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지역문제 Close-up

카슈미르분쟁의경제적의미와향후전개방향
崔允瀞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동서남아팀 연구원
yjchoi@kiep.go.kr

지난 50여 년 동안 인도와 파키스탄 분쟁의 핵심은‘카슈미르(Kashmir)’지역을


둘러싼영토분쟁이었다. 이러한양국간의 영토분쟁은경쟁적인군비팽창과핵실
험으로까지 확대, 국제사회의 비난과 경제제재를 받게 되고, 경제발전의 최대 장
애요소로 지적되어왔다. 미국의 對아프간 공격을 계기로 카슈미르 분쟁은 새로
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으로부터의 경제적 지원이 절실한 파키스탄
이 對美 협조에 대한 내부분열을 어떻게 수습하느냐가 향후 카슈미르 분쟁의 관
건이 될 것이다. 쿠데타로 집권하여 정통성이 취약한 무샤라프 정권은 경제회복
을 통해 지지기반을 확보하고, 나아가정통성을획득하기 위해 경제적실익을 활
용, 위기를극복할 수있는 가능성이 높은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볼 때, 이번
미국의 對테러전은 카슈미르지역을 다소 안정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이므로, 이
지역에대한우리기업의적극적인진출전략을모색할시기로생각된다.

1. 서론 치를 대부분 철회하였고, 특히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인파키스탄에대한전격적인경제, 군사
최근 카슈미르 분쟁은 미국의 테러사건을 계 적지원을실시하기시작하였다. 이는전세계적
기로 새로운 양상을 띠게 되었다. 인도와 파키 인경기침체속에서카슈미르를둘러싼오랜분
스탄정부는국내이슬람세력의강력한반발에 쟁과 군비경쟁으로약화된 양국의 경제를 회생
도불구하고미국의對테러보복공격에적극동 시킬 수있는전화위복의 기회가될수 있다. 이
참키로 결정하였다. 그 대가로서 미국은 1998 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카슈미르 분쟁의 원만
년핵실험이후양국에부과하였던경제제재조 한해결이선결과제이다.

82 세계경제 2001.10
카슈미르 분쟁의 경제적 의미와 향후 전개방향
KIEP
카슈미르를 둘러싼 양국의 입장차이 조율은 년 식민통치가 종결되고 인도와 파키스탄이종
쉽지않을전망이다. 그러나양국으로서는경제 교적 갈등으로 분리 독립, 양국의 갈등이 이 지
회복의 기회를 놓칠 수도 없다. 따라서 카슈미 역에서 첨예한 대립 양상을 보이기 시작하면서
르 분쟁의 향후 전개방향에 있어 가장 큰 변수 부터이다. 카슈미르지역은1948년 7월 인도領
는 미국의 對테러전 전개양상과양국의 대응방 (Jammu and Kashmir)와 파키스탄領(Azad
향이다. 이에따라 분쟁이 계속될 수도있고, 이 Kashmir)으로양분된이래인도와파키스탄사
지역에평화와번영의새로운역사가펼쳐질수 이에서 벌어진 50여 년 동안의 크고작은 전쟁
도있다. 의무대가되어왔다.
본고에서는 먼저 분쟁의 성격과 경제적 파장 카슈미르의 주민은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하
을검토하고, 최근미국의테러사건과 아프가니 고 있으며, 가내 수공업과 관광 등으로 부수입
스탄에 대한 보복공격이 카슈미르 분쟁에 어떤 을 올리고 있다. 보석을 비롯한 각종 광물의 매
결과를가져올지를점검해볼것이다. 나아가이 장량은 큰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천연가스 외
를기반으로인도및파키스탄과우리나라에대 에는 별다른 지하자원이 없는 파키스탄의 관심
한정책시사점을제시해보고자한다. 을 끈다. 그러나 이조차 정치적 불안정과 자본
투자부족으로개발이되지않았으며, 인프라도
2. 인도-파키스탄카슈미르분쟁개요 거의 구축되어 있지 않다. 지하자원 외에는 기
본적으로 경제적인 가치가 있는 지역이라고보
가. 분쟁의배경및경위 기는 힘들다. 따라서카슈미르지역에대한 인-
파의 소유권 다툼은 경제적인 측면보다는 양국
카슈미르(Kashmir)지역은 인도의 북부와 파 간의 종교적 갈등에서 원인을 찾아야 할 것이
키스탄의북동부, 그리고중국의서부에인접해 다. 카슈미르의2/3가 인도의 통치 아래 있으나
있으며, 히말라야 산맥으로 이어진 고산지대에 실상 주민의 대부분은 이슬람교도이기 때문에,
자리잡고 있다. 1,300만 명에 이르는 카슈미르 이슬람 국가인 파키스탄이 인도에 대하여 인도
주민들은 역사적으로 회교, 힌두교, 불교 등 다 領카슈미르의반환을요구하고있는것이다.
양한 종교세력이 공존하는 가운데 수세기 동안 인도와파키스탄은1947년독립직후부터카
평화롭게살아왔으며, 1846년이래약100년에 슈미르지역의 영유권을 놓고 1947년, 1965년,
걸친 영국의 식민통치기간중에도 비교적 평온 1971년까지 모두 세 차례나 전쟁을 치루었으
한시기를보냈다. 며, 이로인한사망자숫자만도 l00만명이훨씬
카슈미르가분쟁지역으로등장한것은 1947 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특히 1989년 이후

세계경제2001.10 83
지역문제 Close-up

인도領 카슈미르지역에서는 인도통치에 반대 에실패하게되었다.


하는반란이발생, 인-파간의영토분쟁은내전
의 성격을 띠게 되면서 또 다른 양상으로 전개 나. 양측의주장
되고있다. 지난10여년간인도領카슈미르지역
에서 발생하는 분리독립운동은 파키스탄군이 인도의 카슈미르 지배를 반대해온 파키스탄
배후에서지원을하고있는것으로알려지고있 은그 동안테러활동을지원하는 동시에UN 감
으며, 국경지역의양국의포격전도계속되고있 시하에서 독립을 위한 카슈미르 주민투표를 실
다. 시하는 등 국제 사회의 카슈미르 중재를 적극
양국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1998년 5월, 인 촉구해왔다. 카슈미르인구의70% 가량을차지
도정부가 국제사회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다섯 하는 이슬람교도들은 파키스탄과의 합병이나
차례에걸친핵실험을강행한데이어파키스탄 분리독립을원하고있어, 주민투표를실시할경
도 대응 핵실험을 수행, 국제사회로부터 강도 우 결과는 파키스탄에게유리하게 나타날 것이
높은 경제 및 군사적 제재조치가 부과되었다. 자명하다. 그러나 인도는 카슈미르의 분리독립
특히 미국은 양국에 대한 직접원조를 중단하고 운동이 파키스탄의배후 조종으로 일어나는 것
세계은행(IBRD)과 국제통화기금(IMF)을 비롯 이라며, 이들의 독립 요구를 일축하고 있다. 또
한 국제금융기관들의 차관지원을 반대하는 경 한 국제사회 등 제3자의 개입을 철저히 거부,
제제재조치와군사기술이전금지등을실시하 1972년 결정한 현재의 통제선(LOC: Line of
였다. Control)을 공식적인 국경선으로 굳히려고 한
핵실험이후 양국은 1999년 2월과 2001년 7 다.
월 두 차례 정상회담을 가졌으나, 실질적인 성 인도정부는카슈미르 독립을 허락할경우, 펀
과는 도출하지 못하였다. 특히 많은 기대 속에 잡, 아쌈 등 다른 지역의 분리주의 요구에 직면
열렸던 7월 정상회담은 카슈미르 문제에 대한 할것이기때문에카슈미르의독립요구를수용
양측의현격한입장차이를조절하지못하고결 하기 힘들다. 더구나 다른 지역과 달리 카슈미
렬되었다. 파키스탄은인도관할카슈미르지역 르는 중국과 접한 전략적 요충지역이기 때문에
주민의 자치요구 수용을 강력히 주장하였으나, 전략적 가치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극우 힌두
인도는 越境테러(cross-border terro-rism) 파에 정권기반을 둔 현 바즈파이(Atal Bihari
및 파키스탄정부의 무장독립단체 지원이 중단 Vajpayee) 정부는 파키스탄의 이슬람 정권에
되지 않는 한 카슈미르의 자치는 허용할 수 없 양보하기힘들다.
다는기존입장을고수하여공동의합의문작성 한편 파키스탄의 무샤라프 대통령은 1999년

84 세계경제 2001.10
카슈미르 분쟁의 경제적 의미와 향후 전개방향
KIEP
<표 1> 인・파 영토분쟁 개요

주요사건개요

제1차인・파전쟁: 양국독립당시카슈미르지역(약 22만㎢)이인도로귀속되자파키스탄이이에반


1947
발함으로써영토분쟁화
1949 UN중재로인도는카슈미르지역의동북부(약2/3), 파키스탄은서남부(약 1/3)지역분할점령
1965 제2차인・파전쟁
1971 제3차인・파전쟁
1972 심라(Simla)협정체결로군사통제선(LOC)을실질적국경선으로인정
1998 인도의핵실험실시및파키스탄의대응핵실험실시
2월인・파정상회담: 라호르선언을발표, 우발적핵전쟁억제및카슈미르문제를포함한현안의평
화적해결방안강구
1999
5월카길(Kargil) 사태(카슈미르지역내양측무력충돌) 발생: 동사태처리과정에서파키스탄측의상
대적과다양보로군부반발초래, 10월군사쿠데타로무샤라프군사정권수립
2001 7월인・파정상회담: 카슈미르에대한입장차이로결렬

카슈미르지역 내 대규모 무력 충돌인 카길 불안에시달려왔다.


(Kargil)사태 처리시, 인도에 상대적으로 과다 분쟁에 따른 정국불안과 막대한 국방비용 지
양보를 한 샤리프(Nawaz Sharif) 정부에대한 출로인한재정적부담등은양국의경제성장에
국민적 분노를 등에 엎고 쿠데타에 성공하였으 최대 장애가 되어왔다. 인도의경우, 10억 인구
며, 과격 이슬람파와 군부를 기반으로 하고 있 중 절반이 절대 빈곤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어 처신에 제약이 있다. 따라서 카슈미르 분쟁 인도군 총 병력(130만 명, 2001년 기준)의
에있어양국의양보를기대하기란어려운실정 40%인 42만 명이 카슈미르와 인근 지역에 파
이며, 이 지역을 둘러싼 오랜 갈등은 해결책을 견되어 있으며, 1998년 이래 매년 100억 달러
찾기가어려운것이다. 에육박하는군사비지출은상당부분이카슈미
르 분쟁과직결된것으로파악된다. 1인당GDP
3. 인-파분쟁의경제적영향 230달러로 세계적인 빈곤국으로 분류되고 있
는 파키스탄 역시 매년 정부예산의 40%인 30
가. 국방비지출로인한정부재정악화 억 달러가 넘는 군사비를 지출하고 있는데, 이
는 300억달러가넘는대외채무상환에쓰이는
카슈미르 분쟁은 인-파 양국의 저개발과 빈 연간원리금에해당하는비용이다.
곤을 초래하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이다. 11억 결국 양국은 국가발전과 주민복지 대신에 카
5천만 명에 육박하는 양국의 주민들은 카슈미 슈미르 분쟁과 군사적 경쟁을 통한 지역강국으
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음으로써심각한 빈곤과 로서의우위확보에몰두해온셈이다. 카슈미르

세계경제2001.10 85
지역문제 Close-up

<표 2> 양국의 국방비 지출 규모 (단위: 억달러, %)

1996 1997 1998 1999 2000


인 도 59 66 70 81 85
국방비
파 키 스 탄 37 33 32 29 30
정부지출대비 인 도 10 11 11 12 12
국방비비중(%) 파 키 스 탄 26 24 24 22 22
주: 정부공식통계자료를당해년평균환율로환산한수치.
자료: Ministry of Finance, Pakistan.
Ministry of Finance, India.

를 비롯한 양국간 영토, 군사적 경쟁이 축소되 더욱심각했다(인도, 파키스탄의회계연도와경


어 무기제조 및 구입에 드는 정부지출을 줄일 제실적은표3, 4를참조).
경우, 양국이빈곤퇴치와경제성장을위해활용 한편 양국에서의 외국인직접투자(FDI:
할 수 있는 예산은 수십 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Foreign Direct Investment) 유치실적은양국의
추정된다. 성장잠재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의 투자는 양국의 핵실험 이후 1998
나. 국제사회의경제제재로인한경제성장둔화 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인도는
1991년 개혁 개방정책 추진 이후 인적・물적
양국의군비경쟁은급기야 1998년인도와파 자원, 내수시장, 기술등 FDI 유치에 유리한 조
키스탄의총일곱차례에걸친핵실험으로확대 건을갖추고있음에도불구하고, 1991~2000년
되었다. 이에 미국은 양국에 대하여, ▲직접원 기간 중 비슷한 투자여건을 지닌 중국의 同 기
조중단, ▲세계은행과국제통화기금등국제금 간 해외 총 투자 유치액 3,500억 달러의 16%
융기관들의차관지원반대, ▲컴퓨터및첨단기 수준에 불과한 560억 달러의 외국인투자를 유
술, 방위장비 수출금지, ▲美 금융기관의 차관 치하는 데 그쳤다. 인도가 유치한 FDI는
제공 및 신용보증 중단 등을 골자로 하는 경제 1997/98 회계연도의148억 달러에서 1998/99
제재를 부과하였다. 동 제재조치의 결과, 회계연도에는 74억 달러로 반감되었으며, 특히
1998/99 회계연도인도의교역증가율은6% 감 미국으로부터의FDI는 37억달러에서9억달러
소에그쳤으나, 파키스탄의경우는총교역량이 로 급감하였다. 파키스탄의경우, 1990년대 중
173억 달러를 기록, 1996/97 회계연도보다무 반까지만 해도 14억 달러에 달하던 FDI가
려 20%나 감소하였으며, GDP증가율 역시 1998년 경제제재 이후에는 4억 7천만 달러로
5.0%에서1.2%로곤두박질치는등피해규모가 67% 감소하여, 인도보다 더 피해가 컸던 것으

86 세계경제 2001.10
카슈미르 분쟁의 경제적 의미와 향후 전개방향
KIEP
로드러났다. 이후 1990년대 중반 급증하던 미국을 비롯한
FDI가부진한데에는카슈미르를둘러싼인- 주요 투자국의 투자 급감은 인도의 경제성장을
파 간의 오랜 영토분쟁으로 인한 정치적 불안, 지연시키는요소가되기도하였다.
정부의 미진한 경제개혁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 그러나무엇보다도양국경제에가장큰피해
축된 요인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핵실험 를 준 것은 해외원조의 급감이다. GDP 대비외

<표 3> 인도 주요경제지표 (단위: 억달러, %)

단 위 1996/97 1997/98 1998/99 1999/00 2000/01


경상GDP 억달러 3,979 4,079 4,180 4,516 4,773
실질GDP증가율 % 7.3 4.6 6.4 7.2 6.1
재정적자(GDP비중) % -4.8 -4.9 -4.8 -4.2 -6.4
무역수지 억달러 -101 -107 -85 -116 -113
수 출 억달러 337 357 343 383 442
수 입 억달러 438 464 428 499 555
외환보유고1) 억달러 264 294 316 380 423
총외채 억달러 935 935 977 987 1,036
・총외채/GDP % 23.5 22.9 23.4 21.9 21.7
주: 주요지표의연도는회계연도기준이며, 인도의회계연도는4월1일부터다음해3월 31일까지임.
1) 금, SDR 포함
자료: Government of India, Ministry of Finance, Economic Survey, 각년호.
Reserve Bank of India, Annual Report,각년호.
WEFA, Asia Economic Outlook, Second Quarter 2001.

<표 4> 파키스탄 주요경제지표 (단위: 억달러, %)

단 위 1996/97 1997/98 1998/99 1999/2000 2000/01


경상GDP 1)
억달러 631 623 620 623 613*
실질GDP증가율 % 5.0 1.2 1.2 3.7 4.4*
재정적자(GDP대비) % 6.4 7.7 6.1 6.5 5.3*
무역수지 1)
억달러 -37 -24 -15 -18 -23*
수 출(FOB)1) 억달러 85 84 79 79 86*
수 입(CIF) 1)
억달러 122 108 94 97 109*
외환보유고(金제외) 100만달러 548 1,195 1,028 1,511 1,513*
총외채 억달러 298 301 323 344 348*
・총외채/GDP % 47.2 48.3 52.1 57.0 56.8
주: 주요지표의연도는회계연도기준이며, 파키스탄의회계연도는7월1일부터다음해6월 30일까지임.
*는잠정치.
1) 정부발표통계를당해년평균환율로환산한수치.
자료: Ministry of Finance, Economic Survey 2000-2001.
EIU, Country Report: Pakistan.

세계경제2001.10 87
지역문제 Close-up

채비중이 20%를웃도는인도는핵실험으로인 출의 56%, 수입의 32%가 인도와의 사이에서


한 경제제재 조치로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이루어졌으나, 오늘날에는 그 비중이 0.6%와
(ADB), 미국, 일본등으로부터신규 차관 및원 2.1%로줄어들었다. 인도와파키스탄간의공식
조가 중단 또는 지연되는 등 외국원조부문에서 교역액인 2억 2천만 달러는 양국의 對세계 교
큰타격을입었다. 경제구조가취약하고GDP에 역액 중에서 각각 0.23%와 1.4%를 차지할 뿐
서 외채가 50%를 차지하는 파키스탄도경제제 이다(표5 참조). 이처럼양국교역의실적이저
재조치의영향으로외국원조및차관이급격히 조한 이유는 주로 파키스탄이 인도의‘경제 침
감소하면서 채무불이행으로 국가부도의 위기 략’
을 우려하여 인도와의 경제적 접촉을 엄격
에까지몰렸다(그림1, 2 참조). 1998년이후파 히 제한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며, 현재 양
키스탄의 외채상환율은 현저히 낮아졌으며, 파 국의 교역은 두바이(Dubai) 등제3국을 통하여
리클럽 등 주요 채권국 모임과의 리스케줄링을 간접적이고암암리에이루어지고있다.
통해 간신히 국가부도의 위기를 모면하고 있는 양국간분쟁의여파는또한남아시아역내다
상황이다. 른 국가 경제에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
다. 남아시아지역국가들은‘남아시아지역협력
다. 양국간및역내교역에미치는영향 연합(SAARC)’
을 결성한 후 역내 교역활성화
를 위하여‘남아시아자유무역지대(SAFTA)’
양국간의 정치적 적대감은 경제적 상호 외면 를 추진하고 있으나, 인-파의영토분쟁을중심
으로 연결되어, 독립 당시 파키스탄은 전체 수 으로 한 오랜 반목과 견제 때문에 진전이 거의

<그림 1> 파키스탄의 외채규모 (단위: 100만달러) <그림 2> 파키스탄의외채상환 추이(단위: 100만달러)

30,000 50
2500
45
25,000
40
2000
20,000 35
30
15,000 25 1500
20
10,000 1000
15
5,000 10
5 500
0 0
0

외채규모 GDP 대비외채비중

88 세계경제 2001.10
카슈미르 분쟁의 경제적 의미와 향후 전개방향
KIEP
<표 5> 양국의 교역규모및 비중 (단위: 억달러, %)

1996/97 1997/98 1998/99 1999/2000 2000/01


對세계 775 821 771 882 997
인도
對파키스탄(비중, %) 0.34 0.32 0.46 0.15* 0.23*
對세계 207 191 173 177 195
파키스탄
對인도(비중, %) 1.2 1.3 1.9 0.7* 1.4*
주: * 파키스탄1999, 2000년회계연도수치는7월부터이듬해3월까지의기간합계임.
자료: 정부발표수치를재작성.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남아시아지역의역내교 말부터 단계적으로 철회되었는데, 그 배경에는


역을 살펴보면, SAARC 출범당시 보다는 다소 파키스탄경제가 붕괴할 경우 남아시아지역의
확대되고있으나, 아직까지기대에미치지못하 세력균형 와해는 물론 우발적인 핵전쟁 발발까
는 극히 부진한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 지확대될수있다는국제사회의우려와경제제
다. 2000년남아시아주요4개국의역내교역규 재로 인한 교역금지에 따른 손실 등에 대한 고
모는 인도 24억 800만 달러, 방글라데시 10억 려가있었다.
9,300만 달러, 스리랑카10억 1,700만 달러, 파 카슈미르 분쟁은 지난 10월 8일 개시된 미국
키스탄 6억 9,800만 달러의 순을 보이고 있는 의 공습을 계기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될
데,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 남아시아 전체 교역 전망이다. 파키스탄은미국을 지원하는 대가로
에서 차지하는 역내교역의 비중은 약 4%에 불 경제원조와 카슈미르 분쟁에서의 주도권 장악
과하다. 남아시아지역의 교역부진을 탈피하고 을 기대하고있었다. 그러나미국이아프가니스
SAFTA를 비롯한 협력사업 추진에 돌파구를 탄에 대한 공격을 개시하면서 카슈미르에서의
마련하기 위해서는 양국의 분쟁해결이 최우선 분쟁도좌시하지않겠다고밝힘에따라, 미국을
과제라고할수있다. 지지하여격렬한국내이슬람세력의반대에직
면해온 무샤라프 정권은 위기를 맞게 되었다.
4. 향후전망과시사점 미국의 막대한 경제원조에도 불구하고 파키스
탄 내부에서는 끊임없이 반미시위가 벌어져왔
지난 9월 11일 뉴욕과 워싱턴을 강타한 테러 으며, 미국이 공격의 목표를 탈레반 정권과 테
에 대한 미국의 보복공격에인도와 파키스탄이 러세력으로 확대함으로써 파키스탄 내부의 갈
적극 동참키로 결정함에 따라, 미국은 양국에 등은 더욱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파
대한경제제재를대부분철회하였다. 인도와파 키스탄의무샤라프대통령은8일부로軍수뇌부
키스탄에 대한 경제제재 조치는 이미 1998년 에대한대대적인개편을실시하여국내반대세

세계경제2001.10 89
지역문제 Close-up

력의심각함을시사하였다. 히 철회된 데에 이어, 국제사회의 이목이 집중


금번미국과영국의공격이지상군투입등장 되고 있는 카슈미르를 둘러싼 양국간의 국경분
기전 양상을 보이자, 인도는 자칫 자국 내 힌두 쟁의평화적해결을위한양국의노력이가시화
민족주의 세력과 빈 라덴의 알카에다와관계를 되면, 양국관계는진일보한모습으로다시태어
유지하고 있는 이슬람 세력 간의 충돌로 정국 날수있을것이다.
불안을 초래, 외환시장에 악영향을 줄 것을 우 즉 인도와 파키스탄이 카슈미르 문제를 접어
려하고 있다. 외국인투자자들의매도 압력으로 두고, 상호불가침조약을체결하고 국경을 개방
이미 Bombay Sensex는 지난 8월 말의 3,500 하며 무역과 기타 상거래활동을 장려함으로써
선에서 급강하, 9월 24일 지난 8년간 최저치인 모든 역량을 경제개발에 투입한다면, 우선 그
2,700을 기록하였다.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투 동안 불안한 지역정세로인하여 투자를 기피해
자가들의자금회수가계속될경우, 유동성이큰 오던 외국인투자자의투자가 점차 늘어나는 효
인도의 외환보유고가 이를 지탱하기에는 역부 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양국간 교역 역시
족일 것이다. 인도 경제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 공식적이고 직접적인 통로를 통하여 활성화될
는가운데, 루피화의평가절하가수입급증세를 경우, 큰 폭으로 증가할 것이다. 또한인도와 파
일시적이나마중지시켜, 인도소비재산업에활 키스탄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남아시아국가들
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유일한 이 SAFTA에 대한 전향적인 자세를 표명하고
희망인상황이다. 있는 상황에서, 에너지 자원의 공동개발, 중앙
카슈미르지역에서 양국간 소규모 군사적 충 아시아의 잉여에너지를 남아시아 에너지 부족
돌이 발생하여 위기상황이 지속된다면, 양국은 지역으로 연계, 환경보호, 수송로개발 등을 추
전투로 인한 막대한 인적・물적 비용을 지불해 진한다면, 최소한동지역의성장잠재력을발현
야 할 뿐만 아니라, 국가 신인도 하락으로 인한 할수 있게 될것이다. 이와같이경제개발을 먼
외국인투자자들의 투자심리 위축과 같은 보이 저 이룬 후 새로운 시각으로 카슈미르 문제에
지 않는 비용도 감내해야 한다. 양국이 아직도 접근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
외국의 원조와 금융지원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 다.
을감안하면이러한비용은양국경제에상당한 미국의 경제제재 철회에도 불구하고 국경분
부담으로작용할것임에틀림없다. 쟁을둘러싼정치및환경의불안요인이잠재해
반면양국이오랜영토분쟁을접고경제적접 있어, 인도와파키스탄에본격적인외국인투자
근방안을시도한다면그효과는기대이상일수 가 이루어지기까지는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도 있다. 양국에 가해진 경제제재가 거의 완전 보인다. 그러나 한국의 주력 수출시장인 미국,

90 세계경제 2001.10
카슈미르 분쟁의 경제적 의미와 향후 전개방향
KIEP
일본 등의 경기회복 전망이 그리 밝지 않은 상 속적인제품경쟁력및서비스개선등이필요하
황임을감안하면, 성장잠재력이큰새로운수출 다.
판로 개척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한국 인-파 분쟁은 기본적으로‘영토분쟁’
이며,
은 인-파의분쟁을 예의 주시하면서이 지역에 분쟁대상 지역 이외의 곳에는 위험요소가 적으
대한 수출 및 투자를 확대하기 위한 새로운 진 므로, 동 지역의 불안정을 위험요소라기보다는
출전략을모색해야한다. 기회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특히 미국의 경제
인-파 진출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재로그동안투자가저조하였던미국과일본
단기적으로 우리 업계의 시장환경분석 능력 및 을위시한선진국들이본격적인진출에나서주
해외 마케팅 능력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장 요 산업거점을선점하기전에, 우리기업들이강
기적인 관점에서는 수출과 해외투자를 연계하 점을지니고있는분야를중심으로공격적인마
는 현지화 전략구축, 새로운 수출상품개발, 지 케팅전락을전개해야할것으로보인다.

참고문헌
Center for Monitoring Indian Economy(CMIE). 2001. kashmir.htm)
Monthly Review of the Indian Economy.(August). jammukashmir.net (http://www.kashmirgroup.
EIU Viewswire. 2001. Musharraf’s Dilemma. freeserve.co.uk/)
(September 17) Musharraf, Pervez. 2001. Address to the nation.
EIU Viewswire. 2001. Political, economic Edited extracts from the Pakistan president’
s
consequences of the new era.(September 28) televised address of September 19.
EIU. Country Profile & Report ; India. Reserve Bank of India. 2001. Summary of the
EIU. Country Profile & Report ; Pakistan. Annual Report of RBI for the year ended June
Evans, Alexander. 2001. Kashmir: Crisis or 2001.
Opportunity? - Reducing Tension Is Not Enough. Reuters Business Briefing. 1996-2001.
Far Eastern Economic Review. 2001.IPakistan, India The Economic Times of India. August 11-16.
Unite On War Against Terrorism.(September 26) Wall Street Journal. 2001. India Worries As US
International Centre for Peace Initiatives(ICPI). Warms To Pakistan.(September 27)
India, Pakistan and the Kashmir Conflict (since
1995).2001 (http://www.peaceinitiatives.org/

세계경제2001.10 9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