it ②(protected / to
cf) tough ‘어려운, 힘든’ protect) Korea's cultural identity ③(during
harsh Japanese colonial period. / while) the harsh Japanese colonial
문장 삽입 & 빈칸 추론 period.
cf) occupation ‘점령’
② 동사 did가 쓰인 완전한 절에 또 다른
해석 그는 혹독한 일제 강점기 동안 한국의 문화적 독자성을 보호하기 위해 그 일 동사가 접속사 없이 연결될 수 없으므
을 했다. 로 준동사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흐름
상 ‘보호하기 위해’라는 의미로 이어져
① do it: collected art를 대신해 did it이 쓰였다.
야 하므로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
✔‘동사+목적어’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do it/do that을 쓸 수 있다. 주어가 3인 법의 to부정사인 to protect가 알맞다.
칭 단수인 경우에는 do 대신 does를 쓰며, 시제가 과거일 때는 did를 쓴다. ③ 뒤에 명사구 the harsh Japanese
②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 to protect 이하는 목적(~하기 위해서)을 나타내는 부 colonial period가 이어지므로, 명사
사적 용법의 to부정사구이다. (구)를 목적어로 취하는 전치사 during
③ 전치사 during: ‘~동안’의 뜻으로, 목적어로 기간을 나타내는 명사구 the harsh 이 알맞다. 참고로, while은 접속사이
Japanese colonial period가 이어진다. 므로 뒤에 완전한 절, 분사, 부사구,
cf) 접속사 while: ‘~하는 동안’의 뜻으로, 뒤에 완전한 절, 분사, 부사구, 보어가 보어가 온다.
온다.

cf) continued ‘계속했다’ (x)


cf) lost ‘잃었다’ (x) ↔ started ‘시작했다’ (x)
④ ⑤
After Korea regained its independence, he stopped collecting ü기출 포인트 After Korea regained its
⑥ ⑦ ⑧ ⑨ ⑩ independence, he stopped ⑤(to collect /
art, as he knew it would safely remain in Korea. 빈칸 추론
collecting) art, as he knew it would
⑨(safe / safely) remain in Korea.
해석 한국이 독립을 되찾은 후에, 그는 미술품을 수집하는 것을 그만두었는데, 그는 ⑤ 흐름상 수집하는 것을 그만두었다는 뜻
이 되어야 하므로, stopped의 목적어로
미술품이 안전하게 한국에 남아 있으리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동명사 collecting이 알맞다. 참고로,
④ 부사절 접속사 After: ‘~한 후에’라는 뜻의 시간 부사절 접속사로 쓰여 완전한 stop 뒤에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
절(Korea regained its independence)을 이끌고 있다. 법의 to부정사가 오면 ‘~하기 위해 멈
⑤ stop+동명사: ‘~하는 것을 멈추다’의 뜻으로, stop은 목적어로 동명사를 취한다. 추다’의 뜻이므로 to collect는 흐름상
위 문장에서는 stopped의 목적어로 동명사구 collecting art가 쓰 알맞지 않다.
였다. ⑨ 동사 remain((없어지지 않고) 남다)을 수
cf) stop+to부정사: ‘~하기 위해 멈추다’의 뜻으로, 이때 to부정사는 목적을 나 식하므로 부사 safely가 알맞다.
타내는 부사적 용법이다.
⑥ 부사절 접속사 as: ‘~하기 때문에’라는 뜻의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로 쓰여 완
전한 절(he ~ Korea)을 이끌고 있다.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 Point Check
사 as는 since나 because로 바꿔 쓸 수 있다.
⑦ 명사절 접속사 that의 생략: 접속사 as가 이끄는 절의 동사 knew의 목적어로 간송이 미술품을 수집한 목적 & 이후

완전한 절(it ~ Korea)이 쓰였으며, it 앞에 명사절 수집을 멈춘 이유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다. ⦁목적: 개인적인 즐거움을 위해서가 아


→ ~ knew (that) it would safely remain in Korea. 닌, 일제 강점기 동안 한국의 문화적
⑧ 지칭: it은 앞의 art를 가리킨다. art는 ‘예술품’이라는 의미의 불가산명사로 쓰였 독자성을 보호하기 위해서
으므로, 단수 대명사인 it이 쓰였다. ⦁수집을 멈춘 이유: 한국이 독립을 되
⑨ 부사 safely: ‘안전하게’의 뜻으로 동사 remain을 수식한다. 찾으면서 미술품이 안전하게 한국에
⑩ 자동사 remain: 조동사 would에 연결되는 동사원형 remain은 ‘(없어지지 않고) 남아있게 되었으므로
남다’를 뜻하는 자동사로 쓰였다. ➜ 빈칸추론, 세부정보 서술형 유형 출제
cf) 2형식 동사로 쓰일 때 remain은 형용사를 보어로 취하며, 이때는 ‘계속 ~이
다’의 뜻이다.

- 26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내 ①
During our country's worst time, a single man was able to ü기출 포인트 ①(While / During) our

cf) help Korea maintain its national identity ‘한국이 국가적 정체성을 유지하도록 돕다’ country's worst time, a single man was

리 defend Korea's national spirit and pride. able to defend Korea's national spirit and
빈칸 추론
= protect ‘지키다, 보호하다’ pride.

cf) lower ‘저하시키다’ (x) ① 뒤에 명사구 our country's worst time


이 이어지므로, 명사(구)를 목적어로 취
해석 우리나라의 가장 힘든 시기 동안에, 한 남자가 홀로 한국의 민족혼과 자부심을 하는 전치사 During이 알맞다. 참고로,
while은 접속사이므로 뒤에 완전한 절,
지켜낼 수 있었다.
분사, 부사구, 보어가 온다.
① 전치사 During: ‘~동안’의 뜻으로, 목적어로 기간을 나타내는 명사구 our
country's worst time이 이어진다.
cf) 접속사 while: ‘~하는 동안’의 뜻으로, 뒤에 완전한 절, 분사, 부사구, 보어가 온다.
✔our country's worst time(우리나라의 가장 힘든 시기)은 일제 강점기 시대를
의미한다. = the harsh Japanese colonial period(혹독한 일제 강점기)
Point Check
‘핵심적인, 가장 중요한’ core =
간송에 대한 글쓴이의 심경
‘핵심적인, 필수적인’ fundamental =
글쓴이는 우리나라의 가장 힘든 시기였

Thanks to him, we are still able to experience an essential 던 일제 강점기 동안 간송이 한국의 민
cf) appreciate ‘인식하다’ 족혼과 자부심을 지켜낸 덕분에, 오늘날
part of Korean culture today.
빈칸 추론 우리가 한국 문화의 중요한 부분들을 경
험할 수 있다고 말하며, 감사한
해석 그 덕분에, 우리는 오늘날 한국 문화에서 대단히 중요한 부분을 여전히 경험할 (thankful/grateful) 마음을 표현하고
수 있다. 있습니다.
② Thanks to: ‘~덕분에’의 뜻으로 전치사 to 뒤에 목적어로 대명사 him이 왔다. ➜ 심경 추론 유형 출제

ü기출 포인트 ③(Found / Founding /


Founded) in 1938, the Kansong Art

Founded in 1938, the Kansong Art Museum was Korea's first Museum was Korea's first private
museum.
private museum. ③ 주어가 없으며, 콤마(,) 뒤에 완전한 절
문장 삽입
cf) privately owned ‘개인이 소유한’ (the ~ museum)이 접속사 없이 이어지
므로 콤마(,) 앞은 주절 앞에 쓰인 분사
해석 1938년에 설립된 간송 미술관은 한국 최초의 사립 미술관이었다.
구문이 되어야 한다. 분사구문의 의미상
③ 분사구문: ‘Founded in 1938’은 주어 the Kansong Art Museum을 부연 설명하 주어에 해당하는 주절의 주어 the
는 분사구문이다. the Kansong Art Museum(간송 미술관)이 설립된 Kansong Art Museum(간송 미술관)이
대상이므로 수동의 의미를 가지는 과거분사 Founded가 쓰였다. 설립된 대상으로 수동의 의미가 되어야
✔found(설립하다, 세우다) – founded – founded 하므로, found(설립하다, 세우다)의 과거
cf) find(찾다, 발견하다) – found – found 분사인 Founded가 알맞다. 참고로, find
(찾다, 발견하다)의 과거분사인 Found
(발견된)를 쓸 경우 의미가 어색하므로
알맞지 않다.

④ ⑤ ⑥ ⑤
When Kansong built it, he named it Bohwagak. ü기출 포인트 When Kansong built it, he
⑥(named / was named) it Bohwagak.
해석 간송이 그것을 지었을 때, 그는 그것을 보화각이라고 이름 지었다.
⑥ 주어 he가 이름을 지은 주체로, 목적어
④ 부사절 접속사 When: ‘~할 때’라는 뜻의 시간 부사절 접속사로, 완전한 절 로 대명사 it이 뒤에 이어지므로 능동태
(Kansong built it)을 이끈다. 인 named가 알맞다.
⑤ 지칭: it은 모두 앞 문장의 the Kansong Art Museum(간송 미술관)을 가리킨다.
⑥ name A B: ‘A를 B라고 이름 짓다’
cf) 수동 표현은 ‘A be named B(A는 B로 이름 붙여지다)’로, be p.p. 뒤에 능동
표현에서 목적격보어였던 B를 그대로 이어 쓴다.
e.g. It was named Bohwagak.

- 27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 Bohwagak
① ② ③ 내
He used the building as a place to store all of the ü기출 포인트 He used the building as a

④ place ②(store / stored / to store) all of 정
important cultural items he had collected over the years.
the important cultural ③(item / items) he 리
서술형 대비
④(has / had) collected over the years.
해석 그는 그 건물을 그가 수년 동안 수집한 모든 중요한 문화적 물품들을 보관하 ② 동사 used가 쓰인 완전한 절에 접속사
없이 또 다른 동사가 연결될 수 없으므
는 장소로 사용했다.
로 준동사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흐름
① 전치사 as: ‘~로’라는 뜻의 전치사로 쓰여 목적어로 a place 이하의 명사구를 상 앞의 명사구 a place를 수식해야 하
취하고 있다. 므로 형용사적 용법의 to부정사인 to
② 형용사적 용법의 to부정사: to store 이하는 명사구 a place를 수식하는 형용사 store가 알맞다.
적 용법의 to부정사구이다. ③ all은 가산명사를 수식할 때 항상 복수
③ all of+한정사+명사(구): all은 불가산명사나 복수명사(items)를 수식하며, all 뒤 명사를 수식하며, item은 가산명사이므
에 한정사(the/my/this/etc.)로 시작하는 명사구를 쓸 때 전치사 of 로 복수형인 items가 알맞다.

로 연결하거나 of를 생략하고 쓸 수 있다. 가산단수명사를 꾸밀 ④ 간송이 건물(보화각)을 사용했던 과거보


다 문화적 물품을 수집했던 것이 더 먼
때는 all이 아닌 whole을 사용한다.
저 일어난 일로, 주절의 과거시제(used)
→ all (of) the important cultural items
보다 앞선 과거완료(had p.p.) 시제를
cf) all important cultural items / the whole important cultural item
이루는 조동사 had가 알맞다.
[참고] all 뒤에 대명사 this, that, these, those이 오면 전치사 of로 연결하고
ü기출 포인트 He used the building as a
생략할 수 있지만, 대명사 them, you, us, it, what, which, whom이 오
place to store all of the important
면 생략하지 않는다.
cultural items ④(that / what) he had
all this (o) → all of this (o)
collected over the years.
all us (x) → all of us (o)
④ had collected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
④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had collected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 ‘he 한 절(he had collected over the years)
had collected over the years’는 명사구 all of the important cultural 을 이끌어, 명사구 all of the important
items를 수식하고 있으며, he 앞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또는 cultural items를 선행사로 수식하는 관
that이 생략되었다. 선행사에 all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관계대명사 that 계사절을 이루는 자리이므로, 목적격 관
이 which보다 훨씬 선호된다. 계대명사 that이 알맞다.
→ all of the important cultural items (that[which]) he had collected
over the years
✔과거완료(had p.p.): 간송이 건물(보화각)을 사용했던 과거보다 문화적 물품을
수집했던 것이 더 먼저 일어난 일로, 주절의 과거시제
(used)보다 앞선 과거완료시제 had collected가 쓰였다.

= passed away ‘돌아가셨다’


⑤ ⑥
Kansong died in 1962, and Bohwagak was renamed the ü기출 포인트 Kansong died in 1962, and
Bohwagak ⑥(renamed / was renamed)
Kansong Art Museum in 1966.
the Kansong Art Museum in 1966.
해석 간송은 1962년에 사망했고, 보화각은 1966년에 간송 미술관으로 개명되었다. ⑥ and 뒤에 이어지는 절의 주어
⑤ 과거시제: 과거 시간 표현(in 1962, in 1966)과 함께 과거시제(died, was)가 각각 Bohwagak이 개명된 대상으로 뒤에
이어지는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태
쓰였다.
was renamed가 알맞다. 참고로, 명사
✔과거시제는 보통 yesterday(어제), last week/month/year(지난 주/달/해), in+
구 the Kansong Art Museum은
연도(~년에), 숫자+years ago(~년 전) 등 과거의 특정 시점을 나타내는 표현
‘rename A B(A를 B로 개명하다[다시
과 함께 쓰인다. 이름 짓다])’에서 목적격보어(B)에 해
✔자동사 die: ‘죽다’라는 뜻의 자동사로, 수동태로 쓸 수 없다. was died (x) 당하며, 수동 표현(A be renamed B)
⑥ A be renamed B: ‘A는 B로 개명되다’의 뜻으로, ‘rename A B(A를 B로 개명하 에서 was renamed 뒤에 그대로 이어
다[다시 이름 짓다])’의 수동 표현이다. 지므로 목적어가 아님에 유의한다.
✔and 뒤에 이어지는 절의 주어 Bohwagak이 개명된 대상이므로, 수동태 was
renamed가 쓰였으며, 능동태에서 목적격보어였던 the Kansong Art Museum
이 뒤에 그대로 이어진다.

- 28 -
개정 영어I NE능률(김성곤) Lesson 4

┏ The Kansong Art Museum


내 ① ②
용 It now holds about 5,000 items, including 12 Korean ü기출 포인트 It now holds about 5,000
정 items, ②(includes / including / included)
National Treasures.
리 12 Korean National Treasures.
해석 그것은 현재 한국의 국보 12점을 포함하여 약 5,000점의 물품을 소장하고 있다. ② 명사구 12 Korean National Treasures를
목적어로 취하는 전치사 including(~를
① 현재시제: 현재의 사실을 나타내므로 부사 now(현재)와 함께 현재시제 holds가
포함하여)이 알맞다. 참고로, 동사 holds
쓰였다.
가 쓰인 완전한 절에 접속사 없이 또
✔타동사 hold: 위 문장에서 holds는 ‘담다, 수용하다’라는 뜻의 타동사로 쓰여,
다른 동사가 연결될 수 없으므로 현재
목적어로 명사구 about 5,000 items(약 5,000점)가 이어진다. 형 includes나 과거형 included는 쓸 수
✔부사 about: ‘약, ~쯤’ 없으며, 목적어를 취할 수 없는 과거분
② 전치사 including: ‘~를 포함하여’라는 뜻의 전치사로, 목적어로 명사구 12 사 included 역시 올 수 없다.
Korean National Treasures를 취하고 있다.

Point Check Point Check


간송 미술관(The Kansong Art Museum) 한국문화의 보고인 간송미술관의 역사
간송미술관은 간송이 자신이 수집한 문화적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직접 설립한 최 [본문5]의 뒷부분은 간송미술관의 역사
초의 사립미술관입니다. 설립 당시 간송은 그것을 ‘보화각’으로 이름지었으나, 그 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의 주제
의 사망 뒤 ‘간송미술관’으로 개명되었습니다. 간송미술관에 관해 본문에 설명된 및 제목을 정리해두세요.
내용들을 확인하고 기억해두세요. ⦁History of the Kansong Art
⦁1938년에 설립됨(founded in 1938) Museum (간송미술관의 역사)
⦁한국 최초의 사립미술관(Korea's first private museum) ⦁A Treasure House of Korean
⦁간송이 처음 그것을 지었을 때 보화각(Bohwagak)이라고 이름지었음 Culture (한국 문화의 보물창고)
⦁간송은 그 건물을 그가 수집한 모든 중요한 문화적 물품들을 보관하는 장소(a ➜ 주제 및 요약문 완성하기 출제
place to store all of the important cultural items he had collected)
로 사용했음
⦁1962년 간송이 사망한 뒤, 1966년에 간송 미술관으로 개명됨(renamed)
⦁현재 한국의 국보 12점을 포함하여(including 12 Korean National
Treasures) 약 5,000점의 물품을 소장하고 있음
➜ 세부정보 파악 유형 출제

- 2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