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8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

발행인
주성혜

발행일
2017. 01.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예술교육사업본부장 노준석
지역활성화팀장 임선영
지역활성화팀 최미란

등록
KACES-1670-R003

ISBN
978-89-6748-193-3 93370

문의
Tel. 02.6209.5900
Fax .02.6209.1392
E-mail. contact@arte.or.kr
www.arte.or.kr

ⓒ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에 있습니다.
제출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귀하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를 제출합니다.

2017년 1월

연구진

책임연구자
이동수 상명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공동연구자
김현수 상명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외래교수
김보람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콘텐츠전공 박사과정

연구보조원
서윤아 문화예술교육연구소 아트키움 프로그램디렉터
윤니나 문화예술교육연구소 아트키움 프로그램디렉터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3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3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3

2. 연구 목적 5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1. 연구 내용 6

2. 연구 방법 7

3. 기대효과 8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11

제1절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이론적 고찰 11

1. 문화예술교육의 개념 11

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17

제2절 지역 문화자원에 대한 이론적 고찰 29

1. 지역문화의 개념 29

2. 지역 문화자원의 개념 31

3.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문화자원 연계 34

제3절 문화자원·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선행연구 39

1. 문화자원 분류체계 관련 선행연구 39

2. 문화예술교육자원 관련 분류체계 선행연구 47

제4절 선행연구의 시사점 51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55

제1절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 틀 55

목차|i
1. 1차 FGI 조사 개요 55

2. 1차 FGI 조사 내용 분석 결과 56

제2절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안) 62

1. 분류체계 구성 원칙 및 방법 62

2. 2차 FGI 조사 개요 64

3. 2차 FGI 조사 내용 분석 결과 65

4. 3차 FGI 조사 개요 92

5. 3차 FGI 조사 내용 분석 결과 93

Ⅳ. 결론 및 활용방안 제언 97

제1절 연구 요약 및 시사점 97

제2절 향후 연구 및 분류체계 활용에 대한 제언 99

1. 향후 연구 제언 99

2. 분류체계 활용에 대한 제언 100

참고문헌 105

부 록 113

ii|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


표 차례

<표 Ⅱ-1> ‘문화’에 관한 선행연구 12

<표 Ⅱ-2> ‘예술’에 관한 선행연구 12

<표 Ⅱ-3> ‘문화예술’에 관한 선행연구 13

<표 Ⅱ-4> 예술교육의 이해 14

<표 Ⅱ-5> 문화교육의 이해 14

<표 Ⅱ-6> 문화예술교육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 1(2010년 이전) 15

<표 Ⅱ-7> 문화예술교육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 2(2010년 이후) 16

<표 Ⅱ-8> 연도별 문화예술교육의 핵심사업 정리 17

<표 Ⅱ-9>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연혁(2000-2015) 20

<표 Ⅱ-10>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현황 및 증감률 20

<표 Ⅱ-11>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장르별 현황 21

<표 Ⅱ-12>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연혁(2008-2015) 21

<표 Ⅱ-13>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장르별 비율 22

<표 Ⅱ-14>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 연혁(2004-2015) 23

<표 Ⅱ-15> 사회 문화예술교육 연도별 추세 24

<표 Ⅱ-16> 문화예술교육 참여 학교(기관) 및 참여자 수(2005~2015) 24

<표 Ⅱ-17>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의 추진체계 1 24


(부처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외)

<표 Ⅱ-18>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의 추진체계 2 25


(부처간 협력 문화예술교육사업)

<표 Ⅱ-19>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 연혁(2004-2013) 26

<표 Ⅱ-20>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 장르별 현황 1(수혜인원 수) 27

<표 Ⅱ-21>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 장르별 현황 2(예술강사 수) 27

<표 Ⅱ-22>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업별 장르 현황 28

<표 Ⅱ-23> 지역문화 개념에 대한 선행연구 30

<표 Ⅱ-24> 문화예술교육 발전계획의 중점과제 34

목차|iii
<표 Ⅱ-25> 길 위의 인문학 사업 35

<표 Ⅱ-2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사업 증감률 37

<표 Ⅱ-27> 광역시/도 단위 문화자원 분류체계 40

<표 Ⅱ-28> 그 외 선행연구를 통해 나타난 문화자원 분류기준 41

<표 Ⅱ-29> 문화지표 분류체계 비교 42

<표 Ⅱ-30> 해외 문화지표 분류체계 비교 44

<표 Ⅱ-31> 문화자원관련 온라인 D/B 시스템 분류체계 선행연구 46

<표 Ⅱ-32> 패싯(facet)기반의 문화예술교육 분류 시스템 48

<표 Ⅱ-33>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 및 관련 지표체계 49

<표 Ⅱ-34> 사회 문화예술교육 분류체계안 50

<표 Ⅲ-1> 1차 FGI 조사 개요 55

<표 Ⅲ-2> 1차 전문가 FGI 내용 분석 결과 (정의 및 개념 정립) 56

<표 Ⅲ-3> 조작적 정의(일반적 보편성, 문화적 보편성, 지역의 고유성, 지역의 58
특수성)

<표 Ⅲ-4> 1차 전문가 FGI 내용 분석 결과 (범주 모형) 58

<표 Ⅲ-5> 1차 전문가 FGI 내용 분석 결과 (개념 모형) 60

<표 Ⅲ-6> 2차 FGI 전문가 개요 64

<표 Ⅲ-7> 2차 전문가 FGI 내용 분석 결과(분류체계) 65

<표 Ⅲ-8> 콘텐츠자원 분류체계 구성요소 정의 68

<표 Ⅲ-9> 콘텐츠자원 분류체계 73

<표 Ⅲ-10> 콘텐츠자원 분류체계 출처 75

<표 Ⅲ-11> 인적 자원 구분 분류체계 구성요소 정의 76

<표 Ⅲ-12> 인적 자원 분류체계 78

<표 Ⅲ-13> 인적 자원 분류체계 출처 79

<표 Ⅲ-14> 제도적 자원 분류체계 구성요소 정의 80

<표 Ⅲ-15> 제도적 자원 분류체계 82

<표 Ⅲ-16> 제도적 자원 구분 분류체계 출처 82

<표 Ⅲ-17> 공간자원 분류체계 구성요소 정의 83

iv|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


<표 Ⅲ-18> 공간자원 분류체계 85

<표 Ⅲ-19> 공간자원 분류체계 출처 85

<표 Ⅲ-20> 문화예술교육 프로세스 기반 단계별 사용 자원 및 정의 86

<표 Ⅲ-21> 프로세스 기반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안) 90

<표 Ⅲ-22> 3차 FGI 전문가 개요 92

<표 Ⅲ-23> 3차 전문가 FGI 내용 분석 결과(활용방안) 93

<표 Ⅳ-1> 지역의 역사문화자원 조사 예시 101

목차|v
그림 차례

[그림 Ⅰ-1] 연구 목적 및 주요 연구내용 5

[그림 Ⅱ-1]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 체계도 18

[그림 Ⅱ-2]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추진체계 19

[그림 Ⅱ-3] 예술꽃 씨앗학교 추진체계도 22

[그림 Ⅲ-1] 지역문화예술교육자원 범주 모형 59

[그림 Ⅲ-2]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모형 61

[그림 Ⅲ-3] 분류체계 구성의 5가지 원칙 63

[그림 Ⅲ-4] 분류체계 구축 방법 63

[그림 Ⅲ-5]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 프로세스 67

[그림 Ⅳ-1]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활용 예시 102

[그림 Ⅳ-2]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To-Be 모델 102

vi|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


요약

1. 연구목적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문화예술교육은 지난 2004년 <문화예술교육활성화 종합계획> 발표, 2005년 문화예술


교육지원법 제정 및 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설립을 시작으로 10여 년간 정책 및 법적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2014년부터 문화예술교육의 ‘일상화·지역화·내실화’를 목표로 다
양한 정책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문화예술교육시장은 이러한 정책적 기반을 바탕으로 관련 예산과 사업 규모 모두 괄목할
만한 양적 확대를 이룩하였음.
◦ 하지만 수도권과 지역 간 문화격차가 여전히 주요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지역특성화 문화
예술교육의 증가율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타 지원 사업에 비해 저조하여 문화예술
교육의 지역화를 이루었다고 보기 어려운 실정임.
◦ 따라서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양질의 발전과 자생력 강화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자원의 효
율적 활용을 위한 개념정립, 분류체계 마련 등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체계를 확립하는
등의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임.

2) 연구목적 및 기대효과

◦ 연구목적은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및 분류체계를 확립하여 전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자원을 조사·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
련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음.
◦ 본 연구는 산발적으로 연구되어오던 문화예술교육자원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분류하여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기초적인 학문적 정립에 기여함.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는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자원 진단
및 개발을 위한 가이드 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현재 주요하게 사용되는 핵심자원 외에
향후 활용가능한 자원의 외연 확장을 도모할 수 있음.
◦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요약|vii
2.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 내용

◦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①문화예술교육의 현황검토 및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정립,


②분류체계 개발, ③활용방안 제시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음.
◦ 문화예술교육자원은 이전에 사용되지 않은 새로운 개념으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용
어 정의 및 개념 정립, 범주모형, 개념 모형을 설계함.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 기준을 정립하고 구성요인 구축 및 요인 개념화를 통
해 분류체계를 확립함.

2) 연구 방법

◦ 문헌연구, 전문가 FGI, 지역 현장 답사 등의 정성 조사방법을 활용함.


◦ 문헌연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및 사업추세를 살펴보고 문화예술교육, 문화자원, 분
류체계 등 주요 키워드를 바탕으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해외 문화자원 관련 분류체
계 사례를 분석함.
◦ 전문가 FGI는 문화예술교육 연구자, 교수, 문화예술교육 현장전문가, 분류체계 전문가 등
각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3차례에 걸쳐 실시함.
- 1차 FGI: 지역문화예술교육 자원 정의 및 개념 정립, 범주모델/개념모델도출
- 2차 FGI: 정립된 개념을 토대로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①핵심구성요소 기반,
②프로세스 기반)를 개발
- 3차 FGI: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및 활용방안에 관련된 최종 피드백을 반
영하고 지역 현장을 답사하여 향후 분류체계의 활용방안을 제시

[그림 1] 연구 내용 및 방법

viii|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


3.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1)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정의 및 개념

◦ 본 연구는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을 정의하기 위해 우선 ‘문화예술교육’과 ‘자원’에 대한


연구진의 관점을 정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자원을 ‘예술교육을 중심으로 다
양한 문화 예술적 배움을 위해 활용가능한 모든 재료’로 정리함.
◦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은 ‘문화예술교육에 활용되는 일반적
보편성과 문화적 보편성, 지역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지닌 모든 유․무형의 자원’ 으로 정의
하였으며 자세한 단어별 조작적 정의는 <표 1>과 같음.

<표 1> 조작적 정의(일반적 보편성, 문화적 보편성, 지역의 고유성, 지역의 특수성)

단어 정의
일반적 보편성 일부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지역에 두루 해당하거나 통하는 성질을 지닌 자원
문화적 보편성 문화와 관련된 모든 요소들이 전체에 두루 미치거나 통하는 성질을 지닌 자원
타 지역과 구별 지을 수 있는 그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성질이나 그 사물이
지역의 고유성
나타내는 특유한 자원
타 지역과 구별 지을 수 있는 동시에 지역 내에서 소통할 수 있는 매개로 작용할
지역의 특수성
수 있는 자원

□ 범주모형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범주모형은 문화자원, 문화예술교육자원, 지역 문화예술교육자


원으로 3단계의 계층을 구분함.
◦ 범주모형에는 각 계층이 지니는 범주의 크기를 표현하였으며 하층에는 가장 광범위한
문화자원이, 중간층에 문화예술교육자원이, 최상층에는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이 위
치됨. 이들 간에는 교집합의 요소들이 존재하며 서로 유기적인 영향관계에 있음.

□ 개념모형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모형은 크게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 소재의


성격을 지니는 자원이 배치된 ‘내부 층’과 문화예술교육을 실행에 있어 하드웨어적 성
격을 지닌 자원이 있는 ‘외부 층’의 두 개 층위로 표현됨.
◦ 향후 새로운 문화예술교육자원도 반영할 수 있도록 층위로 구성함.

요약|ix
2)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핵심구성요소 기반 분류체계

◦ 문화예술교육의 ‘핵심구성요소’ 기반 분류체계는 크게 콘텐츠(소재)자원, 인적 자원, 제도


적 자원, 공간자원의 총 4개의 다차원적인 분류체계로 구성되며 개발된 분류체계를 최종
적으로 종합하여 제시하면 <표 2>와 같음.
- 콘텐츠자원 구분 분류체계의 대분류로는 예술문화자원, 역사문화자원, 생활문화자원,
자연문화자원, 융합자원이 있음.
- 인적자원 구분 분류체계의 대분류로는 행위자(기획·공급·인력), 수혜자(교육수혜대상)
가 있음.
- 제도적 자원 구분 분류체계의 대분류로는 예산, 시스템, 기관이 있음.
- 공간자원 구분 분류체계의 대분류로는 문화시설, 청소년 활동시설, 평생교육 시설,
기타 대통령령 시설, 기타 특수시설이 있음.
◦ 분류체계에 ‘구분’란에는 전 지역에서 표준화된 조사가 가능할 경우 ‘공통’, 지역적인 조
사가 필요한 경우 ‘지역’, 전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조사가능하나 지역의 특수성을 지닌
경우 ‘공통/지역’으로 구분함.
◦ 향후 추가 연구 및 실태 조사 설계 시 참고·활용을 위해 분류체계의 각 카테고리 별 상세
한 자원 출처와 분류코드를 기재 하여 유용함을 제공함.

<표 2>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핵심요소 기반 분류체계

기준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분


1-1-①.
음악, 국악, 연극, 뮤지컬, 무용
공연예술자원
1-1-②. 조소, 공예, 도예, 서예, 디자인, 미디어 아트, 만화,
시각예술자원 판화, 설치, 사진, 건축, 행위예술, 기타, 회화
1-1.
1-1-③. 소설, 희곡·시나리오, 수필, 아동문학, 외국문학, 공통
예술문화
문학예술자원 설화문학, 평론/이론, 기타, 시/시조
자원
1-1-④. 영화,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DVD·비디오물,
1.
영상예술자원 방송프로그램, 기타영상
콘텐츠
(소재) 1-1-⑤.
크로스오버 음악, 무비컬 등
자원 통합예술자원
국가지정문 국보, 보물,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화재 국가무형문화재, 중요민속문화재 등
1-2.
1-2-①. 시·도지정 시·도 유·무형 문화재, 시·도 기념물,
역사문화 지역
문화재 문화재 시·도 민속문화재, 문화재자료 등
자원

등록문화재 각종시설

x|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


기준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분
세계유산 기록유산, 무형유산 등
1종 종합박물관, 전문박물관, 동식물원,
박물관 식물원, 수족관 등
1-2-②.
박물관 자료관·사료관·유물관·전시장·전시관·향토
2종
관·교육관·문서관·기념관·보존소·민속관·
박물관
민속촌·문화관 및 예술관, 문화의 집 등
노래·소리·타령, 정악·산조·제례악, 기능공,
무형
놀이와 의식, 건축기능공, 술·음식, 제례,
문화재
1-2-③. 무용
전통문화자원 전통문화보
전 국악원, 전수회관, 지방문화원, 기타
전수시설
1-3-①.
패션, 뷰티, 섬유, 염색 등
의(衣)문화
1-3. 1-3-②.
요리, 발효음식, 주류, 차/다도 등
생활문화 식(食)문화 지역
자원 1-3-③. 숙박체험, 한옥 및 전통문화 체험, 홈스테이,
주(住)문화 도시·농촌 민박 등
1-3-④.기타 상설시장, 정기시장, 5일장, 지역 특산물 축제 등
자연환경 논, 밭, 평야 등
1-4-①.
농·축산 자원 식물원, 동물원, 목장, 농업체험마을,
자연관광
체험시설, 농경문화박물관 등
바다·만, 강, 하천, 습지·늪, 호수·못, 섬,
자연환경
샘, 하구, 해안지형 등
1-4-②. 해수욕장, 항만, 해양보호구역,
수자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해양박물관,
자연관광
해양국립공원, 온라인 바다생태정보나라
1-4. 등
자연문화 지역
자원 자연환경 산, 숲, 계곡·골짜기, 폭포, 바위 등

1-4-③. 수목원, 국립공원, 자연휴양림,


산림자원 산촌생태마을, 숲길, 삼림교육시설,
자연관광
산림과학도서관, 산림과학박물관,
온라인 숲사랑 체험관 등
동굴, 기후, 광물 채굴장, 천문관측소
자연환경

1-4-④.기타
자연박물관, 기타 자연문화 체험장,
자연관광
생태자연축제 등
1-5-①. e-book, e-learning, 디지털게임, 디지털 음악,
1-5. 디지털콘텐츠 디지털정보콘텐츠, 디지털커뮤니케이션1) 등
공통
융합자원 그래픽스, 빅데이터2) 3D, UHD,VR 등 실감영상,
1-5-②.기술
VFX, 홀로그램3) 등
2. 2-1.
2-1-①. 진흥원, 타 부처 및 협력기관 담당자, 지역문화재단 공통
인적 공급자
행정인력 및 지역 센터 담당자, 기타 /지역
자원 (기획·공급

요약|xi
기준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분

2-1-②-a.
2-1- 문화예술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문화예술교육강사, 기타 공통
②. 교육강사
교육
인력) 2-1-②-b.
인력
문화예술 문화예술단체, 문화예술교육단체, 기타 지역
(교육)단체4)
학교 교원, 지역 유명인사, 문화예술인, 공통
2-1-③.기타
지역 커뮤니티, 기타 /지역
2-2-①.유아동
2-2. 2-2-②.청소년
수혜자 2-2-③.청장년 - 공통
(교육수혜 (성인_1)
대상) 2-2-④.노인
(성인_2)
3-1-①.공공 중앙정부(문체부/타 부처), 지자체, 기타 공통
3-1.예산
3-1-②.민간 기업, 민간단체, 개인기부금, 기타 공통
·법: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지역문화진흥법,
문화예술진흥법 등
3-2-①. ·조례: 경기도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경상남도교육청
공통
3-2. 법·조례·규칙 문화예술교육 진흥에 관한 조례 등
3. 시스템 ·규칙: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시행규칙, 초중등
제도적 교육법 시행 규칙 등
자원 3-2-②. 문화예술교육 종합시행계획, 지역문화예술 교육계획,
공통
정책·제도 지역문화진흥계획, 문화예술교육사, 문화해설사, 기타
중앙행정기관(부처/청), 지자체, 공공기관·단체,
3-3-①.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문화재단, 공통
공급·매개기관
3-3.기관 문화예술교육인력양성·연수기관, 기타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문화시설, 청소년활동시설,
3-3-②.수혜기관 공통
평생교육기관, 사회복지시설, 기타 특수시설
4-1. 공연시설, 전시시설, 도서시설, 공연시설과 다른 문화시설이 복합된
문화시설 종합시설 등
4-2.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특화시설,
청소년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 등
활동시설
4. 4-3.평생 평생교육원, 기타 법령에 따라 평생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시설 ㆍ법인
공간자 교육시설 또는 단체 공통
원 4-4.기타
아동복지센터,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대통령령
기타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시설
시설
학교,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공단, 대안문화공간, 대중예술공간,
4-5.기타 대학박물관, 문화예술교육단체공간,
주민자치센터, 여성회관, 사회 복지관, 미디어 센터 등

1) 미래창조과학부(2015), 디지털콘텐츠산업 실태조사, pp.2~4 참조.

xii|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안)
◦ 문화예술교육의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는 문화예술교육 실행의 프로세스 구분에 따라
‘기획’과 ‘교육·실행’ 단계에 중점을 맞추어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를 도출함.
- ‘기획’단계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분석하고 지원 사업에 필요한
사전준비를 하는 단계로 크게 4개의 주요 자원(네트워크 자원, 인적자원, 프로그램
자원, 행정/재정 자원)으로 구분됨.
- ‘교육·실행’ 단계는 실제 문화예술교육을 개발 및 실행·운영하는 단계로 크게 5개의
주요 자원(프로그램 자원, 네트워크 자원, 공간자원, 인적자원, 행정/재정자원)으로
구분됨.
- ‘기획’단계‘ 와 ‘교육·실행’ 단계에서 프로그램자원, 네트워크자원, 인적자원, 행정/재
정 자원은 동일한 중·세분류로 구성되지만 단계별 각 자원의 사용 비율 및 중요도
등이 달라져 세세분류 차원에서 차이가 날 수 있음.

<표 3> 프로세스 기반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안)

단계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Process)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국방부, 법무부, 교육부, 통일부,
중앙(부처)
여성가족부, 기타
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네트워크 기관
공공 지역문화재단, 지자체(광역/기초), 교육지원청 등
자원
협회 협회(협력기관), 위원회, 기타
민간 기업, 주민단체, 각종 민간시설, 기타
기타 협의체, 기타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사,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강사, 예술꽃
강사 씨앗가꾸미, 단체 및 조직, 시민 등
진흥원, 주관기관 담당자, 문화기획자, 담당교사, 관련 협회
행정인력
인적자원 담당자, 수혜시설 담당자, 지역센터, 문화재단 등 관련 기관
(기획/매개)
기획 담당자, 수퍼바이저, 핵심활동가 등
문화예술인 예술활동가, 전공자, 지역별 아티스트
기타 연구자, 교수, 초빙 강사, 외주업체 등
공연예술자원, 시각예술자원, 문학예술자원, 영상예술자원,
예술문화자원
통합예술자원
프로그램 역사문화자원 문화재, 박물관, 전통문화자원
자원 생활문화자원 의(衣)문화, 식(食)문화, 주(住)문화, 기타 생활문화자원
자연문화자원 농·축산 자원, 수자원, 산림자원, 기타 자연문화자원
융합문화자원 디지털콘텐츠, 기술, 기타
법, 제도, 조례,
행정/재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지역문화진흥법, 고용정책기본법 등
규칙, 기타
정자원
예산 공공- 중앙정부(문화부 전체, 문화부 일부 및 타부처), 시,

2) 김효영 외(2013), 문화콘텐츠 특수성을 반영한 문화기술(CT)분류체계 연구, p.118.


3) 한국콘텐츠진흥원(2016), 문화창조융합벨트 지역확산을 위한 기초연구, P.10.
4) 단체유형, 장르, 규모, 주요 거점 지역, 법적 성격 등으로 세세분류 가능

요약|xiii
단계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Process)
도(지자체 일부, 지방교육재정), 국고 입찰, 기타
(공공/민간)
민간- 사립재단, 기업, 개인기부금, 수익자부담금
기술자원 통합운영시스템, 웹페이지 등
공연예술자원, 시각예술자원, 문학예술자원, 영상예술자원,
예술문화자원
통합예술자원
프로그램 역사문화자원 문화재, 박물관, 전통문화자원
자원 생활문화자원 의(衣)문화, 식(食)문화, 주(住)문화, 기타 생활문화자원
자연문화자원 농·축산 자원, 수자원, 산림자원, 기타 자연문화자원
융합문화자원 디지털콘텐츠, 기술, 기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국방부, 법무부, 교육부, 통일부,
중앙(부처)
여성가족부, 기타
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네트워크 기관
공공 지역문화재단, 지자체(광역/기초), 교육지원청 등
자원
협회 협회(협력기관), 위원회, 기타
민간 기업, 주민단체, 각종 민간시설, 기타
기타 협의체, 기타
공연시설, 전시시설, 도서시설, 공연시설과 다른 문화시설이
문화시설
복합된 종합시설 등
청소년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특화시설,
활동시설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 등
평생교육원, 기타 법령에 따라 평생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평생교육시설
공간자원 하는 시설 ㆍ법인 또는 단체
교육·실행 기타 대통령령 아동복지센터,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시설 기타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시설
학교,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공단, 대안문화공간,
기타 대중예술공간, 대학박물관, 문화예술교육단체공간,
주민자치센터, 여성회관, 사회 복지관, 미디어 센터 등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사,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강사, 예술꽃
강사 씨앗가꾸미, 단체 등
기획인력-진흥원, 주관기관 담당자,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
행정인력 담당 교사, 예술꽃 씨앗학교(새싹학교) 담당교사
인적자원
(기획/매개) 매개인력-협회 담당자, 시설 담당자, 지역센터, 문화재단 등
관련 기관 담당자 등
문화예술인 예술 활동가, 전공자, 지역별 아티스트
기타 연구자, 교수 등
법, 제도, 조례,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지역문화진흥법, 고용정책기본법,
규칙, 기타 문화예술교육사 등
공공- 중앙정부(문화부 전체, 문화부 일부 및 타부처), 시,
행정/재 예산
도(지자체 일부, 지방교육재정), 국고 입찰, 기타
정자원 (공공/민간)
민간- 사립재단, 기업, 개인기부금, 수익자부담금
통합운영시스템, SNS, 영상, 사진, 온라인 플랫폼
기술·홍보
홍보물 등

xiv|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


4. 분류체계 활용에 대한 제언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핵심요소 기반 분류체계는 정부차원에서 문


화예술교육자원의 현황분석 및 환경진단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음.
-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분류체계의 활용을 위한 실질적인 사례로서 지역(거제시, 전
주시, 서산시)을 선정하여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자원 목록의 예시를 제시함.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핵심요소 기반 분류체계는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공급자(기
획·공급인력)들이 콘텐츠(소재)자원과 인적 자원, 제도적 자원, 공간 자원과의 다양
한 조합으로 선택 및 활용 가능함.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는 지역의 문화예술
교육 공급자(기획·공급인력)들이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교육·실행 할 때에 고려해야 할
단계별 자원 진단을 위한 가이드 안으로 활용 가능함.
◦ 본 분류체계는 실제 문화예술교육에서 활발하게 활용되는 주요 자원뿐만 아니라 향후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자원까지 포함하여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방향
성을 제공함.

요약|xv
Abstract

□ Purpose of the Study


◦ The market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programs have been hug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regional
culture gap, shortage of resources classification, although enlarging the extension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programs.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egional resources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classification scheme, and this suggests the actual application plan.

□ Methodology & Contents of the Study


◦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by examining relevant significant words and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these establish the concept and the category
model of regional resources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cond, it develops the
regional resources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preceding research. Lastly, it offers the using plan of regional resourc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classification scheme for the actual education field and the persons
concerned.
◦ Two different research methodologies were used for the study;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 Literature review: The study divided the banner word into several parts and analyzed
the concept, related laws and policies. Also, it examined the preceding research about
cultural resources,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programs.
◦ Focus Group Interview(FGI): Consultation meeting was held over the three times.
Lots of experts participated in meeting, such as professors, researchers, operators,
TA(Teaching Artist) and representatives of educational groups.

xvi|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


□ Analysis of the Study
◦ This study defined the resources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All materials for
a variety of arts and cultural learning” and the regional resources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ll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used to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with general and cultural universality, uniqueness of local culture”
◦ The first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core components of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consist of contents resources, human resources, institutional resources and
venue resources.
◦ Contents resources have five large categories; artistic resources, historical resources,
living cultural resources, environmental resources and convergent resources.
◦ Human resources have two large categories; planners and suppliers, targets of the
education(learners).
◦ Institutional resources have three large categories; budget, system, agencies.
◦ Venue resources have five large categories; cultural facilities, youth training centers,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etc.
◦ Second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the process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has
two-stage; planning stage, practical & learning stage.
◦ The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the process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programs demands network resources, human resources, program resources,
administrative & financial resources and venue resources.

□ Proposal of the Study


◦ These classification schemes are useful to analyze and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environment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tch
each resource.
◦ The classification schemes which based on the process is available to guide suppliers
(human resources) to examine phased resource, during plan, training, and
implementation.
◦ It provides the core resources for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s until now.
Furthermore, it presents the resources that can be applied in the future.

요약|xvii
Ⅰ. 서 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I.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문화예술교육은 2005년도 정부 주도 정책 사업으로 시작된 후 지난 10여 년간 발전을


거듭해 옴.
◦ 2004년 11월, 정부의「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이 발표됨. 2005년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발족과 국악협회의 ‘강사풀제’ 사업의 이관으로 정부 주도의 문화예술교육 사
업이 시작됨.
◦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정, 2012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 개정 등으로 문화예술교
육 정책을 위한 법적 기반이 마련됨. 또한, 2011년 광역지자체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
정 완료 및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도입 등을 통해 분야 내의 협력체계 및 전문 인력에 대
한 제도적 기반이 조성됨.
◦ 현 정부는 국정기조인 ‘문화융성 실현’을 목표로 2014년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
획」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일상화·지역화·내실화’를 강조하였으며, 전 국민의 문화로 행
복한 삶 실현 및 문화 격차 해소를 위해 다양한 정책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문화예술교육시장, 정책적 기반을 바탕으로 전체적인 양적 확대를 이룩함.


◦ 2005년부터 현재까지 문화예술교육시장은 문화향유 확대를 위한 예산 증액 및 관련 인프
라에 대한 투자확대를 통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예산 규모가 2005년에서 2015년까지 총 13.5배 증가함.
또한, 지난 11년(2005-2015)간 학교문화예술교육(학교 수 155.5%, 참여 학생 수
274.6%, 예술 강사 202.0%, 지원시수 823.5% 증가)과 사회문화예술교육(복지기관
예술 강사 수 131.3%, 지원사업 수 666.7% 증가) 관련 인프라가 모두 증가세를 나
타냄.

□ 문화예술교육의 외연 확대라는 성과와 동시에 여전한 지역별 문화격차, 관련 자원 분


류체계의 미비 등의 한계도 뚜렷하게 드러남.
◦ 문화예술교육의 지역화 및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체계 확립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됨.
- 2010년부터 중앙-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사업이 확대되고, 2014년「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에서 지역화와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은 계속 강조되어 왔지

I. 서론 | 3
만 여전히 지역화를 충분히 이루었다고 보기 어려움.
- 지역별 문화격차 해소를 전제로 여러 사업이 진행되었으나, 도서관·박물관의 경우
각각 42.1%, 42.6%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문화자원 및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기반시
설자원의 불균형이 여전히 나타나고 있음.
- 특히 수도권과 지방의 문화예술자원 격차의 주요 문제점으로 2016년 기준 전국 문
화기반시설 보유수의 상위 20개 시·군·구에서 수도권의 12개의 시·군·구가 포함 되어
문화자원의 지역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남.
◦ 문화예술교육에 사용되는 다양한 자원들에 대한 개념 정립이 미비하며 각 이해 관계자별
로 사용 중인 자원 분류체계는 통일되지 않은 상태임.
- 외형적으로는 중앙정부에서 광역자치단체까지 전달체계를 구축한 것으로 보이지만
전체적인 문화예술교육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는 미흡한 실정임.

□ 지역사회 단위별로 세분화한 연령, 계층, 문화향유가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문화예술교육의 실현이 필요함.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통한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자생력 강화를 도모해야 함.
◦ 창조경제, 문화융성의 시대에 맞는 지역별 고유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함.
◦ 수도권 중심으로 조성되어있는 자원 및 인프라의 한계에서 벗어나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양질의 발전을 위해서는 기초적인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정립 및 분류체계 마련이 요구
됨. 이를 통해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자원을 발굴하고 자원을 활용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역량강화에 힘써야 함.

□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자원의 효율적 관리 및 지속적 발전을 위해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개념 정립, 과거와 현재까지 사용되어 온 자원에 대한 정리 및 특성 파악, 향후
발굴 가능한 잠재적인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방향 제시가 필요함.
◦ 문화예술교육 관련한 분류체계 연구는 아직 기초적인 단계로 체계적으로 통일화된 분류
체계 기준이 성립되지 않은 상태임.
◦ 특히, 문화예술교육자원 관련하여서는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나 각 광역·기초지자체의 개
별적인 실태 파악 수준에 머물러 있음.
◦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하여 문화예술교육에 사용되는 자원 전체에 대한 현황분석 및
정리, 다차원적인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 설계를 통해 잠재된 문화예술교육자원을
발굴하고 유용하게 활용하여 발전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야 함.

4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2.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합리적이고 다차원적인 기준 아래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를 개발하고 실제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임.
◦ 문화예술교육 및 유사 분야(문화자원), 해외 관련 분류체계 및 온라인 D/B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현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함.
◦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기존 문화예술교육 및 유사 분야(문화자원) 분
류체계를 발전시켜 문화예술교육 분야에 맞는 분류체계를 개발함.
◦ 나아가, 지역의 중앙/광역/기초 단위에서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실태조사 시 활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분류체계의 활용방안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함.

[그림 Ⅰ-1] 연구 목적 및 주요 연구내용

I. 서론 | 5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 내용

□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음.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지


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 개발 및 활용방안 제시를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함.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관련 현황 검토 및 개념 정립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개발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활용방안 제시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관련 현황 검토 및 개념 정립에서 주안점으로 두는 사항 및 구


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음.
◦ 관련 연구 주제어 파악을 시작으로 문화예술교육자원 및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을
도출함.
- 자원, 문화자원, 지역 문화자원, 교육자원, 문화예술교육자원 등 연구 주제어를 분절
하여 각 개념을 정확히 파악하였고 최종 연구 주제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함.
◦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범위를 살펴보고 범주모형과 개념모형을 설계함.
-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범주를 시각화한 범주모형과 개념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제공할 수 있는 개념모형을 설계하였고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지역)문화예술교육
자원의 범주모형과 개념모형을 최종 도출함.
◦ 문화예술교육 및 유사 분야(문화자원)의 분류체계를 파악함.
- 국내·외 문화자원 분류체계, 문화지표, 관련 온라인 D/B 등 실제 상용화된 다양한
분류체계를 분석하고 주요 구성영역 및 세부요소를 파악함.
- 지금까지 진행된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분류체계를 조사하고 산재되어 있는 분류기준
을 통일할 방향을 모색함.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개발에서 중점을 둔 부분은 다음과 같음.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기준은 핵심 구성요소 기반의 분류체계와 프로세스 기반의 분
류체계로 나누어 정립함.
◦ 문화예술교육의 핵심 구성요소가 프로그램, 인력, 공간 등임을 고려하여 크게 콘텐츠(소
재)자원/인적 자원/제도적 자원/공간자원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다차원적 분류체계를
개발함.
◦ 실제 정책 사업으로서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이 진행되는 프로세스에 따라 각 단계에 사
용되는 자원을 제시함. 일반적인 문화예술교육 수행의 단계인 ‘기획’-‘교육·실행’-‘평가

6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및 피드백’에서 ‘기획’ 및 ‘교육·실행’ 단계를 중점을 두어 분류체계를 개발함.
◦ 선행연구와 총 세 차례의 전문가 FGI 자문회의를 통해 각 분류체계의 구성요인을 구축하
였고 신규 구성요인에 대한 의견을 취합하여 최종적인 분류체계를 확립함.

□ 핵심자원 강화 및 향후 활용 가능한 외연자원 확대에 초점을 맞춘 향후 활용방안을 제


시함.
◦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는 지금까지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되어 온 핵
심 자원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함과 동시에 기존 자원 외에 잠재적 활용가능성을 지닌 외
연 자원들을 발굴할 수 있도록 비전을 제시함.
◦ 또한, 문화예술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자원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활용
방안과 지역 현장답사 등을 기반으로 한 실제 자원조사 예시 등을 제시함.

2. 연구 방법

□ 문헌연구
◦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 및 정의 도출을 위하여 연구 표제어를 분절하여 각 단어별 정
의, 관련 법제, 정책 수준에서 살펴봄.
◦ 문화자원 및 문화일반, 문화예술교육 분류체계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문
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의 기준 설정.
◦ 정부 차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온라인 D/B의 분류체계를 검토하여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의 활용도 관련 기준 설정.

□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


◦ 총 3차에 걸쳐 지역별, 분야별(문화예술, 문화예술교육, 분류체계 전문가) 전문가들을 대
상으로 FGI 자문회의를 개최함.
-문화예술(교육)분야 교수, 연구자, 공공기관 담당자, 현장전문가, 예술 강사 및 단체
담당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진행함.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 및 정의에 대한 의견 파악.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범위 및 개념 틀에 대한 의견 파악.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의 광의/협의의 차원에서 접근 가능성 파악.
- 두 개 차원의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핵심 구성요소 기반, 프로세스 기반)
정립에 대한 의견 파악.

I. 서론 | 7
3. 기대효과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학문적 정립에 기여함.


◦ 문화예술교육의 태동기 이후 양적 성장기를 거쳐 현재까지 산발적으로 운용되던 문화예
술교육자원을 체계적으로 분류, 정리하여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을 효과적·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인 발전에 이바지할 것임.

□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내실 강화 및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함.


◦ 통일된 분류체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문화예술교육자원을 파악함으로써 축적된 데이터를
토대로 보다 체계적이고 거시적인 정책 및 예산 수립이 가능함.
- 각 지역별 현황을 파악하여 그에 적합한 정책을 발굴하고 제안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이 가능함.
- 향후 지역별로 풍부하거나 혹은 부족한 자원을 파악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해결을 위
한 정책수립에 용이함.
-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평가를 통해 향후 필요한 예산에 대한 근거자료
로 활용이 가능함.

□ 향후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관련 실태조사 및 추가 연구의 기틀을 마련함.


◦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자원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지역별 특성을 살린 자원 활용을 통한 지
역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음.
- 이는 지역 간 문화적 격차를 해소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별 균형적 발달을 제공할
수 있음.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체계적인 현황파악과 환경진단을 통해 지역문화 및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잠재력 파악이 가능함. 특히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단체들의 교육공
간이 부족한 현실적 상황에서 기존의 교육 공간 외에 잠재적으로 활용가능 한 공간
(시설)자원을 제시하여 실무적 유용성을 제공함.
- 또한, 추후 각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지자체 주관의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기틀을 마련함.

8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Ⅱ.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제1절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제2절 지역 문화자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제3절 문화자원·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선행연구


제4절 선행연구 시사점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연구는 처음 시도되는 것으로 우선적으로 문화예술교육자원의


정의 및 개념 정립을 위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자 함. 이를 위해 기존의 문화예술교육
과 지역 문화자원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자 함. 또한, 국·내외의 문화자원 및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자 함. 이를 통해 지역 문
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정의 및 개념 정립과 분류체계 설계의 근거를 마련함.
□ 구체적으로는 문화·예술의 의미, 예술교육·문화교육의 의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및 현
황, 지역문화의 의미, 지역 문화자원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으로 진행하고자 함. 이를
통해 논의된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에 기초하여 마지막으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
류체계의 개념에 대해 고찰하고자 함.

제1절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문화예술교육의 개념

1) 문화·예술에 대한 이론적 논의

□ 문화예술은 ‘문화’와 ‘예술’의 두 명사가 합쳐진 합성어로서 ‘문화’와 ‘예술’ 각각의 개


념적 정의를 살펴봄.
◦ 문화(文化)는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목적 또는 생활 이상을 실현하고자 사회
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공유, 전달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양식의 과정 및 그 과정에
서 이룩하여 낸 물질적ㆍ정신적 소득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의식주를 비롯하여 언어,
풍습, 종교, 학문, 예술, 제도 따위를 모두 포함”(국립국어원)한 범위를 뜻함.
- 문화는 한 사회 또는 사회적 집단에서 나타나는 예술, 문학, 생활양식 더부살이,
가치관 전통, 신념 등의 독특한 정신적, 물질적 지적 특징이라 함(유네스코).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은 문화를 “예술을 포함한 집단 내에 형성된 생활방식
의 총제이자 제도, 언어 종교 등 사회관계를 포함하는 개념”이라 정의함.
- 문화체육관광부(2016)는 “문화예술, 생활양식, 공동체적 삶의 방식, 가치, 체계, 전통 및
신념 등을 포함하는 사회나 사회 구성원의 고유한 정신적, 물질적, 지적, 감성적 특
성의 총체”로 보고 있음.
- 그 외 ‘문화’ 정의에 관한 선행연구는 아래의 <표 Ⅱ-1>와 같음.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11
<표 Ⅱ-1> ‘문화’에 관한 선행연구

연구자 정의 및 특성
지식, 신념, 신앙, 예술, 도덕, 법룰, 관습 등 물질적, 비물질적인 것을 막론한 인
Edward Taylor
간 활동의 총체
Raymond 지적, 정신적, 심미적인 계발의 일반적 과정, 한 인간이나 시대 또는 집단의 특정
Williams 생활방식(양식), 지적인 작품이나 실천행위, 특히 예술적인 활동
인간이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목적 또는 생활양식을 실현하는 과정이며,
C. Kluckholn
서서히 형성되는 생활방식과 내용의 총체, 인간의 내적 정신적 활동의 소산
경험적 문화(지식과 기술, 그리고 무엇이 실체인가를 규정하는 상황정의 포함) 심
미적 문화 - 모든 사회의 미적 기준을 결정해 주는 가치와 이념으로 구성 규범적
Baldridge
문화 - 사람들이 어떠한 행위를 해야 하고, 또 하지 말아야 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혀줌 특정사회에 있어서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설정해줌
James Spradley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을 해석하고 사회 행동을 조절하는데 사용하는 획득된 지식
Voltaire 구체적이고 개별적이며 산발적인 현상을 보이는 여러 관행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4),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축 연구」, p.25-26 재구성

◦ 예술(藝術)은 “기예와 학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특별한 재료, 기교, 양식 따위로 감상의
대상이 되는 아름다움을 표현하려는 인간의 활동 및 작품”으로 정의되며 공간예술, 시간
예술, 종합예술 등으로 나뉨(국립국어원).
- 예술은 인간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그 자체가 목적인 인간의 활동 및 활동의 산
출물을 의미함(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 예술(藝術)은 학문·종교·도덕 등과 같은 문화의 한 부문으로, 예술 활동(창작, 감상)
과 그 성과(예술 작품)의 총칭이다. 문학, 음악, 미술, 영화, 무용 등의 공연예술이
포함됨(위키백과).
- ‘예술’에 관련된 기타 선행연구는 아래의 <표 Ⅱ-2>와 같음.

<표 Ⅱ-2> ‘예술’에 관한 선행연구

연구자 정의 및 특성
예술은 사람을 즐겁게 하는 형식을 만들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로서 직관과 감수성
Read, Herbert
에 바탕을 둔 ‘조형하려는 의지’의 소산.
예술의 내용은 관념적이고, 그것은 표현 양식의 감각적 형태. 예술 작품의 탁월성
Hegel, G. W. 은 바로 이러한 관념과 형태, 형상이 멋지게 어울려 나타나는 긴밀함과 결합의 정
도에 달려 있음.
예술을 경험으로 이해하고 해석하며 예술의 특성을 생활 경험과 밀접하게 연결시
Dewey,Jhon
킨 점과 하나의 과정으로서 예술 경험을 풀이 함.
예술은 세계를 해석하고 창조할 수 있는 ‘사회적 언어’를 제공함으로써 삶을 이해
황교선
시키고, 세상살이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계기와 방법을 제공함.
출처: Read, Herbert, The Meaning of Art, London: Faber & Faber, 1955
Hegel, G. W. Ästhetik, oder die Philosophie der Kunst, 서정혁 옮김, 서울 :지만지 :ZMANZ,2008
Dewey, John, Art as Experience, New York: Gapricorn Books, G. P. Putnam’s, 1958.
황교선(2008), 문화예술과 연계한 지방자치단체 활성화 정책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12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 문화와 예술을 합성한 문화예술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은 문화예술을 “문학, 조형예술, 공연예술, 전통예술, 생활
문화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그 외의 선행연구에서 정의하는 문화예
술은 다음의 <표 Ⅱ-3>와 같음.

<표 Ⅱ-3> ‘문화예술’에 관한 선행연구

저자 정의 및 특성
황교선 문화예술을 공간예술, 시간예술, 시공간예술로 분류함. 수요자, 생산자, 작품특성에
(2008) 따른 분류에는 순수문화예술과 대중문화예술이 있음
한국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은 합성어로서, 예술을 문화적 맥락 속에서 파악하려는 시도. 지식, 인지,
진흥원
표상, 직관, 연습 등에 기초한 창조적 활동임
(2015)
문화체육관광부 문학, 미술(응용미술 포함), 음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 국악, 사진, 건축, 어문,
(2016) 출판 및 만화

□ 국내 법률상 ‘문화예술’의 정의는 대표적으로「문화예술진흥법」 제2조에서 확인할 수


있음.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문화예술의 진흥을 위한 사업과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전통문화예술을 계승하고 새로운 문화


를 창조하여 민족문화 창달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①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2.2.17., 2013.7.16.>


1. "문화예술"이란 문학, 미술(응용미술을 포함한다), 음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演藝), 국악, 사진, 건축, 어
문(語文), 출판 및 만화를 말한다.
2. "문화산업"이란 문화예술의 창작물 또는 문화예술 용품을 산업 수단에 의하여 기획ㆍ제작ㆍ공연ㆍ전시ㆍ판매
하는 것을 업(業)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3. "문화시설"이란 문화예술 활동에 지속적으로 이용되는 다음 각 목의 시설을 말한다.
가. 「공연법」 제2조제4호에 따른 공연장 등 공연시설
나.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2조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박물관 및 미술관 등 전시시설
다. 「도서관법」 제2조제1호에 따른 도서관 등 도서시설
라. 문화예술회관 등 공연시설과 다른 문화시설이 복합된 종합시설
마.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
4. "문화이용권"이란 문화소외계층이 공연ㆍ전시ㆍ영화ㆍ도서ㆍ음반 등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관람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금액이나 수량이 기재(전자적 또는 자기적 방법에 의한 기록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된 증표를
말한다.
② 문화시설의 종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세분할 수 있다. <개정 2012.2.17.>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13
2) 예술교육, 문화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

□ 문화예술교육은 예술교육, 문화교육 등 다양한 개념에 대한 논의는 단순히 용어의 선


택이 아닌 문화예술교육의 본질적인 가치와 지향점이 내포되어 있음.
◦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에 대한 논의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설립 이전부터 논의되
기 시작하여 진흥원 설립 전후인 2004년과 2005년에 심화되었음.5)
◦ 예술교육은 ‘예술을 통한교육(education through the arts)’ 과 ‘예술을 위한 교육
(education in the arts)’ 으로 구분하고 도구로서의 예술과 목적으로써의 예술이 상호보
완적으로 작용함.

<표 Ⅱ-4> 예술교육의 이해

구 분 주요 내용
­ 미술, 음악, 무용, 등 예술 장르의 특성을 살리고 표현할 수 있는
예술을 위한 교육 지식, 감각, 기능을 양성
­ 창조성, 상상력, 미적 체험을 통해 창의력 등을 성취하는 과정
예술
­ 인간적 성장과 함께 사회적 역량을 키우기 위한 도구적 목적으로
교육
정의
예술을 통한 교육
­ 우리 자신을 창조하고 성취하는 과정일 뿐 아니라 사회집단과
어우러질 수 있는 조화된 개인 양성을 지향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학교문화예술교육 중장기 사업전략 연구」, p.47-48, 재인용

◦ 문화교육은 ‘문화를 통한교육(education through culture)’ 과 ‘문화에 대한 교육


(education for culture)' 으로 구분되며 예술교육과 마찬가지로 문화에 대한 교육과 문화
를 통한 교육이 상호보완적인 교육임.

<표 Ⅱ-5> 문화교육의 이해

구 분 주요 내용
­ 학교나 사회교육기관 등에서 다양한 문화적 현상과 내용을
가르침으로써 학생들의 정서 함양과 문화적 감수성, 예술적
문화를 통한 교육 상상력과 소양을 함양
문화 ­ 학교와 교과 중심의 교육과 달리 학습자의 전인적 발달을 고려한
교육 다양한 현장 체험학습을 포함
­ 고급문화에 한정된 문화관이 아닌, 대중문화, 외국문화, 특정집단의
문화에 대한 교육 하위문화, 전통문화, 제3세계 문화 등을 어떻게 분석하고
해석·행동할 것인가를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0), 「2010 문화예술교육 핵심 용어정립연구」, p.70-71

◦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은 예술교육(예술을 위한 교육 + 예술을 통한 교육)과 문화교육(문화에

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2015 학교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사업전략 연구, p.37.

14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대한 교육 + 문화를 통한교육)이 맞물려 작용하는 교육임.
◦ 또한, 예술장르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창의력, 예술적 감수성에 대한 교육, 세계화의 관점
에서 다양한 문화에 대한 교육과 함께 예술과 문화를 통해 사회를 이해하고 사회 구성원
으로서 발달할 수 있게 하는 교육이라 할 수 있음.

3)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

□ 문화예술교육이라는 용어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설립을 기점으로 기존의 예술교육


에서 문화영역을 포괄하는 의미를 가짐.
◦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이 제정된 시기부터 2010년 서울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
대회 개최 전까지 문화예술교육의 공통적인 개념은 예술을 수단으로 한 문화교육 또는
문화로서 혹은 문화를 통한 예술교육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아래의 <표 Ⅱ-6>와 같음.

<표 Ⅱ-6> 문화예술교육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 1(2010년 이전)

저자 정의 및 특성
황연주,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을 상호 연계적이며, 예술교육을 통해서 교육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
정연희
를 통해 모든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 역량강화를 지향하는 교육.
(2005)
노정호 장르 중심의 통칭 개념인 예술교육과 다양한 삶의 양식을 소통하는 문화 해독력을 길러
(2007) 주는 문화교육을 어우르는 교육.
정연희 문화예술교육은 문화 복지를 지향하는 미적・예술적 교육이며, 예술교육을 문화교육의 개
(2008) 념 실천을 위한 수단이며 도구적 관점으로 인지할 수 있음.
박은희 문화의 영역 중 예술교육을 통해서 인간의 감성과 이성을 자극하여 감수성을 개발하고
(2008) 창의성을 습득하게 하여 삶의 질적 향상을 유도하는 교육 방법.
한국문화예술
문화예술교육이란 크게는 문화교육과 예술교육 그리고 작게는 예술로써의 문화교육과
교육진흥원
예술을 통한 문화교육을 의미 함.
(2009)
한국문화예술
문화예술교육은 ‘예술을 수단으로 한 문화교육’을 의미할 수 있고, ‘문화로써 혹은 문화를
교육진흥원
통한 예술교육’으로도 이해 됨.
(2010)

□ 2010년 이후의 문화예술교육은 예술적 역량과 문화적 역량 모두를 충족시키면서 발


전6) 할 수 있다고 정의됨.
◦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이 함께 이루어짐으로써 예술이 가지고 있는 풍부한 창조성과 가능
성, 문화의 역사적 발전과 조화 등으로 이끌어내 삶을 더 풍요롭고 조화롭게 할 수 있는
것이 문화예술교육이라 할 수 있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6) 이병준(2009), 『왜 문화예술교육인가』, 모드니예술, p.5.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15
◦ 그 외의 2010년 이후 문화예술교육의 정의 및 특성은 아래의 <표 Ⅱ-7>와 같음.

<표 Ⅱ-7> 문화예술교육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 2 (2010년 이후)

저자 정의 및 특성
문화예술교육은 장르중심의 예술교육, 근대적 의미에서의 예술교육뿐 아니라 더 넓은 개념
김은영
을 포괄하는 것. 이러한 관점에서 예술적 체험을 포함하는 다양한 교육활동은 모두 문화예
(2012)
술교육이라는 범주에 속하게 됨.
김경선 문화예술교육은 예술을 직접 교육함으로써 예술적 범위 또한 광범위함. 또한 다양한 형태
(2013) 의 문화예술을 경험하며 창의성, 발전 등의 교육 목표로 두고 있는 것과 더욱 가까움.
문화예술교육은 흔히 떠올릴 수 있는 미술, 음악, 무용 등의 예술의 장르적 특성에서 한
김하늬
발 더 나아가 지역의 문화유산, 자연 및 도시 환경 등 지역에서의 문화예술적 배움의 모
(2013)
색 또한 이루게 하는 능동적 형태의 교육임.

□ 국내 법령상 명시된 ‘문화예술교육’의 정의는 아래와 같음.


◦「문화예술진흥법」 제2조 제1항 제1호의 규정에 따른 문화예술 및 「문화산업진흥 기본
법」 제2조제1호의 규정에 따른 문화산업「문화재보호법」 제2조제1항의 규정에 따른
문화재를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으로 규정됨.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문화예술교육의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하고, 나아가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 역량 강화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개정 2011.6.7., 2012.2.17., 2014.1.21.,
2015.5.18.>
1. "문화예술교육"이라 함은 「문화예술진흥법」 제2조제1항제1호의 규정에 따른 문화예술 및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제2조제1호의 규정에 따른 문화산업, 「문화재보호법」 제2조제1항의 규정에 따른 문화재를 교육
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을 말하며, 다음 각 목과 같이 세분한다.
가. 학교문화예술교육 : 「영유아보육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어린이집, 「유아교육법」 제2조의 규정에 따
른 유치원과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학교에서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행하여지는 문화예
술교육
나. 사회문화예술교육 : 제2조제3호 및 제4호에서 규정하는 문화예술교육시설 및 문화예술교육단체와 제24조
의 각종 시설 및 단체 등에서 행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외의 모든 형태의 문화예술교육
2. "교원"이라 함은 「초ㆍ중등교육법」 제21조의 규정에 따른 교원을 말한다.
3. "문화예술교육시설"(이하 "교육시설"이라 한다)이라 함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을 말한다.
가. 「문화예술진흥법」 제2조제1항제3호의 규정에 따른 문화시설
나. 「청소년활동 진흥법」 제10조의 규정에 따른 청소년활동시설
다. 「평생교육법」 제2조제2호에 따른 평생교육기관 중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는 시설
라.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
4. "문화예술교육단체"(이하 "교육단체"라 한다)라 함은 문화예술교육을 주된 기능의 하나로 실시하는 법인 또는
단체와 이에 준하는 법인 또는 단체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5. "문화예술교육사"란 문화예술교육 관련 교원 외에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기획ㆍ진행ㆍ분석ㆍ평가 및 교수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제27조의2에 따라 자격이 부여된 사람을 말한다.

16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 문화예술교육은「문화예술교육 지원법」제2조 제1항에 따라 크게 학교 문화예술교
육과 사회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함.
◦ 학교 문화예술교육:「영유아보육법」제2조의 규정에 따른 어린이집, 「유아교육
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유치원과 「초ㆍ중등 교육법」제2조의 규정에 따른 학교
에서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행하여지는 문화예술교육.
◦ 사회 문화예술교육: 제2조제3호 및 제4호에서 규정하는 문화예술교육시설 및 문화
예술교육단체와 제24조의 각종 시설 및 단체 등에서 행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외의
모든 형태의 문화예술교육.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모든 사업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의는 정책적으로 합의된
법령의 정의를 기본으로 따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법령에서 정의되고 있는 ‘문화
예술교육’의 정의에 기초함.

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현황

□ 문화예술교육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설립 후 약 10여 년간 시기별 핵심 사업을 진


행함.
◦ 2005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발족 후 문화예술교육의 변화추이는 다음의 <표 Ⅱ-8>
와 같음.

<표 Ⅱ-8> 연도별 문화예술교육의 핵심사업 정리

연도 핵심사업 내 용
1. 정책대상에 집중적으로 사업 추진
2005~2007년 정책영역의 기본 틀 마련 2.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틀 마련
(소외계층 중심)
1.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확대
2. 사회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안정성 확보
지원체계의 구축 및
2008~2009년 3. 지역을 거점으로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운영
정책대상의 확대
본격화
4. 다양한 계층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확대
1. 국제적인 차원의 문화예술교육의 리더쉽 강화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확산
2010~2011년 2. 문화예술교육을 전 국민으로 확대
및 대상·방법의 다각화
(‘모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본격화 함)
1. 2013년부터 예산이 처음 1천억 원으로 성장
문화예술교육의정책사업의 2. 문화예술교육의 체계화와 더불어 지역 확대화
2012~2014년
정교화 및 고도화 3. 우수 전문 인력을 배출하기 위해 ‘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 CETA’를 체계화함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p.28~42.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17
◦ 앞서 살펴본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제2조 제1항의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회 문화예
술교육’ 분류 및 한국문화예술교육원의 실제사업(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사업, 사회문
화예술교육 활성화사업, 기타사업) 구조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으로 나누어 살펴봄.

1)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사업 현황

□ 현재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사업 영역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업은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가 있는 날’, ‘고3·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있음.
◦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의 추진체계도는 아래의 [그림 Ⅱ-1]과 같음.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유소년 문화예술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그림 Ⅱ-1]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 체계도

◦ 2015년 기준,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총액 69,340백 만원)에서 ‘학교 예술


강사 지원사업’은 65,040백 만원(진흥원예산 + 지방교육재정), ‘예술꽃 씨앗학교 지
원사업’은 4,000백 만원이 투입되어 전체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의 99.5%를
차지함.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대표 사업인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과 ‘예
술꽃 씨앗학교’를 중심적으로 살펴보고자 함.

18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대표사업인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아래와 같이 운영됨.
◦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의 협력으로 진행되며 문화체육관
광부·시도교육청·지자체(국악분야)의 예산 매칭으로 진행됨.
◦ 문화체육관광부가 사업을 총괄 운영하며 실제 사업 운영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담
당함.
◦ 17개 시도 교육청이 지원학교(초·중·고등학교)를 선정하며 16개 국악운영단체와 광역문
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8개 분야 예술강사 선발 후 선정학교와 매칭함.
◦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사업추진체계도는 [그림 Ⅱ-2]와 같음.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연대기포함)

[그림 Ⅱ-2]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추진체계

◦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학교 현장에 필요한 예술강사를 장르별로 선정·배치하며 신


규분야 최초 선정된 학교의 경우 해당분야 교육에 필요한 기자재를 지원함.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2005~현재)은 2000년 ‘국악분야 강
사풀제’를 모태로 현재는 다양한 분야로 확장·운영 되고 있으며 연혁은 <표 Ⅱ-9> 와 같
음.7)

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재구성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19
<표 Ⅱ-9>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연혁(2000-2015)

연도 주요 사업 내용
2000년~2004년 - 국악, 연극, 영화 강사풀제 실시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강사풀제 총관 주관 실시(국악은 각 시도 주관)
2005년 - 분야별 강사 연수 개최
- 상하반기 학교 방문평가 실시
2006년 - 사업명칭 변경(강사풀제-예술강사 지원사업)
- 문화체육관광부-교육과학기술부 공동협력 체결
2008년
- 지역운영기관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6개소 지정
2010년 - 3개 분야(디자인, 사진, 공예) 신설
2011년 - 신규분야 시범사업(뮤지컬, 문학) 운영
2012년 - 신규분야 시범사업(미술, 음악, 문학)운영
- 신규분야 시범사업(관현악, 미디어아트, 미술)운영
2013년 - 관계기관 협력 워크숍진행(교육부-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운영기관)
- 지원사업 제도개선을 위한 실태조사 실시
2014년
- 예술강사 컨퍼런스 개최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p.54-55

-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분야는 총 8개 예술분야(국악, 무용, 연극, 만화·애니메


이션, 공예, 영화, 디자인, 사진)임.
- 2015년부터 문학, 미디어아트, 서예·한국화 분야를 시범사업으로 추가 운영함.
◦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참여자(강사, 학교, 학생)는 2000년 750명으로 시작하여
2015년 4,916명으로 증가하는 등 양적으로 확대됨.8)
- 2015년 기준 8,216개 초·중·고(전체 대비 71%) 참여9)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 초등학
교 93%, 중학교 54%, 고등학교 35%가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음.
- 사업 시작년도인 2000년과 비교하여 2015년 참여 학교는 155.6%증가, 참여 학생
수는 274.6%, 지원시수는 823.5% 증가함.

<표 Ⅱ-10>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현황 및 증감률

구분 2005년 2010년 2015년 2005/2010 2010/2015 2005/2015


학교 수
3,214 5,436 8,216 69.1% 51.1% 155.6%
(개 교)
참여학생 수(명) 710,000 1,740,000 2,660,000 155.3% 46.6% 274.6%
예술강사 수(명) 1,628 4,156 4,916 145.1% 18.3% 202.0%
지원시수
156,048 1,130,451 1,468,875 624.4% 28.7% 832.5%
(시수)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연차보고서. p.16

8)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유소년 문화예술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9)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방향」

20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프로그램 장르별 현황은 다음의 <표 Ⅱ-11>와 같음.
<표 Ⅱ-11>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장르별 현황

만화·
구분 국악 무용 연극 공예 영화 디자인 사진
애니
학교 수
4,463 1,971 1,732 1,035 496 448 321 265
(개 교)
강사 수(명) 1,961 967 822 470 234 224 151 87
수업 시수(시수) 647,765 287,743 219,569 131,775 54,775 53,048 36,529 22,163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연차보고서. p.16

◦ 초등학교의 경우 대부분 교과를 1인의 담임선생님이 교육하므로 전문적인 교육을 위해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통해 국악(음악교과), 무용(체육교과), 연극(국어교과)장르를
학교 교과과정으로 지원함.
◦ 교과과정 내/외에 지원되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예술 영역 이외의 통합예술영역
등 예술영역 외의 기타 영역은 지원하지 않고 있음.

□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전국 소규모 초·중·고등학교의 전교생이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는 교육환경을 지원하여 공교육에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도모하고 우수
모델을 창촐·확산하여 지역 문화예술교육 거점기관으로 육성하는 사업임.
◦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총 4년간 지원(3년 확정 지원 + 1년 추가지원)되며 1년차
는 기반조성기, 2년차는 성장기, 3~4년차는 확산 및 정착기로 구분되며 추가 선정을 통
해 ‘예술꽃 새싹학교 지원사업’을 지원함.
◦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연혁은 다음의 <표 Ⅱ-12>와 같음.

<표 Ⅱ-12>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연혁(2008-2015)

연도 주요 사업 내용
2008년 -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시작
2011년 - 1기 예술꽃 씨앗학교 마지막해로 ‘예술꽃 씨앗학교 어울림 뜨락’ 진행
2012년 - KB 국민은행과 MOU 체결(~2013년)
- 사업 관계자 대상 워크숍 실시
2013년 - 예술꽃 씨앗학교 성과평가 연구 실시
- 사업 홈페이지 개설
2014년 - 중‧고등학교를 지원 대상에 포함
- 성과 공유 및 공감행사 ‘예술이 꽃피는 숲’ 진행
2015년
- 신한은행과 MOU 체결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유소년 문화향유 확대를 위한 기초연구」

◦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학교의 공모 신청 후 17개 시·도 교육청이 지역 분배 및


분야 안배를 고려하여 대상 학교를 선정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총괄 지원을 맡음.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21
[그림 Ⅱ-3] 예술꽃 씨앗학교 추진체계도

◦ 2015년 기준 총 47개교에 지원(초등 41개교, 중·고등 4개교, 농어촌통합학교 2개교)하고


있으며 지역별로 살펴보면 면지역(21개교), 대도시(11개교), 읍지역(7개교), 도서벽지(6
개교), 중소도시(2개교)에 지원함.
◦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음악예술 지원이 15개교로 가장 많으며 시각예술(13개교),
통합예술(11개교), 공연예술(8개교) 순으로 지원되고 있음.

<표 Ⅱ- 13>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장르별 비율

구분 음악예술 시각예술 통합예술 공연예술


분야별 학교 수(개 교) 15 13 11 8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연차보고서. p.29

22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2)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사업 현황

□ 2005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출범 이후 ‘사회 문화예술교육’은 취약계층 중심에


서 일반 국민 대상으로 확대됨에 따라 교육 대상 및 협력 대상이 확장되었으며 괄목할
만한 양적 확대를 이룸.
◦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사업의 연혁은 다음의 <표 Ⅱ-14>와 같음.

<표 Ⅱ-14>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 연혁(2004-2015)

연도 주요 내용
2004년 - 한국 메세나 협의회의 추진으로 아동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 지원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설립
2005년 -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운영지원
- 예술치유 시범사업
2006년 - 복권기금사업 대상을 확대하여 아동복지시설, 노인,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지원
2008년 - 복권기금사업에서 국고로 전환(사회문화예술교육/지역 특성화)
- 명예교사 특별한 하루 사업 신설
2009년 - 생활문화 공동체 만들기 시범사업 운영
- 예술치유활성화 시범사업 운영
- 수혜대상을 소외계층에서 일반시민으로 대상 확대(시민문화예술교육 모델 개발)
2010년 - 오케스트라 교육 신설
- 예술캠프 우락부락 신설
2011년 - 시민문화예술교육활성화 지원 사업 운영
- 찾아가는 교육(움직이는 예술정거장) 시작
2012년 - 시민문화예술교육 거점조성 시작
- 기업사회 공헌사업 시작
- 생활문화공동체사업 한국문화원연합회로 이관
2013년
- 부처간 협력사업 확대
- 무지개다리사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로 이관
2014년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구조 변경
2015년 - 부처 간 협력 사업 확대
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사업전략 연구」, 17-18 재구성

◦ 지원 사업 수는 2005년 3개에서 2015년 23개로 증가하였으며 적극적 신규 교육대상자


발굴로 교육대상이 확대됨.
◦ 사회 문화예술교육 예술 강사 수는 2005년-2010년 1.4배 증가하였고 2010년~2015년
1.7배 증가함.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23
<표 Ⅱ-15> 사회 문화예술교육 연도별 추세
(단위: 명, %)
2005/ 2010/ 2005/
구 분 2005 2010 2015
2010 2015 2015
예술강사 수 233 850 539 39.5% 65.8% 131.3%
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 사회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누적 참여 시설 수는 8,895개, 누적 수혜자 수 337,242명,


누적 예술 강사 수는 7,951명임.

<표 Ⅱ-16> 문화예술교육 참여 학교(기관) 및 참여자 수(2005~2015)


(단위: 명, 개)
구 분 누적참여 시설 수 누적 수혜자 수 누적 예술강사 수
사회문화예술교육 8,895 337,242 (0.7%) 7,951
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누적수혜자수의 0.7%는 전체 사회문화예술교육 대상자 대비 참여자 수임

□ 사회 문화예술교육 추진체계(2005-2016)
◦ 현재 진행 중인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사업은 ‘복지기관 예술강사 지원사업’, ‘지
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명예교사 사업 특별한 하루’, ‘창의 예술캠프 우락
부락’, ‘꿈의 오케스트라’,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움직이는 예술정거장’, ‘시시콜콜’,
‘예술치안센터’,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등이 있음.
◦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사업’의 사업들의 추진체계를 연도별로 정리(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사업의 경우 별도의 표로 정리)하면 아래의 <표 Ⅱ-17>, <표 Ⅱ
-18>과 같음.

<표 Ⅱ-17>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의 추진체계 1(부처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외)

시행
사업 명 주최기관 주관기관 교육주체 교육대상
초년도
아동복지시
복지지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설/노인복지
2006 예술강사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예술강사
관.장애인복
지원사업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지시설
지역특성화
아동·청소년
2008 문화예술교육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단체
및 일반시민
지원사업

24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시행
사업 명 주최기관 주관기관 교육주체 교육대상
초년도
진흥원
명예교사 사업 아동·청소년
2009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선정
‘특별한 하루’ 및 일반시민
명예교사
창의예술캠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외계층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가
‘우락부락’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아동청소년
2010
‘꿈의 소외계층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강사
오케스트라’ 아동청소년
‘꿈다락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가 및 초·중·고
2011 문화체육관광부
토요문화학교’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 단체 학생, 가족
농산어촌 및
도서지역
움직이는
2012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단체 아동,
예술정거장
어르신
(지역주민)
2014 시시콜콜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단체 일반시민
문화체육관광부, 지역주민
2016 예술치안센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단체
경찰청 (파출소)
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한
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www.arte.or.kr) 참조
* ‘사회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은 진행 중인 프로그램에 한해 정리.

<표 Ⅱ-18>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의 추진체계 2(부처간 협력 문화예술교육사업)

세부 사업명
시행
(문화예술교육 주최기관 주관기관 교육주체 교육시설
초년도
지원사업)
문화체육관광부,
군부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군부대
국방부
문화체육관광부,
2005 교정시설 교정시설
법무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소년원 소년원학교
법무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근로자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 산업단지 근로자
산업통상자원부
테크노파크협의회
2011 청소년
교육단체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수련시설(청소년
방과후 청소년 및 강사
여성가족부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수련관·청소년
문화의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학교 밖 문화체육관광부, 청소년상담복지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 여성가족부 터, 청소년쉼터
2012 ,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아동센터 지역아동센터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

청소년 문화체육관광부, 청소년


201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비행예방센터 법무부 비행예방센터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25
세부 사업명
시행
(문화예술교육 주최기관 주관기관 교육주체 교육시설
초년도
지원사업)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하나원,
문화체육관광부,
북한이탈주민 북한이탈주민재원재단(하 탈북청소년
통일부
2014 나재단) 민간대안학교
문화체육관광부,
의경부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의경부대
경찰청
문화체육관광부,
2015 상이군경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보훈복지문화대학
국가보훈처
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한
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www.arte.or.kr) 참조
* ‘사회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은 진행 중인 프로그램에 한해 정리.

□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의 대표적인 세부사업으로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


사업’과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사업현황을 살펴봄.
□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대상 특성 및 수요에 따른 교육 장르 차별화 및
확대를 위해 실시했으며 연혁은 다음의 <표Ⅱ-19>와 같음.

<표 Ⅱ-19>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 연혁(2004-2013)

연도 주요 사업 내용
2004년 - 아동복지시설 중심으로 추진
2006년 - 노인복지관 연극분야, 장애인복지관 무용분야로 확대
2008년 - 노인·장애인 대상 2개 분야 교육 지원
2011년 - 한국노인복지관협회,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와 업무계약체결, 지원 사업 협력·운영 시작
- 기존 분야 외 노인미술, 노인 사진, 장애미술, 장애영화 총 4개 분야 시범운영 실시 (영화분야는 장애아동에서
2012년
성인까지 대상 확대)
- 장애인 분야 신규 사업으로 장애인과 가족이 함께하는 체험프로그램, 예술가 연계 활동 지원
2013년
- 지역아동센터 아동·청소년 대상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원 실시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4), 「2014 사회문화예술교육 현화조사」, p.32, 재구성

◦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프로그램 장르별 현황은 다음의 아래와 같음.


- ‘아동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수혜인원은 음악(1,142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
나며 미술(897명), 영화(755명), 국악(646), 연극(570명), 무용(413명) 순으로 나타남.
- ‘노인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수혜인원은 음악(6,396명), 영화(1,680명), 미
술(1,060명), 무용(1,196명), 미디어·사진(860명)의 순으로 나타남.
- ‘장애인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수혜인원은 아동 및 노인 대상 프로그램과
달리 무용(530명)을 가장 많이 참여하며 미술(490명), 음악(250명), 영화(187명) 순
으로 나타남.

26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대체적으로 음악을 가장 많이 실시하며 총 장르는 6가지
로 다양하지 않음을 알 수 있음.

<표 Ⅱ-20>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 장르별 현황 1(수혜인원 수)

미디어
구분 국악 무용 미술 연극 영화 음악
(사진)
아동 646 413 - 897 570 755 1,142
노인 - 1,196 860 1,060 - 1,680 6,396
장애인 - 530 - 490 - 187 250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4), 「2014 사회문화예술교육 현황조사」. p.35, 재구성

<표 Ⅱ-21> 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 장르별 현황 2(예술강사 수)

미디어
구분 국악 무용 미술 연극 영화 음악
(사진)
아동 33 16 - 38 29 36 36
노인 - 24 15 43 26 - 10
장애인 - 34 - 14 - 6 13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4), 「2014 사회문화예술교육 현황조사」. p.35, 재구성

□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독립사업이 된 것은 2013년10)이며 각 지원사


업의 연혁은 아래와 같음.
◦ 2013년 ‘범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시행되었으며 2014년 ‘부처 간 협력 문화
예술교육 지원사업’으로 변경됨.
◦ 2012년까지는 다른 사업 군(群)에서 ‘협력 교육사업’ 진행.
- 군부대, 교정시설, 소년원 협력사업: ‘군·특수분야 문화예술교육 사업’(2009∼2012), ‘사
회취약계층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2006-2008),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2005)으로 진행.
- 방과 후 청소년, 학교 밖 청소년: ‘소외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사업’(2010∼2012)으로
진행.
- 지역아동센터: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사업’(2012∼2013)으로 진행.

◦ 2014년 기준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프로그램 장르별 현황은 다음의


<표 Ⅱ-22>와 같음.
-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프로그램 장르는 음악(32.2%)이 가장 높고,
국악/전통예술(15.7%), 미술(14.8%), 연극/뮤지컬(11.6%). 통합(9.9%), 무용(5.7%),
미디어(5.7%), 마술(3.2%), 문학·인문학(1.2%) 순서로 나타남.
- 음악 프로그램은 산업단지(66.7%), 교정시설(62.2%), 군부대(50.0%), 소년원학교

10)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4), 「2014 부처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정책평가 연구」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27
(50.0%), 의경부대(50.0%)에서 많음.
- 미디어 프로그램은 연령과 관계되어 학교 밖(15.7%), 의경부대(15.0%), 방과 후
(13.9%), 군부대(12.0%)에서 많음.
- 방과 후 청소년에서 연극/뮤지컬(35.4%) 비중이 높은 것은 공동 발표회와 관련됨.
- 지역아동센터에서 통합프로그램(15.0%)이 많은 것은 교육단체가 아동의 특성에 맞
추어 혼합 장르를 교육하는 것과 관련됨.

<표 Ⅱ-22>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업별 장르 현황

구분
연극/ 전통 문학/
교육시설 음악 무용 미술 미디어 마술 통합 계
부처 뮤지컬 예술 인문학
(교육대상)
117 13 24 6 13 28 3 19 11 234
국방부 군부대
(50.0%) (5.6%) (10.3%) (2.6%) (5.6%) (12.0%) (1.3%) (8.1%) (4.7%) (100.0%)
28 2 1 6 1 7 45
교정시설 - - -
(62.2%) (4.4%) (2.2%) (13.3%) (2.2%) (15.6%) (100.0%)
법무부
소년원 8 1 1 4 1 1 16
- - -
학교 (50.0%) (6.3%) (6.3%) (25.0%) (6.3%) (6.3%) (100.0%)
산업통상 14 1 2 2 1 1 21
근로자 - - -
자원부 (66.7%) (4.8%) (14.3%) (14.3%) (4.8%) (4.8%) (100.0%)
방과후 9 28 3 9 11 11 4 4 79
-
여성 청소년 (11.4%)(35.4%) (3.8%) (11.4%)(13.9%)(13.9%) (5.1%) (5.1%) (100.0%)
가족부 학교밖 22 9 10 3 12 11 1 2 70
-
청소년 (31.4%)(12.9%)(14.3%) (4.3%) (17.1%)(15.7%) (1.4%) (2.9%) (100.0%)
139 74 130 38 118 6 2 4 90 601
복지부 지역아동센터
(23.0%)(12.3%)(21.7%) (6.4%) (19.6%) (1.0%) (0.4%) (0.6%) (15.0%)(100.0%)
1 1 2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 - - - - - -
(50.0%) (50.0%) (100.0%)
17 2 2 1 5 6 1 34
경찰청 의경부대 - -
(50.0%) (6.0%) (6.0%) (3.0%) (15.0%) (18.0%) (3.0%) (100.0%)
355 128 173 63 163 63 13 35 109 1,102
계(평균)
(32.2%)(11.6%)(15.7%) (5.7%) (14.8%) (5.7%) (1.2%) (3.2%) (9.9%) (100.0%)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4),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정책평가연구」

28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제2절 지역 문화자원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지역문화의 개념

1) 지역에 대한 이론적 논의

□ ‘지역(Region)’은 서울 혹은 ‘중앙’과 대비되는 ‘지방(local)’과 혼용되기도 하지만, ‘지


방’과 ‘지역’은 개념적으로 상이함.
◦ ‘지역’은 사전적으로 ‘일정하게 구획된 어느 범위의 토지’, ‘전체 사회를 어떤 특징으로
나눈 일정한 공간 영역’으로 정의되며(국립국어원), 공통적이거나 상호보완적인 특성을
가졌거나 혹은 지역 활동의 흐름으로 묶인 공간 범위를 의미함.
- 지역은 단순히 지리적, 행정적 구분으로 접근하기보다 독특한 물적·역사적·문화적 동
질성을 지녔거나, 다른 공동행위와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커뮤니티
(Community)'의 개념으로도 이해됨(황정주, 2010).
- 정치·경제·사회·문화적인 특성을 공유하는 일정한 공간영역으로(이종인, 2005) 지역
정체성(regional identity)을 지녀 다른 지역이 지니지 못한 그 지역만의 고유성과 특
수성을 갖게 됨.
- 김문환(2001)은 지역을 공동 생활권에 기초한 지역사회의 개념으로 제시하면서 사
회·문화적 동질성, 합의, 자조 등에 의해 구분해야함을 강조함.
◦ 지방은 사전적으로 ‘서울 이외의 지역’, ‘중앙의 지도를 받는 아래 단위의 기구나 조직을
중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로 정의되며, 지리적·행정적 구분에 의한 영역이자 중앙 대
(對)지방의 대립관점에서 사용되어 부정적 측면이 내재되어 있음(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 즉, 지방은 국가의 최소단위이며(Glasson,1974) ‘행정구역이나 어떤 표징으로 나누어
진 땅’이라는 개념과 ‘특수한 공간형태 및 위치적 속성을 지닌 지리적 영역’이라는
개념으로 사용됨(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5).

□ 이와 같이, ‘지역’의 개념은 ‘지방’과 달리 중앙에 대한 상대적 대칭의 개념이 아니라


땅의 크기나 어떠한 특정한 동질적 특징을 지닌 한 지구(地區)를 뜻함.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29
2) 지역문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

□ 지역문화란, 지역에 기반을 둔 문화로 일정한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 의해 습득된


지식, 신앙, 예술, 윤리 도덕, 관습 등 모든 능력과 습관을 포함하는 행동양식과 생활
양식의 총체임(이종인, 1998).
□ 지역문화에 관련한 연구에서는 공통적으로 지역의 주민이 주체가 되는 점과 서서히 지
역에 뿌리내리면서 형성·발전되는 지역문화의 지역적, 공동체적, 동태적 특성들이 강조
되고 있으며 <표 Ⅱ-23>와 같음.

<표 Ⅱ-23> 지역문화 개념에 대한 선행연구

저자 정의 및 특성
- 주민의 구체적인 생활기반인 지역의 자연적, 역사적, 사회적 특성을 바탕으로 주민들
김문환
스스로가 생활환경과 생활양식을 개선해 나가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의
(2001)
소산 또는 그 과정
- 지역 주민의 구체적인 생활기반인 지역의 고유한 자연적․역사적․사회적 특성을 바탕
이중한
으로 지역주민 스스로가 생활환경과 생활양식을 개선해 나가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
(2001)
기 위한 활동과정
- 주민의 자발성, 창의성, 책임성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주민 책임의 자주적인 활동의 소산
이종인
- 주민자치의 기초단위인 일상생활의 권역에서 가꾸어진 기층문화(풀뿌리 문화)이며,
(2005)
공간적 개성(지역성)과 사회적 공동체성(연대성)을 지닌 문화
-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고, 지역주민의 지역적 삶과 유기적으로 연관되며, 이를 통해
임정희
지역의 문화정체성이 형성되고 실천되는 문화
(2006)
- 지역문화는 공간적으로 지역적 특수성 확보가 가장 중요함
황정주
- 공통적인 요소로 연계된 일정한 공간의 생활양식 전체
(2010)
김영순, - 특정지역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특성이자, 일정한 지구(地區)에서의 생활양식으로, 오
오세경 랜 세월동안 전해져 오는 향토문화와 여타 지역에서도 공통적으로 발견 할 수 있는
(2010) 생활문화, 예술문화, 관광․여가문화 등을 포괄하는 것
홍민선 - 오랜 역사 속에서 지역민들의 지지와 공감을 받아 공유되어 공통의 가치를 지닌 고
(2011) 유한 생활양식으로 전통 지향적이고 공동체적인 특성을 지님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3) 추가 및 수정

◦ 지역문화는 지역적 특수성으로 인한 지역주민의 자긍심과 애향심 및 일체감과 주민 통합


을 유발하고, 지역주민의 자발성과 참여의식 및 창의성과 자주성을 함양함으로써 지역사
회 발전에 활력을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음(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 「지역문화진흥법」제 2조에 따르면, ‘지역문화’란 「지방자치법」에 따른 지방자치단


체 행정구역 또는 공통의 역사적·문화적 정체성을 이루고 있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유산, 문화예술, 생활문화, 문화산업 및 이와 관련된 유형·무형의 문화적 활동으로
규정하고 있음.

30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 이와 같이 법 규정을 살펴 볼 때, 지역문화를 행정구역상의 구분과 지역 정체성을 지닌
지역기반의 문화유산, 문화예술, 생활문화, 문화산업 및 유·무형의 문화적 활동으로 구체
적인 대상을 명시하고 있어 조금 더 명확한 정의파악이 가능함.

제1조(목적) 이 법은 지역문화진흥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지역 간의 문화격차를 해소하고 지역별로 특색 있는


고유의 문화를 발전시킴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문화국가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지역문화"란 「지방자치법」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또는 공통의 역사적·문화적 정체성을 이루고 있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유산, 문화예술, 생활문화, 문화산업 및 이와 관련된 유형·무형의 문화적 활동을 말한
다.
2. "생활문화"란 지역의 주민이 문화적 욕구 충족을 위하여 자발적이거나 일상적으로 참여하여 행하는 유형·무형의
문화적 활동을 말한다.
3. "문화예술"이란 「문화예술진흥법」 제2조제1항제1호에 따른 문화예술을 말한다.
4. "문화시설"이란 「문화예술진흥법」 제2조제1항제3호에 따른 문화시설을 말한다.
5. "생활문화시설"이란 생활문화가 직접적·간접적으로 이루어지는 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
6. "문화도시"란 문화예술·문화산업·관광·전통·역사·영상 등 지역별 특색 있는 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문화
창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제15조에 따라 지정된 도시를 말한다.
7. "문화지구"란 문화시설과 문화업종의 육성, 특성화된 문화예술 활동의 활성화 또는 문화자원과 문화적 특성의 보
존을 위하여 제18조에 따라 지정된 지구를 말한다.
8. "지역문화전문인력"이란 지역문화의 기획·개발·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을 갖춘 사람을 말한다.

2. 지역 문화자원의 개념

1) 문화자원에 대한 이론적 논의

□ 문화자원은 문화와 자원의 합성어로 문화의 개념이 포괄적이고 광범위하듯 문화자원의


범위 또한 광범위함. 이에 ‘자원’과 혼용되는 ‘자산’과의 개념구분이 우선시됨.
◦ ‘자원’은 사전적으로 ‘인간생활 및 경제 생산에 이용되는 원료로서의 광물, 산림, 수산물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인간 생활 및 경제 생산에 이용되는 노동력이나 기술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정의됨(국립국어원).
◦ ‘자산’은 사전적으로 ‘개인이나 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유형ㆍ무형의
재산’, ‘소득을 축적한 것’으로 주로 경제적 측면의 정의가 있으며 법률적으로는 ‘유형 또
는 무형의 유가물(有價物)로서 부채의 담보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정의됨(국립국어원).
- 즉, 자원은 과거로부터 존재해 오던 것을 지칭하는 측면이 강한 반면 자산은 필요에
의해 단기간 내에 생성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음. 또한, 자산은 특정지역의 정치, 행
정, 협력 등 보다 포괄적인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반면 자원은 그렇지 못하여 포괄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31
하는 개념적 범위에서도 차이가 있음(정건용, 2012).

□ 문화자원 관련 연구에서 문화자원은 크게 ‘원료’와 ‘결과물’의 두 맥락으로 이해됨.


◦ 문화자원은 기본적으로 문화와 자원의 개념이 결합된 것으로 ‘유·무형의 문화적 재료’로
서 문화의 활용을 위한 ‘원료’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정의됨.
- ‘문화자원은 문화의 근거가 되는 유․무형의 재료’로 문화자원의 범주가 광범위함을
명시하고 있음(황정주, 2010).
- 문화와 자원의 합성어로서 문화자원의 뜻을 유추해 보면 ‘문화의 재료가 되는 유·무
형의 재료’라 정의함(권순창, 2015).
◦ 또한, 생산적 요소의 하나로 문화를 바라보는 시각이 커지면서 문화자원은 ‘문화를 통한
인간 활동의 산물’로서 인간 활동의 ‘결과물’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정의됨.
- ‘문화자원은 인간 활동의 증거물이자 인류가 생활하면서 만들어낸 산물이며 그 흔적
들’ 이라 정의함(이명규, 2015).
- 남치호(2007)는 ‘인간이 시간적․공간적 차원의 생태계(ecosystem)에 대하여 기술을
매체로 얻을 수 있는 경제행위의 성과’라 정의함.

□ 문화자원은 입지 비대체성, 배태성, 전통성 등의 특성을 지님(정건용, 2012).


◦ 입지 비대체성은 특정한 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속성으로 지역적
편재성을 의미함.
◦ 배태성은 문화자원이 특정한 지역의 역사나 문화, 삶 등에 체화되어 있는 속성을 지칭함.
- 즉, 배태성은 특정한 지역의 생활습관, 전통기술 등의 토착자원의 전승과 발전의 토
대가 되는 특수한 지역적 환경을 의미함.
◦ 전통성은 특정한 지역사회에서 상당한 기간 동안 체득, 계승되어 온 속성으로 독특한 생
활양식이나 관습 등에 내재되어 전해내려 오는 것을 의미함.

2) 지역 문화자원에 대한 이론적 논의

□ 지역 문화자원이란, 지역의 보유자원으로 간단히 정의할 수 있으며, 지역의 자발성과 적


극성만으로 세계에 통용되어 지역성과 세계성을 동시에 발현할 수 있음(오재환, 2009).
◦ 황정주(2010)는 ‘지역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지닌 문화적 요소로서, 유․무형의 모든 문화적
산물이자 새로운 것을 창조해서 만들어 내는 다양한 유․무형의 결과물’ 이라 정의함.
◦ 정건용(2012)은 ‘지역 문화자원은 특정한 지역 고유의 유ㆍ무형의 자산’으로 정의하였고
그 범위와 종류는 자연환경, 건물, 사람, 역사유적, 장인적 기술, 전통산업 등 넓고 다차원
적이라 제시함.

32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 오재환(2009)은 지역 문화자원을 ‘문화(보편적 생활양식, 예술적인 것, 전통적인 것)에 지
역의 특수성이 녹아있는 자원’ 이라 정의함.
- 여기서 ‘지역의 특수성’이라 함은 타 지역과 구별 지을 수 있는 동시에 지역 내에서
소통할 수 있는 매개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함.

□ 지역 문화자원은 지역 개발 및 지역 활성화를 위한 경제적, 관광적 측면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옴.
◦ 지역 문화자원의 검토 및 활용은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행정기관이 도시계획 및 도
시 재생사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박세희 외, 2016).
◦ 지역 문화자원은 지역의 문화자원화가 가능한 지역축제, 자연환경, 인문환경, 사회환경
등의 지역의 다양한 유·무형의 자원을 활용하여 콘텐츠개발과 상품화가 이루어지면서 관
광적, 경제적 가치를 창출함.

□ 지역 문화자원은 문화예술교육의 중요 콘텐츠로도 활용되면서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에


활용 가능한 자원분석 및 지역 문화자원의 활용양상에 관한 연구가 진행됨.
◦ 김정희 외(2012)는 인천지역의 문화예술교육 기관 및 단체자원, 인적자원, 공간자원 등에
대한 자료조사를 분석하여 각 자원별 활용방안 및 개선점을 제안함.
◦ 이상민(2012)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중 ‘지역사회문
화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을 대상으로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
램에서 지역 문화자원이 활용되는 양상에 대해 고찰함.

□ 지역 문화자원과 문화예술교육의 연계는 <지역문화진흥법>(2014. 1.)과 <지역문화진흥


기본계획>(2014.10.)을 통해 법적·제도적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나 관련 연구는
초기단계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명확한 학술적 정의, 개념파악이 어려워 이
에 대한 학술적이고 체계적인 개념정립이 요구됨.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33
3.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문화자원 연계

1) 문화예술교육의 일상화 및 지역화

□ 지역 문화예술교육센터 설치로 문화예술교육의 일상화와 지역화를 꾀함.


◦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2014.2.)에서 문화예
술교육의 지역화를 중요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중점과제는 아래의 <표 Ⅱ-24>와 같음.

<표 Ⅱ-24> 문화예술교육 발전계획의 중점과제

구 분 중점과제(추진전략)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지원
일상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사각지대 해소
문화예술교육 -문화복지 구현을 위한 생활밀착형 예술교육
중장기 -지역중심의 프로그램 확충
지역화
발전계획 -문화예술교육 전달체계 개선
(2014)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활용
내실화 -문화예술교육 연구기능 확충
-국제교류, 협력, 활성화 강조

◦ 현재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16개 시도에 지역 문화예술교육센터(이하 지역센터) 를 지정


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센터를 통해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
교육사업’,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 문화예술교육의 지역별 편차는 여전히 나타나 문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이루어졌다고 하
기엔 부족한 실정임.
- 지역센터를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중심의 단체
및 프로그램 선정 방식이 존재하며 지역센터의 규모, 인력, 예산 등에서 지역별 편
차가 나타나고 있음.
-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타 사업과 비교하여 프로그
램 수, 참여 단체 수 등의 증가율이 낮음.11)
◦ 따라서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했지만 진정한 의미의 지역화를 이루었다고 보기
는 어려움.

□ 정책적으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함.


◦ 지역문화 활성화는 정책적으로도 중요하게 고려되며 <지역문화진흥법>(2014. 1.), <지역
문화진흥 기본계획>(2014.10.)로 정책적으로 지역단위의 문화예술의 일상화의 중요성

11)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방향 연구」

34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인식을 살펴볼 수 있음.
◦ 2005년 “지자체 협력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시작으로 2008년 “지역특성화 문화
예술교육 지원사업”실시12), 2010년 “지역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2012년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등 지역 내에서 문화예술교육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역별 환경에 기반을 둔 문화예술교육을 지향해옴.13)
◦ 지역의 인문정신문화와 관련된 유·무형의 자원 활용을 위한 법률 제정이 이루어짐.
-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에 관한 법률」(2016.2.)에서 “인문학 및 인문정신
문화의 진흥 및 사회적 확산을 통해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고 국민 정서와 지혜를
풍요롭게 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 해야 함을 명시함.
-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인문정신문화 진흥의 주요과제로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박
물관정책기획단(현재 문화기반국 인문정신문화과)이 2013년 6월 운영 추진계획을 발
표·실시하였으며 국립중앙도서관의 공공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과 박물관 ‘길 위
의 인문학’ 프로그램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내용은 아래의 표<Ⅱ-25>와 같
음.14)

<표 Ⅱ-25> 길 위의 인문학 사업

사업 명 사업 내용
공공도서관 전국 공공도서관에서 도서관 이용자가 참여하는 지역별 맞춤형 인문학 독서문
‘길 위의 인문학’ 화 강연 및 탐방을 운영하며 영상콘텐츠 제작, 공유 확산을 위해 실시함.
박물관 초·중·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교과와 연계하여 박물관 전시관람 및 체험교
‘길 위의 인문학’ 육프로그램을 운영

2) 지역 기반 문화·예술과 문화예술교육 연계

□ 지역 문화정책의 발전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부상


◦ 앞서 2장 2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문화기본법」에서 문화란 “문화예술, 생활양식, 공
동체적 삶의 방식, 가치 체계, 전통 및 신념 등을 포함하는 사회나 사회구성원의 고유한
정신적·물질적·지적·감성적 특성의 총체”로 정의됨. 따라서 지역문화는 공동체 구성의 바
탕이며 동시에 지역문화화 혹은 사회화의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음.15)
◦ 2005년 문화예술교육이 본격 추진된 이래 ‘지역’은 문화예술교육 추진의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 왔으며, 다양한 형태의 지역과의 연계를 꾀하는 정책 사업들이 추진되어 왔음.

1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1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2015 지역기반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분석 연구」
14) 문화체육관광부·한국도서관협회(2015), 「공공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사업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1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1), 「2011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분석 연구」, p.24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35
◦ 문화예술교육에서 ‘지역’이 강조되는 것은 지역이 문화예술교육이 펼쳐지고 있는 현장이
면서 사람들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 안에서 문화예술교육의 결과와 영향이 구체적으로 발
현될 수 있기 때문임.16)

□ 지역 문화와 문화예술교육 연계의 중요성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1)의 연구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
해하고 있으며 지역사회와 문화예술교육의 연계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음.
- 지역의 변화를 반영한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적 여건과 역사적 변화, 지역 자체를 주
제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회학적·인문학적으로 해석하고
경험하게 함.
- 이러한 활동을 통해 지역의 문화와 역사, 지역의 특수성을 이해시켜 지역 주민 스스
로의 존재감과 자긍심을 고취시킬 수 있음. 또한 지역의 문화를 유지하고 보존하기
위한 역사적 재해석과 교육이 필요한 시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접근이 중요함.
◦ 따라서 지역의 문화는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로 발굴되고 있으며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
교육으로 재해석되어야 함.
◦ 지방의 경우 문화예술교육 환경이 대도시 및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회와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지역 문화 특수성을 가진 지역 전문 인력, 프로그램 등의 강화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접근과 연속적 활동의 활성화가 필요함.
◦ 지역의 부족한 문화예술교육 인프라를 보완 할 수 있는 주요한 자원이 지역 문화자원이라
할 수 있으며 이전의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이 아닌 일반 국민의 일상적
인 문화예술교육으로 대상이 확대되어 지역의 모든 문화예술 관련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역 문화기반의 문화예술교육의 지역화가 필요함.

□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사업 현황
◦ 2008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
육 지원사업’은 지원단체, 프로그램 수, 참여 인원이 약간 증가하긴 하였으나 타 교육사업
과 비교하여 증가율이 높지 않음.17)

16) 임학순(2015), 「문화예술교육과 지역사회의 관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단체의 인식연구-지역특성화 문화예술


교육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제36집, pp.5~33.
17)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p.26

36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표 Ⅱ-26>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사업 증감률
(단위: 개, 명)

구 분 2008년 2015년 증감률(%)


지원단체 수 262 337 28.6%
프로그램 수 350 422 20.6%
참여인원 8,197 8,880 8.3%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 지역문화예술 기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분석


◦ 최근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이 조명을 받고 있기 때문에 지역과 연계한 문화예술교육
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이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의 연구는 지역기반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분석
을 위한 분석기준을 다섯 가지(교육주제 및 방법, 교육대상의 확장성, 장르와 지역의 연
계성, 단체와 지역의 밀착성, 지역 문화자원 연계성)로 구분함.18)
- 지역 주민의 참여가능성 및 특성, 지역의 (일상)문화 등을 고려한 기준으로서 지역문
화기반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만들어졌음.
◦ 위의 다섯 가지 분석기준 중 지역 기반의 문화예술교육에서 지역 문화자원의 연계성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다섯 번째 분석기준은 지역과 연계한 문화예술교육에서 지역
의 문화자원과 문화예술교육을 연계하는 지점으로부터 시작됨.
◦ 이는 지역 고유의 유·무형 문화자원, 지역 문화 공간 및 시설, 지역문화예술인 또는 단체
등과의 연계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방법에 대한 분석 기준
으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을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음.
◦ 지역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지역 기반 사회문화예술교육에서 지역의 의미가 장소로
서의 공간성뿐만 아니라 성장 잠재력을 지닌 교육 대상이자 문화예술교육의 파트너로서
지역사회와 지역민을 의미하고 지역의 역사와 정체성을 담고 있는 생활문화이고 교육을
통한 실천의 현장”이라는 시사점이 있음.

□ ‘교육비의 지출, 학급 크기, 교사 질, 교사자원 등과 같이 학업성취와 교육성과에 관련


된 자원19)인 교육자원을 정확히 파악하고 도구적으로 활용하여 지역에 적합한 문화예
술교육 설계가 중요함.

18)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2015 지역기반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분석 연구」


19) 정동욱 외(2014), 「국가별 단위학교 간 교육자원 배분과 학업성취도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3권 제4호,
pp.1-26, 재인용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37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지역화를 위해서는 우선 교육자원을 파악하여 지역의 교육관련
이해도를 높여야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및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실행에 있어 적절
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
◦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및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 관련 연구는 지난 2008년 이후 약
10년의 정책추진 과정 및 규모에 비해 아직은 체계적으로 추진되고 있지는 않은 단계임.
◦ 따라서 본 연구의 주제인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내용적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어
관련 용어의 정리를 새롭게 구성해야 하는 시작 시점임.

38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제3절 문화자원·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선행연구

1. 문화자원 분류체계 관련 선행연구

1) (지역)문화자원 분류체계 선행연구

□ 지역 문화자원 분류체계 선행연구


◦ 지역 차원의 문화자원 연구는 2007년 서울연구원(당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라도삼 외
의 연구를 기점으로 하여 부산, 울산 등 다양한 광역시·도 단위에서 문화자원 실태조사가
진행됨.
◦ 서울의 문화자원 조사 분류체계에 준하여 기준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응용하여 다른
시도의 문화자원 실태조사가 실시되었음.
◦ 광역시·도 단위의 문화자원 조사 분류체계를 비교한 결과는 <표 Ⅱ-27>과 같으며, 5개
광역시·도 문화자원의 대분류 구성요소를 살펴본 결과 총 8가지로 역사문화자원, 예술문
화자원, 영상문화자원, 생활문화자원, 대중문화자원, 자연문화자원, 인적자원, 행정/재정
자원으로 나타남.
◦ 이러한 대분류의 문화자원 카테고리는 현재 문화예술교육에서도 활용되고 있는 자원들로
볼 수 있음.
◦ 경기와 전북에서는 문화산업자원과 종교·정신문화자원을 대분류 범주에서 다루었으나 문
화예술교육 정책 범주에서 다루어지는 분야와 상응하지 않아 표에서 제외했음.
◦ 다만 중분류, 세분류 기준이 정교하지 않아 문화자원 분류체계를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
체계로 발전시킬 시 문화예술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분류기준이 추가되어야 함.
- 예를 들어 문화예술교육에서 중요시되는 협력체계, 네트워크 등의 인적 자원 구성요
소(중분류 기준) 등을 다룰 수 있는 세밀한 분류체계가 필요함.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39
<표 Ⅱ-27> 광역시/도 단위 문화자원 분류체계

대분류 중분류 서울 부산 제주 울산 전북 경기 서울
2007 2009 2010 2012 2013 2014 2015
문화재 O O O O O O O
전통사찰 O O
역사문화자원
박물관 O O O O O O 그 외
전통문화자원 O O O O O
공연예술자원 O O O O O O O
시각예술자원 O O O O O O O
예술문화자원
문학예술자원 O O O O O
종합예술시설 O O O
영화자원 O O O O O O
방송게임자원 O O O O O O
영상문화자원
미디어센터,
O O
영상자료원 등
도서관 O O O O O
생활문화자원
지역 (중분류
(지역문화) O O O O O O
문화기반시설 없음)
문화지역 O O O
대중문화자원 대중문화공간 O O O
문화축제 O O O
자연 자연(해양)자원 O O
(해양) 조망자원 O
문화자원 (해양)지역문화 O
공공예술단 O O O O
민간예술단 O O O O
인적자원
관련학과 및
O O
기타
예산 O
행정/
행정인력 O O
재정자원
조례 및 규칙 O

□ 그 외 문화자원 분류기준 관련 선행연구


◦ 이명규(2015)의 연구에서는 각 지역별 문화자원 분류체계와 비슷한 기준으로 문화자원을
분류함.
- 대분류 이전에 크게 문화적 영역/사회적 영역/자연적 영역으로 나누고 문화적 영역
을 다시 역사문화자원, 예술문화자원, 생활문화자원으로 분류함.
◦ 박찬욱(2013)의 연구는 지역 문화자원을 융합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핵심소재, 소통공간,
융합주체, 콘텐츠, 융합촉매기술, 연관 자원 등으로 문화자원을 분류·구분하였음.
◦ 경북문화자원총람(2006)은 지정문화, 자연자원, 인문자원, 복합자원, 소프트자원으로 문
화자원을 구분하여 경북지역 문화자원을 조사함.
◦ 그 외 기초지자체 단위에서 광주 북구 문화자원총람(2014)을 발행하였는데 문화자원

40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영역을 발굴유적, 고고유적, 요지(窯址) 및 성지(城地), 불교유적, 유교유적, 금석문, 주요
건축물, 노거수, 탑과 시비, 국립 5·18 민주묘지 및 사적지, 교량(다리), 고유지명, 도로명,
민속, 축제, 주요 특산물, 전설, 사라진 풍경과 이야기 등 문화유산으로써 협의의 문화자
원으로 분류하였으며, 관련 분야로 문화시설(공연시설, 전시시설, 도서시설, 문화복지시
설, 문화보급 전수시설)을 분류하여 조사함.
◦ 이와 같이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유·무형의 문화재, 문화시설 등 협의의 문화자원 외에도
생활문화 영역, 인적자원 영역, 융합적 측면에서 기술자원 등 광의의 문화자원까지 다루
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표 Ⅱ-28> 그 외 선행연구를 통해 나타난 문화자원 분류기준

연구자 대분류 중분류


역사문화자원 유·무형 문화자원
문화적 영역 예술문화자원 전시, 공연, 공연활동(판소리, 연극 등)
이명규 생활문화자원 지역문화활동
(2015) 경제활동자원, 축제 및 행사, 지역인프라 자원,
사회적 영역 사회적 자원
이미지자원
자연적 영역 자연적 자원 자연·경관자원, 생태자원, 환경(기후)자원
핵심소재 지역독창소재, 일반공감소재
소통공간 고맥락공간, 저맥락공간
창작·실연 인력, 매개·지원 인력,
박찬욱 융합주체
향유·확산 인력
(2013)
콘텐츠 문화콘텐츠
융합촉매기술 문화기술
연관자원 연관 산업
지정문화
경북문화 자연자원 산악자원, 수변자원
자원총람 인문자원 주거자원, 문화예술, 생활유산, 불교유산
(2006) 복합자원 휴양오락, 특수목적, 테마마을
소프트자원 스토리, 이벤트, 연관 단체 및 기관

2) 문화지표 관련 선행연구

□ 우리나라 문화지표는 ‘문화통계 및 지표체계 연구(유네스코한국위원회, 한국문화예술진


흥원, 1986)’가 실시되어 문화지표체계 개발이 시작된 이래 임학순(2005), 김세훈
(1995), 조현성(2005) 등의 연구 등을 거쳐 지금까지 꾸준히 개선·발전되고 있는 문화
예술영역 관련 대표적인 지표체계임.
◦ 최근 각 지역의 문화지표체계를 분석한 결과 주로 문화정책, 문화자원(기반), 문화활동·인
력, 문화향유·참여를 공통적으로 분석하며, 문화시장, 인문사회환경, 문화축제 등의 추가
영역을 살펴보는 것으로 나타남.
◦ 지역문화지표 관련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는 공통점은 대체로 대분류 기준에 ‘문화자원’을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41
포함하고 있으나 ‘자원’을 제한적 의미로 사용하여 문화재, 기반시설, 콘텐츠, 축제, 도서
장서 등 문화예술 결과물이나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구성했다는 한계를 가짐.
◦ 종합적이고 포괄적 의미의 ‘문화자원’으로 접근할 시 자원에 포함 가능한 범주들이 다른
대분류에 속하는 경우가 있음(정책, 인력 등).
◦ 문화지표 체계 내에 문화예술교육 관련 분류체계나 문화예술교육자원 관련 체계는 정립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표 Ⅱ-29> 문화지표 분류체계 비교

구분 대분류 중분류
2014년 기준 문화정책 수립 및 실행, 정책환경, 문화예산
지역문화실태조사 문화자원 문화유산, 기반시설, 자원활용
분석연구20) 문화활동 활동현황, 활동인력
(2016) 문화향유 지역주민, 소외계층
문화재, 법정 문화지구, 공공 문화기반시설, 민간
문화기반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인력 양성기관, 문화예술분야 예비인력, 문화예술
문화인력
분야 종사자
서울문화지표 문화예술사업체, 문화예술 유통플랫폼, 문화예술작품 유통,
문화시장
(2014) 문화예술사업체 매출
문화예술과 여가, 문화예술 관람, 문화예술 참여,
문화참여
문화복지, 문화생활 및 문화환경, 삶의 만족도
문화정책 법체계, 문화예술 예산, 문화예술 창작지원,
문화정책
문화정책 기구
문화정책 정책수립, 정책실행, 정책예산
지역문화지표 재설정
문화자원 문화유산, 기반시설, 시설활용, 문화자원
및 DB 구축방안에
문화활동 활동현황, 활동인력
관한 연구21)(2014)
문화향유 문화향유, 문화복지
문화정책 정책수립, 정책실행, 정책예산
익산지역문화지표 문화자원 문화유산, 4대종교, 문화기반시설
(2016) 문화활동 문화단체, 문화인력, 활동현황, 지역축제
문화향유 문화복지, 문화향유, 문화향유실태조사
인문사회환경 생활환경, 교육환경, 행정환경, 경제환경
인천문화지표 문화환경 문화시설, 문화행정, 문화예술지원, 문화예술교육
(2012) 문화자원 문화예술인력, 지역축제, 문화유산
문화활동 문화예술활동, 문화산업활동
문화유산 문화재 보호 및 관리, 문화재 현황 등 총 18개 지표
문학, 미술, 서예, 사진, 디자인, 음악, 국악, 무용, 연극,
문화예술
제주문화지표 출판, 건축 분야 총 67개 지표
(2012) 문화시설 도서관, 박물관, 공연장, 미술관 관련 총 32개 지표
문화축제 현황 및 자원봉사활동 등 총 4개 지표
전통문화 장례, 제사, 해녀, 음식 등 총 12개 지표

20)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2014년 기준 지역문화실태조사 분석연구

42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3) 해외 문화자원 분류체계 선행연구

□ 해외의 경우 미국 예일대학의 인간관계연구소(Institute of Human Relation)의 HRAF


(Human Relation Area Files)문서와, UNESCO의 문화지표를 발전시킨 문화통계 작성
틀(Framework for Cultural Statistics, 이하 FCS)이 대표적임.
◦ HRAF는 지리적 영역으로 구분한 OWC(the Outline of World Cultures)와 주제에 따라
항목을 나누는 OCM(the Outline of Cultural Materials)의 기준에 따라 나뉨.
- OCM은 80개의 대분류에 문화와 교육이(180:total culture, 870: education)따로 분
류됨(이명규, 2015).
◦ UNESCO의 FCS는 문화를 영역과 기능별로 나누어 개별 통계를 제공하는데 문화영역은
0-9의 숫자 코드를 이용하여 10가지로 분류하였으며, 문화기능은 창작․생산, 매개․분배,
수용․소비, 보존․등록, 참여 등의 5가지로 구분됨.

□ 캐나다의 문화통계 작성 기준(Canadian Framwork for Cultural Statistics, 이하 CFCS)은


UNESCO의 FCS의 중심개념을 차용하면서 광범위한 문화자원의 범위를 한정하여 사용하
고 있으며 최근 통계자료는 캐나다 통계청22)에서 확인 가능함.
◦ CFCS는 문화부문과 가치사슬을 나타내는 문화기능의 교차를 통해 구성됨.
- 문화부문은 저작과 출판, 영화와 비디오를 비롯한 13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화
기능은 창조적 가치사슬. 즉 창작-제작-제조-유통-문화상품, 문화서비스, 지원으로
구성됨.
◦ 캐나다 문화통계 분류체계는 크게 문화유산, 공연, 시각예술, 발간물, 청각시각 미디어,
음원으로 나뉨.
- 문화유산: 기록물, 유물, 문화유산, 자연유산 등이 포함됨.
- 공연: 공연예술, 축제와 명절 등이 포함됨.
- 시각예술: 기본 시각 예술, 예술 재창조, 사진, 공예 등이 포함됨.
- 발간물: 책, 학술지, 신문, 그 외 발간물 등이 포함됨.
- 청각시각 미디어: 영화와 비디오, 방송, 인터넷 등이 포함됨.
- 음원: 음악, 음반 등 포함됨.

□ 호주의 문화·여가분류(Australian Culture and Leisure Classifications, 이하 ACLC)는


UNESCO의 FCS에 기초하였고, 최근 통계 자료는 호주 통계청23)에서 볼 수 있음.

21)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4), 지역문화지표 재설정 및 DB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22) 캐나다 통계청, www.statcan.gc.ca
23) 호주 통계청, www.abs.gov.au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43
◦호주의 문화·여가 통계는 경제, 문화참여도, 산업, 환경으로 나뉨.
- 경제: 예산과 고용 및 봉사 등이 포함됨.
- 문화 참여도: 관객, 문화, 인터넷, 예술교육 등이 포함됨.
- 산업: 기록물, 문학, 인쇄물, 박물관, 공예, 영화, 음악 등이 포함되어 있음.
- 환경: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으로 볼 수 있음.

□ 프랑스의 문화통계는 경제, 예산에서 산업에 이르기 까지 넓은 범주를 아우르고 있으


며 최근 통계자료는 프랑스 통계청24)에서 볼 수 있음.
◦ 프랑스의 문화통계 분류체계는 경제그룹, 예산그룹, 참여그룹, 문화유산그룹, 창작물그룹,
산업그룹으로 나뉨.
- 경제그룹: 문화기업, 문화단체, 일자리 시설 교육 등이 포함됨.
- 예산그룹: 예산 소비가 포함되어 있음.
- 참여그룹: 관객 수, 여행이 포함됨.
- 문화유산 그룹: 건축, 기록물, 박물관, 유물 등이 포함됨.
- 창작물그룹: 시각예술, 무용, 음악과 뮤지컬, 극장이 포함됨.
- 산업그룹: 영화, 인터넷 게임, 라디오 등이 포함되어 있음.

<표 Ⅱ-30> 해외 문화지표 분류체계 비교

구 분 대분류 및 중분류
문화유산,문학음악,공연예술,조형예술,사회활동,자연환경,스포츠,출판물,
유네스코
라디오․ TV
언어, 예술,놀이,장식가족,사회활동,정부활동,법,
HRAF 의․식․주,농업,축산,노동,산업,경제활동,자연,군사기술,전쟁
건강․복지,종교,신념,교육
A.문화유산 기록물, 유물, 문화유산, 자연유산
B.공연 공연예술, 축제와 명절
캐나다 C.시각예술 기본 시각예술, 예술 재창조, 사진, 공예
문화지표체계 D.발간물, 책, 학술지, 신문, 그 외 발간물
E.청각시각 미디어 영화와 비디오, 방송, 인터넷
F.음원 음악, 음반
G. 교육과 연수, H. 예산, 모금, 후원, I. 매개체, J. 공공시설
경제 정부와 사업에 의한 예산, 고용 및 자원 봉사
문화참여도 관객과 참여, 문화와 인터넷, 지출, 예술교육, 소비
호주
기록물, 문학과 인쇄물, 박물관과 미술관, 관광, 시각예술·
(2015) 산업
공예· 디자인, 영화·텔레비전 및 라디오, 공연 예술과 음악
환경 문화유산, 자연유산

24) 프랑스 통계청, https://www.insee.fr

44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구 분 대분류 및 중분류
경제그룹 문화기업, 문화단체, 일자리, 시설, 교육 등
예산그룹 예산, 소비 등
프랑스 참여그룹 관객수, 여행
(2016) 문화유산그룹 건축, 기록물, 박물관, 유물 등
창작물그룹 시각예술, 무용, 음악과 뮤지컬, 극장
산업그룹 영화, 인터넷, 게임, 책, 신문, 라디오, TV, 비디오 등

□ 해외 문화자원 분류체계와 국내 문화자원 분류체계의 비교를 통해 향후 방향성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음.
◦ HRAF의 OCM 기준 분류의 경우 80개의 대분류 안에 문화와 교육이 분류되어있지만,
국내에서는 교육이라는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있지 않음.
- 이에 따라 교육자원을 더욱 체계화 세분화하여 발전시킬 필요가 있음.
◦ 해외 문화자원 분류체계는 대분류의 범주 자체가 확장되어 분류 됨. 예를 들어 호주나
프랑스의 경우 경제, 산업 등의 넓은 범주를 포괄하여 분류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대부
분 역사문화자원, 예술문화자원, 대중문화자원 등의 예술장르에 국한되어 있음.
- 문화향유에 있어 다양하게 활용되고 융합 가능한 문화자원을 포괄하는 현실성 있는
자원분류체계로 발전되어야 함.
◦ 해외 문화자원 분류체계를 살펴보면 각 나라별 통계청에서 표준화된 분류 및 조사가 이루
어지고 있으며 나라마다 중요시 되는 문화자원이 분류체계에 부각되어 나타남. 하지만 국
내의 경우 각 시·도별 개별적인 문화자원 분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가 차원의 통일된
분류와 연구조사는 미흡함.
- 표준화된 분류기준을 바탕으로 하는 정부주도의 전 지역대상 문화자원 분류체계마련
을 통해 지속적인 조사관리가 필요함.

4) 문화자원 관련 온라인 D/B 분류체계 선행연구

□ 문화체육관광부 내 문화자원 관련 온라인 D/B 분류체계 분석


◦ 중앙정부 및 지자체 차원에서 문화자원을 분류하고 온라인 D/B화하는 작업을 진행 중임.
◦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 문화 관련 정보를 게시한 문화포털(문화부, 서울, 경기, 인천
등), 문화데이터광장, 부산문화재단의 전자아카이브 등이 있으며 해당 D/B의 주요 분류
체계 현황은 <표 Ⅱ-31>과 같음.
◦ 문화데이터광장은 정부 3.0시대에 맞추어 공공문화데이터를 수집·공개한다는 목적으로
각 부처/지자체 총 138개 기관과 연계하여 약 6,700만 건의 데이터를 제공함.
- 선별된 데이터 제공에 참여하지 않은 지자체의 문화자원데이터는 통합 파악이 어려움.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45
◦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에서도 각 지역축제 및 공연, 문화서비스 등을 ‘문화광장’의 하
위메뉴에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공되는 문화서비스 소개하고 있음.
- 대중들이 주로 향유하는 축제, 관광 등 콘텐츠에 집중되어 지역별 고른 문화자원 파
악이 어려움.
◦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포털은 문화시설, 문화예술단체 등 문화자원에 관한 데이터를 주
요검색사이트(네이버, 다음)의 지도와 연계하여 제공함.
- 문화시설의 위치, 밀도 파악이 용이하나 단체 정보의 경우 분류체계가 미흡함.
◦ 부산문화재단의 전자 아카이브는 부산 지역의 문화예술정보를 수집, 공개하는 온라인 정
보 시스템으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를 선택하여 검색이 가능하며 분류체계에 문화예술
계 최근 현황을 반영함.
- 예술장르 구분에 ‘인디’ 장르 추가, 예술시설 구분에 레지던시 등 최근 주요 화두로
떠오르는 사항을 적용 함.

<표 Ⅱ-31> 문화자원관련 온라인 D/B 시스템 분류체계 선행연구

출 처 구분 내용
문화예술 시각예술, 전시, 공연예술, 예술가, 교육, 문화예술정보
공예품, 문예품, 무형문화, 민속자료, 역사자료, 교육, ICT 교육,
문화유산
문화유산정보, 유적지, 유물정보
영화, 영상, 음반, 방송, 지식정보, 행사, 채용정보, 공모전, 문화
문화데이터광장25) 문화산업
산업정보
관광 관광지, 축제, 음식, 숙박, 관광정보
체육 체육대회, 교육, 체육정보
도서 소장자료, 도서정보
소분류 없이 나열 형식,
지역축제
월별, 시도별, 축제명/내용으로 검색 가능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공연 연극, 뮤지컬, 오페라, 음악, 콘서트, 국악, 무용, 전시, 기타
홈페이지26)
문화서비스
문화, 체육, 관광, 전통음악, 한글교육
소개
문화시설, 공연장, 미술관, 박물관, 문화·복지 시군구 회관, 도서
문화시설
문화포털27) 관, 기타 문화공간, 영화관, 문화재
문화예술단체 별도 소분류 없이 177개 단체 등록
예술지원업체 출판사, 기획사, 스태프
공연장, 전시장, 레지던시, 영화관,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기념
예술시설 관, 영상제작시설/자료관, 언론방송사, 청소년문화시설, 지역문화
부산문화재단
복지관, 공원, 특화거리/골목, 대중예술공간, 복합문화공간
전자아카이브28)
예술단체 시각, 문학, 전통, 공연, 영상, 인디, 문화일반
예술작품 전통, 문학, 시각, 공연, 영상, 인디, 문화일반
예술인 문학, 시각, 영상, 인디, 문화일반, 전통, 공연

25) 문화데이터광장http://www.culture.go.kr/data/main/main.do#main
26) 문화체육관광부http://www.mcst.go.kr/main.jsp

46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 타 부처 문화자원 관련 온라인 D/B 분류체계 분석
◦ 행정자치부의 지방행정정보시스템(‘내고장 알리미’)은 전국 지자체별 기본 현황 및 주요
정책, 주민 생활과 관련된 행정지표(7개 분야, 202개 행정지표) 등을 제공함.
- 문화자원과 관련하여 지자체별 행정지표 ‘교육문화’ 분야 내 ‘문화·체육·관광’ 세부
분야의 지표를 통해 각 지역별 문화자원을 파악하고 있음.
- 해당 분야의 세부지표는 지정등록문화재, 문화기반시설 수, 인구 1만 명당 문화기반
시설 수, 주민 1만 명당 지방 문예진흥기금 조성액, 공공도서관, 등록·신고 체육시설,
주민 1만 명당 공공체육시설 수, 관광·숙박시설 현황, 주민 1만 명당 등록·신고체육
시설 수로 나타남.

2. 문화예술교육자원 관련 분류체계 선행연구

1) 문화예술교육 관련 분류체계 선행연구

□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관한 분류체계 선행연구


◦ 박옥남 외(2009)의 연구는 <표 Ⅱ-32>와 같이 문화예술교육 자원의 효율적이고 체
계적인 관리를 위해 패싯(facet) 기반의 문화예술교육 분류 시스템을 제시함.
-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 중요 도메인으로 다뤄지는 것들에 대해 문헌분석, 전문가 자
문 등을 통해 총 13개의 메인 패싯과 용어구조를 제안함.
- 문화예술교육을 국가, 활동유형, 목표, 주제, 재정지원, 행위자, 수혜자, 활동, 교육,
자원유형, 교수법, 파트너십, 평가 등의 패싯을 기준으로 세부적인 구분을 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의 전반을 분류했다는 의의를 가짐.
- 박옥남 외(2009)의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자원을 메인 패싯 중 하나로 다루었으
나 자원의 의미를 좁은 의미, 즉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매개체(미디어,
콘텐츠) 정도로 해석하여 본 연구에서 수립하고자 하는 광의의 문화예술교육자원을
포괄하지 못하며 오히려 전체 패싯 구분에 있어 활동유형, 재정, 행위자 및 수혜자,
교수법, 파트너십 등 메인 패싯 전반을 참고해야 할 것으로 파악됨.

27) 문화포털http://www.culture.go.kr/space/facility.do
28) 부산문화재단 전자아카이브 http://e-archive.bscf.or.kr/22_search/01_search.php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47
<표 Ⅱ-32> 패싯(facet)기반의 문화예술교육 분류 시스템

패싯 설명 구분(서브패싯)
국가 예술교육활동 국가 아프리카, 아메리카 및 캐리비안, 아시아 및 태평양, 유럽
① 정책
② 장기간 일관성갖고 유지되는 사업(프로그램)
활동
예술교육활동 유형 ③ 단기간 프로젝트
유형
④ 정책과 사업방향 관계없이 일관성 있게 제공되는 서비스
⑤ 문화예술교육의 흐름을 주도하기 위한 문화예술교육운동
개인적 역량 예술적 능력(예술적 기술, 예술 감상력 등), 일반소
강화 양능력(자존감, 자기표현력 등), 개인여가·활동
목표 예술교육활동 목표
사회적 역량
사회통합, 문화적 다양성, 문화적 참여
강화
무용, 디자인, 영화 및 미디어, 문학, 시각예술, 음악, 연극, 공예, 문화
주제 예술교육활동 주제
유산, 디지털 아트 등
재정 예술교육활동 공공재정 국제기관, 중앙정부, 시, 도, 공공재단
지원 재정지원출처 민간재정 사립재단, 기업, 개인 기부금, 수익자부담금
예술교육에 관심 책임기관 국제기관(NGO, UN 등), 공공기관(정부, 일반학교, 예술
및 전문성 가지고 (기관, 학교, 교사연수기관, 문화시설), 사립기관(스튜디오, 기
행위자
참여하는 개인, 조직) 업),
기관, 조직 개인 예술가, 예술교·강사, 일반교사, 행정가
학생 어린이, 청소년, 영재
예술교육활동
수혜자 시민 아마추어 예술가, 학부모, 노인 등
수혜자
취약계층 장애인, 저소득가정, 이민자 등
예술작품을 통한 학습, 예술활동 참여를 통한 학습, 예술
활동유형 관련 학문에 기반한 학습, 예술가와의 만남을 통한 학습,
활동 예술교육활동 상세
문화유적 답사를 통한 학습
활동과정 회의, 토론, 워크숍 등
정규교육(학교), 비정규교육(평생교육), 무형식교육(문화
유형
예술교육활동 센터)
교육
교육관련 상세 재정 공교육, 사교육(학원)
단계 취학 전, 초/중/고, 전문학교
자원 예술교육에 미디어 전자매체, 컴퓨터, 전자책 등
유형 사용되는 자원유형 콘텐츠 예술소장품, 모범사례, 전시회, 공연 등
예술을 통한 교육(도구로써 예술), 예술 안의 교육(예술
접근방법
자체가 목적)
예술교육활동에
교수법 교육철학 구성주의, 진보적 예술교육 등
사용되는 교수법
제공된 교수법의 의무적 사용, 제공된 교수법의 선택적
지원체계
사용, 교사 재량 교수법 선택
채널 위원회, 재단, 문화기관, 정부, 자발적 방법
예술교육활동 학교-문화시설 간, 학교-기업 간, 정부기관-문화시설 간,
파트너십 참여기관
파트너십 상세 예술학교-일반학교 간 등
참여방법 정책지원기반, 재정자원기반, 공동프로그램 운영 등
유형 비공식 평가, 성취도 평가, 동료 평가, 반성적 실천
예술교육활동 평가 방법 면담, 관찰, 설문지 등
평가
상세 자원 베이스라인 데이터, 벤치마크, 프로토콜 등
평가빈도 정기평가, 비정기평가

48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2) 문화예술교육자원 관련 분류체계 선행연구

□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에 관한 분류체계 선행연구


◦ 임학순(2005)은 문화예술교육에서 인적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문화예술교육 인적자
원 통계체계의 실태를 분석하여 지표체계를 개발함.
- 문화예술교육은 중앙 부처 간, 중앙과 지자체 간, 또 다양한 이해관계자 사이에 협
력체계가 매우 중요한 정책 사업이며 따라서 인적자원 및 네트워크 관련 분류체계가
단계별로 정리될 필요가 있음.
-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참여자를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경
영자, 강사, 예술가, 학생, 지역주민, 문화예술교육기관, 대학, 학교 등 개인과 조직단
위를 포함한다고 말함.
- 해당 연구에서 제안한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 지표 및 문화예술교육 관련지표는
<표 Ⅱ-33>과 같음.

<표 Ⅱ-33>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 및 관련 지표체계

지표 구분 지표 영역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종사자
인적자원
문화예술인 및 관련인력의 교육프로그램 참여
문화예술교육 기관의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정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규모와 특성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체계
추진기관
문화예술교육 협력 네트워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장애요인 및 향후 수요 관련 사항
문화예술교육 일반 국민 대상
고객 특정 고객 대상
문화예술교육 시장 문화예술교육 지출규모, 수요, 프로그램 규모, 종사자 수 등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변화, 학업성취도,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 등
성과

□ 문화예술교육 자원에 관한 분류체계 선행연구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4)은 공공영역에서 실시되고 있는 사회문화예술교육 현황에
대한 조사에서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자원, 프로그램, 환경 등을 설문조사법을 통해 조
사·분석함. 이는 <표 Ⅱ-34>와 같음.
◦ 문화예술교육자원을 예산, 인적자원, 교육단체로 구분하여 조사함.
- 예산: 공공영역 예산(중앙정부, 지자체 등), 민간영역 예산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49
- 인적자원: 문화예술교육 실시인력(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사 등), 활동 지원인력(문
화재단, 문화기반시설 등), 정규직/비정규직 여부
- 교육단체: 설립시기, 단체인적자원 규모, 기반지역, 법적 성격 등
◦ 그 외 프로그램(대상, 유형과 장르, 내용, 기간, 제공방식), 환경(교육 참여경험 유무, 기관
및 단체의 문화예술교육 지원 시스템 구축 여부, 중앙-지자체 권역 여건 격차 등)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음.
- 전담인력, 조직체계, 자체 예산 편성, 강사 수급, 사업수행 기관/단체 수급 등 문화
예술교육 인적자원과 행정/재정 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함.
- 특히 각 지역 문화예술교육 인적, 물적 자원과 연계하는 시스템이 받쳐주지 않을 시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양적 개선이 불가하다고 말함.
- (사회)문화예술교육 분류체계가 마련되어야 함을 역설하며 다음과 같은 분류체계안
을 제시함.

<표 Ⅱ-34> 사회 문화예술교육 분류체계안

영역 구분 내용
중앙정부(문화부, 타 부처), 지원기관(중앙기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업
서비스 제공 지방기관: 광역/기초재단), 실행기관(문화기반시설)
주체 지원시스템 조직, 전담인력, 시설 및 공간, 자체 예산 규모 등
인식/태도 지원활동 관련 수요, 인식, 자체 평가 등
인력 강사 및 기획자 수, 활동 장르 등
자원 단체 단체유형, 활동영역, 규모, 지역, 법적성격 등
예산 예산규모, 성격, 자체예산 비중 등
유형/장르 프로그램 유형, 장르 등
프로그램 대상 연령별, 계층별, 지역별 분포 등
제공방식 기간, 교수학습방식, 자율성 등

50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제4절 선행연구의 시사점

□ 문화예술교육의 자원 정의 확립 및 개념 명확화가 필요함.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정의 및 개념 정립에 관련된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어 관
련 용어의 정리를 새롭게 구성해야 하는 시작 시점임. 이에 문화예술교육의 자원이 무엇이
며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한 선행적인 목표 설정이 필요함.
◦ 국가나 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사업 진행시 기반조성과 적절한 콘텐츠 마련이 시급함.
◦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사업 초기에 비해 최근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이 조명 받고 있
으며 지역 고유의 유·무형의 문화자원, 지역 문화 공간 및 시설, 지역 기반의 문화예술교
육을 연계한 지점이 필요.
◦ 따라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 자원에 대한 개념을 3장에서 살펴보고자 함.

□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체계적 발전을 위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관련 분류체계 정립이


필요함.
◦ 문화자원 분류체계 및 문화지표의 선행연구는 많은 연구자에 의해 실시되었으나 용어의
개념 정립조차 없던 문화예술교육자원의 지역화를 위한 분류체계의 성립은 시급한 실정임.
◦ 각 지역의 문화지표 연구를 통한 지표체계 확립은 이루어져 있지만 이는 문화예술교육에
활용되기엔 중점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자원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문화예술교육에 적합
한 분류체계 정립이 필요함.
◦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와 지향점을 갖고 현장의 이해를 바탕으로 콘텐츠·인적·공간 등을 활
용할 수 있는 자원 관리가 요원함.
◦ 현재의 지역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는 한정적인 프로그램 구성으로 진행되어 외형적인 확
대와 예산 투입에도 불구하고 정착 및 확산이 미미함.

□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차별화된 목표와 활용을 지향하는 분류체계 연구가가 필


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음.
□ 2장의 선행연구를 통해 확립된 개념 및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3장에서 문화예술교육 관
련 전문가 및 지역 전문가 대상 자문회의를 통해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화 및
분류체계 정립을 수행하고자 함.

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이론적 고찰 | 51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제1절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 틀
제2절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안)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제1절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 틀

1. 1차 FGI 조사 개요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정립을 위해 이론적 고찰, 선행연구, 전문가 대상 FGI


(focus group interview)29)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최종적으로 취합·분석하여 지역 문화예
술교육자원을 정의하고, 범주모형, 개념모형을 설계함.
◦ 먼저 문화예술교육자원과 지역 문화자원으로 연구주제어를 세분화 하여 관련 선행연구들
을 종합적으로 검토함.
- 합성어인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을 정의하기 위해 관련된 용어(문화, 예술, 문화예
술, 문화교육, 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지역, 지역문화, 지역 문화자원)와 문화예술
진흥법,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지역문화진흥법 등의 관련 법률을 파악함.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 모형 및 관련 구성요소 파악을 위해 국 내·외 문화자
원 및 문화예술교육자원 관련 분류체계를 검토함.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을 위해 1차 전문가 FGI를 실시함. 전


문가 FGI는 각 분야의 전문가 5인으로 구성하여 가급적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
였으며 구체적인 FGI 조사 개요는 <표 Ⅲ-1>과 같음.

<표 Ⅲ-1> 1차 FGI 조사 개요

구 분 1차 FGI
연구자, 교수, 현장 전문가, 지역문화예술전문가(지역활동예술가), 지역문화예술교육
대상
실무 관계자(지역문화재단 실무자) 5인
일시 2016년 11월 24일~25일
장소 상명대학교
활용 내용 연구 주제어 정의 및 범주파악, 개념모형 논의

29) FGI(focus group interview)는 정성조사의 한 방법으로 대게 7~8의 조사대상자를 대상으로 조사목적과 관
련한 토론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정량조사에 앞서 예비조사의 성격으로 실시되거나, 정량조
사에서 검정해야 할 변수 혹은 가설설정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김미리, 김영태 2016).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55
2. 1차 FGI 조사 내용 분석 결과

1)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정의 및 개념

□ 1차 전문가 FGI 중 ‘정의 및 개념 정립’ 관련 내용 분석


◦ 전문가 FGI 분석결과는 <표 Ⅲ-2>와 같음. 그 중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정의 및 개념
정립을 위해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주요 내용은 세 가지로 요약됨.
- 1)단어별 범주가 모두 크기 때문에 각 단어별 관점의 정리가 필요
- 2)연구의 목적에 따라 자원을 바라보는 범위설정이 필요
- 3)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과 같은 협의의 관점에서 나아가 모든 지
역에 적용 가능한 일반적인 문화예술교육자원의 특성과 지역의 특수성까지 고려된
자원으로 살펴봐야 함.

<표 Ⅲ-2> 1차 전문가 FGI 내용 분석 결과 (정의 및 개념 정립)

1차 전문가 FGI 내용 분석 결과 (정의 및 개념 정립)


- 문화예술교육과 자원의 범주도 매우 광범위하고 정의가 명확히 합의가 되어 있지 않아 각 단어별 조
작적 정의를 내리면서 접근해야 함.
- 조작적 정의를 내릴 때 단어 마다 근거가 될 수 있는 선행연구나 사전적 의미를 먼저 살펴보아야 함.
예를 들어 일반적 보편성, 문화적 보편성, 지역의 고유성 및 특수성 등을 정의에 반영할 때에는 추상
적인 개념에 대한 명확한 기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
- 우선, 지역을 떼어놓고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정의가 우선시 되어야 하며, 지역별로 문화예술교육
을 위한 자원이 무엇이 있는지 조사를 위한 목적이라면 그 자원을 원료로 볼 것인지 결과물(모든 산
물 포함)까지 볼 것이냐에 대한 결정이 필요 함.
- 지금 실태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대부분의 보고서의 조사 대상들이 대부분 자원이라 할 수 있으며,
현실적으로 도시의 도시계획을 할 때에도 문화적 요소가 중요시 되듯이 지역예술교육관점의 협의의
범위에서 매몰되지 않고 사회와 문화가 연결되는 다양한 차원(복지, 사회문화 등)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음
- 문화예술교육자원을 엄격하게 정의하고 구분한 것이 모든 지역에서 일반화하여 적용되기는 힘들 수
있기 때문에 문화예술교육자원의 일반적 특성을 반영한 폭넓은 정의와 지역에 맞는 특수한 특성을 함
께 고려해야 함
- 실제 문화산업이 지역의 특성화를 살린 문화사업과 예술적 활동으로의 문화사업으로 나뉘는데 막상
교육내용을 보면 비슷함. 또한 예술단체들이 예술교육을 할 때 지역 특수성이 있는 문화자원과 연결하
려고 노력을 하나 창의적인 제약이 발생하여 대부분의 단체들은 문화교육(생활문화 포함)에 초점을 맞
추어 진행되고 있음. 따라서 문화를 어디까지 볼 것이냐 그리고 지역과 어디까지 상충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정리가 필요함.

□ ‘정의 및 개념 정립’에 대한 논의 결과
◦ 본 연구에서 문화예술교육은 ‘예술교육 뿐 아니라 더 넓은 개념을 포괄하는 것’으로 고려
하고자 함.
-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문화예술교육 초기에 정책적으로 예술을 수단으
로 한 문화교육, 즉 예술교육을 문화교육의 개념 실천을 위한 수단이자 도구적

56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관점으로 바라봄. 하지만 점차 문화예술교육은 예술교육의 측면과 문화교육의 측
면을 포괄하거나 문화·예술·교육의 통섭으로 이해하는 등의 통합적 접근이 이루
어짐(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0).
- 이처럼, 문화예술교육은 예술교육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예술적 배움을 모색하는
다양한 문화교육활동 모두를 의미하고 있어 그 개념이 더욱 확대됨.
- 또한,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는 예술적 체험을 비롯한 다양한 교육활동을 위해
생활 및 지역의 다양한 재료들이 활용되면서 그 개념은 더욱 확대됨.
◦ 본 연구에서 자원은 문화예술교육을 위해 발굴, 활용, 재생산 가능한 모든 ‘재료(원료)’의
측면으로 고려하고자 함.
◦ 본 연구에서 문화예술교육자원은 ‘예술교육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예술적 배움을 위해
활용가능한 모든 재료’의 개념으로 정리할 수 있음. 즉, 문화자원을 비롯하여 문화예술교
육을 위해 활용되는 유·무형의 다양한 관련 자원들을 포괄함.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을 ‘문화예술교육에 활용되는 일반적 보편성과
문화적 보편성, 지역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지닌 모든 유․무형의 자원’ 으로 정의하고자 함.
◦ <표 Ⅲ-3>과 같이 본 연구의 정의에서 표현된 단어 중 그 범위와 표현이 다소 추상적인
단어들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내려 그 의미를 더욱 명확히 하고자 함.
- ‘일반적 보편성’이라 함은 일부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지역에 두루 해당하거나
통하는 성질을 지닌 자원을 의미함(ex. 제도적 자원, 공간자원 등).
- ‘문화적 보편성’이라 함은 문화와 관련된 모든 요소들이 전체에 두루 미치거나 통하
는 성질을 지닌 자원을 의미함(ex. 예술문화자원 등).
- ‘지역의 고유성’이라 함은 타 지역과 구별 지을 수 있는 그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성질이나 그 사물이 나타내는 특유한 자원을 의미함(ex. 역사문화자원, 자연
문화자원 등).
- ‘지역의 특수성’이라 함은 타 지역과 구별 지을 수 있는 동시에 지역 내에서 소통
할 수 있는 매개로 작용할 수 있는 자원을 의미함(ex. 생활문화자원 등).
- 여기서 의미하는 ‘지역’은 물적·역사적·문화적 동질성 등의 특정한 동질적 특성을 지
닌 한 지구를 의미함. 즉, 지역은 지역정체성을 지녀 그 지역만의 고유성과 특수성
을 지님.
- 여기서 의미하는 ‘자원’은 문화예술교육을 위해 재료로서 발굴, 활용, 재활용 될 수
있는 지역의 모든 유·무형의 자원임.
- 본 정의는 일반적 지역 문화자원의 정의인 ‘지역의 고유의 유·무형의 문화적 산물30)’
과는 차이가 있음. 즉 지역의 고유성을 지닌 점과 문화적 산물이 강조되는 지역

30) 나양채, 「지역 문화자원의 공연콘텐츠화에 관한 연구-5·18연극 ‘애꾸눈 광대’ 제작사례를 중심으로-」, 광주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1 참조.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57
문화자원의 정의와 달리 본 연구의 정의는 문화예술교육의 특성 및 변화하는 실제
문화예술교육환경을 반영함.

<표 Ⅲ-3> 조작적 정의(일반적 보편성, 문화적 보편성, 지역의 고유성, 지역의 특수성)

단어 정의 예시
일반적 일부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지역에 두루 해당하 공간자원(문화시설, 청소년활동시
보편성 거나 통하는 성질을 지닌 자원 설 등)/제도적자원(예산, 기관 등)
문화적 문화와 관련된 모든 요소들이 전체에 두루 미치거나 예술문화자원(공연예술, 시각예
보편성 통하는 성질을 지닌 자원 술, 문학예술 등)
지역의 타 지역과 구별 지을 수 있는 그 지역만이 가지고 있 역사문화자원(문화재 등)/ 자연문
고유성 는 고유한 성질이나 그 사물이 나타내는 특유한 자원 화자원(농·축산자원, 수자원 등)
지역의 타 지역과 구별 지을 수 있는 동시에 지역 내에서 소 생활문화자원(의(衣)문화, 식(食)
특수성 통 할 수 있는 매개로 작용할 수 있는 자원 문화, 주(住)문화 등)

2)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범주 모형

□ 1차 전문가 FGI 중 ‘범주 모형’ 관련 내용 분석


◦ 전문가 FGI 분석결과는 <표 Ⅲ-4>과 같음.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
원의 범주에 문화자원을 비롯한 다양한 연관 자원(예술자원, 교육자원, 사회적 자원, 제도
적 자원, 환경적 자원, 공간 자원, 정책적 자원, 융합자원 등)들의 중요성을 언급함.
- 이러한 다양한 자원과 문화예술교육자원,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은 단계별로 구분은
가능하나 이들은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임이 강조됨.

<표 Ⅲ-4> 1차 전문가 FGI 내용 분석 결과 (범주 모형)

1차 전문가 FGI 내용 분석 결과 (범주 모형)

- 지역문화예술교육자원의 범주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자원이라는 상위 개념아래 ‘문화자원’뿐만 아니라


예술자원, 교육자원, 사회적 자원, 제도적 자원, 환경적 자원, 공간 자원, 정책적 자원 등의 다양한 자
원이 문화예술교육자원과 유기적으로 엮여야 함.
- 문화자원의 개념이 매우 광범위하여 그 안에 예술자원, 재정자원, 제도적자원, 공간자원 등이 모두 포
괄됨. 이러한 문화자원 내에 문화예술교육에 필요한 자원이 존재하며, 이 밖에도 문화자원과는 별개의
문화예술교육자원이 존재함. 또한, 문화예술교육자원 중 지역의 특수성 및 정체성을 지닌 지역 문화예
술교육자원이 존재하는 것임.
-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교육인적자원을 비롯한 다양한 인적자원이 매우 중요하며 그 외
재정자원, 정책적·행정적 자원도 매우 중요자원임. 그리고 요즘엔 문화예술교육콘텐츠가 융합적인 성
격을 지니고 있어 관광자원, IT기술자원 등이 모두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융합자원이 될 수 있음. 따라
서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타 산업과의 다양한 융합자원을 포괄하는 범주가 필요함.
- 문화예술교육자원이라는 보편적 개념 하에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자원을 조사하는 목적에 맞게, 지역을
따로 생각하지 말고 우선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범주가 어디인가가 정립되어야 함. 또한, 문화예술교육
이지만 예술. 예술교육이 가장 핵심(core)에 있고 그 스펙트럼의 범주가 넓어져야 함.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모형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성이 무엇이냐에 따라 자원
이 활용되는 다양한 범위가 타당하게 나올 수 있음. 자원이 원료로서 활용되는 관점이 적절하며, 그렇
다면 향후 가이드맵과 같이 활용방안을 무엇인지에 대한 생각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

58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 ‘범주 모형’에 대한 논의 결과
◦ 본 연구에서 설계 된 지역문화예술교육자원의 ‘범주 모형’은 [그림 Ⅲ-1]과 같음.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범주를 설명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자원인 문화
자원, 문화예술교육자원, 지역문화예술교육자원으로 3단계의 계층을 구분함.
- ‘문화자원 계층’은 선행연구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매우 광범위한 범주로서 그 범주
안에 예술자원, 법자원, 생활자원, 관광자원, 공간자원, 인적자원, 정책자원, 행정/재정
적 자원, 융합(복합자원)을 비롯해 문화교육을 위해 활용가능 한 다양한 자원이 모두
포함되어 있음.
- ‘문화예술교육자원 계층’은 문화자원 내의 여러 자원이 포함되지만 이외에도 문화예
술교육만을 위한 콘텐츠자원, 인적자원, 제도적 자원 등이 있어 이를 포괄하는 범주
가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범주임.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계층’은 문화예술교육자원 중 지역의 고유성 및 특수성이
내제된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범주로서 본 범주모형의 최종적인 범주임.
◦ 여기서의 범주는 ‘자원’이라는 큰 영역 안에서 각 계층이 지니는 범주의 크기를 표현한
것임. 따라서, 하층에는 가장 광범위한 문화자원이, 중간층에 문화예술교육자원이, 최상
층에는 지역문화예술교육자원이 위치됨.
- 즉,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은 문화자원과 문화예술교육자원의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동시에 지역의 정체성과 특수성을 지닌 범주라 할 수 있음.
- 이렇듯 각 계층 간에는 교집합의 요소들이 존재하여 이들은 서로 유기적인 영향관계
에 있음.

[그림 Ⅲ-1] 지역문화예술교육자원 범주 모형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59
3)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 모형

□ 1차 전문가 FGI 중 ‘개념 모형’에 대한 내용 분석


◦ 전문가 FGI 분석결과는 <표 Ⅲ-5>와 같으며, 전문가들은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
모형을 정립하는데 있어서 문화예술교육자원의 층위를 구분되어야 함을 강조함.
- 즉, 문화예술교육자원 중 핵심에 가까운 내부 층위는 ‘소재’로서의 문화자원이 위치
하여 이를 표현하는 개념들이 나타나야 함.
- 또한 실제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 소재(콘텐츠) 측면의 자원 외에도 인적,
제도적 자원 등 다양한 자원이 요구되므로 이러한 자원까지 포함하는 개념 모형 설
계가 필요함.

<표 Ⅲ-5> 1차 전문가 FGI 내용 분석 결과 (개념 모형)

1차 전문가 FGI 내용 분석 결과 (개념 모형)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을 개념화하기 위한 모형에서는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자원을 어떻게 조사할 것
인지, 활용은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함께 고려해야 함. 즉, 가장 작은 차원에서부터 큰 차원까지 활
용할 수 있는 자원에 대한 구조화가 이루어져야 함.
- ‘자원 조사’라는 본 연구의 목적성이 중요하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자원의 개념화가 이루어져야 함.
즉 문화예술교육과 지역의 자원이 엮여 순환구조로 돌아가는 모형이 설정되어야 함.
- 기존의 자원조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폭넓은 시각의 개념정립이 필요하며 좁은 차원에서
넓은 시스템 차원에 이르기까지 문화예술교육자원의 층위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도식화해야
함. 해외의 도시문화계획 매뉴얼을 참고하면 층위를 잡는데 도움이 될 것임.
-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는 예술을 가지고 어떠한 교수법으로 교육에 활용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체계가 없음. 현장 기반의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예술’을 위한 교육을 넘어
‘문화’, 사회 전반적 이슈의 측면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소재를 바라보는 노력이 필요함.
- 음악교육, 미술교육 등이 대표적인 문화예술교육이었으나 실제 문화예술교육을 하는데 있어서 그 경계
가 무너지고 융합교육으로 바뀌다 보니 개념 모형 내 구성요소에도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야 함. 오히
려 최근에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념이 점점 좁아지는 느낌이 들어 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제약
이 생겨 안타깝게 생각되어 조금 더 열린 개념체계 정립이 되어야 함.
- 각 지역의 스토리, 콘텐츠 등을 문화예술교육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소재’의 측면이 개념 모형에
반영되어야 하며 지역의 일반성과 특수성을 담아내야 함.

□ ‘개념 모형’에 대한 논의 결과
◦ 본 연구에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 모형’은 [그림 Ⅲ-2]와 같이 크게 Internal
Layers(내부 층)와 External Layers(외부 층)의 층위로 표현됨.
- 즉,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 소재로써의 성격을 지니는 콘텐츠적 자원-예술
문화자원, 역사문화자원, 생활문화자원, 자연문화자원, 융합자원-을 Internal Layers
(내부 층)에 배치함.
- 이는 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술(→예술문화자원), 문화산업(→융합자원), 문화재(→역
사문화자원)를 교육내용이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이라 정의한 문화예술교육지

60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원법의 취지에 맞는 것임.
- 또한, 소재/콘텐츠를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고자 할 때 프로그램을 담아낼
수 있는, 즉 하드웨어적으로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시스템·공간자원 및 인적자원 등
을 External Layers(외부 층)에 배치함.
- 전문가 FGI에서 분석된 바와 같이, 문화예술교육자원을 일정 기준에 따라 층위를
구성함. 소재·내용적 측면에서 활용되는 자원(콘텐츠/소재)을 내부 층에 두어 활용하
고, 이러한 콘텐츠성 자원을 담아낼 그릇으로써 인적자원/제도적 자원/공간자원을
구분하여 외부 층에 배치함.
- 실제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교육콘텐츠가 시·공간(지역, 시대)에 따라
다양화·다변화되는 현상을 반영하여 다양한 자원을 반영할 수 있는 층위로 구성하여
향후 새롭게 등장하는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도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함.

[그림 Ⅲ-2]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모형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61
제2절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안)

1. 분류체계 구성 원칙 및 방법

□ 본 연구는 체계적인 분류체계 개발을 위해 5가지 분류원칙을 바탕으로 함.


◦ 적합성: 기존의 광범위한 문화자원 관련 분류체계 및 문화예술교육자원 관련 분류체계의
선행연구를 통합 및 수정·보완하여 분류체계의 ‘적합성’ 확보.
- 지역의 문화자원 분류체계, 문화지표, 해외문화통계 및 문화자원 분류체계, 지역문화
재단 등 정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실시한 문화자원 온라인 D/B 분류체계, 연구논
문, 통계자료 등의 분류기준과 구성요소를 토대로 개발됨.
- 관련한 각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과 개념정립, 분류체계 기준 설정 및 설계, 용어
추출에 관련한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연구의 객관성 확보.
◦ 실현가능성: 향후 연구(지표구축 및 실태조사 등)를 위해 조사 및 데이터 구축이 지속적
으로 가능한 대분류·중분류를 설정하여 ‘실현가능성’을 제고함.
- 기존의 문화통계 및 실태조사, 시군구 단위의 관련 통계조사 등의 출처를 기재하여
향후 구체적인 결과 도출과 연구의 용이성을 제공함. 더하여 추가적으로 통계조사가
필요한 부분의 경우에도 이를 반영·제시하여 향후 조사의 용이성을 제공함.
◦ 대표성: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자원을 총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다차원 적인
분류체계를 제안함.
- 특정 지역이 지역문화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소외 되지 않도록 전 지역을 아우르
는 것과 동시에 지역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반영할 수 있는 분류체계를 설계함.
◦ 일관성: 문화예술교육의 주요구성요소와 프로세스 기반의 일정한 분류원칙과 기준에 따
른 ‘일관성’에 근거하여 분류체계 개발함.
- 전승규(2009)와 장호수(2004)는 분류체계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일관성’있는 개발이
중요함을 강조함.
◦ 계층성: 분류체계는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계층적
인 구조로 체계적으로 개발되어 ‘계층성’을 지님.
- 분류체계의 기준 설정과 함께 목적과 활용대상 제시하였고, 그 아래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를 설정함.

62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그림 Ⅲ-3] 분류체계 구성의 5가지 원칙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구축 방법은 하향식 접근법(top-down approach)과


상향식 접근법(bottom-up approach)을 혼합한 ‘복합식 접근법(combination approach)’
을 적용함.
◦ 복합식 접근법이란, 하향식 접근법과 상향식 접근법을 혼합하여 분류체계를 설계해 나가
는 방법을 의미함(Uschold and Gruninger, 1996).
- 하향식 접근법은 도메인의 가장 일반적인 개념부터 추출하여 세부적인 개념을 추출
하는 방법이며, 상향식 접근법은 세부적인 개념을 먼저 추출하여 일반적인 개념을
도출하는 방식임.
- 분류체계를 설계 할 때 하향식 접근법과 상향식 접근법을 모두 수용하여야 가장 이
상적이고 표준화된 분류체계를 구축 할 수 있음(유보현 외2, 2000).
◦ 본 연구는 아래 [그림 Ⅲ-4]의 복합식 접근법을 채택하여 선행연구 및 문헌자료 조사를
하향식 접근법으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기준 및 세부구성요소를 도출함. 또한,
문화예술교육관련 각 분야 전문가 및 분류체계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상향식 접근법으로
하위 및 상위 항목을 도출함.

[그림 Ⅲ-4] 분류체계 구축 방법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63
2. 2차 FGI 조사 개요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 설계를 위해 이론적 고찰, 선행연구, 전문가 대상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최종적으로 취합·분석하여 지역 문화
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안)을 제시함.
◦ 먼저 문화자원, 지역 문화자원, 문화예술교육자원관련 분류체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폭넓
게 실시함.
- 구체적으로 문화자원분류체계 관련 선행연구로는 지역 차원의 문화자원 조사 분류체
계 및 문화자원 총람 등과 국내 문화예술영역 관련 대표적 지표체계인 문화지표를
시대별·지역별로 살펴보았으며, 해외 문화자원 분류체계로 미국 예일대학의 HRAF,
UNESCO의 FCS, 캐나다의 문화통계작성기준(CFCS), 호주의 문화·여가분류(ACLC),
프랑스의 문화통계 분류체계 등을 검토함.
- 온라인 문화자원 관련 D/B 분류체계는 문화체육관광부 내 문화자원 관련 자료를 살
펴보았으며 문화관련 정보를 게시한 문화포털, 문화데이터광장, 부산문화재단의 전자
아카이브 등을 통해 파악함.
- 문화예술교육자원에 관련된 포괄적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관련 선행연구로 문화예술
교육의 전반 분류시스템을 제시한 박옥남 외(2009)와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 지표체
계를 개발한 임학순(2005)의 연구를 살펴보았음.
- 이 밖에 전문가 자문내용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핵심요소 기반 분류체계’와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 초안을 구성하였음.

□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검토 후 설계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을 위해 2차 전문가 FGI를 실시함. 전문가 FGI는 각 분야의 전문가
5인으로 구성하여 가급적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FGI 조사 개
요는 <표 Ⅲ-6>과 같음.

<표 Ⅲ-6> 2차 FGI 전문가 개요

구 분 2차 FGI
연구자, 교수, 지역문화예술전문가, 지역문화예술교육 실무 관계자,
대상
분류체계 전문가로 구성된 총 5인
일시 2016년 12월 19일
장소 상명대학교
연구 주제어 정의 및 범주 논의,
활용 내용
광의/협의의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공통/지역) 논의

64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3. 2차 FGI 조사 내용 분석 결과

□ 2차 전문가 FGI ‘분류체계(안)’ 관련 내용 분석


◦ 분류체계 설계를 위한 2차 전문가 FGI 분석결과는 <표 Ⅲ-7>과 같음. 이를 바탕으로 지
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 정립을 위해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주요 내용
은 세 가지로 요약됨.
- 1) 분류체계를 설계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목적성에 부합하는 것임.
- 2) 본 연구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의 핵심구성요소, 프로세스 기반 등 명확한 기준에
따른 다차원적인 분류체계가 설계되어야 함.
- 3) 본 연구가 일시적인 연구가 아닌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더불어 지역
의 문화예술교육자원을 발굴하여 다양화시키기 위한 토대가 되어야 함.

<표 Ⅲ-7> 2차 전문가 FGI 내용 분석 결과(분류체계)

2차 전문가 FGI 내용 분석 결과(분류체계)


- 분류체계 설계의 목적성을 우선 파악해야하고 실제 문화예술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자원(예산, 제도
등)들을 넣어야 함.
- 각 지역에서 지역 특수성이 내재된 문화예술교육자원을 발굴하여 문화예술교육이 획일화 되지 않고
다양화 되게 하는 것이 중요함. 향후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조사가 문화예술교육의 근본을 알고, 방향
성을 제시하는 조사가 되어야 함.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기준 혹은 관점에서 볼 것인지가 가
장 중요함. 예를 들면, 문화예술교육의 핵심요소 기반한 분류체계와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가 있음.
핵심요소라 함은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이고 필수적인 요소이며 콘텐츠(소재)자원,
인적자원, 공간자원 등이 있음.
- 콘텐츠자원 안에는 문화예술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예술문화자원, 역사문화자원, 자연자원, 융합자원,
생활문화자원 등이 포함될 수 있음.
- 인적 자원의 경우, 공급자뿐만 아니라 교육대상으로서의 수혜자도 고려해야 할 중요한 자원으로 볼 수
있음.
- 문화예술교육 프로세스기반 분류체계(안)은 실질적으로 향후 조사의 기반 자료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음. 다만, 중첩되는 부분의 분류 카테고리는 정리가 필요함. 또한, 프로세스 단계 중 ‘평가’ 단계를
분류체계에 넣어야 하는가에 대한 형평성에 대해서도 고민해 봐야 함.

□ ‘분류체계’에 대한 논의 결과
◦ 본 연구에 대한 목적성은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안)가 추후, 실제 지역에서 문
화예술교육자원 실태 조사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다양하게 활용되도록 개발하는 것에 목
적성을 담고 있음.
◦ 본 연구는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를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 및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크게 1)문화예술교육의 핵심구성요소와 2)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 시 프로세
스 등 총 두 개의 분류기준 아래 다차원적인 분류체계를 설계함.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65
◦ 문화예술교육의 ‘핵심구성요소’ 기반 다차원적 분류체계는 크게 콘텐츠(소재)자원, 인적
자원, 제도적 자원, 공간자원의 총 4개의 자원으로 구분됨.
- 이러한 자원은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들로 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매년 조사·발간하는 학교 및 사회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를 비롯한 관련 선행연
구에서 빈번하게 사용됨.
- 또한, 전문가 FGI를 통해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중요한 핵심요소로 언급한 요소들
이 핵심구성요소이자 분류 기준임.
- 분류체계에 ‘구분’란을 두어, 전 지역에서 표준화된 조사가 가능할 경우 ‘공통’으로,
지역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지녀 지역적인 조사가 필요한 경우 ‘지역’으로, 전 지역에
서 공통적으로 조사가능하나 지역의 특수성을 지녔거나 중앙 및 지자체가 혼재되어
있을 때(ex. 공공예산+지자체 예산) ‘공통/지역’으로 구분함.
- 분류체계의 향후 참고 및 활용을 위해 각 카테고리 별 자원출처를 상세히 기재
하였으며 대·중분류를 중심으로 1, 1-1, 1-1-①, 1-1-①-a. 과 같은 분류코
드를 기재하여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
- 문화예술교육의 핵심요소기반 분류체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콘텐츠자원 구분 분
류체계의 대분류로는 예술문화자원, 역사문화자원, 생활문화자원, 자연문화자원, 융
합자원이 있음. 인적자원 구분 분류체계의 대분류로는 행위자(기획·공급·인력), 수혜
자(교육수혜대상)가 있음. 제도적 자원 구분 분류체계의 대분류로는 예산, 시스템,
기관이 있음. 공간자원 구분 분류체계의 대분류로는 문화시설, 청소년 활동시설, 평
생교육 시설, 기타 대통령령 시설, 기타 특수시설이 있음.
◦ 문화예술교육 실행의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는 ‘기획 단계’, ‘교육·실행 단계’를 중심으로
구성됨.
- 일반적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과정은 아래 [그림 Ⅲ-5]와 같음.
교육환경 분석,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사전 준비, 총체적 기획, 파트너 구축은 크게
‘기획’단계라 할 수 있으며 역할분담, 프로그램 개발과 학습안 설계, 실행 및 운영은
‘교육·실행’의 단계이며, ‘진단과 평가’는 평가·피드백의 단계임.
- 본 연구는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자원 조사’라는 목적 아래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활
동가들이 다양한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자원을 활용·파악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을 기획, 교육·실행 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함.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일반적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 단계인 ‘기획-교
육·실행-평가’ 중 ‘기획’단계와 ‘교육·실행’ 단계를 분류체계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자 함. ‘평가’ 단계는 전문가 FGI결과를 통해 그 중요성이 낮게 인식되어 본 연구에
는 자원 분류체계에서는 제외함.

66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그림 Ⅲ-5]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 프로세스

1)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핵심요소 기반 분류체계(안)

(1) 콘텐츠(소재)자원 분류체계

□ 본 연구에서의 콘텐츠자원 구분은 분류체계의 목적이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하


는데 있어서 활용 가능한 자원 조사에 있음을 고려하여 총 5개의 문화예술교육에
활용 가능한 콘텐츠(소재)자원 기준의 분류체계를 설계함.
◦ 기존의 문화자원조사에 한정되어 있어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분류체계관련 연구가 미비하
였던 만큼 관련 연구와 다양한 지표를 수정·보완하여 문화예술교육에 적절히 사용가능한
콘텐츠를 분류·제시함.

□ 앞서 선행연구에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학교 및 사회 문화예술교육의 실태조사


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교육 콘텐츠로는 예술영역 중심의 프로그램
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역사문화 영역중심 프로그램, 생활
문화영역 중심 프로그램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창의적 특색활동, 동아리 활동, 방과 후 학교에서 대부분 음악,
국악, 공예, 연극, 무용, 만화/애니메이션, 문학, 미술 등의 예술영역 중심의 교육 프로그
램이 이루어지고 있음.
◦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2013년 기준의 지역문화재단(광역·기초) 및 문화기반시설 대상
전수조사 결과, 광역 문화재단의 경우 예술영역중심 프로그램(50.3%), 역사문화 영역중
심 프로그램(28.1%), 생활문화영역 중심 프로그램(7.8%)순이며, 기초 문화재단의 경우
예술영역중심 프로그램(70.5%), 생활문화영역 중심 프로그램(9.1%),역사문화 영역중심
프로그램(6.8%) 순으로 나타남. 문화기반 시설의 경우 예술영역중심 프로그램(44.1%),
생활문화영역 중심 프로그램(7.8%), 역사문화 영역중심 프로그램(12.8%)로 나타남.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67
□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주요 콘텐츠로서 예술문화자원, 역
사문화자원, 생활문화자원을 비롯하여 문화예술교육자원으로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자연문화자원과 문화예술의 산업화·디지털화로 인해 급변하고 있는 교육콘텐츠로서 그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는 융합자원의 총 5개로 구분함.
◦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분류체계의 구성요소의 정의는 아래 <표 Ⅲ-8>과 같음.

<표 Ⅲ-8> 콘텐츠 자원 분류체계 구성요소 정의

대분류 1 : 예술문화자원
정의 : 문화예술교육에 활용가능 한 예술장르별 다양한 유·무형의 자원
중분류 정의
공연예술자원 문화예술교육에 활용 가능한 ‘공연예술’적 성격을 지닌 예술장르
시각예술자원 문화예술교육에 활용 가능한 ‘시각예술’적 성격을 지닌 예술장르
문학예술자원 문화예술교육에 활용 가능한 ‘문학예술’적 성격을 지닌 예술장르
영상예술자원 문화예술교육에 활용 가능한 ‘영상예술’적 성격을 지닌 예술장르
통합예술자원 문화예술교육에 활용 가능한 ‘통합예술’적 성격을 지닌 예술장르
대분류 2 : 역사문화자원
정의 : 지역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문화재(문화재 보호법의 정의를 근거)외에도 문화재로서 잠재적인
가치를 지니며 자원으로 활용가능 한 유·무형자원과 민속자원을 포괄하는 자원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예술
문화재
적·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유·무형 문화재, 기념물, 민속문화재
문화·예술·학문의 발전과 일반 공중의 문화향유 및 평생교육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
박물관 여 역사·고고(考古)·인류·민속·예술·동물·식물·광물·과학·기술·산업 등에 관한 자료를 수
집·관리·보존·조사·연구·전시·교육하는 시설
전통문화자원 문화예술교육에 활용가능 한 ‘전통문화’적 성격을 지닌 자원
대분류 3 :생활문화자원
정의 : 지역의 장소성과 정체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지역적 공간을 비롯하여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문화를 영유할 수 있게 하는 기초적 자원
의(衣)문화 옷이나 장신구 그리고 옷의 꾸밈새 따위에 관한 문화
식(食)문화 음식을 먹는 일이나 음식과 관련된 문화
주(住)문화 일정한 곳에 머물러 사는 것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문화
기타 의(衣)문화 식(食)문화, 주(住)문화에 포함되지 않은 생활문화자원
대분류 4 :자연문화자원
정의 : 문화예술교육자원으로써 활용가능한 자연생태계 자체의 자연환경과 인공적으로 재가공 된
자연환경 및 활동의 자연관광자원
농림축산식품부에서 관할하는 우리나라의 주요 생명자원(농업,축산업 관련자원), 원
농축산 자원 예자원(과실, 화훼)자원을 비롯하여 농촌진흥법」과 「축산법」에 명시된 농업생물자원,
축산생물자원과 자연관광자원을 포함하는 자원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자연수(自然水) 중 사람에게 실질적으로나 잠재적으로 쓸모
수자원
있는 물의 원천으로 해양·하천·호수·지하수 등의 자원
산림자원 산림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자원
기타 농·축산자원, 수자원, 산림자원을 제외한 자연문화자원
대분류 5 :융합 자원
정의 : 예술·문화와 관련된 자원과 첨단기술이 결합되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도하는 자원
문화예술교육에 활용가능 한 ‘부호・문자・음성・음향 및 영상 등의 자료 또는 정보로서
디지털콘텐츠
그 보존 및 이용에 효용을 높일 수 있도록 디지털 형태로 제작 또는 처리한 콘텐츠’
디지털콘텐츠의 창작·기획, 제작, 유통에 기초가 되고 활용되거나 관련 서비스에 사
기술
용되는 기술

68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 예술문화자원은 문화예술교육에 활용가능 한 예술장르별 다양한 유·무형의 자원을 의미
하며 총 5개의 중분류로 구분됨. 예술문화자원의 경우 전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표준화
된 조사가 가능하여 ‘공통’으로 구분됨.
◦ 예술문화의 영역구분을 위해 관련 선행연구(서울연구원, 2007; 문체부, 2011; 서울
문화재단, 2014; 서울연구원, 2015)를 비교·검토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문화예술교
육에 활용 가능한 예술문화자원을 공연예술자원, 시각예술자원, 문학예술자원, 영상
예술자원, 통합예술자원의 5개로 구분함.
◦ 공연예술은 무대와 같이 공개된 자리에서 연주·상연·가창 되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연출
되는 기타 예술적 또는 오락적 관람물을 의미함(서울연구원, 2015). 즉, 본 연구에서
의 공연예술자원이란, 문화예술교육에 활용 가능한 ‘공연예술’적 성격을 지닌 예술 장
르임. 공연예술자원과 관련한 다각적인 조사는 대표적으로 문화체육관광부의 ‘공연예
술 실태조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극, 무용, 양악, 국악, 복합장르로 구분 하
고 있음. 이에 본 연구는 추가적인 선행연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에 활용가능 한 소
재로서의 공연예술자원에 음악, 국악, 연극, 뮤지컬, 무용을 포함시킴.
◦ 시각예술은 회화, 조각, 건축 등 인간의 시각으로 감상할 수 있는 예술을 총칭하며, 매체
의 급속한 발전으로 현대의 시각예술의 범위는 사진, 디자인, 비디오아트 등의 넓은
영역으로 확장됨(문학비평용어사전). 즉, 본 연구에서의 시각예술자원이란, 문화예술
교육에 활용 가능한 ‘시각예술’적 성격을 지닌 예술 장르임. 이에 시각예술자원은 조
소, 공예, 도예, 서예, 디자인 등의 미술관련 자원이 포함됨.
- 문화예술진흥법 시행령 제2조 제2항의 전시시설에 해당하는 시설은 미술관, 박물관,
화랑, 조각공원이 있음. 이 중 박물관의 경우 과거의 기록을 수집·보존·전시하는 것
이 핵심적 기능이라 판단하여 역사문화자원으로 분류됨.
◦ 문학예술은 언어를 표현매체로 하는 예술과 그 작품을 의미 하며 오늘날에는 문자에 의한
예술로서 순수문학만을 의미함. 즉, 본 연구에서의 문학예술자원이란, 문화예술교육
에 활용 가능한 ‘문학예술’적 성격을 지닌 예술 장르임. 여기에는 소설, 희곡·시나리
오, 수필, 아동문학 등이 포함됨.
◦ 영상예술은 ‘영상’을 사용한 예술을 통틀어 지칭하여 공연예술과 시각예술 등과는 구별되
는 종합적인 표현양식과 원작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음. 즉, 본 연구에서의 영상예술
자원이란, 문화예술교육에 활용 가능한 ‘영상예술’적 성격을 지닌 예술 장르임. 영상
예술자원은 선행연구에서 대개 대중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공통점을 지녀 영화와 방
송을 포함하고 있음. 이러한 점을 분류체계에 반영하여 영화, 다큐멘터리, 방송프로그
램 등을 포함시킴.
◦ 통합예술은 두 세 개의 예술장르가 주제에 따라 혹은 활동에 따라 연계하는 것을 ‘통합예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69
술’이라 규정함(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즉, 본 연구에서의 통합예술자원이
란, 문화예술교육에 활용 가능한 ‘통합예술’적 성격을 지닌 예술 장르임. 여기에는 앞
서 제시된 공연예술자원, 시각예술자원, 문학예술자원, 영상예술자원에 속하는 다양
한 예술장르 간 결합이 시도된 예술자원이 포함됨. 실제 예술 장르간의 다양한 연계
를 통해 장르 간 경계가 모호해 지고 있음. 대표적으로 다양한 음악 장르 간 조합을
이룬 크로스오버 음악, 영화와 뮤지컬을 결합한 무비컬, 문학과 음악의 만남 등이 있
음.

□ 역사문화자원은 지역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문화재(문화재 보호법의 정의를 근거)외에도


문화재로서 잠재적인 가치를 지니며 자원으로 활용 가능한 유·무형자원과 민속자원을
포괄하는 것을 의미하며 총 3개의 중분류로 구분 됨. 역사문화자원의 경우 지역적 단
위에서 축적되어 온 자원으로 각 지역별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지역’으로 구분됨.
◦ 역사문화자원은 보존 차원에서 물리적으로 특정한 장소에 존재하는 ‘문화재’와, 역사 유
물 및 관련 물품을 보전하는 활동주체로 대표적인 ‘박물관’, 전통문화와 관련 행사로서
전통문화 행사 및 관련 시설을 의미하는 ‘전통문화자원’으로 분류함.
◦ 문화재란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
사적·예술적·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유·무형 문화재, 기념물, 민속 문화재를
뜻함(문화재보호법 제2조). 문화재는 문화재청 홈페이지의 ‘문화재 통계 구분’을 기
반으로 국가지정 문화재, 시도시정 문화재, 등록문화재, 세계유산으로 분류함.
◦ 박물관이란 문화·예술·학문의 발전과 일반 공중의 문화향유 및 평생교육 증진에 이바지하
기 위하여 역사·고고(考古)·인류·민속·예술·동물·식물·광물·과학·기술·산업 등에 관한 자료
를 수집·관리·보존·조사·연구·전시·교육하는 시설로 정의됨(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 2
조 제1항). 또한 박물관 등록 시 소장하고 있는 자료와 시설규모 등에 따라 종합박물관,
전문박물관 등의 1종 박물관과 자료관, 사료관, 유물관 등의 2종 박물관으로 구분됨(박물
관 및 미술관 진흥법 시행령 제10조).
- 1종 박물관의 경우 대개 각 분야별 자료가 100점 이상이며 시설규모는 100제곱미터
이상의 전시실 또는 2,000제곱미터 이상의 야외전시장에 수장소, 사무실 또는 연구
실, 자료실·도서실·강당 중 1개 시설, 화재·도난 방지시설, 온습도 조절장치 등이 구
비되어야 함(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시행령 제10조).
- 2종 박물관의 경우 대게 각 분야별 자료가 60점 이상이며, 시설규모는 82제곱미터
이상의 전시실에 그밖에 수장고, 사무실 또는 연구실·자료실·도서실 및 강당 중 1개
시설, 화재·도난 방지시설, 온습도 조절장치 등이 구비되어야 함.
◦ 전통문화란 오랜 역사를 통해 형성되어 집단의 모든 구성원이 공유하는 문화임(이창식,

70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2006). 즉, 본 연구에서의 전통문화자원이란, 문화예술교육에 활용 가능한 ‘전통문화’적
성격을 지닌 자원임. 전통문화자원은 노래·소리·타령 등의 무형문화재31)와, 국악원, 전수
회관, 지방문화원, 기타(삼청각, 한국의 집 등) 등의 전통문화 보전·전수 시설로 구분됨.

□ 생활문화자원은 지역의 장소성과 정체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지역적 공간을 비롯하여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문화를 영유할 수 있게 하는 기초적 자원을 의미하며 총 4개의
중분류로 나눌 수 있음. 생활문화자원의 경우 각 지역의 특성에 따라 조사가 이루어지
므로 ‘지역’으로 구분됨.
◦ 생활문화는 문화정책의 변화 속에서 지역문화 또는 생활권 문화와 연관되어 부상한 개념
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활문화의 명확한 개념 및 범위는 엄밀하게 연구적으로 정의내리
기 어려운 측면에 있음(경기도의회, 2016).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생활에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의(衣)문화, 식(食)문화, 주(住)문화, 기타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함.
◦ 의(衣)문화는 옷이나 장신구 그리고 옷의 꾸밈새 따위에 관한 문화(국립국어원 한국어기
초사전)로 정의할 수 있음. 이와 관련하여 문화체육관광부는 패션문화와 한복문화를 중심
으로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으며 보건복지부는 미용·뷰티 분야를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 하고 있음. 이에 본 연구의 의(衣)문화에는 패션(전통 및 현대의상, 소품 등), 뷰티,
섬유(직물), 염색 등이 포함됨.
◦ 식(食)문화는 음식을 먹는 일이나 음식과 관련된 문화(국립국어원 표준어국어대사전)로
정의할 수 있음. 이와 관련하여 문화체육관광부는 한식의 산업화를 목표로 관련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으며 농림축산식품부는 한식 및 향토음식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 이를 바탕으
로 식(食)문화에 요리, 발효음식(김치박물관), 주류, 차/다도 등을 포함시킴.
◦ 주(住)문화는 일정한 곳에 머물러 사는 것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문화(국립국어원 표준어
국어대사전)로 정의 할 수 있으며 각 지역의 이미지와 지역적 특색에 맞는 생활문화공간
을 바탕에 두고 있음. 이를 바탕으로 주(住)문화에 숙박체험, 한옥 및 전통문화 체험, 홈
스테이(가정문화체험), 도시·농촌 민박 등을 포함시킴.
◦ 기타는 의(衣)문화 식(食)문화, 주(住)문화에 포함되지 않은 생활문화자원으로 여기에는
시장(상설시장, 정기시장, 5일장 등), 지역 특산물 축제(ex. 하동전어축제, 가평군포도축
제, 통영나전칠기축제 등) 등이 포함됨.

□ 자연문화자원은 문화예술교육자원으로써 활용가능한 자연생태계 자체의 자연환경과 인공


적으로 재가공된 자연환경 및 활동의 자연관광을 의미하며 총 4개의 중분류로 구분 됨.
자연문화자원의 경우 각 지역의 특성에 따라 조사가 이루어지므로 ‘지역’으로 구분됨.

31) 무형문화재란 연극, 음악, 무용, 놀이, 의식, 공예기술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
적으로 가치가 큰 것을 의미 함(문화재 보호법 제2조 제 2항).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71
◦ 자연자원은 자연물로서 수자원, 목재자원, 어업자원, 식량자원 등(환경산업무역포털 홈페이지)
으로 크게 나누어지고 있음. 이에 우리나라 자연 생태계 중 문화예술교육자원으로 보편적으로
활용 가능한 자연문화자원을 농축산자원, 수자원, 산림자원, 기타로 분류함.
◦ 이와 같이 4개의 중분류로 구분된 자연문화자원은 자연환경과 자연관광으로 세분류됨.
이는 환경정책기본법 제3조 제2항의 자연환경의 정의-자연환경이란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지형 및 모든 동물과 식물들을 포괄하여 생태계로서 기능하는 대지 경관, 인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자연적 특징, 인공환경-를 기반으로 함.
- 즉, 자연환경이란 자연생태계 자체로서의 ‘자연환경’과 인공적으로 형성된 ‘자연관광’
의 의미를 지님. 여기서의 자연관광은 자연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유형의 관광을
의미하며 자연환경에서의 활동을 통해 즐거움을 얻고자 하는 목적을 지님(산림청 홈
페이지).
◦ 농축산(생물)자원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관할하는 우리나라의 주요 생명자원32)(농업, 축
산업 관련 자원), 원예(과실, 화훼)자원을 비롯하여「농촌진흥법」과 「축산법」에 명시
된 농업생물자원, 축산생물자원과 식물원, 목장, 농업체험마을, 체험시설(ex.과수원, 양계
장, 농장, 화훼농장) 등의 자연관광자원을 포함함.
◦ 수자원(water resource)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자연수(自然水) 중 사람에게 실질적으
로나 잠재적으로 쓸모 있는 물의 원천으로 해양·하천·호수·지하수 등의 물33)(우리나라에
존재하지 않는 기타 수자원으로 포함되는 빙하·만년설을 제외하였음)을 의미함. 이에 바
다·만, 강, 하천 등의 자연환경과 해수욕장, 항만, 해양보호구역 등의 자연관광자원을 포
함함.
◦ 산림 자원은 산림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자원을 총칭(산림청 홈페이지)으로 정의되며, 산,
숲, 계곡·골짜기 등의 자연환경과 이와 관련된 수목원, 국립공원, 자연휴양림, 산촌생태마
을 등의 자연관광자원을 포함함.
◦ 기타는 농·축산자원, 수자원, 산림자원을 제외한 다양한 자연자원으로 동굴, 기후, 광물
채굴장 등의 자연환경과 자연문화체험관, 생태자연축제(ex. 나비축제, 녹차축제, 대나무
축제, 머드축제 등) 등의 자연관광자원을 포함함.
□ 융합자원은 예술·문화와 관련된 자원과 첨단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도하는
자원을 의미하며 총 2개의 중분류로 구분됨. 융합자원의 경우 전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조사가 가능하여 ‘공통’으로 구분됨.
◦ 기술 및 산업적 측면에서 등장한 개념인 ‘융합’은 서로 다른 기술이나 산업분야 간에 효율
과 성능 개선 등을 목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새로운 기능이나 서비스를 창출하는 현상으로

32) 우리나라의 주요 산업인 농업과 농업생산량의 40%를 차지하는 축산업을 대표적으로 명시함.(출처: 「농촌진
흥법」 제1조, 국립축산과학원 홈페이지)
33) 다음백과 정의, 위키백과정의를 따름

72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정의됨(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0). 이에 본 연구는 융합자원을 예술문화자원에 디지털
기술이 활용되어 파생된 콘텐츠자원으로 정리하였으며, 여기에는 ‘디지털 콘텐츠’와 ‘기
술’을 포함하여 2개로 중분류함.
- 「문화산업진흥기본법」,「산업융합촉진법」과 같은 관련 법률을 비롯해 문화체육관
광부의 ‘2016년도 문화콘텐츠 산업실 16대 주요과제’ 등 정책적으로도 문화융합 및
문화기술을 핵심 사안으로 삼고 있음.
- 교육부의 경우 교육현장에서의 문화·예술과 과학의 융합을 통한 창의력 증진과 과학
기술 이해를 위해 STEM 융합교육34)을 실시하고 있음. 이처럼 현재 우리나라는 다
가오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여 융합 인재양성을 위한 다양한 융합 콘텐츠를 활용
한 교육 혁신을 도모하고 있음.
- 이렇듯 문화예술교육 분야도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여 시스템적인 정비가 필요 한
시점에서 융합자원은 향후 활용도가 더욱 커짐.
◦ 디지털 콘텐츠는 ‘부호・문자・음성・음향 및 영상 등의 자료 또는 정보로서 그 보존 및 이
용에 효용을 높일 수 있도록 디지털 형태로 제작 또는 처리한 콘텐츠’를 의미함(문화산업
진흥기본법 제2조 제5호).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콘텐츠란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디지털 콘텐츠를 의미함. 디지털 콘텐츠 기반 문화예술교육이라 할 수 있으며 여
기에는 e-book, e-learning, 디지털게임 등이 포함됨.
◦ 기술은 디지털콘텐츠의 창작·기획, 제작, 유통에 기초가 되고 활용되거나 관련 서비스에 사
용되는 기술을 의미 하며 여기에는 그래픽스, 빅데이터, 3D, UHD, VR등이 포함됨.

<표 Ⅲ-9> 콘텐츠자원 분류체계

기준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분


1-1-①.
음악, 국악, 연극, 뮤지컬, 무용
공연예술자원
1-1-②. 조소, 공예, 도예, 서예, 디자인, 미디어 아트, 만화,
시각예술자원 판화, 설치, 사진, 건축, 행위예술, 기타, 회화
1-1.
1-1-③. 소설, 희곡·시나리오, 수필, 아동문학, 외국문학, 공통
예술문화
문학예술자원 설화문학, 평론/이론, 기타, 시/시조
자원
1-1-④. 영화,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DVD·비디오물,
1.
영상예술자원 방송프로그램, 기타영상
콘텐츠
(소재) 1-1-⑤.
크로스오버 음악, 무비컬 등
통합예술자원
자원
국보, 보물, 사적, 명승,
국가지정
천연기념물,국가무형문화재,
1-2. 문화재
1-2-①. 중요민속문화재
역사문화 지역
문화재
자원 시도지정 시도유·무형 문화재, 시도기념물,시도
문화재 민속문화재,문화재자료

34) 과학창의재단 홈페이지(https://www.kofac.re.kr/?page_id=1658)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73
기준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분
등록문화재 각종시설
세계유산 기록유산, 무형유산 등
종합박물관, 전문박물관, 동식물원,
1종 박물관
식물원, 수족관 등
1-2-②.
자료관·사료관·유물관·전시장·전시관·향토
박물관
2종 박물관 관·교육관·문서관·기념관·보존소·민속관·민
속촌·문화관 및 예술관, 문화의 집
노래·소리·타령, 정악·산조·제례악,
무형문화재 기능공, 놀이와 의식, 건축기능공,
1-2-③. 술·음식, 제례, 무용
전통문화자원 전통문화
보전전수시 국악원, 전수회관, 지방문화원, 기타

1-3-①.
패션, 뷰티, 섬유, 염색 등
의(衣)문화
1-3. 1-3-②.
요리, 발효음식, 주류, 차/다도 등
생활문화 식(食)문화 지역
자원 1-3-③. 숙박체험, 한옥 및 전통문화 체험, 홈스테이,
주(住)문화 도시·농촌 민박 등
1-3-④.기타 상설시장, 정기시장, 5일장, 지역 특산물 축제
자연환경 논, 밭, 평야 등
1-4-①.
식물원, 동물원, 목장, 농업체험마을,
농·축산 자원 자연관광
체험시설, 농경문화박물관 등
바다·만, 강, 하천, 습지·늪, 호수·못, 섬,
자연환경
샘, 하구, 해안지형 등
1-4-②. 해수욕장, 항만, 해양보호구역,
수자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해양박물관,
1-4. 자연관광
해양국립공원, 온라인바다 생태정보나라
자연문화
등 지역
자원
자연환경 산, 숲, 계곡·골짜기, 폭포, 바위 등
수목원, 국립공원, 자연휴양림,
1-4-③.
산촌생태마을, 숲길, 삼림교육시설,
산림자원 자연관광
산림과학도서관, 산림과학박물관, 온라인
숲사랑 체험관 등
자연환경 동굴, 기후, 광물 채굴장, 천문관측소 등
1-4-④.기타 자연박물관, 기타 자연문화 체험장,
자연관광
생태자연축제 등
1-5-①. e-book, e-learning, 디지털게임, 디지털 음악,
1-5. 디지털콘텐츠 디지털정보콘텐츠, 디지털커뮤니케이션35) 등
공통
융합자원 1-5-②. 그래픽스, 빅데이터36) 3D, UHD,VR 등 실감영상,
기술 VFX, 홀로그램37) 등

□ 개발된 콘텐츠자원 구분 분류체계의 각 카테고리 별 자원출처는 다음의 <표 Ⅲ-10>과


같음. 이를 통해 분류체계의 신뢰성 확보와 본 분류체계 기반의 향후 실태조사를 위한

35) 미래창조과학부(2015), 디지털콘텐츠산업 실태조사, pp.2~4 참조.


36) 김효영 외(2013), 문화콘텐츠 특수성을 반영한 문화기술(CT)분류체계 연구, p.118.
37) 한국콘텐츠진흥원(2016), 문화창조융합벨트 지역확산을 위한 기초연구, P.10.

74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문항 혹은 지표 개발 시 참고·활용을 위해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음.
◦ 가급적 중분류 카테고리의 자원을 파악할 수 있는 기 개발된 조사도구를 출처로 제시하고
자 하였으며, 관련 자원을 파악할 수 있는 조사도구가 없을 경우 ‘추가자료 조사 필요’를
기재 하여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함.

<표 Ⅲ-10> 콘텐츠자원 분류체계 출처

기준 대분류 중분류 출처
·문화체육관광부-공연예술실태조사/
공연예술자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문화예술정책백서
시각예술자원
예술문화자원 문학예술자원 ·문화체육관광부-문화향수실태조사
영상예술자원
·문화체육관광부-공연예술실태조사/
통합예술자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문화향수실태조사
문화재 ·문화재청 홈페이지38)-문화유산정보, 문화재 통계39)
박물관 ·문화체육관광부-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
역사문화자원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정보원 ‘문화포털’40)/
전통문화자원
콘텐츠 ·문화재청 홈페이지-문화재 통계
(소재) 의(衣)문화
자원 식(食)문화 ·문화체육관광부-문화향수실태조사/
생활문화자원 주(住)문화 ·한국문화관광연구원-문화예술정책백서/ ·생활문화진흥원
기타생활문화 홈페이지41)
자원
농·축산 자원
·산림청 홈페이지42)/ ·해양수산부 홈페이지43)/
수(해양)자원
자연문화자원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44)/ ·환경부 홈페이지45)/
산림자원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향수실태조사
기타자연자원
디지털콘텐츠 ·미래창조과학부-디지털콘텐츠산업 실태조사/
융합기술자원 ·한국산업융합협회46)/ ·한국ICT융합협회47)/
기술
·중소기업융합중앙회48)

38) 문화재청, http://www.cha.go.kr (문화재청-문화유산정보-문화재알기)


39) 문화재 통계, http://kosis.kr/statHtml/statHtml (국가통계포털-유형별지정-등록 문화재 건수)
40)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포털’, http://www.culture.go.kr/index.do (문화포털-산업활용-문화데이터)
41) 생활문화진흥원, http://www.nccf.or.kr (생활문화진흥원-생활문화-생활문화란?, 생활문화이야기)
42) 산림청, http://www.forest.go.kr (산림청-분야별산림정보-통계자료실)
43) 해양수산부, http://www.mof.go.kr (해양수산부-해양에 관한 통계와 법령)
44) 농림축산식품부, http://www.mafra.go.kr (농축산식품부-국민소통-통계정보)
45) 환경부, http://www.me.go.kr (환경부-정부3.0 정보공개-공공데이터포털)
46) 한국산업융합협회, http://www.kincoa.or.kr (자료실-관련법령)
47) 한국ICT융합협회, http://www.koreaict.or.kr (창조경제와 융합-융합사례)
48) 중소기업융합중앙회, http://www.koshba.or.kr (정보마당-융합사례, 자료실 / 지역간연합회)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75
(2) 인적 자원 구분 분류체계

□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에 활용 가능한 인적 자원을 공급·매개자(기획·강사인


력)와 수혜자(교육대상)로 나누어 분류체계를 정립함.
◦ 문화예술교육에서 인적 자원은 중요도가 높은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임학순
외(2005)의 연구를 제외하면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 체계적으로 인적 자원을 연구
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음. 따라서 현재 정책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들을 기준으로 하여 문화예술교육에 적용 가능한 인적 자원 분류체계를 제시함.
◦ 구체적으로 인적 자원 분류체계 구성요소의 정의, 분류체계 활용 대상 및 목적 등은
아래 <표 Ⅲ-11>와 같음.

<표 Ⅲ-11> 인적 자원 구분 분류체계 구성요소 정의

대분류 1 : 공급·매개자(기획·강사 인력)


정의 : 문화예술교육에 관심 및 전문성을 가지고 참여하는 개인, 기관, 조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주체
중분류 정의
사업 기획 및 설계, 마케팅, 평가 및 환류, 네트워크 및 파트너십 구축을
행정인력
담당하는 인력
문화예술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정책에 참여하는 모든 강사
교육강사
교육인력 문화예술
문화예술교육을 주된 기능의 하나로 실시하는 법인 또는 단체와 이에 준하는
(교육)
법인 또는 단체
단체
·교원: 교육부장관이 검정·수여하는 자격증을 받은 사람/
·지역 유명인사/ ·문화예술인: 예술 활동을 업(業)으로 하여 국가를 문화적,
기타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으로 풍요롭게 만드는 데 공헌하는 사람/ ·지역
커뮤니티 등
대분류 2 : 수혜자(교육대상)
정의 : 문화예술교육 관련 활동의 수혜자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교육대상
·유아(만 3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까지의 어린이)/
유아동
·아동(18세 미만인 사람)
청소년 중·고등학생 및 그게 준하는 연령대의 사람
청장년(성인_1) 20세 이상 65세 미만의 성인
노인(성인_2) 65세 이상의 사람

□ 인적 자원 중 ‘공급·매개자’는 문화예술교육에 관심 및 전문성을 가지고 참여하는


개인, 기관, 조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주체를 의미하
며 총 4개의 중분류로 구분됨. 인적 자원의 경우 전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조사가 가능한 분야와 지역의 특성에 따라 파악 가능한 분야가 있음.
◦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서의 ‘공급·매개자’로 볼 수 있는 인적 자원은 행정인
력, 교육인력(문화예술교육강사, 문화예술교육단체), 기타 관련 인적 자원 등임.

76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 행정인력은 사업 기획 및 설계, 마케팅, 평가 및 환류, 네트워크 및 파트너십 구축을 담당
함. 즉, 2016년을 기준으로 진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업을 기반으로 했을 때
크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부처(문체부 및 관련 타 부처), 관련 기관, 지역문화재단
및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담당자 등이 이에 속함.
◦ 교육인력에 속하는 문화예술교육강사는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정책에 참여하는 모든 강사
로,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문화예술교육강사(사회/학교, 교육사 이수/미이수) 등으로 구
분할 수 있음.
- 문화예술교육사: 문화예술교육 관련 교원 외에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기획·진행·분석·
평가 및 교수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으로 관련 학력 또는 경력을 갖춘 사람이
일정한 과정을 이수할 시 자격이 부여됨(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2조 제5항, 제27조의 2).
◦ 또한 교육인력에 속하는 문화예술(교육)단체는 문화예술교육을 주된 기능의 하나로 실시
하는 법인 또는 단체와 이에 준하는 법인 또는 단체로서 일반 문화예술단체 및 전문 문화
예술교육단체 등이 있음.
- 문화예술교육단체의 요건: 최근 2년 이상 문화예술교육 실시 실적이 있거나 교원 또
는 문화예술교육사가 1명 이상 상근하여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는 법인 또는 단체
여야 함(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시행령 제2조).
◦ 기타 공급자 인적 자원으로 학교 교원, 지역 유명인사, 문화예술인, 지역 커뮤니티(부
녀회, 청년회, 협동조합 등)등이 있음.
- 교원: 교육부장관이 검정·수여하는 자격증을 받은 사람(초·중등교육법 제21조 제1
항).
- (문화)예술인: 예술 활동을 업(業)으로 하여 국가를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으로 풍요롭게 만드는 데 공헌하는 사람(예술인 복지법 제2조 제2항).

□ 인적 자원 중 수혜자는 문화예술교육 관련 활동의 수혜자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


램에 참여하는 교육대상을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전 연령대, 일반시민으로 확대된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방향에 맞추어 연령대별 구분에 따라 총 4개의 중분류로 구
분함.
◦ 문화예술교육 인적 자원 중 ‘수혜자’를 유아동, 청소년, 청장년(성인_1), 노인(성인
_2)으로 구분함.
- 이와 같이 연령대로 구분하여 제외되거나 중복되는 수혜자 분류가 없도록 하였고 또
한 향후 잠재적 수혜자 대상 발굴을 위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하였음.
◦ 유아동은 유아교육법 및 아동복지법에 의거하여 유아(만 3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까지
의 어린이) 및 아동(18세 미만인 사람)을 말하며 사회적 통념상 미취학연령인 유아동과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77
초등학생, 즉 중학교 이전 연령대의 모든 유아, 어린이를 말함.
◦ 청소년은 ‘9세 이상 24세 이하인 사람’으로 법에서 정의하고 있으나(청소년 기본법 제3조
제1항), 유아동 수혜자의 연령대와 중복되므로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주요 사업 및 교육
대상 기준에 의거하여 중·고등학생 및 크게 준하는 연령대의 사람으로 한정함.
◦ 청장년의 경우 우선 청년에 대하여 ‘15세 이상 29세 이하의 사람’으로 청년고용촉진특별
법 제2조제1호에서 지정하고 있으나 정책사업 운영구조 반영 및 연구 편의상 20세 이상
65세 미만의 성인으로 지정함.
◦ 노인은 ‘65세 이상의 사람’으로 노인복지법의 정의를 따르며 이는 보편적으로 노인복지
관, 사회복지관 등 지역기반시설, 복지시설 등에서 사용하는 연령 기준임.

<표 Ⅲ-12> 인적 자원 분류체계

기준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분


2-1-①. 진흥원, 타 부처 및 협력기관 담당자,
공통/지역
행정인력 지역문화재단 및 지역센터 담당자, 기타
2-1-②-a.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문화예술 공통
2-1. 문화예술교육강사, 기타
교육강사
공급자 2-1-②.
2-1-②-b.
(기획·공급 교육인력
문화예술
인력) 문화예술단체, 문화예술교육단체, 기타 지역
(교육)단체
2. 인적 49)
자원
학교 교원, 지역 유명인사, 문화예술인,
2-1-③.기타 공통/지역
지역 커뮤니티, 기타
2-2-①.유아동
2-2. 2-2-②.청소년
수혜자 2-2-③.청장년
- 공통
(교육수혜 (성인_1)
대상) 2-2-④.노인
(성인_2)

□ 개발된 인적 자원 구분 분류체계의 각 카테고리 별 자원출처는 다음의 <표


Ⅲ-13>과 같음. 이를 통해 분류체계의 신뢰성 확보와 본 분류체계 기반의
향후 실태조사를 위한 문항 혹은 지표 개발 시 참고·활용을 위해 유용함을 제
공할 수 있음.
◦ 가급적 중분류 카테고리의 자원을 파악할 수 있는 기 개발된 조사도구를 출처로 제시하고
자 하였으며, 관련 자원을 파악할 수 있는 조사도구가 없을 경우 ‘추가 자료조사 필요’를
기재하여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함.

49) 단체유형, 장르, 규모, 주요 거점 지역, 법적 성격 등으로 세세분류 가능

78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표 Ⅲ-13> 인적 자원 분류체계 출처

기준 대분류 중분류 출처
행정인력 ·통계청 국가통계포털50)
문화예술교육강
·문화예술교육사 홈페이지51)/ ·진흥원 내부자료
공급자 사
(기획·공급 문화예술 ·통계청 국가통계포털52)/
인력) (교육)단체 ·통계청-공연예술실태조사(문체부)-공연단체 특성별 현황
·학교 교원: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53)/
기타
·문화예술인: 문체부-예술인실태조사54)
인적
·기존 수혜자: 진흥원 연차보고서 및 내부자료55)/
자원 유아동
·잠재적 수혜자: 통계청 국가통계포털56)
·기존 수혜자: 진흥원 연차보고서 및 내부자료/
수혜자 청소년
·잠재적 수혜자: 통계청 국가통계포털57)
(교육수혜
청장년 ·기존 수혜자: 진흥원 연차보고서 및 내부자료/
대상)
(성인_1) ·잠재적 수혜자: 통계개발원-국민 삶의 질 지표58)
노인 ·기존 수혜자: 진흥원 연차보고서 및 내부자료/
(성인_2) ·잠재적 수혜자: 통계청 국가통계포털59)

(3) 제도적 자원 구분 분류체계

□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에 활용 가능한 제도적 자원을 크게 예산, 시스템, 기관으


로 나누어 분류체계를 정립함.
◦ 문화예술교육의 제도적 자원은 2016년 기준 정책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지
원 사업들을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에 적용 가능한 분류체계를 제시함.
◦ 구체적으로 제도적 자원 분류체계 구성요소의 정의, 분류체계 활용 대상 및 목적 등은
아래 <표 Ⅲ-14>와 같음.

50)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kr (국내-주제별 통계-행정-공공행정-지방자치단체공무원인사통계)


51) 문화예술교육사 홈페이지, acei.arte.or.kr (자료실-문화예술교육사 자격취득자 현황)
52)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kr (국내-주제별통계-행정-시도·시군구-각 시도 사업체조사-사업체구분별 사업
체수, 종사자수)
53)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kess.kedi.re.kr (교육기본통계조사)
5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셈터, stat.mcst.go.kr
5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www.arte.or.kr
56)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kr (영유아 인구현황-연령별(시도)/학생-초등학교 학생 수)
57)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kr (인구총조사-총조사인구 총괄-연령별)
58) 통계개발원 국민 삶의 질 지표, qol.kostat.go.kr/blife (교육-평생교육참여율)
59)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kr (고령자(노인)현황-연령계층별 인구 및 노령화지수)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79
<표 Ⅲ-14> 제도적 자원 분류체계 구성요소 정의

대분류 1 : 예산
정의 : 문화예술교육활동의 재정자원 출처
중분류 정의
공공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재정자원 중 공공 영역의 지원으로 구성된 예산
민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재정자원 중 민간 영역의 지원으로 구성된 예산
대분류 2 : 시스템
정의 : 문화예술교육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행정적 지원의 총칭
법·조례·규칙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기반이 되는 법·조례·규칙
정책·제도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기반이 되는 정책 및 제도
대분류 3 : 기관
정의 : 문화예술교육활동에 참여하는 책임기관(기관 및 조직)과 수혜기관
공급·매개기관 문화예술교육에 주로 참여하는 책임기관
수혜기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및 강사, 예산을 제공받는 공공/민간 기관 및 조직

□ 예산(financial resource)은 문화예술교육활동의 재정자원 출처(박옥남 외, 2009)를 의미


하며 ‘공공재정’과 ‘민간재정’의 총 2개의 중분류로 구분됨. 제도적 자원은 전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조사가 가능하여 ‘공통’으로 구분함.
◦ 공공재정은 문화예술교육의 재정자원 중 공공영역의 지원으로 구성된 예산을 의미하며
중앙정부예산(국고), 지자체예산, 기타 등이 있음.
◦ 민간재정은 문화예술교육의 재정자원 중 민간영역의 지원으로 구성된 예산을 뜻하며기업
지원금, 민간단체 지원금, 개인 기부금 등으로 나누어볼 수 있음.

□ 시스템은 문화예술교육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행정적 지원의 총칭이라고 할 수 있으


며 ‘법·조례·규칙’과 ‘정책·제도’의 총 2개의 중분류로 구분됨. 전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조사가 가능하여 ‘공통’으로 구분함.
◦ 본 연구에서 ‘법, 조례, 규칙’ 은 중앙정부 및 지자체에서 제정한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기
반이 되는 법, 조례, 규칙을 의미함. 문화예술교육 관련 대표적인 법으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지역문화진흥법, 문화예술진흥법 등이 있음. 지자체 별 문화예술교육 지원 및 진
흥에 관한 조례는 경기도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경상남도교육청 문화예술교육 진흥에 관한 조례 등이 있음. 문화예술교육 관련 법
령 기반 규칙으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시행규칙, 초중등 교육법 시행 규칙, 유아 교육
법 시행 규칙, 고등 교육법 시행 규칙 등이 있음.
◦ 본 연구에서 ‘정책 및 제도’는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기반이 되는 정책과 제도를 의미함.
여기에는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 지역문화예술교육계획, 지역문화진흥계획(기본/시행),

80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문화예술교육사, 문화해설사 등을 꼽을 수 있음.

□ 기관은 문화예술교육에 주로 참여하는 책임기관(기관 및 조직)과 수혜기관을 의미하여


역할에 따라 ‘공급·매개기관’과 ‘수혜기관’의 총 2개의 중분류로 구분할 수 있음. 전 지
역에서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조사가 가능하여 ‘공통’으로 구분함.
◦ ‘공급·매개기관’은 문화예술교육에 주로 참여하는 책임기관(기관 및 조직)이라 할 수
있으며 중앙행정기관(부처/청), 지자체, 공공기관·단체,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인력양성·연수기관(대학교 등) 등이 있음.
◦ ‘수혜기관’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및 강사, 예산을 제공받는 공공/민간 기관 및 조직으
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문화시설, 청소년활동시설, 평생교육기관, 사회복지시설, 기타
특수시설 등이 이에 속함.
- 어린이집: 보호자의 위탁을 받아 영유아를 보육하는 기관(영유아보육법 제2조제3
항).
- 유치원: 유아의 교육을 위하여 유아교육법에 따라 설립·운영되는 학교(유아보육법
제2조 제2항).
- 문화시설: 문화예술 활동에 지속적으로 이용되는 공연시설, 박물관 및 미술관 등 전
시시설, 도서시설, 종합시설(문화예술회관 등 공연시설과 다른 문화시설이 복합된 시
설) 등(문화예술진흥법 제2조 제1항 제3호).
- 청소년활동시설: 청소년수련시설(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문화의 집, 청
소년특화시설,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 청소년이용시설 등(청소년활동 진흥법 제
10조).
- 평생교육기관: 평생교육법에 따라 인가·등록·신고된 시설, 평생직업교육을 실시하는
학원, 그 밖에 평생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시설 등(평생교육법 제2조 제2호).
-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사업을 할 목적으로 설치된 시설(사회복지사업법 제2조 제4호).
- 사회복지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일정한 시설과 전문 인력을 갖추고 지역주민의 참
여와 협력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복지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종합적인 복
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제5호)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81
<표 Ⅲ-15> 제도적 자원 분류체계

기준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분


3-1. 3-1-①.공공 중앙정부(문체부/타 부처), 지자체, 기타 공통
예산 3-1-②.민간 기업, 민간단체, 개인기부금, 기타 공통
· 법: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지역문화진흥법, 문화예술
진흥법 등
3-2-①. · 조례: 경기도 문화예술교육 지원 조례, 경상남도교
공통
3-2. 법·조례·규칙 육청 문화예술교육 진흥에 관한 조례 등
3. 시스템 · 규칙: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시행규칙, 초중등 교
제도적 육법 시행 규칙 등
자원 3-2-②. 문화예술교육 종합시행계획, 지역문화예술 교육계획,
공통
정책·제도 지역문화진흥계획, 문화예술교육사, 문화해설사, 기타
중앙행정기관(부처/청), 지자체, 공공기관·단체,
3-3-①.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문화재단, 공통
3-3. 공급·매개기관
문화예술교육인력양성·연수기관, 기타
기관
3-3-②.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문화시설, 청소년활동시설,
공통
수혜기관 평생교육기관, 사회복지시설, 기타 특수시설

□ 개발된 제도적 자원 구분 분류체계의 각 카테고리 별 자원출처는 다음의 <표 Ⅲ-16>


과 같음. 이를 통해 분류체계의 신뢰성 확보와 본 분류체계 기반의 향후 실태조사를
위한 문항 혹은 지표 개발 시 참고·활용을 위해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음.
◦ 가급적 중분류 카테고리의 자원을 파악할 수 있는 기 개발된 조사도구를 출처로 제시하고
자 하였으며, 관련 자원을 파악할 수 있는 조사도구가 없을 경우 ‘추가 자료조사 필요’
를 기재하여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함.

<표 Ⅲ-16> 제도적 자원 구분 분류체계 출처

기준 대분류 중분류 출처(예시)


·문체부-예산자료, 문화예술정책백서60)/
공공 ·한국은행-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국민계정61)/
예산
·통계청-공연예술실태조사-지자체문화예산-문화예술예산 현황62)
민간 * 추가 자료조사 필요
제도적
법·조례·규칙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63)
자원 시스템
정책·제도 ·문화체육관광부-주요정책64)
·행정자치부-대한민국정부포털65)/
공급·매개기관
기관 ·문화체육관광부-본부, 소속기관, 관련기관
수혜기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66)

60) 문화체육관광부, www.mcst.go.kr (자료공간-예산자료)


61)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ecos.bok.or.kr
62)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kr
63)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64) 문화체육관광부, www.mcst.go.kr
65) 행정자치부 대한민국정부포털, www.korea.go.kr
66)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kr (아동복지시설보호아동 및 종사자현황보고-아동복지시설 수 ; 어린이집 및 이

82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4) 공간자원 구분 분류체계

□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6조(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 수립 등)와 제13조(교육시설 등 평


가)에서 알 수 있듯이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공간자원에는 교육 공간뿐만 아니라 공간
에서의 교육 실행에 필요한 물적 자원인 기자재(장비)도 포함됨. 그러나 문화예술교육
의 특성상 각 교육 프로그램 마다 교육대상과 필요한 기자재가 달라짐.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기자재를 제외한 공간자원으로 분류체계의 범주를 한정함.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예술 꽃 씨앗학교 등의 교육사업
에 필요한 기자재(음향장비, 무대장비, 영상장비 등)를 지원하기도 함.
◦ 학교문화예술교육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책상, 의자 등은 학교 소유의 기본적인 기자재이
자 문화예술교육을 위해 필수적인 기자재이나 자원으로 분류하여 조사를 수행 할 경우
정확한 파악이 어려운 한계를 지님.

□ 본 연구에서의 공간자원은「문화예술교육지원법」제2조 제3항에 제시된 문화예술교육


시설로 정의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실시하는 문화예술교육사업에 따른 기타
특수시설을 포함한 총 5개의 공간자원으로 분류함.
◦ 공간자원은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따른 문화시설, 청소년활동시설, 평생교육시설, 기
타 대통령령시설의 4개의 분류와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사업에 따른 특수
시설을 비롯하여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의 분류에서 다루지 못한 문화예술교육시설까지 포
함하는 기타 분류를 통해 총 5개의 공간자원으로 분류함.
- 구분된 5개의 공간자원은 제도적 자원 구분 분류체계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및
강사, 예산을 제공받는 공공/민간 기관 및 조직’을 의미하는 수혜기관의 세분류와 유
사하나 수혜기관 외에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공간 및 시설을 모두 포괄하고 있어 더
다양한 공간자원을 포괄함. 또한 제도적 측면에서 수혜기관을 구분하는 것과 공간 활
용 및 탐색을 위해 공간자원을 구분하는 것에는 그 목적 자체에 차이가 있음.

<표 Ⅲ-17> 공간자원 분류체계 구성요소 정의

대분류 정의
문화시설 문화예술활동에 지속적으로 이용되는 시설
청소년활동시설 다양한 목적의 청소년 수련활동을 할 수 있는 (수련)시설
평생교육시설 평생교육기관 중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는 시설
기타 대통령령 시설 문화시설, 청소년활동시설, 평생교육시설 외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문화예술교육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특수 시설과
기타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의 분류에 포함되지 못하는 문화예술교육시설을 총칭

용자통계-어린이집 현황(시도) ; 평생교육통계-지역별 평생교육기관 현황 ; 전국 문화의집/지방문화원/청소년


수련관/청소년문화의집/사회복지관/여성회관/노인복지회관 현황 등)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83
□ 문화시설은 문화예술 활동에 지속적으로 이용되는 시설로 공연시설, 박물관 및 미술관
등의 전시시설, 도서시설, 종합시설(문화예술회관 등 공연시설과 다른 문화시설이 복합
된 시설) 등을 의미함(문화예술진흥법 제2조 제1항 제3호). 즉, 문화시설에는 공연장,
미술관, 도서관, 문화예술회관, 문화원, 문화의집 등이 포함됨.
◦ 본 연구에서 문화시설은 ‘콘텐츠자원 구분 분류체계’와 ‘공간자원 구분 분류체계’에서 같
은 용어가 중복적으로 사용되는 부분이 있으나 그 의미에 차이가 있음. ‘콘텐츠자원 구분
분류체계’에서 나타나는 각종 시설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활용
가능한 ‘소재’를 의미하며, ‘공간자원 분류체계’에서의 문화시설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
램을 실현하고 교육활동을 위해 활용되는 ‘장소 및 공간’의 의미를 지님.

□ 청소년활동시설은 청소년수련시설 및 청소년이용시설 등으로(청소년활동 진흥법 제10


조) 여기에는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특화시설, 청소년야
영장, 유스호스텔 등이 포함됨.
□ 평생교육기관은 평생교육법에 따라 인가·등록·신고 된 시설·법인 또는 단체, 평생 직업
교육을 실시하는 학원, 그밖에 평생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시설 등을 의미함(평생
교육법 제2조 제2호).
□ 기타 대통령령시설로는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2조 제3호의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
는 시설’로「사회복지사업법」제2조 제4호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을 의미함.
◦ 사회복지시설이란 사회복지사업을 할 목적으로 설치된 시설 임(사회복지사업법 제2
조제4호). 또한, 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일정한 시설과 전문 인력을 갖추
고 지역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복지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
하여 종합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임(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제5호).

□ 기타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문화예술교육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특수 시설과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의 분류에 포함되지 못하는 문화예술교육시설을 총칭함. 여기에는
군부대, 교정시설, 주민자치센터, 여성회관 등의 시설이 포함됨.

84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표 Ⅲ-18> 공간자원 분류체계

기준 대분류 중분류 구분
4-1. 공연시설, 전시시설, 도서시설, 공연시설과 다른 문화시설이
문화시설 복합된 종합시설 등
4-2.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
청소년특화시설,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 등
활동시설
4-3.
평생교육원, 기타 법령에 따라 평생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평생교육
4. 하는 시설 ㆍ법인 또는 단체
시설 공통
공간자원
4-4.
기타 아동복지센터,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대통령령 기타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시설
시설
학교,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공단, 대안문화공간,
4-5.기타 대중예술공간, 대학박물관, 문화예술교육단체공간,
주민자치센터, 여성회관, 사회 복지관, 미디어 센터 등

□ 개발된 공간자원 구분 분류체계의 각 카테고리 별 자원출처는 다음의 <표 Ⅲ-19>과


같음. 이를 통해 분류체계의 신뢰성 확보와 본 분류체계 기반의 향후 실태조사를 위한
문항 혹은 지표 개발 시 참고·활용을 위해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음.
◦ 가급적 중분류 카테고리의 자원을 파악할 수 있는 기 개발된 조사도구를 출처로 제시하고
자 하였으며, 관련 자원을 파악할 수 있는 조사도구가 없을 경우 ‘추가자료조사 필요’
를 기재하여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함.

<표 Ⅲ-19> 공간자원 분류체계 출처

기준 대분류 출처(예시)
·한국문화예술회관 연합회 홈페이지67) _ 회원기관/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68) -연관 박물관 홈페이지 이동/
·국립현대미술관홈페이지69)-연관 미술관 홈페이지 이동/
문화시설
·한국사립미술관 연합회 홈페이지70)-회원기관/
·한국 사립박물관 협회 홈페이지71)-회원기관/
·한국도서관협회 홈페이지72)-협회소속도서관 등
·유·초·중·고등학교 통계73)-지역별 학교·학급·학생·교사수/
·청소년 활동진흥원 홈페이지74)-전국 활동진흥원 시설 리스트/
청소년
공간자원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홈페이지75)-전국 청소년수련시설 리스트/
활동시설
·한국청소년 쉼터협의회 홈페이지76)-전국 청소년쉼터 리스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홈페이지77) 등
·평생교육진흥원 홈페이지78)-전국 평생교육원 분포 수/
평생교육시설 ·한국교육개발원-평생학습개인실태조사,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실태조사/
·각 행정구역별 주민자치센터 등
기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홈페이지79)-전국 지역아동센터 현황/
대통령령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80)-협회 가입 노인복지기관 수/
시설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81)-협회 가입 장애인복지관 수 등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85
기준 대분류 출처(예시)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홈페이지82)-전국 지역아동센터 리스트/
·산업단지관리공단 홈페이지83)-전국 산업단지관리공단 시설 현황/
기타
·기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부처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관련
특수시설
홈페이지(군부대, 교정시설 등의 사업 관련)/
·교육개발원 교육기본통계-폐교통계 등

2)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안)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계획서, 전문가


2차 FGI 자문내용 등을 취합·분석하여 문화예술교육 실행의 프로세스에 따른 분류체계
를 설계함.
◦ 실제 교육현장에서 프로그램 실행을 준비하는 문화예술교육 활동가들에게 실용적인 분류
체계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지님.
◦ 따라서 기존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의 단계인 ‘기획 - 교육·실행 – 평가’에서 ‘기
획’과 ‘교육·실행’ 단계에 중점을 맞추어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를 도출함.
◦ 실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의 프로세스 단계별 활용가능한 문화예술교육자원과
자원별 정의는 아래의 <표 Ⅲ-20>와 같음.

<표 Ⅲ-20> 문화예술교육 프로세스 기반 단계별 사용 자원 및 정의

단계 세부 단계 대분류 정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소재 또는 방법으로
프로그램자원
교육환경 분석 활용 가능한 자원
기획 ↓ 문화예술교육 사업(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사전 준비 네트워크자원 운영하기 위하여 관련기관 및 단체들이 인식을
↓ 공유하고 상호 협력하는 수평적, 수직적 협력

67) 한국문화예술회관 연합회, www.kocaca.or.kr


68) 국립중앙박물관홈페이지, http://www.museum.go.kr
69)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 www.mmca.or.kr
70) 한국사립미술관 연합회 홈페이지, www.artmuseums.or.kr
71) 한국 사립박물관 협회 홈페이지, pmuseums.org
72) 한국도서관협회 홈페이지, www.kla.kr
73) 교육기본통계조사(통계청 승인번호 제334001호)
74) 청소년 활동진흥원 홈페이지, www.kywa.or.kr
75)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www.youthnet.or.kr
76) 한국청소년 쉼터협의회, www.jikimi.or.kr
77)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www.kyci.or.kr
78) 평생교육진흥원, www.nile.or.kr
79)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www.icareinfo.go.kr
80)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www.kaswcs.or.kr
81)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www.hinet.or.kr
82)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www.icareinfo.go.kr
83) 산업단지관리공단 홈페이지, www.kicox.or.kr

86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단계 세부 단계 대분류 정의
관계망
총체적 기획 문화예술교육에 관심 및 전문성을 가지고
↓ ⇦ 인적자원 참여하는 개인, 기관, 조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파트너 구축 다양한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주체
행·재정자원 문화예술교육에 활용되는 행정·재정 자원의 총칭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소재 또는 방법으로
프로그램자원
활용 가능한 자원
문화예술교육이 가능한 공간 및 시설
공간자원
역할분담
↓ 문화예술교육 사업(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운영하기 위하여 관련기관 및 단체들이 인식을
⇦ 네트워크자원
· /학습안 설계 공유하고 상호 협력하는 수평적, 수직적 협력
실행 ↓ 관계망
실행 및 운영 문화예술교육에 관심 및 전문성을 가지고
인적자원 참여하는 개인, 기관, 조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주체
행·재정자원 문화예술교육에 활용되는 행정·재정 자원의 총칭

□ ‘기획’ 단계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분석하고 지원 사업에 필요한 사


전준비를 하는 단계로 전체적인 기획과 각 분야에 필요한 파트너(이해관계자) 구축 등
을 수행함.
◦ ‘기획’ 단계에 필요한 자원은 프로그램 자원, 네트워크 자원, 인적 자원, 행정·재정 자원
등 크게 4개로 구분됨.
◦ 기획단계의 ‘프로그램 자원’이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소재 또는 방법으로 활용 가
능한 자원을 의미하며 장르적 측면에서 구분되는 예술문화자원, 소재적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는 역사문화자원, 생활문화자원, 자연문화자원, 방법론적 측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융합자원 등이 속함.
- 예술문화자원은 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 프로그램 중 거의 대부분을 차지
하고 있는 다양한 문화예술장르 기반의 자원들로 공연예술자원, 시각예술자원, 문학
예술자원, 영상예술자원, 통합예술자원 등이 있음.
- 역사문화자원에는 문화재, 박물관, 전통문화자원 등이 속함.
- 생활문화자원에는 의(衣), 식(食), 주(住)문화와 기타 생활문화자원이 속함.
- 자연문화자원은 농·축산자원, 수자원, 산림자원 등으로 구분됨.
- 융합자원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방법론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자원들로서 디
지털콘텐츠, 기술 등이 있음.
◦ 기획단계에서 프로그램 자원이 사용될 때의 주안점은 실재적, 물리적 이용보다 개념적으
로 활용·접목되는 단계임.
- 예를 들어 예술문화자원에 속하는 음악, 미술, 무용, 영화 등의 장르 기반 다양한 자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87
원은 문화예술교육 대상의 특성에 맞도록 기획단계에 적용될 수 있음.
- 또한 공급자는 역사·생활·자연문화자원 등 지역의 고유한 자원들을 어떻게 문화예술
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현황 파악과 네트워크 자원, 인적자원 등을 교차하
여 관련 사항을 고려할 수 있음.
- 요컨대 기획 단계에서 프로그램 자원은 교육·실행 단계에서 실재적으로 활용되기 이
전에 기획 단계에서 아이디어 차원으로 활용된다고 볼 수 있음.
◦ 기획 단계의 ‘네트워크 자원’이란 문화예술교육 사업(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관련기관 및 단체들이 인식을 공유하고 상호 협력하는 수평적, 수직적 협력 관계
망(진흥원, 2010)을 의미하며 크게 중앙/공공/민간의 차원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 문화예술교육의 파트너십은 공공-민간, 공공-공공, 민간-민간 등의 차원에서 수행
되며 각 영역의 해당 세분류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중앙정부 단위의 네트워크 자원으로는 문체부 외 타 부처, 즉 보건복지부, 국방부,
법무부, 교육부, 통일부 등 현재 진흥원과 협력사업을 진행 중이거나 혹은 앞으로
협력체계를 구성할 가능성이 있는 부처(청)가 있음.
- 공공차원의 네트워크 자원으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
터, 지역문화재단, 광역/기초지자체, 교육지원청 등의 ‘기관’과 협력기관으로서 각종
협회, 위원회 등 ‘협회’가 속함.
- 민간차원의 네트워크 자원으로는 기업, 주민단체, 각종 민간시설 등이 있음.
- 문화예술교육을 위해 여러 단위의 조직이 결합된 협의체(컨소시엄) 등의 네트워크
자원도 있음.
- 네트워크 자원은 교육·실행 단계뿐만 아니라 기획 단계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활용
되어 핵심적이고 치밀하게 구성되어야 하는 자원임.
◦ 기획 단계의 ‘인적자원’이란 문화예술교육에 관심 및 전문성을 가지고 참여하는 개인, 기
관, 조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주체(박옥남 외, 2009)를 의미
함. 기획 단계의 인적자원은 문화예술교육강사, 문화예술교육 관련 행정인력(기획/행정),
문화예술인, 기타로 분류함.
- 문화예술교육강사로는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사, 예술꽃 씨앗 가꾸기, 문화예술교육
단체 등이 포함됨.
- 문화예술교육 관련 행정인력(기획/행정)에는 진흥원, 주관기관, 관련 협회, 수혜시설,
지역센터, 문화재단 등의 담당자, 문화기획자, 교원 등이 속함.
- 문화예술인으로는 예술인, 전공자, 지역별 아티스트 등이 있음.
- 기타 인적자원으로는 연구자, 교수, 초빙 강사 등이 있음.
- 기획 단계에서 기타 인적자원에 속하는 연구자, 교수 등은 자문, 선발(심사)위원,
전년도 사업 피드백 등에 활용됨.

88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 기획 단계의 ‘행정/재정 자원’이란 문화예술교육에 활용되는 행정·재정 자원을 총칭하며,
법·제도·조례·규칙 등의 행정적 자원과 예산과 같은 재정 자원, 기술자원 으로 구분됨.
- 기획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행정적 자원인 법·제도·조례·규칙으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지역문화진흥법, 고용정책기본법, 지자체별 조례 등이 있음.
- 기획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재정 자원인 예산은 공공재원(중앙정부, 지자체 예산,
지방교육재정 등)과 민간재원(사립재단, 기업 및 개인기부금 등)이 있음.
- 기획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술자원으로는 통합운영시스템, 웹페이지 등이 있음.

□ ‘교육·실행’ 단계는 실제로 문화예술교육을 개발 및 실행·운영하는 단계임. 이 단계에서


는 구축된 파트너십에 따라 각 주체들이 맡은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문화예술교육이
실행·운영되어 수혜자들에게 공급되는 단계임.
◦ ‘교육·실행’단계는 기획단계에서 사용되는 4개 자원에 공간자원이 추가되어 크게 5개의
주요 자원으로 구분된 대분류로 구성됨.
◦ 교육·실행’단계에서 활용되는 프로그램자원, 네트워크자원, 인적자원, 행정/재정 자원은
기본적으로 ‘기획’단계에서 활용되는 것과 동일한 중·세분류를 지향하며, ‘공간자원’의 경
우 교육·실행단계에서 필요한 주요자원으로 추가됨.
- 다만 공간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자원이 기획단계와 동일한 중·세분류 체계로 구
성되더라도 세세분류 차원에서 차이가 날 수 있으며 각 자원의 사용 비율 및 중요
도 등이 달라질 수 있음.
-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자원 중 ‘중앙(부처)’ 분류에 속하는 정부의 각 부처(청)는 기획
단계(또는 사업 협약 시)에서 중요한 비율로 작용하나, 실제 교육·실행 단계에서는
중앙 단위보다 기관 및 협회(협력기관)의 중요도가 높아짐.
- 인적자원 중 ‘연구자, 교수 등’의 기타 인적 자원도 기획 단계에서는 심사, 전년도
사업 피드백(정책 평가 등) 등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으나 교육·실행 단계에서는
자문, 컨설팅 등으로 활용되는 비율도 높아짐.
◦ 교육·실행단계의 ‘공간자원’은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이 가능한 공
간(시설)으로 각 지원사업의 전반적 교육이 이루어지는 주교육공간과 부교육 공간으로
구분함.
- 주교육공간은 35차시 수업을 1년 간 진행하는 교육장소로 주로 수혜시설 내·외부 공
간(강의실, 강당, 마을회관, 경로당 등)을 의미함.
- 부교육공간은 주교육공간 외 현장학습, 발표회 등에 사용되는 공간 및 장소를 의미
함. 여기에는 지역기반시설(도서관, 구민센터 등), 인프라(도로, 철도, 발전소 등), 문화
기반시설(문화예술회관, 공공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극장, 서점, 문고, 문학
관, 공방, 영화상영관, 축제, 문화지역 등) 등이 포함됨.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89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기획’단계와 ‘교육·실행 단계’ 이
후(혹은 단계 진행 중) ‘평가 및 재정비(피드백)’ 단계를 거치게 됨. 하지만 문화예술교
육에 있어 평가 부분은 그 중요성이 낮게 인식되어 현재까지 체계가 미흡한 실정임(박
옥남 외, 2009). 이에 본 연구의 분류체계에서는 ‘평가’ 단계는 상세히 다루지 않음.
◦ 문화예술교육의 ‘평가’는 주로 진흥원 및 협력기관, 수혜시설에서 실시하는 만족도 조사,
진흥원에서 연중 실시하는 다양한 연구, 모니터링 등이 진행되며 문화예술교육자원이 유
기적으로 사용됨.
◦ 특히 인적자원 중 앞의 두 단계에 비해 전문가 인력(교수, 연구자, 현장 활동가 등)이 활발
하게 활용되는 단계임.

<표 Ⅲ-21> 프로세스 기반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안)

단계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Process)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국방부, 법무부, 교육부, 통일부,
중앙(부처)
여성가족부, 기타
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네트워크 기관
공공 지역문화재단, 지자체(광역/기초), 교육지원청 등
자원
협회 협회(협력기관), 위원회, 기타
민간 기업, 주민단체, 각종 민간시설, 기타
기타 협의체, 기타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사,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강사, 예술꽃
강사 씨앗가꾸미, 단체 및 조직, 시민 등
진흥원, 주관기관 담당자, 문화기획자, 담당교사, 관련 협회
행정인력
인적자원 담당자, 수혜시설 담당자, 지역센터, 문화재단 등 관련 기관
(기획/매개)
담당자, 수퍼바이저, 핵심활동가 등
문화예술인 예술활동가, 전공자, 지역별 아티스트
기획
기타 연구자, 교수, 초빙 강사, 외주업체 등
공연예술자원, 시각예술자원, 문학예술자원, 영상예술자원,
예술문화자원
통합예술자원
프로그램 역사문화자원 문화재, 박물관, 전통문화자원
자원 생활문화자원 의(衣)문화, 식(食)문화, 주(住)문화, 기타 생활문화자원
자연문화자원 농·축산 자원, 수자원, 산림자원, 기타 자연문화자원
융합문화자원 디지털콘텐츠, 기술, 기타
법, 제도, 조례,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지역문화진흥법, 고용정책기본법 등
규칙, 기타
공공- 중앙정부(문화부 전체, 문화부 일부 및 타부처), 시,
행정/재정 예산 도(지자체 일부, 지방교육재정), 국고 입찰, 기타
자원 (공공/민간)
민간- 사립재단, 기업, 개인기부금, 수익자부담금
기술자원 통합운영시스템, 웹페이지 등

프로그램 공연예술자원, 시각예술자원, 문학예술자원, 영상예술자원,


교육·실행 예술문화자원
자원 통합예술자원

90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단계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Process)
역사문화자원 문화재, 박물관, 전통문화자원
생활문화자원 의(衣)문화, 식(食)문화, 주(住)문화, 기타 생활문화자원
자연문화자원 농·축산 자원, 수자원, 산림자원, 기타 자연문화자원
융합문화자원 디지털콘텐츠, 기술, 기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국방부, 법무부, 교육부, 통일부,
중앙(부처)
여성가족부, 기타
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네트워크 기관
공공 지역문화재단, 지자체(광역/기초), 교육지원청 등
자원
협회 협회(협력기관), 위원회, 기타
민간 기업, 주민단체, 각종 민간시설, 기타
기타 협의체, 기타
공연시설, 전시시설, 도서시설, 공연시설과 다른 문화시설이
문화시설
복합된 종합시설 등
청소년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특화시설,
활동시설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 등
평생교육원, 기타 법령에 따라 평생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평생교육시설
공간자원 하는 시설 ㆍ법인 또는 단체
기타 대통령령 아동복지센터,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시설 기타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시설
학교,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공단, 대안문화공간,
기타 대중예술공간, 대학박물관, 문화예술교육단체공간,
주민자치센터, 여성회관, 사회 복지관, 미디어 센터 등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사,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강사, 예술꽃
강사 씨앗가꾸미, 단체 등
기획인력-진흥원, 주관기관 담당자,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
행정인력 담당 교사, 예술꽃 씨앗학교(새싹학교) 담당교사
인적자원 (기획/매개) 매개인력-협회 담당자, 시설 담당자, 지역센터, 문화재단 등
관련 기관 담당자 등
문화예술인 예술활동가, 전공자, 지역별 아티스트
기타 연구자, 교수 등
법, 제도, 조례,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지역문화진흥법, 고용정책기본법,
규칙, 기타 문화예술교육사 등
공공- 중앙정부(문화부 전체, 문화부 일부 및 타부처), 시,
행정/재정 예산 도(지자체 일부, 지방교육재정), 국고 입찰, 기타
자원 (공공/민간)
민간- 사립재단, 기업, 개인기부금, 수익자부담금
통합운영시스템, SNS, 영상, 사진, 온라인 플랫폼
기술·홍보
홍보물 등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91
4. 3차 FGI 조사 개요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 피드백 및 활용방안 제시를 위해 3차 전문가 대상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최종적으로 취합·분석하여 지역 문화
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안)의 활용방안을 제시함.
◦ 2차 FGI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분류체계를 크게 1)문화예술교육의 핵심 구성요소와 2)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의 프로세스 두 가지 분류기준으로 분류체계(안)을 보완·검토함.
◦ 분류체계의 추후 활용을 위해 콘텐츠(소재)자원, 인적 자원, 제도적 자원, 공간자원을 파
악할 수 있는 자원출처를 조사하였음.
- 콘텐츠(소재)자원은 문화체육관광부의 ‘공연예술실태조사’, ‘문화향수실태조사’,문화재청
홈페이지의 문화재 통계, 생활문화진흥원 홈페이지, 환경부 홈페이지, 미래창조과학부의
‘디지털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등에서 파악할 수 있음.
- 인적 자원은 통계청의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사통계’, ‘공연예술실태조사’, ‘인구총조사’,
‘고령자(노인)현황’, 문화체육관광부의 ‘예술인실태조사’ 등을 통해 파악 가능함.
- 제도적 자원은 법제청, 국가법령정보센터, 문화체육관광부의 주요정책, 행정자치부의
대한민국정부포털, 통계청 등으로 파악 가능함.
- 공간자원은 한국문화예술회관 연합회 홈페이지, 유·초·중·고등학교 통계, 평생교육진
흥원 홈페이지,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홈페이지 등에서 파악할 수 있음.
◦ 이 외에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사업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잠재적으로 활용 가
능한 자원 파악을 위해 각 자원별 외연 확장 방안에 대해 작성함.

□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검토 후 설계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안)의 피드백


및 향후 활용방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을 위해 3차 전문가 FGI를 실시함. 전문가
FGI는 각 분야의 전문가 인으로 구성하여 가급적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FGI 조사 개요는 <표 Ⅲ-22>과 같음.

<표 Ⅲ-22> 3차 FGI 전문가 개요

구 분 3차 FGI
대상 연구자, 교수, 지역문화예술교육 실무 관계자로 구성된 총 5인
일시 2016년 12월 12일 ~ 20일
장소 상명대학교 및 기타 서울 내 회의 장소
활용 내용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안) 검토 및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

92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5. 3차 FGI 조사 내용 분석 결과

□ 3차 전문가 FGI ‘분류체계(안)’ 관련 내용 분석


◦ 분류체계 검토 및 활용방안을 위한 3차 전문가 FGI 분석결과는 <표 Ⅲ-23>과 같으며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주요 내용은 세 가지로 요약됨.
- 연구의 최종단계로서 본 연구에서 정립한 용어 및 전체 연구의 흐름을 재정리해야 함.
- 분류체계(안)은 활용 시 원활한 조사를 위해 각 분류체계를 파악할 수 있는 출처나
홈페이지 제시를 명확히 해야 함.
- 향후 문화예술교육자원의 외연 확장을 위해 기존의 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업에서 활
용하지 않고 있는 콘텐츠(소재)·인적·제도적·공간의 잠재적 자원 파악의 필요성을 제
시해야 함.

<표 Ⅲ-23> 3차 전문가 FGI 내용 분석 결과(활용방안)

3차 전문가 FGI 내용 분석 결과(활용방안)


- 융합문화자원의 경우 용어를 재정리해야하며 중분류를 문화와 연결할 수 있는 카테고리 2~3가지로
나눠도 용이할 것 같고 기초원천이나 저작권은 분류체계로 맞지 않음.
- 공간자원 경우 공간이 가진 기자재 역시 포함되어야 함. 공간이라는 용어에 한정되지 말고 물적 자원
으로 수정해도 용이할 듯함. 그리고 문화기반시설에 문화원, 문화의집, 문화회관이 포함되며 여성회
관, 사회복지관 등도 여기에 해당됨.
- 인적자원인 경우 현재 파악하고 있는 수 외에 잠재적으로 지역에서 교육인력으로 활용 가능한 인력이
있으므로 이 또한 인적자원으로 포함할 수 있음.
- 프로세스 분류체계 중 프로그램1, 2와 공간자원은 앞서 제시된 콘텐츠(소재)자원 구분 분류체계와 연
동되게끔 하는 것이 보기 편함.
- 프로세스 분류체계 중 프로그램자원은 기획과 교육·실행 단계에 모두 포함되는 자원이라 생각함. 단,
기획에서의 프로그램자원에 대한 정의와 교육·실행에 있어서의 정의는 달라질 수 있음.
- 기획단계에서의 네트워크자원 경우 법적으로 만들어져 있는 네트워크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네트워크 즉, 세분류에 협의체를 넣어주면 용이함.
- 콘텐츠자원 구분 분류체계에(안) 활용방안은 홈페이지나 출처를 자세히 표시해야 처음 보는 사람도
쉽게 활용할 수 있음.
- 현재 분류체계(안)은 실제 진흥원에서 활용하는 핵심(core) 자원과 향후 활용 가능한 외연의 자원으
로 구분이 가능함. 핵심자원은 강화, 외연은 확장할 수 있다는 제안을 하는 것이 중요 함.

□ 분류체계 검토 및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 결과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안)은 활용방안 및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자원 개발과 지
역의 문화예술교육 발전을 염두에 두고 설계해야 함 .
◦ 핵심구성요소 기반 분류체계의 융합문화자원 경우 문화융합자원으로 정의한다면 본 연구
의 의도와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므로 융합자원으로 재설정함84).

84) 문화융합이란, 어느 문화에도 속하지 않았던 제3의 문화가 나타나는 것을 문화융합이라고 한다.라고 정의하고
있음(네이버 백과사전)

Ⅲ.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 틀 및 분류체계 | 93
◦ 핵심구성요소 기반 분류체계의 콘텐츠(소재), 인적, 제도적, 공간자원의 출처 기입 시 분
류체계를 처음 보는 사람도 접근 가능하도록 자세히 명시하도록 함.
◦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의 프로그램자원과 공간자원은 앞 서 제시된 핵심요소를 기반분
류체계와 자원을 연동하여 구성함.
-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안)에서 기획단계 네트워크자원에 ‘협의체’를 대분류 ‘기타’
에 포함 하고 프로그램자원을 기획과 교육·실행 단계에 모두 포함하도록 함.
◦ 본 연구에서 공간자원 경우 문화예술교육을 하는 프로그램 마다 교육대상자와 기자재가
달라지기에 본 연구에서는 파악이 용이하지 않음 기자재를 분류체계에서 제외함.
- 또한 전문가 자문내용을 바탕으로 공간자원 중 기존 분류체계(안)에 고려되지 않은
문화시설인 문화원, 문화의집, 문화회관과 기타특수시설인 여성회관, 사회 복지관 등
을 추가함.
◦ 본 연구의 분류체계(안)은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학교/사회문화예술교육 활성
화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핵심(core)자원과 향후 활용 가능한 외연으로서의 자원으로 분
류하여 잠재적 자원 활용의 필요성을 제시함.
- 또한 서울, 경기, 경상, 전라, 충청 지역에 대한 지역 문화예술교육 자원 파악을 위
한 현장조사를 통해 분류체계의 활용 예시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3장의 연구 결과 및 3차 FGI에서 논의된 분류체계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 결과를 바탕


으로 4장에서 향후 연구 제안과 분류체계의 활용방안(활용예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
술하고자 함.

94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Ⅳ. 결론

제1절 연구 요약 및 시사점
제2절 향후 연구 및 분류체계 활용에 대한 제언
Ⅳ. 결론

□ 본 연구는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을 개념화하고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해 문화예술교육에 특화된 새로운 분류체계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음.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연구는 처음 시도되는 것으로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문
화예술교육(자원), 지역 문화자원, 이와 관련한 분류체계의 국내·외 선행연구를 체계적
으로 검토·분석하였고 수차례의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
한 개념 정의를 시도함. 또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범주모형과 개념모형을 개발하
였으며 다차원적인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를 제안함.
□ 본 장에서는 결론을 통해 지금까지 수행 된 연구를 정리하고 학술적·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본 뒤, 마지막으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의 활용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함.

제1절 연구 요약 및 시사점

□ 문화예술교육의 지역화와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체계 확립의 중요성과 필요성에도 불구


하고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근간이 되는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관련 연구토대는 매우
미약한 실정임. 이에 본 연구는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정의 및 개념을 정립하
였으며, 범주모형과 개념모형을 제시하여 설명함으로써 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음.
◦ 본 연구의 연구 주제어인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은 정의 및 개념정립을 하는데 있어서
각 단어별 조작적 정의의 과정을 통해 관념적으로만 존재하던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들을 명확히 정의하며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시함.
◦ 범주모형은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을 설명하기 위한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자원(문화자
원, 문화예술교육자원,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중심의 3단계의 계층으로 구성됨. 각 계
층의 범주크기를 시각화한 범주 모형은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범주 및 특성파악에 용
이함을 제공함.
◦ 개념모형은 내부 층(문화예술교육의 소재의 성격을 지니는 자원)과 외부 층(교육실행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자원)의 두 개의 층위로 표현하여 문화예술교육자원을 바라보는 폭
넓은 시각을 제공함.
□ 본 연구의 주요 연구목적인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 개발을 위해 연구진은
두 개의 분류기준(문화예술교육의 핵심구성요소,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 프로세

Ⅳ. 결론 | 97
스) 아래 다차원적인 분류체계를 제시함.
◦ 문화예술교육의 핵심구성요소 기반 분류체계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필수요소인 콘텐츠자원(what), 인적 자원(who), 공간자원(where), 제도적 자원(how)으
로 적절히 분류·파악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여러 요소를 체계적으로 밝히고 있음.
- 또한 콘텐츠자원 분류는 예술문화자원으로 한정짓지 않고 실제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생활문화자원, 자연문화자원, 융합문화자원 등을
포함하여 좀 더 폭넓은 시각을 제공함.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의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는 ‘기획 단계’, ‘교육·실행 단계’를
중심으로 각 단계별로 활용 가능한 자원을 제시함. 이는 특히 교육현장에서 프로그램 실
행을 준비하는 문화예술교육 활동가들에게 실용성 있는 분류체계를 제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지님.

□ 본 연구는 지역의 모든 문화적 산물을 분류한 기존의 지역 문화자원 분류체계와 달리


정성 조사(Qualitative Research)기법에 근거하여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에 적합한 자원
분류체계를 새로이 설계한 것에서 독창성과 차별성을 지님.
◦ 주요 연구 단계(개념정립-분류체계설계-분류체계피드백 및 활용방안)마다 문화예술교육
의 분야별· 지역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여 연구방
법론적인 체계를 갖추고자 하였음.
◦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는 현 시점에서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에 활용
할 수 있는 다양한 자원에 대한 논의를 통해 향후 관련 연구를 진전시키는데 기여 할 것
으로 기대됨.

□ 정책적으로 볼 때,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의 구성요인들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함. 나아가 정부는 지역의 다양한 자원을
발굴·발전시켜 문화예술교육 지역적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마련에 힘써
야 할 것임.
◦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류체계는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고려해야 할
자원을 제시하였고, 지역에 자원이 적절히 배분되기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됨. 또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는 지역민의 문화예술교육의 질(Quality)
을 진단하는 진단표와 같아서 현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확인하여 우리나라의 문화예
술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판단됨.

98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제2절 향후 연구 및 분류체계 활용에 대한 제언

1. 향후 연구 제언

□ 본 연구는 거시적 관점에서 중앙에서 전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현황 및 환경 등을 정확


하게 파악할 수 있는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를 개발하고자 함. 또한 실제
적으로 본 분류체계는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공급자(기획·공급인력)들이 활용 가능한 분
류체계임. 향후에는 각 지역별(지자체 및 지역 문화재단 주도), 대상별(일반 시민, 수혜
대상 등)로 추가적인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연구를 수행한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기대됨.
◦ 또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주기적인 진단과 피드백이 중요한 만큼 이를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big data)의 활용이 필요함.
-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 빅데이터는 초보적 단계이며 정확히 추진되고 있는 정책도
미비한 실정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공공 및 민간기관에서 수집되는 문화예술교육
과 관련한 방대한 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분석을 통해 새로운 시장 창출 가능성과
기회를 모색해야 함.
- 빅데이터 분석은 수요자 중심의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만큼 향후 수요자
들이 활용가능 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보임.

□ 기존에 정부에서 추진한 국민문화지수, 다문화지표 개발, 문화역량지수 개발연구와 같


이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를 객관적인 실증
분석이 가능한 지표화·지수화 연구로 발전시켜 지속적인 심층 분석이 이루어져야 함.
이러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시계열적 자료가 확보되어 D/B구축에 활용되면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임.
◦ 본 연구는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추상적이고 모호한 수준의 논의
에 그쳤던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을 체계적으로 정립한 것에 의미가 큼. 지역 문화예술
교육자원의 지표화·지수화 연구를 계속적으로 추진하여 보다 과학적으로 그 실태를 측정
한다면 지역 간 격차를 줄이고 문화국가로 발돋움하는데 필요한 기반을 구축하는 자료가
될 것임.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핵심요소 기반 분류체계의 경우 4개의 분류체계별 각 카테고


리마다 자원의 출처를 명시함. 이를 통해 분류체계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개발
된 분류체계를 참고하여 전 지역의 문화예술교육현장에서 자원 파악·활용이 가능함. 그
러나 정부차원의 전 지역별 자원조사를 목적으로 하다 보니 전 국민 대상의 조사도구

Ⅳ. 결론 | 99
만 출처로 명시되어 추후에는 각 지역별로 실시하고 있는 자료에 대한 세부적인 출처
제시도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의 경우 프로그램 실행을 준비하는
공급자(기획·공급인력)에게 필요한 자원분류에 중점을 두어 ‘기획’단계와 ‘교육·실행’ 중
심으로 자원을 구분함. 교육실행에 있어서 마지막 단계이자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체계가 여전히 미흡한 ‘평가 및 피드백’ 부분을 연구·발전 시켜 추후에는 ‘기획’단계,
‘교육·실행’단계, ‘평가 및 피드백’단계에서 필요한 자원들의 영향관계 및 순환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통합적인 생태계적 관점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또한 ‘기획’단계와 ‘교육·실행’단계에서 중·세분류가 동일하게 구성된 프로그램자원, 네트
워크자원, 인적자원, 행정/재정 자원들은 사실상 단계별 자원의 중요도 및 사용비율이 달
라 질 수 있음. 향후에는 세세분류를 통해 이러한 차이점을 좀 더 세밀하여 반영하는 심
층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 본 연구에서는 UNESCO 문화지표를 비롯하여 북미(미국, 캐나다), 유럽(프랑스), 오세


아니아(호주)의 문화지표 및 분류체계가 조사됨. 해외의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추가
적인 조사를 통해 보다 심층적인 국제 비교연구 진행을 제안하는 바임. 문화예술교육
의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국제간 비교연구 및 사례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역)문화예술교육자원 관련한 비교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황임. 해외의 선진 분류체계
분석은 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하여 지역민의 문화예
술교육 향유 확대를 위한 대안 모색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됨.

2. 분류체계 활용에 대한 제언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핵심구성요소 기반 분류체계는 정부차원에


서 전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자원 현황분석 및 환경 진단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음. 또한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공급자(기획·공급인력)들이 문화예술교육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
서 활용 가능함. 정책적으로는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확대 및 강화하는데 필요한 정책
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 정부 차원에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을 조사할 경우 전 지역에서 표준화 할 수 있는 적
합한 기준으로 개발함. 또한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자원을 효율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지역
에서 문화예술교육 자원으로 활용 가능한 자원에 관한 포괄적 접근이 이루어졌으며 지역
의 상황에 따라 혹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추가·삭제가 가능한 탄력적인 분류체계가 되도
록 했음.
- 분류체계의 실질적 활용을 위한 사례로 경상남도 거제시, 전라북도 전주시, 충청남도

100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서산시를 대상으로 홈페이지, 문헌 등의 자료와 현장답사를 바탕으로 각 지역의 문화
예술교육자원 목록을 작성한 예시는 <표 Ⅳ-1>와 같음. 이는 콘텐츠자원 중 역사문화
자원을 중심으로 각 지역별로 중분류, 세분류에 해당하는 자원을 배치함. 이를 통해
조사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에 활용 가능한 역사문화자원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

<표 Ⅳ-1> 지역의 역사문화자원 조사 예시

기준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자원 목록


전주 - 경기전, 전동성당, 풍남문 등
- 둔덕기성, 해금강, 연안 아비 도래지, 학동리 팔
국가지정문화 거제
색조 번식지 등

- 용현리 마애려애삼존상, 해미읍성, 보원사지, 정
서산
충신장군 유품 등
전주 - 관성묘, 극락암 목조 여래좌상, 문학대 등
시도지정문화
거제 - 거제 향교, 사등성지, 옥산성지, 고현성 등
문화재 재
서산 - 서산객사, 해미향교, 부석사 등
전주 - 전주 중앙동 구 박다옥
등록문화재 거제 - 학동 진석중 가옥, 거제초등학교 본관 등
서산 - 동문동성당 등
전주 -
역사 세계유산 거제 -
콘텐
문화 서산 -

자원 전주 - 어진박물관, 한지박물관 등
자원
- 고성탈박물관, 해금강 테마박물관, 어촌민속전시
1종박물관 거제
관 등
박물관 서산 - 철새박물관
전주 - 전통술박물관
2종박물관 거제 - 청마기념관, 청소년 문화의집 등
서산 - 파충류 전시관
- 박애숙(가야금병창), 이신입(전주낙중장), 최대규
전주
(전주나전장), 조소녀(판소리) 등
무형문화재
전통 거제 -
문화 서산 -
자원 전주 - 전주 농악 전수관, 전주 문화원 등
전통문화보전
거제 - 거제 문화원 등
전수시설
서산 -서산 문화원 등

◦ 또한,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하는 공급자(기획·공급인력)의 입장에서 본 분류체계


를 활용할 경우, 콘텐츠(소재)자원과 인적 자원, 제도적 자원, 공간자원과의 조합을 통해
[그림 Ⅳ-1]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 활용 가능 함.
◦ 예를 들어, 지역의 예술문화자원 중 공연예술자원에 속하는 ‘무용’을 교육의 콘텐츠(소재)
로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기획·진행하고자 한다면 활용 가능한 교육인력(예술강사)과 교육
대상(노인)의 인적 자원을 선택하고, 교육·실행에 필요한 공공 및 민간의 지원예산(공공재

Ⅳ. 결론 | 101
원), 관련 법·제도(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참여기관(공급: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수혜:
사회복지시설)등의 제도적 자원과 문화예술교육이 가능한 다양한 공간자원(노인복지관)
등을 파악하여 선택적으로 활용 할 수 있음.

[그림 Ⅳ-1]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활용 예시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는 지역의 문화예


술교육 공급자(기획·공급인력)들이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교육·실행 할 때에 고려해야
할 단계별 자원 진단을 위한 가이드 안으로 활용 될 수 있음.
□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류체계(안)은 [그림 Ⅳ-2]와 같이 실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에서 문화예술교육에 주로 활용하는 핵심(core)자원과 향후 활용 가능한 외연자원으로
구분 가능함.

[그림 Ⅳ-2]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To-Be 모델

102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 이처럼,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핵심자원은 더욱 강화해 나가
야 하며 현재는 그 비중이 낮지만 향후 다양하게 활용가능한 자원은 외연확장을 도모해
야 함.
◦ 이를 통해 개발된 문화예술교육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면 지역의 경제 활성
화 및 지역민의 경제활동에 있어서도 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임.

Ⅳ. 결론 | 103
참고문헌
참고문헌

<국내·외 문헌>

경상북도․경북TP(2010), 「경북문화자원총람」

김경선(201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현황 분석을 통한 정착과 활성화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문환(2001), 「지방자치와 지역문화:문화복지 이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제27차 지방자치연구소


국내세미나 논문집 』

김미리 외(2016), 「공공문화예술기관의 경영성과 영향요인 분석」, 『회계연구 제21권 제1호』

김세훈(1995), 『문화지표체계 개선』, 한국문화정책개발원

김영순·오세경(2010), 「지역문화교육을 위한 지명유래 전설의 스토리텔링 사례 연구: 인천 검단 여래


마을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제5권 1호』

김은영(2012), 「공부방 아이들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연극놀이를 중심으로」, 성균관


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정희 외(2012), 「인천 지역 문화예술교육 자원 조사」, 『문화예술교육연구 제7권 제3호』

김하늬(2013), 「문화적 역량 강화를 위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연구 : 전통미술을 이용한 미술관 문화


예술교육」,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효영 외(2013),「문화콘텐츠 특수성을 반영한 문화기술(CT)분류체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호 제5호』

권순창(2015),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공연제작 사례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석사학위논문

나양채(2015), 「역문화자원의 공연콘텐츠화에 관한 연구-5·18연극 ‘애꾸눈 광대’ 제작사례를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치호(2007), 『문화자원과 지역정책』, 대왕사

노정호(2007), 소외계층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 문화관광부 주회 문화나눔 사업 충남지역


아동복지시설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화체육관광부(2011), 문화예술통계 중장기 발전 실행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2014),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

문화체육관광부(2015), 2015 문화체육관광부 주요업무계획

문화체육관광부(2016), 2015공연예술실태조사

참고문헌 | 107
문화체육관광부(2016), 전국 문화기반 시설 총람

문화체육관광부·한국도서관협회(2015), 공공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사업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미래창조과학부(2015), 디지털콘텐츠 산업 실태조사

박세희 외(2016) 「지역문화자원과 콘텐츠개발」,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 No.9』

박옥남 외(2009), 「문화예술교육 패싯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3호』

박은희(2008),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 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찬욱(2013), 『지역문화자원 융합을 위한 정책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오재환(2009), 『부산지역 문화자원 특성분석과 활용방안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유보현 외(2000), 「디자인 DB(Database)에 있어서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제34호』

이명규(2015), 「아시아문화정보원의 문화자원 분류체계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9권 제1호』

이병준(2009), 『왜 문화예술교육인가』, 모드니예술

이상민(2012), 「지역 문화 자원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고찰」, 『가톨릭대학교 콘텐츠산업과


문화정책연구소 디지털콘텐츠와 문화정책 제6호』

이종인(1998), 「문화정책과 문화행정 강의자료」,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Cultural Policies


for Development, UNESCO.

이창식(2006), 『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 역락

임학순(2005),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 지표체계 구축 방향과 과제」, 『예술경영연구 제7집』

임학순(2007), 『서울의 문화자원 분포와 문화생태 연구』, 서울연구원

임학순(2015), 「문화예술교육과 지역사회의 관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단체의 인식연구-지역특성화 문화


예술교육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제36집』

장호수(2004), 「문화재 분류체계 시론」, 『인문콘텐츠 제4호』

전승규(2009), 「대학시설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건용(2012), 「공예문화상품 디자인개발을 위한 지역 문화자원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8권, 제2호』

정동욱 외(2014), 「국가별 단위학교 간 교육자원 배분과 학업성취도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3권
제4호』

정연희(2007), 「미술교육의 문화적 실천을 위한 미술교사의 문화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8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조현성(2005), 『문화지표 체계개선:2005 문화지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5), 분권시대 지역문화진흥체계 개선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8), 한국의 지역문화: 현황 및 정책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2), 2012 문화예술교육정책 발전전략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3), 지역문화자원 융합을위한 정책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3), 2013 문화예술 정책 백서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4), 2014 부처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정책평가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4), 지역문화지표 재설정 및 DB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4), 문화향수실태조사 보고서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연차보고서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5), 2015 지역기반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분석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유소년 문화향유 확대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방향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사업전략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창조융합벨트 지역확산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2014년 기준 지역문화실태조사 분석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09), 2009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0), 2010 문화예술교육 핵심 용어 정립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1), 2011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분석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3), 2012 학교폭력 예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4), 2014 사회문화예술교육 현황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4), 2014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평가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연차보고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2014 문화역량 개념 틀 및 지표 구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학교문화예술교육사업 중장기 사업전략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사회문화예술교육사업 중장기 사업전략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참고문헌 | 10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 2015 지역기반 사회문화에술교육 프로그램 사례분석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2015 학교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사업전략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2016), 문화창조융합벨트 지역확산을 위한 기초연구

해외문화홍보원(2015), 해외문화원 성과지표 효율적 운영방안 연구

홍민선(2011), 「지역문화축제를 통한 지역발전전략」, 『한국행정사학지 제28권 0호』

황교선(2008), 「문화예술과 연계한 지방자치단체 활성화 정책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황연주, 정연희(2005),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분석과 전망」, 『미술교육논총 제18권 제3호』

황정주(2010), 「마을만들기에서 지역문화자원 활용에 관한 고찰」,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Dewey, John(1958), 『Art as Experience, New York: Gapricorn Books』, G. P. Putnam’s,

Glasson J.(1974), 『An Introduction to Regional Planning』, London: Hutchinson.

Hegel, G. W. 『Ästhetik, oder die Philosophie der Kunst』, 서정혁 옮김(2008), 서울 :지만지

Read, Herbert(1955), 『The Meaning of Art』, London: Faber & Faber,

Uschold and Gruninger(1996), 「Ontologies: principle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

<웹사이트>

경기도의회, www.ggc.go.kr

국립국어원, www.korean.go.kr

국립중앙박물관 및 국립박물관, http://www.museum.go.kr

국립현대미술관, www.mmca.or.kr

과학창의재단, https://www.kofac.re.kr/?page_id=1658

광주광역시북구문화관광, www.culture.bukgu.gwangju.k

네이버 백과사전, http://dic.naver.com

농림축산식품부, http://www.mafra.go.kr

다음백과, http://enc.daum.net

문화데이터광장, www.culture.go.kr/data

110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문화예술교육사, acei.arte.or.kr

문화재청, http://www.cha.go.kr

문화체육관광부, www.mcst.go.kr/main.jsp

문화포털, http://www.culture.go.kr/space/facility.do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부산문화재단 전자아카이브, http://e-archive.bscf.or.kr/22_search/01_search.php

산업단지관리공단, www.kicox.or.kr

생활문화진흥원, http://www.nccf.or.kr

서울대학교 문화예술산업융합센터, http://www.seoularts.ac.kr

산림청, www.forest.go.kr

중소기업융합중앙회, http://www.koshba.or.kr/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www.icareinfo.go.kr

청소년 활동진흥원, www.kywa.or.kr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https://www.unesco.or.kr

위키백과, ko.wikipedia.org

통계개발원 국민 삶의 질 지표, qol.kostat.go.kr/blife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캐나다 통계청, www.statcan.gc.ca

프랑스 통계청, www.institutfrancais-seoul.com

평생교육진흥원, www.nile.or.kr

한국 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kess.kedi.re.kr

한국 노인종합복지관 협회, www.kaswcs.or.kr

한국 도서관협회, www.kla.kr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www.arte.or.kr

한국 문화예술회관 연합회, www.kocaca.or.kr

한국 사립미술관 연합회, www.artmuseums.or.kr

한국 산업융합 협회, http://www.kincoa.or.kr

한국 은행 경제 통계 시스템, ecos.bok.or.kr

참고문헌 | 111
한국 장애인 복지관 협회, www.hinet.or.kr

한국 청소년 상담복지 개발원, www.kyci.or.kr

한국 청소년 수련시설 협회, www.youthnet.or.kr

한국 청소년 쉼터 협의회, www.jikimi.or.kr

한국 IT융합기술 협회, http://www.koreaict.or.kr

해양수산부, http://www.mof.go.kr

환경부, http://www.me.go.kr

환경산업무역포털, http://export.ecotrade.or.kr

행정자치부 지방행정정보시스템(내고장 알리미), https://www.laiis.go.kr

행정자치부 대한민국정부포털, www.korea.go.kr

호주 통계청, www.abs.gov.au

112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부 록
부록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


1차 전문가 인터뷰

* 소속: / 성명:

안녕하십니까.
바쁘신 중에도 귀중한 시간을 내시어 1차 전문가 인터뷰(FGI)에 응하여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
립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현황 분석 및 환경 진단을 위한 1)지역 문화예술
교육자원에대한 체계적인 개념 정립 및 2) 지역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
행하고 있습니다. 먼저 1차 전문가 인터뷰는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정된 지역 문화
예술교육자원의 정의, 범위, 개념의 구성요인에 대해 여러 분야 전문가 선생님들의 추가적인 의견
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귀하께서 생각하시기에 수정·추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내용을 자유롭
게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연구는 ‘2017년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선행 연구로써 지역 문화
예술교육자원을 개념화하고 분류체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어 전문가 선생님들의 고견이 매
우 귀중합니다.
본 인터뷰에 응답해 주신 내용은 오직 학술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귀하의 신분이 전혀 노
출되지 않습니다. 성실한 답변을 부탁드리며, 귀하의 안녕과 발전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1월 16일

* 연구와 관련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라도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책임연구원 : 상명대학교 이동수 *C.P: 010-7178-7195
공동연구원 : 상명대학교 김현수 *E-mail : violinsu1327@naver.com /
* C.P: 010-2707-0966

1.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정의에 대한 질문입니다.


- 본 연구진은 다음과 같이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

한 정의를 설정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전문가 선생님들의 의견을 듣고 반영하고자 합니다.

○ 본 연구진은 합성어인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을 정의하기 위해 자원, 문화자원, 지역 문화자원,


문화, 예술, 문화예술, 문화교육, 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파악함

- 자원: 인간생활 및 경제 생산에 이용되는 원료로서의 광물, 산림, 수산물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국

부록 | 115
립국어원)
- 문화자원: 문화와 자원의 합성어로서 인간이 특정 지역이나 사회에서 생활하면서 발생하는 모든 생활
양식과 상징체계인 유·무형의 문화적 산물(재료)(남치호, 2007;황정주, 2010; 이명규, 2015)
- 지역 문화자원: 지역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지닌 문화적 요소로서, 유․무형의 모든 문화적 산물이자 새
로운 것을 창조해서 만들어 내는 다양한 유․무형의 결과물(황정주,2010; 정건용, 2012)
- 문화: 지적, 정신적, 심미적 활동을 포함한 생활방식이자 삶의 표현체계로서 인간의 총체적인 사고 체
계와 행동양식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 예술: 문화의 한 영역으로서 예술 활동과 그 결과물 전체를 지칭(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 문화예술: 합성어로서 예술을 문화적 맥락 속에서 파악하려는 시도이며, 문학, 조형예술, 공연예술, 전
통예술, 생활문화 등을 포괄하는 개념(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 문화교육: 문화를 매개로 인간의 창의성을 육성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며 인간의 궁극적 가치를 실현하
는 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 예술교육: 개인의 감각적인 사고의 발달을 추구하며, 예술을 느끼고 표현할 수 있는 감각과 능력을 키
우는 과정의 교육(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진흥법」 제2조 제1항 제1호의 규정에 따른 문화예술 및 「문화산업진흥 기본
법」 제2조 제1호의 규정에 따른 문화산업, 「문화재보호법」 제2조제1항의 규정에 따른 문화재를 교육
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문화체육관광부, 2015)이며 학교 문화예술교육과 사회 문
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됨(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 연구어가 지니는 복합적, 통합적 특성으로 인해 ‘지역 문화자원’과 ‘문화예술교육’이라는 두 개의 큰
개념의 조합으로 연구어의 정의를 설정하는 것으로 논의함
○ 또한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다양한 개념정의 중 문화예술교육을 통합적 관점(예술교육
과 문화교육이 함께 이루어짐)으로 파악하고자 함
따라서, 연구진은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해 다음과 같은 잠정적 정의를 설정함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지역 고유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지닌

유·무형의 모든 문화적 요소이자 결과물”

1-1.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정의에 대한 의견 및 보완사항을 서술하여 주십시오.

116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2.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범주에 대한 질문입니다.
- 본 연구진은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
한 범주 모형을 설정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전문가 선생님들의 의견을 듣고 반영하고자 합
니다.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범주를 도식화하기 위해 ‘자원’이라는 상위 개념 아래 ‘문화자원’과


‘문화예술교육자원’, 그리고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포함관계를 설정함

○ 문화자원과 문화예술교육자원,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은 자원의 하위범주임


○ 문화자원은 문화예술교육자원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아 두 범위의 교집합이 존재함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은 문화자원과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교집합의 일부 및 문화예술교육자원 영역
의 일부까지 그 범위를 이루고 있다고 판단함

2-1.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범주에 대한 의견 및 보완사항을 서술하여 주십시오.

부록 | 117
3.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개념모형에 대한 질문입니다.
- 본 연구진은 다음과 같이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내용 분석을 통해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에 대한 개념적 모형을 설정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전문가 선생님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반


영하고자 합니다.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적 모형을 설계하기 위해 문화예술교육과 지역 문화자원의 구성요소


및 특성을 반영하여 개념모형을 도식화함

○ 문화예술교육의 구성요소인 교육내용, 교육주체, 교육방법, 교육대상 등을 반영하여 개념모형에


제시함
○ 또한,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지역 문화자원은 크게 유형자원과 무형자원으로 나누어 파악하고자 함
○ 이를 반영하여,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적 모형을 도식화하여 제시

3-1.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모형에 대한 의견 및 보완사항을 서술하여 주십시오.

- 성실히 응답해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

118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
2차 전문가 인터뷰

* 소속: / 성명:

안녕하십니까.
바쁘신 중에도 귀중한 시간을 내시어 2차 전문가 인터뷰(FGI)에 응하여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
립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현황 분석 및 환경 진단을 위한 1)지역 문화예술교
육자원에대한 체계적인 개념 정립 및 2)지역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
고 있습니다.
과제의 일환으로 문화예술교육관련 각 분야 전문가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의 정의 및 개념, 범주모형, 개념모형, 분류체계 등에 대해 연구진이 구상하고 있는 사안 대해서 전
문가 선생님들의 추가적인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특히, 이번 2차 전문가 인터뷰에서는 선행연
구를 통해 연구진이 설계·고려하고 있는 지역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에 관하여 전문가 분들의
의견을 어쭙고자 합니다.
본 연구는 ‘2017년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지역 문화예
술교육자원을 개념화하고 분류체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어 전문가 선생님들의 고견이 매우
귀중합니다.
본 인터뷰에 응답해 주신 내용은 오직 학술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귀하의 신분이 전혀 노
출되지 않습니다. 성실한 답변을 부탁드리며, 귀하의 안녕과 발전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2월 16일

* 연구와 관련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라도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책임연구원 : 상명대학교 이동수 *C.P: 010-7178-7195
공동연구원 : 상명대학교 김현수 *E-mail : violinsu1327@naver.com /
* C.P: 010-2707-0966

1. 1차 전문가 FGI 결과 요약
- 본 연구진은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 후 1차 전문가 FGI를 통해 주신 좋은 의견들을 깊

이 검토하여 연구 수행에 반영하고자 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연구진의 논의 결과를 말씀드


리겠습니다.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정의 및 단어별 개념정리’


본 연구에서는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을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지역의 특수성과 일반적 보편성,(문화적 보편성)을 지닌 모든 유·무형의 자원’
으로 정의 함

부록 | 119
- ‘문화예술교육’은 예술교육 뿐 아니라 더 넓은 개념을 포괄하는 것으로 고려하고자 함.

- ‘지역의 특수성’ 은 타 지역과 구별 지을 수 있는 동시에 지역 내에서 소통 할 수 있는 매개로 작

용할 수 있는 자원을 의미 함.

- ‘일반적 보편성’은 일부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지역에 두루 해당하거나 통하는 성질을 지닌

자원을 의미 함.

- ‘자원’은 문화예술교육을 위해 재료로서 활용 될 수 있는 지역의 모든 유·무형의 자원 임.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범주 모형’
- 문화자원은 문화예술교육자원에 포함되며, 문화예술교육자원은 지역문화예술교육자원에 포함되어 지
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은 이를 포괄하는 가장 넓은 범주임.
- 문화자원관련 선행연구에서 살펴 본 바처럼, 문화자원의 범주안에 법자원, 생활자원, 관광자원, 공간
자원, 인적자원, 정책자원, 행정/재정적 자원, 융합(복합자원)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음.
- 이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을 위해 문화자원을 비롯한 다양한 활용가능한 자원을 포괄하는 범주가 문화
예술교육자원의 범주임.
- 문화예술교육자원처럼 모든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활용가능한 모든 자원에서 지역의 특수성이 내제된
자원의 범주까지 확장된 범주가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최종적인 범주임.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 모형’


본 연구에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 모형’은 크게 Internal Layers(내부 층)와 External Layers
(외부 층)의 층위로 표현 됨.
▶Internal Layers(내부 층)
-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 문화적요소의 성격이 강하거나 문화예술교육과 직접적인 영향관계
에 있는 자원.
- 즉, 예술교육을 하는데 있어서 전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활용가능한 협의의 문화자원을 비롯하여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는데 필수요소인 인적자원과 행정/재정자원 등이 이에 속함.
▶External Layers(외부 층)
- 지역적 특색이 있는 자연문화와 생활문화를 비롯하여 다양한 영역과의 융합교육이 확대 되고 있
는 현실을 반영하여 이에 해당하는 자원들은 External Layers(외부 층)에 배치 함.
- 이를 통해 향후 새로운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도 반영할 수 있음.

120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정의, 범주모형, 개념모형에 대한 추가적인 의견 및 보완사항이
있으시면 서술하여 주십시오.

2.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관련 2차 전문가 FGI 조사


- 본 연구진은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 자문내용을 바탕으로 지역 문화예술교육

자원의 분류체계(안)를 ‘광의의 분류체계(안)’과 ‘협의의 분류체계(안)’ 두개를 설계하였습니


다. 현재 분류체계(안)은 초안으로 본 2차 전문가 FGI를 통해 주실 좋은 의견들을 깊이 검
토하여 연구 수행에 적극 반영하고자 합니다.

부록 | 121
1)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광의’의 분류체계안 에 대한 질문 입니다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광의의 분류체계(안)


- 본 연구에서는 앞선 선행연구를 취합·분석하여 역사문화자원, 예술문화자원, 생활문화자원, 자연문화
자원,
인적자원, 행정/재정적 자원의 총 6개의 대분류를 기준으로 중분류, 세분류로 구분함
- 또한, ‘비고’에는 전 지역에 두루 해당되어 분류 가능한 문화예술교육자원은 ‘공통’으로, 지역을 기반한
문화예술교육자원일 경우에는 ‘지역’으로 구분하여 명시함.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안): 광의>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비고
지정 및 등록 문화재, 비지정 문화유산, 근대문화유산,
문화재 지역
민속자료 및 기념물
전통사찰 종교지도자 탄생지, 유적 지역
설립/운영 주체: 국립, 공립, 사립, 대학 등
역사문화
소장자료 및 시설규모: 1종박물관(종합박물관, 전문박물관,
자원 박물관 지역
동식물원, 식물원, 수족관), 2종박물관(자료관, 사료관,
유물관, 전시장, 향토관 등)
전수시설, 민속예술보존회, 설화, 당산, 무형문화재,
전통문화자원 지역
전통문화시설 및 행사, 전수회관 지방문화원
공연장(전용공연장), 극장 , 공연예술관련 교육시설,
공연예술자원 공통
공연예술활동, 야외음악당, 커뮤니티시설, 각종 클럽, 연습실
미술관, 갤러리, 전시장, 화랑, 경매소, 조각공원, 대안공간,
시각예술자원 창작스튜디오, 아틀리에, 대안공간, 갤러리 카페, 공통
시각예술관련 교육시설
서점, 문고, 문학관, 문학작품, 문예지, 출판사, 인쇄소,
문학예술자원 공통
문학예술관련 교육시설
예술문화
문화예술
자원 공방, 악기상가, 악기 제작소, 엔틱 샵 공통
공간자원
대중예술공간, 청소년 문화존, 영화상영관, 영화제작사 및
대중문화자원 영화관련 업체, 자동차 영화관, 비디오 감상실, 공통
비디오물소극장업
공연예술축제, 시각예술축제, 영상예술축제, 자치구 축제,
축제 지역
문학관련 행사
문화지역 문화지구, 문화특구, 문화거리, 문화단지 지역
전용극장, 지역특산품과 공예품, 산업제품, 지역 환경디자인,
이미지
지역 이미지, 캐릭터, 전통의식, 특화된 행사, 지역의 물리 지역
(브랜드)
생활문화 환경적 요소
자원 지역기반시설 도서관, 구민체육센터, 시민회관, 공원, 카페 지역
(지역문 인프라 도로, 철도, 발전소, 통신, 병원 지역
화) 공공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 문화회관,
지역문화기반
청소년문화시설, 체육시설, 기초자치단체, 산하 문화단체, 지역
시설
구민회관 및 문화예술회관, 문화의집, 문화체육센터
자연자원 산, 바다, 강/하천, 섬, 숲, 기타 지역
자연문화 조망자원 등대, 산마루, 조망대, 기타 지역
자원 어촌·어항, 해안산책로, 해양관련시설, 휴양림, 해수욕장,
지역문화 지역
기타(비무장지대 etc.)
조직: 예술단체(⓵공공/민간,
인적자원 공급자 ⓶공연/미술/공예/사진/건축/음악/국악/무용/연극/방송/만화/문 공통
학/영화/기타), 문화예술교육단체(세세분류 필요? 유형, 영역,

122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규모, 지역, 법적성격 등), 기획사, 기타
개인: 문화예술교육강사(문화예술교육사 취득/없음), 기획자,
예술가, 기타
행정전문인력(정부/기관/지원센터/문화재단/단체 등 담당자,
매개 ⓶정규직/비정규직), 지역커뮤니티(협동조합, 부녀회 등), 공통
전문가(교수, 연구자 등)
개인: ⓵연령별: 유·아동, 청소년, 성인,
⓶계층별: 사회취약계층(기초수급자, 장애인, 이주가정 등),
일반시민(직장인, 주부, 노인 등) 특수계층(군인/의경, 수감자,
북한이탈주민 등) ⓷지역별: 수도권/지방
수혜자 조직: 학교(초/중/고), 군부대, 의경부대, 교정시설(교도소, 공통
구치소), 소년원학교, 산업단지, 청소년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 수련시설(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 집)지역아동센터, 청소년 비행예방센터, 하나원,
대안학교, 보훈복지문화대학, 기타(마을 동아리 등)
예산 ①공공: 국고예산, 지자체 ②민간: 기업지원금, 기타 민간단체
공통
(공공/민간) 지원
법(제도)·조례
정부 및 각 지방자치단체별 문화예술관련 법, 조례 및 규칙 공통
,규칙
행정/재 정책 정부 발표 정책(제도) 공통
정적 교육부 교육청, 국방부, 경찰청, 법무부, 산업통상부,
자원 부처(청)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통일부 한국산업단지공단 노동부 공통
주택관리공단 등 정부 산하 부처 및(청)
기관 16개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기초 지자체 문화재단 등 공통
16개 시·도 및 기초지자체, 지방자치단체 문화관련 행정국 및
지자체 공통
출연기관
문학예술-인문학, 문학예술-과학기술 융합 콘텐츠,
콘텐츠 공통
미디어아트, 출판
융합자원 애니메이션, 영상 프로그램 제작, 미디어센터
영상·미디어
한국영상자료원(KOFA), 영상관련 단체, 영상관련 교육시설, 공통
자원
게임,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서비스

*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광의의 분류체계(대분류, 중분류, 세분류)에 대한 추가적인 의견 및


보완사항을 서술하여 주십시오.

- 성실히 응답해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

부록 | 123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
3차 전문가 인터뷰

* 소속: / 성명:

안녕하십니까.
바쁘신 중에도 귀중한 시간을 내시어 3차 전문가 인터뷰(FGI)에 응하여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
립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현황 분석 및 환경 진단을 위한 1)지역 문화예술
교육자원에대한 체계적인 개념 정립 및 2)지역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
하고 있습니다.
과제의 일환으로 문화예술교육관련 각 분야 전문가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의 정의 및 개념, 범주모형, 개념모형, 분류체계 등에 대해 연구진이 구상하고 있는 사안 대해서
전문가 선생님들의 추가적인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특히, 이번 3차 전문가 인터뷰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연구진이 설계·고려하고 있는 지역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체계 및 활용방안에 관한
전문가 분들의 의견을 어쭙고자 합니다.
본 연구는 ‘2017년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지역 문화
예술교육자원을 개념화하고 분류체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어 전문가 선생님들의 고견이 매
우 귀중합니다.
본 인터뷰에 응답해 주신 내용은 오직 학술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귀하의 신분이 전혀 노
출되지 않습니다. 성실한 답변을 부탁드리며, 귀하의 안녕과 발전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17년 1월 09일

* 연구와 관련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라도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책임연구원 : 상명대학교 이동수 *C.P: 010-7178-7195
공동연구원 : 상명대학교 김현수 *E-mail : violinsu1327@naver.com /
*C.P: 010-2707-0966

1.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정의 및 개념 틀’ 관련 논의결과 요약


- 본 연구진은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 후 1, 2차 전문가 FGI를 통해 주신 좋은 의견들을

깊이 검토하여 연구 수행에 반영하고자 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연구진의 논의 결과를 말씀


드리겠습니다.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에 대한 정의 및 단어별 개념정리’


본 연구에서는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을 ‘일반적 또는 문화적 보편성,
지역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지닌 모든 유․무형의 자원’ 으로 정의 함.
조 ▶ ‘일반적 보편성’이라 함은 일부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지역에 두루 해당하거나 통하는 성질
작 을 지닌 자원을 의미 함(ex. 제도적자원, 공간자원 등).

124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 ‘문화적 보편성’이라 함은 문화와 관련된 모든 요소들이 전체에 두루 미치거나 통하는 성질을 지
닌 자원을 의미 함(ex. 예술문화자원 등).

▶ ‘지역의 고유성’ 이라 함은 타 지역과 구별 지을 수 있는 그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성질

이나 그 사물이 나타내는 특유한 자원을 의미 함(ex. 역사문화자원, 자연문화자원 등)

▶ ‘지역의 특수성’ 이라 함은 타 지역과 구별 지을 수 있는 동시에 지역 내에서 소통 할 수 있는
매개로 작용할 수 있는 자원을 의미 함(ex. 생활문화자원 등).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 모형’
본 연구에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개념 모형’은 크게 Internal Layers(내부 층)와 External Layers
(외부 층)의 층위로 표현 됨.
▶Internal Layers(내부 층)
-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 콘텐츠이자 소재로써의 성격을 지니는 자원.
- 즉, 콘텐츠적 자원(예술문화자원, 역사문화자원, 생활문화자원, 자연문화자원, 융합자원)이 이에 속함.
▶External Layers(외부 층)
- 소재·콘텐츠를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고자 할 때 프로그램을 담아낼 수 있는 하드웨어적
인 자원
- 즉, 시스템(제도적 자원), 공간자원, 인적자원 등이 이에 속함.
- 교육콘텐츠가 시·공간(지역, 시대)에 따라 다양화·다변화되는 현상을 반영하여 다양한 자원을 반영할
수 있는 층위로 구성하여 향후 새로운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도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함.

2.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관련 3차 전문가 FGI 조사


- 본 연구진은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 자문내용을 바탕으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
류체계(안)을 문화예술교육 ‘핵심구성요소 기반 분류체계안’과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안’ 으
로 설계하였습니다.
- 본 3차 전문가 FGI를 통해 주실 좋은 의견들을 깊이 검토하여 연구 수행에 적극 반영하고자 합니 다.

1) 문화예술교육의 ‘핵심구성요소 기반’의 분류체계안에 대한 질문입니다


문화예술교육의 핵심요소 기반 분류체계(안)
- 문화예술교육의 ‘핵심구성요소’ 기반 다차원적 분류체계는 크게 1)콘텐츠(소재)자원, 2)인적자원, 3)제
도적 자원, 4)공간 자원의 총 4개의 자원으로 구분됨.

부록 | 125
1) 콘텐츠 구분 분류체계의 대분류로는 예술문화자원, 역사문화자원, 생활문화자원, 자연문화자원, 융합
자원이 있음
2) 인적자원 구분 분류체계의 대분류로는 공급·매개자(기획·공급·인력), 수혜자(교육수혜대상)가 있음
3) 제도적 자원 구분 분류체계의 대분류로는 예산, 시스템, 기관이 있음.
4) 공간자원 구분 분류체계의 대분류로는 문화시설, 청소년 활동시설, 평생교육 시설, 기타 대통령령 시
설, 기타 특수시설이 있음.
* 분류체계에 ‘구분’란을 두어, 전 지역에서 표준화된 조사가 가능할 경우 ‘공통’으로, 지역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지녀 지역적인 조사가 필요한 경우 ‘지역’으로, 전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조사가능하나 지역
의 특수성을 지녔거나 중앙 및 지자체가 혼재되어 있을 때(ex. 공공예산+지자체 예산) ‘공통/지역’으
로 구분 함.

⓵ 콘텐츠(소재) 기준 분류체계
○ 콘텐츠(소재) 기준 분류체계의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 (대분류, 중분류)
1. 활용목적
2. 활용대상
대분류 1 : 예술문화자원
정의 : 문화예술교육에 활용가능 한 예술장르별 다양한 유·무형의 자원
중분류 정의
공연예술
문화예술교육에 활용가능 한 ‘공연예술’적 성격을 지닌 예술장르
자원
시각예술
문화예술교육에 활용가능 한 ‘시각예술’적 성격을 지닌 예술장르
자원
문학예술
문화예술교육에 활용가능 한 ‘문학예술’적 성격을 지닌 예술장르
자원
영상예술
문화예술교육에 활용가능 한 ‘영상예술’적 성격을 지닌 예술장르
자원
통합예술
문화예술교육에 활용가능 한 ‘통합예술’적 성격을 지닌 예술장르
자원
대분류 2 : 역사문화자원
정의 : 지역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문화재(문화재 보호법의 정의를 근거)외에도 문화재로서
잠재적인 가치를 지니며 자원으로 활용가능 한 유·무형자원과 민속자원을 포괄하는 자원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예술
문화재 적·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유·무형 문화재, 기념물, 민속문화재(문화재보호법 제
2조)
문화·예술·학문의 발전과 일반 공중의 문화향유 및 평생교육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박물관 역사·고고(考古)·인류·민속·예술·동물·식물·광물·과학·기술·산업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관
리·보존·조사·연구·전시·교육하는 시설(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2조 제1항)
전통문화
문화예술교육에 활용가능 한 ‘전통문화’적 성격을 지닌 자원(이창식, 2006)
자원
대분류 3 :생활문화자원
정의 : 지역의 장소성과 정체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지역적 공간을 비롯하여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문화를 영유할 수 있게 하는 기초적 자원
의(衣)문
옷이나 장신구 그리고 옷의 꾸밈새 따위에 관한 문화

식(食)문
음식을 먹는 일이나 음식과 관련된 문화

주(住)문
일정한 곳에 머물러 사는 것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문화

기타생활
의(衣)문화 식(食)문화, 주(住)문화에 포함되지 않은 생활문화자원
자원

126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대분류 4 :자연문화자원
정의 : 문화예술교육자원으로써 활용가능한 자연생태계 자체의 자연환경과 인공적으로 재가공 된
자연환경 및 활동의 자연관광자원
농림축산식품부에서 관할하는 우리나라의 주요 생명자원(농업,축산업 관련자원), 원예
농축산
자원(과실, 화훼)자원을 비롯하여 농촌진흥법」과 「축산법」에 명시된 농업생물자원, 축산
자원
생물자원과 자연관광자원을 포함하는 자원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자연수(自然水) 중 사람에게 실질적으로나 잠재적으로 쓸모 있
수자원
는 물의 원천으로 해양·하천·호수·지하수 등의 자원
산림자원 산림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자원(삼림청 홈페이지)
기타
자연문화 농·축산자원, 수자원, 산림자원을 제외한 자연문화자원
자원
대분류 5 :융합 자원
정의 : 예술·문화와 관련된 모든 자원과 기술 혹은 산업분야 등 두 개 이상의 다른 분야가
합쳐진 전혀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융합문화콘텐츠 자원
디지털콘
창작과 수정에 디지털 기술이 사용되는 콘텐츠 제작 관련 기술
텐츠
기초원천
콘텐츠 제작, 유통의 기초가 되고 파급효과가 지대한 인프라 기술
(기술)
저작권 창작물에 대해 저작자나 그 권리를 이어받은 사람이 가지는 권리
문화서비 문화와 관련된 재화를 운반하거나 배급하고, 문화의 생산과 소비에 필요한 노무를 제
스 공하는 기술

○ 콘텐츠(소재) 기준 분류체계의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성요인

<문화예술교육 핵심구성요소 중 콘텐츠(소재) 기준 분류체계>

기준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분


공연예술
음악, 국악, 연극, 뮤지컬, 무용
자원
시각예술 조소, 공예, 도예, 서예, 디자인, 미디어 아트, 만화, 판화,
자원 설치, 사진, 건축, 행위예술, 기타, 회화
예술문 문학예술 소설, 희곡·시나리오, 수필, 아동문학, 외국문학, 설화문학, 공통
화자원 자원 평론/이론, 기타, 시/시조
영상예술 영화,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DVD·비디오물, 방송프로그램,
자원 기타영상
통합예술 공연예술축제, 시각예술축제, 영상예술축제, 자치구 축제,
콘텐츠 자원 문학관련 행사
(소재)
국보, 보물,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국가지정문화재
국가무형문화재, 중요민속문화재
문화재 시도유·무형 문화재, 시도기념물, 시도
역사문 시도지정문화재
민속문화재, 문화재자료 지역
화자원 등록문화재 각종시설
세계유산 기록유산, 무형유산 등
종합박물관, 전문박물관, 동식물원,
박물관 1종박물관
식물원, 수족관

부록 | 127
기준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분
자료관, 사료관, 유물관, 전시장, 향토관,
2종박물관
기념관, 문서관, 민속관 등
노래·소리·타령, 정악·산조·제례악,
무형문화재 기능공, 놀이와 의식, 건축기능공,
전통문화 술·음식, 제례, 무용
자원 국악원, 전수회관, 지방문화원,
전통문화보전
기타(삼청각, 한국의 집, 한국문화의집,
전수시설
성균관 등) 등
의(衣) 박물관, 전시·체험공간, 패션(전통 및 현대의상, 소품 등),
문화 뷰티, 섬유(직물), 염색 등
식(食)
요리, 발효음식(김치박물관), 주류, 차/다도 등
문화
생활문
주(住) 숙박체험, 한옥 및 전통문화 체험형, 홈스테이(가정문화체험), 지역
화자원
문화 도시·농촌 민박 등
기타
생활문화 상설시장, 정기시장, 5일장
자원
자연환경 논, 밭, 평야 등
농·축산 식물원, 동물원, 목장, 농업체험마을,
자원 자연관광 체험시설(과수원, 양계장, 농장, 화훼농장),
농경문화박물관 등
바다·만, 강, 하천, 습지·늪, 호수·못, 섬, 샘,
자연환경
하구, 해안지형(다도해 등) 등
수자원 해수욕장, 항만, 해양보호구역,
자연관광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해양박물관,
자연문
해양국립공원, 온라인 바다생태정보나라 등
화자원 지역
자연환경 산, 숲, 계곡·골짜기, 폭포, 바위 등
수목원, 국립공원, 자연휴양림, 산촌생태마을,
산림자원 숲길, 삼림교육시설 (유아숲체험원,
자연관광
산림교육센터), 산림과학도서관, 산림과학박물관,
온라인 숲사랑 체험관 등
자연환경 동굴기후, 광물 채굴장, 천문관측소 등
기타
자연박물관(곤충박물관,광석박물관, 철박물관,
자연문화
자연관광 화석박물관 등), 기타 자연문화 체험장, 축제(ex.
자원
나비축제, 녹차축제, 대나무축제 등) 등
디지털
가상현실, 게임, 융복합콘텐츠, 영상
콘텐츠
기초·원천 콘텐츠기획, 그래픽스, UX 기반 인터페이스, 소셜미디어,
융합문 (기술) 빅데이터 공통
화자원
저작권 저작권 보호 기술, 저적물이용, 활성화기술
문화
문화유산기술, 관광서비스기술, 스포츠서비스기술,
서비스

128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⓷제도적 자원 기준 분류체계
○ 제도적 자원 기준 분류체계의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 (대분류, 중분류)

1. 활용목적
2. 활용대상
대분류 1 : 예산
정의 : 문화예술교육활동의 재정자원 출처(박옥남 외, 2009)
중분류 정의
공공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재정자원 중 공공 영역의 지원으로 구성된 예산

민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재정자원 중 민간 영역의 지원으로 구성된 예산


대분류 2 : 시스템(행정적 지원)
정의 : 문화예술교육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행정적 지원의 총칭
법·조례·규칙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기반이 되는 법·조례·규칙

정책·제도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기반이 되는 정책 및 제도


대분류 3 : 기관
정의 : 문화예술교육활동에 참여하는 책임기관(기관 및 조직)과 수혜기관
공급·매개기관 문화예술교육에 주로 참여하는 책임기관(박옥남 외, 2009)

수혜기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및 강사, 예산을 제공받는 공공/민간 기관 및 조직

○ 제도적 자원 기준 분류체계의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성요인


<문화예술교육 핵심구성요소 중 제도적 자원 기준 분류체계>

기준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분


공공 중앙정부(문체부/타 부처), 지자체, 기타 공통
예산
민간 기업, 민간단체, 개인기부금, 기타 공통
예)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지역문화진흥법,
법·조례·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학교문화예술교육 진흥에 관한 공통

조례
시스템
제도적 예) 문화예술교육 종합/시행계획,
자원 정책·제도 지역문화예술교육계획, 지역문화진흥기본/시행계획, 공통
문화예술교육사, 문화해설사, 기타
중앙행정기관(부처/청), 지자체, 공공기관·단체,
공급·매개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문화재단, 공통
기관
기관 문화예술교육인력양성·연수기관(대학교 등), 기타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문화시설, 청소년활동시설,
수혜기관 공통
평생교육기관, 사회복지시설, 기타 특수시설

부록 | 129
⓶ 인적자원 기준 분류체계
○ 인적자원 기준 분류체계의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 (대분류, 중분류)

1. 활용목적
2. 활용대상
대분류 1 : 공급·매개자(기획·강사 인력)
정의 : 문화예술교육에 관심 및 전문성을 가지고 참여하는 개인, 기관, 조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주체(박옥남 외, 2009)
중분류 정의
사업 기획 및 설계, 마케팅, 평가 및 환류, 네트워크 및 파트너십 구축을
행정전문인력
담당하는 인력(임학순, 2005)
문화예술교육강사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정책에 참여하는 모든 강사(진흥원, 2010)
문화예술 문화예술교육을 주된 기능의 하나로 실시하는 법인 또는 단체와 이에 준하는
(교육)단체 법인 또는 단체(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2조제4항)
교원: 교육부장관이 검정·수여하는 자격증을 받은 사람(초·중등교육법
제21조제1항)/지역 유명인사/문화예술인: 예술 활동을 업(業)으로 하여 국가를
기타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으로 풍요롭게 만드는 데 공헌하는 사람(예술인
복지법 제2조제2항), 지역 커뮤니티(부녀회, 청년회 등) 등
대분류 2 : 수혜자(교육대상)
정의 :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수혜자(박옥남 외, 2009)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문화예술(교육) 생비자(prosumer)로서의 발전가능성을 가지는 교육대상
유아(만 3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까지의 어린이, 유아교육법 제2조제1항) 및
유아동
아동(18세 미만인 사람, 아동복지법 제3조제1항)
‘9세 이상 24세 이하인 사람’으로 법에서 정의하고 있으나(청소년 기본법
청소년 제3조제1항), 유아동 수혜자의 연령대와 중복되므로 중·고등학생 및 그게
준하는 연령대의 사람으로 한정함
청년을 ‘15세 이상 29세 이하의 사람’으로 청년고용촉진특별법
청장년(성인_1) 제2조제1호에서 지정하고 있으나 정책사업 운영구조 반영 및 연구 편의상
20세 이상 65세 미만의 성인으로 지정함
노인(성인_2) 65세 이상의 사람(노인복지법 제1조의2제5항)

○ 인적자원 기준 분류체계의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성요인


<문화예술교육 핵심구성요소 중 인적자원 기준 분류체계>
기준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분
행정 진흥원, 타 부처 및 협력기관 담당자, 지역문화재단 공통/
전문인력 및 지역센터 담당자, 기타 지역
공급자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문화예술교육강사(교육사
문화예술교육강사 공통
(기획·공 이수), 문화예술교육강사(교육사 미이수), 기타
급 문화예술
문화예술단체, 문화예술교육단체, 기타 지역
인적자 인력) (교육)단체
원 학교 교원, 지역 유명인사, 문화예술인, 지역 공통/
기타
커뮤니티, 기타 지역
수혜자 유아동
(교육수 청소년
- 공통
혜 청장년(성인_1)
대상) 노인(성인_2)

130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⓸ 공간 자원 기준 분류체계
○ 공간 자원 기준 분류체계의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 (대분류, 중분류)

1. 활용목적
2. 활용대상
대분류 정의
문화예술활동에 지속적으로 이용되는 시설로 문화예술진흥법 제2조 제3항에
문화시설
속하는 시설
다양한 목적의 청소년 수련활동을 할 수 있는 (수련)시설로 청소년활동진흥법
청소년활동시설
제10조에 속하는 시설
평생교육기관(평생교육법 제2조 제2호에 따른 시설) 중 문화예술교육을
평생교육시설
실시하는 시설
기타 대통령령
문화시설, 청소년활동시설, 평생교육시설 외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
시설
기타 특수시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특수 시설

○ 공간 자원 기준 분류체계의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성요인

<문화예술교육 핵심구성요소 중 공간 자원 기준 분류체계>

기준 대분류 중분류 구분
공연장 등 공연시설, 박물관 미술관등 전시시설, 도서관 등
문화시설 도서시설, 문화예술회관 등 공연시설과 다른 문화시설이 복합된
종합시설 등
청소년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특화시설,
활동시설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 등

1. 평생교육법에 따라 인가·등록·신고된 시설·법인 또는 단체,


「학원의 설립ㆍ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법률」에 따른 학원 중
공간자 평생교육시
학교교과교습학원을 제외한 평생직업교육을 실시하는 학원 공통
원 설
2. 그 밖에 다른 법령에 따라 평생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시설
ㆍ법인 또는 단체

기타
대통령령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시설
시설
기타 학교, 군부대, 교정시설, 산업공단, 대안문화공간, 대중예술공간,
특수시설 대학박물관 문화에술교육단체공간 등

부록 | 131
* 문화예술교육의 핵심요소 기반 분류체계(대분류, 중분류, 세분류)에 대한 추가적인
의견 및 보완사항을 서술하여 주십시오.

2) 문화예술교육의 ‘프로세스 기반’의 분류체계(안)에 대한 질문입니다


문화예술교육의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안)
- 문화예술교육의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는 선행연구,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
계획서, 전문가 2차 FGI 자문내용 등을 취합·분석하여 문화예술교육 실행의 프로세스 구분에 따른 분
류체계를 설계함.
- 본 연구는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활동가들이 다양한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자원을 활용·파악하여 문화예
술교육프로그램을 기획, 교육·실행 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함.
* 따라서 문화예술교육 실행의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는 기존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의 단
계인 ‘기획-교육·실행­평가’ 중 ‘기획’과 ‘교육·실행’ 단계를 중심으로 구성 함.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안)

○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의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


단계 대분류 정의

문화예술교육 사업(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자원 관련기관 및 단체들이 인식을 공유하고 상호 협력하는 수평적,
수직적 협력 관계망(진흥원, 2010)

기획 문화예술교육에 관심 및 전문성을 가지고 참여하는 개인,


⇦ 인적자원 기관, 조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주체(박옥남 외, 2009)

행·재정자원 문화예술교육에 활용되는 행정·재정 자원의 총칭

진흥원 교육사업 장르 기준(음악, 미술, 무용, 연극, 영화,


프로그램자원1_
교육 사진, 국악, 만화/애니, 뮤지컬, 공예, 문학, 미디어아트,
장르
· 디자인, 기타)
실행 프로그램자원2_ 지역특성을 반영하고 지역사회가 직면한 문화적, 사회적
지역자원 이슈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소재로 사용가능한 지역 내

132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자원(전통/생태/생활문화)
공간자원 문화예술교육이 가능한 공간 및 시설(문화예술교육지원법)
문화예술교육 사업(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 네트워크자원 관련기관 및 단체들이 인식을 공유하고 상호 협력하는 수평적,
수직적 협력 관계망(진흥원, 2010)
문화예술교육에 관심 및 전문성을 가지고 참여하는 개인,
인적자원 기관, 조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주체(박옥남 외, 2009)
행·재정자원 문화예술교육에 활용되는 행정·재정 자원의 총칭

○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의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구성요인

<문화예술교육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

기준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단계)
문체부, 문체부 외 타부처, 문화예술교육진흥원,
공공(기관) 협회(협력기관), 지역센터, 문화재단, 위원회,
네트워크자원 지자체(광역/기초), 교육지원청 등
문화시설, 복지시설, 주민 시설, 문화기반시설,
민간
캠프운영전문시설, 생활시설 등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사,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강사,
전문인력
예술꽃 씨앗가꾸미, 기획자, 단체 및 조직, 시민 등
(강사)
문화예술교육 진흥원, 주관기관 담당자, 문화기획자, 담당교사, 관련 협회
인적자원
종사자(기획/ 담당자, 수혜시설 담당자, 지역센터, 문화재단 등 관련
기획
행정) 기관 담당자, 수퍼바이저, 핵심활동가 등
문화예술인 예술활동가, 전공자, 지역별 아티스트
기타 연구자, 교수, 초빙 강사, 외주업체 등
법, 제도,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지역문화진흥법, 고용정책기본법,
조례, 규칙,
학교특성(교육여건) 등
기타
행정/재정자
공공- 중앙정부(문화부 전체, 문화부 일부 및 타부처), 시,
원 예산
도(지자체 일부, 지방교육재정), 국고 입찰, 기타
(공공/민간)
민간- 사립재단, 기업, 개인기부금, 수익자부담금
기술자원 통합운영시스템, 웹페이지 등
프로그램자원 음악, 미술, 무용, 연극, 영화, 사진, 국악, 만화/애니, 뮤지컬, 공예, 문학,
1_장르 미디어아트, 디자인 기타(진흥원 교육사업 장르 기준으로)
지역의 자연자원, 역사문화자원(문화재, 인물, 역사, 생태,
전통·생태자원
프로그램자원 언어, 설화 등)
2_지역자원 지역생활문화
복지, 교육, 농업, 기술, 지역의 이슈와 문제 등
자원
교육· 문체부, 문체부 외 타부처, 문화예술교육진흥원,
실행 공공(기관) 협회(협력기관), 지역센터, 문화재단, 위원회,
네트워크자원 지자체(광역/기초), 교육지원청 등
문화시설, 복지시설, 주민 시설, 문화기반시설,
민간
캠프운영전문시설, 생활시설 등
문화시설,복지시설, 주민 시설, 문화기반시설,
공간자원 주교육공간
캠프운영전문시설, 생활시설 등

부록 | 133
기준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단계)
- 주교육공간 외 현장학습, 발표회 등에 사용되는 공간 및
장소
- 지역기반시설(도서관, 구민센터, 문화의 집 등), 인프라
부교육공간 (도로, 철도, 발전소 등),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회관,
공공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극장, 서점, 문고,
문학관, 공방, 영화상영관, 축제, 문화지역 등), 지역별
캠프장 , 역사문화적 장소, 자연자원 등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사,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강사,
전문 인력 예술꽃 씨앗가꾸미, 기획자, 단체 등
기획인력-진흥원, 주관기관 담당자, 학교예술강사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담당 교사, 예술꽃 씨앗학교(새싹학교) 담당교사
인적자원 종사자(기획/
매개인력-협회 담당자, 시설 담당자, 지역센터, 문화재단
매개),
등 관련 기관 담당자 등
문화예술인 예술활동가, 전공자, 지역별 아티스트
기타 연구자, 교수 등
법, 제도,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지역문화진흥법, 고용정책기본법 등
조례, 규칙,
제도:문화예술교육사
기타
행정/재정자 공공- 중앙정부(문화부 전체, 문화부 일부 및 타부처), 시,
예산
원 도(지자체 일부, 지방교육재정), 국고 입찰, 기타
(공공/민간)
민간- 사립재단, 기업, 개인기부금, 수익자부담금
통합운영시스템, SNS, 영상, 사진, 온라인 플랫폼
기술·홍보
홍보물(포스터, 현수막, 온/오프배너, 전단지, 리플렛 등)

* 문화예술교육의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대분류, 중분류, 세분류)에 대한 추가적인


의견 및 보완사항을 서술하여 주십시오.

3.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활용 관련 3차 전문가 FGI 조사


- 본 연구진은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 자문내용을 바탕으로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의 분류
체계(안)의 향후 조사활용을 위해 ‘핵심구성요소 기반 분류체계안’과 ‘프로세스 기반 분류체계안’에 관
하여 아래 예시 표<콘텐츠 구분 분류체계 출처>와 같이 ‘분류출처’를 제시하여 향후 연구 및 실태조사
에 유용함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 또한, 1)콘텐츠(소재)자원, 2)인적자원, 3)제도적 자원, 4)공간 자원의 4가지 기준의 다차원적 분류체계

134 | 지역문화예술교육 평가 연구
를 제안한 ‘핵심구성요소 기반 분류체계안’의 경우 예시 표<수혜자 분류별 수혜기관>와 같이 각 분류
체계의 자원들의 매칭을 통해 다양한 자원 활용과 관련한 매뉴얼(가이드안)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 예시 표<수혜자 분류별 수혜기관>의 경우 인적자원 중 ‘수혜자’와 제도적 자원 중 ‘수혜기관’의 세분류를
교차시켜 문화예술교육의 각 연령대별 수혜자들이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수혜기관을 제시
한 것입니다.
- 이에 관련한 추가적인 활용방안에 관한 의견 또는 본 분류체계의 향후 유용한 활용을 위해 좋은 의견
들을 주시면 깊이 검토하여 연구 수행에 적극 반영하고자 합니다.

<콘텐츠 구분 분류체계 출처(예시안)>


기준 대분류 중분류 출처(예시)
문화체육관광부 ‘2015 공연예술실태조사’ , 부산문화재단
공연예술자원
전자 아카에브
시각예술자원
예술문화자원 문학예술자원 부산문화재단 아카이브(부산지역)
영상예술자원
문화체육관광부 ‘2015 공연예술실태조사’,
예술문화축제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향수실태조사’
문화재 문화재청 홈페이지 문화재 통계
역사문화자원 박물관 문화체육관광부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
전통문화자원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정보원 ‘문화포털’
콘텐츠 의(衣)문화
(소재) 식(食)문화 -
생활문화자원
주(住)문화 (추가자료조사 필요)
기타생활자원
농·축산 자원
산림청 홈페이지, 해양수산부 홈페이지, 농림축산식품부
수(해양)자원
자연문화자원 홈페이지,
산림자원
환경부 홈페이지
기타자연자원
디지털콘텐츠
융합자원 기초원천 한국 콘텐츠 진흥원 ‘콘텐츠 산업 실태조사’,
(기술) 저작권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디지털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문화서비스

<수혜자 분류별 수혜기관(인적자원X제도적 자원 매칭)>


대분류 중분류 수혜기관
유아동 어린이집, 유치원, 지역아동센터, 초등학교, 장애인복지관, 아동보육시설 등
청소년수련·활동시설,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
소년원학교, 청소년비행예방센터, 하나원, 탈북청소년대안학교, 장애인복지관 등
수혜자 청장년
군부대, 의경부대, 산업단지, 장애인복지관 등
(성인_1)
노인
보훈복지문화대학, 노인복지관 등
(성인_2)

- 성실히 응답해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

부록 | 135

You might also like