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4

발 간 등 록 번 호 연구자료

11-1400377-000559-01
제 467 호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Wood Plastic Composites

이선영·박상범
|발간사|

최근 들어 산업자재의 대부분은 순환형 사회 구축을 목표로 대량생산과 대량소


비에서부터 자원순환 이용이 의무로 부과되고 있습니다. 즉. 석유와 같은 한정된
화석자원으로부터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 전환이 요청되고 있습니다. 목재․플라스틱
복합재(Wood Plastic Composites, 이하 WPC)는 저가의 목질재료, 임지잔재 등의
미이용 목질 바이오매스나 폐기물로서 목분을 50% 이상 첨가시킨다는 사실로 인
해 고부가가치의 환경자재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습니다.

북미, 유럽 및 아시아에서 WPC는 내구성, 가공성 및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이 우


수하여 건축재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의 목재 시장을 점점 대체하고 있
습니다. WPC는 데크재와 같이 옥외용으로부터 울타리, 창틀, 외벽, 마루판 및 자
동차산업 등과 같은 새로운 시장으로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WPC는 폭넓은 조
성비에 걸친 재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조성비에 비례하여 WPC 제품의 특성도 다
양하게 변화됩니다. WPC 소재가 사회에 보급하고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지속
적인 사회 구축을 향해 기여하기 위해서 각 재료의 특징을 잘 이해하고 최적의 용
도로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소비자들이 WPC 제품들을 이용하면서 강도, 변형, 열팽창, 치수불안정, 미끄러


짐, 수분흡수, 팽창, 뒤틀어짐, 미생물과 흰개미의 공격, 자외선 노출에 의한 광변색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나 제조공정에서 원료의 배합비, 기능성 첨가제의 사
용, 압출조건 및 가공기술의 개선으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 들어 미국, 유럽, 일본에서 WPC 소재와 제품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규격


에 대한 요망이 높아져, WPC 내구성 평가를 위한 시험방법이 제정되었습니다. 이
는 내구성은 열화 요인이 여러 측면에 걸쳐있고, 그 때문에 평가 방법도 여러 종류
의 복합적인 시험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도 2011년에 WPC에 관한
KS 표준화가 제정되어 WPC 제품의 규격 및 품질표시제도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한편, 고체상의 목재 내부에 플라스틱 제조용의 단량체를 주체로 하는 중합성의
수지액을 함침하고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가해 중합・경화시킨 목재・플라스틱 복합
재가 예로부터 시판되어 왔습니다. 이 복합재료의 명칭도 「목재플라스틱 복합체 또
는 목재・플라스틱 복합재료」의 약칭으로 WPC가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제조법
이나 성능이 서로 상이한 복합재료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명칭이나 약칭이 사용되
어 시장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 두 가지를 구별할 수 있는 적절한 명칭과
약칭이 필요합니다.

이에 목질 재료, 플라스틱 및 첨가제를 혼련해서 만든 WPC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WPC에 관한 기본적인 개요와 발전 동향, 제조 원료에 관한 정보와 성형방
법, 응용분야에 관한 내용들을 알기 쉽게 요약하였습니다. 그리고 WPC 제품에 관
한 인증・규제 방안 및 관리지침을 국내와 국외의 품질 관리제도를 심층적으로 조
사, 정리하였습니다. 또한 제조공정과 사후관리 시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과 해
결방법을 용약하였고, 일반인들이 WPC에 관해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Q&A를 첨
부하였습니다.

이 자료집이 국민생활의 안정과 복지를 위하여 국내의 WPC 관련 업계의 품질


관리 개선과 관리체제 구축에 널리 활용되기를 바라며, 발간에 이르기까지 많은 수
고를 해주신 집필진들께 감사드립니다.

2012년 11월

국립산림과학원장
|목 차|

1.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1 소개 ·············································································································· 3
1.2 WPC의 역사 ································································································ 4
1.2.1 WPC의 여명기 ···················································································· 4
1.2.2 우리나라의 WPC 산업 ······································································· 5
1.2.3 일본의 WPC 산업 ·············································································· 6
1.2.4 미국의 WPC 산업 ·············································································· 7
1.2.5 기타 해외 WPC 산업 ········································································ 7
1.2.6 WPC의 미래 ······················································································· 9
1.3 WPC의 분류와 특징 ················································································· 10
1.3.1. WPC의 분류 ···················································································· 10
1.3.2 WPC의 특징 ····················································································· 10
1.3.3 각종 WPC의 성능 ············································································ 11

2. WPC의 원료, 첨가제 및 성형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13

2.1 목질 원료(wood raw materials) ······························································· 15


2.2 플라스틱 원료(plastic raw materials) ······················································ 17
2.3 첨가제(additives) ······················································································· 17
2.3.1 무기 충전제(mineral fillers) ···························································· 18
2.3.2 안료(colorants) ·················································································· 18
2.3.3 활제(lubricants) ················································································· 19
2.3.4 상용화제(coupling agents) ······························································· 20
2.3.5 산화방지제/UV 안정제(antioxidants/UV stabilizers) ····················· 21
2.3.6 난연제(flame-retardants) ··································································· 21
2.3.7 열안정제(heat stabilizer) ································································ 22
2.3.8 발포제(foaming agents) ···································································· 22
2.3.9 항균제(anti-microbials) ····································································· 22
2.4 WPC 성형방법 ·························································································· 23
3. WPC의 용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3.1 WPC 건축재 산업 ···················································································· 27


3.1.1 데크(decking) ···················································································· 27
3.1.2 창호재(window profiles) ································································ 28
3.1.3 울타리(fences) ················································································· 29
3.1.4 가드레일(guardrails) ·········································································· 31
3.1.5 외벽재(siding) ···················································································· 31
3.1.6 지붕(roofing) ····················································································· 32
3.2 인프라 산업 및 자동차 산업 ··································································· 33
3.2.1 해양 시설물(marine) ········································································· 33
3.2.2 보드웍(boardwalk) ············································································ 34
3.2.3 철도(railroads) ··················································································· 35
3.2.4 교각(bridges) ····················································································· 35
3.2.5 고속도로 가드레일(highway guardrails) 및
방음벽(sound barriers) ······································································ 36
3.2.6 자동차 산업(automobiles) ································································ 37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4.1 우라나라의 WPC 규격 ············································································· 41


4.1.1 KS 규격(KS F 3230 : 2011) ·························································· 41
4.1.2 GR 규격(GR F 2016 : 2011) ························································· 45
4.1.3 시험방법 ···························································································· 47
4.2 일본의 WPC 규격(JIS A 5741 : 2006) ················································· 55
4.2.1 소재규격 ···························································································· 59
4.2.2 제품규격 ···························································································· 61
4.3 미국의 WPC 규격 ···················································································· 62
4.3.1 소재규격(ASTM D7031-04) ···························································· 63
4.3.2 제품규격(ASTM D 7032-10) ························································ 63
4.4 유럽의 WPC 규격 ···················································································· 65
4.4.1 소재규격(CEN/TS 15534-2 : 2007) ··············································· 65
4.4.2 제품규격(CEN/TS15534-3:2007) ····················································· 65
4.4.3 규격 개정의 움직임 ········································································· 68
4.5 국제표준화(ISO)의 움직임 ······································································· 69

5. WPC의 문제점과 해결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5.1 WPC 원료에 과도한 함수율 ···································································· 75


5.2 소량의 항산화제 ························································································ 76
5.3 고속 압출 공정 및 WPC 제조 후의 급속한 냉각 ······························ 77
5.4 많은 양의 재생 WPC와 적은 양의 안료 ··············································· 78
5.5 WPC 데크의 미끄러움 ············································································· 79

6. WPC 관련 Q&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7. 함침형 WP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7.1 WPC의 제조방법 ······················································································ 90


7.1.1 원료 ···································································································· 90
7.1.2 목재 ···································································································· 90
7.1.3 수지액 ································································································ 90
7.1.4 첨가제 ································································································ 93
7.2 약제의 주입방법 ························································································ 94
7.2.1 주입조작 ···························································································· 94
7.2.2 주입장치 ···························································································· 95
7.2.3 주입성의 평가 ··················································································· 95
7.3 중합방법 ····································································································· 97
7.3.1 방사선 조사법 ··················································································· 97
7.3.2 촉매가열법 ························································································· 97
7.3.3 중합공정의 개량 ··············································································· 99
7.3.4 중합성의 평가 ··················································································· 99
7.4 함침형 WPC의 성질 ··············································································· 100
7.4.1 흡습(수)성과 치수안정성 ······························································· 100
7.4.2 기계적 성질 ····················································································· 101
7.4.3 실용적 성질 ··················································································· 102
7.5 관능성 수지의 효과 ················································································ 103
7.5.1 고함침 WPC의 개량 ······································································ 104
7.5.2 저함침 WPC의 개량 ······································································ 106
7.6 함침형 WPC의 용도 ··············································································· 107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9
|표목차|

<표 1> WPC 제조업체(2010년) ········································································ 5


<표 2> WPC 수입, 시공 및 유통업체(2010년) ··············································· 6
<표 3> WPC의 분류 ······················································································ 10
<표 4> 목재에 대한 WPC의 장·단점 ····························································· 10
<표 5> 플라스틱에 대한 WPC의 장·단점 ······················································ 11
<표 6> 각종 WPC의 특징 ··············································································· 11
<표 7> 목분의 충전율에 따른 WPC의 성능 변화 ······································ 12
<표 8> WPC용 첨가제 및 기능 ······································································ 18
<표 9> 재활용 기준에 의한 폐목재의 구분 ·················································· 42
<표 10> WPC 형태에 따른 분류 ····································································· 43
<표 11> 시험편의 수 및 치수 ·········································································· 44
<표 12> 우리나라 WPC 품질기준 ···································································· 46
<표 13> WPC의 소재 성능에 관한 우리나라의 규격 ···································· 46
<표 14> 재활용 재료의 함유율 구분 및 표시번호 ········································· 57
<표 15> 재활용 재료로 인정된 목질계 원료 ·················································· 58
<표 16> 재활용 재료로 제조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주된 품명 ············· 59
<표 17> WPC의 용도 분야 및 용도 구분 및 주된 제품의 종류 ················· 59
<표 18> WPC의 소재성능 ················································································· 60
<표 19> WPC의 실대성능 ················································································· 61
<표 20> WPC의 외관 ························································································ 61
<표 21> WPC의 소재성능에 관한 각국의 규격 ············································· 70
<표 22> WPC용 수지액의 주요 특성 ······························································ 91
<표 23> 방사선 조사법과 촉매가열법의 비교 ················································ 98
<표 24> 피나무 WPC의 흡습(수)율(⊿W)과 체적팽창률(⊿V) ··················· 100
<표 25> WPC의 기계적 성질(소재와의 비교) ·············································· 102
<표 26> 극성단량체의 병용에 의한 MMA계 함침형 WPC의
휨강도성능과 치수안정성 ································································· 104
<표 27> 함침형 WPC의 용도 ········································································· 107
|그림목차|

<그림 1> WPC의 원료 및 제조장비 ······························································ 15


<그림 2> WPC의 성형방법 ············································································· 23
<그림 3> WPC 데크 ························································································ 28
<그림 4> WPC 창호재 ····················································································· 29
<그림 5> WPC 울타리 ····················································································· 30
<그림 6> WPC 가드레일 ················································································· 31
<그림 7> WPC 외벽재 ····················································································· 32
<그림 8> WPC 지붕 ························································································ 32
<그림 9> WPC 해양 시설물 ··········································································· 34
<그림 10> WPC 보드웍 ··················································································· 34
<그림 11> WPC 철도 침목 ··············································································· 35
<그림 12> WPC 교각 ························································································ 36
<그림 13> WPC 가드레일 기둥 및 방음벽 ····················································· 36
<그림 14> 자동차용 WPC ··············································································· 37
<그림 15> 최대굴곡하중 시험 ··········································································· 48
<그림 16> 충격저항성 시험 ·············································································· 49
<그림 17> 뒤틀림성 측정 ·················································································· 50
<그림 18> 나사못 유지력 시험 위치 ······························································· 51
<그림 19> 미끄럼 시험기 ·················································································· 52
<그림 20> WPC의 미생물에 의한 공격 ·························································· 76
<그림 21> WPC의 부스러짐 현상 ···································································· 77
<그림 22> WPC의 수축 현상 ··········································································· 78
<그림 23> WPC의 광변색 현상 ······································································· 78
<그림 24> 목재와 무수말레인산(MAN)의 화학반응 모식도 ························· 92
<그림 25> WPC용 약제의 주입과정 ································································ 96
<그림 26> 포플러 WPC 샘플의 전자현미경(SEM) 사진 ····························· 105
<그림 27> Pinus caribaea의 현미경적 구조(100×) ······································ 106
<그림 28> 함침형 WPC 제품들 ····································································· 108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1.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3

1.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북미나 유럽에서 목재․플라스틱 복합재(Wood Plastic Composites, 이하 WPC)는 건


축재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의 목재 시장을 점점 대체하고 있다. 내구성,
가공성 및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므로 WPC에 대한 초창기의 관심의 초점은
옥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WPC는 점점 울타리, 창틀, 데크, 외벽 및 마루
판 등과 같은 새로운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다.

1.1 소개
목질재료는 높은 비강도 등의 물성이나 천연 감촉으로 사랑받아 옛날부터 건축자재
를 비롯한 다양한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왔다. 그러나 플라스틱의 특징 중 하나
인 사출・압출 성형법 등의 뛰어난 성형성이 목질재료의 제조에는 사용할 수 없다. 한
편, 플라스틱 재료는 뛰어난 성형성, 생산성, 균일한 품질 등을 특징으로 발전해 왔지
만 개선해야 할 점으로 원료 비용과 강도 부족을 지적할 수 있다.
재료분야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 두 재료, 즉 나무와 플라스틱의 복합화 기술은
이 책자 중에서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약 30여 년 전에 시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재의 비율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다시 말하면, 플라스틱과 목질재료와의
융합의 방향으로 기술의 발전을 보여 왔다. 오늘날에는 플라스틱에 소량의 목질계 필러
(fillers)를 포함한 것으로부터 거의 같은 양의 혼합재료, 더 나아가서는 높은 비율로 목질
을 함유한 재료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WPC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근본적으로 이
기술은 필러 충전기술에 포함된다. 그러나, 거의 같은 중량의 충전율이라 해도 부피는
목질계 필러가 2배 정도 많고, 압도적으로 필러 양이 많은 배합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
위 가운데는, 새로운 요소가 포함되어 아직도 많은 발전의 여지가 남아 있다.
WPC는 오늘날 사회의 요구를 충족하는 몇 가지 바람직한 특성을 제공한다. 그 하
나는 환경 조화성이며 목질원료로 폐기물, 미이용 재료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플라스틱
4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원료에도 산업 폐기된 폐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재료에 내재된 열가소성을


이용하여 제품의 사용을 마친 후 다시 성형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재활용은
오늘날 요구되고 있는 지속적인 물질 순환사회의 구축을 위해 큰 기여를 기대할 수 있
다. 또한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주거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낮은 VOC(휘발성 유기
화합물)를 방출하는 건축재료로서 WPC가 차지하는 역할에 큰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플라스틱에 비해 성형성과 생산성을 목질재료에 부여하는 것은 재료분야에서의 오
랜 꿈이었다. 20세기 후반에 플라스틱재료의 현저한 발​
전에도 불구하고 목질재료가
큰 발전을 보지 못했던 이유는 이러한 성형성 차이가 한 원인이었다고 생각할 수 있
다. 오늘날의 엔지니어링 우드는 10-20%의 열경화성 수지를 바인더(접착제)로 사용하
여 제조되고 있지만, 목질재료를 다량 함유한 목재・플라스틱 복합 성형체의 수지량도
20% 내외로 목질재료/수지의 조성비는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염원하던 목질재료의
압출・사출 성형이 가능해졌다고 말할 수 있다. 현장에서 성형속도는 아직 플라스틱에
미치지 못하지만 향후 기술의 발전에 따라 차이는 감소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플라
스틱의 소수성을 살린 높은 내수성은 WPC 재료의 특징의 하나이며, 이 특성을 살리
는 야외 용도의 수요 확대가 기대되는 바이다.
WPC는 폭넓은 조성비에 걸친 재료를 포함하고, 조성에 비례하여 특성도 연속적으
로 변화된다. 또한 개별적으로 많은 특징을 가진 재료이며 다양한 측면에서 새로운 특
징이 인정된다. 따라서 본 자료가 사회에 공헌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각 재료의 특징
을 잘 이해하고 최적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1.2 WPC의 역사
1.2.1 WPC의 여명기

1970년대 무렵 이미 10%-30% 정도의 목분을 플라스틱뿐만 아니라, 압출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한 성형품을 생산하는 기술이 존재했다. 이 기술은 북유럽 유진크루만사 등
으로부터 도입되었다. 그러나 그 당시의 기술로는 나사와 배럴의 마모가 심해 산업으
로 성공하기에 이르지 못하였다. 그렇지만 목질재료를 저렴한 증량재(필러)로, 10% 정
도의 낮은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5

1.2.2 우리나라의 WPC 산업

우리나라의 WPC 시장은 2010년 통계에 따르면 약 1,200억원에 이르며, 약 20여개


의 업체가 생산·유통하고 있으며 시장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약 20여개의 업체가
WPC를 수입·유통하고 있는데, 시장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2010년 국내 WPC 수입
량은 약 9,300톤이며, 이 가운데 83%인 7,700톤을 중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엘지하우시스는 자가 공장 보유하고 있으며 자체 기술로 생산 공급하고 있으며,
제품은 PP+목분+첨가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침엽수 목분을 50% 이상 사용하고 있다.
㈜이건환경은 OEM(하청생산)업체로부터 제품을 공급받고 있으며 PE/PP+목분+첨가제
로 구성되어 있으며 침엽수 목분을 50% 사용하고 있다. ㈜본우드는 자가 공장에서 자
체기술로 생산 공급하고 있으며, 제품은 PE/PP+유기물 섬유질+첨가제로 구성되어 있
다. 표 1과 표 2는 우리나라의 WPC 제조업체와 수입업체의 목록을 보여준다.

<표 1> WPC 제조업체(2010년)


회사명 위치 전화번호 브랜드명 비고
경동산업(주) 경기 화성 031-366-6266 Yestimber
(주)경원소재 경기 화성 031-677-7411 Kx-wood 목분50%, PP40%
더 우드 경기 광주 031-765-2604 미국산 목분사용
동양기업(주) 충남 보은 043-543-4521 Woodream 러시아산 목분사용
동해산업 강원 횡성 033-342-3116 클릭우드 왕겨가루50%, PE50%
레인우드 경기 안양 031-349-5859 삼나무목분60%, PE40%
(주)본우드 서울 강서 02-6341-1708 Doon-wood 왕겨가루55%, PE45%
(주)성환산업 강원 춘천 033-256-2553 Lus wood
(주)센추리 서울 마포 02-322-6100 CEN-Wood 목분50%, PE50%
S&H Wood 경북 구미 054-475-2556 대나무목분50%, PE50%
(주)오라클우드 서울 강남 02-567-5963 일본과 기술제휴
에버랜드산업(주) 경기 하남 031-768-8152 FOREVER WOOD
에버에스티(Everst) 충남 천안 041-566-3200
에코맥스 충남 천안 041-566-3200 LG하우시스OEM업체
LG하우시스 충북 청주 043-261-7410 WOOZEN 침엽수목분50%
웹스(Waps) 충북 괴산 043-834-8561 ECO WOOD 목분50%, PE50%
(주)이건환경 경기 김포 031-999-3830 그린콤보 침엽수목분50%
Kp&Wood 충남 천안 041-621-2033 이건환경 납품
(주)태창기업 서울 서초 02-522-3303 KR-WOOD 목분50%, PE50%
(주)토탈팀버 경기 고양 031-963-6205 목분60%, PE40%
6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표 2> WPC 수입, 시공 및 유통업체(2010년)


회사명 위치 전화번호 비고
(주)그린아트사업 전남 무안 062-945-0036 동해산업 합성목재유통
그린 E&G 서울 과천 02-3679-1140 미국, 캐나다산 합성목재 수입
대성우드 경기 화성 031-237-2688 중국산 합성목재 수입
데크세상 경기 용인 031-333-5555 리우드합성목재 홍보업체
리우드(Lee wood) 경기 용인 031-333-5555 합성목재 등 목조주택자재 유통
바로미데크 서울 중랑 02-493-6453 동해산업 합성목재 총판
삼성우드 경기 평택 031-437-0154 합성목재유통 및 시공업체
(주)세명그린텍 경기 김포 02-857-7100 LG하우시스 합성목재 총판
(주)영진합성목재 전남 무안 061-454-9205 건설자재 유통업체
에이원우드 서울 광진 02-3437-0522 합성목재유통 및 시공업체
LNB(주) 경기 광주 031-763-7044 미국산 합성목재 수입
(주)엠와이네이처 서울 광진 02-6217-0703 중국산 합성목재 수입
성림산업건설 경기 평택 031-611-1671 (주)경원소재 합성목재 유통 및 시공
예스팀버 경기 화성 031-366-5288 경동산업(주) 합성목재 총판
웰우드 서울 소공 02-754-6900 중국산 합성목재 수입
EN-WOOD 서울 강남 02-555-2285 말레이시아산 합성목재 수입
E.WOOD 코리아 서울 광진 02-446-0347 일본산 합성목재 유통 및 시공업체
이멕시스(주) 경기 성남 031-722-0610 중국산 합성목재 수입
(주)제스트우드 경기 평택 031-658-3920 합성목재유통 및 시공업체
프로팀버 경기 부천 032-422-2231 동남아산 합성목재 수입
홈&그린 서울 강서 02-2648-5571 LG하우시스 합성목재 총판

1.2.3 일본의 WPC 산업

일본에서는 1993년 미사와홈이 폴리염화비닐과 목분을 약 70:30 정도로 복합시킨


“M 우드”를 개발, 자사 주택 상품의 인테리어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 가장 초창
기의 WPC 도입 예이다. 1997년에는 세키스이수지의 “오​
렌지 우드”가 발매되어 일본
의 공공 야외 WPC 시장의 맹아가 되었는데, “오렌지 우드”는 PE와 목분을 약 75 대
25 정도로 복합시켜 저발포 압출 성형하고 표면에 미끄럼 방지의 탄성체를 동시 압출
한 성형품이었다. 이 제품은 야외 데크 전용 WPC 제품으로 개발, 판매되었다. 이와 비
슷한 시기의 1996년에서 1999년 사이에 아인 엔지니어링이 “아인 우드”, 미사와홈이
“M 우드 2”라는 명칭으로, PP와 목분을 약 45 대 55 정도로 복합시켜 데크재 등의 옥
외용 제품을 출시했다. 한편, 아인과 미사와홈에서 기술 공여를 받은 기업들에 의한
1.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7

생산도 시작되었다. 이러한 기업군의 성형품은 거의 100% 재활용 소재를 원료로 하


고, 환경을 키워드로 순풍을 타고 공공 공사 등에 많이 채용되게 되었다. 이렇게 일본
에서도 2000년을 지날 무렵에는 야외 WPC 시장이 단번에 개화하게 되었다.
옥내용 제품으로는 1995년 미사와홈과 나카공업이 공동 개발한 연질 염화비닐에 목
분을 충전한 연속 계단 난간이 발매되었다. 이어 2000년에는 나가세산업이 “플러스우
드(Pluswood)”의 상품명으로, 마찬가지로 난간이나 요벽용(腰壁用) 제품을 출시했다.
“플러스우드”의 난간은 ABS와 목분을 약 49:51 정도로 복합시켰다. 실내 바닥재로는
2003년 松下電工에서 PP 및 목분 등(무기필러 포함)을 약 40대 60 정도로 복합시킨 얇
은 시트 상(1.5mm)의 바닥재를 제품화하여 판매를 시작하였다. 시트 모양의 성형품의
개발은 이것이 처음이었다.
2000년경부터 새로운 성형 기술로, 목질 70-95% 고충전 성형 기술이 유럽(신시내티
엑스트류젼 등)에서 일본으로 도입되어 개발이 시작되었다. 아이리스오야마의 홈 센
터에서는 2002년에 PP와 목분을 20:80으로 복합시킨 야외용 지주(래티스 포스트)를
목질 고충전 제품으로는 일본에서 처음으로 출시했다.

1.2.4 미국의 WPC 산업

1992년 모빌케미컬에 의해 LDPE(저밀도폴리에틸렌)과 목분의 비율을 50:50 정도로


복합시킨 제품이 출시되었는데, 이것이 세계에서 처음으로 사업화된 WPC 제품이었
다. 이 제품은 옥외용 고급 데크재로 발매되어 매년 매출을 두 배 정도로 성공을 거두
었다(2001년 매출 1.17억달러, 목질계 데크 점유율 8%).
미국의 목재 데크 시장 규모는 1998년 960만 입방미터였다. 미국은 신축 주택의
20%-30%가 데크를 만든다는 기성 시장이 있고, 그 시장의 중심재료는 약품 처리 한
목재였다. 그러나 CCA 등 비소를 포함한 방부제 주입 처리 목재의 주택 용도 사용이
2002년 말까지 금지되어 거대한 대체 시장이 태어났다. 앞의 모빌 케미칼을 비롯한 미
국 WPC 메이커가 크게 성장해 온 배경에는, 이 같은 잠재 시장의 큰 변화가 있었다.
현재는 목질 데크에 더하여 가드레일도 시장을 넓혀 가고 있다.

1.2.5 기타 해외 WPC 산업

에서는 북유럽 등에서 WPC의 연구 대응이 시작되었고, 30년간의 기초 연구가


유럽​
8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실시되었다. 이를 기초로 신시네티·엑스트류젼, 화자렉스 및 프로폴리테크 등의 여러


회사가 그룹을 만들고 기술을 추진해 왔다.
미국에서는 야외 용도가 95%, 실내 용도가 5%인데 반해, 유럽에서는 야외 용도가
25%, 실내 용도가 75%로 현저한 시장 대비를 나타낸다. 유럽​
에서는 미국과 같이 신축
시에 데크를 붙이는 풍습이 없고, 미국의 WPC 판매의 60%를 차지하는 거대 슈퍼마켓
체인이나 DIY 체인이 없는 차이가 있다. 유럽​
시장은 미국보다 늦게 성장해오고 있지
만, 제품의 용도는 다방면에 걸쳐 있다. 외벽재 데크 등의 외부 부재에서 바닥재・벽
재・문틀 등의 건축자재, 침대 프레임 테이블 탑・의자 등 가구의 부재, 또는 사출 성형
에 의한 자동차 부품까지 제품 용도는 확대되고 있다.
이런 제품 용도의 확대에 맞추어 목분 배합 비율은 50%-85%의 범위로 서로 다르다
(외부 50%-70%, 인테리어 70%-85%의 목분 배합 비율이 많다). 유럽​
에서 대부분을 차
지하는 옥내용 WPC의 목분 고충전 제품의 대부분을 신시내티 익스트루젼의 협력업
체 등을 중심으로 25개사 정도가 생산하고 있지만, 2003년의 추정 생산량은 미국의 45
만 톤에 비해 약 2만 톤 정도로 적다.
신시내티에 의한 WPC 압출 성형기 개발은 신시내티 미라클론 시대의 1980년대 초
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당시 스트란덱스(미국)와 공동 개발이 시작되어 1990년대
초에 완성했다. 또한 화자렉스(오스트리아)와의 개발도 1980년대 후반에 시작되어
1990년대 중반에 완성하였다. 이러한 개발은 당초 목분 충전율 60% 정도에서 시작,
70% 정도까지 높여 완성했다. 한편, 1990년대 들어 테크우드(네덜란드)와의 공동 개발
이 시작되어, 처음부터 목분 충전율 80% 이상의 고충전을 목표로 개발을 진행했다. 금
형 개발에 관하여 PPT사와 협력하여 1990년대 말경 일차 완성하였다. 신시내티는 이
개발 경험을 살려 더 높은 목분 충전 비율로 성형할 수 있는 압출기 개발을 독자적으
로 진행, 1990년대 말에 90% 목분 충전 비율로 성형하는데 성공했다. 이 같은 개발을
거쳐, 1999년부터 세계 최초로 WPC 전용 압출 성형기를 일반 유저용으로 출시했다.
그러나 초기의 것은 WPC 전용이라 해도 보통 이방성 코니칼 2축 압출기에 WPC 성형
용으로 개발한 추진기를 탑재한 것이었다. 그 후 스크류 배럴의 마모・부식 방지, 형
상・소재 변경, 특수 코팅, 벤트 구멍 형상 최적화 등 여러 가지 개량을 실시하여 현재
WPC 성형 전용 압출기 Fiberex T 시리즈를 완성, 2002년부터 발매를 시작하였다. 그
동안 신시내티 미라클론은 2000년부터 신시내티 익스트루젼(오스트리아)과 미라클론
1.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9

(미국)으로 나누어져 다른 회사가 되었다.


경제적인 약진을 계속하는 중국에 있어서도 최근 WPC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
다. 중국에서는 1980년대에 WPC 제조 설비와 기술이 이탈리아에서 도입된 자동차 내
장 부품(주로 도어 부품)의 제조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것은 PP와 목분을 약
50 대 50의 비율로 복합한 것으로 압출 및 프레스 성형을 조합한 제조 방법이었다. 이
연구는 주로 중국 산림아카데미 목재공업연구소, 난징임업대학 및 북경화학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1.2.6 WPC의 미래

기술한 기업을 비롯한 민간의 노력을 관・학이 측면에서 지원함으로써 목질 저충전


에서 고충전 기술까지의 확산과 함께 WPC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구매자 관점
에서 공통 표준과 지표 등이 정비되어야 한다.
미국 ASTM은 목질 함유량이 50%를 초과하지 않는 복합체의 기준을 Plastic Lumber
Standard로 하고, 50% 이상의 복합물과 나누어 별도로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또한 워
싱턴 주립대학교와 US 해군은 WPC를 연안 시설에 사용하기 위해 제조 및 이용에 광
범위한 프로젝트가 1997년부터 진행되고 있다. 참가 그룹은 스트란덱스, 아모코, 하니
웰, 펜실베니아 주립대학, 마이애미대학 등이 포함 총 1200만 달러의 사업이다. 거기
에서는 폴리머의 구조, 성형 디자인, 반응 열역학, 처리 보조제, 금형 설계, 발포 성형,
용융 접착, 공압출, 강화재 엘리멘트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평가 항목으로는 동
결융해저항성, 염(鹽)·무(霧)에 대한 거동, 자외선 열화, 흰개미와 해수성 천공벌레 저
항성, 부식, 크리프, 크리프 파괴, 피로가 조사되고 있다. 여기서 중시되는 것은 초기
비용이 아니라 라이프 사이클 및 유지비용이다. 이러한 제반 성질은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지고 있다.
일본에 있어서도, 2004년도 개정에서 표준화 테마로 환경 JIS 책정 작업 프로그램의
테마 중에서 목재·플라스틱 재생 복합재가 선정되는 등 규격화, 표준화를 향한 환경
정비가 움직이기 시작하였고, 앞으로는 제품 JIS, 동 규격에 근거한 시험방법 JIS, 제3
자 인증 설립 등 한층 더 환경 정비가 요구되고 있다.
시장에서 WPC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각국, 각 지역에서 시작하는 표준의
향후 세계 시장에 대응하는 통일 규격의 포석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기술적인
정비가​
10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진보, 규격의 정비에 따라 순환형 사회를 향한 WPC의 잠재적인 수요 개척의 움직임


과 경쟁은 앞으로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측된다.

1.3 WPC의 분류와 특징


1.3.1. WPC의 분류

WPC는 목분의 충전량에서 사용 목적 또는 성능 등의 차이가 있으므로, 목분의 충


전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되고 있다(표 3). 그러나 사용하는 목재, 열가소성 수지
의 종류, 성형 방법 등에 따라 충전량의 분류가 약간 겹치는 경우도 있으므로, 충전 비
율에 의한 분류는 어디 까지나 개략적인 기준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다.

<표 3> WPC의 분류

분류 Type I Type II Type III


명칭 저충전 WPC 중충전 WPC 고충전 WPC
목분 충전율 30% 미만 30%∼ 70% 70% 이상

1.3.2 WPC의 특징

WPC의 성능은 목분의 충전율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는 충전 비율의 증감에


따라 어느 정도 경향이 인정된다. 한편, WPC는 목분과 플라스틱의 중간 위치이면서
목재 또는 플라스틱과 성능 면에서 그 연장선상에서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충전율이 다른 각종 WPC 및 목재(가공목재를 포함)와 플라스틱을 동일 축으로 비교

<표 4> 목재에 대한 WPC의 장·단점


장 점 단 점
· 플라스틱처럼 성형이 가능하다
· 내구성이 높다(부식에 강하다)
· 건조 수축이 없다
· 못을 박을 수 없다
· 성능이 안정되어있다
· 강성이 높다
· 재료의 리사이클이 가능하다
1.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11

하면 복잡하므로 여기에서는 먼저 WPC 소재 전체와 목재(가공목재 포함) 및 플라스


틱과의 비교(장점, 단점)를 명확하게 한 후, 각종 WPC의 목분 충전율의 차이에 따른
특징 및 성능을 나타내었다(표 4-6).

<표 5> 플라스틱에 대한 WPC의 장·단점


장 점 단 점
· 강성이 높다
· 열·치수안정성이 높다
· 플라스틱 정도의 내구성은 없다.
· 나무의 질감이 높다
· 내열 성능이 높다

<표 6> 각종 WPC의 특징

종래 PVC 등의 인테리어 용도로 나무 풍의 디자인을 부여하기 위해, 목분을 첨가하는


기술은 널리 알려져 있었다. 이 기술은 예로 부터 알려져 있으며, WPC의 선도적인 소
저충전 WPC 재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WPC의 명칭은 사용되지 않고 플라스틱 제품의 카테고리에
(Type I) 속하는 분야였다. 그러나 또한 첨가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목분은 전용 목분(천연재)이
중심이다. 한편 최근 중충전 이상의 WPC가 보급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목분의
충전율이 높은 WPC의 이층 성형 쉘(shell)층으로의 실용도 많아지고 있다.

중충전 WPC는 국내에서 현재 가장 범용되고 있는 WPC로 플라스틱 제품에 대해 강성,


열 안정성 등의 기능화를 부여하기 위해 목분을 충전하고 있지만, 디자인에 관해서도
외관 이외에도 촉감도 목질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목분의 충전율 범위가 넓기 때문에
저충전 WPC
충전율은 성능을 자유롭게 컨트롤 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의 하나로, 가공성을 요하는
(Type II)
건축자재 용도로 내구성을 지닌 야외 용도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목분, 수지
모두 등량에 가까운 비율이므로, 비교적 사용하는 수지 또는 목재의 폭이 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는 수지 또는 목재 쌍방의 폐재를 이용한 WPC도 많아지고 있다.

고충전 WPC는 소재의 대부분이 목분이기 때문에 목재의 특성을 많이 가진 WPC 소재


이다. 수지분이 적기 때문에 WPC 가운데 열·치수 안정성, 가공성이 큰 장점을 가지고
저충전 WPC
있어 목재 용도의 대안으로 적합하다. 그러나 목재 성분이 많으므로, 내구성면에서 실내
(Type II)
수요가 중심이 되어 기존의 MDF, 파티클보드 및 합판 등의 가공목에 대하여 성형이 가
능한 장점을 최대한 살린 소재가 된다.

1.3.3 각종 WPC의 성능

아래 표 7는 주요 성능에 있어서 WPC의 일반적인 특징을 나타내며, 목분 충전율에


따른 WPC 성능의 경향을 모식도로 표시했다.
12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표 7> 목분의 충전율에 따른 WPC의 성능 변화


충전율에 따른 성능 WPC의 특징

비중
WPC는 목분의 공극에 수지가 충전되기 때문에, 내수성 등이 뛰어난
반면, 비중이 높은 소재이다. 경량을 필요로 하는 용도의 경우의 대응
으로서 목분의 충전율이 낮은 WPC에서 일부 수지를 발포시켜 경량화
또는 성형품(압출)의 경우, 중공 형상과 같이 경량화를 하고 있다.

수분흡수율

치밀한 재료이므로 흡수성에 대해 높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목


질소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시 흡수 상태에 있는 용도의 경우는 낮
은 수분흡수율이 요구된다.

기계적 성능

WPC는 고강도이며, 강성이 높은 소재이다. 굴곡이 적은 등 장점인 반


면, 강한 충격을 받았을 때, 갈라지거나 결함부도 발생하기 쉬운 단점
이 될 수도 있다. 사용 시에는 이 점을 배려해야 한다.

열특성

기존의 플라스틱 제품에 비해 열변형, 열팽창이 낮은 이점을 가지고 있


으며, 플라스틱(열가소성 수지)이 사용될 수 없는 용도로 응용이 가능
한 소재이다.

내후성 치수안정성
목재에 비하면 높은 내후성을 가지고 있지만, 목분이 충전되어 있어 플
라스틱보다 성능이 떨어진다. 고충천 WPC의 경우 목재에 비하면 장점
은 있지만, 목분의 충전율이 높기 때문에 내후성 수준을 충분히 고려한
다음 검토해야 한다(일반적으로 고충전은 실내용이다). 또한 목재와 같
은 건조 수축은 없으므로, 습윤 × 건조와 같은 환경이 반복되는 용도
에 관해서는 큰 효과를 가지고 있다.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 WPC의 원료, 첨가제


및 성형방법
2. WPC의 원료, 첨가제 및 성형방법 15

2. WPC의 원료, 첨가제 및 성형방법

WPC의 제조방법은 비교적 복합하다. WPC 생산의 처음 단계는 가공성과 요구되는


성능에 필요한 원료의 종류와 양을 결정하는 것이다. WPC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혼련
과 가공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혼련 단계에서 균질한 복합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목
분과 첨가제가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와 혼합된다. WPC를 제조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
인 가공방법은 압출, 사출성형 및 압축성형의 세 가지이다. 가공의 모드에 영향을 주
는 몇 개의 인자들이 있다. 습도는 복합재의 표면성질에 악영향을 주고 공극을 초래하
기 때문에 목질재료는 미리 건조되어야 하고, 배기장치가 필요하다. 용융온도는 200℃
보다 낮아야한다. 이유는 높은 온도에 긴 시간 동안 노출은 휘발성 물질의 방출, 변색,
냄새 및 목질성분의 열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지금부터 WPC의 제조에 필요한 인자
들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플라스틱원료와 목질보강재> <압출 성형기> <사출 성형기>


<그림 1> WPC의 원료 및 제조장비

2.1 목질 원료(wood raw materials)


거의 모든 WPC는 목섬유(wood fiber)보다는 목분(wood flour)을 이용한다. 목분은
칩, 셰이빙 및 톱밥과 같은 재활용 물질을 미세한 가루의 형태로 파쇄시켜 만들어진
16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다. WPC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목분의 파티클 크기는 20-120 mesh의 범위이고 목분의
길이 대 직경의 비는 3:1에서 5:1이다. 목분보다 가공하기 어려운 목섬유는 종종 우수
한 복합재의 성질을 보이며 충전재보다는 강화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 목분은 순수하
거나 재활용된 목재로부터 얻을 수 있다.
목재의 화학적 조성분은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및 저분자량의 왁스,
탄닌 및 로진이다. 셀룰로오스는 목재로부터 강화재의 성질을 결정하는 미소섬유
(microfibrils)로 이루어져 있으며, 목재의 수종에 따라 섬유의 길이가 다르다. 일반적으
로 활엽수의 섬유 길이는 1.0-1.5 밀리미터이고 침엽수는 3.0-3.5 밀리미터이다. 목섬유
는 리그닌과 저분자의 왁스가 제거된 크라프트 펄프, 리그닌이나 왁스를 포함하는 열
기계 펄프의 화학적 처리에 의하여 얻어진다.
목분의 원료는 크게 2 종류로 분류되며, 수종에 따른 특징은 목분의 제조공정과 목
분의 압출성에 영향을 주므로 참고할 필요가 있다. 침엽수는 목재가공분야에 가장 널
리 사용되며 섬유의 길이가 활엽수보다 길다. 활엽수는 pentosan(xylose, arabinose)이
침엽수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화학적 결합을 방해한다.
목재를 분쇄하면 자연적으로 침상구조의 모양을 가진다. 왕겨와 같은 껍질류는 판
상구조로써 강제적으로 침상구조를 만들더라도 쉽게 부숴질 수 있다. 대나무와 같은
줄기의 표피부분은 강한 침상구조로 쉽게 만들 수 있다. 침상구조 입자는 판상 또는
구상의 입자물과 달리 가벼우면서 크기별로 선별하는 것이 쉽지 않아 생산성에 문제
가 생길 수 있다. 기계적으로 kneading을 증가시키거나 활제를 사용하며, 왁스 계통의
활제보다는 운모와 같은 활성기능을 동시에 가진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침상의 입자
는 플라스틱과 압출과정에서 스스로 압출방향으로 배열하는 성질이 있어서 한 방향의
물성강화를 목적으로 할 때는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입자의 크기가 작은 목분은 굵은 목분에 비해 동일 중량의 배합이라도 목분입자의
개수가 많으므로 혼련에 부담이 증가된다. 그러나 입자의 크기가 굵은 목분은 이와 상
반되어 혼련의 부담이 적은 만큼 WPC의 성능이 떨어진다. 목분 입자크기는 설비와
목적으로 하는 물성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2차 가공을 요하지 않는 WPC는 굵은 입
자량을 증가시키는 지속적인 테스트가 필요하다.
목분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한 종류의 원료, 균일한 공정으로 제조된 목분이어
2. WPC의 원료, 첨가제 및 성형방법 17

야 한다. 지정된 수종을 유지하여야 하며 안정된 공정의 제품이어야 한다. 부산물을


원료로 할 경우는 이물관리, 수종의 유지가 용이하지 않으며 간헐적 생산을 하는 등
안정되지 않은 설비에서는 균일한 제품을 기대할 수가 없다. 또한 입도 범위가 좁다는
것은 표준크기보다 특별히 크거나 작은 입자가 적다는 것이고 입도 범위가 넓다는 것
은 입자의 크기가 다양하다는 것으로 플라스틱이 가열 혼련과정에서 여러 크기의 입
자들과 엉켜서 제한된 시간 내에 혼련효과를 가져오기 힘들다. 따라서 압출된 경우 균
등압출이 될 수 없어 적절한 형상의 molding을 할 수가 없다. 그리고 목분이 보유하고
있는 수분은 가열 중에 기화되어 혼련을 방해하므로 배기시설을 갖추는 것이 좋다.

2.2 플라스틱 원료(plastic raw materials)


WPC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원료로서,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및
폴리프로필렌(PP)이 널리 사용된다. 몇몇 제조회사들은 순수한 플라스틱, 재활용 플라
스틱, 또는 두 플라스틱을 조합하여 이용한다. 재활용 플라스틱의 회수와 품질은 순수
또는 재활용 플라스틱의 비교 가격과 더불어 고려해야 한다.

2.3 첨가제(additives)
첨가제는 WPC의 성능과 가공성에 중요한 인자이다. WPC는 종종 뒤틀림, 할렬,
변색 및 착색의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WPC는 구조재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기계
적인 강도를 증가시키는 첨가제의 역할이 중요하다. WPC 압출공정에서 첨가제는 제
품의 불량을 감소시키면서 복합재의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고 생산라인의 속도를 유
지하는데 필수적이다. 많은 연구에 의하면, 가장 널리 이용되는 첨가제는 착색제, 윤
활제 및 결합제이다. 그리고 발포제와 항균제도 첨가되고 있다. 첨가제의 주요기능은
가공성능을 개선하고, WPC 이용 중에 산화되거나 UV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고 보존
제 역할을 하며, 기계적인 성질을 개선한다. WPC 제품에 첨가되는 첨가제의 함량은
다음과 같다 (표 8).
18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표 8> WPC용 첨가제 및 기능


첨가제 기 능
플라스틱 메트릭스에 목분의 분산을 도와준다. 수분흡수도를 감소시킨다.
상용화제(coupling agents)
높은 열변형온도를 발생시킨다.
산화방지제(anti-oxidants) 산화반응에 의한 열화를 방지시킨다.
UV 안정제(UV stabilizers) 야외용 WPC의 UV 변색을 방지시킨다.
항균제(anti-microbials) 수분에 의한 균이나 미생물에 의한 열화를 방지시킨다.
난연제 (flame retardants) 발화를 늦춰주고 연소의 확대를 막아준다.
안료(colorants) 최종산물에 색을 부여한다.
활제(lubricants) 점도를 낮추어 흐름과 생산속도를 빠르게 한다.
발포제(foaming agents) 셀구조를 만든다. 밀도를 낮춘다.
열안정제(heat stabilizers) 열에 의한 분해를 최소화한다.
충격안정제(impact modifiers) 기계특성을 향상시킨다.

상용화제 - 1∼4%
항산화제 - 폴리에틸렌의 경우 0.01∼0.08%;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0.1∼0.25%
수지를 위한 UV 안정제 - 0.1∼0.25%
목재를 위한 UV 흡수제 - 0.5%
활제 - 0.25∼2.0%

2.3.1 무기 충전제(mineral fillers)

부가적으로 탄산칼슘, 활석, 운모와 같은 무기 충전제들이 충격강도와 휨강도, 열변


형 온도 및 하중에 의한 장기적인 변형을 개선하기 위하여 선택적인 제품에서 사용된
다. 이러한 무기 충전제들은 윤활성을 개선하고 목섬유의 수분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WPC의 가공성을 개선하는데 이용된다. WPC에 적절한 첨가제의 사용은 제조공정과
제품의 성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3.2 안료(colorants)

안료는 WPC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목분은 용해성이 높은 물질을 함유하는데, 이


는 표면으로 이동하여 변색을 일으키고 목질재료를 회색으로 만든다. 변색은 WPC의
배합이나 지리적인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착색제가 사용되는 이유는 색의 안정
2. WPC의 원료, 첨가제 및 성형방법 19

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안료는 목재와 같은 외양과 UV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


마스터배치 공급자들은 저비용으로 변색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더 우수한 안
료를 사용한다. 안료는 적어도 1% 정도 첨가되나, 목재로부터의 변색을 막기 위하여
3% 이상 첨가된다. WPC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된 착색제는 전형적으로 윤활제를 첨
가하며, 종종 상용화제, 항균제 및 UV 안정제와 같은 첨가제를 포함한다. 몇몇 공급자
들은 재활용되지 않은 플라스틱은 내구성을 보이며 예측가능한 변색을 보인다고 한
다. 또 다른 공급업자들은 미세한 분말 등급에서 무기안료가 유기안료보다 가공성이
우수하며 고분자내에 고르게 분산되어 색의 변화 없이 260℃까지 견딜 수 있다고 한
다. 이러한 특성이 무기안료가 압출공정에 더 적합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2.3.3 활제(lubricants)

긴 고리로 구성된 중합체인 폴리머는 높은 온도에서 비교적 점성이 높기 때문에,


WPC 가공 중에 목분의 분산을 높이기 위하여 윤활제를 첨가시킨다. 가공된 WPC 표
면은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WPC 제조공정에서 활제의 역할은 가공성과 WPC 제품의
표면 성질을 크게 개선하는 것이다. 몇몇 WPC는 부분적으로 재생 플라스틱을 원료로
사용하므로 적은 양의 활제가 첨가된다. 재생 플라스틱은 플라스틱/목재 혼련 시에 활
제의 역할을 하는 저분자량의 첨가제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내부 활제(internal lubricants): 수지와의 상용성을 좋게 만든다. 즉 수지의 용융점


도를 낮추고 유동성을 좋게하여 윤활성능을 높이는 것이다.

외부 활제(external lubricants): 수지와의 상용성은 나쁘나 가공 기계의 표면과 수


지와의 사이에 윤활층을 이용하여 윤활 성능을 높이는 것이다. 기계 표면과의 접
착이 감소되어 압출장비에서 마모가 줄어들고 흐름성이 향상이 된다 (zinc
stearates, calcium stearates, fatty amides, fatty esters, glycerol monostearates). 그러
나 stearates와 maleated 상용화제가 함께 사용될 때 길항작용이 나타난다.

사용된 활제의 예
- WPC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활제는 ethylene bis-stearamide(EBS), zinc stearate,
20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paraffin wax와 oxidized polyethylene이다. WPC는 보통 일반 플라스틱에 사용


하는 활제의 두 배의 함량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50-60%의 목분을 첨가한
HDPE는 약 4-5%의 활제를 포함한다.

2.3.4 상용화제(coupling agents)

상용화제는 플라스틱과 목분과의 결합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 두 물질


간의 상호작용이 증가되면 WPC의 강도는 증가하게 된다. 원칙적으로 목분은 친수성
인 극성을 나타내고 플라스틱은 소수성인 비극성을 가지므로, 두 물질과의 결합력은
약하다. 목분과 플라스틱의 상호작용은 상용화제의 첨가에 의하여 두 물질 사이의 계
면에서 새로운 화학적 결합으로 크게 개선된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결합재의 하나가
maleated polypropylene(MAPP), maleated polyethylene (MAPE)이다. 기술적으로 결합제
는 강도(modulus of rupture, MOR)와 탄성계수(modulus of elasticity, MOE)를 증가시킨
다. 상용화제는 또한 치수안정, 충격강도 및 목분의 분산을 돕는다. 이러한 기계강도의
증가로 난간, 펜스 및 구조용으로 이용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데크와 같은 소
재에서는 상용화제는 수분흡수를 감소시켜서 WPC의 표면에 있는 목분의 팽창을 막
고 균열을 막는데 도와준다. 상용화제는 셀룰로오스의 수산기와 반응하는 극성 그룹
과 폴리올레핀계 플라스틱의 탄화수소와 반응하는 비극성 그룹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능
- 플라스틱 메트릭스 내에 목분의 분산을 돕는다
- 목분이 플라스틱과 잘 접근하게 한다

영향
- 휨강도,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를 향상시킨다
- 수분흡수도를 감소시킨다
- 수분에 의한 노화과정에서 기계강도를 유지시켜준다
- 높은 열변형 온도를 제공한다

상용화제의 종류
- Maleated anhydride polymer: 보통 1-2% 그래프팅 수준, kg 당 3달러
2. WPC의 원료, 첨가제 및 성형방법 21

- Organosilanes: 실란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미네랄 필러를 위한 상용화제와 분


산제로 이용되어 왔다. 트리에톡시비닐실란 그래프팅된 폴리프로필렌과 관련
된 고분자들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며 비교적 저렴하다
- Methylol phenolic-grafted polyolefins: 저분자량의 실란을 목분에 분무하거나 혼
련하여 그래프팅된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과 혼합하여 상용화제를 만든
다. WPC의 영계수와 연신율을 증가시킨다.

2.3.5 산화방지제/UV 안정제(antioxidants/UV stabilizers)

산화방지제와 UV 안정제는 각각 WPC를 공기로부터 산소의 접근을 막고, 태양광선


으로부터 자외선을 차단하여 WPC를 보호한다. 따라서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거나 변
색을 일으키는 원인을 막는다. 가장 일반적인 산화방지제는 히드로과산화물 분해제인
유리기 제거제와 아인산염으로 작용하는 페놀수지류이다. 산화방지제는 플라스틱의
제조, 가공, 저장과 사용단계에서 공기 중의 산소작용으로 열화해 착색과 기계강도 등
이 저하되는 것을 막는다. 항산화제라고도 불리는데 열안정성과 가공안정성,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이다. UV 안정제는 래디칼 제거재와 히드로과산화물 분해제인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와 같은 유기합성물인데 빛에 의한 열화를 방지해
내구성을 향상시키거나 넓은 의미에서는 이것도 산화방지제에 해당된다.
목재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은 외부에 노출되었을 때 변색이 되고, 플라
스틱은 UV의 존재 하에서 변색이 되기 때문이다.

2.3.6 난연제(flame-retardants)

목재와 플라스틱은 고온에서 연소하므로, 만약 전자제품에 이용되기 위하여 난연처


리는 WPC의 적용을 위하여 필수적이다. 몇몇 난연제는 플라스틱에만 영향을 주고 목
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보고되었으며, 거꾸로 목재에만 영향을 주고 플라스틱
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따라서 좋은 결과는 목재와 플라스틱 모
두에 난연제가 처리되었을 때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메트릭스는 WPC의
목재 성분에 비해서 난연성능이 좋다. 몇 몇 플라스틱, 특히 PVC는 우수한 난연성능
을 보여준다. WPC는 비슷한 밀도에서 목재에 비하여 화염이 느리게 퍼진다. WPC의
난연성은 WPC 가공 전에 원료에 내염제를 첨가하여 개선될 수 있다.
22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2.3.7 열안정제(heat stabilizer)

열안정제는 가공 및 사용되는 중에 열에 의한 분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로 PVC


로 만들어진 WPC에 첨가된다. 게다가 이러한 안정제는 가공 시에 본래의 색을 유지
하고 플라스틱의 윤활성을 개선시킨다.

2.3.8 발포제(foaming agents)

발포된 WPC는 비교적 가볍고 강직하며 더 목재와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셀형태의


3
구조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WPC의 밀도는 보통 1.2-1.3 g/cm 이나 발포성 WPC는 밀
3
도가 1.0g/cm 이다. 최종적인 밀도는 제조과정 동안 압출기에 적용된 진공의 정도에
따라 다르다. 높은 진공은 발포제 가스를 빼내어서 WPC의 밀도를 제한한다. 저밀도의
WPC는 높은 함량의 목분이 첨가될 때 제조하기 힘들다. 결과적으로 중량과 재료비를
절감하고 표면특성, 제조속도, 톱질, 나사·못질, 도장과 같은 작업을 개선하기 위하여
WPC에 화학발포제를 사용하는데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모든 WPC의 약 10%보다
작은 부분이 발포된다. 발포는 PVC나 폴리스티렌과 같은 비결정형 고분자에 비해서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결정형 플라스틱을 사용할 때 더 어렵다. 왜냐하
면 PVC나 폴리스티렌은 더 높은 용융강도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높은 함량의 목분이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WPC에 첨가될 때, 효율적인 발포 성능의 발현
이 요구된다.
화학발포제는 발포 공정 중에 분해되어서 압력이 감소할 때까지 용융된 고분자 속
에 남게 되는 가스를 방출한다. 이 용해된 가스는 플라스틱의 용융밀도를 낮추어 제조
공정을 돕는 보조제 역할을 한다. 화학발포제는 화학발포제에 의해서 형성된 고형분해
산물이 조핵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WPC의 습도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 화학
발포제는 또한 친수성의 목분과 발수성의 플라스틱 사이에서 상용화제 역할을 한다.

2.3.9 항균제(anti-microbials)

곰팡이(mold)와 노균병(mildew)은 생산자들로 하여금 플라스틱과 목재로부터 부후


를 막기 위하고 수분흡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항균제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부후
곰팡이와 흰개미와 같은 목재를 파괴하는 생물체에 대한 상업용 WPC의 실험실 수준
2. WPC의 원료, 첨가제 및 성형방법 23

의 평가에서 약 4달 후 10-20%의 중량감소를 보였는데, 이는 50/50 WPC에서 20-40%


의 중량 감소율과 맞먹는다. 항균제의 종류와 함량은 목재의 종류, 목분의 함량, 플라
스틱에 의해서 표면 코팅된 목분의 함량과 제조 환경에서 보여지는 생물체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2.4 WPC 성형방법

<그림 2> WPC의 성형방법

압출 성형 : WPC에서 가장 일반적인 성형 방법이며, 현재 판매되고 있는 제품의


대부분이 압출 성형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목분의 충전율에 따라 (유동성
의 관계상), 특수 성형 설비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플라스틱
압출과 같다.

프레스 성형 : MDF 또는 파티클보드는 목분(목섬유)과 수지를 혼합하여 프레스


성형하는 성형체이다. 그러나 이들은 결합재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고 있으
며, WPC의 프레스 성형과는 이 점이 다르다. 현재, WPC의 프레스 성형에서는
유동성을 크게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지의 성질과 상태 또는 목분의 종
24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류(형상) 등 큰 제약이 없다.

사출 성형 : 플라스틱의 성형 방법 중 가장 인기 있는 성형 방법이 있지만, WPC


에서는 목분의 충전율 또는 사용하는 수지 특성에 따라 대응 여부가 다르다. 해
외에서는 실용화 사례도 있지만, 국내에서 개발 중인 기술이다. 그러나 가까운
장래, WPC 성형 방법의 새로운 주축이 될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생각된다.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3. WPC의 용도
3. WPC의 용도 27

3. WPC의 용도

3.1 WPC 건축재 산업


건축재 산업은 데크(decking), 합성수지 창호재(window profile), 울타리(fences), 외벽
재(siding), 가드레일(guardrail), 및 지붕널(shingle) 등으로 구성된다. WPC의 주요 장점
들 중의 하나는 소비자들에게 낮은 유지비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3.1.1 데크(decking)

WPC의 시장 판로를 주도하고 있으며 건축재 산업에 있어서 가장 큰 WPC 시장이


다. WPC 데크는 적어도 50%의 목분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재활용 폴리에틸
렌으로 구성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로 만들어진다. 목분 크기는 20 메시(때때로 40-60
메시)이며 목분 함량은 전체중량의 50-70%를 차지하고 주로 폴리에틸렌과 조합하여
데크를 만든다. 플라스틱 창호재는 80-200 메쉬의 목분 30-40%와 염화비닐(PVC)로 만
든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염화비닐을 사용하여 데크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WPC 데크의 장점은 뒤틀림 방지, 내충성, 미적 아름다움, 내구성 등이 있다.

WPC 데크의 플라스틱 공급원 : 플라스틱 우유병, 폴리에틸렌 쇼핑백 및 물건들


을 적재할 때 사용되는 산업용 포장재료 등이 있다.

WPC 데크 재료의 성질 : 충진제로 사용되는 목분은 사람의 중량, 데크 부속물


및 가구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강성을 크게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60%의 목분
2
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은 49,215 kg/cm 의 휨탄성계수를 보이고, 높은 결정형의
2
폴리플로필렌은 60% 목분 함량에서 59,716 kg/cm 의 휨탄성계수를 나타낸다. 후
자의 경우는 현재 데크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상대 비용 : WPC 데크는 대부분의 가압처리된 방부목재보다 가격이 비싸나 제


28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조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장점들을 선전하고 있다. WPC 데크재의 실제 사용연


한은 10년 정도이다. 비록 WPC가 높은 강성과 감소된 열팽창계수를 보인다 할
지라도, 강성, 장기 크리프 저항성 및 강도와 같은 기계적인 성질은 목재 보다 낮
다. 그러므로 현재의 주요 적용범위는 높은 구조 성능을 요구하지 않는 곳이며
주로 데크보드에 이용되고 있다.

시장 : WPC 데크 제조업자들은 목재에 필적할 하중에 견디는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계절적인 수요는 공급보다 많으며 성능을 개선하
기 위한 경쟁으로 인하여 가공기술을 숨기는 경향이 있다. 향후 생산량의 증가가
예상된다.

데크 유지 및 보존 : 변색균은 자연적 또는 환경적인 원인이고 제조적인 결함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최선의 예방책은 가끔 걸레질 또는 샌딩이다. 노균병(mildew)
은 데크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그림 3> WPC 데크

3.1.2 창호재(window profiles)

창호재 시장은 다양한 모양과 양식을 가지는 거의 독점적인 창호로 구성된다. 몇 개


의 주요 형태로 구분되는데, 창호 프레임, 외부 트림 및 새시이다. 함성수지 창호는
80-200 메쉬의 30-40% 목분과 염화비닐(PVC)을 조합하여 만든다.
3. WPC의 용도 29

창호 재료의 종류
주거 및 비주거용 창호는 알루미늄, 강철, 플라스틱 및 목재와 같은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 알루미늄 : 저렴한 가격, 설치가 용이 및 다양한 종류로 가공하기 장점이 있다. 좋
은 품질에도 불구하고 목재나 플라스틱 창에게 점점 자리를 양보하고 있다.
- WPC : WPC의 창호 시장은 아직 작다. 그러나 PVC 창은 강하고 단단하며 가격적
인 면에서 유리하여 다른 재료에 비해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새로운 기술과 표
면처리로 비닐 창의 품질을 개선시키고 있다. 그러나 유리섬유/폴리에스테르 창은
비용이 높아 적게 이용되고 있다.
- 강철 : 모든 강철로 만들어진 창은 산업 및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 목재 : 목재로 만들어진 창은 목재 특유의 아름다움으로 인해 인기가 높다. 주거
용 또는 가벼운 상업용 구조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림 4> WPC 창호재

3.1.3 울타리(fences)

목재는 대부분의 울타리에 아직 사용되고 있으나 PVC와 같은 다른 재료들이 사용


되기 시작했고 점점 더 많은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대부분의 PVC 울타리는 속이 빈
모양이나 속이 차고 압출․발포된 새로운 폴리에틸렌 울타리가 만들어지고 있다.
PVC 울타리는 목재 울타리보다 더 비싸지만 PVC 울타리 시장은 목재나 알루미늄에
비하여 작지 않다. 왜냐하면 목재 울타리처럼 페인트칠을 하거나 긁힘이 없기 때문에
30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소비자들이 선호한다.

기술 : 두 종류의 압출공정(단층압출과 공압출)이 울타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


용된다. 단층압출에서는 PVC 재료들은 단충으로 혼련되어 성형틀을 통과하여
모양이 만들어진다. 공압출에서는 두 개 이상의 층이 포함이 되는데, 바깥층은
자외선 안정제와 같은 필수성분을 포함하는 밀도가 높은 층이다. 내부층은 낮은
양의 첨가물과 더 강한 재료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하여 충격 개선제를 포함하는
밀도가 낮은 층이다. 이산화티탄은 증백제와 UV 안정제로 이용된다.

건축 법령과 규정 : PVC 울타리를 위한 규정은 주거․산업․상업용으로 적용되


는 곳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모든 PVC 울타리는 ASTM 표준 방법(F964)의 규
정에 맞아야 한다. 플라스틱 울타리는 지난 수 십 년 동안 파이프, 외벽재 및 창
호와 같이 비슷한 성장을 보였다. 그러나 외벽재나 창호와 달리, ASTM과 건축
법령에 맞아야 한다. 방음벽은 상당히 복잡한 성능시험을 거쳐야 하며, 수영장의
벽은 측면의 하중에 견뎌야 하며,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에 견디기 위하여 견고
해야 한다.

WPC 관련 사항 : 목분의 첨가는 열의 차단을 증가시키므로 점차적으로 발전되


고 있다.

<그림 5> WPC 울타리


3. WPC의 용도 31

3.1.4 가드레일(guardrails)

건축재료 시장에서 레일의 부분은 데크나 울타리처럼 미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류되지 않았다. 가드레일은 압출된 PVC, 다공의 PVC, 다공의 폴리에스터, 유리 강
화된 고분자 복합재 및 WPC를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기존의 목재보다는 대부분의 가
드레일은 미적인 이유로 인해 WPC를 사용하여 만든다.

건축 법령과 규정 : 데크나 울타리와는 달리, 가드레일은 추락을 막는 장벽으로


서 생산자들에게 비용과 시간이 많이 요구되는 법령 기준을 통과해야 한다.

<그림 6> WPC 가드레일

3.1.5 외벽재(siding)

염화비닐 외벽재는 두 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데, 공압축 방법에 의하여 만들


어진다. 중간에 발포한 PVC층은 좋은 절연체이고 실제적으로 강하다. 물론 단위 면적
당 적은 양의 수지를 사용하므로 경제적인 면에서 좋다. 외벽재는 수직 또는 수평적으
로 적용될 수 있다. 염화비닐 외벽재는 적어도 50년의 품질보증 기간을 가진다.

경식 발포 PVC : 합성수지 창호재, 파이프 및 시트에 널리 적용되며, 시장이 점


점 커지고 있다. 목재처럼 느껴지며, 부후가 일어나지 않으며, 새나 쥐 등의 동물
들에 공격을 받지 않는다. Plastisol 또는 organosol을 만들기 위하여 액상의 가소
제와 휘발성 용매 속에 PVC를 분산시켜 만든다. Plastisol은 PVC수지 매트릭스를
32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부풀리게 하게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발포온도에서 분해가 이루어지는 화학


발포제와 혼합하여 발포 PVC를 만든다.

WPC와 관련 : WPC 외벽재는 섬유·시멘트 제품을 대체할 가능성이 있으며, 앞으


로 시장 성장 가능성이 충분하다.

<그림 7> WPC 외벽재

3.1.6 지붕(roofing)

지붕은 낮은 유지비, 고성능의 건축재료이며 내구성을 필요로 한다. 초기에는 재생


플라스틱과 천연섬유로부터 광범위하게 WPC로 만들어졌다.

<그림 8> WPC 지붕


3. WPC의 용도 33

WPC 지붕재료의 장점 : 재활용 수지를 사용하여 점토, 슬레이트 또는 유리섬유


보다 가격이 싸다. 사출성형 시간이 짧고, 열팽창과 수축이 감소한다는 점에서
치수안정이 좋다. 설치하는 동안 기존의 목공기구를 계속 사용할 수 있고, 점토
나 콘크리트 타일에 비하여 가벼운 원료를 사용하므로 운반비가 저렴하다.

3.2 인프라 산업 및 자동차 산업


WPC는 건축소재 뿐만 아니라 인프라 산업 및 자동차산업 등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
다. 독, 부두, 말뚝과 같은 해양용 부재와 보드웍(boardwalk), 철도침목 그리고 교각과
같은 대규모의 용도에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인프라 산업에 적용되고 있다. 자동차 산
업은 차체의 중량감소로 인해 연료소비를 줄이기 위한 재료의 개발에 커다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WPC 시장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자동차연료 소비량은 1982년
에 승용차를 기준으로 했을 때 리터당 10km였고, 1990년에는 리터당 11.6km였다. 트
럭, 밴 및 SUV의 경우는 1982년에 리터당 7.4km였으나 1990년에는 8.7km로 증가하였
다. 따라서 WPC는 이러한 경량화를 추구하는 자동차 산업에 크게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3.2.1 해양 시설물(marine)

오랫동안 해양용 부재로 사용되어온 목재는 가압․방부처리된 목재를 이용하였으


며로, 내구성의 결여 및 주변의 수계로 방부제의 용출이 문제를 일으킨다. 환경규제
때문에 가압․방부처리된 목재에서 CCA 방부제의 사용을 제한하는 경향은 WPC의
성장의 중요한 인자가 되고 있다. 방부처리 목재보다 다소 가격이 비쌀지라도, WPC는
내수성, 내부후성, 균질성(작업의 용이성) 및 환경친화성 등의 장점으로 이러한 시장
을 점점 침투하고 있다. WPC는 10년의 품질보증을 나타내고, 제품의 수명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지만 40년 이상으로 예상하고 있다. WPC가 부두나 독에 구조재로서 적
용되는데 있어 관심을 보이는 곳이 부두 지지목이다. 또한 발포된 WPC는 가벼운 성
질 때문에 수상 데크나 부두에 적용할 수 있도록 많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미국 해군
은 이러한 연구개발의 선두주자라고 할 수 있다. 두 가지 문제점은 보드웍(boardwalk)
34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과 부두와 같은 구조물에서 맨발로 걸을 때 발생하는 미끄러짐 현상과 뜨거운 날씨에


플라스틱재료 때문에 생기는 고온현상이다.

<그림 9> WPC 해양 시설물

3.2.2 보드웍(boardwalk)

여러 종류의 WPC가 내구성과 내부후성을 장점으로 보드웍의 건설에 널리 이용되


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 옐로우스톤 국립공원에 20년 이상 사용되어온 23km의 목재
보드웍이 있는데, 일반인들이 경관을 즐길 때 보드웍이 온도에 민감하므로 쿵쿵거리
며 걷는 것을 금지했다. 이유는 가압․방부처리된 보드웍의 열화로 인해 부서진 조각
들이 흙속에 묻히고 토양속으로 용출되기 때문이다. 3억원이 넘는 재생플라스틱을 이
용한 WPC로 대체되었으며, 매년 15만 명이 넘는 관광객들에게 가장 인기가 있는 지
역으로 바뀌었다.

<그림 10> WPC 보드웍


3. WPC의 용도 35

3.2.3 철도(railroads)

WPC의 주요원료인 재활용 HDPE를 이용한 플라스틱 침목들이 철도에 오랫동안 사


용되어 온 목재침목 시장에 침투하기 시작하였다. 거의 모든 목재침목은 크레오소트
로 처리되어 폐기가 심각한 환경적인 문제와 비용이 야기된다. 미국의 철도산업은 매
년 1조원 이상으로 지출되고 있는 약 7억 개 이상의 철도침목의 2%를 매년 플라스틱
침목으로 대치하고 있다. 방부 처리된 목재침목은 기후나 철도이용의 정도에 따라 단
지 5-15년의 수명을 가진다. 플라스틱 철도침목은 선로전환 및 상행선과 하행선을 연
결하는 전철 선로에 더 긴 길이로 제조될 수 있으며, 몇몇 제조업자들은 50년이 넘은
품질보증을 제공하고 있다. WPC 침목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목재침목을 위해 사용
했던 같은 장비를 가지고 만들 수 있으며, 플라스틱 침목은 위치에 따라 목재침목과
적절하게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그림 11> WPC 철도 침목

3.2.4 교각(bridges)

미국에는 기능적으로 쓸모가 없고, 구조적인 결함을 보이는 60만 개 이상의 교각이
있다. 2010년까지 4억 달러가 넘는 복구비용이 소모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새로운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교각 데크는 대체 재료로서 큰 관심
을 끌고 있다. 평균 콘크리트 교각 데크는 평방미터당 625kg의 무게를 보이나, FRP 교
각 데크는 평방미터당 125kg의 무게를 보인다. 매년 약 9,000만-11,250 평방 미터의 복
합재 또는 복합재 강화 콘크리트 교각이 건설되고 있다.
36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그림 12> WPC 교각

3.2.5 고속도로 가드레일(highway guardrails) 및 방음벽(sound barriers)

15cm x 20cm x 36 cm 크기의 블록이 지면에 접해있는 가드레일이나 금속기둥 사이


에 설치되며, 각 6.3kg의 중량을 가진다. 플라스틱 블록은 목재에 필요한 4개의 볼트
대신에 한 개의 볼트만을 사용한다. 방부처리된 목재블록은 5-10년만에 교체되어야 하
나 플라스틱 목재는 30년 이상 지난 후 교체된다. 플라스틱 블록은 블록 당
3,000~5,000원 정도이나 목재는 2,000~4,000원 정도이다. 고속도로를 따라 놓여진 방
음벽은 콘크리트나 블록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플라스틱 벽은 콘
크리트 또는 목재보다 15% 낮은 비용이 들고 20% 정도 더 좋은 방음성질을 가진다.
WPC나 플라스틱 목재의 낮은 유지비 이외에, 플라스틱은 낙서를 하기 어렵고 벽은
비교적 쉽게 해체할 수 있으며 건설할 때 운반하기가 쉽다.

<그림 13> WPC 가드레일 기둥 및 방음벽


3. WPC의 용도 37

3.2.6 자동차 산업(automobiles)

자동차에 복합재가 가장 오랫동안 적용된 곳이 내부 자동차 패널이다. 플라스틱 복


합재는 또한 자동차의 여러 적용범위를 가지는데 특히 헤드라이너, 리어쉘프, 스패어
타이어 커버 및 트럭 바닥을 포함한다. 목분으로 충진된 플라스틱 복합재는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배합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다른 엔지니어링 플
라스틱과 유리섬유 또한 목분이 포함된다. 지난 수 십 년 동안 자동차 산업은 양마
(kenaf), 대마(hemp) 또는 아마(flax)와 같은 천연섬유를 이용한 복합재를 사용하였다.
천연섬유들은 매트형태로 짜여져서 열압 및 냉압 후 자동차 부품으로 압축 성형되었
다. 천연섬유를 이용한 복합재는 미국보다 유럽에서 더 인기가 많았다. 한 가지 이유
는 천연섬유가 목재 또는 유리섬유에 비하여 밀도가 낮기 때문이다. 또한 천연섬유는
유리섬유에 비하여 비용이 절반 정도이고, 유리섬유를 가공할 때 생기는 직업병을 발
생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천연섬유를 확보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운송비가 비싸다.

경량화, 저비용 및 환경친화적인 장점을 가지는 가벼운 천연섬유를 이용하여 유


리강화를 대체하기 위해 많이 노력하고 있다. 현재, 천연섬유들은 도어패널, 도
어트림, 암레스트, 패키지트레이 및 리어쉘프와 같은 압축성형 부품과 같이 선택
적으로 자동차에 적용이 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천연섬유가 유리섬유보다 낮은
비용으로 강성과 방음의 효과를 부여한다.

<그림 14> 자동차용 WPC


38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가공성, 비용 및 성능 면에서 목재와 천연섬유 복합재 사이에 심한 경쟁이 있다.


자동차 내부에 적용하기 위하여 목재섬유 복합재는 활석(talc) 또는 미카(mica)가
충진된 폴리프로필렌과 경쟁을 하며, 천연섬유 복합재는 유리섬유 복합재와 경
쟁을 한다.

천연섬유는 유리섬유에 비하여 충격강도가 낮고, 유리섬유와 천연섬유는 177℃


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공된다.

Sheet molding compound(SMC)로 알려진 열경화성 수지와 천연섬유와의 혼련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천연섬유 강화된 비닐에스테르
SMC는 양호한 기계적인 성질을 나타낸다. 그러나 천연섬유와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복합재의 상업화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41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순환형 사회 구축을 목표로 산업자재의 대부분은 지금까지의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에서부터 자원순환 이용이 의무로 부과되고 있다. 따라서 석유와 같은 유한한 화석자
원으로부터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 전환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목분과 폴리
에틸렌(polyethylene, PE)이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등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을 고온에서 용융 압출시켜 만든 「목재·플라스틱 복합재(Wood Plastic Composites; 혼
련형 WPC)(이하 WPC로 생략함)는 임지잔재 등의 미이용 목질 바이오매스나 폐기물
로서 목분 및 플라스틱을 원료로 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환경자재로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WPC는 약 30 여 년 전에 해외에서 처음 시작되었으나, 당시는 산업적으로 확대되
지 않았다. 그 후 1990년대 전반 미국에서 단숨에 보급되었다. 유럽에서는 미국에서와
같은 폭발적 확대는 없었지만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져 왔고 기초연구에도 큰 진척
이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공업적 생산이 개시되어, 2010년 데크재를 중심
으로 연간 1만톤 미만의 규모로 생산되고 있지만, 북미(150-300만톤), 중국(20만톤), 유
럽(10만톤) 및 일본(4만톤)에 비해서 제조규모가 매우 작다. 그러나 매년 우리나라의
WPC 시장은 역사도 짧고 시장규모가 작지만, 매년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
며 미래에 크게 확대될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그 때문에 KS 표준화가 진척되고 있으
며, 국내 및 해외의 WPC 관련 규격에 대한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4.1 우라나라의 WPC 규격


4.1.1 KS 규격(KS F 3230 : 2011)

WPC의 규격에는, 그 재료의 일반적 성질을 규정 및 평가하는 「재료규격」과 제조된


여러 가지 제품에 대해서 그 성능을 평가하는 「제품규격」이 있다. KS 표준에서는 열
가소성 수지에 목질섬유(중량기준으로 50% 이상)를 혼합하고 첨가제를 첨가, 압출·성
42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형하여 생산한 옥외용 WPC 바닥판의 성능을 평가하는 시험방법에 대해 규정하고 있


다. 목질섬유는 원목을 분쇄방법에 따라 파우더, 섬유, 칩 형태로 가공한 것을 규정하
고 유해물질과 안정성이 확보된 1등급 이상의 폐목재와 WPC 제품의 재활용을 포함하
고 있다 (표 9).
열가소성 수지는 일정한 온도에서 용융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수지를 말하는데, 폴
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티렌(PS), 폴리아미드
(P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로니크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등이며
재활용 플라스틱을 원료로 가공한 것은 포함하지 않으나, 재활용된 WPC 제품은 포함
한다.

<표 9> 재활용 기준에 의한 폐목재의 구분


구분 분류기준
원목상태이거나 기계적으로 가공, 처리한 상태의 것으로 가공, 처리과정에서 페이트, 기름,
1등급
방부제 등으로 오염되지 않은 폐목재
2등급 가공, 처리 과정에서 접착제, 페인트, 콘크리트 등의 물질이 사용되었거나 오염된 폐목재
가공, 처리, 사용과정에서 할로겐족 유기화합물이나 방부제가 사용되었거나 오염된 폐목재
3등급
와 위의 1,2 등급에 해당되지 않는 기타 폐목재

WPC 바닥판의 형태에 따른 분류는 속이 차있는 구조로 솔리드(solid) 형태, 속이 비


어있는 구조로 중공(hollow)형태, 벌집(honeycomb)형태, 아치(arch)형태 등이 있으며,
상판의 두께는 5mm 이상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솔리드-제혀쪽매, 구조-제혀쪽매 형태
로 분류할 수 있다 (표 10).
시험에 사용하는 시험편은 표 11에서 규정한 크기로 하며, 신청자와의 협의를 통해
성능시험방법에 적합하도록 제품으로부터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험 전, 온도
(23 ± 2) ℃, 상대습도 (50 ± 10)%에서 3일 이상 정치한 후 시험한다.
WPC는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가 목분의 표면을 코팅하여 복합화하고 있는 캡슐
효과에 의해 목분 함유율 60% 정도까지는 높은 내수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특히 데크
와 같이 옥외에서 비바람이나 햇볕이 직사하는 장소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것으로 알
려져 있다. 그러므로 WPC의 용도는 야외용 부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WPC
의 내구성의 평가는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WPC는 목재와 플라스틱 양쪽의 성능에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43

<표 10> WPC 형태에 따른 분류


종류
구분
형태 기호

솔리드 S 솔리드 형태

할로우 형태

구조 H 벌집 형태

아치 형태

S-T 솔리드-제혀쪽매
제혀쪽매

H-T 구조-제혀쪽매

더해 WPC 독자적인 성능을 가지는 새로운 재료이므로 기존의 규격을 적용할 수 없을


경우가 많다고 지적되고 있다. WPC은 캡슐효과에 의해 초기 내수성이 지극히 높기
때문에 목재용의 시험에서는 흡수성이나 내후성 시험에 있어서 플라스틱에 필적하는
높은 내구성, 안정성을 나타내지만 장기간의 습기가 많은 상태에 놓이면 서서히 흡수
및 흡습이 생기기 때문에 몇 개월 후, 몇 년 후에는 함유 목재에 있어서 섬유포화점을
넘는 함수율에 달할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WPC는 수년간의 부후로 인한 질량감소가 생길 경우가 있다. 그리고 온도변화나 흡
수·흡습에 의한 휘어짐이나 비틀어짐 등의 변형, 치수변화도 실제 사용 환경에서는 문
제가 될 경우가 있다. 목재의 리그닌과 같은 조성분은 자외선을 흡수해 쉽게 열화 분
해한다. 더욱이 올레핀계 플라스틱의 내후성은 그다지 높지 않고 목재성분의 광열화
로부터 발생한 래디컬에 의해 열화가 촉진된다. 따라서 옥외에서의 사용에 의한 표면
44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표 11> 시험편의 수 및 치수


시험항목 시험편의 치수 시험편의 수
비중 0.5-5g의 적당한 시편 2
길이는 시공 시 지지대간의 최대간격보다 100mm
굴곡최대하중 길게 한다. 시공 시 지지대간 거리를 규정하지 않 3
을 때, 시험편의 길이는 600mm로 한다.
굴곡 크리프 변형 굴곡최대하중시험과 동일한 시험편 3
실온조건 1
충격저항성 굴곡최대하중시험과 동일한 시험편
저온조건 1
충격강도 (80 x 10 x 4) mm 5
뒤틀림성 굴곡최대하중시험과 동일한 시험편 1
나사못유지력 (100 x 500) mm 1
미끄럼저항성 길이는 300 mm 이상 2
중량변화
수분흡수율 길이는 100 mm 이상 1
두께변화
동결융해 최대굴곡하중변화율 굴곡최대하중시험과 동일한 시험편 3
길이선열팽창계수 길이 50mm의 원 또는 직사각형 3
변색 (150 x 70) mm 3
내후성
충격강도변화율 (80 x 10 x 4) mm 5
내곰팡이성 (50 x 50) mm 3
유해물질 10 g -
폼알데하이드 방산량 (150 x 50) mm 3
난연성 길이는 300 mm 이상으로 한다 3

변색이나 표면성분의 열화에 의한 쵸킹(Choking, 白亞化)의 발생 등 내후성에 대해서


도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WPC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규격에 대한 요망이
높아져, 2011년 KS F 3230(목재·플라스틱 복합재의 내구성 시험방법)이 제정되었다.
KS F 3230의 특징은 WPC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열화 요인과 그 평가 방법
을 작성한 점에 있다. 내구성은 열화 요인이 여러 측면에 걸쳐있고, 그 때문에 평가 방
법도 여러 종류의 복합적인 시험방법이 필요하다. KS F 3230에서 거론되고 있는 시험
항목을 표 12에 정리하였다. 예를 들면 열화시험인 웨더미터에 의한 촉진열화 시험 후,
외관, 질량감소, 뒤틀림성, 색차, 명도, 쵸킹, 휨강도, 충격강도, 크리프 변형, 난연성,
발열성, 미끄럼저항성, 나사못 유지력, 충격저항성 등의 성능을 평가한다. (표 12, 13)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45

4.1.2 GR 규격(GR F 2016 : 2011)

이 표준은 주택의 외부 조경용 데크 및 베란다, 발코니 등의 실외용 바닥을 구성하


는 목적으로 열가소성 수지에 목분 또는 왕겨 등을 질량기준으로 50% 이상 사용하여
압출 성형하여 만든 재활용 복합체 바닥판(이하 바닥판)에 대하여 규정한다. 열가소성
수지는 KS F 3230와 같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C), 폴리스티렌(PS),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로니
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등이다.
WPC 바닥판의 형태는 속이 차있는 솔리드(solid) 형태, 속이 비어있는 구조로 중공
(hollow)형태, 벌집(honeycomb)형태, 아치(arch)형태 등이 있다. 목분의 경우 환경부고
시 제2009-162호에 따른 폐목재 등급 분류기준 1등급의 폐목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왕
겨의 경우는 벼, 보리 및 밀 등을 정미소에서 곡식낱알로 정제 후 남은 식물성 잔재물
을 말한다.
바닥판의 제조에 사용되는 목분에는 각종 이물질 및 불순물이 없어야 하며, 배합 및
압출 등의 공정상 이물질이 섞이지 않아야 한다. 공정상 첨가제 등과 같은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체에 무해하고 사용상 불편이 없어야 하며, 첨가된 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및 품질관리 내역을 기록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인체에 무해하고 사용상 불편이 없는 수용성 접착제를 사
용하여야 한다. 제조 및 가공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재와 같은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는
재사용 하여야 한다. 제조 공정에 있어, 대기오염․수질오염․소음․악취․유해물의
배출 등에 대하여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기존 GR 품질기준 중 나사못 유지력, 길이선열팽창계수, 폼알데하이드 방산량, 유
해물질 용출시험, 미끄럼 저항성(BPN) 등은 현행을 유지하고, KS F 3230 규격제정(안)
에서 비중, 최대굴곡하중, 굴곡크리프 변형, 충격저항성(실온, 저온), 충격강도, 뒤틀림
성, 수분흡수율(중량, 두께 변화), 동결융해(최대굴곡하중 변화율), 내곰팡이성 등을 수
용하였다. 단, 내후성의 경우 시험시간이 2000시간으로 시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
이 과도하다는 업계의 의견과 변색과 충격강도 변화율이 약 500시간 정도에서도 현실
성 있는 측정이 가능하므로 시험시간을 줄이거나 촉진내후성으로 대체할 가능성이 있
다 (표 12, 13).
46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표 12> 우리나라 WPC 품질기준

품질 항목 품질 기준(KS F 3230) 품질기준(GR F 2016)


비 중 0.80 ~ 1.50 0.80 ~ 1.50
S 3 400 이상 S 3 400 이상
최대굴곡하중(N)
H 3 000 이상 H 3 000 이상
S 0.25 이하 S 0.25 이하
굴곡크리프 변형(%)
H 0.20 이하 H 0.20 이하
실온조건 이상없을 것 이상없을 것
충격저항성
저온조건 이상없을 것 이상없을 것
충격강도(Charpy impact),(kJ/㎡) 3.0 이상 3.0 이상
뒤틀림성(%) 2.0 이하 2.0 이하
나사못 유지력(N) 780 이상 780 이상
미끄럼 저항성 0.40 C.S.R. 이하 20 BPN 이상
질량변화율(%) 8.0 이하 8.0 이하
수분흡수율
두께변화율(%) 6.0 이하 6.0 이하
최대굴곡하중
동결융해 초기 90이상 10 이하
변화율(%)
길이선열팽창계수(1/℃) 3.0×10-5 이하 3.0×10-5 이하
내곰팡이성 이상없을 것 이상없을 것
폼알데하이드 방산량 1.5 mg/L 이하 05 mg/L 이하
Pb 90 이하 3.0 미만
Cu - 3.0 미만
유해물질
As - 1.5 미만
용출시험
Hg 25 이하 0.005 미만
(㎎/L)
Cd 50 이하 0.3 미만
Cr6+ 25 이하 1.5 미만

<표 13> WPC의 소재 성능에 관한 우리나라의 규격

KS F 3230 : 2011 GR F 2016 : 2011


목재·플라스틱 복합재의 내구성 시험방법 재활용 복합체 바닥판의 내구성 시험방법
성능항목 준거 규격 성능항목 준거 규격
밀도·비중 비중 KS M 3016 비중 KS M 3016
질량변화 질량변화
흡수특성
두께변화 두께변화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47

휨강도 KS M ISO 178 휨강도 KS M ISO 178


동결융해 후 KS M ISO 178 동결융해 후 KS M ISO 178
강도 샬피충격강도 KS F 2221 샬피충격강도 KS F 2221
휨크리프 KS M ISO 899-2 휨크리프 KS M ISO 899-2
나사못보유력 나사못보유력
열특성 길이선열팽창 KS M 3036 길이선열팽창 KS M 3036
내구성 내곰팡이성 ISO 846 내곰팡이성 ISO 846
변색 KS M ISO 7724 변색 KS M ISO 7724
내후성
충격강도변화율 KS F 2221에 의거하여 80% 이내
내미끄럼성 미끄럼저항성 KS M 3510 미끄럼저항성 KS M 3510
방내화성능 난연성 KS F 2819 난연성 KS F 2819
VOC 폼알데하이드 KS M 1998 폼알데하이드 KS M 1998
카드뮴 KS M 6956 카드뮴 KS M 6956
납 KS M 6956 납 KS M 6956
용탈성
수은 KS M 6956 수은 KS M 6956
6가크롬 KS M 6956 6가크롬 KS M 6956

4.1.3 시험방법

1) 비중

가) KS 규격: 복합목재 바닥판의 비중은 KS M 3016의 A법(수중 치환법) 에 따라


2회 이상 시험하고 그 평균값을 소수점 3자리까지 기록한다.
나) GR 규격: 바닥판의 비중은 KS M 3016의 A법(수중 치환법)에 따라 2회 이상
시험하고 그 평균값을 소수점 2자리까지 기록한다.

2) 굴곡최대하중

가) 시험편: 시험편의 나비와 두께는 생산된 제품의 형태를 따르고, 길이는 시공


시 지지대 간의 최대간격보다 100 ㎜ 길게 한다. 단 제품의 나비가 160 ㎜를
초과할 때는 당사자 간의 협의를 통해 나비를 (150 ± 10) ㎜로 절취하여 시험
한다. 시공 시 지지대간 거리를 규정하지 않는 제품의 경우, 시험편의 길이는
600㎜로 한다.
48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나) 시험방법: 최대굴곡하중 시험방법은 KS M ISO 178에 따라 가압봉 및 지지대


의 반경, 시험 속도를 결정하고, 그림 15와 같이 시험편을 거치하여 최대 굴
곡하중을 측정한다. 시험 면은 시공 시 노출면으로 하고 3개를 시험하여 평균
값을 기록한다.

<그림 15> 최대굴곡하중 시험

3) 굴곡 크리프 변형

가) 시험편: 굴곡크리프 변형 시험은 2)의 시험편과 동일한 나비, 두께, 길이를 따


른다.
나) 시험방법: 굴곡크리프 변형 시험은 2)와 동일한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KS M
ISO 899-2에 따라 1~5초 내에 시험편에 850 N의 하중이 걸리도록 하고 24시
간 유지한 후, 아래의 식에 의해 굴곡크리프 변형을 계산한다. 시험 면은 시
공 시 노출면으로 하고 3개를 시험하여 평균값을 기록한다.

·   ․
εt (%) = 

여기에서, εt : 굴곡크리프 변형
St : 시간 t에서 지점 간 중앙의 변형(㎜)
h : 시험편의 두께(㎜)
L : 지점 간 거리(㎜)

4) 충격저항성

가) 시험편: 충격저항성 시험은 2)의 시험편과 동일한 나비, 두께, 길이를 따른다.
나) 시험방법: 충격저항성 시험은 시공 시 지지대를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 지지
대에 시험편을 설치하여 고정한 후 KS F 2221에 따라 100 ㎝ 높이에서 1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49

042g과 지름 64 ㎜의 강철제인 구형 추를 시험편의 정중앙에 낙하시키고, 육


안으로 관찰하여 균열 및 파괴 유무를 기록한다. 시공 시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는 제품의 경우, 그림 16의 방법으로 바닥에서 10 ㎝ 이상 높이에 시험편을
고정시킨 후 시험한다. 시험은 다음의 두 조건에서 시행하여 그 결과를 각각
기록한다.
a) 실온조건 : 시험 전, 온도 (23 ± 2) ℃, 상대습도 (50 ± 10)%에서 3일 이상 정
치한 후 시험한다.
b) 저온조건 : 시험 전. 온도 (-30 ± 2) ℃의 조건에서 24시간 정치한 후, 10분
이내에 즉시 시험한다.

<그림 16> 충격저항성 시험

5) 충격강도

가) 시험편: 시험편은 KS M ISO 179-1의 1호형 시험편으로 한다. 또한 제품에서


절취하여 시험할 경우, 두께를 10.2 ㎜까지는 제품의 두께와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단 타격면은 시공 시 노출면으로 한다.
나) 시험방법: 충격강도 시험은 KS M ISO 179-1에 따라 노치 없는 시험편으로
하여 시험한다. 타격면은 제품의 시공 시 노출면으로 하여, 5개의 시험편에
대한 평균값을 아래의 식에 따라 충격강도 acU를 계산하여 kJ/㎡의 단위로 나
타낸다.

acU =  × 

여기에서, Ec : 시험편의 파괴에 의한 보정된 흡수 에너지(J)
h : 시험편의 두께(㎜)
b : 시험편의 나비(㎜)
50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6) 뒤틀림성

가) 시험편: 뒤틀림성 시험은 2) 시험편과 동일한 나비, 두께, 길이를 따른다.


나) 시험방법: 뒤틀림성 시험은 시험편을 온도 (25 ± 2) ℃, 상대습도 (85 ± 5)%에
서 3일, 온도 (20 ± 2) ℃, 상대습도 (35 ± 5)%에서 항량에 도달하였을 때까지
방치한 후, KS L 3112에 따라 길이계를 바닥판의 시공 시 노출면의 대각선상
에 놓은 다음, 측정 면이 오목할 때는 그림 17과 같이 길이계와 시험면의 틈
이 가장 큰 곳에 측정용 쐐기를 길이계와 직각이 되도록 꽂고, 측정용 쐐기가
가리키는 눈금에 의해 그 틈의 크기를 구한다. 또한 측정 면이 볼록할 때에는
그림 17과 같이 길이계와 바닥판의 틈이 양쪽 끝에서 거의 같게 각각 측정용
쐐기를 꽂고, 그 틈의 크기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한다. 이와 같은 조작
을 동일면의 다른 대각선에 대해서도 수행하고 가장 큰 쪽의 값을 기록한다.
뒤틀림성 Wa(%)는 다음 식에 따라 구하고,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끝맺
음 한다.

Wa(%) =  × 100

여기에서, l : 시험체의 대각선 길이(㎜)
h : 쐐기 눈금으로부터 구한 틈의 크기(㎜)

<그림 17> 뒤틀림성 측정

7) 나사못 유지력

나사못 유지력 시험은 호칭 지름 2.7 ㎜, 길이 16 ㎜의 나사못을 그림 18에 나타낸


위치(표면 및 측면)에 수직으로 나사부 11 ㎜를 박아 넣고 시험편을 고정하여 나사못
을 수직으로 잡아당긴다. 이 때 최대하중을 각각 측정하여 2곳의 평균값을 나사못 유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51

지력으로 한다. 다만 드로잉 하중 속도는 2 ㎜/min로 한다.


나사못 유지력은 바닥판의 체결력 보다는 소재의 물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으로,
완전 충진형(Solid)의 경우는 현행 품질표준 적용이 가능하나 부분 충진형(Hollow)의
경우는 현재 11 ㎜ 나사못을 박는 시험방법을 적용하기 곤란한 점이 있어 2개의 상판
을 겹쳐놓고 테스트하는 방법과 특정 테스트 부위(Rip 등)를 설정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논의되었으나, 보다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시험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KS F
3230 규격제정(안)이 KS규격으로 제정된 이후 다시 논의하기로 하였다.

<그림 18> 나사못 유지력 시험 위치

8) 미끄럼 저항성

가) GR 규격
a) 시험편: 실험을 위해서 최소 90 × 150mm 이상의 블록을 준비한다.
b) 시험방법: 미끄럼 저항의 시험방법은 KS F 2375 노면의 미끄럼 저항성 시험
방법에 따라서 영국식 진자 시험기(BPN, portable skid resistance)로 미끄럼
저항 치수(BPN)을 측정한다. 수평조절 나사를 돌려 시험기의 수평을 맞추고,
시험기에 밀착되도록 시료를 놓는다. 접지 길이의 측정게이지를 이용하여
시료 표면에 접지 길이를 표시한다. 접지 길이는 124-127mm 정도로 한다.
높이조절 나사를 돌려 슬라이더가 시료 표면에 표시된 접지에 접하도록 조
절한다. 시료 표면에 물을 충분히 뿌린 후, 진자를 이동시켜 미끄럼 저항 지
수를 측정한다. BPN 값을 확인하고 진자를 원위치에 고정시킨다. 표면 온도
계를 이용하여 시료 노면 온도를 측정한다. 처음 측정값을 제외한 총 5번의
52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값을 기록하고, 20℃ 에서의 온도 보정으로 BPN 값을 구한다.

C20 : 0.0074t2 + 0.0052t - 3.064 + Ct


여기에서 C20 = 20℃로 보정한 BPN 수치
Ct = 노면온도 t℃일 때의 BPN 수치
t = 노면온도

나) KS 규격
a) 시험편: 미끄럼저항성 측정에 사용되는 시험편은 생산된 제품의 너비와 두
께를 따르고, 길이는 300 mm 이상으로 한다. 단 제품의 너비가 100 mm 이
하인 경우, 여러 개의 시험편을 합쳐서 만든 시험편의 너비가 100 mm 이상
이 되도록 한다.
b) 시험방법: 시험방법은 KS M 3510의 4.15에 따라 그림 19의 미끄럼 시험기를
사용한다. 시험에 사용되는 미끄럼 편은 KS M 3510의 4.15.2에서 규정한 경
도(듀로미터 경로시험-타입 A) 7 580, 두께 36 mm의 고무시트를 사용하고,
시험편의 표면은 건조한 상태로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한다.
c) 미끄럼편을 크기 80 x 70 mm의 강철제 미끄럼편 받침대의 바닥면에 붙이고
785 N의 수직 하중을 가한 상태로 미끄럼편을 시험편에 접촉시킨 순간에

<그림 19> 미끄럼 시험기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53

785 N/s의 인장 하중속도, 18° 각도로 경사지게 위쪽 방향으로 잡아 당겼을 때


얻어지는 최대 인장 하중을 측정하여 다음 식에 나타낸 미끄럼 저항계수를
계산하여 유효 숫자 2자리까지 나타낸다. 제품의 압출방향과 압출수직방향
을 모두 평가하여 그 중 작은 C.S.R값을 제품의 미끄럼저항성 값으로 한다.

  
   

여기에서 C.S.R. : 미끄럼 저항 계수
Pmax : 최대 인장 하중(N)
W : 수직 하중(785 N)

9) 수분흡수율

가) 시험편: 시험편의 두께와 나비는 제품의 생산된 형태를 따르고 길이는 100 mm
로 한다.
나) 시험방법: 시험편은 수분흡수율 시험 전 (20 ± 3) ℃, 상대습도 (65 ± 2)% 조
건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전처리를 하여 0.01 g 이상의 정확도를 가지는 저울
로 질량을 측정하고, 시험편의 중앙에서 0.05 mm 정밀도의 다이얼게이지 또
는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두께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두께 측정의 경우 사
출방향 길이 절단면에서 5 mm이상, 15 mm 이하의 지점에서 10 mm 이상의
접촉을 가지고 측정한다. 질량과 두께 측정을 마친 시험편은 아래의 조건으로
처리하여 질량변화율 및 두께변화율을 구한다.

a) 시험편을 100 ℃ 물에 5시간 침지시킨다. 이때 시험편은 수조의 바닥에 접촉


하지 않고 3 cm정도 띄워서 침지되도록 적당한 지그를 사용한다.
b) a)과정을 거친 시험편을 즉시 (20 ± 2) ℃ 물에 침지하여 20분간 방치한 후, 시
험편 표면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질량변화율 및 두께변화율을 측정한다.

  
질량변화율(%) =  × 100,

54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여기에서, W1 = 침수전의 질량(g), W2 = 침수후의 질량(g)


  
두께변화율(%) =  × 100 ,


여기에서, t1 = 침수전의 두께(mm), t2 = 침수후의 두께(mm)

10) 동해융결(최대굴곡하중변화율)

가) 시험편: 동결융해 시험편은 2)의 시험편과 동일한 나비, 두께, 길이를 따른다.
나) 시험방법: 동결융해 시험은 3매의 시험편에 대해 아래의 시험을 1싸이클로 3
회 반복한 후 7.2의 최대굴곡하중과 비교하여 동결융해 시험 후의 최대굴곡
하중 변화율을 % 단위로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기록한다.

a) 시험편을 (20 ± 2) ℃ 물에 24시간 침지한다.


b) 침지를 마친 시험편의 물기를 제거하고 (-30 ± 2) ℃ 챔버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다.
c) b)단계를 마친 시험편을 (20 ± 2) ℃, 습도(50 ± 5)%에서 24시간 동안 방치
한다.

  
동결융해시험 후 최대굴곡하중 변화율(%) =  × 100


여기에서, W1 = 동결융해 시험 전 최대굴곡하중(N),


W2 = 동결융해 시험 후 최대굴곡하중(N)

11) 길이선열팽창계수

가) 시험방법: 길이선열팽창계수 측정은 길이 50 mm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KS M


3060에 따라, -30℃에서 60 ℃의 온도범위에서 시험하고 아래 식에 의해 계산
한다.

길이선열팽창계수(1/℃) = (L2-L1) / L0(T2-T1) = △L/L0△T


여기에서, L2,L1 : 온도 T2,T1에서의 각 시험편의 길이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55

L0 : 실온에서의 시험편의 길이
(실온은 온도 (23 ± 2) ℃, 습도(50 ± 5)%의 조건에 해당한다)

12) 내곰팡이성

가) 시험방법: 내곰팡이성 시험은 길이 50 mm, 나비 50 mm, 제조 시 두께의 시험


편을 사용하여 ISO 846의 Methods A법으로 4주간 시험하고 부드러운 솔과
증류수를 사용하여 세척한 후 Batch I를 Batch O, Batch S와 육안으로 비교하
여 그 정도를 기록한다.

13) 폼알데하이드 방산량

가) 시험편: 시험편은 생산된 제품의 두께를 따르고 길이 (150 ± 1) mm, 나비 (50


± 1) mm로 한다.
나) 시험방법: 폼알데하이드 방산량 시험은 KS M 1998에 따라 3매를 시험하고,
그 평균값을 기록한다.

14) 유해물질용출시험

가) KS 규격: 유해물질함량시험은 KS M 6956에 의해, 납(Pb), 카드늄(Cd), 수은


(Hg), 6가 크롬(Cr)의 함량을 분석하여 기록한다.
나) GR 규격: 유해물질 용출시험은 환경부고시 제2010-106호 폐기물공정시험방
법에 따라 측정한다.

15) 난연성(KS 규격)

가) 시험편: 시험편은 생산 시 두께와 너비를 따르고 길이는 30 cm로 한다.


나) 시험방법: 복합목재 바닥판의 난연성 시험은 KS F 2819의 4.2의 A법에 따라,
거의 기건상태인 시험체를 (50 ± 2) ℃에서 48시간 건조한 다음, 이것을 실리
카겔을 넣은 데시케이터 안에 24시간 방치한 후, 2분간 가열하여 탄화길이 및
나머지 불꽃 시간을 기록한다.
56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4.2 일본의 WPC 규격(JIS A 5741 : 2006)


일본의 WPC 규격에서는 WPC를 목재·플라스틱 재생복합자재로 명명하고 있는데,
폐기물로서 발생되는 목질계 원료 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주원료로 해서 재생, 복
합시킨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참고로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하자는 차원에서 폐목재·
폐기플라스틱을 사용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이 재생복합자재에 관한 다종
다양한 제품이 유통되고 있다. 이 WPC는 주원료로 폐기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폐자재가 된 WPC를 반복해서 원료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WPC를 사용함으로써, 재활용에 의한 에너지자원화, 폐기물 감소, 이산
화산소 방출량의 감소 등에 크나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재활용 재료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 수거(재생)된 재료에서부터 재 가공되며, 더욱이
최종적으로 완성된 제품, 또는 제품에 사용되는 부품에 사용되는 재료를 말한다. 버진
(virgin) 재료는 재활용한 재료 이외의 재료를 일컬는다. 목질계 원료는 나무줄기 계열,
풀줄기 계열 식물에서 얻은 원료 또는, 폐기된 WPC 속에 함유되어 있는 목질계의 원
료를 말한다. 플라스틱 원료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원료 또는, 폐기된 WPC 속에 함유
되어 있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원료를 말한다.
WPC에 있어서 재활용 재료의 함유율은, 사용되는 재활용 자재의 질량비율을 백분
율로 표시한다. 또한 재활용 재료의 함유율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답을 구한다.

R=WWR+WPR/W☓100(%)
W=WW+WP+WF
WW=WWV+WWR
WP=WPV+WPR

여기에서, R : 재활용 재료의 함유율(%)


W : 해당 WPC 전체의 질량(kg)
WW : 해당 WPC에 점유되어 있는 목질계 원료의 질량(kg)
WP : 해당 WPC에 점유되어 있는 플라스틱 원료의 질량(kg)
WWV: 해당 WPC에 쓰여진 목질계 원료에 점유되어 있는 버진 재료의 질량(kg)
WPV : 해당 WPC의 플라스틱 원료에 점유되어 있는 버진 재료의 질량(kg)
WWR : 해당 WPC의 목질계 원료에 점유되어 있는 재활용 재료의 질량(kg)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57

WPR : 해당 WPC의 플라스틱 원료에 점유되어 있는 재활용 재료의 질량(kg)


WF : 목질계 원료 및 플라스틱 원료를 제외한 것들의 질량(kg)

WPC 전체의 질량(W), WPC에 점유되어 있는 목질계 원료의 질량(WW), WPC의 목


질계 원료에 점유된 버진 목질계 원료의 질량(WWV) 및 WPC의 목질계 원료에 점유
되어 있는 재활용 목질계 원료의 질량(WWR)에 대해서는, JIS Z 2101의 3.2(함유율)에
서 규정한 전체 건조 질량으로서 구한다.
플라스틱 원료 및 그 외 원료의 질량은 JISK 7209 에 의한다. 또한 해당 WPC의 재
활용 재료 함유율은 목질계 원료 및 플라스틱 원료에서각 재활용 재료의 질량 비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R(%) =CWRCW /100 + CPRCP/100


CW+CP+CF=100
CW=CWV+CWR
CP=CPV+CPR

여기에, CW, CP, CF : 해당 WPC에 포함되어 있는 목질계 원료, 플라스틱 원료, 그


외 재료 각자가 가지는 질량 백분율(%)
CWV, CWR : 해당 WPC의 목질계 원료에 점유되어 있는 버진 재료, 재활용
재료 각자의 질량백분율(%)
CPV, CPR : 해당 WPC의 플라스틱 원료에 점유되어 있는 버진 재료, 재활용
재료 각자의 질량 백분율(%)

WPC에 있어서 재활용 재료의 함유율 구분 및, 기호는 표 14에 따른다. 또한 재활용


재료의 함유율 구분 수치의 표시는 JIS-일본공업규격- Z 8401에 따른다.

<표 14> 재활용 재료의 함유율 구분 및 표시번호


함유율 구분 표시기호
40% 이상 50% 미만 R 40
50% 이상 60% 미만 R 50
60% 이상 70% 미만 R 60
70% 이상 80% 미만 R 70
80% 이상 90% 미만 R 80
90% 이상 R 90
58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재활용 재료로서 인정되는 목질계 원료는, 건설계, 산업계, 임업계, 농업계, 그 외의


항목으로 나눠 표 15와 같이 표기한다.
플라스틱 원료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간주하여 일정한 온도에서 용융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수지를 말하는데, 일반용 플라스틱은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폴리
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틸렌(PS), 폴리에틸렌테레
프타탈레이트(PET), 포화 폴리에스테르(SP), 스틸렌/아크릴로니트릴(SAN), 아크릴로니
크릴 부타디엔 스틸렌(ABS) 등이 포함된다. 엔지니어링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폴리카
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PA), 폴리페닐렌에테르(PPE) 등이 포함되며, 그 이외의 플
라스틱은 PC/ABS, 에틸렌/초산 비닐 및 폴리브텐 등이 포함된다. 재활용 재료로 제조
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주된 품명을 표 16을 나타내었다.
WPC에 있어서의 목질계 원료의 배합률은, 전체 사용 원료 (W) 에 있어서의 목질계
원료 (Ww)가 차지하는 질량백분율 (CW) 로 하고 계산식은 다음 식에 따른다.

CW=WW/ W☓100(%)

WPC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계열 원료의 배합률은, 전체 사용 원료 (W)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계열 원료 (WP)가 차지하는 질량백분율 (CP) 로 하고, 계산식은 다음 식에 따
른다.

<표 15> 재활용 재료로 인정된 목질계 원료


분류계통 재활용 재료의 명칭
건설·건축 폐자재
건설계
조경 작업시 발생하는 나뭇가지 잔해
공장 가공 폐자재
산업계
식물성 잔재
제지 폐기물
제재 폐자재
임업계
임업지에서 발생하는 잔해
제벌·간벌 자재
농업계 농산계 폐기물
일반 가정 및 사업소 폐기물
그외
유목(流木)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59

CP=WP/W☓100(%)

WPC의 용도 분야 및 용도 구분에 의한 종류 및 기호는, 표 17에 따른다.

<표 16> 재활용 재료로 제조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주된 품명


열가소성 플라스틱 기호 재활용 재료의 주된 품명
식기용기, 욕실 용품, 화장실 용품, 필름, 끈, 수납용기, 전기 제품, 인
폴리프로필렌 PP
공모발 등.
필름, 발포제품, 쇼핑용 비닐 백, 쓰레기 봉투, 자동차 연료 탱크, 시
폴리에틸렌 PE
트, 팔레트, 인공식도, 인공기관 등.
컵, 식기쟁반, 완구, 식탁용품(조미료 용기)등, 생선 상자, 인조 종이,
폴리스틸렌 PS
발포 스티로폼 등.
냉장고, 텔레비전, 오디오 기기등의 외관, 여행용 트렁크, 카메라 부
아크리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ABS
품, 발포제품, 성형품(사출,압축,헤어 클립 등)
랩, 농업용 비닐 시트, 건자재(마룻바닥 자재, 벽지 등), 전선 피복, 인
폴리염화비닐 PVC
조모피, 레코드, 조화, 지우개 등.
팬, 안전유리, 헬멧, 필름, CD, 분유병, 업무용 식기, 자동차 부품, 전
폴리카보네이트 PC
기부품, 카메라 본체, 사인펜의 펜촉 부분 등.

<표 17> WPC의 용도 분야 및 용도 구분 및 주된 제품의 종류


용도 분야 기호 용도 구분 기호 주된 제품의 종류 (참고)
보도용(歩道用) Ⅰ 데크(deck)에 쓰이는 자재
데크 자재, 벤치, 발코니, 펜스, 문, 퍼골러(-정
주택 또는 야외 시설용 Ⅱ 원등에 장미 넝쿨 등이 감겨 올라가게끔 놓아
외장용 EX 두는 의자 형태의 장-), 테라스.
외벽, 루버(-벽이나 천정 부근에 햇볕이 드는
그외 Ⅲ 방향을 바꾸기 위해 설치한 블라인드 같은 것
-), 울타리
플로어링(-다다미를 없애고 나무나 플라스틱자
주택등에 쓰이는 바닥용 자재 Ⅰ
내장용 IN 재를 이용해 마룻바닥을 깐 것-)자재.
주택 등의 실내 조형용 Ⅱ 조형 자재, 도배용 자재.
공사용 모양틀 Ⅰ 모양틀 자재
토목 CV CV
보도용 Ⅱ 블록 자재

4.2.1 소재규격

WPC 소재로서의 기본물성은 표준방법에 따라서 시험하며, 표 18의 기준에 적합해


야 한다. 표 18 이외의 특성은 업자와 주문자 측의 협의에 따른다. WPC 소재로서의
60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안전성은 표준방법에 따라서 시험하며 표 18의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WPC의 용도 분야 및 용도 구분에 의한 실대성능 항목 및 시험은 표 19에 따른다.
단, 이 외의 실대성능에 대해서는 주문자와 업자 당사자 간의 협의에 의한다. 또한, 해
당 WPC는 그 고유한 배합조성 및 성형 조건에 의해 반드시 소재의 성능으로부터 실
대성능을 추정할 수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용도 분야 및 용도 구분별로 상정되는 실대
기본물성 시험을 실시하기로 한다.
실대성능의 시험체: 각 적용 시험규격에 따른다. 단, 피시험체 소재의 사이즈로 시
료를 채취할 수 없는 경우는 규정된 시료 형상과 비슷한 모양의 시험체로 하고 최대한
채취할 수 있는 치수로 시험을 실시한다. WPC의 소재로서의 외관은 표 20의 기준에
적합해야 된다.

<표 18> WPC의 소재성능


용도분야 기호
성능 항목 단위 EX IN CV
Ⅰ Ⅱ Ⅰ Ⅱ Ⅰ Ⅱ Ⅱ
밀도/비중 순수비중 - 0.8~1.5 0.8~1.5 0.8~1.5 0.8~1.5 0.8~1.5 0.8~1.5 1.0~1.4
흡수율 % 10 이하 10 이하 10 이하 10 이하 10 이하 10 이하 10 이하
흡수 특성
길이 변화율 % 3 이하 3 이하 3 이하 3 이하 3 이하 3 이하 3 이하
구부러지는 특성 MPa 20 이상 20 이상 15 이상 10 이상 10 이상 - 10 이상
강도
기 충격에 견디는 강도 kJ/m2 0.5 이상 0.5 이상 0.5 이상 0.5 이상 0.5 이상 - -
본 하중변형온도
물 열특성 (하중을 가했을 때 ℃ 70 이상 70 이상 40 이상 40 이상 40 이상 - -
성 휘는 온도)
-30 -30 -30
인장강도의 변화율 - - - -
이내 이내 이내
내구성 %
늘어남에대한
50 이내 50 이내 50 이내 - - - -
변화율
휘발성 물질
폼알데하이드 mg/l 평균가로는 0.3 이하, 또한, 최대가로는 0.4 이하 -
방출량
카드뮴 0.01 이하

납 0.01 이하

유해물질 수은 0.0005 이하
성 mg/l
용출량 셀렌 0.01 이하
비소 0.01 이하
육가 크롬 0.05 이하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61

<표 19> WPC의 실대성능


용도분야 기호 EX IN CV
성능항목 Ⅰ Ⅱ Ⅲ Ⅰ Ⅱ Ⅰ Ⅱ
JIS A JIS A JIS A 농림성 고지 JIS K 농림성고지
굴절 JIS A 5371
5721 5721 5721 제1073호 7221-2 제233호(합판)
기본 JIS Z
국부압축 - - - - - -
물성 2101
JIS A
미끄러짐 - - - - - JIS A 1454
1454

<표 20> WPC의 외관


결점의 종류 판 정
흠집이나 때 현저하게 눈에 띄는 곳이 있으면 안된다
휘어진 것이나 비틀린 것 현저하게 눈에 띄는 곳이 있으면 안 된다
이물질이나 혼입된 것 현저하게 눈에 띄는 곳이 있으면 안 된다
떨어져 나간 곳, 금, 깨진 곳, 관통된 균열 있어서는 안 된다

시험의 일반 조건: 시험의 일반조건은 JIS Z 2101의 2에 따른다. 단, 준거하는 JIS


등의 시험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환경조건이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 21을 참고해
야 한다.

4.2.2 제품규격

가) WPC 소재에의 기본물성시험은 다음과 같다.


a) 밀도 및 비중 시험: 밀도 및 비중의 시험 방법은, JIS K 7112 의 5.1[A 법
(수중치환법)에 따른다.
b) 흡수율 시험: 흡수율 시험은, JIS A 5905의 6.8에 따른다.
c) 길이 변화율 시험: 길이 변화율 시험은, JIS A 5905의 6.10 에 따른다.
d) 굴절 특성시험: 굴절특성시험은, JIS K 7171에 따른다.
e) 충격 강도 시험: 충격강도 시험은 JIS K 7111에 따른다.
f) 하중 변형 온도 시험(하중을 가했을 때 휘는 온도에 대한 시험) : 하중을 가
했을 때 휘는 온도에 대한 시험 JIS K 7191-1에 따른다.
62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g) 내구성 시험: 내구성시험은 JIS K 7350-2에 의한 노출 시험을 실시하며 평가


방법은 JIS A 5721에 따른다.

나) 안전성 시험: WPC 소재에의 안전성 시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a) 휘발성물질 방산량 시험: 휘발성물질 방산량 시험은 다음에 의한다. 폼알데
하이드; 폼알데하이드의 방산량 시험은 JIS A 1460 또는 JIS A1901에 따른
다. 단, 표5의 규정치는 JIS A 1460에 있어서의 수치이지만 JIS A 1901에 의
2
한 경우에는 0.005 mg/m /h 이하로 한다.
b) 유해물질 용출량 시험: 유해물질 용출량 시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1) 카드뮴, 납, 수은 또는 셀렌: 카드뮴, 납, 수은 또는 셀렌의 용출량 시험은
JIS K 6743에 따른다.
(2) 비소: 비소의 용출량 시험은 JIS K 0400-61-10에 따른다.
(3) 육가 크롬 : 육가 크롬의 용출량 시험은 JIS K 0400-61-20에 따른다.
다) 표시: 제품 또는 포장에는, 다음 사항을 표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재활용 재
료의 함유율 구분, 목질계 원료의 배합률, 플라스틱 원료의 기호, 플라스틱 계
열 원료의 배합률, 용도 분야 및 용도 구분의 기호, 제품 또는 포장에의 표시
는, JIS Q 14021에 근거하여, 재활용 재료의 함유율 구분, 목질계 원료의 배합
률, 플라스틱 원료의 기호, 플라스틱 계열 원료의 배합률, 용도분야 및 용도
구분의 기호를 다음 예와 같이 쉽게 지워지지 않는 방법으로 표시한다.

4.3 미국의 WPC 규격


WPC는 1980년대에 미국에서 공업화된 재료이며, 연간 150만톤 이상의 제품이 제조
되고 있기 때문에 WPC의 표준화도 진행되고 있다. 규격은 재료에 관한 시험법 및 가
이드라인 등에 관한 표준화를 규정하고 있는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 미국재료시험협회)에서 제정되어 있다. WPC 소재의 평가 규격으로서,
ASTM D 7031-04(Standard Guide for Evaluating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Wood-Plastic Composite Products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제품의 기계적 및 물리적 성질
을 평가하기 위한 규격 가이드가 있고, 제품규격으로서는 ASTM D 7032-10(Standard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63

Specification for Establishing Performance Ratings for Wood-Plastic Composite Deck


Boards and Guardrail System(Guards or Handrails) : 목재-플라스틱 복합재의 데크재 및
가드레일(울타리 혹은 난간)의 성능등급 확립을 위한 표준규격이 있다. 이들 규격은
목재에 관한 ASTM 위원회 D07 가운데 제재 및 목제공업제품에 있어서의 소위원회
D07.02에서 검토되어 왔다 (표 21).

4.3.1 소재규격(ASTM D7031-04)

본 규격에 적용하는 WPC는 구조용 및 비구조용의 양쪽에 사용하는 것을 대상으로


삼고 있다. 대상이 되는 WPC는 기본적으로 목재 혹은 셀룰로오스계 재료와 플라스틱
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재이며, 시험방법은 WPC의 구조용, 비구조용에 있어서 중요한
기계적, 물리적 성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 규격은 WPC 제품에 관한 성능, 성질을 넓
은 범위에서 평가하기 위한 시험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실험실에서 제조된 것
과 실제로 제조되어 있는 제품 양쪽의 평가에 사용되지만, 열거하였던 시험방법 모두
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용도에 따라서 어느 시험 방법을 적용할지를 정한
다. 또한, WPC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각 회사, 각 제품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 규격
의 범주는 아니다. 본 규격에서의 인용규격은, ASTM 관계에서 목재, 목질재료, 플라
스틱재료 관련 등 36개 규격에 달하며, 이 밖에도 생물열화 관계는 미국목재보존협회
(AWPA)의 시험방법(집흰개미 저항성과 soil-block에 의한 실내시험)을 인용하고 있다.
성능항목의 일람을 표 21에 정리하였다. 이 가운데 특징적인 항목으로서는, 못, 나
사, 볼트의 유지력, 내동결융해성, 내해충성, 방내화성, 약제용탈성 등이다. 유지력이나
방내화성 등은 WPC의 건축부재로서의 사용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내해충성은 잔교(棧橋) 등의 워터 프론트((water front)에서의 사용이 많기 때문
일 것이다. 약제용탈성 시험에 대해서는, 북미에서 유통하고 있는 데크재의 대부분이
중공(中空)구조가 없는 솔리드(solid)형이며, 이것들은 설치 후 4∼5년 후 정도부터 부
후나 버섯의 발생이 생기는 위험성이 보고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제품에서 붕산
아연 등의 방부약제가 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4.3.2 제품규격(ASTM D 7032-10)

제품의 적용 규격은 소재규격과 거의 같다. 대상이 되는 제품은 데크, 울타리, 난간


64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등이다. 본 제품규격에서 특징적인 것은, 성능등급(standard specification)을 위한 지표


2 2
가 제시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단위 면적당의 최대하중 (lbf/lf (kN/m ))으로 나타
내지는 스팬 레이팅(span rating)이 사용된다. 스팬 레이팅은, 예를 들면 「16/100」처럼
심(心)-심(心간)의 최장 스팬(span)과 최대허용 하중으로 표시된다. 이 예에서는, 데크의
심-심 간의 최대 스팬(span)이 16인치(406mm)이며, 이 때 단위 면적당의 하중이 100파
2 2
운드(100 lbf/ft (4.79 kN/m )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이다. 이 인덱스(index)는
실제 현장에서의 설계를 고려한 것이다. 시험편의 샘플링은 제품의 성능을 나타내기
위해서 가능한 한 다종다양한 것에 대해서 행하여지며, 또 제품의 선택은 공장에 있어
서 제 3의 기관에 의해 행하여진다.
일반적인 제품(데크, 울타리, 난간)에 대한 기준값은 몇 가지의 부하시험을 행해 부
하후의 시험 값(휨강도 등)에 대해서, 부하를 걸지 않은 대조구 시편의 강도값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다. 부하시험에는, 저온 혹은 고온(-29℃ 혹은 +52°C) 상태, 동결 융해
시험(-29°C∼실온을 2사이클 이상), 흡수시험, 자외선조사시험(2000시간 이상의 촉진
내후성 시험), 내부후시험(예를 들면 AWPA E10), 내흰개미성시험(AWPA E1), 표면연
소시험(화염전파시험)이 있다. 판정 기준은 부하 후의 수치가 대조구에 대하여 10%
이상 저하하지 않는 것이며, 10%를 넘었을 경우는 스팬 레이팅의 스팬값 혹은 허용
하중값을 10% 이상 저하한 값을 바탕으로 저감한다. 부후시험에 대해서는, 표면의 미
관과 질량감소율로 판정하고, 현저한 표면열화와 질량감소가 없으면 시판의 방부처리
데크재 혹은 고내후성수종 데크재와 동등한 내후성이 있다고 판정한다. 그러나 대조
구와 비교해서 명확한 표면열화의 발생이나 5% 이상의 질량감소가 생겼을 경우는 내
후성에 문제가 있다고 판정한다. 내흰개미성은 표면의 육안평가로 판단한다. 표면화염
전파 시험에서는, 화염전파 지수로 200 이하로 하고 있다.
그 외, 데크재에서는 허용하중이 정해지지 않고 있는 것, 계단에서 사용되는 것 등
에 대해서 휨시험에서는 달리 규정이 있고, 이외에 크리프 회복시험, 볼트나 나사못
등에 의한 유지력 시험, 미끄러짐 저항시험이 규정되어 있다. 특히, 실제 제품의 시험
방법으로서 2스팬 시험법이 있는데, 이것은 한 방향의 스팬에 집중하중 하는 방법과
각각의 스팬에 균일하중 하는 방법이 부속서 규정 A1에서 언급되어 있다.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65

4.4 유럽의 WPC 규격


유럽에서는, 1961년 유럽 18개국의 표준화기관이 참가해서 창설한 유럽표준화위원
회(CEN :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Comite Europeen de Normalisation))
이 유럽규격(EN : European Norm)을 제정하고 있다. 유럽 각국은 원칙으로서 EN 그
자체를 자국규격으로서 채용하게 된다. 또한, 예비규격으로서 prEN이나 잠정규격의
ENV 등이 있어, 이것들은 입안 단계의 소안(素案) 혹은 잠정안이며 최종규격은 아니
다. 유럽규격이 발행되었을 경우, EC 가맹국내에서는 같은 내용의 국내 규격은 자동
적으로 폐지되게 된다.
유럽의 WPC 관련 규격에서는 EN은 아직 없고, 규격으로서 빠른 시기에 합의에 이
르지 않을 경우나 기술이 충분히 성숙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 발행되는 기술사양서(TS:
Technical specification)의 단계다. 2007년에 CEN/TS 15534-1∼3 : 2007이 발행되었다.
이것은 Part 1에서 3까지 있는데, Part 1은 [WPC 소재 및 제품의 평가시험 방법], Part
2가 [WPC 소재의 특성], Part 3이 [WPC 제품의 특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TS에는
EN의 위치가 없으므로, 멤버 각국은 나라의 규격으로서 채용할 의무는 없다.

4.4.1 소재규격(CEN/TS 15534-2 : 2007)

CEN/TS에 있어서의 WPC의 정의는, 「플라스틱 성형기술을 사용해서 하나 혹은 수


종의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하나 혹은 수종의 셀룰로오스계 재료와의 복합화에 의해
제조된 재료 혹은 제품」이라고 하고 있다. 각 시험은, Part 1의 평가 시험 방법을 따라
서 행하여진다. 표 21에 성능항목과 준거규격을 나타내었다. 각 성능항목은, 옥외용
혹은 내장용에 대해서 의무를 부과할 수 있는 것(Required)과 옵션(Option)이 되어 있
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면, 옥외용 WPC 소재로 필수적인 항목은, 밀도, 하중
변형온도(HDT), 휨강도, 흡수·팽윤, 내노후성(담자균 및 연부후), 변색균저항성, 해초
류저항성, 선팽창이며, 옵션은 함수율, 샬피충격강도, 인장강도, 크리프 특성, 브리넬경
도, 내흰개미성, 한계산소지수(LOI)이다.

4.4.2 제품규격(CEN/TS15534-3:2007)

특별한 사항이 없으면 시험편의 최종적인 치수를 50mm × 50mm × 4mm로 하고, 중
66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공구조의 WPC 제품에 대해서는, 시험편의 두께는 조제된 시편의 실제 두께로서 시험


보고서에 명기한다. 시험항목으로서는, 표 21에 나타낸 것 같이 여러 가지로 나뉘고,
소재 규격과 같이 필수항목과 옵션항목으로 나누어진다. 특징적인 시험항목으로서, 충
격강도 시에 있어서 통상의 샬피충격강도 시험 외에 실제 사용 상태를 고려 한 하중재
하시험(荷重載荷試驗)이 있다. 이것은 일정 하중을 재하하는 것이지만, 솔리드 타입의
WPC에 적용되며, 중공 타입에는 EN477에 규정되어 있는 수직낙하 충격시험기를 사용
한다. 이 시험에서는 단면이 중공이기 때문에 시험편의 샘플링에 주의를 필요로 한다.

가) 내후성

내후성에 대해서는, 촉진내후성 시험 시간은 온화한 환경(최난월 평균최고기온 2


2℃ 미만)에서의 사용에서는 1년간 상당의 시험 시간을 800시간, 보다 가혹한 환경(최
난월 평균최고기온 22°C 이상)에서는 1200시간을 규정하고 있다. 촉진내후성 시험 후
에 샬피충격강도, 색차, 쵸킹, 광택변화 등을 평가한다. 또한, 도장한 WPC 제품에서는
촉진내후성 시험기에 제논 등이 아닌 자외선형광램프를 이용한다(EN927-6). 옥외폭로
시험에서는, 시험 후에 충격강도, 색차, 쵸킹, 광택변화 외에 미끄러짐 저항성의 평가
도 행한다.

나) 생물열화 저항성

생물열화 저항성에 관해서 CEN/TS에서는 일본과 미국의 규격과 비교해서 보다 세


분화되어 있다. WPC 재료의 경우, 높은 밀도구조, 캡슐효과에 의해 열화를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전술과 같이 생물열화 평가시험 전에 사용 중에 나타나는 구조변화를 상
정한 열화를 생기게 하고 나서 시험하는 것이 이상이지만, 이것에 관한 연구 실적이
적기 때문에 아직 구체적인 제안은 되지 않고 있다.
흰개미에 대해서는 유럽의 흰개미(Reticulitermes 종)에 대한 목재용 보존제의 평가
에 이용되는 EN 117을 채용할 수 있다. 시험은, 공시하는 시험편을 흰개미의 유일한
먹이로서 채용하는 것이며, 방의제, 방부제가 포함되어 있는 WPC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고, 시험 후의 질량 감소율과 흰개미가 시험편을 갉아먹은 흔적의 육안평가에 의
해 평가된다.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 시험은, 담자균에 대한 저항성 시험으로서 순수 배양으로 성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67

장시킨 목재부후균(담자균)에 의해 내후성을 결정하는 ENV 12038이 사용된다. 시험


후의 질량 감소율이 3% 이하이며 시험편의 함수율이 25% 이하의 경우에 내후성이 있
는 것으로 평가된다. 또, 토양 중에 생식하는 연부후균에 대한 저항성 시험으로서, 제
재품의 시험인 CEN/TS 15083-2 : 2005을 채용할 수 있다. 시험은, 멸균하지 않은 토양
중에 WPC 시험편을 메워서 시험하는 토중매설시험이며, 평가는 담자균 시험과 동일
하다. 어떤. 미생물에 의해 야기되는 변색에 대한 저항성 시험으로서, 플라스틱 재료의
미생물에 대한 영향을 결정하기 위한 시험인 ISO 16869가 사용된다. 방법은, 곰팡이류
에 의한 공격을 플라스틱 부분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인가 아닌가를 평가하는 것으로,
곰팡이를 번식시킨 배지 위에 시편을 둘 것인지 곰팡이 포자를 뿌려서 곰팡이에 의한
영향을 판정한다. 다른 나라의 규격에 없는 시험으로서는, 해초류에 대한 저항성 시험
이 있다. 도장 도막의 해초류에 의한 영향을 결정하기 위해서 prEN15458이 사용된다.
방법은, 도막의 대신으로 WPC 시험편을 채용하고 두께의 영향을 고려하여 WPC 시편
을 해초류가 성장한 배지 속에 넣고 표면의 변색을 평가한다.

다) 열적 성질

열적 성질에서는, 선열팽창시험 이외에 열복귀시험(heat reversion)이 있다. 이 시험


은, 온도 상승 시에 있어서의 단면의 선형수축의 비율을 보는 것으로, 가열 전후의 길
이의 차이를 초기 길이를 기준으로 한 퍼센트로 나타낸다. 이 때의 치수안정성은 압출
성형 공정 시의 단면 혹은 내부에 있어서의 잔류 응력의 지표가 된다. 이것에 의해,
WPC의 사용 중에 있어서의 단면의 변형을 예측할 수 있다. WPC 단면의 100℃에 있
어서의 열복귀는 EN 479을 써서 측정한다. 이것은 100°C에서 1시간 건조한 때의 길이
를 측정한다. 한편, 태양 에너지 흡수에 의해 야기되는 온도의 상승(발열성)이 WPC제
품의 치수안정성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므로, 이 영향을 평가하는 발열성 시험이 있다.

라) 연소성

연소 거동은 한계산소지수(LOI)에 의해 평가된다. 이것은 질소와의 혼합상태에 있


어서의 산소의 최저한농도를 결정하는 시험방법이며, 시험편의 연소를 계속시키는데
필요한 최저한의 산소농도를 산소지수값이다. 화염에 대한 반응에서는, 단일화염원인
시험이 건축재료의 착화성의 평가에 사용되어진다. 또한, 단일연소(SBI) 시험은, 직각
68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의 코너를 구성하는 두개의 대형의 수직날개로부터 이루어지는 시험편을 버너의 화염


에 폭로시키는 시험으로, 열발생, 가로방향화염전파, 연기발생, 낙하화염액적, 낙하화
염편 등이 평가된다. 방사열원시험(바닥용)은, 시험조 내에서의 열류 방사에 폭로된 수
평의 WPC 바닥재의 화염전파와 연소거동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4.4.3 규격 개정의 움직임

현재 CEN/TC 249/WG 13에 있어서, 유럽에 있어서의 WPC 규격인 CEN/TS 15534의
개정이 진척되고 있다. 이것은, 현행의 3부 구성으로부터 아래와 같이 소재(컴파운드)
및 WPC의 제품 별로 세분화하는 것이다.

가) Part 1 : 컴파운드 및 제품의 평가를 위한 시험방법

양생(23℃/50% RH 또는 20℃/65% RH), 물리적·기계적 성능, 크리프 특성, 내자국


성, 나사못 유지력, 인발저항, 내구성, 생물열화저항성, 열적성질, 연소거동, 기타(쵸킹,
광택, 박리강도).

나) Part 2 : 하중부하용도(건재용도) - 휨성능에 관한 개량 요소의 결정(미착수)

현재는 데크 등의 비건재용도가 중심이지만, 최종적으로는 건재로서 사용이 기대된다.

다) Part 3 : 컴파운드의 성질

옥외용에서의 요구성능으로서, 밀도, 가열변형온도, 휨성능, 팽윤·흡수, 담자균·연부


후균·변색균, 해초류에 대한 저항성, 선열팽창을 그리고 옥외용의 옵션 성능으로서, 함
수율, 샬피충격강도, 인장성능, 크리프 특성, 내자국성(브리넬 경도), 내의성, 산소지수.
여기에 내부 사용에서의 성능을 더한다.

라) Part 4 : 데크에서의 사용에 관한 제품의 사양서

제조자에 의한 베이스 폴리머 및 셀룰로오스계 원료의 배합의 명시, 재활용 원료의


이용, 제조자에 의한 필수항목의 결정, 물리적·기계적 성능, 내구성, 그 밖의 성능은 사
용자로부터의 요청으로 검토가 이루어진다.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69

필수항목 : 물리적 성능, 미끄러짐 저항, 3방향치수, 변형, 낙하하중저항성, 휨성능


(최대하중, 500N 하중시), 크리프 거동, 사용 시의 스팬길이, 내구성, 촉진내후성, 옥외
폭로, 반복 조건하에서의 내수성, 끓임 시험, 선팽창계수

마) Part 5 : 벽재료에서의 사용에 관한 제품의 사양서

제조자에 의한 베이스 폴리머 및 셀룰로오스계 원료의 배합의 명시, 재활용 원료의


이용, 제조자에 의해 제공되는 필수 및 부가적 성능을 결정하고 있다.

바) Part 6, 7 : 펜스, 가구 등

Part 4 및 5에 대해서는 증명 규정이 검토되고 있다. 이것은 장래적으로 유럽시장에


서 대부분의 제품에 붙여지는 CE(Conformite Europeenne(European Conformity) : 유럽
적합)) 마크를 제품에 표시할 예정이다.

4.5 국제표준화(ISO)의 움직임


국제표준화는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 국제표준화기구)에 의해 제정
되고 있어, WPC에 대해서도 국제표준화를 향해서 ISO TC61 SC11에 있어서 기준화안
의 제출이 예정되어 있다. TC61 SC11은, 일본에서는 일본플라스틱공업연맹이 국내사
무국을 하고 있다. 2011년 9월에 개최된 TC61 SC11의 총회에 있어서, 한국에서 신규
워킹(working) 과제로서 WPC의 규격화(Test Methods for Wood Plastic Composite
(WPC) Deck Boards (WPC deck board의 시험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제안에는, 프랑
스, 인도, 이탈리아, 일본, 태국의 5개국이 참가해, 투표의 결과, 규격화의 프로그램에
추가하는 것에 대한 동의를 얻었다. 이것을 받아서 한국에서 드래프트(draft)의 제시가
예정되고 있어, 가까운 시일 내에 워킹 그룹(WG)이 발족될 것이다. 그러나 미국 및 유
럽에서는 이미 ASTM 혹은 CEN/TC가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독일과 프랑스에
서는, 「CEN/TC249/WG13 내의 WPC의 표준화의 개정 작업이 이미 진척되어 있으므
로, ISO와 CEN의 간에서 같은 내용의 규격의 검토를 진척시키는 것은 타당하지 않고,
ISO가 CEN/TC249/WG13의 결과를 채용하던가 혹은 CEN의 리드의 축인 비엔나 합의
70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표 21> WPC의 소재성능에 관한 각국의 규격


JIS A 5741 : 2012
ASTM D7031-04 CEN/TS 15534-2
JIS A 1456 : 2010
목재·플라스틱 재생 복합재 WPC 소재의 기계적 및 물리적
목재·플라스틱 재생 복합재의 내구성 성질을 평가하기 위한 규격 WPC 소재의 성질에 관한 시험방법
시험방법 가이드
성능항목 준거 규격 성능항목 준거 규격 성능항목 준거 규격
비중 JIS K 7112 비중 D2395 밀도 EN ISO 1183-1 Required
밀도·비중
D792 EN ISO 1183-3
질량변화 JIS A 5905 흡수두께팽윤 D1037 흡수팽윤 EN 317 Required
흡수특성
길이변화 JIS A 5905 함수율 D4442 함수율 ISO 16979 Option
휨성능 JIS K 7171 휨성능 D4761 휨성능 EN ISO 178 Required
인장성능 D4761 인장성능 EN ISO 527-1 Option
샬피충격강도 JIS K 7111-1 내충격성 D4495 휨충격강도 EN ISO 179-1/fU Option
E661
강도 휨크리프 JIS K 7116 크리프성능 D7031 크리프거동 EN ISO 899-2 Option
나사못유지력 D1037
볼트유지력 D5764
경도 브리넬경도 EN 1534
내피로성(참고) JIS K 7118
하중변형온도 JIS K 7191-2 열팽창 D1037 하중변형온도 EN ISO 75-1 Required
비캇트
열특성 JIS K 7206 내동결융해 D7031-04-5.20 선열팽창 ISO 11359-2 Required
연화온도
내고온·저온성 JIS K 7368
내부후성 JIS Z 2101 내부후성 D2017 내부후성 ENV 12038 Required
D1413 CEN/TS 15534-1-Annex D
연부후균저항성 CEN/TS 15083-2 Required
CEN/TS 15534-1-Annex E
내구성 변색균저항성 ISO 16869 Required
해조류저항성 prEN 15458 Required
내의성(참고) JIS K 1571 내의성 D3345 내의성 EN 117 Option
AWPA법 CEN/TS 15534-1-Annex C Option
내해충 D2481
옥외폭로 JIS K 7219 내자외선성 D2565
촉진내후성 JIS A 1415-6.1 G154
내후성
내변퇴색성 JIS A 5905
쵸킹 JIS K 5600-8-6
마찰계수 F1679
미끄럼저항 D2394
내미끄럼성 D2047
내마모성 JIS A 1451 마모 D2394
D4060
발열성 JIS A 1456-부속서 A 화염전파 E84 한계산소지수 EN ISO 4589-2 Option
방내화성능 방내화성 E1354
D1929
폼알데하이드 JIS A 1460
VOC
JIS A 1901
내오염성 내약품성 JIS K 6902
카드뮴 JIS K 6743 약제용탈성 C1308
납 JIS K 6743
수은 JIS K 6743
용탈성
셀레늄 JIS K 6743
비소 JIS K 6400-61-10
6가크롬 JIS K 6400-65-20
4. 여러나라의 WPC 규격동향 71

에 근거해서 ISO/TC61/SC와 CEN ITC249/WGl3과의 공동 작업으로서 행해야 한다」라


고 주장하고 있다.
미국은 ASTM에 관련 규격이 있지만, 이번의 총회에서는 자료나 의견의 제출이 없
었으므로, 이번의 제안에는 소극적 혹은 아직 검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중국에서도 특별한 액션은 없었다. 이것들의 결과로, ISO화는 유럽과 아시아제
국에 있어서 CEN/TS를 기본으로 추진해 갈 것으로 생각되지만, 구체적인 내용의 검토
의 경우에 있어서 미국이나 중국의 참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5. WPC의 문제점과 해결방법


5. WPC의 문제점과 해결방법 75

5. WPC의 문제점과 해결방법

현재 소비자들이 WPC 제품들을 이용하면서 발생된 문제점들로 인해 법적소송이


발생될 수 있다. 발생되는 문제점들의 주요 원인은 강도, 변형, 열팽창, 치수불안정, 미
끄러짐, 수분흡수, 팽창, 뒤틀어짐, 미생물과 흰개미로 인해 침해, 자외선 노출에 의한
광변색 등이다. 해결방법으로는 WPC의 공극률을 낮추어야하고 제조공정에서 요구하
는 온도를 초과하지 말아야하며, 압출속도를 필요 이상으로 빠르게 해서는 안된다. 항
산화제를 반드시 첨가시키고, 제조과정에서 WPC가 충분히 냉각과 수축을 위한 충분
한 기간이 필요하다. 필요한 양의 무기안료를 사용하면 자외선에 의한 광변색이 감소
하고, 미끄러짐을 막기 위하여 WPC의 표면에 깊은 엠보싱으로 미끄러짐을 막을 수
있다.

WPC의 문제점
-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
- 미끄러짐
- 수분흡수, 팽창, 뒤틀림
- 미생물과 흰개미의 공격
- 산화반응에 의한 열화
- 자외선의 노출에 의한 광변색

5.1 WPC 원료에 과도한 함수율


일반적으로 WPC 제조업자들은 WPC 제품들이 수분을 흡수하지 않으며 유지비가
적게 소모된다고 하지만, 실제적으로 불리한 제조공정에서 만들어진 WPC의 경우 검
은 반점의 미생물이나 노병균이 증식할 수 있고, 시간적인 소모, 값비싼 노동과 유지
비가 지출될 수 있다.
76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WPC는 전형적으로 24시간 물속에 침지시켰을 때 0.7-3%의 수분흡수율을 보이는데,


3
주요 원인은 WPC 속의 공극 때문이다. 이론적으로 WPC의 밀도는 1.10 g/cm 정도이
3
나, 실제적으로 0.91-0.95 g/cm 정도이다. 따라서 뒤틀림, 미생물 증식, 열화가 발생될
수 있다.

해결방법 :
1. 공극률이 높을수록 수분흡수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WPC 제품의 공극률을 최
소화해야 한다.
2. 미생물과 노병균은 WPC 표면 근처의 함수율이 20% 이하의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3. WPC의 공극률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셀룰로오스 내의 함수율을 낮추어야
한다. 따라서 목질계 원료를 잘 건조시켜야 한다. 압출 성형과 프레스 성형 시
에 과도하게 높은 온도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WPC의 생산 속도를 너
무 빠르게 해서는 안 된다.
4. WPC 제품의 밀도를 높아야 하는 것이 품질 관리의 일부분이다.

<그림 20> WPC의 미생물에 의한 공격

5.2 소량의 항산화제


태양광 또는 산소에 노출되었을 때, WPC의 부스러짐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항산
화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적은 양의 항산화제를 사용했을 때 산화반응에 의해서 부스
5. WPC의 문제점과 해결방법 77

러짐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공극율이 높거나 밀도가 낮을 때, 금속성분을 포함한 안


료와 첨가제를 사용할 때, 마모와 과도한 열이 생기는 공격적인 제조조건 때문에 부스
러짐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산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다른 조건과 WPC 데크의 응력
발생도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림 21> WPC의 부스러짐 현상

해결방법 :
1. WPC 원료에 적절한 양의 항산화제를 첨가해야 한다.
2. 적절한 양의 기준은 WPC 제품의 산화 개시 시간(oxidative induction time) 수
치로 결정할 수 있는데,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3. 산화 개시 시간도 WPC 품질 관리의 일부분이다.

5.3 고속 압출 공정 및 WPC 제조 후의 급속한 냉각


최악의 경우 WPC 제조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수축율은 0.3-0.5%에 이른다. 다시 말
해서, 6m 길이의 WPC 데크가 1.9cm에서 3.2cm까지 수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주로
중공된 WPC가 빨리 냉각이 되어 수축이 많이 발생된다.

해결방법 :
1. WPC가 제조되는 곳에서 충분하게 양생, 냉각 및 수축이 발생하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어야 한다.
2. WPC를 필요 이상으로 빠른 생산속도에서 제조하면 안 된다.
78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그림 22> WPC의 수축 현상

5.4 많은 양의 재생 WPC와 적은 양의 안료
재생 WPC는 과도하게 산화되었거나 온도나 UV 광선에 민감하기 때문에 WPC의
표면이 하얗게 변색될 수 있다.

<그림 23> WPC의 광변색 현상

해결방법 :
1. 재생 WPC의 양을 최대한 적게 사용해야 한다.
2. 필요한 양의 무기안료(산화철)를 첨가시켜야 한다.
3. WPC 표면에 부착된 얇은 플라스틱 필름을 제거해야 한다.
5. WPC의 문제점과 해결방법 79

5.5 WPC 데크의 미끄러움


WPC 데크는 목재보다 더 미끄럽고 건조할 때 더욱 더 미끄럽다.

해결방법 :
1. WPC 데크보드의 표면을 금속제 브러시로 문질러 줘야 한다.
2. WPC 데크보드의 표면에 깊은 엠보싱을 만들어 줘야 한다.
3. 생고무처럼 미끄럼 방지가 우수한 플라스틱을 사용해야 한다.
4. 특수한 업체에서 생산된 코팅물질을 사용해야 한다.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6. WPC 관련 Q&A
6. WPC 관련 Q&A 83

6. WPC 관련 Q&A

WPC는 어떤 의미입니까?

Wood Plastic Composite의 약자입니다. 나무와 플라스틱을 섞어 합친 것이라는 의미


입니다. 주원료인 목분(50% 이상), 플라스틱 및 약간의 첨가제(상용화제, UV 안정제,
난연제, 방미제 등)를 혼련하여 플라스틱처럼 압출 또는 사출하여 제조합니다.

WPC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습니까?

나무와 플라스틱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합, 성형합니다. 어떤 용도에 사용할 제품


을 만드는 가에 따라 각각 배합 비율이 달라집니다. 또한 나무도 플라스틱도 폐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WPC는 어떤 사이즈가 있나요?

외장용, 내장용, 기타 토목용 등 다양한 사이즈로 성형되​


어 있습니다. 크기, 모양 등의
종류는 제조업체에 문의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WPC의 용도(사례) 절을 참조하십시오.

WPC는 어떻게 보관해야합니까?

어느 정도 온도가 일정하고 평평하며 마른 곳에 놓아두면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


습니다. 직사광선, 비에 젖는 장소를 피해 보관하십시오.

WPC의 성능적 특징은?

재료적으로 재활용 가능한 것입니다. 한 번만 아니라 회수·재활용을 반복할 수 있습


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목재, 플라스틱 함께 미세하게 분쇄한 후 성형하기 때문에 가
시나 거스러미 등이 발생하지 않고 안전합니다.

WPC는 열화합니까?

나무처럼 가시가 나오거나 거스러미가 나오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사용 용도나 배


84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합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제조업체에 문의하십시오.

WPC의 치수 변화는 큽니까?

플라스틱의 배합 비율이 높으면 열에 의한 신축이 발생하기 쉬워집니다. 또한 나무


의 배합 비율이 높으면 흡수에 의한 변화가 커집니다. 그러나 모두 그 소재일 때 보다
변화는 작아집니다.

WPC는 부패하지 않습니까?

기본적으로 부패하지 않습니다.

색의 차이는 있습니까?

나무 만큼은 차이가 없습니다. 그러나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


다. 특히 폐재를 사용하는 경우, 재료를 선별하지 않는 한 이러한 경향이 강해집니다.
안료 등을 섞어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얼룩이 지는 경우도 있나요?

플라스틱을 혼합하기 때문에 나무에 비해 얼룩이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WPC의 절단은 어떻게 하면 좋습니까?

기본적으로 목재의 가공 도구로 절단이 가능합니다.

못은 칠 수 있습니까?

기본적으로 못은 칠 수 없습니다. 고정을 할 경우에는 구멍을 뚫고 나사로 고정하십


시오.

WPC에 도장은 할 수 있습니까?

함유하고 있는 플라스틱이나 표면 마무리 등에 따라 각각 차이가 있으므로 제조업


체에 문의하십시오.
6. WPC 관련 Q&A 85

WPC의 청소는 어떻게 하면 좋습니까?

함유하고 있는 플라스틱이나 표면 마무리 등에 따라 각각 차이가 있으므로 제조업


체에 문의하십시오.

WPC의 보수는 가능합니까?

떨어 뜨리거나 가장자리의 일부가 빠진 것을 접착하려면 시판의 순간접착제로 접착


가능합니다. 그러나 강도 면에서 안전성이 필요한 부위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WPC의 재활용은 가능합니까?

WPC는 본래 자원순환을 목적으로 개발된 소재이므로 재활용 될수 있습니다.

WPC는 불에 탑니까?

나무와 플라스틱과 같이 타지만 불이 붙은 담배를 올려 둔 정도로는 타기만 할 뿐,


불은 붙지 않습니다. 화기에 주의하십시오.

WPC는 재활용품입니까?

모든 그렇다 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폐재를 사용한 재활용 제품이 많이 생


산되고 있습니다.

WPC를 버릴 때 나무와 플라스틱 중 어느 쪽으로 버리면 됩니까?

버리지 말고 재활용하도록 하십시오(대응방법은 제조업체에 문의하십시오). 부득이


버리는 경우 분리방법은 각 지방자치단체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혼련형 WPC와 함침형 WPC는 어떻게 구별합니까?

혼련형 WPC는 목분과 플라스틱을 혼련(kneading)하여 압출 성형한 복합재료이며,


함침형 WPC는 목재 내부에 플라스틱을 함침하여 경화시킨 복합재료입니다.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7. 함침형 WPC
7. 함침형 WPC 89

7. 함침형 WPC

최근 목분과 열가소성수지를 혼련, 압출(또는 사출) 성형한 복합재료가 제조되어 널


리 시용되고 있다. 이 복합재료에 대한 명칭으로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또는 목재·플
라스틱 복합재료」, 「목분·플라스틱 복합재 또는 목분·플라스틱 복합재료」 등으로 불리
고 있다. 약칭으로서 우드플라스틱, WPC, 합성목재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고체상의 목재 내부에 플라스틱 제조용의 비닐계 단량체(monomer)를 주체로
하는 중합성의 수지액을 함침하고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가해 중합(고분자화), 경화시
킨 목재·플라스틱 복합재가 예로부터 시판되어 왔다. 이 복합재료의 명칭으로 「목재・
플라스틱 복합체 또는 목재·플라스틱 복합재료」, 약칭으로 WPC가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제조법이나 성능이 서로 상이한 복합재료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명칭이나
약칭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이 시장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
두 가지를 구별할 수 있는 적절한 명칭과 약칭이 필요하다.
일본목재학회에서는 두 복합재료의 명칭과 약칭을 다음과 같이 구별하고 있다. 함
침형에 대한 명칭으로는 「목재·플라스틱 함침복합재」, 그리고 혼련형에 대해서는 「목
재·플라스틱 성형복합재」로 구별하고 있다. 그리고, 함침형에 대한 약칭으로는 「함침
형 WPC」, 그리고 혼련형에 대해서는 「혼련형 WPC」로 구별하고 있다.
본 장에서는 함침형 WPC에 대하여 기술한다. 넓은 의미에서 WPC는 각종 수지 주
입재나 강화목 등 목재와 합성수지로 구성된 모든 복합물로 취급될 수 있으나, 일반적
으로는 목재에 비닐계 단량체를 주체로 한 수지액을 주입하여 재내에서 중합시킨 재
료를 뜻한다. 목재・플라스틱 복합재는 목재에 플라스틱의 성질을 부여하여 목재의 특
색을 살리면서 결점을 개량한 복합재료로서 영명으로는 Wood Plastic Composite,
Wood Plastic Combination 또는 Wood Polymer Composite로 불리며 일반적으로 머리글
자를 따서 간단히 WPC라고 한다. WPC는 1950년대 중반 미국과 소련에서 거의 같은
시기에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특히 1960년 이후 미국원자력위원회(USAEC)에 의한 방
사선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프로젝트를 주축으로 세계 각국에서 활발히 연구 개발이
시도되었다.
90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7.1 WPC의 제조방법


7.1.1 원료

WPC의 원료는 문자 그대로 목재와 플라스틱이 주체이다. 원료로써 어떤 수종이나


수지액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제품 WPC의 각종 특성 및 가격이 달라진다. 또한, 용도
에 따라 착색제, 가교제 및 난연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7.1.2 목재

WPC용 목재는 약제의 주입성이 좋아야 한다. 가장 널리 이용되는 목재는 자작나무


류로 세계적으로 생산량이 많을 뿐 아니라 주입성이 좋고 목리가 잘 살아나며, 재가
치밀하며 다소 연하기 때문에 중합 중 할렬 등의 결점이 생기지 않는 등 최고의 조건
을 갖춘 수종이다. 이어, 단풍나무류, 참나무류 등의 활엽수 산공재가 적당하며, 그 외
에 졸참나무, 오리나무, 포플러 등도 사용된다. 피나무는 주입성이 매우 양호하여
WPC 제조법이나 물성의 연구용으로는 적당하나, 수지액의 소비가 많고 목리가 강조
되지 않아 실용성이 제한된다.
소나무류의 침엽수재도 연구 면에서는 종종 이용되고 있으나 변재와 심재의 주입성
의 차이가 크므로 변재부분이 많은 열대산 소나무가 적당하다. 침엽수재는 일반적으
로 심재의 주입성이 낮아 재내부로의 균일한 함침이 곤란하기 때문에 대부분 얇은 단
판으로 사용된다. 수종 이외에 변‧심재 및 춘‧추재의 부위, 재의 형상, 선택 부위, 개
체차 등에 따라 주입약제의 함침상태에 차이가 있으므로 재종의 선택도 중요하다.
대부분의 단량체는 물에 용해되지 않으므로 처리목재는 보통 함수율을 10% 이하로
건조하여 사용하며, 함수율은 가능한 한 낮을수록 좋다. 단량체의 통로역할을 하는 막
공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처리 전 24시간 동안 50℃에서 진공건조를 시킨
후에 주입‧함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1.3 수지액

수지액으로는 스티렌(St), 메타크릴산메틸(MMA), 초산비닐(VAc), 아크릴로니트릴


(AN) 등의 비닐계 단량체류, 불포화폴리에스테르(UPE),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단독 또
는 혼합액이 사용된다. 표 22에 WPC의 제조에 사용되는 주요 수지액의 특성을 나타
7. 함침형 WPC 91

내었다.
스티렌(St)은 WPC의 개발 초기에 연구용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중합에 요하는 에
너지와 중합 완결성의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어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다른 수지액
과의 혼합액으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혼합계로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UPE)와의 혼합
액(UPS), 아크릴로니트릴(AN)과의 혼합액(SAN)이 있다. 이들 혼합 수지액은 MMA와
함께 WPC 제조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3대 수지액이다. UPS는 핀란드의 Miettinen 등
에 의해 제안되었는데 가격이 저렴할 뿐 아니라 중합열이 낮고 중합에 필요한 방사선
량도 적다. 또한, 촉매가열법에서도 70℃ 이하의 온화한 조건으로 중합할 수 있다는
반응상의 이점이 있으며 제품의 역학적 성질도 뛰어나다.

<표 22> WPC용 수지액의 주요 특성


수지액 장 점 단 점
중합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중합완
스티렌 비점이 비교적 높고 점도가 적당하며 값
결성이 좋지 않으며 단량체의 악취가 남
(St) 이 싸다
기 쉽다
점도가 높아 주입성이 약간 낮으며, 중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중합열이 낮고 중합에 요하는 에너지가
합에 의해 재가 수축하여 치수안정성이
스티렌(UPS) 적으며 제품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약간 낮다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제품의 치수안정성이 높고 중합체는 강 중합열이 다소 높고 AN은 유독하므로
(SAN) 인하다 취급에 주의를 요한다
중합에 요하는 에너지가 적고 중합 완결성
이 좋으며 단량체의 악취를 없애기 쉽다. 중합에 의한 중합체의 수축이 크고 제품
메타크릴산메틸(MMA) 독성이 비교적 적으며 염료에 의한 염착 은 팽윤측으로 고정되어 재에 공극이 약
성이 좋고 주입성이 좋으며 비점, 증기 간 많다
압이 물과 거의 같아 취급하기 쉽다.
무취, 불휘발성으로 작업성이 좋고 중합 현 단계에서 가격이 비싸고 점도가 높아
아크릴계 올리고머 과정에서 피복(lapping)을 필요로 하지 균일 함침에는 분산매, 용매를 사용할
않으며 중합속도가 빠르다 필요가 있다

WPC용 UPS로 갖추어야 할 성질은 점도가 낮고, 스티렌의 혼입율이 낮더라도 유동


성이 좋으며, 상온에서의 안정성이 크고 가사시간이 길고, 염료와의 혼화성이 양호하며,
경도가 우수할 뿐 아니라 적당한 유연성을 가지며 할렬이 생기지 않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SAN은 후술의 MMA보다 3년 늦게 Kent 등에 의해 발표되어, 그 후 다수의 연구자
에 의해 그 적성이 지지되었다. 혼합비는 St:AN이 60:40의 것이 중합성의 면에서 최적
92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AN의 단독중합에서는 분말폴리머가 되어버리므로 WPC에 부


적당하지만, St-AN은 가격이 싸고 중합에 요하는 방사선량이 적고 강인하며 게다가
AN은 극성(25℃에서 물에 7.4% 용해)이므로 치수안정성이 높은 WPC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중합열이 다소 높고 반응 중의 온도 제어가 곤란한 점과 AN이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특별한 공정관리가 필요하여 기업화에는 문제가 있다.
핀란드 네스테사의 특허에 의하면 St를 주체(70% 이상)로 하고, 폴리부타디엔 10%,
디비닐벤젠, 아크릴산 2~4%, 또는 더욱 더 비스페놀디글리시딜에테르 10%를 가한
수지액을 사용하면 경도 등 재질이 우수한 WPC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그 외 St에
무수말레인산이나 비니리덴클로라이드,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TMPTMA)
를 첨가한 예가 보고되어 있다.
그 외에도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t-부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을 이용한 연구의
예가 있다. 염화비닐은 비점 -14℃, 상온, 상압에서는 기체의 모노머로 주입에는 가압실
혹은 영하 수 10℃의 저온조사가 필요하며, 폴리머는 AN과 같이 분말상이 되므로 다
른 모노머 또는 가소제와 조합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염화비닐리덴은 난연성의
WPC를 얻을 수 있다. 비점이 낮아(31.7℃) 촉매가열법에는 적합하지 않으나 St,
MMA, 아크릴산에틸(EA) 등과 공단량체로서 주입에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테트라부
틸스티렌이나 비닐톨루엔은 높은 비점으로 휘발성이 낮아 중합 시 피복할 필요가 없

<그림 24> 목재와 무수말레인산(MAN)의 화학반응 모식도


7. 함침형 WPC 93

고 중합에 따른 수축도 작으므로 주입액으로 적당하지만 가격 면에서 아직 실용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올리고머(oligomer)도 여러 유형의 것이 개발되어 있으며, WPC용으로는 페닐글리시
딜에테르와 아크릴산(또는 메타크릴산), 2염기산 무수물과 글리콜 및 아크릴산을 반응
시켜 합성한 올리고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류가 검토되고 있다.
대부분의 비닐계 단량체에는 수송, 저장 과정 중의 중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1,4-
benzenediol, 1,4-benzenediol의 monomethylether, tert-butyl-1,2-benzenediol, 2,4-dimethyl-
6-tert-butylphenol 등의 중합금지제(inhibitor)가 함유되어 있다. 이들 중합금지제를 제거
하지 않고 단량체를 그대로 사용하려면 중합개시 전에 촉매(개시제)나 방사선 조사에
의해 이들 중합금지제가 소모될 만큼의 충분한 유리기(free radical)가 생성되어야 한
다. 중합금지제의 작용으로 중합반응이 지연되는 유도기간(induction period)은 중합금
지제의 양과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방사선 조사법의 경우, 그 조사 효율을 높이
기 위해서는 중합금지제의 양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공업적으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PMMA)를 생산할 경우, 중합금지제를 제거하는데 0.01%의 개시제(AIBN)가 필요하
며, MMA에 2,4-dimethyl-6-tert-butylphenol 50 ppm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에는 중합의
완결을 도모하기 위해 AIBN이 0.25% 필요하게 된다.
한편, 일부 수종 중에는 단량체의 중합을 저해하는 물질로 페놀류, 퀴놀류 등의 중
합저해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한 것이 있으므로 단량체의 주입에 앞서 처리재의 추출성
분에 대하여 사전에 충분한 주의를 기우려야 한다. 또한 단량체는 목재로부터 추출성
분을 녹여내기 때문에 반복 사용 시 수지액 중에 추출성분이 쌓이게 된다. 이로 인해
감압 하에서 과잉의 거품이 발생하게 되고 중합반응이 완전히 금지되므로 새로이 개
시제를 첨가하여야 한다.

7.1.4 첨가제

가) 착색제

WPC가 공학적 특성을 이용하는 것만의 용도라면 착색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지만
가구, 내장 등 인테리어 재료로 사용될 경우에는 수지액에 미리 착색제를 조합하여 제
품에 색상을 부여시켜 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제로는 통상 아조
계(azo), 안트라퀴논계(AQ)의 유용성 염료가 사용된다. 유용성 염료는 수지액에 대한
94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용해성이 좋아 착색이 선명하나 중합저해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많고 내광성이 부족하


고 퇴색하기 쉬운 것이 단점이다. 이 점을 개선하고자 할 경우에는, 선명한 착색성은
다소 상실되나 내광성이 비교적 좋은 알코올용성 염료(Cr복합염)를 사용한다. 알코올
용성 염료는 유용성 염료보다 중합 저해성이 낮고 더욱이 MMA에 수용성모노머를 첨
가하면 용해성이 증대하여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염료는 단독으로 사용
되는 일은 드물고 적색, 청색, 황색계의 염료를 각종 비율로 배합, 조색하여 사용한다.

나) 가교제

중합반응을 빠르게 하면 WPC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교제가


종종 첨가된다. 가교제로서는 과산화계 화합물 및 디메타크릴산1,3-부티렌(BDMA), 트
리메타크릴산트리메티롤프로판(TMPTMA) 등의 가교성 단량체류가 이용된다.

다) 난연제

WPC를 건축재로 사용할 경우, 사용 장소에 따라 난연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난


연제로는 함할로겐유기인화합물(예:트리클로르에틸포스페이트)이나 염화비닐리덴, 함
암모니아 등의 난연성 단량체류가 사용된다.

라) 중합촉진제
차아황산나트륨(Na2S2O3), 아황산나트륨(Na2SO3), 아황산수소나트륨(NaHSO3), 질산
제2세륨암모늄[(Ce(NH4)2(NO3)6], 나트륨아미드(NaNH2) 및 각종 아민류 등이 사용된다.

7.2 약제의 주입방법


수지액을 목재 내에 주입하는 방법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목재방부제의 주입방법과
거의 동일하다.

7.2.1 주입조작

일반적인 주입순서는 다음과 같다.


가) 주입관에 원재료인 목재를 넣는다.
7. 함침형 WPC 95

나) 진공펌프로 가능한 한 감압하여 목재내의 공기를 빼낸다.


다) 진공도를 유지하면서 수지액을 도입하여 목재를 액으로 완전히 덮는다.
라) 공기 또는 질소가스로 대기압으로 되돌린다[감압법].
마) 재의 주입성의 난이도에 따라 다시금 감압공기 또는 가압질소에 의해 가압을
유지한다.
바) 가압 종료 후, 서서히 압력을 제거한다[감압-가압법]. 감압 및 가압 시 압력과
유지 시간은 수종, 재의 형상, 치수, 목적 함침량 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나,
감압은 1~20 mmHg에서 0.5~2시간, 가압은 1~20 ㎏/㎠에서 2~20시간의
범위가 일반적이다.

7.2.2 주입장치

실험실적인 주입은 진공 데시게이터와 진공펌프를 연결한 간단한 장치를 사용하여


비교적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공업적으로는 목재(수종, 형상, 치수), 수지액을 광범위
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감압과 가압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7.2.3 주입성의 평가

주입된 수지액 중량의 목재 중량에 대한 비율을 단량체율(monomer loading: ML)이


라 하며 다음 식으로 산출한다.

주입재의 중량 - 무처리재의 중량
ML(%) = 󰠏󰠏󰠏󰠏󰠏󰠏󰠏󰠏󰠏󰠏󰠏󰠏󰠏󰠏󰠏󰠏󰠏󰠏󰠏󰠏󰠏󰠏󰠏󰠏󰠏󰠏󰠏󰠏󰠏󰠏󰠏󰠏 ×100
무처리재의 중량

또, ML의 이론적 최고치(TMML), 즉 목재 공극용적의 전체를 수지액으로 채웠을


때의 ML은 전술한 식으로 구한다.

r de
TMML(%) = (1 - 󰠏󰠏󰠏) × 󰠏󰠏󰠏󰠏 × 100
D r

여기에서, r : 목재의 비중, D : 목재실질비중(진비중 = 1.5) de : 수지액의 비중을


나타낸다.
96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1 2

3 4

5 6
<그림 25> WPC용 약제의 주입과정
1. 초기 진공 2. 채우기 3. 가압 4. 용액의 배출 5. 진공 회수 6. 사이클의 종료
7. 함침형 WPC 97

TMML에 대한 실제 ML의 비율(PTM; percent of TMML), 즉 주입율은 (ML/TMML)×


100으로 나타내며, 이는 목재의 공극에 채워진 수지액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주
입성의 척도가 된다.

7.3 중합방법
목재 내에 주입된 수지액을 중합시키는 방법을 대별하면 방사선을 이용하는 방사선
중합법과 촉매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열촉매 중합법이 있다.

7.3.1 방사선 조사법

주입 수지액의 방사선 중합법은 미국 원자력위원회을 중심으로 상세히 검토가 이루


60 137 24
어져 왔다. 조사용 선원으로는 Co, Cs, Na, 전자선 가속기, 원자로 폐기연료 등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일정한 출력, 안정된 공급, 저렴한 가격, 높은 안정성, 조작의 용이
60
성 등으로 인하여 현재는 Co에서 방출되는 γ선과 전자선 가속기를 이용하여 얻어지
60
는 전자선(β선)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Co는 반감기 5.27년의 γ선을 방출하는 방사
3 6
선 동위원소로서 사용되는 선량율은 10 ~10 rad/hr의 범위이다.
목재내 수지액의 중합을 완결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총선량은 수지액 및 선량율에
따라 달라진다. 예로서 표준선량율이 0.1 Mrad/hr인 경우, MMA에서는 1.0 Mrad,
St-AN(SAN)에서는 2.7 Mrad 정도의 총선량이 필요하다. γ선은 투과성이 대단히 커서
3
주입목재의 밀도를 1.0g/cm 이라고 가정할 때, 반감두께(에너지가 반감하는 거리)는
11.5cm이며, γ선의 10%가 두께 약 38cm의 목재를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γ선 조사법
은 단면이 큰 블록재의 중합에 적당하다.
한편 전자선은 γ선에 비해 투과성이 낮다. 단위 밀도당 재료내로의 투과 두께는 0.5
MeV의 전자선에서는 약 1.25mm, 1.0 MeV의 전자선에서는 약 4mm정도이므로, 전자
선 조사법은 단판의 WPC화나 도료의 경화에 적용되고 있다.

7.3.2 촉매가열법

이 방법은 수지액에 미리 촉매(중합개시제)를 첨가‧용해해 두고서, 주입 후 가열하


여 중합‧경화시키는 방법으로 방사선 조사법보다 늦게 등장하였다. 본래 WPC의 제조
98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를 위해서가 아니라 소나무재 내부의 액체 유통로를 구명하기 위하여 열촉매법에 의


한 스티렌의 중합을 시도하였던 것으로부터 응용된 방법이다.
중합개시제로는 과산화벤조일(BPO), 과산화메틸에틸케톤(MEKPO)과 같은 유기과
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등이 사용된다. MMA에 대해서는 BPO와
AIBN이 사용되나 AIBN쪽이 저온에서도 분해속도가 크고 착색제를 사용할 경우, 과
산화물과 같이 착색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보다 널리 사용된다.
UPS의 중합개시제로서 MEKPO가 주로 이용되며, 이 경우 중합촉진제(나프텐산코발트
등)를 병용하여 상온에서 중합하는 방법도 널리 이용된다. 중합개시제의 첨가율은 수지액
대비 0.2~1%가 일반적이나, 목재추출성분에 의한 중합저해작용의 정도, 착색할 경우
의 염료에 의한 중합의 영향, 잔여 수지액의 보존안정성 등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주입재를 가열함에 있어서 수지액의 휘산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방사
선 조사법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임). 블록재를 취급할 경우, 금속제 용기에 넣거나 알
루미늄호일, 폴리에틸렌필름 등으로 피복하며, 얇은 단판의 경우에는 피복하지 않고
직접 열판사이에 넣고 가열하는 경우가 많다.
가열은 50~80℃의 온도 범위에서 1~20시간 실시한다. 중합반응이 개시되면 재내
온도는 발열반응에 의하여 급격히 상승하여 재료의 크기나 중합속도에 따라 다르지만
반응 최고점에서는 실제 가열온도보다 40~50℃ 정도 높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표 23> 방사선 조사법과 촉매가열법의 비교


방사선 조사법 촉매 가열법
항 목
γ선법 전자선법 중합개시제법 개시제-촉진제법
(1) 중합시의 가열 불필요 불필요 필요 약간의 열 필요
(2) 수지액의 일액형에서는
길다 길다 짧다
가사시간 매우 짧다
큰 블록재의 큰 블록재의
(3) 대상재 얇은 단판 왼편과 같음
균일처리 가능 균일처리곤란
재내부에 열이
(4) 재내부의 효과 투과도가 큼 투과도가 작음 왼편과 같음
잠복하기 쉬움
방사선 취급의 특수기술
(5) 기술면 왼편과 같음 왼편과 같음
특수기술 필요 불필요
조사, 방어시설에 왼편과 같으나 막대한 설비
(6) 설비면 왼편과 같음
막대한 투자필요 연속화가 가능 필요 없음
(7) 인체 위험도 매우 큼 약간 있음 없음 없음
7. 함침형 WPC 99

재내 온도 상승은 수지가 재면으로 스며 나오는 원인이 되며, 100℃ 이상의 온도에서


는 재가 갈라지고 재질의 열화를 초래하므로 이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각 중
합 방법을 비교하여 표 23에 정리하였다.

7.3.3 중합공정의 개량

기타 중합법으로서 방사선 조사와 촉매가열을 병용하는 방법, 마이크로파 가열이나


초음파 조사를 이용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방사선 조사법에서는 중합속도를 크
게 하기 위해 수지액에 증감제인 4염화탄소(CCl4)를 첨가하는 일도 있다. 이 경우, 염
화아연(ZnCl2), 염화니켈(NiCl2) 등을 첨가하면 중합 촉진효과가 더욱 증가된다는 보고
예도 있다.
촉매가열법의 개량법으로는 가열중합 전에 주입재를 폴리비닐알콜, 폴리아미드류
등의 물, 알콜용액 또는 폴리초산비닐(PVAc), 폴리염화비닐, 고무 등의 수성에멀젼에
담구어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수지액의 휘산을 방지하는 방법과 용융금속이나 폴리
에틸렌글리콜(PEG) 중에 침지하여 가열함으로서 피복을 생략하면서 재내의 온도 상
승을 억제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다.

7.3.4 중합성의 평가

중합 후 WPC 내의 고분자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PL(polymer loading: 고분자 함


침량, 중량증가율)로 표시한다.

중합재의 중량 - 무처리재의 중량
PL(%) = 󰠏󰠏󰠏󰠏󰠏󰠏󰠏󰠏󰠏󰠏󰠏󰠏󰠏󰠏󰠏󰠏󰠏󰠏󰠏󰠏󰠏󰠏󰠏󰠏󰠏󰠏󰠏󰠏󰠏󰠏󰠏󰠏 ×100
무처리재의 중량

또한 주입된 수지액량에 대한 중합, 경화된 고분자량의 비율을 중합율(또는 전환율;


degree of conversion)이라 하며 다음 식으로 표시한다. 중합율은 실용상 매우 중요하다.

중합재의 중량 - 무처리재의 중량 PL
중합율(%) = 󰠏󰠏󰠏󰠏󰠏󰠏󰠏󰠏󰠏󰠏󰠏󰠏󰠏󰠏󰠏󰠏󰠏󰠏󰠏󰠏󰠏󰠏󰠏󰠏󰠏󰠏󰠏󰠏󰠏󰠏󰠏 × 100 = 󰠏󰠏󰠏󰠏 ×100
주입재의 중량 - 무처리재의 중량 ML
100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7.4 함침형 WPC의 성질


WPC의 성질은 거시적으로는 수종, 폴리머의 종류 및 함침량에 의존한다. 또한 미
시적으로는 재내에 있어서의 폴리머의 분포상태나 목재세포벽과 폴리머간의 상호작
용성에 의해서도 좌우된다. 후자에 관해서는 다음 절에서 기술한다.

7.4.1 흡습(수)성과 치수안정성

WPC의 성질에서 가장 먼저 기대되는 것은 흡습, 흡수성의 감소와 치수안정성의 향


상이다. 표 24는 촉매가열법에 의한 MMA, UPS계의 피나무 WPC에 대하여 흡습, 흡
수에 의한 초기 및 평형시의 흡습(수)율과 체적팽창율을 나타낸 것으로, WPC는 소재
에 비하여 수분에 대한 저항성이 크고, 특히 초기에 있어서 그 경향이 뚜렷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24> 피나무 WPC의 흡습(수)율(⊿W)과 체적팽창률(⊿V)


흡 습(20℃, 94% RH) 흡 수(20℃, 수중)
⊿W(%) ⊿V(%) ⊿W(%) ⊿V(%)
WPC의 종류 1일째 57일째 1일째 57일째 1일째 72일째 1일째 72일째
MMA계 1.88 6.23 0.48 5.27 7.8 28.4 3.74 9.52
WPC(PL=104.6%)
UPS계 0.20 5.25 0.10 5.42 2.6 11.7 1.65 11.71
WPC(PL=135.2%)
소 계 4.45 18.01 1.52 9.54 66.4 169.2 15.34 16.70

흡습성, 흡수성 및 치수안정성의 평가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무처리재의 값


을 기준으로 처리에 따른 개선의 정도를 나타내는 MEE(moisture excluding efficiency;
항흡습능) 및 ASE[antiswelling(shrink) efficiency; 항팽윤(수축)능]가 이용된다.

U0 - U S0 - S
MEE (%) = 󰠏󰠏󰠏󰠏󰠏󰠏󰠏 ×100, ASE (%) = 󰠏󰠏󰠏󰠏󰠏󰠏󰠏 ×100
U0 S0

U0, S0 : 무처리재의 흡습율(%), 팽윤율(%)


U, S : 처리재의 흡습율(%), 팽윤율(%)
7. 함침형 WPC 101

각종 WPC의 흡습평형 시에 있어서 MEE와 PL의 관계를 살펴보면, MEE는 PL의 증


가에 따라서 급증-점증하며 PL에 의존하고 있다. 다시 말해, WPC화에 의한 흡습성의
감소는 재내에서의 수증기 확산에 대한 고분자의 방습효과에 기인한 바가 크다.
한편, 치수안정성은 사용된 수종, 수지액, 중합조건 등에 따라 다르고, PL 이외에
WPC화에 의한 목재 부피의 증가 즉, 부피팽창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
피팽창이 클수록 치수안정성은 높아진다. 각종 WPC에 있어서 ASE와 PL의 관계를 살
펴보면, 스티렌 단독보다도 단량체-용매계 쪽이, 그리고 γ선 조사보다도 전자선 조사
쪽이 높은 ASE를 갖는다.
MMA와 UPS계의 WPC의 예를 살펴보면, ASE는 PL 30∼70%의 범위에서 극대치를
나타내고, 이보다 높은 PL역에서는 반대로 저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ASE의 PL
에 대한 극대현상은 이미 기술한 부피팽창에 기인한 것이다. 즉, WPC화의 과정에서
목재는 수지액에 의한 팽윤작용과 중합에 따른 수축작용을 받으나, PL이 높은 경우
고분자의 수축량이 보다 크게 되고, 이로 인해 목재도 크게 수축하기 때문에 부피팽창
은 PL의 중간역에서 극대치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향은 MMA와 같이 목재에 대한 팽
윤작용을 어느 정도 지니고 있으며, 고분자의 수축이 비교적 큰 수지액에서 현저하게
나타나며, 방사선법 보다 촉매가열법에서 보다 분명히 나타난다.
UPS계와 WPC의 흡습(수)에 대한 팽창률이 초기에는 낮고, 평형 시에는 MMA계보
다도 높아지는 현상도 팽윤효과에 기인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PS계 WPC는 MMA계
에 비하여 부피팽윤율(bulking effect)이 낮고 ASE도 낮다. 결과적으로, WPC의 흡습성
및 치수안정성의 측면에서 볼 때, PL이 20∼50% 정도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7.4.2 기계적 성질

목재에 3~4 Mrad의 γ선을 조사하거나 80℃에서 가열하더라도 목재는 그다지 열화


하지 않으므로 WPC의 기계적 성질은 부가되는 고분자의 체적분율(또는 PL, 비중)에
거의 비례하여 증대한다. 비중 또는 PL의 증가에 따라 각종 기계적 성능은 직선적으
로 향상하고 있으며, 그 정도는 수종 및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표 25는 자작나무 소재와 WPC의 각종 기계적 성질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물
성치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은 횡압축강도와 경도이며, 기타 성능은 대략 목재 소재
의 1.5~2배 정도의 향상을 보였다.
102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표 25> WPC의 기계적 성질(소재와의 비교)

기계적 성질 소 재 WPC WPC/소재


휨강도 (kgf/㎠) 1,150 1,500~2,000 1.3~1.7배
휨영계수 (t/㎠) 92 140~150 1.5~1.7배
종압축강도 (kgf/㎠) 480 700~1,200 1.5~2.5배
횡압축강도 (kgf/㎠) 160 700~1,000 4.4~6.3배
전단강도 (kgf/㎠) 110 150~400 1.4~3.6배
2
경도 (kgf/㎜ ) 1.5 4~15 1.7~10 배
충격휨흡수에너지 (kg‧cm/㎠) 37.5 30~62 ~1.7배

7.4.3 실용적 성질

가) 표면성능

WPC는 특별히 도장을 하지 않아도 연마나 윤내기 방법에 의해 독특한 광택의 표면


을 얻을 수 있으며, 착색에 의해 고급스러운 색조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경도의 증
대와 함께 내마모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나) 가공성

가공성은 상대적으로 목재에 비하여 다소 떨어진다. 절삭성에 대해서는, PL의 증가


에 의해 절삭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칼날의 수명이 문제가 되고 절입량, 송재속도 및
절삭각을 작게 하는 등의 배려가 필요하다. PL의 증가와 함께 못박기는 점차 곤란하
게 되므로 못 대신에 대개 나사못을 이용한다. WPC의 나사못 유지력은 소재의 1.3~
1.5배 정도로 향상된다. WPC용 함침고분자는 대개 선상고분자로 연화점이 낮은데
WPC를 연마하거나 톱으로 절삭할 때, 마찰력에 의한 발열은 함침고분자의 연화점보
다 높아져 연마중 마쇄파편이 연마지에 녹아 붙어 연마지의 사용수명을 단축하거나
톱날에 부착하여 작업능률을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이 함침고분자의 연화점을 높이기
위하여 고분자의 망상구조를 유도하는 divinyl계 화합물 등의 가교결합제(crosslinker)
를 첨가하여 고분자를 3차원화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 접착성

WPC는 접착제에 대한 습윤성이 작기 때문에 목재에 비해 접착력은 낮으나, 접착면


7. 함침형 WPC 103

을 새롭게 연마하면 접착력은 향상된다. WPC의 접착제로서는 레조시놀수지, 에폭시


수지가 권장되고 있으며, 수성비닐우레탄수지도 양호한 접착성을 갖는다.

라) 내후성(耐朽性)

흡습성 및 흡수성의 감소에 따라 내후성이 향상된다.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


백색부후균)과 부후개떡버섯(Tyromyces palustris: 갈색부후균)에 의한 부후시험 결과,
중량감소율은 두 버섯 모두 WPC의 비중 증가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한다.

마) 내후성(耐侯性)

WPC의 내후성은 목재 소재에 비해 훨씬 향상되나 WPC 그 자체로는 내후성이 충


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따라서 WPC를 옥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료와 보
호제 등에 의한 표면처리가 필요하다. WPC-폴리우레탄도장재의 도막은 무처리 목재-
도장재에 비하여 높은 내구성을 갖는 특색이 있다.
최근 목재세포벽의 수산기를 아세틸기로 치환시킨 다음 세포공극을 플라스틱으로
충전하는 아세틸화 WPC가 개발되어 옥외 간판이나 물의 접촉이 빈번한 주방 등에 그
이용이 기대되고 있다. 비록 WPC가 소재보다 내후성이 좋다고 할지라도 가격의 구애
를 받지 않는 특수 용도에 적합할 것이며, 현실적으로 WPC 정도의 내후성은 WPC보
다 값싼 방법으로도 충분하므로 일반 야외용으로 WPC의 이용은 아직 비현실적인 것
으로 생각된다.

7.5 관능성 수지의 효과


WPC는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보는
관점에 따라서는 몇 가지 검토해야 할 점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천연물인 목재와
합성물인 고분자는 원래 서로 친밀하지 못한 소재이며 복합화에 있어서는 양자 간의
상호 작용성을 높여 보다 큰 복합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이에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 관능성 수지의 적용에 대하여 기술코자
한다.
104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7.5.1 고함침 WPC의 개량

보통 사용되는 St, MMA, UPS 등의 수지액은 소수성이므로 친수성인 목재와의 친화


성이 부족하며, 또한 이들은 고분자화 될 때 체적이 수축한다. 이러한 사실은 WPC내에
있어서 목재-고분자 사이에 이상적인 복합계가 형성되기 어렵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보통의 WPC에 보다 큰 복합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수단으로 수지액에
극성을 부여하여 목재와 고분자간의 친화성을 높이는 것이 합목적적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알코올, 디옥산 등의 극성 용매를 수지액과 병용하는 시도가 많이 행하
여져 왔는데, 최종적으로 WPC내에 고정되어 직접 구조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측면에
서 보면 앞서 언급한 HEMA, GMA와 같은 극성기를 지닌 관능성 수지의 병용이 보다
실용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MMA계 WPC에 HEMA, GMA을 병용한 예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표 26은 MMA
단독 및 MMA와 HEMA, GMA와의 공축합계에 의한 WPC의 휨강도성능과 치수안정
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에서 극성단량체를 첨가한 계에서는 휨비례한도응력(σbp), 휨강
도(σb), 휨영계수(E)가 모두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ASE도 극성단량체 첨가
계에서 상대적으로 높다. ASE의 차이가 크지 않는 것은, MMA 단독계에서도 부피팽
창량이 4% 이상 유지되어 WPC의 치수안정성이 부피팽창효과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
에 기인한 것이다. 극성단량체의 소량 첨가에 의하여 MMA계 WPC의 물성이 향상되
는 것은 분명하며, 이러한 사실은 극성단량체의 공존에 의하여 목재와 고분자가 보다
친밀하게 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표 26> 극성단량체의 병용에 의한 MMA계 함침형 WPC의 휨강도성능과 치수안정성


극성단량체 PL σbp σb E PL 부피팽창 흡습 흡수
비중
첨가농도(%) (%) (kgf/㎠) (kgf/㎠) (t/㎠) (%) (%) ASE(%) ASE(%)
5 130 0.90 620 1,085 98.9 126 6.08 69.9 73.5
HEMA 10 127 0.89 622 1,057 97.1 130 5.13 66.3 71.5
15 127 0.88 574 987 93.1 129 5.48 58.3 59.8
5 141 0.94 545 972 91.1 130 4.60 58.1 66.0
GEMA 10 130 0.93 578 1,031 95.1 124 5.44 59.9 64.9
15 138 0.96 588 1,004 93.9 123 5.42 65.4 71.6
MMA 단독 141 0.97 533 915 80.4 133 4.39 64.0 63.2

(수종: 피나무, 중합개시제: AIBN 0.3%, 중합조건: 63℃, 24시간)


7. 함침형 WPC 105

이를 간접적으로 증명하는 예로서 St 단독계 및 무수말레인산(MAN)과 GMA 10%


첨가계의 WPC에 있어서 고분자의 존재 상태를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으로 살펴
보면 그림 26과 같다. St 단독계의 WPC에서는 세포벽과 고분자와의 계면에 부분적으
로 상당한 간극이 존재하여 양자 간의 밀착성이 불완전한데 반하여, GMA첨가계의
WPC에서는 고분자의 수축에 의해 생긴 공극은 세포벽과의 계면에 형성되지 않고 고
분자 자체의 내부에 빈 공간으로 존재하여 세포벽과 고분자의 밀착성이 양호하다는
것이 관찰된다. 즉, GMA 첨가계 WPC의 복합효과가 보다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 26> 포플러 WPC 샘플의 전자현미경(SEM) 사진. (a) PSt/poplar 횡단면(2000×),
(b) PSt/poplar 종단면(2000×), (c) P[MAN- (GMA-co-St)] 횡단면(1000×), (d)
P[MAN- (GMA-co-St)] 횡단면(1500×)
106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그림 27> Pinus caribaea의 현미경적 구조(100×). (a) 무처리 (b) styrene monomer 함침,
(c) methyl methacrylate monomer 함침.

7.5.2 저함침 WPC의 개량

PL을 5~30% 정도로 낮추어 경제적이면서 개질효과가 높은 수지 저함침 처리도


WPC에 있어서 앞으로 시행해야 할 방법이다. 저함침용 수지액으로는 함침수법으로
보아 단량체보다도 올리고머가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극성기를 가진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올리고머는 분자량이 그다지 크지 않아 목재로의 주
입이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냄새가 없고 불휘발성이며 작업환경이 좋아 중합 시
시료를 피복할 필요가 없는 등 취급상의 이점을 지니고 있다.
저함침의 수법으로는 올리고머와 물과의 에멀젼 또는 물, 유기용매에 의한 용액을
7. 함침형 WPC 107

침지법, 감압법, 또는 감압-가압법으로 주입하고 예비 가열에 의하여 분산매 또는 용


매를 제거한 다음, 후가열에 의해 중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저함침 WPC는 목
재의 치수안정성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어 소량의 극성수지에 의한 복합효과를 기
대할 수 있다. 저함침 WPC는 소재와 다름없는 질적 촉감이 있으며 실용적으로는 도
장처리와의 조합에 의해 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함침된 극성수지가 낮은 고분
자 함침량에 의하여 목재의 내습화, 치수안정화에 기여하는 한편, 목재와 도료 양자의
중간 역할을 담당하여 목재와 도막물성의 갭을 완화시킴으로서 함침-도장재의 도막은
현저하게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 기술은 특히 외장용 목재의 내구화 기술로서 응용이
기대된다.

7.6 함침형 WPC의 용도


WPC는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치수안정성, 기계적 성질, 내마모성, 내후성 등
의 향상에 의하여 건축재료, 공업재료, 가구‧공예재료, 스포츠용품으로서의 이용이 가
능하다. 혼련형 WPC의 등장으로 마루판 등 넓은 면적에서의 용도는 크게 줄어들었
고, 개머리판, 칼자루, 덕콜(duck calls) 등 소형 상품의 부품으로 일부 사용되고 있다.

<표 27> 함침형 WPC의 용도


WPC 용 도
공업화 제품의 주체는 마루판이다. 체육관, 백화점, 공항로비 등 공공시설의 마루나 일반
건축재료 주택에 있어서 현관홀, 거실 및 툇마루의 시공 예가 많다. 마루판재 이외에 창틀, 문, 계
단 및 난간 등도 좋은 이용 분야이다.
금속을 사용하기 곤란한 부재, 내후성, 내약품성이 요구되는 부재로의 이용이 있다. 방직
공업재료
용 샷틀, 북, 철도침목, 형틀재 및 대패받침대 등에 쓰인다.
가구, 계산대, 천판, 기구류의 손잡이 및 문손잡이 등의 이용 예가 있다. 착색한 WPC를
가구‧공예재료
이용하여 종이칼, 만년필 및 라이터 등에 이용되고 있다.
스포츠용품 양궁, 총개머리판, 골프클럽헤드 및 당구용의 큐
기타 악기용재, 음향기기의 캐비넷, 주판, 단추 및 장신구용 재료
108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그림 28> 함침형 WPC 제품들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참고문헌
참고문헌 111

1. 국립산림과학원. 2008.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속보 08-06


호. pp: 1-7.
2.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바닥판. 2011. KS F 3230 한국산업표준. 지식경제부 기술표
준원.
3. 이선영. 2006. 목재플라스틱 복합재의 최근 동향. 산림지. 7월호. pp: 66-67.
4. 이선영. 2006.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산림지. 9월호. pp: 78-80.
5. 이선영. 2006. 목재플라스틱 복합재(II). 산림지. 10월호. pp: 78-80.
6. 이선영. 2006. 목재플라스틱 복합재(III). 산림지. 11월호. pp: 78-80.
7. 재활용 복합체 바닥판. 2011. GR F 2016.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8. American Society of Testing and Materials. 2004. Standard guide for evaluating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wood-plastic composite products. ASTM D 7031.
9. American Society of Testing and Materials. 2010. Standard specification for establishing
performance ratings for wood-plastic composite deck boards. ASTM D 7032.
10. Clemons C. 2002. Wood-plastic composites in the United States: the interfacing of
two industries. Forest Prod. J. 52(6): 10-18.
11.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2007. Wood-Plastic composites(wpc) - Part
2: Characterization of WPC materials. CEN/TS 15534-2.
12.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2007. Wood-plastic composites(wpc) - Part
3: Characterization of WPC materials. CEN/TS 15534-3.
13. Gwon JG, Lee SY, Doh GH, Kim JH. 2010. Characterization of chemically modified
wood fiber using FTIR spectroscopy for biocomposites. J. Appl. Polym. Sci. 116(6):
3212-3219.
14. Gwon JG, Lee SY, Chun SJ, J.H. KIM. 2010. Effect of chemical treatment of wood
fibers on phys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based composites. Korean J. Chem.
Eng. 27(2): 651-657.
15. Gwon JG, Lee SY, Chun SJ, Doh GH, Kim JH. 2010. Effect of chemical
modification of filler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propylene based composites.
Compos. Part A: Appl. S. 41(10): 1491-1497.
16. Gwon JG, Lee SY, Chun SJ, Doh GH, Kim JH. 2012.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 plastic composites hybridized with inorganic fillers. J. Compos.
Mater. 46: 301-309.
17. Gwon JG, Lee SY, H.C. Kang HC, Kim JH. 2012. Effects of exothermic foaming
agents on physical properties of injection foamed wood plastic composites. Int. J.
Precis. Eng. Manuf. 13(6): 1003-1007.
18. Kang IA, Lee SY, Doh GH, Chun SJ. 2009.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
flour-polypropylene composites: effects of wood species, filler particle size and
coupling agent. Mokchae Konghak. 37(6): 505-516.
112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19. Kang IA, Lee SY, Doh GH, Chun SJ. 2010. Water absorption properties of wood
flour polypropylene composites: effects of wood species, filler particle size and
coupling agent. Mokchae Konghak. 38(4):298-305.
20. Kim TW, Lee SY, Chun SJ, Doh GH, Paik KH. 2011. Effects of silane coupling
treatments on wood flour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es. J. Compos. Mater.
45(15): 1595-1605.
21. Klyosov AA. 2007. Wood-Plastic Composites. John Wiley & Sons. New Jersey,
USA. pp: 698.
22. Lee, SY, Kang IA, Doh GH, Yoon HG, Park BD, Wu Q. 2008. Thermal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lactic acid/inorganic filler/wood flour composites. J.
Thermopla. Compos. Mater. 21(3):209-223.
23. Lee SY, Kang IA, Park BS, Doh GH, Park BD. 2009. The effect of filler and
coupling agent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bamboo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es. J. Reinf. Plast. Compos. 28(21): 2589-2604.
24. Lee SY, Chun SJ, Doh GH, Kang IA, LEE S, Paik KH. 2009. Influence of chemical
modification and filler loading on fundamental properties of bamboo fibers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es. J. Compos. Mater. 43(15): 1639-1657.
25. Lee SY, Doh GH, Kang IA. 2007. Influence of hwangto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 flour reinforced high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es. Mokchae Konghak.
35(2): 69-78.
26. Lee SY, Kang IA, Doh GH, Kim WJ, Kim JS, Yoon HG. 2008. Thermal behavior,
mechanical properties, and morphology of PP/Nanoclay/wood flour nanocomposites.
eXPRESS Polym. Lett. 2(2): 78-87.
27. Li YF, Liu YX, Wang XM, Wu QL, Yu HP, Li J. 2011. Wood-polymer composites
prepared by the in situ polymerization of monomers within wood. J. Appl. Polym.
Sci. 119(6) : 3207-3216.
28. Schlechter M. 2005. Plastic Wood: Technologies, Markets. Business Communications
Co., Inc., Norwalk, USA.
29. Stoft DO, Lahr FAR. 2004. Wood-polymer composites: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ome wood species impregnated with styrene and methacrylate.
Materials Research 7(4) : 611-617.
30. Xu Y, Lee SY, Wu Q. 2011. Creep analysis of bamboo high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es: effect of interfacial treatment and fiber loading level. Polym. Compos.
32(5): 692-699.
31. 菊池武恭. 2010. WPCの海外事情, 木材·プラスチック複合材部會 第9回 定期講演會
資料.
32. 今村博之 外. 1983. 木材利用の化學. 23章 木材プラスチック複合体(WPC). 共立出
참고문헌 113

版 : 306-321.
33. 梅村啓志郎. 2010. 混練型WPCの最新動向. 木材工業. 65(8) : 367-370.
34. 日本工業標準調査會. 2006. 木材·プラスチック再生複合材 JIS A 5741.
35. 木口實.2005.木材・プラスチック複合材(WPC)の現狀 - 第2回木材・プラスチッ
ク複合材國際シンポジウム(Bordeaux)で-, 木材保存, 31 : 192-198.
36. 木口實.2007.木材・プラスチック複合材(WPC)の現狀と問題點. 接着の技術, 27(1) :
49-55.
37. 木口實. 2010. 木材・プラスチック複合材(混練型WPC)の耐久性と耐候性, 塗裝工
學, 45(6) : 223-230.
38. 木口實, 片岡厚, 松永浩史, 桃張郁夫, 川元スミレ, 大友祐晋. 2010. 木粉·プラスチッ
ク複合材(混練型WPC)の耐久性(1) 耐水性におよぼす木粉含有率の影響, 木材保存,
36(2) : 52-58.
39. 木口實, 片岡厚, 松永浩史, 桃張郁夫, 川元スミレ, 小林正彦, 大友祐晋. 2010. 木粉·
プラスチック複合材(混練型WPC)の耐久性(2) 土中埋設試驗による耐朽性評價, 木
材保存, 36(4) : 150-157.
40. 木口實, 小林正彦. 2012. 木材・プラスチック複合材(混練型WPC)の性能と技術動
向. 木材工業. 67(2) : 50-55.
○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목록
1. 외국수종육성에 관한 시험. 1959. 56. 산림자원조사보고서 - 전라북도(광주직할시 포함)
2. 한국산 야생용 식물 - 초본편. 1959. 기본 계획구. 1991.
3. 세계인공림에 관한 회의보고서. 1968. 57. 산림자원조사보고서 - 전라남도 기본계획구. 1991.
4. 야생동물실태조사 제 3보. 1968. 58. 환경과 야생동물. 1991.
5. 한국수목해충총목록. 1969. 59. 한국의 임산업. 1991.
6. 한국조류분포목록. 1969. 60. 목재건조기술. 1991.
7. 광릉시험림의 솔잎혹파리구제에 관한 보고. 1969. 61. 목재접착․조색․도장기술. 1991.
8. 야생식용식물도감. 1969. 62. 도시․산림․환경. 1991.
9. 야생동물실태조사 제4보. 1969. 63. 석재자원조사보고서(Ⅰ). 1992.
10. 해외파견기술훈련보고서 - 토양조사와 토지이용구분. 64. 세계의 임산업. 1992.
1970. 65. 아까시나무 자원과 이용. 1992.
11. 한국의 펄프종이 공업. 1970. 66. 세계주요국의 산림․임업법률연구. 1992.
12. 주요 임산물 통계자료. 1970. 67. 수목 및 목재의 성분이용. 1992.
13. 포푸라 주요 병해충의 생태와 방제. 1970. 68. 겨울철새의 도래실태. 1992.
14. 포푸라이용의 현황과 전망. 1970. 69. 산림자원조사보고서(충북). 1992.
15. 조림수익율표. 1972. 70. 산림자원조사보고서(충남). 1992.
16. 송이생산기술 연찬회자료. 1981. 71. 임업연구를 위한 기초통계학. 1992.
17.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 - Ⅰ. 파푸아뉴기니아. 1981. 72. 북한의 임업. 1992.
18. 한국의 송이에 관한 조사보고서. 1981. 73. 한국산 버섯 색인집. 1992.
19. 목재보존 기술자료. 1981. 74. 목질탄화 및 탄화물의 토양개량재 이용. 1992.
20.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 - Ⅱ. 중남미. 1982. 75. 목재열기 건조 스케줄. 1993.
21.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 - Ⅲ. 아프리카. 1983. 76. 산림자원조사보고서(경기도, 서울, 인천, 원주영림서
22. 송이연구 및 생산기술자료. 1984. 포함 기본계획구). 1993.
23.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 - Ⅳ. 동남아시아. 1984. 77. 산림자원조사보고서(제주도 기본계획구). 1993.
24. Compilation of Abstracts on Gall Midges of Woody 78. 합판산업 구조개선방안. 1993.
Plants(수목혹파리에 관한 초록집). 1984. 79. 산림휴양․생태관광계획. 1993.
25. 주요수종의 수익성. 1985. 80-1. 열대목재의 합리적 이용 및 목재산업 국제화
26. Report on Biolog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증진 방안. 1993.
in Korea. 1985. 80-2. Study on Rational Utilization of Tropical
27. 미국과 일본의 산림자원정책. 1985. Timber and Globalization of Korean Wood
28. 오지리의 산림조사평가와 표준오차계산표. 1985. Industry. 1993.
29. 일본의 임산버섯 연구 및 생산기술. 1986. 81. 석재자원조사보고서(Ⅱ). 1994.
30. 산지이용구분조사보고서. 1986. 82. 해외조림투자환경. 1994.
31.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 - Ⅴ. 북미. 1986. 83. 활엽수자원보고서(경상남도 기본계획구). 1994.
32. 임산버섯생산기술 연찬회자료. 1987. 84. 활엽수자원보고서(전라남도 기본계획구). 1994.
33. 간벌소경재의 가공이용기술. 1987. 85. 활엽수자원보고서(제주도 기본계획구). 1994.
34. 산림자원조사보고서 - 강원도 기본계획구. 1987. 86. 목재․재질재료의 성능향상 및 가공․이용기술. 1994.
35. 산림자원조사보고서 - 동부영림서 기본계획구. 1987. 87. 표고재배기술 연구자료. 1994.
36. 산림자원조사보고서 - 중부영림서 기본계획구. 1988. 88. 천마재배기술 연구자료. 1994.
37. 간벌작업지 프라스틱수라집재에 관한 사례연구. 1988. 89. 톱밥 종합이용. 1994.
38. 해외목재자원 및 이용 - Ⅵ. 소련:극동시베리아. 1989. 90. 일본 목재보존공업기술 동향. 1994.
39. 임업투자수익율표. 1989. 91. 임목종자와 양묘. 1994.
40. 산림자원조사보고서 - 경상북도(대구직할시포함) 92. 한국의 목재자원과 수급 및 임산업현황. 1994.
기본 계획구. 1989. 93. 산림측량실무. 1994.
41. 산림자원조사보고서 - 남부영림서 기본계획구. 1989. 94. 목조주택 시공기법. 1994.
42. 미립목지의 주요수종 수확예측. 1989. 95. 한국산 주요목재의 성질과 용도. 1994.
43. 산림토양단면도집. 1989. 96. 통나무집 축조기술. 1994.
44. 해외임산공업현황 - Ⅰ. 대만․일본. 1989. 97. 목질재료의 신접착기술. 1994.
45. 목재도장기술. 1989. 98. ’95임업연구성과설명회 자료(목재산업분야). 1995.
46. 대나무재배기술. 1990. 99. ’95임업연구성과설명회 자료(임산버섯분야). 1995.
47. 산림자원조사보고서-경남(부산직할시 포함) 100. ’95임업연구성과설명회 자료(특수임산물리용분야). 1995.
기본계획구. 1990. 101. 산림생태계 생물다양성 조사분석 및 표본관리 방법. 1995.
48. 일본의 소나무재선충병연구. 1990. 102. 속성활엽수의 해외조림투자환경(베트남, 미얀마, 칠레,
49. 소련․중국의 임업정책연구. 1990. 서호주를 중심으로). 1995.
50. 열대재의 재질과 가공성. 1990. 103. 솔잎혹파리 논문집 Ⅰ. 생태, 피해, 방제전략. 1995.
51. 꿩기르기. 1991. 104. 솔잎혹파리 논문집 Ⅱ. 생물적, 화학적, 임업적 방제. 1995.
52. 산림과 물. 1991. 105. 솔잎혹파리 논문집 Ⅲ. 일본, 유럽, 미국. 1995.
53. 일본의 제재기술동향. 1991. 106. 한국수목해충목록집. 1995.
54. 일본의 목재보존의 기술동향. 1991. 107. 임업분업론과 중국의 임업발전방향. 1995.
55. 세계주요국의 임정연구. 1991. 108. 중국의 임업산업정책과 구역비교연구. 1995.
109. 우리나라 목재수급실태. 1995. 165. 밤나무 재배기술. 2000.
110.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충청남도 기본계획구). 1995. 166. 임업경제동향 2000년/여름. 2000.
111.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전라북도 기본계획구). 1995. 167. 임업경제동향-연차보고서. 2000.
112.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경상북도 기본계획구). 1995. 168. 송이산 가꾸기 및 송이증수. 2000.
113. 임업연구 기본계획. 1995. 169. 한국과 일본의 산지관리 제도. 2000.
114. 뉴질랜드의 임업 및 임산업 투자환경 170. 혼농림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2000.
- 북섬지역을 중심으로. 1995. 171. 원목규격과 해설. 2000.
115. 구조용 목질재료의 이용과 환경영향. 1995. 172. 폐탄광지의 환경복원녹화 기술개발 국제심포지엄. 2000.
116. 한국수목병명목록집. 1995. 173. 임업경제동향 2000년/가을. 2000.
117. 열대활엽수의 해외조림투자환경(말레이시아, 솔로몬, 174. 임업경제동향 2000년/겨울. 2001.
파푸아뉴기니아를 중심으로). 1996. 175. 임업경제동향 2001년/봄. 2001.
118. ‘96연구성과설명회 자료집(임산공업분야) 176. 일본의 산촌진흥시책. 2001.
-산업환경변화에 대응한 임산공업의 새로운 모색. 1996. 177. 비무장지대 조사방안 토론회. 2001.
119. 한․일 산림생산공학 학술회의. 1996. 178. 임업경제동향 2001년/여름. 2001.
120. 임업경제동향 - 연차보고서. 1996. 179. 숯과 목초액 이용. 2001.
121. 계방산 및 울릉도산림생태계의 생물다양성. 1996. 180. 온․한대림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기준
122.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전국 총괄). 1996. 및 지표. 2001.
123.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경기도 기본계획구). 1996. 181. 임업경제동향 2001년/가을. 2001.
124.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강원도 기본계획구). 1996. 182. 한국의 근․현대 산림소유권 변천사. 2001.
125. 활엽수자원조사보고서(충청북도 기본계획구). 1996. 183. Green GNP와 산림자원계정. 2001.
126. 한국산림과 온실가스 -흡수․저장 및 저감방안-, 1996. 184. Traditional Knowledge for Soil Erosion Control in
127. 산림생장 및 수확예측 모델론. 1996. the Republic of Korea. 2001.
128. 환경보전형 곤충병원미생물을 이용한 잔디해충 185. 산림유역의 비점오염원 관리 - 산림작업이 수질에
방제. 1996. 미치는 영향 및 저감대책 -. 2001.
129. 임업연구원소장 곤충표본목록 Ⅰ 나비목. 1996. 186. 주요국의 산림․임업정책. 2001.
130. 임업경제동향-연차보고서(1997). 1997. 187. 주요국의 산림․임업법률. 2001.
131. 나무의 신비. 1997. 188. 임업경제동향 2001년/겨울. 2002.
132. 우리나라의 산촌지역 구분조사. 1997. 189. 임업경제동향 2002년/봄. 2002.
133. 한국의 목재수급실태. 1997. 190. 임업경제동향 2002년/여름. 2002.
134. 산림자원조사보고서. 1997. 191. 도시림의 합리적 이용‧관리방안. 2002.
135. 중국의 임업‧임산업 현황과 투자환경. 1997. 192. 외국의 산불예방과 진화. 2002.
136. 일제시대의 국유림관리 -보호․처분․경영을 193.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2002.
중심으로-. 1997. 194. 중국임업 및 임산업투자환경. 2002.
137. 목조건축의 외장용 목재. 1997. 195. 임업경제동향 2002년/가을. 2002.
138. 조선시대 산림사료집. 1997. 196. 산림수문 장기모니터링 자료집(산림유역의 물순환 조사).
139. 임도망계획방법. 1998. 2002.
140. 임업경제동향-연차보고서. 1998. 197. 북미산 활엽수재의 재질과 용도. 2002.
141. 표고 재배기술. 1998. 198. 백두대간의 생태계 현황 및 관리범위 설정. 2003.
142. 폐목재발생 및 재활용실태. 1998. 199. 세계의 산림자원과 목재무역. 2002.
143. 산림의 온실가스 저감방안. 1998. 200. 2002 수요열린 세미나 자료집. 2003.
144. 목질탄화물(숯과 목초액)의 농업 및 환경적 이용. 1998. 201. 임업경제동향 2002년/겨울. 2003.
145. 설악산 산림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관광개발 202. 임업경제동향 2003년/봄. 2003.
잠재력 평가. 1998. 203. 생물반응기와 생물체 대량배양. 2003.
146. 우리나라 야생동물의 보호․관리실태. 1999. 204. 대기오염과 산림생태계 변화모니터링. 2003.
147. 표고 재배기술향상. 1999. 205. 임업경제동향 2003년/여름. 2003.
148. 임업경제동향-연차보고서. 1999. 206. 흰개미의 생태와 방제. 2003.
149. 자연휴양림 이용특성 및 효율적 관리방향(1). 1999. 207. 홍릉수목원의 버섯. 2003.
150. 송이 증수 및 품질향상 기술. 1999. 208. 주요국의 산림계획제도. 2003.
151. 주요 수종의 육종계획. 1999. 209. 임업경제동향 2003년/가을. 2003.
152. 임업의 새로운 조류. 1999. 210. 북한 산림․임업동향. 2003.
153. 송이 증수 및 인공재배 연구. 1999. 211.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국가보고서 작성 기초 연구. 2003.
154. 임업경제성분석 프로그램 사용설명서. 1999. 212. 제초제 내성 관여 유전자와 효소, 제초제의 생화학
155. 임업경제성분석 지침서. 1999. 및 대사, 형질전환 식물의 잔류물질. 2003.
156. 목재인증제의 동향. 1999. 213. GM 수종의 환경적 고찰. 2003.
157. 도시림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1999. 214. 포플러의 생물학. 2003.
158. 새로운 표고재배기술. 2000. 215. 조선시대 국용임산물(전국지리지의 임산물 항목을
159. 폐목재의 수집체계 개선 및 재활용 촉진방안. 2000. 중심으로). 2004.
160. 식․약용식물 재배법. 2000. 216. 2003 수요열린 세미나 자료집. 2004.
161. 임업연구원 소장 곤충표본목록 Ⅱ 217. 임업경제동향 2003/겨울. 2004.
곤충류(나비목제외). 2000. 218. 산림수자원 모니터링. 2004.
162. 임업경제동향 2000년/봄. 2000. 219. 채종원의 효율적 관리방안. 2004.
163. 한국기록종 버섯 재정리 목록. 2000. 220. 임도밀도 목표량 산정연구. 2004.
164. 백합나무 조림기술. 2000. 221. 임업경제동향 2004년/봄. 2004.
222. 동북아 지역의 사막화 원인과 대책. 2004. 282. 산림 항공사진 검색 시스템 사용자 메뉴얼. 2007.
223. 휴양림 목조시설 유지관리 매뉴얼. 2004. 283. 임업경제동향 2007년/봄. 2007.
224. 알기 쉬운 소나무재선충. 2004. 284. 2007 열린세미나 자료집(상). 2007.
225. 임업경제동향 2004년/여름. 2004. 285. 핀란드 및 독일의 산림부문 온실가스 통계체제. 2007.
226. 생태계접근법의 개념과 이행지침. 2004. 286. 임업경제동향 2007/여름. 2007.
227. 임산물품질인증지침. 2004. 287. 대나무․대나무숯․죽초액. 2007.
228. 두릅나무 및 음나무 재배기술. 2004. 288. 산림유전자원 표본목록. 2007.
229. 임업경제동향 2004년/가을. 2004. 289. 제주지역의 임목유전자원. 2007.
230. 표고와 송이의 최근 재배동향. 2004. 290. 일본의 산촌진흥대책 추진매뉴얼. 2007.
231. 기후변화 협약 관련 IPCC 우수실행지침. 2004. 291. 개량종자 생산을 위한 채종원 조성 및 관리. 2007.
232. 북한 산림․임업동향 및 주요수종. 2004. 292. FSC 산림경영인증 및 CoC 목제품원료인증 교육자료집. 2007.
233. 2004 토요세미나 자료집. 2005. 293. 임산물품질시험 인증지침. 2007.
234. 임업경제동향 2004년/겨울. 2005. 294. 임산염료 자원을 이용한 천연염색(I). 2007.
235. FSC 산림인증 심사용 Check list. 2005. 295. 꽃송이버섯. 2007.
236. 임업경제동향 2005년/봄. 2005. 296. 수목유래 Isoflanovoids 화합물의 구조동정을 위한
237. 목재 유통구조 분석. 2005. 핵자기 공명 및 질량분석자료(Ⅲ). 2007.
238. 광릉시험림 천연소나무림 실태조사. 2005. 297. 목질탄화물의 흡착이용. 2007.
239. 일본의 임지개발허가제도. 2005. 298. 임업경제동향 2007/가을. 2007.
240. 임업경제동향 2005년/여름. 2005. 299. 산림항공사진 영상판독시스템과 수치임상도
241. 2005 열린세미나 자료집(상). 2005. 제작 사용자 매뉴얼. 2007.
242. 임산물품질인증지침(개정판). 2005. 300. 한국의 도시숲. 2007.
243. 산지이용구분도 구축방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005. 301. 리기다소나무림 관리방안. 2007.
244. 실내공기환경과 목질제품. 2005. 302. FSC CoC 목제품원료인증 교육자료집. 2007.
245. 임업경제동향 2005년/가을. 2005. 303. 산불관리 원칙과 전략적 활동 지침. 2007.
246. 항공사진 입체표본철. 2005. 304. 백두대간의 지리적 범위 구명 방안. 2007.
247. 이차대사산물 생산공장으로서의 식물세포배양. 2005. 305. Post-2012 산림탄소 배출권 계정논의 동향. 2007.
248. WTO/DDA 목재류 분야 협상의 최근 동향. 2005. 306. 북한의 산림‧임업 동향 및 주요 수종(Ⅳ). 2007.
249. 수목유래 isoflavonoids 화합물의 구조동정을 위한 307. 2007 열린세미나 자료집(하). 2007.
핵자기공명 및 질량 분석 자료. 2005. 308. 지역개발과 산지법의 신경향. 2008.
250. 독일가문비나무의 생물학. 2005. 309. 일본의 산림기능구분과 산림관리. 2008.
251. 잣나무의 엽록체 유전체. 2005. 310. 임업경제동향 2007/겨울. 2008.
252. 북한 산림․임업동향 및 주요수종 Ⅱ. 2005. 311. 을수동 산림생태지도. 2008.
253. 목침목의 할열 방지 및 폐침목의 재이용. 2005. 312. 지속가능한 관광 및 생태관광 인증. 2008.
254. WTO/DDA 농업협상의 논의쟁점과 단기소득 313. 임업경제동향 2008/봄. 2008.
임산물의 대응방향. 2005. 314. 2008 열린세미나 자료집(상). 2008.
255. 세계의 산불위험예보시스템. 2005. 315. 코린도 칼리만탄 조림지 임목자산 평가조사보고. 2008.
256. 2005 열린세미나 자료집(하). 2006. 316. 임업경제동향 2008/여름. 2008.
257. 임업경제동향 2005년/겨울. 2006. 317.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 현지조사 매뉴얼 -. 2008.
258. 표고재배 및 병해충 관리. 2006. 318. 수치임상도(1:25,000) 표준 제작체계. 2008.
259. 임업경제동향 2006년/봄. 2006. 319. 산림작업용 장비. 2008.
260. 일본 국유림 레크레이션 숲 관련 제도. 2006. 320. 백합나무(Liriodendron tulipifera L.) - 생장특성과 관리기술 -.
261. 2006 열린세미나 자료집(상). 2006. 2008.
262. 임업경제동향 2006년/여름. 2006. 321.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2008.
263. 일본 국유림 레크레이션 숲 관련 제도 Ⅱ. 2006. 322. 모두베기에 의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 2008.
264. 수목의 오존내성 매카니즘과 피해반응. 2006. 323. 남산숲의 식생과 토양 특성. 2008.
265. 소나무재선충병의 국제 연구동향. 2006. 324. 임산염료 자원을 이용한 천연염색(Ⅱ). 2008.
266. 수목의 생리활성 탐색. 2006. 325. 지역공동연구 활성화를 위한 시험림 조성 및 특산수종
267. 기내배양을 이용한 산림자원의 증식. 2006. 발굴. 2008.
268. 수목유래 Isoflanovoids 화합물의 구조동정을 위한 326. 수치임상도 제작 운영ㆍ관리 프로그램 사용자 매뉴얼.
핵자기 공명 및 질량분석자료(II). 2006. 2008.
269. 산지계류의 생태적 복원방법. 2006. 327. 영상탑재 현장조사 시스템 사용자 매뉴얼. 2008.
270. 액화목재의 제조기술 및 이용. 2006. 328. 북한의 산림‧임업 동향 및 주요 수종(Ⅴ). 2008.
271. 임업경제동향 2006년/가을. 2006. 329. 해외 바이오매스 이용 현황 - 일본 -. 2008.
272. 제주시험림 생태관광타당성 조사. 2006. 330. 산림의 유전자원 보존. 2008.
273. 기후변화협약과 산림. 2006. 331. 임업경제동향 2008/가을. 2008.
274. 소나무재선충병 바로알기. 2006. 332. 외래 유전자 도입 포플러 데이터베이스. 2008.
275. 북한 산림․임업 동향 및 주요 수종(Ⅲ). 2006. 333. 산림생태계 관리를 위한 새로운 접근! 산지소생물권.
276. 통계로 본 산림자원의 변화와 임산물 수급추이. 2006. 2008.
277. EU․일본의 임업보조금. 2006. 334. 희귀 산림유전자원 보존 연구. 2008.
278. 2006 열린세미나 자료집(하). 2007. 335. 유실수의 유용성분 분석. 2008
279. 소나무의 유전변이와 유전자원보존. 2007. 336. 국내외 숲해설 관련 인증제도. 2008.
280. 임업경제동향 2006년/겨울. 2007. 337. 호두과피 탈피기 개발 및 이용. 2008
281. 독일 및 이탈리아의 농산촌관광 정책과 현황. 2007. 338. 품질인증 방부처리목재 수종별 방부처리도와 자상처리
기준 추가 타당성 조사. 2008. 392. Ligneous Flora of Jeju Island. 2010.
339. 산지계류의 생태적 복원기법 II - 생태적 복원계획과 분석. 393. 지속가능한 난대림 산림경영 연구의 이론과 실제.
2008. 2010.
340. 산불피해지 생태변화 조사방법 매뉴얼. 2008. 394. 일본의 산림 탄소상쇄 사업 지침. 2010.
341. 유럽 산촌지역의 현황 및 제도분석. 2009. 395. 백합나무 특성 및 관리. 2010.
342. 2008 열린세미나 자료집(하). 2009. 396. 임산염료 자원을 이용한 천연염색(III). 2010.
343. 임업경제동향 2008/겨울. 2009. 397. 인도네시아의 산림․임업. 2010.
344. 산림유전자원 종자목록 - 난대산림연구소 보유편(2009) 398. 해외 바이오매스 이용 현황 -유럽 및 미주-. 2010.
2009. 399. 임산물품질인증 지침. 2010.
345. 임업경제동향 2009/봄. 2009. 400.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 사례집. 2010.
346. 항공영상 활용 현장조사 시스템(소프트웨어) 스탠드 얼 401. 임업경제동향 2010/가을. 2010.
론 버전(Stand Alone Version) 사용자 매뉴얼. 2009. 402. 솔껍질깍지벌레 피해분포도. 2010.
347. 산림입지도(1:5,000) 제작 표준매뉴얼. 2009. 403. 북한 산림․임업동향 및 주요 수종(VII). 2010.
348. 제4차 전국산림자원조사 민유림 총괄편. 2009. 404. 산림 바이오매스 에너지. 2010.
349. 2009 열린세미나 자료집(상). 2009. 405. 산림탄소상쇄 사업설계가이드라인-시범사업용. 2011.
350. 홍릉수목원의 보물찾기-버섯 99선. 2009. 406. 산림유전자원 현지외보존 현황. 2011.
351. 일본의 산촌지역 도농교류 우수사례. 2009. 407. 2010 산림재해백서. 2011.
352. 임업경제동향 2009/여름. 2009. 408. 임업경제동향 2010/겨울. 2011.
353. 일본의 보안림제도. 2009. 409. 산림청지정 희귀멸종위기 식물 제166호 산개나리.
354. 제4차 전국산림자원조사 국유림 총괄편. 2009. 2011.
355. 미국의 국가산림자원조사 지도제작 프로그램. 2009. 410. 일본의 바이오매스타운 조성ㆍ운영 지원 법률 및 제도.
356. 운문골 산림생태지도. 2009. 2011.
357. 미국의 도시녹지 탄소계정. 2009. 411. 임업경제동향 2011/봄. 2011.
358. 식물호르몬 분석 실무. 2009. 412. 홍릉 숲에 사는 개미. 2011.
359. 2009 한국의 산림경관 및 생태계 관리권역. 2009. 413. 편백 시설양묘 시업기술. 2011.
360. 일본의 포름알데히드방출 목질제품 관리제도. 2009. 414. 산불감시카메라 가시권 분석을 통한 ‘산불탐지 가시권
361. 산림종자유전자원 DB 구축 현황. 2009. 지도’. 2011.
362. 조경수 재배기술 관리. 2009. 415. 제6차 국가산림자원조사 및 산림의 건강활력도 조사 현
363. 임업경제동향 2009/가을. 2009. 지조사지침서. 2011.
364. 산림 벌채 부산물의 압축화 기술. 2009. 416. 산림입지토양도(1:5,000) 제작 표준매뉴얼 –ver. 2.0-.
365. 주요 조림수종의 양묘기술. 2009. 2011.
366. 제주지역의 야생버섯. 2009. 417. A1B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개미의 분포와 풍부도의
367. 북한의 산림․임업 동향 및 주요 수종(Ⅳ). 2009. 변화 예측. 2011.
368. 주요국의 국유림 정책 및 경영실태. 2009. 418. 임업경제동향 2011/여름. 2011.
369. 산림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 2009. 419. 곤충페로몬 및 식물체정유를 이용한 산림해충 방제제
370. 숲과 물이 만나는 수변림. 2009. 개발. 2011.
371. 잔불 재확산 방지 관리 기술. 2009. 420. 두륜산 산림생태지도. 2011.
372. 2008~2009 산림재해백서. 2009. 421. 2011년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 제주시험림 산
373. 중국 대나무 도감. 2009. 림경영인증 재심사 보고서. 2011.
374. Feasibilit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422. 2011 제주시험림의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현지이행 성
community based forest management for 과. 2011.
improving watershed condition and poor 423. 방부목재 가이드북(개정판). 2011.
household welfare in west Java, Indonesia. 424. 국가별 목재펠릿 정책 및 유럽의 시장 동향. 2011.
2009. 425. 일본의 바이오매스타운 녹색관광 추진사례. 2011.
375. 일본의 바이오매스타운 조성정책과 추진사례. 2010. 426. 중국 대나무 도감 – 2. 2011.
376. 2009 열린세미나 자료집(하). 2010. 427. 산림치유지도사를 위한 소아천식질환 가이드북. 2011.
377. 1991~2009년 산불발생위치지도. 2010. 428. 산림탄소순환마을 보급형 목조주택 모델. 2011.
378. 임업경제동향 2009/겨울. 2010. 429. 중국의 산림자원조사 체계. 2011.
379. 일본의 환경영향평가제도. 2010. 430. 인도네시아의 CDM 국가 가이드. 2011.
380. Cytokinin의 분자생리학. 2010. 431. 조선에 있는 산림과 전설. 2011.
381. 임업경제동향 2010/봄. 2010. 432. 목질판상제품의 산업현황 및 국제표준화 동향. 2011.
382. 백합나무 시설양묘 시업기술. 2010. 433. 특용자원 표준재배지침서 – 2. 2011.
383.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현장 종동정 매뉴얼. 2010. 434. 산림미생물 유전자원의 관리. 2011.
384. Forest Eco-Atlas of Korea. 2010. 435. 임업경제동향 2011/가을. 2011.
385. 정사항공사진을 활용한 제5차 수치임상도(1:25,000) 제 436. 산림유전자원 현지내 보존림 현황. 2011.
작 매뉴얼. 2010. 43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림분야 감축활동 및 연구동향
386. 2010 열린세미나 자료집(상). 2010.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2011.
387. 유성번식을 통한 무병 천마의 기내생산방법. 2010. 438. 미국의 도시녹지 수목 재적 및 바이오매스 평가. 2011.
388. 임업경제동향 2010/여름. 2010. 439. 숲으로 떠나는 마음 여행. 2011.
389. 지상부 바이오매스 공간분포 추정에 관한 주요국 연구 440. 우리나라의 산림자원 현황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동향 분석. 2010. (2006-2010) 주요 결과. 2011.
390. 세계 산림 수종별 바이오매스 추정. 2010. 441. 호두나무 재배기술. 2011.
391. 옥외시설 및 건축외장재의 유지관리 매뉴얼. 2010. 442. 일본의 보안림 정비지침 및 카나가와현 산림정비 사례. 2011.
443. 소나무재선충병 예찰·진단 지침서. 2011. 456. 임업경제동향 2012/봄. 2012.
444. 북한 산림·임업동향 및 주요 수종(VIII). 2011. 457. 낙엽송의 개화결실 특성과 종자결실 증진. 2012.
445.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소나무재선충병 발생사. 2011. 458. 국제 산림정책 동향. 2012.
446. 아시아의 기후변화와 산불. 2011. 459. 한국개미분포도감(2007~2009). 2012.
447. 포르투갈, 헝가리 산림 현황 및 연구. 2012. 460. 임업경제동향 2012/여름. 2012
448. 광릉 숲의 졸참나무와 서어나무 고사목에 서식하는 딱정벌레. 461. 한국나비분포도감(1996-2011). 2012.
2012. 462. 일본의 버섯 현황과 관련 제도 및 정책. 2012.
449. 임업경제동향 2011/겨울. 2012. 463. 산림작업안전매뉴얼. 2012.
450. 2011 산림재해백서. 2012. 464. 제주도의 착생식물. 2012.
451. 인도네시아 주요 열대수종. 2012. 465. 인도네시아의 REDD+: 인도네시아 국가전략 및 일본의 시범
452. 산림병해충 기술교본. 2012. 사업 사례. 2012.
453. 홍릉 숲에 사는 나비. 2012. 466. 환경정화용 산림유전자원-호랑버들. 2012.
454. 단기소득임산물 경영지원시스템 모형 개발. 2012. 467.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2012.
455. 거제수나무 시설양묘 시업기술. 2012.
ǎพᔑฝŝ⦺ᬱ ᔑฝŝ⦺ʑᚁᕽእᜅ⨭ᰆ
  ᬑญ ǎพᔑฝŝ⦺ᬱ ᱥ Ḣᬱᮡ ᔑฝᯱᬱ᮹ ᳑ᖒᯕᬊŝ ⪹Ğᯕ ᳑⪵ࡽ ᯥᨦʑᚁᮥ }ၽ⦹ᩍ ǎၝ
᮹ ᔗ᮹ ḩᮥ ‫׳‬ᯕŁ ᬑญ᮹ Ł~ᯙ ǎၝᨱí ᝁ഑᪡ ᔍ௲ᮥ ၼ۵ Ŗྕᬱᯕ ࡹʑ ᭥⦹ᩍ ݅ᮭŝ zᯕ
ᝅ⃽⦹ā᜖‫݅ܩ‬

   ⦹ӹ ᔑฝᮡ ᬑญ ༉ࢱ᮹ ᰍᔑᯕ໑ ᔾ໦᮹ ᬱ⃽ᯕ௝۵ ᯙ᜾ ⦹ᨱ ǎၝ᮹ ᔗ᮹ ḩᮥ ‫׳‬ᯝ ᙹ ᯩ۵
ᩑǍ}ၽ ၰ ʑᚁᅕɪᨱ ↽ᖁ᮹ ‫י‬ಆᮥ ݅⦹ā᜖‫݅ܩ‬
   ⦹ӹ ༉ु ᕽእᜅ۵ Ł~᮹ ᯦ᰆᨱᕽ ᔾb⦹Ł ᝁᗮᱶ⪶Ŗᱶ⦹í ⃹ญ⦹ā᜖‫݅ܩ‬
   ⦹ӹ ǎၝᨱí ᇩ⊽ᱩ⦽ ᯱᖙ᪡ ᯹༜ࡽ ⧪ᱶ⃹ญಽ ᇩอ᳒ᯕӹ ᇩ⠙ᮥ Ⅹ௹⧁ Ğᬑ ᷪ᜽ ᜽ᱶ⧉ᮡ
ྜྷು ᱢᱩ⦽ ᅕᔢᮥ ⧕ऽญā᜖‫݅ܩ‬
   ⦹ӹ ᬑญ᮹ ᝅ⃽‫י‬ಆᨱ ‫⦹ݡ‬ᩍ Ł~ᨱí ๅ֥ ⠪aෝ ၼŁ ə đŝෝ Ŗ}⦹ā᜖‫݅ܩ‬


  ᯕ᪡ zᮡ ᬑญ᮹ ༊⢽ෝ ‫ݍ‬ᖒ⦹ʑ ᭥⦹ᩍ Ⲱᕽእᜅ ᯕ⧪⢽ᵡⲱᮥ ᱽᱶ⦹ᩍ ᝅ⃽⧁ äᮥ ᧞ᗮऽญ໑ 
ᨙᱽӹ ǎၝŝ ⧉̹⦹۵ ǎพᔑฝŝ⦺ᬱᯕ ࡹࠥಾ ‫י‬ಆ⦹ā᜖‫݅ܩ‬

Ł~ᩍ్ᇥ̹ ᇡ┢ऽญ۵ ัᥡ
  ༉ु Ł~̹ᕽ۵ ⊽ᱩ⦹Ł Ŗᱶ⦽ ᕽእᜅෝ ၼᮥ ǭญa ᯩᮝ໑ ᬑญ ᔑฝŖྕᬱᮡ Ł~ᩍ్ᇥ̹
Ł~อ᳒ŝ q࠺᮹ ᕽእᜅෝ ᱽŖ⦹ʑ ᭥⦹ᩍ ᯕ ⨭ᰆᮥ ᖁ⡍⦹Ł ᝅ⃽⧕ ӹaŁᯱ ⦹᪅‫ᦥ ܩ‬ӭᨧ۵
ᖒᬱŝ ᱢɚᱢᯙ ⩲᳑ෝ ᇡ┢ऽพ‫݅ܩ‬

  ᇩ⊽ᱩ⦹Ñӹ อ᳒ᜅ౞ḡ ༜⦹ᩡᮥ Ğᬑᨱ۵ ᷪ᜽ ᦭ಅᵝ᜽Ł ၹऽ᜽ ᖒ໦ᵝᗭᩑ௞⃹ ॒ᮥ ᦭
ಅᵝ᜽ʑ ၵ௮‫݅ܩ‬
  Ŗྕᬱᯕ ᯱɮᝍᮥ wŁ ᩕᝍ⯩ ᯝ⧁ ᙹ ᯩࠥಾ ⊽ᱩ⦹Ł ༉ჵᯕ ࡹ۵ Ŗྕᬱᮡ ᱢɚ ᦭ಅᵝ᜽Ł
Ċಅ⧕ ᵝ᜽ʑ ၵ௮‫݅ܩ‬
  ⪮෪ᙹ༊ᬱŝ ᔑฝŝ⦺šᮡ ᯥᨦᯥᔑᨦ᮹ ḡ᜾ᱶᅕෝ ⦽ᯱญᨱ ᱥ᜽⦽ ‫ݡ‬ǎၝ Ʊᮂ᮹ ᰆᮝಽᕽ
š௭~᮹ ⠙᮹ᱽŖᮥ ᭥⦹ᩍ ᩩ᧞ᝅ໦ᱽෝ ᝅ᜽⦹Ł ᯩ᜖‫݅ܩ‬
    ⦺ᚁ༊ᱢᯙ ݉ℕš௭ᮡ ⠪ᯝᨱอ a‫⦹܆‬໑
    š௭ᩩᱶ ᯝ ᱥʭḡ ᩩ᧞⦹ᖵ᧝ ⦹໑  ᝁℎᯝಽᇡ░ ᯝ ᯕ⬥ʭḡอ ᩩ᧞ᯕ a‫݅ܩ⧊܆‬
    ᯝၹš௭ᮡ ᩩ᧞ ᨧᯕ ๅᵝ ☁᫵ᯝŝ ᯝ᫵ᯝᨱอ š௭⦹ᝅ ᙹ ᯩ᜖‫݅ܩ‬

᮹čᱽ⇽ᝁŁ ੱ۵ ᩑ௞ᵝᝅ Ŕ


ⷃ ᵝ  ᗭ  뿸 ᕽᬙ✚ᄥ᜽ ࠺‫ྙݡ‬Ǎ ⫭ʑಽ ჩḡ ℎపญ࠺ ჩḡ

ⷃ ➊  ᜅ  
  
ⷃ ᱥ  ⪵  ᬱ    ᰆ    ᝅ 

ᩑǍḡᬱŝᰆᝅ 

ၝ    ᬱ    ᝅ 
_
ⷃ ᯙ░֘  IUUQXXXLGSJHPLS
ⷃ ᯙ░֘ ⪩⟹ᯕḡᱥᯱၝᬱ₞Ǎḩ᮹᮲‫  ݖ‬ၝᬱᝁŁᖝ░ᨱ ᮹čᮥ ᅕԕᵝ᜽໕ ᝁᗮ⦹Ł ᱶᵲ⦹í
⃹ญ⧕ ऽญā᜖‫݅ܩ‬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제467호

목재·플라스틱 복합재
(Wood Plastic Composites)
2012년 11월 인쇄
2012년 11월 발행

발 행 인 : 구길본
집 필 인 : 이선영・박상범
연 락 처 : Tel. 02-961-2723 Fax. 02-961-2739
발 행 처 : 국립산림과학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7
Tel. 02-961-2584 Fax. 02-961-2579
인 쇄 처 : 웃 고 문 화 사(Tel. 02-2267-3956)
■종이도 나무에서 나옵니다 <비매품>
ISBN 978-89-8176-913-0 93520

이 책의 저작권은 국립산림과학원에 있으며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복제를 금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