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6

경남

산업·경제동향
I 2022년 통권 제21호 12월호 I

yeong

nam
conomic

romotion

gency
2022년 12월호 통권 제21호
2022년 12월호 통권 제21호

Part.1
Ⅰ 대내외 경제동향 ··············································· 11
경남 산업·경제동향
1. 해외경제 ······················································ 11
2. 국내경제 ······················································ 17
3. 경남경제 ······················································ 23

Ⅱ 외환시장·원자재가격 동향 및 전망 ················· 32

1. 외환시장 ······················································ 32
2. 원자재가격 ·················································· 35

Ⅲ 경남지역 주력산업 동향 ·································· 39

1. 조선 ······························································ 39
2. 자동차 ·························································· 44
3. 일반기계 ······················································ 48
4. 금속가공 ······················································ 53

Part.2
민선 8기 이전 경남경제에 누적된 문제점과 해결방안 ··· 59
경남 산업·경제이슈
1. 민선 8기 출범에 즈음한 경남 실물경제 동향··· 59
2. 민선 8기 이전 경남경제에 누적된 문제점 ···· 61
3. 해결방안 모색 ············································· 67
Part.1 경남 산업·경제동향

1. 대내외 경제동향
2. 외환시장·원자재가격 동향 및 전망
3. 경남지역 주력산업 동향
󰊱 해외경제
 금년 9월 세계 산업생산 및 교역량 증가폭 확대
 9월 세계 산업생산지수는 134.4로 8월의 134.1 대비 상승, 9월 상품교역량 지수는
136.8로 8월의 136.6 대비 상승

세계 산업생산 증가율 추이1) 세계 상품교역량 추이1)

주 : 1) 전년동월대비 주 : 1) 전년동월대비
자료 : CPB(Centraal Planbureau) 자료 : CPB(Centraal Planbureau)

 11월 세계 구매자관리지수(PMI)는 전월대비 전산업 1.0p, 제조업 0.6p, 서비스업


1.1p 하락하여 전체 산업 부문에서 부정적 경제심리 확대
* 구매자관리지수(PMI)는 현 경제상황을 가장 신속히 전달하는 지표로, 기업의 신규주문·생산·출하·고용 등을
수치화하여 지수가 50 이상이면 확장, 50 이하는 수축을 의미

 OECD 경기선행지수는 98.39로 추가 하락, 세계성장률 전망도 2.1%로 하향 조정

세계 PMI 추이1) OECD 경기선행지수1) 및 세계경제성장률 전망

주 : 1) 기준선 50 이상은 경기확장, 미만이면 주 : 1) 기준선 100을 하회하면 경기축소,


경기수축을 의미 상회하면 경기팽창을 의미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3
󰊲 국내경제
 국내경제는 생산 증가폭 축소, 소비 감소, 수출 적자, 설비투자 증가폭 축소, 건설투자
감소 등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11월중 소비자물가는 상승폭 둔화*
* 소비자물가상승률(전년동월대비, %) : (΄22.8월) 5.7 → (9월) 5.6 → (10월) 5.7 → (11월) 5.0

 (생산) 10월중 자동차(22.8%), 기타 운송장비(16.0%)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1차 금속


제조업(-18.5%), 화학물질·화학제품(-13.2%), 전자부품·컴퓨터(-6.1%)의 부진으로 전
년동월대비 1.1% 감소
 서비스업 생산의 경우 예술·스포츠·여가(24.4%), 숙박·음식점(15.9%), 운수창고업(6.9%)
등의 호조로 전년동월대비 5.0% 증가하였으나, 전월대비 0.8% 감소

제조업 생산지수 추이1) 서비스업 생산지수 추이1)

주 : 1) ‛22년 9, 10월은 잠정치 주 : 1) ‛22년 9, 10월은 잠정치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자료 : 통계청; 경제일반·경기; 전산업생산지수

 (소비) 10월중 소매판매는 전년동월대비 0.7% 감소하였고, 11월 소비자심리지수*


의 경우 10월 대비 2.3p 하락한 86.5를 기록
*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들의 경제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종합지수로서
기준선 100 이상은 긍정, 미만이면 부정을 의미

소매판매액지수 증가율 추이1) 전국 소비자심리지수 추이1)

주 : 1) ‛22년 9, 10월은 잠정치 주 : 1) 기준선 100 이상은 긍정, 미만이면 부정을


자료 : 통계청; 도소매·서비스; 서비스업동향조사 의미
자료 : 한국은행; 소비자동향조사

4
 (투자) 10월중 설비투자는 전년동월대비 16.8% 증가하였고 건설수주액은 건축 부문
(-47.8%)을 중심으로 40.5% 감소

설비투자지수 증가율 추이1) 국내 건설기성액 및 건설수주액 증가율 추이1)2)

주 : 1) ‛22년 9, 10월은 잠정치 주 : 1) 전년동월대비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자료 : 통계청; 경제일반·경기; 설비투자지수 자료 : 통계청; 건설; 건설경기동향조사

 (수출) 10월중 국내 수출은 세계경제 둔화 전망이 강해지면서 반도체(92.3억달러, -17.4%),


석유화학(37.3억달러, -25.5%), 일반기계(39.2억달러, -3.4%) 등 주력 수출제품 수요 감소
로 5.7% 감소하였고, 수입이 9.9% 증가하며 무역수지는 67.0억달러 적자

수출 및 수입 증가율 추이1) 일평균 수출액 및 증가율 추이1)2)

주 : 1) ‛22년은 잠정치 2) 전년동월대비 주 : 1) ‛22년은 잠정치 2)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자료 : 한국무역협회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 (고용·물가) 10월중 국내 실업률 및 고용률(계절조정)은 2.8%, 62.2% 기록하였고


11월중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5.0% 상승

실업률 및 고용률 추이1) 소비자물가상승률 추이1)

주 : 1) 계절조정 주 : 1) 전년동월대비
자료 : 통계청; 노동;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 : 통계청; 물가; 소비자물가조사

5
󰊳 경남경제
 10월중 경남경제는 생산 및 소비가 증가하였고 고용이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으나,
수출이 감소하고 투자 및 소비 심리는 기준선을 하회하는 모습, 11월 경남 물가는
5.2% 상승

 (생산·투자) 10월중 경남지역 제조업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9.6% 증가하였으나 제조업


투자실적(BSI)은 전월에 비해 하락

경남 제조업 생산 증가율 추이1) 경남 제조업 설비투자실적(BSI) 추이1)

주 : 1) ‛22년 9, 10월은 잠정치 주 : 1) 기준선 100 이상은 긍정, 미만이면 부정을


의미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자료 : 한국은행; 기업경기실사지수

 (소비) 10월중 경남지역 대형소매점 판매는 전년동월대비 8.6% 증가, 전월대비 3.3%
감소, 11월중 경남지역 소비자심리지수*는 91.3으로 전월보다 상승
*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들의 경제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종합지수로서
기준선 100 이상은 긍정, 미만이면 부정을 의미

경남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 증가율 추이1)2) 경남 소비자심리지수 추이1)

주 : 1) ‛22년 9, 10월은 잠정치 주 : 1) 구성지수 : 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
자료 : 통계청; 도소매·서비스; 서비스업동향조사 자료 : 한국은행; 소비자동향조사

6
 (대외거래) 10월중 경남지역 수출은 전자전기제품(-32.0%), 선박(-22.1%) 등을 중심
으로 전년동월대비 5.2% 감소, 수입은 LNG(121.8%), 유연탄(320.0%) 등 에너지
품목을 중심으로 44.7% 증가, 무역수지는 3억달러 흑자 전환

경남 수출액 및 증가율 추이1) 경남 수입액 및 증가율 추이1)

주 : 1)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주 : 1)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자료 : 한국무역협회 자료 : 한국무역협회

 (고용) 10월중 경남지역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16천명 감소하며 전월(-26천명)에


비해 감소폭이 축소되었고, 실업률은 2.6%로 전월보다 0.2%p 하락

경남 취업자수 추이1) 경남 실업률 및 고용률 추이

주 : 1) 농림어업·광업·건설업 제외
자료 : 통계청; 노동;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 : 통계청; 노동; 경제활동인구조사

 (물가) 11월중 경남 소비자물가는 전기·가스·수도(21.5%), 가공식품(9.9%) 및 석유류


(7.8%) 등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5.2% 상승하며 전월(5.9%)에 비해 상승폭 축소

경남 소비자물가상승률 추이1) 경남 품목성질별 물가상승 기여도 추이1)

주 : 1) 전년동월대비 주 : 1) 전년동월대비
자료 : 통계청; 물가; 소비자물가조사 자료 : 통계청; 물가; 소비자물가조사

7
󰊴 외환시장·원자재 가격 동향
 (외환시장) 1,428.5원으로 시작한 11월 환율은 미국 소비자물가 서프라이즈로 인해
하루 59.1원 하락하는 등 원화의 초강세로 1,318.8원 마감
 11월의 원화 강세는 선물시장의 예상을 벗어나는 모습을 보여준 만큼 원화의 추가 강세 여지는
제한적이라는 것이 시장의 견해

원/달러 환율 추이1)

주 : 1) 매매기준율
자료 : 서울외국환중개

 (국제유가) 11월중 국제유가는 배럴당 85~90달러 수준을 중심으로 등락하는 모습


 OPEC+는 일일 200만배럴 감산유지, 미국 및 비OPEC+ 국가의 추가 증산은 없어 공급 증가는
제한되었으나 재고 여유 및 수요 감소 전망으로 인해 소폭 하락
 러시아산 유가 상한제, OPEC+ 회의 수시개최, 미국-유럽 간 천연가스 갈등 등 불안요인
산재해 작은 충격에도 유가가 매우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

 (비철금속) 11월중 금속가격은 LME의 러시아산 광물 거래 재개에도 불구하고, 달러


약세 및 고금리 국면 조기 종료 기대로 전반적 상승
 런던금속거래소(LME)의 월평균 구리 가격은 톤당 8,063.3달러로 전월대비 6.6% 상승,
월평균 알루미늄 가격은 톤당 2,369.4달러로 전월대비 4.5% 상승

국제유가 추이 구리 및 알루미늄 가격 추이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8
󰊵 경남 대표산업 동향
 10월중 경남지역 대표산업 동향을 살펴보면, 조선(제조업내 비중, 19.6%), 자동차
(12.5%), 기계(17.4%) 및 금속가공(13.9%) 모두 기저효과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생산이 늘었으나 수출은 자동차부품, 산업기계 등의 감소로 회복세가 미약
 조선은 작년 수주량 증가 효과가 반영되면서 생산이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수출은
선박 수주·건조·인도 간의 시차 등으로 인해 전월에 이어 감소
경남 기타 운송장비(조선 등) 생산·출하 증가율 추이1)2) 경남 조선산업 수출 추이1)

주 : 1) 전년동월대비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주 : 1)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자료 : 한국무역협회; MTI(746)

 참고로 ‛22.1~10월 한국 누적수주량은 14.65백만CGT로 전년동기대비 8.1% 감소,


누적수주점유율은 42.2%(중국은 45.5%)

전세계 조선 시황 추이 전세계 선종별 수주량 추이

한·중·일 3국의 수주량 및 점유율 추이

자료 :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Shipbuilding & Offshore Focus 『원자료: Clarkson, 2022.11.2 기준』

9
 자동차 산업(자동차 및 부품)은 생산·출하·재고 모두 기저효과로 전년동월대비 35.8%,
33.4%, 9.7% 증가,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7.8% 감소하며 감소세 지속

경남 자동차산업 생산·출하·재고 증가율 추이1)2) 경남 자동차산업 수출 추이1)

주 : 1) 전년동월대비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주 : 1)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2)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자료 : 한국무역협회; MTI(741, 742)

 기계의 경우 생산·출하·재고가 각각 전년동월대비 2.3%, 6.7%, 14.6% 증가,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0.7% 감소

경남 기계산업 생산·출하·재고 증가율 추이1)2) 경남 기계산업 수출 추이1)

주 : 1) 전년동월대비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주 : 1)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자료 : 한국무역협회; MTI(71, 72, 73, 75, 79)

 금속가공은 생산·출하·재고가 각각 전년동월대비 27.5%, 29.4%, -0.9% 기록, 수출은


0.8% 소폭 증가

경남 금속가공산업 생산·출하·재고 증가율 추이1)2) 경남 금속가공산업 수출 추이1)

주 : 1) 전년동월대비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주 : 1)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자료 : 한국무역협회; MTI(614 등 29개 지표)

10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GyeongNam Industrial·Economic Trends


Part.1 경남 산업·경제동향

Ⅰ. 대내외 경제동향

1 해외경제

가. 세계경제 흐름
 경기선행지수와 성장률 전망은 하락세이나, 산업생산과 교역량은 증가
 9월 세계 상품교역량 지수는 136.8로 전년동월대비 5.6% 상승

 9월 세계 산업생산 증가율은 전세계 4.8%, 선진국 4.2%, 신흥국 5.3%로 상승폭 확대

 11월 세계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10월 대비 0.6p 하락한 48.8 기록, 부정적 전망

 11월 OECD 경기선행지수는 98.39로 하락세, 세계 성장률 전망도 2.1%로 하락세 지속

세계 상품교역량 추이1) 세계 산업생산 증가율 추이1)

주 : 1)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주 : 1) 전년동월대비


자료 : CPB(Centraal Planbureau) 자료 : CPB(Centraal Planbureau)

세계 PMI 추이1) OECD 경기선행지수1) 및 세계경제성장률 전망

주 : 1) 기준선 50 이상은 경기확장, 미만이면 주 : 1) 기준선 100을 하회하면 경기축소, 상회하면


경기수축을 의미 경기팽창을 의미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11
나. 주요국 경제동향
 [미국] 생산, 소비, 고용은 증가하고 있으나 고금리로 인한 금융비용, 구인난으로 인한
임금 상승은 기업 경영부담으로 나타나는 중
 10월 산업생산은 전월대비 감소, 전년동월대비 증가폭 축소
- 산업생산(전월대비, %): (‛22.8월) -0.1 → (9월) 0.1 → (10월) -0.1
- 산업생산(전년동월대비, %): (‛22.8월) 3.8 → (9월) 5.0 → (10월) 3.3
 11월 미국 공급자관리협회(ISM) 제조업 지수는 10월 대비 1.2p 하락한 49.0 기록, 경기부진 신호
- ISM 제조업지수: (‛22.9월) 50.9 → (10월) 50.2 → (11월) 49.0
 10월 소매판매액은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증가
- 소매판매(전월대비, %): (‛22.8월) 0.7 → (9월) 0.0 → (10월) 1.3
- 소매판매(전년동월대비, %): (‛22.8월) 9.7 → (9월) 8.6 → (10월) 8.3
 10월 비농업취업종사자수는 28.4만명 증가해 증가폭 확대, 실업률은 0.2%p 상승한 3.7%
- 현재 미국은 실업자보다 빈일자리가 2배 많은 구인난에도 불구하고 개별기업 단위에선 정리해고가
증가하고 있어 단순히 실업률, 고용률로만 판단하기 어려운 노동시장 상황

산업생산 증가율 추이 ISM 제조업 및 비제조업지수 추이1)

주 : 1) 기준선 50 이상은 경기확장, 미만이면


경기수축을 의미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소매판매 증가율 추이 비농업취업종사자수 증감1) 및 실업률 추이

주 : 1) 전월대비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12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 [유로존] 생산과 고용 증가, 기업심리도 개선됐으나 물가 상승*으로 인한 소비 둔화


* 유로존 물가 상승률(전년동월대비, %) : (‛22.9월) 9.9 → (10월) 10.6 → (11월) 10.0

 9월 산업생산은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모두 증가


- 산업생산(전월대비, %): (‛22.7월) -2.3 → (8월) 2.0 → (9월) 0.9
- 산업생산(전년동월대비, %): (‛22.7월) -2.3 → (8월) 3.0 → (9월) 4.3
 11월 제조업 PMI 지수는 전월대비 0.7p 상승한 47.1을 기록, 경제의 부정적 심리 완화
- 구매관리자지수(PMI)-제조업: (‛22.9월) 48.4 → (10월) 46.4 → (11월) 47.1
 10월 소매판매액은 전월대비 연중 최대폭 하락, 전년동월대비 하락
- 소매판매(전월대비, %): (‛22.8월) 0.0 → (9월) 0.8 → (10월) -1.8
- 소매판매(전년동월대비, %): (‛22.8월) -1.3 → (9월) 0.0 → (10월) -2.6
 10월 실업률은 유로존 출범(1998년) 이후 저점인 6.5%를 기록
- 10월 기준 유로존의 실업자 수 역시 1998년 통계집계 이래 최저치 10,872천명 경신

산업생산 증가율 추이1)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 추이1)

주 : 1) 건설업 제외 주 : 1) 기준선 50 이상은 경기확장, 미만이면


경기수축을 의미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소매판매 증가율 추이 실업률 추이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13
 [일본] 40년 8개월만에 최대 물가상승률(전년동월대비 3.6%)을 기록했으나, 기업의
경기전망은 부정적, 고착화된 3저(저물가, 저성장, 저임금)를 벗어날지 관찰할 필요
 10월 광공업생산은 전월대비 감소했으나, 전년동월대비 증가했으나 증가폭 둔화
- 산업생산(전월대비, %): (‛22.8월) 3.4 → (9월) -1.7 → (10월) -2.6
- 산업생산(전년동월대비, %): (‛22.8월) 5.8 → (9월) 9.6 → (10월) 3.7
 11월 제조업 PMI 지수는 전월대비 1.7p 하락한 49.0, 서비스업은 전월대비 3.2p 하락한
50.0을 기록, 경제전망은 부정적
- 구매관리자지수(PMI)-제조업: (‛22.9월) 50.8 → (10월) 50.7 → (11월) 49.0
 10월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모두 증가세
- 소매판매(전월대비, %): (‛22.8월) 1.3 → (9월) 1.5 → (10월) 0.2
- 소매판매(전년동월대비, %): (‛22.8월) 4.1 → (9월) 4.8 → (10월) 4.3
 10월 취업자 수는 전월대비 7만명 감소했으나, 실업률은 2.6%로 0.1%p 하락
- 지난 20년 평균 일본의 임금상승률은 –0.2%, 같은 기간 평균 물가상승률은 0.3%로 저물가, 저성장,
저임금이 고착화된 일본에서 임금 상승이 물가상승률에 못 미치는 상황

광공업생산 증가율 추이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 추이1)

주 : 1) 기준선 50 이상은 경기확장, 미만이면


경기수축을 의미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소매판매 증가율 추이 취업자 수 증감1) 및 실업률 추이

주 : 1) 전월대비
자료 : Bloomberg, 일본 경제산업성 자료 : Bloomberg

14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 [중국] 제로 코로나 봉쇄로 경제지표가 저조한 가운데 봉쇄에 반대하는 시위 확산되며


방역정책 수정이 공식화, 리오프닝 효과 기대
 10월 산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증가했으나 9월 대비 증가폭 축소
- 산업생산(전년동월대비, %): (‛22.8월) 4.2 → (9월) 6.3 → (10월) 5.0
 11월 제조업 PMI는 10월보다 1.2p 하락한 48.0 기록
- 구매관리자지수(PMI)-제조업: (‛22.9월) 50.1 → (10월) 49.2 → (11월) 48.0
 10월 소매판매는 거의 전부문에서 감소하며 5월 이후 다시 마이너스 성장
- 소매판매(전년동월대비, %): (‛22.8월) 5.4 → (9월) 2.5 → (10월) -0.5
 10월 도시지역 실업률은 5.5%로 전월대비 보합

 중국은 카타르 월드컵 경기장 건설에 중국 기업의 기여를 강조하는 등 체제 선전을 노렸으나,
마스크 없는 월드컵에 충격받은 국민 불만이 폭발
- 중국의 강한 통제에도 불구하고 시진핑 퇴진 시위 확산, 시위대가 봉쇄를 위한 바리케이드를 파괴하고
반공산당, 반시진핑 구호가 등장하는 등 강경행동을 보이자 12.5일 시진핑이 직접 제로 코로나 완화를
시사, 리오프닝 효과 기대

산업생산 증가율 추이1)2)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 추이1)

주 : 1) 전년동월대비 2) 1~2월 누계기준 주 : 1) 기준선 50 이상은 경기확장, 미만이면


경기수축을 의미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소매판매 증가율 추이1)2) 전국 도시지역 신규취업자수1) 및 실업률2) 추이

주 : 1) 전년동월대비 2) 1~2월 누계기준 주 : 1) 전월대비 2) ‛21년 1~2월은 누계기준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인력자원사회보장부

15
주요국 경제지표1)2)
(전년동기대비, %)
2020 2021 2022

연간 연간 4/4 1/4 2/4 3/4 8월 9월 10월 11월

-3.4 5.7 5.7 3.7 1.8p 1.8p


GDP성장률3) p
- - - -
(7.0) (-1.6) (-0.6) (2.6)p

-7.2 5.5 4.4 5.3 4.6 4.4 3.8 5.0 3.3


산업생산 ‥
(0.9) (2.0) (0.2) (0.3) (-0.1) (0.1) (-0.1)

0.2 19.4 17.3 12.5 8.4 9.2 9.7 8.6 8.3
국 소매판매 ‥
(2.3) (3.2) (0.7) (0.0) (0.7) (0.0) (1.3)

ISM제조업 52.5 60.6 60.1 57.0 54.8 52.2 52.8 50.9 50.2 49.0

실업률 8.1 5.4 4.2 3.8 3.6 3.6 3.7 3.5 3.7 ‥
p p
-6.5 5.2 4.8 5.5 4.3 2.1
GDP성장률 - - - -
(0.5) (0.6) (0.8)p (0.2)p

-7.7 7.8 0.2 -0.9 0.6 1.7 3.0 4.3


산업생산4) ‥ ‥
유 (-0.5) (-0.8) (1.1) (0.2) (2.0) (0.9)
로 -1.0 5.1 4.2 4.8 0.5 -0.7 -1.3 0.0 -2.6
소매판매 ‥
존 (0.6) (-0.8) (-0.6) (0.2) (0.0) (0.8) (-1.8)

제조업PMI 48.6 60.2 58.2 57.8 54.1 49.3 49.6 48.4 46.4 47.1

실업률 8.0 7.7 7.1 6.9 6.7 6.6 6.7 6.6 6.5 ‥
p
-4.5 1.7 0.5 0.6 1.6
GDP성장률 ‥ - - - -
(1.0) (0.1) (0.9)p

-10.6 5.6 1.1 -0.6 -3.6 4.5 5.8 9.6 3.7


광공업생산 ‥
(0.2) (0.8) (0.2) (0.8) (3.4) (-1.7) (-2.6)

-3.5 2.1 1.0 0.3 3.0 3.8 4.1 4.8 4.3
본 소매판매 ‥
(1.5) (-0.8) (0.1) (1.2) (1.3) (1.5) (0.2)

제조업PMI 45.8 52.7 54.0 54.1 53.2 51.5 51.5 50.8 50.7 49.0

실업률 2.8 2.8 2.7 2.7 2.7 2.6 2.6 2.7 2.6 ‥

GDP성장률 2.2 8.1 4.0 4.8 0.4 3.9 - - - -

산업생산5) 2.8 9.6 3.9 6.5 0.6 4.8 4.2 6.3 5.0 ‥

소매판매5) -3.9 12.5 3.5 3.3 -4.9 3.5 5.4 2.5 -0.5 ‥

제조업PMI 49.9 50.5 49.9 49.9 49.1 49.5 49.4 50.1 49.2 48.0
5)6)
실업률 3.98 3.91 3.96 ‥ ‥ ‥ 5.3 5.5 5.5 ‥

주 : 1) ( )은 전기대비 2) *는 속보치, p는 잠정치 3) ( )은 전기대비연율 4) 건설업 제외 5) 1~2월은


누계기준 6) 월별자료는 도시지역 실업률
자료 : Bloomberg, 일본 경제산업성

16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2 국내경제
가. 생산
 10월중 전년동월대비 전산업생산은 2.8% 증가하며 9월(3.2%)에 비해 증가폭 축소
 제조업 생산은 자동차(22.8%), 기타 운송장비(16.0%)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1차 금속 제조업
(-18.5%), 화학물질·화학제품(-13.2%), 전자부품·컴퓨터(-6.1%)의 부진으로 전년동월대비
1.1% 감소
 서비스업 생산은 예술·스포츠·여가(24.4%), 숙박·음식점(15.9%), 운수창고업(6.9%) 등의
호조로 전년동월대비 5.0% 증가

 10월중 전월대비 전산업생산은 1.5% 감소하여 9월(-0.4%)보다 낙폭 확대


 제조업은 조선업 등 기타 운송장비(5.5%)만 호조를 보이고, 그 외 제조업 전반적인 부진으로
전월대비 3.6% 감소
 서비스업은 전 업종이 0%대 성장 혹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여 서비스업 전체 생산은
전월대비 0.8% 감소

산업별 생산지수 증가율 추이1)2)

주 : 1) 농림어업 제외, 전년동월대비 주 : 1) 농림어업 제외, 전월대비, 계절조정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자료 : 통계청; 경제일반·경기; 전산업생산지수, 자료 : 통계청; 경제일반·경기; 전산업생산지수,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나. 소비
 10월중 소매판매는 전년동월대비 0.7% 감소
 자동차(14.6%)의 호조에도 불구, 가전(-10.9%), 가구(-17.1%)부문의 내구재 판매 감소(-1.1%)
 오락·취미용품(-7.9%), 의복(-2.2%) 중심으로 준내구재 판매 감소(-3.2%)
 의약품(11.6%), 화장품(4.7%) 중심으로 비내구재 판매는 증가(0.8%)

 11월중 소비자심리지수는 10월(88.8) 대비 2.3p 하락한 86.5


 현재생활형편(10월 대비 0p), 생활형편전망(10월 대비 –2p), 현재경기판단(10월 대비 –1p)
 향후경기전망(10월 대비 –2p), 가계수입전망(10월 대비 –1p), 소비지출전망(10월 대비 –3p)

17
소매판매액지수 증가율 추이1) 전국 소비자심리지수 추이1)

주 : 1) ‛22년 9, 10월은 잠정치 주 : 1) 기준선 100 이상은 긍정, 미만이면 부정을 의미


자료 : 통계청; 도소매·서비스; 서비스업동향조사 자료 : 한국은행; 소비자동향조사

다. 투자

 10월중 설비투자는 전년동월대비 16.8% 증가, 전월대비 0.0% 증가


 전년동월대비 투자는 특수산업기계(19.4%), 운송장비(27.4%) 중심으로 증가
- 전년동월대비(%): (‛22.8월) 13.9 → (9월) 12.6 → (10월) 16.8
 전월대비 투자는 전기 및 전자기기(7.4%)증가에도 불구, 운송장비(-5.0%)감소로 보합
- 전월대비(%): (‛22.8월) 10.7 → (9월) -2.2 → (10월) 0.0

 10월중 건설수주액은 건축 부문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40.5% 감소


 공종별 건설수주액(전년동월대비, %): 건축(9월: 33.7 → 10월: -47.8), 토목(9월: 99.3 → 10월: -11.3)
-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공사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상으로 인해 미분양 및 이자비용 증가,
레고랜드 사태 여파로 채권시장 경색 등 건설업계 경영난 가중

 건설기성액은 토목에서 감소하였으나 건축 부문에서 증가하며 전년동월대비 8.3% 증가


 공종별 건설기성액(전년동월대비, %): 건축(9월: 5.3 → 10월: 11.7), 토목(9월: 2.0 → 10월: -2.1)

설비투자지수 증가율 추이1) 국내 건설기성액 및 건설수주액 증가율 추이1)2)

주 : 1) ‛22년 9, 10월은 잠정치 주 : 1) 전년동월대비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자료 : 통계청; 경제일반·경기; 설비투자지수 자료 : 통계청; 건설; 건설경기동향조사

18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라. 대외거래

 10월중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5.7% 감소한 524.8억 달러 기록


 수출 증가율(전년동월대비, %): (‛22.8월) 6.6 → (9월) 2.3 → (10월) -5.7
- 세계경제 둔화 전망이 강해지면서 반도체(92.3억달러, -17.4%), 석유화학(37.3억달러, -25.5%),
일반기계(39.2억달러, -3.4%), 디스플레이(18.1억달러, -7.9%) 등 주력 수출제품 수요 감소
- 자동차(49.2억달러, 28.5%), 2차전지(8.0억달러, 16.7%)는 호조를 보였으나 전반적인 수요 감소를
상쇄하기엔 부족
 10월중 일평균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7.9% 감소한 24.4억 달러(9월: 26.7억 달러)를 기록
* 조업일수(휴일요인을 배제한 실제 조업일)를 고려한 일일 평균수출, 조업일수는 21.5일로 9월과 동일
- 일평균 수출 증가율(전년동월대비, %): (‛22.8월) 2.2 → (9월) 0.4 → (10월) -7.9

 10월중 수입은 591.8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동월대비 9.9% 증가


 수입 증가율(전년동월대비, %): (‛22.8월) 28.1 → (9월) 18.2 → (10월) 9.9
- 원유(80.5억달러, 24.2%), 천연가스(51.3억달러, 96.9%), 석탄(18.8억달러, 40.2%)등 에너지원
수입(155.3억달러, 42.1%) 증가
- 반도체(66.0억달러, 21.9%), 2차전지 관련 정밀화학원료(21.6억달러, 57.2%)등 원부자재 수입 증가세

 10월중 무역수지는 67.0억 달러 적자 기록


 일본, 프랑스, 독일 등 제조업 기반 수출강국 역시 수출 증가세 둔화 및 에너지원 수입 증가로
인한 무역수지 악화
- 세계무역기구(WTO)는 세계교역량 증가율이 '22년 3.5%, 23년 1.0%에 그칠 것으로 전망
- 일본 '22.1~9월 누적 에너지 수입 증가율 : 원유 100.8%, 천연가스 164.2%, 석탄 168.7%
- 프랑스 '22.1~7월 누적 에너지 수입 증가율 : 원유 109.0%, 천연가스 281.0%, 석탄 229.3%
- 독일 '22.1~7월 누적 에너지 수입 증가율 : 원유 82.1%, 천연가스 112.7%, 석탄 231.7%

수출 및 수입 증가율 추이1)2) 일평균 수출액 및 증가율 추이1)2)

주 : 1) ‛22년은 잠정치 2) 전년동월대비 주 : 1) ‛22년은 잠정치 2)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자료 : 한국무역협회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19
마. 고용

 10월중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677천명 증가하며 9월(707천명) 대비 증가폭 축소,


실업률(계절조정)과 고용률은 각각 2.8%, 62.2%로 양호한 흐름 지속
 제조업 취업자 수 증감(전년동월대비, 천명): (‛22.8월) 240 → (9월) 227 → (10월) 201

 서비스업 취업자 수 증감(전년동월대비, 천명): (‛22.8월) 507 → (9월) 411 → (10월) 422
-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증감(전년동월대비, 천명): (‛22.8월) 54 → (9월) 69 → (10월) 93
-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 증감(전년동월대비, 천명): (‛22.8월) 306 → (9월) 266 → (10월) 272
- 전기·운수·통신·금융 증감(전년동월대비, 천명): (‛22.8월) 147 → (9월) 76 → (10월) 57

산업별 취업자 증감 추이1)2) 실업률 및 고용률 추이1)

주 : 1) 전년동월대비 주 : 1) 계절조정
2) 서비스업 : 도소매‧숙박 음식점업,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 전기‧운수‧통신‧금융업
자료 : 통계청; 노동;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 : 통계청; 노동; 경제활동인구조사

바. 물가

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9.1로 에너지 요금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5.0% 상승


 품목성질별 증감률(전년동월대비)
- 상품 부문에선 채소가격이 하향안정(-2.7%)되며 농축수산물 물가안정(0.3%)에 기여했으나, 에너지
요인으로 전기·가스·수도(23.1%)의 물가상승이 지속되어 11월 상품 물가(6.1%) 상승을 주도
- 서비스 부문에선 외식 서비스(8.6%)물가가 상승했으나, 그 외 서비스 물가 상승이 제한되며 상대적
으로 낮은 상승률(4.1%)를 기록
 지출목적별 증감률(전년동월대비)
- 전기, 가스 및 기타연료(27.5%), 음식 및 숙박(8.6%) 중심으로 상승했으나, 보건(1.4%), 통신(1.1%),
교육비(1.5%) 등이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제한
- 유류비 지출은 자체적인 소비 감소와 유가 하락분을 반영해 10월(7.7%)대비 증가폭 둔화(3.1%)
 전년동월대비 아파트 매매가격(10월 2.0% → 11월 –1.0%)과 전세가격(10월 1.8% → 11월
–1.0%) 증가율은 전월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

20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소비자물가상승률 추이 품목성질별 물가상승 기여도 추이1)

주 : 1) 전년동월대비
자료 : 통계청; 물가; 소비자물가조사 자료 : 통계청; 물가; 소비자물가조사

 11월중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전년동월대비 4.8% 상승하여 10월


(4.8%)과 동일, 변동성이 큰 농산품 및 석유의 물가 상승률 하락 추세
 농산물 및 석유류 물가 상승률(전년동월대비, %): (‛22.9월) 15.6 → (10월) 14.2 → (11월) 6.9

 식료품 및 에너지 물가 상승률(전년동월대비, %): (‛22.9월) 10.5 → (10월) 10.5 → (11월) 7.6

농산물 및 석유류,
근원물가상승률 추이1)
식료품 및 에너지 부문 증가율 추이1)

주 : 1) 전년동월대비 주 : 1) 전년동월대비
자료 : 통계청; 물가; 소비자물가조사 자료 : 통계청; 물가; 소비자물가조사

21
국내 실물경제 지표1)2)
(전년동기대비, %)

2020 2021 2022

연간 연간 4/4 1/4 2/4 3/4 8월 9월 10월 11월


p p p p p
-0.9 4.0 4.2 3.0 2.9 3.1
GDP성장률 - - - -
(1.3)p (0.6)p (0.7)p (0.3)p

-5.0 3.6p 6.2p 4.3p 4.1p 5.9p


민간소비 p p p
- - - -
(1.5) (-0.5) (2.9) (1.9)p

7.1 8.3p 4.2p -6.2p -6.4p 1.3p


설비투자 - - - -
(-0.2)p (-3.9)p (0.5)p (5.0)p

-0.4 -1.5p -1.6p -5.5p -4.5p -1.5p


건설투자 - - - -
(2.0)p (-3.9)p (0.2)p (0.4)p

-1.1 4.9 5.7 4.0 4.5 3.9p 4.8 3.2p 2.8p


전산업생산지수3) p p

(1.5) (1.3) (0.9) (0.3) (-0.1) (-0.4) (-1.5)p

-0.2 7.6 6.5 4.7 4.3 1.3p 1.4 0.7p -1.1p


제조업 p p

(1.3) (3.9) (-1.7) (-1.6) (-1.3) (-1.8) (-3.6)p

-2.0 4.4 5.5 4.1 5.5 5.9p 7.4 5.9p 5.0p


서비스업 p p

(1.5) (0.0) (2.8) (1.5) (1.8) (-0.2) (-0.8)p

-0.2 5.9 6.4 2.8 -0.2 -0.1p 2.4p -0.8p -0.7p


소매판매액지수 p p p

(1.1) (-1.1) (-1.1) (1.2) (4.4) (-1.9) (-0.2)p

5.9 9.6 6.2 -1.3 -2.4 7.7p 13.9 12.6p 16.8p


설비투자지수 p p

(-0.2) (0.2) (-1.2) (10.0) (10.7) (-2.2) (0.0)p

-2.1 -6.7 -2.9 -1.5 2.1 3.8p 6.0 4.5p 8.3p


건설기성액 p p

(4.1) (-1.9) (1.4) (0.3) (3.7) (0.6) (3.8)p

국내건설수주액 16.6 9.6 -2.2 13.4 22.3 29.4p 13.5 43.8p -40.5p ‥

수출 -5.5 25.7 24.5 18.4p 13.0p 6.0p 6.6p 2.3p -5.7p ‥

수입 -7.1 31.5 39.4 29.6p 23.1p 22.8p 28.2p 18.2p 9.9p ‥

실업률(계절조정) 4.0 3.6 3.4 3.0 2.8 2.7 2.5 2.8 2.8 ‥

취업자수 -0.8 1.4 2.4 3.8 3.2 2.8 2.9 2.6 2.4 ‥

0.5 2.5 3.5 3.8 5.4 5.9 5.7 5.6 5.7 5.0
소비자물가지수4)
(1.0) (1.5) (2.1) (1.1) (-0.1) (0.3) (0.3) (-0.1)

주 : 1) ( )은 전기대비 2) p는 잠정치 3) 농림어업 제외 4) 소비자물가는 2015=100 기준


자료 : 통계청, 한국무역협회, 한국은행

22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3 경남경제

가. 생산

 10월중 경남지역 제조업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9.6% 증가하며 전월(11.1%)에 비해


증가폭 축소
 기타운송장비(19.6%), 기타 기계 및 장비(2.3%), 자동차 및 트레일러(35.8%), 금속가공
제품(27.5%) 모두 전년동월대비 증가
- 조선 등 기타운송장비(전년동월대비, %): (‛22.8월) 26.7 → (9월) 20.1 → (10월) 19.6
- 기타 기계 및 장비(전년동월대비, %): (‛22.8월) 4.1 → (9월) 5.2 → (10월) 2.3
- 자동차 및 트레일러(전년동월대비, %): (‛22.8월) 26.2 → (9월) 28.3 → (10월) 35.8
- 금속가공제품(전년동월대비, %): (‛22.8월) 28.1 → (9월) 34.5 → (10월) 27.5

경남 제조업 생산지수 추이1) 경남 제조업 생산 증가율 추이1)

주 : 1) ‛22년 9, 10월은 잠정치 주 : 1) ‛22년 9, 10월은 잠정치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경남 생산활동 관련 주요지표1)2)
(전년동기대비, %)
2020 2021 2022
연간 연간 4/4 1/4 2/4 3/4p 7월 8월 9월p 10월p
-7.3 1.1 1.7 4.0 6.1 7.8 4.9 8.9 11.1 9.6
제조업생산지수
(2.4) (3.4) (-0.2) (2.2) (-1.9) (2.2) (3.3) (-3.0)

기타 운송장비 -12.4 -22.0 -5.8 11.7 27.4 21.0 15.2 26.7 20.1 19.6

기타 기계 및 장비 -9.7 8.5 9.9 4.5 -2.4 2.2 -1.4 4.1 5.2 2.3

자동차 및 트레일러 -11.5 12.0 -3.6 6.6 8.3 23.5 18.6 26.2 28.3 35.8

금속가공제품 -2.9 -7.3 -5.9 -0.4 19.6 26.9 29.5 28.1 34.5 27.5

서비스업생산지수 -0.8 5.2 7.7 7.9 10.0p 10.5p - - - -

주 : 1) ( )은 전기대비 2) p는 잠정치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23
나. 소비

 10월중 경남지역 대형소매점 판매는 전년동월대비 8.6% 증가, 전월대비 3.3% 감소


 백화점 판매는 의복, 화장품 등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7.8% 증가, 전월대비 13.1% 증가
- 전년동월대비(%): (‛22.8월) 23.5 → (9월) 10.5 → (10월) 7.8
- 전월대비(%): (‛22.8월) -16.9 → (9월) 31.3 → (10월) 13.1
 대형마트 판매는 음식료품, 오락·취미·경기용품 등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9.1% 증가하였으나
전월대비로는 11.5% 감소
- 전년동월대비(%): (‛22.8월) 8.0 → (9월) 13.4 → (10월) 9.1
- 전월대비(%): (‛22.8월) 8.7 → (9월) 6.8 → (10월) -11.5

경남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 및 증가율 추이1)2) 경남 대형소매점 업태별 판매액지수 추이1)2)

주 : 1) ‛22년 9, 10월은 잠정치 주 : 1) ‛22년 9, 10월은 잠정치


2)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2)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자료 : 통계청; 도소매·서비스; 서비스업동향조사 자료 : 통계청; 도소매·서비스; 서비스업동향조사

경남 소비 관련 주요지표1)2)
(전년동기대비, %)
2020 2021 2022
연간 연간p 4/4 1/4 2/4 3/4p 7월 8월 9월p 10월p
-6.7 2.6 6.4 -0.8 1.7 9.2 3.4 12.0 12.4 8.6
대형소매점3) 판매액지수
(2.7) (-5.0) (2.4) (9.3) (9.8) (-0.2) (13.9) (-3.3)
-18.2 11.1 23.4 11.9 12.9 17.5 20.9 23.5 10.5 7.8
백화점 판매액지수
(37.8) (-15.8) (13.0) (-10.4) (-0.9) (-16.9) (31.3) (13.1)
-0.2 -1.3 -2.6 -6.8 -4.4 5.7 -3.9 8.0 13.4 9.1
대형마트 판매액지수
(-12.4) (2.2) (3.4) (22.2) (16.3) (8.7) (6.8) (-11.5)
12.6 0.2 -7.9 -9.9 1.7 8.8p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 - - - -
(11.9) (-13.5) (12.1) (0.3)p
-6.0 3.4 10.6 10.1 3.4 -2.0p
전문소매점4) - - - -
(7.0) (-4.5) (-0.2) (-4.0)p

주 : 1) ( )은 전기대비 2) p는 잠정치 3) 백화점, 대형마트 등 매장 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인 대규모 점포


4) 일정한 매장을 갖추고 특정상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소매점
자료 : 통계청; 도소매·서비스; 서비스업동향조사

24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 11월중 경남지역 소비자심리지수는 91.3으로 전월에 비해 2.6p 상승


 현재생활형편(10월 대비 +2p), 생활형편전망(10월 대비 +5p), 현재경기판단(10월 대비 +3p)

 향후경기전망(10월 대비 +5p), 가계수입전망(10월 대비 +2p), 소비지출전망(10월 대비 –3p)

경남 소비자심리지수 추이1)2)

주 : 1) 소비자심리지수의 구성지수 : 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


2) 기준선 100 이상은 긍정, 미만이면 부정을 의미
자료 : 한국은행; 소비자동향조사

다. 투자

 11월중 경남지역 투자는 제조업 설비투자실적이 전월에 비해 하락, 기계류 수입액


감소
 제조업 설비투자실적지수(BSI)는 90으로 전월(91)에 비해 1p 하락

 10월중 기계류 수입액은 전년동월대비 2.9% 감소하였으며 전월에 이어 감소세 지속

경남 설비투자 관련 주요지표
(전년동기대비, %)
2020 2021 2022

연간 연간 4/4 1/4 2/4 3/4 8월 9월 10월 11월

제조업 설비투자실적1) 83 93 91 94 93 92 92 92 91 90

기계류수입액2) -16.1 10.8 2.9 -6.7p -2.7p -1.9p 11.2p -12.7p -2.9p ‥

주 : 1) 기준선 100 이상은 긍정, 미만이면 부정을 의미


2) p는 잠정치
자료 : 한국무역협회; MTI(7), 한국은행; 기업경기실사지수

25
경남 제조업 설비투자실적1) 및
경남 건설수주액 및 증가율 추이1)2)
기계류 수입액 증가율 추이2)

주 : 1) 기준선 100 이상은 긍정, 미만이면 부정을 의미 주 : 1) ‛22년 9, 10월은 잠정치


2)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2)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자료 : 한국무역협회; MTI(7), 한국은행; 기업경기실사지수 자료 : 통계청; 건설; 건설경기동향조사

 10월중 경남지역 건설수주액은 건축과 토목에서 모두 증가하며 전년동월대비 44.4% 증가


 발주자별 건설수주액 중 공공부문은 공기업과 지방자치단체에서 늘며 전년동월대비 170.1%
증가하였고, 민간부문은 부동산과 운수·창고·통신에서 늘어 34.8% 증가
- 공공부문(전년동월대비, %): (‛22.8월) -68.6 → (9월) -42.3 → (10월) 170.1
- 민간부문(전년동월대비, %): (‛22.8월) -27.0 → (9월) -71.5 → (10월) 34.8
 공종별 건설수주액 중 건축부문은 신규주택에서 줄었으나 재개발에서 늘어 전년동월대비
29.7% 증가하였고, 토목부문은 기계 설치에서 늘어 385.3% 증가
- 건축부문(전년동월대비, %): (‛22.8월) -33.3 → (9월) -81.3 → (10월) 29.7
- 토목부문(전년동월대비, %): (‛22.8월) -39.9 → (9월) 62.2 → (10월) 385.3

경남 건설투자 관련 주요지표1)
(전년동기대비, 십억원)
2020 2021 2022
연간 연간 4/4 1/4 2/4 3/4p 7월 8월 9월p 10월p
건설수주액 9,850 8,073 1,868 2,615 3,743 1,740 754 814 244 929
증가율(%) 65.2 -18.0 -66.6 88.3 52.1 -26.1 111.8 -33.8 -68.3 44.4
발 공공 2,070 1,551 485 639 961 276 164 63 49 125
주 증가율(%) 24.2 -25.1 -41.2 58.1 276.1 -32.0 36.3 -68.6 -42.3 170.1
자 민간 6,887 6,503 1,376 1,976 2,746 1,464 591 751 195 805

별2) 증가율(%) 64.5 -5.6 -64.7 100.9 25.1 -24.9 150.3 -27.0 -71.5 34.8
건축 7,302 6,799 1,433 1,835 2,833 1,470 596 761 131 80

증가율(%) 91.8 -6.9 -64.6 81.7 24.8 -29.5 144.3 -33.3 -81.3 29.7

토목 2,548 1,274 435 780 910 269 158 53 113 129

증가율(%) 18.3 -50.0 -71.7 106.0 377.2 -0.2 41.2 -39.9 62.2 385.3

주 : 1) p는 잠정치 2) 국내 외국기관 및 민자부문 수주액 제외


자료 : 통계청; 건설; 건설경기동향조사

26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라. 대외거래
 10월중 경남지역 수출은 30억달러를 기록하며 전년동월대비 5.2% 감소
 수출 증가율(전년동월대비, %) : (‛22.8월) -3.3 → (9월) -17.8 → (10월) -5.2
- 전자전기제품(3.5억달러, -32.0%), 선박(5.7억달러, -22.1%), 기계류·정밀기기(7.0억달러, -10.7%),
자동차·자동차부품(2.2억달러, -7.8%) 등 모두 감소

 10월중 경남지역 수입은 27억달러를 기록하며 전년동월대비 44.7% 증가


 수입 증가율(전년동월대비, %) : (‛22.8월) 95.6 → (9월) 93.6 → (10월) 44.7
- LNG(10.3억달러, 121.8%), 유연탄(3.4억달러, 320.0%) 등 에너지 품목을 중심으로 수입은 지속 증가

 무역수지는 3억달러 흑자 기록하며 3개월 만에 흑자 전환

경남 수출액 및 증가율 추이1) 경남 수입액 및 증가율 추이1)

주 : 1)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주 : 1)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자료 : 한국무역협회 자료 : 한국무역협회

경남 수출입 증가율1)
(전년동기대비, %)
2020 2021 2022p
연간 연간 4/4 1/4 2/4 3/4 7월 8월 9월 10월
수 출 -8.8 15.0 17.3 -14.1 -6.8 -1.2 15.0 -3.3 -17.8 -5.2
금 액2) 359 413 119 92 86 93 40 27 26 30
전 국 -5.5 25.7 24.5 18.4 13.0 6.0 8.7 6.6 2.3 -5.7
금 액2) 5,125 6,444 1,767 1,734 1,771 1,744 603 567 572 525
선박 -4.6 28.4 33.2 -61.2 -27.3 14.6 62.9 -23.4 -26.8 -22.1
기계류·정밀기기 -9.3 -4.9 -0.3 6.6 -5.5 -3.7 -3.2 -3.6 -4.4 -10.7
자동차·자동차부품 -20.0 -2.3 -20.7 -8.5 6.5 0.6 -3.2 12.5 -9.1 -7.8
전자전기제품 11.5 32.4 27.1 16.4 -3.9 -13.8 -23.8 -14.5 -1.6 -32.0
철강·금속 -8.0 37.1 41.5 76.8 1.2 -19.2 13.5 7.5 -49.8 -17.3
수 입 -18.1 23.8 41.5 36.1 33.2 70.9 27.0 95.6 93.6 44.7
금 액2) 175 217 62 72 64 92 24 33 34 27
전 국 -7.1 31.5 39.4 29.9 23.1 22.8 21.7 28.1 18.2 9.9
금 액2) 4,676 6,151 1,724 1,771 1,837 1,926 653 661 610 592

주 : 1) p는 잠정치 2) 총액·통관기준, 억달러


자료 : 한국무역협회; MTI : 선박(746), 기계류·정밀기기(71,72,73,75,79), 자동차·자동차부품(741,742),
전자전기제품(8), 철강금속(6)

27
 10월중 경남지역 수출은 유럽, 아프리카 등에서 증가, 아시아 및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감소
 수출은 유럽과 아프리카 지역에서 19.0%, 908.5% 증가하였으나 아시아 및 북미에서 3.5%,
24.5% 감소
- 아시아(965백만달러)와 북미(581백만달러) 지역 수출 비중은 51.1%로 9월(65.8%)에 비해 4.7%p 감소

 수입은 중동을 제외한 아시아, 대양주, 유럽, 북미 등 모든 지역에서 증가


 수입은 LNG, 유연탄, 기타철구조물 등 원자재를 중심으로 아시아(24.4%), 대양주(176.0%),
유럽(38.5%) 등 지역에서 증가
- 호주로부터 585백만달러 규모의 LNG가 수입되며 대양주 수입이 전년동월대비 176% 증가

경남 권역별 수출 및 수입1)
(백만달러, %)
수출 수입
국가 국가
금액 증가율2) 금액 증가율2)
전세계 3,026 -5.2 전세계 2,722 44.7
아시아 965 -3.5 아시아 998 24.4
중국 278 -10.3 중국 429 17.4
일본 141 -16.7 일본 224 -0.8
싱가포르 121 634.4 말레이시아 122 231.0
베트남 83 -18.9 인도네시아 84 82.6
유럽 871 19.0 대양주 669 176.0
폴란드 344 1,045.0 호주 663 181.8
몰타 184 23,362.5 뉴질랜드 6 -12.0
독일 47 55.5 유럽 498 38.5
북미 581 -24.5 러시아 256 369.4
미국 543 -24.0 독일 70 -24.6
캐나다 38 -30.1 프랑스 46 -33.2
대양주 214 -7.2 북미 280 35.3
마셜제도 131 -29.5 미국 258 41.2
호주 67 86.2 캐나다 22 -8.7
아프리카 145 908.5 중동 130 -31.4
라이베리아 108 0.0 카타르 61 -58.1
탄자니아 26 27,074.5 오만 60 73.4
중남미 137 -56.4 중남미 129 72.9
멕시코 89 -22.0 콜롬비아 65 428.0
브라질 31 10.0 아르헨티나 29 13.6
중동 112 -15.0 아프리카 17 260.7
사우디아라비아 36 -8.5 남아프리카공화국 14 339.7
아랍에미리트 연합 19 -52.5 짐바브웨 1 274.2
기타지역 0 0.0 기타지역 0 -38.9

주 : 1) ‛22년 10월 기준 2) 전년동월대비


자료 : 한국무역협회

28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마. 고용

 10월중 경남지역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16천명 감소하며 전월(-26천명)에 이어


감소세를 지속하였고, 실업률(2.6%)은 전월대비 하락, 고용률(61.4%)은 상승
 제조업 취업자 수 증감(전년동월대비, 천명): (‛22.8월) 19 → (9월) 10 → (10월) 18

 서비스업 취업자 수 증감(전년동월대비, 천명): (‛22.8월) -38 → (9월) -41 → (10월) -26
-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증감(전년동월대비, 천명): (‛22.8월) -17 → (9월) -20 → (10월) -22
-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 증감(전년동월대비, 천명): (‛22.8월) -19 → (9월) -24 → (10월) -18
- 전기·운수·통신·금융 증감(전년동월대비, 천명): (‛22.8월) -2 → (9월) 3 → (10월) 14
 실업률은 2.6%로 8월(2.8%)에 비해 0.2%p 하락, 고용률은 61.4% 기록

경남 고용 관련 주요지표
(전년동기대비, 천명)

2020 2021 2022

연간 연간 4/4 1/4 2/4 3/4 7월 8월 9월 10월

경제활동인구 증감 -16 4 -5 -5 0 -17 -4 -21 -26 -16

경제활동참가율(%) 63.1 63.2 62.7 62.3 64.2 63.1 63.8 62.7 62.8 63.0

취업자수 증감 -19 3 2 29 4 -15 -11 -12 -21 -7

농림어업 6 19 28 23 27 13 17 10 12 6

제조업 3 -22 -5 10 14 10 1 19 10 18

건설업 9 7 2 5 3 0 4 -3 -1 -5

서비스업1) -37 -1 -22 -8 -40 -39 -32 -38 -41 -26

고용률(%) 60.6 60.7 60.4 60.0 61.9 61.2 61.5 61.1 61.1 61.4

임금 근로자 증감 -1 2 -10 13 -9 -29 -24 -27 -36 -8

비임금 근로자 증감 -18 1 12 15 13 14 13 14 15 0

실업자수 증감 4 1 -7 -34 -4 -2 7 -8 -6 -9

실업률(%) 4.0 4.1 3.7 3.8 3.6 3.0 3.6 2.6 2.8 2.6

실업률(전국, %)2) 4.0 3.6 3.4 3.0 2.8 2.7 2.9 2.5 2.8 2.8

주 : 1)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 전기‧운수‧통신‧금융업


2) 계절조정
자료 : 통계청; 노동; 경제활동인구조사

29
 10월중 경남지역 제조업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2.2천명 증가하며
전월(+2.4천명)에 비해 증가폭 축소
 선박 및 보트 건조업 피보험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2.0천명 감소하며 전월대비 감소폭 축소
- 선박 및 보트 건조업 피보험자 수 증감(전년동월대비, 천명): (‛22.8월) -3.0 → (9월) -2.5 → (10월) -2.0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피보험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0.9천명 증가
- 기타 기계 및 장비 피보험자 수 증감(전년동월대비, 천명): (‛22.8월) 1.0 → (9월) 1.1 → (10월) 0.9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피보험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1.0천명 증가하며 증가 지속
- 자동차 및 트레일러 피보험자 수 증감(전년동월대비, 천명): (‛22.8월) 0.1 → (9월) 1.0 → (10월) 1.0
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피보험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1.3천명 증가
- 금속가공제품 피보험자 수 증감(전년동월대비, 천명): (‛22.8월) 1.2 → (9월) 1.3 → (10월) 1.3

경남 주요 제조업 피보험자 수 증감
(전년동기대비, 천명)
2020 2021 2022
연간 연간 4/4 1/4 2/4 3/4 7월 8월 9월 10월
제조업 (전체, 경남) -58.2 -19.3 7.9 7.6 8.4 6.3 1.8 2.2 2.4 2.2

선박 및 보트 건조업 -12.8 -77.5 -15.2 -11.3 -8.7 -8.7 -3.3 -3.0 -2.5 -2.0

기타 기계 및 장비 -13.4 2.0 2.2 0.6 2.9 3.0 0.9 1.0 1.1 0.9

자동차 및 트레일러 -19.5 13.0 3.6 1.8 -0.5 1.1 -0.04 0.1 1.0 1.0

금속가공제품 -6.4 3.7 2.6 4.2 4.3 3.8 1.3 1.2 1.3 1.3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경남 주요 제조업 피보험자 수 증감 추이1)

주 : 1) 전년동월대비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30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바. 물가

 11월중 경남 소비자물가지수는 109.3으로 전년동월대비 5.2% 상승하며 증가폭 축소


 품목성질별로 상품은 전기·가스·수도(21.5%), 가공식품(9.9%) 및 석유류(7.8%) 등의 상승으로
전년동월대비 6.2% 상승, 서비스는 개인서비스(5.8%)를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4.1% 상승
 지출목적별로는 주택·수도·전기·연료(8.6%), 기타 상품·서비스(8.6%), 음식·숙박(8.3%) 등을
중심으로 상승
 전년동월대비 경남 아파트매매가격(10월 5.6% → 11월 2.9%) 및 전세가격(10월 7.4% →
11월 4.6%) 상승세가 지속적으로 둔화되는 추세

경남 소비자물가상승률 추이 경남 품목성질별 물가상승 기여도 추이1)

주 : 1) 전년동월대비
자료 : 통계청; 물가; 소비자물가조사 자료 : 통계청; 물가; 소비자물가조사

경남 물가 지표1)2)
(전년동기대비, %)
2020 2021 2022
연간 연간 4/4 1/4 2/4 3/4 8월 9월 10월 11월
소비자물가 0.6 2.5 3.5 4.0 5.7 6.2 6.0 5.8 5.9 5.2
(전기대비) (1.0) (1.8) (2.2) (1.0) (-0.3) (0.2) (0.2) (-0.1)
상품 0.9 3.3 4.5 5.0 8.0 8.4 8.0 7.5 7.6 6.2
농축수산물 6.7 7.7 3.1 2.2 2.9 6.6 6.8 5.6 5.6 0.6
농산물 7.1 8.7 -0.9 -1.5 -1.4 8.1 8.9 8.0 7.7 -1.6
축산물 6.2 10.0 11.7 9.9 9.8 4.8 4.2 2.5 1.7 0.6
수산물 6.3 1.4 0.9 1.2 3.6 5.2 5.5 4.1 6.8 6.8
공업제품 -0.4 2.6 5.1 5.9 9.4 8.4 7.8 7.4 7.0 6.4
석유류 -7.4 15.7 29.6 22.9 37.5 25.8 21.7 18.4 13.0 7.8
전기‧가스‧수도 -1.3 -1.7 1.6 2.8 8.5 14.9 15.3 14.1 21.5 21.5
서비스 0.4 1.8 2.6 3.0 3.4 3.9 3.9 4.1 4.2 4.1
공공서비스 -1.3 0.8 2.7 1.0 0.8 0.9 0.9 0.9 1.0 0.9
개인서비스 1.4 2.4 2.7 4.1 4.8 5.6 5.5 5.8 6.0 5.8
생활물가3) 0.8 3.2 4.7 4.5 6.9 7.2 6.8 6.5 6.5 5.4
(전기대비) (1.2) (1.8) (3.1) (1.0) (-0.8) (0.5) (0.1) (-0.3)
아파트 매매 -1.1 9.3 12.7 11.4 10.8 8.4 8.4 6.9 5.6 2.9
아파트 전세 -0.5 7.8 10.4 10.9 11.3 9.3 9.3 8.2 7.4 4.6
주 : 1) 소비자물가는 2020=100 기준 2) 아파트 매매, 전세는 2021.6=100 기준
3) 소비자의 구입빈도 및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을 대상으로 작성한 지수
자료 : 통계청; 물가; 소비자물가조사, KB부동산 통계

31
GyeongNam Industrial·Economic Trends
Part.1 경남 산업·경제동향

Ⅱ. 외환시장·원자재가격 동향 및 전망
1 외환시장
가. 동향
 1,428.5원으로 시작한 11월 환율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다음 날인 10일 하루
59.1원 하락이라는 기록적 낙폭을 보인 후 1,350원대 기술적 반등하여 1,318.8원 마감
 소비자물가지수가 시장 예상보다 낮은 물가 서프라이즈로 미 연준의 금리 정책 변화 기대
- 미 연준이 조기에 고금리 국면을 마무리하거나 금리 상승폭이 더 높아지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로 위험
자산 선호심리가 확산되며 달러화 약세, 미 재무부 보고서도 한국의 외환시장 개입을 다소 용인
 중국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한국을 대체 투자지역으로 선호한 것도 원화 강세 요인도 작용
- 경제 성장률 저조, 부동산 시장 불안, 강한 제로코로나 정책에 대한 불만으로 인한 시위 등 중국 내
불확실성이 증가하자, 대체 투자지역으로 한국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며 달러, 엔화, 유로, 위안화
환율이 모두 하락하는 원화 강세국면이 나타남

11월 주요 외화 환율(spot) 동향1)


통화 월초시가 고가 저가 월말종가 전월말 대비
원/달러 1,428.5(11.1) 1,429.6(11.1) 1,308.5(11.14) 1,318.8(11.30) ▼105.5
2)
원/엔(100엔) 957.56(11.1) 971.8(11.11) 927.6(11.11) 952.5(11.30) ▼11.2
2)
원/유로 1,408.0(11.1) 1,416.6(11.7) 1,342.9(11.11) 1,364.3(11.30) ▼51.8
원/위안(역외)2) 194.2(11.1) 197.7(11.7) 182.4(11.28) 184.4(11.30) ▼10.8

주 : 1) ( )은 날짜 2) 재정환율
자료 : Bloomberg, 서울외국환중개

원/달러 환율 추이1)

주 : 1) 매매기준율
자료 : 서울외국환중개

32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 달러인덱스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 기대로 위험자산 선호가 확산하며 하락

 유로/달러는 미국 소비자물가 발표 후 위험자산 선호 영향으로 상승


 소비자물가가 시장 예상을 하회하면서 미국의 고금리 국면이 예상보다 빨리 종료될 것이라는
기대로 유로/달러는 월초 상승
 11.18일 유럽중앙은행이 ‘1년내 경기침체 확률 80%’라는 경고를 보내면서 상승폭 제한

 엔/달러는 11월 발표된 미 재무부 보고서가 엔화 개입을 정당화하자, 개입규모를 확대


하며 135엔 선에서 마감
 미 재무부가 11.10일 발표한 하반기 환율보고서에 의하면 ‘일본은 과도하고 무질서한 환율
변동성 안정을 위해 적절한 환율 개입을 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으로 기대’한다고 평가
 엔화 시장 개입에 대한 미국의 지지로 시장심리가 급격하게 후퇴하며 엔달러 환율 급락

 위안(역외)/달러는 큰 폭의 등락을 거친 뒤 7위안 선에서 하락 마감


 위안화 역시 월초의 미국 소비자물가 영향으로 7위안까지 하락했으나 부동산 위기, 코로나
재확산 등 불안정 요인이 부각되며 7.2위안까지 반등
 중국 전역으로 확산중인 제로코로나 반대 시위가 중국 방역정책의 전환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로 강세를 보이며 7위안으로 하락 마감

달러인덱스 추이 EUR/USD(유로화) 추이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USD/JPY(엔화) 추이 USD/CNH(위안화-역외) 추이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33
 11월중 원/달러 변동성은 10월 대비 확대
 11월 원/달러 환율의 변동폭(12.3원), 변동률(0.09%)은 10월(7.7원, 0.54%)에 비해 확대

원/달러 환율 변동성
(기간중 평균, 원, %)
2022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변동폭 6.7 5.1 5.7 6.8 5.2 6.2 8.7 7.7 12.3
전일대비
변동률 0.55 0.41 0.45 0.53 0.40 0.47 0.62 0.54 0.90
기간중 표준편차 11.2 16.0 12.5 18.0 7.7 17.0 24.1 9.7 36.4

자료 : 한국은행

나. 전망

 [12월 환율 전망] 11월의 원화 강세가 유지되기는 어려울 전망


 11월의 원화 강세는 전문기관의 예상을 벗어나는 수준
- 미국 물가, 미 재무부의 한국 외환개입에 대한 관용적 메시지, 중국이탈 자금 한국유입 등 다양한 요인이
순차적으로 작용하면서 전문기관 예상을 벗어나는 수준의 원화 강세 유발
 11월의 원화 강세가 일시적인 요인에 의한 만큼 원화의 추가강세 여지는 제한적
- 미 연준의 고금리 국면 조기종료 기대는 11월에 충분히 선반영된 것으로 판단, 원화 강세 제한
- 중국에서 이탈해 한국에 유입된 투자자금은 중국 리오프닝시 유출될 수 있어 원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1~11월 무역적자가 425.6억 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에너지 소비 증가로 12월 무역적자 추가 확대시
원화 약세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국내외 주요기관 원/달러 환율전망


기관명 ‛22.12월 ‛23.1Q ‛23.2Q ‛23.3Q
하나은행 1,260 ~ 1,350 1,320 1,340 1,320
우리은행 1,280 ~ 1,360 1,300 1,250 1,200

KB국민은행 1,300 ~ 1,365 1,335 1,305 1,265
내1)
IBK기업은행 1,280 ~ 1,350 1,400 1,300 1,250
평균 1,280.0 ~ 1,356.25 1,338.75 1,298.75 1,258.75
Citigroup - 1,362 1,324 1,293
JP Morgan Chase - 1,320 1,340 1,275

Wells Fargo - 1,360 1,350 1,340
외2)
Morgan Stanley - 1,340 1,320 1,300
평균 - 1,345.5 1,333.5 1,302.0

주 : 1) 11월말경 기준 2) 11월 30일 기준


자료 : Bloomberg, 연합인포맥스

34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2 원자재가격

가. 유가
 [동향] 11월중 국제유가 평균은 하향 안정화되었으나, 10월 대비 변동성 확대
 OPEC+는 일일 200만배럴 감산을 유지, 실제 공급 감소는 10월과 동일

 11월중 미국과 비OPEC+ 국가의 추가 증산도 없어 결과적으로 원유수급은 10월과 동일


- Bloomberg, Rystad Energy에 의하면 11월중 원유 생산은 10월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미국이 휘발유 가격 하락을 위해 셰일 기업의 증산을 독려하고 있으나, 셰일 기업은 과거 저유가 시기
대규모 파산을 경험한 바 있어 추가 증산에 소극적
 공급엔 큰 변화가 없으나, 재고 증가 및 수요 감소 전망으로 월중 유가는 소폭 하락
- 미 에너지 정보국(EIA)에 의하면, 미국의 전략 비축유 1억 5천만배럴 방출에도 불구하고 미국 휘발유
재고가 올해 7월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해 재고 부족 우려가 해소
- 내년도 세계경제 성장률이 저조하며 원유 수요도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유가 하락압력으로 작용
하여 점차적 하락

국제유가, 휘발유, 천연가스 가격 추이1)


(달러/배럴, 달러/갤런, 달러/mmBTU)
2022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WTI 108.6 101.6 109.6 114.3 99.9 91.4 84.1 87.0 84.1
브렌트유 112.7 105.9 112.0 117.6 105.1 97.7 90.6 93.6 90.9
두바이유 111.1 102.8 107.9 113.3 103.1 96.5 90.7 91.2 86.3
휘발유 4.57 4.63 4.99 5.40 5.09 4.54 4.34 4.48 4.40
천연가스 5.0 6.7 8.2 7.6 7.1 8.8 7.8 6.1 6.5
주 : 1) 기간평균
자료 : Bloomberg

국제유가 추이 휘발유 및 천연가스 가격 추이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35
 [전망] 수요 부진으로 인해 유가는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작
은 불안 요인에도 높은 변동을 보이는 시장 상황 고려시 유가 불안은 지속될 전망
 11월중 국제 유가는 작은 충격 요인에도 등락했으나, 수요 부진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하락

 미국, 사우디, 러시아 3대 산유국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상황에서 시장 내부 요인


외에도 정치적 요인이 유가 불안을 지속시킬 전망
 12.4일 OPEC+는 이례적인 주말 긴급회의를 열고 종전의 200만배럴 감산을 유지하는 입장을 발표
- 유럽연합 및 G7 국가가 동참하는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가 12.5일 시행되는 시점에서 발표되었
다는데 주목할 필요
- 또한 매달 개최하던 OPEC+ 정례회의를 6개월마다 개최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대신, OPEC+ 회원국
장관급 감시위원회가 최소 2달에 한 번씩 열리며, 감시위원회 회의는 수시 개최가 가능한 것으로 결정
- 이는 더 이상 미국 및 서방 국가를 의식하지 않고 회원국의 이익을 최우선시할 목적으로 시장 상황에
따라 수시로 생산량을 바꿀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
 러시아는 가격 상한제에 반발하며 공급 중단 가능성도 시사했으나,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실제
감산이나 공급 중단을 실행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
- 우-러 전쟁에서 러시아의 피해가 누적되어 전쟁 전 핵심부대의 인력 및 장비 대다수가 전투불가인 상황
- 난방유 수요가 증가하는 한겨울에 석유 판매량을 극대화해야만 내년 봄 재공격에 필요한 보급, 수리
및 재편성이 가능하다고 지적
 한편, 미국의 천연가스 수출 가격을 놓고 미국-유럽 간 동맹에 균열신호
- 미국 정치전문 매체인 Politico는 익명의 EU 외교관 발언을 인용하며 ‘동맹인 유럽을 상대로 천연가스를
4배 비싸게 파는 미국에 대한 불만’을 통해 미국-유럽 간 갈등 조명
 주요국 간 정치적, 경제적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상황 속에서 유가 불확실성은 매우 높은 상태를
유지할 전망

주요 투자은행들의 유가 전망1)
(달러/배럴)
2) 3) 3)
구분 ‛22.11월 ‛22.4Q(f) ‛23.1Q(f) ‛23.2Q(f)3)

최저 : 79.00 최저 : 78.33 최저 : 77.43


WTI 84.1 최고 : 100.00 최고 : 110.00 최고 : 118.00
중간값 : 90.00 중간값 : 90.00 중간값 : 88.07
최저 : 85.33 최저 : 84.17 최저 : 81.00
브렌트 90.9 최고 : 104.34 최고 : 115.00 최고 : 123.00
중간값 : 94.00 중간값 : 95.00 중간값 : 94.88

두바이4) 86.3 85.72 79.22 79.20

주 : 1) 11월 30일 기준 2) 11월 평균가격 3) 최근 3개월 주요 기관 전망치 4) 전망치가 없어 선도 가격으로 대체


자료 : Bloomberg

36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나. 금속

 [동향] 11월중 비철금속가격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서프라이즈로 인한 고금리 국면


조기 종료 기대와 달러화 약세로 인해 전반적 상승
 런던금속거래소(LME)의 월평균 구리 가격은 톤당 8,063.3달러로 전월대비 6.6% 상승,
월평균 알루미늄 가격은 톤당 2,369.4달러로 전월대비 4.5% 상승
- 구리 가격은 미국 물가 소식으로 급등한 후, 중국의 10월 경제지표 부진으로 하락했으나, 전기차 판매
증가로 인한 전력망 설비 확대가 구리 수요를 견인할 것 이라는 기대로 상승 마감
- 알루미늄 가격은 LME의 러시아산 알루미늄 제재 해제를 발표하며 공급 증가로 상승폭 제한
 월평균 아연 가격은 톤당 2,931.7달러로 전월대비 0.1% 하락, 월평균 니켈 가격은 톤당
25,643.6달러로 전월대비 15.6% 상승
- 아연 가격은 철강 가격 하락으로 제련 역마진이 발생하자 아연 도강판용 아연 수요가 감소하며 하락
- 니켈 가격은 LME의 러시아산 니켈 제재 해제에도 불구하고 고유가 국면의 장기화가 예상되면서
글로벌 전기차 수요 증가 전망이 니켈가격 급등 요인으로 작용
 월평균 납 가격은 톤당 2,100.5달러로 전월대비 6.5% 상승, 월평균 주석 가격은 톤당
21,057.2달러로 전월대비 8.7% 상승
- 납 가격은 중국 코로나 재확산으로 인한 납 배터리 공장 가동 중단이 월말 가격 상승폭 제한
- 주석 가격 역시 중국 코로나 재확산으로 인한 무연땜납(Solder)수요 감소가 월말 가격 상승폭 제한

구리 및 알루미늄 가격 추이 아연 및 니켈 가격 추이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납 및 주석 가격 추이 금 및 은 가격 추이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37
 [12월 비철금속 가격전망] 경제관련 주요 기관이 '23년 경제성장률 전망을 저조하게
평가하며 수요 부진이 예상되는 가운데 달러화 약세로 거래가격 상승 가능성
 공통요인
- 올해 12월 최종 금리 수준을 놓고 연준 관계자들의 발언이 엇갈리면서 금리 인상 속도조절 및 고금리
국면 조기종료에 대한 기대 상승, 이로 인한 달러화 약세는 거래가 상승요인이 될 수 있음
- OECD는 정기 보고서를 통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22년 3.1%, '23년 2.2%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여
비철금속 수요 감소로 인한 가격 하락 가능성 시사
 구리
- 전기차 보급 확산으로 인한 전력망(고용량 ESS, 스마트그리드 부품, 전선폭 확대) 구리 수요 증가는
상승요인이나, 세계적 건설경기 부진은 단기 하락 요인
 알루미늄
- 전기차용 알루미늄 수요 증가는 상승 요인이나, 에너지 가격 상승 진정세로 인한 제련비용 감소는 하락 요인
 아연
- 철강 수요 부진으로 아연도강판용 아연 수요 감소가 이어질 전망
 니켈
- 서방을 신경쓰지 않는 OPEC+, 러시아산 유가 상한제, 에너지 가격으로 인한 미국-유럽 갈등 등 유가
불안 및 고유가 국면이 전기차 전환을 가속화하여 니켈의 초과수요 가능성이 있으나, 일정 수준을 넘을
경우 가격 경쟁력을 의식하여 전기차 생산을 조절할 가능성
 납
- 중국이 제로코로나 완화를 본격화하면서 가동중단 되었던 납 배터리 공장의 재가동 등 상승 요인이
있으나, 마찬가지로 재가동 되는 납 광산 및 납 제련소는 하락요인
 주석
- 봉쇄되었던 주요 전자제품 공장의 재가동은 무연땜납(Solder) 중심으로 주석수요 견인할 가능성 있으나,
반도체 가격 하락 등 업황 부진과 낮은 경제성장률 전망은 하락요인

주요 투자은행들의 주요 금속가격 전망1)


(달러/MT)
구분 ‛22.11월2) ‛22.4Q(f)3) ‛23.1Q(f)3) ‛23.2Q(f)3)
구리 8,063.3 7,450.0 (125) 7,062.0 (-287.5) 7,293.8 (-106.2)

알루미늄 2,369.4 2,200.0 (0) 2,125.0 (-25) 2,233.3 (-33.4)

아연 2,931.7 3,075.0 (-25) 3,000.0 (0) 3,000.0 (0)

니켈 25,643.6 21,555.0 (522.0) 20,093.8 (93.8) 20,000.0 (0)

납 2,100.5 1,900.0 (2.8) 1,800.0 (-29.2) 1,850.0 (0)

주석 21,057.2 20,750.0 (-1,000) 19,843.8 (-656.2) 20,031.3 (-468.7)


주 : 1) 11월 30일 기준 2) 11월 평균가격 3) 최근 3개월 주요 기관 전망치의 중간값, ( )는 10월말 전망치 대비 등락
자료 : Bloomberg

38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GyeongNam Industrial·Economic Trends


Part.1 경남 산업·경제동향

Ⅲ. 경남지역 주력산업 동향

1 조선

 [조선시황] ‛22.1~10월 전세계 수주량은 34.75백만CGT로 전년동기대비 27.6% 감소,


건조량은 24.68백만CGT로 13.0% 감소, 수주잔량은 104.70백만CGT로 7.2% 증가
 수주량은 한국이 14.65백만CGT로 전년동기대비 8.1% 감소, 중국은 15.81백만CGT로
33.6% 감소, 일본은 2.29백만CGT로 60.0% 감소
- 한중일 누적수주점유율(‛22.1~10월, %): 한국(42.2), 중국(45.5), 일본(6.6)
- ‛22.1~10월중 한국 LNG선 수주량은 103척(8.89백만CGT)으로 CGT단위 기준 75.8% 점유
- 한국의 선종별 누적수주량(백만CGT) : 탱커(0.29), 컨테이너선(4.26), LNG선(8.89), LPG선(0.23)
 건조량은 한국(6.80백만CGT, -29.2%)과 중국(11.41백만CGT, -0.1%), 일본(4.07백만CGT,
-11.2%)이 전세계 건조량의 90.3% 차지
- 한중일 누적건조점유율(‛22.1~10월, %): 한국(27.6), 중국(46.2), 일본(16.5)
- 전년동기대비 누적건조량 증가율은 모든 지역에서 감소하였고, 선종별로는 탱커(8.7%) 및 크루즈선(26.9%)를
제외하고 모두 감소
 한국(36.75백만CGT, +26.2%)과 중국(44.89백만CGT, +8.3%)은 수주잔량 증가율이 플러스(+)를
지속, 일본(9.61백만CGT, -16.9%)의 수주잔량은 감소
- 한중일 누적수주잔량점유율(‛22.1~10월, %): 한국(35.1), 중국(42.9), 일본(9.2)
- 주요국 수주잔량 감소 추세에 불구하고 한국과 중국은 LNG선 및 컨테이너선 수주 증가에 힘입어 수주잔량
증가 지속, 전세계 수주잔량도 전년동기대비 7.2% 증가
- 한국은 LNG선(51.3%), 중국은 컨테이너선(43.3%), 일본은 벌커(49.5%), 유럽은 크루즈선(62.9%)
에서 높은 수주잔량 비중 차지

지역별 수주량ㆍ건조량ㆍ수주잔량
(백만CGT, %)
수주량 건조량 수주잔량
구분 2021년 2022년 증가율1) 2021년 2022년 증가율1) 2021년 2022년 증가율1)
1~10월 1~10월 (%) 1~10월 1~10월 (%) 1~10월 1~10월 (%)
한국 15.93 14.65 -8.1 9.60 6.80 -29.2 29.12 36.75 26.2
중국 23.83 15.81 -33.6 11.42 11.41 -0.1 41.44 44.89 8.3
일본 5.72 2.29 -60.0 4.59 4.07 -11.2 11.56 9.61 -16.9
유럽 0.98 0.94 -4.9 1.76 1.63 -7.0 12.04 9.86 -18.1
기타 1.50 1.07 -28.9 1.03 0.77 -24.9 3.50 3.59 -2.8
총계 47.96 34.75 -27.6 28.39 24.68 -13.0 97.65 104.70 7.2

주 : 1) 전년동기대비
자료 :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Shipbuilding & Offshore Focus 『원자료: Clarkson, 2022.11.2 기준』

39
선종별 수주량ㆍ건조량ㆍ수주잔량
(백만CGT, %)
수주량 건조량2) 수주잔량
구분 2021년 2022년 증가율1) 2021년 2022년 증가율1) 2021년 2022년 증가율1)
1~10월 1~10월 (%) 1~10월 1~10월 (%) 1~10월 1~10월 (%)
탱커 5.64 1.96 -65.2 22.91 24.91 8.7 12.67 7.67 -39.5
벌커 10.20 3.43 -66.4 33.41 25.67 -23.2 18.37 16.01 -12.8
컨테이너선 19.41 11.22 -42.2 0.92 0.95 -2.9 26.90 33.89 26.0
LNG선 5.00 11.72 134.7 9..4 4.13 -55.8 13.15 23.88 81.7
LPG선 2.17 0.37 -82.8 2.18 2.05 -6.4 3.52 3.26 -7.3
크루즈선 0.32 0.32 1.2 0.91 1.16 26.9 9.20 6.85 -25.6
기타 5.22 5.72 9.5 - - - 13.84 13.13 -5.1
총계 47.96 34.75 -27.6 - - - 97.65 104.70 7.2

주 : 1) 전년동기대비 2) 건조량 단위 : 벌커&탱커(백만DWT), 컨테이너선(백만TEU), LNG, LPG(백만CBM),


크루즈(백만GT)
자료 :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Shipbuilding & Offshore Focus 『원자료: Clarkson, 2022.11.2 기준』

2022년 1~10월 주요 선종별ㆍ지역별 수주 점유율


(백만CGT, %)
탱커 벌커 컨테이너선 LNG선 LPG선 크루즈선
구분
수주량 점유율 수주량 점유율 수주량 점유율 수주량 점유율 수주량 점유율 수주량 점유율

한국 0.29 14.9 - - 4.26 38.0 8.89 75.8 0.23 60.8 - -

중국 0.84 42.8 2.37 68.9 6.09 54.3 2.84 24.2 0.03 8.0 - -

일본 0.21 10.6 0.83 24.0 0.81 7.2 - - 0.12 31.2 - -

유럽 0.05 2.4 - - 0.05 0.5 - - - - 0.32 100

기타 0.58 29.3 0.24 7.0 - - - - - - - -

총계 1.96 100 3.43 100 11.22 100 11.72 100 0.37 100 0.32 100

자료 :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Shipbuilding & Offshore Focus 『원자료: Clarkson, 2022.11.2 기준』

지역별 및 선종별 수주잔량 구성


(%)
2021년 1~10월 2022년 1~10월
구분
한국 중국 일본 유럽 한국 중국 일본 유럽
탱커 19.7 12.6 16.5 3.3 8.1 6.1 8.7 5.7
벌커 0.7 24.6 48.4 - - 19.7 49.5 -
컨테이너선 28.6 41.0 24.0 - 31.6 43.3 26.1 -
LNG선 38.2 2.5 - 6.5 51.3 8.6 - 8.3
LPG선 7.5 2.5 3.8 - 4.7 1.4 4.9 -
크루즈선 - 1.1 - 65.3 - 0.7 - 62.9
기타 5.3 15.8 7.2 24.9 4.3 20.3 10.8 22.5

자료 :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Shipbuilding & Offshore Focus 『원자료: Clarkson, 2022.11.2 기준』

40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전세계 조선 시황 추이 전세계 선종별 수주량 추이

자료 :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Shipbuilding & Offshore Focus 『원자료: Clarkson, 2022.11.2 기준』

한·중·일 3국의 수주량 및 점유율 추이

자료 :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Shipbuilding & Offshore Focus 『원자료: Clarkson, 2022.11.2 기준』

 [선가] ‛22.10월 신조선가 지수(클락슨 지수)는 162.0으로 전월(162.3)대비 0.3p 하락,


11월중 벌크선 및 컨테이너선 선가는 하락 추세이나 탱커는 상승
 Capesize급 벌크선의 ‛22.11월 월평균 신조선가는 51.4백만달러로 전월(53.0백만달러)에
비해 하락, 전년동월대비 7.9% 하락
 VLCC급 탱커의 ‛22.11월 월평균 신조선가는 116.2백만달러로 전월(112.6백만달러)에 비해
상승, 전년동월대비 21.3% 상승
 Post Panamax급 컨테이너선의 ‛22.11월 월평균 신조선가는 79.7백만달러로 전월(107.4백만달러)에
비해 하락, 전년동월대비 42.6% 하락

41
클락슨지수 추이 벌크선 신조선가 추이

자료 :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Shipbuilding & 자료 : Bloomberg


Offshore Focus 『원자료: Clarkson, 2022.11.2
기준』

탱커 신조선가 추이 컨테이너선 신조선가 추이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 [선박 운임] ‛22.11월 벌크선, 컨테이너선 운임은 전년동월대비 하락, 탱커 운임 및


LNG 용선료는 상승
 발틱건조물운임지수(BDI)는 11월 월평균 1,297.8로 전월 1,788.0에 비해 490.3p 하락,
전년동월대비 52.1% 하락
 탱커 운임지수 BDTI, BCTI는 11월 월평균 각각 2,147.3, 1,442.5로 전월 1,643.8, 1,208.8에
비해 503.5p, 233.8p 상승하였고 전년동월대비 172.1%, 140.4% 상승
 상하이 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11월 월평균 1,389.8로 전월 1,763.4에 비해 373.6p
하락, 전년동월대비 69.5% 하락
 LNG선 15.5∼16.6만CBM급(1년 정기계약) 월평균 일일용선료는 18.7만달러로 전년동월대비
85.1% 상승

42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벌크선 주요 운임지수 추이 탱커 운임지수 추이1)

주 : 1) BDTI : 원유 유조선
BCTI : 휘발유나 경유 등 석유 제품선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상해 컨테이너 운임지수(SCFI) 추이 LNG선 일일용선료 추이1)2)

주 : 1) 현물가격 2) 15.5~16.5만CBM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 [후판가격] ‛22.11월 국내 후판(SS275*) 월평균 가격은 kg당 1,173원으로 전월


(1,250원)에 비해 하락, 전년동월대비 1.9% 하락
* 구조용 강판으로 건축, 다리, 차량 등 그 밖의 구조물에 사용되는 후판의 한 종류. SS275와 SM355에서 숫자는 인장강도를 의미

 수입 후판 SS275, SM355 월평균 가격은 각각 kg당 925원, 985원으로 전월(1,060원,


1,120원)에 비해 하락, 전년동월대비 16.5%, 14.2% 하락

국내 후판 가격 추이1)

주 : 1) SS강종은 일반구조용강, SM강종은 용접구조용강을 의미, 숫자는 인장강도


자료 : 스틸데일리

43
2 자동차

 ‛22.10월 국내 자동차 산업은 전년동월대비 생산·내수·수출 모두 증가


 생산은 작년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에 따른 기저효과로 전년동월대비 24.2% 증가한 327,486대
- 전년동월 차량용 반도체 부품 수급 차질에 의한 휴업 및 감산 영향으로 기저효과 발생
* ‛21.10월 휴업현황 : (GM) 10월 1~4주 부평공장 휴업 및 감산, (쌍용) 10.7~8, 10.19~20 휴업

- ‛22.10월 업체별 생산 현황(전년동월대비, %): 현대(11.7), 기아(19.6), 한국지엠(364.6), 쌍용(157.6),


르노코리아(10.9)
 내수판매는 친환경차가 전년동월대비 16.0% 증가한 39,612대 판매되며 전체 15.2% 증가한
144,363대 판매
- 국산차는 생산량 확대 및 출고지연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11.6% 증가한 118,569대 판매
- 친환경차 연료별 판매대수(전년동월대비): 하이브리드(18,873대, -7.5%), 전기차(18,684대, 70.7%),
플러그인하이브리드(954대, -48.4%), 수소(1,101대, 17.1%)
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30.2% 증가한 208,544대, 수출금액은 28.5% 증가한 49.2억달러로
모두 4개월 연속 두 자릿수로 증가
- 국내 브랜드의 해외 현지 수요 지속, 개선된 차량용 반도체 수급 상황에 따른 생산 확대로 완성차
업체 모두 4개월 연속 두 자릿수로 증가(산업통상자원부)
- 친환경차 수출대수는 전년동월대비 36.1% 증가한 52,279대 기록하였고, 금액은 27.1% 증가한
14.5억달러 기록하며 전체 승용차 수출 금액의 29.4% 차지
 자동차부품 수출은 반도체 수급상황 개선 및 친환경차 수요 지속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3.1% 증가한 18.4억달러
- ‛22.10월 지역별 자동차부품 수출(백만달러, 전년동월대비) : 북미(651, 27.2%), 아시아(526, 6.4%), EU(308,
-4.56%), 중남미(213, 15.9%), 기타유럽(74, -62.1%), 중동(55, -13.5%), 오세아니아(9, 22.5%)

국내 자동차 산업 실적1)
(대)
구 분 2021년 10월 2022년 9월 2022년 10월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생 산 263,676 307,499 327,486 6.5 24.2
내 수 125,315 140,294 144,363 2.9 15.2
국산차 106,245 112,923 118,569 5.0 11.6
친환경차 34,148 41,566 39,612 -4.7 16.0
수입차 19,036 27,324 25,794 -5.6 35.5
수 출 160,172 195,266 208,544 6.8 30.2
2)
수출금액 38.3 48.0 49.2 2.5 28.5
친환경차 38,412 48,632 52,279 7.5 36.1
2)
부품수출금액 17.8 20.1 18.4 -8.6 3.1

주 : 1) ‛22년 10월은 잠정치 2) 억달러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44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국내 자동차(승용차) 산업 실적 증가율 추이1)2)

주 : 1) 전년동월대비 2) ‛22년 10월은 잠정치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 10월중 경남지역 자동차산업의 생산·출하·재고는 전년동월대비 모두 증가


 생산·출하·재고는 기저효과로 인해 전년동월대비 각각 35.8%, 33.4%, 9.7% 증가
- 생산(전년동월대비, %): (‛22.8월) 26.2 → (9월) 28.3 → (10월) 35.8
- 출하(전년동월대비, %): (‛22.8월) 36.4 → (9월) 33.3 → (10월) 33.4
- 재고(전년동월대비, %): (‛22.8월) 7.7 → (9월) 6.4 → (10월) 9.7
- 재고율(재고/출하, 전년동월대비, %p): (‛22.8월) -21.0 → (9월) -20.2 → (10월) -17.8

경남 자동차 및 트레일러 생산·출하․재고지수 증가율 추이1)2)

주 : 1) 전년동월대비 2) ‛22년 9월, 10월은 잠정치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45
 경남지역 10월중 완성차 수출은 13백만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28.9% 증가, 자동차
부품은 전년동월대비 11.2% 감소
 자동차 수출은 러시아(‛21.10월 0.5백만달러→‛22.10월 4.1백만달러), 리비아(‛21.10월 1.1백만달러→
‛22.10월 3.6백만달러) 등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증가, 자동차부품 수출은 203백만달러 수출하며
전월에 이어 감소세 지속
- 북미지역 자동차 수출은 전월에 비해 감소(8.3→0.8백만달러)하였고 경남지역 자동차 전체 수출 중
차지하는 비중은 6.2%로 감소
- 유럽지역 자동차 수출은 전월보다 증가(3.5→4.5백만달러)하며 34.6% 비중 차지
- 국가별 자동차부품 수출 비중은 미국(33.3%), 멕시코(15.7%), 중국(10.1%), 우즈벡(9.2%) 등으로
미국 수출 비중이 가장 높았고 브라질(5.3%→8.0%), 우즈벡(8.6%→9.2%) 등의 비중이 전월대비
증가, 멕시코(18.2%→15.7%), 일본(4.3%→4.0%) 등의 비중은 감소

경남 자동차 수출 추이1) 경남 자동차 북미·유럽지역 수출액 추이

주 : 1)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자료 : 한국무역협회; MTI(741) 자료 : 한국무역협회; MTI(741)

경남 자동차부품 수출 추이1) 경남 국가별 자동차부품 수출 비중

주 : 1) 증가율은 전년동월대비
자료 : 한국무역협회; MTI(742) 자료 : 한국무역협회; MTI(742)

46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 해외 주요 국가의 10월 자동차산업 생산은 미국, 중국, 일본이 전년동월대비 증가,


유로존(9월) 자동차 및 부품 생산도 전년동월대비 증가
 자동차 및 부품 생산은 미국, 중국, 일본이 전년동월대비 10.8%, 8.6%, 33.5% 증가하였고
9월중 유로존 자동차 생산은 44.9%, 자동차 부품은 18.1% 증가

 자동차 판매는 전년동월대비 미국, 중국, 유럽, 한국, 일본 모두 증가


 완성차 자동차 판매 전년동월대비 증가율은 미국(9.6%), 중국(7.4%), 유럽(3.9%), 한국
(18.6%), 일본(28.6%) 모두 증가, 전월대비로는 미국, 한국이 증가
- 미국 자동차 판매(전년동월대비, %): (‛22.8월) 3.8 → (9월) 10.1 → (10월) 9.6
- 중국 자동차 판매(전년동월대비, %): (‛22.8월) 32.5 → (9월) 26.3 → (10월) 7.4
- 유럽 자동차 판매(전년동월대비, %): (‛22.8월) -6.5 → (9월) 0.5 → (10월) 3.9
- 일본 자동차 판매(전년동월대비, %): (‛22.8월) -9.3 → (9월) 24.1 → (10월) 28.6
- ‛22.10월 자동차 판매(전월대비, %): (미국) 2.9, (중국) -4.0, (유럽) -12.1, (한국) 8.1, (일본) -9.1

미국·일본·중국
유로존 자동차 및 부품 생산 증가율 추이1)
자동차 및 부품 생산 증가율 추이1)2)

주 : 1) 전년동월대비 주 : 1) 전년동월대비
2) 중국은 1월 및 2월 자료를 공표하지 않음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해외 주요국가 자동차 판매 추이1)

주 : 1) 유럽은 신차 등록대수
자료 : Bloomberg

47
3 일반기계

 10월 전국 일반기계부문의 생산·출하·재고 모두 증가세 둔화


 10월의 전국 생산·출하·재고 증감률은 각각 전년동월대비 +5.7%, +4.1, +13.0%
- 생산(전년동월대비, %): (‛22.8월) 10.3 → (9월) 11.8 → (10월) 5.7
- 출하(전년동월대비, %): (‛22.8월) 9.9 → (9월) 10.6 → (10월) 4.1
- 재고(전년동월대비, %): (‛22.8월) 10.8 → (9월) 17.6 → (10월) 13.0

 10월 경남 일반기계부문의 전년동월대비 생산 증가세, 출하 증가폭 확대, 재고 증가폭


축소
 10월의 경남 생산·출하·재고 증감률은 각각 전년동월대비 +2.3%, +6.7%, +14.6%
- 생산(전년동월대비, %): (‛22.8월) 4.1 → (9월) 5.2 → (10월) 2.3
- 출하(전년동월대비, %): (‛22.8월) 10.6 → (9월) 4.0 → (10월) 6.7
- 재고(전년동월대비, %): (‛22.8월) 3.2 → (9월) 23.8 → (10월) 14.6

전국 기타 기계 및 장비 경남 기타 기계 및 장비
1)2)
생산·출하․재고지수 증가율 추이 생산·출하․재고지수 증가율 추이1)2)

주 : 1) 전년동월대비 주 : 1) 전년동월대비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 일반기계산업의 재고․출하 순환도 분석 결과 전국과 경남 모두 유사한 둔화국면


 전국은 ‛21.10월 출하 대비 재고가 증가하는 둔화국면에서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하강국면을
유지하여 ‛22.10월 현재 출하보다 재고가 많은 하강국면에 위치
 경남은 ‛21.10월 출하가 재고보다 높은 상승국면에서 시작하여 상승과 둔화를 반복하다가
‛22.10월 현재 재고가 누적되는 둔화국면에 위치

48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전국 기계산업 재고․출하 순환도1)2) 경남 기계산업 재고․출하 순환도1)2)

주 : 1) 전년동월대비 주 : 1) 전년동월대비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 경남 기계산업의 10월중 전년동월대비 수출입 증감률은 수출이 –10.7%, 수입이 –2.0%로


모두 감소
 제품별 수출 전년동월대비 증감률은 기초산업기계가 -6.5%, 산업기계는 -18.1%, 기계요소
및 금형은 0.4%, 기타기계류 3.4%
 제품별 국가별로는 대중 대미 수출 감소, 멕시코·인도·인도네시아·EU 수출 증가
- 멕시코는 미국에 직접 공장을 짓기에 인건비가 맞지 않은 경우 NAFTA를 계승한 USMCA를 활용할
목적으로 세워진 공장에 필요한 산업용 기계 수요 증가
- 인도 및 인도네시아는 중국에서 유출된 공장들이 대안으로 선택한 지역이면서 동시에 해당 국가 자체적으로
산업 육성을 위한 기회로 보고 투자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중
 공급망 변화로 인한 탈중국 수혜국에 대해 관심을 갖고 모니터링이 필요
- 중국에서 이탈한 공장이 미국, 유럽으로 리쇼어링하기도 하나, 멕시코·우즈베키스탄과 같은 인접국가
또는 인도·ASEAN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있음
- 신규 기계설비 증가가 예상되는 지역을 주시할 필요

 경남지역 기계산업과 주요 연관(수요)산업은 기계산업을 제외한 나머지 연관산업이


모두 두 자릿수 생산 증가세를 지속중
 기타 운송장비 생산(전년동월대비, %): (‛22.8월) 26.7 → (9월) 20.1 → (10월) 19.6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생산(전년동월대비, %): (‛22.8월) 26.2 → (9월) 28.3 → (10월) 35.8

 기계 및 장비 생산 (전년동월대비, %): (‛22.8월) 4.1 → (9월) 5.2 → (10월) 2.3

 금속가공제품 생산(전년동월대비,%): (‛22.8월) 28.1 → (9월) 34.5 → (10월) 27.5

49
경남 기계산업 경남 기계산업과
2)
생산지수 1)
및 수출입 증가율 추이 주요 연관산업의 생산지수 증가율 추이1)2)

주 : 1) 전년동월대비 주 : 1) 전년동월대비
2) 생산지수 ‛22년 9, 10월은 잠정치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한국무역협회; MTI(71,72,75,79 기준)

경남 기계산업 품목별 수출 현황1)


(천달러, %)
기초산업기계(MTI 71) 산업기계(MTI 72) 기계요소 및 금형(MTI 75)

구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국가 ‛21년 ‛22년 전년동 국가 ‛21년 ‛22년 전년동 국가 ‛21년 ‛22년 전년동
10월 10월 월대비 10월 10월 월대비 10월 10월 월대비

총계 261,165 244,090 -6.5 총계 380,431 311,440 -18.1 총계 106,379 106,848 0.4

1 미국 83,665 63,304 -24.3 미국 136,749 93,414 -31.7 중국 28,013 26,805 -4.3

2 네덜란드 15,521 25,420 63.8 벨기에 23,396 28,371 21.3 미국 14,867 18,113 21.8

3 중국 31,650 21,497 -32.1 중국 33,333 19,236 -42.3 일본 16,450 13,457 -18.2

인도
4 멕시코 17,924 17,687 -1.3 14,618 18,118 23.9 독일 6,047 7,272 20.3
(인디아)
인도 인도
5 1,273 16,483 1,194.5 독일 10,819 14,473 33.8 3,101 6,787 118.9
네시아 (인디아)

6 일본 12,716 10,720 -15.7 일본 13,155 11,286 -14.2 멕시코 5,539 5,205 -6.0

우즈베 인도
7 8,578 8,798 2.6 5,283 11,141 110.9 캐나다 3,342 3,984 19.2
키스탄 네시아
53,953. 사우디
8 괌 12 6,560 16,112 11,133 -30.9 베트남 3,321 2,968 -10.6
6 아라비아

9 알제리 0 5,999 0.0 튀르키예 11,624 10,910 -6.1 태국 2,975 2,387 -19.8

인도 인도
10 4,050 5,848 44.4 이탈리아 21,146 9,900 -53.2 2,810 1,768 -37.1
(인디아) 네시아

주 : 1) 국가 순위는 ‛22년 10월 기준


자료 : 한국무역협회

50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 '22.1~10월 우리나라 기업의 플랜트 수주 누계액은 해상 플랜트, 산업시설 신규


수주 증가로 전년동기대비 3.7% 증가한 18,303.1백만달러 기록, 수주건수도 354
건에서 375건으로 21건 증가
 대륙권역별로 아시아 8,040.4백만달러(216건), 중동 2,695.5백만달러(37건), 아프리카 1,106.0
백만달러(21건), 미주 4,026.6백만달러(58건), 유럽 2,434.6백만달러(43건)의 수주 집계
 섹터별로 담수&발전 3,005.7백만달러(79건), 석유화학 3,489.5백만달러(18건), 산업시설 7,219.3
백만달러(223건), Oil&Gas 2,841.7백만달러(35건), 해양 887.3백만달러(3건), 기계 859.6백만
달러(17건)의 수주 집계
 10월의 주요 수주실적
- 현대중공업이 332백만달러 규모의 FSRU(해상 LNG 저장 및 재기화 플랜트) 수주
* FSRU는(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의 줄임말로 해상 이동이 가능하며 LNG를 저장하고 저온 고압
으로 액상화 하여 운반된 LNG를 다시 상온, 대기압 수준으로 기화시키는 설비
* 기존에는 해양 가스 플랜트에서 채취한 LNG를 파이프라인을 통해 해안의 LNG 액화 및 저장설비로 운반한 후,
다시 LNG선에 옮겨싣는 방식으로 LNG 운반이 이뤄졌으나 FSRU를 이용하면 LNG 운반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어 도입 증가 중이며 한국 조선업계가 수주하는 LNG추진선 및 LNG운반선과 시너지 효과 기대
- 삼성엔지니어링이 삼성SDI 헝가리 법인으로부터 319만달러 규모의 극판마감 및 화성라인 증설 수주
* 탈세계화 및 공급망 내재화로 EU 가입국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면서 상대적으로 투자 여건이 좋은 헝가리에 대한
투자 증가

세계 플랜트 수주 실적
(건, 백만달러)
2021년 2022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1~10월 1~10월

수주건수 372 450 383 706 454 354 375


수주금액 26,709.2 21,689.1 17,207.7 27,512.5 27,043.5 17,651.9 18,303.1
자료 : 한국플랜트산업협회

지역 및 섹터별 플랜트 수주 실적1)


(백만달러)
섹터
담수&발전 석유화학 산업시설 Oil&Gas 해양 기계 총계(증가율2))
지역
아시아 844.7 2,288.9 2,550.7 1,550.0 332.2 473.9 8,040.4 (49.4)
중동 1,263.1 23.7 897.7 486.4 9.4 15.1 2,695.5 (-55.2)
아프리카 278.9 24.8 4.3 797.9 0.0 0.0 1,106.0 (4,546)
미주 618.9 9.5 2,506.0 2.6 545.7 344.0 4,026.6 (13.1)
유럽 0.0 1,142.6 1,260.6 4.8 0.0 26.7 2,434.6 (-8.1)
총계 3,005.7 3,489.5 7,219.3 2,841.7 887.3 859.6 18,303.1
2) (-14.3) (-11.0) (206.8) (-10.0) (-77.5) (11.1) (3.7)
(증가율 )

주 : 1) ‛22년 1~10월 누계기준 2) 전년동기대비


자료 : 한국플랜트산업협회

51
 10월 중국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전년누적동월대비)은 5.8% 증가, 전반적으로 고정
자산 투자 증가율이 하락하는 가운데 중국 정부는 각종 부동산 대책 시행중
 고정자산투자(전년누적동월대비,%): (‛22.8월) 5.8 → (9월) 5.9 → (10월) 5.8
- 건설 및 설치(전년누적동월대비, %): (‛22.8월) 6.6 → (9월) 6.5 → (10월) 6.2
- 장비 및 기계 매입(전년누적동월대비, %): (‛22.8월) 3.5 → (9월) 3.7 → (10월) 4.2
- 중국 굴착기 생산(전년동월대비, 대): (‛22.8월) -41,591 → (9월) -41,315 → (10월) -41,440
 10월에 이어 부동산 시장 구제정책 확대
- Bloomberg 및 Reuter 등에 의하면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과 한국의 금융감독원에 대응하는 은행
보험감독관리위원회가 공동으로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16개 조치 발표
- 부동산 개발업체의 대출 상환유예, 주택 구매자의 주택담보대출 조정 등을 포함
- 내순환(공급망 해외의존도 감소)을 위해 비생산적 부문(부동산 투기)를 억제한다는 기존의 경제 정책에서
선회한 의미있는 변화로 평가

 10월 미국 신규주택착공건수는 1,425천건으로 9월(1,439천건)대비 14천건 감소


 신규주택착공건수(천건): (‛22.8월) 1,508 → (9월) 1,439* → (10월) 1,425*
* '22년 9, 10월은 잠정치

 11월 전미주택건설협회(NAHB) 주택시장지수는 전월대비 5p 하락해 시장 예상치인


36p보다 낮은 33p를 기록하여 부정적 전망 강화
 NAHB지수: (‛22.9월) 46 → (10월) 38 → (11월) 33
- 원자재 및 유가 인상으로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등 주택공급비용이 증가하는데 비해 금리 인상으로
인해 주택건설 수요가 감소하여 일어나는 현상으로 세계적으로 건설경기 부진이 확산중

중국 도시지역 고정자산투자 증가율1) 및


미국 주택시장 추이1)2)
굴착기 생산 추이2)

주 : 1) 전년누적동월대비 2) 1~2월은 누계기준 주 : 1) NAHB 지수 50 이상은 긍정, 미만은 부정을


의미
2) '22년 9, 10월 신규주택착공건수는 잠정치
자료 : Bloomberg 자료 : Bloomberg

52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4 금속가공

 10월 전국 금속가공업 전년동월대비 생산은 감소 전환, 출하는 증가세이나 증가폭 둔화,


재고 증가폭 확대
 10월 전국 생산·출하·재고 증감률은 각각 전년동월대비 -1.7%, +0.6%, +2.5%
- 생산(전년동월대비, %): (‛22.8월) 1.5 → (9월) 2.5 → (10월) -1.7
- 출하(전년동월대비, %): (‛22.8월) 2.3 → (9월) 3.5 → (10월) 0.6
- 재고(전년동월대비, %): (‛22.8월) 0.4 → (9월) 2.3 → (10월) 2.5

 10월 경남 금속가공업 전년동월대비 생산·출하는 7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 재고는


감소를 이어나가 매우 양호한 업황
 10월 경남 생산·출하·재고 증감률은 각각 전년동월대비 +27.5%, +29.4%, -0.9%
- 생산(전년동월대비, %): (‛22.8월) 28.1 → (9월) 34.5 → (10월) 27.5
- 출하(전년동월대비, %): (‛22.8월) 24.5 → (9월) 31.9 → (10월) 29.4
- 재고(전년동월대비, %): (‛22.8월) 0.1 → (9월) -1.4 → (10월) -0.9

전국 금속가공제품 경남 금속가공제품
1)2)
생산·출하․재고지수 증가율 추이 생산·출하․재고지수 증가율 추이1)2)

주 : 1) 전년동월대비 주 : 1) 전년동월대비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 금속가공업의 재고․출하 순환도 분석 결과 전국은 약한 둔화국면, 경남은 매우 강한 상승


국면을 지속중
 전국은 하강과 회복국면을 반복하다가 ‛22.10월 현재 생산증가율 감소로 약한 둔화국면

 경남은 ‛22.10월에 회복국면에 진입하여 ‛22.2~3월 일시 조정을 거친 뒤, ‛22.4~10월까


지 높은 출하증가, 낮은 재고증가로 강한 상승국면 지속

53
전국 금속가공업 재고․출하 순환도1)2) 경남 금속가공업 재고․출하 순환도1)2)

주 : 1) 전년동월대비 주 : 1) 전년동월대비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2) ‛22년 9, 10월은 잠정치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자료 : 통계청; 광업·제조업; 광업제조업동향조사

 10월중 경남지역 금속가공제품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0.8% 증가


 수출(전년동월대비, %): (‛22.8월) 22.7 → (9월) -60.1 → (10월) 0.8
- 수출 품목 비중(%)
* 철강관 및 철강선 (‛22.9월) 26.8 → (10월) 33.5 레일 및 철구조물 (‛22.9월) 15.9 → (10월) 18.0
* 주단조품 (‛22.9월) 23.5 → (10월) 20.0 기타철강금속제품 (‛22.9월) 9.2 → (10월) 7.5

 10월중 경남지역 금속가공제품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39.6% 증가


 수입(전년동월대비, %): (‛22.8월) -10.0 → (9월) 2.5 → (10월) 39.6
- 수입 품목 비중(%)
* 철강관 및 철강선 (‛22.9월) 9.4 → (10월) 7.1 레일 및 철구조물 (‛22.9월) 35.0 → (10월) 39.1
* 합금철선철 및 고철 (‛22.9월) 9.5 → (10월) 13.2 알루미늄조가공품 (‛22.9월) 13.1 → (10월) 12.1

경남 금속가공제품 수출입 증가율 추이1) 경남 금속가공제품 수출 비중 추이1)

주 : 1) 전년동월대비
자료 : 한국무역협회; MTI(614 등 29개 지표) 자료 : 한국무역협회; MTI : 철강관 및 철강선(614),
레일 및 철구조물(615), 주단조품(617),
기타철강금속제품(69)

54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 금속가공업의 연관산업인 건설업의 월중 착공면적은 전년동월대비 40.6% 감소하였고,


허가면적은 전년동월대비 85.0% 증가
 건축착공면적(백㎢): (‛22.8월) 5.1 → (9월) 5.5 → (10월) 5.6
- 건축착공면적(전년동월대비, %): (‛22.8월) 60.7 → (9월) -19.5 → (10월) -40.6
 건축허가면적(백㎢): (‛22.8월) 8.7 → (9월) 12.7 → (10월) 15.0
- 건축허가면적(전년동월대비, %): (‛22.8월) 109.1 → (9월) -2.9 → (10월) 85.0

 11월중 비철금속 가격지수는 4.0% 상승, 철광석 가격은 3.1% 하락


 비철금속 가격지수(LMEX)*는 11월 평균 3,700.9로 10월 평균 3,559.1 대비 141.9p 상승
* 6개 주요 비철금속 가격을 종합해 평균을 낸 지수로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발표

 철광석 가격은 11월 평균 톤당 100.1달러로 10월 평균 103.3달러 대비 3.2달러 하락

 국내 철근 11월 평균 유통소매가는 1,063원으로 10월 대비 4.6% 상승하였고, H형강은 1,305원으로


2.5% 상승, 열연강판(SS275)은 1,100원으로 8.3% 하락, 냉연강판은 1,098원으로 4.6% 하락

경남 금속가공업 출하지수 증가율1)2) 및


원자재 및 철광석 가격 추이
건축착공․허가면적 추이

주 : 1) 전년동월대비
2) 출하지수 ‛22년 9, 10월은 잠정치
자료 : 국토교통부, 통계청; 건설; 건설허가및착공통계 자료 : Bloomberg

국내 철근 및 H형강 가격 추이 국내 강판 가격 추이1)

주 : 1) HR(열연강판)은 포스코유통가 기준
자료 : 스틸데일리 자료 : 스틸데일리

55
Part.2 경남 산업·경제이슈

민선 8기 이전 경남경제에 누적된
문제점과 해결방안

경상남도경제진흥원 강성윤 원장
곽소희 경제동향분석센터장

1. 민선 8기 출범에 즈음한 경남 실물경제 동향


2. 민선 8기 이전 경남경제에 누적된 문제점
3. 해결방안 모색

본 자료의 내용은 경상남도 경제진흥원의 공식견해가 아니라 집필자 개인의 견해라는 점을 밝힙니다.
따라서 본 자료의 내용을 보도하거나 인용할 경우에는 집필자명을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GyeongNam Industrial·Economic Trends


Part.2 경남 산업·경제이슈

민선 8기 이전 경남경제에 누적된 문제점과 해결방안

1 민선 8기 출범에 즈음한 경남 실물경제 동향

 경남은 2012년까지 전국 경제성장률을 평균적으로 웃돌았으나 2013년부터 추세적


하회하기 시작하여 최근 들어 격차가 더욱 확대

 이에 따라 경남이 국내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6.9%였으나 2020년에는 5.6%


수준으로 축소

전국 및 경남 경제성장률1) 및 격차2) 경남 경제 비중 추이1)

주 : 1) 전년대비 2) 격차 : 경남-전국경제성장률 주 : 1) 전국대비


자료 : 통계청 자료 : 통계청

 경남의 제조업 생산과 수출활동도 부진하면서 지역경제 활력을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 제조업 생산 증가율이 둔화를 지속하면서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하락세

제조업 생산액 증가율 추이1) 경남 제조업 생산액 비중 추이1)

주 : 1) 전년대비 주 : 1) 전국대비
자료 : 통계청 자료 : 통계청

59
 수출증가세는 '18년 이후 다소 회복 중이나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

경남 수출 증가율 추이1) 경남 수출 비중 추이1)

주 : 1) 전년대비 주 : 1) 전국대비
자료 : 통계청 자료 : 통계청

 생산과 수출이 부진한 가운데 소비의 기초가 되는 개인소득 역시 2020년 전국 최하위를


기록

 경남 경제성장률 둔화와 맞물려 2016년부터 급감한 피용자보수 증가율이 개인소득 감소를


주도하여 경남의 개인소득 순위 급락에 영향
* 재산소득, 사업소득은 전국 평균과 큰 차이가 없으며 지역총소득 중 개인소득 분배비율은 오히려 전국
평균보다 높아 개인소득 감소는 피용자보수증가율 둔화에 주로 기인

1인당 개인소득 추이1) 피용자보수 증가율 추이1)

주 : 1) 순위는 17개 시도중 개인소득이 높은


순으로 매김 자료 : 통계청
자료 : 통계청

60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2 민선 8기 이전 경남경제에 누적된 문제점

가. 성장잠재력 둔화
 경남 경제가 지난 10여년간 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한 모습을 보인 것은 경남의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성장잠재력이 둔화되어 왔기 때문

 우리나라 전체 잠재성장률과 비교해보면 경남 잠재성장률은 2010년까지는 전국평균을 상회


하였으나 이후 전국보다 낮은 수준

전국 및 경남 잠재성장률 비교1)2)
(%)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전국 5.0 3.7 3.4 2.8
경남 6.2 4.3 2.0 1.0

주 : 1) 생산함수접근법 기준 2) 연평균
자료 : 한국은행, 경남경제의 잠재성장률 추정과 시사점(2019.1.29.)

 경남의 잠재성장률이 전국에 비해 둔화된 요인을 자본, 노동, 총요소생산성으로 나눠보면


주로 총요소생산성 하락에 기인하였으며, 자본 및 노동 투입 둔화도 원인으로 작용

경남지역 잠재성장률 요소별 기여도1)

주 : 1) 생산함수접근법 기준
자료 : 한국은행, 경남경제의 잠재성장률 추정과 시사점(2019.1.29.)

 2010년 이후 경남경제의 구조전환이 필요한 중요한 시기에 경남의 순투자(고정자본형성-고정


자본소모)가 빠르게 감소했고 그 결과 경남지역 제조업은 2010년 이후 급격하게 영세화되어
근로자 1인당ㆍ제조업체당 부가가치 하락

61
전국과 경남의 순투자 상대비교1) 전국과 경남의 1인당·제조업체당 부가가치

주 : 1) 2015년 순투자액 = 100으로 지수화


자료 : 통계청 지역소득 자료 : 통계청 지역소득

 노동측면에서도 경남의 경우 농업종사자 위주로 생산가능인구가 소폭 순유입 되기는 하였으나


청년층의 순유출이 크게 늘고 노동중개기능 미흡으로 인한 효율성 약화로 노동기여율이 크게
하락

경남 연령별 인구 순유입1)2) 노동중개 기능 비효율1)2)

주 : 1) 2010~2021년중 총인구 대비 순유입자의 비중 주 : 1) 결원율 = 신규 구인자수÷(신규구인자수 +


2) 순유입 = 전입 – 전출 총취업자, 연간 합계 기준
2) 노동시장에서 일자리 매칭이 비효율적으로 이
뤄질 경우 결원율이 변동없더라도 실업률이
상승하게 됨(베버리지 곡선 우상향 이동)
자료 : 통계청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통계청

 자본 및 노동 기여도가 하락하는 상황에서 지역 경제성장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증가가


필수적인데 경남은 R&D 활동과 혁신역량 부족 등으로 생산성마저 하락
-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가 전국평균에 비해 크게 부진한데 여기에는 현대위아, 두산중공업 등 주요
대기업 연구개발 센터의 수도권 이전도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1)

1) 한대성 외(2019.1), 『경남경제의 잠재성장률 추정과 시사점』, 한국은행

62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경남 주요기업의 연구소 이전

연도 이전기업 주요내용

거제 옥포조선소
2011 대우조선해양
연구원 서울로 이전

2011 삼성중공업 거제 조선소 연구기능 축소

공작기계 연구개발인력 경기도


2012 현대위아
의왕 중앙연구소로 이전

2014 두산중공업 연구센터 경기도 수지로 이전

자료 : 한국과학기술평가원 자료 : 경남신문(2014.10.20.)

- 지역혁신지수가 0.22포인트로 전국 평균 0.43포인트에 크게 미달하는 등 혁신활동 수준이 저조하


며 과학기술혁신 역량지수도 전국평균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

지역혁신지수1) 지역별 과학기술혁신 역량지수1)

주 : 1) 2015년 기준 주 : 1) 2020년 기준
자료 : 장재홍 외(2018.1), 산업연구원 자료 : 한국과학기술평가원

나. 경남 대표산업의 경쟁력 약화
 (일반기계) 경남의 주요 대표산업인 일반기계는 경쟁력 회복이 지연되면서 생산 및 수출
활동 부진이 이어짐

연도별 기타기계 및 장비 제조업 생산 증가율 추이1)


(%)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전국 9.5 9.9 0.7 -10.5 38.6 9.3 -2.1 -4.0 0.4 -3.1 1.5 13.6 -3.3 -6.0 3.1 11.9

경남 8.3 10.7 3.5 -8.5 24.3 11.4 -8.6 -11.8 -6.4 -7.6 -4.2 8.8 0.5 -7.1 -9.7 8.5

주 : 1) 전년대비
자료 : 통계청

63
 일반기계 순수출은 한두해를 제외하고는 '11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데 이는 상당 부분
대중국 기계류 수출 감소에 기인
 한편, 전국과 경남 모두 일반기계부품 대중국 무역흑자를 유지하고 있으나 흑자폭이 계속 감
소하여 경남 일반기계 산업 경쟁력이 하락하고 있음을 시사

경남 기계류 순수출액 및 증가율 추이1) 대중국 기계류 무역흑자 추이

주 : 1) 전년대비
자료 : 한국무역협회 자료 : 한국무역협회

 (자동차) 경남의 또 다른 대표산업*인 자동차부품업체는 주로 내연기관 중심으로 분포되어


향후 친환경차 등 미래 변화 대응에 불리
* 경남 자동차부품사가 사업체 개수 기준으로는 전국 시도 가운데 18.4%(2019년 기준)를 차지(전국 2위)
 2019년 기준 경남 자동차 부품사 중 향후 친환경차 증가의 영향을 받아 축소될 가능성이 높은
엔진·동력부문의 전국 비중은 30% 내외에 달함
 이러한 가운데 경남 자동차기업 중 전기차, 수소차 등 미래차에 관심을 표명한 기업은 2021년
기준 전체의 약 10% 정도*에 불과한 실정
* 경남전체 1,875개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218개 기업이 미래차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2021년),
나머지는 무응답이거나 관심을 표명하지 않음

경남 자동차 부품사 생산품별 전국 비중1) 경남자동차 기업의 미래차 관심 기업현황


(개)
기업체수
구분
‘18~’19 2020 2021

전기차 51 103 103

수소차
30 53 115
(수소산업)

합계 81 156 218

주 : 1) C303 이하 자동차 신품 제조업체 기준


자료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시스템 자료 : 경남TP 자동차로봇센터 기업현황 조사

64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 (조선) 조선업은 최근 LNG운반선과 컨테이너선을 중심으로 수주가 급증하였으나 인력


부족으로 인해 산업경쟁력 저하가 우려

2022년 1~7월 주요 선종별ㆍ지역별 수주 점유율


(백만CGT, %)
탱커 벌커 컨테이너선 LNG선 LPG선 크루즈선
구분
수주량 점유율 수주량 점유율 수주량 점유율 수주량 점유율 수주량 점유율 수주량 점유율

한국 0.18 15.1 - - 4.14 37.4 6.47 74.3 0.03 23.7 - -


중국 0.49 40.9 1.65 72.0 3.74 42.8 2.23 25.7 0.02 15.1 - -
일본 0.05 4.0 0.57 24.9 0.80 9.2 - - 0.09 61.2 - -
유럽 0.05 4.0 - - 0.05 0.6 - - - - 0.12 100
기타 0.43 36.1 0.07 3.1 - - - - - - - -
총계 1.19 100 2.29 100 8.74 100 8.71 100 0.14 100 0.12 100
자료 :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Shipbuilding & Offshore Focus 「원자료: Clarkson, 2022.8.2 기준」

 조선업이 호황을 보였던 2014~15년에 조선업 인력은 20만명 이상을 기록하였으나 지난해 말
9만명 수준으로 급감하면서 시황개선에도 인력 확보가 어려운 상황
 일본의 경우 1975년 호황기에 16만명의 조선인력을 보유했으나 지난해 말 4.2만명까지 감소
하면서 자동화로 극복하려 하였지만 생산량 감소로 생산성이 낮아지는 악순환에 직면

한국(좌), 일본(우)의 조선업 생산량과 인력 추이 비교

자료 :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일본조선공업회, 클락슨 SIN DB를 이용하여 KIET분석


(경남 산업경제동향 22.8월호 : Part2. 경남 산업경제이슈, 「조선산업 시황 회복과 인력 문제」)

다. 도민의 경제체감도 약화
 경남 대표산업의 부진 영향이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여타 시도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내면서 도민들의 경제체감도가 악화*
* 실업률과 소비자물가상승률의 합으로 계산한 경제고통지수(misery index)는 최근 전국 17개 시도 중 1위를 기록

65
 경남은 2010~18년까지는 전국평균 실업률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였으나
지난해부터 노동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국평균을 상회
- 이러한 가운데 좋은 일자리 상황이 부진하면서 전국과의 평균임금 격차가 점차 확대

경남 실업률과 노동수요율 증감 추이1) 경남과 전국 평균임금 격차

주 : 1) 전년동월대비 주 : 1) 당해년 명목임금 기준


자료 : 통계청, 고용노동부 고용통계 자료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시스템

 한편, 경남은 수도권으로부터의 이동거리가 길어 유류비 상승 효과를 크게 받는 데다 주택


가격이 전국평균에 비해 높은 영향 등으로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전국평균을 상회

경남과 전국의 소비자물가상승률 추이1) 경남 및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추이

주 : 1) 전년동월대비
자료 : 통계청 자료 : KB부동산

⇒ 민선 8기 출범 이전 경남 경제에 상당한 문제가 누적되고 있었음을 나타냄

66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3 해결방안 모색

가. 장기적인 안목에서 산업정책 수립 및 시행


 조선, 기계 등 국가산업정책에 의해 육성된 경남 대표산업 이외에 경남도 차원에서
육성하고자 하는 지역주력산업에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장기적인 산업
육성정책 수립활동이 부진했음을 입증

 경남에서는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을 통해 4~5개의 지역 주력산업을 설정하여 왔으나 아직


조선, 기계, 자동차, 금속 등과 같은 기존 전통산업 수준으로의 성과는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

경남 지역산업진흥계획 상의 주력산업 변화 추이
해당연도 2014 2015~17 2018~20 2021

정책변화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지역주력산업 선정 지역주력산업 개편 주력산업 개편

➀ 생산기계 ➀ 지능형생산기계 ➀ 지능형기계 ➀ 스마트기계


➁ 수송기계 전장 ➁ 기계소재부품 ➁ 항공 ➁ 첨단항공
경남
➂ 나노광학소재 성형 ➂ 항공산업 ➂ 나노융합부품 ➂ 나노융합스마트부품
주력산업
➃ 생명건강 ➃ 풍력부품 ➃ 항노화바이오 ➃ 항노화메디컬
➄ 항노화바이오

자료 : 경남 지역산업진흥계획(2014~21)

 한편, 경남과 비슷한 시기에 산업화가 시작되어 정체기에 접어들었던 경북의 경우 장기적인
안목에서 지역산업정책을 수립하여 그 성과가 나타나고 있어 이를 벤치마킹할 필요

 경북은 2000년대 초반 지역산업 발전차원에서 마련한 바이오산업 육성 계획을 착실히 시행


함으로써 최근 코로나 19 백신 공급에서 나타나듯이 두드러진 발전을 이룬 것으로 평가
 아울러 엘앤에프 등 2차전지 선도기업을 발굴 지원하고 나노반도 체융합연구원 설립과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을 나서는 등 신산업 발전에 열의를 나타내고 있음

 따라서 경남도 지역산업 구조를 미래형으로 재편성(restructuring)하고 재탄생(regeneration)


시키려는 작업을 장기적인 안목에서 일관성 있고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임

 전통 대표산업을 고도화하는 전략은 4차 산업혁명의 주요 전략을 수용하여 생산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기술 노하우를 강화하는 방향을 추진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조선, 기계 산업에 있어서 ICT융합도를 높여나가고 소재부품산업을 고부가가치화하여
지역내 공급능력 확충을 도모할 필요
- 이러한 맥락에서 「경남과학기술원」 설립 추진을 통해 산업뿐만 아니라 인재육성에도 힘써야 할 것임

67
 아울러 경남의 산업 부흥을 재연하기 위해서는 금융지원을 통해 기업들의 산업구조
개선 등 경쟁력 강화기반 구축을 도와야할 필요가 있음
 이를 위해 경제부지사를 구심점으로 하여 경상남도, 창원시, 한국은행경남본부, NH농협은행,
경남은행, 경상남도경제진흥원 등으로 구성된 「경남 산업금융정책협의회(가칭)」를 만들어 산
업과 금융의 연계기능을 한층 강화할 필요가 있음
- 현재 경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이 위원장인 경남 중소기업 지원기관협의회가 있지만 이는 중소기업의
자금애로 해소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협의체이므로 동 협의회와는 성격이 매우 상이함

나. 효과적인 기업유치 전략 마련
 지역산업발전과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기업유치가 매우 긴요하지만 경남에서는
기업유치 성과에 대한 치밀한 분석과 전략에 대한 연구는 미진
 참고로 경기, 충남, 대구경북 등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오래전부터 지역연구기관으로 하여금 투
자유치의 지역경제 효과를 분석하게 하는 한편 효과적인 기업유치 전략 수립에 골몰하여 왔음

 이에 따라 경남투자경제진흥원 설립에 맞춰 효과적인 기업유치 전략 마련을 통해 기업투자


유치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
 기업유치전략은 ① 지역산업연관효과 또는 고용유발효과가 큰 우선유치업종과 일반유치업종을
구분하여 인센티브를 차등화하여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안 ② 정부의 기회발
전특구 지정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 ③ 지역내 기업의 모기업 또는 연관기업의 투자확대 유인
방안 등을 포함
 아울러 국내기업 뿐만 아니라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 등도 새로운 전략 수립을 통해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음
* 22년 상반기 신고금액 기준 외국인 투자는 1,640건, 11,086백만불로 이중 경남은 24건 9백만불로
1.5%(건수기준) 0.08%(금액기준)로 매우 낮은 수준 (자료 : '22년 산업통상자원부 「2022년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동향」)
- 이를 위해서는 투자유치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 중국에서 탈출하여 베트남 등 여타 아시아지역으로
진출하려는 유망 글로벌기업을 발굴 하여 유치활동을 적극 전개해 나가는 것도 유리한 전략이라 판단

 한편 투자유치 전담기관인 투자경제진흥원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기업유치 목표를


단계별로 설정하는 한편, 공고한 네트워크 구축으로 양해각서(MOU)의 투자내용이
실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유치 전략을 운영할 필요

다. 기술개발 노력을 한층 강화
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가 전국대비 낮고, 민간 연구개발 인력의 비중 또한 낮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다 더 적극적인 R&D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이 요구됨

68
경남 산업·경제동향 ● 2022년 12월호

 공공부문에서는 지역대학과 재료연구원, 전기연구원 등 국책 기관과의 R&D 효과가 배가 될 수


있도록 R&D 자금 확보를 위한 단계적 지원을 강화하고,
 민간 R&D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민간 연구개발비 지원을 확대하는 등 대규모 국책
사업에 대한 민첩한 대처 필요
 기 추진중인 강소연구개발특구(창원, 진주, 김해)사업, 창원스마트그린산단과 새정부의
우주항공청 설립 추진 등 정부 재원과 정책을 적극 활용하는 것도 중요

라. 핵심생산연령계층 인구유출 최소화와 인적자본 확충


 20-40대의 핵심생산연령계층에 속하는 인구 감소의 영향이 경제활동참가율과 각종 고용
지표에 영향을 미치므로 도내 일자리 개선, 정주환경, 교육 여건 등의 인구 유출 최소화
전략이 필요함
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연령의 일자리 변화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하는
한편 및 특이 감소 업종에 대한 신속한 대책 수립으로 대응
 핵심생산연령계층에 대한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재직자 복지포인트 지급, 작업환경 개선 강화를
추진하고, 이와 더불어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기 위한 정주여건 개선 및 교육 인프라 확충도 긴요

 지역 잠재 성장의 핵심 역량은 총요소생산성의 구성요소인 인적자본이므로 지역 인적자본


확충을 위한 우수인재 환류 시스템 구축, 우수 인재 유치, 대학 경쟁력 강화가 필요
* '20년 기준 경남의 연구원 수는 23,396명으로 전국의 4%에 불가(서울 25%, 경기 37%로 과반수
이상이 수도권 차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조사」
 도내 고교를 졸업 후 수도권으로 진학한 우수인재가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가칭) 경남 청년
환류 프로젝트」 등을 운영하여, 지속적으로 고향에 관심을 가지고 정착할 수 있도록 유도
 수도권 지역의 우수 인재가 경남에 정착할 수 있도록 매년 외부 「우수인재 유치 인증제」*를
추진하고 경남 도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여건 제공
* 매년 일정조건(주요매체 발표 상위권 대학 졸업자, 주요 전략 산업 전공자 등)을 갖춘 역외 청년우수인재를
많이 채용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경남도가 인증, 관련 우수인재 잔류를 위한 인센티브 추가 지급
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교육부 사업을 적극 활용하고, 우수 학생 유치를 위한 노력 제고

마. 시급한 민생경제를 위한 단기 대책의 적절한 운용


 대·내외 경제상황 변화에 따라 급등한 물가와 실업률 증가 등 시급한 사항에 대해서는
단기 대책을 통해 도민의 삶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지원
 현재 유통 시스템을 한층 효율화하고 공공요금을 적절히 유지해 나가는 한편 주택가격 안정화에도
총력을 기울여야 함
 실업자가 증가하는 시점에 도내 고용지원서비스 센터와 기관들이 협업하여 고용지원서비스
횟수를 늘리고, 일자리 미스매치를 최소화하는 방안 마련

69
2022년 12월호 통권 제21호

발행일 2022년 12월 15일


발행인 강성윤
편집인 곽소희

발행처 (재)경상남도경제진흥원
(51408)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 362

제 작 ㈜미래피앤피(Tel. 055-546-3115)

1. 이 책자를 허가 받지 않고 복제하거나 전재해서는 안됩니다.


2. 「경남 산업·경제동향」의 내용 및 편집에 관한 의견과 제안이 있으시면 경상남도경제진흥원 경제동향분석센터
(T.055-212-6770)에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본 자료는 (재)경상남도경제진흥원 홈페이지(https://www.gnepa.or.kr)를 통해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경남 산업·경제동향
GyeongNam Industrial · Economic Trends

51408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 362


https://www.gnepa.or.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