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한국어문법교육론 교안

작성자 LE THI THANH TRUYEN (쭈엔) 작성일 2023-10-20

문형 시간 표현: 았/었어요

1. 았/었어요 를 문법적으로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학습 목표
2. 일상생활에서 았/었어요 문법을 적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단계(시간) 교수 · 학습 활동 자료 및 유의점

 인사 및 출석 확인

T: 안녕하세요? 여러분 다 와요? 그럼 오늘 수업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 도입

 학생과 대화를 통해 목표 문형을 노출하기

T: 여러분, 혹시 한국 영화를 좋아해요?


유의점: 초급
S: 네
수준이라
T: 언제 한국 영화를 봐요?
도입 최대한 쉬운
S: 주말에 봐요.
(1 분) 단어와 쉬운
T: 그래요? 후엔 씨는 주말에 한국 영화를 봐요. 그럼 지난 문장으로

주말에도 한국 영화를 봤어요? 도입함.

S: 네, 지난 주말에도 봐요.

T: 여러분, 후엔 씨는 지난 주말에 한국 영화를 봤어요. 선생님은

지난 주말에 한국 영화를 안 봤어요. 공원에 갔어요. 공원에서

산책했어요. 아이스크림도 먹었어요. 너무 맛있었어요. 기분이

아주 좋았어요. 자, 여러분 여기를 보세요.

제시  제시 유의점:

(3 분) - 칠판에 오늘
 도입에서 말한 내용을 이용해서 문법의 이미 설명한다.
배울 문법을
T: 선생님은 지난 주말에 공원에 갔어요. 지난 주말, 어제 등과
다시 쓴다.
같은 과거에 어떤 일을 이미 나타냈어요. 그래서 이때 ‘았/

었어요’를 써서 말해요.

 형태 제시한다

T: ‘았/었어요’앞에는 동사, 형용사, 이다, 아니다 를 써요.

그러면 경우에 따라 어떻게 사용하는지 한번 봐요.


T: (‘많:다’를 판서하며) ‘많다’ 예요. ‘다’ 앞에 어떤

모음이에요?

S: ‘ㅏ’예요.

T: 네, 모음 ‘ㅏ’예요. 그럼 ‘았어요’ 써요. ‘많았어요.’ 말해요

‘다’ 앞에 ‘ㅏ’나 ‘ㅗ’ 모임이 있어요. ‘았어요’ 써요.

많다  많았어요.

좋다  좋았어요.

T: (‘먹:다’를 판서하며) ‘먹다’ 예요. ‘다’ 앞에 ‘ㅏ,ㅗ’

모음이예요?

S: 아니요.

T: 네, 맞아요. ‘ㅏ,ㅗ’ 모음이 아니에요. 그렇게 ‘다’ 앞에 ‘ㅏ,

ㅗ’ 모음이 아니에요. 그럼 ‘었어요’ 써요.

먹다  먹었어요.

읽다  읽었어요.

T: 하지만 ‘하다’는 달라요. ‘하다’는 ‘했어요’를 써요.

하다  했어요.

운동하다  운동했어요.

T: 여러분, 기억해요. ‘다’ 앞에 ‘ㅏ,ㅗ’ 모음이 있어요. ‘았어

요’를 말해요. ‘ㅏ,ㅗ’ 모음이 아니에요. ‘었어요’를 말해요. ‘

하다’는 ‘했어요’ 말해요. 지금 연습 해 볼까요?

T: 너무 잘했어요. 그럼 ‘가다’는 어떻게 말해요?

S: 가았어요.

T: 네, ‘가았어요’. 하지만 ‘가았어요’를 안 써요. ‘갔어요’를


써요.

왜 그럴까요? 여러분, ‘가다’는 ‘다” 앞에 받침이 없어요.

그래서 모음 ‘ㅏ’가 나갔어요. 그래서 ‘가다’는 ‘갔어요’를

써요. 기억해요.

T: 그럼 ‘사다’와 ‘일어나다’도 똑같아요. 어떻게 말해요?

사다  샀어요.

일어나다  일어났어요.

T: ‘오다’는 ‘오았어요’를 안 써요. ‘왔어요’를 말해요. 왜

그럴까요? ‘오다’는 ‘다’ 앞에 받침이 없어요. 그래서 모음

‘ㅗ’와 ‘았어요’를 합쳐서 ‘오다’는 ‘왔어요’를 써요.

여러분 기억해요.

T: 그럼 ‘보다’도 똑같아요. 어떻게 말해요?

보다  봤어요.

T: 다음으로 ‘마시다’는 ‘다’ 앞에 받침도 없어요. 그래서

모음 ‘ㅣ’와 ‘었어요’ 합쳐서 ‘마셨어요’를 써요.

T: ‘서다’도 똑같아요. ‘서다’는 ‘서었어요’를 안 써요. ‘

섰어요’를 써요.

T: ‘배우다’도 ‘배우었어요’를 안 써요. ‘배웠어요’를 써요.

T: ‘N 이다’는 ‘었어요’를 써요.

T: 명사의 받침이 있어요. ‘었어요’를 써요.

선생님이다: 선생님이 + 었어요  선생님이었어요.

명사의 받침이 없어요. 모음 ‘ㅣ’와 ‘었어요’를 합쳐서

의사이다: 의사이 + 었어요  의사였어요.

T: ‘아니다는 ‘었어요’를 써요.

선생님이 아니다  선생님이 아니었어요.

의사가 아니다  선생님이 아니었어요.

T: 여러분, 지금까지 괜찮아요? 그러면 이제 이 문법을 연습해

볼까요?

연습  연습 1: 말해 보세요
(3 분)  보기를 먼저 제시하고 설명한다. 다음으로 문장과

단어를 제시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았/었어요’와


결합해서 형태를 만든다.

T: 여기 보세요. 이 문장에 ‘지난주’ 단어가 있어요. 지난주

단어는 과거 표현이죠? 그러면 ‘오다’는 어떻게 쓸까요?

S: 왔어요.

T: 네, 맞아요. 아주 잘 했어요. 지난주에 서울에 왔어요. 그럼 지금

이 문장들을 해보세요.

1. 어제 친구와 같이 동대문에 갔어요. (가다)

2. 우리는 동대문에서 쇼핑했어요. (쇼핑하다)

3. 친구는 필통을 샀어요. (사다)

4. 우리는 한국 음식을 먹었어요. (먹다)

5. 한국 차도 마셨어요. (마시다)

6. 음식은 너무 맛있었어요. (맛있다)

 연습 2: 달력을 보고 말해 보세요

T: 여러분, 여기는 달력입니다. 오늘 11 월 3 일이죠? 이 달력에서

지난주에 한 일을 표시했어요. 이제 이 달력을 보고 연습해 봐요.

T: 선생님은 ‘가’이고 OO 씨는 ‘나’예요. 지난 금요일에

무엇을 했어요?

S: 지난 금요일에 외식했어요.

T: 네, 너무 좋아요. 지금 2 명씩 달력을 보고 ‘언제 무엇을 했어요?’

말해 보세요.
 연습 3: 일기를 읽고 물음에 답하세요.

T: 여러분, 수정 씨는 매일 일기를 써요. 이것은 10 월 28 일

수정씨의 일기예요. 한번을 읽어 보고 대답해 보세요. OO 씨, 읽어

보세요.

S: (읽기를 읽음)

T: 질문을 읽고 답해 보세요. 수정 씨는 지난 토요일에 어디에

갔어요?
 활동: 보기를 보고 친구와 대화해 보세요.

T: 여러분, 유나 씨와 민준 씨의 대화예요. OO 씨는 유나 씨예요.

OO 씨는 민준 씨예요. 한번 읽어 보세요.

S: (대화 읽음)

T: 네, 감사합니다. 잘 했어요. 이제는 여러분 두 명씩 이 대화와 같은

대화를 만들어 보세요.

생성

(2 분)

T: 여러분, 대화를 잘 만들었어요? 지금은 두 명씩 앞으로

오시고 대화해 보세요.

마무리  오늘 학습 내용 확인하기
(1 분) T: 여러분, 우리 오늘 문법 ‘았/었어요’ 를 배웠어요. ‘았/

었어요’는 동사, 형용사 뒤에 붙어서 무엇에 대해 말해요?

S: 과거의 일을 말해요.

T: 네, 맞아요. 과거에 이미 나타낸 일을 말해요. 잘 했어요.


 숙제 주고 마무리하기

T: 그럼 오늘 수업은 여기까지입니다. 여러분 집에 가서 문법을

다시 연습하세요. 그리고 이번 숙제는 주말 일기를 써요. 10

문장정도 쓰면 돼요. 오늘 배운 문법 ‘았/었어요’ 꼭

사용하세요. 모두 수고했어요.

참고 문헌 및 교재

1. 베트남인을 위한 종합 한국어 1

2. 연세 한국어- 어휘와 문법 1.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