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 Soc.

Beauty and Art


제12권 제4호 2011 Vol. 12, No. 4(2011) p. 107-124

얼굴형과 헤어스타일에 대한 지각자 특성에 따른 이미지 지각

손지연*+․김효숙**1)
공주영상대학교 헤어디자인과*+․건국대학교 의류학과**

Image Perception on Face Shape and Hair Style Depending


on Perceivers' Characteristics

Ji-Yeon Son*+․Hyo-Suk Kim**


Dept. of Hair Design, Kongju Communication Arts University*+․
Dept. of Apparel Science Studies, Konkuk University**
(투고일: 2011년 09월 14일, 심사(수정일): 2011년 09월 27일, 게재확정일: 2011년 11월20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age depending on face shape and hair style
and to analyze difference in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perceivers'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items of image evaluation in face shape, the findings
were elicited 3 factors such as positive, colorful, and natural image.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in image perception depending on face shape, hair length, gender and
age on straight hair style, the oval and rectangle were perceived to be higher in colorful
image than quadrangle. Hair length was perceived to be positive image for short straight,
to be colorful image for medium straight. In age, it was evaluated to be high in natural
image for the 20s and to be high in positive image for the 40s.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 in image perception depending on face shape, hair length, gender, and age on
wave hair style, the face shape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colorful image and natural
image. Thus, the colorful image and natural image were perceived to be high in oval,
round, and quadrangle. In case of gender and age, the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 was
indicated in positive image and colorful image. Wave hair style was regarded positively
by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d by men in their 40s. In colorful image, the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an men perceived the wave hair style as colorful image.

Key Words: Hair style(헤어스타일), Face shape(얼굴형), Positive image(적극적 이미지),


Colorful image(화려한 이미지), Natural image(자연스러운 이미지)

+Corresponding author: Ji-Yeon Son


Tel: 010-8702-0902
E-mail: zizi4773@hanmail.net
108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1. 12)

Ⅰ. 서론 에 얼굴형과 헤어스타일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헤어스타일은 개인의 이미지에 큰 영향을 주
헤어스타일은 얼굴과 함께 신체의 가시적 영 는 요인이며, 얼굴형도 헤어스타일에 따라 다
역 중 큰 비중을 차지하며, 얼굴을 바탕으로 행 른 이미지로 지각되므로, 뷰티 산업현장에서
해지는 표현이다. 또 변화가 용이하므로 다양 얼굴형을 배제한 헤어스타일 제안은 고객이 추
한 착시 효과로 얼굴형을 쉽게 교정할 수 있다 구하는 이미지로 접근하기 어렵고 실패할 확률
는 특징이 있으며,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도 높아진다. 그러나 헤어스타일의 대부분은
활용되어 내면의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내포한 전문가에 의한 감각과 경험에 의해 제시되고
다1). 현대사회에서 헤어스타일은 패션의 일부 있는 실정이다. 헤어스타일에 따른 얼굴 이미
로 다양한 문화적 함의를 지니고 있으며, 사회· 지 변화에 관한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다면 고
문화적 변화에 따라 새로운 트렌드가 계속 등 객의 얼굴형 조건과 함께 추구하는 이미지를
장하고 있다2). 이는 인간의 새로움에 대한 탐 만족시켜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더불어 헤어
구와 장식본능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수용되고 스타일에 따른 얼굴 이미지 지각은 지각대상자
있는데, 특정 연예인의 헤어스타일을 동조하여 를 평가하는 지각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지
유행스타일을 추구하기도 한다3). 그러나 트렌 각자 특성에 따라서 달라진다6)7)8). 김현정
드에 맞추어 등장하는 다양한 헤어스타일도 얼 (2009)9)의 연구에 따르면 여성의 경우 남성보
굴의 형태를 고려하지 않고서 좋은 헤어디자인 다 헤어스타일 관리를 포함한 외모관리비의 지
을 제안하고 적용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헤 출이 많아지고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수단으
어스타일을 적용할 때 얼굴의 열등한 부분을 로 외모를 관리하고 있었으며, 특히 사회계층
가리기 위해 다각도로 헤어스타일에 공간적인 이 높을수록 헤어관리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볼륨을 추가하거나 축소시키기도 하며, 매력적 나타나 현대사회에서 외모관리가 이미지에 높
으로 보일 수 있도록 장점을 부각시키기 때문 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다. 헤어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이미지 연구는 최
얼굴은 우선적으로 지각되는 신체적 특성으 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구의 대
로 타인과의 대면 상황에서 그 형태적 특성에 부분이 20대와 대학생 등 특정 연령대에 국한
따라 다른 인상을 전하게 된다4). 이진희, 김상 되어 다양한 연령층을 대표하여 일반화하기에
은(2006)5)의 연구에 따르면 이미지를 지각하 는 어렵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
는데 있어 헤어스타일이 큰 단서로 여겨지며, 령대를 20대에서 4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로 연
얼굴형을 조정하고 개인의 성격과 사회·경제적 구해보고자 한다.
지위까지 판단할 수 있어 여성의 신체적 매력 본 연구에서는 얼굴의 형태에서 지각된 이미
얼굴형과 헤어스타일에 대한 지각자 특성에 따른 이미지 지각 109

지가 다양한 헤어스타일과 어우러질 때 어떻게 는 품위있게 평가되었으며 갈색 직모가 가장


다르게 지각되는지 성별, 연령, 직업의 지각자 선호되었다. 헤어스타일 형태와 길이에 따른
특성 변인으로 나누어 그에 따른 영향력도 살 이미지 분석을 연구한 이영미(2007)12)는 헤어
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신만의 특정한 이 스타일 형태를 원랭스, 그래쥬에이션, 레이어의
미지를 구축해 나가고자 하는 현대인들의 다양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다시 길이에 의한 롱,
한 욕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인 데 미디움, 쇼트 길이의 3가지로 분류한 머리 형태
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얼굴의 형태별로 헤 에 형용사 언어를 대입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어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이미지의 변화를 파악 분석한 결과, 원랭스 형태에서는 쇼트-클래식
하여 헤어스타일의 인상형성 연구를 위한 기초 이미지, 미디움-쉬크·내츄럴 이미지, 롱-클리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어 이미지가 높게 평가되었고 그래쥬에이션 형
태에서는 쇼트-댄디 이미지, 미디움-엘레강스
이미지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레어어 형태에서

Ⅱ. 이론적 배경 는 쇼트-프리티·다이나믹 이미지, 미디움-모


던·거져스·캐주얼·스트롱 이미지, 롱-엘레강스
이미지가 높게 평가되었다.
1. 헤어스타일 이미지 이진희, 김상은(2006)13)은 헤어스타일의 길
이와 컬 유무에 따른 이미지 지각으로 긴 머리
헤어스타일을 자신의 얼굴형에 맞게 손질하 일수록 부드럽다, 여성적이다, 사랑스럽다, 자
는 것은 좋은 인상표현의 한 방법10)이며, 장점 연스럽다, 청순하다, 보기좋다, 야하다, 화려하
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여 현대인들의 개성을 다, 이지적이다, 단정하다는 느낌으로 나타났으
표현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며, 짧은 머리는 귀엽다, 발랄하다, 활동적이다,
헤어스타일에 따른 이미지 지각 연구는 크게 앳되다, 화려하다, 도시적이다, 세련되다, 돋보
길이와 웨이브의 유무, 색상, 형태 등으로 분류 이다, 예리하다, 적극적이다로 나타났다. 또 웨
되어 연구되었으며 이미지를 분류한 연구와 이 이브 유무에 따른 이미지로 직모는 웨이브에
미지를 평가한 용어로 이루어졌다. 비해 부드럽다, 여성스럽다, 사랑스럽다, 자연
이명희(2007)11)의 여성 헤어스타일에 대한 스럽다, 청순하다, 보기 좋다, 앳되다, 적극적이
남성 지각자의 이미지 평가에는 개성, 품위, 능 다, 이지적이다, 단정하다라는 느낌으로 나타
력, 매력성으로 분류되었다. 남성들은 여성의 났다.
짧은 머리를 긴 머리보다 능력있게 보았고 직 이명희, 송원영(2006)14)은 여성의 헤어스타
모는 품위있게, 퍼머는 직모보다 매력적이며 일과 헤어컬러가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
적극적인 모습으로 지각하였다. 또한 긴 머리 구하였다. 그 결과 긴머리, 퍼머머리, 밝은 갈색
110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1. 12)

머리는 매력성이 높은 편이며, 중간길이의 검 각 다른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색 직모는 가장 매력성이 낮다고 나타났으며, 김애경, 이경희(2005)18)는 얼굴의 조형적 특
특히 사교성과 단정성에 관한 인상이 헤어스타 성에 따른 유형분석의 연구결과 화려한 얼굴,
일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숙한 얼굴, 도발적인 얼굴, 지적인 얼굴, 자연
정옥희(2003)15)는 헤어스타일 이미지를 내 스러운 얼굴 등 5가지로 군집화 한 바 있으며,
추럴, 에스닉, 엘레강스, 모던, 로맨틱 등 5가지 권혜숙(1996)19)은 얼굴형을 계란형, 둥근형, 긴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내추럴은 청순한 느낌의 형, 사각형의 4개 얼굴형으로 분류한 후, 얼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는 듯한 스타일, 에스닉은 의 형태가 여성의 신체적 매력측정에 영향을
토속적 소박함이 가미된 흑인특유의 곱슬머리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
와 샤머니즘이 내포된 야성적인 스타일, 엘레 다. 매력도는 계란형의 얼굴이 가장 매력적이
강스는 우아하고 고상하며 단정한 여성의 이미 고 젊어 보이며 육감적이고 이상적이라고 판단
지, 모던은 진보적 느낌의 심플하고 깔끔하면 하였고 긴형, 둥근형, 사각형 순으로 평가되었
서 세련된 스타일, 로맨틱은 웨이브가 있으며 다. 그의 또 다른 연구(1999)20)에서는 얼굴형에
볼륨감있고 섹시하거나 낭만적인 스타일로 헤 따른 인상형성 항목으로 거만한, 개성있는, 여
어스타일을 특징지었다. 성스러운, 착한, 지성적인, 선량한, 우아한, 따
헤어스타일 이미지 지각은 기본적인 헤어디 뜻한의 8개의 항목을 도출하였다. 인상항목들
자인 요소인 머리의 길이, 형태, 컬러 등에 대한 중 여성스러운, 지성적, 우아한 인상은 얼굴형
지각이 하나로 통합된 전체적인 영상이며 시지 에 따라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인상항목이었
각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16). 고 사각형의 얼굴형은 적극적으로 평가되었고
계란형의 얼굴은 개성있는 것과 거만함을 제외
2. 얼굴형 이미지 한 모든 항목에서 높게 평가되었으며 긴 얼굴
형은 우아하고 지성적인 인상으로 평가되었다.
얼굴은 외모에서 개인적 특성이 가장 두드러 또 둥근 얼굴은 마음씨 착하고 선량하며, 따뜻
지는 요소 중 하나로 헤어스타일과 상호작용하 한 인상으로 평가되었다.
여 시각적 효과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진희, 김상은(2006)21)의 얼굴형에 따른 얼
얼굴의 형태는 헤어스타일을 선택할 때 가장 굴 이미지 분석 연구에 따르면 원형은 활동적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진희, 김상은 이고 어려보이며 예리하고 적극적인 이미지,
(2007)17)이며, 타원형을 기준으로 얼굴형의 단 장방형은 부드럽고 여성적, 사랑스럽다, 자연스
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드러낼 수 있는 헤어스 럽다, 청순하다, 보기 좋다, 귀엽다, 도시적이다,
타일로 연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세련되다, 돋보이다, 단정하다, 어려보이다, 예
선행연구에서 얼굴형의 이미지는 유형별로 각 리하다, 이지적이다로 나타나 주로 자연스러운
얼굴형과 헤어스타일에 대한 지각자 특성에 따른 이미지 지각 111

이미지와 적극적 이미지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 욕구, 기대가 다르고 과거의 경험에 따라 판단
로 나타났다. 기준이 다르며 지각하는 방법과 수준이 다르기
연구자별로 얼굴형의 분류방법은 다소 차이 때문이다.
가 있었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계란형을 미인형, 대부분의 외모 지각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들
표준형, 이상형으로 보고 어떠한 스타일을 제 은 성별, 연령, 소득수준별로 차이가 있는지에
작할 때 계란형에 가깝게 보일 수 있도록 제작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이명희(2007)25)의 여
할 것을 권유하였다. 헤어디자인을 적용할 때 성 헤어스타일에 대한 남성 지각자의 이미지
는 각각의 얼굴유형의 특징을 파악하여 장점을 평가 및 선호도를 연구에서는 남성들은 여성의
살려주고 단점을 보완해 가장 어울리는 헤어스 짧은 머리를 긴 머리보다 능력있게 보았고, 직
타일을 찾는 것이 중요하므로 얼굴의 형태에 모는 품위있게, 퍼머는 직모보다 매력적이며
대한 구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적극적인 모습으로 지각하였다. 긴 머리는 품
위있게 평가되면서 선호도가 높았으며 긴 갈색
3. 지각자 특성 직모가 가장 선호되었다. 연령별로는 10대의
남성이 다양한 헤어컬러를 폭넓게 수용하는 특
타인을 지각할 때 판단자 자신의 독특한 특 성이 있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밝은 갈색 머
성에서 오는 기준에 따라 특정 부분에 치중해 리를 싫어하였다.
서 판단한다22). 즉 평가 시 판단할 대상의 독특 강동훈, 오세이(2009)26)는 여성의 헤어스타
한 특성보다는 판단자 자신의 독특한 특성에 일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과 연령별 개인적 특
따라 그 판단기준이 좌우된다는 것이다. 이는 성에 따른 헤어스타일 선호도 연구에서 20대는
지각자의 관점에서 단서를 선택하고 추론하는 웨이브 머리와 긴 층머리, 단발을 선호하였고
일방적(one-way)과정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헤어스타일의 정보는 대중매체를 통해서 얻는
자신의 의도가 지각자의 의도와 항상 일치하지 것으로 나타났다. 30대는 드라이 시술이 다른
않거나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23). 연령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40대와 50대는 웨
지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러 이브 머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지각자의 개인적 특성 또 직업에 따른 헤어스타일을 보면 학생의 경
인 태도, 관심, 선호 등이 주로 인상형성에 영향 우 굵은 웨이브의 자연스럽고 내추럴한 스타일
을 미친다24).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을 만날 때 을 선호하였으나 미용실 방문횟수는 가장 적었
그 사람의 헤어스타일을 자신이 좋아 하는가 다. 가정주부의 경우 헤어스타일 정보원은 대
또는 싫어하는가에 따라 그 사람에게서 더 좋 중매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회사원, 전문
거나, 더 나쁜 인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직, 자영업 종사자의 경우 미용실의 정보가 가
그 이유는 지각자는 나름대로 그의 흥미, 내적 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112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1. 12)

헤어스타일은 인상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헤어스타일 자극물 24종류는 <그림 2>와


개인의 신체적 특성과 연령별, 직업별, 소득에 같이 4×3×2(얼굴형×헤어 길이×헤어 웨이브 유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무)로, 헤어스타일은 롱, 미디움, 숏의 3가지 길
이와 스트레이트와 웨이브의 2가지 질감을 사
용하였다. 헤어스타일은 이태리 헤어패션

Ⅲ. 연구방법 및 절차 ‘ESTETICA’ 한국어판의 2005년 1월부터 2010


년 1월까지의 잡지 이미지 중 스트레이트 질감
과 웨이브 질감의 이미지를 선별하여 Adobe

1. 측정도구 Photoshop CS2 Program으로 부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실험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극물의 사진 크기는 8cm×9cm이며, 측정
자극물의 실험 설계는 얼굴형 이미지 지각을 도구는 7점 양극 형용사로 이루어진 의미미분
위한 4종류(타원형, 둥근형, 사각형, 장방형)와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형용사 수
얼굴형과 헤어스타일 이미지 지각을 위한 24종 집은 뷰티·의류 전공자들 50명에게 최종 선정
류로 총 28개를 사용하였다. 얼굴형은 헤어라 된 얼굴형과 헤어스타일 이미지 28종의 자극물
인의 위치에 따라 길어 보이거나 짧아 보일 수 을 별도로 보여주고 이에 연상되는 이미지 형
있다는 어숙희(2006)27)의 연구에 따라 포토샵 용사를 제한 없이 자유 기술하도록 한 다음 얼
을 이용하여 캡을 씌워 헤어라인을 가림으로써 굴형 이미지와 헤어스타일 이미지에 중복된 형
정확한 얼굴형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용사와 선행연구의 이미지 지각에 사용된 형용
자극물의 얼굴형은 <그림 1>로, FaceGen 사를 정리한 다음 가장 빈도수가 높은 어휘 40
Modeller 3.1 Program에서 SE Asian의 얼굴형 개를 골라 양극형용사로 재정리하여 사용하였
을 선행연구의 계측 데이터에 맞게 수정 보완 다. 질문지는 헤어스타일 자극물과 함께 이미
하여 제작하였다. 지 평가 내용을 조사하는 의미미분척도 문항을
포함하였다.

2.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연구대상은 20대부터 40대의 여성 264명, 남


성 248명으로 총 512명으로 20대, 30대, 40대가
타원형 둥근형 사각형 장방형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그림 1> 얼굴형 이미지
2010년 8월 25일~9월 9일이었다.
얼굴형과 헤어스타일에 대한 지각자 특성에 따른 이미지 지각 113

<그림 2> 얼굴형과 헤어스타일 유형

<표 1> 인구통계적 특성

응답자들은 제시하는 자극물 7개(얼굴형 1 구 분 Frequency Percent(%)


남자 248 48.4
개, 제시한 얼굴형에 따른 헤어스타일 6개)의 성별
여자 264 51.6
문항에 답변하였다. 자료분석은 요인분석, 20대 80 32.3
Cronbach's ⍺ 신뢰도 계수 산출, 삼원변량분 30대 80 32.3

40대 88 35.5
석, 사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Total 248 100.0
연령
20대 88 33.3
30대 88 33.3

40대 88 33.3
Ⅳ. 결과 및 논의 Total 264 100.0
Total 512 100.0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인구통계적 변인에 대한 특성을 조사한 결


과, <표 1>과 같이 여자 51.6%, 남자 48.4%로
얼굴형과 헤어스타일에 대한 지각자의 성별 나타났다. 연령은 남자는 40대가 35.5%로 가장
및 연령에 따른 이미지 지각 차이를 알아보기 많았고 20대와 30대는 32.3%였다. 여자는 20대,
위하여 인구통계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30대, 40대가 33.3%로 나타났다.
114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1. 12)

2. 이미지 지각의 요인분석 인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변수인 이미지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 3. 얼굴형과 지각자의 성별 및 연령


한 결과 <표 2>와 같이 3개의 요인으로 추출되 에 따른 이미지 분석
었다. 추출된 요인의 적재치는 0.552-0.841로
높게 나타났으며, 요인들에 대한 설명력은 얼굴형과 지각자의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이
63.110%로 나타났다. 요인명은 해당 문항을 대 미지 지각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삼원변
표할 수 있는 형용사로 설정하였으며, 신뢰도 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과
값은 모두 0.7이상으로 나타났다. 같다.
<표 3> 얼굴형, 지각자의 성별 및 연령에 따른
<표 2> 이미지 지각의 요인분석 이미지 지각의 차이

적극적 화려한 자연스러운


요인명 변량원 df
구 분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화려한 적극적 자연스러
얼굴형(A) 3 76.20*** 23.63*** 12.44***
이미지 이미지 운 이미지
화려한-수수한 .838 .206 .026 성별(B) 1 .28 .06 .15
연령(C) 2 4.70* 4.94** 2.42
세련된-촌스러운 .836 .006 .250
A×B 3 2.82* 1.17 .95
현대적인-고전적인 .825 .130 .045
A×C 6 .25 1.43 .27
지적인-지적이지 않은 .552 -.006 .364
B×C 2 .34 2.13 2.66
적극적인-소극적인 .068 .837 .001
A×B×C 6 .74 .12 .49
강렬한-무난한 -.083 .803 -.182 집단내 오차
개성있는-평범한 .049 .730 .031 변인 속성 N M M M
활발한-얌전한 .220 .642 -.099 타원형 128 3.88b 3.86b 4.32a
자연스러운-인위적인 .014 -.018 .841 둥근형 128 3.99b 3.46c 4.05b
얼굴형
청순한-섹시한 .069 -.008 .775 사각형 128 4.43a 3.13c 3.54c
어려보이는-성숙한 .331 -.163 .681 장방형 128 4.28a 4.12a 3.93b
여성스러운-남성스러운 .480 -.164 .602 남자 248 4.12 3.66 3.95
성별
아이겐값 2.794 2.403 2.377 여자 264 4.17 3.63 3.98
변량 23.282 20.024 19.804 20대 168 4.21a 3.45b 3.83
누적변량 23.282 43.306 63.110 연령 30대 168 4.30a 3.76a 4.00
Cronbach's Alpha .811 .751 .771 40대 176 3.94b 3.72a 4.06
***p<.001 a, b, c, d는 Duncan의 다중범위검증
KMO=0.772, χ 2 =2394.252

전체 변량의 비율은 화려한 이미지 요인이 <표 3>의 주효과를 보면 얼굴형은 모든 이


23.282%, 적극적 이미지 요인이 20.024%, 자연 미지에서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성별은 유
스러운 이미지 요인이 19.804%로 각 요인이 비 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연령은 적극적 이
슷하였으나 그 중 화려한 이미지 요인이 얼굴 미지와 화려한 이미지에만 유의적 영향을 주는
형과 헤어스타일에 우선적으로 관여하는 요인 것으로 나타났다. 권혜숙(1999)28)의 연구에서
얼굴형과 헤어스타일에 대한 지각자 특성에 따른 이미지 지각 115

보면 사각형의 얼굴형을 적극적으로 평가한다 연스러운 이미지는 타원형이 가장 높게 지각되


는 주장이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도 사각형과 어 서구적 얼굴형인 장방형이 적극적이고 화려
장방형이 다른 얼굴에 비해 적극적 이미지가 한 이미지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높게 나타났다. 화려한 이미지는 장방형에서
높게 평가되었으며, 사각형은 낮게 평가되었다. 4. 스트레이트 헤어스타일에 대한
이는 장방형의 얼굴 이미지로 여성적, 도시적, 얼굴형, 헤어길이, 지각자의 성별 및
세련된, 이지적인 등의 형용사를 도출한 이진 연령에 따른 이미지 지각
희, 김상은(2006)29)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현
대 여성들이 서구적 얼굴형을 현대적이고 세련 스트레이트 헤어스타일을 대상으로 얼굴형,
된 화려한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헤어길이, 지각자의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이미
수 있다. 지 지각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사원변량분
또한 적극적 이미지는 얼굴형과 성별에서 유 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의적인 상호작용효과가 있었으며, 그 형태는 주효과를 보면 얼굴형은 화려한 이미지에만
<그림 3>과 같다. 적극적 이미지에서 여자는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다. 각 평균치를 비교해
남자보다 사각형의 얼굴형을 적극적으로 지각 보면 스트레이트 헤어스타일을 할 때 타원형과
한 반면 타원형은 적극적이지 않다고 평가하는 장방형이 사각형보다 화려한 이미지에서 긍정
것으로 나타났다. 둥근형에 대한 적극적 이미 적으로 지각되었다. 헤어길이는 전체 이미지에
지는 남녀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평균을 보면 적극적 이
미지는 숏 스트레이트, 화려한 이미지는 미디
움 스트레이트, 자연스러운 이미지는 롱 스트
5 레이트에서 높게 나타나 적극적 이미지와 자연
스러운 이미지는 상반된 이미지를 보이는 것으
4
로 나타났다. 성별은 화려한 이미지와 자연스
3
러운 이미지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여자
2 가 남자 보다 화려한 이미지와 자연스러운 이
타원형 둥근형 사각형 장방형
남자 4.06 4.01 4.2 4.21 미지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적극적 이미지는
여자 3.72 3.99 4.65 4.36
남자가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
<그림 3> 적극적 이미지에 대한 얼굴형과 령은 적극적 이미지와 자연스러운 이미지에 유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형태
의적 영향을 주었는데 전 연령층에서 자연스러
결과적으로 적극적 이미지를 주는 얼굴형은 운 이미지를 높게 지각하였다. 스트레이트 헤
사각형과 장방형, 화려한 이미지는 장방형, 자 어스타일 전체에 대하여 40대는 다른 연령층에
116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1. 12)

비하여 적극적 이미지로 지각한 반면 20대는 이미지와 자연스러운 이미지에 유의한 상호작
가장 자연스러운 이미지로 지각하였다. 용효과가 있었으며 얼굴형과 성별은 자연스러
운 이미지에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표 4> 얼굴형, 헤어길이, 지각자의 성별 및 연령에 헤어길이와 성별, 헤어길이와 연령은 적극적
따른 이미지 지각: 스트레이트 헤어스타일
이미지와 화려한 이미지, 자연스러운 이미지에
적극적 화려한 자연스러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변량원 df
이미지 이미지 운 이미지
얼굴형(A) 3 2.309 4.353** .547 <그림 4>의 적극적 이미지에 대한 얼굴형과
헤어길이(B) 2 385.008*** 84.498*** 184.032*** 헤어길이에 따른 상호작용형태를 살펴보면, 전
성별(C) 1 1.130 26.835*** 3.916*
체 얼굴형에서 숏 스트레이트가 롱 스트레이트
연령(D) 2 3.132* 2.114 7.098**
A×B 6 2.211* 1.036 3.374** 보다 적극적 이미지가 높이 평가되었는데 이러
A×C 3 1.893 .473 3.885** 한 결과는 숏 길이와 미디움 길이가 롱 길이보
A×D 6 1.348 .467 1.675
B×C 2 22.102*** 7.405** 5.633** 다 개성이 더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던 윤소영,
B×D 4 3.116** 3.903** 7.127*** 유태순(2004)30)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C×D 2 1.041 1.304 .048
타원형과 둥근형은 숏과 미디움 길이의 스트
A×B×C 6 1.290 .813 .955
A×B×D 12 .782 .502 1.160 레이트가 롱 스트레이트 보다 적극적 이미지를
A×C×D 6 .704 .856 2.149*
높이 평가하였고 사각형과 장방형은 숏 스트레
B×C×D 4 1.325 .687 .690
A×B×C×D 12 .523 .857 .663 이트에서 적극적 이미지를 높이 평가하여 짧은
집단내 오차 헤어스타일이 롱 헤어스타일보다 적극적으로
변인 속성 N M M M
타원형 384 4.68 4.44a 4.15
지각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장방형에 미디움
얼굴 둥근형 384 4.85 4.32ab 4.17 헤어스타일은 다른 얼굴형보다 적극적 이미지
형 사각형 384 4.66 4.22b 4.18
를 더 높이 지각하였다.
장방형 384 4.81 4.43a 4.23
롱 512 3.60c 3.93b 4.55a 7
헤어
미디움 512 4.98b 4.72a 4.41b 6
길이
숏 512 5.66a 4.41c 3.59c 5

남자 744 3.81 3.89 4.40 4


성별
여자 792 3.40 3.96 4.69 3

20대 504 3.49b 3.90 4.58a 2


타원형 둥근형 사각형 장방형
연령 30대 504 3.53b 3.82 4.57b
롱 3.55 3.65 3.67 3.5
40대 528 3.77a 4.04 4.50b 미디움 5 5.03 4.69 5.19
*p<.05, **p<.01, ***p<.001 a, b, c는 Duncan의 숏 5.47 5.84 5.6 5.72
다중범위검증
<그림 4> 적극적 이미지에 대한 얼굴형과
헤어길이에 따른 상호작용형태: 스트레이트
2개의 독립변인에 의한 상호작용효과를 조
사한 결과 얼굴형과 헤어길이에 따라 적극적
얼굴형과 헤어스타일에 대한 지각자 특성에 따른 이미지 지각 117

<그림 5>의 얼굴형과 헤어길이에 따른 자연 <그림 7>의 적극적 이미지에 대한 헤어길이


스러운 이미지의 상호작용형태에서 타원형과 와 성별의 상호작용효과를 보면 남자는 롱 스
둥근형은 숏 스트레이트보다 롱 스트레이트를 트레이트에서 적극적 이미지를 높이 평가한 반
높게 평가하였다. 사각형은 미디움 스트레이트 면 여자는 숏 스트레이트를 더 적극적 이미지
를 높이 평가한 반면 장방형은 롱 스트레이트 로 평가하였다.
를 높이 평가하였다.
7
5
6

4 5

4
3
3

2
2 롱 미디움 숏
타원형 둥근형 사각형 장방형
남자 3.8 4.98 5.35
롱 4.53 4.65 4.36 4.64
미디움
여자 3.4 4.98 5.95
4.25 4.37 4.5 4.5
숏 3.66 3.46 3.67 3.54
<그림 7> 적극적 이미지에 대한 헤어길이와
<그림 5> 자연스러운 이미지에 대한 얼굴형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형태: 스트레이트
헤어길이에 따른 상호작용형태: 스트레이트
화려한 이미지에 대한 헤어길이와 성별에 따
<그림 6>의 자연스러운 이미지에 대한 얼굴 른 상호작용효과를 조사한 결과 <그림 8>과
형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형태를 보면 타원형, 같이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롱 스트
둥근형, 사각형에서는 남자보다 여자가 자연스 레이트에서는 남녀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러운 이미지를 높게 지각한 반면 장방형의 얼 미디움과 숏 헤어길이에서는 남자보다 여자가
굴형은 남자가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 화려한 이미지를 더 높게 평가하였다.
났다.

4
5
4.5
4
3.5
3
3
2.5
2
2 롱 미디움 숏
타원형 둥근형 사각형 장방형
남자 4.11 4.05 4.06 4.31 남자 3.89 4.62 4.14
여자 4.18 4.26 4.28 4.15 여자 3.95 4.81 4.66

<그림 6> 자연스러운 이미지에 대한 얼굴형과


<그림 8> 화려한 이미지에 대한 헤어길이와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형태: 스트레이트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형태: 스트레이트
118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1. 12)

<그림 9>의 자연스러운 이미지에 대한 헤어 7

6
길이와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형태를 조사한 결
5
과 미디움 스트레이트와 숏 스트레이트에서는
4
남녀차이가 없었으나 롱 스트레이트에서는 남
3
자보다 여자가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높게 평가 2
롱 미디움 숏
하였다. 20대 3.48 4.86 5.63
30대 3.53 5.14 5.88
40대 3.77 4.94 5.47
5

<그림 10> 적극적 이미지에 대한 헤어길이와


4 연령에 따른 상호작용형태: 스트레이트

3
헤어길이와 연령에 따라 화려한 이미지에 대
2 한 평가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으며 그
롱 미디움 숏
남자 4.39 4.41 3.6 형태는 <그림 11>과 같다. 미디움 스트레이트
여자 4.69 4.4 3.56
는 연령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롱 스트레이
<그림 9> 자연스러운 이미지에 대한 헤어길이와 트는 30대 보다 20대와 40대가 화려한 이미지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형태: 스트레이트
를 높게 평가하였다. 숏 스트레이트에서는 30
적극적 이미지에 대한 헤어길이와 연령에 따 대가 화려한 이미지를 더 높이 평가하는 것으
른 평가는 <그림 10>과 같이 유의한 상호작용 로 나타났다.
효과를 보였다. 전체 연령에서 숏 스트레이트 5

를 적극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롱 스트레이트는


4

적극적 이미지가 낮게 지각되었다. 즉 적극적


3
이미지에 있어 롱 헤어길이와과 숏 헤어길이는
서로 상반되게 지각된다고 할 수 있다. 미디움 2
롱 미디움 숏

과 숏 스트레이트는 30대가 가장 적극적이라고 20대 3.9 4.74 4.18


30대 3.82 4.78 4.57
지각한 반면 롱 스트레이트는 40대에서 적극적 40대 4.04 4.63 4.45

이미지를 높게 평가하였다.
<그림 11> 화려한 이미지에 대한 헤어길이와
연령에 따른 상호작용형태: 스트레이트

<그림 12>의 자연스러운 이미지에 대한 헤


어길이와 연령에 따른 상호작용형태를 보면 20
대와 40대는 롱 스트레이트와 미디움 스트레이
얼굴형과 헤어스타일에 대한 지각자 특성에 따른 이미지 지각 119

트 순으로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평가하였으나 을 때 자연스러운 이미지로 평가하였다.


30대는 롱과 미디움 스트레이트의 차이가 거의
타원형 둥근형
없었다. 5
사각형 장방형

5
4

4
3

3
2
20대 30대 40대 20대 30대 40대
2
20대 30대 40대
남자 여자
롱 4.58 4.57 4.5
미디움 4.29 4.5 4.42
숏 3.35 3.49 3.9 <그림 13> 자연스러운 이미지에 대한 얼굴형, 성별,
연령에 따른 상호작용형태: 스트레이트
<그림 12> 자연스러운 이미지에 대한 헤어길이와
연령에 따른 상호작용형태: 스트레이트
5. 웨이브 헤어스타일에 대한 얼굴
자연스러운 이미지는 얼굴형, 성별, 연령 등 형, 헤어길이, 지각자의 성별 및 연령
3개의 독립변인에 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 에 따른 이미지 지각의 차이
으며, 그 형태는 <표 5>, <그림 13>과 같다.
웨이브 헤어스타일에 대하여 얼굴형, 헤어길
<표 5> 자연스러운 이미지에 대한 얼굴형, 성별, 이, 지각자의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이미지 지각
연령에 따른 평균치
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원변량분석을 실시
성별 남자 여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연령
요인 얼굴형 20대 30대 40대 20대 30대 40대
<표 6>에서 주효과를 보면 얼굴형은 화려한
타원형 4.17 4.18 4.01 4.11 4.07 4.38
자연스
둥근형 3.92 4.15 4.10 4.24 4.21 4.35
이미지와 자연스러운 이미지에 유의적인 영향
러운
이미지
사각형 4.03 4.00 4.16 4.13 4.46 4.27 을 주었으며 적극적 이미지에는 유의적인 영향
장방형 4.03 4.24 4.63 3.95 4.19 4.31
을 주지 않았다. 각 평균치를 비교해 보면 장방
형 보다 타원형과 둥근형, 사각형에서 화려한
<그림 13>에서 남자 20대는 타원형이 스트 이미지와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높이 지각하였
레이트 헤어스타일을 하였을 때 자연스러운 이 다. 헤어길이는 적극적 이미지, 화려한 이미지,
미지로 지각하였으며 특히 40대 남자는 장방형 자연스러운 이미지 3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이 스트레이트 헤어스타일을 하였을 때 자연스 주었다. 롱 헤어길이는 적극적 이미지와 화려
러운 이미지로 매우 높게 평가하였다. 여자 30 한 이미지로 지각되었으나 미디움 헤어길이는
대는 사각형이 스트레이트 헤어스타일을 하였 자연스러운 이미지로 지각되었다. 성별은 적극
120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1. 12)

<표 6> 얼굴형과 헤어길이, 지각자의 성별 및 영향을 주었는데, 20대와 30대가 40대에 비해
연령에 따른 이미지 지각의 차이: 웨이브
헤어스타일 웨이브 헤어스타일을 적극적 이미지로 지각하
였다.
적극적 화려한 자연스러
변량원 df
이미지 이미지 운 이미지 2개의 독립변인에 의한 상호작용효과를 조
얼굴형(A) 3 1.075 4.157** 2.664* 사한 결과 웨이브 헤어스타일은 얼굴형과 헤어
헤어길이(B) 2 72.167*** 37.358*** 12.287***
성별(C) 1 6.038* 44.219*** 4.691* 길이에서 화려한 이미지 평가에 유의한 상호작
연령(D) 2 8.171*** .551 2.515 용효과가 있었으며 성별과 연령은 적극적 이미
A×B 6 1.297 2.370* .869
지와 화려한 이미지 평가에 유의한 상호작용효
A×C 3 1.332 .479 2.227
A×D 6 2.077 1.227 1.669 과를 보였다.
B×C 2 2.525 1.921 .721
얼굴형과 헤어길이에 따른 화려한 이미지에
B×D 4 2.306 1.072 1.368
C×D 2 6.464** 5.673** .099 대한 상호작용형태는 <그림 14>와 같다. <그
A×B×C 6 .649 1.039 .762 림 14>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롱 웨이브 헤어
A×B×D 12 .684 .879 .894
A×C×D 6 2.033 .325 1.390
스타일에서 화려한 요인이 높게 지각되었다.
B×C×D 4 1.474 .350 .827 둥근형, 사각형, 장방형은 숏 웨이브 헤어스타
A×B×C×D 12 .809 1.169 .274
일보다 미디움 웨이브 헤어스타일에서 화려한
집단간오차
구 분 속성 N M M M 이미지를 높게 지각하였으나 타원형은 숏 웨이
타원형 384 4.54 4.36a 4.27a 브 헤어스타일에서 화려한 이미지를 높게 지각
둥근형 384 4.62 4.45a 4.25ab
얼굴형 하였다.
사각형 384 4.48 4.32ab 4.15ab
장방형 384 4.51 4.20b 4.12b
롱 512 4.86a 4.61a 4.14b 5
헤어
미디움 512 4.05c 4.06c 4.35a
길이 4
숏 512 4.69b 4.33b 4.11b
남자 744 4.88 4.38 4.10
성별 3
여자 792 4.84 4.82 4.18
20대 504 4.86a 4.64 4.29 2
타원형 둥근형 사각형 장방형
연령 30대 504 4.91a 4.52 4.07 롱 4.63 4.75 4.56 4.47
40대 528 4.82b 4.66 4.06 미디움 4.27 4.04 4.07 3.85
*p<.05, **p<.01, ***p<.001 a, b, c는 Duncan의 다중 숏 4.16 4.54 4.32 4.27

범위검증
<그림 14> 화려한 이미지에 대한 얼굴형과
적 이미지, 화려한 이미지, 자연스러운 이미 헤어길이에 따른 상호작용형태: 웨이브
지 모두에게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
났다. 남자는 웨이브 헤어스타일을 적극적 이 성별과 연령에 따라 적극적 이미지는 유의한
미지로 지각하였으나 여자는 화려한 이미지로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는데 그 형태는 <그림
지각하였다. 연령은 적극적 이미지에 유의적인 15>와 같다. 웨이브 헤어스타일에서 20대와 30
얼굴형과 헤어스타일에 대한 지각자 특성에 따른 이미지 지각 121

대는 여자가 적극적 이미지를 높게 지각하였으 본 연구는 얼굴형과 헤어스타일에 따른 이미


나 40대는 남자가 여자보다 적극적 이미지를 지를 분석하고 지각자의 성별, 연령에 따른 이
더 높게 지각하였다. 미지 지각의 차이를 연구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5
1. 얼굴형과 헤어스타일 이미지 평가에 대한

4
문항을 요인분석한 결과, 적극적 이미지, 화려

3
한 이미지, 자연스러운 이미지 요인으로 분류
되었다.
2
20대 30대 40대
남자 4.51 4.4 4.45
2. 얼굴형, 지각자의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이
여자 4.82 4.67 4.3 미지 지각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얼굴형은 모
<그림 15> 적극적 이미지에 대한 성별과 연령에 든 이미지 요인의 평가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
따른 상호작용형태: 웨이브
어 사각형과 장방형은 적극적 이미지가 높게,
화려한 이미지 평가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장방형은 화려한 이미지가 높게 지각되었다.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으며 그 형태는 자연스러운 이미지는 타원형이 높게, 사각형이
<그림 16>과 같다. 20대와 30대는 남자보다 여 낮게 지각되었다. 얼굴형과 성별의 상호작용효
자가 웨이브 헤어스타일을 화려한 이미지로 과는 적극적 이미지 평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
지각하였으나 40대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는데, 여자가 남자보다 사각형의 얼굴형을 적
않았다. 극적이라고 지각한 반면 타원형은 적극적이지

5
않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스트레이트 헤어스타일에 대한 얼굴형, 헤
4
어길이, 지각자의 성별, 연령에 따른 이미지 지

3
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얼굴형은 화려한 이
미지 평가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타원형
2
20대 30대 40대 과 장방형이 스트레이트 헤어스타일을 할 때
남자 4.11 4.04 4.3
여자
사각형에 비해 높게 지각되었다. 헤어길이는
4.52 4.54 4.41

전체 이미지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숏


<그림 16> 화려한 이미지에 대한 성별과 연령에
따른 상호작용형태: 웨이브 스트레이트는 적극적 이미지, 미디움 스트레이
트는 화려한 이미지, 롱 스트레이트는 자연스

Ⅴ. 결론 러운 이미지로 지각되었다.
얼굴형에 헤어스타일 길이별로 스트레이트
헤어스타일을 하였을 때 적극적 이미지와 자연
122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1. 12)

스러운 이미지 요인에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고 남자는 40대가 적극적 이미지로 지각하였
있었다. 적극적 이미지 지각은 타원형과 둥근 다. 화려한 이미지에서는 남자보다 여자 20대
형이 숏 스트레이트와 미디움 스트레이트 헤어 와 30대가 웨이브 헤어스타일을 보고 화려한
스타일을 할 때, 장방형은 미디움 스트레이트 이미지로 지각하였으나 40대는 남녀의 차이가
헤어스타일을 할 때 다른 얼굴형 보다 더 적극 거의 없었다.
적으로 평가되었다. 타원형 본래의 자연스러운 이상의 결과로 보아 얼굴형 본래의 이미지는
이미지는 짧은 스트레이트 헤어스타일을 연출 헤어스타일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할 때 적극적 이미지로 변화될 수 있었다. 있으며, 헤어스타일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원하
얼굴형, 성별, 연령에 따른 상호작용은 자연 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
스러운 이미지에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남자 다. 그러므로 헤어스타일 제작 시 헤어길이와
20대는 타원형, 40대는 장방형이 스트레이트 웨이브 유무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고 할 수
헤어스타일을 할 때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높게 있다.
평가하였다. 여자 30대는 사각형이 스트레이트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양한 헤어스타일 중
헤어스타일을 할 때 자연스러운 이미지로 평가 일반적인 헤어스타일의 이미지 지각 연구를 실
하였다. 시한 것으로 시대적·문화적 흐름에 따라 날로
4. 웨이브 헤어스타일에 대한 얼굴형과 헤어 변화되어가는 헤어스타일을 고려할 때 후속연
길이, 성별, 연령에 따른 이미지 지각의 차이를 구에서는 유행을 고려한 다양한 헤어스타일의
알아본 결과, 얼굴형은 화려한 이미지와 자연 이미지 지각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
스러운 이미지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어 타원형 된다.
과 둥근형, 사각형에서 화려한 이미지와 자연
스러운 이미지를 높이 지각하였다.
얼굴형과 헤어길이의 상호작용효과는 화려
한 이미지 평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전체
적으로 롱 웨이브 헤어스타일을 가장 화려하게
지각하였고 다음으로 둥근형, 사각형, 장방형이
미디움 웨이브 헤어스타일을 하였을 때 화려하
다고 평가하였으며 타원형은 숏 웨이브 헤어스
타일을 할 때 화려하다고 평가하였다. 성별과
연령의 경우 적극적 이미지와 화려한 이미지에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는데 여자 20대와
30대는 웨이브 헤어스타일을 적극적으로 보았
얼굴형과 헤어스타일에 대한 지각자 특성에 따른 이미지 지각 123

참고문헌 no.3, pp. 915-932.


13) 이진희, 김상은(2007). Op. cit., pp. 339-348.
14) 이명희, 송원영(2006). 여성의 헤어스타일과
1) 손지연(2006). 헤어스타일의 단순성과 장식성
헤어컬러가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복
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경영대학원석 식문화연구. vol.14. no.6, pp. 945-955.
사학위논문, pp. 4-10. 15) 정옥희(2003). 이미지별 헤어스타일에 관한
2) 김희숙, 공차숙(2009). 한국 남성 헤어스타일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 p. 49-50.
회지. vol.10. no.3, pp. 17-29. 16) 이효숙(2008). 헤어스타일의 시각적 평가에
3) 김미리, 박옥련(2011). 라이프스타일의 유형
따른 이미지 분류 및 선호도. 경성대학교
별 스타마케팅의 관심도 및 헤어행동, 한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6-68.
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2. no.1, pp. 17) 이진희, 김상은(2006). Op. cit., pp. 12-19.
167-179.
18) 김애경, 이경희(2005). 얼굴의 조형적 특성에
4) 김경호(2009). 이미지메이킹의 이론과 실제. 따른 유형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도서출판 높은오름, p. 117. vol.7. no.6, pp. 650-656.
5) 이진희, 김상은(2007). 여성의 개인적 특성에
19) 권혜숙(1996). 얼굴형이 여성의 신체적 매력
따른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 측정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디자인
인문화학회지. vol.13. no.4, pp. 339-348. 연구소, 디자인연구. vol.5, pp. 55-68.
6) 이명희(2004). 지각자의 사회적 가치와 헤어
20) 권혜숙(1999). 얼굴형과 여성의 인상형성과
스타일 변화에 따른 이미지지각 연구. 복 의 관계에 대한 연구Ⅰ. 상명대학교 디자
식문화연구. vol.12. no.6, pp. 971-983. 인연구소. vol.7, pp. 1-9.
7) 이효숙, 박숙현(2006). 헤어스타일 선호도와
21) 이진희, 김상은(2006). Op. cit., pp. 12-19.
행동에 관한 연령별 비교. 한국디자인문 22) 강혜원(2009). 의상사회 심리학, 서울: 교문
화학회지. vol.12. no.1, pp. 167-176. 사, p. 48.
8) 이진희, 김상은(2006). 헤어스타일 유형과 얼
23) 임숙자, 황선진, 이종남, 이승희(2009). 현대
굴형에 따른 얼굴 이미지 분석. 한국디자 의상사회 심리학. 서울: 수학사, p. 118.
인문화학회지. vol.12. no.3, pp. 12-19. 24) 강혜원(2009). Op. cit., pp. 43-49.
9) 김현정(2009). 남녀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성
25) 이명희(2007). 여성 헤어스타일에 대한 남성
역할정체감과 외모관련태도 연구. 성신 지각자의 이미지 평가 및 선호도 연구.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9. no.2, pp.
109.
127-138.
10) 나광주(1989). 의복과 헤어스타일의 인상형 26) 강동훈, 오세이(2009). 여성의 헤어스타일이
성에 관한 관심도.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 정서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적 특성에 따
사학위논문, pp. 28-31.
른 헤어스타일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
11) 이명희(2007). 여성 헤어스타일에 대한 남성 미용학회지. vol.15. no.2, pp. 429-439.
지각자의 이미지 평가 및 선호도 연구. 27) 어숙희(2006). 한국인 발제선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9. no.2, pp.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
127-138. 문, p. 92.
12) 이영미(2007). 헤어스타일 형태와 길이에 따 28) 권혜숙(1996). Op. cit., pp. 55-68.
른 이미지 분석. 한국미용학회지. vol.13.
29) 이진희, 김상은(2006). Op. cit., pp. 12-19.
124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1. 12)

30) 윤소영, 유태순(2001). 헤어스타일이 인상형


성에 미치는 영향. 패션비즈니스. vol.5.
no.3, pp. 73-8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