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30413 이세빈

사회문화 11 번

헌법 재판
목차 01 수능특강 157~158p

02 헌법 재판의 정의 및 종류

03 헌법 재판의 특성

04 헌법 재판의 법적 성격

05 헌법 재판소
수능특강 독서 157~158p
01 사회문화 11 번
02 헌법 재판의 정의 및 종류

헌법 재판
헌법재판이란 의회에서 제정한 법률이 헌법에 위반하는지의 여부를 심사
위헌이라고 판단될 때에는 그 법률의 효력을 상실시키거나 적용을 거부
03 헌법 재판의 특성
① 정치형성재판의 특성 : 헌법문제에 관한 다툼은 국가의 정치질서와 직결되므로 헌법재판은
정치생활을 형성 하는 재판으로서의 특성을 갖는다 .

② 비강권재판의 특성 : 헌법재판은 마땅한 집행강제수단이 없으므로 판결이나 결정내용의


실효성을 보장하기
가 곤란하다는 특성을 갖는다 .

③ 공감대적 가치실현재판의 특성 : 헌법가치에 대한 모든 사회구성원의 폭넓은 공감대를 전제


해서만 그 실 효성을 나타낼 수 있다 .
04 헌법 재판의 법적 성격

일반재판이 구체적인 법적 분쟁의 해결을 위하여 법규를 적용하


하는 ( 분쟁해결을 위한 법규적용 ) 반면에 , 헌법재판은 헌법적
하는 헌법의 의미 , 내용을 해석하고 확정하는 것이 본래의 목적
해석 ) 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 따라서 일반재판작용과는 구별
법적 성격을 어떻게 이해 할 것인가에 대하여 다툼이 있다 .
04 헌법 재판의 법적 성격

① 사법작용설 : 헌법재판은 헌법규범에 대한 해석을 그 본질로 하는 사


다른 법해석작용과 마찬가지의 사법작용이다 .
② 정치작용설 : 헌법재판은 헌법문제에 대한 분쟁을 전제로 하며 , 헌법
분쟁이므로 그 해결방법은 정치적 작용이다 (C.Schmit).
③ 입법작용설 : 헌법재판에서의 헌법해석은 헌법을 보충하고 그 내용을
가지므로 헌법재판은 일종의 입법작용 ( 헌법규범의 내용을 구체화하는 법
최고재판소 ).
④ 제 4 의 국가작용설 : 헌법재판은 입법 . 사법 . 행정 등 모든 국가작
가지므로 , 입법작용도 사법작용도 행정작용도 아닌 독특한 성격을 가지
05 헌법 재판소

헌법 재판소
헌법재판소는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을 전담하는 최고법원으로 , 법원과 함께
대한민국 사법부를 이루는 양대 헌법기관이다 . 1987 년에 실시한 국민투표로
확정한 현행 헌법 ( 제 9 차 개정헌법 ) 에 의거해 신설했다 . 권력분립 원칙에
입각해 대통령 임명 , 국회 선출 , 대법원장 지명 [2] 에 따른 9 명의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구성되며 , 그 중 한 명이 재판소를 대표하여
헌법재판소장으로 임명된다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