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1.

교재 개발의 의의와 원리
Ⅰ. 필요성과 의의

* 교재 개발의 필요성과 의의
- 교재 개발: 교수변인과 학습변인을 고려하여 새로운 교재를 편찬하여 발간하는 것
- 교재 개발, 교재 편찬, 교재 제작, 교재 발간 등 혼용
- 교재 개발의 필요성: 기존 교재의 교정과 보완, 학습변인이나 교수변인의 변화

* 한국어 교재 개발의 필요성과 의이


- 이상적인 한국어 교재 제작
- 표준화된 한국어 교육 제공
- 교육 목표 체계적 실현
- 효율적 교육
- 교육의 극대화
- 한국어를 세계에 알리는 작업의 일환

* 한국어 교재 개발의 원리 (박영순, 2003)


- 철학이 있는 교재
- 학습자 중심 교재
- 흥미 유발 교재
- 지적 호기심 자극 교재
-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에 의거한 교재
- 정확하고 표준적인 한국어 교재
- 실생활에 활용, 목표언어 신장에 도움이 되는 교재

* 교재 편찬의 원칙 (서종학, 2001)


- 교육과정이 합당하고 충실하게 구성
- 학습 내용이 체계적이고 교육적이며 정확
- 생생한 언어 사용, 현실적 실용적 내용
- 특정 학습자 대상, 학습자 요구 수준 능력 고려
- 교수이론에 맞는 다양하고 적합한 교수 방법 제시
- 외국어 교재는 특히 반복적 학습 구성

* 교재 개발 시 고려 사항 (Sohn, 1995)
- 학습자 중심 - 동기 부여 - 개별화
- 언어 기술의 통합적 교육 - 문맥화 - 언어 지식과 수행의 균형 유지
- 실제적 자료 이용 - 나선형 교육 - 기능/과제 중심
- 목표 중심의 교육 - 연계성 고려 - 스키마 활용
- 정확성 중심 - 대조적인 설명이 요구됨 - 문화 교육
- 경험을 중시하는 교육
* 교재 개발 시 고려 사항 (Bruder, 1978)
- 학습자 수준 - 학습 목표 - 표현양식: 격식체, 비격식체
- 학습자 연령 - 시간 - 교사의 능력
- 신념: 교수이론, 인지주의적 접근 - 교사의 능력 언어적 배경: 영어, 한국어 혼용

* 국어 교과서 구성의 조건 (최현섭, 1996)


- 교육과정(교육 계획과 교과 경영)에 충실
- 학습자의 요구 수준과 학습 능력에 부합
- 이론과 실제가 결부되는 학습 내용
- 교육학적 근거
- 확실한 사실, 예증, 경험의 기술
- 학생의 이해력에 맞는 생생한 언어
- 정확하고 풍부하며, 위생적이고 미학적인 내용

* 교육자료 개발 시 고려 사항 (Graves, 2000)


- 학습자의 경험과 배경 고려 - 학습자의 목표 요구 고려(교실 밖에서의 요구)
- 학습자의 정서적 요구 고려 - 발견, 문제 해결, 분석에 참여
- 특별한 기술과 전략을 개발 - 목표가 되는 요소(문법, 기능, 어휘 등)
- 실제적 텍스트의 사용과 이해 - 상호문화적 중심 사항 제공
- 비판적 사회 인식 개발 - 실제적 과제를 목표로
- 역할과 그룹화를 다양화 - 수업 활동과 목표를 다양화
- 실제적 (텍스트, 실물 교재) - 다양화 (인쇄물, 시각 자료, 청각 자료 등)
-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기술의 통합

* 교육자료 개발 시 고려 사항 (Tomlinson, 1998)


- 학습자의 호기심, 흥미, 관심 유발 - 학습자의 자신감, 편안함 유지
- 학습자의 수준, 실제적 사용 고려 - 학습자의 학습 장식, 정서적 태도 차이
- 의사소통을 위한 목표어 사용 기회 제공 - 침묵기 인정
- 통제된 연습 지나친 의존 지양 - 개발된 교재, 자료의 효율성 검증 기회 제공
- 사용된 입력(input)의 언어적 특징에 주의 집중 유도
- 좌뇌, 우뇌 자극하는 지적, 심미적, 정서적 활동 격려 -> 학습 잠재력 극대화

* 교재 및 교육자료 개발 시 고려 사항 (김영만, 2005)


- 등급별 교육과정 및 목표와 교재 내용의 부합? - 단원 구성이 문법 형태 위주로만 구성?
- 통제된 연습활동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았는가? - 기능적 측면 고려?
- 문법 형태와 기능의 연계가 자연스럽고 적절한가? - 실생활과 연계 고려?
- 자료의 실제성? - 대화문 자연스러운가?
- 문화적 측면 고려? - 교재의 편집과 디자인?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