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http://dx.doi.org/10.14387/jkspth.2014.39.

59

헤른후트 형제단의 예배 연구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 예배의 형식성, 표현방식, 취향을 중심으로1) -

문호주
(이화여자대학교 교목실 / 실천신학 / 예배와 설교학)

■초록■
www.earticle.net
본 논문의 목적은 1700년대 독일에서 시작된 N. L. 친첸도르프(Nikolaus Ludwig
Zinzendorf)의 헤른후트 형제단(Herrnhut Brüdergemeine) 예배갱신에 대하여 예배의
형식성과 문화적 표현방식 그리고 취향의 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첫째, 본 논문은 예배의 형식성과 문화적 표현방식을 중심으로 친첸도르프와 헤른
후트 형제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던 독일 경건주의 예배와 형제단 예배를 비교 연
구함으로써 형제단 예배의 역사적 독특성을 고찰한다. 그 결과 경건주의가 비형식적
예배갱신을 시도한 반면, 형제단은 형식성이 강조된 질서정연한 예배를 추구하였다.
또한 경건주의가 회개투쟁과 도덕적 생활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으로 예배를 이용했던
반면, 형제단은 예배 안에 강렬한 회화적 수사법과 상징적 언어를 동원하여 그리스도
의 상처를 경험케 하는데 집중하였다. 경건주의가 예배 음악을 회중찬송으로 제한하
려 하였던 반면, 형제단은 음악전담부서인 콜레기움 뮤지쿰을 설립하고 다성률의 합
창곡과 다양한 음악장르 및 여러 악기를 사용함으로써 예배 음악을 더욱 풍성히 하려
고 노력했다.

1) 본 논문은 2013년 필자의 박사학위논문 중 일부를 수정, 보완한 것임을 밝힙니다.


60 ․신학과 실천(Theology and Praxis)

둘째, 본 논문은 형제단 예배의 특성이라 할 수 있는 형식성에 대한 강조와 독특한


문화적 표현을 취향의 문제와 연관지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의례연구가인 P. 부르
디외(Pierre Bourdieu)의 아비투스 개념을 차용하여 형제단 예배를 분석한 결과, 형제
단의 예배에는 친첸도르프의 귀족계급적 문화취향이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친
첸도르프가 형제단의 예배를 서술한 용어 ‘품위’는 당시 귀족계급의 육체적 아비투스
의 발현이었다. 또한 형제단 예배에서 두드러진 친첸도르프의 독특한 음악성과 문학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성은 당시 귀족계급의 음악적 장르와 유미주의적 문화취향이 반영된 것이었다. 품위


의 질서와 음악성 그리고 문학성으로 드러난 친첸도르프의 귀족적 문화취향은 아비투
스의 공식화 기능을 통해 친첸도르프 개인의 사적 이해가 아닌 형제단 전 공동체의
공공적이고 보편적인 이해로 받아들여졌다. 이를 통해 형제단은 공동체적 자부심을
고취시킬 수 있었고 경건주의에 대한 상대적 우월감을 갖게 됨으로써 자신들을 차별
화시킬 수 있었다.

주제어
헤른후트 형제단, 친첸도르프, 예배의 형식성, 문화적 표현방식, 취향

www.earticle.net

I. 들어가는 말

예배는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종교 의례이다. 예배는 주기적으로 반복되고


그 공동체의 삶을 뒷받침하는 사회적이고 개념적인 구조들을 재생하거나 변형
시킴으로써 그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공통된 인생관 혹은 가치관을 내면화하는
것에 일조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예배는 반복적 수행의 매커니즘으로써
기독교 공동체의 정체성을 확보하게 하고 유지 및 발전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
을 수행한다.2) 또한 예배 안에서 구체적으로 표현되는 문화적 표현 양식은 단

2) 안선희,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의례이론의 예배 연구에의 적용: 사회극이론


과 예배갱신의 사회·문화적 함의를 중심으로,”「한국기독교신학논총」 32(2004),
253-274. 조기연, “빅터 터너의 의례이론에 비추어 본 현대예배,” 「한국기독교신
학논총」 83(2012), 251-274.
헤른후트 형제단의 예배 연구․ 61

지 신앙적 경건을 표현하는 수단이거나 종교적 의미만을 생산-전달하는 매개


체를 넘어서 일상적인 사건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구조 혹은 문화적 체계
의 패턴을 지속시키거나 변형시키는 창조적 전략으로 작용한다. 또한 한 기독
교 공동체는 그 공동체가 선호하는 문화적 표현방식을 통해 자신들만의 예배를
구성한다. 예배 안에서 드러나는 특정 문화적 표현방식에 대한 선호는 그 종교
공동체를 넘어서, 그들이 관계 맺고 있는 일상적인 삶의 영역, 즉 그 공동체를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둘러싼 총체적인 문화적 의미 체계와 깊이 관련되어있다.3) 따라서 예배갱신에


대한 연구는 예배가 공동체의 삶을 뒷받침하는 사회적이고 개념적인 구조들을
재생하거나 변형시키는 ‘반복적이고 수행적인 메커니즘’이라는 최근의 예배학
적 연구 결과를 수용하여 고찰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예배갱신에 대한
연구는 일련의 갱신 과정에서 드러나는 문화적 표현방식들 그리고 그것을 통해
드러나지는 취향의 문제까지 포괄하여야 한다.
개신교 예배의 역사에서 회중의 예배참여를 지향하는 대부분의 소규모 공동
체 예배갱신은 기존 예배의 형식적 모습에서 탈피하여 보다 자유롭고 우발적인
분위기의 예배를 추구해왔다.4) 이러한 예배갱신의 흐름은 기존 예배가 지루하
www.earticle.net
여 회중의 예배 참여를 오히려 방해하고 있다는 인식 아래 동시대적인 문화적
표현을 차용하여 생동감있는 예배를 시도한다. 그러나 이런 경향과 달리, 18세
기 독일 루터교 경건주의의 한 지류였던 N. L. 친첸도르프의 헤른후트 형제단
예배갱신은 이전의 경건주의와 달리 예배의 형식성을 간과하지 않고 경건주의
와 확연히 구분되는 문화적 표현방식을 사용하여 새로운 예배를 구성하였다.
또한 형제단 예배에서 즐겨 사용된 문화적 표현방식은 친첸도르프와 형제단의
독특한 문화적 취향을 드러내 준다. 이에 본 논문은 예배의 형식성과 문화적 표
현방식 그리고 그와 관련된 문화적 취향의 관점에서 헤른후트 형제단의 예배갱
신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친첸도르프의 문화적 취향이 형제단 예배의 형식
과 문화적 표현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3) C. 기어츠/ 문옥표 옮김, 『문화의 해석』 (서울: 까치글방, 1998), 111-155.


4) Mary Schaefer, “What is Liturgical Worship,” in Liturgy and Music, eds., Robin A.
Leaver and Joyce A. Zimmerman, (Collegeville: The Liturgical Press, 1998), chap. 1. 참고.
62 ․신학과 실천(Theology and Praxis)

II. 친첸도르프와 헤른후트 형제단

친첸도르프는 1700년 5월 26일 드레스덴(Dresden)의 오스트리아 귀족가문


출신에서 선제후국 장관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러나 그의 탄생 이후 6주 만에
그의 아버지가 사망하였고, 친첸도르프와 그의 어머니는 외가로 보내어졌다. 당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시 P. J. 슈페너(Phillipp Jacob Spener)에서 시작하여 A. H. 프랑케(August


Herrman Francke)로 이어져 독일 전역에 유행하였던 경건주의 운동은 그의 외
가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5) 친첸도르프의 외할머니는 당시 경건주의의 주요
인물 중 하나로서, 친첸도르프의 유아세례 시 증인(Baptismal sponsor)이었던
슈페너를 비롯한 많은 경건주의자들이 그녀를 방문하여 종교적이고 신앙적인
교제를 나누었다.6) 그들의 경건주의적 신앙형태와 생활방식들은 어린 친첸도
르프의 사고와 정서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친첸도르프는 10살이 되던
1710년 당시 경건주의의 중심지였던 할레(Halle)에 있는 프랑케의 기숙학교
(Pedagogium)으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경건주의적 교육을 받았다.7)
www.earticle.net
이후 친첸도르프는 신학을 공부하고 싶었으나 가족들의 바람에 따라 당시
루터교 정통주의의 근거지였던 뷔텐베르그(Wittenberg) 대학의 법학과로 진학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친첸도르프는 신학에 훨씬 더 관심이 많았다. 친첸
도르프는 뷔텐베르크 대학 재학시절 정통주의자들과 경건주의자들을 중재하려
했지만 실패하였다. 그는 대학 졸업 후 유럽을 돌아다니며 개혁파, 영국 성공회,
메노파(Mennonites), 아르메니안파(Armenian) 등 다양한 종파의 기독교인들과
교제하였고, 이러한 교제를 통해 종파와 신앙적 배경이 다를지라도 참된 신앙

5) 친첸도르프는 후에 자신의 신학적 원리들이 상당 부분 외할머니로부터 비롯되었음


을 고백했다. Erich Beyreuther, Der Junge Zinzendorf, (Marburg an der Lahn:
Verlag der Francke-Buch-handlung, 1957), 54.
6) August Gottlieb Spangenburg, The Life of Nicholas Lewis Count Zinzendorf,
trans. Samuel Jackson, (London: Samuel Holdworth, 1838), 1.
7) 친첸도르프의 유년시절은 가족들의 지원으로 유복하였다. 제국의 백작의 후예로서
친첸도르프는 당시 할레 경건주의 학교에서 금지하던 춤과 승마 펜싱과 카드놀이
같은 것들에 관용적이었으며, 오히려 귀족수업의 일환으로 환영하였다. M. 슈미트
/ 구영철 옮김, 『경건주의』(서울: 성광출판사, 1992), 136.
헤른후트 형제단의 예배 연구․ 63

이 가능함을 깨달았다.8) 이후 친첸도르프는 1721년 고향으로 돌아와 드레스덴


에서 작센 왕실의 왕정의원과 법무관으로 제직하였다.
1722년 여름, 모라비아로부터 형제회(The Unitas Fratrum)의 후손들이 크리
스티안 다비드(Christian David, 1691-1751)의 인도 아래 친첸도르프를 찾아왔
다. 이들은 과거 후스파 운동에서 나온 보헤미아와 매랜 지역의 개신교 교파의
후예들로서 가톨릭의 반종교개혁으로 쫓겨난 피난민들이었다.9) 친첸도르프는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이 난민 이주자들을 환영했고, 자신의 영지인 베델스도르프에서 집단촌을 이루


어 살도록 허락하였는데 이것이 헤른후트 형제단의 발단이 되었다.
친첸도르프와 헤른후트 공동체는 사도적 교회의 모델에 기초하여 독특한 내
부 구조를 형성하였다. 그리스도 안에서 형제자매로 더불어 살아가는 것을 강
조함으로써, 형제단은 전형적인 혈연가족 구조의 중요성을 일부 감소시켰고, 부
분적으로 새로운 조직 형태로 이를 대체하였다.10) 따라서 형제단은 일정 연령
이 지난 독신 형제단원들을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 소속에 따라 남녀 청년숙소
(독, Jüngerhaus)와 찬양대숙소(독, Chorhäuse)로 나누어 배치하고 집단거주를
시도했다. 특히 예배와 교육에 있어서 중심적인 조직이 되었던 찬양대(독,
www.earticle.net
Chore)는 전체 공동체를 더 작은 단위로 쪼개는 하부조직으로서, 그 구성원들
은 동성 및 삶의 환경이 비슷한 사람들로 이루어졌다.11)

8) William George Addison, The Renewed Church of the United Brethren,


(London: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932), 20.
9) Nicholas Hope, German and Scandinavian Protestantism 1700-1918,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38-239.
10) 형제단은 교인들의 성별과 나이, 결혼 유무, 삶의 형태 등에 따라 조직을 구성하
였다. 가장 큰 조직은 찬양대(Chore) 였고, 이하 소 조직은 단(독, Band) 그리고
반(독, Klass)으로 나뉘어 졌다. 단과 반은 개인이 어떤 신앙 경험을 했는지 서로
나누는 소그룹 모임이었고, 찬양대는 형제단 교육과 예배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
을 감당했다. J. 발만/ 오영옥 옮김, 『종교개혁 이후의 독일 교회사』(서울: 대한
기독교서회, 2006), 193.
11) 독신자들이나 미망인 멤버들은 ‘찬양대숙소’라는 공동건물에서 함께 생활했다.
Hans Joachim Wollstadt, Geordnetes Dienen in der christlichen Gemeinde
dargestellt an den Lebensformen der Herrnhuter Brüdergemeine in ihren
Anfängen, (Göttingen: Vendenhoeck & Reprecht, 1966), 104-120.
Katherine M. Faull, Moravian Women's Memoirs: Their Related Lives,
1750-1820, (Syracuse University Press, 1997), 23-24.
64 ․신학과 실천(Theology and Praxis)

친첸도르프는 형제단이 베델스도르프 교구교회에 참석하도록 유도했다. 베


델스도르프 교구교회는 경건주의자들의 방식과 유사한, 성만찬이 자주 생략되
는 설교예배를 실행했다. 그러나 교구의 예배생활로 만족할 수 없었던 친첸도
르프와 형제단은 경건주의 예배와 구분되는 자신들을 위한 새로운 예배들을 구
성하였고, 다양한 예배 문서들을 통해 새로운 예배들의 틀을 제시하였다.12)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III. 형제단 예배갱신의 특징

친첸도르프가 시도한 형제단 예배갱신은 그들의 교회적-신학적 배경이 되었


던 경건주의의 예배와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들이 두드러진다.

1. 형식성을 중시하는 예전적 예배

형제단은 주기적으로 빈번히 반복되는 예배모임을 구성하면서 예배의 형식


www.earticle.net
성에 주의를 기울였다. 경건주의자들이 정통주의 예배의 엄격한 형식성을 탈피

12) 형제단 예배에 관련된 주요 문서는 아래와 같다.


- 「예전소책자」(Liturgien-Büchlein): 형제단 예배 전반에 관련된 예전문들과
기도문들을 취합한 문서로써, 예전적 기도들 뿐 만 아니라 성만찬예전, 세례예전,
장례예식, 임직식 등의 예전문들이 수록되어있다.
- 「성만찬 소책자」(Kommunion-Büchlein): 성만찬 예전문 및 성만찬 기도들을
수록한 문서.
- 「헤른후트 찬송가」(Herrnhuter Gesangbuch): 형제단의 찬송 가사를 수록한 문서.
- 「세레모니책」(Zeremonienbüchlein): 형제단의 예배와 예식에 관련된 일들을
간략하게 묘사한 문서.
- 「헤른후트 일기」(Herrnhuter Diarium): 형제단 공동체의 정기적-비정기적
사건들을 기록한 문서로써, 헤른후트 일기는 예배의 시간과 주제, 로중 본문, 성례
와 예식들에 대한 대략적 정보가 수록되어있다.
- 「청년숙소 일기」(Jüngerhausdiarium): 젊은이 숙소의 공동체 일지로써, 친첸
도르프의 설교와 형제단 구성원들의 삶의 이력과 중요사건들이 수록되어있다.
- 「오버라우지쳐 지역회의」(Oberlausitzer Provinzialsynode): 독일 동북구 지
역의 형제단 관련 공동체들의 지역회의로써, 형제단 예배 및 생활과 사역에 대한
전반적 보고 및 회의문들이 수록되어있다.
헤른후트 형제단의 예배 연구․ 65

해 자유로운 예배모임을 구성했던 반면13), 친첸도르프는 형제단 예배를 일련의


정형화된 틀을 가지고 구성했다. 친첸도르프와 형제단은 특히 주일 전체 예배
뿐 아니라, 평일의 소모임 예배를 위한 예배순서와 형식을 포함하는 예전서
(Agende)를 지속적으로 발간하고 자신들의 예배에 적용하였다.14) 형제단은 자
신들의 예배가 형식적으로 정형화된(독, formulare) 것을 질서정연한 예배 공동
체의 표현으로써 이해했다.15)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그러므로 예배의 확실한 형식을 가지는 것은 하나님의 지혜요 큰 기쁨이다.


그러므로 다른 교회적 모임들에서도 확실한 형식은 필요하다, 왜? 확실한 형식
은 거룩한 행위의 안락함을 도울 뿐 아니라, 사람들이 거룩한 행위 안에서 자유
로운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기능하기 때문에 확실한 형식은 좋은 것이다.”16)

친첸도르프는 형식적으로 정형화되고 질서정연한 예배에 참여하여 지속적으


로 훈련 받음으로써 예배 참여자들이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오히
려 그는 예배 참여자들이 질서정연한 예배를 통해 관습화되고 내면화된 틀 안
www.earticle.net
에서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13) 경건주의 예배의 탈형식적 특징은 아래의 논문들을 참고하라.


Tood E. Johnson, “A Pietist Theology of Worship: P. J. Spener and Liturgical
Reforms,” Covenant Quarterly 58(2000).
John Weborg, “Pietism: The Fire of God Which... Frames In The Heart Of
Germany,” in Protestant Spiritual Tradition, ed. Frank C. Senn (New Jersey:
Paulist Press, 1986).
14) 형제단의 다양한 예배 순서 및 형식은「세레모니책」(Zeremonienbüchlein)에 수
록되어 있다. 또한 형제단은 다양한 예전서(Liturgienbuch)를 지속적으로 발간하였다.
15) Zeremonienbüchlein, 35.
세레모니책」은 D. 크란츠(David Cranz)에 의해 발간된 아래의 책에 수록되었다.
이하 「세레모니책」으로 약칭한다.
David Cranz, Kurze, zuverläßige Nachricht Von der, unter dem Namen der
Böhmisch-Mährischen Brüder bekanten, Kirche UNITAS FRATRUM Herkommen,
Lehr-Begrif, äussern und innern Kirchen-Verfassung und Gebräuchen (n.p., 1757).
16) Ibid., 33.
66 ․신학과 실천(Theology and Praxis)

“거룩한 예식은 그것 자체가 참된 기도를 지지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기독교인들이 예배에서 형식적으로 좋은 모든 것을 박탈해 버린다면,
그런 개혁은 두드러진 태만을 초래하고 시대가 흐름에 따라 종교성의 완전한
상실을 초래하는 결과가 되고 말 것이다”17)

형제단의 예배는 경건주의 예배에 비해 훨씬 더 질서 있고 체계적인 구조 속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에서 진행되었다. 형제단은 회중이 함께 드리는 공동기도 또는 공동연도를 예


배 기도의 기준으로 삼았다.18)

2. 회화적-극적 언어의 설교

형제단 예배와 설교에서 선포된 주된 내용은 그리스도의 상처를 경험하는


것이었다. 친첸도르프는 예수의 ‘십자가 상처’, ‘옆구리의 찔림’이 그리스도의 구
속사건을 가장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이고, 그 상처 속에서 신자들은 구원을 경
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9) 그에게 있어서 예수의 옆구리 상처는 가장 중요하
www.earticle.net
고 명료한 구원의 상징이었으며, 친첸도르프는 이것을 표현하기 위해 독특한
수사학적 방법들을 동원하였다.

“남편의 상처의 연도(The Litany of the Wounds of the Husband)”20)

당신 등의 피거품 우리의 발을 씻기소서!


당신의 보물 저장소에,
예수의 동굴같은 상처
수많은 죄인들이 널찍이 앉게 하소서
당신은 즙이 많아서(succulent)
예수의 자줏빛 상처 무엇이 다가와도 상처와 흐르는 피와 잘
어울립니다.

17) N. L. Zinzendorf, “Zeister Reden, 23.4.1746.” in Nikolaus Ludwig von Zinzendorf:


Hauptschriften in sechs Bänden, vol. 3, (Hildesheim: Georg Olms, 1963).
18) Konferenzen Lindseyhouse 1754, 155.
19) Craig D. Atwood, “Zinzendorf’s Litaney of the Wounds,” Lutheran Quarterly
11(1997), 197.
헤른후트 형제단의 예배 연구․ 67

“누구도 성부 하나님에 직접적으로 입양될 수 없다, 예수는 그 십자가 구원


을 통해 첫 번째로 그 관문을 통과했다, 누구도 성령을 통해 직접적으로 태어날
수 없다, 그는 구원의 관(Canal)을 첫 번째로 통과했다”21)

친첸도르프는 예수의 몸에 생겼던 육체적 구멍을 신자들이 천국으로 들어갈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은유적 대문(portal)과 동일시하였다. 특히 친첸도르프


는 특히 설교와 기도에서 그리스도의 상처를 회화적이고 수사학적인 언어로 생
생하게 묘사했다.
또한 친첸도르프는 그리스도와 신자의 관계를 결혼관계로 비유하였다. 친첸
도르프는 남편과 아내가 나누는 성애적(erotic) 관계의 용어들을 차용하여 그리
스도와 신자의 관계를 회화적으로 표현하였다.

“당신이 고난을 당하신 주님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고서 평생 동안 그것을 잊


지 못하게 된다면, 주님은 당신을 바라보시며 어디든 원하시는 곳으로 당신을
www.earticle.net
데려가실 것이다...주님은 당신을 인간 영혼의 복되신 창조주요 영원한 신랑인
예수의 침실에 함께 거할 동반자, 배우자로 맞아주실 것이다”22)

경건주의 설교에서는 주로 교리-문답 방식과 윤리적 결단을 요구하는 내용


을 강조하였고, 설교에 사용되는 언어도 수사적이고 시적인 단어 보다는 명백

20) N. L. Zinzendorf, “Vier und dreißig homilien über die Wundenlitanei,” in


Nikolaus Ludwig von Zinzendorf: Hauptschriften in sechs Bänden, eds. Erich
Beyreuther and Gerhard Meyer, vol. 4, (Hildesheim: Georg Olms, 1963),
‘Wundenlitanei Homilien’.
이 연도는 C. D. 에트우드가 위의 책에서 발췌하여 영역한 상처연도의 마지막 부
분이다. Craid D. Atwood, “Zinzendorf’s Litaney of the Wounds,” 207.
21) N. L. Zinzendorf, “Einundzwanzig Diskurse über die Augspurgische Confession
4,” in NNikolaus Ludwig von Zinzendorf: Hauptschriften in sechs Bänden, eds. Erich
Beyreuther and Gerhard Meyer, vol. 6, (Hildesheim: Georg Olms, 1965), 102.
22) N. L. Zinzendorf, “from Nine Public Lecture 1746,” in Pietists: Selected
Writings, ed. Peter C. Erb (New York: Paulist, 1983), 324.
68 ․신학과 실천(Theology and Praxis)

하고 이해하기 쉬운 단어들이 주를 이루었다.23) 이에 반해 친첸도르프는 그의


설교와 기도에서 독특한 회화적-극적(dramatic) 수사법을 많이 사용하였고, 이
러한 과장과 과잉의 바로크적 수사법은 때때로 동시대인들과 갈등을 야기했다.
특히 친첸도르프가 그려내는 피투성이 예수의 상처는 동시대인들이 보기에 혐
오스러운 것이었다.24) 반면 형제단에게 그 상처는 보석처럼 빛나는 풍성한 아
름다움으로 인식되었다. 그가 그려낸 신자와 그리스도의 결혼 관계 역시 정통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주의자들과 경건주의자들 모두에게서 비난을 받았다.25) 그러나 형제단에서는


그러한 결혼관계가 예수와 자신들 사이의 가장 내밀한 인격적 관계로 인식되었다.

3. 예배 음악의 다양화

형제단 예배에서 경건주의와 구별되는 특징들 중 하나는 예배 음악이다. 형


제단에게 예배 음악은 자신들의 신앙을 가장 잘 느끼고 표현할 수 있는 예배
요소였다.

www.earticle.net
“노래하는 능력은 아주 특별한 은사로써 우리들은 그 은사를 통해 형제단의
영혼을 인식한다... 그 은사는 음정의 내적인 목소리인 성령으로부터 직접 오는
것으로 그것이야말로 은혜의 표징이다. 나는 설교를 듣는 것보다 주님을 찬양
하며 노래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26)

경건주의자들이 예배 음악을 회중찬송의 반주 정도로 이해했던 반면27), 친

23) 김문기, “Ph. J. Spener의 설교를 통한 17세기 독일 루터교회의 개혁,” 「기독교언


어문화논집」 3 (2000), 294.
24) 이성덕, “친첸도르프와 할레 경건주의,” 「한국교회사학회지」 22(2008), 10-11.
Craid D. Atwood, “Zinzendorf’s Litaney of the Wounds,” 204.
25) Peter Vogt, “Zinzendorf's Seventeen points of matrimony : a fundamental document
on the Moravian understanding of marriage and sexuality,” Journal of Moravian
History (2011), 64.
26) Jüngerhausdiarium, 11. 7. 1785.
D. William Nagel, Geschichte des Christlichen Gottesdienstes, (Berlin: Walter
de Gruyter & Co., 1970) 167. 재인용.
헤른후트 형제단의 예배 연구․ 69

첸도르프와 형제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들의 예배 음악을 발전시켰다.


사실 친첸도르프의 영지에 처음 정착했을 때만 해도 헤른후트 형제단은 다
양한 찬양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지 못했다.28) 이에 친첸도르프는 형제단 초기
부터 찬양하기를 강조하고 그 자신이 솔선하여 음악교실을 열어 지도하였다.29)
그는 스스로를 “목사이면서 칸토”(Minister and Cantor)로 칭했으며 다양한 찬
송책을 출판하였다.30) 또한 형제단의 첫 번째 음악감독이었던 C. F. 그레고르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Christian F. Gregor, 1723-1801)는 보헤미안 형제단의 민속적 음악과 경건주


의의 회중찬송을 다른 세속적 음악(오페라 등)과 결합시켜 새로운 형제단 찬송
들을 만들었다.
형제단의 새로운 음악은 그 장르에 있어서 단선률의 회중찬송에 제한되지
않았다. 형제단은 잘 조직된 찬양대를 위한 다양한 다성률의 합창을 선호했
다.31) 또한 형제단은 혼성 4부(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합창 뿐 아니라
두 개의 찬양대를 위한 합창, 솔로나 듀엣곡의 찬양, 칸타타 등 다양한 합창곡
을 작곡하였다.
형제단은 찬송의 반주에도 다양한 악기를 사용하였고, 가사가 없는 연주음악
www.earticle.net
도 폭넓게 향유하였다. 오르간은 형제단의 예배모임에서 찬양시간의 반주 악기
로 널리 사용되었는데, 서주는 일반적으로 합창곡 선율을 사용했고 합창곡의
사이에는 간주가 연주되었다.32) 또한 형제단은 가사 없는 연주음악에 있어서도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 형제단은 음악전담부서인 콜레기움 뮤지쿰(Collegium
Musicum)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연주음악을 발전시켰다. 형제단은 연
주음악을 단지 예배 음악의 기술을 더 뛰어나게 연마하는 방법으로써 뿐 아니

27) Hans-Christoph Schmidt-Lauber, “The Lutheran Tradition in the German


Lands,” in The Oxford History of Christian Worship, eds. Geoffrey Wainwright
and Karen B. Westerfield Tucke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407.
28) Walter Blankenburg, “chap. 4. The Music of the Bohemian Brethren,” in Protestant
Church Music, eds. Friedrich Blume, (London: Victor Gollancz LTD, 1975), 605.
29)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2001 ed. s.v. “Zinzendorf.”
30) Walter Blankenburg, “chap.4. The Music of the Bohemian Brethren,” in
Protestant Church Music, 601.
31)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2001 ed. s.v. “Zinzendorf.”
32) Ibid.
70 ․신학과 실천(Theology and Praxis)

라 그들의 마음과 정신, 육체의 훈련을 돕는 무해한 취미로 간주하고 이를 장려


하였다.33) 이들의 연주음악에는 바이올린 소나타, 대규모의 오라토리오, 칸타타
등이 포함되었고, 이는 형제단의 음악적 장르의 상당한 넓이와 깊이를 보여주
었다.34)
형제단의 다양하고 광범위한 음악 생활은 집과 학교 교육 커리큘럼에 따라
훈련을 받은 덕분이었다. 음악 훈련은 단순히 찬양을 부르는 수준을 넘어서는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것으로, 당시 주변의 다양한 음악문화 요소들을 반영한 교육이었다. 형제단 학


교의 교재는 연가(love song)에서 당대 거장들의 음악에 이르는 광범위한 장르
의 작품들을 포함하고 있었다.35) 이러한 특징은 형제단이 비록 집단적으로 거
주하는 공동체였음에도 불구하고 공동체 밖의 문화들에 무지하거나 그것과 고
립된 채 생활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 외에도 친첸도르프는 형제단 예배갱신을 통해 성례전의 빈번한 거행, 애
찬과 세족의 도입 등 이전의 경건주의 예배와 대조를 이루는 형제단 예배 고유
의 독특한 특징들을 드러내었다.

www.earticle.net

IV. 형제단 예배의 의례비평적 분석

이 장에서는 형제단 예배갱신에 대한 의례비평적 분석을 통해 친첸도르프와


형제단이 경건주의자들과 달리 예배의 형식성을 중요하시고 문학성과 음악성
이 강조된 독특한 표현방식을 선호했던 이유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P. 부르
디외(Pierre Bourdieu)의 아비투스(habitus) 개념36)을 차용하여 형제단 예배의

33) Ibid.
34) 콜레기움 뮤지쿰은 독일의 헤른후트 지방의 형제단 뿐 아니라 미국과 여타 다른
지역의 모라비안 형제단에도 설치되었고,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시도하였다.
35)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2001 ed. s.v. “Zinzendorf.”
36) 아비투스는 실제적이고 즉각적인 정황 안에 있는 인간행동을 뜻하는데, 이것은
사람들이 사회적 전통을 형성하는 일련의 기질, 다시 말해 구조화하고 결정하게
하는 실천을 창출하는 구조화되고 확정된 태도이다. 의례 안에서 발현된 특정한
아비투스는 특정 계급의 문화 자본의 생산과 유통, 해석과 재생산을 가능하게 하
는 구체적 매개이다. 부르디외는 의례 안에서 계급의 재생산을 위해 기능하는 아
헤른후트 형제단의 예배 연구․ 71

특징들을 분석함으로써, 형제단 예배갱신에서 드러나는 친첸도르프의 계급적


문화취향을 분석할 것이다.

1. 육체 단계의 아비투스 : 품위의 질서

형제단 예배와 경건주의 예배의 가장 큰 차이점은 예배의 형식성과 질서있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는 예전적 행동에 대한 인식의 차이이다. 예배의 형식성과 질서는 예배 구성요


소들의 몸의 움직임의 체계, 다시말해 언어와 행동을 제한하는 육체단계의 아
비투스와 깊이 관련되어있다.

“구세주와 함께하는 예전적 활동이 진행될 때, 그것은 예전의 칸막이(Fach)


안으로 수렴되는 것이 아니다. 청소, 빨래, 큰 것부터 작고 비천한 실행까지, 사
람들이 명명하고 싶고 그렇게 보이는 것들에 이르는 모든 인간 행위들을 행할
때 품위(Würde)를 가지고 행해야 한다... 그것이 예전적인 것이다.”37)

www.earticle.net
친첸도르프는 예배적 행위를 ‘품위(독, Würde)있게’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한
다. 이러한 표현은 그가 예배의 형식과 질서를 성문화된 규율 혹은 엄격한 법적
개념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품위있는 예전행위를 가능케 하는 행동 양식으로써
이해하고 있음을 드러내준다. 형제단 예배에서 발현하려 했던 예전적 질서인
품위는 예배 안에서 맺어지는 그리스도와의 내면적 관계를 외면적으로 표현하
는 행동양식이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것은 ‘품위있는’의 기준과 용어 선택이다.
첫째, ‘품위있는’의 기준은 공동체 내의 신학적 규범이기 보다 형제단 공동체
를 둘러싼 당시 사회체제, 다시 말해 계급적 위계질서 안에서 형성된 귀족계급
의 아비투스와 깊은 관련이 있다. 부르디외는 품위있고 우아한 신체를 유지하

비투스를 육체단계, 표상 혹은 도식단계, 공식화와 차별화 단계로 나누어 설명한


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자료를 참고하라. Pierre Bourdieu, Outline
of a Theory of Practi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72.
P. 부르디외/ 최종철 옮김, 『구별짓기』(서울: 새물결, 2006).
37) Jüngerhausdiarium, 20.4.1760.
72 ․신학과 실천(Theology and Praxis)

는 것을 지배계급의 육체적 아비투스로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품위는 필요로


부터의 거리를 확보하고 일상의 절박한 요구를 중화시키고 실제적 목표를 괄호
안에 넣을 수 있는 여유를 과시하는 것이다.38) 품위가 가지는 계급구별적 특성
은 친첸도르프와 형제단이 생활했던 사회적 환경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당시 독
일 바로크 문화의 영향을 받은 귀족들은 멋진 자세와 외관을 중요시했다.39) 화
려한 궁전생활의 모방으로서 귀족들은 자신들의 의복을 화려하게 늘어뜨려 만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들었고, 가발을 사용하는 등 자신들의 위용과 품위를 과시했다. 따라서 ‘품위’는


이미 당시 귀족계급의 육체적 아비투스를 내포하는 계급 지향적 언어였다.
둘째, 친첸도르프가 ‘품위’라는 용어를 선택하여 예전적 행위를 표현한 것 자
체가 계급적 속성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친첸도르프가 형제단의 예전적 행위를
규정하는 언어로 ‘품위’를 선택한 것은 그의 계급적 이해와 관련되어 있다. 친첸
도르프는 ‘품위’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형제단의 예전적 행위를 가장 고양되고
가치있는 행위로 규정하고자 했다. 따라서 품위는 당시 귀족계급적 행동양식에
대한 긍정과 존중을 전제한 언어이며40), 친첸도로프의 귀족적 생활양식에 대한
긍정과 존중을 예전적 행위라는 신앙적 언어로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www.earticle.net
2. 표상-도식단계의 아비투스 : 음악성과 문학성

친첸도르프의 예배갱신은 그가 선호한 구체적 표현 방식인 문화적 표현과


상징적 언어의 차원에서 독특성을 드러내는데, 그의 음악성과 문학성은 표상
혹은 도식단계의 아비투스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
첫째, 형제단의 예배 음악은 장르의 다양성과 상당한 수준의 음악적 깊이를
보여준다. 주목할 점은 형제단의 음악 작품에 반영된 바로크적 칸타타, 오라토

38) P. 부르디외, 『구별짓기』, 111.


39) A. 레블/ 정영근 외 3인 옮김, 『서양교육사』 (서울: 문율사, 2002), 139.
40) 부르디외에 따르면, 겉으로는 중립적인 것처럼 보이는 ‘검소한’, ‘깨끗한’, ‘기능적
인’, ‘우스운’, ‘섬세한’, ‘고상한’과 같은 일상적이면서도 실제적인 단어들은 서로 다
른 계급들이 각 단어에 상이한 의미를 부여하거나 아니면 똑같은 의미로 쓰더라
도 그 말이 가리키는 대상에 대해 대립적인 가치를 부여하기 때문에 각 단어 자
체 내에서 대립적으로 분화한다. P. 부르디외, 『구별짓기』, 352.
헤른후트 형제단의 예배 연구․ 73

리오, 다성률의 합창곡, 오케스트라 연주음악 등의 방식이다. 부르디외는 지배


계급들이 주로 미술이나 음악 같은 순수예술에 관련된 문화자본을 소유하고 향
유하는 능력을 교양이라 여기며 이것에 특별한 가치를 부여함을 지적하였다.41)
특히 부르디외는 음악이야 말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표현기능을 수행하지 않으
며, 음악 취향이 한 개인의 계급적 특성을 분류하는 확실한 기준이라 주장했
다.42) 형제단의 인적 구성요소를 고려할 때, 친첸도르프를 배제하고 형제단이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향유했던 오라토리오나 오케스트라음악 같은 바로크적 귀족 음악 취향을 설명


하기란 쉽지 않다. 친첸도르프의 사유지를 찾아와 헤른후트 형제단을 설립했던
대부분의 구성원들은 후스파의 보헤미안 형제단이었다. 이들은 종교적 피난민
들로서 귀족적 음악을 향유할 기회를 가지기 어려웠다. 하지만, 형제단 예배 음
악에서 두드러지는 귀족적 음악 양식들은 친첸도르프의 귀족계급적 아비투스
를 고려할 때 잘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형제단 예배의 음악성은 필요성으로부
터의 해방으로 점철되는 친첸도르프 개인의 귀족적 취향의 발현으로 설명될 수
있다.
둘째, 친첸도르프의 설교와 공동연도에서 드러나는 문학성에 주목할 필요가
www.earticle.net
있다. 친첸도르프의 설교와 연도에는 당시 바로크 문학에서 유행했던 수사학적
표현들과 상징적 언어들이 자주 등장하는데, 그의 설교와 연도에서 두드러지는
회화적이고 극적이며, 앞서 언급한 대로 때때로 과장스럽고 성애적(erotic)인 언
어사용 때문에 다른 신학자들과 논란이 일기도 했다.
부르디외는 지배계급일수록 예술과 문화에 대한 유미주의적 관점을 지향한
다고 지적한다.43) 부르디외는 윤리적 금기(성과 폭력성)를 상징적으로 침범하
는 문화적 표현에 대해 중간계급의 경우 그것을 윤리적 거부감으로 검열하려는
경향이 강한 반면, 지배계급은 필요와의 거리두기, 표현된 대상과의 거리두기와
윤리적 중성화를 통해 그것을 아름다움으로 받아들이는 미적 여유(자유)를 표
현하는 경향이 강함을 지적한다. 이를 감안할 때 친첸도르프의 설교와 기도는

41) 부르디외는 과학이나 기술에 관한 지식과 능력에 비해 문학과 예술에 관한 지식


과 능력에 ‘교양’이라는 훨씬 더 큰 가치를 부여하는 것에 주목한다. Ibid., 517.
42) Ibid., 48.
43) P. 부르디외, 『구별짓기』, 97.
74 ․신학과 실천(Theology and Praxis)

회화적이고 드라마틱한 표현을 사용하여 그리스도의 상처의 잔혹과 괴로움을


아름다움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친첸도르프의 미적 인식의 여유를 보여준다. 또
한 그의 문학은 성애적 상징언어들을 사용하여 윤리적 금기를 침범하는 유미주
의적 관점을 드러낸다. 이러한 친첸도르프의 문학성은 형제단 예배의 기도와
설교를 통해 공동체적으로 표현되었고, 이를 통해 공동체적 신앙 안에서 아름
다운 것으로 인식되었다. 종합하면 친첸도르프의 귀족계급적 아비투스는 그의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음악성과 문학성을 통해 형제단 예배 안에서 발현되었다.

3. 공식화와 차별화 단계 : 자부심

친첸도르프는 헤른후트 형제단의 창립을 통해 종교적 탄압을 받아 쫓겨 온


이들이 새로운 신앙 공동체를 이루었다는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격려했
다.44) 친첸도르프의 이러한 노력은 형제단 예배 안에 표현된 그의 귀족적 문화
취향을 통해 일정부분 결실을 맺을 수 있었다.
친첸도르프의 귀족적 취향은 아비투스의 공식화 기능을 통해 공동체 내에서
www.earticle.net
합당한 방식으로 정착되었다. 친첸도르프는 귀족으로서 자신의 아비투스를 형
제단 예배에 투영시켰다. 품위의 질서와 뛰어난 음악성과 문학성으로 드러난
친첸도르프의 귀족 취향의 아비투스는 반복적이고 수행적인, 그리고 공공적인
(public) 예배라는 장치를 통해 공식화 되었다. 부르드외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한 사회에서 일정한 가치관을 표상하는 언어자원은 불평등하게 배분되어 있
다.45) 동시에 사회적으로 ‘정당한 언어 / 그렇지 못한 언어’라는 분류가 일상 속
에서 당연한 것처럼 고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분은 공식화의 기능을 통해 한
사회 안에서 통용될 뿐 아니라 재생산된다. 형제단 예배를 통해 귀족계급적 아
비투스를 발현함으로써 친첸도르프는 자신의 계급적인 사적 이해를 충족시켰
던 반면, 형제단 예배에 참여한 사람들은 친첸도르프의 사적 이해를 공동체 안

44) 친첸도르프는 이를 위해 독자적인 교회법규를 약속하고 장로직을 부활시키며, 새


로운 예배를 통해 고유의 찬송과 축제를 제공했다. J. 발만, 『종교개혁 이후의 독
일 교회사』, 192.
45) P. 부르디외/ 정일준 옮김,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서울: 새물결, 1995), 50.
P. 부르디외, 『구별짓기』, 115.
헤른후트 형제단의 예배 연구․ 75

에서 사용가능하고 적합하며 합당한, 다시 말해 공공적 이해로 받아들였다. 따


라서 친첸도르프의 귀족적 취향이 형제단 예배 안에서 공식화되는 과정 속에서
지배계급의 문화적 취향은 공동체가 합당하게 여겨야 할 보편적 취향으로 변형
되었다.

“친첸도르프는 예전에 대한 그의 이해에서 동시대인들(형제단)을 높은 곳에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서게 해준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그것은 전통 있는 백작 가문의 후예로서 물려


받은 외적인 생활양식(독, Lebensform)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46)

또한 형제단의 예배에 드러난 귀족적 문화취향은 형제단이 스스로를 다른


경건주의 모임들과 차별화하는 전략으로 사용되었다. 이 차별화의 전략은 필요
와 그 필요 안에 갇혀 있는 사람들로부터의 거리두기를 통해 자신의 자유로움
(여유로움)을 과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필요와 관계없는 순수 취향과
필요에 종속된 속물적 취향 사이의 이분법적 대립에서 획득되는 문화귀족적 자
의식이 형제단 예배의 귀족적 문화 취향으로 드러나는 것을 보여준다. 친첸도
www.earticle.net
르프가 제시한 예배가 내포하는 품위의 질서와 표현방식의 미학성을 통해, 형
제단은 당시 다른 예배모임에 대한 우월감을 느낄 수 있었다. 형제단 공동체의
독립 열망은 귀족적 문화취향의 예배를 통한 차별화를 통해 충족되었고, 따라
서 형제단 예배의 문화적 우월감은 형제단의 자부심을 고취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V. 나가는 말

본 연구는 예배의 형식성, 문화적 표현방식, 그리고 그와 관련된 취향의 문제


를 중심으로 친첸도르프의 헤른후트 형제단 예배갱신을 고찰하였다. 먼저 이전
의 경건주의 예배와 구별되는 형제단 예배의 독특한 면모들을 살펴 봄으로써
이전의 연구들에서 드러내지 못한 헤른후트 형제단 예배갱신의 특징들과 그 안
에 드러난 친첸도르프의 신학적 의도들을 분석하였다. 이후 실천이론적 의례비

46) D. W. Nagel, Geschichte des Christlichen Gottesdienstes, 166.


76 ․신학과 실천(Theology and Praxis)

평가인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개념을 차용하여 형제단 예배에서 두드러지는 예


배의 형식성 중시, 귀족적인 문화적 표현방식의 대두, 예배갱신을 통한 공식화
와 차별화의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한 공동체의 예배갱신 과정에 신학적 의도
뿐 아니라 개인 혹은 공동체의 문화취향이 반영될 수 있음을 주목하였다.
예배갱신 과정에서 작용하는 취향의 문제는 오늘날 한국교회 안에서 일어나
고 있는 취향에 따른 예배 선택의 문제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한다.47) 예배신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학자를 중심으로 한 예전적 예배, 지역교회 청년예배를 중심으로 한 비예전적


예배48) 등 다양한 예배갱신이 시도되고 있는 한국교회에서 예배 안에서의 문
화적 표현방식의 차이를 취향의 다양성의 일환으로 인정하는 관용적 태도가 요
구된다.
그러나 더 나아가, 자신들의 예배 표현방식과 취향에 대한 종말론적 인식49)
혹은 문화비평적50) 자세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친첸도르프의 헤른후트 형제단
예배갱신이 예배라는 공동체적 활동을 통해 친첸도르프 개인의 귀족계급적 아
비투스를 드러내고, 강화시키고, 재생산하는 결과를 초래했음을 드러내었다. 특
히 한 예배 안에서 사용되는 몸의 사용, 구술적-비구술적 언어, 문화적 표현방
www.earticle.net
식에 따라 그 예배가 특정계급의 생활을 정당화시키는 사회적이고 개념적인 구
조들을 재생산할 수 있음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부분은 오늘날 한국교회의 예
배갱신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닐 것이다. 따라서 한국교회의 다양한 예배갱신에
대한 연구는 다양성에 대한 인정을 넘어서, 각각의 예배 안에서 정당화되고 공
식화된 아비투스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 다시 말해 예배 안에서 표현된 취향들

47) 영성학자 마르바 던(Marva Dawn)은 한국을 방문한 강연에서 ‘개인의 취향과 기
회에 따른 예배스타일의 고집’으로 교회가 갈등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마르바 던 교수, 지금은 예배 전쟁 중,” 크리스천투데이, 17.08.2007. 고준호.
http://www.christiantoday.co.kr/view.htm?id=187134
48) 이은규, “청소년을 위한 바른 예배에 대한 고찰,” 「신학과 실천」 24(2010), 271-297.
49) 안선희는 예배가 어떤 문화와 관련을 맺든지 그 안에 종말론적 관점을 유지해야 한다
고 주장한다. 여기서 종말론적 관점이란 모든 문화를 상대화 할 수 있는 시각을 의미
한다. 안선희, “청년예배 현상에 대한 예배학적 고찰,” 「신학과 실천」 30(2012), 134.
50) D. E. 샐리어즈는 예배가 항상 문화적 상황 가운데서 구현되기 때문에 필연적으
로 예배 연구는 예배에 대한 ‘문화비평’이 수반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D. E. 샐리어즈/ 김용운 옮김, 『거룩한 예배』 (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10), 31.
헤른후트 형제단의 예배 연구․ 77

이 일종의 은폐된-커리큘럼(hidden curriculum)으로 정당화하고 공식화하는 비


기독교적 가치와 논리들에 대한 신학적 분석과 재성찰이 필요하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 참고문헌 ■

기어츠, C./ 문옥표 옮김. 『문화의 해석』. 서울: 까치글방, 1998.


레블, A./ 정영근 외 3인 옮김 『서양교육사』. 서울: 문율사, 2002.
발만, J./ 오영옥 옮김 『종교개혁 이후의 독일 교회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부르디외, P./ 최종철 옮김. www.earticle.net
『구별짓기』. 서울: 새물결, 2006.
_______. 정일준 옮김.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서울: 새물결, 1995.
샐리어즈, D. E./ 김용운 옮김, 『거룩한 예배』. 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10.
슈미트, M./ 구영철 옮김, 『경건주의』. 서울: 성광출판사, 1992.
김문기. “Ph. J. Spener의 설교를 통한 17세기 독일 루터교회의 개혁.” 「기독교
언어문화논집」3 (2000), 285-314.
안선희. “청년예배 현상에 대한 예배학적 고찰.” 「신학과 실천」 30(2012),
119-139.
안선희.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의례이론의 예배 연구에의 적용: 사회극
이론과 예배갱신의 사회·문화적 함의를 중심으로.”「한국기독교신학논
총」 32(2004), 253-274.
이성덕. “친첸도르프와 할레 경건주의.” 「한국교회사학회지」 22(2008), 1-15.
이은규. “청소년을 위한 바른 예배에 대한 고찰.” 「신학과 실천」 24(2010),
271-297.
조기연. “빅터 터너의 의례이론에 비추어 본 현대예배.” 「한국기독교신학논
총」 83(2012), 251-274.
78 ․신학과 실천(Theology and Praxis)

“마르바 던 교수, 지금은 예배 전쟁 중.” 크리스천투데이, 17.08.2007. 고준호.


http://www.christiantoday.co.kr/view.htm?id=187134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2001 ed. S.v.
“Zinzendorf.”
Addison, William George. The Renewed Church of the United Brethren.
London: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932.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Beyreuther, Erich. Der Junge Zinzendorf. Marburg an der Lahn: Verlag der
Francke-Buch-handlung, 1957.
Blankenburg, Walter. “chap. 4. The Music of the Bohemian Brethren.” in
Protestant Church Music. Edited by. Friedrich Blume. London:
Victor Gollancz LTD, 1975.
Bourdieu, Pierre. Outline of a Theory of Practi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Cranz, David. Kurze, zuverläßige Nachricht Von der, unter dem Namen der
Böhmisch-Mährischen Brüder bekanten, Kirche UNITAS
FRATRUM Herkommen, Lehr-Begrif, äussern und innern
Kirchen-Verfassung und Gebräuchen. N.p., 1757.
www.earticle.net
Faull, Katherine M. Moravian Women's Memoirs: Their Related Lives,
1750-1820. Syracuse University Press, 1997.
Hope, Nicholas. German and Scandinavian Protestantism 1700-1918.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Nagel, D. William. Geschichte des Christlichen Gottesdienstes. Berlin: Walter
de Gruyter & Co., 1970.
Schaefer, Mary. “What is Liturgical Worship.” in Liturgy and Music. Edited
by. Robin A. Leaver and Joyce A. Zimmerman Collegeville: The
Liturgical Press, 1998.
Schmidt-Lauber, Hans-Christoph. “The Lutheran Tradition in the German
Lands.” in The Oxford History of Christian Worship. Edited by.
Geoffrey Wainwright; Karen B. Westerfield Tucke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Spangenburg, August Gottlieb. The Life of Nicholas Lewis Count Zinzendorf.
Trans. Samuel Jackson. London: Samuel Holdworth, 1838.
Weborg, John. “Pietism: The Fire of God Which... Frames In The Heart Of
헤른후트 형제단의 예배 연구․ 79

Germany.” in Protestant Spiritual Tradition. Edited by. Frank C.


Senn. New Jersey: Paulist Press, 1986.
Wollstadt, Hanns-Joachim. Geordnete Dienen in der christlichen Gemeinde,
dargestellt an den Lebensformen der Herrnhuter Brüdergemeine in
ihren Anfängen, Arbeiten zur Pastoraltheologie. vol. 4. Göttingen:
Vandenhoeck Ruprecht, 1966.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Zinzendorf, N. L. “Vier und dreißig homilien über die Wundenlitanei.” in


Zinzendorf, Nikolaus Ludwig von: Ergänzungsbände zu
Hauptschriften in sechs Bänden. Editied by. Erich Beyreuther;
Gerhard Meyer. vol. 3. Hildesheim: Georg Olms, 1963.
_______. “Zeister Reden, 23.4.1746.” in Nikolaus Ludwig von Zinzendorf:
Hauptschriften in sechs Bänden, Editied by. Erich Beyreuther;
Gerhard Meyer. vol. 3. Hildesheim: Georg Olms, 1963.
_______. “Einundzwanzig Diskurse über die Augspurgische Confession 4.” in
Zinzendorf, Nikolaus Ludwig von: Ergänzungsbände zu
Hauptschriften in sechs Bänden. Editied by. Erich Beyreuther;
Gerhard Meyer. vol. 6. Hildesheim: Georg Olms, 1963.
www.earticle.net
_______. “from Nine Public Lecture 1746.” in Pietist Selected Writing. Edited
by Peter C. Erb. New Jersey: Paulist Press, 1983.
Atwood, Craig D. “Zinzendorf’s Litaney of the Wounds.” Lutheran Quarterly
11 (1997), 188-214.
Johnson, Tood E. “A Pietist Theology of Worship: P. J. Spener and
Liturgical Reforms.” Covenant Quarterly 58(2000), 3-19.
Vogt, Peter. Zinzendorf’s “Seventeen points of matrimony: a fundamental
document on the Moravian understanding of marriage and sexuality.”
Journal of Moravian History(2011). 39-67.
(이하 Unitätsarchiv der Evangelischen Brüder-Unität Herrnhut)
Jüngerhausdiarium. 20.4.1760.
Konferenzen Lindseyhouse 1754.
80 ․신학과 실천(Theology and Praxis)

■ Abstract ■

A Study on the Herrnhut Brethren's Worship Renewal

Hoju Moon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worship renewal of Herrnhut Brethren led
by N. L. Zinzendorf in 18 century Germany, focusing on formality of
worship, method of cultural expression, and taste.
First of all, this article notes its historical distinctiveness in formality and
method of cultural expression by comparing its worship with that of German
Pietism which influences Herrnhut Brethren. While Pietism is inclined to
informal worship renewal, the Brethren organizes formal, orderly worship.
The Brethren considers formality of worship as a ritual frame which enables
www.earticle.net
an encounter between God and human, preventing disorder. Pietism uses
worship in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repentance-struggles(Ger,
Busskamf) and ethical living, whereas the Brethren focuses on experiencing
Christ's wounds through worship with intense pictorial rhetorics and
symbolic language. The former limits worship music to congregational
hymns, but the latter establishes ‘Collegium Musicum’, a task force to enrich
worship music using polyphonic chorus and diverse instruments in various
musical genre.
Secondly, this article studies the Brethren's emphasis on formality and its
unique cultural expression in relation with taste. In the Brethren's worship
Zinzendorf's aristocratic taste for culture is refle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based on the concept of ‘Habitus’ by P. Bourdieu, the sociologist.
The word, ‘dignity’(Ger, Würde) that Zinzendorf uses to describe the
Brethren's worship is the manifestation of the physical habitus of the
헤른후트 형제단의 예배 연구․ 81

aristocratic class at that time. The uniqueness in Zinzendorf's music and


literature in its worship also reflects the aesthetic taste of the aristocratic
class. Zinzendorf's aristocratic taste for culture represents the Brethren,
through formulation by habitus. The Brethren obtains communal self-esteem,
differentiating itself from Pietism with a sense of relative superiority.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82.224.172.70 at Monday, March 7, 2022 12:56 AM

Key Words
Herrnhut Brethren, N. L. Zinzendorf, formality of worship, method of cultural
expression, taste

www.earticle.net

논문접수일 : 2014년 4월 17일 논문수정일 : 2014년 5월 10일


논문게재확정일 : 2014년 5월 22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