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from ‘Rip out the Devil’s Grammar Book’

(악마의 문법책을 찢어라)

-New perspective on English Grammar


문장의
알맹이

알맹이
제 1법칙

알맹이 알맹이
제 4법칙 제 2법칙
팽창 보충

제 3법칙

알맹이
변신

이번 강의부터 우리가 독해할 때 가장 어렵게 느끼는 내용을 공부할 것이다.


동작을 표현하는 동사의 3가지 변신
‘to + 동사’, ‘동사 ing’, ‘동사 ed’의 차이점과 진짜 의미는?

56

악마의문법을찢어라_(001~320)OK.indb 56 2019. 10. 28. 오후 12:13


알맹이
제 3법칙

DAY

사랑하려는
사랑한다는 것

? 사랑하려고

사랑해서

‘사랑한다’는 love인데, 위의 표현들은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 생각해 봐라.


이제 ‘알맹이 제 3법칙’을 공부하고 나면 아주 쉽게 영어로 말하게 된다.
(답은 p.66에 나옴)

57

악마의문법을찢어라_(001~320)OK.indb 57 2019. 10. 28. 오후 12:13


알맹이 변신
영어 문장에서 ‘~한다’(일반동사)와 ‘~이다’(be동사)의 의미를 갖는 단어를 동사라고 한다.
그런데 영어는 동사 외에 문장 속에서 동작을 표현하는 3가지 변형된 방식(변신)이 있다. 아래 (1),
(2), (3)의 의미를 알겠는가?

동사         변형된 동작 표현

I decorated a cake (1) to give to my friend. (1) to +동사(동사원형)

I decorated a cake (2) humming to myself. (2) 동사ing

I decorated a cake (3) baked by my mother. (3) 동사ed(과거분사)

나는 케이크를 장식했어 / 내 친구에게 주려고


나는 케이크를 장식했어 / 혼자서 콧노래를 부르면서
나는 케이크를 장식했어 / 나의 엄마에 의해 구워진

이것들이 어렵다고 느끼는 이유는 이 3가지 동작 표현에 대한 분명한 개념과 서로의 차이점을
모르기 때문이다. 앞으로 ‘알맹이 제 3법칙’을 배우고 나면 당신의 영어 실력이 훌쩍 상승할
것이다.

◆ 과거분사란 우리가 외우는 동사의 변화형에서 세 번째로 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sing-sang-sung


에서 세 번째 sung을 가리킨다. 하지만, like-liked-liked 변화형에서 보듯이 일반적으로 과거와 과거분사
는 ‘동사 ed’로 같은 모습이다.

58

악마의문법을찢어라_(001~320)OK.indb 58 2019. 10. 28. 오후 12:13


동작을 표현하는 동사의 3가지 변신
DAY
동사는 문장 속에서 동작을 표현할 때 3가지 형태로 변신(변형)을 한다. 일반동사
love는 다음과 같이 3가지 형태로 변신(변형)할 수 있다.
3

1.
to love
to + 동사

2.
love (동사) 동사 ing loving

3.
동사 ed loved

‘~한다’로 해석하지 않는 3가지 동작 표현 방식!


많은 학생들이 착각을 하고 있지만 이 3가지 변신 형태는 동사처럼
‘~한다’로 해석하면 안 된다.

59

악마의문법을찢어라_(001~320)OK.indb 59 2019. 10. 28. 오후 12:13


잘못된 공부법
50여 년 전부터 일본식 문법을 모방해 온 많은 문법책들은 ‘동작의 3가지 변신’에
대하여 학문적으로 복잡하게 품사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있다. 그래서 문법이 영
어 공부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하인이 아니라, 오히려 방해하는 깡패가
되는 것이다. 이런 설명 방식은 문법학자들을 위한 것이지 영어를 쉽게 배워서 활
용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을 위한 것은 아니다. ‘동작의 3가지 변신’ 형태의 공통점
과 차이점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은 채 무조건 용법과 뜻을 외우게 하고 있다.

일본식 문법의 틀 안에서 ‘품사’와 ‘문장의 성분’으로 복잡하고 어렵게


설명하면서 무조건 외우게 한다!

• to
‌ +동사: 명사적, 형용사적, 부사적 용법(역할)으로 설명 / 명사적 용법은 다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설명
• ‌동사 ing: 동명사와 분사로 나누어 명사와 형용사 역할로 설명 / 동명사는 다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설명

• 동사 ed : 과거분사와 수동태로 나누어 각각 설명

※ ‌‘to +동사’와 ‘동사 ing’ 둘 다 명사 역할과 형용사 역할을 한다고 품사의 시각


에서 설명하지만, 서로의 차이점을 쉽고 명쾌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중요: 이 세 가지의 개념, 공통점, 차이점 제대로 알기!

‘동작을 표현하는 3가지 다른 방식’이라는 명쾌한 시각으로


이 세 가지의 개념과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대로 설명하는
책은 지금까지 거의 없었다. 숲이 아닌 나무만을 본 것이다.
‘악마의 문법책을 찢어라’는 문법과 구문 공부에 있어서
새로운 길을 보여주려고 한다.

60

악마의문법을찢어라_(001~320)OK.indb 60 2019. 10. 28. 오후 12:13


대다수
알맹이 제 3법칙 영어 교재들의
복잡한 설명 DAY
방식
3
•명사적 용법(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
동작을 표현하는 동사의 3가지 변신 형태
•형용사적 용법, be to 용법
•부사적 용법(목적, 원인, 결과,
이유, 조건, 양보 의미)

알맹이 변신 1: to+동사 (= 동사원형을 의미함)


학교나 학원, 거의 모든 문법책이나 문제집에서 ‘to+ 동사’를 어떤 용법으로 쓰였
는지 문법 학자처럼 학문적으로 따지고 있다. 그것은 늪에 빠지는 것처럼 영어를
죽이는 방식이다. to는 전치사로 쓰일 때 ‘~쪽으로’라는 어디를 향해 가는 의미를
나타낸다. 이와 비슷하게 to 뒤에 동사가 오면 그 동작을 할 거라는 느낌을 지닌다.
이것만 기억해라.

핵심 개념
‘to+동사’는 미래 동작이나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동작(상태)을
표현할 때 쓴다. 한 마디로, ‘to+동사’의 핵심 의미는 ‘~하려는’이다.

영어는 ‘to +동사’ 한 가지 모습에 아래처럼 다양한 의미가 있다.

~하려는 것 ~하려는 데
의미
(하는 것) (하는 데/하기에)

~하려는
머릿속으로 원인이라고
~하려고
생각하는 동작
(하기 위해)
우리말에서 ‘~하는’도 종종 ~해서
같은 의미로 쓰인다.

61

악마의문법을찢어라_(001~320)OK.indb 61 2019. 10. 28. 오후 12:13


Grammar Upgrade 1
영어는 추론의 언어이다!

영어는 한 얼굴로 여러 개의 표정을 짓는 언어이다. ‘to +동사’는 한 가지 모습이지만 우리말


로 해석할 때는 앞 도표에서 보듯이 다양한 모습을 갖는다. 보자기처럼 하나의 모습인 ‘to +
동사’에 여러 의미가 담겨 있다는 얘기다. 즉, 영어는 다양한 의미를 하나의 단어(모습)에 담
는 포괄적인 언어이기에 각각의 문장 속에서 알맞은 뜻을 추론해야 한다.

그에 반하여 우리말은 ‘~하려는’, ‘~하려는 것’, ‘~하려고’에서 보듯이 추론이나 포괄적인 특


성과는 거리가 있다. 각각의 모습으로 뜻을 하나씩 정확히 나타낸다. 단순하게 말하면, 우리
말은 하나의 얼굴로 한 가지의 표정을 짓는 언어이다. 이런 두 언어의 차이점 때문에 한 개의
영어 모습에 다양한 한국말의 뜻을 외워야 하는 어려움이 생기고, 해석할 때 생각이 복잡해
지는 것이다.

다음에 공부할 ‘동사 ing’도 역시 한 얼굴로 여러 개의 표정을 짓는다. 이 같은 영어의 독특함을


알고, 문장의 의미를 파악할 때는 어느 정도 의미가 통하면 된다는 넉넉한 마음이 필요하다.

영어는 한 얼굴에 여러 가지 표정을 지닌다.

뜻1

우리말 영어
뜻1 뜻4 뜻2
한 단어 한 단어

뜻3

62

악마의문법을찢어라_(001~320)OK.indb 62 2019. 10. 28. 오후 12:13


DAY
Grammar Upgrade 2 3
왜 문법책들은 문장 성분이나 품사적 분류로 문법 설명을 할까?

‘to +동사’는 한 가지 모습이지만 우리말로 의미를 옮기면 여러 가지 모습이 된다고 앞 페이지에


서 설명했다.

이번에는 거꾸로 생각해 보자. 우리말의 여러 가지 모습을 영어로 옮기면 어떻게 될까?

‘~하려는/ ~하려는 것/ ~하려고/ ~하려는데...’ 이 여러 가지 모습의 여러 의미가 영어로는 그


냥 ‘to +동사’ 하나의 모습으로 모든 것이 표현된다. 앞에서 말했듯이, 영어의 포괄적인 특성 때
문이다.

따라서,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나 영어와 유사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to +동사’가 문장에서 각각 어떤 의미로 쓰였는지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문장 성분(주어, 목적
어, 보어)과 품사(명사, 형용사, 부사)를 통해 세밀하게 설명할 필요가 생긴 것이다.

하지만 우리말은 다양한 모습으로 각각의 다양한 의미를 표현할 수 있는 언어이기에 문장 성


분이나 품사를 통한 문법 설명보다는 그냥 다양한 의미를 통한 설명이 훨씬 쉽고 좋은 방식
이다. (‘악마의 문법책을 찢어라’가 추구하는 방식)

그런데 오래 전에 일본 학자들은 문장 성분과 품사로 설명하는 그러한 문법을 베껴서 문법책을


만들었고, 그것을 우리가 그대로 모방하다 보니 대다수 문법책들의 설명 방식이 문장 성분과 품
사적 분류로 도배가 되고 학문적이고 복잡한 성격을 띄게 된 것이다.

*뒤에 다루지만, 영어권 학자들이 ‘동사ing’를 같은 모습임에도 두 가지의 이름(현재분사, 동명


사)으로 분류하여 문법을 설명하는 것도 위와 같은 이유 때문이다.

‘의미를 통한 문법 설명’이 우리말 특성에 잘 맞는 쉽고 좋은 방식이다!

63

악마의문법을찢어라_(001~320)OK.indb 63 2019. 10. 28. 오후 12:13


Yes! Check
아래 빈칸에 들어갈 내용을 말해 봐라.

알맹이 변신 1: to+동사

‘to +동사’는 미래 동작 or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동작(상태)을 표현할 때 쓴다.
한 마디로, ‘to +동사’의 핵심 의미는 이다.

영어는 ‘to +동사’ 한 가지 모습에 아래처럼 다양한 의미가 있다.

~하려는 데
의미
(하는 데/하기에)

~하려는
머릿속으로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동작
우리말에서 ‘~하는’도 ~해서
종종 같은 의미로 쓰인다.

64

악마의문법을찢어라_(001~320)OK.indb 64 2019. 10. 28. 오후 12:13


MP3: DAY3
Writing

알맹이 PRACTICE DAY

3
빈칸에 read 동사의 알맞은 변신 형태를 써 넣어라.

1. I have a novel / / today.


나는 소설책이 있다 / 읽으려는(읽을) / 오늘

2. It is very important / for us / the report.


그것은 매우 중요하다 / 우리에게 / 그 보고서를 읽는 것이

3. Alice went to the library / an essay / on


Trump.
앨리스는 도서관에 갔다 / 기사를 읽으려고 / Trump에 대한

4. These comic books are good / / during


vacation.
이 만화책들은 좋다 / 읽으려는데(읽기에) / 휴가 동안에

5. I’m so excited / the famous novel.


나는 너무 신난다 / 그 유명한 소설을 읽어서(읽게 돼서)

1. novel 소설 2. report 보고서 3. essay 기사 | on ~에 대한 5. so 너무 | famous 유명한

65

악마의문법을찢어라_(001~320)OK.indb 65 2019. 10. 28. 오후 12:13


Reading
Meaning
Out

알맹이 PRACTICE
이제 ‘to +동사’의 개념이 좀 잡히는가?
아래 완성된 문장들의 의미를 생각하며 소리 내어 읽어라.

1. I have a novel to read today.

2. It is very important for us to read the report.


‌for us는 의미상의 주어라고 해서 ‘우리가’로 이해할 필요는 없다. 4강 <문법 새롭게 보
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그냥 ‘우리에게’로 이해하는 것이 쉽다. 그리고 이 문장
에서 to read는 미래 동작으로 봐도 좋고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동작으로 봐도 좋다. 의
미를 이해하는 데 차이가 없다.

3. Alice went to the library to read an essay on Trump.

4. These comic books are good to read during vacation.

5. I’m so excited to read the famous novel.


‌감정 표현(excited 등) 뒤에 오는 ‘to +동사’는 머릿속으로 그 감정의 원인이라고 생각
하는 동작이다. 다시 말하면, 신나게 된 원인이 ‘소설을 읽게 돼서’라고 생각한다는 말이
다. to read가 기쁜 감정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이때는 미래 동작의 의미가 아니고 ‘~
해서’로 이해해야 한다. (혹시 조금 까다롭다면 걱정 마라. 이 책을 공부하다 보면 자연
스럽게 이해될 것이다.)

p.57의 질문의 답은 모두 to love이다.

1. novel 소설 2. report 보고서 3. essay 기사 | on ~에 대한 5. so 너무 | famous 유명한

66

악마의문법을찢어라_(001~320)OK.indb 66 2019. 10. 28. 오후 12:13


DAY
Grammar Upgrade 3 3
문법에 융통성을 가져라. (1)

학문적이고 분석적인 문법 지식에 사로잡혀 문장을 파악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 아래의 두


예문을 살펴보자.

1) I bought a CD to give to her.


2) To solve that matter requires lots of effort.

위의 두 문장을 기존의 문법책들 설명처럼 해보면, 1)번 문장은

“나는 CD를 샀다 / 그녀에게 줄” 형용사적 용법: ~할


“나는 CD를 샀다 / 그녀에게 주려고” 부사적 용법: ~하기 위해(하려고)

이 둘 중에 어느 것이 옳을까? 사실 어느 것이든지 상관없이 다 맞다.


(‘~하기 위해’라는 의미만을 나타내고 싶다면 ‘in order to ~’를 사용하며 된다.)

그리고 2)번 문장은 문법적으로 다음과 같이 봐야 옳다.

“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명사적 용법: ~하는 것

(물론 ‘to +동사’가 주어 자리에 오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다.)

그러나 이 문장을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로 이해해도 괜찮지 않은


가? 명사적, 형용사적, 부사적 용법을 따지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문장의 의미를 알맞
게 이해해면 된다는 말이다. 쉽게 배울수록 실력이 는다.

그러므로 학문적으로 분석하듯이 해석하지 마라.


문장의 알맞은 의미를 융통성 있게 이해하면 된다.
우리말로 쓰는 해석이 아닌 머리로 하는 이해를 추구해라!

X O
문법적으로 융통성 있는
분석하는 해석 의미 이해

67

악마의문법을찢어라_(001~320)OK.indb 67 2019. 10. 28. 오후 12:13


악마의 속삭임
영어 문장은 반드시 우리말로 해석해야 한다.

“영어 문장을 우리말로 멋지게 예쁘


게 옮겨야 제대로 된 공부이다. 모든
영어 교재들이 요구하듯이 한국어로
옮기는 훈련을 해야 한다. 훌륭한 번
역자를 영어의 목표로 삼아라.

영어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만으


로는 말도 안 된다. 무조건 정확하게
우리말로 옮겨라. 그렇지 않은 공부
방식은 반역이고 배신이다.”

68

악마의문법을찢어라_(001~320)OK.indb 68 2019. 10. 28. 오후 12:1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