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6

의치 환자의 진단 및 management

I. 의치 총론(진단)

2. 총의치 protocol

3. 국소의치 protocol

4. 의치의 유지 관리

5. implant 국소 의치

6. implant 피개 의치(overdenture)

7. 하악 흡착 의치(suction denture)

* 5, 6, 7은 별도로 기술

- 1 -
I. 의치 총론

1. patient selection & management


· 의치는 대부분 고령의 환자에서 제작하며, 객관적 완성도 보다는 환자 기대치와의 격
차가 중요. 고령 환자와의 의사 소통 문제

2. making : impression
· 정밀한 인상은 의치의 유지와 저항을 좋게 하고, 적응을 빠르게 한다.
· 하악 흡착 의치에서는 인상 채득이 매우 중요.

3. maintain : **occlusion

2,3. stability(안정성. 유지와 지지, 저항의 복합 작용)에 기여 : 잘 씹는다.


찌걱 거리지 않는다

1. 제작 전 환자에게 설명할 내용들

· cross arch stabilization을 획득할 수 없는 경우(편측 결손 case) stability가 떨어지며, 이


경우 fixed bridge나 implant 로 가는 것이 낫다 → 환자를 적극 설득.
· 부실한 치아는 발치하고 시행 : 환자는 부실하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있다.
충분히 발치의 근거를 납득시키고, 자료를 남겨야 함.

· 대부분의 국소의치는 향후 총의치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수년 내 총의치로 이행이 우려된다면,
① 바로 총의치를 제작할 것인지, 아니면 몇 년이라도 국소의치로 쓸 것인지
② 총의치를 제작한다면 임플란트를 부가적으로 심을 것인지를
환자에게 설명하고, 직접 결정하도록 한다.

보험 틀니의 경우 모두 보험이 되므로, 국소의치를 거쳐 총의치로 진행하는 것이 낫고, 특


히 유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하악의 경우 총의치는 가급적 늦게 들어가는 것이 나을 수 있
다. 만65세 이상이라면 하악 국소의치를 만들어주고, 향후 총의치를 대비하여 보험 임플란
트를 식립해주는 것도 추천된다.

· 국소의치의 retainer는 food retain 때문에 우식을 상대적으로 잘 발생시킨다. 양치가 부실


한 경우 틀니를 새로 만들어야 할 수 있다.
· 틀니는 휠체어와 같다. 다리가 없는 사람이 휠체어를 타도 이동을 도와줄 뿐 등산이나 계

- 2 -
단은 못 올라간다. 틀니도 자연 치아의 최대 교합력의 10-20% 밖에 낼 수 없으므로, 씹는
것을 도와주는 정도로만 생각해야 한다.
· ridge가 평탄하거나(non-ridge), 의치를 첫 제작하는 경우 기대치를 충분히 낮춘 후 시작
해야 하며, 적응에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음을 인지시켜야 함.

완전 틀니

1. 잇몸이 편평하고, 타액이 묽은 경우 틀니의 유지력이 떨어집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대부분 적응하시지만, 적응이 많이 힘드실 경우 추가적으로 임플란트를
심으실 수 있습니다.
2. 아래턱의 완전 틀니는 어떤 경우라도 유지가 약합니다. 질긴 식사를 하시기 힘들며,
휠체어처럼 보조 역할로만 사용 가능합니다. 아래턱에 이가 하나도 없는 경우는 임플란
트 식립 후 틀니 제작이 추천됩니다.

부분 틀니

1. 틀니는 휠체어처럼 보조 역할로만 사용 가능합니다.


2. 틀니가 걸리는 치아는 장기적인 수명을 위해 잇몸 치료를 받아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3. 부분 틀니는 양치질이 부족한 경우 충치를 유발하기 쉽습니다. 철저하게 양치를 하셔
야 하며, 정기 검진시 관리가 잘 되지 않으면, 틀니가 걸리는 치아를 씌우실 수 있습니
다.
4. 치아 개수가 부족한 경우 추가적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
다.
5. 부분 틀니 장착 후 유지 관리가 소홀한 경우나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 부분 틀니에
걸리는 치아가 잇몸병에 걸린 적이 있는 경우 향후 완전 틀니로 이행하실 수 있습니다.

* 틀니 제작시 본원에서 설명하는 내용 : 스티커로 만들어 차트에 부착하고 줄을 그어 설명

2. 진단 : 가장 중요한 단계 : 틀니의 예후 결정

· 하악 총의치는 웬만큼 릿지가 풍융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급적 피한다.


(특히 의치에 대한 기대치가 높거나, 총의치 사용이 처음인 환자에서)
→ 임플란트 오버 덴쳐로 유도(하악 무치악의 1st choice)
총의치만 원한다면 환자의 기대치를 충분히 낮추고 제작할 것

- 3 -
· 환자가 재현성 폐구를 할 수 있는가(교합의 3요소 중 TMJ stability)?

· 틀니를 정확하게 만들 수는 있어도 환자의 ridge 상태와 특이성, 기대치는 술자의 술기로
극복할 수 없다.

· 저작력 : 부실한 자연치 > 국소의치 > 총의치

의치 제작을 위해 발치해야 할 부실한 자연치로 저작하는 것이 환자에게는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즉, 전악 중증 치주 환자에서 의치 제작시 잔존치를 모두 발치해야 한다면, 치
주 치료를 하여 자연 치아로 조금 더 씹게 하고, 전략적인 위치에 오버덴쳐를 위한 임플란
트를 미리 심어두는 것이 장기적인 치료 계획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어느 정도 저작이 가능한 증상이 없는 부실한 치아를 발치 후 의치 제작시(특히 총의치에


서) 환자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 틀니 제작을 위한 사전 작업 : vestibular deepening


torus osteoplasty(진단 단계에서 파악하여 제거해야 함)
frenectomy
sharp 한 치조제의 osteoplasty

· 외골증 : undercut이 심하여 rim extension을 방해 (→ 유지 감소)


외골증 상부의 치은은 thin 하여 sore spot이 잘 발생

이미지 출처
https://www.google.com/search?biw=1920&bih=900&tbm=isch&sa=1&ei=ttbjWriNE4Oq0QTm85XQDg&q=%ED%8B%80%EB%8B
%88+%EA%B3%A8%EC%84%B1%ED%98%95%EC%88%A0&oq=%ED%8B%80%EB%8B%88+%EA%B3%A8%EC%84%B1%ED%98
%95%EC%88%A0&gs_l=psy-ab.3...30381.33288.0.33554.20.16.0.0.0.0.183.1739.0j13.13.0....0...1c.1j4.64.psy-ab..11.3.362...0j
0i24k1.0.DnjuV88IdqE#imgrc=-h49WhZzITnxDM:

· 대합치가 자연치 혹은 fixed bridge인 총의치의 경우 수 년 뒤 파절될 가능성이 존재함을


미리 설명한다.

- 4 -
· 건강한 #13만 존재시 : ➀ #13 유지 후 국소의치
➁ 발치 후 완전 틀니
➂ #23 임플란트 식립하여 국소 의치(#23은 attachment 적용)
④ 다수 임플란트 식립 후 치관 형태 보철 + 국소의치 제작

상악에서 하나의 지대치, 혹은 편측 지대치만 존재할 경우 저작시 see-saw 처럼 찌걱거리


게 된다(stability 부족). 정확한 인상과 교합 조정이 중요하며, 총의치가 더 나을 수 있다.
상악에서 편측 구치부 하나만 존재한다면, 총의치로 진행하는 것이 낫다.

· 하악에 건강한 #43 만 존재시 : 유지에 절대적이므로, 가급적 살리도록 함.

* solitary implant의 attachment는 magnetic이 가장 안전.

· cross arch stabilization : 의치 장착시 stability 여부는 대합치의 양쪽 vertical stop이 모


두 존재할 때 얻어질 수 있다. 존재하지 않는다면 틀니를 장착해도 잘 씹을 수 없다(상, 하
악 동시 보철의 근거).

예시) 상악 #15~#25 존재, 하악 #45~#37까지 존재한다면, 상악에 국소의치를 제작해도


우측 대합치의 부재로 cross arch stabilization을 얻을 수 없다. 대합하는 하악에 임플란트
를 심어주는 것이 좋다.

· 치주 치료 후 의치 제작을 기본으로 한다. 발치 후 바로 의치를 제작할 수 있지만, 적응


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최소 2주는 기다리고, 안정적으로 가려면 1달 이상 기다리는 것이
좋다.
환자의 사회 생활 때문에 발치 즉시 의치를 제작하는 경우 완성 후 조직 이장재를 깔아주
고, 발치와 치유가 끝나면 relining 한다.

· 잔존 치근을 근관 치료해서 남기는 경우(neck dissection) : 릿지 흡수가 더디어서 의치


유지(undercut) 및 지지(support)에 좋다. 상악 전치부의 경우 combination syndrome을 방
지할 수 있다.
단 과한 undercut이 존재하는 경우는 오히려 총의치에서 rim extension을 짧게 하여 유지를
저하시킬 수 있다. 즉 잔존치근을 남기는 것은 case by case로 결정해야 하며, 통상 다근
치 치근은 남기지 않는다.

· 잘 제작된 기존 의치가 있는 경우 수리해서 쓰는 것이 좋다(혹은 수리해서 임시 의치로라


도). 교합 조정이 필요한 경우가 거의 없다.
→ 기존 의치 수리에 어느 정도 만족한다면, 새로 나온 의치에 만족할 수 있다. 하지만 불
만족한다면 새로운 의치에도 불만일 가능성이 크다.

· 총의치의 경우 유지가 충분하지 않을 것 같고, 환자의 기대치가 높으면 제작하지 않는 것

- 5 -
이 정신 건강에 좋다. → 노령 환자들은 이해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딸이나 며느리를 대동하
게 하여 설명하는 것이 가장 좋다.

· 초기 ridge 상태가 향후 환자의 만족도, 적응 기간, 저작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반드시 초


진에서 인지 후 예후를 결정, 설명한다. 특히 하악 구치부 non-ridge는 신중히 진행.

· 틀니의 저작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stability(유지 + 저항 + 지지)이다.


· bilateral stabilization(cross arch)과 상하악의 balance가 의치 저작의 key point !!

stabilization : surveyed crown의 이유


인위적인 height of contour, proximal plate, guiding plane 부여 가능
↔ 찌걱거린다, 잘 빠진다

· 젊은 환자의 조기 틀니 제작 : 노년에 심각한 치조제 흡수로 고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


에 환자를 적극적으로 설득하여 전략적인 위치에 미리 implant를 심어 치조제 흡수를 방지
하는 것이 좋다(환자가 동의하지 않더라도 반드시 설명 후 차트에 기록) .

comment : 총의치 제작시 진단시 체크 사항 ① ridge 상태


② 외골증 여부
③ 재현성 있는 폐구가 가능한지
④ 환자의 나이 및 기대치, 잔존치 상태

- 6 -
II. 총의치 protocol

본원 protocol : 제작은 총 5회로 완성하고, 이후로는 조정 과정

① 예비 인상 채득
② 최종 인상 채득
③ wax rim 제작 및 교합 인기

④ 납의치 시적 : 심미성/안모 체크, 환자 요구 사항 반영


1차 교합 조정
하악 총의치의 경우 폐구 인상 채득

⑤ delivery : 교합 조정 및 tissue conditioner 도포


레진의 중합 수축을 보상하고, sore spot이 될만한 부분을 미리 조정
주의 사항 설명 ( 향후 환자의 협조도와 관련되어 중요!! 충분한 시간 할애 )

⑥ 통상 1주 간격의 내원, 아프면 언제든지 내원 : 교합조정 및 sore spot 조정, 푸념 경청


교합 조정 과정은 TMJ splint를 장착했을 때와 같음

⑦ 교합점이 안정되고, sore spot이 발생하지 않으면, TMJ remodeling이 완료되었다고 보


고, 이장재를 제거한 후 relining을 시행

* 기존 의치를 이용하는 경우 protocol

① 기존 의치를 이용하여 폐구 인상 채득 : 기존 의치는 개인 tray 및 교합제의 역할을 동


시 수행
② 납의치 시적
③ 이후 과정은 동일

stress bearing surface


· PDL : 45㎠
· 상악 무치악 : 22.5㎠
· 하악 무치악 : 12.5㎠ but. ridge 흡수는 계속 진행됨.

이하 과정은 클래식한 denture 기준이며, 하악 suction denture는 별도로.


클래식 denture의 경우 의치상은 조직의 movement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 maximal
coverage를 원칙으로 함.

- 7 -
1. 인상 채득

1) 예비 인상 : CDG 무치악 트레이를 추천함.

· 틀니의 성패를 결정한다.


· 알지네이트로 뜨되 정상 혼수비보다 약간 되게 mix하여 인상재가 조직을 압박하여 과연장
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믹싱 기계가 있는 경우 혼수비대로 mix하면 됨.

· 상악의 경우 post. palatal seal이 충분히 인기되도록.


하악의 경우 retromolar pad를 충분히 덮을 수 있도록 한다(**반드시 인기되어야 함).
(최종 의치상은 retromolar pad를 1/2~2/3 정도 cover 해야 함).
· 채득된 예비 인상 모형에 개인 트레이를 만들기 전 marking pencil로 경계를 충분히 표시
한다.

2) 최종 인상

이론상)
· denture의 인상에는 polysulfide의 재현력이 가장 뛰어나다(냄새가 역함)
· 조직의 두께나 릿지가 얇은 경우에는 흐름성이 좋은 인상재(light body)로 무압 인상
(교합력이 집중되어 sore spot이 생길 수 있다)
· primary stress bearing area : 가압 인상
· 과도한 조직 압박으로 인한 치조골 흡수 최소화 위해 선택적 압박 인상이 추천
→ 하나의 인상재로 채득한 석고 모형은 조직의 피압도를 반영하지 못하므로, 부위별로
인상재를 달리 하여 석고 모형에 피압도를 인기시킴.

· 미리 개인 트레이에 중앙선을 연필로 표시한 후 입안에서 시적하는 연습 후 최종 인상 채


득한다.
· 개인 트레이로 인상 채득시 인상재가 트레이 외형에 묻어 나지 않은 곳이 있으면, 트레이
외형이 과연장 된 것이므로, 약간 삭제 후 재인상 채득한다.
국소 의치와 달리 총의치는 인상 채득된 트레이를 그대로 사용하여 추가 인상.

· 통상 의치 장착 후 ridge 흡수의 원인 중 하나로 교합력을 버티지 못하기 때문이 있으며,


따라서 stress bearing area를 충분히 채득하여 인기한다.
(본원에서는 인공치를 마모 저항성이 약한 레진 치아로 함. 마모 저항이 강하면, 정밀한 교
합 조정이 요구되고, 릿지 흡수가 빠르다. 인공치의 강도에 대해서는 controversal 함.)
· 기존의 틀니가 존재시 오차가 크지 않다면 인상 및 교합 채득에 이용할 수 있다.

- 8 -
a. 상악
· 상악 개인 트레이 : vent hole은 파지 않거나 suture line에만 판다.
인상재의 유지를 위해 vent hole을 일부러 팔 필요는 없다.
인상재의 유지는 adhesive 도포만으로도 충분함
· 틀니를 뒤에서 앞으로 기울여 인상 채득(목으로 넘어가지 않게)
· labial frenum : 수직 운동만으로 형성해도 충분하다.
· buccal frenum : 수평 운동
· tuberosity area : 유지에 중요(undercut), 최대한 전정부 끝까지 연장되어야 함.
너무 두꺼우면 coronoid movement를 방해하므로 조금 얇게 한다.

b. 하악
· 인상시 술자가 tray를 누르는 것보다 환자보고 턱을 다물라고 하는 것도 한 방법
· ant. lingual. border : 최대한 두껍고 길게
· retromylohyoid fossa : 하악에서 유일하게 undercut에 의한 retention 가짐.
→ 따라서 인위적으로 조금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controveral).
침 삼킬 때 아플 정도라면 조금 짧게 한다.

· 반드시 retromolar pad 까지 확장. 인상 채득시 retromolar pad에 안정성을 두고 뜬다.

* retromolar pad는 wax rim 제작시 하악 구치부 고경 설정에 필요하고 retromylohyoid


fossa로 의치상을 연장하기 위해 반드시 인기한다.

· 혀를 너무 과하게 운동시킨 모형은 틀니 유지가 적으므로, 약간만 내밀게 한다.

comment : 총의치 인상에는 exadenture가 추천되지만, 고가이므로 본원에서는 silicone으


로 채득합니다. 따로 border molding은 하지 않습니다.
modeling compound를 연화시켜 최종 인상재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wax rim & bite registration : 국소의치의 경우 frame 정확성 체크,


수평, 수직 악간 관계 인기 ; 반복적인 bite 재현성 확인
(TMJ stability)

1) wax rim 만드는 방법

· 기공소에서 미리 만들어온 wax rim을 조정하여 환자의 vertical jaw relation을 결정한다.
· wax rim의 높이 : 전치부는 상악 기준 - 상순의 vermilion border

- 9 -
resting 상태서 상악 전치 2mm 정도 노출
구치부는 하악 기준 - retomolar pad의 1/2~1/3 높이

상악 구치부는 전치부의 고경을 기준으로 camper line과 평행하게 형성


하악 전치부는 구치부의 고경을 기준으로 상악과 맞닿도록 형성

rest 시에는 wax rim이 떠서 3mm 정도의 freeway space가 형성

· camper line : 비익하연과 이주 중앙을 연결한 선


후방 교합 평면은 camper line에 평행
전방 교합 평면은 양 동공을 이은선(interpupillary line)에 평행

이미지 출처 :
https://www.google.com/search?biw=1920&bih=900&tbm=isch&sa=1&ei=pNjjWt_PMIjA0gTL2L7wDg&q=camper+line&oq=camper
+line&gs_l=psy-ab.3..0i19k1l3j0i30i19k1l2j0i8i30i19k1l5.202650.204619.0.205573.11.10.0.1.1.0.184.1191.0j8.8.0....0...1c.1.64.p
sy-ab..2.9.1191...0j0i30k1.0.W3vwAvUgfAU#imgdii=P00W-1lw4qWTYM:&imgrc=6cnCps3PZbmCGM:

· 하악의 경우 무게감 있는 frame이 좋다.


상악은 미리 resin base(리라이닝 용이)로 할 것인지, metal base(정밀, 이물감 감소)로
할 것인지 결정한다. : 개인적으로 resin base 추천!!
· 경험 많은 기공소와 거래한다면 구내에서 wax rim을 조정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음.

- 10 -
2) bite 채득
· bite : 너무 단단한 것으로 채득시 좋지 않다. TMJ shift가 일어날 수 있다.
· 교합 채득 전 recording base는 반드시 구강 내에 고정되어야 한다. 필요시 의치 접착제
라도 사용한다.

· 평상시 habitual CO와 교합 채득시 guided CRO의 gap 이 있기 때문에 통상 ms이


remodeling 되면서 틀니 장착 후 하악이 후퇴할 수 있다. -> relining으로 해결(delivery 당
일 조직 이장재 사용의 근거).
임시 의치를 사용하여 미리 TMJ를 안정화 시킨 후 이를 복제하여 최종 의치를 만드는 것이
좋지만, 현실적인 이유가 존재하므로, relining으로 보상함.
(full mouth rehabilitation시 temporary crown으로 교합을 안정화시킨 후 permanent crown
으로 교체하는 것도 같은 이유)

· 환자 스스로 재현성 있는 폐구가 가능하다면 술자가 인위적으로 CR을 유도하지 말고 그


걸로 채득. 상/하 wax rim 상 midline을 표시하여 반복적으로 폐구시켜서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다.
· 고경과 bite가 결정되면 facebow로 교합기로 옮긴다. 통상 Denar 평균치 교합기 정도면
충분하다.

※ 국소 의치의 경우 wax rim 단계에서 각 금속상 retainer가 치아에 안착되었을 때 조직면


에서 의치상이 떠서 찌걱거리는 면이 존재하는지 1차 확인한다. 이 경우 기능 인상을 채득
한다.
의치의 찌걱거림은 특정 지대치에 대한 TFO로 작용(발치력)하여 지대치 수명을 비약적으로
감소시키고, 치조제 흡수를 촉진한다.
완성된 틀니의 경우 open mouth relining technique의 적응증이다.

comment : 보철물 제작시 가장 안정적이고 재현성이 높은 하악위는 CO(MICP)입니다. CR


은 condyle이 rotation 하는 범위 내(range)에서 채득할 수 있지만, CO는 항상 재현 가능한
일정한 위치(point)에 존재합니다(우리가 어금니를 꽉 깨무세요 라고 하면 항상 같은 위치로
깨무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총의치 환자에서는 CO를 인기할 수 있는 치아가 전혀 없으므로 치아 대신 교합제(wax rim,


recording base)를 만들어 치아 대신 감합하여, 교합을 인기시킵니다.
wax rim의 높이는 환자의 condyle은 rotation하는 범위 내에만 있으면 되므로, 위 그림에
있는 평균치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총의치에서는 잔존치가 없어 CO를 잡아줄 수 없으므
로, CO=CR이 되도록 교합 고경을 설정합니다.
wax rim의 높이가 너무 높은 경우(교합 거상을 과도하게 한 경우) 의치 장착시 condyle은
translation 하게 되어 항상 턱관절이 뻐근하고, TMD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교합 거상은
구치부 기준으로 정상치보다 최대 3mm를 초과하면 안됩니다.

- 11 -
국소 의치 제작시 잔존치에 의해 VD가 유지된다면, 절대 기존 고경을 변형시키지 않도록
제작하여야 합니다(잔존치 마모가 심하거나 인위적인 교합 거상을 하는 경우는 예외).

3. wax denture : 안모 체크 및 1차 교합 조정
이후 단계에서 틀니 모양을 수정할 수 없으니,
이 단계에서 반드시 외형에 대한 동의를 얻어야 한다.
하악 총의치의 경우 반드시 폐구 인상 채득

1) 치아 배열
· 치아 배열시 치조정을 벗어나 사면에는 배열하면 안된다.

a. 상악
· 상악 구치부는 ridge 위에 배열시킨다.
· ridge 상태에 따라 lingualized occ.를 부여하거나 혹은 cross bite를 부여할 수도 있다.
(상하 양측 의치인 경우에는 lingualized occ가 강력히 추천되며, 기공 의뢰서에 미리 작성한다)

b. 하악
· neutral Zone : Pound line 기준
· denture border는 굵게 하고, 필요한 해부학적 구조물을 maximal coverage 한다.
· 납의치 시적시 aluwax로 bite 채득하는데 약간 높게 채득해서 교합기에 옮겨 다시 물려
본다. 안맞으면 CR 채득 오류이니 재배열한다. 이것으로 교합 오류로 인한 remake를 방지
할 수 있다.

· 납의치 시적시 1차 교합 조정. curing 후 중합수축이 크기 때문에 완성 후 remounting


해서 다시 교합 조정한다.

· 하악 총의치의 경우 이 단계에서 폐구인상을 반드시 다시 채득한다.


폐구 상태에서의 retromolar pad의 인기가 하악 총의치 sealing의 핵심이 된다.

- 12 -
Lingualized occlusion

· 상악골 흡수가 심해 상악궁이 좁아진 경우에 유용


· 상하악 동시에 틀니가 들어가는 경우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상악 덴쳐 : 치조정 바로 상방에 상악의 기능 교두의 구개 교두를 배열한다.
하악 덴쳐 : 교두사면 각도는 10도 이내로 약간 평탄하게 형성하며, Pound line 내에 배
열한다.

CO에서 교합시 상악의 기능 교두가 하악의 중심와에 대합되도록 하며, 즉 그 외 다른


부위에는 교합점이 찍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교합 조정이 쉽다.

무교두 치아
· 저작 효율을 떨어뜨려 오히려 grinding에 의한 lateral force 증가 -> 방치시 틀니 마
모는 더 심해진다 -> 악순환

레진치의 강도는 controversal 합니다. 경질 레진치 사용시 ‘트루바이트’ 추천

4. delivery : 교합 조정(CO)
frenal move시 의치의 동요 여부, 치은협 이행부의 overextension 여부 체크
본원의 경우 이날 조직이장재 적용

1) delivery 당일의 교합 조정
· CO에서만 시행한다
· U 모양의 교합지를 동시에 대합하게 하여(혹은 교합지를 두 장 겹쳐) 구치부 전체에 bite
mark를 부여한다
- 전치부의 조기 접촉이 있는 경우 구치부가 닿지 않을 수 있으므로, CO에서의 접촉을 없
애 준다. 전치부 조기 접촉부터 삭제해야 구치부 교합 조정이 가능하다
- 조기 접촉은 하얗게 뚫린 marking 이다(Owl eye).
· 소구치에서 교합 접촉이 확실히 되도록 하고, 교합 면적이 가장 넓게 한다. 구치부로 갈
수록 접촉면은 작아진다.
· delivery시 교합을 이상적으로 맞추었더라도 장기간 무치악이었던 분은 교합이 변할 수 있
다. → 내원시마다 반복적인 교합 체크 필요
(TMJ shift에 따라 교합이 변함. TMJ splint에서 교합 조정과 같은 원리)
relining 및 OA로 해결

2) 측방 교합 조정은 장착 3-7일 후에 시행한다.


의치는 통상 장착 1-7일 후부터 통증을 호소하게 되므로, 1주일 정도 후에 내원하게 하여

- 13 -
조정한다.

※ purmice와 vaseline을 이용한 측방 교합 조정


· 틀니의 교합면에 바셀린과 퍼미스를 섞어 도포한 후 이를 측방/전방으로 갈도록 지시
· 양측성 균형 교합을 부여하는 쉬운 방법이지만, 과할 경우 denture 치아를 무교두 상태로
만들고, VD를 소실시킬 수 있다.
CO 교합점이 붕괴될 수 있다.

CD의 교합 조정
1. 전치부 : slight contact or no contact ; 제일 먼저 조정한다.
2. 구치부 : #4=#5≥#6≥#7 (#4,5의 교합력이 #6,7보다 크거나 같아야 함)

eg) 상악 CD, 하악 #44-#36까지 존재한다면 교합 부여는?

※ clinical remounting을 하지 않는 경우 구내에서 양측성 균형 교합을 부여하기 힘들다.

**양측성 균형 교합을 부여하기 힘들다면 CO 상태의 교합만이라도 확실히 부여하도록 노력


할 것. 양측성 균형 교합은 저작시 틀니 사이에 음식물이 개재되면 아무 의미가 없다
(controversal).

※ 각 의치가 치아에 안착되었을 때 조직면에서 의치상이 떠서 찌걱거리는 면이 존재하는지


2차 확인한다. 이 경우 open mouth technique으로 조직 이장재를 적용하거나 relining 한
다.

* 크거나 작은 신발은 신을 수 있어도 좌우 짝이 다른 신발은 신을 수 없다

- 14 -
※ clinical remounting( 별도 자료 제공 )

· 틀니의 유지가 너무 없어 구내 교합 조정이 힘든 경우


· 하악 교합면에 aluwax 약간 얹어서 bite 채득(CO 상태에서 치아가 2mm 정도 덜 물리도
록). aluwax의 경우 환자가 씹히는 감각을 인지할 수 있다.
· 반조절성 교합기에서 시행, facebow transfer 기시행 되었어야 함. 측방 운동시도 조절함.
· BULL etc. 상악 교두가 더 중요.
· cusp 대신 fossa나 marginal ridge 삭제

3) 본원 기준 delivery 당일 tissue conditioner 적용


① 의치 curing시 중합 수축을 보상
② 유지력 증진 및 환자의 적응을 도움
③ TMJ remodeling 이 일어나면 relining 하여 보상함.

5. 기존 완전 틀니를 이용한 새 틀니 제작 방법

· 기존 틀니가 어느 정도의 정확성이 있어야 함


· 인상재를 기존 틀니 내면에 짜 넣고, 교합면에도 짜 넣은 후 환자에게 폐구시키고
muscle trimming을 시행한다.
· 기존 틀니를 구내에서 제거하면 틀니의 내면은 물론 대합치와의 bite도 인기되어 나옴
· 대합치 인상을 뜬 후 기존 틀니와 함께 기공소에 보내서 mounting 시킴
· 대합치와의 bite도 다 채득이 된 상태이므로 이후에는 바로 wax denture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6. 총의치 의치상연이 짧은 경우 (유지가 부족한 경우)

· 조직이장재로 짧은 의치상연을 상방을 인기 후 기공소로 보내면, 레진으로 교체하여 옴.

comment : 교합조정이 틀니의 알파이자 오메가입니다.


의치상은 조금 안맞아도 일단 적응만 되면...
상악 총의치 palate는 post.palatal seal 형성 관점에서 보면 레진의치상이 낫습니다.

- 15 -
III. RPD protocol

진행 과정

RPD 치료 계획 고려 사항

잘 씹을 것인가?
RPD 예후 판정 얼마나 오래 쓸 것인가?
(총의치로 이행 가능성 결정 및 설명)

살릴 것인가, 발치할 것인가?


지대치는 반드시 PA 촬영하여 평가
지대치 예후 판정
살릴 경우 얼마나 오래 쓸 것인가?
향후 발거될 경우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surveyed crown 할 것인가, 말것인가?


surveyed crown 여부 판정 splint crown 할 것인가?
기존 crown은 remake 할 것인가?

tissue-borne / tooth-borne
RPD 설계
기존 VD를 최대한 유지할 것

완전 틀니의 진단과 달리 RPD의 경우 지대치에 대한 평가와 처치가 추가됨.


유지에 대한 우려는 상대적으로 적다

통상적인 진단 protocol을 따르면( 과거/원인 - 현재/치료 계획 - 미래/예후),

과거 : 환자의 양치 상태 파악 → 환자의 구강 위생을 믿지 말 것


잔존 치아는 언제쯤 발치가 될 것인가?

현재 : 어떤 치아를 남길 것인가?
surveyed crown을 할 것인가, 말 것인가?

미래 : 발거될 경우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향후 완전 틀니로 이행될 시기는 대략 언제 정도로 추정되는가?

- 16 -
1. 술전 평가 사항

· 지대치의 선정 및 발치 여부 결정 ; 주로 치주적 문제
술자의 치주적 care 능력 여부, 환자의 perio activity, 치아상실 속도 등 포괄적으로 고려
· surveyed crown 여부
(surveyed crown을 할 경우 우식은 생기지 않는가? 덜 생기며, 크라운은 반드시 전체 임상
치관을 cover 하도록 제작해야 함)
· 기존 crown의 remake 여부 : PA 촬영 및 주의 깊은 관찰을 통해 2차 우식 여부 확인
· 예상 수명 및 지대치 발치 가능성 : 치주염이 진행된 경우 향후 완전 틀니로 이행될 수
있음을 고지하고 환자에게 선택하게 함.
· 고령 환자에서 크라운이 필요한 치은 연하 우식의 경우 CL이 아니라 core 상 변연 형성
을 고려해 볼 수 있다.
· post 된 single crown는 RPD의 지대치로 부적합한 경우가 많다. 재제작을 하기보다는 let
it be or extraction을 결정.
· 지대치 선정 여부에는 술자의 능력 및 환자의 전신/국소 상태 등 여러 가지 인자가 관여
하므로 술자마다 달라질 수 있다.

** 치주염으로 다수 치아 발치 후 RPD를 제작하는 경우 지대치의 추가 발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RPD는 향후 총의치로 진행하는 중간 단계의 치료임을 반드시 인지시켜
야 함.

2016년 2019년

임상 증례)
2016년 초진시 상악 #15~#24, 하악 #45,#34,#35 만 남겨서 치주 수술 후 상하 부분 틀니를 제작
하였다. 해당 치아들도 2~3년 내에 상실될 것이라고 판단하여 환자에게 향후 완전 틀니로 이행됨을
고지하고, 따로 surveyed crown은 제작하지 않았다. 환자는 몇 년 뒤 추가 비용이 들더라도 바로 완
전 틀니로 이행하지 않고, 부분 틀니를 제작하기를 원하였다.

틀니 완성 후 만 3년이 경과하여 재내원 하였는데, #15의 원심 치근 우식과 전반적인 치주염 재발,


#21,22의 심한 동요가 관찰되었다. 택시 운전을 하느라 점심 식사 후에도 틀니를 낀 채 칫솔질을 하
지 않았다고 한다. 틀니의 retainer는 food retain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부분 틀니에서는 식사 후 칫
솔질이 예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15의 치근 우식은 근관 치료 후 수복하였고, #21,22는 발
치 후 기존 틀니에 레진치를 추가하여 수리하였다.
하악은 별 이상이 없는 상태였으나, 환자가 향후 총의치 제작시 바로 임플란트 연결을 원하여, 미리 4
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 17 -
2. RPD 설계
· 교과서 상의 설계는 모두 건강한 지대치를 기준으로 설계된 것. 실제 임상은 그렇지 않다
; 증상이 없는 치아의 발치 권유시 환자의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다.
· tooth-borne은 예후(저작 능력, 적응 능력, 장기적 수명)가 좋음
· tissue-borne의 경우 교합 부여와 조직과의 접합도에 의해 최후방 지대치의 예후가 결정
됨.

· 4 point의 교합 지지가 있는 경우 예후가 가장 좋다. Kennedy class 1의 경우 후방


implant의 식립에 의해 tissue-borne을 tooth-borne으로 바꿔 줄 수 있다(아래 그림 blue
circle).
-> tooth borne 으로 제작하는 것이 RPD 설계의 1st option.

O O
O O O

O O
O O
fig 1 fig 2 fig 3 fig 4

- 18 -
벽걸이 액자를 대입해 보면 못을 하나만 박았거나(fig 1), 편측으로만 박은 경우(fig 2) 고정
성(stability)이 가장 떨어진다.
어느 정도 고정성 확보를 위해서 양방향 최소 두 개의 못이 필요하다(fig 3).
가장 stability가 좋은 경우는 전후좌우 4개의 못이 박힌 경우이다(fig 4, tooth borne).

· attachment가 아니라 crown 형태의 implant 보철물은 편측 기준 최소 3개 이상 splint 되


어야 안정적으로 버틸 수 있다. 2개는 case by case(환자의 교합력, 대합치에 따라 다름).
1개 implant crown에 clasp을 거는 것은 무조건 피한다.
· full palatal coverage / trans-palatal / AP-bar : RPD의 예후에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
는 frame의 적합성. 충격에 쉽게 변형되어서는 안된다.
· direct/indirect retainer : 지대치 발치시 치아 추가의 골조로 사용됨.
· frame이 추가된 경우 수리는 쉽지만, 양치가 부실한 경우 food retainer로 작용하여
caries를 유발할 수 있다(linguoplate 등).

eg) #13-#23 까지 잔존한 경우 : conventional RPD + #16,26 부위에 implant 식립

eg) #43만 잔존한 경우 : # 33 부위에 implant 식립 가능.


implant는 attachment 형태로 제작

eg) 대합치가 #16-#26까지만 존재하고, 하악 #35-#45까지만 존재하는 경우


-> #36, #46 implant 식립이 우선시 된다.

eg) 편측 치아의 상실시 : cross arch stabilization을 얻을 수 없으므로 implant가 우선시.

3. 고지사항
· 향후 발거 예상치 : 뽑기에는 아깝고, 남기자니 수명이 길지 않고.
향후 틀니에 추가가 가능한 design으로 설계할 수 있다.
· 전치부의 경우 I bar나 Aker's clasp에 의한 비심미성을 미리 고지
· ** 충치가 잘 생김 : 수시로 빼주고, 양치 해야 함.

4. 제작 과정 : 총의치와 같다.
① 최종 인상 채득 : 지대치에 치간 공극이 다수 존재시 인상재가 언더컷에 들어가 트레이
가 잘 빠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미리 코튼롤로 블록아웃하고, frame과 관련 없는 치면
은 미리 바셀린을 발라두는 것도 도움이 된다.
② 교합 채득 : frame(major, minor connector)이 지대치에 잘 적합되는지 확인. 기존의 잔
존치가 교합하여 VD를 유지하고 있다면 절대 인위적으로 변형시키지 않는다.
③ 틀니 치아수가 많지 않다면 납의치 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curing으로 진행할 수 있다.

- 19 -
4. RPD의 교합 부여
· unilateral balanced occlusion이 기본
· 지대치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함. 즉 각 denture 치아가 골고루 씹혀서 의치의 동요가 적
게한다.

5. RPD f/u시 체크 사항
· stability check, 찌걱 거리지 않는지.
· 찌걱거림이란? frame을 치아에 안착시 의치상이 잇몸과 뜨는 부위가 없어야 함.
의치상을 조직에 passive하게 안착시 frame이 뜨는 부위가 없어야 함.
· 양치 사항 체크, 필요시 지대치에 crown 제작.
( 통상 surveyed crown 제작 후 RPD 제작이 원칙이지만, 부득이한 경우 RPD 먼저 만들
고, crown을 제작하는 경우도 존재. 이때 크라운 인상 채득시 반드시 RPD를 구내에 장착
하여 pick up impression + crown impression 을 채득해야 함.)

6. RPD 수리
· clasp 파절 : 복잡(casting clasp) > 간단(wrought wire)이 추천
· 지대치 발거시 : frame이 존재하는 경우 치아 추가 가능
단 1개 치아의 추가는 재파절이 잦으므로, 교합을 약하게 부여
· 의치상 crack : 발견 즉시 repair 한다.
수리해도 종당에는 파절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많다.
발견시 향후 remake 가능성을 미리 고지
통상 자연치와 대합하는 총의치에서 잘 발생

· 틀니가 헐거움 : clasp tightening. 약간 조았다는 느낌만 들도록. 눈으로 보일 정도로 심


하게 구부리지 않는다.
· 틀니가 끝까지 안들어가요 : frame 변형, 잔존 치아의 염증성 치은 부종 등을 의심

7. Surveyed crown or not : 어떤 치아에 적용할 것인가?

stability 증가를 위해 crown을 형성할 것이냐, 말 것이냐?

1) surveyed crown 의 장점
· stability 증가
· 치과 수익의 증가
· 치축 경사가 심한 치아를 지대치로 사용할 수 있게 함
· 약간의 동요가 있는 인접하는 두 지대치의 경우 splinted crown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TFO에 single crown의 경우보다 더 잘 저항한다.

- 20 -
2) 단점
· 치료 기간이 길어지고, 환자의 부담이 증가
· 종종 지대 치아는 신경 치료를 필요로 한다
· 인위적인 크라운 형성이 장기적인 치아의 예후에 도움을 주지 못함
· 치주 지지가 약한 치아에 크라운을 씌우고 조기 발치하는 경우 분쟁의 소지가 있다
· 치은 퇴축이 심한 치아를 지대치로 쓸 경우 치아 삭제가 많아진다. surveyed crown 하는
치아는 인접면에서 반드시 치은연하 변연이나 equi-gingival margin을 부여하여야 한다.

3) 자연치아 surveying의 장점
· 치료 기간 단축
· 지대치가 발치되더라도 기존 의치의 수리가 쉽고, 환자의 협조도가 좋다.
· 지대치 형성이나 근관 치료가 필요없어 장기적으로 치아의 수명을 길게한다.
· 환자가 임플란트로 이행을 원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이행할 수 있다.

4) 자연 치아 surveying의 단점
· stability가 적다
· 드물지만, 교합력이 강한 환자에서 occlusal rest는 치아 파절, crack을 야기할 수 있다.
· rest를 형성한 부위에서 상아질이 노출되어 시린 증상을 호소할 수 있다
· 식사 시마다 틀니를 세정하고 양치하지 않는다면, 치아 우식증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양치 습관의 파악이 제일 중요하다.
· 치축 경사가 심한 치아에는 적용할 수 없다.
· undercut이 없거나, 심한 교모치 같이 치질 소실이 심한 치아에는 사용할 수 없다

자연 치아를 RPD 지대치로 사용한 경우 : high risk of caries


1. 불소 치약 교육
2. 자주 세척하기
3. frequent recall & 지적
4. 초기 우식이 보이면 즉시 치료에 들어가고, 반복적인 recall에도 우식이 반복되는 경우 crown
을 시행
5. RPD 초기에 환자에게 설명하고 선택하게 하는 것이 좋다.

틀니의 가장 큰 문제는 충치입니다.!!! → 설명

일률적으로 surveyed crown을 할 것이냐, 안할 것이냐가 아닌 어떤 치아에 적용할 것인가가


중요.
자연 치아의 surveying은 예후가 애매하거나, 수년 내 치주적인 문제로 완전 틀니로 이행이
예상되는 경우에 적용.
· 통상 틀니가 많은 의원에서 자연치아 지지 RPD를 주로 시행.

- 21 -
IV. 의치의 유지 관리

1. Chair-side Relining

1) tissue conditioner

a. 적응증 : 틀니 완성 당일 환자의 적응을 돕고, 맞지 않는 곳을 찾기 위해.


잇몸에 착 달라 붙는 느낌을 느끼게 하며, 유지를 증진시킨다.
인상 및 제작 오차를 보정
교합 채득시 약간의 오차를 보정한다
기존 틀니 수리시 relining전 치료 효과를 예측하게 함
새 틀니 제작시 기존 틀니와 이장재를 이용하여 인상 채득 가능

b. 방법
· 적당량 믹스하여 조직면에 바르고, 환자가 3분 정도 적당히 꽉 물도록 한다.
· 꽉 물고 있는 상태에서 인상 채득시와 같이 ms trimming을 시행
· denture rim을 초과하여 인기된 경우 : 변연이 저형성된 곳이니 relining시 보강
· 이장재가 묻지 않은 경우 : denture가 조직면을 압박하는 곳이니 삭제한다.
· 환자에게 냄새가 조금 날 수 있으며, 임시 재료임을 인지시킨다.

2) relining : 비가역적인 방법

· 반드시 틀니의 적응이 다 끝난 시점에서 시행한다.


· 이장재를 제거하고, 의치상면을 덴쳐버로 갈아 조금 거칠게 한다.
· 의치상면에 adhesive를 바르고, 틀니의 외면과 인공치에는 바셀린을 바른다.
변연이 연장되어야 할 경우 해당 부위에도 adhesive를 바른다.
· 너무 빡빡하게 mix하지 말고, 의치상 내면에 바른 후 환자에게 꽉 물고 있도록 한다.
· muscle trimming 후에 치아 사이 undercut이나, metal frame 사이로 들어간 과잉 레진을
코튼 롤이나 익스플로러로 제거한다.
if not) 지대치 undercut에 레진이 들어가 RPD가 제거되지 않음.
· 3분 뒤 구내에서 제거하여 자가 중합 시키면 → 유지력이 떨어짐.
굳기 전에 가압기로 중합하면 → 비교적 단단하다.
· trimming 하여 delivery 한다.

· delivery전 체크 사항 : 조직면 내에 날카로운 부위는 없는지.


과도한 undercut은 의치 착탈시 통증을 야기하므로 완화시킴
특히 torus 상부 의치상면도 통증 호소시 삭제.
발치와 내부로 연장된 부분 삭제

- 22 -
3) CD

· 상악 구개측이 metal로 되어 있는 경우 relining이 곤란하다.


· 이장재를 미리 적용하여, 구개측 프레임 하방에 이장재가 많이 들어간다면, 역시 relining
resin도 들어가야 한다.
· metal 부위는 스크랫치를 낸 후 MR bond를 적용한다.
나머지 레진상 부위는 RPD relining과 동일.
· CD relining 후 유지가 감소했다면 내면을 다시 삭제한 후 tissue conditioning부터 시행

치조제 흡수가 심하여, 의치의 frame을 지대치


에 맞게 안착 시켰을 때 의치와 치조제의 gap
이 큰 경우 조직 조정(ts. conditioning)이나
relining시 환자에게 의치를 감합하도록 하면,
의치상이 조직면으로 이동하면서 see-saw처럼
frame은 지대치에서 떠버리게 된다. 이 경우
의치상 하부에는 되게 mix한 리라이닝 레진을
넣고 open mouth technique으로 리라이닝을
시행한다.

4) ridge와 틀니의 조직면 오차가 클 경우(씹을 때 까닥 거리는 틀니)

· open mouth relining technique의 적응증 : RPD frame을 치아에 fitting 시켰을 때 의치
상과 치조제의 오차가 큰 경우 (그림 설명)
· 상하 치아를 감합하는 방식으로 relining 하면 틀니가 까닥 거리게 되므로, 2회에 걸쳐
relining 한다.
(1회차 open mouth technique & OA, 몇 주 뒤 closed mouth tech.)

· 먼저 릿지와 틀니의 오차가 큰 부위를 찾아내어 되게 mix한 relining 레진을 흘려 넣은 후


물지 않게 하고, ms trimming만 시행한다. 이때 frame은 반드시 치아에 정확한 위치로
fitting 되어 있어야 함.
· 통상 open mouth technique 이후에는 교합이 다소 높아지므로, 교합 조정 후 의치에 익
숙해지면, 향후 꽉 물게 하여 2차 relining을 시행함.

※ 의치-조직간 격차는 반드시 relining이나 조직 이장재 적용 전에 체크한다. 방치할 경우


지대치의 예후를 드라마틱하게 좋지 않게 하고(TFO), ridge 흡수를 가속화 시킨다.

- 23 -
2. 의치상 하연 sore spot의 발생 이유
· 석고 모형은 조직의 피압도를 반영할 수 없으므로, 치은이 얇은 곳에서 발생
· 환자의 저작 습관에 따른 특정 부위의 교합압 집중
· 의치의 stability 부족에 의한 저작시 의치 미세 동요

· 틀니의 multiple sore spot : steroid gargling이 도움이 됨.


(본원 : 약국에 부탁하여 헥사미딘 용액에 dexamethasone powder를 넣어 gargle 처방)

3. cheek or tongue biting → 해당 부위 overjet을 부여.


적당한 overjet이 부여된 경우는 적응을 기다린다.

4. 저작시 의치의 탈락
· 주로 전치군의 조기 접촉에 의함 : 전방 운동시 전치부 설면의 조기 접촉을 삭제할 것
ICP에서도 slight contact or no contact
· 의치 상연이 너무 과연장 된 경우나 frenal mov.를 감당하지 못하는 경우
· 악제와의 흡착력 부족 : relining으로 해결
· 상악 : 후구개 폐쇄 부족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hamular notch를 충분히 덮어야 함.

5. 치은협 이행부의 칼로 자른듯한 상처


(epulis fissuratum) :
의치상 과연장에 의하므로 상처가 완전히 노출되도록
삭제한다. 한번에 너무 많이 삭제하지 않도록 주의

epulis fissuratum은 외과적으로 절제함.

6 악제상의 상처
· 잘려 버린 상태 : 기능 인상이 제대로 행해지지 않았거나 점막이 약한 것임
- 의치상 내면의 삭제
· 하얗게 뭉게진 상처 : 교합 조정을 시행
· 치조정 바로 상부의 sore spot은 대게 교합 원인

※ 결손부 악제에 손상이 생긴 경우 먼저 교합점을 찍어 조기 접촉이 없는지 확인한 후 조

- 24 -
정한다.

7. 찌걱거림 : denture의 stability 부족


· denture check의 기본
· 치료 : open mouth technique에 의한 tissue conditioning & relining
교합 조정
· 틀니의 수명은 5-6년 정도이며, 1 year relining이 필요함.
너무 잦은 relining은 오히려 의치의 수명과 적합성을 감소시킴.

comment: 의치를 만드는 비용은 제작비가 아니라 환자의 complaint을 들어주는 비용이라
고 생각하고, 환자에게 짜증내지 말 것!

강력 추천 도서 : 씹을 수 있는 틀니 조정 (퀸테센스 출판)

별첨 : 본원 틀니 장착시 주의 사항 설명 용지 (설명해주고 환자 사인 받습니다)


틀니 장착시 부착 스티커 (차트에 부착해서 체크합니다)

- 25 -
의치(틀니) 장착시 주의 사항

1. 틀니는 휠체어와 같습니다. 휠체어가 이동을 도와 주지만, 계단을 오르거나 달리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 틀니
는 씹는 것을 도와 주지만, 자연 치아처럼 단단한 것을 먹는 것은 조금 힘이 들 수 있습니다. 틀니를 장착한 날
바로 자유롭게 식사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어느 정도 적응 기간을 거쳐야 식사가 자유로워집니다.

2. 새 구두를 신으면, 뒷꿈치에 상처가 생겼다가 차차 적응이 되는 것처럼 틀니도 처음 들어가게 되면 잇몸에 상
처가 생기고 씹으면 아프실 수 있습니다. 통상 적응에 평균 2-3 주 정도 걸리며, 개인차가 있습니다. 많이 아프신
경우 치과에 오셔서 조정을 받으시면 적응 기간을 줄이실 수 있습니다.

3. 틀니도 양쪽으로 골고루 씹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한쪽으로만 음식을 씹는 경우 틀니가 달그락 거릴 수 있으
며, 장기적으로 잇몸과 맞지 않게 되므로 반드시 양쪽으로 씹어 드셔야 합니다.

4. 틀니의 내부에 도포된 흰 약은 틀니가 잘 적응되도록 도와 줍니다. 적응이 끝난 시점에서 단단한 잇몸 색깔의
재료로 교체됩니다.

5. 틀니가 적응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좌우가 동시에 맞물리는 것입니다. 어느 한쪽이 먼저 닿는 느낌이 든다면
즉시 치과에 내원하셔서 조정을 받으셔야 합니다.

6. 치아를 뽑은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에서 틀니를 만드신 경우 잇몸이 완전히 아물지 않아 틀니 장착 후 얼마간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7. 틀니가 걸리는 치아는 탈이 나서 뽑게 되는 경우 틀니를 못쓰게 될 수 있으므로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


니다. 특히 틀니와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끼인 경우 오랫동안 놔두게 되면 충치가 생길 수 있으므로, 식사 후 수
시로 틀니를 세척하고, 치아는 양치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8. 틀니를 떨어뜨려 금속 프레임이 변하게 되는 경우는 수리가 불가능하니 주의하여 주십시오.

9. 잇몸은 점차 변하므로, 1년에 1-2회 정기 검진하여 틀니를 조정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틀니 수리는 1회에
한하여 무료(치아 추가 및 유지력 증진)이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프레임 변형 및 파절은 수리가 되지 않습니
다(불가능합니다).

frame 적합성 :
부분 틀니를 오래 쓰시려면,
stability :
1. 틀니가 걸리는 치아를 반드시 식후에 칫솔질 하여야 합니다.
교합 check :
2. 틀니는 반드시 양쪽으로 씹으셔야 합니다.
주의 사항 설명 여부 :

- 2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