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1

기계요소설계 강의록

(1/2)

세종대학교 기계공학과
CAD 연구실 전용태
설계 개요
CHAPTER
공학설계
• 공학설계

– 기계시스템이나 구성요소를 현실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도록 과학이나 공학을


적용하는 과정
• 기능설계와 크기/형상 결정
• 재료 선정 및 역학적 안정성 분석
• 제조공정 결정 및 가공정보 산출

– 제품설계 순서 (오른쪽 flow-chart)

– 설계의 주요 기술적 고찰
• 제품의 응력 – 변형률 – 강도관계
• 표면현상: 마찰, 마모, 윤활

– 설계시 주요 고려사항
• 기능적 우수성, 경제성(가성비)
• 내구성
• 안전성 , 환경친화성 (재활용성, 오염발생여부)

1-3
재료파손과 기계설계 (기본 내용)
– 역학적거동
• 재료에 하중이 작용할 때 재료의 변형과 수명을 알아보는 것
• 응력 – 변형률 선도, 항복 거동, 재료의 피로, 크리프, 부식 거동

– 재료의 파손 (failure)
• 파손 정의: 재료가 의도된 특성 을 더 이상 발휘하지 못하는 상태
• 파손 모드: 소성변형 (항복에 의한 과도한 영구 변형),
연성파손 (많은 소성변형과 큰 파괴인성),
취성파손 (미소 소성변형과 작은 파괴인성),
피로파손 (반복하중에 의한 손상 누적),
크리프 (고온에 장시간 노출에 의한 과도한 변형),
열충격 (급격한 온도변화의 반복에 의한 변형),
마모와 부식 등

– 재료의 파손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 하중의 종류 – 정하중, 동하중, 반복하중, 단축/ 다축하중
• 하중이 가해지는 시간
• 온도의 영향 – 고온, 저온
• 환경의 영향 – 염분, 화학용품

– 설계 착안점
• 설계된 부품이 실제 환경에서 하중을 잘 견딜 수 있을까?
• 그러한 환경에서 부품의 수명은 어느 정도일까?
1-4
설계 문제풀이 순서
• 기계요소설계 역학적 안정성 문제 풀이 세부과정

① Given: 문제를 읽고 주어진 정보 이해

② Find: 구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전체적으로 파악

③ Schematic Data: 개략도 (도식도) 또는 자유물체도(FBD) 를 그림

④ Decision: 구하고자 하는 미지의 힘 표시

⑤ Assumptions: 문제를 단순화하는 가정 적용 (within acceptable range)

⑥ Analysis: 힘 평형 방정식을 적용하여 모든 미지 힘 결정 (변형률, 응력 계산)

⑦ Comments: 결과 검토. 가정의 타당성 조사. 더 나은 alternative 존재여부 조사.

1-5
역학에서 사용되는 주요 SI 단위
물리량 단위 기호 공식

1-6
미국 관습단위계 (U.S. Customary units) - 참고자료
• 미국 관습단위계: 길이, 시간, 힘, 질량 (UK/US engineer와 협업 & 연습문제 풀 때 필요)
foot (ft), second (s), pound (lb)

1 in(inch) = 0.0254 m = 25.4 mm


1 ft(feet) =12 in = 0.3048 m
1 mi(mile)=5280 ft=5280(0.3048 m)=1,609 m
1 lb(표준 pound mass) = 0.4536 kg
1 lb(pound force) = mg = (0.4536 kg)(9.8m/s2) = 4.448 N
(1 kip = kilo pound force = 1,000 lb)

1-7
하중의 분류
• 거의 모든 기계와 구조용 요소들은 외부 하중을 받으면서 동작을 함
따라서, 정확한 하중 해석은 매우 중요

• 작용하중을 결정하는 난이도


– 하중결정이 쉬운 예
• 알려진 힘, 토크 속에서 작동하는 기계류 (엔진, 발전기 등)

– 하중결정이 어려운 예
• 다양한 도로표면 위를 달리는 자전거 차체부에 작용하는 하중 등
(운전자 체구, 운전습관 등에 따라 가변적)
• 작용 하중을 통계적으로 정의하기도 함

T = 3 N∙m
RT – T = 5.33 N∙m (input)

RT = 8.33 N∙m
(output)

1-8
힘평형방정식과 자유물체도(FBD)
• 작용하중이 결정되면, 기본 평형방정식을 이용하여 임의 점에서의 미지 하중 결정
• 가속하고 있는 물체의 평형 해석 (x, y, z 축 각각에 적용)
 F  ma
 M  Iα

• 정지 또는 가속되지 않은 물체(a = 0, α = 0)의 평형 해석 (x, y, z 축 각각에 적용)


  Fx  0
F  0 
 Fy  0
M  0  F 0
 z

• 자유물체도 : 물체의 하중(외력, 반력)을 경계조건을 고려하여 도식적으로 표시

T
자유물체도

mg
RAx
RAy
RA
1-9
Ex) three-force member
• 고정되어 있는 링크 1에 대해, 회전 링크 2가 연결되어 있다. 그림과 같이 두 힘 F32
와 F42 가 링크 2에 작용하면서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힘 F42 와 두 링크의 연결부
O 에 작용하는 반력을 구하시오.

<Sol>
1) FBD 작도 (모든 외력과 반력 표시)
2) 연결점 O 의 모멘트 평형식 ∑MO = 0 으로부터

40(1.5)  F42 (1)  0  F42  60 kN

  Fx  H12  40  60 cos 30  0  H 12  92 kN H12

F y  V12  60 sin 30  0 V12  30 kN V12

 
  tan -1 30 92  18
 60 kN

1 - 10
예제 1.1 핀고정 프레임 부재에 작용하는 힘
• 세 개의 부재가 핀으로 연결된 구조물에 30kN의 하중이 작용한다.구조물은
A점에서의 핀과 케이블 DG로 지지된다고 할 때, 다음을 구하라.
a. 각 부재 ABCD, CEF, BE 에 작용하는 힘
b. 부재 CEF 위의 점 G에 작용하는 내력 (축방향 힘, 전단력, 모멘트)
D 30 kN
T
C E F

FBD B

RAx
A

RAy
<Sol>
전체 구조물의 FBD를 그려서 지지점에서의 반력을 먼저 계산한 후, 부재별 내력을 구한다.

1 - 11
예제 1.1 (풀이 계속) – 내력구하기

< 부재 CEF >


점 C에서 모멘트 평형식 적용

 2 
M C 
 13
FBE (3)  (30)(5)  0

 FBE  90.14 kN

점 E에서 모멘트 평형식 적용

부재 CEF에서 지지된 쪽 CG 부분의 FBD 로부터


점 G 단면의 모멘트, 축방향 힘, 전단력은

VG  M  0; M G  FCy (2)  0  M G  40 kN  m
HG  F  0;
x H G  FCx  0  H G  75 kN
MG
 F  0;
y VG  FCy  0 VG  20 kN

1 - 12
예제 1.2 배관 단면에 작용하는 하중
• 부재 AB 와 BC 가 수직으로 조립된 L자형 배관이 B 에서 elbow 로 연결되었고, C
에서 강체 frame에 볼트로 연결되었다. 조립체는 A 에서 수직하중 Pa , 토크 Ta ,
그리고 자중의 영향을 받는다. 각 배관의 단위길이당 무게는 w 이고 지름은 d 일 때,
단면 O 에 작용하는 모든 내력(축하중, 전단력 그리고 모멘트)은 각각 얼마인가?
단, a = 0.6 m, b = 0.48 m, d = 63.5 mm, Pa = 100 N, Ta = 25 N·m, w = 84.53 N/m

1 - 13
예제 1.2 (풀이)
<Sol> 자중구하기
배관 AB 와 BO 의 무게는

단면 O 에 작용하는 축하중 또는 전단력은

F x  0: Vx  0

F y  0: V y  50.72  40.57  100  0 V y  191.3 N

F z  0: Vz  0

단면 O 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M x  0: M x  (50.72)(0.3)  100(0.6)  0  M x  75.2 N  m

M y  0: My 0

M z  0: M z  25  100(0.48)  50.72(0.48)  40.57(0.24)  0  M z  107.1 N  m

1 - 14
일과 에너지 그리고 동력
• 일과 에너지
– 물체 A 에 힘 F 가 작용하여 위치 s1 에서 s2 로 이동시키는 동안 한 일
S2 z
W   F  ds F  s A
S1

단, s 는 힘의 방향으로
이동(변형)한 거리(량)
x y

• 접선력으로 회전하는 바퀴
– 힘 F 를 받고 q 번 회전하는 동안 한 일
W  F  s  F (2R )q

– 토크 T 를 받고  만큼 회전하는 동안 한 일
W  F ( R )  T 

– 일은 위치 E, 운동 E, 내부 E 로 저장되거나 열 E 등으로 방출된다.

1 - 15
예제 1.3 캠축 토크
• 다음은 종동부 (follower)를 수직으로 움직이게하는 회전 캠(cam)이다. 캠이 회전각
θ 만큼 회전하면 종동자는 거리 s 만큼 위 방향으로 올라간다. 종동부에 작용하는
힘 F = 0.2 lb 이고, 캠 0.14 rad 의 회전이 종동부 0.05 in 운동에 대응할 때, 이
기간동안 캠 축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평균 토크 T는 ?

<Sol>
①Given: 캠의 회전운동  종동부 직선운동
②Find: 평균토크 T
③Schematic and Given Data: FBD
④Decision:
⑤Assumptions: 모든 마찰무시
⑥Analysis: 입력 일 → W  T    F  s 0.2(0.05)
 T    0.01 lb  in
출력 일 → W  F  s   0.14
⑦ Comments: if 마찰 있고, 캠 접촉점이 종동부 면을 따라 거리 ∆ 만큼 움직인다면,
T    F  s  F  
1 - 16
축(shaft)과 휠(wheel)의 회전 동력전달
• 동력 (Power)
– 일에 의한 에너지 전달률 (시간당 에너지 전달 or 단위시간당 한 일의 량)
dW d d
P  ( F  s )  F s  F V = 힘 ×힘을 받는 점의 속도
dt dt dt

축에 토크 T 가 작용하여 각속도 ω로 회전하는 경우, 전달된 회전 동력은


P  F  V  (T )( R )  T
R

T  2 n 

P  T   T  2 n
60  [W] 
1000
60 [kW] 
Tn
9549
[kW]

여기서, T 는 토크, w 는 각속도(rad/s), n 은 축의 회전 rpm (revolution/min)

– 기계효율
출력동력 생산동력
e 
입력동력 공급동력

1 - 17
연습문제
• 다음은 변속기 Gearbox 의 입력 축과 출력 축의 rpm 과 동력을 보여준다. 각 축에
걸리는 토크(torque)를 구하고 변속기의 효율을 구하시오.

입력축 출력축
<Sol>
2n
2000 rpm
P  T   T ( )
500 rpm 60
40 kW 36 kW 60 P
 T
2n
60(40,000)
Tinput   191 Nm
2 (2,000)
60(36,000)
Toutput   687.5 Nm
2 (500)

36
e  0.9  90%
40

1 - 18
추가문제
• 질량 1000kg 의 물체를 12m/min 의 속도로 들어올릴 수 있는 기중기의 동력을
구하시오. 단, 기중기의 효율은 80%.
<Sol>
P  F v
 mg  v
 (1000)(9.8)(12 / 60) M
 1960 [ W ]
효율고려 12 m/min

P
P 
e
m=1,000 kg
1960

0.8
 2.45 [kW ]
 3.28 [hp] (1 kW  1.34 hp)

1 - 19
Ex) 평탄한 도로 위를 직진으로 달리는 자동차
• 1560 kg 인 후륜구동 승용차가 100 km/h 로 등속으로 달릴 때, 자동차가 받는 공기
항력(Fd)을 이겨낼 수 있는 최소 동력은 160 kW 라고 한다. 이때, 전륜과 후륜에
작용하는 지면의 반발력을 구하시오. 단, 자동차는 전/후 대칭이며 공기에 의한
수직력과 타이어의 구름저항 무시 가능

<Sol> x 방향 미지력 지면의 반발력

P  F  V  Fd  V  160,000  Fd  5760 N 후륜 접촉점의 모멘트 평형식

F x  Ft  Fd  0  Ft  5760 N M r  2W f  (5760)(1)  (1560)(9.8)(1)  0


W f  4764 N
Wr  (1560)(9.8)  4764  10,524 N

1 - 20
추가문제
• 속도 V 로 달리는 자동차에 작용하는 항력(drag force) Fd 는 아래와 같다.
drag force Fd  ( 1 2 )Cd AV 2 (Cd  0.42, A  2 m 2 ,   1.23kg / m 3 )
a. Drag force 를 이겨내면서 V = 100 km/h 로 주행할 수 있는 최소 동력은?
b. V = 0 에서 V = 120 km/h 를 달리는 동안 drag force 를 이겨내는 동력의 크기를
속도 V 에 대한 그래프로 그리시오.
<Sol>

(a) P  Fd V
V
 ( 1 2 )Cd AV 3
Fd
 1 2 (0.42)(2)(1.23)(27.78)3
 11.07 kW

(b) P  V 3
P (kW )

11.07

V (km/h )
100
1 - 21
1장 연습문제 과제 (온라인 제출 날짜 추후 공지 예정)

정답: VD = 4 kips, MD = 4 kip∙ft, VE = 2.5 kips, ME = 6 kip∙ft

정답 a) RA = RB = 2 kN, T = 200 N∙m, b) Vz = 2 kN, T = 200 N∙m, My = 140 N∙m

1 - 22
정답: RB = 12.58 kips

정답 a) T = 0.6 kN∙m, b) RA = 4.427 kN, RE = 8.854 kN

1 - 23
P=200 N

정답: Ry = 200 N, T = 30 N∙m, Mz = 96 N∙m

정답: Vy = 64 N, Mz = 31.2 N∙m

1 - 24
정답: Td = 0.3 kN∙m

정답 a) F = 5.348 kN, b) TDE = 401.1 N∙m

1 - 25
재료
CHAPTER
개요
• 기계설계에 있어서 재료 선택은 핵심내용. 재료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강도(strength)와 강성도(stiffness)
– 내구성(durability), 가공성(machinability), 경도(hardness)
– 재활용성, 환경오염 정도
– 가격/교체 비용, 구입용이성

• 재료의 특성
– 등방성(isotropic)/ 이방성(anisotropic)
– 균질성(homogeneous)/ 비균질(heterogeneous)
– 연성(ductility)/ 취성(brittle)

• 대부분의 기계와 구조 요소들의 유효수명은 피로파괴와 표면손상으로 끝남

• 상세한 재료 물성치 자료 – 교재 Appendix B 참조


온라인 재료 물성치 database : http://www.matweb.com

• 결국, 특정재료에 대한 물성치 를 찾거나 선택된 물성치에 맞는 재료 찾는 문제!

2 - 27
재료 특성 정의 : 재료의 기계적 성질
• 강도 [强度, Strength]
– 재료가 파손되지 않고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정도
– 즉, 하중을 받는 재료가 파손(소성변형)되기까지의 저항 정도
– 인장강도, 압축강도, 굽힘강도, 비틀림강도 등

• 강성도 [Stiffness]
– 하중을 받는 재료의 탄성변형에 대한 저항의 정도

• 경도 [硬度, Hardness]
– 재료의 단단함과 무른 정도

• 피로 [疲勞, Fatigue]
– 재료에 반복응력이 생길 때, 반복 횟수 증가로 인하여 재료강도가 저하되는 현상

• 크리프 [Creep]
– 외력이 일정할 때, 고온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재료변형이 증대하는 현상

• 충격 [衝擊, Impact]
– 충격력에 대한 재료의 저항력

2 - 28
재료 특성 정의 : 재료 거동
• 재료의 모형
결정체에서 원자간의 결합에너지를 spring 으로 간주

탄성 → 소성 → 파괴

2 - 29
변형률 정의
• 단축 인장 하중에 의한 선형 변형률 순수 전단응력에 의한 전단 변형률

dx
 x  lim
x 0 x

dy
 y  lim
y 0 y

dz
 z  lim
z 0 z

d
L   lim
L  0  L
L0 
L0 S
 avg   tan   
L
P ∆L

2 - 30
정적 강도 : 단축 인장시험
Tensile Loading Machine 인장/압축/피로(저주기)/굽힘시험 등
• 하중범위: 0.2 N ~ 100 kN
• 크로스헤드속도: 0.001 ~ 500

인장시험 Video Clip https://www.youtube.com/watch?v=67fSwIjYJ-E


2 - 31
정적 강도 : 연성재료의 응력-변형률 선도
 단축 인장시험을 통한 연성재료의 응력(stress) – 변형률(strain) 관계

• Sp (탄성한계) –하중이 제거될 때, 원래 길이로 정확히 복귀하는 최대응력 (elastic limit or


proportional limit). 기울기 = 영률 (Young’s modulus)

• Sy (항복강도) – 소성변형이 처음으로 두드러지게 일어나는 응력 값  재료의 설계기준


항복점이 명확하지 않을 때는 0.2% 영구 연신율값 사용 (yield strength)

• Su (극한강도) – 재료가 견딜 수 있는 최대응력. 이후 necking 발생 후 fracture

2 - 32
정적 강도 : 취성재료의 응력-변형률 선도
 회주철(gray cast iron)의 응력(stress) – 변형률(strain) 관계

• 파괴발생을 예측할 만한 변형률의 변화를 관찰하기 어려움


• 응력과 변형률이 선형관계를 나타내는 구간 정의가 어려움
• 취성재료의 파단 변형률은 연성재료의 파단 변형률보다 훨씬 작음
• 극한강도와 파괴강도가 일치

2 - 33
정적 강도 : 연성 & 취성재료 비교 요약
• 역학적 특성에 의한 재료 비교

2 - 34
응력-변형률 관계식과 탄성계수
• 재료가 선형탄성 거동에서 축방향 하중 (인장/압축)을 받을 때 수직응력 (Hooke 법칙)

σ = Eε E 는 영률 (Young’s modulus)이고 단위는 Pa (N/m2), psi (lb/in2)

• 재료가 순수전단을 받을 때 전단응력은

τ=Gγ G 는 횡탄성계수 또는 전단탄성계수이고 단위는 E 와 동일

• 포아송비 (Poisson’s ratio) : 탄성범위에서 축방향 변형률과 측면방향 변형률의 비

lateral contraction
 일반재료 ν : 0.25~0.35 (steel: 0.3, concrete: 0.1, rubber: 0.5)
axial elongation

2 - 35
예제 2.1 인장 봉의 변형과 응력 (실험으로 E,  구하기)
• 지름 d0 = 50 mm, 길이 L0 = 250 mm 인 알루미늄 시편으로 인장실험을 하였다.
하중이 P = 114 kN 에 이르러서 길이는 0.2075 mm 만큼 증가하였고 지름은 0.01375
mm 감소하였을 때, 다음을 구하라.
a. 축방향 변형률과 횡방향 변형률
b. 포아송비
c. 수직응력과 탄성계수

<Sol>
a.
L 0.2075 d 0.01375
a    0.00083,  l    0.000275
L0 250 d0 50

b.
l ( 275)
    0.33
a 830

c.
P 114(10) 3  58.06(10) 6
   58.06 MPa , E    70 GPa
A (  0.052 )  a 830(10) 6

4
2 - 36
일반화된 훅의 법칙 : 기본 식 (1/2)
• 인장시험에서 힘이 가해지는 방향의 변형으로 인하여 다른 방향으로의 변형도 발생
• 2축 방향으로 동시에 응력 σx 와 σy 를 받는 요소의 x 와 y 방향 변형률은 아래 왼쪽
식과 같으며 이로부터 2차원 탄성 응력-변형률의 관계식은 아래 오른쪽 식과 같다

x y  E
x    x  ( x  y )
E E  1   2

y x  E
y       ( y  x )

y
E E  1  2

 xy   xy  G xy
 xy  
G 

2 - 37
일반화된 훅의 법칙 : 기본 식 (2/2)
• 이를 3축 응력상태로 확장하면 “일반화된 훅의 법칙(generalized Hooke’s law)” 유도


  x 
1
E
 
 x   y   z 
 x  1     x 

 y E y

  1      
z x   1
  y   E  1
 
   y 
Generalized Hooke' s law      1   z 
 z

 z   z   x   y 
1
E


  xy  yz 
 xy  ,  yz  ,  zx  zx
 G G G
2 - 38
온도와 응력-변형률의 특성
• 온도가 강도와 탄성계수에 미치는 영향
 1 
 x E  x   y   z      T 
 
 
1
             T 
 y E y z x 

 
1
  z   z   x   y      T 
 E  

2 - 39
탄성에너지 계수와 인성 (toughness)
• 연성재료의 외부에너지 흡수용량

• 탄성에너지 계수 (Modulus of resilience)


탄성영역에서 연성재료가 단위 부피당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
2
1 S  Sy 변형에너지 밀도
U r  S y  y  
2 E (strain energy density)
 2E

• 인성 – 파괴될 때까지 재료가 흡수할 수 있는 총 에너지 (σ – ε 그래프 아래 면적)


f S y  Su σ σ σ
U t    d  f
0 2
높은 인성 낮은 인성 낮은 인성

ε ε ε
예제 2.4 축하중을 받는 봉 소재의 탄성에너지
• 가공과정에서 원형 강봉이 탄성변형에너지 Uapp = 200 in·lb 를 받는다고 할 때,
요구되는 강봉의 항복응력 Sy 를 안전계수 n = 2.5 를 적용하여 결정하라. 단, 재료의
E = 30106 psi, d = ⅞ in, L = 4 ft

<Sol>
강봉이 흡수해야 하는 탄성 변형에너지는 (안전계수 고려)

U  nU app  2.5(200)  500 in  lb

현 상황에서 단위부피당 흡수해야 하는 변형E를 먼저 구한다.


즉, 단위부피당 에너지 (Strain energy density: 변형에너지 밀도)는

U U 500
    17.3 lb/in 2
V AL   7 
 
2
  8   4 12 
4 
따라서,
S y2 S y2
Ur    ; 17.3    S y  32.2 ksi
2E 2  30  106 

2 - 41
2장 연습문제 과제 (온라인 제출 날짜 추후 공지 예정)
1) 아래 횡탄성계수 G 와 영률 E 사이의 관계식 유도하기.
E
G
2(1   )

2) 연습문제 (중간 풀이과정 포함 & COPY 금지)

정답: E = 30 × 106 psi

정답: 𝑣 = 0.25, E = 8.335 × 106 psi, a = 2.9885 in, G = 3.334 × 106 psi
2 - 42
정답: n = 3.16

단, 6061-T6 Al 의 Sy = 260 MPa, E = 70 GPa


d= 5 mm, L = 3 m.

< 고체역학 Review 해 올 내용>

• 비틀림모멘트를 받는 축에 작용하는 응력
• 굽힘모멘트를 받는 보에 작용하는 응력
• 단면에 대한 1차, 2차 모멘트, 평행축정리
• 모어원(Mohr Circle)

2 - 43
응력과 변형률
CHAPTER
축 하중을 받는 부재의 평균응력
• 축 하중 (단순인장)

P 평균응력 = 최대응력 성립조건


 (평균응력)  균질재료이고
A  표면에 흠집이 없을 때

• 응력 (stress)
– 물체에 외력이 작용할 때 부재에 발생하는 단위 면적당 힘
– 대부분의 경우 외력을 제거하면 응력도 소실됨. 없어지지 않는 응력을
잔류응력이라고 함

• 설계기준
– 많은 제품의 파손 발생여부는 설계자가 제품에 발생하는 최대응력 이
항복응력 보다 얼마나 작도록 잘 설계하였는지에 달려있음
– 설계자는 최대응력이 충분한 여유(안전계수)를 가지고, 항복응력에 비하여
작게 걸리도록 설계해야 함

3 - 45
예제 3.1 호이스트(Hoist)의 설계
• 핀 연결 호이스트에 하중 P = 50 kN 가 작용한다. 원형 알루미늄 봉 AC 와 사각
나무기둥 BC 의 최소 단면적을 구하라. 알루미늄과 나무의 최대허용응력은 각각
480 MPa 과 60 MPa 이다. 단, 안전계수 n = 2.4 적용.

FA
FB

<Sol>
부재 AC 와 BC 에 작용하는 축방향 힘 FA 와 FB 를 구하기 위해 FBD 작도
B 점에 대한 모멘트 평형식
4 3 5
M B  (50)(2.5)  (50)(2.5)  FA  3.5   0
5 5 13
 FA  130 kN

A 점에 대한 모멘트 평형식
4 3 1
 A 5
M  (50)(2.5) 
5
(50)(6) 
2
FB  3.5   0  FB  113.1 kN

3 - 46
예제 3.1 (풀이 계속)
안전계수를 적용한 각 부재의 허용응력은

 w.initial 480 60
 w  AC    200 MPa,  w BC   25 MPa
n 2.4 2.4

각 부재에 요구되는 단면적은

FA 130 103 (N)


AAC    0.65 103 m 2  650 mm 2
 w  AC 200 10 (N/m )
6 2

FB 113.1103
ABC    4524 mm 2
 w BC 25  10 6

따라서, 봉 AC 와 사각 나무기둥 BC 단면의 크기

d 2
 650 mm 2  d  29 mm
4
w 2  4524 mm 2  w  68 mm

∴최소 지름 29 mm의 알루미늄 봉과 단면이 68 mm × 68 mm 인 사각 나무기둥 사용

3 - 47
추가 예제
• 단면적이 A 인 CE 와 DF wire 로 지지되어 있는 부재의 끝 단에 하중 P 가 작용한다.
CE 와 DF wire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을 A 와 P 로 각각 나타내시오. 단, Wire 의
탄성계수 (modulus of elasticity)는 E 이며 수평부재는 강체로 가정할 수 있다.

C D FCE FDF
단면적 A

O E F

b b b O
P P

<Sol>
각 부재에 작용하는 힘을 구하기 위하여 O 점에 대한 모멘트 평형식 적용

M O  FCE (b)  FDE (2b)  P (3b)  0


기하학적 적합성 (2δCE= δDF) δCE δDF
FCE L FDF L
2   2 FCE  FDF
AE AE
위 두식으로부터
3P 6P
FCE  53 P, FDF  65 P   CE  ,  DF 
5A 5A
3 - 48
직접전단(direct shear)
• 일직선상에 있는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힘을 받을 때, 그 사이에 있는 물체는
굽힘이 거의 없는 전단응력(shear stress)을 받는다.
• 기계요소부품 중에서 리벳, 볼트, 핀, 키, 스플라인 등에 주로 작용

반대방향의 힘 P 를 받는 두 판을 고정하는 U 링크인 경우 핀은 b-b 와 c-c 두 단면이 전단력에


단면적 A (단면 ①)의 볼트에 작용하는 저항하는 이중전단(double shear) 이므로 전단력
평균 직접 전단응력 τ 는 V=P/2. 따라서 평균 직접 전단응력 τ 는

P P/2 P
    
A A 2A

3 - 49
예제
• 그림과 같은 U 링크에 허용전단응력 w = 1 GPa 인 Pin 이 연결되어 있다. Fork 와
Blade 에 힘 F = 50 kN 이 작용할 때, U 링크를 지탱할 수 있는 Pin 의 최소지름 d 를
구하시오.
이중전단 !
pin
As

fork blade

<Sol> Pin 의 전단면은 몇 군데?

F 50, 000[N]
A   2.5 105 [m 2 ]  25 [mm 2 ]
2 2(10 )[N/m ]
9 2

 
 A  25 mm 2   d 2 
4 
 d  5.65 mm  6.0 mm

3 - 50
예제 3.2 단엽기 날개설계
• 단엽기의 날개를 다음과 같이 핀 연결구조로 단순화 하였다. 이때, 다음을 구하라.
① Hinge C의 핀 지름이 15 mm 이고 이중전단일 때, 핀에 작용하는 전단응력
② 봉 BC는 알루미늄 합금이고 허용응력이 210 MPa 일 때, 봉 BC의 최소 지름

<Sol>
A 점에 대한 모멘트 평형식
날개 ACD 의 FBD
1
 M A  36(1.8)  5 FBC (2)  0  FBC  72.45 kN

FBC 72 , 450
①  avg  

2 A 2   0 .015 2
4
  205 MPa

FBC 72 , 450
② ABC    3 .45  10  4 m 2  345 mm 2
 BC 210  10 6

 345  d
2
  d  20 .96 mm
4
3 - 51
비틀림(Torsion)을 받는 부재의 응력 (1/2)
• 비틀림 모멘트 T 를 받는 축(shaft)의 변형율 및 응력 분석 (미소요소 분석)

• 상단면과 하단면의 회전각 차이가 ∆φ 일 때, 전단 변형율 T


BC r d z
 Z  lim  lim  r
z  0  z
z  0
AB dz τθz
∆φ O
r B
• ∴비틀림에 의한 전체 변형율은 C
r

 r      z   r   rz  0 θ

d
 Z  r dz
dz
• 비틀림응력
d A
 Z  G Z  Gr   Z  r
dz
G : 횡전단계수 or 전단탄성계수 (shear modulus) T
3 - 52
비틀림(Torsion)을 받는 부재의 응력 (2/2)
• 축의 비틀림 응력식 유도: 축의 각 단면에서의 shear stress 에 의한 모멘트 합은 외부
비틀림 모멘트 T 와 같아야 하므로,
T   r ( z ) dA
 z A

d
r   r (Gr ) dA
dA
 r (  )dA  T
A
z
A dz
d 2
dz A
G r dA

d 극관성모멘트
G J ( J   r 2 dA) (polar moment of inertia)
dz A

지름 d 인 원형봉의 J d T

J   r2dA dz GJ
A
d

  r2  2r  dr
LT TL
 dz 
2

비틀림각: (단위 radian, L 은 축의 길이)


0 0 GJ
d
GJ
 2  r3dr
2
d Tr
0
비틀림에 의한 전단응력:  z  Gr  (지름 d 인 solid shaft 의
d 4
dz J 표면 비틀림 응력)

32 16T
 r4 
 d3
2
3 - 53
[참고] 비원형 단면 부재의 비틀림에 의한 응력

사각부재에 작용하는 최대 전단응력 근사식

T  b
 max   3  1 . 8  (rectangle : a  b)
ab 2  a
4 .8
 3 T (square : a )
a

3 - 54
예제
• 지름 30 mm 인 원형축이 10,000 rpm 으로 회전할 때 전달할 수 있는 최대 동력은? 단,
축의 허용 전단응력은 130 MN/m2 이다.

<Sol> d = 30mm
P=?

P  Tw
16𝑇 𝜋𝑑
𝜏= → 𝑇=𝜏 이므로
𝜋𝑑 16 n= 10,000 rpm τw= 130 MPa

 d 3  2 
  w  N
 16  60 
 6  (0.03)   2 (10,000) 
3
 130  10   
 16   60 
 721, 710 [W]
 722 [kW]

3 - 55
예제 3.4 중공축과 중실축의 토크 전달효율
• 아래 중공축과 중실축는 같은 재료이며 단면적도 같다. 중공축과 중실축이 각각
토크 Th, Ts를 받을 때, 축에 가할 수 있는 최대 토크의 비를 구하라. 단, c = 1.15b

<Sol>
  2c    2b  
4 4
 w    c4  b4 
중공축 작용 토크는 Th 
r
J
c
 
32 2c
 w
  
 2a 
4
중실축 작용 토크 Ts   a 3 w
a 32 2

∴ 토크비

(c 4  b 4 ) w
Th 2c c4  b4 c4  b4 (1.15b) 4  b 4
     3.56
Ts  3 ca 3 3 3
a w c (c 2  b ) 2 2
1.15b((1.15b) 2  b ) 2 2
2
1

두 축의 단면적이 같으므로  a   (c  b )
2 2 2
 a  c b
2 2 2
 a  c  b
2

2 2

3 - 56
예제
• 아래 그림과 같이 윈치 (winch)의 드럼(drum)을 통하여 질량 500 kg 의 물체를 감아
올리고 있다. 드럼의 반지름 R = 300 mm 이고 회전수가 100 rpm 일 때,
① 필요한 동력은?
② 드럼 축의 허용 전단응력이 3.7 MPa 일 때, 파손이 일어나지 않을 드럼 축의
최소 지름 d 를 결정하시오.
winch drum
d

<Sol> ②

① P  Tw 16T
d 3
 2N   w
 mgR 
 60  16(500  9.8  0.3)
3
 2 (100)  3.7  10 6  
 500  9.8  0.3 
 60   0.1265 m
 15.394 [kW]  126.5 mm
3 - 57
보의 전단력과 모멘트: ①전단력선도 (SFD)
• 보에 응력을 발생시키는 전단력과 모멘트 (각각의 선도를 그릴 수 있어야)
<Rule>
① FBD 그린 후, 반력을 먼저 계산
② 모든 외력과 외력 사이를
구분하여 분석 (반력도 외력)

Fb Fb
x  Fy  L
V  0 V 
L

x-a
Fb Fa
x
 Fy  L
 F V  0 V  
L

3 - 58
보의 전단력과 모멘트: ②굽힘 모멘트선도 (BMD)

Fb Fb
x M o M 
L
x0 M 
L
x

x-a
Fb
x
 M o  M  F ( x  a)  L
x0

Fa
 M  Fa  x
L

3 - 59
(예제) 변속기 중간 축 (counter shaft)에 작용하는 하중
• 그림의 축에서 가장 큰 하중을 받고 있는 단면의 위치(위험단면; critical section)를
정하고, 이 위치에서의 하중을 결정하라.
ϕ 3.75 in

위험단면은 어디?

2 in
5 in
2 in

ϕ 2.25 in
<Sol>
기어 C 의 오른쪽 !!
F y  2864  V  0 V  2864

x M o  M  2864 x  0  M  2864 x

<위험단면 ??>
 F  2864  4444  V  0 V  1580
y M 과 T 가 최대인 곳?

x
 M  M  2864 x  4444( x  2)  0
o

 M  1580 x  8888

3 - 60
(순수 굽힘 하중을 받는) 보의 응력
• 굽힘 모멘트를 받는 보의 최대 인장/압축응력 값 알아보기…
• 순수굽힘 (pure bending) : 굽힘만 작용하는 하중 형태 (V(x)=0, Mb(x)=일정)

• 굽힘모멘트를 받는 보의 특징
중립면
 부재는 대칭을 유지
 원호 (circular arc)형으로 균일하게 구부러짐
M
 중립면 (neutral surface) 은 길이가 변화없는 면
M
 윗 부분의 길이는 늘어나고
아래 부분의 길이는 줄어듬
 응력과 변형율은 중립면 위에서는 인장이고
중립면 아래서는 압축

3 - 61
굽힘모멘트에 의한 보의 수직응력
• 굽힘모멘트에 의한 변형율
y

I I’ J’
J
y y
x M’ N’
M N

I’-J’ 의 변형율 (  는 중립면까지의 곡률 반지름) 


L I ' J ' IJ I ' J ' M ' N ' (   y )   y
x     
L IJ M 'N'   
보에 작용하는 수직응력
y
 x  E x  E

수직응력에 의한 모멘트 (단, I 는 중립면에서 2차 모멘트)
y E E y
 M z   y x dA   yE
A A 
dA 
 
A
y 2 dA 

I M
dA 
y x
중립면
 y My z x
   
1 M x
 EI
  
 EI
   My
 x I
3 - 62
예제
• 왼쪽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갖는 I 형 외팔보의 끝 단에 5 kN 의 하중이 작용한다. 이
때, 보에 작용하는 최대 굽힘응력을 구하시오.
7.75 mm
5 kN
5.75 mm

200 mm
6m
7.75 mm

130 mm

<Sol>
관성모멘트
(130)(200) 3 1
I  (130  5.75)(200  2  (7.75))3  21,638,088 mm 4
12 12

보의 최대굽힘응력

M y (5000  6)(100  10 3 )
 max    138. 6 MN/m 2

I 2.1638  10 5

3 - 63
예제 (1/2)
• 아래 그림과 같은 대칭 T 형 보에 굽힘모멘트가 작용할 때, 최대 인장응력과 최대
압축응력을 구하시오.

<Sol>
중립면 (도심: centroid) 찾기 인장응력

y
y A i i

(h 2  h)(2bh)  h 4 (3bh) 3
 h x 
My
A i 2bh  3bh 4 I
최대인장응력 (bottom)
평행축 정리 적용 ( I  I C  Ad )
2

( M )( 3  h) 36 M
 t .max  4 
b( 2h) 3 3 3 43 3 125  bh 3 125bh 2
I1   ( 2bh)( h  h) 2  bh
12 2 4 24 48
6b(h 2) 3 3 1 13 최대압축응력 (top)
I2   (3bh)( h  h) 2  bh 3
12 4 4 16 ( M )( 7  h)
4 84M
125 3  c.max  
 I  I1  I 2  bh 125  bh 3 125bh 2
48 48
3 - 64
예제 (2/2)
• 보의 내부에 작용하는 힘의 상태.
최대압축응력
( M )( 7  h) 84M
 c.max  4 
125  bh 3 125bh 2
48

최대인장응력

( M )( 3  h) 36 M
 t .max  4 
125  bh 3 125bh 2
48

3 - 65
전단력에 의한 보의 전단응력
• 보의 전단응력

 xy 
VQ b
Ib

3 - 66
응력 크기 (Stress tensor on a stress element)
• 응력은 작용하고 있는 위치와 단면의 방향에 따라 변하는 물리량
• 하중을 받는 부품 내 가상의 미소 크기의 육면체(응력요소)에 작용하는 응력 성분

3 - 67
평면응력 (Plane Stress)
• 평면응력: 직교하는 세 방향 중에서 한 방향 으로는 수직응력과 전단응력 성분들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상태

3 - 68
응력의 변환
• 응력은 작용하는 면의 방향에 따라서 성분이 바뀜
• 즉, 응력의 절대값은 일정하지만 작용 면의 방향에 따라서 응력 성분들은 달라짐
• 왼쪽 그림은 응력요소 경사면에서의 응력을 수직응력과 전단응력으로 분리하여
표시한 예를 나타냄 (x-y 평면응력 상태)
• 만약 오른쪽 그림과 같이 미소요소를 z 축 기준으로 각도  로 회전시키면 그 면에
작용하는 수직응력과 전단응력 성분도  x ' ,  y ' ,  x ' y ' 로 변화 됨

y'

 y'

 x' y' x'


 x'

z'

3 - 69
기본개념 Review : Mohr원과 응력의 변환
• 물체의 한 점에서 작용하고 있는 응력의 상태는 응력요소 위에 응력성분을
표기하여 나타낼 수 있음
• 전술한바와 같이, 응력요소를 회전시켜서 면의 경사를 변화시키면 그 면에
작용하는 수직응력과 전단응력의 성분도 변화
• 회전한 좌표축을 기준으로 임의 지점에서의 변화된 응력성분  x ' ,  y ' ,  x ' y ' 을
회전하기 전 응력성분  x ,  y ,  xy 과 회전각도  의 함수로 표현 가능
• 이 함수를 수평축을 수직응력, 수직축을 전단응력으로 평면상에 도식적으로 표현한
것을 임의 지점에서의 2차원 응력상태에 대한 Mohr 원 이라고 정의
• Mohr 원은 임의 지점에서의 x 축과 y 축 방향으로의 수직응력의 평균값을
중심점(C)으로 하고 최대 전단응력을 반경(R)으로 하는 원으로 표현
• Mohr원을 이용하면 좌표축 회전각도에 따라 응력요소 경사면의 모든 응력성분들과
주 응력(최대응력)의 크기와 방향을 도식적인 방법으로 계산가능

3 - 70
Mohr원 (원의 방정식) 유도
• 각도  만큼 회전된 경사면의 응력 성분

~①

~②

~③

①→ ~ (A)
(A)2+(B)2
②→ ~ (B)
임의의 면에 발생하는 응력의 상태는 원주 상에
※ 단, 미소요소의 경사각 𝜽 는 Mohr원에서 2𝜽 에 해당 하나의 점으로 표시할 수 있다 !→ Mohr원
3 - 71
Mohr원 그리는 순서
 Mohr원을 이용하여 임의 경사면에 대한 응력성분을 구하는 순서 (평면응력)
(알고 있는 σx τ xy σy 로부터 이들에 θ 만큼 기울어진 σx’ τ x’y’ σy’ 를 구하기 !!)

① σ 를 수평축, τ 를 수직축으로 하는 좌표계 도시


② x 면에 작용하는 점과 y 면의 점을 각각 마킹(marking) 하고 x 와 y 라 표시
③ x 와 y 를 잇고, 이 직선과 σ 축과의 교점을 C 라 한다.
 x  y
Center C ( , 0)
2

④ C 를 중심으로 x 와 y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림
2
 x  y 
Radius R      xy 2
 2 

⑤ x 점에서 반시계 방향(CCW)으로 2θ 만큼 회전시킨 점이 x’ (또 y → y’)


⑥ x’과 y’의 좌표가 구하고자 하는 σx’ τ x’y’ 과 σy’ τ x’y’ 값이 된다.
⑦ [중요] 주응력 σ1 = C+R 이고 σ2 = C-R 이다.

[참고] 교재에 따라 전단응력의 (+), (-) 방향이 다를 수 있음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upin66&logNo=100096653541&viewDate=&currentPage=1&listtype=0

3 - 72
Mohr원 그리기 예제
x  0 
x  0 x ( x , - xy ) (0,  0 )
y 0  y 0 y
y ( y ,  xy )
 xy  0  xy   0

1

y 2
x
0 
2 1 0 x
(0, - 0 )
(0, 0) ( 0 , 0)
x  0 
 y   0
 xy  0
y 2 x
1 
x  0 
 y   0
 xy  0 ( 0 , 0) (0, 0)
y x

2 1 x  0

 y  0
( 0 , 0) ( 0 , 0)  xy  0
x y
0 

( 0 , 0)
3 - 73
예제
• 그림과 같이 응력이 작용하고 있다. x, y 축에 대해 45° 기울어진 a, b 축에 대한
응력을 구하시오.
y
<Sol>
a
b
 x  110  ( x   y )
50 MN/m²
 c  2
 80

 y  50 MN/m  
2
2
45°  
r  
   
  40 
x y

   2
 30 2
 40 2
 50
 xy   2 
xy
x
110 MN/m²

40 MN/m²
2θ θ1
 a  80  50 cos   80  50 cos(90  53.2 )  120 MN/m 2

 b  80  50 cos   80  50 cos(90  53.2 )  40 MN/m 2


 ab  50 sin   80  50 cos(90  53.2 )  30 MN/m 2
 max y (50, 40)

a  xy 40
1  tan 1  tan 1  53.2
( x   y ) 30
2 α 1 2
θ1 2θ
b  1  c  r  130 MN/m 2
 2  c  r  30 MN/m 2
c = 80 x (110, 40)
 max  50 MN/m 2
3 - 74
Rod, Shaft, Beam 에 작용하는 응력

3 - 75
조합응력 [중요]
• 두 개이상의 하중이 동시 작용할 때 발생하는 응력 → 각각의 응력을 중첩하여 해석
• 횡하중 P, 토크 T, 축하중 F 를 동시에 받는 외팔보 단면 각 지점에 작용하는 응력
F Tr My VQ y
 x  ,  t  ,  x  , d 
A J I Ib B

C
z
A α

α  축하중 F 에 의한 수직응력: 모든 단면에서 동일


β
 비틀림 T 에 의한 전단응력: 중심에서 0, 표면에서 최대

 굽힘 Pa 에 의한 수직응력: B(top)와 β (bottom)에서 최대

 횡하중 P 에 의한 전단응력: B 와 β 에서 0, 중립면 최대


예제 (조합응력)
• 그림은 10,000 N 의 정하중을 받는 고정 축과 풀리를 나타낸다. φ25 축 단면에서
최대 응력의 위치와 크기를 구하시오.
10,000 N

50 mm
<Sol>
75 mm 500 Nm

750 Nm
φ25

10,000 N
10,000 N

50 mm
축은 비틀림, 굽힘, 전단력 을 동시에 받는 조합응력 상태

 비틀림에 의한 전단응력: 모든 표면 에서 최대

 굽힘에 의한 수직응력: A(top) 와 B 점(bottom) 에서 최대

 전단력에 의한 전단응력: A 와 B 점에서 0 이고 중립면에서 최대

3 - 77
예제 풀이
굽힘응력 (A 점) Mohr원  x  326 MPa
293 
y(0, 244)  y  0
0.025 )
My (10, 000  0.05)( 
x   2  326 MPa  xy  244 MPa
I  (0.025)4
64
c  ( x   y ) / 2  163 MPa

비틀림에 의한 전단응력    x  y 
2

r      xy 2
0.025 )   2 
Tr (10, 000  0.075)( 2  244 MPa 
 xy     163  244  293 MPa
2 2

J  (0.025) 4
x(326,  244)
32

A 점 주응력 (최대수직응력)
 1  c  r  456 MPa
50 mm  2  c  r  130 MPa

  163
A 점 최대 전단응력
  293
 max  r  293 MPa   163

  293

3 - 78
응력집중계수, Kt
• 균질하고 등방성 인 재료의 이론적인 응력집중계수 Kt 분석
 max 
Kt  or K t  max
 nom  nom

단면적 동일

(노치가 없는 경우) 최대응력 = 공칭응력 (노치 있는 경우) 최대응력 = K × 공칭응력

※ 정하중 작용 시, 연성(ductile) 특성이 큰 재료일 수록 응력집중효과는 감소한다. 왜냐하면 응력집중 부위의


응력이 소성변형을 야기하는 순간 응력이 재분포되어 응력상승이 줄어들기 때문.
따라서 연성재료의 응력집중효과는 일반적으로 무시되는 경우가 많음
3 - 79
응력집중계수, Kt
• 응력집중 그래프: 요소 형상이 응력집중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나타내는 무차원 수
• 응력집중계수는 축/굽힘/비틀림 하중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짐 (Appendix C 참조)

노치가 있는 판의 하중형태에 쇼울더 필렛이 있는 판의


따른 응력집중계수 하중형태에 따른 응력집중계수
3 - 80
응력집중계수, Kt

구멍이 있는 축의 하중형태에
따른 응력집중계수

중앙에 구멍이 있는 평판
3 - 81
응력집중계수, Kt

필렛이 있는 축의 하중형태에
따른 응력집중계수

3 - 82
응력집중계수, Kt

홈붙이 축의 하중형태에 따른
응력집중계수
예제 3.17
• 그림과 같은 판에 하중이 작용하고 있다. Hole 과 fillet 에서 발생하는 응력이 같도록
fillet 반지름 r 을 결정하라 1 0 mm

5 0 kN
10 0 mm 2 0 mm 6 6 mm

<Sol> r ?

i) Hole 부위 (오른쪽 그래프 or from C.5)

d 20
  0 .2  K t  2.44
D 100

 hole.max  K t   nom
P
 Kt
A
P
 Kt
( D  d )t
50,000
 2.44
(100  20)10
 152.5 MPa
예제 3.17 (풀이 계속)
1 0 mm

5 0 kN
10 0 mm 2 0 mm 6 6 mm

r ?
ii) Fillet 부위

P 50  103
 fillet . max  Kt  Kt  75.8K t MPa
A (66  10 3 )(10  10 3 )

Hole 과 fillet에 발생하는 응력은 같아야 하므로

152.5  75.8 K t   K t  2.0

오른쪽 그래프에서

D 100 r
  1.52   0.12
d 66 d
 r  (0.12)(66)  7.9 mm

3 - 85
추가문제
• 그림과 같이 하중이 작용하고 있다. Notch 와 hole 부위의 최대응력을 각각
구하시오 (단, t = 25 mm).

i) Notch 부위
5000
 nom   2.9 MPa
(100  30) 25
D 100 r 15
  1.43,   0 .2  K t  2.0
d 70 d 70
 notch. max  K t   nom  2(2.9)  5.8 MPa

ii) Hole 부위
5000
 nom   4 MPa
(100  50)25
d 50
  0.5,  K t  2 .3
D 100
 hole. max  K t   nom  2.3(4)  9.2 MPa
3장 연습문제 과제 (온라인 제출 날짜 추후 공지 예정)
꼭 풀이과정을 보일 것. 다른 사람 과제 COPY 금지

정답: (a) σBD = -1.018 MPa, (b) A = 9.697 MPa

정답: b = , h=d

3 - 87
정답: (1) d = 26.1 mm, (2) d = 18.43 mm

3 - 88
정답: b = 56.5 mm
단순지지

정답: t = 0.399 in

3 - 89
정답: Pallowable = 29.3 kN

3 - 90
처짐과 충격
CHAPTER
축방향 하중이 작용하는 부재의 변형
• 축하중이 작용하는 단면적 A, 길이 L, 영률 E 인 bar 의 변형

• 변형량
PL

AE

• Bar 의 스프링률(spring rate)


P AE
k 
 L

• 열변형이 존재할 때 전체변형량


PL
   (T ) L
AE

4 - 92
예제 4.4
•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 수직 하중 P가 작용할 때 E 지점의 변형량(처짐)을 구하라. 단,
모든 재료는 항복강도 Sy = 435 MPa, 탄성계수 E = 105 GPa 인 황동이며, 파손은
발생되지 않으며 부재 BC는 강체로 가정하라.

강체 BC의 FBD

<Sol>

 M  0 :  F (0.6)  60(0.4)  0  F  40 kN
c AB AB

 F  0 : F  60  40  0  F  20 kN
y CD CD

4 - 93
예제 4.4 (풀이 계속)

강체 BC의 B와 C점의 처짐량


FAB L (40 103 )(0.6)
B    2.02 mm
AAB E   (0.012) 2 
 (105 10 )
9
 4
 
FCD L (20 103 )(0.6)
C    1.46 mm
ACD E   (0.01) 2 
 (105 10 )
9

 4 

점 E의 처짐량
0 .4
 E   C  ( B   C )( )
0 .6
 2 
 1.46  (0.56)( )
 3 
 1.83 mm

4 - 94
(적분에 의한) 보의 처짐
• 보의 처짐은 축 설계 기준이 되는 위험속도(Critical speed)와 관련

<보의 처짐 식 유도>

D → C, 즉 ∆s→0 인 극한에서 C 점의 곡률은

d   1 1
 lim  lim  lim  (  : C 점의 곡률반지름)
ds s 0 s s 0 OC   s 0  

모멘트 – 곡률 관계 (under pure bending)

(   y )   y
x  
  d 1  x 1  My  M
     ~①
My ds  y y  EI  EI
 x  E x 
I

4 - 95
d 1  x 1  My  M
(적분에 의한) 보의 처짐   
ds 
   
y y  EI  EI
~①

(2) 곡률과 처짐량 사이의 관계

중립면의 기울기 
 tan 
x

s 로 미분 (기울기 변화율이 곡률이므로…)


d 2 dx d
 sec 2

dx 2 ds ds
 
d 2  
d d  dx
2
d 2
  2 cos 2   2 cos 3   dx 2 ~②  cos   1  1

1 
3  
 
ds dx ds dx sec  1
 
 
2
1  d  2 2
 1 tan 1  d 
2 2

 dx    
 dx  
by ①=②
 3

d 2 1 M  

 1  d 
  1,
2 2

dx 

 d
dx
  0 
2

M d 2
       ( x)   ( x )   EI   M
dx 2  EI : Moment – curvature relation EI dx 2

4 - 96
예제
• 그림과 같이 외팔보에 두 개의 외력이 작용하고 있다. 자유단 C 점의 처짐량은?
y
P
L
x
C
Mo
<Sol>
중첩의 원리 적용
P Mo
2
반력? PL
1 Mo
P

EI ''  M  Px  PL
EI ''  M o
1
EI '  Px 2  PLx  C1 ( x  0   '  0  C1  0) EI '  M o x  C1 ( x  0   '  0  C1  0)
2
1 1 1
EI  Px 3  PLx 2  C 2 ( x  0    0  C 2  0) EI  M o x 2  C 2 ( x  0    0  C 2  0)
6 2 2
1  1 3 1 3  PL3 1 1 2 M o L2
 1  PL  PL    2  M oL  
EI  6 2  3EI EI  2  2 EI

PL3 M o L2 L2
  1   2    2 PL  3M o 
3EI 2 EI 6 EI

4 - 97
충격하중
• 하중에 따른 기계설계 핵심
– 정적하중 작용할 때: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기계설계
– 충격하중 작용할 때: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기계설계

• 충격문제의 기본 가정들
– 변위는 하중에 비례
– 재료는 탄성 거동
– 부분적 변형에 의한 에너지 손실 무시

4 - 98
종방향 (longitudinal) 충격에 의한 변위량
• 자유 낙하하는 물체에 의한 충격
• 무게 W 인 물체가 높이 h 에서 스프링 위로 낙하할 때,
W 가 h + δmax 에서 떨어지는 위치에너지는 스프링을
변형시키는 변형에너지로 변환되므로
P
1 2
W (h   max )  k max 탄성
영역
2
δ
• 위 식을 최대 동적변위 δmax 에 대하여 정리하면,
2W 2W
 max
2
  max  h0
k k
W
 max
2
 2 st  max  2 st h  0 (스프링 상수 k ,  st : 정적 변위)
 st
 max   st   st2  2 st h
 2h   <충격계수 (impact factor)> 하중이 2h
  st 1  1    K  1 1
 st   1 2 v2 동적으로 작용할 때, 같은 하중이  st
   
  mv mgh h 정적으로 작용할 때와 비교하여
2 2 g v2
 v  
2
증가하는 비율  1 1
  st 1  1    g st
 g st 
충격변위 = 정적변위 × 충격계수
충격하중 = 정적하중 × 충격계수
충격응력 = 정적응력 × 충격계수
4 - 99
수평으로 움직이는 물체에 의한 충격
• 속도 v 로 운동하다가 탄성체와 부딪히며 멈추는 물체
• 물체의 운동에너지는 탄성체(스프링)를 변형시키는 변형에너지로 변환되므로
1 2 1 2
mv  k max
2 2
• 따라서, 최대 동적변위 (충격변위) δmax
1 2    W  2 W
 max  mv   st  v (스프링 상수 k  ,  st : 정적 변위)
k  W  g   st

v2
  st
g st
2 Ek   v2 2 st 1 2  2 Ek 
  st
 g

mg
 mv  2 st  Ek 
2 W k


k  

• 최대 동적하중 (충격하중) Pmax


 mg  v2 v2 g  m2v 2 g 1 2 2mg 2W 
Pmax  k max     st m  2 Ek k 

 mv   Ek   2 Ek k 

 g    st 2  st  st
 st  st st  

즉, 충격 변위/하중은 운동에너지에 비례한다!


4 - 100
비틀림 충격
• 회전하는 축에서 비틀림 충격 발생
• 강성 GJ, 길이 L, 지름 d 인 원형봉의 끝단에 순간적으로 토크 T 작용
• 최대 동적 비틀림 각도와 최대 동적 토크는
 GJ  TL
2 Ek 2 Ek L 
max    k   GJ
k GJ  L 
2 Ek GJ
Tmax  2 Ek k 
L

• 따라서, 최대 전단응력 max


16Tmax  16  2 Ek GJ k
T

GJ
 max    3   L
d 3  d  L
EG  1 2
2 k 단, Ek  Iw 
AL  2 

 
 16  16  2 Ek G   d  16  Ek G 
4
4 Ek G Ek G 
  2
  2d 6 L 32 d2 L d2 L AL 
 4 

4 - 101
예제 (각자 풀어보기…)
• 오른 쪽 그림과 같이 무게 W 인 물체가 속도 v 로 충돌한다.
이 때 충격하중을 구하시오.
 L  100 mm
 E  207 GPa E

단,  m  1 kg
 d   10
 m
 v  1 m/s

<Tip> v
충격하중 = 정적하중 × 충격계수 이므로

 v2 

F  W  1 1 
 g st 
 

WL (1)(9.8)(0.1)
 st    0.06 m
AE   (0.01) 2 
 207 10 9

 4 

 (1) 2 

 (1)(9.8)  1  1  
 (9.8)(0.06 10 ) 
 6

4 - 102
예제 4.12
• 그림과 같이 무게 W = 100 N 물체가 높이 h = 150 mm 에서 낙하하여 길이 L = 2 m 인
단순 지지보의 중앙에 떨어진다. 보의 탄성계수 E = 200 GPa, 보의 폭 b = 30 mm,
높이 d = 60 mm 일 때 다음 두 경우에 대하여 최대 처짐량과 최대 응력을 구하라.
a. 보의 양 끝단이 단순 지지되고 있다.
b. 보의 양 끝단이 스프링상수 k = 200 kN/m 의 스프링으로 지지되고 있다

(a) (b)

4 - 103
예제 풀이
<Sol> 충격처짐 = 정적처짐×충격계수
• 정적처짐 (beam deflection)

PL3 (100)(2) 3
 st .beam   3
 0.154 mm
48 EI 9 0.03(0.06)
48(200 10 )( )
12

• 최대 정적응력 (beam stress)

h (0.06)
y FL (100)( 2 )
 st  M  ( ) 32   2  2.778 MPa
I 4 bh 4 (0.03)(0.06) 3
12 12

(a) 단순지지보

• 충격계수

2h 2(0.15)
impact factor  1  1   1 1  45.15
 st 0.154(10 3 )

   45.15(0.154)  6.95 mm
  max
 max  45.15(2.778)  125 MPa

4 - 104
예제 풀이 (계속)

(b) 스프링 지지보

• 전체 정적처짐 (beam deflection + spring deflection)

 st .total   st .beam   st .spring


PL3 P
 
48 EI 2k
100
 0.154 
2(200)
 0.404 mm

• 충격계수

2h 2(0.15)
Impact factor  1  1   1 1  28.27
 st 0.404(103 )

   28.27(0.404)  11.42 mm
  max
 max  28.27(2.778)  78.53 MPa

4 - 105
예제 4.14
• 길이 L = 2.5 ft, 지름 d = 3 in, 강성계수 G = 11.5106 psi, 전단 항복응력 Sys = 30 ksi 인
축 끝단에 회전반경 (radius of gyration) r = 10 in, 무게 W = 120 lb 인 flywheel 이
부착되어 150 rpm 으로 회전한다. 축 반대 단이 갑자기 정지했을 때, 다음을 구하라.
a. 축의 최대 비틀림각
b. 최대 전단응력

<Sol>
a) Flywheel 의 운동E는 축에 흡수되므로
2 2
1 1 1  W   2  1 120  2  2 
Ek  Iw 2  ( mr 2 )w 2   r 2  n   10  150   3835 in  lb
2 2 2  g   60  2  32.174 12   60 
비틀림각

2 Ek 2 Ek L 2(3835)(2.5 12)
max     0.05 rad  2.87 
k GJ  (3) 4
(11.5  106 )( )
32

b) 최대 전단응력

EGk (3835)(11.5 106 )


 max 2 2  28.84 ksi
AL  (3) 2
( )(2.5 12)
4 4 - 106
충격강도에 따른 응력 집중부의 영향 (1/2)
• 응력 집중부의 영향

– 정적하중 시: 국부적 항복이 응력을 재분포 시키므로 응력집중부의 영향이 작음


– 동적하중 시: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시간이 매우 짧아서 연성재료도 취성파괴를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응력집중부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큼

• 충격에너지 흡수용량 (U : 충격운동(위치)에너지)


1 2 1 2 1 2
1 mv2 1 k2 max   max  1 mv2
– 충격응력 2mv  2k max   max  kmv
2 2 k
  E max


2E 1  W  2 2E   E max
   v  U  max
AL 2  g AL  E max


 E L
L


E 1 2
 E 1 mv
– 충격에너지 흡수용량  L k mv 2
L k


 2 AL  2V E 2 1
충격에너지 흡수용량은  E 2 stst 1 mv2 2
U    L W 2mv

2E 2E 충격응력 제곱에 비례 L 2W 2
E 2 WL 1 2


 E 22 2 WL 1 mv
 L2 W AE mv 2 2
L W AE 2


2E
 2 E U
 AL Ek
AL
4 - 107
충격강도에 따른 응력 집중부의 영향 (2/2)
• 이론적으로 충격시의 응력집중부(예:노치)의 영향을 예측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Charpy 노치 충격시험이 사용

• 봉의 하단부에 응력집중 부위(Ki =1.5)가 존재


 max  K i nom
 S 재료의 허용응력이 S 일 때
 nom  max  (단, S : 재료 허용응력) 응력집중 부위(Ki)는 S/Ki 를
Ki Ki 넘지 않는 응력만을 받아야 한다!

• 그러므로 유효응력집중계수가 Ki 인 부위의 에너지 흡수용량은


2
 S 
U   2  U   
 Ki 
1 봉이 견뎌낼 수 있는 응력은
U  2 (응력집중 부에 따른 에너지 흡수용량의 감소율)
Ki 1.5배 만큼만 줄어들지만,
봉의 충격 에너지 흡수율은
충격 에너지 흡수용량은 응력집중계수 제곱에 반비례한다 ! (1.5)² 즉 2.25배 줄어든다.

4 - 108
예제) 노치 인장충격
• 아래 두 봉(rod)의 충격에너지 흡수용량을 비교하시오 (단, 재료의 허용강도는 S).

<Sol>
(A) 재료강도 : S (B) 재료강도 : S  S S
 허용응력  
봉 하단부위 Ki = 1.5 노치 부위 Ki = 3 이므로  Ki 3
S S 1
허용응력  또, 면적감소율 Anotch A
K i 1.5 4
1 S S
∴ 최종 허용응력    
4  3  12
S
허용응력B 1
(1)  12   8 배감소
허용응력A S 8
1.5
중간에 노치 있는 봉의
충격에너지흡수용량 B
S
 12 2 
 
1
2

 64 배감소
 에너지 흡수율은
(2)  노치 없는 봉에 비하여 64 배
충격에너지흡수용량 A S
1.5
 
64
 만큼 줄어든다 (2% 미만).

4 - 109
4장 연습문제 과제 (온라인 제출 날짜 추후 공지 예정)

정답: (a) d = 8.74 mm, (b) k = 2000 kN/m

정답: (a) D = 6.82º ,


(b) AB = 41.92 MPa

정답: 1 = −6𝑎𝐿 + 3𝑎 + 2𝐿 + 𝑥

4 - 110
정답: RA = RB = , MA = MB =

=− 3𝐿 − 4𝑥

정답: (a) δmax = 7.37 mm,


(b) σmax = 198 MPa

(단, E = 210 GPa, h = 0.5 m)

[Hint] 처짐량 공식

For 0  x  a
Pbx 2
 (L  x2  b2 )
6 LEI

- 주의할 점: x ≤ a 인 조건에 사용 가능
• x : 처짐점(δ)까지 거리
• a: 하중작용점까지 거리 (x 와 같은 시작 위치)
• b: 하중작용점까지 거리 (x 와 반대 위치)

4 - 111
정답: d = 1.943 in

정답: (a) max = 4.24º ,


(b) max = 243.3 MPa

4 - 112
정적파손 기준
CHAPTER
(항복이론)
서론
• 재료의 파손
– 부재의 기능이 상실 되게 하는 모든 거동

• 파손의 종류
① 파괴 : 하중에 의하여 재료가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되는 것
② 항복 : 재료에 소성변형이 발생하는 것
• 소성변형: 힘을 가하여 변형을 일으킨 후 힘을 제거하였을 때, 완전히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영구적인 변형
∴ 파손 ≒ 항복

• 항복기준 성립요소
① 응력에 의한 항복기준: 설계시 응력이 항복응력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
• 항복응력 (yield stress): 물체가 소성변형을 일으키는 시점에서의 응력
② 변형률에 의한 항복기준: 변형률이 정해진 기준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
③ 변형에너지에 의한 항복기준: 각 응력성분의 상호 연관성을 고려하여
에너지를 계산하고 그 값이 정해진 기준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

6 - 114
서론
• 연성(ductile) 재료와 취성(brittle) 재료
– 연성재료 : 항복에 의한 변형이 큰 재료 (일반적으로 εf ≥ 0.05)
– 취성재료 : 항복에 의한 변형이 작은 재료 (εf < 0.05)
– 온도, 노치, 충격 여부에 따라 한 재료가 소성변형 할 수도 있고 취성파괴 될
수도 있음. 즉, 연성재료도 환경에 따라 취성적으로 파괴될 수 있음

• 항복조건
– 응력에 대한 함수로 표현 가능
–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조합응력 상태에서 항복이 일어난다고 가정
f (σ) = c
여기서 σ 는 해당 항복조건을 만족하는 응력의 조합, c 는 항복조건에 따른 상수

(예) 3차원 상태: f (σx, σy, σz, τxy, τyz, τzx) = c


주응력으로 표시: f (σ1, σ2, σ3) = c
1축 인장 상태: f (σ1) = c

• 6 장에서 배울 내용
– 다양한 정하중에 대한 재료의 지지 능력 검토 방법 (항복에 근거)
–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적절한 안전계수 선정 방법
6 - 115
파손이론 (or 항복이론)
• 모든 기계부품에 작용하는 하중은 오직 단순 인장하중만 있다고 한다면,
항복시점과 항복응력을 판단하기는 용이. 왜냐하면, 단축인장 시험기로 미리
파손에 이르는 하중크기를 실험으로 알아 낼 수 있기도 하고, 이미 다양한 재료에
대한 항복응력 값이 재료편람에 다 나와 있기 때문 !!

• 하지만 실제 기계부품의 응력상태는 여러 종류의 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조합응력


상태이며 조합응력 형태의 “경우의 수”는 무한 개! 그러므로, 이러한 모든 경우에
대한 파손 여부 검사시험을 미리 해놓는 것은 불가능

• 따라서, 다양한 조합응력 상태에서 항복여부를 예측 할 수 있는 이론 필요

• 파손이론의 기본 개념
① 특정 재료의 표준 단축 인장시험 결과를 근거로 하여 항복응력 Sy 를 얻음
② 같은 재료의 실제 조합응력 상태에서 주 응력성분들을 계산
③ 주응력의 상당응력과 Sy 크기를 비교하여 조합응력 상태에서 항복여부를 예측

• 단, 파손이론은 실제 재료의 파손 형태가 표준 인장시험의 파손 형태와 동일한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

6 - 116
파손이론의 종류
• 취성재료 (εf < 0.05) 의 파손이론

① 최대 주응력 이론 [Maximum Principal Stress (MPS)] : 재료 내 임의


지점에서의 최대 주응력(maximum principal stress)이 재료의 항복응력(Sy)에
도달하였을 때 파손(항복)이 시작된다고 판단하는 이론

• 연성재료 (εf ≥ 0.05) 의 파손이론

② 트레스카(Tresca Criterion) 이론 또는 최대 전단응력 이론 [Maximum Shear


Stress (MSS)] : 재료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최대 전단응력이 임계 값에
도달하였을 때 파손(항복)이 시작된다고 판단하는 이론

③ 본 미제스(von-Mises Criterion) 이론 또는 최대 전단 변형 에너지 이론


[Maximum Distortion Energy (MDE)] : 재료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최대
전단 변형에너지가 임계값에 도달하였을 때 파손(항복)이 시작된다고
판단하는 이론

6 - 117
(1) 최대 주응력이론 (최대 수직응력 기준)
• “최대 수직응력 이론” 이라고도 함.
• 본 이론은 취성재료의 파손에 잘 적용 (연성재에는 잘 맞지 않음)

• 재료내의 임의의 지점에서 최대 주응력 의 크기가 재료의 인장시험 또는


압축시험에서 얻은 항복응력(Sy) 에 도달할 때 파손(항복)이 일어난다고 판정

• 항복응력(Sy) 대신 극한강도(Su) 와 비교할 수 있음 (∵취성재료 Sy ≒ Su)


(즉, σ1 ≥ Sy or σ1≥ Su 일 때 항복발생)

σ1 과 σ2 조합이 빗금친
영역을 벗어나면 파손이
일어난다.

6 - 118
(2) 최대전단응력이론 (Tresca 항복기준)
• 재료의 파손이 전단응력에 대한 강도부족에서 비롯되었다는 가정에서 시작

• 재료에 발생하는 최대전단응력이 그 재료의 단축 인장시험에서 항복이 일어날 때의


최대전단응력 값(Sy /2)에 도달하면 항복이 일어난다고 판정

• 연성재료의 파손 예측 가능. 여기서, Sy 는 단축 인장시험에서 구한 항복응력


단축인장하중에서 항복을 일으키는 최대전단응력은 Sy /2
1 1
 max   1   2  S ys  S y
2 2
S ys Sy
Sy  1   2  S y  1   2 
n
Sy n : 안전계수
항복발생 조건 : 1   2 
n
σ1 과 σ2 조합이
Sy 빗금친 영역을 평면 굽힘, 비틀림, 전단력, 축방향 힘을 받는 경우
벗어나면 파손이
12
일어난다.
 x   x  
2
x
 1, 2    max       xy 
2

2 2  2  
Sy
Sy
  1   2  ( x  4 xy ) 
2 2

n
(3) 최대 전단 변형에너지이론 (von Mises 항복기준)
• 편차응력 성분에 의한 전단 변형에너지가 재료의 항복에 관여한다는 학설

• 재료의 단위 체적당 전단 변형에너지가 동일재료에 대한 단축인장시험에서 항복을


발생시키는 단위 체적당 전단 변형에너지에 도달하면 항복이 일어난다고 판정
• 연성 재료의 항복을 가장 잘 예측하는 이론

• 편차응력에 의한 전단 변형에너지 식은 (단, Sy 는 항복응력)


1
3
 
 1   2 2   2   3 2   3   1 2  2 S y
3
( 1  S y ,  2   3  0 )

좌변: 재료의 실제 전단 변형에너지 우변: 단축 인장시험에서 전단 변형에너지식

1
2
 S

 1   2 2   2   3 2   3   1 2  y
n
n 은 안전계수

상당응력이 Sy /n 를
좌변: 상당응력 [σe ] 초과하면 항복 발생 !!
또는 von-Mises 응력

1
2
 
 x   y 2   y   z 2   z   x 2  3 xy2  3 yz2  3 zx2  S y
n

6 - 120
안전계수 (Safety Factor)
• 불확실한 실제 상황에서 기계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 안전계수 ” 도입

• (예) 고층건물 설계하는 경우


– 정상적인 상태: 건물이 기능을 다하는 상태
– 위험한 상태: 건물이 무너지는 상태
• 일반적인 원인: 자체 무게를 지탱하지 못함 (기본 설계 오류)
• 예상치 못한 원인: 자재의 결함, 피로 또는 지진, 강풍, 폭격 등 충격하중

• 즉, 어떠한 대상이 위험한 상황에서도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론적인 값보다


설계변수를 더욱 강화 한 정도(계수)

• 위험한 상태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큰 값을 가지게 됨

• 재료의 이론적 허용응력 (주로 Sy) 값을 안전계수로 나누어 실제 최대 허용응력


기준으로 사용

6 - 121
안전계수 (Safety Factor)
• 정의

재료의 허용응력 재료의 항복응력


안전계수 (n) = =
최대 작용응력 현 하중상태에서의 최대응력

• 현대 공학설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안전계수 1.25 ~ 4 정도 사용

• 파손이론에 따른 안전계수
– 최대주응력이론
S y (or Su )
n
1
• 안전계수(n) 영향
– 최대전단응력이론 – n 이 커지면 안전성 향상 경제성 저감
– n 을 가능한 작게 선정 ☞ 최적설계
Sy
2  Sy
n • 안전계수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 max 1   2
① 재질 균질성 여부
– 최대전단변형에너지이론 ② 하중계산의 정확성
Sy Sy ③ 응력계산의 정확성
n  ④ 온도, 습도, 마찰, 부식 등의 영향
e 1
2

 1   2     2   3     3   1 
2 2 2
 ⑤ 공작 및 조립 정밀도와 잔류응력
⑥ 수명
6 - 122
파손이론 요약

MPS Tresca Criterion von Mises Criterion


최대 주응력 이론 최대 전단응력 이론 최대 전단 변형에너지 이론
파손
주응력 전단응력 전단 변형(비틀림)에너지
원인
Sy Sy
1   max 
파손
or
n
or
2n 1
2
  S
 1   2 2   2   3 2   3   1 2  y
n
조건 Sy
Su
1  1   2  e
n n
적용
취성 연성 연성
재료
S y (or Su ) Sy
안전 n Sy 2
Sy
 1 (최대주응력) n  n
계수 1   2  max e

6 - 123
예제 (항복 발생여부 판별)
• 2024-T4 Al 합금의 단축 인장시험시 항복응력이 Sy = 330 MPa 일 때, 본 재료가 아래
응력상태에서의 항복여부를 Tresca 와 von Mises 이론으로 각각 판별하라 (n = 1).
 x  138 MPa  xy  138 MPa

 y  69 MPa  yz  0
  zx  0
 z  0

<Sol>
From Mohr’s Circle
   207 MPa
 1,2  Center  Radius   1
  2  138 MPa

(1) Tresca Sy 330


n 2  2  0.96
 max   min 207  138 S y (330)  max 345
 max   

비교
2
2 2 2
345 > Sy (330) 이므로 항복 발생 !

Sy 330
(2) Von Mises n   1.1
e 300
 e
1
2
 
207  138 2  207 2  138 2  300 

비교
S y (330 ) 300 < Sy (330) 이므로 항복 안발생 !

6 - 124
비틀림 모멘트를 받는 축의 항복관련 설계기준
• 비틀림을 받는 축 요소의 주응력은 아래와 같음 (from 모어 원)
z

 1   z ,  2   z ,  3  0

• 따라서, 비틀림 하중하의 축 요소의 항복이론 비교


(1) Tresca Criterion
 max   min   z  (  z ) Sy
 max   =  z 
2 2 2
  z  0.5S y 일 때 항복개시 !

(2) von Mises Criterion

e 
1
2
   
1   2 2   2   3 2   3  1 2  1 2Z 2  Z 2  Z 2  3Z  S y
2
1
 Z  S y  0.577 S y 일 때 항복개시 !
3

6 - 125
예제 6.4 비틀림과 축하중을 동시에 받는 연성재의 파손
• 인장 항복강도 Sy = 300 MPa 이고 지름 D = 50 mm 인 원형 봉에 토크 T = 500π N∙m
가 작용한다. 이 봉에 함께 작용할 수 있는 축하중 P 의 최대값을 최대전단응력이론
(Tresca) 을 사용하여 구하라 (단, 안전계수 n = 1.2).

<Sol> 주어진 하중에 의한 응력은


 P P 4P
    
A D 2 D 2
x
 4

 Tr 16T

 xy J  D 3

From Mohr’s Circle


2
 x  y   y 
 1, 2    x    xy2
2  2 
2
 
 1   2  2  x    xy2 - - - - - - - (1)   y  0 
 2 
S
 1   2  y - - - - - - - (2)
n

6 - 126
(예제 6.4 풀이 계속)

(1)  (2)
2
x  Sy
2     xy2 
 2  n
2 2 2
 Sy   300 10 6   16  500 
 x     4 xy  
2
  4 3 
 214.75 MPa
n
   1 .2     0 . 05 

따라서

4P
 214.75 MPa
D 2

 (0.05) 2 (214.75 10 6 )


P   421.7 kN
4

6 - 127
예제 6.5 Torsion Bar 설계
• Sy = 580 MPa 이고 지름 d = 34 mm 인 강철 torsion bar 가 베어링 C 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며 끝점 A 에서 강체 암(arm)에 연결되어 있다. 암의 오른쪽 끝단에는 지면의
수직 반력 P = 2.6 kN 을 받는 바퀴가 연결되어 있을 때, 최대전단응력(Tresca)
이론과 최대 전단 변형에너지(von Mises) 이론을 이용하여 안전계수 n 을 구하라.
단, a = 120 mm, L = 360 mm <Sol> 하중에 의한 모멘트는
T  PL  (2600)(0.36)  936 N  m

M  Pa  (2600)(0.12)  312 N  m
따라서, 응력은

 Tr 16T 16(936)

 xy J d 3  (0.034)3  121.3 MPa
  


  My  32 M  32(312)  80.86 MPa
 x I d 3  (0.034)3

y(0, 121.3)

C  40.43 MPa
R R  127.86 MPa
C
  C  R  168.29 MPa
 1
 2  C  R  87.43 MPa
x(80.86, -121.3)
6 - 128
(예제 6.5 풀이 계속)
12
x x   x  2 
최대 전단응력 이론 (Tresca)  1, 2    max       xy 
2

2 2  2  
Sy 580 Sy
From  1   2   168.29  ( 87.43)    1   2  ( x  4 xy ) 
2 2
n n n

 n  2.268

또, 최대 전단 변형에너지 이론 (von Mises)

 
1 S
 1   2    2   3    3   1   y
2 2 2
e 
2 n

1
2
168.29  (87.43)    87.43  168.29  
2 2 2

580
n

 n  2.578

6 - 129
6장 연습문제 과제 (온라인 제출 날짜 추후 공지 예정)
꼭 풀이과정을 보일 것. 다른 사람 과제 COPY 금지

정답: (a) n = 2.86


(b) n = 2.61

정답: F = 1.163 kN

1 - 130
Sy = 36 ksi
정답: T = 18.81 kips ∙ in

6 - 131
피로파손 기준
(고 사이클 피로)
CHAPTER
피로
• 피로에 의한 재료의 파손
– 어떤 기계라도 단 한번의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일은 거의 없고, 대부분의
파손은 하중의 반복적인 작용으로 발생

– 정적 하중조건에서의 정적파손
• 하중이 일정 또는 느리게 변하는 조건 (정적응력 발생)
• 정적파손은 과도한 변형을 야기시켜 파손 임박을 알 수 있음
• 즉, 정적파손이 발생할 때 큰 소성변형이 나타남

– 반복 하중조건에서의 피로파손
• 하중이 시간에 따라 빠르게 반복적으로 변하여 내부에 점진적 손상 입힘
• 재료의 취약한 부분에서 미소균열 발생
• 미소 균열은 응력집중을 증대시켜 큰 균열로 성장 후, 재료를 파괴시킴

– 피로파손의 특징
• 반복 하중조건에서는 최대응력이 항복강도 보다 훨씬 낮은 응력 에서도
파손 발생 (많은 반복 사이클 후에 발생하므로 “피로파손”이라 함)
• 전조현상 없이 갑작스럽게 발생
• 피로파손 전 과정 동안 소성변형은 거의 일어나지 않음

7 - 133
피로파손 예
• 피로파손 단면의 특성
– (큰)인장 & (작은)인장하중이 반복 작용하는 축에 발생한 피로파손
• 단계 A: 초기단계로서 응력집중부위에서 소성변형 후, 미소균열 생성
• 단계 B: 발전단계로서 반복하중에 인해 균열이 반복되고 beach 마크 성장
• 단계 C: 균열이 너무 커져 더 이상 하중을 지탱하기 어려운 상태로
갑작스러운 파손 발생

Schematic representation of fatigue fracture surfaces


of circular and rectangular cross sections subjected to
tension–tension fatigue load

7 - 134
Part 1. 피로시험과 S-N 선도
(교번응력 σa 와 피로수명 곡선)
피로시험
• 피로하중 하에서 재료강도 결정
– 인장, 비틀림, 굽힘 반복하중을 각각 시편에 가해서 파단이 발생될 때 까지의
반복하중 사이클(횟수)을 기록
M 소
• Moore의 회전 굽힘(rotating bending) 시험기
• 원형 단면 시편에 추를 매달면 (굽힘 모멘트에
의해) 시편이 조금 처짐(deflection) <끊어질 때까지 회전수>
가장 큼 (오래 버팀)
• 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시키면 시편 표면에
반복적인 인장/압축응력이 발생 M
• 추 무게(인장/압축응력 크기)로 처짐량을
변화시키며 각각의 경우에 시편이 끊어질 때
까지의 반복하중 횟수(회전수)를 count 큼
처짐
• 응력(무게)을 크게 할수록 파괴까지의 량
사이클(피로수명)이 짧아짐 M

작음

Video clip: http://www.youtube.com/watch?v=52knsY5AWIc&feature=channel 대


https://www.youtube.com/watch?v=33hB4G1JUJw&t=281 가장 작음 (일찍 끊어짐)
반복응력의 정의
• 반복응력은 평균응력(σm : mean stress)과 교번응력(σa : alternating stress-진폭)으로 구성
• 기계나 구조물 부품에 완전 역전 응력 (σa ≠ 0, σm = 0) 이 가해지는 경우는 극히 적고,
대개는 일반적인 반복응력 (σa ≠ 0, σm ≠ 0) 이 작용

평균응력과 교번응력
완전 역전 응력
1
m  ( max   min )
2
1
 a  ( max   min )
2

응력비 R 과 진폭비 A
 min
R
 max

A a
m

완전역전응력일 때(σm = 0)

R 1
A

7 - 137
재료의 피로수명 예측 방법 (미리 정리…)
• 피로수명: 반복하중 하에서 재료가 파괴될 때까지의 하중(응력)의 작용 횟수

• 반복하중을 받는 금속 구조물의 피로수명 예측 방법


(1) 평균응력이 0 일 때 (σm = 0 )
 즉, 하중이 완전역전 인 경우
 S-N 선도를 이용하여 수명 예측
 이와 같은 반복응력을 받는 기계는 많지 않음
 재료의 S-N 선도 얻는 법 (다음 페이지에 상세 설명)
 재료 시편에 다양한 크기의 응력 S 를 부여하고 각각의 응력에서 파괴에 이르는 반복하중
사이클(수명) N 을 그래프에 마킹

(2) 평균응력 이 0 이 아닌 경우 (평균응력의 영향을 크게 받을 때 (σm ≠ 0) )


 즉, 완전역전 하중이 아닌 경우
 수정된 Goodman 선도 (or Soderberg 식)를 이용하여 수명 예측
 대부분의 기계가 받는 단순주기의 반복응력형태
 만약 하중이 단순주기가 아닐 때는
Minor Cumulative Damage Rule 활용

7 - 138
반복응력과 피로파괴 수명의 관계 → S-N 선도
• 피로시험 순서
① 시편에 반복응력 (교번응력: σa1)을 작용시켜 시편이 파괴될 때의 파괴수명 (N1) 기록
② 위 ① 보다 작은 반복응력(σa2)을 작용시키고 파괴수명(N2) 기록
③ 위 ② 보다 작은 반복응력(σa3)을 작용시키고 파괴수명(N3) 기록

위 n-1 보다 작은 반복응력(σan)을 작용시키고 파괴수명(Nn) 기록
(단, σa1 > σa2 > σa3 > … > σan 이며, N1 < N2 < N3 < … < Nn )

• 위 시험을 계속하면 어떤 크기의 반복 응력에서는 많은 사이클이 가해졌지만


시편이 파괴되지 않는 순간이 옴 (무한수명을 갖는 내구한도). 파괴수명은
미소균열에서 시작되므로 피로시험의 결과는 정적시험에 비하여 산포 형태
• 피로시험 결과를 그래프로 표시  S-N 선도 (다음 페이지 참조)
시험 반복응력 파괴수명
순서 (σa) (N) σa1

1 σa1 N1
2 σa2 N2
3 σa3 N3 Se
   N1 N

n Se (내구한도) N=∞
7 - 139
S–N 선도
• S-N 선도는 반복응력 (응력진폭 or 교번응력)과 피로수명의 관계를 graphically 나타냄
• 피로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의 두 축을 모두 대수-대수(log-log)로 환산하여 표시
• S-N 곡선은 103 ≤ N ≤ 108 정도의 고 사이클 범위에서 사용되므로 해당부분을 근사
시킬 수 있는 식은 식 (1)과 같고, log를 취하면 로그강도 대 로그수명 간의 관계는
직선 y=b+ax 로 주어짐 (식 (2))

S  a  N b - - - - - - - - - - - - - (1)
log S  A  blogN - - - - - -(2)

• 이때, 절편 A 와 기울기 b 는 실험데이터로부터 근사 가능. 그 결과 일반적으로


오른쪽 아래와 같은 S–N 선도 를 얻게 된다.

7 - 140
→ Steel 의 Su = 400 MPa, Sy = 280 MPa
Steel의 S–N 선도 (단, Steel 만드는 공정에 따라 편차 존재)
피로강도
→ Su : ultimate strength (재료의 극한강도)

피로파괴 영역 !! <피로시험 조건>


지름: 0.3 in
하중형태: 회전 굽힘
재료: 120 Bhn Steel

Knee S e (내구한도)
피로수명

• 특정 반복응력 값 이하에서는 아무리 오래 사이클이 반복되어도 파괴가 일어나지


않는 임계 값이 존재. 이를 내구한도(endurance limit) 라 하며 S e 로 표시
• Steel 의 내구한도 (회전굽힘일 때)는 약 S’e = 0.5 Su 이고 S1000 = 0.9 Su
• 무한수명설계: 보통 106 사이클 이상을 무한수명으로 취급하므로 내구한도
이하의 응력을 받도록 설계해야 함
• 유한수명설계: 모든 재료의 유한수명(103 ~ 106)을 대상으로 피로강도를 계산

7 - 141
S–N 선도 (피로강도–수명 선도)
• 재료의 S-N 선도가 주어졌을 때 (또는 알아냈을 때)
 특정한 수명 N 에 해당하는 피로강도를 계산하는 식은

S  aNb

 무한 수명을 만족하는 피로강도를 계산하려면 내구한도 를 선택

 피로강도 S 가 가해질 때, 수명을 계산하려면 위에 있는 식을 역활용


1
S b
N  
a

만약 N 이 임계 사이클 106 을 초과하면 그냥 무한수명 이라고 답하면 됨

7 - 142
예제
• 반복하중을 받고있는 재료에 대한 S-N 곡선을 이용하여 파손수명이 각각 N = 104 ,
N = 105 일 때의 응력 S4 와 S5 를 계산하라.
단, Su = 441 MPa, S-N 선도의 근사식은 S  1.62Su N 0.085 (103  N  106 )

<Sol>
S  1.62 Su N 0.085
 1.62(441) N 0.085
= 714N 0.085 [MPa]

문제에서 주어진 파손수명을 각각 대입하면

S4  714(104 ) 0.085 =323 MPa


S5  714(105 ) 0.085 =268 MPa

7 - 143
회전 굽힘 외 다른 완전 역전하중에 대한 내구한도
① 역전 굽힘 (Reversed Bending) 내구한도
– 역전 굽힘시 최대응력은 시험편의 윗면과 아랫면에서만 발생 역전
굽힘
하지만, 회전 굽힘 내구한도와 동일한 S’e 내구한도 (0.5Su)
S1000 = 0.9Su

② 역전 축 하중 (Reversed Axial) 내구한도 역전


축 하중
– 회전 굽힘 내구한도보다 10% 낮은 0.9 S’e 내구한도 (0.45Su)
S1000 = 0.75Su
③ 역전 비틀림 (Reversed Torsion) 내구한도 역전
– 회전 굽힘 내구한도보다 약 42% 낮은 0.58 S’e 내구한도 (0.29Su) 비틀림

S1000 = 0.72Su
S1000 S e : 회전굽힘 에 대한
내구한도(106)

A 역전하중의 내구한도보다
① B 역전하중의 내구한도가
② 더 낮다는 의미는 그 재료가
B 역전하중에 상대적으로
③ 피로에 더 약하다는 의미.
즉, 왼쪽 그래프에선 역전
비틀림 하중에 가장 취약.

7 - 144
내구한도의 실제 값 (내구한도 감소)
• 완전 역전하중에 대한 연성재료의 실제 상황을 고려한 수정된 내구한도
– 피로시험에 근거한 S–N 선도로부터 얻은 이상적 재료의 내구한도
– 그러나 실제 재료의 표면상태, 크기효과, 온도, 응력집중 등을 고려하여 수정 해야 함

1) 106 – cycle 강도 (수정 내구한도)


S e  C f  Cr  Cs  Ct  (1 K f )  S e

– Se : 수정 내구한도
– S e : 강의 이상적 내구한도 (역전굽힘: 0.5Su , 역전축하중: 0.45Su , 역전비틀림: 0.29Su)

– Cf : ①표면처리계수
– Cr : ②신뢰도계수
– Cs : ③크기계수
– Ct : ④온도계수
– Kf : ⑤피로응력집중계수

2) 103 – cycle 강도 (S1000 은 같음)


– 역전굽힘 : 0.9Su
– 역전축하중 : 0.75Su
– 역전비틀림 : 0.9Sus
→ 단, 강 Sus = 0.8Su → ∴ 0.72Su
연성재 Sus = 0.75Su → ∴ 0.675Su
7 - 145
내구한도 감소계수 - ①표면처리계수
• 표면처리계수
– 강 부품의 표면 마무리에 의한
내구한도 감소
– 피로강도는 표면상태에 민감
(최대 굽힘/비틀림 응력이 부재
표면에서 발생되기 때문)

C f  A  Sub

A
표면처리 b
MPa ksi
연마 1.58 1.34 -0.085
기계가공 or
4.51 2.7 -0.265
냉간인발
열간압연 57.7 14.4 -0.718

단조 272.0 39.9 -0.995

7 - 146
내구한도 감소계수 - ②신뢰도계수
• 신뢰도 계수 x
z
– 신뢰도에 따른 영향 
– z 는 표준편차 수 (number of STD)

Cr  1 0.08 z
68.2%
95.4%
신뢰도(%) Cr
99.7%
50 1.00
90 0.89

95 0.87
98 0.84
99 0.81
99.9 0.75
99.99 0.70

7 - 147
내구한도 감소계수 - ③크기계수
• 크기 계수
– 역전 축 하중 (Reversed axial loading)은 크기효과가 없으므로
Cs  1.0

– 역전 굽힘과 역전 비틀림 하중 (Reversed Bending & Reversed Torsion) 
지름(D)에 따른 크기계수는 아래와 같음 

 1 
0.85 (13  D  50 mm )   D  2 in.
Cs   2 
0.70 ( D  50 mm )  D  2 in.

– 가로 b 세로 h 인 사각 단면을 갖는 회전부재인 경우 D 를 아래와 같이 계산


D  0.8 bh
– 정보가 충분하지 못한 상태에서 설계하는 경우
Cs  0.7

<지름과 관련된 크기계수(Cs)에 대한 고찰>


즉, 지름이 클수록 내구한도가 낮은 (Cs 가 작은)이유는
① 단면이 큰 부재의 내부는 통상 표면과는 상이한 금속특성을 갖기 쉬움
② 부재의 지름이 커질수록 피로파손이 시작될 수 있는 미소균열 이 표면이나
내부에 포함될 통계적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
7 - 148
내구한도 감소계수 - ④온도계수
• 온도 계수
– 강에 대한 온도계수

1.0 T  450C (T  840 F )



Ct  1  0.0058(T  450) ( 450C  T  550C)

1  0.0032(T  840) ( 840F  T  1020F)

– 즉, 실온일 경우

C t  1 .0

7 - 149
내구한도 감소계수 - ⑤피로응력집중계수
• 피로하중이 작용할 때 응력집중 부위의 영향

• 노치 유무에 무관하게 피로파괴가 발생하는 단면의 크기가 동일하므로 하중 P 에


대한 공칭응력 값은 동일

 max  K f   nom
S n (u ) 노치없는 시편의 내구한도
Kf  
피로응력집중계수 S n ( n) 노치있는 시편의 내구한도

7 - 150
static load : K t

(⑤계속) Stress concentration under impact load : K i
repeated load : K
 f

• Kf 와 Kt 의 비교 (상관관계)

• 피로하중시 응력상승 요인 두 가지 Su 와 Bhn 값이 커질수록 내부 defect 가


① 재료의 불균질성: 내부결함이 응력 상승시킴 적어서 형상노치에 민감

② 재료 외부의 형상노치 (groove, hole, 등)


큰 Notch 일수록 형상노치에 민감
• 회주철과 같이 내부가 불균질이면 내부
응력상승효과가 커서 형상노치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다.
K f  1  ( K t  1) q

형상노치 민감도 계수 0  q  1

 균질 재료는 형상노치에 민감
q  1, K f  Kt 

 불균질 재료는 형상노치에 둔감


q  0, K f  1
즉, 노치반경이 커지거나, 강한 재료일수록

형상노치 에 민감하다 ! q  1, K f  K t 
결국, Kf = 1 이거나 Kf 는 최대 Kt 와 같음 7 - 151
예제 7.2 역전 굽힘을 받는 단이 있는 축의 내구한도
• 그림과 같이 기계가공으로 제작된 AISI 1050 steel (Su = 100 ksi) 축에 역전 굽힘
모멘트 M이 작용한다. 축 중간에 지름이 d 에서 D 로 변하는 곳에 완전 필렛부분이
있어서 응력집중계수 Kt 가 존재한다. 이 축의 d = 1⅝ in., D = 1⅞ in., r = 0.125 in.,
작동온도는 최대 500˚C 일 때, 신뢰도 98%로 축의 수정된 내구한도를 구하라.

<Sol>
시편의 내구한도
S e  0.5S u  0.5(100)  50 ksi

①표면처리계수 (기계가공 고려)


C f  A  Sub  2.7(100) 0.265  0.8

②98% 신뢰도계수와 ③크기계수는 각각


 1 
Cr  0.84 0.85 (13  D  50 mm )
Cs     D  2 in.
2 
Cs  0.85  0.70 ( D  50 mm )  D  2 in.

④온도계수
Ct  1  0.0058(500  450)  0.71
예제 7.2 (풀이 계속)

⑤피로응력집중계수
응력집중 부위

r  0.125  0.08 
d 1.625 
   K t  1.7
D  1.875  1.15 
d 1.625

형상노치 민감도계수 q 는 오른쪽 아래 그래프에서


q  0.82

∴피로응력집중계수

K f  1  ( K t  1) q  1  (1.7  1)0.82  1.57

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수정 내구한도”는

S e  C f  Cr  Cs  Ct  (1 K f )  S e
 (0.8)(0.84)(0.85)(0.71)( 1 )(50)
1.57
 12.92 ksi

7 - 153
예제
• Su = 1200 MPa, Sy = 950 MPa 이고 fine-ground surface 인 지름 11 mm 인 steel bar 의
(1) 106 or more cycles, (2) 2×105 cycles 수명을 갖는 완전역전 bending fatigue strength
를 구하라. 단, 작동온도는 상온, 크기계수는 0.9, 신뢰도 50%.
<Sol> (1) Modified endurance limit (수정 내구한도)
S [log]
S e  S e  C f  Cr  Cs  Ct  (1 K f )
S e  0.5Su  0.5(1200)  600 MPa
C  0.86 (강의록표 or Fig. 7.8)
 f
 S*
Cr  1.0
C  0.9
 s
Ct  1.0
 S e  600(0.86)(1)(0.9)(1)  464.4 MPa

(2) 2105 수명을 갖는 완전역전굽힘 Moment 103 104 105 106 Cycles [log]
103 수명을 갖는 피로강도
2 ×105 cycles
S n  0.9Su  1080 MPa
오른쪽 S-N curve (닮은 삼각형 비)
log106  log103 : log 1080  log 464.4  log 106  log(2 105 ) : log S *  log 464.4

3 : 0.363  0.7 : log S *  2.667 
log S *  2.667  0.085
log S *  2.752
 S *  10 2.752  565 MPa 7 - 154
< S-N 선도 요약 >
Part 2. 평균응력 ≠ 0 일 때 피로선도
(반복응력의 평균값 σm 과 피로수명)
반복응력 평균값(σm)이 피로수명에 미치는 영향
• 일반적으로 S-N 선도는 평균응력 σm = 0 또는 응력비 R = -1 인 완전 역전하중에
대하여 주어짐
• 피로시험에 의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S-N 선도는 평균응력 영향을 크게 받음
• 즉, 평균응력이 압축(음수)이면 수명이 연장되고, 인장(양수)이면 수명은 단축
• 예를 들어 오른쪽 그림과 같은 반복하중의 경우, σm ≠ 0 이므로 기존의 S-N 선도를
사용할 수 없음
• 따라서 평균응력이 0 이 아닌 경우를 고려해야 할 때는 이를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서 S-N 선도에 적용해야 함
교번응력(진폭)

log( a )

m  0
Compressive

m  0 Tensile

피로수명(Cycle)
0 2 4 6 log( N )
7 - 157
Goodman 피로파손 이론 (1/2)
• 대부분 기계에는 반복응력의 평균응력(σm) 및 교번응력(σa) 성분이 모두 존재
• 일정수명 피로선도 ~ 다양한 σm 및 σa 조합에 대한 피로수명을 보여주는 그래프

수평축 = 평균응력 (σm ) 축 


수직축 = 교번응력 (σa ) 축  Haigh 선도 S-N 선도(완전역전하중)

σa ≠ 0, σm = 0
 수평축 위의 값 (σa = 0) → 정하중
수직축 위의 값 (σm = 0) → S-N 곡선, 완전역전하중

a 교번응력(진폭)

Su
0 .9 S u
F
Values from S-N 곡선
① C, D, E, F 점은 완전역전 (σm = 0) S-N
곡선에서 피로강도( a )
E
② C, D, E, F 점과 Su (B점)을 연결한
D 선으로 일정수명을 예측할 수 있으며
0 .5 S u
이 선들을 Goodman 선이라고 함.
C ③ 또, 압축응력은 피로수명의 크기를
Se 감소시키지 않으므로 수평적

A’ A B
 m  m 평균응력
Su (인장)
(압축)
항복강도 극한강도 7 - 158
Goodman 피로파손 이론 (2/2)

0.5Su

Se

• 거시적 항복을 유발하지 않는 모든 σm 과 σa 의 조합은 AA’A” 내 포함


• 최소 106 사이클의 수명을 요구하며 항복이 일어나지 않으려면: A’HCGA 내
• 항복을 허용하지 않되, 106 수명보다 짧은 설계: HCGA’’H 내
• 106 수명은 보장되지만 항복이 발생될 수도 있는 설계: H’HCGB
• A’’GB 와 A’’HH’ 위 쪽 영역은 하중이 처음 가해질 때 항복 발생, 그리고 106
사이클 이전에 피로파괴 발생
7 - 159
Goodman 일정수명 피로선도 그리는 순서
a 교번
 aa 교번
(1) 응력
(2) 응력

Sy

m 평균
 mm 평균
응력 응력
Sy Su
a 교번
a 교번
응력
(3) F (4)
응력

F
Sy
Sy
E E
D D
D
C
Se C

m 평균
m 평균
Sy Su 응력
Sy Su 응력

 aa 교번
교번
응력
응력
(5) F • 단, 비틀림 하중이 작용하는
S yy 경우에 평균응력 축에 Sy 와
E Su 대신에 Ssy 와 Sus 를
D
사용한다.
Se C
• 강 에 대하여 Ssy ≈ 0.58Sy
 mm 평균
평균
또, Sus ≈ 0.8Su
S yy Suu 응력
응력

7 - 160
다양한 피로파손 이론 요약
• 피로파손 기준 (평균응력-교번응력 관계식) – Modified Goodman 기준 이 가장 널리 쓰임

a m Se
  1   a    m  Se
Se Su Su

 안전계수 고려
a m 1 S S Su 단순 교번응력(σm =0): n 
Se


   u   m  u  a  n  a
Se Su n n Se S
m  u a 단순 정적응력(σa =0): n  S u
Se m 7 - 161
예제 7.3 허용되는 완전역전 하중값 구하기
• 지름 (D) 2 in. 인 rod 에 축방향 정적 인장력 Fm = 40 kips 이 작용한다. 또 Rod 에
완전역전 굽힘모멘트 Ma 가 동시 작용한다. 이때, 무한 피로수명(106 cycle)이
보장되는 Ma 의 최대값을 Soderberg 와 Goodman 기준을 각각 적용하여 구하라. 단,
rod 의 재료는 ASTM-A36 강으로 Sy = 36 ksi, Su = 58 ksi, 내구한도 Se = 30 ksi 이다.
Ma Ma = ?

Fm Fm = 40 kips

<Sol> 2) 굿맨(Goodman) 기준
평균 및 교번응력 a m
1.273M a 12.73(10) 3
Fm 40
 1  1
m    12 .73 ksi Se Su 30(10) 3 58(10) 3
A  (1) 2  M a  18,394 lb  in
My ( M a )( y ) 64 M a (1)
a     1.273 M a
I d 4 64  ( 2) 4

1) 소더버그(Soderberg) 기준

a m 1.273M a 12.73(10) 3 12.73

 1  1
Se Sy 30(10) 3 36(10) 3
 M a  15,233 lb  in 12.73

[※] 소더버그 기준에 의한 하중 결과가 굿맨 기준에 의한 결과보다 약 17% 더 작다. 즉, 소더버그 기준이 더 보수적이다 !
예제 A (S-N 선도 작도 및 일정수명 곡선의 예측)
• Su = 150 ksi, Sy = 120 ksi 이며, commercially polished 된 강 부품의 완전역전
축하중에 대한 S-N 곡선과 일정수명 피로선도를 그리시오.
단, 작동온도는 상온, 신뢰도 50%, 굿맨 기준 사용

<Sol>
완전역전 축 하중을 받는 연성재료의
103 사이클 교번강도는
S n  0.75Su  0.75(150)  112 ksi

106 사이클 교번강도 (수정된 내구한도)


S e  S e  C f  Cr  Cs  Ct  (1 K f )
S e  0.45Su  0.45(150)  67.5 ksi S n  112 ksi

C f  0.9 (강의록표 or Fig. 7.8)
C  1.0 S e  61 ksi
r

Cs  1.0 (역전축하중 영향없음)
C  1.0
 t
 K f  1.0
103 10 4 105 106
 S e  67.5(0.9)(1)(1)(1)(1)  61 ksi

구해진 S-N 곡선으로부터 교번강도는


104 과 105 사이클에서 각각 92 , 75 ksi
(직접 해볼 것)
7 - 163
예제 A (풀이 계속)
S-N 곡선으로부터 일정수명 피로선도를 그리면

S n  112 ksi

Se  61 ksi

103 10 4 105 106

112 ksi

92 ksi

75 ksi
61 ksi

7 - 164
예제 B (변동 하중을 받는 인장링크의 크기 결정)
• 예제 A와 똑 같은 조건(재료/표면 등)의 원형단면 인장링크에 1000 ~ 5000 lb 의
변동하중이 가해진다. 안전계수는 2 이며, 항복이 일어나지 않는 조건에서
1) 무한수명을 갖는 최소 직경은?
2) 103 수명을 필요로 한 때의 최소 직경은? (단, 수정된 Goodman 기준을 사용할 것)
• 만약 단면적 A 를 무한히 크게 설계한다면 σm →0, σa→0
<Sol> 이며, 응력상태는 원점 O 에 해당.
평균하중과 교번하중은 • 단면적 A 를 적절하게 줄여나가면서 고려하면
원점으로부터 하중선 OA 를 따라 바깥쪽으로 나옴.
5000  1000 • 따라서, 이 직선과 Goodman 선과의 교점을 찾아서 해당
Fm   3000 lb
2 수명을 보증하는 응력 (또는 직경) 값을 구하면 됨.
5000  1000
Fa   2000 lb
2

안전계수를 고려
 F

n A
F  3000 6000 a
 m  n  m   2   m  0.67
 A A A
F  2000 4000
a  n a   2 
 A A A

a 2
∴ 단면적에 무관하게  m  3  0.67

7 - 165
예제 8.2 (풀이 계속)
1) 무한 수명은 106 선과의 교점 ①
 a  0.67 m

 61
 a    m  61
150
 m  56.65 ksi,  a  37.96 ksi
a
 m  0.67
4000
 a  37.96 103 
A
d 2
A  0.106 in 2
4
 d  0.367 in

2) 103 사이클 수명은 103 선과의 교점 ②점을 구해야 하지만, ②점은 이미 항복강도를 초과했으므로,
③점 을 기준으로 설계해야 한다 (수정된 굿맨 선도 기준)
 4000
 a  48 10  A
3

 a  0.67 m 
  d 2
 a   m  120 A   0.083 in 2
 4
 m  72 ksi,  a  48 ksi
 d  0.326 in

7 - 166
예제 (피로하중시 응력집중 부위의 영향 연습)
• 회주철 (Su = 748 MPa)로 만든 두 개의 bar 가 있다. 한 개는 unnotched 이고 다른 한
개는 notched bar 라고 할 때, (1) 각각의 bar 에 파손을 야기하는 정적인장 하중 P 는?
(2) 1~5×106 cycles 수명을 갖는 반복 축하중 P 는? (단, 작동온도는 상온,
크기계수는 1.0, 신뢰도 99%, 굿맨 기준 사용, 표면 machined surface).

<Sol> (1) 정적 인장하중


<unnotched case> < notched case: 취성재라 응력집중 효과 고려>
P  max  K t   nom
Su 
A  A   P  A  S
Su  K t P u
Kt
P  A  Su
From Fig C.3  K t  2.5
 (30 10 ) (748 10 )
-3 2 6
( r  2.5  0.08, D  35  1.16)
 673 10 N3 d 30 d 30
 673 kN A  Su
 P     269.2 kN
 2.5 
7 - 167
(풀이 계속)

(2) 무한수명을 갖는 최대 반복 축 하중
<unnotched case> < notched case>
P  A  Se
 A  S e  C f  Cr  Cs  Ct  (1 K f )
 A  (30  10 3 ) 2

S e  0.45Su  0.45(748)  336.6 MPa
C  0.75 (강의록표 or Fig. 7.8) where, K f  1  ( K t  1) q
 f
Cr  0.81 Su  0.748 GPa 
C  1.0    q  0.86
 s r  2.5 mm 
Ct  1.0  K f  1  ( 2.5  1)(0.86)  2.3

 K f  1.0 Hence,
 P  (900)  (336.6)(0.75)(1)(0.81)(1)  184 kN A  Se
P   184  80 kN
Kf 2.3
7 - 168
7장 연습문제 과제 (온라인 제출 날짜 추후 공지 예정)
꼭 풀이과정을 보일 것. 다른 사람 과제 COPY 금지

정답: (a) D = 48.4 mm


(b) D = 45.2 mm

165
135

단, Su = 470 MPa 정답: Se = 38.5 MPa

7 - 169
(완전 연성재라 가정) 정답: (a) n = 4.64
(b) n = 1.57

(Su = 690 MPa, Sy = 580 MPa, HB = 197)

(완전 연성재라 가정)

정답: (a) T = 624.9 N ∙ m


(b) T = 185.6 N ∙ m

(Su = 519 MPa, Sy = 353 MPa, HB = 149, 전단변형E 이론 : Sys = 0.577Sy)

7 - 170
정답: h = 1.45 mm

정답: Po = 30.23 N

7 - 17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