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2024-1 식품영양 커뮤니케이션]

3 주차(24/3/21) 아이디어 리포트

이름: 김지환

평가적 태도 이론

정의: 일정 평가 지표(Anchor)를 기준으로 새로운 대상을 비슷하게 또는 다르게 평가

사례: 다이어트 식품이 더 낮은 칼로리로 일반식과 동일한 맛을 낸다고 했을 때 잘 믿지 못하게 된다.

개문효과 (Foot-in-the-door-technique) – 귀인적 태도 이론

정의: 일단 작은 요청에 응하게 함으로써 그와 연관된 더 큰 요청에도 응답할 확률을 높임.

사례: 마트 시식 코너에서 먹은 음식을 구매하는 사례

정교화 가능성 모델(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

메타 이론(=이론들을 집합한, 이론들에 대한 이론)으로, 때로는 대상의 ‘중심적 요인’에 대한 반응이,


때로는 대상의 ‘주변적인 요인’에 대한 반응이, 태도 변화를 예측하고 이는 다른 결과로 이어진다.

ELM 의 주요 상정들

1. 정교화 연속성(Elaboration continuum) 상정

주변 경로/낮은 정교화 중심 경로/높은 정교화

사람들이 커뮤니케이션에 집중하고 깊이 생각해볼 만한 ‘동기’와 능력이 있는지에 따라 중심 경로와


주변 경로가 달라짐.

2. 태도 강도(Attitude strength) 상정

메시지의 주요 주장(중심 경로)를 통한 태도 변화는 주변적 경로를 통한 태도 변화보다 더 오랜


시간적 지속 & 반증에 대한 더 강한 반항 & 더 강한 행동 예측을 보인다.

3. 트레이드오프(Tradeoff) 상정

메시지를 소화할 동기나 능력이 약할수록, 주변적 요인이 설득에서 중요하고 메시지의 정밀한 검토
정도가 증가할수록 주변적 요인의 중요도 감소

4. 다중 역할 상정

설득 상황의 여러 요인들은 설득적 주장, 주변적 요인, 메시지 정교화 정도, 메시지 정교화 방향 중
하나 이상의 역할로 작용하여 태도 변화의 양과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