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7

KACES-1530-C049

스마트 러닝, 문화예술교육에 상상력을 더하다

일 시 : 2016.1.14.(목)~1.16(토), 18시수
장 소 : 양평 현대블룸비스타
주 최 : 문화체육관광부
주 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목 차

1. 2016 상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안내 ······························································ 5

2. 오리엔테이션 ··············································································································· 13
김현영(만화ㆍ애니메이션 예술강사)

3. 스마트교육의 이해 ····································································································· 17
김진숙(한국교육학술정보원 본부장)

4. 스마트폰의 기초상식과 문화예술 활용 앱 체험Ⅰ ············································· 45


문택주(진관초등학교 교사)

5.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과 문화예술 관련 앱 체험Ⅱ ······································· 45


문택주(진관초등학교 교사)

6. 스마트폰으로 문화예술수업하기 ············································································· 71


김현영(만화ㆍ애니메이션 예술강사)

7. 스마트러닝 활용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 71


김현영(만화ㆍ애니메이션 예술강사)

8. 발표 및 공유 ··············································································································· 71
김현영(만화ㆍ애니메이션 예술강사)

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및 아르떼 아카데미 소개 ··········································· 91

- 3 -
2016 상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안내
아르떼 아카데미(AA)는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예술강사, 교육기획자, 교원, 사회문화예술교육 기관‧단체 실
무자, 예비인력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하여 다양한 연수를 기획·운영하고
있습니다.

■ 2016 상반기 연수개요


◦ 연수대상 : 학교·사회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사회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교원, 행정
인력 등
◦ 연수일정 : 2016.1.11(월)~3.5(토) /약 2개월간
◦ 연수장소 : 현대종합연수원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전수리 1235)
※ 각 과정별 입소일에 서울→연수원 셔틀버스 제공 예정(참여자 확정 후 별도 공지 안내)
◦ 참 가 비 : 전액 무료 (숙식 제공)
◦ 참가신청 마감 : 각 과정별 시작일로부터 5일 전까지
◦ 참여자 선정기준
- 과정별 제시된 1순위 참가 대상자 선착순 선정
- 과정별 제시된 참가대상은 연수신청 시 1순위 선정자이나,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도 과정별 기준에
따라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신청인원이 많아 정원에 초과할 경우, 더 많은 분들에게 연수 참여 기회를 드릴 수 있도록 동 연수
기간에 처음 연수를 신청한 분들이 우선 선정될 수 있습니다.
◦ 참여자 안내 : 각 과정별 마감일 혹은 최소 3일 전까지(개별 SMS 발송예정)

■ 2016 상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프로그램


◦ 학교·사회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사회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선택연수
우선 선정
순 연수구분 연수과정 일정 시수 정원
연수대상
1 아이들 무용으로 상상력 키우기1 1.11(월)~1.13(수) 18 25
초등무용
2 (교과과정 아이들, 무용으로 상상력 키우기2 16년도 신규 1.14(목)~1.16(토) 18 25
연계) 선발된
3 아이들, 무용으로 상상력 키우기3 학교 예술강사 2.1(월)~2.3(수) 18 25
4 중등무용 청소년 무용으로 감성 키우기1 (무용분야) 2.15(월)~2.17(수) 18 25
(교과과정
5 연계) 청소년 무용으로 감성 키우기2 2.22(월)~2.24(수) 18 25

6 민족무용 세계민족무용으로의 여행 1.11(월)~1.13(수) 18 25


학교 예술강사
7 창작무용 창의적 사고 기반 즉흥 창작 무용 2.11(목)~2.13(토) 18 25
(무용분야)
8 움직임 창의력을 펼치는 몸짓, 몸으로 상상하기 2.18(목)~2.20(토) 18 25
학교, 사회
9 문화 공연 마임 가난과 풍요, 그 치유의 예술-마임과 움직임 예술강사 2.1(월)~2.3(수) 18 25
예술 예술 (연극분야)
학교 예술강사
10 연극 초등학생과 연극놀이하기 2.1(월)~2.3(수) 18 25
(연극분야)
11 촌극 아이들과 만나는 아주 짧은 드라마 촌극 학교, 사회 2.18(목)~2.20(토) 18 25
예술강사
12 융합 시각예술, 연극을 만나다 (연극분야) 2.18(목)~2.20(토) 18 25
13 사물놀이 장구교수법과 국악동아리 운영의 실제 1 1.14(목)~1.16(토) 18 25
14 사물놀이 장구교수법과 국악동아리 운영의 실제 2 18 25
15 교과서 속 우리음악 연주 교수법 A : 소금과 서도민요 1 학교 예술강사 2.11(목)~2.13(토) 18 25
국악
(국악분야)
16 교과서 속 우리음악 연주 교수법 B : 단소와 시조 1 18 25
17 사물놀이 장구교수법과 국악동아리 운영의 실제 3 2.22(월)~2.24(수) 18 25

- 7 -
우선 선정
순 연수구분 연수과정 일정 시수 정원
연수대상
18 교과서 속 우리음악 연주 교수법 A : 소금과 서도민요 2 18 25
19 교과서 속 우리음악 연주 교수법 B : 단소와 시조 2 18 25
20 교과서 속 우리음악 연주 교수법 A : 소금과 서도민요 3 18 25
2.25(목)~2.27(토)
21 교과서 속 우리음악 연주 교수법 B : 단소와 시조 3 18 25

22 창의적 감성을 깨우는 국악감상과 전래놀이 학교‧사회 예술강사 2.1(월)~2.3(수) 18 25


23 음악치료 치유음악의 현장적용 1.18(월)~1.20(수) 18 25
사회 예술강사
24 리듬악기 리듬악기와 함께하는 즐거운 수업 만들기 1.25(월)~1.27(수) 18 25
(음악분야)
25 세계음악 세계음악과 함께하는 나, 너, 우리 이해하기 2.25(목)~2.27(토) 18 25
26 아이디어 영상으로 풀어내는 즐거운 시나리오 쓰기 1.14(목)~1.16(토) 18 25
학교‧ 사회
27 영상 체험부터 기획까지, 신나는 영화감상교육의 세계 1.14(목)~1.16(토) 18 25
시각 예술강사
28 예술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학습 영상매체 만들기 2.1(월)~2.3(수) 18 25
사회 예술강사
29 미술 예술과 명화를 통한 생각 깨우기 2.25(목)~2.27(토) 18 25
(미술, 사진분야)
30 동화 나를 스토리텔링하는 동화쓰기 학교 예술강사 1.11(월)~1.13(수) 18 25
31 놀이인문학 알고知 좋아하고好 즐기고樂 쓰임用 있는 놀이인문학 1.11(월)~1.13(수) 18 25
학교, 사회
32 예술놀이 예술놀이와 학습동기유발 1.18(월)~1.20(수) 18 25
예술강사
33 영화 속 심리학으로 마음 속 이야기 꺼내기 2.1(월)~2.3(수) 18 25
인문학 문화예술교육 단체
34 인문학으로 문화예술교육 생각의 근육 키우기 실무자, 사회 1.11(월)~1.13(수) 18 25
기타 예술강사
예술
35 뉴미디어 플래시 프로그램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E-book 만들기 문화예술교육 단체 1.25(월)~1.27(수) 18 25
36 축제 문화예술교육기획자, 지역축제와 만나다 실무자 2.1(월)~2.3(수) 18 25
사회 예술강사 및
[예술사회학 심화과정] 예술교육의 사회적 연결고리, 함께
37 예술사회학 문화예술교육 단체 2.11(목)~2.13(토) 18 25
생각하기
실무자 등
학교, 사회
38 미디어 미디어 문화예술비평 워크숍 2.22(월)~2.24(수) 18 25
예술강사
39 네트워킹 예술과 주민, 마을을 잇는 문화예술교육 관계맺기 2.15(월)~2.17(수) 18 25
지역 문화예술교육
40 지역문화자원을 담은 문화예술교육 기획워크숍 2.18(목)~2.20(토) 18 25
문화 콘텐츠 발굴 단체 실무자
41 지역문화와 생활예술공동체, 삶을 이야기 하다 2.29(월)~3.2(수) 18 25
42 학교축제 학교축제와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학교 예술강사 1.14(목)~1.16(토) 18 25
43 스마트러닝 [초급]스마트러닝, 문화예술교육에 상상력을 더하다 학교‧사회 예술강사 1.14(목)~1.16(토) 18 25
마이크로
44 교육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수업 컨설팅 2.11(목)~2.13(토) 18 25
티칭 학교 예술강사
기획
45 학습자 (심리) 교육심리와 예술교육 2.18(목)~2.20(토) 18 25
특수학교 출강
46 특수교육 특수교육대상의 이해 2.15(월)~2.17(수) 18 25
예술강사
교육대상
47 (군인, 군, 교정시설에서 문화예술로 소통하기 2.1(월)~2.3(수) 18 25
교정시설) 문화예술교육 단체
교육 실무자
48 교육대상
학교 밖 위기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18 25
(청소년)
2.11(목)~2.13(토)
49 장애 문화예술교육 현장, 새로운 시선
교육 교육대상 사회 예술강사 18 25
실행 (장애) (장애대상)
50 장애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수업 엿보기 2.25(목)~2.27(토) 18 25

51 교육대상 놀이치료를 통한 아동의 이해 사회 예술강사 2.15(월)~2.17(수) 18 25


(아동) 아이들과 함께 소통하는 문화예술교육 수업 기획하기 (아동대상) 2.22(월)~2.24(수) 18 25
52
53 교육대상 상담기법을 통한 노인과의 공감과 대화 사회 예술강사 2.15(월)~2..17(수) 18 25
54 (노인) 청춘예찬, 노인문화예술교육 현장 엿보기 (노인대상) 2.22(월)~2.24(수) 18 25

- 8 -
우선 선정
순 연수구분 연수과정 일정 시수 정원
연수대상
55 브랜딩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예술강사 브랜드 만들기 사회 예술강사 2.1(월)~2.3(수) 18 25
학교, 사회
56 개인 코칭 예술적 감성을 깨워주는 코치형 예술강사 되기 2.1(월)~2.3(수) 18 25
예술강사
기초 계발
소양 문화예술교육 단체
57 역량개발 문화예술교육 기획자를 위한 ‘나’ 분석 보고서 쓰기 2.29(월)~3.2(수) 18 25
실무자
관계‧ 학교, 사회
58 관계맺기 소시오드라마를 통한 관계맺기 1.21(목)~1.23(토) 18 25
협력 예술강사
59 문서 작성 문화예술교육현장을 담은 계획서 작성하기 1.21(목)~1.23(토) 18 25
경영
60 회계 문화예술교육 단체를 위한 엑셀과 재무회계 1.28(목)~1.30(토) 18 25
실무
61 프레젠테이션 PPT와 프레젠테이션 스킬 2.11(목)-2.13(토) 18 25
62 프로젝트 운영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운영관리 1.11(월)~1.13(수) 18 25
63 홍보 마케팅 사업준비를 위한 홍보 마케팅 방법론 1.28(목)~1.30(토) 18 25
64 소셜 펀딩 소셜펀딩과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운영 2.1(월)~2.3(수) 18 25
경영‧ 문화예술교육 단체
행정 경영 실무자
관리 문화예술교육 조직의 경영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창출
65 2.11(목)~2.13(토) 18 25
방법론 Ⅰ
문제 해결

문화예술교육 조직의 경영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창출


66 2.18(목)~2.20(토) 18 25
방법론 Ⅱ
경영
67 단체 브랜딩 문화예술교육 단체의 브랜딩과 포트폴리오 관리 2.22(월)~2.24(수) 18 25
기획

◦ 학교 예술강사, 사회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의무연수


순 연수구분 연수과정 우선 선정 연수대상 일정 시수 정원
68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국악분야 136
69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만화애니메이션분야 12
1.18(월)~23(토)
70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디자인분야 26
16년도
71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영화분야 신규 선발된 10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45
72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무용분야 학교 예술강사 중 대상자 98
※ 별도 공지사항 확인
73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연극분야 73
1.25(월)~30(토)
74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공예분야 29
75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사진분야 8
76 상반기 사회 실무자 의무연수 기획자 과정 30
16년도
77 상반기 사회 실무자 의무연수 강사 과정 1 지역아동센터 40
사회 실무자 의무 연수 3.3(목)~5(토) 20
78 상반기 사회 실무자 의무연수 강사 과정 2 지원사업 참여 40
단체 실무자
79 상반기 사회 실무자 의무연수 강사 과정 3 40

※ 연수구분에 [의무] 표시가 되어 있는 과정은 선택적 참여가 아닌, 대상이 지정되어 있는 의


무참여형 연수입니다.

■ 기타문의 : academy@arte.or.kr
◦ 아르떼 아카데미(AA) 페이스북 : www.facebook.com/aakeyum
◦ 아르떼 아카데미(AA) 연수신청 : http://hrd.arte.or.kr
◦ 아르떼 온라인 아카데미 : http://lms.arte.or.kr

- 9 -
- 10 -
연수 안내

□ 연수개요
1) 연 수 명 : 스마트 러닝, 문화예술교육에 상상력을 더하다
2) 연수기간 : 2016.1.14.(목)~1.16(토), 18시수
3) 연수장소 : 양평 현대블룸비스타
4) 연수대상 : 학교ㆍ사회 예술강사
5) 주요내용 : 스마트교육에 관하여 인지하고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접목한
다양한 사례를 체험하여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
발할 수 있다.

□ 연수시간표
일시 시간 교육과목 주요내용 강사

◦아르떼 아카데미 소개
12:00-13:00 입소식
◦교육과정 세부내용안내

[오리엔테이션] 김현영
13:00-15:00 2 오리엔테이션 ◦ 오리엔테이션 (만화ㆍ애니메이션예술
1.14(목) ◦ 동기부여, 스팟, 문화예술놀이 위한 스마트도구 체험 강사)
1일차
5H [강의]
김진숙
ㅇ스마트교육의 개념 및 특징
15:00-18:00 3 스마트교육의 이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ㅇ스마트교육의 시대적 요구와 추진방향
본부장)
ㅇ스마트교육기반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18:00-19:00 저녁식사

[체험]
스마트폰의 기초상식과 문택주
09:00-12:00 3 -스마트폰의 기초상식과 미러링 체험
문화예술 활용 앱 체험I (서울진관초등학교 교사)
-문화예술교육 활용 동기유발 앱 베스트5

12:00-13:00 점심식사

[체험]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과 -문화예술교육에 특화된 미술앱 체험 문택주
13:00-15:00 2
1.15(금) 문화예술 관련 앱 체험II -문화예술교육에 특화된 음악앱 체험 (서울진관초등학교 교사)
2일차 -문화예술교육에 특화된 동영상 앱 체험하기
8H
15:00-15:30 쉬는시간

[체험] 김현영
(만화ㆍ애니메이션예술
스마트폰으로 ㅇ스마트러닝을 활용한 문화예술수업 사례 체험
15:30-18:30 3
문화예술수업하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스톱모션애니메이션
-스마트폰으로 ‘예술순환놀이’ 통합문화예술수업하기 강사)

18:00-19:00 저녁식사

- 11 -
일시 시간 교육과목 주요내용 강사

[개발]
김현영
스마트러닝 활용 ㅇ스마트러닝 활용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키워드 찾기
09:00-12:00 3 (만화ㆍ애니메이션예술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ㅇ개인별 스마트러닝 활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강사)
-체험한 앱을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으로 적용
1.16(토)
12:00-13:00 점심식사
3일차
5H
[발표, 공유] 김현영
13:00-15:00 2 발표 및 공유 ◦SNS를 통한 문화예술수업 공유 (만화ㆍ애니메이션예술
◦ 프로그램 발표 및 피드백 공유 강사)

15:00~15:30 퇴소식 ◦연수만족도 설문조사 및 연수퇴소안내

합계 18

- 12 -
오리엔테이션

김현영 / 만화ㆍ애니메이션 예술강사


- 15 -
- 16 -
스마트교육의 이해

김진숙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본부장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
- 28 -
- 29 -
- 30 -
- 31 -
- 32 -
- 33 -
- 34 -
- 35 -
- 36 -
- 37 -
- 38 -
- 39 -
- 40 -
- 41 -
- 42 -
- 43 -
- 44 -
스마트폰의 기초상식과
문화예술 활용 앱 체험Ⅰ•Ⅱ

문택주 / 진관초등학교 교사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과 문화예술관련 앱 체험

문택주 (서울진관초 교사)

Ⅰ. 스마트폰을 수업에서 활용하기 위한 기본환경 만들기

1. 모바일 기기를 미러링해주는 – 모비즌(안드로이드), Reflector(iOS)

가. 미러링이란?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TV나 PC화면에 동일하게 나타나게 해주는 기능을 미러링(Mirroring)이라
고 합니다. 안드로이드 계열의 경우 모비즌, 아이패드는 Reflector 프로그램을 윈도우PC에 설치하
여 이용합니다. (아이폰은 무선공유기가 필요함.)

나. 안드로이드용 모비즌 웹버전 이용 방법 안내 – www.mobizen.com

1) 스마트폰의 플레이스토어에서 ‘mobizen’ 앱을 다운로드 합니다. (아이폰은 X)


2)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계정을 등록합니다.(기존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메일주소와 비
밀번호를 입력합니다.)

- 47 -
3) 모비즌 PC용 웹사이트(www.mobizen.com) 에 접속하여 로그인 합니다.

4) USB 방식, WiFi 방식, 3G 또는 LTE 방식으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전체화면] 보기를 누르시면
화면이 커지고, [화이트보드]를 누르면 스마트폰에 필기를 할 수 있습니다.

5) 스마트폰이 미러링된 상태에서 [카메라] 앱을 실행하면 스마트폰에서 보이는 화면이 그대로


PC에 보여지게 되므로, 실물 화상기 대용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가로모드로
변경하면 화면이 가로로 넓게 보여집니다.)

- 48 -
2. USB 무선공유기로 내 주변을 가장 쉽게 와이파이망으로 만들기

가. 인터넷 사이트에서 ‘wevo air9’ 키워드로 검색하여 가장 저렴한 사이트에서 장비를 구매합니다.

나. wevo air9을 인터넷이 되는 컴퓨터에 USB형태로 꽂으면 자동설치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하지만 최신 업데이트 파일의 설치를 위해서 www.iwevo.co.kr 에 접속하여 ‘wevo air9 통
합 설치 프로그램’을 PC에 설치합니다.

- 49 -
다. 프로그램의 설치가 완료되고 재부팅 후, wevo air9 을 USB 단자에 꽂습니다.

라. 실제 스마트폰의 환경설정 – Wi-Fi 항목을 키면 ‘WeVo_AP’ 네트워크가 활성화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연결하여 무료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교육청 망의 경우 상용메일, 카카오톡 등은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문화예술교육에서의 QR코드 활용

가. QR코드란?

‘Quick Response Code’ 한 방향으로만 정보를 저장하는 바코드와는 달리 가로, 세로 두 방향으


로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기록할 수 있는 정보량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킨 코드입니다.

나. 스마트폰의 네이버 어플로 QR 읽기

스마트폰에서 네이버 어플을 실행합니다. [마이크] 버튼을 누르고, [코드]를 터치합니다. QR 코드


에 카메라를 대고 2초 정도 기다리면 자동으로 코드를 읽습니다.

- 50 -
다. 문화예술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나만의 QR코드 만들기

1) 일반 PC에서 네이버 사이트에 로그인 한 후, [더보기] - [네이버 서비스 전체보기] - [QR코드]


메뉴를 클릭합니다. [네이버 QR 코드] 화면이 나타나면 [나만의 QR 코드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2) 추가 정보 입력화면이 나타나면 URL,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지도, 연락처 등을 선택적으로
입력하고 [작성완료]를 클릭합니다.

- 51 -
Ⅱ. 일반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동기유발앱 소개

1. 내 스마트폰을 다양한 도구로 활용하는 – ‘라인툴즈’ 앱

가. 라인툴즈는 손전등이 필요할 때, 작은 글씨를 확대해 보고 싶을 때, 방향을 확인하거나 거울


을 보고 싶을 때 등 일상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들이 하나에 담긴 애플리
케이션입니다.
나. 플레이 스토어(앱스토어)에서 ‘라인툴즈’ 로 검색하여 폰에 앱을 설치합니다.

[1. 공구]

① 막대자 : 센티(cm), 인치(inch) 기준으로 길이 측정이 가능한 자입니다.


② 각도기 : 투명각도기 모드(카메라)가 있어 어떤 물체라도 각도 측정이 쉽습니다.
③ 나침반 : 위도, 경도 값과 지도상의 위치까지 볼 수 있습니다.
④ 수평계 : 좌우, 전후 수평을 맞출 수 있습니다.
⑤ 소음측정기 : 90dB까지 측정되며, 소음수준에 대한 비교 정보를 함께 제공합니다.

[2. 시계]

① 스톱워치 : 시, 분, 초까지 측정할 수 있으며, Lap Time 측정도 가능합니다.


② 타이머 : 기본 타이머에 요리타이머 기능까지 결합되어 있습니다.
③ 캘린더 : 일본의 기념일 정보를 제공하는 연간캘린더입니다.

[3. 편리도구]

① 손전등 : 어두운 곳을 밝게 비추는 손전등, 2가지 속도의 깜박임 기능을 제공합니다.


② 거울 : 화면밝기를 조정해서 어두운 곳에서도 거울을 볼 수 있습니다.
③ 확대경 : 물체를 확대하거나 정지화면으로 천천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④ 스파게티저울 : 면의 둘레길이를 기준으로 1인~4인분까지 측정할 수 있습니다.

- 52 -
[4. 생활계산기]

① 단위변환 : 길이, 면적, 무게, 부피, 온도 등 원하는 단위값으로 환산할 수 있습니다.


② 사이즈변환 : 국가별 의류, 신발, 모자, 반지 등의 사이즈 표를 제공합니다.

2. 학생들의 응답을 바로바로 집계하여 알려주는 – ‘PingPong’ 앱

가. 핑퐁앱의 특징

1) 선생님과 학생이 함께 문제를 풀어볼 수 있게 도와주는 실시간 반응 확인 시스템입니다.


2) PC, 안드로이드 폰, 아이폰, 태블릿 PC 등 모든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별도의 가입절차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진행자는 ○/×, 텍스트, 이미지 등 원하는 형식의 문제 유형을 선택하여 참여자에게 응답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4) 원그래프, 막대그래프, 썸네일, 목록 등 결과를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얻을 수 있습니다.
5) 타이머나 랜덤 지목 등 편리한 도구를 사용하여 문제 푸는 과정을 재미있게 할 수 있습니다.

- 53 -
나. 스마트폰에 핑퐁앱 설치하기

1) 스마트폰에서 ‘핑퐁’을 검색하여 스마트폰에 설치합니다.


2) 홈 화면에서 를 탭하여 핑퐁앱을 실행합니다.
3) 핑퐁앱은 별도의 가입절차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룸코드를 만들려면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핑퐁앱에서 회원가입은 구글이나 페이스북, 링크드인의 계정을 사용하여 로그인합니다.

다. 핑퐁앱 교사용(진행자)의 메인 화면

라. 교사입장에서 문제 출제하고 실시간으로 응답 집계하기

1) 룸코드 생성
가) 핑퐁앱을 실행한 후 [진행하기]를 탭하면 구글, 페이스북, 링크드인 중에서 선택하여 로그
인할 수 있습니다.
나) 진행자 메인 화면이 열리면 룸코드가 생성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룸코드 변경
가) 진행자 메인화면에서 (슬라이드 메뉴) 단추를 탭합니다.
나) [룸코드 변경]을 탭한 후 새로운 룸코드를 입력하고 [변경] 단추를 탭합니다.

- 54 -
3) 학생 입장하기
가) 학생 스마트폰에서 핑퐁앱을 실행한 후 [참여하기]를 탭합니다.
나) 선생님께서 알려주신 룸코드와 학생 이름을 입력하고 [로그인] 단추를 탭합니다.

4) 학생 응답하기
가) 선생님 스마트폰에서 활동 선택 단추로 문제 유형을 선택합니다.
나) 학생 스마트폰에서 문제 유형에 맞게 응답합니다.
다) 선생님 핑퐁앱에서는 실시간으로 응답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5) 에버노트와 연결하기
가) [Evernote 연결하기] 단추를 탭한 후 에버노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단
추를 탭합니다.
나) 핑퐁이 에버노트 계정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인증] 단추를 탭하면 에버노트와 핑퐁이
연결됩니다.

6) 에버노트의 문제 노트 불러오기
가) 진행자의 메인화면에서 (핑퐁 보드 이동) 단추를 탭합니다.
나) 에버노트의 노트를 불러오기 위해 (에버노트 불러오기) 단추를 탭합니다.
다) 에버노트의 노트북 목록이 표시되면 노트북을 선택하고 차례대로 노트를 선택합니다.

- 55 -
라) 핑퐁 보드 화면에서 (공유)를 탭하면 에버노트에서 불러온 노트를 학생 스마트폰에서
도 볼 수 있습니다.

7) 에버노트에 응답 결과 저장하기
가) 선생님 스마트폰의 핑퐁앱에 참여한 모든 학생의 응답이 표시되면 [결과 보내기] 단추를
탭합니다.
나) 응답 결과에 알맞은 텍스트를 입력한 후 [저장]을 탭합니다.
다) ‘PingPong’ 노트북안에는 핑퐁앱에서 지금까지 응답한 결과가 나타납니다.

3. 스마트폰을 실시간 80여개 번역기로 사용하는 – ‘구글번역’ 앱

가. 강의 시간에 학생들과 함께 Google 번역을 사용함으로서 언어장벽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현재 80개의 언어 번역을 제공하며, 자연스럽게 대화하면 자동으로 번역됩니다. 또한 텍스트
입력 번역뿐만 아니라 음성, 필기, 사진 번역이 가능합니다.

1) 스마트폰의 플레이 스토어( )에서 ‘구글번역’ 으로 검색하여 앱을 [설치]합니다.


2) 구글 번역을 실행하여 왼쪽 위에서 원문, 오른쪽 위에서 번역을 원하는 언어를 선택한 후, 텍
스트 창에 원문을 입력하면 실시간 번역이 이루어집니다. [마이크] 아이콘을 클릭하여 현재 말
하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번역할 수도 있습니다.

3) [필기] 아이콘을 클릭하여 내가 쓰는 글씨를 번역할 수도 있습니다. [카메라] 아이콘을 터치하

- 56 -
여 현재 내 눈앞에 보이는 외국어 화면을 촬영한 후, 번역을 원하는 문장을 손가락으로 문질러서
특정한 부분을 번역할 수도 있습니다.

- 57 -
Ⅲ. 문화예술교육에 특화된 [음악]관련 앱 활용하기

1. 스마트폰을 피아노, 드럼, 메트로놈으로 활용하는 - ‘Musical Lite’ 앱

가. Musical 앱은 오랫동안 사랑받은 앱으로 피아노, 키보드, 드럼, 피치 파이프로 이동식 뮤지컬
을 할 수 있습니다. 무료로 Musical Lite 버전을 제공하고 있으며 유료로 Musical Pro( )를
구매하면 녹음 기능까지 제공하고 더 다양한 악기와 연습곡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스마트폰의 플레이 스토어( )에서 ‘Musical Lite’로 검색하여 앱을 [설치]합니다.


2) 홈 화면에서 뮤지컬 라이트 앱 을 터치하여 실행합니다. 그러면 악기들과 메트로놈, 피치
파이프 등이 나타나는데, 그 중 악기 하나를 선택합니다.

3) 선택한 피아노가 나타납니다. 피아노 건반을 터치하여 음악을 연주할 수 있습니다. 위쪽을 터
치하여 다른 악기를 선택할 수 있고, 메트로놈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58 -
2. 스마트폰을 다양한 타악기로 활용하는 - ‘청소년악기’ 앱

가. ‘청소년 악기’ 앱에서는 저학년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트라이앵글, 핸드벨, 탬버린, 드럼, 실
로폰 등의 타악기를 제공합니다. 각 악기 소리를 들어볼 수 있고, 원하는 노래를 선택하여
반주에 맞춰 악기를 연주할 수 있습니다. 배경을 바꿀 수도 있고, 준비물 악기를 가져오지
않은 학생에게 빌려 줄 수도 있습니다. 직접 악기와 비교도 해보고, 학생들과 함께 합주해
볼 수 있습니다.

1) 스마트폰의 플레이 스토어에서 ‘청소년악기’로 검색하여 앱을 설치합니다.


2) 홈 화면에서 청소년 악기 앱 을 터치하여 실행합니다. [How to]을 터치하여 사용 방법을
읽어봅니다.

3) [Play]를 터치하면 악기를 연주할 수 있습니다. 하단 부분에서 악기를 선택할 수 있고, 를


눌러 연주곡을 선택하면 음악에 맞춰 악기를 연주할 수 있습니다.

- 59 -
3. 흥얼거림만으로도 작곡을 해주는 - ‘ScoreCloud’ 앱 (애플계열)

가. ScoreCloud Express 는 흥얼거리는 멜로디, 휘파람, 악기의 소리를 악보로 그려주는 음악앱
입니다. 녹음하는 소리의 음정, 시간, 박자, 리듬과 운율을 분석해 악보를 만들어주는 원리라
고 합니다.

1) 아이폰과 아이패드 앱스토어에서 ‘ScoreCloud’를 검색하여 앱을 설치합니다. 앱을 실행하여


왼쪽 아래 [Record] 단추를 눌러 녹음한 후, [Stop] 단추를 눌러 종료합니다.

2) 잠시 기다리면, 음원 분석 과정을 거쳐 악보를 만들어냅니다. [키보드] 아이콘을 눌러 8가지


악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Edit] 메뉴를 눌러 제목 변경, 키와 조 옮김, 음자리표, 박자와 템
포를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

- 60 -
Ⅳ. 문화예술교육에 특화된 [미술]관련 앱 활용하기

1. 제공되는 도안에 그린 그림을 3D로 보기 – Quiver 어플

가. PC에서 인터넷 사이트 http://quivervision.com 으로 이동하여 [Free] 라고 쓰여진 도안 PDF


만 다운로드 받아서 종이에 출력합니다.

나. 교사나 학생의 스마트폰의 플레이 스토어(앱스토어)에서 ‘Quiver’ 이라고 검색하여 나오는


‘Quiver–3D Coloring App’ 앱을 설치하고, 실행한 후 아래쪽 3D입체로 보기 메뉴를 선택하
고 실제 색칠한 도안의 그림을 비추면 해당 그림이 3D로 움직입니다.

- 61 -
2. 네이버 미술로 내 스마트폰 미술관으로 만들기

가. 네이버 지식백과-미술작품 : 네이버에서는 15만 여점의 미술작품을 장르별, 시대/시조별, 작


가별, 소장처별 작품, 테마별 작품, 온라인 미술 전시회로 분류하여 사용자가 쉽게 검색하여
미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게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나. 특정 카테고리 선택하여 감상
장르별, 시대/시조별, 작가별, 소장처별 작품, 테마별 작품, 온라인 미술 전시회 6개의 카테
고리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를 차례로 선택한 후 작품을 선택하여 감상합니다.

다. 이미지 갤러리로 감상
선택한 카테고리에서 [이미지 갤러리] 단추를 클릭하면 해당 카테고리 내의 작품을 이미지
갤러리에서 모두 감상할 수 있습니다.

라. 스마트폰에서 온라인 미술 전시회 감상하기


스마트폰에서 ‘네이버 사전( )’ 앱을 설치하고, 메뉴 중 [지식백과] - [미술작품]을 탭합니다.
미술작품을 감상하기 위해 [갤러리]를 탭하면 PC의 이미지 갤러리처럼 스마트폰에서도 작품
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 62 -
마. 미술 작품 공유
작품 감상 중 공유하고 싶은 작품이 있을 경우 오른쪽 상단의 [보내기] - [메일]을 클릭하여
다른 사람과 작품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3. 네이버 뮤지엄뷰로 살아있는 입체 박물관 견학하기

가. 네이버 뮤지엄뷰 : 박물관 유물, 미술 작품, 특별 체험전 등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뮤지엄


뷰를 통해 멋진 가상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주요 유물들을 고화질로 보고, 음성 해설도 들
을 수 있는 가상 체험 서비스입니다.
나. 네이버 뮤지엄뷰 바로 가기
네이버(www.naver.com)의 검색어 입력창에 ‘네이버 뮤지엄뷰’로 검색한 후 검색 결과에서
‘네이버 뮤지엄뷰’를 클릭합니다. 네이버 지도가 열리고, 15개의 뮤지엄 목록이 나타납니다.
방문하고 싶은 뮤지엄을 클릭한 후 뮤지엄 설명을 읽고, ‘뮤지엄 관람하기’를 클릭합니다.
다. 네이버 뮤지엄 자동 관람 : 네이버 뮤지엄을 입장한 후 를 눌러 자동으로 박물관을 관람
합니다.
라. 네이버 뮤지엄 도구 살펴보기
1) 전시실을 관람하려면 화살표를 따라 클릭해서 관람합니다.
2) 바닥이나 벽면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반투명한 원이 나오는데, 더블클릭하면 해당 지점으
로 이동하고, +가 나오는 지점을 더블클릭하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3) 네이버 뮤지엄 화면 구성

마. 유물보기 : 유물 위의 를 클릭하면 유물 정보를 보고, 들을 수 있고, 를 클릭하면 유


물을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63 -
Ⅴ. 스마트폰으로 교육을 위한 수업자료 수집하기

1. 카메라앱으로 사진 찍어 N드라이브에 바로 공유하기

가. 싸이메라로 사진 찍기

1) 플래시 설정 : 자동 플래시 / 플래시 켬 / 끔


2) 셀프 촬영 : 전면, 후면 촬영 전환
3) 아웃 포커싱 : 선택 영역은 선명하고 주변은 흐린 기능
4) 촬영 모드 : 기본 촬영 / 타이머 / 손떨림 보정 /터치 촬영
5) 설정 : 공지 사항이나 카메라 설정, 공유 설정 등

나. 다양한 렌즈로 촬영하기

1) 기본 촬영 : 싸이메라를 처음 실행했을 때 기본 촬영 렌즈입니다.


2) 스프라켓 렌즈 촬영 : 필름처럼 촬영합니다.
3) 어안 렌즈 촬영 : 180〫도를 넘는 초광각 효과로 촬영합니다.
4) Double 렌즈 촬영 : 2번 연속 촬영합니다.
5) Pop4 렌즈 촬영 : 4번 세로 정렬 촬영합니다.
6) Spuer4 렌즈 촬영 : 4번 가로 정렬 촬영합니다.
7) Action4 렌즈 촬영 : 4번 연속 액션 촬영합니다.

다. 사진에 효과 넣고, 편집하기

1) 콜라주 : 촬영하면 자동으로 편집, 보정, 효과, 미용, 꾸미기를 할 수 있는 편집 화면으로 이동

- 64 -
합니다. [편집] - [콜라주] 메뉴를 선택합니다.
2) 회전 / 자르기 / 수평보정 : [좌우 반전]을 탭하면 사진의 좌우를 반전시킬 수 있으며, [편집]
- [자르기] 메뉴를 탭한 후 다양한 비율을 선택하여 사진을 자르기 할 수 있습니다.
3) [효과] / [미용] 메뉴 : [효과] 메뉴를 탭하면 필터, 라이트, 테두리, 블러 효과를 사진에 적용할
수 있으며, [미용] 메뉴에서는 얼굴을 예쁘게 꾸밀 수 있습니다.

라. 특정 카메라로 찍은 사진 N드라이브로 자동 백업하기

1) 스마트폰에서 N드라이브를 검색하여 설치합니다.


2) N드라이브가 로그인 되면 하단의 [설정]을 탭하고, [자동 올리기]를 탭한 후 ‘자동 올리기’에
체크 표시하고, 자동 올리기 대상은 ‘사진만’, ‘[Cymera](저장을 원하는 앱)’를 선택합니다.
3) ‘3G/4G 네트워크 자동 올리기 허용’ 체크를 해제하시면 스마트폰이 와이파이망에 있을 경우
에만 백업이 이루어집니다.

- 65 -
2. 에버노트로 문화예술수업자료 스마트하게 수집하기

가. 에버노트 PC와 스마트폰에 설치하기

1) 에버노트 : 에버노트(Evernote)는 언제 어디서든 메모할 수 있는 메모용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사진, 텍스트, 오디오, 손글씨, 첨부파일 등 다양한 형태로 기록할 수 있고, PC, 태블릿PC, 스
마트폰으로 바로 동기화되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PC용 에버노트 설치하기


(가) 에버노트(http://www.evernote.com)에 접속한 후 화면 오른쪽 위의 [내려받기] 단추를
클릭하여 PC용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나) 무료 계정을 받기 위해 이메일, 암호를 차례로 입력한 후 [등록] 단추를 클릭합니다.

3) 스마트폰에 에버노트앱 설치하기


(가) 스마트폰에서 ‘에버노트’ 로 검색하여 [동의] 후 설치를 완료합니다.
(나) 에버노트 계정으로 [로그인] 하면 에버노트가 실행됩니다.

나. 에버노트로 학생자료 다양하게 기록하기

1) 텍스트 노트 : 스마트폰의 홈 화면에서 [ ] 를 탭하고, 오른쪽 아래 - [ (텍스트)]를 탭


합니다. 제목과 내용을 입력합니다.
2) 카메라 노트 : 오른쪽 아래의 - [ (카메라)]를 탭합니다. 문서, 카메라, POST-ITⓇ 중에서
촬영 모드를 선택하여 촬영합니다. 문서나 포스트잇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카메라 촬영 모드를
선택한 후 촬영하여 노트를 추가합니다.
3) 첨부파일 노트 : 오른쪽 아래의 - [ (첨부파일)]를 탭한 후 갤러리에서 원하는 사진을 선
택합니다. 사진 이외의 파일을 첨부하려면 노트 편집 창의 를 탭하여 [파일]을 선택하고
[파일 관리자]를 통해 삽입할 파일을 불러옵니다. 문서 파일도 첨부할 수 있습니다.
4) 알리미 노트 : 노트 편집 창에서 를 탭한 후 [날짜 설정]을 탭하여 날짜를 설정합니다.
5) 오디오 노트 : 오른쪽 아래의 - [ (오디오)]를 탭한 후 노트 편집 창이 열리면 녹음이 시
작됩니다. 녹음이 완료되면 [완료]를 탭합니다.
6) 손글씨 노트 : 오른쪽 아래의 - [ (손글씨)]를 탭한 후 그림을 그리고 손글씨를 쓴 후 [완
료]를 탭합니다.

- 66 -
다. 에버노트로 스마트하게 수업자료 모으기

1)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웹 클리핑하기


(가) 에버노트가 설치된 PC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를 실행한 후 웹 서핑하다가 수집하고 싶
은 정보가 있으면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클릭합니다.
(나) 웹 클리퍼의 선택 항목
(1) URL 클립 : 웹 페이지의 URL을 새 노트에 스크랩합니다.
(2) 선택 항목 클립 : 웹 페이지의 선택 영역을 노트에 스크랩합니다.
(3) 이 페이지 클립 : 웹 페이지 전체를 새 노트에 스크랩합니다.

2) 스마트폰으로 웹 자료 수집하기
(가) 홈 화면에서 [ ]를 탭한 후 모바일 클리핑 하려면 스마트폰의 메뉴를 눌러 [공유]를 선
택하고 [ ]을 탭합니다.
(나) 아래쪽에 코끼리 로고 가 나타나면 탭하여 ‘전체 기사 스크랩’에 체크 표시하고, 노트
북과 태그 설정 후 다시 를 탭합니다.

- 67 -
3) 학생들에게 수업자료 노트북 공유하기
(가) 학생들에게 공유하려는 노트북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눌러 [노트북 공유]를 클릭
합니다.
(나) 공유 창에서 ‘발행’을 클릭하여 ‘공개 링크 URL’에 원하는 내용을 작성한 후 [저장] 단추를
클릭하여 공개 링크 URL을 발행합니다. 발행 후에는 초대할 학생에게 이메일을 보내서
초대할 수 있습니다.
(다) 초대를 받은 사람은 [노트북 추가] 단추를 클릭하여 에버노트 계정으로 로그인 한 후 노트
북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 68 -
[보충자료] 수업을 도와주는 유틸리티

1. 화면 확대 프로그램 - 줌잇

가. 줌잇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실행합니다. 윈도우 화면 아래 트레이에


있는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누른 후 [옵션설정]을 할 수도
있습니다.
나.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실행한 다음 [Ctrl] + [1]을 누르면 화면이 확대
됩니다. 마우스를 이동하면 화면도 함께 이동합니다. 마우스 휠을
움직이거나 방향키(󰎾, 󰎿)을 누르면 확대 비율이 조절됩니다.
다. [Ctrl]+[2]를 누르면 화면이 필기를 할 수 있는 Draw 기능이 실행됩
니다.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하면 직선이 그려지고, [Ctrl]을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하
면 사각형이 그려집니다. 그리는 중에 다음과 같은 키를 누르면 펜의 색상이 바뀝니다. - R
(빨강), G(녹색), B(파랑), O(주황), Y(노랑), P(분홍))
라. [Ctrl]+[3]을 누르면 타이머를 실행합니다. 타이머가 실행되면서 남은 시간이 표시됩니다. 트
레이의 ZoomIt 아이콘에서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눌러 [옵션설정]을 선택하고, [Break] 탭에
서 타이머의 시간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 69 -
2. 3D그림 그리기 - colAR mix 용 그림 도안 샘플

- 70 -
스마트폰으로 문화예술수업하기

스마트러닝 활용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발표 및 공유

김현영 / 만화ㆍ애니메이션 예술강사


스마트폰으로 문화예술수업하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김현영

◈ 들어가며
21세기형 미래 인재양성을 위해 교육의 패러다임도 바뀌고 있다. 특히 예술분야에서는 기존의
장르적 기능 위주의 교육에서 창의성, 자존감, 소통능력, 사회적 관계를 위한 가치지향적인 문화예
술교육이 대두되고 있으며 그 위상 또한 높아지고 있다. 또 한편 기존의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평
가, 교육환경을 혁신하는 것으로써 다양한 교육과 맞춤형학습을 통한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스마트교육 추진과제가 발표되면서 스마트러닝의 방법론이 교육 전반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는 목
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때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문화예
술교육의 지평을 넓히는 것이 이 워크숍의 목적이다.
시대가 변화하면서 미래사회의 주역이 될 아동, 청소년들은 스마트폰이라고 하는 ‘손안의 작은
세상’으로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고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소통하고
적극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에 익숙해지고 있다. 이러한 때 교육자는 더 이상 지식의 양으로
권위를 내세울 수 없으며 기존의 정형화되고 획일적인 방법만으론 이미 앞서가는 학생들과 소통하
기 힘들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문화예술교육에서도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방법론을 적극 개발하여 아동, 청소년들이 본인
에게 맞는 정보를 습득하고 개별화된 경험에서 출발하는 감성 표현 및 예술체험 활동을 통해 21세
기가 원하는 창의적이고 사회통합적인 인재양성에 이바지하기를 바란다.

◈ 스톱모션 애니메이션(픽실레이션, 오브제 애니메이션) 창작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활용 프로그램 사례

1. 문화예술교육 관점에서의 본 수업의 의의와 목적

문화예술교육의 지향점은 기능 향상이 아닌 창의성 및 소통 능력 향상이다. 그렇기에 그림을 그


리거나 조형물을 만들지 않고도 작품을 만들 수 있는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은 학생들의 성취감을 고
취시킬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이는 기능 위주의 예술이 주는 부담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문화예

- 73 -
술교육의 목적인 예술향유자 양성과 부합한다. 즉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스톱모션 애니메
이션 교육은 프레임 간 작가의 의도가 반영됨으로써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고 참여자간 협동능력
이 필요한 작업이므로 대상자가 소통능력과 협력능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특히 문화예술수업은 ‘예술을 활용한 교육’ AIE( Arts in Education)에 입각하여 예술전문 교육이
아닌 예술을 도구와 방법으로 다양한 교육요소를 학습하고 체험하는 교육방법론이므로 지역문화유
산, 환경, 인성, 진로 등의 다양한 주제를 다룰 수 있으며 본 수업 중 픽실레이션 교육에서는 판소
리라는 문화유산을 주제로 설정하여 문화예술교육방법론으로 접근하였다.

2. 본 수업에서의 스마트교육의 활용 목적과 방법

기존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교육은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고 컴퓨터로 옮겨 편집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편집하여 완성하였다.

이 방법론은 이러한 제한점이 있었다.


1. 디지털 카메라, 편집프로그램, 컴퓨터 등 기자재가 필요
2. 촬영 방법 교육 이외에 편집프로그램 교육을 추가로 실시하거나 교수자가 편집하여 감상하는
방법으로 진행함. 이 경우 교육대상자들을 제작 과정 중 일부분을 참여 못하게 되어 성취감이
저하될 수 있는 우려가 있음.

그러나 간편한 주변기기인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함으로써 편리성이 확보되었으며 차


후 컴퓨터로 옮겨 편집하는 과정이 생략되어 현실적인 교육여건상 시간과 장비의 간편함이 생겼다.
또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것은 스마트폰이라는 새롭고 친숙하며 편리한 매체의
활용으로 일상의 매체가 예술창작의 도구로 활용됨으로써 예술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닌 우리 주변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문화예술교육의 의의와 부합한다.

1)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는 픽실레이션 창작수업

※ 내용
‘춘향전을 스마트폰으로~’ 라는 수업제재의 픽실레이션 수업으로 총 3차시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전통
문화인 판소리 중 지역문화와 관계가 깊은 ‘춘향전’을 자신만의 언어로 재구성하여 사람의 움직임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촬영기법인 픽실레이션으로 촬영하였다. 이 때 스마트폰을 촬영 매체로 사용하
면서 스마트러닝을 활용하였다. 촬영 후 소리가 없는 영상에 대상자들이 직접 판소리를 불러 녹음하
는 더빙과정을 거쳐 작품이 완성하는 수업이다. 이로써 전통문화와 애니메이션 창작을 스마트러닝을

- 74 -
통해 체험함으로써 기존의 것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창의성을 함양하고 모둠원들과 함께 공통의
추구가치를 향해 협업하면서 소통능력 향상을 도모할수 있다.

① 교육목표 확인
ⓐ 수업 제제 선정과 그 이유
판소리 중 춘향전의 스토리를 재구성하여 스마트폰으로 픽실레이션을 창작하는 활동이다. 판소리
는 우리의 훌륭한 문화유산으로 그것을 보존하고 향유하는 데 가치가 있기 때문에 픽실레이션 창
작수업의 제제로 선정하였다.
또한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지역이 전북 전주이므로 자신의 지역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고 자부심과 애향심을 불러일으키는데 목적이 있다.
ⓑ 예상효과
우리의 문화유산인 판소리 중 춘향전을 픽실레이션으로 창작함으로써 전북 전주지역의 학생들이
자신의 지역에 대한 이해와 자부심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남녀 간의 사랑과 방해요소를 극
복하고 사랑의 결실을 맺는 비교적 간단하고 대중적인 이야기로 픽실레이션 스토리구성에 대한 이
해를 높이기 위해 적합하다. 특히 전통문화인 판소리를 스마트러닝 방법론으로 학습함으로써 전통
과 첨단문화를 별개의 것이 아닌 함께 발전시켜야 할 문화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② 학습목표와 주요개념
ⓐ 제제 : 춘향전을 스마트폰으로~
ⓑ 수업에서 다루는 개념들, 주요 아이디어
- 지역문화유산 바로알고 향유하기
- 스마트러닝과 활용방법
- 스탑모션 애니메이션 기법의 이해
- 판소리 춘향전 이해하기
- 주어진 스토리로 애니메이션 창작하기
- 모둠 활동으로 협력하고 소통하기
ⓒ 학생들이 이해하여야 할 것들
- 중요무형문화재인 판소리를 알아보고 그 중 춘향전을 자기만의 언어로 표현하는 것!
- 애니메이션의 스탑모션 기법과 픽실레이션에 대해 이해하고 서로 협동하고 소통하여 직
접 창작할 수 있는 것!
-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애니메이션을 창작하면서 스마트러닝에 대해서 인
식하고 그 가치를 아는 것!

- 75 -
ⓓ 세부 학습활동
- 판소리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중 춘향전을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하기
- 스마트폰의 스톱모션메이커 어플을 이해하고 춘향전 촬영하기
- 촬영된 영상을 보고 춘향전 도창과 노랫말을 더빙하기
- 완성된 영상을 감상하며 소감 공유하기

ⓔ 학생들에게 던질 가능한 질문들


- 판소리 중 춘향전을 우리들만의 언어로 표현해볼까요?
-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의 원리와 방법은 무엇일까요?
- 스마트폰의 스톱모션메이커 어플 사용과 카메라로 촬영하고 컴퓨터로 편집하는 방법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춘향전의 역할을 정해 픽실레이션으로 촬영해본 소감을 말해볼까요?
- 친구들의 작품을 보고 느낀 점, 배울 점, 개선할 점은 무엇인가요?

Ⓕ 학습목표

1. 판소리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중 춘향전을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하여 픽실레이션 스토리보드로 만들 수 있다.

2. 스탑모션기법 애니메이션에 대해서 알아보고 스마트폰 스탑모션메이커 어플 사용방법을 알 수 있다.

3. 춘향전 스토리를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픽실레이션을 촬영할 수 있다.

4. 영상에 춘향전 도창과 노랫말을 직접 불러 더빙하여 완성할 수 있다.

③ 학습주제 및 활동내용

차시 학습 주제 활동 내용

판소리와 춘향전,
1 판소리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중 춘향전을 자신픽실레이션 스토리보드로 만들기
춘향전으로 스토리보드

스마트폰으로 스마트폰의 스탑모션메이커 어플을 이해하고 야외에 나가 한복을 입고 픽실레이션


2
픽실레이션 촬영 촬영하기

춘향전을 직접 불러
3 촬영된 영상을 보고 춘향전 도창과 노랫말을 녹음하여 더빙하여 완성하기
픽실레이션 더빙

- 76 -
◉ 픽실레이션 촬영 가이드 <그네 미는 장면>

그네를 뒤로 당긴 뒤 향단 역할의 학생이 잡고 촬영한다. 2. 조금 민 뒤 정지하여 촬영한다.

3.최대한 앞으로 믿 뒤 정지 후 촬영하다. 4. 다시 뒤로 물러선 후 촬영한다.

5.최대한 뒤로 민 뒤 정지하여 촬영한다. 6. 그네를 정지한 후 촬영한다.

- 77 -
※ 춘향전 픽실레이션 촬영 사진

- 78 -
※ 수업 진행 참고 사진

판소리 배우기

스마트폰 활용 픽실레이션 배우기

현장에서 픽실레이션 촬영하기

영상에 판소리 더빙하기

- 79 -
2)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는 오브제 애니메이션 창작수업

※ 내용
‘스마트폰으로 주변 사물에 움직임 주기’ 수업은 ‘기능적 고정성 탈피’ 즉 사물에 관한 고정관념을 벗
어나기 위해 사물에 창조적 발상을 하고 이를 오브제 애니메이션으로 촬영하는 수업이다.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을 촬영 매체로 사용하면서 스마트러닝을 활용하였다. 이 수업 또한 창의성과 소통능력 향상
을 목적이다.

① 교육목표 확인
ⓐ 수업 제제 선정과 그 이유
주변 사물을 이용한 오브제 애니메이션을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는 수업이다.
오브제 애니메이션 수업은 주변에서 흔히 보는 사물을 이용함으로써 일상에서 소재를 찾
고 삶의 의미를 예술 활동으로 되돌아보는 문화예술교육이 추구하는 목표 및 가치와 부합
한다. 또한 간편한 생활매체인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촬영 및 편집 방법을 쉽게 하여 초등
저학년부터 성인까지 전 연령이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이다.
ⓑ 예상효과
오브제 애니메이션 촬영 수업은 주변사물이 가진 조형적인 요소를 활용하고 그 사물에 창
조적 감성을 확립함으로써 생명이 없는 사물에 움직임을 주어 살아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
는 애니메이션의 본래 의미를 탐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능적 고정성 극복 으로 인
해 창의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모둠원들이 공동의 추구가치를 향해 함께 창작활동
을 함으로써 집단창의력 및 협력과 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② 학습목표와 주요개념
ⓐ 제제 : 스마트폰으로 주변사물에 움직임 주기
ⓑ 수업에서 다루는 개념들, 주요 아이디어
- 주변사물에 관한 창조적 탐구
- 스마트러닝과 활용방법
- 스탑모션 애니메이션 기법의 이해
- 모둠 활동으로 협력하고 소통하기
ⓒ 학생들이 이해하여야 할 것들
- 일상에서 찾을 수 있는 주변사물에 움직임을 주어 애니메이션을 창작함으로써 기능적 고
정석을 탈피하여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
- 애니메이션의 스탑모션 기법과 오브제 애니메이션에 대해 이해하고 서로 협동하고 소통
하여 직접 창작할 수 있는 것!

- 80 -
-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애니메이션을 창작하면서 스마트러닝에 대해서 인
식하고 그 가치를 아는 것!
ⓓ 세부 학습활동
-주변사물에 창조적 감성을 불어넣어 스토리텔링하기
-오브제 애니메이션 방법 및 스톱모션기법 이해하기
-스마트폰의 스톱모션메이커어플로 오브제애니메이션 촬영하기
-완성된 영상을 감상하며 소감 공유하기
ⓔ 학생들에게 던질 가능한 질문들
- 주변사물이 생명이 있다면 어떤 말을 하고 어떤 움직임을 할까요?
- 오브제 애니메이션의 원리와 방법은 무엇일까요?
- 스마트폰의 스탑모션메이커 어플 사용과 카메라로 촬영하고 컴퓨터로 편집하는 방법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주변사물을 이용하여 오브제 애니메이션을 촬영해본 소감은 무엇인가요?
- 친구들의 작품을 보고 느낀 점, 배울 점, 개선할 점은 무엇인가요?

Ⓕ 학습목표
1. 주변사물에 목소리와 움직임을 주어 스토리를 만들 수 있다.

2. 오브제 애니메이션에 대해서 알아보고 스마트폰 스탑모션메이커 어플 사용방법을 알 수 있다.

3.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주변 사물을 움직여 오브제 애니메이션을 촬영할 수 있다.

4. 촬영된 영상을 보고 소감과 감상을 공유할 수 있다.

③ 활동주제 및 활동내용

차시 학습 주제 활동 내용

주변사물에 목소리와 움직임을 주어 스토리텔링

스마트폰을 활용한 오브제


1 스마트폰으로 오브제애니메이션 촬영하기
애니메이션

촬영된 영상을 보고 소감과 감상 공유하기

- 81 -
◉오브제 애니메이션 촬영 가이드 <콩과 과자가 자동차가 되는 장면>

2. 배경을 조금씩 만들고 콩 형태를


배경을 세팅하고 콩을 뭉쳐놓고 촬영한다
변화주면 촬영한다.

3. 콩이 자동차 형태로 모양을 만들고 과자를 바뀌쪽으로 서서히 4. 콩을 자동차 형태로 좀 더 만들고 과자는 바뀌쪽으로 좀 더 움직여
움직이며 촬영한다 촬영한다.

6. 네모난 과자를 자동차 창문으로 만들고 형태를 완성시키면서


5. 과자로 바퀴를 만들고 네모난 과자를 서서희 움직이면 촬영한다.
촬영한다.

- 82 -
※ 수업 진행 참고 사진

- 83 -
◈ 통합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 활용 프로그램 개발

※ 내용
융합, 통합 시대에 요구되는 통합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 활용 프로그램을 개발, 제
안하였다. ‘돌고 도는 예술-예술 순환 놀이’라는 수업으로 예술 작품이 서로 영향을 받으며 창
작되는 현상에서 영감을 얻어 사회구성원으로서의 나의 존재를 깨닫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즉 순환하는 관계를 체험하는 수업이다. 예술작품에 관한 지식과 정보를 얻는 과정을 교사가
일방적으로 설명하고 학생들이 받아들이는 교수학습방법에서 탈피하여 스마트러닝을 활용하
여 학생들이 스스로 정보를 찾고 판단하고 공유하도록 하였다. 또한 즉흥예술, 퍼포먼스를 할
때 그 예술 행위에 의미를 부여하고 개념을 정립하는 과정을 스마트러닝을 통해 주체적으로
판단하여 체험할 수 있도록 수업을 구성하였다.

1. 문화예술교육 관점에서의 본 수업의 의의와 목적

최근 문화예술교육의 지향점은 장르를 초월하여 대상자들의 삶 속에 영향을 주는 통합문화예술


적인 맥락을 중요시 여긴다. 즉 미술, 음악, 연극, 무용 등 예술 장르를 기술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아닌 예술 본연의 심미적 체험을 통한 그 가치의 내면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사람이 사람에게 영
향을 받아 변화하는 것처럼 문화예술도 개인의 삶속에 녹아들어 향유되어 타인의 삶에 영향을 주는
순환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를 ‘돌고 도는 예술- 예술 순화 놀이’ 라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체험하고
자 하였다.
다시 말해 문화예술이란 인간이 인간답게 살기 위해, 인생을 향유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그 무엇이다. 그렇기에 이 수업의 목적인 서로가 서로에게 좋은 영향을 주고받고, 함께 성장하며
발전하는 즐거운 감정을 공유하는데 의의가 있다.

2. 본 수업에서의 스마트교육의 활용 목적과 방법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화 시대의 현대인들은 문화예술에 관한 정보를 얻고 향유하는 방법이 전통


적인 방법과는 차이가 나고 있다. 즉 박물관, 미술관, 책에서 얻던 정보와 향유가 인터넷이나 스마
트폰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작가에 관한 관심이 생기면 미술관에서 작품을 감상
하고 책을 통해 찾아보는 경우보다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검색하고 작품 이미지를 찾아서 감상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물론 전통적인 방법의 정보취득과 향유의 방법론도 지속 발전시키기 위해 교육
해야 하지만 변화하는 세대의 스마트한 문화예술 향유법도 존중하고 교육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

- 84 -
다. 그래서 ‘돌고 도는 예술- 예술 순화 놀이’에서는 작가나 작품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직접
찾아보도록 하여 개인이 가진 경험의 차이로 인한 감성과 지식의 갭을 교육이 따라가지 못하는 문
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개인의 특수성을 무시한 획일적인 지식전달의 교육방법에서 탈피하여
대상자들이 직접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체험하는 과정을 스마트폰으로 기록하고 전달하며 소통하도
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3. 통합문화예술교육 체험 수업

1) 교육목표 확인

① 수업 제재 선정과 그 이유
‘예술의 순환, 장르를 초월하여 돌고 도는 예술’ 세상 모든 것이 서로 영향을 받고 순환하듯
이 예술 또한 장르를 뛰어넘어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 주안을 두었다. 무엇인가 (예술적
소스)를 다양한 감각으로 체험한 뒤 자신이라는 매개체를 통과하면서 또 다른 창작 활동을
놀이처럼 즐겁게 할 수 있다는 것이 선정 이유이다.
② 예상효과
타인의 감정이 포함된 예술작품(활동)을 보고 자신이 또 다른 예술작품(활동)을 창작하면서
그 과정을 놀이처럼 즐겁게 할 수 있고 자신의 감정을 발산할 수 있으며 비평적 사고를 통해
타인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마트러닝을 통해 문화예술에 관한 정보를 습득하고 향유하는 방법론을 익혀 올바른
문화예술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2) 학습목표와 주요개념

① 제제 : 돌고 도는 예술-예술 순환 놀이

② 수업에서 다루는 개념들, 주요 아이디어


- 자기표현, 타인의 이해,
- 영향을 주고받는 우리
- 감정을 창작으로 승화,
- 유동적인 창작 과정, 예술 장르 간 영향(영감) 주고받기
- 스마트러닝과 활용방법,
- 스마트러닝을 통한 문화예술향유

- 85 -
③ 학생들이 이해하여야 할 것들
- 예술이 서로 영향을 받아 다른 장르로 순환하는 것!
- 타인의 행동과 감정을 이해하고 자신의 방식으로 새롭게 표현하는 것!
-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문화예술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향유하 며 스마트러닝에 대해서
인식하고 그 가치를 아는 것!

④ 세부 학습활동
- 예술 작품 중 타 장르에 영향을 준 작품들 스스로 찾아 공유하 며 감상하기
- 친구의 예술 활동을 보고 자신의 방식으로 재창작하기
- 예술창작활동을 스마트폰으로 기록하고 공유하기

⑤ 학생들에게 던질 가능한 질문들


- -이 작품의 탄생에 영향을 준 다른 작품이 있을까요?
- 두 작품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 친구의 창작활동을 보니 어떤 느낌을 받았나요?
- 그 느낌을 다른 방식으로 표현해볼 수 있을까요?

⑥ 학습목표
1. 예술 작품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창작되는 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

2. 타인의 창작 활동을 보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창작 할 수 있다.

3. 사람들끼리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사회적 관계를 인식할 수 있다.

3) 학습 주제 및 활동 내용

차시 학습 주제 활동 내용

스마트러닝을 통해 예술 작품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창작되는 현상


1 예술작품의 영감과 표현
이해하기

2 돌고 도는 예술 창작활동 타인의 창작 활동을 보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창작 즉 예술 활동하기

활동 되짚어보기, 지난 시간 활동사진을 보면서 의미 알아보기. 스마트폰으로


3
기록영상물 제작하기 동영상(애니메이션)제작하기

- 86 -
◎ 수업 활동 모습

- 87 -
- 88 -
◈ 마무리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으로 교육패러다임도 변화하고 있다. 21세기를 문화의 세기라고 하듯이 문
화예술교육은 더 이상 수단이 아닌 목적이 되고 있으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가치가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 속에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10년의 역사는 모습은 실로 놀랍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1세기형 인재양성이 요구되는 있는 이때 다가올 10년 혹은 100년을 준비하기 위해
중심 가치를 지키면서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지 않는 새로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도 연구되어야
한다.

아울러 디지털 사회의 변화를 수용하며 테크놀로지가 인간이 추구하는 기본이념을 거스르는 게
아닌 그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적극 활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세상은 좋든 싫든 이미 디지털 시
대로 변화하고 있고 그 변화는 어린 학생들이 좀 더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고 있다. 이에 교육자는
기존 교육방법만을 고수해서는 안 되며 미래의 인재가 될 새로운 세대의 문화에 관심을 가져야 한
다. 이에 스마트러닝을 적극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는 창의성 및 소통능력,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인재를 양성하도록 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에 스마트러닝을 활용하는 것은 교육대상자로 하여금 문화예술교육이 학습으로 느


껴지는 부담감을 줄이고 예술과 일상의 경계를 허물며 개개인이 가진 경험을 바탕으로 한 개인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을 알게 되었다. 즉 일률적이고 기능위주이며 교수자 중심의 교육에
서 벗어나 스스로 선택하며 자유로운 감성을 키우고 정보와 지식을 쉽게 받아들이며 사회구성원과
의 적극적이고 자유로운 소통 방식 체험으로 언제 어디서나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환경을 가
질 수 있었다. 이에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이 활발하게 개발되기를 바라며 마
무리한다.

- 89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및
아르떼 아카데미 소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과학기술부가 함께 마련한 「문화예술교육활성화 종합계획
」의 근본취지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습니다.
* 설립근거: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 10조)

창의교육 지원
학교교육(School Arts Education 예술로 사람을, 사람으로 예술을)
예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진취적이고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 문화예술교
육 활동을 지원합니다. 특히, 학생들의 입장에서 함께 고민하고 역량있는 예술강사를 파견하여 학생들이 스
스로 예술적 감수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고 타인과 교감할 수 있는 자세를 배울 수 있도록 합니다. 성장
하는 학생들 모두가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이를 매개로 소통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
- 예술강사 지원사업 운영
- 학교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 학교 예술강사 교육활동 지원

창의교육 (Creative Education 아이들 마음에 예술의 씨앗 심기)


문화예술교육은 자라는 아이들의 현재와 미래를 풍요롭게 합니다. 창작과 표현의 기쁨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경험입니다.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운영을 통해 모든 어린이·청소년이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도록 창의교육의 기반을 만들어 갑니다.
- 예술꽃 씨앗학교
-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신규분야 개발과 확대
-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운영

예술협력사업
사회교육 (Community Relations 행복한 삶과 공존의 문화)
문화예술교육은 사람과 사람 사이를 이어주며 사회 공동체를 건강하게 만듭니다. 우리 사회 모든 세대와 계
층이 문화예술을 배우고 경험하는 조화로운 사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만들어 갑니다.
-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
- 범 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
- 시민 문화예술교육 지원

- 93 -
가족문화 (Cultural Relations 서로 소통하고 함께 성장하는 문화예술교육)
자라나는 아이들과 가족 구성원 모두가 문화예술 소양을 함양하고, 또래·가족 간 서로 소통하며 함께 성장
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을 만들어 갑니다.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 문화가 있는 날
- 인문예술 캠프

지역협력 (Regional Partnerships 건강한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지역의 문화적 환경과 특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구현될 수 있도록 중앙과 지역 간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기획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소외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

예술교육기반
정책연구 (Policy Analysis and Research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업의 질적 제고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연구 사업과 연구서비스화 사업, 출판
사업, 전문가 연구회 운영을 추진합니다.
- 연구 개발
- 연구 서비스화 & 문화예술교육 포럼

홍보국제 (Public and International Relations 공감과 소통의 문화예술교육의 확장)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목표로 대중과 소통하고, 전략적 국제교류 활동을 통
해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합니다.
- 정책 공감
- 문화예술 명예교사
-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개최
- 글로벌 문화예술교육

예술교육연수센터 (KACES Arts Education Center 문화예술교육의 동반 성장)


교육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적 자원입니다. 인적 자원의 자질이 높아지면 교육의 수준도 높아집니
다.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창의적인 리더와 인재를 키워 문화예술교육의 주춧돌로 삼고자 합니다. 문화예술
교육 관련 인재들의 전문 역량을 높여 문화예술교육의 동반 성장을 이끌어가는 일,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만들어 갑니다
- 문화예술교육 ArtE Academy : AA
- 학교·사회 예술강사 연수 : 의무연수, 선택연수, 보수교육
-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연수 :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교원, 행정인력, 공무원, 예비인력 등

- 94 -
2016 ArtE Academy, AA

‣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신규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예술 강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 역량강화를 위하여 개설됩니다. 예술교육의 가치와 중요성, 예술적 경험이 교육현장에서 어떤 의
미를 갖는 지에 대하여 체험을 통해 이해하고, 지속적인 자기계발과 자신만의 독자적 실행능력을 길러
능동적으로 자신의 교육활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총 60시수로 구성된 의무연수는 상‧하반기
방학기간에 집체식으로 진행되며, 주로 ‘타 분야 예술체험 및 예술통합 프로젝트, 분야별 워크숍, 학교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학교·사회 예술강사 예술강사 선택연수


학교 및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 경력이 쌓인 강사를 위해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 전문성을
강화하고 예술가이자 예술교육자로서 경력 개발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연수를 개설 운영합니다.
예술분야별 교수학습 역량 강화, 예술놀이 체험 워크숍,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기획 워크숍, 상담기법
등 예술강사의 수요와 현장의 니즈를 반영한 연수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 사회 문화예술교육 실무자 역량 강화 연수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장 실무자의 창의적인 기획 역량과 문화예술교육
전문성, 기초 직무 소양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단체 실무자 및 강사를 중심으로 실제 현장 업무에
도움이 되는 의무연수 및 선택연수과정을 구성하여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양질의 프로그램이 풍부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 교원 문화예술교육 역량 강화 연수
학교교육에서 아이들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교원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이해 및 창의적 교
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를 제공하여 보다 적극적인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서
울시교육청, 부산시교육청 등 특수분야 직무연수로 인정받아 교원 학점을 연계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 행정인력 문화예술교육 역량 강화 연수
16개 광역 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및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직원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성
및 행정 실무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를 제공합니다. 지역 현장의 문화예술교육 기관·단체간 원활한
네트워킹 및 동반 성장을 위해 실무자 및 관리자의 전문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해 직무 중심의 연수을
개설하고 있습니다.

‣ 공무원 문화예술정책 역량 강화 연수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문화정책 기획역량 강화 및 문화적 리더십 함양을 위하여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융합의 이해, 생활 속 문화예술교육 정책현장 탐방 등 문화정책 전반의 교육
과정을 기획·운영합니다.

- 95 -
‣ 주제 중심 문화예술교육 키움(Key-um) 연수
문화예술교육 키움 프로그램은 예술강사, 교육기획자 등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및 교원, 공무원, 광역센
터 담당자 등 문화예술교육 협력자를 대상으로 필요한 핵심 교육내용에 따라 단계별 연수프로그램을
모듈화 한 교육과정 브랜드명입니다.
키움은 열쇠를 의미하는 ‘Key’와 공간을 의미하는 ‘-Um’이 결합된 어휘로, 대상별, 분야별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과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의 핵심 주제 중심의 다소 특별한 문화예술교육 키움(Key-Um) 연수프
로그램을 기획·운영합니다.
※ 인문, 창의, 융합, 생각, 감성, 예술, 역량의 7가지 키움(Key-Um)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P)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P, Community of Practice)’는 특정 지식분야에 대해 관심을 같이하는
구성원들이 On/Off-line을 통해 지식을 공유·학습·창출하는 실천적 지식 동아리 형태의 연수형태입
니다. 무엇보다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학문적 접근 보다는 현장 중심의 실용적인 주제로 매개자 간 자
유롭게 토론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문화예술교육 사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
점을 발견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학습자 중심의 ‘멘토-멘티간 밀착형 학습공동체’ 연수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 대학(원)생 대상 문화도담 연수
문화도담은 전국 대학생·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예비 문화예술교육 기획인력 양성과정입니다.
문화도담 참여자는 각 지역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문화예술을 이해하며, 우리 일상생활 곳곳에 숨은 문
화예술자원을 스스로 탐방하여 발굴하고 공유하는 활동을 하게 됩니다.
대학(원)생의 시각으로 바라 본 생활 속 문화예술교육 관련한 주제 선정부터 기획까지 참여자가 주체
가 되어 활동하는 교육과정으로 선배 문화예술교육자(강사, 기획자 등)와 예비인력이 함께 하는 ‘체험
워크숍'과 '문화예술교육 인물탐구’ 등 교육과정에 참여하여 실질적인 멘토링 제공, 전문가와의 네트워
킹 계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96 -
스마트 러닝, 문화예술교육에 상상력을 더하다

발 행 인 주 성 혜
발 행 일 2016. 1
발 행 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 www.arte.or.kr
주 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로 128
연 락 처 T:02-6209-1329 F:02-6455-5969
기획/제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교육연수센터
인 쇄 리드릭(사단법인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본 자료집 내용의 무단전재 및 복제를 금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