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1 주차 일반생물학 및 실험(1) 결과 보고서

1. Title & Date

DNA & RNA 구조의 이해

2022 년 9 월 14 일

2. Objective

DNA, RNA 모형을 제작하여 그 구조와 특징을 파악한다.

3. Result

-DNA -RNA

DNA 이중나선 구조, RNA 외가닥 구조 모형을 만들고 이를 관찰하였다.

염기서열은 임의로 설정하였다.

4. Discussion

DNA 는 이중 나선 구조를 하고 있어 상당히 안정적이다. 이는 DNA 안의 여러가지


화학결합이 있어, 결합 세기와 길이 등을 고려했을 때 이중 나선 구조가 되기 때문이다. DNA
는 염기쌍(A-T, G-C)끼리 수소결합으로 단단히 묶여 있으며, 그 외에도 여러가지 분자 간
intermolecular force 가 존재한다. 그 결과 유전 정보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RNA 는 DNA 의 절반의 구조를 가지고, 외가닥 구조이다 보니 DNA 보다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이다. 대신 RNA 는 DNA 의 염기쌍 수소결합처럼 인접한 염기끼리 구부러져
수소 결합을 하는 형태로 보완하는데, 이를 2 차 구조라고 한다.

5. Further Study

1) DNA 는 오른쪽으로 휘감기는 모양을 하고 있다. DNA 를 나사 부분이라고 생각했을 때,


나사를 오른쪽으로 감아야 올라가는 모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굉장히 적은
확률로 왼쪽으로 휘감기는 모양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오른쪽 방향의 DNA 를 B-DNA,
왼쪽 방향의 DNA 를 Z-DNA 라고 부른다.

2) 염기쌍끼리의 거리는 0.34nm 정도이다. 그리고 1 회전 당 거리는 3.4nm 정도로, 10 개의


염기쌍 당 한 번의 회전을 하게 된다.

3) 1)에서 작성한 것처럼 대부분의 DNA 는 B-DNA 이지만, 극소량의 Z-DNA 가 발견되기도
한다. Z-DNA 는 B-DNA 에서 특정 단백질이 결합하거나, 극도로 농도가 높은 NaCl
용액에 담겼을 때 등의 특수한 상황에서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 RNA 는 DNA 에 비해 불안정한 외가닥 구조를 띄고 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접한


염기쌍끼리 수소 결합을 함으로써 안정성을 보완한다.

6. Reference
https://www.sciencetimes.co.kr/news/dna-%EC%9D%B4%EC%A4%91%EB%82%98%EC%84%A0-%ED%9A%8C%EC
%A0%84%EA%B3%BC%EC%A0%95-%EA%B7%9C%EB%AA%85/

https://www.sciencetimes.co.kr/news/dna-%EC%83%9D%EB%AA%85%EC%9D%98-%EC%97%B4%EC%87%A0/

https://ko.wikipedia.org/wiki/DNA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