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9

KACES-1530-C127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일 시 : 2016.2.29(월)~3.2(수), 18시수
장 소 : 양평 현대블룸비스타
주 최 : 문화체육관광부
주 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목 차

1. 2016 상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안내 ······························································ 5

2. 교육대상의 이해 (아동) ···························································································· 15


김태은 (한양 사이버대학교 교수)

3. 교육대상의 이해 (노인) ···························································································· 25


박명숙 (건국대학교 교수)

4. 교육대상의 이해 (장애인) ························································································ 71


장진아 (하트하트 재단 사무국장)

5. 시설 현장의 이해 (아동복지시설) ·········································································· 89


박현동 (청소년문화공동체 십대지기 대표)

6. 시설 현장의 이해 (노인복지관) ·············································································· 95


이강미 (인천부평구 노인복지관 복지운영 팀장)

7. 시설 현장의 이해(장애인복지관) ·········································································· 109


송영미 (서대문장애인복지관 아동지원 팀장)

8. 문화예술교육 연간교육계획의 실제 ····································································· 129


유정아 (연세대학교 선임연구원)

9. 문화예술교육 수업계획 컨설팅 ············································································· 149


유정아 (연세대학교 선임연구원)

- 3 -
10. 아동/노인/장애 교육대상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체험, 토론 ······················ 185
[아동] 이현섭 (아동 음악 분야 예술강사), 김은화 (아동 영화 분야 예술강사)
[노인] 장태환 (노인 연극 분야 예술강사), 이문향 (노인 미술 분야 예술강사)
[장애] 박지영 (장애 국악분야 예술강사), 조동희 (장애 무용 분야 예술강사)

11. 분야별 문화예술교육 수업 사례 체험, 토론 ···················································· 229


[국악, 음악] 이현섭 (아동 음악 분야 예술강사),
박지영 (장애 국악분야 예술강사)
[연극, 무용] 장태환 (노인 연극 분야 예술강사),
조동희 (장애 무용 분야 예술강사)
[미술, 사진, 영화] 이문향 (노인 미술 분야 예술강사),
김은화 (아동 영화 분야 예술강사)

12. [참고] 2016 통합운영시스템 사용 안내 ··························································· 253

1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및 아르떼 아카데미 소개 ······································ 269

- 4 -
2016 상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안내
2016 상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안내

아르떼 아카데미(AA)는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예술강사, 교육기획자, 교원, 사회문화예술교육 기관‧단체 실무자,
예비인력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하여 다양한 연수를 기획·운영하고 있습니다.

■ 2016 상반기 연수개요


◦ 연수대상 : 학교·사회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교원, 행정인력 등
◦ 연수일정 : 2016.1.11(월)~3.5(토) /약 2개월간
◦ 연수장소 : 현대종합연수원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전수리 1235)
※ 각 과정별 입소일에 서울→연수원 셔틀버스 제공 예정(참여자 확정 후 별도 공지 안내)
◦ 참 가 비 : 전액 무료 (숙식 제공)
◦ 참가신청 마감 : 각 과정별 시작일로부터 5일 전까지
◦ 참여자 선정기준
- 과정별 제시된 1순위 참가 대상자 선착순 선정
- 과정별 제시된 참가대상은 연수신청 시 1순위 선정자이나,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도 과정별 기준에 따라 참여
할 수 있습니다.
- 신청인원이 많아 정원에 초과할 경우, 더 많은 분들에게 연수 참여 기회를 드릴 수 있도록 동 연수기간에
처음 연수를 신청한 분들이 우선 선정될 수 있습니다.
◦ 참여자 안내 : 각 과정별 마감일 혹은 최소 3일 전까지(개별 SMS 발송예정)

■ 2016 상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프로그램


◦ 학교·사회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사회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선택연수
순 연수구분 연수과정 연수대상 일정 시수 정원
1 초등무용 아이들 무용으로 상상력 키우기1 1.11(월)~1.13(수) 18 25
2 (교과과정 아이들, 무용으로 상상력 키우기2 1.14(목)~1.16(토) 18 25
연계) 학교 예술강사
3 아이들, 무용으로 상상력 키우기3 (무용분야) 2.1(월)~2.3(수) 18 25
4 중등무용 청소년 무용으로 감성 키우기1 2.15(월)~2.17(수) 18 25
(교과과정
5 연계) 청소년 무용으로 감성 키우기2 2.22(월)~2.24(수) 18 25
6 민족무용 세계민족무용으로의 여행 1.11(월)~1.13(수) 18 25
7 창작무용 창의적 사고 기반 즉흥 창작 무용 학교 예술강사 2.11(목)~2.13(토) 18 25
8 (무용분야) 2.18(목)~2.20(토) 18 25
움직임 창의력을 펼치는 몸짓, 몸으로 상상하기
9 2.25(목)~2.27(토) 18 25
학교, 사회
10 마임 가난과 풍요, 그 치유의 예술-마임과 움직임 예술강사 2.1(월)~2.3(수) 18 25
(연극분야)
11 학교 예술강사 2.1(월)~2.3(수) 18 25
연극 초등학생과 연극놀이하기
12 (연극분야) 2.15(월)~2.17(수) 18 25
문화 공연
13 학교, 사회 2.18(목)~2.20(토) 18 25
예술 예술 촌극 아이들과 만나는 아주 짧은 드라마 촌극
14 예술강사 2.29(월)~3.2(수) 18 25
15 융합 시각예술, 연극을 만나다 (연극분야) 2.18(목)~2.20(토) 18 25
16 사물놀이 장구교수법과 국악동아리 운영의 실제 1 1.14(목)~1.16(토) 18 25
17 사물놀이 장구교수법과 국악동아리 운영의 실제 2 18 25
18 교과서 속 우리음악 연주 교수법 : 소금과 서도민요 1 2.11(목)~2.13(토) 18 25
19 교과서 속 우리음악 연주 교수법 : 단소와 시조 1 18 25
20 사물놀이 장구교수법과 국악동아리 운영의 실제 3 학교 예술강사 18 25
국악
(국악분야)
21 교과서 속 우리음악 연주 교수법 : 소금과 서도민요 2 2.22(월)~2.24(수) 18 25
22 교과서 속 우리음악 연주 교수법 : 단소와 시조 2 18 25
23 교과서 속 우리음악 연주 교수법 : 소금과 서도민요 3 18 25
2.25(목)~2.27(토)
24 교과서 속 우리음악 연주 교수법 : 단소와 시조 3 18 25

- 7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순 연수구분 연수과정 연수대상 일정 시수 정원


25 학교‧사회 2.1(월)~2.3(수) 18 25
창의적 감성을 깨우는 국악감상과 전래놀이
26 예술강사 2.29(월)~3.2(수) 18 25
27 음악치료 치유음악의 현장적용 1.18(월)~1.20(수) 18 25
사회 예술강사
28 리듬악기 리듬악기와 함께하는 즐거운 수업 만들기 1.25(월)~1.27(수) 18 25
(음악분야)
29 세계음악 세계음악과 함께하는 나, 너, 우리 이해하기 2.25(목)~2.27(토) 18 25
30 아이디어 영상으로 풀어내는 즐거운 시나리오 쓰기 1.14(목)~1.16(토) 18 25
학교‧ 사회
31 영상 체험부터 기획까지, 신나는 영화감상교육의 세계 1.14(목)~1.16(토) 18 25
예술강사
32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학습 영상매체 만들기 2.1(월)~2.3(수) 18 25
33 사회 예술강사 2.11(목)~2.13(토) 18 25
시각 예술과 명화를 통한 생각 깨우기
34 (미술, 사진분야) 2.25(목)~2.27(토) 18 25
예술 미술 학교‧ 사회
움직이는 장난감 제작 및 교구 활용 - 오토마타부터 토이봇
35 예술강사 2.15(월)~2.17(토) 18 25
까지
(시각 분야)
문화예술교육
36 시각예술 시각예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체험 2.29(월)~3.2(수) 18 25
단체 실무자
37 동화 나를 스토리텔링하는 동화쓰기 학교 예술강사 1.11(월)~1.13(수) 18 25
38 1.11(월)~1.13(수) 18 25
놀이인문학 알고知 좋아하고好 즐기고樂 쓰임用 있는 놀이인문학
39 2.1(월)~2.3(수) 18 25
40 1.18(월)~1.20(수) 18 25
예술놀이 예술놀이와 학습동기유발
41 2.22(월)~24(수) 18 25
학교, 사회
42 디자인 색채와 형태로 디자인 감각 깨우기 2.15(월)~2.17(수) 18 25
예술강사
43 스토리텔링 신화와 스토리텔링 2.25(목)~2.27(토) 18 25
44 2.1(월)~2.3(수) 18 25
영화 속 심리학으로 마음 속 이야기 꺼내기
45 2.18(목)~2.20(토) 18 25
46 인문학 예술과 인문학 : 예술은 어떻게 세상을 보고 듣고 만나는 가 2.25(목)~2.27(토) 18 25
기타 문화예술교육
47 예술 인문학으로 문화예술교육 생각의 근육 키우기 단체 실무자, 1.11(월)~1.13(수) 18 25
사회 예술강사
학교, 사회
48 공예 공예 속 우리의 가치를 찾다 예술강사 2.18(목)~2.20(토) 18 25
(공예분야)
49 뉴미디어 플래시 프로그램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E-book 만들기 문화예술교육 1.25(월)~1.27(수) 18 25
50 축제 문화예술교육기획자, 지역축제와 만나다 단체 실무자 2.1(월)~2.3(수) 18 25
사회 예술강사 및
[예술사회학 심화과정] 예술교육의 사회적 연결고리, 함께 생
51 예술사회학 문화예술교육 2.11(목)~2.13(토) 18 25
각하기
단체 실무자 등
학교, 사회
52 미디어 미디어 문화예술비평 워크숍 2.22(월)~2.24(수) 18 25
예술강사
53 예술과 주민, 마을을 잇는 문화예술교육 관계맺기 18 25
네트워킹 2.15(월)~2.17(수)
54 지역 문화예술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만들기 문화예술교육 18 25
55 문화 지역문화자원을 담은 문화예술교육 기획워크숍 단체 실무자 2.18(목)~2.20(토) 18 25
콘텐츠 발굴
56 지역문화와 생활예술공동체, 삶을 이야기 하다 2.22(월)~2.24(수) 18 25
57 학교축제 학교축제와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학교 예술강사 1.14(목)~1.16(토) 18 25
학교‧사회
58 스마트러닝 [초급]스마트러닝, 문화예술교육에 상상력을 더하다 1.14(목)~1.16(토) 18 25
예술강사
마이크로 학교, 사회
59 교육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수업 컨설팅 2.11(목)~2.13(토) 18 25
티칭 예술강사
기획
학습자
60 교육심리와 예술교육 학교 예술강사 2.18(목)~2.20(토) 18 25
(심리)
특수학교 출강
61 특수교육 특수교육대상의 이해 2.15(월)~2.17(수) 18 25
예술강사
교육대상
62 교육 (군인, 군, 교정시설에서 문화예술로 소통하기 2.1(월)~2.3(수) 18 25
교정시설)
문화예술교육
63 교육대상
학교 밖 위기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2.11(목)~2.13(토)
(청소년)
64 18 25
교육 교육대상 청‧장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현재와 미래
2.25(목)~2.27(토)
실행 (청‧장년) (20대부터 40대까지)
65
교육대상 장애 문화예술교육 현장, 새로운 시선 사회 예술강사 2.11(목)~2.13(토) 18 25
(장애) 장애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수업 엿보기 (장애) 2.25(목)~2.27(토) 18 25
66
놀이치료를 통한 아동의 이해 2.15(월)~2.17(수) 18 25
교육대상 사회 예술강사
67 (아동) 아이들과 함께 소통하는 문화예술교육 수업 기획하기 (아동) 2.22(월)~2.24(수) 18 25

- 8 -
2016 상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안내

순 연수구분 연수과정 연수대상 일정 시수 정원


68 상담기법을 통한 노인과의 공감과 대화 2.15(월)~2..17(수) 18 25
교육대상 사회 예술강사
69 (노인) 청춘예찬, 노인문화예술교육 현장 엿보기 (노인) 2.22(월)~2.24(수) 18 25
교육대상 2016년
70 (아동/장애/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신규선발된 2.29(월)~3.2(수) 18 25
노인) 사회 예술강사
71 브랜딩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예술강사 브랜드 만들기 2.1(월)~2.3(수) 18 25
학교, 사회
72 2.1(월)~2.3(수) 18 25
개인 코칭 예술적 감성을 깨워주는 코치형 예술강사 되기 예술강사
73 2.25(목)~2.27(토) 18 25
계발
74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퍼실리테이팅 기법 문화예술교육 2.18(목)~2.20(토) 18 25
역량개발
75 기초 문화예술교육 기획자를 위한 ‘나’ 분석 보고서 쓰기 단체 실무자 2.29(월)~3.2(수) 18 25
76 소양 학교, 사회
관계맺기 소시오드라마를 통한 관계맺기 1.21(목)~1.23(토) 18 25
예술강사
관계‧ 학교, 사회
77 협력 예술강사,
모둠학습 2016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오프닝 워크숍) 2.11(목)~2.13(토) 18 50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등
78 문서 작성 문화예술교육현장을 담은 계획서 작성하기 1.21(목)~1.23(토) 18 25
79 회계 문화예술교육 단체를 위한 엑셀과 재무회계 1.28(목)~1.30(토) 18 25
경영 프레젠테이
80 PPT와 프레젠테이션 스킬 2.11(목)-2.13(토) 18 25
실무 션
보도자료
81 작성 및 SNS를 활용한 보도자료 작성과 단체홍보 2.18(목)~2.20(토) 18 25
홍보
프로젝트
82 경영‧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운영관리 문화예술교육 1.11(월)~1.13(수) 18 25
운영
행정 단체 실무자
83 홍보 마케팅 사업준비를 위한 홍보 마케팅 방법론 1.28(목)~1.30(토) 18 25
84 경영 소셜 펀딩 소셜펀딩과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운영 2.1(월)~2.3(수) 18 25
관리 문화예술교육 조직의 경영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창출 방
85 2.11(목)~2.13(토) 18 25
법론 Ⅰ
문제 해결
문화예술교육 조직의 경영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창출 방
86 2.18(목)~2.20(토) 18 25
법론 Ⅱ
경영
87 단체 브랜딩 문화예술교육 단체의 브랜딩과 포트폴리오 관리 2.22(월)~2.24(수) 18 25
기획

◦ 학교 예술강사, 사회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의무연수


순 연수구분 연수과정 우선 선정 연수대상 일정 시수 정원
88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국악분야 136
89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만화애니메이션분야 12
1.18(월)~23(토)
90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디자인분야 26
16년도
91 학교 예술강사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영화분야 신규 선발된 10
45
92 의무연수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무용분야 학교 예술강사 중 대상자 98
93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연극분야 ※ 별도 공지사항 확인 73
1.25(월)~30(토)
94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공예분야 29
95 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사진분야 8
96 상반기 사회 실무자 의무연수 기획자 과정 16년도 30
97 상반기 사회 실무자 의무연수 강사 과정 1 지역아동센터 40
사회 실무자 의무 연수 3.3(목)~5(토) 20
98 상반기 사회 실무자 의무연수 강사 과정 2 지원사업 참여 40
99 상반기 사회 실무자 의무연수 강사 과정 3 단체 실무자 40

※ 연수구분에 [의무] 표시가 되어 있는 과정은 선택적 참여가 아닌, 대상이 지정되어 있는 의무참여형 연수입니다.

■ 기타 문의
◦ 아르떼 아카데미(AA) 연수신청 : hrd.arte.or.kr
◦ 아르떼 온라인 아카데미 : lms.arte.or.kr
◦ 아르떼 아카데미(AA) 페이스북 : www.facebook.com/aakeyum
◦ 기타문의 : academy@arte.or.kr

- 9 -
연수 안내

□ 연수개요
1) 연 수 명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2) 연수기간 : 2016.2.29(월)~3.2(수), 18시수
3) 연수장소 : 양평 현대블룸비스타
4) 연수대상 : 2016년 신규로 선발된 사회 예술강사
5) 주요내용 : 아동, 노인, 장애 각 대상별 및 복지시설의 특징, 수업 사례 등을 이해
하고, 수업에 활용가능한 예술교육 활동을 체험한 뒤, 연수생 스스로
연간계획 및 수업계획을 점검하면서,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수업을
준비할 수 있다.
□ 연수시간표
날짜 시간 시수 분반여부 교육과목 주요내용 교육강사
교육진흥원
12:50-13:00 입소식 ㅇ아르떼 아카데미 과정 소개 및 안내
교육개발팀
[강의, 사례 소개]
ㅇ아동 교육대상의 이해
교육대상의 이해 - 아동청소년 심리 상담의 유형 및 기법 김태은 (한양
아동
(아동) 이해 사이버대학교 교수)
- 연령별 학습자의 특성 분석 및 사례
공유
[강의, 사례 소개]
ㅇ노인 교육대상의 이해
2.29 교육대상의 이해 박명숙 (건국대학교
노인 - 노인의 심층적 이해
(월) 13:00-15:30 2.5 (노인) 교수)
- 노인의 신체 변화 및 심리의 이해
1일차
- 심리적 특성에 따른 교육방법 이해
5H
[강의, 사례 소개]
ㅇ장애인 교육대상의 이해
교육대상의 이해 - 장애 아동의 이해 장진아 (하트하트
장애 - 장애별 특성 파악, 상황별 대처 방법,
(장애인) 재단 사무국장)
사례 제시 등 (하트하트 재단 내 발달
장애 청소년 ‘윈드 오케스트라’ 사례
를 중심으로)
[강의, 사례 소개] 박현동
시설 현장의 이해
15:30-18:00 2.5 아동 ㅇ 아동복지기관 현장의 이해 (청소년문화공동체
(아동복지시설)
- 역할과 기능, 아동복지환경 변화 등 십대지기 대표)

- 11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날짜 시간 시수 분반여부 교육과목 주요내용 교육강사

[강의, 사례 소개] 이강미 (인천부평구


시설 현장의 이해
노인 ㅇ 노인복지기관 현장의 이해 노인복지관
(노인복지관)
- 역할과 기능, 노인복지환경 변화 등 복지운영 팀장)

[강의, 사례 소개] 송영미


시설 현장의 이해
장애 ㅇ 장애인복지관 현장의 이해 (서대문장애인복지
(장애인복지관)
- 역할과 기능, 장애복지환경 변화 등 관 아동지원 팀장)
18:00-19:00 저녁식사
[강의, 토론, 실습]
문화예술교육 ㅇ 학습자 분석을 통한 연간 문화예술
교육 계획서 주제 선정
09:00-12:00 3 공통 연간교육계획의
ㅇ 개별 연간 문화예술교육 계획서 내
실제 용 구성 (시범 차시 계획 등)
ㅇ 작성 내용 발표 및 피드백

12:00-13:00 점심식사

3.1 문화예술교육 [강의, 토론, 실습]


ㅇ 문화예술교육 수업일지 요소별 기술 유정아 (연세대학교
(화) 13:00-15:00 2 공통 수업계획 컨설팅
방법 (학습목표, 수업주제 등) 선임연구원)
2일차 I ㅇ 문화예술교육 수업계획 작성 실습
8H
15:00-15:30 쉬는 시간

[발표, 피드백]
문화예술교육 ㅇ수업계획서 작성 내용 발표 및 피드
15:30-18:30 3 공통 수업계획 컨설팅 백
II ㅇ 발표 내용 관련 전문가 컨설팅 및
동료강사 의견 수렴 등

18:30-19:30 저녁식사

[사례 소개]
ㅇ 수업에 활용가능한 아동 교육 대상 이현섭 (아동 음악
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소개 및 공유 분야 예술강사)
아동
- 예술강사의 입장에서 아동복지기관 김은화 (아동 영화
에 처음 나갈 때 겪을 수 있는 여러 분야 예술강사)
가지 상황들 소개

3.2 아동/노인/장애 [사례 소개, 체험] 장태환 (노인 연극


(수) 교육대상별 ㅇ 수업에 활용가능한 노인 교육 대상
09:00-11:30 2.5 분야 예술강사)
3일차 노인 문화예술교육 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소개
이문향 (노인 미술
5H ㅇ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 체험, 토론 분야 예술강사)
사례 소개

[사례 소개, 체험]


박지영 (장애
ㅇ 수업에 활용가능한 장애 교육 대상
국악분야 예술강사)
장애 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소개 및 공유
조동희 (장애 무용
ㅇ 수업 첫 시간에 장애아동, 성인과 함
분야 예술강사)
께할 수 있는 프로그램 소개, 체험

- 12 -
2016 상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안내

날짜 시간 시수 분반여부 교육과목 주요내용 교육강사


11:30-12:30
[사례 소개, 체험, 토론, 정리]
ㅇ 교육대상에 상관 없는 국악, 음악 수
이현섭 (아동 음악
업 체험
분야 예술강사
국악, 음악 ㅇ 국악과 음악분야별 수업 진행 시 공
박지영 (장애
통 문제점 도출 및 해결방법 토론
국악분야 예술강사)
ㅇ 교육대상별 특성에 맞는 문화예술교
육 수업 설계 방법 등 토론

분야별 [사례 소개, 체험, 토론, 정리]


문화예술교육 ㅇ 전래동요 등을 활용하여 공통된 ‘놀 장태환 (노인 연극
12:30-15:00 2.5
이’와 ‘노래’ 로 어린아이부터 어르 분야 예술강사)
연극,무용 수업 사례 체험,
토론 신, 장애인까지 단계별로 적용하여 조동희 (장애 무용
수업을 진행해나가는 방법 소개, 체 분야 예술강사)

[사례 소개, 체험, 토론, 정리]


이문향 (노인 미술
ㅇ 미술, 영화, 사진 분야 수업 때 활용
분야 예술강사)
미술, 영화 가능한, 이미지(사진, 스틸컷)를 활
김은화 (아동 영화
용하여 이야기를 풀 수 있는 방법
분야 예술강사)
소개, 체험, 토론

교육진흥원
15:00- 퇴소식 ㅇ설문지 작성 및 퇴소안내
교육개발팀

합계 18

- 13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박명숙 / 건국대학교 교수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27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8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29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30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31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32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33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34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35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36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37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38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39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40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41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42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43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44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45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46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47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48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49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50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51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52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53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54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55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56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57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58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59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60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61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62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63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64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65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66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67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68 -
교육대상의 이해(노인)

- 69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70 -
시설 현장의 이해(노인복지관)

이강미 / 인천부평구 노인복지관 복지운영 팀장


시설 현장의 이해(노인복지관)

시설현장의 이해 (노인복지관)

인천부평구노인복지관 이강미

Ⅰ. 서론

우리나라는 의학의 발달과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2018년 고령사회 (aged society) 진입을 앞두게
되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50,617,045명 중 65세 이상 인구는
16,501,324명으로 전체 인구의 32.3%를 차지하고 있다(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시도별인구구성비,
2014). 이병찬과 이천희(2013)는 우리나라의 고령화속도는 세계최고 수준으로 정치, 경제, 문화, 교
육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견하였다. 현재 노인 인구의 기대여명은 82.40년
으로 남자는 78.99년, 여자는 85.99년(통계청, 기대여명, 2014)으로 은퇴 후 노인 세대로 살아가는
기간이 은퇴 전 기간보다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노인 인구 증가로 인한 노인의 문제
는 노인자살률 1위와 노인 우울증, 독거노인 고독문제 등으로 다양하다(이병찬·이천희, 2013). 노
년기에는 기력 쇠퇴 및 건강악화, 경제수준 저하, 소외감, 고독감, 자아존중감 저하 등의 각종 심리
사회적 손실을 겪게 되기 때문에(정명숙, 2007) 그에 따르는 노인 문제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이
다. 또한 이에 맞물려 거대 인구 집단인 베이비부머세대의 본격적인 은퇴도 시작되었다. 통계청 인
구추계에 따르면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부머세대 (baby-boomer generation)는
약 712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6%를 차지하고 있으며 (통계청, 2010), 베이비부머 첫 세대인
1955년 출생자가 만 65세가 되는 2020년부터는 노령인구 수가 급격히 증가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
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고령사회 진입과 베이비부머세대의 노인세대 진입으로 노인의 수
는 많아지고 은퇴 후 남는 시간을 여가시간으로 할애할 것이며 교육의 기회가 부족하고 자녀양육으
로 못 다한 배움의 길로 접어드는 노인들이 교육을 지원받는 곳이 노인복지관 만이 유일한 현실을
감안할 때, 노인교육 지원을 위해서는 노인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 노인 빈곤과 자살
예방을 위한 경제적 지원도 필요하겠지만 먼저 노인이 겪고 있는 심리적·신체적·정서적 어려움
을 들어보고 그들을 이해하여,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예방하는 차원의 복지 서비스 방향이
필요할 것이다. 은퇴와 역할상실, 핵가족화로 오는 외로움과 고독을 어루만져줄 수 있는 노인의 대
한 진심어린 관심과 대화가 부족한 현실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노인에 대해 바로 알고 그들의 이야
기를 들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노인이 생활하고 소통하는 노인복지기관과 사회복지사에 대해 이해
하고 파트너쉽을 발휘할 때 노인교육의 전문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 97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아무리 훌륭한 교육이라 해도 교육 대상자의 욕구나 특성, 교육 환경을 파악하지 못한 채 교육을


진행한다면 효과적인 수업결과를 얻을 수 없음. 특히 노인복지관에서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은 일반 대상자보다 특수성이 있고, 노인교육에 대한 매뉴얼이나 강의교수법이 정형화되어 있지 못
한 현실을 반영할 때 교육 대상에 사전 조사와 연구가 없이는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교육을 이루어
낼 수 없다고 판단된다. 이에 노인교육 대상자와 교육 환경에 대한 사전 연구로 복지기관 문화예술
교육지원사업의 취지와 방향에 맞는 양질의 교육을 이루어낼 필요가 있다.
이에 이 교육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노인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인지적 특성을 이해함으
로 교육대상자의 교육 욕구를 파악하고 그들이 생활하는 노인복지관의 특성을 이해하며 사회복지
사의 성향과 의사소통방식을 고민하여 보다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표에는 첫째, 노인을 이해하고 그들의 욕구를 파악한다. 둘째, 노인복지기
관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한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고충을 이해하고 올바른 의사소통방법을
찾아본다.

※ 부평구노인복지관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진행상황 : 2011년∼2016년 (6년차)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음악 음악 음악, 미술, 연극 음악, 미술 미술 음악, 연극

Ⅱ. 본론 : 노인 & 노인복지관+사회복지사 & 예술강사 소통의 방법 찾기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노인과 노인복지


관, 사회복지사에 대해 자세히 알고 예술강사와 소통하는 방법을 터득하여야 노인 평생교육의 효과
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노인, 노인복지기관, 사회복지사에 대해 바로 알고자 한다.

1. 노인의 이해

1) 노인의 정의

(1) 기준
① 노년기 : 인생의 마지막 단계, 성인후기
② 만 65세부터 (노인복지법), 만 60세부터 (노인복지관 이용 기준)

- 98 -
시설 현장의 이해(노인복지관)

③ 예비노인 (베이비부머세대) 특별 프로그램에 한하여 만 50세 이상부터 노인복지관 이용 가


능(노인복지관 운영지침, 2015).
(2) 노인의 연령 구분
① 연소노인 : 55세∼64세
② 중고령노인: 65세∼74세
③ 고령노인 : 75세∼84세
④ 초고령노인 : 85세 이상
→ 노인복지관은 모든 노인이 공존하고 있음, 다양한 연령대가 섞여있는 수업이 대부분인 프로그
램을 진행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다. 노인 집단 사이에서도 연령대별로 서로의 욕구가
다르고 성향이나 개인차이가 있기 때문에 연령대별 특성을 이해하여 섬세하고 정교한 프로그
램상의 배려 필요하겠다.
→ 여성노인의 비율 압도적 (여인천하), 성비에 따른 수업방식 배려 필요. ex) 소극적이거나 소수
인 남성 어르신을 반장으로 선출해 반 분위기가 화기애애하게 이끌어 나갈 수 있다.
(2) 호칭 : ○○어르신, ○○아버님, ○○어머님, 출결체크시 ○○님으로 부르기. (○○언니, 오
빠, 형님 사용 금지)
(3) 노인여가복지시설 노인 현황
(단위 : 개소, 명)
65세 이상 노인인구 노인복지관
시·도 합계 경로당 노인교실
(2014.12.31.주민등록 인구기준) 시설수 종사자수
합계 6,549,277 65,665 344 5,301 63,960 1361
서울 1,223,221 3,743 74 1,284 3,298 371
부산 494,664 2,378 30 353 2,180 168
대구 305,141 1,490 13 115 1,426 51
인천 299,529 1,490 18 208 1,428 44
광주 160,620 1,339 10 201 1,281 48
대전 159,199 819 6 192 791 22
울산 97,922 792 10 118 763 19
세종 19,985 401 0 0 394 7
경기 1,260,611 9,372 52 1,308 9,164 156
강원 256,465 3,071 12 175 3,032 27
충북 229,642 4,045 17 263 4,013 15
충남 331,915 5,670 14 197 5,575 81
전북 323,690 6,619 23 288 6,530 66
전남 384,415 8,851 32 287 8,755 64
경북 468,883 7,859 14 123 7,734 111
경남 450,704 7,293 18 179 7,187 88
제주 82,671 433 1 10 409 23
(출처 : 노인복지시설 현황, 2015, 보건복지부)

- 99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2) 노인의 특성

(1) 신체적 특성
① 외모 : 키 2.5cm정도 줄어듦, 등뼈가 굽기도 함, 팔다리얼굴 상부의 지방 감소, 턱과 몸통
의 살이 늘어나 체형이 바뀐다. 노화반점, 머리카락 감소, 탄력 없고 흰색이 된다.
② 장기중량 : 40대 이후 심장을 제외한 장기중량 감소, 뇌, 인체지방성분, 고형성분, 수분 감소
③ 건강상태 : 노인의 70% 정도 만성, 복합적 질환, 치아손실, 혀의 점막 퇴화, 폐활량 감소
④ 반응속도 : 자극에 대한 반응 속도의 감소, 행동둔화현상, 뇌의 둔화는 운동활동과 정신기
능에 영향을 미침, 그래서 규칙적인 운동으로 노인들의 반응시간을 개선시키려는 역할을
한다.
⑤ 뇌 : 탄성력 흐려지고 건망증, 경험과 학습의 반복에 의하여 새로운 능력 발달
⑥ 소화 및 흡수 : 치아결손, 효소감소, 위장근육약화로 소화기능 감퇴, 변비
⑦ 기타 : 호흡감퇴, 혈액순환 감소, 동맥경화로 인한 고혈압과 뇌졸중 위험, 수면시간 감소,
낮잠이 많아지고 수면중 일시적인 호흡장애 발생,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통각 (통증
은 증가하나 통증에 대한 민감성이 감소) 떨어진다.

(2) 인지적 특성
① 유동성지능 : 추리, 분별력, 기억력, 문제해결의 속도 등 점차 하강 곡선
결정성 지능 : 경험, 교육, 훈련을 통하여 후천적으로 획득, 어휘, 일반상식, 언어이해 노년
기까지 지속적으로 증가
② 노년기의 지능과 특징적 현상 노년기의 노인들이 갑작스러운 지적감퇴를 나타낸다면, 우리
는 사망이 임박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배우자의 사망이나 친구, 친지사망으로 충격을 받
아 발생하는 일도 많다.)
③ 학습능력 : 연령이 증가할수록 학습능력 저하 (노인에게 충분한 시간, 학습과제가 의미 있
고 분명, 학습내용 구체적이고 잘 조직되어 있을수록, 학습결과에 대한 보상이 있을수록 노
인의 학습 능력은 향상될 수 있다.)
④ 기억력 : 노화가 진행되면서 전반적으로 약화되기는 하지만 형태에 따라 약화의 정도가 다
르다. 장기기억이나 최고기억보다는 단기 및 최근 기억의 능력이 크게 약화되고, 기계적인
암기기억보다는 논리적인 것의 기억 더 크게 감퇴, 본 것보다는 들은 것의 기억이 덜 감소
된다.
⑤ 노화와 더불어 창의성도 떨어진다는 결론 내리기는 어렵다.

- 100 -
시설 현장의 이해(노인복지관)

(3) 심리적 특성(윤진, 1996:Ruth, 1996, 재인용)


① 내향성 및 수동성 증가 : 외부 사물이나 행동보다는 내적인 측면에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
며, 자신의 사고나 감정에 따라 사물을 판단하고 능동적 문제 해결보다는 타인에 대한 의
존성이 증가한다.
② 조심성의 증가 : 정확성을 중시하며, 감각능력이 감퇴하고 결정에 대한 자신감의 결여로 인
하여 확실한 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진다.
③ 경직성의 증가 : 자신에게 익숙한 습관적 태도와 방법을 고수하며, 이로 인해 대체로 학습
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저하된다.
④ 우울 성향의 증가 : 신체질병, 배우자 사망, 경제사정 악화, 사회로부터의 고립, 일상생활에
대한 통제력 약화, 과거에 대한 회상의 증가로 인하여 우울 서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불
면, 무감각, 강박관념, 증오심, 체중감소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⑤ 생에 대한 회상의 경향 : 과거의 인생을 회상하여 남은 시간 동안에 지금까지 해결하지 못
한 것을 찾아서 새로운 해결을 시도하고 새로운 인생의 의미를 발견하려 한다.
⑥ 친근한 사물에 대한 애착 증가 : 사용해 온 물건에 대한 애착이 증가하며, 이를 통해 과거
인생을 회상하고 마음의 평온을 추구한다.
⑦ 성역할 지각의 변화 : 남성은 친밀성, 의존성, 관계지향성이 증가하는 반면 여성은 공격성,
자기주장, 자기중심성, 권위주의 성향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⑧ 의존성의 증가 :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경제적,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의존성이 전반적으
로 증가한다.
⑨ 시간전망의 변화 : 40세 이후부터 시간전망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남아 있는 시간을 계산하
고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회피하기 위해서 과거에 대한 회상에 집중하거나 또
는 과도하게 미래지향적이 된다.
⑩ 유산을 남기려는 경향 : 죽기 전에 자손, 예술작품, 기술, 지식, 재산 등 뭔가를 남기려는
성향이 강해진다.

(4) 사회적 특성
노년기에 이르게 되면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며 사회화에서 분
리되는 경우가 많다. 가정 내에서 의존적 지위로 전략하게 됨으로써 적절한 역할을 발견하지 못하
여 무위의 상태에 이르기도 한다. 평균수명의 연장과 자녀수의 감소로 자녀양육기간은 줄어들고 배
우자 사망 이후 독신으로 생활하는 기간이 늘어나게 되며 배우자의 사망이라는 상실을 경험하게 된
다. 이때 많은 노인들은 잦은 눈물, 불면증, 식욕상실, 체중감소, 사회활동에 대한 관심저하, 불안,
우울, 분노, 비통, 죄의식 등과 같은 애도 감정이나 이와 관련된 행동을 나타낸다. 최근에는 손자녀

- 101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양육으로 겪는 극심한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와의 갈등 사례가 빈번히 발생한다. (할마, 할빠라는 신


조어 등장)

3) 노인과의 의사소통

(1) 노년이 되면 달라지는 9가지


① 몸이 변한다.
② 시각, 청각, 미각, 후각이 전체적으로 둔해진다.
③ 기억력이 많이 떨어진다.
④ 노년에도 사랑과 성이 존재한다.
⑤ 우울증 경향이 늘어난다.
⑥ 융통성이 없어지고 경직성이 증가한다.
⑦ 자꾸만 과거를 돌아본다.
⑧ 친숙한 물건에 대한 애착이 심해진다.
⑨ 자기중심이 되기도 한다.
→ 그러나 노인이라고 다 같지는 않다.

(2) 노인과의 적당한 거리유지방법


① 금품수수금지 : 설날, 추석, 스승의 날 등 상품권, 선물 정중히 거절하기
② 개인적인 식사 자제 : 식사비용은 어르신들의 주머니에서 나오고 식사비용이 남을 경우 그
것이 금품이 되어 돌아온다.
③ 잦은 전화통화 및 심야시간대의 카톡 및 문자메세지 등 지양 : 이성적인 감정으로 오해할
수 있다.

(3) 어르신의 마음을 여는 대화법 & 자세


① 잘 듣기
② 옷차림은 단정하게 예쁘게, 어르신의 외모 변화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칭찬하기
③ 자존심 건드리지 않기, 실수한 것을 공개적으로 이야기하여 핀잔을 주지 말고 수업 전이나
후에 조용히 이야기 나누기.
④ 독선적, 단정적 화법 피하기 : 안돼요! 하지 마세요! 보다는 이렇게 하시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은데 어르신 생각은 어떠세요? 죄송하지만, 이렇게 하시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⑤ 다양한 배려, 생활 습관의 이해와 존중 : 화장실 자주가기, 물 자주 마시러 나가기 등
⑥ 푸념과 욕에 동조하지 않기 : 주변 어르신의 험담을 다른 어르신과 하지 않기

- 102 -
시설 현장의 이해(노인복지관)

⑦ 자신이 한 말에 책임지기 : 어르신과의 약속 지키기, 지키지 못할 약속은 하지 않는다.


⑧ 인사를 주고받는 것에서 인간관계 시작
도덕시간에 배운 것처럼 인사는 마주칠 때마다 계속~ 처음 인사는 크게, 계속 마주치면 목
례로..
⑨ 웃는 얼굴도 대하기, 화를 내고 먼저 얼굴을 붉히면 지는 것!
⑩ 밝고 쾌활하게, 솔직하고 성의 있게 대답하기
⑪ 시간약속은 꼭 지키기 : 어르신들은 수업 시작 1시간 전부터 기다리고 계신다.
→ 노화의 진행과정을 받아들이고 그러한 노인에 대한 이해가 기본 전제가 되어 있어야 효과적
인 노인 대상 수업을 운영할 수 있다.

2. 노인복지관의 이해

1) 노인복지관의 역할과 기능

(1) 노인복지관이란?
노인의 교양․취미생활 및 사회참여활동 등에 대한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증진예방
과 소득보장․재가복지, 그 밖에 노인의 복지증진에 필요한 종합적인 노인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

(2) 노인복지관의 역할
○ 노인복지관은 노인복지서비스가 필요한 노인을 대상으로
① 건강한 노후를 위한 예방, 케어 기반구축 및 확충
② 활동적인 노후를 위한 사회참여 여건 조성 및 활성화
③ 안정적 노후를 위한 소득보장의 다양화와 내실화를 통해 성공적인 노후가 실현될 수 있도
록 지원하는 종합적 노인복지서비스 전달기구로서 중심적 역할 수행

(3) 노인복지관의 연혁
○ 1971년 인천시 노인복지회관 설립
○ 1981년 노인복지법 제정 시 법적근거 마련
- 노인복지시설(양로, 노인양로, 무료양로, 노인복지회관)로 분류(생활 시설과 구분된 이용시설)
○ 1989년 노인복지법내 여가시설 규정 신설
○ 1997년 노인복지시설(주거, 의료, 여가, 재가)중 노인여가복지시설로 분류
(1997년 8월 제5차 노인복지법 개정)

- 103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000년 노인복지관내 경로당 활성화사업 실시


○ 2001년 1월 29일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사단법인 설립허가
○ 2005년 노인복지관 운영지원 지방이양사업으로 추진
○ 2006년 노인자원봉사 활성화 사업 실시
○ 2008년 노인자살예방사업 실시
○ 2008년 8월 4일 노인복지회관에서 ”노인복지관”으로 명칭 변경 사용
(2007년 8월 3일 노인복지법 제36조 개정)
○ 2010년 노인권익증진사업 실시

2) 노인복지기관의 현황

<2015 노인복지시설 유형 및 종류> - 노인복지법 제31조


시설유형 시설종류

노인주거복지시설 양로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노인복지주택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인여가복지시설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

재가노인복지시설 방문요양서비스, 주·야간보호서비스, 방문목욕서비스, 재가노인지원서비스

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일자리지원기관 노인일자리지원기관

(출처 : 노인복지시설 현황, 2015, 보건복지부)

<연도별 노인 복지시설 현황> (노인여가복지시설만 일부 발췌)


(단위: 개소, 명)
종류 시설 2014 2013 2012 2011 2010
노인여가복지시설 노인복지관 344 319 300 281 259

(출처 : 노인복지시설 현황, 2015, 보건복지부)

3) 노인복지관과의 의사소통 : 노인복지관과 예술강사가 소통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가 매개가


되어 이루어져야한다. 노인복지관과 지자체, 운영법인의 설립 목적과 목표와 예술강사가 추구
하는 방향의 절충안을 사회복지사가 잘 매개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의사소통 방식이 필요하겠다.

- 104 -
시설 현장의 이해(노인복지관)

3. 사회복지사의 이해

1) 사회복지사의 역할

(1) 사회복지사란?
1970년대 사회복지사업종사자로 시작하여 1983년 5월 사회복지사업법이 개정되면서 사회사업가
또는 사회사업종사자의 명칭이 "사회복지사"로 규정되어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발급되기 시작.
이후 사회사업은 사회사업학의 학문적 체계에서 사용되어지고, 사회복지사의 영문표기는 "Social
Worker"로 사용. 우리나라는 사회복지사업법 제 11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사회복지에 관한 전
문지식과 기술을 가진 자"를 사회복지사로 규정(한국사회복사협회 홈페이지)
- 호칭 : ○○복지사님, 선생님

(2) 활동분야
- 사회복지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 시설 거주자의 생활지도 업무
- 사회복지를 필요로 하는 자에 대한 상담업무
사회복지사업법 제14조 :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게 하기 위하여 시도, 시군구
① 공적사회복지
및 읍면동 또는 복지사무전담기구에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가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두
영역
도록 규정하고 있음.
② 사회복지기관
지역복지사업, 아동복지, 노인복지, 장애인복지, 모자복지 등의 민간 사회복지지관 영역
및 시설 영역
의료사회복지사 (Medical Social Worker)
병원이나 진료소에서 임상치료팀의 일원으로 질병의 직 · 간접적인 원인이 되고 치료에
장애가 되는 환자의 심리 · 사회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도와주며, 환자가 퇴원한 후에
도 정상적인 사회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환자와 그의 가족에게 전문적인 사회복지서비스
③ 보건의료영역
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사
(의료법, 정신보건
정신보건사회복지사 (Mental Health Social Worker)
법에서 규정)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소지자중에서 정신보건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정신
질환자의 개인력 및 사회조사,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사업지도 및 방문지도, 사회복귀 촉
진을 위한 생활훈련 및 직업훈련,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교육 · 지도 및 상담업무,
정신질환 예방 활동 및 정신보건에 관한 조사연구를 하는 사회복지사
- 학교사회복지사 (School Social Worker)
학생 개개인의 지적, 사회적, 정서적 욕구와 문제해결에 관심을 갖도록 도와주며, 이를 통
하여 모든 학생들이 학교에서 공평한 교육기회와 성취감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사회복지의
④ 확장영역 다양한 실천방법을 활용하는 사회복지
- 자원봉사활동관리 전문가 (Voluntary Activities Coordinator)
자원봉사자들을 모집, 배치, 상담, 훈련하고 자원봉사자 활용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 평
가하는 사회복지사

- 105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교정사회복지사 (Correctional Social Worker)


현행 법무부산하의 교정시설에서 범죄인의 재활과 범죄 예방에 개입하고 있는 사회복지전
문직은 교정사회복지사로 통칭되고 있음.

- 군사회복지사 (Military Social Worker)


군대내의 의무직에 속하여 환자의 상담과 복귀를 위한 복지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
병과분류 764/의무병과 · 의무행정 · 사회사업으로 분류.
- 산업사회복지사 (Industrial Social Worker)
기업체에서 노동자들의 비복지적 문제의 개선을 위해 사회복지학의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문제해결을 수행하는 사회복지사
(출처 : 한국사회복사협회 홈페이지)

(3) 사회복지사의 성향
① 사회복지사로서의 자부심이 강함
② 외향적인 척
③ 보수적, 관료주의적

2) 사회복지사의 고충

① 정치적 압력에 노출
② 민원수습
③ 돌발상황 (사고, 사망)
④ 과중한 업무량
⑤ 도덕적으로 올바르게 행동해야 한다는 부담감
⑥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어르신들의 넋두리 (점심시간, 티타임이 자유롭지 못함.)

3) 사회복지사와의 의사소통 = 수업 중 발생하는 예술강사와 사회복지사 간 마찰을 피하고 효과


적인 수업 운영을 위해 사전에 논의해야 할 점들

① 사전에 충분히 의논하기 : 수업 기자재 사용, 수업재료 구입, 현장학습 시기


② 출석대상 노인들에 대한 성향 및 욕구 파악
③ 수업의 방향성 (노인, 사회복지사, 예술강사), 수업기자재 구입의 절충안
④ 발표회 및 전시회 일정, 기관의 시기와 수업차시 간의 어긋남으로 인한 예술강사의 무조건
적 희생 지양
⑤ 법인카드 사용 문제, 그에 따른 필요서류, 지출구입기안 결재의 승인 절차 이해
⑥ 사소한 부분도 논의하기 (수업을 방해하는 어르신, 수업시간 중 일어난 사건.. 등)

- 106 -
시설 현장의 이해(노인복지관)

⑦ 지원사업 예산 외 예술강사의 사비용이 지출되지 않도록, 그것을 사회복지사가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도록.
⑧ 수업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 정확히 엄수
⑨ 예술강사는 수업일지 게시 기간에 맞춰서 입력, 사회복지사는 기간을 엄수하여 출강승인 =
출강승인의 절차도 바꿀 수 있도록 진흥원 측에 건의 필요

Ⅲ. 결론

지금까지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노인, 노인복지관, 사회


복지사의 특성과 의사소통방법을 알아보았다. 이로 인해 예술강사는 노인복지기관의 현장을 이해할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예술강사의 노인복지기관 현장의 이해로 인한 긍정적 효과로 첫째, 문
화예술교육지원사업의 지속적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참여 어르신들
의 수업의 효과를 체험한 후 참여자가 많아져 어르신 간 경쟁이 치열해져 수업의 참여율이 향상되
어 수업의 질 또한 높아질 것이다. 둘째, 그로인한 전시·발표회의 작품성이 향상되어 차기년도 사
업 참여의 동기부여가 될 것이다. 셋째, 예술강사와 좋은 인연으로 복지관 자체 프로그램 강사로
배치되는 사례가 발생할 것이다. 넷째, 노인복지기관에서의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과 예술강사의 필
요성을 절실히 느끼며 예술강사의 전문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예술강사는 수업을 통해 만나게 되는 어르신, 노인복지관과 사회복지사의 특성을 파악
하고 노화에 과정에서 오는 어르신들의 특성과 돌발 상황, 노인복지관 사업 및 노인복지관의 역할
과 사회복지사의 특성 및 고충, 협력방법을 진심으로 이해하며 서로 소통한다면, 복지기관 문화예
술지원사업의 효과는 극대화 될 것이라 생각된다.
노인복지기관 현장의 이해라는 과목이 예술강사님들의 문화예술지원사업 운영에 첫 발을 내딛는
소중하고 의미 있는 시간이었길 바란다.

늙은 쥐의 지혜

태촌 (傣村) 고상안 (高尙顔)의 효빈잡기 (效顰雜記)에서


옛날에 늙은 주가 음식물을 훔쳐 먹는데 신묘한 재주가 있었다. 그러나 늙은 쥐는 눈이 어두워지고 힘
이 쇠해 지면서 능히 스스로 훔쳐 먹을 수가 없게 되었다. 쥐들은 지난 날 늙은 쥐한테서 배운 기술로
그 훔친 음식물을 나누어서 늙은 쥐를 봉양한지도 오랜 세월이 지났다. 쥐들은 스스로 늙은 쥐의 묘법을
다 배우고 나서는 다시는 훔친 음식물을 나누어 봉양치 아니 하므로, 늙은 쥐는 분함을 품어 온지가 오래
이었다. 어느 날 저녁 시골 아낙네가 저녁을 지어먹고 솥 가운데 음식을 놓아두고는 솥뚜껑을 돌로 눌러

- 107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놓았다. 그것을 다른 쥐들이 그 음식물을 훔쳐 먹으려고 했으나 계책이 궁하였다. 한 쥐가 말하기를 “이


는 늙은 쥐에게 물어 보는 것만 같이 못하다.”하여 다들 승낙하고는 함께 늙은 쥐에게 가서 그 계책을 물
었다. 늙은 쥐는 진노하면서 “너희들은 나의 도를 잘 배워서 너희들만이 항상 배부르게 먹으면서도 요즘
엔 나에게 나누어 주는 것을 볼 수가 없으니 나는 결코 그 묘책을 말해 줄 수가 없다.”고 하는 말에 모든
쥐들은 머리를 조아리고 사죄하면서 말하기를 “저희들 모두는 죄를 지었습니다. 다만 지난 일 너무 꾸짖
지 마시옵고, 앞으로는 잘 따르겠사오니 원컨대 우리에게 묘책을 잘 가르쳐 주십시오.”라고 했다. 늙은 쥐
는 분을 삭히고 말하기를 “솥은 3개의 발이 있는데 그 중 1개의 발밑을 함께 파 내려가면 깊이 불과 몇
치만 파더라도 솥은 저절로 기울어지고 솥뚜껑은 저절로 떨어질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쥐들은 달려가서
땅을 파 내려가 본 즉 과연 그의 말과 같았다. 정말 배부르게 먹고 돌아와 그 남은 음식을 늙은 쥐에게
보내 주었다. 아! 미물도 그러 할진데, 하물며 사람이야!

Ⅳ. 참고문헌

권중돈(2015), 노인복지론, 학지사.


보건복지부(2015), 2015년 노인복지시설 현황, www.mw.go.kr.
부산여성가족개발원(2013), 예비노인들의 은퇴 후 행복한 삶을 위한 준비 [전자자료] : 제 16회 부산
여성가족정책포럼 세미나자료 2013.
성연옥(2012), 고령화시대의 노인교육에 관한 연구 : 프랑스, 독일, 영국의 노년교육정책 및 교육프
로그램을 중심으로, 경영컨설팅리뷰, 제3권 제2호, 2012년 8월, pp. 33-52.
이병찬·이천희(2013), 베이비부머의 성공적 노화인식과 여가 태도, 레저스포츠 참여의사 간의 관
계 연구, 한국체육과학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97∼211.
이효선(2006), 질적 연구에 의한 한국 노인들의 삶의 이해, 노인복지연구 2006 봄호 [통권 31호], 한
국노인복지학회, pp.73-99.
인천광역시청(2015), 2015년 군·구 노인복지관 운영지침.
정명숙(2007), 우리나라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 시설노인과 일반노인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0권 제2호, pp.145-169.
통계청(2010), 사회조사를 통해 본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 통계청.
통계청(2014), 장래인구추계.
통계청(2014), 시도별 인구구성비.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홈페이지, www.welfare.net.
홍숙자(2002), 노년학 개론, 도서출판 하우.

- 108 -
시설 현장의 이해(장애인복지관)

송영미 / 서대문장애인복지관 아동지원 팀장


시설 현장의 이해(장애인복지관)

- 111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112 -
시설 현장의 이해(장애인복지관)

- 113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114 -
시설 현장의 이해(장애인복지관)

- 115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116 -
시설 현장의 이해(장애인복지관)

- 117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118 -
시설 현장의 이해(장애인복지관)

- 119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120 -
시설 현장의 이해(장애인복지관)

- 121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122 -
시설 현장의 이해(장애인복지관)

- 123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124 -
시설 현장의 이해(장애인복지관)

- 125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126 -
시설 현장의 이해(장애인복지관)

- 127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128 -
아동 교육대상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체험, 토론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아동 문화예술교육 사례 체험

- 아동영화 예술강사 김은화

<어느 외곈쌤의 영화감상 수업>

복사한 활동지를 챙겨들고 영화수업에 도착한 외곈쌤이 정신없이 수업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이때 등장하는 중학교 남학생들. 그 중 활발한 동원과 준표.

동원: 쌤! 오늘은 무슨 영화 봐요?


외곈쌤: 오늘은 아주~~~아주 재미있는 다큐멘터리 영화를 준비했어.
동원: 또 다큐멘터리 봐요?
외곈쌤: 그냥 다큐멘터리가 아니라 아주~~~아주 재미있는 다큐멘터리...(라니깐!)
동원: <분노의 핑퐁> 이거 열라 재밌는데, 그거 보지!
준표: 야! 깝치지마! <아바타>가 대봑이야! 이거 다운 받아놨는데, 오늘 이거 봐요!
외곈쌤: 불법다운은 안돼~! 그래도 우린 수업하는거잖아~! 그러니까...(웅얼웅얼)
준표: 아~~~ 무슨 이비에스도 아니고...
외곈쌤: 다들 모여봐~! 오늘은 액션배우들에 대한 다큐를 볼건데, 자! 모두......

이렇게 시작된 영화감상 수업은 아이들의 마음은 콩밭에 남겨둔 채 시작됩니다. 그러나 어떠
한 상황에서도 굴하지 않고 영화감상 수업을 진행하다보면 아이들이 드러눕는 건 기본이고(특히
숙소 방이나 마루에서 수업이 진행될 경우), 학교에서 돌아와 교복도 갈아입지 않은 피곤한 상황
일 경우 잠들어버리기 일쑤입니다. (아이들이 축구라도 한 판 뛰고 온 날엔 더더욱!) 때로는 문을
벌컥 열고 들어와 시설의 일정 때문에 아이들을 데려가시는 선생님을 말릴 수도 없고...

문벌컥쌤: 야! 강동원! 구준표! 어이쿠! 선생님! 죄송합니다~! 애들이 일을 좀 거들어야돼서...


너희들 나와서 배추 좀 날러!
외곈쌤: 아, 네네! 괜찮아요! 동원이, 준표! 언능 일어나~!

- 195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심지어 자다 일어나는 동원과 툴툴거리는 준표. 그렇게 감상수업 중 대부분의 학생이 잠들고
강사 혼자 말똥말똥 눈을 뜨고 있을 때는 내가 지금 무얼 하고 있나? 내가 해야 할 일을 제대로
하고 있는 건가? 학생들이 나를 좋아할까? 나한테 이 영화는 무지 재미있는데, 아이들도 그 즐거
움을 깨달을 수 있을까? 좋은 선생님이란 수업을 통해 아이들이 스스로 영화 속 의미를 깨달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는 것인데....하는 많은 생각들이 머릿속을 뿌연 연기처럼 가득 채웁니
다.

아동들과 함께 하는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특히나 복지시설에서 아동들을 만


나온 분들이라면 위와 같은 상황을 잘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예술강사들은 온몸으로, 그것도
되도록이면 편하고 길게 누워있기를 호소하는 아동들과 어떤 수업을 만들어갈 수 있을까요? 수업진
행이 가능하기는 할까요? 아동들을 벌떡 일으킬만한 필승법이라도 있을까요? 이에 대한 답을 이번
시간에 찾아봅니다.

- 196 -
아동 교육대상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체험, 토론

[사례1] 대천애육원 ‘바다내음반’

선생님과 함께하는 영화여행

영화와 함께 호흡하는 1박2일의 짧고도 긴 여행.


영화를 나누고 추억을 나누고 마음을 나누는 시간.
모두에게 자신의 새로운 모습을 찾아가는 여정이기를!

[일정소개]
# 11월 20일 (토) # 11월 21일 (일)
16:30 새마을호 열차 대천역에서 출발. 09:00 일어나서 씻고 아침식사.
17:15 삽교역에서 김은화 선생님 투입. 10:00 ‘실로암’에서 월드컵 경기장으로 이동.
19:00 용산역 도착. CGV용산11이 있는 11:00 CGV상암10 도착 후 둘러보기.
스페이스9 둘러보기. 저녁식사. 11:20 <모터싸이클 다이어리>관람.
20:55 <여선생VS여제자>관람. 13:30 점심식사. 경기장 구경하며
22:55 지하철 타고 서울역으로 이동. 영화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
23:30 서울역 앞 시설좋은 찜질방 ‘실로암’ 14:50 용산역으로 이동.
이후 자유시간. 15:55 용산역에서 대천역으로 출발.

[사례2] 덕산신생원 ‘모둠 영화 읽기’

덕산신생원의 자매였던 숙희, 명희는 말 한마디 하는


것조차도 쑥쓰러워 하던 친구들이었습니다. 언제나 수
업시간에 답답할 정도로 얌전하기만한 모습이었는데 모
둠 영화읽기 수업에는 나서서 스티커를 붙이고 자기 의
견을 밝히기 위해 전지에 여러 가지 표시를 남기느라
몰두했습니다.
이렇게 보육원 친구들 중에는 글을 쓸 줄 모르거나 자
신의 의견을 밝히는 것을 무척 부끄러워하는 친구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런 친구들도 영화읽기 수업을 통해
모둠에 참여하고 자신이 일원임을 확인하며 자존감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197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사례3] 애민보육원 ‘우두동 영화부’


------------------------------------------------------------
***선생님께

그동안 건강히 잘 지내셨는지요? 이런저런 소식을 접하며 여러가지 일들로 바쁘시겠구나...하고 짐작해봅니다! ^^*
전 요즘 수업때문에 고민이 많답니다! 그래서 이렇게 메일로까지 찾아뵙게 된 것인지도 모르겠어요.
제가 수업하고 있는 한 시설의 친구들 수업태도 때문입니다.
개별적으로는 끼고 넘치고 재주가 있는 친구들이지만 언제나 뭉쳐 놓으면 떠들고 서로 싸우고 비방하기 일쑤랍니다.
친구들이 너무 떠들어서 그 속에서 함께 고함을 지르고 있는 제 자신을 발견하고는 '내가 뭘 하고 있는거지?'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무언가 와르르 무너지는 느낌도 들었지요..

이 친구들과 앞으로 어떻게 헤쳐 나가야할지 난감합니다. 제가 너무 부족한 교사여서 친구들의 수업태도가 나빠진
것은 아닐까 언제나 걱정이고 그래서 마음이 무겁습니다.. 무언가 말씀해주실 수 있는 조언 있으면 부탁드려요~!
--------------------------------------------------------------
-----------------------------------------------------------
은화쌤~하이요~!

(생략).....저는 영화를 좋아해서 강사일을 하게 됐어요.


그냥 애들이랑 즐겁게 영화를 즐기는 거죠.
그런데 수업을 하다보면 그게 어려워요.
난 좋은데 애들은 왜 안따라 올까? 난 알겠는데 애들은 왜 어려워할까?
저는 교육학을 배운것도 아니고, 아동 심리에 관심도 없습니다.
아이들에 대해 알지도 못하는 제가 일주일에 겨우 2시간 만나는 아이들에게 욕심을 부리고
수업을 만들어 간다는 건 말도 안 되는 것 같아요.
그냥 영화가 즐거운 것이라는 것, 영화를 통해 자기 생각을 남에게 전달 할 수 있다는 것,
그거면 되잖아요~! 영화를 안 만들면 어때요~기법이 틀리면 어떻고~^^
그런 수업이 일년 이년 지나면 아이들은 스폰지처럼 쌤의 영화 수업을 몸으로 흡수하고 있을거예요.
아이들은 떠들기 마련이니까~아이들은 공부 하기 싫어하는 거 당연하니까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수업을 하자고요~!
저도 그게 안돼서 매일 상처 받지만요 ㅋㅋㅋ

----------------------------------------------------------

2006년 6월, 1학기 내내 마음속에 쌓아두었던 걱정거리를 혼자서 끙끙 앓다가 결국은 주변의 영
화선생님들께 도움을 받고자 제가 적어 보냈던 메일의 내용이랍니다. 제게 이런 걱정거리를 안겨준
말썽꾸러기 친구들을 처음 만났을 땐 제멋대로 삐죽삐죽 가지가 솟아있는 한 그루의 가시나무 같았
습니다. 친구들에게 다가가기도 힘들고, 보고있기만해도 못된 가지는 잘라내고 싶을 만큼 미운 구
석이 가득한 나무였지요.

- 198 -
아동 교육대상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체험, 토론

동료선생님의 메일을 받고 늘 아이들의 문제점에 대해서만 생각하고 정작 제 자신의 욕심에 대


해서는 무뎠던 스스로의 모습이 부끄럽게 느껴졌습니다. 제가 지닌 욕심의 잣대가 얼마나 높았는지
깨닫게 되자 맘은 한결 가벼워지는 느낌이었지요.
이후에도 말썽꾸러기 친구들과의 만남은 계속되었습니다. 친구들은 여전히 떠들고 전과 다름없
는 모습이지만, 제 마음의 잣대가 바뀐 이후엔 가시나무 그대로의 모습을 인정하게 되었습니다. 가
장 말썽꾸러기였던 한 친구는 영화촬영이 시작된 이후에 매주 자신만의 애드립으로 촬영장을 웃음
바다로 만들어 버립니다. 1학기 때 이 친구를 못난 가지라고 잘라버렸다면 지금의 이 기분을 느낄
수 없었겠지요. 때때로 보여주는 친구들의 미소가 가시나무에 두둥실 걸려있는 파아란 뭉개구름 같
아 기분이 좋습니다.

[사례4] 동부아동상담소 ‘안녕, 나우리!’

2006년 동부나우리 친구들과의 첫 수업 전 선생님들로부터 우려와 당부가 섞인 많은 이야기들을


들었습니다. '아이들이 좀 드셀거예요...' 라는 말씀부터 가출, 도벽, 약물남용 등의 문제행동을 보
이는 친구들이 모여 있는 곳이라는 이야기에 '나보다 키도 큰 친구들이 혹시 때리면 어쩌지?' 하는
코믹액션(?)영화 같은 생각을 잠시 하기도 하였지요..^^;;
그러나 한 반에 18명이나 되는 나우리 친구들은 학교 안에서의 자신의 위치, 지켜야할 행동들
에 무척이나 잘 훈련된 모습이었습니다. 어른 못지않은 커다란 덩치와 입에서 여과 없이 튀어
나오는 거친 말들에 비하면 마음은 너무도 여리고 순수한 어린아이들이었지요.

==========================================================

김은화샘!

요즘은 대안학교에 수업을 나가서 자원봉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지인인 초등학교 선생님께서 만드신 학교인데,
대안적 교육방법으로 영화교육에 관심이 많으신 선생님이라 제가 하는 일들에 봉사해 주셔서 빚을 갚을겸 시간을
보내고 있죠.
그 선생님 왈... '여기 애들은 참 건방져요. 선생님한테 엎히고 툭치고 지나가고... 근데 점심시간에 토끼한테 쪼로
로 달려가서 풀뜯어 주는 것을 보면 눈빛이 달라요. 그 눈빛을 보면 애들의 건방진(?) 행동이 애교라는 것을 알
수 있죠' 라고 하시더군요.
좋아하는 것들을 찾아줘야 될 것 같습니다. 문제는 그것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것인데... ^^
제 충고나 도움은 필요 없을 것 같아요. 위에 이야기들 선생님도 충분히 알고 있는 것일진데요 뭐, 힘내시길!

=====================================================

- 199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친구들이 좋아하는 것을 손에 쥐어주고 응원해 주는 것, 그것은 참으로 많은 노력과 관심이 깃들


지 않으면 하기 어려운 일입니다. 영화 수업에서는 더더욱 교사의 욕심을 억누르기 어렵기에 힘든
작업이지요. 그러다보니 수업은 언제나 NG열전입니다. 10번의 NG끝에 겨우 하나의 OK컷을 받아
내고 안도하는 친구들...
하지만 막상 자신들이 찍은 것을 굳이 재생시켜 보겠다며 카메라를 뺏어가 옹기종기 모인 친구
들은 OK컷 보다는 NG컷에 더 즐거워하며 박장대소를 터뜨립니다. 대사가 엉키고, 몸이 말을 듣지
않고, 물건들이 떨어지고, 지나가는 친구들은 눈치 없이 카메라에 얼굴을 들이대고, 심지어 잠시 인
터뷰에 응해주시는 선생님들께서도 쑥쓰러움에 얼굴이 달아올라 NG를 쏟아내십니다.
그러나 이 모든 NG컷들이 친구들의 웃음을 만들어내듯 지금의 NG컷 같은 시간들이 훗날 친구
들에게 되짚어보며 웃을 수 있는 추억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복지시설 아동들과의 수업을 위한 자가 점검]


교사로서 학생들에게 가졌던 욕심의 부피를 줄일 준비가 되셨나요?

아이들의 NG장면도 너그럽게 웃으며 바라볼 준비가 되셨나요?

예술강사로서 여러분이 마지막까지 손에 쥐고 있을 본질은 무엇인가요?

- 200 -
노인 교육대상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체험, 토론

- 201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02 -
노인 교육대상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체험, 토론

- 203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04 -
노인 교육대상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체험, 토론

- 205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06 -
노인 교육대상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체험, 토론

- 207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08 -
노인 교육대상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체험, 토론

- 209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10 -
노인 교육대상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체험, 토론

- 211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12 -
노인 교육대상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체험, 토론

- 213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14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28 -
분야별 문화예술교육 수업 사례 체험, 토론

[국악, 음악] 이현섭 / 아동 음악 분야 예술강사

박지영 / 장애 국악분야 예술강사

[연극, 무용] 장태환 / 노인 연극 분야 예술강사

조동희 / 장애 무용 분야 예술강사

[미술, 사진, 영화] 이문향 / 노인 미술 분야 예술강사

김은화 / 아동 영화 분야 예술강사
연극, 무용 문화예술교육 수업 사례 체험, 토론

- 245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46 -
연극, 무용 문화예술교육 수업 사례 체험, 토론

- 247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48 -
연극, 무용 문화예술교육 수업 사례 체험, 토론

- 249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50 -
연극, 무용 문화예술교육 수업 사례 체험, 토론

- 251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문화예술교육 수업사례 토론

- 노인미술 예술강사 이문향


- 아동영화 예술강사 김은화

<시각적 스토리텔링 수업 기획하고 토론하기>

한 장의 사진 혹은 여러 장의 사진이 주어진다면 여러분은 어떤 예술교육을 시도해보시겠습니


까? 혹은 어떤 수업을 기획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시각적 스토리텔링 수업은 규칙 없이 주어진
다양한 스틸컷을 가지고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도구삼아 수업을 만들어보는 시간입니다. 모둠별로
하나의 수업을 기획하고 발표하며 서로에게 아이디어를 피드백 받고 의견을 나누어봅시다.

▪ 수업을 만드는 다양한 방법들


- 스틸컷을 활용한 미술수업의 사례
- 스틸컷을 활용한 영화수업의 사례

▪ 스틸사진을 통한 생각하기-접근법
- 주어진 스틸컷으로 수업 아이디어 떠올리기

▪ 토론을 통한 생각 이어가기-수업으로 풀기
- 모둠별로 하나의 수업 만들기

▪ 발표를 통한 공감하기
- 모둠별 수업 전개과정 발표

▪ 피드백을 통한 의견 공유
- 의견개진을 통해 수업에 즉각적으로 활용 가능한 팁 얻기

- 252 -
미술, 영화, 사진 문화예술교육 수업 사례 체험, 토론

- 253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54 -
미술, 영화, 사진 문화예술교육 수업 사례 체험, 토론

- 255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56 -
[참고] 2016 통합운영시스템 사용 안내
[참고] 2016 통합운영시스템 사용 안내

- 259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60 -
[참고] 2016 통합운영시스템 사용 안내

- 261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62 -
[참고] 2016 통합운영시스템 사용 안내

- 263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64 -
[참고] 2016 통합운영시스템 사용 안내

- 265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266 -
[참고] 2016 통합운영시스템 사용 안내

- 267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및
아르떼 아카데미 소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및 아르떼 아카데미 소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과학기술부가 함께 마련한 「문화예술교육활성화 종합계획


」의 근본취지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습니다.
* 설립근거: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 10조)

창의교육 지원
학교교육(School Arts Education 예술로 사람을, 사람으로 예술을)
예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진취적이고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 문화예술교
육 활동을 지원합니다. 특히, 학생들의 입장에서 함께 고민하고 역량있는 예술강사를 파견하여 학생들이 스
스로 예술적 감수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고 타인과 교감할 수 있는 자세를 배울 수 있도록 합니다. 성장
하는 학생들 모두가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이를 매개로 소통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
- 예술강사 지원사업 운영
- 학교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 학교 예술강사 교육활동 지원

창의교육 (Creative Education 아이들 마음에 예술의 씨앗 심기)


문화예술교육은 자라는 아이들의 현재와 미래를 풍요롭게 합니다. 창작과 표현의 기쁨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경험입니다.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운영을 통해 모든 어린이·청소년이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도록 창의교육의 기반을 만들어 갑니다.
- 예술꽃 씨앗학교
-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신규분야 개발과 확대
-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운영

예술협력사업
사회교육 (Community Relations 행복한 삶과 공존의 문화)
문화예술교육은 사람과 사람 사이를 이어주며 사회 공동체를 건강하게 만듭니다. 우리 사회 모든 세대와 계
층이 문화예술을 배우고 경험하는 조화로운 사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만들어 갑니다.
-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
- 범 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
- 시민 문화예술교육 지원

- 271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가족문화 (Cultural Relations 서로 소통하고 함께 성장하는 문화예술교육)


자라나는 아이들과 가족 구성원 모두가 문화예술 소양을 함양하고, 또래·가족 간 서로 소통하며 함께 성장
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을 만들어 갑니다.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 문화가 있는 날
- 인문예술 캠프

지역협력 (Regional Partnerships 건강한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지역의 문화적 환경과 특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구현될 수 있도록 중앙과 지역 간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기획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소외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

예술교육기반
정책연구 (Policy Analysis and Research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업의 질적 제고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연구 사업과 연구서비스화 사업, 출판
사업, 전문가 연구회 운영을 추진합니다.
- 연구 개발
- 연구 서비스화 & 문화예술교육 포럼

홍보국제 (Public and International Relations 공감과 소통의 문화예술교육의 확장)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목표로 대중과 소통하고, 전략적 국제교류 활동을 통
해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합니다.
- 정책 공감
- 문화예술 명예교사
-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개최
- 글로벌 문화예술교육

예술교육연수센터 (KACES Arts Education Center 문화예술교육의 동반 성장)


교육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적 자원입니다. 인적 자원의 자질이 높아지면 교육의 수준도 높아집니
다.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창의적인 리더와 인재를 키워 문화예술교육의 주춧돌로 삼고자 합니다. 문화예술
교육 관련 인재들의 전문 역량을 높여 문화예술교육의 동반 성장을 이끌어가는 일,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만들어 갑니다
- 문화예술교육 ArtE Academy : AA
- 학교·사회 예술강사 연수 : 의무연수, 선택연수, 보수교육
-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연수 :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교원, 행정인력, 공무원, 예비인력 등

- 272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및 아르떼 아카데미 소개

2016 ArtE Academy, AA

‣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신규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예술 강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 역량강화를 위하여 개설됩니다. 예술교육의 가치와 중요성, 예술적 경험이 교육현장에서 어떤 의
미를 갖는 지에 대하여 체험을 통해 이해하고, 지속적인 자기계발과 자신만의 독자적 실행능력을 길러
능동적으로 자신의 교육활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총 60시수로 구성된 의무연수는 상‧하반기
방학기간에 집체식으로 진행되며, 주로 ‘타 분야 예술체험 및 예술통합 프로젝트, 분야별 워크숍, 학교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학교·사회 예술강사 예술강사 선택연수


학교 및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 경력이 쌓인 강사를 위해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 전문성을 강
화하고 예술가이자 예술교육자로서 경력 개발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연수를 개설 운영합니다.
예술분야별 교수학습 역량 강화, 예술놀이 체험 워크숍,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기획 워크숍, 상담기법 등
예술강사의 수요와 현장의 니즈를 반영한 연수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 사회 문화예술교육 실무자 역량 강화 연수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장 실무자의 창의적인 기획 역량과 문화예술교육 전문
성, 기초 직무 소양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단체 실무자 및 강사를 중심으로 실제 현장 업무에 도움
이 되는 의무연수 및 선택연수과정을 구성하여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양질의 프로그램이 풍부해질 수 있
도록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 교원 문화예술교육 역량 강화 연수
학교교육에서 아이들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교원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이해 및 창의적 교육 역
량 강화를 위한 연수를 제공하여 보다 적극적인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서울시교
육청, 부산시교육청 등 특수분야 직무연수로 인정받아 교원 학점을 연계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 행정인력 문화예술교육 역량 강화 연수
16개 광역 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및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직원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성 및
행정 실무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를 제공합니다. 지역 현장의 문화예술교육 기관·단체간 원활한 네트워
킹 및 동반 성장을 위해 실무자 및 관리자의 전문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해 직무 중심의 연수을 개설하고
있습니다.

‣ 공무원 문화예술정책 역량 강화 연수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문화정책 기획역량 강화 및 문화적 리더십 함양을 위하여 문
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융합의 이해, 생활 속 문화예술교육 정책현장 탐방 등 문화정책 전반의 교육과정
을 기획·운영합니다.

- 273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 주제 중심 문화예술교육 키움(Key-um) 연수
문화예술교육 키움 프로그램은 예술강사, 교육기획자 등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및 교원, 공무원, 광역센
터 담당자 등 문화예술교육 협력자를 대상으로 필요한 핵심 교육내용에 따라 단계별 연수프로그램을
모듈화 한 교육과정 브랜드명입니다.
키움은 열쇠를 의미하는 ‘Key’와 공간을 의미하는 ‘-Um’이 결합된 어휘로, 대상별, 분야별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과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의 핵심 주제 중심의 다소 특별한 문화예술교육 키움(Key-Um) 연수프
로그램을 기획·운영합니다.
※ 인문, 창의, 융합, 생각, 감성, 예술, 역량의 7가지 키움(Key-Um)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P)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P, Community of Practice)’는 특정 지식분야에 대해 관심을 같이하는
구성원들이 On/Off-line을 통해 지식을 공유·학습·창출하는 실천적 지식 동아리 형태의 연수형태입
니다. 무엇보다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학문적 접근 보다는 현장 중심의 실용적인 주제로 매개자 간 자
유롭게 토론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문화예술교육 사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
점을 발견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학습자 중심의 ‘멘토-멘티간 밀착형 학습공동체’ 연수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 대학(원)생 대상 문화도담 연수
문화도담은 전국 대학생·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예비 문화예술교육 기획인력 양성과정입니다.
문화도담 참여자는 각 지역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문화예술을 이해하며, 우리 일상생활 곳곳에 숨은 문
화예술자원을 스스로 탐방하여 발굴하고 공유하는 활동을 하게 됩니다.
대학(원)생의 시각으로 바라 본 생활 속 문화예술교육 관련한 주제 선정부터 기획까지 참여자가 주체
가 되어 활동하는 교육과정으로 선배 문화예술교육자(강사, 기획자 등)와 예비인력이 함께 하는 ‘체험
워크숍'과 '문화예술교육 인물탐구’ 등 교육과정에 참여하여 실질적인 멘토링 제공, 전문가와의 네트워
킹 계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274 -
신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길라잡이

발 행 인 주 성 혜
발 행 일 2016. 2
발 행 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 www.arte.or.kr
주 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로 128
연 락 처 T:02-6209-1322 F:02-6455-5969
기획/제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개발팀
인 쇄 리드릭(사단법인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 본 자료집 내용의 무단전재 및 복제를 금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