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2-2단원 (112~139) out.indd 112 17. 11. 30. 오후 10:02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28

2

지구 시스템
우 리가 사는 지구는 중력을 비롯한 여러 가지 힘이
작용하여 유지되는 태양계의 구성원 중 하나이다.
또한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을 갖춘 유일한 행성이다.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는 무엇이고, 각 구성 요소들은 어떻게 상호
작용 하고 있을까?

학습
계획 이 단원에서는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상호 작용을 알아본다. 또 지구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들이 지구 시스템 내부의 에너
지 흐름과 물질 순환의 결과임을 알아본다.

이전에 학습한 내용 이 단원의 내용 앞으로 학습할 내용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 .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 •지구 내부 에너지


•지권, 기권, 해수의 층상 구조 . ​지구 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 순환 •맨틀 대류와 플룸 구조론
•지진대와 화산대 . 지권의 변화 •한반도의 판구조 환경

112 II. 시스템과 상호 작용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12 17. 11. 30. 오후 10:02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
활동으로
단원 열기

지구를 구성하는 것들
사람의 몸은 뼈, 신경, 근육 등과 같은 다양한 조직이 모여 하나의 개체를 이루고 있다. 우리가 사는 지구도
이와 같이 여러 가지 구성 요소들이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고 있다. 지구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어떻게 분류
할 수 있을까?

1. 지구를 구성하는 요소 중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을 각자 붙임쪽지에 써서 칠판에 붙여 보자.

2. 붙임쪽지에 적은 단어들을 어떤 기준에 따라 분류할지 토의하여 결정해 보자.

3. 결정한 기준에 따라 단어들을 분류해 보자.

4. 지구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다양한 단어들이 기준에


따라 잘 분류되는지 이야기해 보자.

날씨
공기

하늘 태양

꽃 인간
바다

구름

학습
목표 지구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이고, 이들은 어떻게 상호 작용 할까?

| 이 단원을 학습하면 | ​지구 시스템이 태양계의 구성 요소이자 그 자체로 수많은 생명체를 포함하는 시스템임을 추론할 수 있다.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각 요소의 층상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지구 시스템의 각 권이 상호 작용 하며 균형을 이루고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2. 지구 시스템 113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13 17. 11. 30. 오후 10:02


태양과 태양 주변을 회전하는 여러 천체들로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을 태양계라고 한
다. 지구는 태양계의 역학적 시스템 안에 존재하는 구성 요소이면서 그 자체로도 수많은
생명체와 요소를 포함하는 하나의 시스템이다.
태양계와 지구 시스템이 형성되어 현재까지 유지되는 데에는 중력의 영향이 크게 작
용하였다. 중력은 성운에서 태양이 탄생하고 미행성체들이 충돌하여 지구가 만들어질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지구와 같은 행성이 태양으로부터 떨어져 나가지 않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다양한 대기 성분들이 지구에 붙잡혀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지구 시스템은 대기의 두께가 적당하고, 온도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며,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여 생명체가 살아가기에 적합한 환경을 갖추게 되었다.
지구 시스템은 | 그림Ⅱ- 15 | 와 같이 크게 지권, 수권, 기권, 생물권, 외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활동에서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찾아보자.

| 그림Ⅱ- 15 | 지구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

지권 암석과 토양으로 이루어진 지구의 수권 해수, 빙하, 지하수, 강과 호수


겉 부분과 지구 내부 전체를 통틀어 지권 등 지구에 분포하는 물을 수권이라
이라고 한다. 고 한다.

114 II. 시스템과 상호 작용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14 17. 11. 30. 오후 10:02


지구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

그림 (가)는 1968년 12월 24일에 달의 뒷면을 통과하던 아폴로 8호가 찍은 지구가 떠오르
는 모습이고, 그림 (나)는 우리나라 제주도의 풍경이다.

(가) (나)

● 그림 (가)와 (나)에서 지구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에 해당하는 것을 찾아보자.

● 우리 주변에서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모두 들어 있는 모습을 찾아 그려 보자.

지구에는 하늘 아래로 대륙과 바다가 넓게 펼쳐져 있고, 이를 터전으로 사람을 포함한


수많은 생물들이 공존하고 있다. 지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은 어떤 특징이 있으
며, 지구의 환경과 생명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기권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 생물권 지구의 모든 생명체와 아직 분해되지 않은 외권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기권의 바깥 영역


가 분포하는 영역을 기권이라고 유기물을 생물권이라고 한다. 을 외권이라고 한다.
한다. 기권은 수증기를 포함한다.

2. 지구 시스템 115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15 17. 11. 30. 오후 10:03


| 그림Ⅱ- 16 | 은 지구 시스템 구성 요소의 층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지권은 중력의 영

향으로 여러 개의 층으로 나누어져 있다. 지권의 바깥쪽에 존재하는 지각과 맨틀은 비교


적 가벼운 규산염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심부의 핵은 철과 니켈 등의 무거운 물질
로 이루어져 있다. 핵은 다시 외핵과 내핵으로 구분되는데, 액체 상태인 외핵에서 철과
니켈의 대류가 일어나 지구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지구 자기장은 태양에서
오는 유해한 우주 방사선을 막아 지구의 생명체를 보호한다.
깊이에 따른 해수의 수온 분포 수권의 대부분은 해수로 이루어져 있다. 해수는 깊이에 따른 수온 분포를 기준으로
수온( C)
0 5 10 15 20 25
혼합층, 수온 약층, 심해층으로 구분된다. 혼합층에서는 해수가 바람에 의해 잘 섞여
깊이

혼합층 깊이에 관계없이 수온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혼합층의 아래로는 수온이 급격히
m
( )

수온 약층

정하다. 지표면의 약 70 %를 덮고 있는 물은 열에너지를 저장하여 지구의 온도를 일정


1000 낮아지는 수온 약층이 나타난다. 심해층에는 빛이 거의 도달하지 않아 수온이 낮고 일

2000 심해층
하게 유지한다. 따라서 기후와 지형이 변하여 물의 분포가 달라지면 지구 환경에 크고
3000 작은 변화가 생긴다.

| 그림Ⅱ- 16 | 지구 시스템 구성 요소의 층상 구조

혼합층
지권의 층상 구조
수온 약층

심해층

해수의 층상 구조

지각 맨틀 외핵 내핵

116 II. 시스템과 상호 작용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16 17. 11. 30. 오후 10:03


1

기권은 지표면으로부터 약 1000 km 높이까지 분포하며, 대기의 약 99 %는 지


구 중력의 영향으로 약 30 km 높이 이내에 집중되어 있다. 기권은 높이에 따른
높이에 따른 기권의 기온 분포

높이
1000

km 800

(
기온 분포를 기준으로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구분된다. 대류권에서

)
600
는 비, 눈, 바람 등의 기상 현상이 일어나며, 성층권에는 태양에서 오는 자외선을 400

흡수하는 오존층이 존재한다. 중간권에서는 대류가 일어나지만 수증기가 희박하여 200


120
기상 현상은 나타나지 않고, 열권에는 대기가 거의 없어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크 100 열권

며 오로라가 나타나기도 한다. 80


중간권
외권은 기권 바깥의 태양계 천체, 별, 은하 등을 모두 포함하는데, 그중 태양은 50
40
지구의 환경과 생명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성층권

10
생물권은 지권, 수권, 기권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 생물권을 구성하는 생명체들 0
대류권
-100 -50 0 50 100 1000
은 지구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의 변화에 민감하게 적응하며 살아간다. 기온( C)

(출처: 『Earth Science: Understanding


Environment al Systems』, 2003)
확인 지구 시스템을 구성하는 5가지 요소는 무엇인가?

열권 1000 km

중간권 80 km

성층권 50 km

0(km)
대류권 10 km

6400 5100 2900 5 ̄35 기권의 층상 구조

2. 지구 시스템 117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17 18. 10. 23. 오후 11:46


1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은 끊임없이 상호 작용을 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구성


요소에 변화가 생기면 다른 구성 요소도 영향을 받게 된다. 다음 탐구에서 지구 시스템
의 상호 작용 사례를 살펴보고, 각 요소가 생물의 생명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지구 시스템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

조사 문제 인식 ​지구 시스템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으로 어떤 자연 현상이 일어나며, 각 요소는

생물의 생명 유지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목표 | 지구 시스템에서 일어나
과정
는 자연 현상을 각 요소들 사이
의 상호 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 1.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상호 작용 하여 일어나는 자연 현상을 조사해 보자.
고, 각 요소들이 생명 유지에 기
여하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조사한 자연 현상에서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은 어떻게 상호 작용 하는지 정리하여 표
인성 | 모둠원을 배려하는 마음 를 완성해 보자.
으로 역할을 분담하고, 모둠원과 •표에서 세로의 파란색 칸은 영향을 주는 요소이고, 가로의 초록색 칸은 영향을 받는 요소이다.
적극적으로 소통한다.
•동일 요소 사이의 상호 작용은 조사하지 않는다.

준비물 |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


지권 수권 기권 생물권

지권

화산이 폭발하여 화산재


가 대기로 방출된다.

수권

파도가 바닷가의 자갈을


둥글게 만든다.

기권

식물이 이산화 탄소를 흡수


하여 광합성을 한다.

생물권

118 II. 시스템과 상호 작용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18 18. 10. 23. 오후 11:47


결과 및 정리

1. 완성한 표를 이용하여 지구 시스템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 사례를 발표해 보자.

2. 지구 시스템 구성 요소들이 생물의 생명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토의해 보자.

지권에서 일어나는 화산 활동으로 대기 중에 분출된 화산재


와 화산 가스는 지구의 기온을 변하게 한다. 또한 화
산재는 오랜 기간에 걸쳐 토양의 성분과 수질을 기권

변하게 한다. 수권의 해수는 밀물과 썰물,


태양
파도를 일으켜 해변의 지형과 암석의 (외권)

형태를 변하게 하고, 대기와의 상호


작용으로 다양한 기상 현상을 일으
키기도 한다. 기권은 지구의 기온을
적절하게 유지하고, 생물이 광합성을
하는 데 필요한 이산화 탄소를 제공
생물권
한다.
이처럼 지구 시스템의 각 요소들은 상호 지권 수권

작용 함으로써 균형을 이루고, 생명체를 위한


최적의 환경을 유지한다.

| 그림Ⅱ- 17 | 지구 시스템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

확인 사람의 호흡은 지구 시스템의 어떤 구성 요소들의 상호 작용에 해당하는가?

이 단원을 학습한 후 113쪽


1. 이해 지권의 층상 구조가 형성된 과정을 중력과 관련지어 설명해 보자.
의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질문
에 답해 보자.
2. 적용 일상생활에서 자신이 지권, 수권, 기권과 상호 작용 하는 사례를 찾아보자.

3.‌‌ 창의 · 융합 지구 자기장이 현재보다 약해진다면 인간을 비롯한 지구의 생명체는 어떤 영향을 받을


것인지 예상하여 그림을 그려 보자.

2. 지구 시스템 119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19 17. 11. 30. 오후 10:03


지구 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 순환
활동으로
단원 열기

태양 에너지가 일으키는 현상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에는 에너지가 필요하다. 다음은 태양 에너지가 일으키는 현상의 일부
를 나타낸 것이다.

나무가 자란다. 구름이 생긴다. 가로등이 켜진다.

1. 우리 주변에서 태양 에너지가 일으키는 현상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자유롭게 써 보고, 이를 짝과 비교해 보자.

2. 1에서 쓴 현상에서 태양 에너지는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어느 것에 영향을 주는지 이야기해 보자.

학습
목표 지구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자연 현상은 에너지 흐름 및 물질 순환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 이 단원을 학습하면 | ​지구 시스템의 다양한 에너지원을 설명할 수 있다.


​지구 시스템에서 에너지 흐름과 물질 순환이 일어남을 설명할 수 있다.
​기권과 수권의 상호 작용을 사례로 지구 시스템 내부의 에너지 흐름과 물질 순환을 논증할 수 있다.

120 II. 시스템과 상호 작용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20 17. 11. 30. 오후 10:03


태양 에너지를 흡수한 물은 증발하여 구름을 만들고 식물은 광합성으로 얻은 양분을
이용하여 성장한다. 최근에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일상생활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
하기도 한다. 이처럼 태양 에너지는 날씨 변화를 일으키고 다양한 생명 활동에 관여한다.
또한 태양 에너지는 지구 시스템의 에너지원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며, 지구 시스템
의 모든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근원적인 에너지이다.
이 외에도 지구 시스템에 다양한 현상을 일으키는 에너지원에는 지구 내부 에너지와
조력 에너지가 있다. 지구 내부 에너지는 외핵의 운동을 일으켜 지구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맨틀 대류를 일으켜 대륙을 이동하고 지진과 화산 활동을 일으킨다.
조력 에너지는 밀물과 썰물을 일으켜 해수면 높이를 변하게 하고 해안 근처의 생태계와
지형 변화에 영향을 준다.
| 그림Ⅱ- 18|은 지구 시스템의 에너지원과 에너지양의 상대적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지

구 내부 에너지와 조력 에너지의 양은 태양 에너지의 양에 비해 아주 적지만, 지구 시스


템에 미치는 영향은 작지 않다. 특히 지구 내부 에너지가 급격하게 방출되어 일어나는
지진이나 화산 활동은 지표면을 크게 변하게 하고, 기상 이변이나 해일을 일으키기도
한다.

(99.985 %)
태양 에너지

(0.002 %)
조력 에너지

(0.013 %)
지구 내부 에너지

(출처: 『Earth Science: Understanding Environmen tal Systems』, 2003)

| 그림Ⅱ- 18 | 지구 시스템의 에너지원과 에너지양의 상대적 비율

확인 지구 시스템의 에너지원 3가지는 무엇인가?

2. 지구 시스템 121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21 17. 11. 30. 오후 10:03


바람이 불고, 구름이 형성되어 비나 눈이 내리고, 화산이 폭발하여 지표를 변화시키는
등 지구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자연 현상은 에너지의 흐름에 따라 나타난다. 이때
물질은 어떻게 순환하는지 기권과 수권의 상호 작용을 사례로 알아보자.

에너지 흐름과 물질 순환으로 나타나는 자연 현상

태풍은 따뜻한 바다에서 해수가 증발하여 발생하는 기상 현상으로, 강한 비바람을 동반하여


우리 생활에 큰 영향을 준다. 그림 (가)는 위성에서 관측한 태풍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는 태풍이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가) (나)

● ​태풍을 일으키는 지구 시스템의 에너지원은 무엇인가?

● ​태풍이 발생하여 강한 비를 내리기까지 에너지는 어떻게 흐르고, 에너지의 흐름에 따라 물은 어떻게


이동하는지 설명해 보자.

태풍은 저위도의 따뜻한 바다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강한 상승 기류를 받아 구름을 형


성하여 발생한다. 바닷물은 수증기로 증발할 때 열에너지를 흡수하고, 수증기는 구름이
되면서 열에너지를 방출한다. 따라서 태풍이 발생하는 과정에서는 수권에서 기권으로
에너지가 흐른다. 지구 전체로 보면 태풍은 저위도의 에너지를 고위도로 전달하는 역할
을 한다. 또한 태풍은 고위도로 이동하면서 많은 양의 비를 내려 저위도의 물을 고위도
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지구 규모의 물의 순환이 일어난다.
물질은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방출하며 각 권을 순환하고, 이 과정에서 에너지의 흐름
이 함께 나타난다. 그 결과 지구에는 다양한 자연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우리 주변의 물질
들은 어떻게 순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은 어떤 것이 있을까?

122 II. 시스템과 상호 작용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22 17. 11. 30. 오후 10:03


물의 순환 | 물의 순환은 주로 태양 에너지의 흐름에 따라 나타난다. | 그림Ⅱ- 19 |와 같 물에 의한 지표 변화의 예

이 바다, 강, 호수의 물은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여 수증기가 되고, 수증기는 상승하면서


응결하여 구름을 형성한다. 구름은 비나 눈을 내리고, 이에 따라 물은 지권이나 수권으
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강수 현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날씨 변화가 일어난다.
지표로 스며든 물은 식물의 광합성에 사용되는 등 지상의 생물들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 이용된다. 또한 하천이나 강으로 흘러가는 물은 많은 수중 생물의 서식처가 되고, 암석
의 풍화와 침식을 일으켜 지표의 모양을 달라지게 한다. 지상의 물 중 일부는 다시 수증
강원도 영월에는 강물이 흐르면
기가 되어 기권으로 이동한다. 이처럼 수권의 물은 태양 에너지에 의해 기권, 지권, 생물 서 지표를 변형하여 형성된 한

권과 상호 작용 하며 순환한다. 반도 모양의 지형이 있다.

이 과정에서 각 권은 물을 얻은 양과 물을 잃은 양이 같은 평형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지구 시스템 전체의 물의 양은 변하지 않는다.

대기

60000 km3
증발

96000 km3 320000 km3


강수 증발

284000 km3
강수

육지

36000 km3
지표 유출

바다

지하로 침투

(출처: 『생동하는 지구』, 2003)

| 그림Ⅱ- 19 | 물의 순환 그림의 숫자는 연평균 증발량과 강수량 값이다.


각 권은 물을 얻은 양과 잃은 양이 평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지구 시스템
전체의 물의 양은 변하지 않는다.

2. 지구 시스템 123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23 17. 11. 30. 오후 10:03


탄소의 순환 | 지구 시스템에서 물질 순환이 일어나는 또 다른 예로 탄소의 순환이 있
다. 다음 활동에서 탄소의 순환 과정과 탄소의 존재 형태, 탄소의 순환 과정에서 나타나
는 에너지 흐름을 알아보자.

탄소의 순환과 에너지 흐름

그림은 지구 시스템에서 탄소가 순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산화 탄소, 메테인

화석 연료의 연소 화산 분출

용해 방출
광합성 호흡

해저 탄산염 퇴적
화석 연료 채취 화석 연료 생성

해저 화산 분출 맨틀로 하강

● ​지구 시스템의 각 권에서 탄소는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 정리해 보자.

구성 요소 기권 수권 지권 생물권

탄소의 존재 형태

● ​기권의 탄소가 수권, 지권, 생물권을 거쳐 다시 기권으로 돌아오는 순환 과정을 설명해 보자.

● ​탄소의 순환 과정에 관여하는 에너지가 흐르는 과정을 설명해 보자.

탄소는 지구 시스템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기권에서 탄소는 이산화 탄소나
메테인 등으로 존재하는데, 주로 화석 연료의 연소, 화산 분출, 해수의 수온 상승 등으로
기권에 공급된 것이다.
기권의 이산화 탄소가 빗물에 녹으면 비는 약한 산성을 띠며, 산성을 띠는 비는 암석
에 포함된 광물을 녹여 바다로 함께 흘러간다. 또한 해저 화산이 분출하여 바다에 탄소
를 공급하기도 한다.

124 II. 시스템과 상호 작용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24 17. 11. 30. 오후 10:03


수권의 바닷물에 이산화 탄소가 녹으면 탄산 이온 등이 되고, 해양 생물은 이를 화합
물로 전환하여 골격 등을 형성한다. 또한 탄산 이온은 칼슘 이온과 결합하여 탄산염의
형태로 해저에 퇴적되고, 오랜 기간이 지난 후 석회암의 형태로 지권에 존재하게 된다.
지각이 맨틀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탄소는 지구 내부로 들어가고, 화산이 분출하면 이산화
탄소의 형태로 기권으로 되돌아간다.
생물은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여 포도당을 만들고, 생물이 죽으면 생물 내의 탄소가
화석 연료로 저장되기도 한다. 따라서 화석 연료가 연소하면 이산화 탄소가 대기로 배출
된다. | 그림Ⅱ- 20|은 이러한 탄소 순환 과정에서 탄소가 존재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탄소의 순환 과정에서도 에너지의 흐름이 함께 일어난다. 화산이 분출할 때에는
지구 내부 에너지가 방출되고, 해수의 수온이 상승하여 이산화 탄소를 방출할 때에는
태양 에너지를 흡수한다. 또 광합성 과정에서 태양 에너지는 식물 생장에 필요한 화학
에너지로 저장되고, 식물의 유해로부터 생성된 화석 연료는 연소 과정에서 내부에 저장
된 에너지를 열에너지나 빛에너지 형태로 방출한다. 이처럼 지구 시스템은 다양한 물질
순환과 에너지 흐름을 통해 균형을 이루고 있다.

▲ 석회암 ▲ 식물에 저장된 포도당 ▲ 화석 연료(석탄)

| 그림Ⅱ- 20 | 탄소가 존재하는 형태의 예

확인 1. 물의 순환을 일으키는 에너지원은 무엇인가?


2. 탄
 소가 기권에서 수권으로 이동할 때 탄소의 존재 형태는 어떻게 전환되는가?

이 단원을 학습한 후 120쪽


1. 이해 지구 내부 에너지와 조력 에너지가 일으키는 현상을 설명해 보자.
의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질문
에 답해 보자.
2. 적용 ​우리 주변에서 탄소가 기권으로 이동하는 예를 찾아보자.

3.‌‌ 창의 · 융합 탄소 순환의 균형이 깨지면 인간과 지구 시스템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와 관련된


영상을 찾아본 후, 감상문을 써 보자.

2. 지구 시스템 125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25 17. 11. 30. 오후 10:03


지권의 변화
활동으로
단원 열기

화산 폭발을 소재로 영화 만들기


그림 (가) ̄(라)는 화산이 폭발하기 전과 후에 일어나는 현상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가) 지진이 발생하는 (다) 산 정상의


(나) 화산이 격렬하게 폭발하여 용암 높이가 점점
횟수가 늘어난다. 상승한다.
이 흘러내린다.

pH 측정기

가 말라
성화되고 나무
(라) 호수가 산 (바)
(마(마
) )
죽는다.

1. ​화산 폭발에 대한 영화의 줄거리를 짜고, (마)와 (바)에 영화 전개를 위해 추가할 장면을 그려 보자.

2.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영화의 줄거리에 맞춰 (가) ̄(바)를 재배열한 후, 모둠원에게 이야기해 보자.

학습
목표 지진과 화산 활동 같은 지권의 변화는 지구 내부 에너지 흐름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지구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이 단원을 학습하면 | ​지진과 화산 활동이 특정 지역에서만 일어나는 까닭을 설명할 수 있다.


​지권의 변화를 판 구조론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지구 내부 에너지 흐름의 결과로 일어나는 지권의 변화가 지구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추론할 수 있다.

126 II. 시스템과 상호 작용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26 17. 11. 30. 오후 10:03


지진과 화산 활동은 지권의 변화 중 우리가 직접 경험하고 느낄 수 있는 대표적인 자연
현상이다. 이는 한 지점에 축적되어 있던 지구 내부 에너지가 급격히 방출될 때 일어나
는 현상으로, 특히 화산이 분출할 때에는 지구 내부의 물질이 함께 방출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우리나라에 비해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중국에서도
히말라야산맥 근처의 지역에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다음 활동에서 지진과 화산 활동
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을 알아보자.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

지진과 화산 활동이 일어나는 곳을 확인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근 30년


준비물 |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

동안 지진과 화산 활동이 일어난 지역을 살펴보자.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누
리집: http://bingweb.bing
hamton.edu/~ajones
•프 로그램 파일명: Seismic
EruptionSetup.exe

▲ 지진 발생 지역 ▲ 화산 활동 지역

● 지진은 주로 어느 지역에서 일어나는가?

● 화산 활동은 주로 어느 지역에서 일어나는가?

●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과 화산 활동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설명해 보자.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을 지진대, 화산 활동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을 화산대라고 환태평양 지진대와 화산대
환태평양 지진대와 화산대는
한다. 지진이 일어나는 곳에서 항상 화산 활동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지진대와 태평양을 중심으로 대륙의 경계

활동의 약 80 %가 이곳에서 일
화산대는 거의 일치하며 주로 대륙의 주변부에 띠 모양으로 분포한다. 이처럼 지진이나 부근에 존재한다. 지구 전체 화산

화산 활동과 같은 지각 변동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을 변동대라고 한다. 변동대가 특정 지역 어나 ‘ 불의 고리 ’ 라고도 한다.

에만 분포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확인 지진이나 화산 활동 같은 지각 변동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2. 지구 시스템 127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27 17. 11. 30. 오후 10:03


1

지진과 화산 활동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을 연결하면 지구의 표면은 크고 작은 조각으


로 구분되며, 이러한 조각을 판이라고 한다. 지진이나 화산 활동과 같은 지권의 변화는
판의 움직임으로 설명할 수 있다.

판의 구조와 분포 | 판은 | 그림Ⅱ- 21 | 과
같이 지각과 맨틀의 최상부를 합친 단단 해양 지각
대륙 지각 암석권
한 부분으로 암석권이라고도 한다. 암석권
아래쪽의 상부 맨틀은 암석이 부분적으 맨틀

연약권
로 용융되어 유동성이 있는데 이를 연약권
이라고 한다. 연약권의 대류는 판이 움 | 그림Ⅱ- 21 | 판의 구조
직이는 원동력이 된다.
해양판과 대륙판
판의 이동으로 지권의 변화를 설명하는 이론을 판 구조론이라고 한다. 판 구조론에 따르
판은 해양 지각을 포함하는 해양
판과 대륙 지각을 포함하는 대륙 면 지구의 표면은 여러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판은 맨틀 대류를 따라 이동
판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해양판
하면서 판의 경계에서 지진이나 화산 활동과 같은 지각 변동을 일으킨다. | 그림Ⅱ-  22 | 는
은 대륙판보다 두께가 얇지만
밀도가 크다. 전 세계 판의 분포와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출처: 『Earth Portrait of a Planet』, 2012)

북아메리카판
유라시아판

동해
후안데푸카판

카리브판
아라비아판 필리핀판
인도판 코코스판

태평양판

아프리카판
남아메리카판
나스카판
오스트레일리아판

남극판 스코티아판

| 그림Ⅱ- 22 | 전 세계 판의 분포와 이동 방향 각각의 판은 서로 다른 방향과 속도로 천천히 움직이고 있다.

128 II. 시스템과 상호 작용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28 18. 10. 23. 오후 11:48


형 경계,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의 3가지 유형이 나타난다.
판의 경계 | 맨틀 대류를 따라 판이 이동하며 판의 경계에서는 | 그림Ⅱ-  23 | 과 같이 발산

인접한 두 판이 서로 멀어지는 판의 경계를 발산형 경계라고 한다. 발산형 경계에서는 열곡과 열곡대

하는 폭이 좁고 긴 V자 모양
•열곡: 대륙 또는 해양에 발달
판이 멀어지는 틈새로 마그마가 올라와서 새로운 지각이 생성된다. 발산형 경계에서는
지진과 화산 활동이 자주 일어나며, 해저 산맥인 해령이나 열곡대가 발달한다. 동태평양 의 깊은 골짜기
•열곡대: 열곡이 길게 이어져
해령, 대서양 중앙 해령, 동아프리카 열곡대가 발산형 경계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예 있는 지형

이다.
두 판이 서로 가까워지는 판의 경계를 수렴형 경계라고 한다. 해양판과 대륙판이 충돌
하면 밀도가 큰 해양판이 밀도가 작은 대륙판 아래로 들어가면서 섭입대를 형성하고   섭입대
밀도가 큰 판이 밀도가 작은 판
판이 소멸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깊이에서 지진이 일어나고 화산 활동도 활발하게 일어 아래로 들어가면서 가라앉는 지역

난다. 섭입대에서는 해구가 발달하고, 일본과 같은 호상 열도나 안데스산맥과 같은


  호상 열도
습곡 산맥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또한 대륙판과 대륙판이 충돌하면 히말라야산맥과 같은 일본 열도와 같이 섬들이 활 모양
으로 길게 배열되어 있는 지형
습곡 산맥이 형성된다.
두 판이 반대 방향으로 어긋나는 판의 경계를 보존형 경계라고 한다. 보존형 경계에서
는 판이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으며, 지진이 자주 일어나지만 마그마가 상승하지 않는
곳이므로 화산 활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북아메리카의 산안드레아스 단층과 같이 해령
부근에 발달하는 변환 단층이 보존형 경계에 해당한다.

확인 1. 지각과 맨틀의 최상부를 포함하는 단단한 부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2. 판의 경계 중 판이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는 경계는 무엇인가?

발산형 경계 보존형 경계 수렴형 경계

호상 열도

변환 단층
해령 해구

섭입대
섭입대

| 그림Ⅱ- 23 | 여러 가지 판의 경계

2. 지구 시스템 129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29 17. 11. 30. 오후 10:03


판의 경계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지형

히말라야산맥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이 충돌하여 형성된
거대한 습곡 산맥이
다. 지진이 활발하게 일어나지만 화산
활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동아프리카 열이곡대 곳으로, V자


으로 갈라지는
두 개의 대륙판
하나의 대륙판
형성되어 있다.
모양의 골짜기가

일본 해구
태평양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들어가면서 만들어진 해구이
다. 해구 주변에서는 지진과 화산 활동이 자주 발생한다.

130 II. 시스템과 상호 작용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30 17. 11. 30. 오후 10:03


산안드레아스 단층
북아메리카판과 태평양판이 서로 어긋나게 이동하며 형성된
변환 단층이다. 변환 단층은 보통 해저에서 볼 수 있는데,
산안드레아스 단층은 특이하게 육지에서 나타난다.

아이슬란드 열곡대
대서양 중앙 해령에 위치한 아이슬란드에
서는 두 판이 멀어
지는 것을 육지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출처: 『Earth Portrait of a Planet』, 2012)

안데스산맥 이 남아메리카판 아래
로 들어가며 형성된
해양판인 나스 카판
생성되어 산맥을
. 섭입대에서 마그마가
거대한 습곡 산맥이다
.
따라 화산이 분포한다

2. 지구 시스템 131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31 17. 11. 30. 오후 10:03


지구 내부 에너지에 의해 맨틀 대류가 발생하여 판이 이동하고, 이동하는 판의 경계에
서는 지진과 화산 활동을 비롯한 지권의 변화가 활발히 일어난다. 화산 활동이 지구
시스템의 각 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다음 탐구에서 알아보자.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화산 분출이 지구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조사, 토의 문제 인식 화산이 분출하면 지구 시스템의 각 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그림 (가)는 아이슬란드 에이야퍄들라이외퀴들 화산으로, 2010년에 분출하여 유럽에 항공


과정
목표 | 화산 분출이 지구 시스템

대란을 일으켰다. 그림 (나)는 인도네시아 탐보라 화산으로, 1815년에 분출하여 1816년을


의 각 권에 미치는 영향을 추론
할 수 있다.
인성 모둠원을 배려하는 마음
|
여름이 없는 해로 만들었다.
으로 역할을 분담하고, 모둠원과
적극적으로 소통한다.

준비물 |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

(가) (나)

1. 모둠을 구성하고, (가)와 (나)가 분출하여 발생한 지구 시스템 각 권의 변화를 조사해 보자.

2. (가)와 (나)가 분출하여 발생한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피해 사례를 조사해 보자.

구분 (가) (나)

환경적 피해 지구의 평균 기온이 0.4  ~  0.7 *C 정도 낮아졌다.

사회적 피해

경제적 피해
유럽 지역의 항공기 운항이 중단되며 물류 수송에
이상이 생겨 경제 활동이 타격을 받았다.

132 II. 시스템과 상호 작용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32 17. 11. 30. 오후 10:03


결과 및 정리

1. 화산 분출이 지구 시스템에 미치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정리해 보자.

2. 화산 분출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토의해 보자.

대규모의 화산 분출은 주변의 지형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기권, 수권, 생물권에도


큰 영향을 준다. 기권으로 분출된 화산재는 햇빛을 가려서 지구의 평균 기온을 떨어뜨리
고, 이에 따라 작물의 생장이 저하되어 사회적으로 큰 피해가 생긴다. 지진은 건물을
파괴하고 산사태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려면 인공위성을 이용한 지형
변화 관측, 지진계 설치, 내진 설계 적용, 안전 교육 시행 등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나 화산 활동이 자연과 인간에게 피해만 주는 것은 아니다. 화산 분출물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은 토양을 비옥하게 만들 수 있고, 화산 지대에 형성된 온천은 관광 자원으
로 이용되기도 한다. 이처럼 지권의 변화는 지구 시스템의 각 요소와 우리 생활에 다양
한 영향을 미친다.

▲ 화산 분출의 피해 ▲ 지진의 피해 ▲ 화산 활동의 이용(노천 온천)

| 그림Ⅱ- 24 | 화산 활동과 지진의 영향

이 단원을 학습한 후 126쪽


1. 이해 특정 지역에서만 지진과 화산 활동이 자주 일어나는 까닭을 설명해 보자.
의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질문
에 답해 보자.
2. 적용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우리나라의 지질 명소를 찾아 발표해 보자.

3.‌‌ 창의 · 융합 일부 과학자들은 백두산이 폭발하면 우리나라와 인근 국가에 큰 피해를 입힐 것이라


고 예측한다. 백두산이 폭발할 경우 예상되는 피해와 피해 예방 대책을 알리는 신문 기사를 써 보자.

2. 지구 시스템 133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33 17. 11. 30. 오후 10:03


최신 과학
지진의 피해를 줄이는
내진 설계의 원리
지진 안전지대로 여겨지던 우리나라에도 최근 크고 작은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진 설계
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내진 설계는 지진의 피해를 어떤 방식으로 줄이는지에 따라 크게 내진 구
조, 면진 구조, 제진 구조로 구분한다.
내진 구조는 지진으로 발생하는 충격에도 건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튼튼하게 건설하는 방법이다. 대표
적인 예로 내진벽, 가새, 인장 타이가 있다. 그런데 이 방식으로 건물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지
만 건물 내부의 설비들까지 보호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지진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또 다른 구조가 고안
되었다. 면진 구조는 건물과 지반 사이를 분리하여 지반의 흔들림이 건물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롤러나 유연한 고무 받침을 건물과 지반 사이에 설치하면 건물이 받는 진동과 충격을 줄일 수
있다. 제진 구조는 지진으로 발생한 충격을 탄성체가 흡수하게 하여 건물을 보호하는 방법이다. 건물의
층간에 댐퍼를 설치하여 건물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내진 설계가 적용된 건물의 비율이 매우 낮다. 앞으로 건물의 내진 설계를 보다 강
화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한다면 지진의 피해로부터 수많은 생명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내진벽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한 벽으로
건물의 강도를 높인다.

가새
건물의 층간 틀을 보강하여
강도를 높이고 지진으로 건물
인장 타이 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한다.
마루와 천정을 건물의
벽에 단단히 고정한다.

방진 고무 받침
유연한 고무 받침을 설치하여
지반과 건물을 분리한다.
댐퍼
차량의 충격 흡수 장치처럼
지진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
하여 건물을 보호한다.
134 II. 시스템과 상호 작용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34 17. 11. 30. 오후 10:04


중단원
평가
중단원 학습 내용을 스스로 정리하고, 자신의 실력을 평가해 보자.

개념 정리하기

1. 지구 시스템의  ⑴ 지구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 : 지권, 수권, 기권, 생물권, 외권


구성 요소
⑵ 지권, 해수, 기권의 층상 구조
113~119 쪽
•지권의 층상 구조: 지각, ❶ , 외핵, 내핵
기권
•해수의 층상 구조: ❷ , 수온 약층, 심해층
•기권의 층상 구조: 대류권, ❸ , 중간권, ❹

⑶ 지구 시스템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 지구계의 각 요소들은 끊임없이 생물권

•지권- 기권: 화산 활동으로 대기 중에 화산 가스가 방출된다.


상호 작용 하며 균형을 이루고 있다. 지권 수권

•기권- 생물권: 식물이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여 ❺


▲ ​지구 시스템 구성 요소의
을 한다. 상호 작용

2. 지구 시스템의  ⑴ 지구 시스템의 에너지원: 태양 에너지, 지구 내부 에너지, ❻ 에너지


에너지와 물질 순환
120~125 쪽
⑵ ​물의 순환: 근원 에너지는 ❼ 에너지이며, 순환 과정에서 각 권은 물을 얻은 양과 잃은
양이 같은 평형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지구 시스템 전체의 물의 양은 변하지 않는다.

⑶ ​탄소의 순환: 탄소는 지구 시스템의 각 권을 순환하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예 이산화 탄소(기권), 포도당(생물권), 석회암(지권)

⑷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상호 작용 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흐름과 물질 순환이 나타나고,


그 결과로 다양한 자연 현상이 발생한다.

3. 지권의 변화  ⑴ 지권의 변화는 ❽ 에너지에 의해 일어나며, 대표적인 현상으로 지진과 화산 활동이 있다.

⑵ ​지구의 겉 부분은 10여 개의 ❾


126~133 쪽
으로 나누어져 있고, 판의 경계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지형이 만들어진다.

유형 발산형 경계 ❿ 보존형 경계

형태

지형 해령, 열곡대 해구, 호상 열도, 습곡 산맥 ⓫

⑶ ​지진이나 화산 활동과 같은 지권의 변화는 기온 감소, 작물의 생장 저하, 토질의 변화 등 지구


시스템의 각 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중단원 평가 135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35 17. 11. 30. 오후 10:04


개념 확인하기

|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 | | 지구 시스템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 |

1.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 3. 그림은 지구 시스템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 것


에서 모두 고르시오. 이다.
보기 기권
ㄱ. 수권은 대기 중의 수증기를 포함한다.
E
ㄴ. 생물권은 대기의 조성에 영향을 미친다. A B
생물권
ㄷ. 지권은 지구의 겉 부분인 지각만을 뜻한다. D
ㄹ. 기권은
​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가 분포하는 영 지권 수권
C

각 현상은 A ̄E 중 무엇에 해당하는지 쓰시오.


역이다.
ㅁ. 외권은
​ 기권의 바깥 영역으로, 태양과 달 등을 포
함한다.
⑴ 식물은 호흡과 광합성을 하며 기체를 흡수하거나 방
출한다.
⑵ 해수면 위에서 부는 바람의 영향으로 해류가 발생한다.
⑶ 강물이 흘러가며 암석의 풍화와 침식을 일으켜 지표
의 모양을 달라지게 한다.

|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 |

2. 그림 (가)는 지권의 층상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


는 기권의 층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높이

지각 400
200
km 140
맨틀
(

100
)

열권
외핵
80
내핵 중간권
50
40
성층권 | 물의 순환 |
10
-100 -50 0 50100 1000
대류권
0 4. 그림은 물의 순환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그림의 숫자는
기온( C) 연평균 증발량과 강수량을 나타낸 것이다.
(가) (나) 대기 중 수증기 380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시오.


강수 96
보기 증발 60 증발 320 강수 284

ㄱ. 내핵은
​ 액체 상태이고 대류가 일어나 지구 자기장 육지

을 형성한다. 바다
지하로 지표 유출
ㄴ. ​맨틀은 규소와 산소 등 가벼운 물질로 구성되어 침투 (가)

있다. (단위 : \103 km3/년)


ㄷ. 성층권에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오존층이 존재한다.
⑴ 물의 순환을 일으키는 에너지원을 쓰시오.
ㄹ. 중간권에서는 대류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⑵ (가)에 해당하는 값을 쓰고, 계산 과정을 설명하시오.

136 II. 시스템과 상호 작용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36 17. 12. 5. 오후 2:07


| 탄소의 순환 | | 판의 경계 |

5. 그림은 탄소의 순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7. 그림은 전 세계 판의 경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산화 탄소 화석 연료
광합성
화산 분출 연소
용해
・ B 동해
D
방출 C
A
화석 연료
해저 화산
분출

판의 이동 방향

⑴ A ̄D를 경계의 유형에 따라 구분하시오.


⑴ 기권의 탄소가 생물권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쓰고, 이

⑵ A ̄D에서 형성되는 지형을 각각 쓰시오.


때 탄소의 존재 형태는 어떻게 변하는지 설명하시오.
⑵ 탄소 순환 과정에서 지구 내부 에너지가 관여하는 현
상을 쓰고, 이 과정에서 에너지는 어떻게 흐르는지 설
명하시오.

| 판의 구조 |

6. 그림은 판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 판의 경계 |

8. 그림은 판의 경계에서 형성되는 지형을 나타낸 것이다.

B
해양 지각
C D
대륙 지각 ㉢ A


A ̄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시오.

⑵ ㉠ ̄㉢ 중 지구 내부 에너지에 의해 대류가 일어나는


⑴ ㉠, ㉡, ㉢의 이름을 쓰시오.

ㄱ. A와 D는 수렴형 경계에서 형성된다.


보기

ㄴ. B에서는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곳을 쓰시오.

ㄷ. C에서는 새로운 지각이 생성된다.


⑶ 지진이나 화산 활동과 같은 지권의 변화가 일어나는
과정을 ㉠, ㉢을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각 소단원의 학습 요소를 이해하였는지 점검해 보자.

.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 | 113 ̄119쪽  지구 시스템의 구성 요소 지권, 해수, 기권의 층상 구조 지구 시스템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

. 지구 시스템의 에너지와 물질 순환 | 120 ̄125쪽  지구 시스템의 에너지원 물의 순환 탄소의 순환

. 지권의 변화 | 126 ̄133쪽  지진대와 화산대 판의 구조 판 구조론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

중단원 평가 137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37 17. 11. 30. 오후 10:04


핵심 역량 기르기

과학적 사고력 1. 그림은 지구 시스템의 주 에너지원인 태양과 태양 표면의


과학적 탐구 능력 흑점을 나타낸 것이다. 흑점은 주변보다 온도가 낮아 검게
보이는 곳으로, 태양의 활동이 활발해지면 흑점의 수가 많
아진다. 만약 태양의 흑점 수가 평균보다 훨씬 더 많아진
다면 지구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
지 예상해 보자.

설계하기

2. 그림은 바위산을 가로질러 흐르는 강을 볼 수 있는 강원도


태백의 구문소 풍경이다. 이 산을 이루는 암석은 약 5억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년 전에 형성된 석회암이다. 바위에 강물이 통과할 수 있


을 정도의 구멍이 형성된 과정을 생각해 보고, 이를 확인
하는 실험을 설계해 보자.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3. 그림은 우리나라 주변 판의 경계를 나타낸 것이다. 글쓰기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북아메리카판

유라시아판

동해

필리핀판

태평양판

⑴ ​지도에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유라시아판, 필리핀판, 태평양판, 북아메리카판의 평균 이동


속도와 방향을 대략적으로 표시해 보자.

⑵ ​일부 과학자는 판의 이동에 따라 미래에는 우리나라가 판의 경계와 가까워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때 우리나라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예상해 보고,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비하기 위한 방법을 글로 써 보자.

138 II. 시스템과 상호 작용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38 17. 11. 30. 오후 10:04


과학적 사고력과 토론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논술
화산 폭발의 피해 확산
1980년에 세인트헬렌스 화산이 폭발하여 산 정상의 400 m 정도가 사라졌다. 미국의 화산 폭발 역사상 최

를 따라 흘러내리며 596 km2에 달하는 삼림을 황폐하게 만들었다.


악으로 기록된 이 사건으로 대규모의 산사태가 일어나 계곡과 강을 메웠고, 화산 쇄설물이 빠른 속도로 지표


▲ ​세인트헬렌스 화산의 폭발 전후 모습

발로 발생한 화산재는 항공 운행을 마비시키고 물류 수송을 지연시키는 등 사회적·경제적으로도 피해를 준다.


최근에는 화산 폭발의 피해가 대기 오염, 산사태, 산불과 같은 직접적인 수준에만 그치지 않는다. 화산 폭

화산 폭발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화산이 언제 폭발하는지를 아는 것도 필요하지만, 화산 폭발로 발생


한 화산재가 어디로 확산될 것인지를 예측하는 것도 중요하다. 화산재의 확산 방향, 속도, 범위는 계절별 기
압 배치, 화산 폭발의 규모, 풍향, 풍속 등에 따라 달라진다.

1.  정리하기 화산 폭발로 발생한 피해 사례와 화산재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리해 보자.

2.  조사하기 우리나라의 계절별 기압 배치, 평균 풍향과 풍속을 조사하여 백두산이 폭발할 경우 화산재가 어떻게 확산
될 것인지 예측해 보자.

3.  토론하기 화산 폭발의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응책을 토론해 보자.

토론  ·  논술 139

통합2-2단원(112~139)out.indd 139 17. 11. 30. 오후 10:0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