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미디어 발달사 (2020, Spring)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커뮤니케이션 연구 I

• Intrapersonal Com.
• Interpersonal Com.
• Organizational Com.
Medium Subject
• Mass Com. - Newspapers Political Comm.
Radio International Comm.
Broadcasting Critical Comm.
Cable Risk Comm.
Satellite
Internet
Mobile
• 현대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 Convergence
커뮤니케이션 연구 II

• 커뮤니케이션학의 태동
1) 록펠러재단 커뮤니케이션 세미나 (1939) – 매스커뮤니케이션
용어 사용

2) 라스웰 ( 정치 ), 라자스펠트 ( 사회 ), 레빈 ( 심리 ), 호블랜드 (


심리 ) – 커뮤니케이션의 4 비조 , 사회학 , 사회심리학 , 정치학
분야에서 실시해온 커뮤니케이션 연구 및 이론을 토대로 새로운
학문분야로써의 커뮤니케이션학를 정립

3) 슈람 (Wibur Schramm) : Iowa – Illinois- Stanford Univ. 에서


커뮤니케이션 박사과정 신설 및 박사학위 수여 .
커뮤니케이션학의 정착에 주도적 역할 . 스탠포드학파 양성 (MSU
의 폴 도이치만 , Univ. of Texas 의 웨인 다니엘슨과 맥스웰 맥콤
스 , Univ. of Wisconsin 의 스티브 채피 )
커뮤니케이션 연구 III

•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론
- 탄환이론 (the Bullet Theory) : Bandwagon Effect, Propaganda,
오손 웰즈의 화성인의 침공 (1937)
- 선별효과이론 (the Selective Influence Theory) : Hovland School,
Lasswell (S-M-C-R-E Model)
- 2 단계 유통이론 (the Two-step Flow Theory) : Schramm(Opinion
Leader)
- 이용과 충족이론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 Katz
- 의제설정이론 (the Agenda-Setting Theory) : McCombs and Show
(1972), Second-level Agenda-Setting Theory (McCombs,1997)
- 문화계발이론 (the Cultivation Theory) : Gerbner
- 침묵의 나선이론 (the Spiral of Silence Theory) : Noelle-Neumann
커뮤니케이션 연구 IV

• 미디어의 효과에 대한 연구
- 1950 년대 TV 의 출현으로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매스미디어의
효과연구의 중심적 역할을 함 .
- 국제커뮤니케이션 학회 (ICA) 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분과가
다양한 분과로 분리 (1973)
- 1960 년대 이전 연구 : 대인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매체간 작용으로
일어나는 매스미디어의 효과 연구
- 1960 년대 이후 연구 : 의제설정과정과 뉴스의 중요성에 대한
매스미디어의 효과 연구
- 1970 년대 이후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은 미디어와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상호보완적 관계에 대한 인식보다 매스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맞추게 됨
매스미디어 연구의 사회적 배경 I

• 1 차 /2 차 세계대전 : propaganda 연구
- 프로퍼갠더 연구 : 히틀러의 매스미디어를 이용한 선동정치 ,
- Lasswell 의 선전기법 연구 : 행동주의 심리학에 근거한 미디어
대효과 이론 풍미

• 1950-60 년대 : 광고산업의 성장
- 광고산업의 성장 : 광고메시지의 효과 , 광고에 접촉하는
수용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 수용자의 광고접촉율 최적화 연구 ,
광고전달 매체의 특성 , 소구기법 연구 등등 .

• 1960-70 년대 : TV 프로그램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우려


- ( 특히 폭력적 , 선정적 ) TV 프로그램이 시청자 ( 특히 어린이 )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 증대
- FCC 의 규제 움직임 : “TV 는 거대한 황무지”
- 매스미디어의 효과에 대한 실험연구
- 문화계발효과 (cultivation theory) 등장 : TV 시청이 사회현실의
왜곡된 인식 유발
매스미디어 연구의 사회적 배경 II

• 1980-90 년대 : audience segmentation


- 매스미디어 분화 및 수용자 세분화 가속화 : 타겟 수용자 선정 및
타겟 수용자의 사회인구학적 속성 연구 ( 프로그램 제작자 및
광고주의 입장 반영 ), 광고주 입장에서 media planning 중요성
증대
• 미국의 매스미디어 research( 경험적 연구 ) 는 사회적 수요에 따라
형성 , 발전 , 세분화됨 . ( 사회적 수요 – funding)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