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오종혁 국어 TV

- 윤동주, 「소년」
→ 푸른 하늘 아래 단풍이 지는 가을날, 자신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_______________을 소년의 모습을 통해 그려냄

1. 본문 학습

(1) 부정적 현실 인식
→ 사랑의 상실로 인한 __________________

여기저기서(사방, 곳곳에서) 단풍잎(색채어, 가을에 붉은빛이나 누런빛으로 단풍이 든 잎) 같은( )

슬픈 가을( )이 뚝뚝(음성상징어, ) 떨어진다( ) .


→ 가을이 저물어가고 겨울이 오기 전의 상황을 제시함, 추상적 관념의 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
① 동지(冬至)ㅅ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춘풍(春風) 니불 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 <황진이, 시조>
② 여윈 추억의 가지가지엔 / 조각난 빙설(氷雪)이 눈부신 빛을 발하다. - <김광균, 성호 부근>
③ 마음의 맺힌 실음 疊疊(첩첩)이 싸혀 이셔 ­ <정철, 사미인곡>
④ 끊임없는 광음(光陰)을 /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 /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 <이육사, 광야>

1. <고재종, 첫사랑>
봄이면 가지는 그 한 번 덴 자리에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상처를 터뜨린다
⇒ 눈이 녹은 자리에 봄꽃을 피우는 나무, __________________
2.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모란이 피기까지는 /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 화자는 모란이 지면 너무나도 큰 상실감에 빠져서 슬픔에 빠짐 / __________________

(2) 원대한 이상과 희망


→ __________________ 통해 미래에 대한 전망을 밝게 함

단풍잎 떨어져( ) 나온 자리마다(상실의 상처마다) 봄( )을 마련해 놓고(대비, 준비하고, __________________)

나뭇가지 위에 하늘(대자연, 원대한 이상, 새로운 세계가 열리는 때)이 펼쳐 있다(활짝 드러나 있다. 긍정적, 개방적, 확장적) .

1. <이육사, 청포도> 비교하기


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 청포(靑袍)를 입고 찾아 온다고 했으니,
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 먹으면 / 두 손을 함뿍 적셔도 좋으련,
아이야, 우리 식탁엔 은쟁반에 /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 두렴.
⇒ 미래에 대한 순결한 소망
2. <윤동주, 쉽게 씌여진 시>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

- 1 -
오종혁 국어 TV

(2) 파란 가을 하늘이 선연하게 가슴에 와 닿음

가만히 하늘을 들여다 보려면(관조, 사색) 눈썹에 파란 물감이 든다(공감각적 이미지, __________________).

→ 화자는 하늘로 __________________함, 하늘과의 일체감, 동화의 정서, __________________


소년이 들여다보는 하늘은 거울과 같은, 화자의 내면 의식을 비추어주는 도구가 됨, 순수에 대한 강렬한 열망
손바닥을 들여다보는 행위는 ‘아름다운 순이의 얼굴’을 떠올리는 되는 계기가 되어 소년의 내면과 자연스럽게 연결함
두 손으로 따뜻한(촉각) 볼을 씃어(씻어) 보면 손바닥에도 파란 물감이 묻어 난다.(공감각적 이미지, __________________)
→ 미래에 대한 밝은 희망이 온몸에 전해지도록 __________________

1. <자화상, 윤동주> 비교하기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만히 들여다 봅니다.
→ 자아성찰의 매개체 (이상의 거울, 정지용 유리창) / 성찰의 모습, 자아를 발견하려는 조심스러운 태도(_________)
화자는 우물 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생각함(자아 성찰)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고 추억처럼 사나이가 있습니다.
⇒ __________________
2. 윤동주의 '참회록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 /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 보자
⇒ 어두운 현실에서 철저한 _________

(3) 순이의 부재로 인한 __________________

다시 손바닥을 들여다 본다.


→ ‘아름다운 순이의 얼굴’을 떠올리는 되는 계기가 되어 소년의 내면과 자연스럽게 연결
손금에는 맑은 강물이 흐르고, 맑은 강물이 흐르고, 강물 속에는 사랑처럼(직유) 슬픈 얼굴
→ 시구의 반복, 파란 물이 든 손바닥의 손금에서 갈래 지어 흐르는 강물을 연상함
손금의 ‘맑은 강물’은 ‘하늘’의 파란 빛에서 ‘눈썹, 볼’ 그리고 ‘손바닥’의 파란 빛으로 이어진 연상의 결과임
하늘의 빛이 강물의 빛과 유사한 이미지임
‘강물’의 이미지는 ‘슬픔의 정서’와 연결되며, 슬픈 얼굴을 한, 아름다운 순이와 중첩됨
‘순이’는 소년이 사랑하는 __________________
반영론(일제 강점의 현실과 관련)의 입장에서 본다면 ____________이나, 유랑민 또는 그런 현실 속에서 슬프게 살아가는 __________________
— 아름다운 순이의 얼굴이 어린다(어렴풋이 비친다).

소년은 황홀히(恍惚, 어른어른하는 광채에 눈이 부시게, 매혹되어 기분이 달뜨거나 몽롱하게) 눈을 감아 본다.
→ 강물에는 아름다운 순이의 얼굴이 ___________________________

『그래도(또, 역시) 맑은 강물은 흘러 사랑처럼(직유) 슬픈 얼굴 → 역설

— 아름다운 순이의 얼굴은 어린다( ).』


→ 유사어구의 반복 / 고뇌와 좌절의 길 위에서 꿈꾸어 보는 ___________________________
눈을 감고 있지만(손금의 맑은 강물을 보고 있지 않지만) 이루지 못해 슬펐던 사랑처럼 슬픈 얼굴을 지닌, 아름다운 순이의 얼굴이 내면화
되어 계속 떠오름. 순이의 __________________

<자화상, 윤동주> 비교하기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엾어집니다. / 도로 가 들여다 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 돌아가다 생가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
⇒ (미움 연민 미움 그리움) : 치열한 내적 갈등의 모습, 치열한 자기 성찰

- 2 -
오종혁 국어 TV

2. 핵심 정리

①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1939년

② 제재 : 소년
③ 주제 : 순이에 대한 사랑과 _________

④ 성격 : 감각적, 낭만적, 서정적, __________________

3. 표현상 특징

① 산문시 형태로 여러 행위들을 순서대로 서술하며 같은 구절과 __________________

→ 종결어미 ~다의 반복
② 시상의 __________________을 통해 정서를 부각함
③ 시어의 반복으로 산문적인 형태이지만 __________________

④ ________________을 통한 시적 분위기를 조성함


⑤ 감각적 이미지의 사용이 두드러짐
⑥ 하늘을 바라보는 소년의 모습을 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단풍잎~떨어진다. -> 단풍잎 떨어져, 하늘 -> 하늘, 파란 물감 -> 파란 물감
⑦ 소년은 하늘을 바라보며 파란 물감이 드는데, 이 물감은 눈썹-손바닥-손금을 거쳐 __________________이 되어 소년의 마음속에 흐름
⑧ 순이의 얼굴은 소년의 __________________

★★★ 오답 피하기 연습 ★★★

1. 특징

① 현재 시제를 활용하여 시적 상황을 제시하고 있음(○)


→ ‘떨어진다’, ‘든다’, ‘묻어난다’와 같은 시어에서 현재형 어미 ‘-ㄴ다’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소년에게 가을 하늘을 상징하는 파란 물감이 스며들고 있는 상황을 제시하고 있음(○)
② 연쇄법을 활용하여 역동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
→ ‘하늘’의 ‘파란 물감’이 ‘눈썹’ 을 거쳐 ‘손바닥’으로, ‘손바닥’에서 ‘손금’으로 이어져 ‘맑은 강물’이 되는
연쇄법이 드러나 있음(○)
③ 다양한 음성 상징어를 사용하여 대상을 묘사하고 있음(×)
→ ‘뚝뚝’이라는 음성 상징어를 사용하여 슬픈 가을이 떨어지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음(○)
다양한 음성 상징어가 쓰이지 않았음(○)
④ 말을 건네는 방식을 통해 대상과의 친밀감을 높이고 있음(×)
⑤ 지시어의 연속적 배치로 대상에 대한 주목을 유도하고 있음(○)
→ ‘여기저기서’에서 ‘여기’, ‘저기’라는 지시어가 쓰였음(○)
⑥ 시어의 반복과 연쇄로 산문적 진술에 리듬감을 줌(○)

- 3 -
오종혁 국어 TV

2. <보기>를 바탕으로 (가)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②

시에 제시된 자연물들은 서로 간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연결되고 변용된다.


또한 이 과정을 거쳐 맞닿은 주체의 신체적 변화를 유발하고 내면의 정서를 표면화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이때 주체의 변화는 자연물의 속성에 조응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① ‘하늘’을 ‘들여다 보’려는 소년의 ‘눈썹’에 든 ‘파란 물감’은 자연물의 속성이 주체에 영향을 주었음을 드러냄(○)
→ 자연물인 ‘하늘’의 파란 속성은 소년의 눈썹을 파랗게 만드는 것처럼 제시되어, 소년의 몸에 영향을 주는 ‘하늘’의 모습
을 보여 줌(○)
② ‘따뜻한 볼’을 만지는 소년의 행동은 ‘하늘’과 연결되어 자연과의 합일을 이룬 소년의 ‘황홀’함을 환기함(×)
→ ‘하늘’의 ‘파란 물감’이 소년에게 물든 것은 소년과 하늘이 연결됨을 보여 주는 단서임(○)
소년이 황홀함을 느끼는 것은 맑은 강물을 통해 ‘순이의 얼굴’을 보았기 때문임(○)
소년이 ‘따뜻한 볼’을 만지는 행위를 통해 ‘파란 물감’이 물든 것은 맞지만, 이 행동이 황홀함을 환기하는 것은 아님(○)
③ ‘손바닥’에 묻어난 ‘파란 물감’은 ‘손금’으로 스며들면서 ‘맑은 강물’로 변용되어 제시됨(○)
→ ‘하늘’에서 묻어온 ‘파란 물감’이 소년의 ‘손바닥’에 묻고, 그 ‘손바닥’의 ‘손금’이 ‘맑은 강물’이 변한 것은, ‘파란 물감’이
‘맑은 강물’로 변 용되었음을 드러내는 것임(○)
④ ‘강물’에 ‘순이의 얼굴이 어리’는 것은 소년이 ‘강물’의 ‘맑은’ 속성에 조응해 ‘아름다운 순이’를 떠올린 것임을 드러냄(○)
→ 소년이 ‘맑은 강물’에서 ‘순이의 얼굴’을 보는 것은 주체의 내면이 표면화되는 것인데 강물에서 순이의 얼굴을 보았으므
로, 강물의 ‘맑은’ 속성과 조응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⑤ 소년이 ‘황홀히 눈을 감’아도 ‘순이의 얼굴은 어린다’는 것은 ‘순이’가 소년의 내면에 자리 잡은 대상임을 드러냄(○)
→ 소년이 본 ‘맑은 강물’은 소년의 내면이며, 그 내면에 떠오른 순이는 내면 속 대상 임(○)
이때 눈을 뜨고 ‘맑은 강물’을 보며 ‘순이’를 마주하게 된 소년이 ‘눈을 감’아도 순이가 떠오른다는 것은 순이가 내면에
자리 잡은 대상임을 보여 줌(○)

- 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